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9139B1 - 원본에 대한 인증과 원본의 소멸에 대한 검증을 토대로 원본을 대체하는 nft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원본에 대한 인증과 원본의 소멸에 대한 검증을 토대로 원본을 대체하는 nft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9139B1
KR102639139B1 KR1020230148241A KR20230148241A KR102639139B1 KR 102639139 B1 KR102639139 B1 KR 102639139B1 KR 1020230148241 A KR1020230148241 A KR 1020230148241A KR 20230148241 A KR20230148241 A KR 20230148241A KR 102639139 B1 KR102639139 B1 KR 102639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iginal
electronic device
verification
damage
blockchai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48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열
Original Assignee
(주)아산아트컬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산아트컬쳐 filed Critical (주)아산아트컬쳐
Priority to KR1020230148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91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1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4Protecting data integrity, e.g. using checksums, certificates or sign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Bioeth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포함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동작 방법은, 원본(original)을 표현하기 위한 콘텐츠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을 입증하기 위한 증거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데이터 및 증거 데이터를 바탕으로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 검증이 수행됨에 따라 원본을 단독으로 대체하기 위한 NFT(Non-Fungible Token)를 발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본에 대한 인증과 원본의 소멸에 대한 검증을 토대로 원본을 대체하는 NFT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 ELECTRONIC APPARATUS FOR GENERATING NON-FUNGIBLE TOKEN FOR REPLACING ORIGINAL BASED ON AUTENTICATION OF ORIGINAL AND VERIFICATION OF DISAPPEARANCE OF ORIGINAL }
본 개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연동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본의 의도적 소멸에 따라 원본을 대체하는 NFT(Non-Fungible Token)를 발행하는 전자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NFT(Non-Fungible Token)는 디지털 자산의 일종으로 적어도 하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발행하는 대체 불가능한 특정 암호 디지털 자산을 의미한다. 디지털 파일에 대한 소유권을 블록체인상에 저장함으로써 위조 및 변조가 불가능하도록 만들어 영구 보존하고, 소유권을 탈중화한 형태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NFT는 거의 대부분의 것을 토큰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을 통해 이미 게임, 음악, 예술 그리고 가상공간에서의 거래에 활용되고 있다.
한편, 원본의 실물 가치가 매우 높은 미술계에 있어서, 원본의 보관과 전시에는 매우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모될 수밖에 없다. 원본 자체의 높은 가치로 인해 원본의 보관을 위한 전용 공간, 보안 수단, 관리 인력을 갖춰야 하며, 전시 과정 역시 원본이 위치한 특정 장소에서만 가능하다는 점에서 여러가지 문제가 있다.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블록체인, 가상/증강 현실 등의 기술이 접목되면서 급변하고 있는 예술 시장의 흐름을 고려했을 때, 원본을 소유한 소유자의 재산적 가치를 지키면서도 보관과 전시를 유연하게 진행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기대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3-0020262호(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대체불가능 토큰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본 개시는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에 따라 원본을 대체하기 위한 NFT를 발행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는,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을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검증하여 원본을 대체하기 위한 NFT를 발행하는 전자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개시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포함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가, 원본(original)을 표현하기 위한 콘텐츠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을 입증하기 위한 증거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콘텐츠 데이터 및 상기 증거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검증이 수행됨에 따라 상기 원본을 단독으로 대체하기 위한 NFT(Non-Fungible Token)를 발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원본이 훼손 또는 소멸되기 전에 촬영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원본의 창작과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공유하는 단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이미지와 상기 메타데이터 각각의 진위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이 수행됨을 전제로 상기 증거 데이터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증거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촬영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증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거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을 보증하기 위한 보증자(guarantor)의 보증 정보를 포함하는 증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상기 증거 데이터를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증거 데이터에 대하여 수행된 검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을 부정하는 반대 증거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된 반대 증거 데이터를 상기 증거 데이터를 배포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반대 증거 데이터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의견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의견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공유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검증을 바탕으로 상기 원본의 훼손 정도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훼손 정도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훼손된 원본의 콘텐츠 데이터를 획득하여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훼손 정도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원본이 소멸된 것으로 식별하여 상기 NFT를 발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구성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가 소유한 원본(original)을 표현하기 위한 콘텐츠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을 입증하기 위한 증거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 및 상기 증거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검증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증 장치가, 상기 콘텐츠 데이터 및 상기 증거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검증이 수행됨에 따라 상기 원본을 단독으로 대체하기 위한 NFT(Non-Fungible Token)를 발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은, 작품의 훼손 또는 소멸을 보증하기 위한 보증자의 보증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증거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을 보증하기 위한 상기 보증자의 보증 정보를 포함하는 증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보증 