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358B1 - 수요자 니즈 기반 3차원 디지털 공간 및 콘텐츠에 대한 라이프사이클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요자 니즈 기반 3차원 디지털 공간 및 콘텐츠에 대한 라이프사이클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358B1
KR102369358B1 KR1020210105567A KR20210105567A KR102369358B1 KR 102369358 B1 KR102369358 B1 KR 102369358B1 KR 1020210105567 A KR1020210105567 A KR 1020210105567A KR 20210105567 A KR20210105567 A KR 20210105567A KR 102369358 B1 KR102369358 B1 KR 102369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pace
server
consum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5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인정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모카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모카홀딩스 filed Critical 유한회사 모카홀딩스
Priority to KR1020210105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3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2Geometric CAD characterised by design ent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AD, e.g.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rchitectur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3차원 공간에 대한 라이프사이클 관리 방법은, 수요자 단말로부터 대상 공간에 대한 니즈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수요자 단말의 니즈 데이터 분석을 통해 유형화하여 그룹화함으로써 정형화하고, 상기 정형화된 데이터를 시각화 처리하여 물리 엔진을 통해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3차원 공간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3차원 공간 모델에 대한 데이터를 공급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요자 니즈 기반 3차원 디지털 공간 및 콘텐츠에 대한 라이프사이클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MANAGING LIFECYCLE OF 3 DIMENSIONAL DIGITAL SPACE AND CONTENTS BASED ON CUSTOMER NEEDS}
본 발명은 디지털화된(또는 전산화 된) 3차원 공간 및 공간 상의 컨텐츠에 대한 구축, 관리, 운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요자의 니즈에 기초하여 가상의 3차원 공간 및 공간상의 콘텐츠(주거, 문화 요소 등)에 대한 라이프사이클을 통합 관리 또는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거 문제를 포함한 부동산과 관련하여 수요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올바른 부동산 문화의 정착 필요성이 계속하여 제기되고 있다.
다만 종래 부동산 시장은 정보 공개가 제한적이고 공급자 중심으로 대부분의 프로세스가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이익도 공급자에 한정되어 수요자의 불만이 있으며, 주거 환경 개선 등 수요자의 니즈 등이 공급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이 없어 문제가 있었다.
디지털 뉴딜 정책을 시작으로 정부 및 공공기관에서 공공데이터를 개방하여 부동산 데이터 공개 작업을 국가 주도로 진행하고 있다. 더불어 고도화된 정보 처리 기술의 발전으로 대량의 데이터로부터 주거 문제 및 부동산 시장에서 수요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정보의 생산이 증가하고 있다.
관련하여, 최근 들어 프롭테크 기술 발전에 따라 부동산 시장을 개선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수요자의 요구 사항을 초기 단계에서부터 고려한 시스템과 방법론이 부재한 상태이다. 또한 건설 시장에서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인 친환경 건축, 제로 에너지 빌딩, 고성능 에너지 효율 건물과 같은 지속 가능성 모델을 지원하는 시스템 또는 방법론 역시 부재한 상태이다.
따라서, 지형 및 공공 데이터에서부터 건물(또는 공간) 정보와 설계, 시공, 운영 및 유지 관리, 그리고 이러한 공간을 구성하는 컨텐츠 및 거래 방식, 실사용자와의 연결 등에 대한 통합 처리를 위한 일원화된 디지털 플랫폼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과제는 공공 데이터 및 공간 정보를 바탕으로 수요자의 니즈를 반영하여 3차원 공간의 설계, 시공, 운영 및 유지 관리 그리고 그 컨텐츠에 대하여 라이프사이클에 대한 통합 처리 서비스를 위한 디지털 플랫폼을 정의하고 구축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3차원 공간에 대한 라이프사이클 관리 방법은, 수요자 단말로부터 대상 공간에 대한 니즈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수요자 단말의 니즈 데이터 분석을 통해 유형화하여 그룹화함으로써 이를 정형화하고, 상기 정형화된 데이터를 시각화 처리하기 위하여 물리 엔진을 통해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3차원 공간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3차원 공간 모델에 대한 데이터를 공급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3차원 공간에 대한 라이프사이클 관리 방법에 따르면, 상기 수요 데이터는, 앞서 언급한 대상 공간을 주거 공간으로 선정하기 위한 결정 인자로서 상기 수요자의 선호도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선호도와 관련된 데이터는, 주거에 대한 사회적 선택 이론을 기반으로 설문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주거 공간에 대한 핵심 카테고리를 확정하고 주거 입지 조건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3차원 공간에 대한 라이프사이클 관리 방법에 따르면, 상기 수요자 단말 또는 공급자 단말로부터 대상 공간의 설계에 관한 CAD 데이터 형상 및 레이어 정보와 기타 속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CAD 데이터 형상 및 레이어 정보는 3차원 형상 폴리곤으로 변환하고, CAD 레이어와 속성 정보는 건물정보모델링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3차원 공간에 대한 라이프사이클 관리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공된 3차원 공간 모델 데이터에 대응되는 설계 및 시공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설계 및 시공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한 시뮬레이션 데이터에 기초한 결과물 데이터를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부동산에 대한 시공 과정, 입주 후 거주 환경 및 건물 수명 주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3차원 공간에 대한 라이프사이클 관리 방법에 따르면, 상기 수요자 단말에 인테리어 디자인 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수요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공된 디자인 툴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인테리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대상 공간에 대한 인테리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라이브러리를 생성하고, 생성한 라이브러리에 상기 수신한 인테리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공간에 상기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인테리어 데이터가 적용된 3차원 가상화 공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인테리어가 포함된 3차원 가상화 공간 데이터는 전시 및 배포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테리어는 거래 품목으로 설정하여 거래 대상으로 선정하고 대체 불가 코인을 이용하여 거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간에 대한 라이프사이클 관리 장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수요자 단말로부터 대상 공간에 대한 니즈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수요자 단말의 니즈 데이터 분석을 통해 유형화하여 그룹화함으로써 정형화하고, 상기 정형화된 데이터를 시각화 처리하여 물리 엔진을 통해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3차원 공간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3차원 공간 모델에 대한 데이터를 공급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간에 대한 라이프사이클 관리 장치에 따르면, 상기 니즈 데이터는, 상기 대상 공간을 주거 공간으로 선정하기 위한 결정 인자로서 상기 수요자의 선호도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선호도와 관련된 데이터는, 주거에 대한 사회적 선택 이론 개념 등을 기반으로 설문 분석 기법, 사회적관계망 분석 기법 등을 활용하여 주거 공간에 대한 핵심 카테고리를 확정하고 주거 입지 조건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간에 대한 라이프사이클 관리 장치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요자 단말 또는 공급자 단말로부터 상기 대상 공간의 설계에 관한 CAD 데이터 형상 및 레이어와 속성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CAD 데이터 형상 정보를 3차원 형상 폴리곤으로 변환하고, CAD 레이어와 속성 정보는 건물정보모델링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간에 대한 라이프사이클 관리 장치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공된 3차원 공간 모델 데이터에 대응되는 설계 및 시공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설계 및 시공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한 시뮬레이션 데이터에 기초한 결과물 데이터를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대상 부동산에 대한 시공 과정, 입주 후 거주 환경, 및 건물 수명 주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간에 대한 라이프사이클 관리 장치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요자 단말에 인테리어 디자인 툴을 제공하여, 상기 수요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공된 디자인 툴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인테리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대상 공간에 대한 인테리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라이브러리를 생성하고, 생성한 라이브러리에 상기 수신한 인테리어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대상 공간에 상기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인테리어 데이터가 적용된 3차원 가상화 공간 데이터를 생성하되, 상기 인테리어가 포함된 3차원 가상화 공간 데이터는 전시 및 배포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테리어는 거래 품목으로 설정하여 거래 대상으로 선정하고 대체 불가 코인을 이용하여 거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에 기재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첫째, 추상적인 수요자의 니즈 데이터를 정형화하고 시각화함으로써, 대상 공간에 대한 의사 결정 편의와 공간 활용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 교환 등 확장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데이터의 정형화와 시각화를 통해 부동산 매물 등 검색 편의 및 최적 검색 결과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으며, 검색 결과와 실재 매물의 차이에 따른 불편과 문제 발생을 최소화하여 서비스 만족도를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초기 수요자 요구에 의한 설계 정보에서부터 실제 상세 설계 및 시공, 시공 후 운영 정보에 대해서 하나의 일관된 정보를 유지할 수 있어 효율적인 관리 및 유지보수, 생애주기 