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3623B1 - 메타버스 내에서 미술 작품 전시 및 매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 Google Patents

메타버스 내에서 미술 작품 전시 및 매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3623B1
KR102423623B1 KR1020220031504A KR20220031504A KR102423623B1 KR 102423623 B1 KR102423623 B1 KR 102423623B1 KR 1020220031504 A KR1020220031504 A KR 1020220031504A KR 20220031504 A KR20220031504 A KR 20220031504A KR 102423623 B1 KR102423623 B1 KR 102423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verse
smart contract
customer
artwork
reques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1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Priority to KR1020220031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623B1/ko
Priority to KR1020220078180A priority patent/KR102484554B1/ko
Priority to KR1020220078204A priority patent/KR20230134399A/ko
Priority to KR1020220078214A priority patent/KR20230134400A/ko
Priority to KR1020220078185A priority patent/KR20230134397A/ko
Priority to KR1020220078189A priority patent/KR20230134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echnology Law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버가 메타버스 내에서 미술 작품 전시 및 매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메타버스 내에서 미술 작품 전시 및 매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METHOD AND SERVER PROVIDING WORK OF ART EXHIBITION AND SALE SERVICE IN METAVERSE}
본 발명은 메타버스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메타버스 내에서 미술 작품 전시 및 매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메타버스(metaverse)는 현실 세계와 같은 사회, 경제, 문화 활동이 이루어지는 3차원 가상세계를 일컫는 용어로, 닐 스티븐슨의 1992년 소설 <소노 크래시>에 처음 등장한 개념이다. 메타버스는 5G 상용화에 따른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과 코로나19 팬더믹에 따른 비대면 추세의 가속화로 인하여 점차 주목받고 있다.
메타버스 관련 기술, 특히 정보 통신 기술 및 블록체인 기술의 발달 내용을 반영하여, 예술 작품의 전시 및 매매 서비스를 메타버스를 통해서 제공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8-217255 A (2008.09.18) 일본공개특허공보 2019-087162 A (2019.06.06) 일본공개특허공보 2005-514682 A (2005.05.19)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메타버스 내에서 미술 작품 전시 및 매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가 메타버스(metaverse) 내에서 미술 작품 전시 및 매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제1 고객의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메타버스 내 가상 이미지 공간(virtual image space)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제1 블록체인 플랫폼 내 복수의 노드(node)들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저작권(copyright)을 나타내는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하기 위한 NFT 생성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고객의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NFT 생성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노드들에 의해 생성된 상기 NFT의 스마트 컨트렉트(smart contract)를 요청(request)하는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request)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노드들에게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의 체결을 위한 스마트 컨트렉트 계정(account)의 생성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가상 이미지 공간 내 가상 미술 전시관의 내부 벽면 중 제1 영역에,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 및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를 배치(place)하는 단계, 제2 고객의 제2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메타버스 내 위치한 상기 제2 고객의 제1 아바타(avatar)로부터,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에 대한 승낙(accept)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기 복수의 노드들로 상기 승낙 정보와 관련된 트랜잭션(transaction) ID (identification)가 전송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계정에서 상기 제1 고객과 상기 제2 고객 간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가상 이미지 공간 내 제2 영역에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되었음을 지시하는 스마트 컨트렉트 체결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노드들은, 상기 제1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하는 외부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외부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는, 상기 NFT를 제2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이용되는 소정 수량(quantity)의 암호화폐와 거래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가 지시하는, 상기 NFT와 거래할 상기 암호화폐의 수량은: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가 생성된 초기 시점에는 상기 소정 수량이고, 상기 초기 시점으로부터 a분(minutes)이 경과한 것을 기반으로, b * (상기 소정 수량)으로 결정되며, 여기서 상기 a는 자연수이고, 상기 b는 0 이상 1 미만의 실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가 지시하는, 상기 NFT와 거래할 상기 암호화폐의 수량은: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가 생성된 초기 시점에는 상기 소정 수량이고, 상기 초기 시점으로부터 c시간(hour)이 경과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과, [(이전 c 시간 동안 상기 가상 미술 전시관에 전시된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상기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의 수)}] 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결정되며, 여기서 상기 c는 자연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특정 고객의 제2 아바타가, 상기 가상 미술 전시관에 전시된 특정 미술 작품 이미지로부터 사전에 설정된 임계 거리 내에 위치하게 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제2 아바타가 상기 특정 미술 작품 이미지에 접근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이 [(이전 c 시간 동안 상기 가상 미술 전시관에 전시된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상기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의 수)}] 보다 큰 것을 기반으로, 상기 초기 시점으로부터 상기 c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상기 NFT와 거래할 상기 암호화폐의 수량은 d * (상기 소정 수량)으로 결정되며, 상기 d는 1보다 큰 실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이 [(이전 c 시간 동안 상기 가상 미술 전시관에 전시된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상기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의 수)}] 보다 작은 것을 기반으로, 상기 초기 시점으로부터 상기 c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상기 NFT와 거래할 상기 암호화폐의 수량은 e * (상기 소정 수량)으로 결정되며, 상기 e는 0 보다 크고 1보다 작은 실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소유권이 상기 제1 고객으로부터 상기 제2 고객으로 양도되고,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되어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상기 소유권이 상기 제2 고객으로 양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가 상기 메타버스 내 상기 제2 고객의 개인 공간(private room) 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소유권이 상기 제1 고객으로부터 상기 제2 고객으로 양도되고,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되어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상기 소유권이 상기 제2 고객으로 양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메타버스 내 상기 제2 고객의 상기 제1 아바타가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를 상기 가상 이미지 공간 내에서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가 지시하는, 상기 NFT와 거래할 상기 암호화폐의 수량은: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가 생성된 초기 시점에는 상기 소정 수량이고, 상기 초기 시점으로부터 c시간(hour)이 경과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과, [(이전 c 시간 동안 상기 가상 미술 전시관에 전시된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상기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의 수)}] 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결정되고, 특정 고객의 제2 아바타가, 상기 가상 미술 전시관에 전시된 특정 미술 작품 이미지로부터 사전에 설정된 임계 거리 내에 위치하게 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제2 아바타가 상기 특정 미술 작품 이미지에 접근한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이 [(이전 c 시간 동안 상기 가상 미술 전시관에 전시된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상기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의 수)}] 보다 큰 것을 기반으로, 상기 초기 시점으로부터 상기 c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상기 NFT와 거래할 상기 암호화폐의 수량은 d * (상기 소정 수량)으로 결정되며, 상기 d는 1보다 큰 실수이고,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이 [(이전 c 시간 동안 상기 가상 미술 전시관에 전시된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상기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의 수)}] 보다 작은 것을 기반으로, 상기 초기 시점으로부터 상기 c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상기 NFT와 거래할 상기 암호화폐의 수량은 e * (상기 소정 수량)으로 결정되며, 상기 e는 0 보다 크고 1보다 작은 실수이고,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소유권이 상기 제1 고객으로부터 상기 제2 고객으로 양도되고,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되어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상기 소유권이 상기 제2 고객으로 양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메타버스 내 상기 제2 고객의 상기 제1 아바타가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를 상기 가상 이미지 공간 내에서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타버스 내에서 미술 작품 전시 및 매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가 제공된다. 