KR20220028813A - 가상현실 기반의 인공지능 인테리어 큐레이션 플랫폼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현실 기반의 인공지능 인테리어 큐레이션 플랫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8813A
KR20220028813A KR1020200110351A KR20200110351A KR20220028813A KR 20220028813 A KR20220028813 A KR 20220028813A KR 1020200110351 A KR1020200110351 A KR 1020200110351A KR 20200110351 A KR20200110351 A KR 20200110351A KR 20220028813 A KR20220028813 A KR 20220028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ior
image
design
virtual
h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6805B1 (ko
Inventor
김의현
Original Assignee
김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의현 filed Critical 김의현
Priority to KR1020200110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805B1/ko
Publication of KR20220028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4Three-dimensional objects
    • G06V20/647Three-dimensional objects by matching two-dimensional images to three-dimensional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omet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Remote Sens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ultimedia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현실 기반의 인공지능 인테리어 큐레이션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 접속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홈스타일링 대상이 되는 주거지 정보, 개인 정보 및 선호 컨셉 정보를 포함한 니즈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등록부와, 상기 니즈 데이터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를 이미지 DB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 추천 목록으로 제공하는 디자인 추천부, 상기 추천 목록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의 인테리어 스타일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감재를 객체 DB로부터 추출 후 상기 주거지에 대응한 가상 주택 공간 상에 3D 매핑하여 홈스타일링하는 가상 모델링부, 및 상기 홈스타일링이 완료된 가상 주택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인테리어 큐레이션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의 니즈에 부합되는 스타일의 인테리어 디자인 컨셉을 DB로부터 선별 추천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스타일로 가상 현실의 주택 공간 상에 마감재를 맵핑하여 3D 모델링하여 시각화 제공함으로써 VR을 기반으로 홈스타일링 서비스를 현실감 있게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현실 기반의 인공지능 인테리어 큐레이션 플랫폼 시스템{AI interior curation platform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본 발명은 가상현실 기반의 인공지능 인테리어 큐레이션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객의 니즈와 컨셉에 부합되는 디자인 스타일로 가상 현실 상의 주택 공간을 3D 모델링하여 제시해줄 수 있는 가상현실 기반의 인공지능 인테리어 큐레이션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인테리어 의뢰 방법은 고객과 인테리어 전문가가 오프라인 상에서 빈번히 대면하여야 하며 이로 인해 의뢰 및 시공 과정이 다소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오프라인 매장은 기존 브랜드를 매장에 전시하여 파트쉽을 체결하므로 디자인 전문성 부족과 고객에게 스타일링 제안의 한계가 따른다.
그리고 최근에는 인테리어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시공 후의 인테리어를 미리 보고 결정하고자 하는 고객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설계 전문가가 고객의 취향과 의도를 반영하여 설계안을 사전 제시하고 승인을 받은 경우라 하더라도 실제 구현된 인테리어와의 이격으로 인해 고객의 불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 제10-1804763호(2017.12.08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고객의 니즈와 컨셉에 부합되는 디자인 스타일로 가상 현실 상의 주택 공간을 3D 모델링하여 현실감 있게 제시해줄 수 있는 가상현실 기반의 인공지능 인테리어 큐레이션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가상현실 기반의 인공지능 인테리어 큐레이션 플랫폼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 접속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홈스타일링 대상이 되는 주거지 정보, 개인 정보 및 선호 컨셉 정보를 포함한 니즈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등록부와, 상기 니즈 데이터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를 이미지 DB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 추천 목록으로 제공하는 디자인 추천부, 상기 추천 목록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의 인테리어 스타일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감재를 객체 DB로부터 추출 후 상기 주거지에 대응한 가상 주택 공간 상에 3D 매핑하여 홈스타일링하는 가상 모델링부, 및 상기 홈스타일링이 완료된 가상 