동안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현실 조건을 반영한 가상화된 공간을 구축하여 사용자간 소통이 가능하며, 주거 및 전시 공간을 구축하여 콘텐츠의 활용 및 거래를 유도하여 사용자 니즈 기반 거래 네트워킹을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수요자 니즈 기반 3차원 공간에 대한 라이프사이클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서버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프로세서의 상세 구성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수요자 니즈 기반 3차원 공간에 대한 라이프사이클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사용자 역할에 따른 권한 설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히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몇몇의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일(a 또는 an)", "하나(on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3차원(3Dimensional) 공간에 대한 라이프사이클(lifecycle)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련된 다양한 실시예를 제공하는데, 특히 본 명세서에서는 대상 공간에 대한 추상적인 수요자의 니즈(needs)에 관한 데이터를 정형화하고 시각화하여 그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의 라이프사이클 동안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platform)을 정의하고 구축하는 서버(server)를 개시하고 그를 포함한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때, 상기 서버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데이터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이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상 공간(target space)"이라 함은, 수요자(또는 공급자)에 의한 요청에 따라 정의될 수 있으며 그 크기 내지 규모 등의 제한은 없을 수 있다. 예컨대, 대상 공간은 시, 도, 군/구와 같은 지역 단위가 될 수도 있고, 특정 빌딩이나 토지가 대상이 될 수도 있으며 빌딩의 특정 층이나 제한된 공간의 전부 또는 일부가 그 대상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수요자 니즈 또는 수요자 니즈 데이터"라 함은, 대상 공간에 대한 서비스의 시발점 내지 서비스 전 과정과 관련된 요소로서, 대상 공간과 관련된 수요자의 선호도나 취향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대상 공간에 대한 수요자 니즈 기반 대응 3차원 공간에 대한 기획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블록체인(blockchain) 네트워크 기반 기술 등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과 접목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특별히 설명하지 않은 용어와 해당 용어와 관련된 기술은, 공지기술에 따라 해석하거나 공지기술을 참조할 수 있으며, 필요한 내용만을 기술함을 미리 밝혀 둔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요자 니즈 기반 3차원 공간에 대한 라이프사이클 관리 서비스 제공에 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수요자 니즈 기반 3차원 공간에 대한 라이프사이클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요자 니즈 기반 3차원 공간에 대한 라이프사이클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수요자 단말(110), 서버(120), 및 공급자 단말(130)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예를 들어 서버(120)에서 공공데이터 등을 제공하는 서버나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 등이 더 포함되어 수요자 니즈 기반 3차원 공간에 대한 기획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이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편의상, 수요자 단말과 공급자 단말은 각각 1개만 개시하나, 복수 개일 수 있다. 그 밖에, 공급자 단말은 대상 또는 목적에 따라 수요자 단말로 기능할 수도 있다.
수요자 단말(110)은 대상 공간에 대한 정의와 정의된 대상 공간에 대한 선호도, 취향, 요구사항 등과 관련된 니즈 데이터를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120)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다. 서버(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공 DB 등으로부터 공공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서버(120)는 수요자 단말(110)에서 전송된 니즈 데이터를 정형화하여 시각화 처리하여 3차원 공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서버(120)는 상기 니즈 데이터의 정형화, 시각화 처리 과정에서 수집한 또는 수집되는 공공데이터 등을 참조하거나 이용할 수 있다. 서버(120)는 상기 데이터 수집과 관련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공개된 또는 사용자의 동의를 얻어 접속한 정보에 대해서 데이터 크롤링(data crawling) 기법을 참조하거나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서버(120)는 DB에 저장된 해당 수요자 단말(110)의 직전 또는 이전 데이터(히스토리 데이터(history data)도 포함), 타 수요자 단말(예를 들어, 서비스에 가입된)에 의해 입력되어 저장된 데이터 중 관련성이 있거나 참조할 수 있는 데이터, 기타 소셜 네트워크 서버나 인터넷 서버, 다양한 DB로부터 수신한 수요자 니즈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수집은 해당 수요자 단말(110)의 니즈 데이터 수신과 동시에 실시간 이루어지거나 정기 또는 비정기로 비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서버(120)는 수요자 단말(110)(및 공급자 단말(130))에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이용을 위한 프로그램 내지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소프트웨어(편의상 어플리케이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수요자 니즈에 관한 항목들을 포함한 다양한 사항에 대한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은 전술한 공공 데이터, 실제 지형 정보 등을 참조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요자 단말(110)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요자 니즈에 대한 입력을 할 수 있으며, 이렇게 입력된 수요자 니즈에 관한 데이터가 서버(120)로 전송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웹 서비스로 대체될 수도 있다. 즉, 수요자 단말(110)은 서버(120)에 의해 제공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필요시 서비스 가입, 로그인 등) 해당 웹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니즈 데이터를 입력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수요자 니즈 데이터와 관련하여, 수요자의 요구 조건에 대한 설문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수요자의 니즈 데이터는, 개인 또는 가족 등 공동 거주자의 취향, 최신 트렌드, 주거 환경 등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20)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빅데이터(big data)를 수집하고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방법론과 같은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을 활용하여 상기 니즈 데이터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단말에 제공하거나 단말로부터 수신하거나 수집한 데이터를 분류하고 서비스 데이터 정량화에 이용할 수 있다.
공급자 단말(130)은 서버(120)로부터 시각화 처리된 3차원 공간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서버(120)로 리턴(return)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대응되는 데이터에는 설계나 시공 등과 관련된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견적이나 경매(auction)나 입찰(bidding)과 관련된 데이터가 포함될 수도 있다.
수요자 단말(110)(및 공급자 단말(130))은, PC, TV 등과 같은 고정 단말이거나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pc 등과 같은 이동 단말의 형태일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단말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이용을 위한 전용(dedicated) 단말 형태일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단말은, VR 글래스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나 타 단말과 연동되어 작동하는 단말 형태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전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요자 니즈 기반 3차원 공간에 대한 라이프사이클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 또는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를 포함한 장치이면 족하다.
단말이 복수 개인 경우에는, 모두 동일한 형태나 성능을 가질 필요는 없다. 복수의 단말이 그룹과 같이 서로 연결되거나 연동된 형태인 경우에는, 각 단말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결합하여 하나의 입력으로 처리될 수 있으며, 주 단말과 보조 단말이 설정되거나 각 단말의 입력 시간이 상이한 경우, 복수의 단말의 입력이 상호 충돌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우선순위(주 단말 우선, 빠른 입력 시간 우선 등)에 따라 충돌 데이터를 처리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니즈 데이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는, 예를 들어 데이터는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제스쳐 등의 형태이거나 그 조합 형태일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가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포함한 경우에는, 해당 url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에서 설정된 관심영역(ROI: Region of Interest)이나 직접 관심영역을 설정하여 관련 데이터를 추출할 수도 있다.
서버(120)는 상기 시각화 처리된 3차원 공간 데이터를 공급자 단말(130)과 함께 수요자 단말(110)에 제공하거나 상기 공급자 단말(130)에 제공 전 수요자 단말(110)에 선 제공하여 피드백을 통하여 오류 수정 등 보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완과 관련하여, 특정 프로그램이나 툴이 이용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서버(120)는 수요자 단말(110)의 입력 형태에 대응하여, 음성 인식 처리 모듈이나 동작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20)는 수요자 단말(110)이나 공급자 단말(13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포맷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가공 또는 변환 처리하기 위한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서버(120)는 수요자 단말(110)이나 공급자 단말(130)의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이용 편의 및 공생 기업과 협업을 위하여 플러그-인(plug-in) 또는 커넥터(Connector),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단말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이용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데이터 입력이나 제어와 관련된 스마트 디바이스(smart-device), 포인터(pointer),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이나 마우스(mouse)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거나 지원할 수 있다.