정보를 상기 보증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보증 정보의 진위를 식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포함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가, 원본(original)을 표현하기 위한 콘텐츠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획득된 콘텐츠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원본의 소유자를 나타내는 NFT(Non-Fungible Token)를 발행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을 입증하기 위한 증거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콘텐츠 데이터 및 상기 증거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검증이 수행되면, 상기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을 나타내는 블록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NFT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 내지 시스템은,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을 전제로 원본을 영구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NFT를 발행하여 저작자와 소유자의 재산의 가치를 보존하면서도 예술 작품에 대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 내지 시스템은,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을 확인하기 위한 검증 수단이 구비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토대로 공신력 있는 NFT의 발행을 지원하여 예술 작품의 본질을 영속적으로 보유한 주체를 정의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을 입증하기 위한 증거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공유하여 NFT를 발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을 전제로 NFT를 발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을 전제로 기발행된 NFT를 업데이트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훼손 또는 소멸 전후의 원본의 이미지가 블록체인에 기록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신된 증거 데이터를 바탕으로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에 대한 검증 과정을 진행하는 동작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그리고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각 장치의 역할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개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도면의 기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를 모두 도시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듈", "유닛", "부(part)" 등과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이며,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유닛", "부(part)" 등은 각각이 개별적인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나 칩으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을 입증하기 위한 증거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공유하여 NFT를 발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복수의 전자 장치(100-1, 2, 3, …)로 구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도시한 것이다.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복수의 장치들이 데이터를 분산 보유하며, 일정 시간 단위로 블록을 생성하고, 각 장치들이 검증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과 플랫폼으로 구성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에는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이 설치/실행된 다양한 전자 장치가 접속할 수 있으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근 또는 접속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구성은 실시간으로 변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1)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포함된 서버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1)는 원본(original)을 영구적으로 대체하기 위한 NFT(Non-Fungible Token)를 발행할 수 있다. 다만 원본을 영구적으로 대체하기 위한 NFT가 탄생하기 위해서는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이 전제가 된다.
원본(original)은, 특정한 저작물 내지 예술 작품의 원본을 의미하며, 그림, 조각, 사진, 구조물 등 형태를 가지는 다양한 유형의 예술 작품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1)는 소멸되기 전의 원본(10)을 표현하기 위한 콘텐츠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원본(10)의 훼손 또는 소멸을 전제로, 전자 장치(100-1)는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을 입증하기 위한 증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1)는 콘텐츠 데이터 및 증거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공유할 수 있으며, 콘텐츠 데이터 및 증거 데이터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블록체인 상에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1)는 증거 데이터를 바탕으로 원본(10)의 훼손 또는 소멸이 입증 내지 검증됨에 따라, 원본(10)을 영구적으로 대체하기 위한 NFT를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발행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블록 정보를 전송하거나 업로드하는 것은, 다수의 전자 장치들이 연결되어 있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공유되는 공개 장부(블록)에 블록 정보가 기록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NFT는 원본(10)이 촬영된 이미지/비디오 등의 디지털 파일이 저장된 웹 주소, 원본(10)의 훼손 또는 소멸을 입증하기 위한 증거 데이터가 저장된 웹 주소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소멸된 원본(10)과 관련된 디지털 파일의 소유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체인 상에 기록된다는 점에서, 해당 정보의 위조/변조가 어렵고, 디지털 자산의 거래 과정에서도 공개된 거래 내역을 바탕으로 소유자가 변경될 수 있다.
그 결과, 실물에 해당하는 원본(10)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지만, 그 소유자와 작품에 대한 정보를 온전히 포함하면서도 유일성을 가지는 높은 가치의 NFT가 영구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유자와 저작권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재산적 가치의 활용을 지원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통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의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장치에 해당하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구성된 서버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VR(Virtual Reality) 기기, AR(Augmented Reality) 기기, 셋탑 박스, 콘솔 기기 등 다양한 단말 기기에 해당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후술할 관리 서버, 사용자 단말, 검증 장치, 보증 장치, 인증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10), 통신부(120), 프로세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0)는 전자 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전자 장치(100)의 구성요소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이다.
메모리(110)는 ROM, 플래시 메모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DRAM 등으로 구성된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0)는 하드 디스크, SSD(Solid state drive)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부(12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회로, 모듈, 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회로, 모듈, 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영역 또는 규모에 따라 개인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일 수 있으며, 네트워크의 개방성에 따라 인트라넷(Intranet), 엑스트라넷(Extranet), 또는 인터넷(Internet) 등일 수 있다.
