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7373B1 - Nft 기반 전자책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Nft 기반 전자책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7373B1
KR102467373B1 KR1020220098316A KR20220098316A KR102467373B1 KR 102467373 B1 KR102467373 B1 KR 102467373B1 KR 1020220098316 A KR1020220098316 A KR 1020220098316A KR 20220098316 A KR20220098316 A KR 20220098316A KR 102467373 B1 KR102467373 B1 KR 102467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nft
information
sales
s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8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7373B9 (ko
Inventor
김미영
Original Assignee
김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영 filed Critical 김미영
Priority to KR1020220098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3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373B1/ko
Publication of KR102467373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373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자책의 NFT 발급을 위한 전자책의 제목, 원고, 대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책 등록 정보를 획득하고, 전자책 등록 정보로부터 전자책의 NFT에 대한 판매 가격을 결정하고, 판매 가격 및 전자책 등록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책의 NFT를 발급하고, 발급된 전자책의 NFT에 대한 NFT 발급 정보를 생성하고, NFT 발급 정보를 NFT 거래 사이트에 등록하고, 전자책의 NFT를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의 구매자 단말로부터 전자책의 NFT에 대한 구매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구매 요청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책의 NFT를 판매할 판매 비율을 설정하고, NFT 발급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NFT 기반 전자책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NFT-BASED E-BOOK TRANSACTION BROKERAGE SERVICE}
아래 실시예들은 기술에 NFT 기반 전자책 거래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디지털 재화에 고유한 값을 부여함으로써 해당 재화에 대한 소유권이 생기게 되는 NFT(Non-Fungible Token, 대체불가능토큰) 관련 상품들이 증가하고 있다. NFT는 디지털 환경에서 재화에 대한 고유성 및 소유권에 대한 확보를 통해 가치 상승, 거래 투명성 확보 등 다양한 활용이 기대되고 있다. 최근에는, 각종 디지털 기반 예술작품에 NFT를 부여한 파일이 높은 가격에 거래되면서 소비자 및 사업자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오프라인에서 주로 종이책의 형태로 판매되던 책 역시, 전자책의 형태로 제작되어 유통되고 있다. 전자책을 NFT화시킴으로써, 읽을 권리 뿐 아니라 전자책을 소유하여, 전자책의 무단 복제를 방지하고, 전자책의 소유권을 투명하게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는 NFT 기반 전자책 거래 중개 서비스에 대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43025호 (2021.12.24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45845호(2021.04.28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01693호(2009.01.09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5094호(2016.04.04 공고)
실시예들은 NFT 기반 전자책 거래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은 전자책의 평가 점수를 산출하여, 전자책의 NFT 판매 가격을 결정하고자 한다.
실시예들은 전자책의 NFT를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에 대하여 판매 비율을 설정하고자 한다.
일시예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자책의 NFT 발급을 위한 상기 전자책의 제목, 원고, 대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책 등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전자책 등록 정보로부터 상기 전자책의 NFT에 대한 판매 가격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판매 가격 및 상기 전자책 등록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책의 NFT를 발급하고, 상기 발급된 전자책의 NFT에 대한 NFT 발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NFT 발급 정보를 NFT 거래 사이트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전자책의 NFT를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의 구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전자책의 NFT에 대한 구매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구매 요청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책의 NFT를 판매할 판매 비율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NFT 발급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책 등록 정보는, 상기 전자책의 이름, 출판사, 분량, 출판 일자 및 분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본 정보와, 상기 전자책의 작가 이름, 작가의 경력 기간, 수상 경력 및 작품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작가 정보와, 상기 전자책의 판매량 및 판매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판매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매 가격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본 정보로부터 상기 전자책의 분야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본 가격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기본 가격 정보를 제1 기본 점수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전자책의 분량에 따라 제1 가중치를 생성하고, 상기 출판사에 따라 제2 가중치를 생성하고, 상기 제1 기본 점수에 상기 제1 가중치 및 상기 제2 가중치를 적용하여 제2 기본 점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작가 정보를 이용하여, 작가의 경력 기간이 길수록, 수상 경력이 많을수록 혹은 작품 수가 많을수록 높게 설정되는 작가 점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판매 정보를 이용하여, 판매량이 많을수록 높게 설정되는 판매 점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기본 점수, 상기 작가 점수 및 상기 판매 점수를 합산하여, 상기 전자책의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평가 점수에 따른 NFT 판매 가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산출된 평가 점수에 대응하는 NFT 판매 가격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NFT 판매 가격을 상기 전자책의 NFT에 대한 판매 가격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매 비율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책의 NFT를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의 수가 한 명인 경우, 상기 판매 비율을 1로 설정하고, 상기 전자책의 NFT를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의 수가 여러 명인 경우, 구매자의 개인정보 및 전자책 구매 이력을 포함하는 구매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전자책 구매 이력으로부터 상기 구매자가 전자책을 구매한 횟수인 전자책 구매 횟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구매자의 전자책 