서버(120)는 수집한 공공데이터와 실제 지형 정보를 수요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수요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니즈 데이터 또는 대상 공간에 대한 데이터(입체 데이터 등)이 임포트(import) 되도록 클라우드 플랫폼(Cloud platform)상에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를 구축할 수 있다. 서버(120)는 임포트 된 데이터를 편집(editing)하거나 배포(publish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120)는 해당 기능 수행을 위해 필요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수요자 니즈 기반 3차원 공간에 대한 라이프사이클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에 속한 구성요소들 사이의 통신 내지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모든 구성요소들이 동일한 통신 네트워크 내지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대상 공간에 대한 수요자 니즈 기반 3차원 공간 기획 및 관리, 즉 대상 공간의 라이프사이클(예를 들어, 도 4) 전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3차원 공간에 대한 서비스 기획에서부터 해당 공간에 대한 설계 및 시공 모니터링, 입주 내지 관리, 수명 관리, 수명 완료 후 건물 철거 내지 신규 공간 적용 등 대상 공간에 대하여 제공 가능한 전 과정의 서비스를 통합 처리에 적용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서버(12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프로세서(220)의 상세 구성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7은 수요자 니즈 기반 3차원 공간에 대한 라이프사이클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사용자 역할에 따른 권한 설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요자 니즈 기반 3차원 공간에 대한 라이프사이클 관리 서비스를 위한 서버(120)는, 메모리(210)와 프로세서(22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신 인터페이스 등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메모리(210)는 서버(120)로 수신되는 수요자 단말(110)의 니즈 데이터, 개인 정보 등 데이터, 상기 서버(120)에서 수집하는 공공데이터, 실제 지형 정보 등 데이터, 상기 서버(120) 내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 공급자 단말(130)로부터 수신되는 각종 데이터 등을 일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10)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거나 그와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반드시 서버(120) 내에 구축될 필요는 없다.
프로세서(220)는 서버(120)로 수신되는 수요자 단말(110)의 니즈 데이터 등 데이터 또는/및 수집되는 공공데이터, 실제 지형 정보 등을 기초로 3차원 공간에 대한 서비스를 위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필요에 따라 공급자 단말(130)과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요자 니즈 기반 공간 기획 및 관리 서비스를 위한 프로세서(220)의 기능 내지 동작과 관련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프로세서(220)의 구성은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3에서 도시된 구성요소 중 일부는 하나로 통합된 형태의 모듈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비록 모듈로 도시되고 기술되더라도 이는 해당 기능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 등 소프트웨어를 구동하는 장치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대상 공간의 라이프사이클 동안 적용 가능하나, 실시예에 따라 해당 라이프사이클의 일부에 대해서만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는 서버(120)(또는 프로세서(220))의 관점에서 기술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버(120)에서 수요자 니즈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상 공간에 관한 전체 라이프사이클 관리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서버(120)는 수요자 단말(110)로부터 대상 공간에 대한 수요자의 니즈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110).
서버(120)는 수신한 수요자 단말(110)의 니즈 데이터로부터 수요자의 취향, 트렌드, 주거 선호도 등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및 그룹화하여 유형화, 정량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S120).
서버(120)는 3차원 공간 시각화 모듈(303)은 공간 정보를 시각화 할 수 있다(S130).
서버(120)는 공간 모델을 공급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S140).
서버(120)는 설계 및 시공 과정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S150).
서버(120)는 입주 및 거주 환경 관리 제어 데이터를 수요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S160).
서버(120)는 수요자 단말(110)로 부동산 수명 주기 관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170).
도 5는 도 4의 전체 라이프사이클에서 특히, 기획 단계에 해당할 수 있는 S110 내지 S140 단계에 대응할 수 있다.
서버(120)는 수요자 단말(110)로부터 대상 공간에 대한 니즈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210).
서버(120)는 상기 수신된 수요자 단말(110)의 니즈 데이터 분석을 통해 유형화하여 그룹화함으로써 정형화하고, 상기 정형화된 데이터를 시각화 처리하여 물리 엔진을 통해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3차원 공간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S220).
서버(120)는 상기 생성된 3차원 공간 모델에 대한 데이터를 공급자 단말(13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 니즈 데이터는, 상기 대상 공간을 주거 공간으로 선정하기 위한 결정 인자로서 상기 수요자의 선호도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선호도와 관련된 데이터는, 주거에 대한 사회적 선택 이론을 기반으로 설문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주거 공간에 대한 핵심 카테고리를 확정하고 주거 입지 조건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이후, 즉 도 4의 S150 내지 S170 단계에 대응될 수 있다.
서버(120)는, 공급자 단말(130)로부터 상기 제공된 3차원 공간 모델 데이터에 대응되는 설계 및 시공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310).
서버(120)는, 상기 수신한 설계 및 시공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320).
서버(120)는, 상기 생성한 시뮬레이션 데이터에 기초한 결과물 데이터를 상기 수요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S330).
서버(120)는, 상기 대상 부동산에 대한 시공 과정, 입주 후 거주 환경, 및 건물 수명 주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수요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전술한 도 4의 S130 단계 이후에 서비스와 관련될 수 있다.
서버(120)는, 상기 수요자 단말에 인테리어 디자인 툴을 제공할 수 있다(S410).
서버(120)는, 상기 수요자 단말(110)로부터 상기 제공된 디자인 툴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인테리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420).
서버(120)는, 상기 수신한 대상 공간에 대한 인테리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라이브러리를 생성하고, 생성한 라이브러리에 상기 수신한 인테리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S430).
서버(120)는, 상기 대상 공간에 상기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인테리어 데이터가 적용된 3차원 가상화 공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440).
상기에서, 인테리어가 포함된 3차원 가상화 공간 데이터는 전시 및 배포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테리어는 거래 품목으로 설정하여 거래 대상으로 선정하고 대체 불가 코인을 이용하여 거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서버(120)는, 상기 수요자 단말 또는 공급자 단말로부터 상기 대상 공간의 설계에 관한 CAD 데이터 형상 및 레이어와 속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CAD 데이터 형상 및 레이어 정보는 3차원 형상 폴리곤으로 변환하고, CAD 레이어 및 속성 정보는 건물정보모델링(BIM)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CAD 시스템과 실시간 물리 엔진 시스템과의 간극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상 CAD 정보는 구현하고자 하는 대상에 따라 개별적으로 전문화된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정의되어 그 형태를 디자인하는데, 개별적으로 정의된 데이터는 설계 형상으로 인식될 수는 있으나 조감 및 시공, 운영 데이터로 활용하기 위해 서로 다른 데이터 변환 과정을 거쳐야 한다. 여기서 데이터 손실 또는 변질이 대다수 발생하며 수정 요구에 대한 응대가 능동적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데이터 변환 과정을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데이터의 손실없이 사용자 입력에 의한 데이터 변환을 유니티(Unity)(이에 한정되지 않음)와 같은 물리 엔진에 직접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건설 준공이 가능한 설계 정보를 가질 수 있도록 데이터 객체에 레이어 정보와 속성(attribute/Property)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물리 엔진 기반 공간 기획 솔루션에 대해서 이러한 데이터 입력 구조의 상호 호환성은 주거 공간을 기획하는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확장성을 제공할 수 있다.
공간 데이터 수집 모듈(301)은, 예를 들어 설문 문답 및 통계 모듈, 데이터 크롤링, SNA 모듈, 및 사용자 패턴 추출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하여 수요자 단말(110)로부터 수요자의 니즈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수신 내지 수집에 이용되는 모듈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3차원 공간 관리 시스템(300)은 계정관리 서버를 통해 수요자 단말(110)의 회원 가입 및 로그인 데이터 등을 수신하고 관리할 수 있다. 상기 계정 관리 서버는 서버(120)의 외부에 구축될 수도 있다.
3차원 공간 관리 시스템(300)은 공공데이터 서버, 지리 정보 서버 등으로부터 관련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공공데이터 서버, 지리 정보 서버 등은 외부 공공 DB 서버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수집은 전술한 S110 단계의 이전, 동시, 또는 이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3차원 공간 관리 시스템(300)은 수요자 단말(110)로부터 대상 공간에 대한 수요자의 니즈 데이터를 수신하면, 외부 공공 DB 서버로부터 수집한 데이터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관련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서버 또는 타 서버를 통해 관련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과정에서 판단 결과 관련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해당 데이터의 신뢰도가 의심스럽거나 낮은 경우에는 해당 서버 또는 타 서버를 통하여 관련 데이터를 재수집할 수도 있다.
