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5615A - 디지털 자산을 중심으로 온라인 플랫폼과 가상 플랫폼을 연계하는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자산을 중심으로 온라인 플랫폼과 가상 플랫폼을 연계하는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5615A
KR20240055615A KR1020230031957A KR20230031957A KR20240055615A KR 20240055615 A KR20240055615 A KR 20240055615A KR 1020230031957 A KR1020230031957 A KR 1020230031957A KR 20230031957 A KR20230031957 A KR 20230031957A KR 20240055615 A KR20240055615 A KR 20240055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digital asset
platform
nft
us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1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준
Original Assignee
위치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치컴퍼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치컴퍼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55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56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 G06Q2220/16Copy protection or prevention
    • G06Q2220/165Having origin or program 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디지털 자산을 발행 또는 거래하는 온라인 플랫폼, 디지털 자산을 전시 또는 거래하는 가상 플랫폼, 온라인 플랫폼과 가상 플랫폼에서 발생하는 디지털 자산의 거래에 대응하는 트랜잭션이 발생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온라인 플랫폼과 가상 플랫폼을 연계하는 서비스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자산을 중심으로 온라인 플랫폼과 가상 플랫폼을 연계하는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RADING SERVICES THAT LINK ONLINE PLATFORMS AND VIRTUAL PLATFORMS CENTERING ON DIGITAL ASSETS}
실시 예들은 PFP NFP 자산을 중심으로 디지털 자산의 거래와 관련한 여러 종류의 서비스를 연계된 온라인 플랫폼과 가상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자산이 생성되어 거래되고 있다.
특히, PFP NFT 자산이 디지털 자산 시장에서 대부분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특정 PFP NFT 자산을 보유한 사용자끼리 상호 간 소통을 통해 PFP NFT 중심의 디지털 문화가 형성되는 실정이다.
이에 다양한 형태로 소통할 수 있는 온라인 커뮤니티 또는 메타버스 공간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허문헌 KR 2434834 B1
본 개시는 디지털 자산을 중심으로 온라인 플랫폼과 가상 플랫폼을 연계하여 제공되는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특정 PFP NFT 자산을 보유한 사용자끼리 소통할 수 있는 연계된 온라인 플랫폼 또는 가상 플랫폼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보유한 디지털 자산을 Web 3.0과 연계하여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Web 3.0과 연계하여 보유한 자산을 P2P(peer to peer) 방식으로 다른 사용자와 직접 거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디지털 파일을 서버에 업로드하는 간단한 동작을 통해 디지털 파일을 디지털 자산으로 민팅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디지털 자산을 발행 또는 거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플랫폼, 디지털 자산을 전시 또는 거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 플랫폼 및 온라인 플랫폼과 가상 플랫폼을 연동하는 서비스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관리 시스템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디지털 자산의 거래 내역을 수신하고, 수신한 거래 내역을 온라인 플랫폼 및 가상 플랫폼에 송신함으로써, 온라인 플랫폼 및 가상 플랫폼에서 동일한 컨트렉트(contract)를 생성한다.
상기 서비스 관리 시스템은, 온라인 플랫폼, 가상 플랫폼,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치와 송수신하는 통신,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온라인 플랫폼은, 디지털 자산을 발행하는 NFT 발행부, 디지털 자산을 거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NFT 마켓플레이스 및 특정 디지털 자산을 보유하는 사용자에게만 접근을 허용하는 NFT 홀더 전용 커뮤니티를 포함한다.
상기 가상 플랫폼은,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소유하는 개인 공간 및 특정 디지털 자산을 보유하는 사용자에게만 접근을 허용하는 NFT 홀더 전용 공간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사용자 장치로 디지털 자산의 발행 또는 매수하는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디지털 자산의 거래 내역을 수신하고, 수신한 거래 내역을 온라인 플랫폼 및 가상 플랫폼에 송신함으로써, 온라인 플랫폼 및 가상 플랫폼에서 동일한 컨트렉트(contract)를 생성하는 단계 및 가상 플랫폼을 통하여 사용자 장치로 디지털 자산의 전시 또는 매도하는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사용자 장치로 디지털 자산의 발행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사용자 장치로부터 디지털 파일에 대한 민팅(minting) 요청을 수신하고,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사용자 장치에 디지털 파일의 업로드(upload) 요청을 송신하고,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사용자 장치로부터 디지털 파일의 업로드를 받는 단계, 업로드 받은 디지털 파일에 관한 메타 데이터(meta data)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메타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메타 데이터는, 업로드 받은 상기 디지털 파일의 2D 이미지 파일, 3D 모델링 파일, 소유자 정보 및 설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가상 플랫폼을 통하여 사용자 장치로 디지털 자산의 전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입력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주소를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지갑이 보유한 디지털 자산을 수집하는 단계, 가상 플랫폼을 통하여 수집한 디지털 자산을 메타버스 공간에 전시하는 단계 및 가상 플랫폼을 통하여 전시한 디지털 자산을 메타버스 공간 내에서 거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온라인 플랫폼은, 디지털 자산을 발행하는 NFT 발행부, 디지털 자산을 거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NFT 마켓플레이스 및 특정 디지털 자산을 보유하는 사용자에게만 접근을 허용하는 NFT 홀더 전용 커뮤니티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플랫폼은,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소유하는 개인 공간 및 특정 디지털 자산을 보유하는 사용자에게만 접근을 허용하는 NFT 홀더 전용 공간을 포함한다.