상기 서버는, 송수신부(transceiver) 및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제1 고객의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메타버스 내 가상 이미지 공간(virtual image space)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제1 블록체인 플랫폼 내 복수의 노드(node)들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저작권(copyright)을 나타내는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하기 위한 NFT 생성 요청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고객의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NFT 생성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노드들에 의해 생성된 상기 NFT의 스마트 컨트렉트(smart contract)를 요청(request)하는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request)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노드들에게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의 체결을 위한 스마트 컨트렉트 계정의 생성을 요청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가상 이미지 공간 내 가상 미술 전시관의 내부 벽면 중 제1 영역에,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 및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를 배치(place)하고, 제2 고객의 제2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메타버스 내 위치한 상기 제2 고객의 제1 아바타(avatar)로부터,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에 대한 승낙(accept)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기 복수의 노드들로 상기 승낙 정보와 관련된 트랜잭션(transaction) ID (identification)가 전송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계정에서 상기 제1 고객과 상기 제2 고객 간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가상 이미지 공간 내 제2 영역에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되었음을 지시하는 스마트 컨트렉트 체결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복수의 노드들은, 상기 제1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하는 외부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외부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는, 상기 NFT를 제2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이용되는 소정 수량(quantity)의 암호화폐와 거래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버는 메타버스 내에서 미술 작품 전시 및 매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상기 기재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기재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서버 및 사용자 디바이스 간의 통신 구조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블록체인 거래가 수행되는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블록체인 거래를 증명하는 방법의 예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제1 사용자 디바이스, 제2 사용자 디바이스 및 복수의 노드들 간 상호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서 스마트 컨트렉트를 체결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서버 및 사용자 디바이스 간의 통신 구조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들(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자신 이외의) 외부 서버들과 통신하는 서버(server)의 일종으로서, 외부 장치들 또는 외부 서버들을 운용하기 위한 서버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서버는,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 윈도우, 리눅스, 유닉스, 매킨토시 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110)는 메타버스 내에서 미술 작품 전시 및 매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10)는 운영 서버, 메타버스 서버, 메타버스 전시회 플랫폼 등 다양한 명칭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핸드폰, 스마트 TV, 스마트 워치, 전자 손목 시계, 셋톱박스(set-top box),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데스크탑,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 에어컨, 전자 레인지, 오디오, DVD 플레이어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서버(110), 제1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제2 사용자 디바이스(130) 중 적어도 하나는,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망은, 예를 들어 무선 통신망 또는 유선 통신망일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망은, 예를 들어 LTE (Long Term Evolution) RAT(Radio Access Technology), NR(New Radio) RAT, WiFi 등에 기반한 통신망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서버(110), 제1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제2 사용자 디바이스(130) 중 적어도 하나는, 상호 D2D(Device-to-Device)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기지국(예를 들어, gNB 및/또는 eNB)과 UU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D2D 통신 또는 상기 UU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s access) 시스템에서, 정확한 시간 및 주파수 동기화가 요구될 수 있다. 시간 및 주파수 동기화가 정확하게 되지 않으면, 심볼 간 간섭(Inter Symbol Interference, ISI) 및 반송파 간 간섭(Inter Carrier Interference, ICI)으로 인해 시스템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D2D 통신에서는 시간/주파수 동기화를 위해, 물리 계층에서는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를 사용할 수 있고, RLC(radio link control) 계층에서는 MIB(master information block)를 사용할 수 있다.
D2D 통신 과정에서, 상기 서버(110), 제1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제2 사용자 디바이스(130) 중 적어도 하나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에 직접적으로 동기화 되거나, 또는 GNSS에 직접적으로 동기화된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의 또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의) 단말을 통해 비간접적으로 GNSS에 동기화 될 수 있다. GNSS가 동기화 소스로 설정된 경우, 상기 서버(110), 제1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제2 사용자 디바이스(130) 중 적어도 하나는 UTC(Coordinated Universal Time) 및 (미리) 설정된 DFN(Direct Frame Number) 오프셋을 사용하여 DFN 및 서브프레임 번호를 계산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버(110), 제1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제2 사용자 디바이스(130) 중 적어도 하나는 기지국에 직접 동기화되거나, 기지국에 시간/주파수 동기화된 다른 단말에게 동기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은 eNB 또는 gNB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110), 제1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제2 사용자 디바이스(130) 중 적어도 하나가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서버(110), 제1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제2 사용자 디바이스(130) 중 적어도 하나는 기지국이 제공하는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에 직접 동기화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서버(110), 제1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제2 사용자 디바이스(130) 중 적어도 하나는 동기화 정보를 인접한 다른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 타이밍이 동기화 기준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서버(110), 제1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제2 사용자 디바이스(130) 중 적어도 하나는 동기화 및 하향링크 측정을 위해 해당 주파수에 연관된 셀(상기 주파수에서 셀 커버리지 내에 있는 경우), 프라이머리 셀 또는 서빙 셀(상기 주파수에서 셀 커버리지 바깥에 있는 경우)을 따를 수 있다.
기지국(예를 들어, 서빙 셀)은 D2D 또는 SL(sidelink) 통신에 사용되는 반송파에 대한 동기화 설정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버(110), 제1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제2 사용자 디바이스(13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동기화 설정을 따를 수 있다. 만약, 상기 서버(110), 제1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제2 사용자 디바이스(130)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D2D 또는 SL 통신에 사용되는 반송파에서 어떤 셀도 검출하지 못했고, 서빙 셀로부터 동기화 설정도 수신하지 못했다면, 상기 서버(110), 제1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제2 사용자 디바이스(130) 중 적어도 하나는 미리 설정된 동기화 설정을 따를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버(110), 제1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제2 사용자 디바이스(130) 중 적어도 하나는 기지국이나 GNSS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동기화 정보를 획득하지 못한 다른 단말에게 동기화될 수도 있다. 동기화 소스 및 선호도는 단말에게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동기화 소스 및 선호도는 기지국에 의하여 제공되는 제어 메시지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110), 제1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제2 사용자 디바이스(130) 중 적어도 하나는 네트워크(100) (또는 통신망)를 통해서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10)가 네트워크(100)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네트워크(100)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20)로 상기 데이터를 전달(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20)가 상기 네트워크(100)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상기 네트워크(100)는 상기 서버(110)로 상기 데이터를 전달(전송)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에 대한 설명에서는, 상기 서버(110), 제1 사용자 디바이스(120) 및 제2 사용자 디바이스(130) 중 적어도 하나 간의 신호 교환 또는 통신을 기반으로, 서버(110)가 메타버스 내에서 미술 작품 전시 및 매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검토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메타버스란, 아바타(avatar)를 통해 실제 현실과 같은 사회, 경제, 교육, 문화, 과학 기술 활동을 할 수 있는 가상 공간 플랫폼을 의미한다. 도 2는, 사용자가 아바타(220)를 통해 메타버스 내 3차원 가상 공간(210)을 이용/경험/체험하는 예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의 예시에서는 가상 공간이 3차원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메타버스 환경은 3차원에 한정되지 않는다. 메타버스 환경은 2차원 평면 가상 공간을 통해서 표현될 수도 있고, 촉각이나 후각이 가미된 4차원 가상 공간을 통해서 표현될 수도 있다.
