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7320B1 -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7320B1
KR102447320B1 KR1020220008997A KR20220008997A KR102447320B1 KR 102447320 B1 KR102447320 B1 KR 102447320B1 KR 1020220008997 A KR1020220008997 A KR 1020220008997A KR 20220008997 A KR20220008997 A KR 20220008997A KR 102447320 B1 KR102447320 B1 KR 102447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ft
transaction
terminal
work
wor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8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열
Original Assignee
정경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경열 filed Critical 정경열
Priority to KR1020220008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73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Handling legal document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Abstract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저작물을 업로드하는 저작권자 단말, 저작물의 저작권 또는 사용권에 기해 발행된 NFT를 거래하는 거래 단말 및 저작권자 단말로부터 저작물을 업로드받는 업로드부, 저작물을 검증한 후 저작물의 저작권 또는 사용권에 대응하는 NFT를 발행하는 발행부, NFT를 거래 단말에서 거래하도록 매수 또는 매도를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제공부, 거래 단말에서 NFT를 거래한 경우 저작권 또는 사용권을 획득한 정당사용자로 등록하는 기록부를 포함하는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NON-FUNGIBLE TOKEN BASED COPYRIGHT PROPERTY TRADING PLATFORM}
본 발명은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뉴스 기사를 포함한 글, 그림, 사진 및 영상의 사용권 및 저작권을 NFT로 발행하여 추적, 배포 및 로열티 지급이 용이하도록 한 거래 플랫폼을 제공한다.
NFT(Non-Fugible Token)란 대체 불가능한 정보를 덧붙인 블록체인 토큰을 말한다. NFT는 블록체인 암호화 기술을 활용해 그림, 영상, 음악과 같은 디지털 파일에 별도의 고유한 식별 정보를 부여하는 것으로, 대체가능한 토큰과는 달리 블록에 담긴 정보에 고유 식별자와 기본자산에 과한 데이터가 포함돼 있어 토큰 하나하나가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NFT의 대체불가능 속성은 디지털 파일의 원본성, 진본성, 유일성을 증명할 수 있고, 소장 및 구매이력을 증명할 수 있고, 희소성의 가치를 부여해줄 수 있다. NFT에 대한 법령상 정의는 없다. 전형적으로 NFT는 이더리움 블록체인 상에서 발행되고 거래되는 표준 인터페이스 ERC-721을 활용한다. NFT 자체는 2017년경부터 존재했는데, 한국의 경우 훈민정음 해례본 실물을 보유한 간송미술관 측이 국보 70호 훈민정음을 NFT로 제작해 100명에게 한정 판매하는 사업을 추진한다고 해 사회적 화두로 부상한 바 있다. NFT는 블록체인 기술로 컴퓨터 파일에 구매자 정보 등의 고유 인식값을 입력해 소유권을 보증하는 디지털 토큰으로, 디지털 표현 또는 예술작품을 기록하고 거래할 수 있는 디지털 원본 증명서 또는 소유권 증명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기사의 텍스트나 사진을 포함하는 콘텐츠의 저작권에 대한 라이센스를 거래하거나,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을 관리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09-0091429호(2009년08월28일 공개) 및 한국공개특허 제2021-0053762호(2021년05월12일 공개)에는, 잡지사 단말로부터 기사의 사진, 영상 및 글을 포함하는 콘텐츠를 디지털 콘텐츠로 가공하여 온라인 판매를 시작하고, 판매 후 전송을 할 때에는 라이센스 정보와 함께 제공하는 구성과, 콘텐츠에 고유정보를 부여하여 업로드하고, 구매 단말에서 고유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검색한 후 저작권 이용 정보를 구매 단말로 제공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전자의 경우 라이센스 정보를 제공했다고 할지라도 디지털 콘텐츠는 무단복제 및 배포가 쉬운 점을 고려하면 판매 후 디지털 콘텐츠가 타인에게 이전되거나 무단복제 및 배포가 되는 것을 막을 수 없고 기록도 할 수 없다. 후자의 경우에도 고유정보를 부여하여 업로드했다고 할지라도 고유정보가 DRM과 같이 사용을 제한을 두는 플랫폼 상에서 구동하는 것도 아니고, 전자와 마찬가지로 무단복제나 무단배포를 막을 길은 없다. 기사의 글, 그림, 사진 및 영상은 끊임없이 복사 및 붙여넣기로 짜깁기 기사가 재생산되고 있는데, 최초 원저작권자의 이용허락을 받지 않은 것은 물론, 로열티도 지급하지 않고 있다. 