통신부(120)는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5G(5th Generation) 이동통신,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WiFi(Wi-Fi), WiFi Direct, 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Zigbee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 장치들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이더넷(Ethernet), 광 네트워크(optical network), USB(Universal Serial Bus), 선더볼트(ThunderBolt)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 장치들과 연결될 수도 있다.
이 밖에도, 통신부(120)는 향후 새롭게 고안되는 다양한 통신 방식/기술을 활용한 구성일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10)와 연결되는 한편 메모리(11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CPU, AP,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과 같은 범용 프로세서, GPU, VPU(Vision Processing Unit) 등과 같은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 또는 NPU와 같은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는, 특정 인공지능 모델의 훈련 내지는 이용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도 3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을 전제로 NFT를 발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원본(original)을 표현하기 위한 콘텐츠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310).
콘텐츠 데이터는, 원본이 촬영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원본의 창작과 관련된 메타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원본이 촬영된 이미지는, 원본이 훼손되거나 소멸되지 않은 상태에서 촬영된 이미지에 해당할 수 있다. 개념적으로, 원본의 형상과 아름다움을 최대한 원본 그대로 온전하게 담고 있는 이미지에 해당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는, 원본을 창작한 저작자, 원본의 창작 시점, 원본의 창작에 소요된 기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타데이터는, 원본의 창작 과정의 에피소드, 원본의 창작 방식(ex. 제작 과정, 그림을 그리는 방식 등), 원본의 창작의 동기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메타데이터는 원본의 소유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콘텐츠 데이터는, 원본의 저작자 또는 소유자에 의해 입력된 것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서버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저작자 또는 소유자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콘텐츠 데이터를 획득하여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가 저작자 또는 소유자의 사용자 단말(ex. 스마트폰 등)에 해당할 수도 있다.
관련하여, 전자 장치(1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콘텐츠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이미지와 메타데이터 각각의 진위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는 다양한 콘텐츠 데이터의 진위 여부를 인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인증 장치는, 다양한 작품의 창작 내지 저작을 인증하거나 진위를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증 기관의 서버 내지는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인증 기관은, 적어도 하나의 국가의 저작권협회 등 공공기관 외에 예술 작품의 인증이나 등록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다양한 사설 기관이 될 수도 있다.
여기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된 원본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수행된 인증 장치의 인증을 전제로, 콘텐츠 데이터가 나타내는 원본이 실제로 해당 저작자(: 메타데이터)의 저작물임이 인증될 수 있다. 이러한 인증 결과는 블록체인에 기록될 수 있다.
인증은, 예를 들어 인증 기관의 직원이나 전문가에 의해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장치가 제공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확인한 직원이나 전문가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인증 결과가 생성되어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공유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이미지 내 작품과 메타데이터 내 저작자의 정보가 서로 매칭되지 않는 경우, 인증이 실패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내 작품이 원본이 아닌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역시 인증이 실패할 수 있다.
한편, 창작된 원본은, 소유자의 의사에 따라 훼손되거나 소멸될 수 있다. 이는, 해당 원본의 실물을 폐기하되, 이를 영구적으로 대체하기 위한 NFT의 발행을 위한 의도적 행위에 해당할 것이다.
이 경우, 원본을 영구적으로 대체하기 위한 NFT의 발행을 요청하는 소유자의 사용자 입력이 전자 장치(100)로 수신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을 입증하기 위한 증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320).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을 입증하기 위한 증거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증거 데이터가 획득될 수 있다.
증거 데이터는,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촬영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유자는 참관인(ex. 보증인)이 일정 수 이상 존재하는 장소에서 원본의 소각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때, 원본의 소각 과정(ex. 소각 전, 소각 중, 소각 이후)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촬영될 수 있다. 본 촬영은, 소유자의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것일 수도 있다. 해당 이미지는 소멸 과정의 원본의 모습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장소에 존재하는 사람들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ex. 얼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속되는 이미지 프레임 외에 오디오 데이터(ex. 사람의 음성, 소멸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운드 등)를 포함하는 비디오가 증거 데이터로서 확보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NFT의 발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서버인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을 입증하기 위한 증거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사용자 단말의 촬영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의 촬영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이 진행되는 과정이 촬영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비디오는 증거 데이터로서 실시간으로 전자 장치(100)를 통해 블록체인에 기록될 수 있다.