복수의 사용자들은 각자의 아바타를 통해서 메타버스 환경을 이용/경험/체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타버스 내 3차원 가상 공간(210) 내에서 제1 아바타는 이동하거나, 점프하거나, 앉거나, 눕거나, 운동하는 등 신체 활동을 수행하고, 제2 아바타와 거래하는 등의 경제 활동을 수행할 수 있고, 3차원 가상 공간(210) 내에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를 통해서 학습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타버스 내에서 제1 아바타와 제2 아바타 간 거래가 이루어지거나, 제1 아바타와 메타버스 서버 간 거래 (예를 들어, 제1 아바타가 메타버스 내 가상 미술관에서 미술 작품을 구매하는 경우)가 이루어질 때, 블록체인 플랫폼의 암호화폐(crypto currency)가 이용될 수 있다. 암호화폐는 가상 화폐(imaginary currency), 디지털 자산(digital asset), 디지털 화폐(digital currency)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암호화폐를 통한 거래 방법은, 도 3 및 도 4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해서 아바타(220)를 제어하는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아바타(220)를 메타버스 내 3차원 가상 공간(210)의 특정 위치에서 관찰하는 것과 같은 시각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3차원 가상 공간(210)의 위쪽(즉, 3차원 가상 공간(210) 내에서 아바타(220)의 키(height) 보다 높은 고도 범위 내)에서 아바타(220)를 관찰하는 것과 같은 시각을 제공받거나, 옆쪽(즉, 3차원 가상 공간(210) 내에서 아바타(220)의 키보다 낮은 고도 범위 내)에서 아바타(220)를 관찰하는 것과 같은 시각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PC, 노트북, 스마트폰 등 평면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해서 아바타(220)를 제어하는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본인이 아바타(220)가 되어 3차원 가상 공간(210)을 관찰하는 것과 같은 시각을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아바타(220)가 3차원 가상 공간(210) 내 가정집의 TV 앞에 서면 사용자는 본인이 3차원 가상 공간(210) 내 TV 앞으로 가 있는 것과 같은 시각을 제공받을 수 있고, 아바타(220)가 고개를 위로 젖히면 사용자는 본인이 3차원 가상 공간(210) 내 가정집의 천장을 바라보는 것과 같은 시각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HMD(head mounted display)일 수 있고, 상기 3차원 가상 공간(210)은 상기 HMD를 통해서 구현되는 VR(Virtual Reality) 360도 이미지일 수 있다.
도 3은 블록체인 거래가 수행되는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블록체인(block chain)이란, 블록(block)을 잇따라 연결(chain)한 모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체인을 형성하는 블록에는, 해당 블록체인 플랫폼을 통해서 일정 시간 동안 거래된 확정 거래 내역이 기록/포함될 수 있다. 확정 전 거래 내역을 기록한 블록이 승인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참여자들의 타당성 판단이 수행되어야 하는데, 타당성 판단 방법, 또는 합의 프로토콜(consensus protocol)의 예시에 대해서는 도 4에서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특정 블록체인 플랫폼 내에서 수행되는 참여자들 간의 통신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제1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310) 및 제2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320)는, 블록체인 거래를 수행하는 두 사용자들의 사용자 디바이스들 나타낼 수 있으며, 이 중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든 장치는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310) 및 제2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320) 각각은, 도 1에서 전술된 서버(110), 제1 사용자 디바이스(120) 또는 제2 사용자 디바이스(130)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블록체인 플랫폼이란, 독자적인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하나의 블록체인 생태계(ecosystem) 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의미할 수 있다. 블록체인 플랫폼의 종류는, 예를 들어 비트코인(bitcoin), 이더리움(ethereum), 솔라나(solana), 클레이튼(klaytn) 등 다양하며, 각 블록체인 플랫폼은 블록체인 합의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블록 사이즈 등의 요소들 중 일부가 상이할 수 있다. 각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이용되는 거래 수단은 암호화폐(crypto currency)인데, 각 블록체인 플랫폼이 채택한 합의 프로토콜에 따라서 암호화폐의 생성 및 거래 방법이 다양할 수 있으며, 합의 프로토콜에 대해서는 도 4에서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이더리움(Ethereum)은, 2015년 7월 30일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이 창안한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이자, 해당 플랫폼의 자체 통화(즉, 암호화폐)의 이름을 나타낸다. 비트코인이 결제나 거래 관련 시스템, 즉 화폐로서의 기능에 집중하는 반면, 이더리움은 핵심 기술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거래나 결제뿐 아니라 계약서(contract), SNS(Social Network Service), 이메일, 전자투표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투명하게 운영할 수 있게 확장성(scalability)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화폐로서뿐 아니라 dAPP이라고 불리는 분석 애플리케이션(Decentralized Application)을 누구나 만들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플랫폼이다. 이더리움의 프로그래밍 언어의 주류는 자바스크립트를 변형한 솔리디티(solidity)이나, C++, Java, 파이썬(Python), Go(Golang) 등 대부분의 주요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원하여 범용성을 갖추고 있다.
NFT(Non-Fungible Token), 즉 '대체 불가능 토큰'이란 교환과 복제가 불가능하여 저마다 고유성과 희소성을 지니는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비트코인과 같은 대체 가능한 암호화폐는 각기 동일한 가치를 지니기 때문에 1:1 교환이 가능한 반면, NFT는 각자가 고유한 인식값을 부여받음으로써 서로 대체할 수 없는 가치와 특성을 지니게 된다. 디지털화가 가능한 자산에 고유의 일련번호를 넣는 NFT 기술을 적용하여 복제가 불가능한, 즉 세상에 단 하나밖에 없는 (디지털) 자산을 생성할 수 있는데, NFT를 적용할 수 있는 자산은 영상, 이미지, 소리, 텍스트 등의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예술품, 수집품, 게임 아이템, 음운, 각종 상품, 가상 부동산 등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복수의 노드들(330)은, 상기 특정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수행되는 거래들의 합의 프로토콜에 관여하는 복수의 서버들, 복수의 디바이스들 및 복수의 네트워크들을 나타낸다. 합의 프로토콜의 종류에 따라 상기 복수의 노드들(330)의 범위가 상이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복수의 노드들(330)과 제1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310) 및 제2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320)가 구별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이는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를 명확히 나타내기 위함이며,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복수의 노드들(330)에 상기 제1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310) 및 제2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320)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상기 복수의 노드들(330), 상기 제1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310) 및 상기 제2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320)는, 도 1에서 전술된 네트워크(100)를 통해서 상호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310)가 제2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320)로 상기 특정 블록체인 플랫폼 내에서 이용되는 특정 암호화폐를 전송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1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310)의 제1 사용자가 소유하는 암호화폐 전자 지갑(wallet)의 주소(address), 전송하고자 하는 상기 특정 암호화폐의 수량 및 전송하고자 하는 암호화폐 전자 지갑 (즉, 제2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320)의 제2 사용자가 소유하는 암호화폐 전자 지갑의 주소)의 주소를 포함하는 트랜잭션(transaction) 정보(또는 ID)를 상기 제1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310)에서 상기 복수의 노드들(330)로 전송하면, 상기 복수의 노드들(330)은 기 결정된 합의 프로토콜 방법을 통해서 거래를 승인할 수 있다. 거래가 승인되면, 상기 수량만큼의 상기 특정 암호화폐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소유하는 암호화폐 전자 지갑에서 상기 제2 사용자가 소유하는 암호화폐 전자 지갑으로 전송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복수의 노드들(330)을 통해서, 상기 제1 사용자가 소유하는 암호화폐 전자 지갑에서는 상기 수량만큼의 상기 특정 암호화폐가 감소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소유하는 암호화폐 전자 지갑에서는 상기 수량만큼의 상기 특정 암호화폐가 증가되었음을 기록한 블록이 상기 블록체인 플랫폼 내 기존의 블록체인에 결합하여 새로운 블록체인을 형성할 수 있다.