주택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인테리어 큐레이션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가상 주택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이미지에 대응한 가상 현실 영상을 네트워크 연결된 HMD 기기로 출력하여 VR 체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모델링부는, 주택 공공 데이터 DB로부터 로딩한 상기 주거지에 대응된 주택 도면을 기초로 상기 가상 주택 공간을 3D 모델링한 다음 상기 모델링한 가상 주택 공간 상에 상기 마감재 객체를 3D 매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호 컨셉 정보는 선호 색상, 밝기, 무늬, 브랜드, 디자인 컨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주거지 정보는 주소, 평형, 타입, 주거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 정보는 직업, 취미, 애완동물, 가족구성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공지능 인테리어 큐레이션 플랫폼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디자이너 단말로부터 등록된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이미지 DB를 구축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공지능 인테리어 큐레이션 플랫폼 시스템은, 상기 이미지 DB 내의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를 각 사용자 단말로 제공 후 피드백 받은 누적 평점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우수 디자인 이미지를 선정하는 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자인 추천부는, 상기 이미지 DB 내에서 상기 니즈 데이터와 매칭되는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의 목록을 나열하여 제공하되 상기 우수 디자인 이미지를 상위에 노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자인 추천부는, 복수의 사용자별 등록된 니즈 데이터 및 선택된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를 인공 지능을 기반으로 학습하여 현재 사용자의 니즈 데이터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를 추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의 니즈에 부합되는 스타일의 인테리어 디자인 컨셉을 DB로부터 선별 추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디자인 스타일로 가상 현실의 주택 공간 상에 마감재를 맵핑하여 3D 모델링하여 시각화 제시해 줌으로써 사용자에게 가상 현실 기반의 홈스타일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홈스타일링 공간의 VR 체험을 온라인 또는 현장의 VR 체험관에서 가능하도록 하여 온오프라인 플랫폼 방문 고객에게 보다 현실감 있고 직관적인 VR 기반의 홈스타일링 상담 및 VR 체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홈스타일링 VR 상담을 통해 고정비를 절감하고 전문 디자이너의 연계를 통해 전문성을 확보하여 매장 이미지를 개선하고 매출 확대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인공지능 인테리어 큐레이션 플랫폼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랫폼 서버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를 이용한 인공지능 인테리어 큐레이션 플랫폼 운용 서비스 흐름을 구체적으로 설명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스타일링 서비스 개념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우수 디자인 선정을 통한 홈스타일링 제안을 설명한 개념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인공지능 인테리어 큐레이션 플랫폼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인공지능 인테리어 큐레이션 플랫폼 시스템은 인테리어 큐레이션 플랫폼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및 디자이너 단말(300)을 포함한다.
인테리어 큐레이션 플랫폼 서버(100)(이하, 플랫폼 서버)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 디자이너 단말(300)과 각각 유선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혹은 유선과 무선이 결합된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상호 통신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네트워크 접속된 각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 정보, 니즈 정보 등을 각각 등록받고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버(100)는 각종 정보의 등록 및 조회, 회원 가입 등이 이루어지는 모바일 앱(Application) 또는 웹(Web)으로 구현된 서비스 플랫폼(platform)을 네트워크 접속된 사용자 단말(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플랫폼은 모바일 앱(App) 또는 웹(Web) 환경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일 수 있으며, 응용 프로그램은 플랫폼 서버(100)에서 운용 또는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주로 모바일 앱을 예시한다.
물론, 플랫폼 서버(100)는 네트워크 연결된 각 디자이너 단말(300)로부터 해당 디자이너 정보,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 등을 등록받고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 및 디자이너 각각에게 적합한 고유 포맷과 메뉴로 구성된 모바일 플랫폼을 개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 및 디자이너 단말(300)은 각각 PC, 데스크탑(Desktop),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노트북(Notebook) 등과 같이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주로 무선 네트워크를 예시한다.