3차원 공간 관리 시스템(300)은 외부 공공 DB 서버들로부터 수집한 데이터에서 관련 데이터를 추출하여 공간 데이터 수집 모듈(301)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S110 내지 S120 동작과 관련하여, 공간 데이터 수집 모듈(301)과 데이터 분석/유형화 모듈(302) 중 적어도 하나는 선호도 분석 및 매치메이킹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유형화 모듈(302)은 수요자의 대상 공간(예를 들어, 주거 공간) 선정을 위한 결정 인자에 대하여 선호도를 파악하고, 파악된 선호도와 관련하여 유의미한 정보를 추출하기 위하여 단계적인 정보 구축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간 데이터 수집 모듈(301)과 데이터 분석/유형화 모듈(302) 중 적어도 하나는 대상 공간(주거)에 대한 사회적 선택 이론을 기반(개인이나 집단의 가치, 요구, 열망, 선호 등에 의하여 주거지의 사회경제적 분화 발생, 비현실적 소비자 수요까지도 분석하여 주거 선호를 추정)으로 설문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주거 공간에 대한 핵심 카테고리를 확정하여 초기 정보를 확보할 수 있으며, 초기 설문 분석에 의한 주거 취향 정보는 주거 입지 조건(쾌적성, 편리성, 접근성(교통, 직장), 교육환경, 주변환경, 취미 및 여가 공유, 보육 여건, 투자성, 이웃관계, 주택 유형, 경제성, 안정성, 프라이버시 보장성 등)을 유형화하여 그룹화(grouping) 또는 카테고리화(categorized)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주거 입지 요인과 관련하여, 주택 부문, 단지 부문, 경제 부문, 근린 부문, 관리 부문 등을 요소로 할 수 있다. 상기 주택 부문은, 주택의 크기, 방의 수, 방의 크기, 환기나 통풍, 소음 상태, 채광, 옥내에서의 조망, 주택의 방향, 난방상태, 부엌 시설, 화장실의 수, 상하수도 시설, 발코니, 다용도실, 마감재, 전기시설, 내부 구조, 프라이버시, 주택의 대한 자부심, 실내 아름다움 등에 관련될 수 있다. 상기 단지 부문은, 주택 내 외 녹지 공간, 조경 상태, 주택 주변 공기 청정도, 이웃과의 교제, 이웃 생활 수준, 이웃 사람에 대한 호감도, 건물의 외관, 주택의 색상, 주택의 형태, 건물의 밀집 정도, 건물의 견고성, 가로등의 설치, 주택 주변 휴식 시설 등이 관련될 수 있다. 상기 경제 부문은, 주택의 가격, 매매의 용이성, 투자가치, 주택 관리 비용 등이 관련될 수 있다. 상기 근린부문은 주택의 입지조건, 주변의 자연경관, 환경의 쾌적성, 대중 교통 이용, 직장과의 통근 거리, 자녀의 보육시설 이용, 부모님과의 거리, 자녀의 교육환경, 시장과의 거리, 마트의 이용, 편의시설 이용, 공공시설 이용, 의료시설 이용, 오락문화시설 이용, 운동시설 이용, 종교시설 이용 등이 관련될 수 있다. 상기 관리 부문은 주택의 유지 및 보수 상태, 화재의 위험성, 방범상태, 주택의 안전상태, 쓰레기 처리, 주택의 주변 청소, 주차장의 유무, 주차장의 면적 등이 관련될 수 있다.
공간 데이터 수집 모듈(301)과 데이터 분석/유형화 모듈(302) 중 적어도 하나는 보다 광범위하고 상세한 취향 정보를 수요자의 데이터로부터 습득할 수 있다. 선호도 분석 시스템은 데이터 크롤링, 데이터 처리, 데이터 필터링, 패턴 분석, 소셜 네트워크 분석 등과 관련된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유형화 모듈(302)은 수집되는 데이터량이 방대하므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정보를 다룰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데이터 분석/유형화 모듈(302)은 주거 선호도에 대한 정보가 그룹화 또는 카테고리화되어 분류되면,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선호도와 실제 주거 공간에 대한 매치메이킹을 제안하거나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매치메이킹 시스템은 수요자가 선호하는 정보들을 바탕으로 3차원으로 주거 공간을 시각화한 모델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시각화 된 공간 모델은 건물의 외부와 내부를 포함하며 수요자의 요청에 따라 수정할 수 있으며, 건물 단독으로 조감 및 실제 지도상의 거주 구역에 배치 및 시뮬레이션 등을 수행할 수 있다.
3차원 공간 시각화 모듈(303)은, 데이터 분석/유형화 모듈(302)을 통하여 분석된 빅데이터 기반의 유형화 데이터를 참조하여 대상 공간을 시각화 처리하여 3차원 공간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과정에서, 서버(120)는 대상 공간, 즉 주거 공간을 결정함에 있어서, 객체(건물)이 위치하게 될 입지 조건은 중요한 결정 요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답사 또는 지도 앱 등을 활용한 주변 정보를 고려할 수 있다.
3차원 공간 관리 시스템(300)은 수요자 단말(110)에 지도 정보를 포함한 공공데이터와 지리 정보 정사영 서버 연결 또는 구축하여 실제 지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3차원 공간 관리 시스템(300)에 의해 제공되는 공공데이터 정보 중 지도 레이어에 관련된 값의 일부에는, 일반지도, 위성지도, 지형지도, 지적편집도, 지하철, 버스정류장, 고속도로, 자전도로, 아파트, 오피스텔, 빌라, 전원주택, 상가, 사무실, 공장, 지식산업센터, 토지, 분양, 상하수도,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병원, 주차장(전기차 충전소, 공영 주차장)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3차원 공간 관리 시스템(300)은 현재 매매되는 건물에 대한 정보 확인을 통해 신규 준공이 아닌 임대 후 주거 공간에 대한 결정 요소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전국 각 건물들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에는 주소, 지역지구, 용도, 대지면적, 건축면적, 연면적, 건폐율, 용적률, 최고 높이, 건물 층수, 주차대수, 사용 승인일, 세대 수, 승강기수, 구조(철근콘크리트, 벽돌, 목조 등), 건폐율, 용적률, 주차대수, 일조사선, 매매가, 전세가, 월세가, 공시지가, 행정동별 생활인구, 유동인구(월, 일, 시간 등), 에너지 사용량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해당 데이터 레이어는 정부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 값으로 주기적인 업데이트와 지역적인 제한이 있기 때문에, 3차원 공간 관리 시스템(300)은 별도의 레이어 서버를 구축하여 변경된 정보를 지도 레이어와 겹쳐 정의할 수 있다. 그 밖에, 3차원 공간 관리 시스템(300)은 실시간 공공데이터 API를 통해 실시간 업데이트가 가능하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
인터랙티브 공간 디자인 모듈(304)은, 수요 기반 공간 모델과 관련하여 상기 수요의 개념을 주거 이외의 대상으로 확장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확장으로 예를 들어, 주거, 문화, 상업 등의 목적을 위한 용도별 대상 공간을 정의하여 내부의 인테리어를 정의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인테리어에 대한 디자인 내지 배치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대상들에 대한 제어(배치, 변경 등)가 가능하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의 일 예로, 주거 공간을 가정하는 경우, 실내 인테리어 변경으로 벽지, 가벽, 창문 및 도어 프레임 그리고 가구 및 전자 제품의 배치 등에 대한 정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의 예시로, 제어될 대상의 크기 변경, 컬러 변경, 일부 모양 등의 변경 등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인터랙티브 공간 디자인 모듈(304)은 인터넷이나 기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수집한 정보에 기초하여 인터랙티브 공간 디자인 시에 각 대상 객체(또는 대상 공간 단위)의 선호도(인기도), 관련 기사나 정보 링크, 가격, 법적 사항 등에 관한 내용을 병기하여 제공하여 디자인 정의의 편의를 기할 수 있다.
