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153B1 - Nft 확장파일 제공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Nft 확장파일 제공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9153B1
KR102459153B1 KR1020220067186A KR20220067186A KR102459153B1 KR 102459153 B1 KR102459153 B1 KR 102459153B1 KR 1020220067186 A KR1020220067186 A KR 1020220067186A KR 20220067186 A KR20220067186 A KR 20220067186A KR 102459153 B1 KR102459153 B1 KR 102459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ft
data
file
extens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7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호
Original Assignee
김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호 filed Critical 김인호
Priority to KR1020220067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91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1File system administration, e.g. details of archiving or snapshots
    • G06F16/116Details of conversion of file system types or forma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1File system administration, e.g. details of archiving or snapshots
    • G06F16/122File system administration, e.g. details of archiving or snapshots using management poli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7Details of further file system functions
    • G06F16/178Techniques for file synchronisation in fil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8File system types
    • G06F16/182Distributed fil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8File system types
    • G06F16/1865Transactional fil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06F16/5854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using shape and object relationshi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Abstract

본 발명은 NFT 확장파일 제공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삭제나 수정이 가능한 NFT 확장파일을 제공할 수 있는 NFT 확장파일 제공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NFT 확장파일 제공시스템은 고객 단말로부터 블록체인 기반의 NFT 데이터에 대한 편집 정보를 전송받는 정보 수집부 및 상기 편집 정보로부터 추출되는 부가 속성 정보와 거래 변동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편집 데이터로 변환 처리하고, 상기 편집 데이터와 상기 NFT 데이터를 통합하여, NFT 확장파일을 생성하는 파일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편집 데이터는 삭제나 수정이 가능한 데이터이고, 상기 NFT 데이터는 삭제나 수정이 불가능한 데이터이다.

Description

NFT 확장파일 제공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NFT EXTENTION FILE PROVID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
본 발명은 NFT 확장파일 제공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삭제나 수정이 가능한 NFT 확장파일을 제공할 수 있는 NFT 확장파일 제공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콘텐츠나 상품 등 다양한 객체들에 대한 자산 가치가 생겨나고, 이를 통해 자산을 관리하거나 투자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과거에 생성된 고대 주화나 예술품과 같은 객체는 실질적인 자산적인 가치를 측정하기 어렵고, 과거에 비해 현 상황에서 자산적인 가치가 급증하여 투자의 대상으로써 관심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은 고대 주화나 예술품과 같은 객체의 경우, 해당 객체의 자산적인 가치를 판단하기 위한 다양한 제3 기관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제3 기관들을 통해 해당 객체의 자산적인 가치가 평가되어 투자를 원하는 고객들에게 안내되고 있다. 또한, 제3 기관들에 의해 판단된 자산적인 가치를 넘어서 해당 객체를 소유하기 위한 경매 절차를 진행하여 자산적인 가치에 상응하는 가격이 결정되기도 한다.