구매 이력으로부터 상기 전자책의 분야와 동일한 전자책을 구매한 전자책을 구매한 횟수인 동일 분야 구매 횟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전자책 구매 횟수 및 상기 동일 분야 구매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책의 판매 비율을 0 이상 1 미만의 값 중 하나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판매 비율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상기 구매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전자책의 미리보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미리보기 요청이 승인된 경우, 상기 구매자의 지출 내역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지출 내역으로부터 상기 전자책에 대한 지출 비용이 총 지출 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율인 전자책 지출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지출 내역으로부터 상기 NFT에 대한 지출 비용이 상기 총 지출 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율인 NFT 지출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전자책 지출 비율 및 상기 NFT 지출 비율을 기반으로, 상기 구매자의 관심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관심도로부터 상기 전자책을 미리보기할 수 있는 미리보기 비율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책에 상기 미리보기 비율을 적용하여 미리보기용 전자책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미리보기용 전자책을 상기 구매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FT 발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책이 한정 판매 작품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한정 판매 수량을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매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한 뒤, 상기 구매 요청 정보와 상기 한정 판매 수량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한정 판매 수량 이하의 구매 요청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구매 요청 정보를 승인하는 단계; 상기 한정 판매 수량 초과의 구매 요청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구매자 정보로부터 구매자의 우선 순위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자의 우선 순위와 상기 한정 판매 수량을 비교하여 구매가 가능한 구매자의 구매자 단말로 한정 구매 가능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책의 요약 정보를 표시한 요약 콘텐츠의 마지막 시점인 제1 시점의 영상 이미지를 제1 이미지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미지에서 배경이 차지하고 있는 영역을 제1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제1 영역이 있는 부분을 분할하여 제1-1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1 이미지에 출연자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1 이미지에서 출연자가 차지하고 있는 영역을 제2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요약 콘텐츠를 상기 제1 시점으로부터 시간상 역순으로 재생하여 분석한 결과, 제1-1 시점에 상기 제2 영역 내에 상기 출연자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요약 콘텐츠에서 상기 제1-1 시점의 영상 이미지를 제2 이미지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2 이미지에서 상기 제2 영역이 있는 부분을 분할하여 제2-1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1 이미지에서 상기 제2 영역이 있는 부분을 상기 제2-1 이미지로 교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NFT 기반 전자책 거래 중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전자책의 평가 점수를 산출하여, 전자책의 NFT 판매 가격을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전자책의 NFT를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에 대하여 판매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 전자책 거래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책의 NFT에 대한 판매 가격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판매 비율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책의 미리보기 비율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한정 판매 작품을 판매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시점의 영상 이미지에서 출연자를 삭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출연자가 있는 영역이 다른 이미지로 교체된 제1-1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대체 불가 토큰(NFT, Non-Fungible Token)이란 하나의 토큰을 다른 토큰으로 대체하는 것이 불가능한 암호화폐로서 여러 차례의 거래 이후에도 고유 식별 코드가 변하지 않고 식별될 수 있도록 콘텐츠에 고유 아이디와 메타데이터 정보를 할당한 자산일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한 사용자 단말(10), 구매자 단말(20) 및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이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서버와 서버 간의 통신과 서버와 단말 간의 통신이 수행되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책의 NFT를 판매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은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달리 채용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장치(30)와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장치(3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운영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되거나, 장치(3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개발·배포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웹 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장치(30)와 연동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장치(3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 애플리케이션을 등을 통해 장치(30)에 접속할 수 있다.
청구항에 기재된 단수의 표현은 복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구항의 사용자는 하나의 사용자 또는 둘 이상의 사용자를 지칭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20)은 전자책의 NFT를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가 사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구매자 단말(20)은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매자 단말(20)은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달리 채용될 수도 있다.
구매자 단말(20)은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매자 단말(20)은 장치(30)와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매자 단말(20)은 장치(3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운영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되거나, 장치(3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개발·배포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구매자 단말(20)은 웹 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장치(30)와 연동될 수 있다.