이에, 원저작권자의 저작물을 이용할 때 손 쉽게 이용허락을 받을 수 있고 로열티를 지급할 수 있도록 하면서, 저작물의 배포를 기록할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사의 글, 그림, 사진 및 영상을 포함한 저작물을 NFT로 발행하고, 기사의 글, 그림, 사진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 또는 양수하기를 원하는 거래 단말에서 NFT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전자지갑을 이용하여 거래하도록 함으로써, 원저작권자에게는 이용허락 및 로열티 지급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거래 단말에서도 원저작권자를 찾을 필요 없이 NFT만 구매하면 이용허락을 받고 로열티를 손 쉽게 지불할 수 있으며, 연쇄고리나 피라미드처럼 사용권이 배포되어 로열티가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고, 사용권이 배포되는 경우일지라도 추적 및 기록이 가능하며, 최초 구매자는 후행 구매자보다 로열티로 인해 유리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으므로 플랫폼으로의 최초 진입 장벽을 낮춰 유입을 유도할 수 있는,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저작물을 업로드하는 저작권자 단말, 저작물의 저작권 또는 사용권에 기해 발행된 NFT를 거래하는 거래 단말 및 저작권자 단말로부터 저작물을 업로드받는 업로드부, 저작물을 검증한 후 저작물의 저작권 또는 사용권에 대응하는 NFT를 발행하는 발행부, NFT를 거래 단말에서 거래하도록 매수 또는 매도를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제공부, 거래 단말에서 NFT를 거래한 경우 저작권 또는 사용권을 획득한 정당사용자로 등록하는 기록부를 포함하는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기사의 글, 그림, 사진 및 영상을 포함한 저작물을 NFT로 발행하고, 기사의 글, 그림, 사진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 또는 양수하기를 원하는 거래 단말에서 NFT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전자지갑을 이용하여 거래하도록 함으로써, 원저작권자에게는 이용허락 및 로열티 지급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거래 단말에서도 원저작권자를 찾을 필요 없이 NFT만 구매하면 이용허락을 받고 로열티를 손 쉽게 지불할 수 있으며, 연쇄고리나 피라미드처럼 사용권이 배포되어 로열티가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고, 사용권이 배포되는 경우일지라도 추적 및 기록이 가능하며, 최초 구매자는 후행 구매자보다 로열티로 인해 유리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으므로 플랫폼으로의 최초 진입 장벽을 낮춰 유입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저작물은 언론 분야의 기사를 포함한 광의의 글, 사진, 영상을 포함하고, 뉴스 기사 분야에 특화될 수 있지만 그 외의 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 단말(100),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거래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거래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거래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 단말(100)은,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저작물을 업로드하고 이용허락인 경우 사용권에 대한 로열티를 받거나 이전인 경우 양도에 따른 이전비를 받는 저작권자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저작권자 단말(100)로부터 저작물을 업로드하고 저작물에 기하여 NFT를 발행하며, 거래 단말(400)에서 구매를 하는 경우 이용허락에 따른 사용권인 경우에는 로열티를, 저작권 이전의 양도양수의 경우에는 이전비를 저작권자 단말(100)로 지급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블록체인 기반 전자지갑으로 NFT를 거래하도록 하고 각 거래기록은 분산공유원장에 기록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거래 단말(400)은,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거래자의 단말일 수 있다. 거래 단말(400)은 사용권을 NFT로 구매한 경우 이용허락을 전제하고 이용을 할 수 있는 권리를 획득하며, 저작권을 이전받은 경우 저작권에 포함되는 7 가지 권리도 함께 또는 별도로 이전받는 단말일 수 있다. 이전의 경우 이에 기한 NFT를 다시 발행하고 유통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거래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거래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거래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업로드부(310), 발행부(320), 제공부(330), 기록부(340), 로열티지급부(350), 추적부(360) 및 분할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거래 단말(400)로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거래 단말(400)은,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거래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업로드부(310)는, 저작권자 단말(100)로부터 저작물을 업로드받을 수 있다. 저작권자 단말(100)은, 저작물을 업로드할 수 있다. 저작물은, 사진영사 내 사진, 영상 및 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저작물은, 미술품 및 디지털 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나열된 것들로 한정되지 않고 열거되지 않은 이유로 배제되지 않는다.