스마트 컨트렉트(smart contract)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계약 조건을 코딩하고, 조건에 부합하면 계약 내용이 이행되는 디지털 계약 방식을 일컫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310)와 제2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320)가 상기 특정 블록체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스마트 컨트렉트(smart contract)를 체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때 상기 제1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310)와 상기 제2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320) 중 어느 하나는, 예를 들어 오픈씨(opensea)와 같은 NFT(Non-Fungible Token) 거래 플랫폼을 지원하는 서버일 수 있다. 제1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310)가 상기 복수의 노드들(330)로 스마트 컨트렉트 계정(account)의 생성을 요청하면, 상기 복수의 노드들(330)은 스마트 컨트렉트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의 계약 내용에 동의하는 제2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320)가 상기 복수의 노드들(330)로 상기 계약 내용, 제1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310)의 제1 사용자가 소유하는 암호화폐 전자 지갑 주소 및 제2 블록체인 거래 참여 장치(320)의 제2 사용자가 소유하는 암호화폐 전자 지갑 주소를 포함하는 트랜잭션 정보(또는 ID)를 전송하면,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되어 상기 계약 내용이 실현/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사용자가 소유하던 NFT가 상기 제1 사용자의 암호화폐 전자 지갑에서 제2 사용자의 암호화폐 전자 지갑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소유하던 소정의 암호화폐가 상기 제2 사용자의 암호화폐 전자 지갑에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암호화폐 전자 지갑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는 블록체인 거래를 증명하는 방법의 예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블록체인 플랫폼을 구성하는 복수의 노드들(330)이 블록체인 거래를 증명하는 합의 프로토콜 방법은, 예를 들어 작업 증명 방식(Proof of Work, PoW)(410)과 지분 증명 방식(Proof of Stake, PoS)(420)이 존재하며, 합의 프로토콜 방법의 종류는 상기 두 가지에 한정되지 않는다.
작업 증명 방식(410)은, 블록 생성자 (또는 채굴자, 검증자 등)가 거래 기록 정보에 무작위 특성을 가진 논스(nonce) 값과 해시(hash) 알고리즘을 적용시켜, 블록체인의 블록 헤더에 제시된 난이도 조건을 만족하는 해시 값을 검출함으로써 블록을 생성하고 보상을 받는 합의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블록 생성자는, 예를 들어 해당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이용되는 암호화폐를 보상으로 받을 수 있다. 작업 증명 방식(410)을 이용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에는, 예를 들어 비트코인이 있다. 특정 블록체인 플랫폼의 합의 프로토콜 방식이 작업 증명 방식(410)일 경우, 상기 특정 블록체인 플랫폼 내에서 블록체인 거래를 증명하는 대상이 상기 블록 생성자(또는 채굴자, 검증자 등)이므로, 상기 복수의 노드들(330)은 곧 상기 블록 생성자를 의미할 수 있다.
지분 증명 방식(420)은, 합의 시 블록체인 플랫폼의 각 노드의 지분의 양에 따라 각 노드에 블록을 생성할 권한을 차등적으로 부여하는 합의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각 노드의 지분은, 각 노드가 보유한 암호화폐의 양과 비례할 수 있다. 각 노드는, 해당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발생하는 트랜잭션 수수료를 각 노드가 블록 생성에 기여한 비율에 따라서 리워드 받을 수 있다. 지분 증명 방식(420)을 이용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에는, 예를 들어 솔라나, 에이다(ADA) 등이 있다. 특정 블록체인 플랫폼의 합의 프로토콜 방식이 지분 증명 방식(420)일 경우, 상기 특정 블록체인 플랫폼 내에서 블록체인 거래를 증명하는 대상이 상기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이용되는 암호화폐를 보유한 모든 참가자들 또는 노드들이므로, 상기 복수의 노드들(330)은 곧 모든 참가자들 또는 노드들을 의미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의 흐름도에 개시된 동작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과 결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도 5에서 설명되는 서버는, 도 1에 개시된 서버(110), 도 6에 개시된 서버(601) 또는 도 7에 개시된 서버(700)와 대응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도 5의 흐름도에 개시된 동작들은, 도 1 내지 도 4 및 도 7에 개시된 (서버의) 동작들 중 일부와 대응될 수 있다.
단계 S51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제1 고객의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메타버스 내 가상 이미지 공간(virtual image space)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상 이미지 공간은 3차원 가상 이미지 공간, 4차원 가상 이미지 공간 또는 2차원 가상 이미지 공간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는, 오프라인 상에서 작가에 의해 제작된 실물 미술 작품 이미지를 촬영 등을 기반으로 디지털화 한 디지털 미술 작품 이미지일 수 있다.
다른 일 예시에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는, 온라인 상에서 PC, 테블릿, 노트북, 스마트폰 등의 컴퓨팅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작가에 의해 제작된 디지털 미술 작품 이미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포맷은 컴퓨팅 이미지 파일이며, 파일 확장자는 PNG, JPG, JPEG, GIF, WEBP, MP4 등일 수 있다.
단계 S52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제1 블록체인 플랫폼 내 복수의 노드(node)들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저작권(copyright)을 나타내는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하기 위한 NFT 생성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블록체인 플랫폼은, 이더리움(ethereum)일 수 있다. 다만 제1 블록체인 플랫폼은 이더리움에 한정되지 않으며, 클레이튼, 솔라나, 에이다 등 다양한 블록체인 플랫폼이 상기 제1 블록체인 플랫폼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NFT 생성 요청 정보는, 선행적으로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기 서버로 전송되고, 서버는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상기 NFT 생성 요청 정보를 상기 복수의 노드들로 대신 전달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NFT 생성 요청 정보는,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명칭,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에 대한 설명(description),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작가의 이름,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작가의 SNS 주소 및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가 저장 또는 게시된 링크(lin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NFT 생성 요청 정보는, NFT 민팅(minting) 정보, NFT 민팅 요청 정보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노드들은, 수신된 상기 NFT 생성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NFT의 생성을 지시하는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블록을 기존의 블록체인에 결합하여 새로운 블록체인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새로운 블록체인의 생성을 기반으로, 상기 NFT가 생성되어 상기 제1 고객의 암호화폐 전자 지갑에 추가/포함/전송될 수 있다.