구매자 단말(20)은 장치(3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 애플리케이션을 등을 통해 장치(30)에 접속할 수 있다.
장치(30)는 장치(3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보유한 자체 서버일수도 있고, 클라우드 서버일 수도 있고, 분산된 노드(node)들의 p2p(peer-to-peer) 집합일 수도 있다. 장치(30)는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30)는 사용자 단말(10) 및 구매자 단말(20)과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 및 구매자 단말(20)의 동작을 제어하고, 사용자 단말(10) 및 구매자 단말(20)의 화면에 어느 정보를 표시할 것인지에 대해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는 사용자 단말(10) 및 구매자 단말(20)만을 도시하였으나, 단말들의 수는 실시예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장치(30)의 처리 용량이 허용하는 한, 단말들의 수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장치(30)는 NFT 기반 전자책 거래 중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 내에는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장치(30)와 별도로 데이터베이스가 구성될 수 있다. 장치(30)는 기계 학습 알고리즘의 수행을 위한 다수의 인공 신경망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30)는 NFT 기반 전자책 거래 중개 서비스를 위한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해당 플랫폼을 통해 전자책의 거래 히스토리를 관리하고, 사용자의 전자책을 NFT화하고, NFT의 거래를 위한 마켓 플레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플랫폼에 있어서, 각 노드들은 암호화된 P2P 네트워크로서 동작하며, 이른바 '블록'이라고 하는 각 자산들의 거래 기록들이 분산 원장에서의 암호화된 해시 함수를 통해 연결되어, 상호간 연결된 이른바 '블록체인'을 형성한다. 블록체인에 있어서의 각각의 블록은 각각의 거래의 유효성을 피어 장치들을 통해 인증된 디지털 자산의 거래 기록을 포함하고 있다. 암호화되고 탈중앙화된 컴퓨팅 기술들이 자산의 거래에 대한 검증과 인증을 식별하는데 사용되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플랫폼에 등록된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들의 복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인증된 소유자에게는 개인 키(private key)가 제공될 수 있고, 개인 키는 네트워크 상에서 자산이 위치한 곳을 가리키거나 파일이 해독 또는 재구성되는 방법을 지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암호 화폐로 사용되고 있는 대체가능한 토큰(Fungible Token)은 하나의 토큰을 다른 토큰으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한 토큰을 말한다. 대체가능한 토큰은 매 토큰이 유일성을 가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대체가능한 토큰의 상호간 호환이 된다. 현재 절대 다수의 암호 화폐는 거래, 계량 단위, 또는 가치 저장을 할 수 있도록 대체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 네트워크 상의 ERC-20은 대체가능한 토큰이다.
반면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대체불가능한 토큰(Non-Fungible Token; NFT)은 그 진위를 영구하게 기록하는 고유 비트로 인증된 디지털 자산으로서, 이더리움과 같은 암호 화폐의 기반이 되는 분산 원장 시스템인 블록체인에 저장된다.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토큰화(또는 자산화)했다는 점에서는 대체가능한 암호 화폐와 유사한 면이 있지만, 암호 화폐는 현실의 화폐처럼 누구나 통용할 수 있는 반면, NFT는 각각의 디지털 자산이 고유한 인식 값을 갖고 있기 때문에 대체불가능한 특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NFT는 블록체인 기술의 특성상 한 번 생성되면 삭제하거나 위조할 수가 없고 소유권과 거래 이력이 명시되므로 일종의 디지털 인증서 및 소유권 증명서와 같이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 네트워크 상의 ERC-721은 대체불가능한 토큰(NFT)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 전자책 거래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S201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전자책의 NFT 발급을 위한 전자책 등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전자책 등록 정보는 전자책의 제목, 원고, 대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202 단계에서, 장치(30)는 전자책 등록 정보로부터 전자책의 NFT에 대한 판매 가격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판매 가격을 결정하는 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S203 단계에서, 장치(30)는 판매 가격 및 전자책 등록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책의 NFT를 발급하고, 발급된 전자책의 NFT에 대한 NFT 발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NFT를 발급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은 전자책에 대한 제목, 원고 및 대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책 등록 정보에 대한 NFT를 발행하는 것으로, NFT를 발급하는 과정에서 NFT 발행을 위한 소정의 수수료가 청구될 수 있다.