이러한 해당 객체는 자산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어, 타인과의 거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해당 객체를 거래하는 과정에서는 명확한 소유권을 확인 후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블록체인 기반의 NFT(Non-Fungible Token)를 이용하여 해당 객체에 대한 소유권 정보를 검증하거나 거래할 수 있는 기술이나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한편, 블록체인 기반의 NFT 데이터는 삭제나 수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저평가된 NFT 데이터에 새로운 가치를 추가적으로 부여하거나 NFT 데이터에 대한 거래 내역을 기록할 수 있는 요구사항들이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삭제나 수정이 가능한 NFT 확장파일을 제공할 수 있는 NFT 확장파일 제공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삭제나 수정이 불가능한 NFT 데이터에 가치를 부여하기 위한 부가 속성 정보를 부여하고, NFT 데이터에 대한 거래 변동 내역을 기록할 수 있는 NFT 확장파일 제공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저평가된 NFT 데이터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NFT 확장파일 제공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NFT 확장파일 제공시스템은 고객 단말로부터 블록체인 기반의 NFT 데이터에 대한 편집 정보를 전송받는 정보 수집부 및 상기 편집 정보로부터 추출되는 부가 속성 정보와 거래 변동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편집 데이터로 변환 처리하고, 상기 편집 데이터와 상기 NFT 데이터를 통합하여, NFT 확장파일을 생성하는 파일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편집 데이터는 삭제나 수정이 가능한 데이터이고, 상기 NFT 데이터는 삭제나 수정이 불가능한 데이터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가 속성 정보는 상기 NFT 확장파일과 대응하는 콘텐츠원본에 추가적인 그래픽 요소를 부가하기 위한 합성객체 속성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거래 변동 정보는 상기 NFT 데이터에 대한 거래 변동 내역을 기록하기 위한 거래변동이력 데이터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NFT 확장파일은 상기 NFT 데이터, 상기 합성객체 속성 데이터 및 상기 거래변동이력 데이터가 포함된 트랜잭션과 상기 트랜잭션이 암호화된 헤더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일 관리부는 상기 NFT 데이터, 상기 합성객체 속성 데이터, 상기 거래변동이력 데이터 및 비밀키를 이용하여 상기 NFT 확장파일에 상기 트랜잭션을 포함시키며, 상기 비밀키에 대응되는 공개키를 상기 고객 단말에 제공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일 관리부는 각 NFT 확장파일에 평가된 평가금액을 기준으로, 상기 파일 관리부를 통해 생성되는 복수의 NFT 확장파일들로부터 한쌍의 NFT 확장파일을 미리 정의된 방식으로 선별하는 파일 선별부, 상기 한쌍의 NFT 확장파일과 대응하는 각각의 콘텐츠원본에서 인식되는 메인객체의 형상을 관리자 단말에 전송함에 따라 관계 정보를 등록받는 관계 설정부 및 상기 관계 정보에 대응되는 고유 식별 표시자를 생성하여, 상기 한쌍의 NFT 확장파일의 각 편집 데이터에 각각 병합시키는 파일 연동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계 설정부는 상기 각각의 메인객체의 형상을 미리 정의된 객체형상 분류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고, 상기 객체형상 분류카테고리 중 상기 각각의 메인객체의 형상이 속하는 제1 카테고리 및 제2 카테고리를 검색 키워드로 결합하여 웹검색을 수행하여 관련 키워드를 획득하고, 상기 관련 키워드를 상기 한쌍의 NFT 확장파일에 대한 관계 정보로 설정하고, 상기 객체형상 분류카테고리는 각 NFT 확장파일과 대응하는 콘텐츠원보에서 인식되는 일정비율의 픽셀면적을 가진 메인객체의 형상 종류를 나타낸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일 연동부는 상기 관련 키워드에 대응되는 검색이미지를 상기 한쌍의 NFT 확장파일에 대한 고유 식별 표시자로 등록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상기 편집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NFT 확장파일과 대응하는 콘텐츠원본을 구성하는 복수의 객체들을 인식하는 NFT 객체 인식부, 상기 복수의 객체들에 대응되는 객체조합 키워드를 설정하는 키워드설정부 및 상기 객체조합 키워드에 대응되는 객체조합 이미지를 검색하고, 상기 객체조합 이미지에 확인되는 배경 객체를 상기 편집 정보에 대한 추천 속성 데이터로 제안하는 편집정보 추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NFT 데이터에 대한 거래 변동 내역을 기록하여 거래 증명서의 역할을 수행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저평가된 NFT 데이터의 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T 확장파일 제공시스템(10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2a는 도 1의 NFT 데이터에 대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이고, 도 2b는 도 2a의 NFT 미디어데이터에 대한 예를 나타내며, 도 2c는 NFT 확장파일에 대한 예이다.
도 3은 도 1의 파일 관리부(200)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파일 관리부(200)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NFT 확장파일 제공시스템(1000)에 대한 동작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도 3의 파일 관리부(200)에 대한 동작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T 확장파일 제공시스템(10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고, 도 2a는 도 1의 NFT 데이터에 대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이고, 도 2b는 도 2a의 NFT 미디어데이터에 대한 예를 나타내며, 도 2c는 NFT 확장파일에 대한 예이다.