인터랙티브 공간 디자인 모듈(304)은 대상 공간에 대한 정의가 이루어지면, 인테리어 디자인 모드로 변경하여 정의하고자 하는 대상 요소를 라이브러리에서 선택하여 드래그-드롭(drag-drop) 등의 방식을 통하여 삽입, 이동, 변경 등 제어가 가능하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 인터랙티브 공간 디자인 모듈(304)은 VR/AR 시각화 모듈(315)과 연동하여 예를 들어, 햅틱(haptic) 장비를 사용하여 디자인 정의나 제어, 속성 정보 등을 변경하여 텍스처 방식의 맵핑 정보를 변환할 수도 있다. 한편, 인터랙티브 공간 디자인 모듈(304)은 설정한 인테리어 배치에 대해 실시간 렌더링(rendering)을 통하여 조감도 생성 및 품평이 가능하도록 관련 데이터를 가상 공간 전시/품평 모듈(305)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120)는, 주거 공간, 문화 공간, 상업 시설 등을 위한 라이브러리 생성이 가능하며 필요한 경우 추가 정의가 가능하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
수요자 단말(110)은 서버(120)상에 직접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여 사용자 라이브러리 생성을 요청할 수 있고, 서버(120)는 상기 요청에 따라 사용자 라이브러리를 생성하여 수요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사용자 라이브러리는 서버(120)에 기 구축된 표준 라이브러리와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라이브러리는 기본적인 속성 정보와 매핑 텍스처, 3차원 오브젝트 데이터를 통하여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라이브러리 요소들은 단순히 수정과 배치 후 조감도 생성만을 위한 것은 아니며, 인터랙티브 공간 디자인 모듈(304)은 목적과 필요에 맞게 배치된 인테리어 요소들이 기본적으로 주문 가능한 실제 제품으로 협력 관계 업체의 상품을 주문 가능할 수 있도록 연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주문은 해당 사이트로 연결하는 직접 주문 방식과 서버(120)(컨텐츠 구매 관리 모듈(306) 등)에서 전체 디자인 요소에 대한 조감 및 품명을 마치고 일괄 주문을 할 수 있도록 장바구니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랙티브 공간 디자인 모듈(304)은 주문형 제품이 아닌 도색이나 공사의 경우, 입찰 시공이 가능하도록 전문 설계 인테리어 업체의 사이트들에 대한 정보를 수요자 단말(110)에 제공하거나 링크되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
가상 공간 전시/품평 모듈(305)은 대상 공간에 대응되는 가상 공간에 대한 큐레이팅(curating) 후 전시 및 품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상 공간 전시/품평 모듈(305)은, 수요자를 창작자로서 자신의 니즈에 따라 자신만의 공간을 디자인하거나 컨텐츠를 업로드하여 전시 기획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가상 공간 전시/품평 모듈(305)은 전술한 공간 정의 기능과 더불어 라이브러리 생성 기능을 통하여 회화, 조각, 상품 등이 가상 공간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정의할 수 있다. 가상 공간 전시/품평 모듈(305)은, 상기 생성한 창작자(수요자)의 작품 라이브러리에서 실체가 있는 콘텐츠의 경우와 디지털상에만 존재하는 것 두 가지로 구분하여 컨텐츠 구매 관리 모듈(306)을 통해 구매가 가능하도록 연계할 수도 있다.
3차원 공간 관리 시스템(300) 또는 가상 공간 전시/품평 모듈(305)은 디지털 환경에서 수요자의 창작물과 같은 문화 예술 컨텐츠의 거래의 안정을 보장하고, 창작자에 대한 권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대체 불가 코인(NFT: non-fungible token) 등을 활용한 거래 시스템을 이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과정은 블록체인 기술이 이용될 수도 있다. 가상 공간 전시/품평 모듈(305)과 컨텐츠 구매 관리 모듈(306)을 통하여 3차원 디지털 공간상 작품에 대한 컨텐츠 거래 및 가상 공간 자체에 대한 거래를 생성하고 수익이 창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가상 공간 전시/품평 모듈(305)은 하나의 주제에 대한 공모 전시를 지원하는 경우에는 배포하여 공감 투표, 사회 관계망 서비스 등을 통한 평가, 공유, 판매 등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가상 공간 전시/품평 모듈(305)은 일종의 히스토리 데이터로서 수요자 단말(110)의 공간 선호 데이터 취득에도 적용할 수 있다. 가상 공간 전시/품평 모듈(305)은 대상 공간을 정의하는 과정에서 이용하는 컨텐츠의 타입, 요소 빈도수 등 통계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용할 수도 있고, 각 데이터의 우선순위 선정을 통한 가중치 부여를 통하여 데이터를 관리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3차원 공간 시각화 모듈(303), 인터랙티브 공간 디자인 모듈(3-4), 및 가상 공간 전시/품평 모듈(305)을 통한 결과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3차원 공간 관리 시스템(300)에 의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추후 필요에 따라 호출될 수 있다. 예컨대, 수요자 단말(110)에서 추후에 대상 공간에 대하여 건물 수명 주기 관리, 재입주 및 리노베이션, 공간 파기 및 재구성, 인테리어 등을 위하여 해당 데이터를 호출하여 이용하거나 편집, 수정 등 업데이트하여 이용하도록 서비스 제공할 수 있다.
서버(120)는 3차원 공간 정보 리뷰 시스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120)는 3차원 공간 상에 대상 공간(수요자가 요청한 공간)에 대하여 수요자 단말(110)에 의한 정의하면, 이를 확인하고 정의된 대상 공간이 현장에서 실제 구현되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공간에 대한 정의, 제어 등이 가능한 플랫폼을 정의하여 구축할 수 있다.
통상 공간 모델은 CAD 프로그램과 같은 설계 소프트웨어나 자체 모델링 기능을 통하여 디자인할 수 있으며 평가될 수 있으나, 서버(120)는 플랫폼(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을 통하여 예를 들어, 그러한 소프트웨어의 사용 등에 어려움이 있는 수요자, 디자이너, 엔지니어, 시공자, 관리자 등 비전문가도 일관된 데이터(예를 들어, 니즈 데이터, 디자인 정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해당 대상 공간을 손쉽게 시각화 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제공할 수 있다.
서버(120)는 실제와 유사한 조건으로 공간에 대한 검토를 수행할 수 있도록 물리엔진을 사용하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으며, 컴퓨터 비전 기술을 접목하여 모니터와 같은 특정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한정되지 않고 VR/AR 기기 또는 프로젝션 맵핑(Projection Mapping)에 의한 실감형 가시화가 가능하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
서버(120)는 3차원 공간 정보 리뷰 시스템에 관하여, 신규/리모델링 건물에 대한 3차원 공간 배치 시뮬레이션 기능, 클라우드 기반 실시간 조감도 생성 기능, 공간 및 SOC 요소 라이브러리 관리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신규/리모델링 건물에 대한 3차원 공간 배치 시뮬레이션 기능과 관련하여, 선호도 분석 및 매칭메이킹으로 제안된 공간 모델이나 디자이너 등에 의해 업로드 된 대상 공간, 예를 들어 건물 모델에 대해서 3차원 지리 정보상 공간 배치가 가능한데, 특히 건물(공간)의 경우 단독으로 입지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웃하는 다른 건물 및 공간 요소, 자연 환경에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평가 시 공간 단독으로 조감하는 것은 그 의미가 적을 수 있다. 따라서 서버(120)는 설계한 건물 모델에 대해서 실제 자리할 공간에 배치 후 전체적인 조감을 평가할 필요가 있으며, 관련하여 건물 삽입 후 평행 이동, 회전에 의해 최적 방향을 찾아내고 이후 조망권이나 일조권에 대한 시뮬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120)는 건물 모델의 경우 관심 영역에 대해서 신규로 설계한 데이터를 적용할 수 있으며, 리모델링을 고려하여 기존 모델에 대한 재작업 정보를 적용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서버(120)는 국내 지형의 경우 평지를 포함 경사진 영역에 대한 검토 필요가 있으므로 지리정보 시스템(GIS) 기반 정사영 서버를 통해 등고 높이가 반영된 위치에 건물 배치 시뮬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때, 서버(120)는 부지의 경사도에 의한 건물 배치 시 절토, 성토 구간을 나누어 자동 보간을 수행할 수도 있다. 
클라우드 기반 실시간 조감도 생성 기능과 관련하여, 물리엔진 기반의 3차원 공간 솔루션을 설계함으로 실제와 같은 실감형 그래픽 렌더링이 가능하나, 도심 지역을 비롯한 대규모 영역에 대해서 실시간으로 고사양 렌더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고성능의 컴퓨팅 장치가 요구되거나 소모되는 자원이 많고 렌더링 수행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관련하여, 서버(120)는 고성능 컴퓨팅이 가능한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기반으로 실시간 조감도 생성이 가능하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 서버(120)는 일반적인 대용량 데이터 저장과 네트워크 활용 이점과 더불어 그래픽 처리 능력이 강화된 GPU 가속 지원 클라우드 컴퓨팅을 활용하여 단시간 내에 방대한 영역에 대한 렌더링 샷을 생성하여 서비스할 수도 있다.
