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878B1 -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 Google Patents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878B1
KR102606878B1 KR1020220101378A KR20220101378A KR102606878B1 KR 102606878 B1 KR102606878 B1 KR 102606878B1 KR 1020220101378 A KR1020220101378 A KR 1020220101378A KR 20220101378 A KR20220101378 A KR 20220101378A KR 102606878 B1 KR102606878 B1 KR 102606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area
virtual space
typ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1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태영
정혜원
박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드브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드브레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드브레인
Priority to KR1020220101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8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8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가상 공간 면적이 입력되면 가상 공간 구축 정보를 추천하는 단계, 상기 추천된 방법이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공간 별 구성 요소 정보를 추천하는 단계, 상기 상기 추천된 방법이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공간 별 구성 요소 정보를 분류하여 추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된 방법이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공간 별 구성 요소를 가상 공간 상에서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가상 공간 구축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METHOD OF PROVIDING PERSONAL VIRTUAL SPACE DEPLOYMENT SERVICE AND SERVER PERFORMING THEREOF}
본 발명은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공간 구축에 대한 경험이 없는 사용자들도 단순히 원래 있는 템플릿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화된 공간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 그래픽 기술을 응용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및 혼합현실(Mixed Reality) 기술이 발달하고 있다. 이 때, 가상현실 기술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현실 세계에 존재하지 않는 가상 공간을 구축한 후 그 가상 공간을 현실처럼 느끼게 하는 기술을 말하고, 증강현실 또는 혼합현실 기술은 현실 세계 위에 컴퓨터에 의해 생성된 정보를 덧붙여 표현하는 기술, 즉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를 결합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을 말한다.
이들 중 증강현실과 혼합현실 기술은 다양한 분야의 기술(예컨대, 방송 기술, 의료 기술 및 게임 기술 등)들과 접목되어 활용되고 있다. TV에서 일기 예보를 하는 기상 캐스터 앞의 날씨 지도가 자연스럽게 바뀌는 경우나, 스포츠 중계에서 경기장에 존재하지 않는 광고 이미지를 경기장에 실제로 존재하는 것처럼 화면에 삽입하여 송출하는 경우가 방송 기술 분야에 증강현실 기술이 접목되어 활용된 대표적인 예이다.
특히, 이러한 증강현실과 혼합현실 기술은 스마트폰(Smart phone)의 등장과 함께 다양한 응용 서비스로 구현되어 제공되고 있다.
증강현실 또는 혼합현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대표적인 서비스로서, 메타버스(Meta-verse)가 있다. 이 메타버스는 가공, 추상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현실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3차원 가상 세계를 의미한다. 메타버스는 기존의 가상현실 환경(Virtual reality environment)이라는 용어보다 진보된 개념으로서, 웹과 인터넷 등의 가상세계가 현실세계에 흡수된 증강 현실 환경을 제공한다.
가상 공간의 특징은 먼저 네트웍을 통해 형성되어가고 있기 때문에 개방성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개방성은 접근에 대한 개방성은 물론 정보의 개방성과 사상과 문화의 개방성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그리고 공간제한의 극복을 들 수 있다. 인터넷을 통한 가상 공간에 대한 접근은 또한 어느 곳에서나 가능하기 때문에 개방성과 아울러 중요한 특징적 요소라고 하겠다.
최근들어 이러한 네트워크상의 개방성에 근거하여 가상 공간상에 현재 자신의 가정 환경 또는 미리 꾸미고자하는 가정 환경을 구현하고, 구현된 가정 환경을 개선/보완/신규 설치 등을 할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simulation)화 하여 가정에서 사용되는 모든 실물들의 개선/보완/신규 설치 등을 가상적으로 구현해봄으로써 소비자의 구매 의사에 따른 가치를 평가하여 효율적인 소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상 공간에서의 가상 가정 구축 방법의 개발이 요청되어 왔다.
