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025B1 -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품 거래 방법 - Google Patents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품 거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025B1
KR102343025B1 KR1020210131943A KR20210131943A KR102343025B1 KR 102343025 B1 KR102343025 B1 KR 102343025B1 KR 1020210131943 A KR1020210131943 A KR 1020210131943A KR 20210131943 A KR20210131943 A KR 20210131943A KR 102343025 B1 KR102343025 B1 KR 102343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art
management server
fungible
digital
own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1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대현
신광호
송명석
Original Assignee
(주) 모로보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모로보기 filed Critical (주) 모로보기
Priority to KR1020210131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0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 H04L2209/3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Abstract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방법에서,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창작자 단말기로부터 디지털 아트의 원본 파일 및 디지털 아트의 소유권을 분할하는 분할 개수를 포함하는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 스마트 컨트랙트를 사용하여 디지털 아트에 상응하는 고유한 토큰 ID를 갖고 디지털 아트의 창작자의 주소를 소유자 주소로 갖는 분할 개수의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블록체인 상에 생성하고, 창작자 단말기로부터 디지털 아트에 대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매각 개수를 포함하는 경매 요청을 수신하고, 경매 요청에 응답하여 디지털 아트에 대한 매각 개수의 대체 불가능 토큰들에 대해 경매를 등록하고,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로부터 매각 개수의 대체 불가능 토큰들에 대한 입찰 금액을 수신하고,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 중에서 가장 높은 입찰 금액을 전송한 구매자 단말기에 상응하는 구매자를 낙찰자로 결정하고, 스마트 컨트랙트를 사용하여 디지털 아트에 대한 매각 개수의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창작자의 주소로부터 낙찰자의 주소로 전송하고, 매각 개수의 대체 불가능 토큰들의 소유권이 창작자의 주소에서 낙찰자의 주소로 변경된 이력을 블록체인에 저장한다.

Description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품 거래 방법{METHOD OF TRADING DIGITAL ART BASED ON NON-FUNGIBLE TOKEN AND METHOD OF TRADING GOODS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아트(digital art)의 거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을 사용하여 디지털 아트를 거래하는 방법 및 디지털 아트를 활용하여 제조되는 상품을 거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blockchain)은 사용자들 사이에서 발생되는 거래 내역이 네트워크 구성원들 사이에 공유되어 저장되는 디지털 원장(ledger)을 나타낸다.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들 사이에서 발생되는 거래 내역은 과반수가 넘는 사용자들의 합의를 통해 확정되고 확정된 거래 내역은 하나의 블록으로 묶여 블록체인에 저장된다.
블록체인에 연결된 블록에 포함되는 거래 내역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해당 블록 및 해당 블록 이후에 연결된 모든 블록들에 대해 다시 과반수가 넘는 사용자들의 합의를 얻어야 하므로, 블록체인에 저장된 데이터는 실질적으로 위조 또는 변조가 불가능하다.
이와 같이 블록체인에 저장된 거래 내역은 임의로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블록체인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은 매우 높다.
따라서 최근에는 인터넷 상거래 분야, 금융 서비스 분야 등과 같이 사용자들 사이의 거래를 다루는 산업 분야에서 블록체인을 사용하여 거래 내역을 안전하게 저장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블록체인 시스템은 자산을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통해 생성되는 토큰(token) 형태로 관리한다.
토큰은 동일한 타입의 다른 토큰과 교환이 가능한 대체 가능 토큰(Fungible Token)과 토큰마다 고유한 ID를 갖고 있어서 다른 토큰과 교환이 불가능한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체 불가능 토큰은 다른 토큰과 교환이 불가능하다는 고유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특정 자산의 소유권을 안전하게 보장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최근에는 대체 불가능 토큰을 사용하여 특정 자산을 안전하게 거래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을 사용하여 디지털 아트(digital art)를 다양한 방식으로 거래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방법을 이용하여 디지털 아트를 활용하여 제조되는 상품을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방법에서,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창작자 단말기로부터 디지털 아트의 원본 파일 및 상기 디지털 아트의 소유권을 분할하는 분할 개수를 포함하는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사용하여 상기 디지털 아트에 상응하는 고유한 토큰 ID를 갖고 상기 디지털 아트의 창작자의 주소를 소유자 주소로 갖는 상기 분할 개수의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들을 블록체인 상에 생성하고,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창작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의 매각 개수를 포함하는 경매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경매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매각 개수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에 대해 경매를 등록하고,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로부터 상기 매각 개수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에 대한 입찰 금액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 중에서 가장 높은 입찰 금액을 전송한 구매자 단말기에 상응하는 구매자를 낙찰자로 결정하고,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를 사용하여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매각 개수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상기 창작자의 주소로부터 상기 낙찰자의 주소로 전송하고,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매각 개수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의 소유권이 상기 창작자의 주소에서 상기 낙찰자의 주소로 변경된 이력을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등록 요청은 상기 디지털 아트의 명칭 및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설명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분할 개수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상기 블록체인 상에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원본 파일을 상기 블록체인의 외부에 존재하는 파일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디지털 아트의 명칭,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설명, 및 상기 파일 시스템에 저장된 상기 원본 파일에 대한 경로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파일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파일 시스템에 저장된 상기 메타데이터에 대한 경로와 상기 토큰 ID를 서로 연관시켜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등록 요청은 상기 디지털 아트의 명칭,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설명, 및 상기 창작자의 전자서명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분할 개수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상기 블록체인 상에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원본 파일을 상기 블록체인의 외부에 존재하는 파일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원본 파일에 대한 해시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디지털 아트의 명칭,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설명, 상기 창작자의 주소, 상기 창작자의 전자서명, 상기 해시값, 및 상기 파일 시스템에 저장된 상기 원본 파일에 대한 경로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파일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파일 시스템에 저장된 상기 메타데이터에 대한 경로와 상기 토큰 ID를 서로 연관시켜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분할 개수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상기 블록체인 상에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메타데이터에 포함되는 정보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는 ERC-1155 토큰 표준을 따라 작성되어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에 의해 상기 블록체인에 배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경매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매각 개수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에 대해 경매를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창작자의 주소를 소유자 주소로 갖는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의 개수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조회된 개수가 상기 매각 개수보다 적은 경우, 경매 불가 메시지를 상기 창작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조회된 개수가 상기 매각 개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매각 개수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에 대한 온라인 경매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방법은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분할 개수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거래소 서버에 상장하여 상기 분할 개수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에 대한 자유로운 거래를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분할 개수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상기 거래소 서버에 상장하여 상기 분할 개수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에 대한 자유로운 거래를 개시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창작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의 상장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상장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분할 개수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상기 거래소 서버에 상장하는 단계, 상기 거래소 서버가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을 소유하고 있는 복수의 소유자들의 소유자 단말기들로부터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에 대한 매도 가격 및 매도 개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거래소 서버가 상기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로부터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에 대한 매수 가격 및 매수 개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거래소 서버가 상기 매도 가격과 상기 매수 가격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일치하는 매도 가격을 전송한 소유자 단말기에 상응하는 소유자를 매도자로 결정하고, 상기 일치하는 매수 가격을 전송한 구매자 단말기에 상응하는 구매자를 매수자로 결정하고, 상기 매도 개수 및 상기 매수 개수 중에서 작거나 같은 값에 상응하는 개수를 체결 개수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거래소 서버가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를 사용하여 상기 체결 개수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상기 매도자의 주소로부터 상기 매수자의 주소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거래소 서버가 상기 체결 개수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의 소유권이 상기 매도자의 주소에서 상기 매수자의 주소로 변경된 이력을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상품 거래 방법에서,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창작자 단말기로부터 디지털 아트의 원본 파일 및 상기 디지털 아트의 소유권을 분할하는 분할 개수를 포함하는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사용하여 상기 디지털 아트에 상응하는 고유한 토큰 ID를 갖고 상기 디지털 아트의 창작자의 주소를 소유자 주소로 갖는 상기 분할 개수의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들을 블록체인 상에 생성하고,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의 매수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구매자를 매수자로 결정하고,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를 사용하여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 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창작자의 주소로부터 상기 매수자의 주소로 전송하고,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 중의 적어도 일부의 소유권이 상기 창작자의 주소에서 상기 매수자의 주소로 변경된 이력을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디지털 아트를 활용하여 제조되는 실물 상품의 판매를 등록하고,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실물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실물 상품에 대한 구매 계약을 