공간 및 SOC 요소 라이브러리 관리 기능과 관련하여, 서버(120)는 3차원 가상 지도와 영역을 정의한 상태에서 추가적인 세부 디자인 요소 또는 부수 건물에 대한 정의를 위하여 외부 형상 데이터를 임포트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임포트되는 형상 요소는 CAD 데이터를 기반 또는 폴리곤(polygon) 형식도 포함하나, 서버(120)는 물리 엔진 기반으로 폴리곤으로 인식하여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서버(120)는 가로등 벤치 등과 같은 SOC 요소, 나무와 같은 조경 요소에 대해서는 반복하여 정의할 수 있도록 패턴 복사가 가능하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 한편, 임포트 된 데이터는 서버(120)에서 라이브러리 형식으로 관리하고, 추후 익스포트(export)가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서버(120)는 CAD 데이터 실시간 BIM 데이터 변환 알고리즘을 제공할 수 있다. 공간 설계 데이터를 외부 전문 CAD 프로그램으로부터 제공, 임포트하는 경우 데이터 포맷이 상이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한 해당 데이터를 액세스하지 못하거나 형상의 오류 등이 발생할 수 있는 바, 서버(120)는 그러한 데이터 오류를 방지하고 공간 데이터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호환 가능한 설계 시스템을 선정하여 해당 시스템에서 생성한 CAD 데이터를 손쉽게 인식, 건물 공간 조건에 맞도록 레이어(layer)를 인식할 수 있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 여기서, 인식되는 레이어 값은 건물 정보 모델링(BIM) 정보와 연계되어 자재 명세로 인식 및 LOD(Level Of Detail)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AD 데이터 형상 및 레이어 정보는, 3차원 형상 폴리곤으로 변환할 수 있고, CAD 레이어 정보는 BIM으로 변환(Floor, Wall, Column, Window, Door, Frame, Beam 등)할 수 있다. 이렇게 BIM 정보로 인식되도록 공간 정보를 임포트하면, 상세 설계 및 시공, 입주 및 운영 관리에 해당 데이터를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서버(120)는 호환 가능한 설계 시스템으로는 SketchUp, Revit, CATIA 등을 포함하며, 중립 포맷인 IGES, STEP, 건설 표준 포맷인 IFC 등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형상 데이터 변환은 통상 물리엔진 시스템에서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 수행되나, 서버(120)는 사용자 환경에서 실시간으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지원 및 제공할 수 있다.
서버(120)는 도시/빌딩 모델 물리 시뮬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120)는 전술한 물리엔진 기반 3차원 공간 시스템을 활용하여 디자인한 건물/지역에 대하여, 미세먼지, 풍량, 일조권, 구조 안정성, 에너지 사용량, 인구 유동량 등과 같은 실제 현실과 같은 조건의 현상을 시뮬레이션 가능하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
일반적인 CAD 시스템으로 공간 정의를 하는 경우 그래픽적인 결과물과 수치적인 정보는 획득할 수 있으나, 환경적 요소 또는 물리적인 현상을 확인하기에는 제한적일 수 있다. 따라서, 물리엔진을 적용한 서버(120)는 이러한 모사 시뮬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120)는 미세 먼지 또는 풍량, 일조권 등의 경우, 국가에서 제공하고는 공공데이터 상의 미세 먼지 및 대기 오염물질 일자별 현황, 지역별 풍속 데이터, 지역별 일조 시간 및 일조량 등의 정보를 지형 및 건물 정보 데이터에 접목하여 시간대별로 변동 사항 및 문제 지역 및 해결 방안 모색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서버(120)는 건물의 구조 안정성의 경우, 국내 건축 구조 기준에 맞추어 각조 외력과 하중 및 지반에 대하여 안전하도록 구조체에 대한 저항 시스템, 기초 구조를 정의할 수 있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 또한, 서버(120)는 3차원 선호 공간을 구현할 때, 이러한 구조적 안정성을 고려하여 3차원 공간 내부에 기초 구조 요소 및 안전 요소를 고려한 부재를 정의할 수 있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 한편, 서버(120)는 전술한 구조 설계 작업에 있어, 건설 안전 조건을 반영한 머신러닝 기법(학습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법규 준수 및 구조적 안정성을 고려한 형상 구조 부재 배치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서버(120)는 상기 학습 과정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양한 히스토리 데이터나 타 수요자에 대해 생성된 학습 모델, 수요자의 피드백 등 다양한 데이터를 참조하여 학습에 반영할 수 있다.
서버(120)(경쟁입찰모듈(311), 상세화 설계 알고리즘 모듈(309), BIM 구조화 및 견적산출 모듈(310))는 공간 모델 공정 입찰(경쟁) 시스템을 채용할 수 있다. 서버(120)는 수요자의 니즈 기반으로 정의된 대상 공간 모델에 대해 해당 공간의 상세 설계 및 시공을 위한 입찰 과정에 시공사(공급자(130))를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서버(120)는 수요자의 니즈 공간 기획 디자인을 마무리한 상태에서 실제로 시공을 진행할 수 있도록 설계 정보를 바탕으로 시공에 필요한 정보를 계산하여 BIM 기반 자재 소요량 및 견적서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공개 입찰 절차가 진행될 수 있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 서버(120)는 입찰을 개시하기 위해서는 대상 공간에 대한 작업 조건(위치, 부지, 평수, 3차원 공간 도면, 시공 방식, 예산 범위 등)에 대해서 입찰자(공급자 단말(130))에게 제공하며 상기 제공되는 정보는 전술한 공간 기획 단계에서 정의된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정보의 누락, 불일치나 왜곡 발생을 방지하여 거래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서버(120)(시공 프로세스 시뮬레이터(312), 시공과정 모니터링 모듈(313))는 시공 과정 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20) 공간 모델이 확정되고 시공사가 확정되면 설계된 도면대로 시공 과정 진행 여부 점검에 관한 수행 또는 관련 데이터를 수요자 단말(110)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 3차원 도면 대비 실측 시공 현장 모니터링을 위하여, 서버(120)는 예를 들어, AR 기술을 활용한 설계 형상과 시공 상태의 현장을 비교하여 오류나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 서버(120)는 설계 데이터와 현장 데이터는 좌우 화면 분할을 통한 컴패어 뷰(Compare View)로 확인하고, 하나의 화면에 중첩하여 볼 수 있는 오버랩 뷰(Overlap View)로도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버(120)는 설계자(수요자 단말(110))와 시공자(공급자 단말(130)) 사이의 의사 소통을 위하여 뷰 화면 상에 직접 주석이나 마크업(markup)이 가능하고, 현장 요청에 의해 설계 형상 상에 확인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 또한, 서버(120)는 시공의 진행 과정을 확인 및 스케줄 관리가 가능하도록 서비스(로드맵 및 간트 차트 지원, 스케쥴링 알림)하여 작업 구간상 업무 충돌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서버(120)는 시공상 위험 구역 및 안전 고려 지역에 대해서, IoT 및 센서를 활용하여 현장 설치 후 안전관리 책임자 및 현장 관리자(130)가 관리할 수 있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
그 밖에, 환경 보호 및 탄소 배출 제한에 대한 중요도가 증가하고 있는바, 서버(120)(시설 및 에너지 모니터링 모듈(314))는 건설 현장에서 화석 에너지 이용량, 장비 가동 대기 시간 등을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여 불필요한 탄소 배출을 억제하고 에너지 절감을 통해 ESG 경영, RE100과 같은 환경 평가를 고려한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
서버(120)(IoT 계측 및 통신 모듈(316))는 이러한 환경 및 에너지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전술한 시공 관리 과정과 유사하게 공사 현장 및 건설 기기에 대한 계측 장비와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서비스 지원할 수 있다.
라이프사이클 관리와 관련하여, 서버(120)는 입주 및 주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120)는 완공 및 리모델링 된 건물에 대해서 설비 및 에너지(전기, 수도, 난방 등)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120)(시설 및 에너지 모니터링 모듈(314))는 공간 기획을 바탕으로 준공 또는 리모델링 된 건물에 대해서 각 설비 요소들에 대한 계측 정보를 모아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계측 및 모니터링은 여러 건물의 정보를 그리드 네트워크(Grid Network)로 묶어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서비스, 즉 스마트 시설관리 시스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120)는 건물 노후화를 대비하여 유지보수 이력관리 및 리모델링을 위한 설계 정보를 자산화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120)는 대상 공간에 대한 설계 초기 단계에서부터 시공, 운영에 관한 공간 전 생애 주기, 즉 라이프사이클 정보를 하나의 통합 플랫폼을 제공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관리 주체에 따른 관리 어려움, 데이터 재생산 및 오류 등을 줄이고 순환적인 사이클을 관장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제공할 수 있다. 