증거 데이터는,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을 보증하기 위한 보증자(guarantor)의 보증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보증 정보는, 원본의 소각 과정을 확인한 적어도 한 명의 보증인의 신원 정보, 확인증, 서명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가 서버인 경우, 소유자 등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증거 데이터가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소유자의 사용자 단말인 경우, 사용자 입력(ex. 촬영 기능 활성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 등)에 따라 증거 데이터가 획득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콘텐츠 데이터 및 증거 데이터를 바탕으로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S330). 이때, 검증은 전자 장치(100)에 의해 단독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원본의 진위에 대한 인증이 수행됨을 전제로 증거 데이터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원본의 창작과 소유에 대한 인증이 성공적으로 수행됨을 전제로,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에 대한 검증이 진행될 수 있다.
검증 수행 과정에서, 전자 장치(1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증거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이 경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통해 검증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지정된 검증 장치만이 검증을 수행할 수도 있고, 무작위로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서 검증이 수행될 수도 있다.
검증 장치는, 증거 데이터를 바탕으로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 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장치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검증 장치는,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을 검증하도록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검증 기관의 서버 내지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검증 장치의 검증 과정은, 검증 장치가 제공하는 콘텐츠 데이터 및 증거 데이터를 확인한 사용자(: 검증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을 인정하거나 부정하는 검증 결과가 획득될 수 있다.
검증 장치의 검증 과정은, 검증 장치에 저장되거나 검증 장치와 연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모델을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지의 위조/변조 여부를 판단하도록 훈련된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모델이 이용될 수 있다. 본 인공지능 모델은, 하나 이상의 레이어로 구성되어 노드 간의 가중치를 매개로 업데이트되는 네트워크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ex. 머신 러닝, 딥 러닝 등), 이미지 내 구도 변화, 객체 변화, 객체 삽입, 객체 이동, 객체 삭제 등을 탐지하도록 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인공지능 모델은 위조 또는 변조가 적용된 복수의 이미지, 위조 또는 변조가 적용되지 않은 복수의 이미지를 통해 각각 훈련될 수 있다. 이때, 훈련에 이용되는 이미지들은 다양한 예술 작품의 훼손 또는 소멸 과정에서 촬영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검증 장치는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이 진행되는 과정이 촬영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상술한 인공지능 모델에 입력하여 위조/변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훼손 또는 소멸을 인정하거나 부정하는 검증 결과가 획득될 수 있다.
이렇듯 하나 이상의 검증 장치를 통해 검증이 수행되면, 검증 결과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공유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는 검증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검증 결과에 따라 원본을 단독으로 대체하기 위한 NFT(Non-Fungible Token)를 발행할 수 있다(S340).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검증 장치를 통해 수행된 검증이 성공한 경우, NFT가 발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모든 검증 장치들의 검증 결과가 훼손 또는 소멸을 인정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검증이 성공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일정 수 이상의 검증 장치들의 검증 결과가 훼손 또는 소멸을 인정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검증이 성공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각 검증 장치의 검증 결과를 신뢰도에 해당하는 수치로 획득하고, 신뢰도의 평균을 임계치와 비교하여 검증의 성공 여부를 식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신뢰도는,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에 해당하는 사실을 신뢰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하며, 각 검증 장치마다 수치로 출력될 수 있다.
발행된 NFT는 상술한 콘텐츠 데이터, NFT의 소유자(: 원본의 소유자) 등에 대한 정보와 연동될 수 있다. 또한, 본 NFT는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을 입증하기 위한 증거 데이터, 증거 데이터에 대한 검증 결과 등과 연동됨으로써 그 가치를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도 3a와 달리, 원본이 훼손 또는 소멸되기 전에 먼저 NFT가 발행된 이후,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 이후 NFT가 업데이트되는 것도 가능하다.
관련하여, 도 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을 전제로 기발행된 NFT를 업데이트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원본(original)을 표현하기 위한 콘텐츠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S310'), 획득된 콘텐츠 데이터를 바탕으로 원본의 소유자를 나타내는 NFT(Non-Fungible Token)를 발행할 수 있다(S320'). 이때, 콘텐츠 데이터의 진위 여부에 대한 인증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을 입증하기 위한 증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330'). 여기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장치(100)는 콘텐츠 데이터 및 증거 데이터를 바탕으로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S340'). 검증 과정은, 도 3a를 통해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검증이 수행되면, 전자 장치(100)는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을 나타내는 블록 정보를 바탕으로 NFT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S350'). 즉, S320' 단계에서 발행된 최초의 NFT와 달리,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에 대한 블록 정보가 추가로 연동된 NFT가 생성됨으로써, NFT에 연동된 콘텐츠 데이터의 가치가 상승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훼손 또는 소멸 전후의 원본의 이미지가 블록체인에 기록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소멸되기 전의 원본 그림(10)이 촬영된 이미지, 소멸 과정 중간에 해당하는 원본 그림(10)이 촬영된 이미지, 소멸 과정이 완료된 - 즉 소멸된 원본 그림(10)의 잔해가 촬영된 이미지가 각각 블록체인 상에 기록됨으로써 증거 데이터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각 이미지가 촬영된 시점, 각 이미지가 블록체인 상에 기록된 시점 등에 대한 데이터가 블록체인에 함께 기록되어 검증에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멸된 원본 그림(10)의 잔해가 촬영된 시점이 소멸 과정 중간에 해당하는 원본 그림(10)이 촬영된 시점보다 빠른 경우, 검증은 실패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신된 증거 데이터를 바탕으로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에 대한 검증 과정을 진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버에 해당하는 전자 장치(100-1)는 원본(10)의 소유자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콘텐츠 데이터(: 훼손 또는 소멸 전) 및 증거 데이터(: 훼손 또는 소멸 관련)를 수신하여 블록체인에 기록할 수 있다.