이때, NFT 발급 정보는 전자책의 제목, 원고, 대표 이미지, 요약 정보, 전자책에 대한 설명, 작가, NFT의 가격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장치(30)는 전자책의 NFT를 발행하여, NFT발급 정보를 생성할 때, 전자책의 NFT를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의 생성은, 주소, 공개 키(public key) 및 개인 키(private key) 페어를 갖는, 암호화된 고유의 디지털 자산 코드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에는, 이미지에 부여되어 있는 고유한 번호인 식별자가 포함된다. 따라서,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은 이미지와 일대일로 매칭될 수 있다.
S204 단계에서, 장치(30)는 NFT 발급 정보를 NFT 거래 사이트에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장치(30)는 NFT 발급 정보를 NFT 거래 사이트에 등록함으로써, 전자책의 NFT가 거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치(30)는 NFT 거래 사이트를 제공하는 서버와 연결되어 있거나, NFT 거래 사이트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장치(30)는 NFT의 발급 정보를 NFT 거래 사이트에 등록하고, 사용자 단말(10) 및 구매자 단말(20)을 통해 NFT가 거래될 때마다 거래된 NFT의 발급 정보에 대한 거래 히스토리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S205 단계에서, 장치(30)는 전자책의 NFT를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의 구매자 단말(20)로부터 전자책의 NFT에 대한 구매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206 단계에서, 장치(30)는 구매 요청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책의 NFT를 판매할 판매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판매 비율을 설정하는 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S207 단계에서, 장치(30)는 NFT 발급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는 NFT의 발급 정보를 NFT 거래 사이트에 등록하고, 사용자 단말(10) 및 구매자 단말(20)을 통해 NFT가 거래될 때마다 거래된 NFT의 발급 정보에 대한 거래 히스토리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NFT 발급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책의 NFT에 대한 판매 가격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책 등록 정보는 전자책의 기본 정보, 작가 정보 및 판매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본 정보는 전자책의 이름, 출판사, 분량, 출판 일자 및 분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작가 정보는 전자책의 이름, 출판사, 분량, 출판 일자 및 분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판매 정보는 전자책의 판매량 및 판매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S301 단계에서, 장치(30)는 기본 정보로부터 전자책의 분야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본 가격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책의 분야가 인문, 소설, 자기계발, 경제/경영 및 과학인 경우, 전자책의 분야에 따라 기본 가격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인문 8,000원, 소설 8,500원, 자기계발 9,000원, 경제/경영 9,500원 및 과학 10,000원으로 미리 기본 가격이 설정된 경우, 장치(30)는 데이터베이스에 전자책의 각 분야에 대응하는 기본 가격을 저장하고, 전자책의 분야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본 가격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책의 분야가 과학인 경우, 장치(30)는 전자책의 기본 가격 정보를 10,000원으로 추출할 수 있다.
S302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기본 점수 및 제2 기본 점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는 전자책의 분야에 따라 추출된 기본 가격 정보를 제1 기본 점수로 설정할 수 있다.
장치(30)는 전자책의 분량에 따라 제1 가중치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30)는 전자책의 분량이 많을수록 제1 가중치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가중치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장치(30)는 출판사에 따라 제2 가중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가중치는 출판사의 저명한 정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판사의 저명한 정도는 출판사의 검색 노출 건수, 출판된 도서의 건수, 책의 분야의 다양성이 높을수록 출판사의 저명한 정도가 높게 설정될 수 있으며, 장치(30)는 출판사의 저명한 정도에 비례하여 제2 가중치를 생성할 수 있다.
S303 단계에서, 장치(30)는 작가 정보를 이용하여, 작가 점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작가 점수는 작가의 경력 기간이 길수록, 수상 경력이 많을수록 혹은 작품 수가 많을수록 높게 설정될 수 있다.
S304 단계에서, 장치(30)는 판매 정보를 이용하여, 판매 점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판매 점수는 판매량이 많을수록 높게 설정될 수 있다.
S305 단계에서, 장치(30)는 제2 기본 점수, 작가 점수 및 판매 점수를 합산하여, 전자책의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S306 단계에서, 장치(30)는 미리 설정된 평가 점수에 따른 NFT 판매 가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산출된 평가 점수에 대응하는 NFT 판매 가격을 추출할 수 있다.
장치(30)는 데이터베이스에 전자책의 평가 점수에 대응하는 NTF 판매 가격을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전자책의 평가 점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NFT 판매 가격을 추출할 수 있다.