또한, 가상 공간에서 가정을 구축하는 방법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제공된 정보로 아름다운 세상, 가정과 삶을 가상적으로 실현하여 본 후에 효용성에 따라 자신이 판단하여 현실세계에서 실현해 볼 수 있도록 하는 물품의 구매 방법을 제공하는 방법의 개발이 요청되어 왔다.
본 발명은 공간 구축에 대한 경험이 없는 사용자들도 단순히 원래 있는 템플릿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화된 공간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간 구축의 여러 단계 각각에 대해서 빅 데이터를 기준으로 해당 단계의 과정을 추천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가상 공간 면적이 입력되면 가상 공간 구축 정보를 추천하는 단계, 상기 추천된 방법이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공간 별 구성 요소 정보를 추천하는 단계, 상기 상기 추천된 방법이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공간 별 구성 요소 정보를 분류하여 추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된 방법이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공간 별 구성 요소를 가상 공간 상에서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가상 공간 구축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에 의해 가상 공간 면적이 입력되면 가상 공간 구축 정보를 추천하는 공간 구성 모양 결정부, 상기 추천된 방법이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공간 별 구성 요소 정보를 추천하는 공간 배치 결정부, 상기 상기 추천된 방법이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공간 별 구성 요소 정보를 분류하여 추천하는 내부 구성 요소 분류 결정부 및 상기 추천된 방법이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공간 별 구성 요소를 가상 공간 상에서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가상 공간 구축을 완료하는 시각화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공간 구축에 대한 경험이 없는 사용자들도 단순히 원래 있는 템플릿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화된 공간을 구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간 구축의 여러 단계 각각에 대해서 빅 데이터를 기준으로 해당 단계의 과정을 추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200_1~200_N)을 포함한다.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개인용 가상 공간을 구축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먼저,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에 의해 가상 공간 정보(즉, 가상 공간 면적, 사용 목적, 고정 사용 인원 수, 동적 사용 인원 수, 사용자 정보 등)이 입력되면 공간 구성 및 공간 모양을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 목적 및 고정 사용 인원 수에 따라 고정 사용자용 공간 개수 및 공동 사용 공간 개수를 결정하고, 동적 사용 인원 수에 따라 동적 사용자용 공간 개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사용 목적에 따라 고정 사용자용 공간, 동적 사용자용 공간 및 공동 사용 공간을 배치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고정 사용자용 공간을 사용하는 고정 사용 인원 수에 따라 고정 사용자용 공간의 크기를 조절하고, 고정 사용 인원 수에 따라 공동 사용 공간의 크기를 조절한 후 가상 공간 면적에 맞게 임의 배치하고, 동적 사용자용 공간의 존재 여부에 따라 나머지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가상 공간을 배치한 후, 크기를 조절하여 가상 공간 사이의 여유 공간을 통로 공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고정 사용자용 공간,공동 사용 공간, 동적 사용자용 공간 및 통로 공간의 크기가 조절될 때마다 해당 크기를 공간 구성 및 공간 모양으로 결정하여 추천 리스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0_1~200_N)에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공간 구성 및 공간 모양에 대한 추천 리스트를 제공한 후 추천된 방법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가상 공간 구성 및 공간 모양을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에게 추천된 방법 중 어느 하나의 공간 구성 및 공간 모양이 선택되면 해당 공간 구성 및 공간 모양을 결정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에게 추천된 방법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200_1~200_N)로부터 수신된 공간 구성 및 공간 모양을 결정한다.
그 후,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공간 면적에 공간 구성과 상기 공간 모양에 따른 공간의 배치를 결정하여 추천 리스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0_1~200_N)에 제공한 후 추천된 방법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공간 배치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에게 추천된 방법 중 어느 하나의 공간의 배치가 선택되면 해당 공간의 배치를 결정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에게 추천된 방법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공간의 배치를 결정한다.
그 후,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가상 공간 면적에 해당하는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를 결정하는 리스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0_1~200_N)에 제공한 후 추천된 방법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별 사용 목적 및 가상 공간 면적에 따른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가 저장되어 있는 구성 요소 종류 별 개수 추천 모델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 목적 및 가상 공간 면적에 해당하는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를 추출한 후 리스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0_1~200_N)에 제공한 후 추천된 방법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를 결정한다.