사용자 단말(200) 및 디자이너 단말(300) 각각은 해당 단말에 설치된 사용자용 앱, 디자이너용 앱을 통하여 플랫폼 서버(100)와 접속되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 및 표출할 수 있고 해당 앱 상에서 플랫폼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관련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 개개의 단말에 국한되지 않으며 오프라인 매장에 설치되어 방문 고객에게 홈스타일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단말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플랫폼 서버(100)는 사용자의 니즈와 부합되는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를 DB로부터 선별하여 추천 제공하고 그 중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이미지와 매칭되는 인테리어 스타일로 의뢰 대상 공간을 3D 모델링하여 출력해 줌으로써 사용자 취향을 고려하면서 보다 현실감 있는 홈스타일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랫폼 서버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를 이용한 인공지능 인테리어 큐레이션 플랫폼 운용 서비스 흐름을 구체적으로 설명한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서버(100)는 데이터 등록부(110), 디자인 추천부(120), 가상 모델링부(130), 출력부(140), 저장부(150), 선정부(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각 부(110~160)의 동작 및 데이터 흐름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우선, 사용자 단말(2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운용 사이트를 방문 접속한다(S310).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은 모바일 앱을 실행하는 것을 통하여 플랫폼 서버(100)와 네트워크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등록부(110)는 네트워크 접속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의 니즈 데이터를 입력받는다(S320). 여기서 데이터 등록부(110)는 사용자 단말(200)에 실행된 모바일 앱 상의 메뉴를 통하여 니즈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니즈 데이터는 홈스타일링 대상이 되는 주거지 정보, 사용자 개인 정보, 그리고 선호 컨셉 정보를 포함하며 이들 정보는 사용자 니즈에 부합되는 인테리어 디자인 선정을 위해 고려되는 요소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주거지 정보는 의뢰 대상이 되는 주소, 평형, 타입, 주거 형태 등을 포함하고, 사용자의 개인 정보는 직업, 취미, 애완동물 여부, 가족구성원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선호 컨셉 정보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인테리어(홈스타일링) 관련 컨셉 정보로, 선호하는 색상, 밝기, 무늬, 브랜드, 디자인 컨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 추천부(12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니즈 데이터가 등록되면, 니즈 데이터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를 이미지 DB로부터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200) 상에 추천 목록으로 제공한다(S330).
이미지 DB는 복수의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를 보유한다. 이러한 이미지 DB에 보유 중인 이미지는 서버(100)에서 자체 업로드한 이미지 이외에도 복수의 등록된 디자이너로부터 제공받은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등록된 디자이너란 서버(100)로부터 가입 및 자격 승인이 완료된 디자이너에 해당할 수 있다. 디자이너는 디자이너 단말(300)을 통하여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플랫폼 상에 접속하여 회원 정보 입력, 가입 및 자격 인증, 그리고 수익 창출 대상이 되는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의 등록 등을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수의 디자이너로부터 다양한 컨셉의 디자인을 수급하고 그에 대응한 로열티를 지급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복수의 디자이너 단말(300)로부터 등록된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를 기반으로 이미지 DB를 구축할 수 있으며, 디자인 추천부(120)는 디자이너에 의해 등록된 이미지 중에서 니즈 데이터와 매칭되는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를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디자인 추천부(120)는 니즈 데이터와 매칭되는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를 선별하여 추천 목록으로 제공한 후에 추천 목록 중에서 하나를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선택받게 된다. 이렇게 사용자 별 등록된 니즈 데이터와 선택된 이미지는 빅데이터로 구축되어 인공지능 기반의 디자인 추천에 활용되어 진다.
구체적으로, 디자인 추천부(120)는 복수의 사용자별 기 등록된 니즈 데이터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를 인공 지능을 기반으로 학습하여, 현재 사용자의 니즈 데이터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를 추천 제공할 수 있다. 즉, 인공지능 이미지 스캐닝을 거쳐 적합한 컨셉의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디자인 추천부(120)는 각 사용자 별 등록된 니즈 데이터와 선택된 이미지를 포함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니즈에 대응되는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를 추천하도록 추천 모델(알고리즘)을 머신 러닝을 통하여 학습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천 모델은 사용자의 니즈 데이터(개인 정보, 주거지 정보, 선호 컨셉의 조합)에 대한 정보 입력에 대응하여 그에 매칭되는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를 적어도 하나 추천 제공하도록 학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자인 추천부(120)는 복수의 사용자별 기 등록된 정보를 바탕으로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구축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현재 접속된 사용자의 니즈 데이터와 부합된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를 인공지능 스캐닝을 통하여 추출하여 추천 목록으로 제공할 수 있다.