이때, 검증 장치에 해당하는 외부 전자 장치들(100-5, 7)은 각각 원본(10)의 훼손 또는 소멸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각 검증 장치의 검증 과정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증 장치(100-5)는 검증 장치(100-5)의 사용자에 해당하는 검증인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검증 결과를 도출하고, 검증 장치(100-7)는 인공지능 모델을 통해 자동으로 검증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한편, 검증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을 부정하는 반대 증거 데이터가 획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을 부정하는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반대 증거 데이터가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공유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반대 증거 데이터를 앞서 증거 데이터를 배포한 사용자(ex. 원본(10)의 소유자 등)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반대 증거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의견(ex. 텍스트, 음성(오디오 데이터) 등)을 획득하고, 획득된 의견을 다시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공유할 수 있다. 그 결과, 증거 데이터 외에 반대 증거 데이터, 의견 등이 모두 고려된 검증 장치의 검증이 진행될 수 있다.
한편, 각 검증 장치(ex. 100-5, 7)는 검증을 바탕으로 원본(10)의 훼손 정도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본(10)이 일부만 훼손될 수도 있고 완전히 훼손(: 소멸)될 수도 있다. 원본(10)의 훼손 정도는, 검증 장치의 사용자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또는, 원본(10)의 훼손 정도는, 훼손 전에 촬영된 원본(10)의 이미지와 훼손 이후에 촬영된 원본(10)의 이미지를 비교한 검증 장치의 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산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이미지에 대해 객체 인식(: 원본(10) 인식)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인식된 객체를 구성하는 각 픽셀의 픽셀 값이 비교됨에 따라 원본(10)의 훼손 정도가 산출될 수 있다. 이때, 훼손/소멸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복수의 이미지가 촬영된 경우, 복수의 이미지 각각에 대해서 훼손 정도가 각각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최종적인) 훼손 정도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훼손된 원본(10)의 콘텐츠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훼손된 원본의 이미지, 메타데이터, 훼손 정도 등을 포함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획득하여 블록체인에 기록할 수 있다.
반면, 훼손 정도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원본(10)이 소멸된 것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소멸된 원본을 영구적으로 대체하기 위한 상술한 NFT를 발행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원본(10)의 소멸을 전제로 원본을 대체하기 위한 NFT를 발행하거나(도 3a), 기 발행된 NFT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도 3b).
한편, 증거 데이터에 대한 검증이 성공한 경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ex. 관리 서버)는, 원본의 훼손/소멸 과정에서 촬영된 이미지 각각을 콘텐츠 데이터로 하는 부가 NFT를 발행할 수 있다. 즉, 원본의 훼손/소멸이 진행되는 순간에 순차적으로 촬영된 이미지 하나하나가 각각 하나의 작품으로서 가치를 가지며 부가 NFT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이 경우, 부가 NFT의 소유자는 원본 및 NFT의 소유자와 동일하게 설정되어 블록체인에 기록될 수 있다. 부가 NFT 각각의 가치는, 검증에 성공한 증거 데이터를 통해 담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본의 훼손/소멸 과정에서 순차적으로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가 획득된 경우, 전자 장치는 사용자(: 소유자)에게 복수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이미지 중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이미지 각각에 대하여, 전자 장치는 콘텐츠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촬영 정보 등) 및 소유자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NFT를 발행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는 복수의 이미지 각각에 포함된 원본의 훼손 정도를 바탕으로, 복수의 이미지 중 주요 이미지들을 추천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기설정된 훼손 정도의 임계 수치(ex. 20%, 40%, 60%) 각각에 도달한 직후의 이미지 각각을 선택하도록 추천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는 복수의 이미지 각각의 훼손 정도를 순차적으로 식별하되, 연속된 이미지 간의 훼손 정도를 순차적으로 비교하는 과정에서 연속된 이미지 간에 훼손 정도가 가장 많이 변경된 순간의 이미지를 선택하도록 추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 내 원본의 훼손 정도가 10%이고, 이어지는 제2 이미지 내 원본의 훼손 정도가 22%(: 12% 상승)이고, 이어지는 제3 이미지 내 원본의 훼손 정도가 29%(: 7% 상승)이고, 이어지는 제4 이미지 내 원본의 훼손 정도가 50%(: 21% 상승)인 경우, 제1 내지 제4 이미지 중에서는 제4 이미지를 선택하도록 추천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10), 통신부(120), 프로세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전자 장치(100)가 서버 장치가 아닌 스마트폰, 데스크탑 PC 등 사용자 단말에 해당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부(140), 출력부(150), 카메라(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0)는 다양한 사용자 명령 내지는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구성으로, 터치 패널로 구성된 디스플레이와 연동될 수 있으며, 다양한 버튼, 마이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40)는 사용자의 지문, 동공 등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ex. 