도 1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NFT 확장파일 제공시스템(1000)은 정보 수집부(100)와 파일 관리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정보 수집부(100)는 고객 단말(10)로부터 블록체인 기반의 NFT 데이터에 대한 편집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여기서, NFT 데이터는 블록체인 기반의 NFT가 콘텐츠원본에 발급된 가상자산으로, 삭제나 수정이 불가능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NFT 데이터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NFT 미디어데이터, NFT 계약 및 NFT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NFT 미디어데이터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원본의 출력이미지, 출력이미지에 대한 악세사리나 객체, 타이틀을 나타내는 속성 항목들을 포함하고, NFT 메타데이터는 콘텐츠원본의 발급정보 및 콘텐츠원본이 저장된 웹주소를 포함하며, NFT 계약은 NFT 미디어데이터와 NFT 메타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블록 체인화된 프로그램을 의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파일 관리부(200)는 정보 수집부(100)를 통해 전송받는 편집 정보로부터 추출되는 부가 부가 속성 정보와 거래 변동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편집 데이터로 변환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부가 속성 정보는 NFT 확장파일과 대응하는 콘텐츠원본에 추가적인 그래픽 요소를 부가하기 위한 합성객체 속성 데이터를 포함하고, 거래 변동 정보는 NFT 데이터에 대한 거래 변동 내역을 기록하기 위한 거래변동이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편집 데이터는 삭제나 수정이 가능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파일 관리부(200)는 편집 데이터와 NFT 데이터를 통합하여, NFT 확장파일을 생성하고 이를 고객 단말(1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NFT 확장파일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NFT 데이터, 합성객체 속성 데이터 및 거래변동이력 데이터가 포함된 블록체인 기반의 트랜잭션과 트랜잭션이 암호화된 블록체인 기반의 헤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파일 관리부(200)는 복수의 고객 단말들로부터 전송받는 각 편집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NFT 확장파일들을 생성하고, 복수의 NFT 확장파일들을 각 고객 단말에 제공하는 동시에 저장 DB(300)에 등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파일 관리부(200)는 NFT 데이터, 합성객체 속성 데이터, 거래변동이력 데이터 및 비밀키를 이용하여 NFT 확장파일에 블록체인 기반의 트랜잭션을 포함시키며, 비밀키에 대응되는 공개키를 고객 단말(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도 1의 파일 관리부(200)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파일 관리부(200)는 파일 선별부(210), 관계 설정부(220) 및 파일 연동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파일 선별부(210)는 각 NFT 확장파일에 평가된 평가금액을 기준으로, 파일 관리부(200)를 통해 생성되는 복수의 NFT 확장파일들로부터 한쌍의 NFT 확장파일을 미리 정의된 방식으로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 DB(300)는 파일 관리부(200)를 통해 생성되는 복수의 NFT 확장파일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객체형상 분류카테고리에는 사람, 호랑이, 부엉이, 야구공, 강아지, 게임캐릭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관계 설정부(220)는 한쌍의 NFT 확장파일과 대응하는 각각의 콘텐츠원본에서 인식되는 각각의 메인객체의 형상을 관리자 단말(20)에 전송함에 따라 관계 정보를 등록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관계 설정부(220)는 각각의 메인객체의 형상을 미리 정의된 객체형상 분류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객체형상 분류카테고리는 각 NFT 확장파일과 대응하는 각 콘텐츠원본에서 인식되는 일정비율의 픽셀면적을 가진 메인객체의 형상 종류를 나타낸다.