가상 모델링부(130)는 디자인 추천부(120)에서 제공한 추천 목록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의 인테리어 스타일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감재를 객체 DB로부터 추출 후 사용자의 주거지에 대응한 가상 주택 공간 상에 3D 매핑하여 가상 공간을 홈스타일링한다(S340~S37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객체 DB는 가상 공간에 장착 가능한 다종의 마감재 객체 모델을 저장하고 있으며, 마감재의 용도, 장착 위치, 디자인, 색상, 무늬, 톤, 제조 업체(브랜드)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와 형태의 마감재 객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가상 모델링부(130)는 도 3과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로부터 해당 이미지 내에 포함된 마감재를 분석하고(S340), 그와 유사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 마감재 객체를 객체 DB로부터 불러올 수 있다(S350). 이때 이미지 내 특징(예: 색상, 톤, 무늬, 에지, 형상, 패턴 등) 추출을 기반으로 각 위치의 마감재를 분석하여 그와 매칭되는 마감재 객체를 객체 DB로부터 로딩할 수 있다.
또한, 가상 모델링부(130)는 주택 공공 데이터 DB로부터 해당 주거지에 대응된 주택 도면을 로딩하고(S360), 로딩한 주택 도면을 기초로 해당 가상 주택 공간을 먼저 3D 모델링한 다음, 모델링한 가상 주택 공간 상에 S350 단계에서 불러온 마감재 객체를 3D 매핑하는 것을 통해 홈스타일링 3D 모델링을 완성한다(S370).
출력부(140)는 홈스타일링이 완료된 가상 주택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출력하여 제공한다(S380).
이때, 출력부(140)는 상기 가상 주택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이미지에 대응한 가상 현실 영상을 네트워크 연결된 HMD(Head Mount Display) 기기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VR 체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로 하여금 홈스타일링된 가상 주택 공간을 현실감 있게 VR 체험할 수 있도록 하여 고객 유치는 물론 실제 인테리어 계약 유도를 통한 매출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여기서, HMD 기기는 사용자 단말(200)과 직접 네트워크 연결되거나 페어링되어 구동할 수도 있고 서버(100)와 네트워크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HMD 기기는 사용자 개인 기기에 해당할 수 있고 현장에 설치된 기기에 해당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 단말(200)이 오프라인 매장에 설치된 서비스 단말인 경우 HMD 기기 또한 매장 내의 서비스 기기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서비스 단말과 HMD 기기를 보유한 VR 체험관을 오프라인 매장 내 운용할 수 있다. VR 체험관을 전국 주요 상권에 운용할 경우 각 매장의 공간 활용도를 높여 제한된 공간에서 다양한 상품을 제안할 수 있음은 물론, 홈스타일링 VR 상담을 통하여 고정비를 절감하고 전문 디자이너의 연계를 기반으로 전문성을 확보하여 매장 이미지 개선과 매출 확대를 동반 기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스타일링 서비스의 개념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4와 같이, 먼저 고객의 고민이 선행되며, 이후 사용자 단말(200)의 앱을 실행시켜 라이프 스타일 등을 포함한 니즈 데이터를 입력한다. 그러면 플랫폼 서버(100)는 입력된 니즈 데이터를 고려한 디자인 이미지를 선별하여 고객에게 추천 목록으로 제안하고 고객은 추천 목록 중에서 원하는 스타일의 이미지를 선택하게 된다. 플랫폼 서버(100)는 선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이미지의 스타일과 매칭되는 마감재를 가상 주택 공간에 맵핑하여 의뢰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을 완료하고 그에 대한 VR 영상을 제작한다. 이후 사용자의 헤드에 착용한 HMD 기기를 통하여 사용자 움직임을 기반으로 VR 영상에 대한 VR 체험 서비스를 제공하고 홈스타일링 서비스를 완료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우수 디자인 선정을 통한 홈스타일링 제안을 설명한 개념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5와 같이 우수 디자인 평가를 기반으로 우수 상품을 발췌하여 홈스타일링을 제안할 수 있다. 즉, 디자이너로부터 등록된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으로부터 우수 디자인을 선별하고 이에 기반으로 우수 상품에 우선하여 홈스타일링을 제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선정부(160)는 이미지 DB 내의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를 각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 후 피드백 받은 누적 평점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우수 디자인 이미지를 선정한다.