초음파 센서, 카메라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데이터의 메타데이터 생성 과정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부(140)를 통해 소유자의 생체 정보가 등록됨을 전제로 메타데이터 내 소유자에 대한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이후,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이 진행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NFT 발행이 요청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생체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새롭게 인식되는 생체 정보가 기등록된 소유자의 생체 정보와 일치됨을 전제로, 전자 장치(100)는 증거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기록함으로써 검증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청각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구성이다. 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오디오 단자(이어폰/헤드셋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전자 장치(100)는, 출력부(150)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다양한 UI(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단계 별 UI를 제공하면서 상술한 과정들(ex. 도 3a, 도 3b)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160)는 전자 장치(100)의 주변을 촬영하기 위한 구성으로, RGB 카메라, 뎁스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160)를 통해 소멸 전후의 원본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각 장치의 역할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하나 이상의 관리 서버, 하나 이상의 검증 장치,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하나 이상의 보증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획득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NFT를 발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관리 서버는 콘텐츠 데이터, 증거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기록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원본을 영구적으로 대체하기 위한 NFT의 발행을 수행할 수 있다.
검증 장치는, 상술하였듯,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해당한다.
사용자 단말은, 다양한 사용자의 단말 기기에 해당할 수 있으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직접적으로 포함되거나, 또는 관리 서버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동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콘텐츠 데이터, 증거 데이터 등을 획득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소유한 원본(original)을 표현하기 위한 콘텐츠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ex. 소유자))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을 입증하기 위한 증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 및 증거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검증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검증 장치는 콘텐츠 데이터 및 증거 데이터를 바탕으로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렇듯 검증이 수행됨에 따라, 관리 서버는 원본을 단독으로 대체하기 위한 NFT(Non-Fungible Token)를 발행할 수 있다.
한편, 보증 장치는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을 보증하기 위한 보증자의 장치에 해당한다. 보증자는,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을 보증하기 위한 다양한 보증 기관 또는 보증인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증자는,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을 참관하여 이를 보증하기 위한 확인증을 발행할 수 있는 주체이거나,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이 진행되는 장소 또는 용역을 제공하는 주체일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을 통해 획득된 증거 데이터에는,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을 보증하기 위한 보증자의 보증 정보(ex. 