S307 단계에서, 장치(30)는 추출된 NFT 판매 가격을 전자책의 NFT에 대한 판매 가격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판매 비율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S401 단계에서, 장치(30)는 전자책의 NFT를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의 수가 한 명인지, 여러 명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는 미리 설정 가능한 판매 기간 동안 구매를 희망하는 구매자가 몇 명인지 확인할 수 있다.
S402 단계에서, 구매자의 수가 한 명인 경우, 장치(30)는 판매 비율을 1로 설정할 수 있다.
S403 단계에서, 구매자의 수가 여러 명인 경우, 장치(30)는 구매자의 개인정보 및 전자책 구매 이력을 포함하는 구매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구매자의 개인 정보는 구매자의 이름, 나이, 성별 및 연락처 등을 포함하고, 전자책 구매 이력은 구매한 전자책의 제목, 개수, 분야, 선호하는 작가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S404 단계에서, 장치(30)는 전자책 구매 이력으로부터 전자책 구매 횟수 및 동일 분야 구매 횟수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전자책 구매 횟수는 구매자가 전자책을 구매한 횟수를 의미하고, 동일 분야 구매 횟수는 전자책의 분야와 동일한 전자책을 구매한 전자책을 구매한 횟수를 의미할 수 있다.
S405 단계에서, 장치(30)는 전자책 구매 횟수 및 동일 분야 구매 횟수에 기초하여, 전자책의 판매 비율을 0 이상 1 미만의 값 중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는 구매자가 여러 명인 경우, 각각의 구매자에게 설정되는 판매 비율의 합이 1이 되도록 판매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S406 단계에서, 장치(30)는 설정된 판매 비율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구매자 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책의 미리보기 비율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S501 단계에서, 장치(30)는 구매자 단말(20)로부터 전자책의 미리보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책의 미리 보기 요청은 전자책의 NFT를 구매하기 위하여 전자책의 내용을 파악하고 구매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미리보기 비율에 따라 전자책을 열람하는 것을 요청하는 것이다.
S502 단계에서, 장치(30)는 미리보기 요청이 승인된 경우, 구매자의 지출 내역을 획득할 수 있다.
S503 단계에서, 장치(30)는 지출 내역으로부터 전자책 지출 비율 및 NFT 지출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전자책 지출 비율은 전자책에 대한 지출 비용이 총 지출 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하고, NFT 지출 비율은 NFT에 대한 지출 비용이 총 지출 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의 총 지출 비용이 50만원이고, 전자책에 대한 지출 비용이 10만원이고, NFT에 대한 지출 비용이 20만원인 경우, 장치(30)는 전자책 지출 비율을 20%, NFT 지출 비율을 40%으로 산출할 수 있다.
S504 단계에서, 장치(30)는 전자책 지출 비율 및 NFT 지출 비율을 기반으로, 구매자의 관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책 지출 비율이 20%, NFT 지출 비율이 60%인 경우, 장치(30)는 구매자의 관심도를 전자책 지출 비율 및 NFT 지출 비율의 평균 값인 40으로 산출할 수 있다. 구매자의 관심도를 산출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산출 방법에 의해서도 구매도가 산출될 수 있다.
S505 단계에서, 장치(30)는 관심도로부터 전자책을 미리보기할 수 있는 미리보기 비율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심도가 40인 경우, 장치(30)는 미리보기 비율을 40%로 생성할 수 있다.
S506 단계에서, 장치(30)는 전자책에 미리보기 비율을 적용하여 미리보기용 전자책을 생성하고, 생성된 미리보기용 전자책을 구매자 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보기 비율이 40%인 경우, 장치(30)는 전자책의 40%를 열람할 수 있도록 설정된 미리보기용 전자책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미리보기용 전자책을 구매자 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한정 판매 작품을 판매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S601 단계에서, 장치(30)는 전자책이 한정 판매 작품으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 단말(10)로부터 한정 판매 수량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NFT 발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전자책이 한정 판매 작품으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 단말(10)로부터 한정 판매 수량을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602 단계에서, 장치(30)는 구매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한 뒤, 구매 요청 정보와 한정 판매 수량을 비교할 수 있다.
S603 단계에서, 장치(30)는 한정 판매 수량 이하의 구매 요청 정보가 수신된 경우, 구매 요청 정보를 승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정 판매 수량이 10개이고, 수신된 구매 요청 정보의 개수가 8개인 경우, 장치(30)는 구매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구매자의 구매 요청 정보를 승인할 수 있다.