체결하고,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구매 계약에 상응하는 판매 금액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의 운영자의 전자지갑으로 전송하고,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판매 금액 중의 일부를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을 1개 이상 소유하고 있는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의 전자지갑으로 배당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상품 거래 방법은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의 소유자 단말기들과 상기 실물 상품의 상기 판매 금액에 대한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에게 배당할 배당 총액의 비율에 상응하는 배당률에 대해 전자 계약을 체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판매 금액 중의 일부를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을 1개 이상 소유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의 전자지갑으로 배당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판매 금액 중에서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에게 배당할 배당 총액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이 소유하고 있는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의 개수 및 상기 배당 총액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에 대한 배당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판매 금액에서 상기 배당 총액을 차감한 금액은 상기 운영자의 수익으로서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에 유지하고,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에 대해 결정된 상기 배당금을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의 전자지갑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이 소유하고 있는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의 개수 및 상기 배당 총액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에 대한 상기 배당금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분할 개수에 대한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이 소유하고 있는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의 개수의 비율에 상응하는 지분율을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에 대해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배당 총액에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에 대해 결정된 상기 지분율을 곱한 금액을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에 대한 상기 배당금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상품 거래 방법은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창작자의 주소를 소유자 주소로 갖는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의 개수에 무관하게 상기 판매 금액 중의 다른 일부를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창작자의 전자지갑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디지털 아트를 활용하여 제조된 상기 실물 상품의 판매를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사업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디지털 아트를 활용하여 제조되는 상기 실물 상품의 이미지 및 상기 실물 상품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는 디지털 아트 활용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실물 상품의 상기 판매 금액 및 상기 사업자 단말기에 상응하는 사업자가 상기 디지털 아트를 상기 실물 상품의 제조에 활용하는 대가로 상기 운영자에게 지불할 상기 디지털 아트의 사용료에 대해 상기 사업자 단말기와 전자 계약을 체결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실물 상품의 이미지, 상기 실물 상품에 대한 설명, 및 상기 판매 금액을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의 상품 판매 페이지에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판매 금액 중의 일부를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을 1개 이상 소유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의 전자지갑으로 배당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판매 금액 중에서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에게 배당할 배당 총액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이 소유하고 있는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의 개수 및 상기 배당 총액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에 대한 배당금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판매 금액에서 상기 디지털 아트의 사용료를 차감한 금액을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사업자의 전자지갑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디지털 아트의 사용료에서 상기 배당 총액을 차감한 금액은 상기 운영자의 중개 수수료로서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에 유지하고,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에 대해 결정된 상기 배당금을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의 전자지갑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판매 금액 중의 일부를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을 1개 이상 소유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의 전자지갑으로 배당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미리 정해진 배당 주기 동안 상기 실물 상품에 대한 상기 구매 계약이 체결될 때마다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으로 전송되는 상기 판매 금액 중의 일부를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디지털 아트에 상응하는 상기 토큰 ID에 고유한 배당 전자지갑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정해진 배당 주기가 경과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배당 전자지갑에 누적된 금액을 상기 배당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미리 정해진 주기가 경과한 시점에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을 1개 이상 소유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의 전자지갑으로 배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의 상기 매수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구매자를 상기 매수자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창작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의 매각 개수를 포함하는 경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경매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매각 개수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에 대해 경매를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로부터 상기 매각 개수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에 대한 입찰 금액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 중에서 가장 높은 입찰 금액을 전송한 구매자 단말기에 상응하는 구매자를 상기 매수자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의 상기 매수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구매자를 상기 매수자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창작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의 상장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상장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분할 개수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거래소 서버에 상장하는 단계, 상기 거래소 서버가 상기 창작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에 대한 매도 가격 및 매도 개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거래소 서버가 상기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로부터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에 대한 매수 가격 및 매수 개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거래소 서버가 상기 매도 가격과 상기 매수 가격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일치하는 매수 가격을 전송한 구매자 단말기에 상응하는 구매자를 상기 매수자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방법은 디지털 아트의 창작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디지털 아트의 소유권을 원하는 개수로 분할하여 판매할 수 있고, 상기 디지털 아트의 분할 소유권은 사용자들 사이에서 안전하면서도 다양한 방식으로 자유롭게 거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상품 거래 방법은 디지털 아트의 창작자 및 디지털 아트를 분할하여 소유하고 있는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이 상기 디지털 아트의 활용에 대한 대가를 공정하게 배당받을 수 있으므로,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분할 소유권의 거래는 더욱 활성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 기반 디지털 아트(digital art) 거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상품 거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상품 거래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상품 거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상품 거래 방법에 포함되는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디지털 아트를 활용하여 제조되는 실물 상품의 판매를 등록하는 단계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 기반 디지털 아트(digital art) 거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시스템(10)은 블록체인 상에 생성되는 대체 불가능 토큰을 사용하여 그래픽 이미지, 애니메이션 등과 같이 디지털로 창작되는 디지털 아트를 다양한 방식으로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시스템(10)은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 파일 시스템(110), 메인넷(Mainnet)(200), 창작자 단말기(300), 및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400)을 포함한다.
창작자 단말기(300)는 디지털 아트를 창작하여 판매하고자 하는 창작자에 의해 사용되는 단말기를 나타내고,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400)은 상기 창작자에 의해 창작된 상기 디지털 아트를 구매하고자 하는 복수의 구매자들에 의해 사용되는 단말기들을 나타낸다.
도 1의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시스템(10)은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창작자 단말기(30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시스템(10)은 복수의 창작자 단말기(300)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창작자 단말기(300) 및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400) 각각은 특정 종류의 단말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마트폰, 노트북, 개인용 컴퓨터 등과 같이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종류의 전자 통신 장치일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상기 창작자와 상기 구매자 사이에서 상기 디지털 아트의 거래를 중개하는 운영자에 의해 운영된다.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메인넷(200)에 연결되어 메인넷(200)의 노드로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메인넷(200)의 복수의 노드들 사이에 공유되는 블록체인(210)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블록체인(210)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넷(200)은 이더리움(Ethereum) 네트워크에 상응할 수 있다.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디지털 아트 별로 고유한 토큰 ID를 갖는 대체 불가능 토큰을 발행할 수 있는 스마트 컨트랙트(SC)(220)를 작성하여 메인넷(200)의 블록체인(210)에 미리 배포(deploy)할 수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창작자는 상기 디지털 아트를 창작하는 경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를 통해 상기 디지털 아트를 상기 복수의 구매자들에게 판매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창작자는 상기 디지털 아트의 소유권을 분할하여 판매할 수 있으며, 상기 창작자는 상기 디지털 아트의 소유권의 분할 개수를 직접 결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방법은 도 1의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시스템(10)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시스템(10)의 구성 및 동작과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시스템(10)에 의해 수행되는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디지털 아트를 창작하여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를 통해 상기 디지털 아트를 판매하고자 하는 상기 창작자는 창작자 단말기(300)를 통해 상기 디지털 아트의 원본 파일(O_F) 및 상기 디지털 아트의 소유권을 분할하는 분할 개수(D_N)를 포함하는 등록 요청(R_REQ)을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창작자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디지털 아트의 원본 파일(O_F) 및 상기 디지털 아트의 소유권을 분할하는 분할 개수(D_N)를 포함하는 등록 요청(R_REQ)을 수신하는 경우(단계 S100), 블록체인(210)에 배포된 스마트 컨트랙트(220)를 사용하여 상기 디지털 아트에 상응하는 고유한 토큰 ID를 갖고 상기 창작자의 주소를 소유자 주소로 갖는 분할 개수(D_N)의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블록체인(210) 상에 생성할 수 있다(단계 S200).