보증자의 기관 정보/신원 정보, 확인증 등)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관리 서버 또는 검증 장치는 보증 정보를 보증 장치로 전송하여, 보증 정보의 진위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증 장치에 해당하는 보증자는 해당 보증 정보의 진위 여부에 대한 답변을 입력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공유할 수 있다. 보증 정보의 진위 여부는 상술한 검증 과정에 활용될 수 있으며, 보증 정보가 위조된 것이거나 그 출처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검증이 실패하여 NFT가 발행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상술한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 7에서는 각 장치의 역할을 구분하였으나, 하나의 전자 장치가 복수의 역할(ex. 관리 서버, 보증 장치)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한 바,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다양한 기능이 혼재되어 복수의 장치를 매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훼손/소멸된 원본을 대체하기 위한 NFT의 거래가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진행될 수 있다. 관리 서버, 사용자 단말, 검증 장치 등에 해당할 수 있는 이하 전자 장치의 동작으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사용자가 소유한 원본(original)이 훼손 또는 소멸된 이후 원본을 단독으로 대체하기 위한 NFT(Non-Fungible Token)에 대한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공유할 수 있으며, 이때 원본의 콘텐츠 데이터 및 훼손/소멸을 입증하기 위한 증거 데이터가 다양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NFT에 대한 제2 사용자의 거래 제안이 수신되면, 전자 장치는, 거래 제안을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전자 장치는 증거 데이터에 대한 검증이 성공했음을 전제로 다른 사용자(ex. 제2 사용자)의 거래 제안을 활성화할 수 있다. 활성화된 거래 제안을 선택하는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입력이 획득되면, 전자 장치는 거래 제안을 제1 사용자(: 제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의 거래 수락에 따라 NFT의 소유자가 변경되어 블록체인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제2 사용자가 소유한 적어도 하나의 토큰, 가상 화폐 등이 제1 사용자에게 양도될 수도 있고, 실물 화폐와 관련된 계좌 이체나 입금 등의 과정이 수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술한 증거 데이터에 대한 보증을 수행한 보증 장치의 사용자에게 보상이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증거 데이터를 구성하는 보증 정보의 주체인 보증자에 대하여, 전자 장치는 NFT의 거래 과정에서 양도되는 토큰, 가상 화폐 등의 적어도 일부를 보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해당 보상은 블록체인에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NFT의 검증에 참여한 적어도 하나의 검증 장치에 보상이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장치는, 증거 데이터를 바탕으로 원본의 훼손/소멸을 인정한 제1 검증 장치의 사용자(: 제1 검증자)에 대하여, NFT의 거래 과정에서 양도되는 토큰, 가상 화폐 등의 적어도 일부를 제1 보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증거 데이터를 바탕으로 원본의 훼손/소멸을 부정한 제2 검증 장치의 사용자(: 제2 검증자)에 대하여, 제1 보상보다 적은 제2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원본 자체의 진위를 인증한 인증 장치의 사용자에게도 거래에 따른 보상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NFT의 발행 및/또는 거래 이후에도, NFT의 원본에 대한 대체성은 끊임없이 검증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즉,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양한 장치를 통해 해당 NFT의 대체성을 부정하는 다양한 증거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입력되어 공유되는 것이 가능하며, 추가적인 검증이 지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일 예로, 훼손/소멸된 원본을 대체하는 NFT의 소유자가 제1 사용자에서 제2 사용자로 변경된 이후, 제3 사용자가 제공한 반대 증거 데이터에 따라 추가적인 검증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반대 증거 데이터는, NFT의 가치를 부정하는 증거에 해당하며, 예를 들어, 원본이 애초에 존재하지 않았던 사실, 원본이 훼손/소멸되지 않은 사실, 증거 데이터가 위조/변조된 사실 등을 입증하기 위한 데이터에 해당한다.
만약, 제3 사용자가 제공한 반대 증거 데이터에 따른 검증 결과에 따라, 기존의 증거 데이터를 통해 입증되었던 훼손/소멸이 부정되는 경우(: 증거 데이터에 따른 검증 실패),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포함된 전자 장치는 NFT와 관련된 인증 장치, 검증 장치, 보증 장치 각각의 사용자에게 책임 보상을 요청할 수 있으며, 획득된 책임 보상은 NFT, 가상 화폐 등의 형태로 제2 사용자(: NFT의 양수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본의 훼손/소멸을 인정했던 검증 장치의 사용자가 제공해야 하는 제1 책임 보상은, 상술한 제1 보상보다 클 수 있다. 다만, 원본의 훼손/소멸을 부정했던 검증 장치의 사용자에 대해서는 책임 보상이 요청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증 장치의 사용자가 제공해야 하는 제2 책임 보상은, 보증 장치의 사용자가 상술한 NFT의 거래에 따라 획득한 보상보다 클 수 있음은 물론, 상술한 검증 장치의 사용자에 대해 요청된 제1 책임 보상보다 더 클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인증 장치의 사용자가 제공해야 하는 제3 책임 보상은, 인증 장치의 사용자가 상술한 NFT의 거래에 따라 획득한 보상보다 클 수 있으며, 상술한 검증 장치의 사용자에 대해 요청된 제1 책임 보상보다 더 클 수 있다.