단계 S53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상기 제1 고객의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NFT 생성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노드들에 의해 생성된 상기 NFT의 스마트 컨트렉트(smart contract)를 요청(request)하는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request)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NFT와 관련된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는, 상기 NFT를 특정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이용되는 소정의 암호화폐와 거래/교환하는 내용일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는, 상기 NFT를 보유하는 상기 제1 고객의 암호화폐 전자 지갑의 주소(address), 상기 소정의 암호화폐의 수량, 상기 암호화폐의 종류, 상기 NFT에 대한 경매 마감 시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소정의 암호화폐의 수량은, 상기 NFT의 스마트 컨트렉트를 위한 경매의 시작 시점의 최소 경매 수량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상기 소정의 암호화폐의 수량부터 경매를 시작하여, 경매 마감 시점이 도래하기 까지 제시된 경매 수량 중 최고 수량을 제시한 경매자와 스마트 컨트렉트를 체결할 수 있다.
다른 일 예시에서, 상기 소정의 암호화폐의 수량은,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가 상기 가상 이미지 공간 내에 디스플레이 된 시간, 메타버스 내 아바타들의 접근 빈도 등을 기반으로 감소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 및 예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단계 S54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노드들에게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의 체결을 위한 스마트 컨트렉트 계정(account)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계정은, 상기 제1 블록체인 플랫폼 하에서 생성된 블록체인 계정/주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계정은 이더리움 플랫폼 하에서 생성된 블록체인 계정/주소일 수 있다.
단계 S55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상기 가상 이미지 공간 내 가상 미술 전시관의 내부 벽면 중 제1 영역에,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 및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를 배치(place)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는 상기 가상 미술 전시관의 내부 벽면 중 아직 미술 작품 이미지가 전시(디스플레이)되지 않은 제1 영역에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 및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의 크기는, 상기 가상 미술 전시관 내 이미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다른 미술 작품 이미지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데, 크기에 관한 구체적인 설정은 상기 서버에 의하여 사전에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서버는, 상기 제1 영역의 크기만큼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하여 상기 제1 영역의 모든 부분이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되,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 (또는 상기 제1 영역)의 우측 하단에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상기 NFT와 교환을 요구하는 암호화폐의 종류 및 수량, 경매 시 경매 시작가 및 경매 종료일, 등)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단계 S56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제2 고객의 제2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메타버스 내 위치한 상기 제2 고객의 제1 아바타(avatar)로부터,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에 대한 승낙(accept)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타버스 내 아바타를 생성함에 있어서, 고객이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해서 입력한 아바타 요청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아바타 요청 정보는, 상기 아바타의 헤어 스타일 선택 정보, 상기 아바타의 얼굴형 선택 정보, 상기 아바타의 체형 선택 정보, 상기 아바타의 의류 선택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한 헤어 스타일 옵션, 얼굴형 옵션, 체형 옵션, 의류 옵션 등은, 상기 서버에 의하여 사전에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승낙 정보는, 상기 제2 고객이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에 동의함을 지시하는 정보, 상기 제2 고객이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를 체결시키기 위한 트랜잭션(transaction)을 수행해도 될지 확인하는 정보 및 상기 제2 고객의 암호화폐 전자 지갑의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상기 제2 고객의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로,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를 체결시키기 위한 상기 트랜잭션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함을 컨펌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를 체결시키기 위한 트랜잭션 ID를 상기 복수의 노드들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트랜잭션 ID는, 상기 제2 고객의 상기 암호화폐 전자 지갑의 주소,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계정의 주소 및 상기 NFT와 거래하기 위한 암호화폐의 수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노드들에 의해 상기 트랜잭션 ID가 승인되어 상기 NFT와 거래하기 위한 소정 수량의 암호화폐가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계정으로 전송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제1 고객과 상기 제2 고객 간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될 수 있다.
단계 S57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기 복수의 노드들로 상기 승낙 정보와 관련된 트랜잭션(transaction) ID (identification)가 전송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계정에서 상기 제1 고객과 상기 제2 고객 간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가상 이미지 공간 내 제2 영역에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되었음을 지시하는 스마트 컨트렉트 체결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노드들은, 상기 제1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하는 외부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외부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는, 상기 NFT를 제2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이용되는 소정 수량(quantity)의 암호화폐와 거래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제2 블록체인 플랫폼은, 상기 제1 블록체인 플랫폼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블록체인 플랫폼과 상기 제2 블록체임 플랫폼은 모두 이더리움 플랫폼이고, 상기 암호화폐는 이더리움일 수 있다.
다른 일 예시에서, 상기 제2 블록체인 플랫폼은 상기 제1 블록체인 플랫폼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블록체인 플랫폼은 이더리움 플랫폼이고, 상기 제2 블록체인 플랫폼은 클레이튼 플랫폼이며, 상기 암호화폐는 클레이튼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가 지시하는, 상기 NFT와 거래할 상기 암호화폐의 수량은: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가 생성된 초기 시점에는 상기 소정 수량이고, 상기 초기 시점으로부터 a분(minutes)이 경과한 것을 기반으로, b * (상기 소정 수량)으로 결정되며, 여기서 상기 a는 자연수이고, 상기 b는 0 이상 1 미만의 실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정 수량이 5일 경우,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가 지시하는, 상기 NFT와 거래할 상기 암호화폐의 수량은: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가 생성된 초기 시점에는 5이고, 상기 초기 시점으로부터 200분이 경과한 것을 기반으로, (0.8) * (5) = 4로 결정되며, 이때 a=200, b=0.8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가 지시하는, 상기 NFT와 거래할 상기 암호화폐의 수량은: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가 생성된 초기 시점에는 상기 소정 수량이고, 상기 초기 시점으로부터 c시간(hour)이 경과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과, [(이전 c 시간 동안 상기 가상 미술 전시관에 전시된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상기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의 수)}] 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결정되며, 여기서 상기 c는 자연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정 수량이 5일 경우,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가 지시하는, 상기 NFT와 거래할 상기 암호화폐의 수량은: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가 생성된 초기 시점에는 5이고, 상기 초기 시점으로부터 5시간이 경과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5}와, [(이전 5 시간 동안 상기 가상 미술 전시관에 전시된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5 *(상기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의 수)}] 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c는 5이다. 다시 말해, 특정 시간 동안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에 접근한 아바타(고객) 수가 상기 가상 이미지 공간 내 다른 미술 작품들 대비 많은지 또는 적은지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NFT와 거래할 상기 암호화폐의 수량을 결정/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특정 고객의 제2 아바타가, 상기 가상 미술 전시관에 전시된 특정 미술 작품 이미지로부터 사전에 설정된 임계 거리 내에 위치하게 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제2 아바타가 상기 특정 미술 작품 이미지에 접근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임계 거리는, 2m (가상 이미지 공간에서의 수치 기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이 [(이전 c 시간 동안 상기 가상 미술 전시관에 전시된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상기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의 수)}] 보다 큰 것을 기반으로, 상기 초기 시점으로부터 상기 c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상기 NFT와 거래할 상기 암호화폐의 수량은 d * (상기 소정 수량)으로 결정되며, 상기 d는 1보다 큰 실수일 수 있다.