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서 수행되는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사용자 장치로부터 특정 NFT 홀더 전용 커뮤니티에 대한 접근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장치로부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ID(Decentralized Identity)에 기초한 본인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본인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디지털 자산을 보유하는 사용자인지 판단하는 단계, 특정 디지털 자산을 보유하는 사용자라고 판단하는 경우,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사용자 장치로 접근을 허용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상 플랫폼에서 수행되는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은, 가상 플랫폼을 통하여 사용자 장치로부터 특정 NFT 홀더 전용 공간에 대한 접근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장치로부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ID(Decentralized Identity)에 기초한 본인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본인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디지털 자산을 보유하는 사용자인지 판단하는 단계, 특정 디지털 자산을 보유하는 사용자라고 판단하는 경우, 가상 플랫폼을 통하여 사용자 장치로 접근을 허용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특정 디지털 자산은, 소유하는 사용자의 수가 제한된 PFP(Profile Picture) NFT 자산이다.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PFP NFP 자산을 중심으로 디지털 자산의 거래와 관련한 여러 종류의 서비스를 연계된 온라인 플랫폼과 가상 플랫폼에서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디지털 파일을 디지털 자산으로 NFT화(민팅(Minting))하는 서비스 및 디지털 자산을 메타버스 공간에서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로 표현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사용되는 블록체인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30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4000)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5000)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가 제공되는 화면(60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가 제공 방법(7000)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가 제공되는 화면(80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가 제공되는 화면(90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10000)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가 제공되는 화면(110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로 보아 유사한 부분에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현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로 기재되었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다양한 다른 용어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용어의 명칭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며,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상기" 및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단수 및 복수의 개념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는 단계들의 순서를 명백하게 지정하는 기재가 없는 이상, 기재된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기재된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개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곳에 등장하는 "일부 실시 예에서" 또는 "일 실시 예에서" 등의 어구는 반드시 동일한 실시 예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곳에 등장하는 "일부 실시 예에서" 또는 "일 실시 예에서" 등의 어구는 반드시 동일한 실시 예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소정의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및 "구성" 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 선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이다.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된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에 의해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를 온라인 플랫폼(online platforms) 및/또는 가상 플랫폼(virtual platforms)에서 제공받는 사람을 의미하며, 고객, 관리자 또는 기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세서에서 "디지털 자산(digital asset)"라는 용어는, 경제적 가치를 지닌 것으로서 전자적으로 거래 또는 이전될 수 있는 전자적 증표 및 그에 대한 일체의 권리를 의미할 수 있다.
명세서에서 "메타버스(metaverse)"라는 용어는, 가상현실(virtual reality) 보다 진보된 개념으로 가상 세계가 현실 세계에 흡수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전반적 측면에서 공간과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현실과 비현실을 융합함으로써 새로운 차원의 세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명세서에서 "민팅(minting)"이라는 용어는, 복사가 용이하여 소유권이 누구에게 있는지 알 수 없는 디지털 파일(digital file)을 디지털 자산의 일종인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자산으로 생성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디지털 파일(digital file)은 복사가 용이하여 디지털 파일의 원본 파일의 소유권이 누구에게 있는지 알 수 없다. 반면, 디지털 자산의 일종인 NFT 자산은 디지털 파일에 대한 소유권을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저장하여, 위조 및 변조가 불가능하고 영구히 보존할 수 있으며 상기 소유권을 탈중앙화한 형태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명세서에서 "메타 데이터(meta data)"에는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메타 데이터에는 디지털 파일의 내용, 저장 위치, 소유자에 관한 정보, 권리 조건, 이용 조건 및 이용 내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사용되는 블록체인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블록체인 기술은 분산 컴퓨팅 기술 기반의 데이터 위변조 방지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록체인 기술은 P2P 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소규모 데이터들이 체인 형태로 연결되어 형성된 '블록'이라는 분산 데이터 저장 환경에, 관리의 대상이 되는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누구도 임의로(즉, 권한 없이) 저장된 데이터를 수정할 수 없고, 누구나 변경의 결과를 열람할 수 있게 만드는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블록에는, 해당 블록이 발견되기 이전에 사용자들에게 전파되었던 모든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고, 이것은 P2P 방식으로 모든 사용자에게 똑같이 전송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데이터를 임의로 수정하거나 누락시킬 수 없다. 블록은 발견된 날짜와 이전 블록에 대한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블록들의 집합을 블록체인이라고 칭할 수 있다. 즉, 블록체인 기술은 수많은 기록을 한 묶음처럼 만드는 기술이다.
블록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위로서, 바디(body)와 헤더(header)로 구분된다. 바디에는 거래 내용이, 헤더에는 머클해시(머클루트)나 넌스(nonce, 암호화와 관련되는 임의의 수) 등의 암호 코드가 담길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은 약 10분을 주기로 생성될 수 있다. 블록은 거래 기록을 끌어 모아 신뢰성을 검증하면서 생성되고, 생성된 블록이 이전 블록에 연결됨으로써 블록체인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명세서에서 블록체인 상에 전파되는 임의 데이터들은 일정 양이 누적되면 블록 데이터를 형성하고, 형성된 블록 데이터는 블록체인 내 노드들에 의해 검증된 후 앞선 블록 데이터에 연결될 수 있다.
블록체인은 중앙 집중형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 관리하지 않고 거래에 참여하는 개개인의 서버들이 모여 네트워크를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다. 이 개개인의 서버, 즉 참여자를 노드(node)라고 한다.