따라서 창작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등록 요청(R_REQ)에 응답하여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에 의해 블록체인(210) 상에 생성되는 분할 개수(D_N)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 각각의 최초 소유자는 상기 창작자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에 의해 블록체인(210)에 배포되는 스마트 컨트랙트(220)는 ERC-1155 토큰 표준을 따라 작성된 스마트 컨트랙트일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등록 요청(R_REQ)에 응답하여 분할 개수(D_N)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생성하는 경우, 등록 요청(R_REQ)에 포함되는 상기 디지털 아트의 원본 파일(O_F)을 블록체인(210)의 외부에 존재하는 파일 시스템(110)에 저장하고, 상기 디지털 아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M_D)를 생성한 후, 메타데이터(M_D)를 파일 시스템(11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파일 시스템(110)은 분산형 파일 시스템(InterPlanetary File System; IPFS)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창작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등록 요청(R_REQ)은 상기 디지털 아트의 원본 파일(O_F) 및 상기 디지털 아트의 소유권을 분할하는 분할 개수(D_N) 이외에 상기 디지털 아트의 명칭,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설명, 및 상기 창작자의 전자서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등록 요청(R_REQ)에 응답하여 분할 개수(D_N)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생성할 때, 등록 요청(R_REQ)에 포함되는 상기 디지털 아트의 원본 파일(O_F)을 파일 시스템(110)에 저장하고, 원본 파일(O_F)에 대한 해시값을 계산한 후, 상기 디지털 아트의 명칭,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설명, 상기 창작자의 주소, 상기 창작자의 전자서명, 상기 해시값, 및 파일 시스템(110)에 저장된 원본 파일(O_F)에 대한 경로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M_D)를 생성하여 파일 시스템(110)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파일 시스템(110)에 저장된 메타데이터(M_D)에 대한 경로와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의 상기 토큰 ID를 서로 연관시켜 블록체인(21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상기 디지털 아트의 원본 파일(O_F) 및 메타데이터(M_D)에 포함되는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을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추가적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메타데이터(M_D)는 상기 창작자의 주소를 포함하므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창작자가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모든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판매하여 상기 창작자가 소유하는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이 0개가 되는 경우에도,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에 상응하는 상기 디지털 아트를 창작한 사람은 상기 창작자라는 정보는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과 연결되는 메타데이터(M_D)에 지속적으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디지털 아트의 원본 파일(O_F)의 크기는 블록체인(210)의 한 블록에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므로, 상기 디지털 아트의 원본 파일(O_F)과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메타데이터(M_D)를 블록체인(210)에 저장하는 경우, 저장에 많은 시간 및 많은 비용(gas)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아트 거래 시스템(10)에 포함되는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상기 디지털 아트의 원본 파일(O_F)과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메타데이터(M_D)는 블록체인(210)의 외부에 존재하는 파일 시스템(110)에 저장하고, 파일 시스템(110)에 저장된 메타데이터(M_D)에 대한 경로와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의 상기 토큰 ID를 서로 연관시켜 블록체인(210)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원본 파일(O_F) 및 메타데이터(M_D)는 블록체인(210) 외부에 존재하는 파일 시스템(110)에 저장되므로, 디지털 아트 거래 시스템(10)에 포함되는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원본 파일(O_F) 및 메타데이터(M_D)의 저장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원본 파일(O_F) 및 메타데이터(M_D)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으면서도, 파일 시스템(110)에 저장된 메타데이터(M_D)에 대한 경로와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의 상기 토큰 ID는 서로 연관되어 블록체인(210)에 저장되므로, 블록체인(210)에 생성된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과 파일 시스템(110)에 저장된 메타데이터(M_D) 사이의 연결을 명확하게 보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파일 시스템(110)에 저장된 메타데이터(M_D)의 내용이 변경됨으로써 블록체인(210)에 생성되는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과 상기 디지털 아트의 원본 파일(O_F) 사이의 연결이 단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메타데이터(M_D)에 포함되는 정보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블록체인(210)에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메타데이터(M_D)에 포함되는 파일 시스템(110)에 저장된 원본 파일(O_F)에 대한 경로를 블록체인(210)에 추가로 저장함으로써 블록체인(210)에 생성된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과 파일 시스템(110)에 저장된 원본 파일(O_F) 사이의 연결을 보다 강화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가 등록 요청(R_REQ)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분할 개수(D_N)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생성한 이후, 상기 창작자는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사용하여 상기 디지털 아트의 소유권을 분할하여 판매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창작자는 경매 방식으로 상기 디지털 아트의 소유권을 분할하여 판매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창작자 단말기(300)는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분할 개수(D_N)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 중에서 경매를 통해 판매하고자 하는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의 개수에 상응하는 매각 개수(A_N)를 포함하는 경매 요청(A_REQ)을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창작자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의 매각 개수(A_N)를 포함하는 경매 요청(A_REQ)을 수신하는 경우(단계 S300), 경매 요청(A_REQ)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매각 개수(A_N)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에 대해 경매를 등록할 수 있다(단계 S400).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창작자 단말기(300)로부터 경매 요청(A_REQ)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해 생성된 분할 개수(D_N)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 중에서 상기 창작자의 주소를 소유자 주소로 갖는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의 개수를 조회할 수 있다.
상기 조회된 개수가 매각 개수(A_N)보다 적은 경우, 상기 창작자가 현재 소유하고 있는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의 개수보다 많은 개수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경매를 통해 매각하고자 요청한 것이므로,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경매 불가 메시지를 창작자 단말기(300)에 전송하고 매각 개수(A_N)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에 대한 경매를 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반해, 상기 조회된 개수가 매각 개수(A_N)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매각 개수(A_N)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에 대한 온라인 경매를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매각 개수(A_N)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에 대해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400)이 응찰할 수 있는 입찰 화면을 게시함으로써 상기 온라인 경매를 개시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경매가 개시되는 경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400)로부터 매각 개수(A_N)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에 대한 입찰 금액(A_P)을 수신하고,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400) 중에서 가장 높은 입찰 금액(A_P)을 전송한 구매자 단말기에 상응하는 구매자를 낙찰자로 결정할 수 있다(단계 S500).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경매 요청(A_REQ)은 매각 개수(A_N)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에 대한 최저 입찰 금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400)로부터 수신되는 입찰 금액(A_P) 중에서 상기 최저 입찰 금액보다 크거나 같은 입찰 금액(A_P)에 한해 유효한 입찰 금액으로 결정할 수 있고,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400)로부터 수신되는 입찰 금액(A_P) 중에서 상기 유효한 입찰 금액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온라인 경매를 종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낙찰자가 결정되는 경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상기 낙찰자의 구매자 단말기(400)가 전송한 입찰 금액(A_P)을 상기 낙찰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창작자의 전자지갑으로 전송하고, 블록체인(210)에 배포된 스마트 컨트랙트(220)를 사용하여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매각 개수(A_N)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상기 창작자의 주소로부터 상기 낙찰자의 주소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S600).
또한,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매각 개수(A_N)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의 소유권이 상기 창작자의 주소에서 상기 낙찰자의 주소로 변경된 이력을 블록체인(210)에 저장할 수 있다(단계 S700).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매각 개수(A_N)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상기 창작자의 주소로부터 상기 낙찰자의 주소로 전송하는 동작(단계 S600) 및 매각 개수(A_N)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의 소유권이 상기 창작자의 주소에서 상기 낙찰자의 주소로 변경된 이력을 블록체인(210)에 저장하는 동작(단계 S700)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ERC-1155 토큰 표준에 따라 스마트 컨트랙트(220)에 구현되는 TransferSingle 이벤트 또는 TransferBatch 이벤트를 사용하여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매각 개수(A_N)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상기 창작자의 주소에서 상기 낙찰자의 주소로 이전하는 동작 및 매각 개수(A_N)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의 소유권이 상기 창작자의 주소에서 상기 낙찰자의 주소로 변경된 이력을 블록체인(210)에 저장하는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시스템(10)은 거래소 서버(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분할 개수(D_N)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거래소 서버(120)에 상장(going public)하여 분할 개수(D_N)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에 대한 자유로운 거래를 개시할 수 있다(단계 S800).
일 실시예에 있어서, 거래소 서버(120)는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를 운영하는 상기 운영자에 의해 운영될 수 있다.
이하, 상장을 통한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의 거래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창작자 단말기(300)는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의 상장 요청을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창작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상장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분할 개수(D_N)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거래소 서버(120)에 상장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분할 개수(D_N)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이 거래소 서버(120)에 상장되는 경우, 거래소 서버(120)는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을 1개 이상 소유하고 있는 복수의 소유자들의 소유자 단말기들(500)로부터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에 대한 매도 가격(S_P) 및 매도 개수(S_N)를 수신하고,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400)로부터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에 대한 매수 가격(B_P) 및 매수 개수(B_N)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창작자가 아직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을 1개 이상 소유하고 있다면 창작자 단말기(300)도 소유자 단말기(500)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경매 방식을 통해 상기 낙찰자로 결정되어 상기 창작자로부터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을 1개 이상 구매한 구매자의 구매자 단말기(400) 역시 소유자 단말기(500)일 수 있다.