발행부(320)는, 저작물을 검증한 후 저작물의 저작권 또는 사용권에 대응하는 NFT를 발행할 수 있다. 여기서 후술하는 인터넷 제공자의 면책이 적용된다면 이하의 검증은 거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 신문기사와 같이 글은 기자, 사진은 기사, 이에 대한 총 저작권은 신문언론사 등으로 기재되어 있기 때문에 출처가 명확하지만, 기타 저작권이 증명되지 않거나 증명이 필요한 것들에 대한 저작물은 검증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A의 저작물 B에 대해 NFT를 발급하기 위해서는, A가 A가 맞는지에 대한 본인인증, B가 A의 저작물이 맞는지에 대한 검증, B가 타인의 B를 불법복제한 것은 아닌지에 대한 검증이 요구된다. 저작권자 본인이 아닌 타인이 본인의 저작물로 NFT를 발급받거나, 불법복제물로 NFT를 발급받는다면 정당권리자가 아니기 때문에 검증을 시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저작권자로 등록된 증명서, 인증서 등을 함께 업로드하거나 본인인증을 수행하는 등의 본인확인, 정당권리자확인을 거치고 불법복제물이 아닌지의 여부에 대하여 웹 크롤러를 이용하여 동일한 저작물이 있는지를 검색하는 방법으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제공부(330)는, NFT를 거래 단말(400)에서 거래하도록 매수 또는 매도를 위한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거래 단말(400)은, 저작물의 저작권 또는 사용권에 기해 발행된 NFT를 거래할 수 있다. 매수 또는 매도를 위한 플랫폼은 SaaS(Software as a Service)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네트워크 인프라에서 하드웨어·소프트웨어의 리소스를 사용자가 필요한만큼 할당하고, 이를 사용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언제 어디서나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컴퓨팅 리소스를 가상화 기술과 융합하여 사용자 중심의 주문형 인터넷 서비스라고 일컫는다. 네트워크가 서비스 되는 환경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사용이 가능하고, 클라우드 서비스 환경 내에서 시스템 유지보수 비용과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매비용, 에너지 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서비스 방식에 따라서 Iaas, SaaS, PaaS 방식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비스(Private Cloud Service),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컴퓨팅(Hybrid Cloud Computing) 등으로 다양하게 서비스 하고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 데스크탑, 노트북을 사용하여 클라우드 환경에 접속하여 데이터, 콘텐츠를 저장·통합·관리하여, 언제 어디서나 단말 독립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기록부(340)는, 거래 단말(400)에서 NFT를 거래한 경우 저작권 또는 사용권을 획득한 정당사용자로 등록할 수 있다. 로열티지급부(350)는, 저작권자 단말(100)로부터 거래 단말(400)로 제 1 차 거래가 발생하고 난 후, 거래 단말(400) 간 거래가 발생하는 제 2 차 거래가 발생하는 경우, 제 2 차 거래 및 제 2 차 거래 이후의 거래에서 발생한 수익의 기 설정된 비율은 로열티로 저작권자 단말(100)로 지급될 수 있다.
추적부(360)는, 복수의 거래 단말(400) 간 NFT가 거래되어 사용권이 연쇄고리 또는 피라미드 형태로 배포되는 경우 저작권자 단말(100)에 대한 로열티를 추적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거래 단말(400)은 서로 다른 주체에 귀속된 복수의 거래 단말(400)일 수 있다.