이때, 관계 설정부(220)는 객체형상 분류카테고리 중 각각의 메인객체의 형상이 속하는 제1 카테고리 및 제2 카테고리를 검색 키워드로 결합하여 웹검색을 수행하여 관련 키워드를 획득하고, 관련 키워드를 한쌍의 NFT 확장파일에 대한 관계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NFT 확장파일의 객체형상 분류카테고리가 "사람"이고, 제2 NFT 확장파일의 객체형상 분류카테고리가 "강아지"인 경우, 관계 설정부(220)는 "사람과 강아지의 관계"를 검색 키워드로 이용하여 "주인-반려동물"인 관련 키워드를 검색하고, 관련 키워드를 제1 및 제2 NFT 확장파일에 대한 관계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파일 연동부(230)는 관계 설정부(220)를 등록받는 관계 정보에 대응되는 고유 식별 표시자를 생성하여, 한쌍의 NFT 확장파일의 편집 데이터에 각각 병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고유 식별 표시자는 NFT 미디어데이터에 마킹되는 특정 코드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파일 연동부(230)는 관련 키워드에 대응되는 검색이미지를 고유 식별 표시자로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련 키워드가 "주인-반려동물"인 경우, 파일 연동부(230)는 주인객체와 반려동물객체가 포함된 검색이미지를 검색하고, 해당 검색이미지를 한쌍의 NFT 확장파일의 고유 식별 표시자로 등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파일 선별부(210)는 어느 하나의 NFT 확장파일을 생성하여 고객 단말(10)에 제공할 때, 해당 NFT 확장파일과 저장 DB(300)로부터 추출된 고유 식별 표시자가 등록되지 않는 다른 하나의 NFT 확장파일 간의 관계 정보에 대한 승인 여부를 고객 단말(10)에 요청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파일 관리부(200)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과 도 4를 참조하면, 정보 수집부(100)는 NFT 객체 인식부(110), 키워드설정부(120) 및 편집정보 추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NFT 객체 인식부(110)는 고객 단말(10)로부터 전송받는 NFT 데이터에 대한 편집 정보에 응답하여, NFT 확장파일과 대응하는 콘텐츠원본을 구성하는 복수의 객체들을 인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NFT 객체 인식부(110)는 NFT 거래소를 통해 확인된 NFT 데이터에 대한 일일 조회수 평균에 기초하여, NFT 데이터를 편집하도록 고객 단말(10)에 알리는 메시지의 전송 주기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일 조회수 평균이 기설정된 조회수 미만인 경우, NFT 객체 인식부(110)는 고객 단말(10)에 알리는 메시지의 전송 주기를 일정 주기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키워드설정부(120)는 복수의 객체들에 대응되는 객체조합 키워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객체들이 남자, 수염, 선글라스 인 경우, 키워드설정부(120)는 객체조합 키워드를 남자, 수염, 선글라스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편집정보 추천부(130)는 객체조합 키워드에 대응되는 객체조합 이미지를 웹서버(301)를 통해 검색하고, 객체조합 이미지에 확인되는 배경 객체를 편집 정보에 대한 추천 속성 데이터로 제안할 수 있다.
이때, 편집정보 추천부(130)는 추천 속성 데이터에 대한 고객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NFT 데이터에서 확인된 원본콘텐츠와 배경 객체를 합성한 보정콘텐츠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편집정보 추천부(130)는 복수의 NFT 확장파일들 중 평가금액이 일정 금액 이상으로 평가된 고평가 NFT 확장파일들에서 확인되는 악세사리 객체정보를 편집 정보에 대한 추천 속성 데이터로 제안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편집정보 추천부(130)는 고객의 취향을 파악하기 위한 복수의 이미지들을 랜덤하게 고객 단말(10)에 제공함에 따라 선택받는 선호 이미지의 메인 색상에 기초하여, 보정콘텐츠에 대한 배경 색상을 보정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색상은 선호 이미지에서 기설정된 픽셀 비율을 가진 색상일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NFT 확장파일 제공시스템(1000)에 대한 동작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S110 단계에서, 정보 수집부(100)는 고객 단말(10)로부터 블록체인 기반의 NFT 데이터에 대한 편집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그런 다음, S120 단계에서, 파일 관리부(200)는 정보 수집부(100)를 통해 전송받는 편집 정보로부터 추출되는 부가 부가 속성 정보와 거래 변동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편집 데이터로 변환 처리할 수 있다.
이후, S130 단계에서, 파일 관리부(200)는 편집 데이터와 NFT 데이터를 통합하여, NFT 확장파일을 생성하고 이를 고객 단말(1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파일 관리부(200)에 대한 동작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S210 단계에서, 파일 선별부(210)는 각 NFT 확장파일에 평가된 평가금액을 기준으로, 파일 관리부(200)를 통해 생성되는 복수의 NFT 확장파일들로부터 한쌍의 NFT 확장파일을 미리 정의된 방식으로 선별할 수 있다.
그런 다음, S220 단계에서, 관계 설정부(220)는 한쌍의 NFT 확장파일에 대응되는 각각의 콘텐츠원본에서 인식되는 각각의 메인객체의 형상을 관리자 단말(20)에 전송함에 따라 관계 정보를 등록받을 수 있다.