이를 위해,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에 의해 개인용 가상 공간이 구축될 때마다 사용자 별 사용 목적, 가상 공간 면적, 고정 사용 인원 수,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 만족 여부를 이용하여 구성 요소 종류 별 개수 추천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먼저,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별 사용 목적, 가상 공간 면적 및 고정 사용 인원 수를 수신하고, 만족 여부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를 그대로 저장하거나 개수를 변경하여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별 면적 및 개수를 이용하여 전체 내부 구성 요소 면적을 산출하고, 가상 공간 면적 대비 중 전체 내부 구성 요소 면적을 제외한 나머지 가상 공간 면적을 결정하고, 고정 사용 인원 수에 활동 가중치를 적용한 후 사용 목적에 대응되는 임계 공간 면적을 결정하고, 나머지 가상 공간 면적 및 임계 공간 면적 사이의 차이 면적에 따라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를 그대로 저장하거나 개수를 변경하여 저장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나머지 가상 공간 면적 및 임계 공간 면적 사이의 차이 면적이 임계 면적 이하이면 차이 면적 및 내부 구성 요소의 개수 별 면적을 비교하여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별 개수를 감소시켜 저장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나머지 가상 공간 면적 및 임계 공간 면적 사이의 차이 면적이 임계 면적 이상이면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를 그대로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에 의해 가상 공간의 구축이 완료되면 사용자 별 사용 목적 및 가상 공간 면적에 따른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를 이용하여 구성 요소 종류 별 개수 추천 모델을 업데이트 함으로써 구성 요소 종류 별 개수 추천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 목적 및 가상 공간 면적에 해당하는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를 추출하여 추천할 수 있는 것이다.
그 후,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공간 구성에 따라 상기 내부 구성 요소를 분류하여 추천한다.
일 실시예에서,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공간 구성 별 면적 및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에 따른 면적을 비교하고, 나머지 공간 면적 및 해당 공간 구성의 사용 목적에 해당하는 임계 면적을 비교하여 공간 구성에 따라 상기 내부 구성 요소를 분류하여 추천할 수 있다.
만일,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에게 추천된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이 선택되었으면, 가상 공간 상에서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가상 공간 구축을 완료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공간 구성 모양 결정부(110), 내부 구성 요소 종류 결정부(120), 추천 모델 생성부(130), 내부 구성 요소 분류 결정부(140), 시각화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공간 구성 모양 결정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가상 공간 정보(즉, 가상 공간 면적, 사용 목적, 고정 사용 인원 수, 동적 사용 인원 수, 사용자 정보 등)이 입력되면 공간 구성 및 공간 모양을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공간 구성 모양 결정부(110)는 사용 목적 및 고정 사용 인원 수에 따라 고정 사용자용 공간 개수 및 공동 사용 공간 개수를 결정하고, 동적 사용 인원 수에 따라 동적 사용자용 공간 개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사용 목적에 따라 고정 사용자용 공간, 동적 사용자용 공간 및 공동 사용 공간을 배치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공간 구성 모양 결정부(110)는 고정 사용자용 공간을 사용하는 고정 사용 인원 수에 따라 고정 사용자용 공간의 크기를 조절하고, 고정 사용 인원 수에 따라 공동 사용 공간의 크기를 조절한 후 가상 공간 면적에 맞게 임의 배치하고, 동적 사용자용 공간의 존재 여부에 따라 나머지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공간 구성 모양 결정부(110)는 가상 공간을 배치한 후, 크기를 조절하여 가상 공간 사이의 여유 공간을 통로 공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공간 구성 모양 결정부(110)는 고정 사용자용 공간,공동 사용 공간, 동적 사용자용 공간 및 통로 공간의 크기가 조절될 때마다 해당 크기를 공간 구성 및 공간 모양으로 결정하여 추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공간 구성 모양 결정부(110)는 공간 구성 및 공간 모양에 대한 추천 리스트를 제공한 후 추천된 방법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가상 공간 구성 및 공간 모양을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공간 구성 모양 결정부(110)는 사용자에게 추천된 방법 중 어느 하나의 공간 구성 및 공간 모양이 선택되면 해당 공간 구성 및 공간 모양을 결정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공간 구성 모양 결정부(110)는 사용자에게 추천된 방법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공간 구성 및 공간 모양을 결정한다.