S604 단계에서, 장치(30)는 한정 판매 수량 초과의 구매 요청 정보가 수신된 경우, 구매자 정보로부터 구매자의 우선 순위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정 판매 수량이 10개이고, 수신된 구매 요청 정보의 개수가 15개인 경우, 장치(30)는 구매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구매자에 대하여, 구매자 정보로부터 구매자의 우선 순위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30)는 구매자 정보의 전자책 구매 이력으로부터 구매자의 전자책 구매 횟수를 추출하고, 구매자의 전자책 구매 횟수를 정렬하여 구매자의 우선 순위를 생성할 수도 있다.
S605 단계에서, 장치(30)는 구매자의 우선 순위와 한정 판매 수량을 비교하여 구매가 가능한 구매자의 구매자 단말로 한정 구매 가능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한정 판매 수량이 10개인 경우, 장치(30)는 구매자의 우선 순위가 10위 내에 있는 구매자를 구매가 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구매가 가능하다고 판단된 구매자의 구매자 단말(20)로 한정 구매 가능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한정 구매 가능 메시지는 한정 판매 작품으로 설정된 전자책의 NFT에 대하여 구매가 가능하다고 안내하는 것에 대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시점의 영상 이미지에서 출연자를 삭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출연자가 있는 영역이 다른 이미지로 교체된 제1-1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S701 단계에서, 장치(30)는 전자책의 요약 정보를 표시한 요약 콘텐츠의 마지막 시점인 제1 시점의 영상 이미지를 제1 이미지로 추출할 수 있다. 즉, 장치(30)는 요약 콘텐츠에서 제1 시점의 영상을 캡처하여, 캡처한 이미지를 제1 이미지로 추출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이미지에서 제1 영역이 있는 부분을 분할하여 제1-1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장치(30)는 제1 이미지에서 배경이 차지하고 있는 영역을 제1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S703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1 이미지에 출연자가 있는 것으로 인식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장치(30)는 제1-1 이미지 상에서 배경 이외에 사람 형태의 객체가 인식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지1-1 이미지에 출연자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출연자는 전자책의 요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생성된 요약 콘텐츠에서 전자책의 요약 정보를 설명하는 인물이거나, 전자책의 내용에 등장하는 주인공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S703 단계에서 제1-1 이미지에 출연자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704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1 이미지에서 출연자가 차지하고 있는 영역을 제2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장치(30)는 제1 이미지에서 제1 영역을 구분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을 통해, 제1-1 이미지에서 제2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S705 단계에서, 장치(30)는 요약 콘텐츠를 제1 시점으로부터 시간상 역순으로 재생하여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요약 콘텐츠가 시간상 역순으로 재생되어 분석되기 때문에, 출연자가 이동한 동선에 대해 역으로 움직이게 된다. 즉, 요약 콘텐츠가 역재생되면, 출연자가 반대로 움직이게 된다
S706 단계에서, 장치(30)는 요약 콘텐츠를 제1 시점으로부터 시간상 역순으로 재생하여 분석한 결과, 제1-1 시점에 제2 영역 내에 출연자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요약 콘텐츠는 제1-1 시점 및 제1 시점 순으로 재생되는데, 장치(30)는 요약 콘텐츠를 제1 시점으로부터 시간상 역순으로 재생하여 제2 영역 내에 있는 출연자가 역으로 움직이는 것을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제2 영역 내에 있는 출연자가 제2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확인되는 시점을 제1-1 시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S707 단계에서, 장치(30)는 요약 콘텐츠에서 제1-1 시점의 영상 이미지를 제2 이미지로 추출할 수 있다. 즉, 장치(30)는 요약 콘텐츠에서 제1-1 시점의 영상을 캡처하여, 캡처한 이미지를 제2 이미지로 추출할 수 있다.
S708 단계에서, 장치(30)는 제2 이미지에서 제2 영역이 있는 부분을 분할하여 제2-1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S709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1 이미지에서 제2 영역이 있는 부분을 제2-1 이미지로 교체할 수 있다.