분할부(370)는, 저작권에 대한 NFT에 대하여 조각투자가 가능하도록 분할할 수 있다. 사용권 또는 저작권 중 후자에 해당할 수 있는데, 저작권액수가 너무 큰 규모인 경우 이를 단위 저작권으로 분할하여 조각투자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미술작품이나 디지털 아트에 NFT를 발행하는 경우에는, 디지털로 표현한 예술 작품 보유자의 이력 등을 블록체인에서 기록할 수 있다. NFT아트는 NFT기술을 활용해 작품을 디지털 자산화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작품 원본은 블록체인 밖의 오프체인(Offchain)이나 분산 파일 시스템(Inter Planetary File System)에 보관하고, NFT에는 작품명, 세부사항, 계약조건, 원본에 접근할 수 있는 링크정보 등의 메타데이터만을 포함한다. NFT 플랫폼은 NFT아트와 NFT에 표상된 캐릭터와 아이템 등을 판매하는 2차 유통 시장을 말한다. NFT아트의 경우 거래대상은 디지털 작품 자체가 아라 그 작품의 링크를 구매하는 것이다.
캔버스 등 물리적 매체로 표현된 예술 작품인 리얼 아트는 예술적 표현의 가치뿐만 아니라, 원작품은 세상에 단 하나 밖에 없다는 희소성이 가치를 높다는 측면이 있다. 그러나 리얼 아트는 유체물이기 때문에, 시간 경과에 따른 물리적 열화(Deterioration, 변질)나 유통 속도 및 유통 범위 제한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디지털 매체로 표현된 예술 작품(이하, 디지털 아트)은 물리적 열화는 없고 유통 가능성은 매우 높지만 복제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리얼 아트에 비해 희소성이 낮다. 그런데 NFT아트는 리얼 아트의 희소성과 디지털 아트의 유통을 겸비한 이른바 하이브리드와 같은 예술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NFT나 NFT아트의 법적 성질, 즉 무엇에 대해 어떤 권리가 발생하는지에 대해서는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확립된 견해나 판례는 아직 없다.
디지털 데이터나 콘텐츠는 무료이고 쉽게 복제가 가능하고 대체가능성을 갖는다. NFT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대체가능한 디지털 정보에 인위적으로 희소성을 부여함으로써 시장에서 거래 가능한 적합한 형태가 된다. 대체가 가능한 서적이나 음반과는 달리, 대체가 불가능한 미술품은 원본 중심의 시장에서는 그 거래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대체가 가능한 서적이나 음반에 NFT를 통하여 인위적으로 희소하게 만들거나 무한 복제가 가능한 디지털 미술품에 유일성 내지 희소성을 부여하게 되면 그 가치가 상승할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이, NFT는 독특한 디지털 데이터 특성을 갖기 때문에, NFT는 데이터의 소유를 가능하게 한다, 또는 NFT 소유자는 디지털 아트 및 디지털 캐릭터의 소유권이나 저작권을 취득한다고 볼 수도 있다. 오프라인에 있는 디지털 파일을 NFT화하는 것을 민팅(Minting)이라고 한다. 누구든지 NFT로 민팅할 수 있는데, 타인의 저작물을 민팅하는 경우에는 저작재산권 중 복제권과 전송권 침해가 문제될 수 있다. 회화, 조각, 판화 등 유형화된 저작물 또는 리얼 아트를 민팅하여 NFT화한다는 것은 그 실물 저작물을 디지털 이미지로 복제하여 플랫폼의 웹사이트(인터넷)에 전송하는 행위로 볼 수 있다.