한편, 거래소 서버(120)는 매도 가격(S_P)과 매수 가격(B_P)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일치하는 매도 가격(S_P)을 전송한 소유자 단말기(500)에 상응하는 소유자를 매도자로 결정하고, 상기 일치하는 매수 가격(B_P)을 전송한 구매자 단말기에 상응하는 구매자를 매수자로 결정하고, 매도 개수(S_N) 및 매수 개수(B_N) 중에서 작거나 같은 값에 상응하는 개수를 체결 개수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거래소 서버(120)가 메인넷(200)에 연결되어 메인넷(200)의 노드로서 동작하는 경우, 거래소 서버(120)는 상기 체결 개수에 상기 일치하는 매도 가격(S_P)을 곱한 금액을 상기 매수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매도자의 전자지갑으로 전송하고, 블록체인(210)에 배포된 스마트 컨트랙트(220)를 사용하여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체결 개수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상기 매도자의 주소로부터 상기 매수자의 주소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거래소 서버(120)는 상기 체결 개수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의 소유권이 상기 매도자의 주소에서 상기 매수자의 주소로 변경된 이력을 블록체인(21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거래소 서버(120)는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체결 개수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상기 매도자의 주소로부터 상기 매수자의 주소로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체결 개수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의 소유권이 상기 매도자의 주소에서 상기 매수자의 주소로 변경된 이력을 블록체인(210)에 저장하는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래소 서버(120)는 ERC-1155 토큰 표준에 따라 스마트 컨트랙트(220)에 구현되는 TransferSingle 이벤트 또는 TransferBatch 이벤트를 사용하여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체결 개수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상기 매도자의 주소에서 상기 매수자의 주소로 이전하는 동작 및 상기 체결 개수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의 소유권이 상기 매도자의 주소에서 상기 매수자의 주소로 변경된 이력을 블록체인(210)에 저장하는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거래소 서버(120)는 상기 매도자에 대한 정보, 상기 매수자에 대한 정보, 상기 일치하는 매도 가격(S_P), 및 상기 체결 개수를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에 제공하고,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가 상기 체결 개수에 상기 일치하는 매도 가격(S_P)을 곱한 금액을 상기 매수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매도자의 전자지갑으로 전송하고, 블록체인(210)에 배포된 스마트 컨트랙트(220)를 사용하여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체결 개수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상기 매도자의 주소로부터 상기 매수자의 주소로 전송하고, 상기 체결 개수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의 소유권이 상기 매도자의 주소에서 상기 매수자의 주소로 변경된 이력을 블록체인(210)에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시스템(10) 및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방법은 상기 디지털 아트의 소유권을 상기 디지털 아트에 상응하는 고유한 토큰 ID를 갖는 분할 개수(D_N)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사용하여 관리하므로, 상기 창작자는 선택에 따라 상기 디지털 아트의 소유권을 원하는 개수로 분할하여 판매할 수 있고, 상기 디지털 아트의 분할 소유권은 사용자들 사이에서 안전하면서도 자유롭게 거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상품 거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상품 거래 시스템(20)은 도 1에 도시된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시스템(10)을 사용하여 디지털 아트를 활용하여 제조되는 실물 상품을 안전하게 거래하고, 상기 실물 상품의 판매에 따른 수익을 상기 디지털 아트를 소유한 소유자들에게 안전하면서도 공정하게 분배하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의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상품 거래 시스템(20)은 도 1의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시스템(10)에서 사용자 단말기(600)를 더 포함한다는 사항을 제외하고는 도 1의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시스템(10)과 동일하다.
도 1의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시스템(1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도 1의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시스템(10)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디지털 아트를 활용하여 제조되는 실물 상품의 거래와 관련되는 사항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상품 거래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상품 거래 방법은 도 3의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상품 거래 시스템(20)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4를 참조하여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상품 거래 시스템(20)의 구성 및 동작과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상품 거래 시스템(20)에 의해 수행되는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상품 거래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디지털 아트를 창작하여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를 통해 상기 디지털 아트를 판매하고자 하는 상기 창작자는 창작자 단말기(300)를 통해 상기 디지털 아트의 원본 파일(O_F) 및 상기 디지털 아트의 소유권을 분할하는 분할 개수(D_N)를 포함하는 등록 요청(R_REQ)을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창작자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디지털 아트의 원본 파일(O_F) 및 상기 디지털 아트의 소유권을 분할하는 분할 개수(D_N)를 포함하는 등록 요청(R_REQ)을 수신하는 경우(단계 S100), 블록체인(210)에 배포된 스마트 컨트랙트(220)를 사용하여 상기 디지털 아트에 상응하는 고유한 토큰 ID를 갖고 상기 창작자의 주소를 소유자 주소로 갖는 분할 개수(D_N)의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블록체인(210) 상에 생성할 수 있다(단계 S200).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가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분할 개수(D_N)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40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의 매수 요청에 기초하여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400) 중의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구매자를 매수자로 결정하고(단계 S900), 스마트 컨트랙트(220)를 사용하여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 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창작자의 주소로부터 상기 매수자의 주소로 전송하고(단계 S1000),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 중의 적어도 일부의 소유권이 상기 창작자의 주소에서 상기 매수자의 주소로 변경된 이력을 블록체인(210)에 저장할 수 있다(단계 S1100).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스마트 컨트랙트(220)를 사용하여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 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창작자의 주소로부터 상기 매수자의 주소로 전송하는 동작(단계 S1000) 및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 중의 적어도 일부의 소유권이 상기 창작자의 주소에서 상기 매수자의 주소로 변경된 이력을 블록체인(210)에 저장하는 동작(단계 S1100)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경매 방식으로 상기 매수자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창작자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의 매각 개수(A_N)를 포함하는 경매 요청(A_REQ)을 수신하는 경우, 경매 요청(A_REQ)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매각 개수(A_N)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에 대해 경매를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400)로부터 매각 개수(A_N)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에 대한 입찰 금액(A_P)을 수신하고,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400) 중에서 가장 높은 입찰 금액(A_P)을 전송한 구매자 단말기에 상응하는 구매자를 상기 매수자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상장(going public) 방식으로 상기 매수자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창작자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의 상장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상장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분할 개수(D_N)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거래소 서버(120)에 상장할 수 있다.
이 경우, 거래소 서버(120)는 창작자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에 대한 매도 가격(S_P) 및 매도 개수(S_N)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거래소 서버(120)는 창작자 단말기(300) 이외에도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을 1개 이상 소유하고 있는 복수의 소유자들의 소유자 단말기들(500)로부터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에 대한 매도 가격(S_P) 및 매도 개수(S_N)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경매 방식을 통해 상기 창작자로부터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을 1개 이상 구매한 구매자의 구매자 단말기(400) 역시 소유자 단말기(500)일 수 있다.
한편, 거래소 서버(120)는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400)로부터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에 대한 매수 가격(B_P) 및 매수 개수(B_N)를 수신할 수 있다.
거래소 서버(120)는 매도 가격(S_P)과 매수 가격(B_P)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일치하는 매도 가격(S_P)을 전송한 창작자 단말기(300) 또는 소유자 단말기(500)에 상응하는 소유자를 매도자로 결정하고, 상기 일치하는 매수 가격(B_P)을 전송한 구매자 단말기에 상응하는 구매자를 상기 매수자로 결정할 수 있다.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가 분할 개수(D_N)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사용하여 경매 방식으로 상기 디지털 아트의 소유권을 분할하여 거래하는 방법 및 상장 방식으로 상기 디지털 아트의 소유권을 분할하여 거래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를 운영하는 상기 운영자는 상기 디지털 아트를 활용하여 실물 상품을 기획 및 제조하여 판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지털 아트가 그래픽 이미지인 경우, 상기 운영자는 상기 디지털 아트가 인쇄된 머그잔을 제조하여 판매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운영자는 상기 실물 상품의 판매 금액 중의 일부는 상기 운영자의 수익으로 갖고, 상기 판매 금액 중에서 상기 운영자의 수익을 제외한 나머지는 상기 디지털 아트의 사용에 대한 대가로서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을 1개 이상 소유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에게 배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상기 디지털 아트를 활용하여 제조되는 실물 상품의 판매를 등록할 수 있다(단계 S1200).
예를 들어,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상기 실물 상품의 이미지 및 상기 실물 상품의 상기 판매 금액을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의 상품 판매 페이지에 업로드함으로써 상기 실물 상품의 판매를 등록할 수 있다.
이후,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상기 실물 상품의 구매를 원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60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실물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B_REQ)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600)와 상기 실물 상품에 대한 구매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단계 S1300).
예를 들어,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600)로부터 상기 실물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B_REQ)이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600)가 상기 실물 상품을 상기 판매 금액에 구매하기로 하는 전자 계약을 체결하고, 전자 계약서를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기(600) 사이에 상기 구매 계약이 체결되는 경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상기 구매 계약에 상응하는 상기 판매 금액을 사용자 단말기(600)에 상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의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으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S1400).
이후,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으로 전송된 상기 판매 금액 중의 일부를 상기 디지털 아트의 사용에 대한 대가로서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을 1개 이상 소유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의 전자지갑으로 배당할 수 있다(단계 S1500).