중앙 관리자가 없기 때문에 블록체인 네트워크(1200)에서는 블록을 배포하는 노드의 역할이 중요하며, 참여하는 노드들 가운데 절반 이상의 동의가 있어야 새 블록이 생성된다. 노드들은 블록체인을 컴퓨터에 저장하는데, 일부 노드가 해킹을 당해 기존 내용이 틀어져도 다수의 노드에게 데이터가 남아 있어, 계속적으로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1200)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서버 또는 컴퓨터, 단말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메타버스 공간의 디지털 자산은 블록체인 네트워크(1200)의 NFT 자산에 대응되는 개념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NFT 자산은 이더리움(ERC-721) 기반의 블록체인을 적용한 스마트 컨트랙트 기술을 이용해 디지털 자산에 대체 불가하며 여러 차례의 거래 이후에도 고유 식별 코드가 변하지 않고 식별될 수 있도록 콘텐츠에 고유 아이디와 메타데이터를 할당한 자산일 수 있다.
NFT 자산은 각 토큰 마다 고유한 정보와 속성을 가지고, 발행 이후 각 토큰 마다 NFT가 발행된 상품 고유의 이름, 고유 기호, 소유자 정보 등의 메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담겨 보유자의 이력이 트래킹(tracking) 되는 등 전혀 다른 내용의 토큰이 되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구현되는 형태가 동일하더라도 동일한 가치를 지닌 것이라고 볼 수 없다.
도 1의 디지털 이미지 C(1100)는 NFT 자산일 수 있다. 즉, 디지털 이미지 C(1100)는 대체 불가하며, 여러 차례의 거래 이후에도 고유 식별 코드가 변하지 않고 식별될 수 있도록 이미지에 고유의 메타 데이터를 할당 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0)은 온라인 플랫폼(online platform, 2100), 가상 플랫폼(virtual platform, 2200) 및 서비스 관리 시스템(240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미도시)는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미도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미도시)는 전자 장치로 언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미도시)는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데스크 탑, 태블릿, 스마트폰, 기타 모바일 디바이스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미도시)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가 제공되는 온라인 플랫폼(2100) 및/또는 가상 플랫폼(2200)에 접근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미도시)는 웹 브라우저가 실행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웹 브라우저는 월드 와이드 웹을 기반으로 한 인터넷의 컨텐츠를 검색 및 열람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의 총칭을 의미한다. 사용자는 웹 브라우저에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등의 설치 없이도, 온라인 플랫폼(2100) 및/또는 가상 플랫폼(2200)에서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미도시)는 모바일 브라우저가 실행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 폰에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온라인 플랫폼(2100) 및/또는 가상 플랫폼(2200)에서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미도시)는 가상 현실 기술이 실현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는 VR(Virtual Reality) 기기를 통하여 가상 플랫폼(2200)에 접근함으로써, 가상 플랫폼(2200)에 전시된 디지털 자산을 보다 직관적인 인터페이스(interface)로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 장치(미도시)와 서비스 관리 시스템(2400)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간에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미도시)는 사용자로부터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된 정보를 서비스 관리 시스템(240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미도시)는 서비스 관리 시스템(2400)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사용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미도시)에 출력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블록체인 네트워크(2300)는 도 1에 도시된 블록체인 네트워크(1200)에 적용되는 블록체인 기술과 동일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관리 시스템(2400)은 통신부(2410), 프로세서(2420) 및 메모리(24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410)는 서비스 관리 시스템(2400)이 온라인 플랫폼(2100), 가상 플랫폼(2200), 블록체인 네트워크(2300) 및/또는 사용자 장치(미도시)와 통신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서비스 관리 시스템(2400)이 다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다른 시스템(예를 들면, 별도의 클라우드 시스템 등)과 통신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관리 시스템(2400)의 프로세서(2420)가 메모리(2430) 등과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 또는 데이터(예를 들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생성되는 메타 데이터, 블록체인 네트워크(2300)에서 이루어지는 트랜잭션에 관한 데이터 등)은 통신부(241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장치(미도시)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사용자 장치(미도시)에 포함된 프로세서(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이 사용자 장치(미도시)에 포함된 통신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서비스 관리 시스템(2400)의 통신부(2410)를 통해 서비스 관리 시스템(2400)에 수신될 수 있다.
프로세서(2420)는 서비스 관리 시스템(2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제어부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2420)는 서비스 관리 시스템(24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서비스 관리 시스템(2400)의 내부 구성 요소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420)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거나 기 설정되어 저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메모리(2430)에 저장된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420)는 서비스 관리 시스템(2400)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서비스 관리 시스템(24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서비스 관리 시스템(24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420)는, 메모리(24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서비스 관리 시스템(2400)의 다양한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42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디지털 자산의 거래 내역을 수신하고, 수신한 거래 내역을 온라인 플랫폼 및 가상 플랫폼에 송신함으로써, 온라인 플랫폼 및 가상 플랫폼에서 동일한 컨트렉트(contract)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420)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블록체인 네트워크(2300)의 지갑 주소를 수신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2300)로부터 지갑이 보유한 디지털 자산을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디지털 자산을 사용자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메타버스 공간에 전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420)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전시된 상기 디지털 자산의 거래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블록체인 네트워크(2300)에서 상기 거래 요청에 대응하는 NFT 자산에 관한 트랜잭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420)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디지털 파일에 대한 민팅 요청을 수신하고, 사용자 장치에 디지털 파일의 업로드 요청을 송신하고, 사용자 장치로부터 디지털 파일의 업로드를 받고, 업로드 받은 디지털 파일에 관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메타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함으로써, 상기 디지털 파일과 연계된 디지털 자산을 블록체인 네트워크(2300) 상에 NFT 자산화(민팅(Minting))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420)는 인공지능 모델의 처리에 특화된 소프트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기계 학습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학습 알고리즘은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형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형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인공지능 모델은 복수의 인공 신경망 레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심층 신경망(DNN(deep neural network), CNN(convolutional neut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RBM(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심층 Q-네트워크(deep Q-networks)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420)는 메모리(2430)를 통해 디지털 파일에 관한 메타 데이터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2300)에 관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디지털 파일에 대한 민팅이 이루어질 블록체인 네트워크(2300)를 결정할 수 있다.