<2차적 저작물>
디지털 파일이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는 저작물인 이상 이를 그 차원을 달리해(2차원에서 3차원으로) 시공 내지 구현하는 것은 그 과정에 창작성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복제 행위 또는 2차적 저작물 작성 행위로 볼 수 있다. 또 타인의 저작물을 이용해 제작한 NFT가 2차적 저작물에 해당하는 경우 저작권 침해 여부와 관계없이 저작권을 취득한다. 저작물과 관련 있는 메타데이터를 공중에 이용 제공하는 것을 전송행위로 보기는 어렵지만, 이용허락을 받지 아니하고 타인의 저작물을 NFT 생선 및 판매를 위해 저작물에 대한 링크 연결이 필수적인데, 링크 연결행위에 대해서 대법원은 저작권 침해(전송권 침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물론 오리지널 작품이 오프체인 NFT 내에서 복제되지 아니한다는 반론도 존재하지만 오리지널 작품의 복제 없이는 민팅을 할 수 없는 것으로 보이므로 민팅 행위에 대한 복제권 침해가 발생할 수 있다. 또 제3자의 회화, 조각, 판화 등 유형화된 저작물(이하, 리얼 아트)을 디지털 트윈으로 NFT로 민팅하는 행위, 리얼 아트 저작물 소유자가 NFT로 민팅하는 행위, 리얼 아트 저작물의 이용권자(Licensee)가 민팅하는 행위, 공유 저작물(Public Domin Work)을 민팅하는 행위 등 NFT의 활용 방식은 다양한데, 그 활용 방식에 따라 권리 귀속 및 권리 침해 태양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저작권은 표현(무체물)에 대한 권리인 반면 소유권은 유체물에 대한 권리이다. 우선 저작재산권 및 저작인격권은 어디까지나 저작물이라는 창작적 표현, 즉 형태가 없는 무체물에 대한 권리이며, 회화나 조각 등의 리얼 아트는 형태 있는 물건인 유체물로 소유권 대상이 되고, 소유주가 독립적으로 존재한다. 소유권은 민법에서 법령의 제한 내에서 자유롭게 그 소유물을 사용, 수익 및 처분 할 권리(민법 206조)으로 규정돼 있으며, 계약 관계가 없는 제3자에게 행사할 수 있는 절대적인 권리로 보호된다. 저작권법은 이러한 소유권의 성격을 감안해 미술저작물의 저작권과 소유권이 충돌할 수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권리를 조정하는 규정을 두고 있다.
<재판매권>
한국 저작권법에서는 아직 인정하지 않는 재판매권의 존재도 중요하다. 미술품 재판매권(일명 추급권, Artist Resale Right)이란 미술품이 재판매될 때 작가가 판매수익의 일정 비율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로, 유럽연합(EU) 등 80여 개 국가에서 도입하고 있다. 재판매권은 미술 창작 분야에서 정당한 보상체계 마련이라는 관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는 권리이다. 한국에서는 미술품 거래를 추적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곤란하다는 등을 이유로 아직 법적 권리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NFT의 기초인 블록체인 기술에 의해 거래 추적이 가능하기 때문에 재판매권 또는 이와 유사한 구조를 만드는 것이 기술적으로 가능함에 따라, 아티스트에게는 NFT아트를 창작하는 큰 매력의 하나가 될 수 있다.
<권리소진이론>
서적이나 음반의 유형 매체의 거래에 적용되는 배포권 소진이 NFT가 적용된 디지털 자산에 대해서 적용될 필요성이 존재한다. 권리소진이론은 저작권자가 한번 판매하고 나면 일단 판매한 저작복제품에 대하여는 그것의 향후 전전 유통 내지 배포에 대해 자기의 배포권을 주장하지 못한다는 이론이다. 이 이론에 의하면, 저작권자가 저작물의 복제물을 최초로 판매하고 이에 대하여 보상을 받은 경우, 저작권자가 그 복제물을 처분하는 것에 대해 통제할 수 있는 권리를 종료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권리소진이론의 적용을 통해 그 복제물이 최초로 판매돼 구매자가 소유권을 취득한 자는 그 복제물에 대한 저작권자의 권리는 완전히 행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역으로 저작권자의 경우 그 복제물이 추가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통제할 저작자의 권리는 중지되는 것이다. 그 이유는 추가적인 판매에 대해 저작자가 통제할 수 있도록 한다면 이러한 저작권의 유통이 현저히 제한되기 때문이다.