다시 말해, 특정 시간 동안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에 접근한 아바타(고객) 수가 상기 가상 이미지 공간 내 다른 미술 작품들 대비 많은 것을 기반으로, 상기 NFT와 거래할 상기 암호화폐의 수량을 초기 수량 대비 증가 (d>1) 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이 [(이전 c 시간 동안 상기 가상 미술 전시관에 전시된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상기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의 수)}] 보다 작은 것을 기반으로, 상기 초기 시점으로부터 상기 c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상기 NFT와 거래할 상기 암호화폐의 수량은 e * (상기 소정 수량)으로 결정되며, 상기 e는 0 보다 크고 1보다 작은 실수일 수 있다.
다시 말해, 특정 시간 동안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에 접근한 아바타(고객) 수가 상기 가상 이미지 공간 내 다른 미술 작품들 대비 적은 것을 기반으로, 상기 NFT와 거래할 상기 암호화폐의 수량을 초기 수량 대비 감소 (0<e<1) 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소유권이 상기 제1 고객으로부터 상기 제2 고객으로 양도되고,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되어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상기 소유권이 상기 제2 고객으로 양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가 상기 메타버스 내 상기 제2 고객의 개인 공간(private room) 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제2 고객의 개인 공간은, 상기 메타버스의 상기 가상 이미지 공간 내 상기 제2 고객의 집일 수 있다.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상기 소유권이 상기 제2 고객으로 양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가상 미술 전시관의 상기 제1 영역에서는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가 더 이상 디스플레이 되지 않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2 고객의 상기 집의 특정 영역에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소유권이 상기 제1 고객으로부터 상기 제2 고객으로 양도되고,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되어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상기 소유권이 상기 제2 고객으로 양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메타버스 내 상기 제2 고객의 상기 제1 아바타가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를 상기 가상 이미지 공간 내에서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상기 소유권이 상기 제2 고객으로 양도되기 전에는,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는 상기 제1 영역에 고정된 채(fixed)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그러다가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상기 소유권이 상기 제2 고객으로 양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메타버스 내 상기 제2 고객의 상기 제1 아바타가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를 상기 가상 이미지 공간 내에서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영역 주변(예를 들어,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영역)에, 상기 제1 아바타가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를 운반하는 것이 가능해졌음을 안내하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 아바타를 제어하는 상기 제2 고객이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해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제1 영역을 탭(tab)하거나, 클릭(click)하거나, 보조 조작 디바이스를 통해서 상기 제1 아바타의 손이 상기 제1 영역에 이르도록 제어할 경우,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 상기 제1 아바타가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를 운반하게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가 지시하는, 상기 NFT와 거래할 상기 암호화폐의 수량은: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가 생성된 초기 시점에는 상기 소정 수량이고, 상기 초기 시점으로부터 c시간(hour)이 경과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과, [(이전 c 시간 동안 상기 가상 미술 전시관에 전시된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상기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의 수)}] 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결정되고, 특정 고객의 제2 아바타가, 상기 가상 미술 전시관에 전시된 특정 미술 작품 이미지로부터 사전에 설정된 임계 거리 내에 위치하게 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제2 아바타가 상기 특정 미술 작품 이미지에 접근한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이 [(이전 c 시간 동안 상기 가상 미술 전시관에 전시된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상기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의 수)}] 보다 큰 것을 기반으로, 상기 초기 시점으로부터 상기 c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상기 NFT와 거래할 상기 암호화폐의 수량은 d * (상기 소정 수량)으로 결정되며, 상기 d는 1보다 큰 실수이고,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이 [(이전 c 시간 동안 상기 가상 미술 전시관에 전시된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상기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의 수)}] 보다 작은 것을 기반으로, 상기 초기 시점으로부터 상기 c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상기 NFT와 거래할 상기 암호화폐의 수량은 e * (상기 소정 수량)으로 결정되며, 상기 e는 0 보다 크고 1보다 작은 실수이고,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소유권이 상기 제1 고객으로부터 상기 제2 고객으로 양도되고,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되어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상기 소유권이 상기 제2 고객으로 양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메타버스 내 상기 제2 고객의 상기 제1 아바타가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를 상기 가상 이미지 공간 내에서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가 지시하는, 상기 NFT와 거래할 상기 암호화폐의 수량은: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가 생성된 초기 시점에는 상기 소정 수량이고, 상기 초기 시점으로부터 c시간(hour)이 경과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과, [(이전 c 시간 동안 상기 가상 미술 전시관에 전시된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상기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의 수)}] 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결정되고, 특정 고객의 제2 아바타가, 상기 가상 미술 전시관에 전시된 특정 미술 작품 이미지로부터 사전에 설정된 임계 거리 내에 위치하게 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제2 아바타가 상기 특정 미술 작품 이미지에 접근한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이 [(이전 c 시간 동안 상기 가상 미술 전시관에 전시된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상기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의 수)}] 보다 큰 것을 기반으로, 상기 초기 시점으로부터 상기 c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상기 NFT와 거래할 상기 암호화폐의 수량은 d * (상기 소정 수량)으로 결정되며, 상기 d는 1보다 큰 실수이고,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이 [(이전 c 시간 동안 상기 가상 미술 전시관에 전시된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상기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의 수)}] 보다 작은 것을 기반으로, 상기 초기 시점으로부터 상기 c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상기 NFT와 거래할 상기 암호화폐의 수량은 e * (상기 소정 수량)으로 결정되며, 상기 e는 0 보다 크고 1보다 작은 실수이고,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소유권이 상기 제1 고객으로부터 상기 제2 고객으로 양도되고,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되어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상기 소유권이 상기 제2 고객으로 양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가 상기 메타버스 내 상기 제2 고객의 개인 공간(private room) 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제1 사용자 디바이스, 제2 사용자 디바이스 및 복수의 노드들 간 상호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서 스마트 컨트렉트를 체결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의 흐름도에서, S605, S610, S620, S625, S635, S640 및 S655는 도 5의 S510 내지 S570과 대응되는 단계일 수 있다.
단계 S605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601)는, 제1 사용자 디바이스(602)로부터 메타버스 내 가상 이미지 공간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61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601)는, 복수의 노드들(604)로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저작권을 나타내는 NFT를 생성하기 위한 NFT 생성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615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노드들(604)은,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에 관한 NFT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62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601)는, 제1 사용자 디바이스(602)로부터, NFT의 스마트 컨트렉트를 요청하는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625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601)는,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노드들(604)에게 스마트 컨트렉트의 체결을 위한 스마트 컨트렉트 계정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63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노드들(604)은, 스마트 컨트렉트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635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601)는, 가상 이미지 공간 내 가상 미술 전시관의 내부 벽면 중 제1 영역에,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 및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를 배치할 수 있다.
단계 S64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601)는, 제2 사용자 디바이스(603)로부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에 대한 승낙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65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사용자 디바이스(603)는, 복수의 노드들(604)로 승낙 정보와 관련된 트랜잭션 ID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655에서, 스마트 컨트렉트 계정에서 제1 고객과 제2 고객 간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컨트렉트는, 트랙잭션 ID에 대한 복수의 노드들(604)의 거래 승인이 완료된 것을 기반으로 체결될 수 있다.