이하,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가 상기 실물 상품의 상기 판매 금액 중의 일부를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의 전자지갑으로 배당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상기 실물 상품에 대한 상기 판매 금액 중에서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에게 배당할 배당 총액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의 소유자 단말기들(500)과 상기 디지털 아트를 활용하여 제조되는 상기 실물 상품의 상기 판매 금액에 대한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에게 배당할 상기 배당 총액의 비율에 상응하는 배당률에 대해 전자 계약을 미리 체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창작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등록 요청(R_REQ)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털 아트에 상응하는 고유한 토큰 ID를 갖는 분할 개수(D_N)의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블록체인(210) 상에 생성할 때, 창작자 단말기(300)와 상기 디지털 아트를 활용하여 제조되는 상기 실물 상품의 상기 판매 금액에 대한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에게 배당할 상기 배당 총액의 비율에 상응하는 상기 배당률에 대해 전자 계약을 미리 체결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상기 실물 상품에 대한 상기 판매 금액에 상기 미리 체결된 전자 계약에 따른 상기 배당률을 곱한 금액을 상기 배당 총액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이 소유하고 있는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의 개수 및 상기 배당 총액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에 대한 배당금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분할 개수(D_N)에 대한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이 소유하고 있는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의 개수의 비율에 상응하는 지분율을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에 대해 결정한 후, 상기 배당 총액에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에 대해 결정된 상기 지분율을 곱한 금액을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에 대한 상기 배당금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상기 실물 상품에 대한 상기 판매 금액에서 상기 배당 총액을 차감한 금액은 상기 운영자의 수익으로서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에 유지하고,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에 대해 결정된 상기 배당금을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의 전자지갑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메타데이터(M_D)는 상기 창작자의 주소를 포함하므로, 상기 창작자가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모든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판매하여 상기 창작자가 소유하는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이 0개가 되는 경우에도,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에 상응하는 상기 디지털 아트를 창작한 사람은 상기 창작자라는 정보는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과 연결되는 메타데이터(M_D)에 지속적으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라서,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상기 창작자가 현재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을 1개 이상 소유하고 있는지 또는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을 모두 판매하여 현재 소유하고 있는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이 0개 인지 여부에 무관하게, 상기 창작자에게도 상기 실물 상품에 대한 상기 판매 금액 중의 일부를 배당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상기 창작자의 주소를 소유자 주소로 갖는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의 개수에 무관하게, 상기 디지털 아트를 활용하여 제조되는 상기 실물 상품이 판매될 때마다 상기 실물 상품에 대한 상기 판매 금액 중의 일부를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창작 대가로서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창작자의 전자지갑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상기 실물 상품에 대한 상기 판매 금액에서 상기 배당 총액 및 상기 창작 대가를 차감한 금액을 상기 운영자의 수익으로서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에 유지할 수 있다.
도 3 및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를 운영하는 상기 운영자는 직접 상기 디지털 아트를 활용하여 상기 실물 상품을 기획 및 제조하여 판매하고, 상기 실물 상품에 대한 상기 판매 금액 중의 일부는 상기 운영자의 수익으로 갖고, 상기 판매 금액 중의 다른 일부는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창작 대가로서 상기 창작자에게 전송하고, 상기 판매 금액 중에서 상기 운영자의 수익 및 상기 창작 대가를 제외한 나머지는 상기 디지털 아트의 사용에 대한 대가로서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을 1개 이상 소유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에게 배당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상품 거래 시스템(20)에 따르면, 상기 운영자가 상기 실물 상품의 판매로 수익을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창작자 및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도 상기 디지털 아트의 활용에 대한 대가를 분배받을 수 있으므로,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분할 소유권의 거래는 보다 활성화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상품 거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상품 거래 시스템(30)은 도 3의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상품 거래 시스템(20)에서 사업자 단말기(700)를 더 포함한다는 사항을 제외하고는 도 3의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상품 거래 시스템(20)과 동일하다.
도 3에 도시된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상품 거래 시스템(20)의 경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를 운영하는 상기 운영자가 직접 상기 디지털 아트를 활용하여 실물 상품을 기획 및 제조하여 판매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데에 반해, 도 3에 도시된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상품 거래 시스템(30)의 경우, 사업자 단말기(700)를 사용하는 사업자가 상기 디지털 아트를 활용하여 실물 상품을 기획 및 제조하여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를 통해 판매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는 차이점이 있다.
도 5의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상품 거래 시스템(30)은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사업자 단말기(70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상품 거래 시스템(30)은 복수의 사업자 단말기(700)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의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상품 거래 시스템(2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도 3의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상품 거래 시스템(20)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사업자 단말기(700)의 동작과 관련되는 사항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상기 디지털 아트를 활용하여 제조되는 실물 상품의 판매를 등록할 수 있다(단계 S1200).
이 때, 상기 실물 상품은 사업자 단말기(700)를 사용하는 상기 사업자가 기획 및 제조하여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를 통해 판매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상품 거래 방법에 포함되는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디지털 아트를 활용하여 제조되는 실물 상품의 판매를 등록하는 단계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에 등록된 상기 디지털 아트를 활용하여 실물 상품을 기획 및 제조하여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를 통해 판매하고자 하는 상기 사업자는 사업자 단말기(700)를 통해 상기 디지털 아트를 활용하여 제조되는 상기 실물 상품의 이미지 및 상기 실물 상품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는 디지털 아트 활용 요청(DAU_REQ)을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단계 S1210).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사업자 단말기(700)로부터 디지털 아트 활용 요청(DAU_REQ)을 수신하는 경우(단계 S1210), 상기 실물 상품에 대한 상기 판매 금액 및 사업자 단말기(700)에 상응하는 상기 사업자가 상기 디지털 아트를 상기 실물 상품의 제조에 활용하는 대가로 상기 운영자에게 지불할 상기 디지털 아트의 사용료에 대해 사업자 단말기(700)와 전자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단계 S1220).
상기 전자 계약 체결이 완료되는 경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상기 실물 상품의 이미지, 상기 실물 상품에 대한 설명, 및 상기 판매 금액을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의 상품 판매 페이지에 업로드함으로써 상기 실물 상품의 판매를 등록할 수 있다(단계 S1230).
이후,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상기 실물 상품의 구매를 원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60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실물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B_REQ)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600)와 상기 실물 상품에 대한 구매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단계 S1300).
예를 들어,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600)로부터 상기 실물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B_REQ)이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600)가 상기 실물 상품을 상기 판매 금액에 구매하기로 하는 전자 계약을 체결하고, 전자 계약서를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기(600) 사이에 상기 구매 계약이 체결되는 경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상기 구매 계약에 상응하는 상기 판매 금액을 사용자 단말기(600)에 상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의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으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S1400).
이후,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으로 전송된 상기 판매 금액 중의 일부를 상기 디지털 아트의 사용에 대한 대가로서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을 1개 이상 소유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의 전자지갑으로 배당할 수 있다(단계 S1500).