이후, S230 단계에서, 파일 연동부(230)는 관계 설정부(220)를 등록받는 관계 정보에 대응되는 고유 식별 표시자를 생성하여, 한쌍의 NFT 확장파일의 각 편집 데이터에 각각 병합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고객 단말
100: 정보 수집부
200: 파일 관리부
1000: NFT 확장파일 제공시스템

Claims (8)

  1. 고객 단말로부터 블록체인 기반의 NFT 데이터에 대한 편집 정보를 전송받는 정보 수집부; 및
    상기 편집 정보로부터 추출되는 부가 속성 정보와 거래 변동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편집 데이터로 변환 처리하고, 상기 편집 데이터와 상기 NFT 데이터를 통합하여, NFT 확장파일을 생성하는 파일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편집 데이터는 삭제나 수정이 가능한 데이터이고, 상기 NFT 데이터는 삭제나 수정이 불가능한 데이터이고,
    상기 파일 관리부는,
    각 NFT 확장파일에 평가된 평가금액을 기준으로, 상기 파일 관리부를 통해 생성되는 복수의 NFT 확장파일들로부터 한쌍의 NFT 확장파일을 미리 정의된 방식으로 선별하는 파일 선별부;
    상기 한쌍의 NFT 확장파일과 대응하는 각각의 콘텐츠원본에서 인식되는 메인객체의 형상을 관리자 단말에 전송함에 따라 관계 정보를 등록받는 관계 설정부; 및
    상기 관계 정보에 대응되는 고유 식별 표시자를 생성하여, 상기 한쌍의 NFT 확장파일의 각 편집 데이터에 각각 병합시키는 파일 연동부를 포함하는,
    NFT 확장파일 제공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속성 정보는 상기 NFT 확장파일과 대응하는 콘텐츠원본에 추가적인 그래픽 요소를 부가하기 위한 합성객체 속성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거래 변동 정보는 상기 NFT 데이터에 대한 거래 변동 내역을 기록하기 위한 거래변동이력 데이터를 포함하는, NFT 확장파일 제공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NFT 확장파일은 상기 NFT 데이터, 상기 합성객체 속성 데이터 및 상기 거래변동이력 데이터가 포함된 트랜잭션과 상기 트랜잭션이 암호화된 헤더를 포함하는, NFT 확장파일 제공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관리부는 상기 NFT 데이터, 상기 합성객체 속성 데이터, 상기 거래변동이력 데이터 및 비밀키를 이용하여 상기 NFT 확장파일에 상기 트랜잭션을 포함시키며, 상기 비밀키에 대응되는 공개키를 상기 고객 단말에 제공하는, NFT 확장파일 제공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 설정부는 상기 각각의 메인객체의 형상을 미리 정의된 객체형상 분류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고,
    상기 객체형상 분류카테고리 중 상기 각각의 메인객체의 형상이 속하는 제1 카테고리 및 제2 카테고리를 검색 키워드로 결합하여 웹검색을 수행하여 관련 키워드를 획득하고, 상기 관련 키워드를 상기 한쌍의 NFT 확장파일에 대한 관계 정보로 설정하고,
    상기 객체형상 분류카테고리는 각 NFT 확장파일과 대응하는 콘텐츠원보에서 인식되는 일정비율의 픽셀면적을 가진 메인객체의 형상 종류를 나타내는, NFT 확장파일 제공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연동부는 상기 관련 키워드에 대응되는 검색이미지를 상기 한쌍의 NFT 확장파일에 대한 고유 식별 표시자로 등록하는, NFT 확장파일 제공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상기 편집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NFT 확장파일과 대응하는 콘텐츠원본을 구성하는 복수의 객체들을 인식하는 NFT 객체 인식부;
    상기 복수의 객체들에 대응되는 객체조합 키워드를 설정하는 키워드설정부; 및
    상기 객체조합 키워드에 대응되는 객체조합 이미지를 검색하고, 상기 객체조합 이미지에 확인되는 배경 객체를 상기 편집 정보에 대한 추천 속성 데이터로 제안하는 편집정보 추천부를 포함하는, NFT 확장파일 제공시스템.