여기서, 선정부(160)는 사용자 설문을 기반으로 누적 점수가 높은 순으로 디자인 이미지를 정렬하고 상위 몇개를 우수 디자인 이미지로 선정할 수 있으며, 우수 디자인 이미지는 실시간 갱신될 수 있다.
디자인 추천부(120)는 사용자의 니즈 데이터에 매칭되는 이미지의 목록을 이미지 DB로부터 선별하여 나열 제공하되 그 중에서 우수 디자인 이미지를 상위에 노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우수 디자인이 다른 디자인보다 우선하여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이용자의 니즈 뿐만 아니라 유저들의 최신 동향을 반영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의 니즈에 부합되는 스타일의 인테리어 디자인 컨셉을 DB로부터 선별 추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디자인 스타일로 가상 현실의 주택 공간 상에 마감재를 맵핑하여 3D 모델링하여 시각화 제시해 줌으로써 사용자에게 가상 현실 기반의 홈스타일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홈스타일링 공간의 VR 체험을 온라인 또는 현장의 VR 체험관에서 가능하도록 하여 온오프라인 플랫폼 방문 고객에게 보다 현실감 있고 직관적인 VR 기반의 홈스타일링 상담 및 VR 체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홈스타일링 VR 상담을 통해 고정비를 절감하고 전문 디자이너의 연계를 통해 전문성을 확보하여 매장 이미지를 개선하고 매출 확대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인테리어 큐레이션 플랫폼 서버
110: 데이터 등록부 120: 디자인 추천부
130: 가상 모델링부 140: 출력부
150: 저장부 160: 선정부
200: 사용자 단말 300: 디자이너 단말

Claims (7)

  1. 가상현실 기반의 인공지능 인테리어 큐레이션 플랫폼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 접속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홈스타일링 대상이 되는 주거지 정보, 개인 정보 및 선호 컨셉 정보를 포함한 니즈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등록부;
    상기 니즈 데이터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를 이미지 DB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 추천 목록으로 제공하는 디자인 추천부; 및
    상기 추천 목록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의 인테리어 스타일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감재를 객체 DB로부터 추출 후 상기 주거지에 대응한 가상 주택 공간 상에 3D 매핑하여 홈스타일링하는 가상 모델링부; 및
    상기 홈스타일링이 완료된 가상 주택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인테리어 큐레이션 플랫폼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가상 주택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이미지에 대응한 가상 현실 영상을 네트워크 연결된 HMD 기기로 출력하여 VR 체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공지능 인테리어 큐레이션 플랫폼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상 모델링부는,
    주택 공공 데이터 DB로부터 로딩한 상기 주거지에 대응된 주택 도면을 기초로 상기 가상 주택 공간을 3D 모델링한 다음 상기 모델링한 가상 주택 공간 상에 상기 마감재 객체를 3D 매핑하는 인공지능 인테리어 큐레이션 플랫폼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호 컨셉 정보는 선호 색상, 밝기, 무늬, 브랜드, 디자인 컨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주거지 정보는 주소, 평형, 타입, 주거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 정보는 직업, 취미, 애완동물, 가족구성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인테리어 큐레이션 플랫폼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디자이너 단말로부터 등록된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이미지 DB를 구축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인공지능 인테리어 큐레이션 플랫폼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DB 내의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를 각 사용자 단말로 제공 후 피드백 받은 누적 평점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우수 디자인 이미지를 선정하는 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자인 추천부는,
    상기 이미지 DB 내에서 상기 니즈 데이터와 매칭되는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의 목록을 나열하여 제공하되 상기 우수 디자인 이미지를 상위에 노출하여 제공하는 인공지능 인테리어 큐레이션 플랫폼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추천부는,
    복수의 사용자별 등록된 니즈 데이터 및 선택된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를 인공 지능을 기반으로 학습하여 현재 사용자의 니즈 데이터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디자인 이미지를 추천 제공하는 인공지능 인테리어 큐레이션 플랫폼 시스템.