만약, 책임 보상이 일정 기간 내에 제2 사용자에게 전달되지 않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자격(ex. 검증자, 보증자, 인증자)이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에서 박탈될 수 있으며, 이후 해당 장치(ex. 검증 장치, 보증 장치, 또는 인증 장치)는 검증, 보증, 또는 인증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인증, 보증, 검증 등의 과정과 거래 과정이 블록체인에 기록되어 영구적으로 공개 및 공유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속성상, 상술한 실시 예를 통해 NFT의 가치가 보전되고 거래 안정성이 보장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서로 저촉되거나 모순되지 않는 한 두 개 이상의 실시 예가 서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unit)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의 처리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특정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의 처리 동작을 상술한 특정 기기가 수행하도록 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전자 장치 110: 메모리
120: 통신부 130: 프로세서

Claims (1)

  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포함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원본(original)을 표현하기 위한 콘텐츠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을 입증하기 위한 증거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콘텐츠 데이터 및 상기 증거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원본의 훼손 또는 소멸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검증이 수행됨에 따라 상기 원본을 단독으로 대체하기 위한 NFT(Non-Fungible Token)를 발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원본이 훼손 또는 소멸되기 전에 촬영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원본의 창작과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공유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이미지와 상기 메타데이터 각각의 진위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상기 증거 데이터를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이 수행됨을 전제로 상기 증거 데이터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증거 데이터에 대하여 수행된 검증 결과를 수신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230148241A 2023-04-27 2023-10-31 원본에 대한 인증과 원본의 소멸에 대한 검증을 토대로 원본을 대체하는 nft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KR102639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8241A KR102639139B1 (ko) 2023-04-27 2023-10-31 원본에 대한 인증과 원본의 소멸에 대한 검증을 토대로 원본을 대체하는 nft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5473A KR102598245B1 (ko) 2023-04-27 2023-04-27 원본의 의도적 소멸에 따라 원본을 대체하는 nft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및 시스템
KR1020230148241A KR102639139B1 (ko) 2023-04-27 2023-10-31 원본에 대한 인증과 원본의 소멸에 대한 검증을 토대로 원본을 대체하는 nft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5473A Division KR102598245B1 (ko) 2023-04-27 2023-04-27 원본의 의도적 소멸에 따라 원본을 대체하는 nft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9139B1 true KR102639139B1 (ko) 2024-02-21

Family

ID=8874533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5473A KR102598245B1 (ko) 2023-04-27 2023-04-27 원본의 의도적 소멸에 따라 원본을 대체하는 nft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및 시스템
KR1020230148241A KR102639139B1 (ko) 2023-04-27 2023-10-31 원본에 대한 인증과 원본의 소멸에 대한 검증을 토대로 원본을 대체하는 nft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5473A KR102598245B1 (ko) 2023-04-27 2023-04-27 원본의 의도적 소멸에 따라 원본을 대체하는 nft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9824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588B1 (ko) * 2021-05-11 2021-12-21 주식회사 와이콘즈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객체 관리 서비스를 지원하는 객체 관리 시스템
KR102447320B1 (ko) * 2022-01-21 2022-09-26 정경열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30020262A (ko) 2021-08-03 2023-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대체불가능 토큰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588B1 (ko) * 2021-05-11 2021-12-21 주식회사 와이콘즈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객체 관리 서비스를 지원하는 객체 관리 시스템
KR20230020262A (ko) 2021-08-03 2023-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대체불가능 토큰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47320B1 (ko) * 2022-01-21 2022-09-26 정경열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8245B1 (ko) 2023-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0762B1 (ko) 블록 체인-기반 멀티팩터 개인 신원 확인을 제공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
EP3560143B1 (en) Data isolation in a blockchain network
US20180294957A1 (en) System for Recording Ownership of Digital Works and Providing Backup Copies
US20170255769A1 (en) Digital identity
JP6965352B2 (ja) デジタル・マークを生成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WO2020106803A1 (en) Methods, systems, and storage media for managing patient information using a blockchain network
JP6921222B2 (ja) Id情報に基づく暗号鍵管理
KR102137115B1 (ko) 증명서 간편 제출 서비스 지원 시스템 및 지원 방법
CA2938754A1 (en) Document tracking on a distributed ledger
EP3899764B1 (en) Identity document authentication
US9965600B2 (en) Increased security using dynamic watermarking
US20220329446A1 (en) Enhanced asset management using an electronic ledger
US11663595B1 (en) Blockchain transactional identity verification
CN108140152A (zh) 计算机实现的追踪机制及数据管理
CN112347452B (zh) 电子合同签署的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30101064A (ko)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이용한 인증
WO20221830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tokenized virtual persona for use with a plurality of software applications
KR102639139B1 (ko) 원본에 대한 인증과 원본의 소멸에 대한 검증을 토대로 원본을 대체하는 nft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KR102636732B1 (ko) 소멸된 원본을 대체하는 nft의 거래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시스템
KR102375394B1 (ko) 컨텐츠의 선택적 구간 설정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창설 시스템
RU2751457C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электронного голосования в распределенном реестре
EP3937037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identity authentication based on biometric data
WO2023083449A1 (en) Establishing communications channels
WO2024022089A1 (zh) 数据处理方法和验证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20140380506A1 (en) Controlled distribution of a visual asset that includes images of particip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