단계 S66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601)는, 가상 이미지 공간 내 제2 영역에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되었음을 지시하는 스마트 컨트렉트 체결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단계 S660에 선행하여, 서버(601)는 복수의 노드들(604)로부터, 스마트 컨트렉트 계정에서 제1 고객과 제2 고객 간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되었음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700)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710), 송수신부(720) 및 프로세서(7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도 7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서버(700)의 필수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고, 서버(700)는 도 7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700)에서 데이터베이스(710), 송수신부(720) 및 프로세서(730)는 각각 별도의 칩(chip)으로 구현되거나, 적어도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하나의 칩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DB, 710)는 송수신부(720) 또는 프로세서(730)로부터 전달 받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7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프로세서(730)가 학습 모델을 실행할 때 이용될 수 있다.
송수신부(720)는 서버 내부의 모듈 간 통신 및/또는 데이터/신호의 송수신에 이용될 수 있고,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송수신부(720)는 외부 장치(예를 들어, 외부 사용자 디바이스, 외부 서버 등)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730)는 서버(7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프로세서(730)는 서버(700)의 데이터베이스(71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710) 및 송수신부(72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프로세서(730)는 서버(7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6에서 서버(700)의 동작들의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730)는, 제1 고객의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메타버스 내 가상 이미지 공간(virtual image space)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7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730)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제1 블록체인 플랫폼 내 복수의 노드(node)들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저작권(copyright)을 나타내는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하기 위한 NFT 생성 요청 정보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7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730)는, 상기 제1 고객의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NFT 생성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노드들에 의해 생성된 상기 NFT의 스마트 컨트렉트(smart contract)를 요청(request)하는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request)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7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730)는,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노드들에게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의 체결을 위한 스마트 컨트렉트 계정(account)의 생성을 요청하도록 상기 송수신부(7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730)는, 상기 가상 이미지 공간 내 가상 미술 전시관의 내부 벽면 중 제1 영역에,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 및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를 배치(place)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730)는, 제2 고객의 제2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메타버스 내 위치한 상기 제2 고객의 제1 아바타(avatar)로부터,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에 대한 승낙(accept)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7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730)는,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기 복수의 노드들로 상기 승낙 정보와 관련된 트랜잭션(transaction) ID (identification)가 전송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계정에서 상기 제1 고객과 상기 제2 고객 간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가상 이미지 공간 내 제2 영역에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되었음을 지시하는 스마트 컨트렉트 체결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노드들은, 상기 제1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하는 외부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외부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는, 상기 NFT를 제2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이용되는 소정 수량(quantity)의 암호화폐와 거래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발명이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메타버스 내에서 미술 작품 전시 및 매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송수신부(transceiver); 및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제1 고객의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메타버스 내 가상 이미지 공간(virtual image space)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제1 블록체인 플랫폼 내 복수의 노드(node)들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저작권(copyright)을 나타내는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하기 위한 NFT 생성 요청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고객의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NFT 생성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노드들에 의해 생성된 상기 NFT의 스마트 컨트렉트(smart contract)를 요청(request)하는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request)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노드들에게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의 체결을 위한 스마트 컨트렉트 계정의 생성을 요청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가상 이미지 공간 내 가상 미술 전시관의 내부 벽면 중 제1 영역에,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 및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를 배치(place)하고,
    제2 고객의 제2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메타버스 내 위치한 상기 제2 고객의 제1 아바타(avatar)로부터,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에 대한 승낙(accept)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기 복수의 노드들로 상기 승낙 정보와 관련된 트랜잭션(transaction) ID (identification)가 전송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계정에서 상기 제1 고객과 상기 제2 고객 간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가상 이미지 공간 내 제2 영역에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되었음을 지시하는 스마트 컨트렉트 체결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복수의 노드들은, 상기 제1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하는 외부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외부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는, 상기 NFT를 제2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이용되는 소정 수량(quantity)의 암호화폐와 거래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이고,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가 지시하는, 상기 NFT와 거래할 상기 암호화폐의 수량은: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가 생성된 초기 시점에는 상기 소정 수량이고, 상기 초기 시점으로부터 a분(minutes)이 경과한 것을 기반으로, b * (상기 소정 수량)으로 결정되며, 여기서 상기 a는 자연수이고, 상기 b는 0 이상 1 미만의 실수인, 서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가 지시하는, 상기 NFT와 거래할 상기 암호화폐의 수량은: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 요청 정보가 생성된 초기 시점에는 상기 소정 수량이고, 상기 초기 시점으로부터 c시간(hour)이 경과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과, [(c 시간 동안 상기 가상 미술 전시관에 전시된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에 접근한 아바타들의 총 수) / {(c 시간)*(상기 총 미술 작품 이미지들의 수)}] 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결정되며, 여기서 상기 c는 자연수인, 서버.
  4. 제 3 항에 있어서,
    특정 고객의 제2 아바타가, 상기 가상 미술 전시관에 전시된 특정 미술 작품 이미지로부터 사전에 설정된 임계 거리 내에 위치하게 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제2 아바타가 상기 특정 미술 작품 이미지에 접근한 것으로 결정되는, 서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소유권이 상기 제1 고객으로부터 상기 제2 고객으로 양도되고,
    상기 스마트 컨트렉트가 체결되어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의 상기 소유권이 상기 제2 고객으로 양도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메타버스 내 상기 제2 고객의 상기 제1 아바타가 상기 메타버스 미술 작품 이미지를 상기 가상 이미지 공간 내에서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어되는, 서버.