KR1020200110351A 2020-08-31 2020-08-31 가상현실 기반의 인공지능 인테리어 큐레이션 플랫폼 시스템 KR102446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351A KR102446805B1 (ko) 2020-08-31 2020-08-31 가상현실 기반의 인공지능 인테리어 큐레이션 플랫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351A KR102446805B1 (ko) 2020-08-31 2020-08-31 가상현실 기반의 인공지능 인테리어 큐레이션 플랫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813A true KR20220028813A (ko) 2022-03-08
KR102446805B1 KR102446805B1 (ko) 2022-09-23

Family

ID=80813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351A KR102446805B1 (ko) 2020-08-31 2020-08-31 가상현실 기반의 인공지능 인테리어 큐레이션 플랫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6805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1571B1 (ko) * 2022-03-10 2022-11-28 주식회사 투모로우스페이스 빅데이터 기반의 인테리어 리빙 상품 추천 시스템
KR102478318B1 (ko) * 2022-04-05 2022-12-16 한국가상현실 (주) 공공 주택 데이터를 활용한 주택 공간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의 3d 주택 형성 방법
KR102542307B1 (ko) * 2022-10-24 2023-06-13 주식회사 위드라이크 메타버스 환경 기반 공간 스타일링 전문가 및 사용자 매칭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06878B1 (ko) * 2022-08-12 2023-11-29 주식회사 와이드브레인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CN117556524A (zh) * 2024-01-11 2024-02-13 深圳市郑中设计股份有限公司 一种室内设计的智能数据处理系统、方法及装置
KR102639531B1 (ko) * 2022-09-30 2024-02-22 주식회사 아울디자인 가상현실에 기반한 인테리어 체험 시스템
KR102649365B1 (ko) * 2023-11-22 2024-03-18 이성재 인공지능 기반의 인테리어 디자인 설계 시스템
KR102649178B1 (ko) * 2024-01-10 2024-03-19 주식회사 커넥트코리아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57825B1 (ko) * 2024-01-29 2024-04-16 주식회사 아울디자인 가상현실 기반 스타일링 제공 시스템
KR102657822B1 (ko) * 2024-01-29 2024-04-16 주식회사 아울디자인 3d 모델링 디자인 인테리어 시각화 시스템
KR102658273B1 (ko) * 2024-01-16 2024-04-18 주식회사 커넥트코리아 실내 디자인을 기반으로 인테리어를 생성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788B1 (ko) * 2018-10-04 2019-07-16 박아영 인테리어 상품 실시간 견적 방법
KR20190092915A (ko) * 2018-01-31 2019-08-08 진승혁 인테리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001179B1 (ko) * 2018-10-29 2019-10-01 한명상 인공지능 기반 목재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00022819A (ko) * 2018-08-24 2020-03-04 (주)위드어스커뮤니케이션즈 디자이너, 제조업체, 소비자 통합연결 플랫폼 기반 디자인제조서비스 지원 시스템
KR20200075503A (ko) * 2018-12-18 2020-06-26 엄미란 실내 인테리어 커스터마이징 주문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2915A (ko) * 2018-01-31 2019-08-08 진승혁 인테리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00022819A (ko) * 2018-08-24 2020-03-04 (주)위드어스커뮤니케이션즈 디자이너, 제조업체, 소비자 통합연결 플랫폼 기반 디자인제조서비스 지원 시스템
KR102000788B1 (ko) * 2018-10-04 2019-07-16 박아영 인테리어 상품 실시간 견적 방법
KR102001179B1 (ko) * 2018-10-29 2019-10-01 한명상 인공지능 기반 목재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00075503A (ko) * 2018-12-18 2020-06-26 엄미란 실내 인테리어 커스터마이징 주문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1571B1 (ko) * 2022-03-10 2022-11-28 주식회사 투모로우스페이스 빅데이터 기반의 인테리어 리빙 상품 추천 시스템
KR102478318B1 (ko) * 2022-04-05 2022-12-16 한국가상현실 (주) 공공 주택 데이터를 활용한 주택 공간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의 3d 주택 형성 방법