아울러 이러한 양도 등이 이루어질 경우 이미 판매가 이뤄지고 소유권이 이전되었음에도 지속적으로 저작권자가 양도 및 거래를 위한 권리 등 사유재산권을 부당하게 침해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권리소진이론에 의한 저작권의 제한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저작물의 복제물을 소유한 자는 저작권자의 동의 없이는, 복제물을 전시하거나 판매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권리소진이론을 통하여 저작권자로부터 저작물의 복제물을 직접 구입할 수단이나 기회를 가지지 못한 일반인들도 복제물을 구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역할도 한다. 전통적 매체를 통한 저작물의 복제물을 전송을 통해서 항구적인 통제권을 인도하는 경우에는 권리소진원칙이 적용되지만, 항구적 베이스로 이용자에게 디지털 복제본을 전송하거나 이용제공하지 않는 서비스의 온라인 제공에는 권리소진 원칙이 적용되지 아니한다. 다만, 디지털자산인 NFT의 2차적 거래와 유통은 유일성이 유지되므로 디지털권리소진을 인정할 필요가 있지만 아직 입법 이전이므로 본 발명의 플랫폼의 실시예에 따라 또는 저작권자 단말(100)과의 계약에 따라 로열티의 지급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NFT 플랫폼 사업자의 책임 및 면책>
인터넷에서 저작권을 침해하는 게시물에 대해 1차적인 책임을 지는 자는 그 게시물을 직접 게시한 자이다. 인터넷 포털사이트를 운영하는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이하, OSP)가 제공한 인터넷 게시공간에 위와 같은 게시물이 게시됐고 검색기능을 통해 인터넷 이용자들이 그 게시물을 쉽게 찾을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사정만으로 곧바로 OSP에게 저작권 침해에 대한 불법행위책임을 지울 수는 없다. NFT아트 플랫폼에 저작권 침해 아트가 게시되는 경우 해당 플랫폼에 대해 위 OSP 책임과 면책 법리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인지 검토가 필요하다. NFT 거래는 저작물 자체의 거래라기보다는 저작물을 증명하는 메타데이터 기록의 거래라 할 수 있고, 탈중앙화 서비스로 이뤄지므로 자료를 서버에 저장해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저장 서비스로 보기는 어렵지만, 메타데이터 NFT아트 콘텐츠 자체는 해당 플랫폼사의 서버에 저장돼 회원에게 게시되므로 해당 범위에서는 중앙집중적 방식으로 저장서비스를 제공하는 OSP로 판단될 여지가 있다.
NFT는 탈중앙화라는 일반적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NFT아트 콘텐츠 자체는 중앙 집중적으로 방식으로 저장되고 있다는 측면이 별도로 고려될 수 있다. 저작권 침해 게시물 발견의 특정(Notice)은 저작권자가 부담하되, 신속 대응 (Takedown)은 OSP의 부담이라는 면책규정(Safe Harbors 면책)을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NFT를 발급하기 이전에 저작권자 및 저작물을 검증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면책을 받을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여 NFT 분산 유통방식을 설명한다.
사용자 A는 기존 또는 신규 NFT를 가지고 NFT 분산토큰을 신청하면, 서비스사 또는 예탁기관은 NFT를 수취한 후, 분산토큰을 발행하여 사용자 A에게 전달한다. 사용자 A는 분할된 1000 개 NFT 중 200 개를 판매하고, 거래소에서는 호가단위로 분산, 매도 및 매수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자 B가 NFT 토큰을 200 개 전량 구매하여 200 개를 보유하면, 최대 지분자인 사용자 B의 DAO(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 시스템을 통하여 NFT 판매 또는 사용권을 판매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C가 구매를 하는 경우, 지분만큼 보상을 지급하고, NFT 토큰을 소각한다. 사용권을 판매하는 경우에는 지분 기준으로 원단위 보상을 지급한다.