즉,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30)는 제1-1 이미지(700)에 출연자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제1-1 이미지(700)에서 출연자가 차지하고 있는 영역을 제2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장치(30)는 제2 영역이 사각형의 형태로 구분되도록, 제2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장치(30)는 제1-1 이미지에서 제2 영역이 있는 부분을 삭제하고, 삭제된 위치에 제2-1 이미지를 삽입하여, 제1-1 이미지와 제2-1 이미지가 결합된 제1-1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1-1 이미지에서 제2 영역이 있는 부분이 제2-1 이미지로 교체되어, 제1-1 이미지에 있었던 출연자가 삭제되고, 삭제된 자리에 배경이 추가되어, 제1-1 이미지에서는 더 이상 출연자가 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30)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30)는 프로세서(31) 및 메모리(32)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30)는 상술한 서버 또는 단말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도 1 내지 도 8을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8을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32)는 상술한 방법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상술한 방법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2)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31)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장치(3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1)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32)에 저장될 수 있다. 장치(30)는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

  1.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자책의 NFT 발급을 위한 상기 전자책의 제목, 원고, 대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책 등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전자책 등록 정보로부터 상기 전자책의 NFT에 대한 판매 가격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판매 가격 및 상기 전자책 등록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책의 NFT를 발급하고, 상기 발급된 전자책의 NFT에 대한 NFT 발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NFT 발급 정보를 NFT 거래 사이트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전자책의 NFT를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의 구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전자책의 NFT에 대한 구매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구매 요청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책의 NFT를 판매할 판매 비율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NFT 발급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책 등록 정보는,
    상기 전자책의 이름, 출판사, 분량, 출판 일자 및 분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본 정보와,
    상기 전자책의 작가 이름, 작가의 경력 기간, 수상 경력 및 작품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작가 정보와,
    상기 전자책 등록 정보로부터 상기 전자책의 판매량 및 판매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판매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매 가격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본 정보로부터 상기 전자책의 분야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본 가격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기본 가격 정보를 제1 기본 점수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전자책의 분량에 따라 제1 가중치를 생성하고, 상기 출판사에 따라 제2 가중치를 생성하고, 상기 제1 기본 점수에 상기 제1 가중치 및 상기 제2 가중치를 적용하여 제2 기본 점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작가 정보를 이용하여, 작가의 경력 기간이 길수록, 수상 경력이 많을수록 혹은 작품 수가 많을수록 높게 설정되는 작가 점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판매 정보를 이용하여, 판매량이 많을수록 높게 설정되는 판매 점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기본 점수, 상기 작가 점수 및 상기 판매 점수를 합산하여, 상기 전자책의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평가 점수에 따른 NFT 판매 가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산출된 평가 점수에 대응하는 NFT 판매 가격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NFT 판매 가격을 상기 전자책의 NFT에 대한 판매 가격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NFT 기반 전자책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 비율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책의 NFT를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의 수가 한 명인 경우,
    상기 판매 비율을 1로 설정하고,
    상기 전자책의 NFT를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의 수가 여러 명인 경우,
    구매자의 개인정보 및 전자책 구매 이력을 포함하는 구매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전자책 구매 이력으로부터 상기 구매자가 전자책을 구매한 횟수인 전자책 구매 횟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구매자의 전자책 구매 이력으로부터 상기 전자책의 분야와 동일한 전자책을 구매한 전자책을 구매한 횟수인 동일 분야 구매 횟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전자책 구매 횟수 및 상기 동일 분야 구매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책의 판매 비율을 0 이상 1 미만의 값 중 하나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판매 비율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상기 구매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NFT 기반 전자책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20098316A 2022-08-08 2022-08-08 Nft 기반 전자책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67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316A KR102467373B1 (ko) 2022-08-08 2022-08-08 Nft 기반 전자책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316A KR102467373B1 (ko) 2022-08-08 2022-08-08 Nft 기반 전자책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7373B1 true KR102467373B1 (ko) 2022-11-14
KR102467373B9 KR102467373B9 (ko) 2023-06-14

Family