메모리(2430)는 프로세서(242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430)는 사용자 장치(미도시)로 입력되거나 사용자 장치(미도시)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24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ROM, SSD,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는 메모리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서비스 관리 시스템(240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430)에는 프로세서(2420)에 의해서 실행 가능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관리 시스템(240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 제공 등을 위한 인스트럭션이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243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2300)에서 NFT 자산의 트랜잭션을 기록하고, 가상 플랫폼(2200)에서 이루어지는 디지털 자산의 거래 요청에 대응하여 생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2300)에서 NFT 자산의 트랜잭션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2430)는 사용자가 업로드(upload)한 디지털 파일에 관해 생성된 메타 데이터를 기록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2300)에 등록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온라인 플랫폼(2100)은 NFT 발행부(2110), NFT 마켓 플레이스(2130) 및 NFT 홀더 전용 커뮤니티(2150)를 포함할 수 있다.
온라인 플랫폼(2100)의 NFT 발행부(2110)에서 사용자는 디지털 파일을 디지털 자산으로 민팅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구체적인 서비스에 대한 설명은 도 4에서 후술한다.
온라인 플랫폼(2100)의 NFT 마켓 플레이스(2130)에서 사용자는 디지털 자산을 거래할 수 있거나, 디지털 자산의 가격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온라인 플랫폼(2100)의 NFT 홀더 전용 커뮤니티(2150)에서 특정 디지털 자산을 보유한 사용자만이 접근 권한을 허여 받을 수 있다. 구체적인 서비스에 대한 설명은 도 7 내지 도 8에서 후술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상 플랫폼(2200)은 개인 공간(2210) 및 NFT 홀더 전용 공간(223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상 플랫폼(2200)의 개인 공간(2210)에서 사용자는 디지털 자산을 전시할 수 있거나, 전시된 디지털 자산을 거래할 수 있다. 구체적인 서비스에 대한 설명은 도 9에서 후술한다.
가상 플랫폼(2200)의 NFT 홀더 전용 공간(2230)에서 특정 디지털 자산을 보유한 사용자만이 접근 권한을 허여 받을 수 있다. 구체적인 서비스에 대한 설명은 도 10 내지 도 11에서 후술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30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3000)은, 서비스 제공 시스템(예를 들어, 도 2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0))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도 2의 프로세서(2420))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사용자 장치로 디지털 자산의 발행 또는 매수하는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개시될 수 있다(S3100).
사용자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디지털 자산을 발행하거나 매수함으로써, 사용자는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을 획득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프로세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예를 들어, 도 2의 블록체인 네트워크(2300))로부터 디지털 자산의 거래 내역을 수신하고, 수신한 거래 내역을 온라인 플랫폼 및 가상 플랫폼에 송신함으로써, 온라인 플랫폼 및 가상 플랫폼에서 동일한 컨트렉트(contract)를 생성할 수 있다(S3300).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프로세서가 블록체인 네트워크(2300) 상에서 이루어지는 디지털 자산의 거래 현황 및 보유 현황을 수집하여 온라인 플랫폼과 가상 플랫폼에서 동일하게 공유할 수 있다. 이로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프로세서는 온라인 플랫폼과 가상 플랫폼을 연동할 수 있고, 디지털 자산의 거래가 온라인 플랫폼, 가상 플랫폼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2300) 상 어느 곳에서 이루어지더라도 동일한 컨트렉트(contract)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플랫폼 중심이 아닌 디지털 자산을 중심으로 하여 하나 이상의 플랫폼에서 거래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프로세서는 가상 플랫폼을 통하여 사용자 장치로 디지털 자산의 전시 또는 매도하는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3500).
사용자가 온라인 플랫폼에서 디지털 자산을 발행하거나 매수하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을 획득하게 되더라도, 동일한 컨트렉트가 생성되는 가상 플랫폼에서 상기 소유권을 획득한 디지털 자산을 전시하거나 매도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역으로, 사용자가 가상 플랫폼에서 디지털 자산을 매수하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을 획득하게 되더라도, 동일한 컨트렉트가 생성되는 온라인 플랫폼에서 상기 소유권을 획득한 디지털 자산을 매도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4000)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4000)은 사용자에게 온라인 플랫폼(2100)의 NFT 발행부(2110)에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방법(4000)은 사용자 장치로부터 온라인 플랫폼(예를 들어, 도 2의 온라인 플랫폼(2100))을 통하여 디지털 파일에 대한 민팅 요청을 수신함으로써 개시될 수 있다(S4100).