서버(120)는 수요자와 공급자를 연결하는 플랫폼(SaaS: Software as a service)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20)는 SaaS 형태로 수요자 의견/요구 수렴 및 예측을 위한 개인 버전과 설계/시공사를 위한 기업 버전의 서비스를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서버(120)는 개인 버전의 경우 기본적으로 수요자 니즈 기반의 공간 정의 및 기획에 따른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나, 기업 버전의 경우 상세 설계 및 입찰, 시공 모니터링, 에너지 시스템 관리 등과 같은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서버(120)는 개인 버전과 기업 버전을 과금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특히 기업 버전의 경우 수행하고자 하는 업무의 범위에 따라 세분화된 역할(Role) 부여와 과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120)는 역할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120)는 동일 시스템 접속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각 사용자(130)가 자신이 가진 역할을 기준으로 업무 활용 범위를 정량화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제공하며, 모듈화 된 기능에 맞춰 확장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서버(120)는 각 사용자(130)의 역할에 따라 특정 대상 공간 정보에 대한 접근 허용 범위를 다르게 정의 및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관찰자 역할의 사용자는 자신이 방문한 대상 공간에 대한 외부 및 내부 공간을 관찰은 가능하지만 부속물의 배치 변경 등 제어는 불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시공 설계 역할의 사용자는 공간 모델에 대한 3차원 형상 정보 및 BIM 정보, 견적서는 확인할 수 있으나, 공간을 변경할 수 없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반면, 공간 기획 역할의 사용자는 공간을 조절하고 배치하여 원하는 설계 공간을 정의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서버(120)는 전술한 역할을 사용자가 할 수 있는 활동(업무)에 대한 범위 분류 그룹으로 관리자(Administrator), 사용자, 방문객(Visitor) 등으로 구분하여 정의할 수 있으며, 사용하고자 하는 업무 내용에 따라 더 세분화하여 정의할 수도 있다. 예컨대, 관리자는 시스템에 대한 전체 관리자로 모든 권한을 부여 받을 수 있으며, 그룹 리더(Group Leader) 조직(Organization)별 운영 관리자(기업 고객인 경우에 한함), 프로젝트 관리자(Project Manager), 공간 창출자(Space Creator)는 할당된 프로젝트 공간(즉, 대상 공간)에 대한 건물 외부 및 내부 수정 권한을 가진 사용자, 인테리어 디자이너(Interior Designer)는 공간 내부에 대한 수정 권한을 가진 사용자, 리뷰어(Reviewer)는 해당 프로젝트에 소속된 사용자로 수정 기능은 없으나 리뷰 작업은 가능한 사용자, 방문객은 가입 전 공개된(Public) 프로젝트에 대해서 리뷰 가능한 사용자로 정의하여 다양한 액세스 권한이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설정에 따라 복수의 역할을 할당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본 명세서에서 단지 서버(120)라고만 기술한 경우에도 그것은 도 3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성요소에 대응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명세서에서 서비스 또는 서비스 제공이라고 기술한 경우, 그것은 단말(110, 130)의 형태나 성능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서버(120)에 의해 생성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요자 니즈, 즉 선호도를 유형화하여 이를 시각화한 후 그에 따른 3차원 공간 정보를 물리 엔진에 융합하여 실시간 설계 및 운영 관리가 가능한 일원화 데이터 통합 플랫폼 내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거 예측과 수요 모집을 위한 수요자 맞춤형 주거 공간 빅데이터 분석과 최적화 알고리즘 모델을 통하여 3차원 공간 정보로 이를 구축하고, 이렇게 구축된 3차원 공간 모델을 이용하여 실시간 조감도 생성이 가능하도록 하며 공간 분석 시뮬레이션도 수행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확정된 3차원 공간 모델을 건물정보모델링(BIM)화하여 실제 제작 가능한 설계 정보 변환 프로세스를 진행, 자재 소요 계산 및 준공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대상 공간에 대한 시공 과정에서 VR/AR/XR 기술을 활용하여 공정상의 진도율 체크와 설계 오류, 작업 위험도 평가 검증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원화된 공간 모델 데이터 관리를 통해 준공 이후 수요자 입주 단계 또는 그 이전에 인테리어 디자인 시뮬레이션으로 비용 및 시간을 예측할 수도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르면, 수요자가 입주 후 공간 모델 내 에너지 효율 및 사용량 등을 IoT 기술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 및 노후 관리를 통해 건물 수명을 예측/연장할 수도 있다. 또한, 공간 모델에 대해서 수명 주기 관리를 통해 마지막 건물의 노후화 시점에 리모델링 또는 철거 시뮬레이션 및 선택 등을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한 번 정의한 공간 모델에 대해 복제나 확장할 수 있도록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개념상 가역과 비가역 양방향 피드백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의 양방향 피드백은 가상의 설계 정보를 바탕으로 실제 설계 대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는 처리 과정과 실제 대상을 디지털화 하여 정보 관리, 개선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 밖에, 종래 주거 소비 시스템은 소비자의 신규 주거를 고려하는 단계에서 실제로 소비자가 원하는 조건을 제공하기 보다는 제공하는 매물에 대한 조건 매칭으로 국한되어 검색을 통해서 매물을 찾고 비교하여 주거를 선택하게 되어 결국 주거 만족도의 한계 및 장기적인 관점에서 새로운 주거를 고려해야 하는 문제가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수요자(소비자)의 주거 요건을 주거 시설 정의 초기 단계에 고려되도록 반영하여, 매물의 검색 편의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검색 오류에 따른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에 따를 경우, 기술적 측면에서, 추상적인 수요자의 선호 정보를 정형화하여 이를 시각화함으로써 의사 결정 및 아이디어 구체화 분야 등 다방면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공간 설계 CAD 데이터를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물리엔진 기반 인터페이스로 불러와 건물 정보 모델링 데이터로 변환 가능하여 불필요한 수동 작업 공수 및 오류 감소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더불어, 경제적 측면에서도, 수요자 요구를 반영한 주거 및 문화 공간 기획이 가능한 시스템의 구축으로 설계 정보의 보존성 및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주거 공간에 대한 수요자 요구와 공급 기획 연결할 수 있고, ESG(환경, 사회적책임, 지배 구조) 요소의 디지털 자산화, 정형화, 인증 대비 가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부동산 시장의 투명성 증대 및 수요자 이익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컴퓨터 코드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USB 플래시 메모리, CD,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닌 설명적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아닌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수요자 단말로부터 대상 공간에 대한 니즈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수요자 단말의 니즈 데이터 분석을 통해 유형화하여 그룹화함으로써 정형화하고, 상기 정형화된 데이터를 시각화 처리하여 물리 엔진을 통해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3차원 공간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3차원 공간 모델에 대한 데이터를 공급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수요자 단말에 인테리어 디자인 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수요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공된 디자인 툴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인테리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대상 공간에 대한 인테리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라이브러리를 생성하고, 생성한 라이브러리에 상기 수신한 인테리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공간에 상기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인테리어 데이터가 적용된 3차원 가상화 공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인테리어가 포함된 3차원 가상화 공간 데이터는 전시 및 배포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테리어는 거래 품목으로 설정하여 거래 대상으로 선정하고 대체 불가 코인을 이용하여 거래되도록 제어하는,
    서버에서 3차원 공간에 대한 라이프사이클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즈 데이터는, 상기 대상 공간을 주거 공간으로 선정하기 위한 결정 인자로서 상기 수요자의 선호도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선호도와 관련된 데이터는, 주거에 대한 사회적 선택 이론을 기반으로 설문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주거 공간에 대한 핵심 카테고리를 확정하고 주거 입지 조건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서버에서 3차원 공간에 대한 라이프사이클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요자 단말 또는 공급자 단말로부터 상기 대상 공간의 설계에 관한 CAD 데이터 형상 및 레이어와 속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CAD 데이터 형상 및 레이어 정보는 3차원 형상 폴리곤으로 변환하고, CAD 레이어와 속성 정보를 건물정보모델링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버에서 3차원 공간에 대한 라이프사이클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공된 3차원 공간 모델 데이터에 대응되는 설계 및 시공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설계 및 시공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한 시뮬레이션 데이터에 기초한 결과물 데이터를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시공 과정, 입주 후 거주 환경, 및 건물 수명 주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에서 3차원 공간에 대한 라이프사이클 관리 방법.