도 3b를 참조하여 NFT 사용권의 유통 방식을 설명한다. 우선, NFT 사용권 판매를 판매 플랫폼에 등록하고, 비용방식 및 광고방식으로 진행한다. 비용방식은, 사용자가 부합하는 서비스 카테고리에 따라 1 회 사용시마다 비용을 지급하는 방식이고, 광고방식은, 사용자가 부합하는 서비스 카테고리에 따라 해당 NFT(기사)에 광고삽입을 인용할 때 해당 광고를 노출함으로써 수익을 쉐어하는 방식이다. 대상 NFT에는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랫폼은 도 4a 내지 도 4g와 같이 구현이 될 수 있으며 현재 파트너사는 언론사 위주이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미술품이나 디지털 아트에 따른 NFT를 거래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각 페이지는 SaaS 기반으로 사용자가 소프트웨어를 직접 깔지 않아도 웹 페이지에 접속하는 것만으로도 본 발명의 NFT 발행, 매수, 매도, 정산, 이익배분, 로열티 지급 및 정산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저작권자 단말로부터 저작물을 업로드받는다(S5100).
그리고,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저작물을 검증한 후 저작물의 저작권 또는 사용권에 대응하는 NFT를 발행하고(S5200), NFT를 거래 단말에서 거래하도록 매수 또는 매도를 위한 플랫폼을 제공한다(S5300).
또,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거래 단말에서 NFT를 거래한 경우 저작권 또는 사용권을 획득한 정당사용자로 등록한다(S5400).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저작물을 업로드하는 저작권자 단말;
    상기 저작물의 저작권 또는 사용권에 기해 발행된 NFT를 거래하는 거래 단말; 및
    상기 저작권자 단말로부터 저작물을 업로드받는 업로드부, 상기 저작물을 검증한 후 상기 저작물의 저작권 또는 사용권에 대응하는 NFT를 발행하는 발행부, 상기 NFT를 상기 거래 단말에서 거래하도록 매수 또는 매도를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제공부, 상기 거래 단말에서 상기 NFT를 거래한 경우 상기 저작권 또는 사용권을 획득한 정당사용자로 등록하는 기록부를 포함하는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거래 단말이 서로 다른 주체에 귀속된 복수의 거래 단말인 경우,
    상기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저작권자 단말로부터 상기 거래 단말로 제 1 차 거래가 발생하고 난 후, 상기 거래 단말 간 거래가 발생하는 제 2 차 거래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 2 차 거래 및 상기 제 2 차 거래 이후의 거래에서 발생한 수익의 기 설정된 비율은 로열티로 상기 저작권자 단말로 지급되는 로열티지급부; 및
    상기 복수의 거래 단말 간 상기 NFT가 거래되어 상기 사용권이 연쇄고리 또는 피라미드 형태로 배포되는 경우 상기 저작권자 단말에 대한 로열티를 추적하도록 하는 추적부;
    를 더 포함하는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수 또는 매도를 위한 플랫폼은 SaaS(Software as a Service)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물은, 사진영상기사 내 사진, 영상 및 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물은, 미술품 및 디지털 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저작권에 대한 NFT에 대하여 조각투자가 가능하도록 분할하는 분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20008997A 2022-01-21 2022-01-21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47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997A KR102447320B1 (ko) 2022-01-21 2022-01-21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997A KR102447320B1 (ko) 2022-01-21 2022-01-21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7320B1 true KR102447320B1 (ko) 2022-09-26

Family

ID=83452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8997A KR102447320B1 (ko) 2022-01-21 2022-01-21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732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359B1 (ko) * 2022-10-21 2023-05-26 주식회사 디지캡 Nft를 이용한 저작권 거래 시스템
KR102541623B1 (ko) * 2023-02-21 2023-06-13 하일렌 주식회사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102598245B1 (ko) * 2023-04-27 2023-11-03 (주)아산아트컬쳐 원본의 의도적 소멸에 따라 원본을 대체하는 nft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및 시스템
KR102618787B1 (ko) * 2022-11-15 2023-12-29 주식회사 지아소프트 Nft 미술작품을 이용한 구독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636732B1 (ko) * 2023-04-27 2024-02-14 (주)아산아트컬쳐 소멸된 원본을 대체하는 nft의 거래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시스템
KR102638781B1 (ko) * 2023-03-17 2024-02-20 주식회사 젭 메타버스 내에서의 nft 엠블럼 표시 방법 및 시스템
WO2024071890A1 (en) * 2022-09-28 2024-04-04 Dunamu Inc. Apparatus for processing non-fungible tok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398A (ko) * 2016-12-27 2018-07-06 주식회사 인터포 지능형 글로벌 O2O 서비스 및 개방형 SaaS 플랫폼