본 개시에서 디지털 파일에 대한 민팅을 요청하는 것은 디지털 파일에 대체가 불가능한 고유의 자산 정보를 부여하는 행위를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즉, 디지털 파일에 대한 민팅을 요청하는 것은 디지털 자산인 NFT 자산을 생성하는 동작을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NFT 자산은 대체 불가능한 토큰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예를 들어, 도 2의 블록체인 네트워크(2300))에 기반하는 토큰일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디지털 파일에 대한 민팅을 요청하는 것은 특정 디지털 파일을 그에 대한 소유권을 확인 받을 수 있는 형태로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생성하는 것을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는 디지털 파일에 대한 민팅을 요청함으로써, 서비스 제공 방법을 통하여 디지털 파일을 디지털 자산으로 발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예를 들어, 도 2의 서비스 관리 시스템(2400)의 프로세서(2420))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사용자 장치에 디지털 파일의 업로드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S4300). 프로세서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사용자 장치로부터 디지털 파일의 업로드를 받을 수 있다(S4500). 메모리(예를 들어, 도 2의 메모리(2430))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디지털 파일을 기록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업로드 받은 디지털 파일에 관한 메타 데이터(meta data)를 생성할 수 있다(S4700). 메타 데이터는 업로드 받은 디지털 파일의 2D 이미지 파일, 3D 모델링 파일, 소유자 정보 및 설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가 업로드한 메타 데이터이거나, 상기 사용자의 생성 요청에 따라 프로세서가 생성한 메타 데이터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생성된 메타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할 수 있다(S4900).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메타 데이터를 기초하여, 디지털 파일에 대한 디지털 자산을 발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디지털 파일을 업로드하는 간단한 동작을 통해, 디지털 파일을 디지털 자산으로 민팅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5000)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5000)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입력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예를 들어, 도 2의 블록체인 네트워크(2300))의 지갑 주소를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함으로써 개시될 수 있다(S5100). 수신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지갑 주소는 메모리(예를 들어, 도 2의 메모리(2430))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예를 들어, 도 2의 프로세서(242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지갑이 보유한 디지털 자산을 수집할 수 있다(S5300).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지갑이 보유한 디지털 자산이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상기 지갑이 보유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NFT 자산으로, 가상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메타버스 공간의 디지털 자산에 대응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가상 플랫폼을 통하여 수집한 상기 디지털 자산을 메타버스 공간에 전시할 수 있다(S5500). 프로세서는 메타버스 공간에서 디지털 자산이 직관적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전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는 3차원 가상 공간인 메타버스 공간에서 상기 디지털 자산이 2차원 또는 3차원 형상으로 보이도록 전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를 통하여 메타버스 공간에 접근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를 통해서 출력되는 정보로부터 시각, 청각 등을 이용하여 디지털 자산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메타버스 공간은 예술작품을 전시할 수 있는 전시관 같은 형태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메타버스 공간은 금, 보석 등을 전시할 수 있는 금고와 같은 형태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메타버스 공간은 전시관 내부에 금고를 포함하는 것과 같은 형태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프로세서는 가상 플랫폼을 통하여 전시된 디지털 자산을 메타버스 공간 내에서 거래할 수 있다(S5700). 프로세서는, 메타버스 공간에 전시된 디지털 자산에 대한 거래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수신한 거래 요청에 대응하는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발생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지갑 주소를 온라인 플랫폼에서 입력하여도, 온라인 플랫폼, 가상 플랫폼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동일한 컨트렉트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지갑이 보유한 디지털 자산을 가상 플랫폼에서 전시 또는 거래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가 제공되는 화면(60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온라인 플랫폼(2100)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가 제공되는 화면(6000)은, Community 탭(6110), Information 탭(6130), Gallery 탭(6150), Funding 탭(6170) 및 Market Place 탭(6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온라인 플랫폼(2100)의 Community 탭(6110)은 구체적으로 NFT 홀더 전용 커뮤니티(215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일 수 있다. 특정 디지털 자산을 소유한 사용자만 온라인 플랫폼(2100)의 Community 탭(6110)에 대한 접근을 허여 받을 수 있다. 구체적인 서비스에 대한 설명은 도 7 내지 도 8에서 후술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온라인 플랫폼(2100)의 Information 탭(6130)에서,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디지털 자산(6200)의 금액 정보, 디지털 자산(6200)의 속성에 따라 필터링(filtering) 정보 또는 디지털 자산(6200)의 희소성을 알 수 있는 레어리티(rarity)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온라인 플랫폼(2100)의 Information 탭(6130)에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정보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는 디지털 자산(6200)의 거래에 관련된 모든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온라인 플랫폼(2100)의 Information 탭(6130)에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거래 활동의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 및/또는 그래프를 확인할 수 있다.
온라인 플랫폼(2100)의 Gallery 탭(6150)은 구체적으로 NFT 홀더 전용 커뮤니티(215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일 수 있다. 특정 디지털 자산을 소유한 사용자로 온라인 플랫폼(2100)의 Gallery 탭(6150)에 대한 접근을 허여 받은 사용자는, 특정 커뮤니티와 관련된 다양한 컨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고, 업로드 된 컨텐츠에 관해 상호 간에 소통할 수 있다.
온라인 플랫폼(2100)의 Funding 탭(6170)에서, 사용자는 디지털 자산에 대하여 펀딩(funding)을 할 수 있다. 온라인 플랫폼(2100)의 Funding 탭(6170)에서, 사용자는 사용자가 보유한 디지털 자산 또는 특정 디지털 자산과 관련하여 제작한 굿즈(goods) 등에 대하여 목표 금액 달성을 요하는 펀딩을 할 수 있다.
온라인 플랫폼(2100)의 Market Place 탭(6190)에서, 사용자는 디지털 자산을 거래(trading)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특정 커뮤니티에 접근 가능하게 하는 특정 디지털 자산을 거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사용자는 디지털 자산과 관련되는 모든 종류의 물품을 거래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보유한 디지털 자산 또는 특정 디지털 자산과 관련하여 제작한 굿즈도 거래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온라인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가 제공되는 화면(6000)에는 바로 가기 버튼(6100)이 존재할 수 있다. 바로 가기 버튼(6100)에는 'To Metaverse'라고 기재되어 있다. 바로 가기 버튼(6100)을 통해서 사용자는 온라인 플랫폼(2100)에서 이와 연계되는 가상 플랫폼(2200)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가 제공 방법(7000)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7000)은, 온라인 플랫폼(2100)을 통하여 사용자 장치로부터 특정 NFT 홀더 전용 커뮤니티(2150)에 대한 접근 요청을 수신함으로써 개시될 수 있다(S7200).