이하,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가 상기 실물 상품의 상기 판매 금액 중의 일부를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의 전자지갑으로 배당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상기 실물 상품에 대한 상기 판매 금액 중에서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에게 배당할 배당 총액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의 소유자 단말기들(500)과 상기 디지털 아트를 활용하여 제조되는 상기 실물 상품의 상기 판매 금액에 대한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에게 배당할 상기 배당 총액의 비율에 상응하는 배당률에 대해 전자 계약을 미리 체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창작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등록 요청(R_REQ)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털 아트에 상응하는 고유한 토큰 ID를 갖는 분할 개수(D_N)의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블록체인(210) 상에 생성할 때, 창작자 단말기(300)와 상기 디지털 아트를 활용하여 제조되는 상기 실물 상품의 상기 판매 금액에 대한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에게 배당할 상기 배당 총액의 비율에 상응하는 상기 배당률에 대해 전자 계약을 미리 체결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상기 실물 상품에 대한 상기 판매 금액에 상기 미리 체결된 전자 계약에 따른 상기 배당률을 곱한 금액을 상기 배당 총액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이 소유하고 있는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의 개수 및 상기 배당 총액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에 대한 배당금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분할 개수(D_N)에 대한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이 소유하고 있는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의 개수의 비율에 상응하는 지분율을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에 대해 결정한 후, 상기 배당 총액에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에 대해 결정된 상기 지분율을 곱한 금액을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에 대한 상기 배당금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상기 실물 상품에 대한 상기 판매 금액에서 상기 디지털 아트의 사용료를 차감한 금액을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사업자의 전자지갑으로 전송하고, 상기 디지털 아트의 사용료에서 상기 배당 총액을 차감한 금액은 상기 운영자의 중개 수수료로서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에 유지하고,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에 대해 결정된 상기 배당금을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의 전자지갑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메타데이터(M_D)는 상기 창작자의 주소를 포함하므로, 상기 창작자가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모든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판매하여 상기 창작자가 소유하는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이 0개가 되는 경우에도,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에 상응하는 상기 디지털 아트를 창작한 사람은 상기 창작자라는 정보는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과 연결되는 메타데이터(M_D)에 지속적으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라서,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상기 창작자가 현재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을 1개 이상 소유하고 있는지 또는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을 모두 판매하여 현재 소유하고 있는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이 0개 인지 여부에 무관하게, 상기 창작자에게도 상기 실물 상품에 대한 상기 판매 금액 중의 일부를 배당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상기 창작자의 주소를 소유자 주소로 갖는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의 개수에 무관하게, 상기 디지털 아트를 활용하여 제조되는 상기 실물 상품이 판매될 때마다 상기 디지털 아트의 사용료 중의 일부를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창작 대가로서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창작자의 전자지갑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상기 디지털 아트의 사용료에서 상기 배당 총액 및 상기 창작 대가를 차감한 금액을 상기 운영자의 수익으로서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에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상기 디지털 아트를 활용하여 제조되는 상기 실물 상품이 판매될 때마다 상기 실물 상품에 대한 상기 판매 금액 중의 일부를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의 전자지갑으로 배당하지 않고, 주기적으로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의 전자지갑으로 배당을 실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미리 정해진 배당 주기 동안 상기 실물 상품에 대한 상기 구매 계약이 체결될 때마다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으로 전송되는 상기 판매 금액 중의 일부를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디지털 아트에 상응하는 상기 토큰 ID에 고유한 배당 전자지갑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배당 주기가 경과하는 경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는 상기 배당 전자지갑에 누적된 금액을 상기 배당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미리 정해진 주기가 경과한 시점에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을 1개 이상 소유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의 전자지갑으로 배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상품 거래 시스템(30)은 일반적인 주식에 대한 배당 절차와 유사하게, 상기 실물 상품에 대한 상기 구매 계약이 체결될 때마다 실시간으로 배당을 실시하지 않고, 상기 배당 주기 동안 누적된 금액을 상기 배당 주기가 도래한 시점에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을 1개 이상 소유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에게 배당할 수 있다.
도 5 및 6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상품 거래 시스템(30)은 복수의 사업자들이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에 등록된 상기 디지털 아트를 활용하여 상기 실물 상품을 제조하여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100)를 통해 판매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으므로, 상기 디지털 아트의 활용 빈도는 효과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창작자 및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이 상기 디지털 아트의 활용에 대한 대가로 배당받는 배당금 역시 증가하게 되므로,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분할 소유권의 거래는 더욱 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대체 불가능 토큰을 사용하여 디지털 아트 및 상기 디지털 아트를 활용하여 제조되는 실물 상품을 안전하면서도 다양한 방식으로 거래하는 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시스템
20, 30: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상품 거래 시스템
100: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 110: 파일 시스템
120: 거래소 서버 200: 메인넷
210: 블록체인 220: 스마트 컨트랙트
300: 창작자 단말기 400: 구매자 단말기
500: 소유자 단말기 600: 사용자 단말기
700: 사업자 단말기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창작자 단말기로부터 디지털 아트의 원본 파일 및 상기 디지털 아트의 소유권을 분할하는 분할 개수를 포함하는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사용하여 상기 디지털 아트에 상응하는 고유한 토큰 ID를 갖고 상기 디지털 아트의 창작자의 주소를 소유자 주소로 갖는 상기 분할 개수의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들을 블록체인 상에 생성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의 매수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구매자를 매수자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를 사용하여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 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창작자의 주소로부터 상기 매수자의 주소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 중의 적어도 일부의 소유권이 상기 창작자의 주소에서 상기 매수자의 주소로 변경된 이력을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디지털 아트를 활용하여 제조되는 실물 상품의 판매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실물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실물 상품에 대한 구매 계약을 체결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구매 계약에 상응하는 판매 금액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의 운영자의 전자지갑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판매 금액 중의 일부를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을 1개 이상 소유하고 있는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의 전자지갑으로 배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상품 거래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의 소유자 단말기들과 상기 실물 상품의 상기 판매 금액에 대한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에게 배당할 배당 총액의 비율에 상응하는 배당률에 대해 전자 계약을 체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상품 거래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판매 금액 중의 일부를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을 1개 이상 소유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의 전자지갑으로 배당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판매 금액 중에서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에게 배당할 배당 총액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이 소유하고 있는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의 개수 및 상기 배당 총액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에 대한 배당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판매 금액에서 상기 배당 총액을 차감한 금액은 상기 운영자의 수익으로서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에 유지하고,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에 대해 결정된 상기 배당금을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의 전자지갑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상품 거래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이 소유하고 있는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의 개수 및 상기 배당 총액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에 대한 상기 배당금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분할 개수에 대한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이 소유하고 있는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의 개수의 비율에 상응하는 지분율을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에 대해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배당 총액에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에 대해 결정된 상기 지분율을 곱한 금액을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에 대한 상기 배당금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상품 거래 방법.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창작자의 주소를 소유자 주소로 갖는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의 개수에 무관하게 상기 판매 금액 중의 다른 일부를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창작자의 전자지갑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상품 거래 방법.
  14.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디지털 아트를 활용하여 제조된 상기 실물 상품의 판매를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사업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디지털 아트를 활용하여 제조되는 상기 실물 상품의 이미지 및 상기 실물 상품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는 디지털 아트 활용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실물 상품의 상기 판매 금액 및 상기 사업자 단말기에 상응하는 사업자가 상기 디지털 아트를 상기 실물 상품의 제조에 활용하는 대가로 상기 운영자에게 지불할 상기 디지털 아트의 사용료에 대해 상기 사업자 단말기와 전자 계약을 체결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실물 상품의 이미지, 상기 실물 상품에 대한 설명, 및 상기 판매 금액을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의 상품 판매 페이지에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상품 거래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판매 금액 중의 일부를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을 1개 이상 소유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의 전자지갑으로 배당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판매 금액 중에서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에게 배당할 배당 총액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이 소유하고 있는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의 개수 및 상기 배당 총액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에 대한 배당금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판매 금액에서 상기 디지털 아트의 사용료를 차감한 금액을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사업자의 전자지갑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디지털 아트의 사용료에서 상기 배당 총액을 차감한 금액은 상기 운영자의 중개 수수료로서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에 유지하고,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에 대해 결정된 상기 배당금을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의 전자지갑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상품 거래 방법.
  16.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판매 금액 중의 일부를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을 1개 이상 소유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의 전자지갑으로 배당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미리 정해진 배당 주기 동안 상기 실물 상품에 대한 상기 구매 계약이 체결될 때마다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으로 전송되는 상기 판매 금액 중의 일부를 상기 운영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디지털 아트에 상응하는 상기 토큰 ID에 고유한 배당 전자지갑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정해진 배당 주기가 경과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배당 전자지갑에 누적된 금액을 상기 배당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미리 정해진 주기가 경과한 시점에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을 1개 이상 소유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소유자들 각각의 전자지갑으로 배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상품 거래 방법.
  17.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의 상기 매수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구매자를 상기 매수자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창작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의 매각 개수를 포함하는 경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경매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매각 개수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에 대해 경매를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로부터 상기 매각 개수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에 대한 입찰 금액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 중에서 가장 높은 입찰 금액을 전송한 구매자 단말기에 상응하는 구매자를 상기 매수자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상품 거래 방법.
  18.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의 상기 매수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구매자를 상기 매수자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창작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의 상장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아트 관리 서버가 상기 상장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털 아트에 대한 상기 분할 개수의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들을 거래소 서버에 상장하는 단계;
    상기 거래소 서버가 상기 창작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에 대한 매도 가격 및 매도 개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거래소 서버가 상기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들로부터 상기 대체 불가능 토큰에 대한 매수 가격 및 매수 개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거래소 서버가 상기 매도 가격과 상기 매수 가격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일치하는 매수 가격을 전송한 구매자 단말기에 상응하는 구매자를 상기 매수자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상품 거래 방법.