KR1020220031504A 2022-03-14 2022-03-14 메타버스 내에서 미술 작품 전시 및 매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102423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504A KR102423623B1 (ko) 2022-03-14 2022-03-14 메타버스 내에서 미술 작품 전시 및 매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1020220078180A KR102484554B1 (ko) 2022-03-14 2022-06-27 메타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KR1020220078204A KR20230134399A (ko) 2022-03-14 2022-06-27 개선된 메타버스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KR1020220078214A KR20230134400A (ko) 2022-03-14 2022-06-27 메타버스 내에서 아바타를 구현한 플랫폼의 구현 방법 및 그 서버
KR1020220078185A KR20230134397A (ko) 2022-03-14 2022-06-27 메타버스 내 가상 이미지 공간을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서버
KR1020220078189A KR20230134398A (ko) 2022-03-14 2022-06-27 Nft를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운용하는 방법 및 운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504A KR102423623B1 (ko) 2022-03-14 2022-03-14 메타버스 내에서 미술 작품 전시 및 매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Related Child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8189A Division KR20230134398A (ko) 2022-03-14 2022-06-27 Nft를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운용하는 방법 및 운용 시스템
KR1020220078180A Division KR102484554B1 (ko) 2022-03-14 2022-06-27 메타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KR1020220078214A Division KR20230134400A (ko) 2022-03-14 2022-06-27 메타버스 내에서 아바타를 구현한 플랫폼의 구현 방법 및 그 서버
KR1020220078204A Division KR20230134399A (ko) 2022-03-14 2022-06-27 개선된 메타버스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KR1020220078185A Division KR20230134397A (ko) 2022-03-14 2022-06-27 메타버스 내 가상 이미지 공간을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3623B1 true KR102423623B1 (ko) 2022-07-22

Family

ID=82606178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1504A KR102423623B1 (ko) 2022-03-14 2022-03-14 메타버스 내에서 미술 작품 전시 및 매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1020220078189A KR20230134398A (ko) 2022-03-14 2022-06-27 Nft를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운용하는 방법 및 운용 시스템
KR1020220078204A KR20230134399A (ko) 2022-03-14 2022-06-27 개선된 메타버스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KR1020220078185A KR20230134397A (ko) 2022-03-14 2022-06-27 메타버스 내 가상 이미지 공간을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서버
KR1020220078180A KR102484554B1 (ko) 2022-03-14 2022-06-27 메타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KR1020220078214A KR20230134400A (ko) 2022-03-14 2022-06-27 메타버스 내에서 아바타를 구현한 플랫폼의 구현 방법 및 그 서버

Family Applications After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8189A KR20230134398A (ko) 2022-03-14 2022-06-27 Nft를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운용하는 방법 및 운용 시스템
KR1020220078204A KR20230134399A (ko) 2022-03-14 2022-06-27 개선된 메타버스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KR1020220078185A KR20230134397A (ko) 2022-03-14 2022-06-27 메타버스 내 가상 이미지 공간을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서버
KR1020220078180A KR102484554B1 (ko) 2022-03-14 2022-06-27 메타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KR1020220078214A KR20230134400A (ko) 2022-03-14 2022-06-27 메타버스 내에서 아바타를 구현한 플랫폼의 구현 방법 및 그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6) KR102423623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264B1 (ko) * 2022-12-23 2023-04-18 김태원 음원 앨범에 수록된 qr 인식을 통한 음원 콘텐츠의 nft 발행 및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102534844B1 (ko) * 2022-10-31 2023-05-30 주식회사제이엠쥐 Nft 및 메타버스를 이용한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KR20230075345A (ko) 2021-11-22 2023-05-31 옥재윤 개별 메타버스 서버들과의 연동을 통한 메타버스 통합 이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57826B1 (ko) * 2022-07-28 2023-07-20 주식회사 메타비티 인공지능 기반의 메타버스와 블록체인 혼합 교육시스템
KR102563699B1 (ko) * 2022-08-25 2023-08-03 보잉 자오 메타버스 기반 명품 체험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02113A (ko) 2022-06-28 2024-01-04 이상민 실물경제 기반 메타버스 시스템 구현 서버 및 장치
WO2024048909A1 (ko) * 2022-09-01 2024-03-07 주식회사 메타스카이 Nft를 이용한 메타버스 구현 시스템
KR20240039340A (ko) 2022-09-19 2024-03-26 이준석 메타버스 공간을 활용한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40039348A (ko) 2022-09-19 2024-03-26 이준석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복수 오브젝트 이동 방법 및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4682A (ja) 2001-12-20 2005-05-19 ミュレックス・セキュリティーズ・リミテッド グローバル通信ネットワーク内で情報を捕捉し、マッチングしかつリンク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8217255A (ja) 2007-03-01 2008-09-18 Fujifilm Corp 仮想社会システムの管理方法及び仮想社会提供装置
KR20120003588A (ko) * 2010-07-05 2012-01-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메타버스 연동 기능을 구비한 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9087162A (ja) 2017-11-09 2019-06-06 株式会社ソニックムーブ デジタルガチャコンテンツシステム
KR20200131035A (ko) * 2019-05-13 2020-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록체인에 저장된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343025B1 (ko) * 2021-10-05 2021-12-24 (주) 모로보기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품 거래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4682A (ja) 2001-12-20 2005-05-19 ミュレックス・セキュリティーズ・リミテッド グローバル通信ネットワーク内で情報を捕捉し、マッチングしかつリンク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8217255A (ja) 2007-03-01 2008-09-18 Fujifilm Corp 仮想社会システムの管理方法及び仮想社会提供装置
KR20120003588A (ko) * 2010-07-05 2012-01-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메타버스 연동 기능을 구비한 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9087162A (ja) 2017-11-09 2019-06-06 株式会社ソニックムーブ デジタルガチャコンテンツシステム
KR20200131035A (ko) * 2019-05-13 2020-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록체인에 저장된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343025B1 (ko) * 2021-10-05 2021-12-24 (주) 모로보기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품 거래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온라인전시] 메타버스 세상 속 가상미술관 즐기기 : <나비 메타버스: 나비의 꿈>. 네이버블로그. 2022.2.3. <URL: https://m.blog.naver.com/j149837/222638122174> *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5345A (ko) 2021-11-22 2023-05-31 옥재윤 개별 메타버스 서버들과의 연동을 통한 메타버스 통합 이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40002113A (ko) 2022-06-28 2024-01-04 이상민 실물경제 기반 메타버스 시스템 구현 서버 및 장치
KR102557826B1 (ko) * 2022-07-28 2023-07-20 주식회사 메타비티 인공지능 기반의 메타버스와 블록체인 혼합 교육시스템
KR102563699B1 (ko) * 2022-08-25 2023-08-03 보잉 자오 메타버스 기반 명품 체험 시스템 및 방법
WO2024048909A1 (ko) * 2022-09-01 2024-03-07 주식회사 메타스카이 Nft를 이용한 메타버스 구현 시스템
KR20240039340A (ko) 2022-09-19 2024-03-26 이준석 메타버스 공간을 활용한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40039348A (ko) 2022-09-19 2024-03-26 이준석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복수 오브젝트 이동 방법 및 장치
KR102534844B1 (ko) * 2022-10-31 2023-05-30 주식회사제이엠쥐 Nft 및 메타버스를 이용한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KR102523264B1 (ko) * 2022-12-23 2023-04-18 김태원 음원 앨범에 수록된 qr 인식을 통한 음원 콘텐츠의 nft 발행 및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4554B1 (ko) 2023-01-06
KR20230134398A (ko) 2023-09-21
KR20230134399A (ko) 2023-09-21
KR20230134397A (ko) 2023-09-21
KR20230134400A (ko) 2023-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3623B1 (ko) 메타버스 내에서 미술 작품 전시 및 매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US202102796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tem acquisition by selection of a virtual object placed in a digital environment
US974761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RFID based commerce rewards
EP33916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biometric authentication using social network
US20110218880A1 (en) Systems and methods using mobile device in payment transaction
WO2019072024A1 (zh) 基于信用实现分期业务的方法
US11257059B2 (en) Keyboard application with third party engagement selectable items
WO2017209831A1 (en)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shared transaction processing
US1054068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mass media commerce
CN106663272A (zh) 一种电子交易凭证管理系统
Crowe et al. Mobile banking and mobile payment practices of US financial institutions: Results from 2014 survey of FIs in five federal reserve districts
JP6875432B2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150228027A1 (en) Method for facilitating crowd-investing
KR20240019965A (ko) 메타버스 기반 전시 시스템
CN115965458A (zh) 生成标记化的信誉分数
KR101649934B1 (ko) 간편 결제 시스템 및 간편 결제 방법
KR102472008B1 (ko) 메타버스를 통해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자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자산 관리 시스템
RU2717725C1 (ru) Онлайн торговая платформа для реализации товаров и услуг
CN111582904A (zh) 一种信息核销系统以及方法
CN111539857A (zh) 一种教育服务交易平台以及方法
KR102569578B1 (ko)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의료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102495580B1 (ko) 이미지 도용 판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102584688B1 (ko)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환자의 의료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및 서버
US20170295138A1 (en) Alias correlation system and method
US2022012212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mass media commer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