본 개시에서 사용자가 디지털 자산을 보유한다는 것은 사용자가 블록체인 네트워크(예를 들어, 도 2의 블록체인 네트워크(2300))상에서 거래를 통해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을 획득하거나, 사용자가 온라인 플랫폼(2100)의 NFT 발행부(2110)에서 디지털 파일을 디지털 자산으로 발행함으로써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을 획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서비스 관리 시스템(예를 들어, 도 2의 서비스 관리 시스템(2400))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도 2의 프로세서(2420))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ID(Decentralized Identity)에 기초한 본인 인증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개시될 수 있다(S7400). 분산ID는 블록체인 기술 기반으로 구축된 전자신분증으로, 이를 통해 개인의 신원 정보를 분산시켜 관리하는 탈중앙화 신원 증명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프로세서는 수신한 본인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디지털 자산을 보유하는 사용자인지 판단할 수 있다(S7600).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특정 디지털 자산을 보유하는 사용자만이 온라인 플랫폼(2100)의 NFT 홀더 전용 커뮤니티(2150)에 접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디지털 자산은 PFP(Profile Picture) NFT 자산일 수 있다. 다양한 모습의 PFP NFT 자산은 제한된 개수만큼 발행될 수 있고, 발행된 상기 PFP NFT 자산을 보유한 제한된 인원 수의 사용자만이 상기 PFP NFT 홀더 전용 커뮤니티에 대한 권한을 허여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수신한 본인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디지털 자산을 보유하는 사용자라고 판단되는 경우,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프로세서는 온라인 플랫폼(2100)을 통하여 사용자 장치로 접근 허용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S7800).
수신한 본인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디지털 자산을 보유하는 사용자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는 온라인 플랫폼(2100)의 NFT 홀더 전용 커뮤니티(2150)에 접근할 수 없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가 제공되는 화면(80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온라인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가 제공되는 화면(8000)은 온라인 플랫폼의 Community 탭(예를 들면, 도 6의 Community 탭(611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NFT 홀더 전용 커뮤니티(예를 들면, 도 2의 NFT 홀더 전용 커뮤니티(215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일 수 있다. 제한된 개수로 발행된 특정 PFP NFT 자산을 보유한 제한된 인원 수의 사용자만이 특정 NFT 홀더 전용 커뮤니티에 대한 권한을 허여 받을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특정 PFP NFT 자산을 보유한 사용자만이 특정 NFT 홀더 전용 커뮤니티에 가입할 수 있다. 특정 NFT 홀더 전용 커뮤니티에서 특정 PFP NFT 자산을 보유한 사용자들은 상호 간 소통할 수 있다. 소통은 이미지, 게시글 또는 댓글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특정 NFT 홀더 전용 커뮤니티에서 특정 PFP NFT 자산을 보유한 사용자들만이 참여할 수 있는 거버넌스(governance) 투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가 제공되는 화면(90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가상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가 제공되는 화면(9000)은 구체적으로 가상 플랫폼의 개인 공간(예를 들면, 도 2의 개인 공간(221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가 제공되는 가상 플랫폼의 개인 공간은, 디지털 자산(9200)이 전시된 3차원의 전시관을 표현한 메타버스 공간일 수 있다. 디지털 자산(9200)이 전시관인 메타버스 공간에 전시된다는 것은, 디지털 자산(9200)을 사용자가 시각, 청각 등을 이용하여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전시관인 메타버스 공간에 2차원 또는 3차원 형상으로 표현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플랫폼의 개인 공간인 메타버스 전시관은 하나 이상의 벽면(9100)을 갖는 룸(room) 형태의 공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질 수 있다. 벽면(9100)은 임의의 면적 및 임의의 색상을 가지는 평면일 수 있다. 전시하고자 하는 디지털 자산(9200)의 개수가 늘어날수록, 룸 형태의 공간 및/또는 벽면(9100)의 개수가 자동적으로 늘어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디지털 자산(9200)은 메타버스 전시관의 벽면(9100)에 전시될 수 있다. 이 때, 디지털 자산(9200)은 액자 또는 판넬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디지털 자산(9200)은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벽면(9100)의 일 영역에 임의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사용자는 각자의 사용자 장치를 통하여 동일한 가상 플랫폼의 개인 공간인 메타버스 전시관에 접근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상기 가상 플랫폼의 개인 공간인 메타버스 전시관에 전시된 디지털 자산(9200)의 소유자일 수도 있고, 또는 소유자가 아닌 방문자일 수도 있다.
개인 공간 내에서 사용자들은 사람의 형상을 가지는 아바타(avatar, 9300)로 표현될 수 있다. 메타버스 공간인 개인 공간 내에서 아바타(9300)는 상기 개인 공간의 사용자들을 나타내는 그래픽 아이콘일 수 있다.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동일한 가상 플랫폼의 개인 공간에 접근할 수 있고, 서로 구분하여 나타내는 다수의 아바타(9300)가 동시에 동일한 개인 공간인 메타버스 공간 내의 전시관을 관람하는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가상 플랫폼의 개인 공간에서 전시된 디지털 자산(9200)에 관한 사용자 간의 거래, 후원 또는 경매 등의 상호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서비스 관리 시스템은 발생한 상호작용에 대응하는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발생시킬 수 있다.
가상 플랫폼의 개인 공간인 메타버스 전시관 내에서 아바타(9300)가 가상 플랫폼의 개인 공간인 메타버스 전시관에 전시된 전시품을 거래하는 직관적인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는 편리하게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디지털 자산을 거래할 수 있다.
다만,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가 제공되는 가상 플랫폼의 개인 공간의 형태는 상술한 바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가 제공되는 가상 플랫폼의 개인 공간에서, 사용자는 연동시킨 자신의 SNS 채널(예를 들어, 트위터, 인스타그램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가 제공되는 가상 플랫폼의 개인 공간에서, 사용자는 연동시킨 자신의 영상 채널(예를 들어, 트위치, 유투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가 제공되는 가상 플랫폼의 개인 공간에서, 사용자는 음성 또는 영상 통화를 할 수 있다.