KR102606878B1 (ko) * 2022-08-12 2023-11-29 주식회사 와이드브레인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KR102639531B1 (ko) * 2022-09-30 2024-02-22 주식회사 아울디자인 가상현실에 기반한 인테리어 체험 시스템
KR102542307B1 (ko) * 2022-10-24 2023-06-13 주식회사 위드라이크 메타버스 환경 기반 공간 스타일링 전문가 및 사용자 매칭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49365B1 (ko) * 2023-11-22 2024-03-18 이성재 인공지능 기반의 인테리어 디자인 설계 시스템
KR102649178B1 (ko) * 2024-01-10 2024-03-19 주식회사 커넥트코리아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7556524A (zh) * 2024-01-11 2024-02-13 深圳市郑中设计股份有限公司 一种室内设计的智能数据处理系统、方法及装置
CN117556524B (zh) * 2024-01-11 2024-04-30 深圳市郑中设计股份有限公司 一种室内设计的智能数据处理系统、方法及装置
KR102658273B1 (ko) * 2024-01-16 2024-04-18 주식회사 커넥트코리아 실내 디자인을 기반으로 인테리어를 생성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57825B1 (ko) * 2024-01-29 2024-04-16 주식회사 아울디자인 가상현실 기반 스타일링 제공 시스템
KR102657822B1 (ko) * 2024-01-29 2024-04-16 주식회사 아울디자인 3d 모델링 디자인 인테리어 시각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6805B1 (ko) 2022-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6805B1 (ko) 가상현실 기반의 인공지능 인테리어 큐레이션 플랫폼 시스템
KR102222319B1 (ko) 인테리어 마감소재 맞춤 디자인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US20180232921A1 (en) Digital Experience Content Personalization and Recommendation within an AR or VR Environment
KR102132714B1 (ko) 몰입형 가상피팅 연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몰입형 가상피팅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
JP6963778B2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53704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4510626A (zh) 用于提供增强的媒体的系统和方法
KR20190094874A (ko) 3d 객체와 마커를 포함한 mr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이니지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1283024A (ja) 仮想店舗管理装置、仮想店舗管理方法および仮想店舗管理システムならびに情報記録媒体
KR102335918B1 (ko) 빅 데이터와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고객 개인 맞춤형 패션 디자인 판매용 디지털 사이니지
KR20210102074A (ko) 인공지능 기반의 가구추천장치
KR20190103649A (ko) 몰입형 가상피팅 연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몰입형 가상피팅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143995A (ko) 무선디지털기기를 통해 생성되는 고배율 이미지를 활용한 학습시스템 및 그 학습방법
KR102149728B1 (ko) 인공지능을 통한 사용자 중심의 제품 디자인 가이드 도출 방법 및 그 시스템
JP7219997B1 (ja) ブロックオブジェクトの設計図を出力する方法
JP2018195302A (ja) 仮想オブジェクトの表示システムを用いた顧客把握システム、顧客把握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顧客把握方法
CN115702435A (zh) 对象管理系统
JP6899103B2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AU2018259150B2 (en)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CN113256392A (zh) 一种基于ar的瓷砖换块装修展示方法、系统和可读存储介质
JP687423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101843B1 (ja) サービスポイント付与システム
JP7482300B1 (ja) 物件情報配信システム、物件情報配信装置、物件情報配信プログラム、および物件情報配信方法
EP4283552A1 (en) Learning engine-based navigation system
US202400376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device discovery to provide marketing recommend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