ID=84043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8316A KR102467373B1 (ko) 2022-08-08 2022-08-08 Nft 기반 전자책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737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849B1 (ko) * 2022-12-22 2023-04-04 이송현 대체불가 토큰(nft) 기반 레시피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102528925B1 (ko) * 2022-11-30 2023-05-03 주식회사 엔터프라이즈블록체인 사용자의 nft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KR102544006B1 (ko) * 2022-11-30 2023-06-15 주식회사 엔터프라이즈블록체인 Nft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US11704732B1 (en) * 2022-07-20 2023-07-18 Assetize SARL System for streamlined assetization of a revenue stream
KR102578227B1 (ko) * 2023-05-02 2023-09-13 (주)에이비스포츠 커스터마이징된 의류 디자인과 연동된 nft 발행 및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58827B1 (ko) * 2022-11-15 2024-04-18 문재완 Nft 기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수목탄소흡수사업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되는 서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693A (ko) 2007-05-11 2009-01-09 비앤지미디어 주식회사 전자책 전자상거래에서 상품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1605094B1 (ko) 2009-11-03 2016-04-04 (주)이지펙스 도서 관련 컨텐츠 데이터의 매매를 중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45845B1 (ko) 2020-10-19 2021-04-28 주식회사 투게더아트 소유권 지분 분할 및 거래가 가능한 예술품 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JP2021189475A (ja) * 2020-05-25 2021-12-13 デジタル・エンターテイメント・アセット 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Digital Entertainment Asset Pte. Ltd.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デジタル著作物取引制御方法
KR102343025B1 (ko) 2021-10-05 2021-12-24 (주) 모로보기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품 거래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693A (ko) 2007-05-11 2009-01-09 비앤지미디어 주식회사 전자책 전자상거래에서 상품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1605094B1 (ko) 2009-11-03 2016-04-04 (주)이지펙스 도서 관련 컨텐츠 데이터의 매매를 중개하는 방법 및 장치
JP2021189475A (ja) * 2020-05-25 2021-12-13 デジタル・エンターテイメント・アセット 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Digital Entertainment Asset Pte. Ltd.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デジタル著作物取引制御方法
KR102245845B1 (ko) 2020-10-19 2021-04-28 주식회사 투게더아트 소유권 지분 분할 및 거래가 가능한 예술품 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102343025B1 (ko) 2021-10-05 2021-12-24 (주) 모로보기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품 거래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04732B1 (en) * 2022-07-20 2023-07-18 Assetize SARL System for streamlined assetization of a revenue stream
KR102658827B1 (ko) * 2022-11-15 2024-04-18 문재완 Nft 기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수목탄소흡수사업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되는 서버
KR102528925B1 (ko) * 2022-11-30 2023-05-03 주식회사 엔터프라이즈블록체인 사용자의 nft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KR102544006B1 (ko) * 2022-11-30 2023-06-15 주식회사 엔터프라이즈블록체인 Nft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2517849B1 (ko) * 2022-12-22 2023-04-04 이송현 대체불가 토큰(nft) 기반 레시피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102578227B1 (ko) * 2023-05-02 2023-09-13 (주)에이비스포츠 커스터마이징된 의류 디자인과 연동된 nft 발행 및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7373B9 (ko) 202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7373B1 (ko) Nft 기반 전자책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110733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리워드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220222364A1 (en) Non-Fungible Token Content Items, Access Controls, and Discovery
CN111902814A (zh) 以基于区块链的文档传递、协作和传播为动力的去中心化的市场和生态系统
US20180232743A1 (en) Online collectable commerce platform using online exhibition roo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220337439A1 (en) Rights-enabled tokens for blockchain applications
JP2022550223A (ja) 分散データレコード
CN109559164B (zh) 优惠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US20190333149A1 (e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a Cryptocurrency-Based Portfolio
US20220076256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etization of fractional segments of an asset
JP2016018408A (ja) 取引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7302799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システムを用いて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利用権利証書を流通させる方法、及び該方法を実行するために媒体に保存された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493442B1 (ko) 사용자 단말기,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를 유통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Umekwudo et al. Blockchain technology for mobile applications recommendation systems
KR20200105379A (ko) 전문가에 의해 생성되는 프로젝트 결과물을 블록체인에 저장된 빅데이터 기반으로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230244761A1 (en) Techniques for providing computer-mediated reality content as digital multimedia experiences via webpage non-fungible tokens
KR20150120046A (ko) 디지털 저작물을 업로드 하는 단말, 디지털 저작물을 관리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들
Lavrova et al. Nft performance and security review
TW202004620A (zh) 基於區塊鏈的數位文件發表系統及其實施方法
KR102319870B1 (ko) 전문가에 의해 생성되는 프로젝트 결과물을 빅데이터 기반으로 관리하여 가상화폐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7316921B2 (ja) 電子資産管理方法、及び電子資産管理装置
KR102465842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nft 3d 캐릭터 거래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41558B1 (ko) 문제 풀이 영상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Magotra et al. Blockchain and its application in non-fungible tokens
KR102608431B1 (ko) 블록체인 기반의 메타버스 부동산 정보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