KR20210059164A (ko) * 2019-11-15 2021-05-25 주식회사 아트스토어 블록체인을 이용한 2차 저작권 소유권 발행시스템
KR102343025B1 (ko) * 2021-10-05 2021-12-24 (주) 모로보기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품 거래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398A (ko) * 2016-12-27 2018-07-06 주식회사 인터포 지능형 글로벌 O2O 서비스 및 개방형 SaaS 플랫폼
KR20210059164A (ko) * 2019-11-15 2021-05-25 주식회사 아트스토어 블록체인을 이용한 2차 저작권 소유권 발행시스템
KR102343025B1 (ko) * 2021-10-05 2021-12-24 (주) 모로보기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품 거래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1890A1 (en) * 2022-09-28 2024-04-04 Dunamu Inc. Apparatus for processing non-fungible token
KR102534359B1 (ko) * 2022-10-21 2023-05-26 주식회사 디지캡 Nft를 이용한 저작권 거래 시스템
KR102618787B1 (ko) * 2022-11-15 2023-12-29 주식회사 지아소프트 Nft 미술작품을 이용한 구독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41623B1 (ko) * 2023-02-21 2023-06-13 하일렌 주식회사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102638781B1 (ko) * 2023-03-17 2024-02-20 주식회사 젭 메타버스 내에서의 nft 엠블럼 표시 방법 및 시스템
KR102598245B1 (ko) * 2023-04-27 2023-11-03 (주)아산아트컬쳐 원본의 의도적 소멸에 따라 원본을 대체하는 nft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및 시스템
KR102636732B1 (ko) * 2023-04-27 2024-02-14 (주)아산아트컬쳐 소멸된 원본을 대체하는 nft의 거래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시스템
KR102639139B1 (ko) * 2023-04-27 2024-02-21 (주)아산아트컬쳐 원본에 대한 인증과 원본의 소멸에 대한 검증을 토대로 원본을 대체하는 nft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7320B1 (ko)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210166203A1 (en) System and process for tokenization of digital media
McConaghy et al. Visibility and digital art: Blockchain as an ownership layer on the Internet
Hofstetter et al. Crypto-marketing: How non-fungible tokens (NFTs) challenge traditional marketing
Zhao et al. Bmcprotector: A blockchain and smart contract based application for music copyright protection
Zhang et al. A design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mechanism based on blockchain technology
CN113261029A (zh) 操作管理装置
CN111902814A (zh) 以基于区块链的文档传递、协作和传播为动力的去中心化的市场和生态系统
US20130317918A1 (en) System and method of authentication, monitoring, and advertisement distribution
US20220337439A1 (en) Rights-enabled tokens for blockchain applications
KR20200011853A (ko) 블록체인 기반 창작물 크라우드 펀딩 및 유통 시스템과 이를 사용한 창작물 크라우드 펀딩 및 유통 방법
US202203188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okenized licensing of content
US202203188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tokenized affiliate marketing
US202203095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tokenized minting, authentication, and utilization of assets
US202203095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tokenized utilization of event information
US20050289011A1 (en) Method and system for purchasing copyrighted digital data from independent sales parties
US20220366486A1 (en) Decentralized auction platform
KR102541623B1 (ko)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제공 시스템
Tharun et al. NFT application for music industry using blockchain smart contracts
Gheorghe et al. Blockchain and smart contracts in the music industry–streaming vs. downloading
US2023007518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content from creation to consumption
US202203095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funding a virtual location
KR20230011197A (ko) Nft를 이용한 실제 예술품 거래 방법
Sachdev et al. Analyzing blockchain based models for digital content metadata traceability
US202301963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ebpages as unique asset tok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