그 후, 내부 구성 요소 종류 결정부(120)는 가상 공간 면적에 해당하는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를 결정하여 추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내부 구성 요소 종류 결정부(120)는 사용자 별 사용 목적 및 가상 공간 면적에 따른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가 저장되어 있는 구성 요소 종류 별 개수 추천 모델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 목적 및 가상 공간 면적에 해당하는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를 추출하여 추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추천 모델 생성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개인용 가상 공간이 구축될 때마다 사용자 별 사용 목적, 가상 공간 면적, 고정 사용 인원 수,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 만족 여부를 이용하여 구성 요소 종류 별 개수 추천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먼저, 추천 모델 생성부(130)는 사용자 별 사용 목적, 가상 공간 면적 및 고정 사용 인원 수를 수신하고, 만족 여부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를 그대로 저장하거나 개수를 변경하여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추천 모델 생성부(130)는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별 면적 및 개수를 이용하여 전체 내부 구성 요소 면적을 산출하고, 가상 공간 면적 대비 중 전체 내부 구성 요소 면적을 제외한 나머지 가상 공간 면적을 결정하고, 고정 사용 인원 수에 활동 가중치를 적용한 후 사용 목적에 대응되는 임계 공간 면적을 결정하고, 나머지 가상 공간 면적 및 임계 공간 면적 사이의 차이 면적에 따라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를 그대로 저장하거나 개수를 변경하여 저장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추천 모델 생성부(130)는 나머지 가상 공간 면적 및 임계 공간 면적 사이의 차이 면적이 임계 면적 이하이면 차이 면적 및 내부 구성 요소의 개수 별 면적을 비교하여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별 개수를 감소시켜 저장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추천 모델 생성부(130)는 나머지 가상 공간 면적 및 임계 공간 면적 사이의 차이 면적이 임계 면적 이상이면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를 그대로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추천 모델 생성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가상 공간의 구축이 완료되면 사용자 별 사용 목적 및 가상 공간 면적에 따른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를 이용하여 구성 요소 종류 별 개수 추천 모델을 업데이트 함으로써 내부 구성 요소 종류 결정부(120)는 구성 요소 종류 별 개수 추천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 목적 및 가상 공간 면적에 해당하는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를 추출하여 추천할 수 있는 것이다.
그 후, 내부 구성 요소 분류 결정부(140)는 공간 구성에 따라 내부 구성 요소를 분류하여 추천한다.
일 실시예에서, 내부 구성 요소 분류 결정부(140)는 공간 구성 별 면적 및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에 따른 면적을 비교하고, 나머지 공간 면적 및 해당 공간 구성의 사용 목적에 해당하는 임계 면적을 비교하여 공간 구성에 따라 상기 내부 구성 요소를 분류하여 추천할 수 있다.
만일, 시각화부(150)는 사용자에게 추천된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이 선택되었으면, 가상 공간 상에서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가상 공간 구축을 완료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에 의해 가상 공간 면적이 입력되면 공간 구성 및 공간 모양을 추천한다(단계 S310).
단계 S31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 목적 및 고정 사용 인원 수에 따라 고정 사용자용 공간 개수 및 공동 사용 공간 개수를 결정하고, 동적 사용 인원 수에 따라 동적 사용자용 공간 개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사용 목적에 따라 고정 사용자용 공간, 동적 사용자용 공간 및 공동 사용 공간을 배치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고정 사용자용 공간을 사용하는 고정 사용 인원 수에 따라 고정 사용자용 공간의 크기를 조절하고, 고정 사용 인원 수에 따라 공동 사용 공간의 크기를 조절한 후 가상 공간 면적에 맞게 임의 배치하고, 동적 사용자용 공간의 존재 여부에 따라 나머지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가상 공간을 배치한 후, 크기를 조절하여 가상 공간 사이의 여유 공간을 통로 공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고정 사용자용 공간,공동 사용 공간, 동적 사용자용 공간 및 통로 공간의 크기가 조절될 때마다 해당 크기를 공간 구성 및 공간 모양으로 결정하여 추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추천된 방법이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가상 공간 면적에 해당하는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를 추천한다(단계 S320).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추천된 방법이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공간 구성과 상기 공간 모양에 따라 공간 배치를 추천한다(단계 S330).