도 10은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10000)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10000)은, 가상 플랫폼(2200)을 통하여 사용자 장치로부터 특정 NFT 홀더 전용 공간(2230)에 대한 접근 요청을 수신함으로써 개시될 수 있다(S10200).
본 개시에서 사용자가 디지털 자산을 보유한다는 것은 사용자가 블록체인 네트워크(예를 들어, 도 2의 블록체인 네트워크(2300))상에서 거래를 통해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을 획득하거나, 사용자가 가상 플랫폼(2200)의 NFT 발행부(2110)에서 디지털 파일을 디지털 자산으로 발행함으로써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을 획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서비스 관리 시스템(예를 들어, 도 2의 서비스 관리 시스템(2400))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도 2의 프로세서(2420))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ID(Decentralized Identity)에 기초한 본인 인증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개시될 수 있다(S10400). 분산ID는 블록체인 기술 기반으로 구축된 전자신분증으로, 이를 통해 개인의 신원 정보를 분산시켜 관리하는 탈중앙화 신원 증명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프로세서는 수신한 본인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디지털 자산을 보유하는 사용자인지 판단할 수 있다(S10600).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특정 디지털 자산을 보유하는 사용자만이 가상 플랫폼(2200)의 NFT 홀더 전용 공간(2230)에 접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디지털 자산은 PFP(Profile Picture) NFT 자산일 수 있다. 다양한 모습의 PFP NFT 자산은 제한된 개수만큼 발행될 수 있고, 발행된 상기 PFP NFT 자산을 보유한 제한된 인원 수의 사용자만이 상기 PFP NFT 홀더 전용 공간에 대한 권한을 허여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수신한 본인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디지털 자산을 보유하는 사용자라고 판단되는 경우,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프로세서는 가상 플랫폼(2200)을 통하여 사용자 장치로 접근 허용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S10800).
수신한 본인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디지털 자산을 보유하는 사용자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는 가상 플랫폼(2200)의 NFT 홀더 전용 공간(2230)에 접근할 수 없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가 제공되는 화면(110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가상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가 제공되는 화면(11000)은 구체적으로 가상 플랫폼(2200)의 NFT 홀더 전용 공간(223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일 수 있다. 제한된 개수로 발행된 특정 PFP NFT 자산을 보유한 제한된 인원 수의 사용자만이 특정 NFT 홀더 전용 공간(2230)에 대한 권한을 허여 받을 수 있다. 특정 PFP NFT 자산을 보유한 사용자만이 특정 NFT 홀더 전용 공간(2230)에 가입할 수 있다. 특정 NFT 홀더 전용 공간(2230)에서 특정 PFP NFT 자산을 보유한 사용자들은 상호 간 소통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가 제공되는 가상 플랫폼의 NFT 홀더 전용 공간은, 3차원의 토너먼트 경기장을 표현한 메타버스 공간일 수 있다.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사용자는 각자의 사용자 장치를 통하여 동일한 가상 플랫폼(2200)의 NFT 홀더 전용 공간(2230)인 메타버스 경기장에 접근할 수 있다. 방문자는 가상 플랫폼(2200)의 NFT 홀더 전용 공간(2230)인 메타버스 경기장에서 경기를 관람하는 아바타(미도시)로 표현될 수 있다. 다수의 방문자가 동시에 동일한 가상 플랫폼(2200)의 NFT 홀더 전용 공간(2230)에 접근할 수 있고, 서로 구분되는 다수의 아바타(미도시)가 동시에 동일한 메타버스 경기장에서 경기를 관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플랫폼(2200)의 NFT 홀더 전용 공간(2230)인 메타버스 경기장에는 온라인 게임 경기가 상영되는 대형 스크린이 설치될 수 있고, 다수의 아바타가 상기 메타버스 경기장에서 상영되는 온라인 게임 경기를 동시에 관람할 수 있다.