KR1020210131943A 2021-10-05 2021-10-05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품 거래 방법 KR102343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943A KR102343025B1 (ko) 2021-10-05 2021-10-05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품 거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943A KR102343025B1 (ko) 2021-10-05 2021-10-05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품 거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025B1 true KR102343025B1 (ko) 2021-12-24

Family

ID=79176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1943A KR102343025B1 (ko) 2021-10-05 2021-10-05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품 거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025B1 (ko)

Cited B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581B1 (ko) 2022-02-25 2022-04-21 지성산업 주식회사 인공지능 딥 러닝 적용 nft 기반 이미지 처리 방법과 그 장치
KR102423989B1 (ko) * 2022-05-02 2022-07-22 주식회사 패션에이드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의상 재조합 시스템 및 방법
KR102423623B1 (ko) * 2022-03-14 2022-07-22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메타버스 내에서 미술 작품 전시 및 매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102434834B1 (ko) * 2022-04-14 2022-08-22 (주)엠나인파이브 Nft 스마트 계약 시스템
KR102434606B1 (ko) * 2022-05-26 2022-08-22 (주)커넥 Nft를 활용한 개인 정보의 사용 요금을 정산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434838B1 (ko) * 2022-04-14 2022-08-22 (주)엠나인파이브 하이브리드 nft 마켓 시스템
KR102438846B1 (ko) * 2022-03-15 2022-09-01 클로우플레이크(주) Did 기반 사용자 스타일 정보의 nft 자산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47320B1 (ko) * 2022-01-21 2022-09-26 정경열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47549B1 (ko) 2022-04-07 2022-09-26 주식회사 르호사 Nft 기반 아트워크와 연계된 쥬얼리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51133B1 (ko) * 2022-07-04 2022-10-06 주식회사 더블유더블유디코리아 Nft 기반 언론사 콘텐츠의 거래 및 진위 여부 검증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54861B1 (ko) * 2022-05-23 2022-10-14 주식회사 위딧 복호화 키 기반의 3차원 파일의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102459153B1 (ko) * 2022-05-31 2022-10-25 김인호 Nft 확장파일 제공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467373B1 (ko) 2022-08-08 2022-11-14 김미영 Nft 기반 전자책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71465B1 (ko) 2022-03-14 2022-11-25 이우석 대체불가토큰을 이용한 종자 가치 보전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102473371B1 (ko) * 2022-02-23 2022-12-01 안검성 영상 콘텐츠에 대한 투자 및 소유권을 거래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479195B1 (ko) 2022-03-15 2022-12-21 (주)포위즈시스템 Nft 기반 디지털아트 자가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481592B1 (ko) * 2022-02-28 2022-12-27 주식회사 준 Nft 기반의 디지털 네일아트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491280B1 (ko) * 2022-05-10 2023-01-26 주식회사 메타플로 팝업 영상으로 유저에게 쇼핑 편의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컨텐츠 ip를 nft화하여 유저와 공동으로 소유하여 유저 참여도를 높이는 bnpl 이커머스 플랫폼의 운영방법
KR102495362B1 (ko) * 2022-03-18 2023-02-06 소프트런치주식회사 Nft 기반의 상품의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00458B1 (ko) 2022-03-18 2023-02-16 주식회사 빅스터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nft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자산 마켓 서비스 제공방법
KR102499736B1 (ko) * 2022-06-23 2023-02-17 주식회사 디시에스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메타버스에 기반한 상품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05140B1 (ko) 2022-07-20 2023-03-02 (주)이끌라 이력 관리 보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102517601B1 (ko) * 2021-12-27 2023-04-06 디즈니엔터프라이즈 유한회사 Nft 블록체인을 이용한 디즈니콜라보작품 p2p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19437B1 (ko) * 2022-07-05 2023-04-11 주식회사 쿠돈 Nft 기반 중고명품 조각투자를 위한 가치 평가 시스템
KR102524660B1 (ko) 2022-07-08 2023-04-25 이진기 Nft 기반의 작품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26426B1 (ko) * 2022-03-15 2023-04-27 주식회사 컴패니언즈 Nft를 기반으로 창작물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2534544B1 (ko) * 2022-08-01 2023-05-26 (주)내스타일 대체불가능 토큰(nft)을 이용한 게임 아이템 임대 방법 및 시스템
KR102538095B1 (ko) * 2022-05-13 2023-05-26 이주철 정보열람 활동 보상을 제공하는 e2e 시스템
KR102534418B1 (ko) * 2022-07-22 2023-05-30 주식회사 라이펙스 메타버스상에서의 가상 전자명함 판매 활성화 장치 및 방법
KR102550994B1 (ko) * 2022-08-01 2023-07-04 (주)내스타일 대체불가능 토큰(nft)을 이용한 한시적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 및 시스템
KR102553566B1 (ko) * 2022-02-14 2023-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NFT(NON FUNGIBLE TOKEN) 마켓과 연동된 TV(Television) 플랫폼 및 그 TV 플랫폼의 제어 방법
KR102553458B1 (ko) * 2022-04-04 2023-07-10 전주원 디지털 프린터 작품에 원본성 및 유일성을 보증하는 미술작품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56677B1 (ko) * 2022-06-10 2023-07-17 최화인 디지털 콘텐츠의 보전절차를 이용한 디지털 보험 시스템
WO2023136585A1 (ko) * 2022-01-12 2023-07-20 남기원 블록체인 기반 2차 창작물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110950A (ko) 2022-01-17 2023-07-25 주식회사 인디제이 Nft 거래 중개 플랫폼 장치 및 방법
KR102572638B1 (ko) 2022-06-21 2023-08-29 김대성 아티스트를 위한 디지털 nft 판매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판매 방법
KR102574721B1 (ko) * 2022-04-11 2023-09-06 주식회사 빗썸코리아 Nft 구매 시에 가상자산 거래소를 통해 거래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WO2023177004A1 (ko) * 2022-03-16 2023-09-21 (주) 유에이썬 Nft 기술이 접목된 셀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23177006A1 (ko) * 2022-03-16 2023-09-21 (주) 유에이썬 Nft 기술을 활용한 보상 시스템을 포함하는 셀피 보상 시스템
WO2023177005A1 (ko) * 2022-03-16 2023-09-21 (주) 유에이썬 Nft 및 nft 정보 관리 기술이 접목된 셀피 관리 시스템
WO2023177211A1 (ko) * 2022-03-17 2023-09-21 주식회사 엑티브온 화장품에 관한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3183151A1 (en) * 2022-03-21 2023-09-28 Paypal, Inc. Non-fungible token (nft) purchase and transfer system
KR20230139003A (ko) 2022-03-25 2023-10-05 논스랩 주식회사 Nft 디지털 콘텐츠 접근 제어 시스템 및 디지털 콘텐츠 접근 제어 방법
KR102583739B1 (ko) * 2022-06-27 2023-10-05 (주)컨텍 이벤트 위성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WO2023200024A1 (ko) * 2022-04-12 2023-10-19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콘텐트를 거래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30174478A (ko) 2022-06-21 2023-12-28 김대성 아티스트를 위한 디지털 nft 투표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투표 방법
KR20240022777A (ko) 2022-08-12 2024-02-20 김대성 게임제작사를 위한 디지털 nft 게임 판매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판매 방법
KR20240029587A (ko) 2022-08-24 2024-03-06 주식회사 왈라 대체불가능토큰(nft)을 이용한 스타일링 패션정보 제공 시스템
KR20240050599A (ko) 2022-10-12 2024-04-19 이민영 Nft 기반의 팬덤 커머스 플랫폼 시스템
KR102669469B1 (ko) * 2022-03-16 2024-05-30 (주) 유에이썬 Nft 및 nft 정보 관리 기술이 접목된 셀피 관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567B1 (ko) * 2019-11-11 2021-01-07 주식회사 블루인덱스 블록체인 기반 예술품 거래 데이터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567B1 (ko) * 2019-11-11 2021-01-07 주식회사 블루인덱스 블록체인 기반 예술품 거래 데이터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601B1 (ko) * 2021-12-27 2023-04-06 디즈니엔터프라이즈 유한회사 Nft 블록체인을 이용한 디즈니콜라보작품 p2p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23136585A1 (ko) * 2022-01-12 2023-07-20 남기원 블록체인 기반 2차 창작물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110950A (ko) 2022-01-17 2023-07-25 주식회사 인디제이 Nft 거래 중개 플랫폼 장치 및 방법
KR102447320B1 (ko) * 2022-01-21 2022-09-26 정경열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23153568A1 (ko) * 2022-02-14 2023-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Nft(non fungible token) 마켓과 연동된 tv(television) 플랫폼 및 그 tv 플랫폼의 제어 방법