단계 S33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별 사용 목적 및 가상 공간 면적에 따른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가 저장되어 있는 구성 요소 종류 별 개수 추천 모델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 목적 및 가상 공간 면적에 해당하는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를 추출하여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도 4(a)와 같이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를 추출하여 추천하고, 도 4(b)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를 선택받을 수 있다.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추천된 방법이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공간 구성에 따라 분류하여 상기 내부 구성 요소를 분류하여 추천한다(단계 S340).
단계 S34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공간 구성 별 면적 및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에 따른 면적을 비교하고, 나머지 공간 면적 및 해당 공간 구성의 사용 목적에 해당하는 임계 면적을 비교하여 공간 구성에 따라 상기 내부 구성 요소를 분류하여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도 5와 같이 공간 구성 중 거실, 방 1 및 방 2 각각에 내부 구성 요소인 책상, 의자, 장식장, 기타, 거울 등을 분류하여 추천할 수 있다.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추천된 방법이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내부 구성 요소의 배치 추천 위치를 가상 공간 상에서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가상 공간 구축을 완료한다(단계 S350).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에 의해 개인용 가상 공간이 구축될 때마다 사용자 별 사용 목적, 가상 공간 면적, 고정 사용 인원 수,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 만족 여부를 이용하여 구성 요소 종류 별 개수 추천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먼저,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별 사용 목적, 가상 공간 면적 및 고정 사용 인원 수를 수신하고, 만족 여부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를 그대로 저장하거나 개수를 변경하여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별 면적 및 개수를 이용하여 전체 내부 구성 요소 면적을 산출하고, 가상 공간 면적 대비 중 전체 내부 구성 요소 면적을 제외한 나머지 가상 공간 면적을 결정하고, 고정 사용 인원 수에 활동 가중치를 적용한 후 사용 목적에 대응되는 임계 공간 면적을 결정하고, 나머지 가상 공간 면적 및 임계 공간 면적 사이의 차이 면적에 따라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를 그대로 저장하거나 개수를 변경하여 저장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나머지 가상 공간 면적 및 임계 공간 면적 사이의 차이 면적이 임계 면적 이하이면 차이 면적 및 내부 구성 요소의 개수 별 면적을 비교하여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별 개수를 감소시켜 저장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나머지 가상 공간 면적 및 임계 공간 면적 사이의 차이 면적이 임계 면적 이상이면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를 그대로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에 의해 가상 공간의 구축이 완료되면 사용자 별 사용 목적 및 가상 공간 면적에 따른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를 이용하여 구성 요소 종류 별 개수 추천 모델을 업데이트 함으로써 내부 구성 요소 종류 결정부(120)는 구성 요소 종류 별 개수 추천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 목적 및 가상 공간 면적에 해당하는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를 추출하여 추천할 수 있는 것이다.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
110: 공간 구성 모양 결정부,
120: 내부 구성 요소 종류 결정부,
130: 추천 모델 생성부,
140: 내부 구성 요소 분류 결정부,
150: 시각화부,
160: 제어부,
200: 사용자 단말,

Claims (10)

  1. 사용 목적 및 고정 사용 인원 수에 따라 고정 사용자용 공간 개수 및 공동 사용 공간 개수를 결정하고, 동적 사용 인원 수에 따라 동적 사용자용 공간 개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사용 목적에 따라 고정 사용자용 공간, 동적 사용자용 공간 및 공동 사용 공간을 배치하는 단계;
    고정 사용자용 공간,공동 사용 공간, 동적 사용자용 공간 및 통로 공간의 크기가 조절될 때마다 해당 크기를 공간 구성 및 공간 모양으로 결정하여 추천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공간 구성 및 공간 모양에 대한 추천 리스트를 제공한 후 추천된 방법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가상 공간 구성 및 공간 모양을 결정하는 단계;