다만,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가 제공되는 가상 플랫폼(2200)의 NFT 홀더 전용 공간(2230)의 형태는 상술한 바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가 제공되는 가상 플랫폼(2200)의 NFT 홀더 전용 공간(2230)은, 3차원의 오락실을 표현한 메타버스 공간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보호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디지털 자산을 발행 또는 거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플랫폼;
    상기 디지털 자산을 전시 또는 거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 플랫폼; 및
    상기 온라인 플랫폼과 상기 가상 플랫폼을 연동하는 서비스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관리 시스템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디지털 자산의 거래 내역을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거래 내역을 상기 온라인 플랫폼 및 상기 가상 플랫폼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온라인 플랫폼 및 상기 가상 플랫폼에서 동일한 컨트렉트(contract)를 생성하는,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 시스템은, 상기 온라인 플랫폼, 상기 가상 플랫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치와 송수신하는 통신부;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플랫폼은, 상기 디지털 자산을 발행하는 NFT 발행부;
    상기 디지털 자산을 거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NFT 마켓플레이스; 및
    특정 디지털 자산을 보유하는 사용자에게만 접근을 허용하는 NFT 홀더 전용 커뮤니티;를 포함하는,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플랫폼은,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소유하는 개인 공간; 및
    특정 디지털 자산을 보유하는 사용자에게만 접근을 허용하는 NFT 홀더 전용 공간;을 포함하는,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사용자 장치로 디지털 자산의 발행 또는 매수하는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디지털 자산의 거래 내역을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거래 내역을 상기 온라인 플랫폼 및 가상 플랫폼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온라인 플랫폼 및 상기 가상 플랫폼에서 동일한 컨트렉트(contract)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플랫폼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로 상기 디지털 자산의 전시 또는 매도하는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사용자 장치로 디지털 자산의 발행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디지털 파일에 대한 민팅(minting)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에 상기 디지털 파일의 업로드(upload)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디지털 파일의 업로드를 받는 단계;
    업로드 받은 상기 디지털 파일에 관한 메타 데이터(meta data)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메타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메타 데이터는 업로드 받은 상기 디지털 파일의 2D 이미지 파일, 3D 모델링 파일, 소유자 정보 및 설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플랫폼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로 상기 디지털 자산의 전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입력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주소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지갑이 보유한 디지털 자산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가상 플랫폼을 통하여 수집한 상기 디지털 자산을 메타버스 공간에 전시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플랫폼을 통하여 전시한 상기 디지털 자산을 상기 메타버스 공간 내에서 거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플랫폼은, 상기 디지털 자산을 발행하는 NFT 발행부, 상기 디지털 자산을 거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NFT 마켓플레이스 및 특정 디지털 자산을 보유하는 사용자에게만 접근을 허용하는 NFT 홀더 전용 커뮤니티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플랫폼은,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소유하는 개인 공간 및 상기 특정 디지털 자산을 보유하는 사용자에게만 접근을 허용하는 NFT 홀더 전용 공간을 포함하는,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특정 NFT 홀더 전용 커뮤니티에 대한 접근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ID(Decentralized Identity)에 기초한 본인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본인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디지털 자산을 보유하는 사용자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특정 디지털 자산을 보유하는 사용자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접근을 허용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플랫폼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특정 NFT 홀더 전용 공간에 대한 접근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ID(Decentralized Identity)에 기초한 본인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본인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디지털 자산을 보유하는 사용자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특정 디지털 자산을 보유하는 사용자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가상 플랫폼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접근을 허용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디지털 자산은 소유하는 사용자의 수가 제한된 PFP(Profile Picture) NFT 자산인, 디지털 자산 중심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30031957A 2022-10-20 2023-03-10 디지털 자산을 중심으로 온라인 플랫폼과 가상 플랫폼을 연계하는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556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35850 2022-10-20
KR1020220135850 2022-10-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5615A true KR20240055615A (ko) 2024-04-29

Family

ID=9088353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1955A KR20240055613A (ko) 2022-10-20 2023-03-10 디지털 파일을 디지털 자산으로 민팅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0230031956A KR20240055614A (ko) 2022-10-20 2023-03-10 메타버스 공간에서 디지털 자산의 전시 및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0230031957A KR20240055615A (ko) 2022-10-20 2023-03-10 디지털 자산을 중심으로 온라인 플랫폼과 가상 플랫폼을 연계하는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1955A KR20240055613A (ko) 2022-10-20 2023-03-10 디지털 파일을 디지털 자산으로 민팅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0230031956A KR20240055614A (ko) 2022-10-20 2023-03-10 메타버스 공간에서 디지털 자산의 전시 및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24005561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834B1 (ko) 2022-04-14 2022-08-22 (주)엠나인파이브 Nft 스마트 계약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13182A1 (en) 2016-02-23 2017-08-31 nChain Holdings Limited Universal tokenisation system for blockchain-based cryptocurrencies
KR102463019B1 (ko) 2021-04-23 2022-11-07 이상열 현실과 가상이 융합된 융합공간에 경제 운용 체계를 제공하는 메타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834B1 (ko) 2022-04-14 2022-08-22 (주)엠나인파이브 Nft 스마트 계약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5613A (ko) 2024-04-29
KR20240055614A (ko) 202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5017B2 (en) Architectures, systems and methods for program defined transaction system and decentralized cryptocurrency system
US11367060B1 (en) Collaborative video non-fungible tokens and uses thereof
JP2023515632A (ja) ブランドのデジタル・アイテムを管理する装置及び方法
US20160180598A1 (en) Three-Dimensional Virtual Environment
US11521200B1 (en) Creating and managing artificially intelligent entities represented by non-fungible tokens on a blockchain
KR20200062640A (ko) 블록체인 기반 미술작품 거래정보 관리 방법 및 블록체인의 노드 장치
US11487850B1 (en) Activation architecture for processing digital assets and related physical products
US20230110817A1 (en) Activation architecture for processing digital assets and related physical products
Pu et al. Market quality approach to IoT Data on blockchain big data
US2023028981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Decentralized Support Services in a Virtual Environment
KR102470154B1 (ko) 블록체인 기반 의료기기 거래 및 공유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40055615A (ko) 디지털 자산을 중심으로 온라인 플랫폼과 가상 플랫폼을 연계하는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Gupta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for blockchain I
KR20230081559A (ko) 게놈 데이터를 활용한 nft 기반의 익명 채팅 데이트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Kumar Hegde et al. Blockchain for the Metaverse: State‐of‐the‐Art and Applications
Cheng Applications of Web 3.0
KR102566831B1 (ko) 게임 환경 내 nft 및 아이템의 교환 및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230419303A1 (en) Video data transmission method, video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video data transmission program
KR102443594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게임 아이템 추적 장치 및 추적 방법
Ferreira et al. Supporting Technologies and the Impact of Blockchain on Organizations and Society
Panda Revolution of the Metaverse and Blockchain Technology
US20230319373A1 (en) Non-Fungible Token Minting in a Metaverse Environment
KR101987270B1 (ko) 공유경제 서비스에 특화된 현실기반 3d 가상공간 제공시스템
Sutopo Blockchain Programming Smart Contract on Polygon
KR20230157862A (ko) 대체 불가능 토큰 콘텐츠를 이용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