KR102553566B1 (ko) * 2022-02-14 2023-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NFT(NON FUNGIBLE TOKEN) 마켓과 연동된 TV(Television) 플랫폼 및 그 TV 플랫폼의 제어 방법
KR102473371B1 (ko) * 2022-02-23 2022-12-01 안검성 영상 콘텐츠에 대한 투자 및 소유권을 거래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388581B1 (ko) 2022-02-25 2022-04-21 지성산업 주식회사 인공지능 딥 러닝 적용 nft 기반 이미지 처리 방법과 그 장치
KR102481592B1 (ko) * 2022-02-28 2022-12-27 주식회사 준 Nft 기반의 디지털 네일아트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423623B1 (ko) * 2022-03-14 2022-07-22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메타버스 내에서 미술 작품 전시 및 매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102471465B1 (ko) 2022-03-14 2022-11-25 이우석 대체불가토큰을 이용한 종자 가치 보전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102484554B1 (ko) * 2022-03-14 2023-01-06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메타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KR102438846B1 (ko) * 2022-03-15 2022-09-01 클로우플레이크(주) Did 기반 사용자 스타일 정보의 nft 자산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26426B1 (ko) * 2022-03-15 2023-04-27 주식회사 컴패니언즈 Nft를 기반으로 창작물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2479195B1 (ko) 2022-03-15 2022-12-21 (주)포위즈시스템 Nft 기반 디지털아트 자가생성 장치 및 방법
WO2023177006A1 (ko) * 2022-03-16 2023-09-21 (주) 유에이썬 Nft 기술을 활용한 보상 시스템을 포함하는 셀피 보상 시스템
KR102669469B1 (ko) * 2022-03-16 2024-05-30 (주) 유에이썬 Nft 및 nft 정보 관리 기술이 접목된 셀피 관리 시스템
WO2023177005A1 (ko) * 2022-03-16 2023-09-21 (주) 유에이썬 Nft 및 nft 정보 관리 기술이 접목된 셀피 관리 시스템
WO2023177004A1 (ko) * 2022-03-16 2023-09-21 (주) 유에이썬 Nft 기술이 접목된 셀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23177211A1 (ko) * 2022-03-17 2023-09-21 주식회사 엑티브온 화장품에 관한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95362B1 (ko) * 2022-03-18 2023-02-06 소프트런치주식회사 Nft 기반의 상품의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00458B1 (ko) 2022-03-18 2023-02-16 주식회사 빅스터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nft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자산 마켓 서비스 제공방법
WO2023183151A1 (en) * 2022-03-21 2023-09-28 Paypal, Inc. Non-fungible token (nft) purchase and transfer system
KR20230139003A (ko) 2022-03-25 2023-10-05 논스랩 주식회사 Nft 디지털 콘텐츠 접근 제어 시스템 및 디지털 콘텐츠 접근 제어 방법
KR102553458B1 (ko) * 2022-04-04 2023-07-10 전주원 디지털 프린터 작품에 원본성 및 유일성을 보증하는 미술작품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47549B1 (ko) 2022-04-07 2022-09-26 주식회사 르호사 Nft 기반 아트워크와 연계된 쥬얼리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74721B1 (ko) * 2022-04-11 2023-09-06 주식회사 빗썸코리아 Nft 구매 시에 가상자산 거래소를 통해 거래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WO2023200024A1 (ko) * 2022-04-12 2023-10-19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콘텐트를 거래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434838B1 (ko) * 2022-04-14 2022-08-22 (주)엠나인파이브 하이브리드 nft 마켓 시스템
KR102434834B1 (ko) * 2022-04-14 2022-08-22 (주)엠나인파이브 Nft 스마트 계약 시스템
WO2023214626A1 (ko) * 2022-05-02 2023-11-09 주식회사 패션에이드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의상 재조합 시스템 및 방법
KR102423989B1 (ko) * 2022-05-02 2022-07-22 주식회사 패션에이드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의상 재조합 시스템 및 방법
KR102491280B1 (ko) * 2022-05-10 2023-01-26 주식회사 메타플로 팝업 영상으로 유저에게 쇼핑 편의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컨텐츠 ip를 nft화하여 유저와 공동으로 소유하여 유저 참여도를 높이는 bnpl 이커머스 플랫폼의 운영방법
KR102538095B1 (ko) * 2022-05-13 2023-05-26 이주철 정보열람 활동 보상을 제공하는 e2e 시스템
KR102454861B1 (ko) * 2022-05-23 2022-10-14 주식회사 위딧 복호화 키 기반의 3차원 파일의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102434606B1 (ko) * 2022-05-26 2022-08-22 (주)커넥 Nft를 활용한 개인 정보의 사용 요금을 정산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459153B1 (ko) * 2022-05-31 2022-10-25 김인호 Nft 확장파일 제공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556677B1 (ko) * 2022-06-10 2023-07-17 최화인 디지털 콘텐츠의 보전절차를 이용한 디지털 보험 시스템
KR102572638B1 (ko) 2022-06-21 2023-08-29 김대성 아티스트를 위한 디지털 nft 판매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판매 방법
KR20230174478A (ko) 2022-06-21 2023-12-28 김대성 아티스트를 위한 디지털 nft 투표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투표 방법
KR102499736B1 (ko) * 2022-06-23 2023-02-17 주식회사 디시에스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메타버스에 기반한 상품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83739B1 (ko) * 2022-06-27 2023-10-05 (주)컨텍 이벤트 위성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EP4300341A1 (en) * 2022-06-27 2024-01-03 Contec Co., Ltd. Devices and methods for generating event satellite images
KR102451133B1 (ko) * 2022-07-04 2022-10-06 주식회사 더블유더블유디코리아 Nft 기반 언론사 콘텐츠의 거래 및 진위 여부 검증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19437B1 (ko) * 2022-07-05 2023-04-11 주식회사 쿠돈 Nft 기반 중고명품 조각투자를 위한 가치 평가 시스템
KR102524660B1 (ko) 2022-07-08 2023-04-25 이진기 Nft 기반의 작품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05140B1 (ko) 2022-07-20 2023-03-02 (주)이끌라 이력 관리 보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102534418B1 (ko) * 2022-07-22 2023-05-30 주식회사 라이펙스 메타버스상에서의 가상 전자명함 판매 활성화 장치 및 방법
KR102550994B1 (ko) * 2022-08-01 2023-07-04 (주)내스타일 대체불가능 토큰(nft)을 이용한 한시적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 및 시스템
KR102534544B1 (ko) * 2022-08-01 2023-05-26 (주)내스타일 대체불가능 토큰(nft)을 이용한 게임 아이템 임대 방법 및 시스템
KR102467373B1 (ko) 2022-08-08 2022-11-14 김미영 Nft 기반 전자책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40022777A (ko) 2022-08-12 2024-02-20 김대성 게임제작사를 위한 디지털 nft 게임 판매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판매 방법
KR20240029587A (ko) 2022-08-24 2024-03-06 주식회사 왈라 대체불가능토큰(nft)을 이용한 스타일링 패션정보 제공 시스템
KR20240050599A (ko) 2022-10-12 2024-04-19 이민영 Nft 기반의 팬덤 커머스 플랫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3025B1 (ko)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품 거래 방법
AU2018101194A4 (en) Distributed ledger protocol to incentivize transactional and non-transactional commerce
WO2019222432A1 (en) Real -time buying, selling, and/or trading blockchain-based goods using traditional currency
US11593827B2 (en) Synergy rules for distributed product or service
KR102343615B1 (ko) 예술 작품 거래와 정보 관리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N114096978A (zh) 数字资产管理系统和方法
US202000744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stable cryptocurrency
WO2021226374A1 (en) Incorporating a product in a multi-level marketing system
KR102572638B1 (ko) 아티스트를 위한 디지털 nft 판매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판매 방법
WO2022011302A1 (en) Single line tree creation by a distributor for a product based multi level marketing system
KR20190120474A (ko) 트랜잭션 처리 방법 및 장치
WO2020209056A1 (ja) 作品オーナー権取引管理システム
TW202209222A (zh) 用於多層次行銷之佣金之系統
US11620704B2 (en) Method and GUI for settlement of commodity contracts denominated in commodity contract tokens
CA3179003A1 (en) Multiple transfers of blockchain-based tokens
US20150154694A1 (en) Barter system with a master user
KR102013526B1 (ko) 예술품 대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95223A (ko) 거래소 기반의 디자인 거래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473371B1 (ko) 영상 콘텐츠에 대한 투자 및 소유권을 거래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US20230267450A1 (en) Fractional non-fungible token trading marketplace
TWM626968U (zh) 非同質化代幣管理系統
JP2018163653A (ja) 商取引管理装置、商取引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2167752A (ja) 現実空間に設置されたアート作品の提供方法
KR20230011197A (ko) Nft를 이용한 실제 예술품 거래 방법
KR102638698B1 (ko) 블록체인 기반 리셀 상품 거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