    사용자 별 사용 목적 및 가상 공간 면적에 따른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가 저장되어 있는 구성 요소 종류 별 개수 추천 모델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 목적 및 가상 공간 면적에 해당하는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를 추출하여 추천하는 단계;
    공간 구성 별 면적 및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에 따른 면적을 비교하고, 나머지 공간 면적 및 해당 공간 구성의 사용 목적에 해당하는 임계 면적을 비교하여 공간 구성에 따라 상기 내부 구성 요소를 분류하여 추천하는 단계;
    사용자에게 추천된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이 선택되었으면, 가상 공간 상에서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가상 공간 구축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개인용 가상 공간이 구축될 때마다 사용자 별 사용 목적, 가상 공간 면적, 고정 사용 인원 수,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 만족 여부를 이용하여 구성 요소 종류 별 개수 추천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별 면적 및 개수를 이용하여 전체 내부 구성 요소 면적을 산출하고, 가상 공간 면적 대비 중 전체 내부 구성 요소 면적을 제외한 나머지 가상 공간 면적을 결정하고, 고정 사용 인원 수에 활동 가중치를 적용한 후 사용 목적에 대응되는 임계 공간 면적을 결정하는 단계;
    나머지 가상 공간 면적 및 임계 공간 면적 사이의 차이 면적에 따라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를 그대로 저장하거나 개수를 변경하여 상기 구성 요소 종류 별 개수 추천 모델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나머지 가상 공간 면적 및 임계 공간 면적 사이의 차이 면적이 임계 면적 이하이면 차이 면적 및 내부 구성 요소의 개수 별 면적을 비교하여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별 개수를 감소시켜 저장하여 구성 요소 종류 별 개수 추천 모델을 업데이트하고, 나머지 가상 공간 면적 및 임계 공간 면적 사이의 차이 면적이 임계 면적 이상이면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를 그대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사용 목적 및 고정 사용 인원 수에 따라 고정 사용자용 공간 개수 및 공동 사용 공간 개수를 결정하고, 동적 사용 인원 수에 따라 동적 사용자용 공간 개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사용 목적에 따라 고정 사용자용 공간, 동적 사용자용 공간 및 공동 사용 공간을 배치하고, 고정 사용자용 공간,공동 사용 공간, 동적 사용자용 공간 및 통로 공간의 크기가 조절될 때마다 해당 크기를 공간 구성 및 공간 모양으로 결정하여 추천 리스트를 생성하고, 공간 구성 및 공간 모양에 대한 추천 리스트를 제공한 후 추천된 방법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가상 공간 구성 및 공간 모양을 결정하는 공간 구성 모양 결정부;
    사용자에 의해 개인용 가상 공간이 구축될 때마다 사용자 별 사용 목적, 가상 공간 면적, 고정 사용 인원 수,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 만족 여부를 이용하여 구성 요소 종류 별 개수 추천 모델을 생성하는 추천 모델 셍성부;
    사용자 별 사용 목적 및 가상 공간 면적에 따른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가 저장되어 있는 상기 구성 요소 종류 별 개수 추천 모델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 목적 및 가상 공간 면적에 해당하는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를 추출하여 추천하는 내부 구성 요소 종류 결정부;
    공간 구성 별 면적 및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에 따른 면적을 비교하고, 나머지 공간 면적 및 해당 공간 구성의 사용 목적에 해당하는 임계 면적을 비교하여 공간 구성에 따라 상기 내부 구성 요소를 분류하여 추천하는 내부 구성 요소 분류 결정부; 및
    사용자에게 추천된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이 선택되었으면, 가상 공간 상에서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가상 공간 구축을 완료하는 시각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추천 모델 생성부는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별 면적 및 개수를 이용하여 전체 내부 구성 요소 면적을 산출하고, 가상 공간 면적 대비 중 전체 내부 구성 요소 면적을 제외한 나머지 가상 공간 면적을 결정하고, 고정 사용 인원 수에 활동 가중치를 적용한 후 사용 목적에 대응되는 임계 공간 면적을 결정하고, 나머지 가상 공간 면적 및 임계 공간 면적 사이의 차이 면적에 따라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를 그대로 저장하거나 개수를 변경하여 상기 구성 요소 종류 별 개수 추천 모델을 업데이트하고, 나머지 가상 공간 면적 및 임계 공간 면적 사이의 차이 면적이 임계 면적 이하이면 차이 면적 및 내부 구성 요소의 개수 별 면적을 비교하여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별 개수를 감소시켜 저장하여 구성 요소 종류 별 개수 추천 모델을 업데이트하고, 나머지 가상 공간 면적 및 임계 공간 면적 사이의 차이 면적이 임계 면적 이상이면 내부 구성 요소의 종류 및 개수를 그대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서버.