  5. 삭제
  6.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수요자 단말로부터 대상 공간에 대한 니즈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수요자 단말의 니즈 데이터 분석을 통해 유형화하여 그룹화함으로써 정형화하고, 상기 정형화된 데이터를 시각화 처리하여 물리 엔진을 통해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3차원 공간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3차원 공간 모델에 대한 데이터를 공급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요자 단말에 인테리어 디자인 툴을 제공하여, 상기 수요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공된 디자인 툴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인테리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대상 공간에 대한 인테리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라이브러리를 생성하고, 생성한 라이브러리에 상기 수신한 인테리어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대상 공간에 상기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인테리어 데이터가 적용된 3차원 가상화 공간 데이터를 생성하되, 상기 인테리어가 포함된 3차원 가상화 공간 데이터는 전시 및 배포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테리어는 거래 품목으로 설정하여 거래 대상으로 선정하고 대체 불가 코인을 이용하여 거래되도록 제어하는,
    3차원 공간에 대한 라이프사이클 관리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니즈 데이터는, 상기 대상 공간을 주거 공간으로 선정하기 위한 결정 인자로서 상기 수요자의 선호도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선호도와 관련된 데이터는, 주거에 대한 사회적 선택 이론을 기반으로 설문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주거 공간에 대한 핵심 카테고리를 확정하고 주거 입지 조건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3차원 공간에 대한 라이프사이클 관리하는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요자 단말 또는 공급자 단말로부터 상기 대상 공간의 설계에 관한 CAD 데이터 형상 및 레이어와 속성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CAD 데이터 형상 및 레이어 정보는 3차원 형상 폴리곤으로 변환하고, CAD 레이어와 속성 정보는 건물정보모델링 데이터로 변환하는,
    3차원 공간에 대한 라이프사이클 관리하는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공된 3차원 공간 모델 데이터에 대응되는 설계 및 시공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설계 및 시공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한 시뮬레이션 데이터에 기초한 결과물 데이터를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제공하고, 대상 부동산에 대한 시공 과정, 입주 후 거주 환경, 및 건물 수명 주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제공하는,
    3차원 공간에 대한 라이프사이클 관리하는 장치.


  10. 삭제
KR1020210105567A 2021-08-10 2021-08-10 수요자 니즈 기반 3차원 디지털 공간 및 콘텐츠에 대한 라이프사이클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369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567A KR102369358B1 (ko) 2021-08-10 2021-08-10 수요자 니즈 기반 3차원 디지털 공간 및 콘텐츠에 대한 라이프사이클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567A KR102369358B1 (ko) 2021-08-10 2021-08-10 수요자 니즈 기반 3차원 디지털 공간 및 콘텐츠에 대한 라이프사이클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9358B1 true KR102369358B1 (ko) 2022-03-02

Family

ID=80815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567A KR102369358B1 (ko) 2021-08-10 2021-08-10 수요자 니즈 기반 3차원 디지털 공간 및 콘텐츠에 대한 라이프사이클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35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563B1 (ko) * 2022-06-16 2023-06-02 주식회사 싸이언 IoT 기반 메타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102542307B1 (ko) * 2022-10-24 2023-06-13 주식회사 위드라이크 메타버스 환경 기반 공간 스타일링 전문가 및 사용자 매칭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40003848A (ko) * 2022-07-04 2024-01-11 주식회사 에이치오토 Nft를 이용한 인테리어 활성화 서비스 제공서버 및 그 제공방법
CN118195509A (zh) * 2024-02-29 2024-06-14 湖南水总水电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水利水电工程施工监控数据管理方法及系统
KR102688652B1 (ko) * 2023-11-02 2024-08-05 사단법인 빌딩스마트협회 Bim 도입요소 조합에 의한 통합 컨설팅 서비스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201A (ko) * 2019-06-21 2020-12-30 김영천 가상현실과 삼차원 모델링을 기반으로 하는 심리융합타입 온라인 인테리어 중계 시스템
KR20210021662A (ko) * 2019-08-19 2021-03-02 최원제 공공 빅데이터를 활용한 주거 환경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269474B1 (ko) * 2020-11-27 2021-06-25 주식회사 무브먼츠 3d 설계 데이터 생성을 위한 2d 관로 도면 데이터 추출 방법
KR102282433B1 (ko) * 2021-03-03 2021-07-26 방재웅 스마트 감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201A (ko) * 2019-06-21 2020-12-30 김영천 가상현실과 삼차원 모델링을 기반으로 하는 심리융합타입 온라인 인테리어 중계 시스템
KR20210021662A (ko) * 2019-08-19 2021-03-02 최원제 공공 빅데이터를 활용한 주거 환경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269474B1 (ko) * 2020-11-27 2021-06-25 주식회사 무브먼츠 3d 설계 데이터 생성을 위한 2d 관로 도면 데이터 추출 방법
KR102282433B1 (ko) * 2021-03-03 2021-07-26 방재웅 스마트 감리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563B1 (ko) * 2022-06-16 2023-06-02 주식회사 싸이언 IoT 기반 메타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20240003848A (ko) * 2022-07-04 2024-01-11 주식회사 에이치오토 Nft를 이용한 인테리어 활성화 서비스 제공서버 및 그 제공방법
KR102652418B1 (ko) * 2022-07-04 2024-03-29 주식회사 에이치오토 Nft를 이용한 인테리어 활성화 서비스 제공서버 및 그 제공방법
KR102542307B1 (ko) * 2022-10-24 2023-06-13 주식회사 위드라이크 메타버스 환경 기반 공간 스타일링 전문가 및 사용자 매칭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88652B1 (ko) * 2023-11-02 2024-08-05 사단법인 빌딩스마트협회 Bim 도입요소 조합에 의한 통합 컨설팅 서비스 시스템
CN118195509A (zh) * 2024-02-29 2024-06-14 湖南水总水电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水利水电工程施工监控数据管理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9358B1 (ko) 수요자 니즈 기반 3차원 디지털 공간 및 콘텐츠에 대한 라이프사이클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hen et al. Development of city buildings dataset for urban building energy modeling
Bianconi et al. Automated design and modeling for mass-customized housing. A web-based design space catalog for timber structures
Haase et al. Modeling and simulating residential mobility in a shrinking city using an agent-based approach
HosseiniHaghighi et al. Characterizing and structuring urban GIS data for housing stock energy modelling and retrofitting
O'Sullivan Toward micro-scale spatial modeling of gentrification
Latifah et al. Smart building: A literature review
Stumpf et al. Early design energy analysis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technology
Chen et al. Review of the impact of urban parks and green spaces on residence prices in the environmental health context
Dragićević et al. Urban geosimulations with the Logic Scoring of Preference method for agent-based decision-making
Gaha Parametric Architectural Design for a New City Identity: Materials, Environments and New Applications
Chatzinikolaou et al. A semantically enriched and web-based 3D energy model visualization and retrieval for smart building implementation using citygml and dynamizer ade
Dabirian et al. Structuring heterogeneous urban data: A framework to develop the data model for energy simulation of cities
KR102689591B1 (ko) 사용자간 상호작용이 가능한 확장가상공간 기반의 주거통합 공간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Zhang et al. Smart carbon monitoring platform under IoT-Cloud architecture for small cities in B5G
Edtmayer et al. High-resolution, spatial thermal energy demand analysis and workflow for a city district
Forbes et 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Xin et al. Towards cultural heritage digital twin: concept, characteristics, framework and applications
Dong et al. 5G virtual reality in the design and dissemination of contemporary urban image system under the background of big data
Chen A Data‐Driven Intelligent System for Assistive Design of Interior Environments
Andritsou et al. Merging BIM, Land Use and 2D Cadastral Maps into a Digital Twin Fit—For—Purpose Geospatial Infrastructure
Omrany et al. The Use of City Information Modelling (CIM) for Realizing Zero Energy Community: A Path Towards Carbon Neutrality
Baiardi et al. The integrated project for the redevelopment of a historic building: an example of BIM and IoT integration to manage the comfort of the building
Ying Assessment of 2D and 3D methods for property valuation using remote sensing data at the neighbourhood scale in Xi'an, China
He et al. AI-driven BIM on the clou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