KR1020220067186A 2022-05-31 2022-05-31 Nft 확장파일 제공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459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186A KR102459153B1 (ko) 2022-05-31 2022-05-31 Nft 확장파일 제공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186A KR102459153B1 (ko) 2022-05-31 2022-05-31 Nft 확장파일 제공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9153B1 true KR102459153B1 (ko) 2022-10-25

Family

ID=83803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7186A KR102459153B1 (ko) 2022-05-31 2022-05-31 Nft 확장파일 제공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9153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5062A (ko) * 2013-07-30 2015-02-10 주식회사 케이티 이미지를 추천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90143228A (ko) * 2018-06-20 2019-12-30 주식회사 파수닷컴 추적 식별자를 이용한 객체 관리 방법,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그 기록 매체
KR102199567B1 (ko) * 2019-11-11 2021-01-07 주식회사 블루인덱스 블록체인 기반 예술품 거래 데이터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10006661A (ko) * 2019-07-09 2021-01-19 (사)한국애니메이션제작자협회 지능정보기술기반 애니메이션 콘텐츠 리소스 서비스 시스템
KR20210041458A (ko) * 2019-10-07 2021-04-15 주식회사 블록체인기술연구소 블록체인과 ipfs 기반의 그룹별 데이터 공유 시스템
US20210248214A1 (en) * 2017-02-13 2021-08-12 Tunego, Inc. Tokenized media content management
KR102343025B1 (ko) * 2021-10-05 2021-12-24 (주) 모로보기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품 거래 방법
JP7043672B1 (ja) * 2021-10-08 2022-03-29 チームラボ株式会社 非代替性トークンを利用したコンテンツ出力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388302B1 (ko) * 2021-07-08 2022-04-25 주식회사 와이콘즈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객체의 등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20066823A (ko) * 2020-11-16 2022-05-2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 피싱 방지 시스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5062A (ko) * 2013-07-30 2015-02-10 주식회사 케이티 이미지를 추천하는 장치 및 방법
US20210248214A1 (en) * 2017-02-13 2021-08-12 Tunego, Inc. Tokenized media content management
KR20190143228A (ko) * 2018-06-20 2019-12-30 주식회사 파수닷컴 추적 식별자를 이용한 객체 관리 방법,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그 기록 매체
KR20210006661A (ko) * 2019-07-09 2021-01-19 (사)한국애니메이션제작자협회 지능정보기술기반 애니메이션 콘텐츠 리소스 서비스 시스템
KR20210041458A (ko) * 2019-10-07 2021-04-15 주식회사 블록체인기술연구소 블록체인과 ipfs 기반의 그룹별 데이터 공유 시스템
KR102199567B1 (ko) * 2019-11-11 2021-01-07 주식회사 블루인덱스 블록체인 기반 예술품 거래 데이터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066823A (ko) * 2020-11-16 2022-05-2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 피싱 방지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2388302B1 (ko) * 2021-07-08 2022-04-25 주식회사 와이콘즈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객체의 등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343025B1 (ko) * 2021-10-05 2021-12-24 (주) 모로보기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품 거래 방법
JP7043672B1 (ja) * 2021-10-08 2022-03-29 チームラボ株式会社 非代替性トークンを利用したコンテンツ出力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68252B (zh) 将搜索查询应用到内容集
US20190279240A1 (en) Web content generation and storage via blockchain
US11301939B2 (en) System for generating shareable user interfaces using purchase history data
KR101941200B1 (ko) 아이디어 거래가 가능한 블록체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
US11568394B1 (en) Method for issuing and transacting non-fungible tokens based on time-context data to be used for supporting transactions of historical time slots, and server using the same
US7356512B2 (en) Contents mediating system and contents mediating method
US7702521B2 (en) Method for users of a network to provide other users with access to link relationships between documents
US20080082443A1 (en) Advertisement space auction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2004078953A (ja) 符号化されたリンクを使用するデータリンク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093291B1 (ko)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
KR102476471B1 (ko) 숏폼 비디오 커머스 플랫폼에서 숏폼 비디오의 리뷰영상에 대해 리워드를 지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JP2000067116A (ja) 映画記録媒体の活用方法と映画記録媒体
JP2006338100A (ja) 電子化コンテンツ運用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362836B1 (ko) 웹진 제작과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59153B1 (ko) Nft 확장파일 제공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JP2007310646A (ja) 検索情報管理装置、検索情報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検索情報管理方法
KR20230042884A (ko) 대체 불가 토큰 기반 분할 증권을 관리하기 위한 창작물 권리 관리 서버
KR102216335B1 (ko) 디지털 컨텐츠 플랫폼에서 디지털 컨텐츠 수요자의 요청에 대응되는 특정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JP4435943B2 (ja) 広告情報提供システム
JPH10254745A (ja) 文書管理システム
JP7257172B2 (ja) 通信プログラム、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7270388B2 (ja) レビュー管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2300199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rging a two or more multi-level marketing system into a multi-line multi-level marketing system and integrating a product tree mlm
US20220114683A1 (en) Property management device and property management system
CN110264312A (zh) 用于商品信息推送的方法与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