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20101378A 2022-08-12 2022-08-12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KR102606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378A KR102606878B1 (ko) 2022-08-12 2022-08-12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378A KR102606878B1 (ko) 2022-08-12 2022-08-12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6878B1 true KR102606878B1 (ko) 2023-11-29

Family

ID=88969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1378A KR102606878B1 (ko) 2022-08-12 2022-08-12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687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4341A (ko) * 2017-10-20 2019-04-30 조한무 테트리스 하우스 설계 시스템
KR20220028813A (ko) * 2020-08-31 2022-03-08 김의현 가상현실 기반의 인공지능 인테리어 큐레이션 플랫폼 시스템
KR20220076739A (ko) * 2020-12-01 2022-06-08 디어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3차원 기반의 가상 주택 설계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4341A (ko) * 2017-10-20 2019-04-30 조한무 테트리스 하우스 설계 시스템
KR20220028813A (ko) * 2020-08-31 2022-03-08 김의현 가상현실 기반의 인공지능 인테리어 큐레이션 플랫폼 시스템
KR20220076739A (ko) * 2020-12-01 2022-06-08 디어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3차원 기반의 가상 주택 설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99393B (zh) 图片风格转换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00118035A1 (en) Moving image generation method, moving image generation program, and moving image generation device
US20100060650A1 (en) Moving image processing method, moving image processing program, and moving image processing device
CN113255052B (zh) 一种基于虚拟现实的家装方案推荐方法、系统及存储介质
Wu et al. Cultural tourism and temples: Content construction and interactivity design
US10229215B2 (en) Visualisation and navigation of transmedia content data
CN107638690A (zh) 增强现实的实现方法、装置、服务器及介质
KR20170032333A (ko) 기존의 3d 모델을 그래픽 데이터로 변환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190005156A1 (en) Data flow visualization system
CN110232726A (zh) 创意素材的生成方法及装置
US10453491B2 (en) Video processing architectures which provide looping video
Meng Application of VR technology in brand IP image design
Stratigea et al. Experiential marketing and local tourist development: A policy perspective
US9024977B2 (en) Resizing objects in regions of virtual universes
KR102606878B1 (ko) 개인용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Ghani et al. Experiential virtual urban environments: a preliminary investigation
Xiang The application of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 visual communication design
CN117390322A (zh) 虚拟空间构建方法、装置、电子设备及非易失性存储介质
JP7130719B2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方法、及び、サーバ装置
Kasinathan et al. SmartG: Spontaneous Malaysian augmented reality tourist guide
CN103544263A (zh) 一种移动终端的渲染方法及装置
Chao et al. C-flow: visualizing foot traffic and profit data to make informative decisions
Ariffin et al. Enhancing tourism experiences via mobile augmented reality by superimposing virtual information on artefacts
CN110174944A (zh) 一种基于vr技术的交互式移动营销展示系统
Sun et al. How Augmented Reality Affects People’s Perceptions: Adoption of AR in Product Display Improves Consumers’ Product Attitu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