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4359B1 - Nft를 이용한 저작권 거래 시스템 - Google Patents

Nft를 이용한 저작권 거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4359B1
KR102534359B1 KR1020220136255A KR20220136255A KR102534359B1 KR 102534359 B1 KR102534359 B1 KR 102534359B1 KR 1020220136255 A KR1020220136255 A KR 1020220136255A KR 20220136255 A KR20220136255 A KR 20220136255A KR 102534359 B1 KR102534359 B1 KR 102534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ft
document
work
copyright transaction
iden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6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흔
김의중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지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지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지캡
Priority to KR1020220136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3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 G06Q2220/16Copy protection or prevention
    • G06Q2220/165Having origin or program I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NFT를 이용한 저작권 거래 시스템은 저작재산권자의 저작물 등록 요청을 처리하여 거래 대상 저작물에 대한 저작물 DID 문서를 저장하여 저작물을 등록하고, 등록된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의 권리 관계 및 권리 내용을 포함하는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생성하여 등록하고, 요청된 저작물에 대하여 등록된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조회하여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제공하는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과, NFT와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에 등록된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연결하는 NFT DID 문서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거래하고자 하는 NFT에 대한 NFT DID 문서를 조회하여 NFT DID 문서를 제공하고, NFT가 발행된 저작물의 권리 관계 또는 권리 내용의 변동 사항을 반영한 NFT DID 문서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NFT DID 관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Description

NFT를 이용한 저작권 거래 시스템 { SYSTEM FOR TRADING COPYRIGHT USING NFT }
본 발명은 저작권 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NFT가 발행된 디지털 저작물을 신뢰성 있게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저작물에 대한 소유권 증명을 위해 블록체인 기반의 NFT(Non-Fungible Token) 기술을 이용한 토큰을 발행하여 저작물에 대한 소유권 보유를 증명하거나 NFT 거래 시 저작물 소유권 이전 또는 저작물 이용 허락 권리 보유에 대한 증거로 활용하고 있다. NFT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만든 대체 불가능한 토큰으로 토큰마다 고유한 값(token identifier)을 가지고 있어 유일성(unique), 상호 교환 불가능성(non-interchangeable), 분리 불가능성(indivisible) 특성을 갖는다. NFT는 토큰 식별자(token identifier), 소유권자 식별자(owner address), 속성 메타데이터 주소 URI 정보, 스마트 컨트랙트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정한 디지털 파일 형태의 저작물을 블록체인 상에서 유통하기 위해 저작재산권자는 NFT 발행자 역할을 수행하여 NFT를 발행(minting)하고, 이후 NFT 판매자가 되어 NFT 거래소를 통해 NFT 구매자에게 NFT를 판매할 수 있다. 또한, NFT 구매자는 NFT 거래소를 통해 구매한 NFT를 다른 NFT 구매자에게 재판매할 수 있다.
현재 NFT 거래소를 통해 활발하게 저작물 유통 및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 NFT가 특정하는 저작물에 대해 NFT 발행자 또는 NFT 판매자가 저작권 이전/이용허락에 대한 권리를 보유하고 있는지 등 저작물 거래를 위한 기본 사항을 NFT 거래소에서 NFT 구매자에게 충분히 제공하고 있지 못하여 NFT 거래에 대한 신뢰성이 매우 낮은 것이 문제이다. 이로 인해 NFT 구매자는 NFT 판매자가 저작권 보유 또는 저작권 이전/이용허락 권리를 보유하고 있는지 확신할 수 없고 구매 시 자신이 어떠한 권리를 취득(또는 이용할 수 있는지)하게 되는지에 대한 명확한 정보를 파악할 수 없어 정상적인 저작물 이용 및 유통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NFT 거래소를 통한 NFT가 특정하는 저작권 거래 시 해당 저작권에 대해 NFT 발행자 또는 NFT 판매자가 저작권 이전/이용허락에 대한 권리를 보유하고 있는 지와 NFT 구매 시 어떠한 권리를 취득하거나 이용할 수 있는 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신뢰성이 있는 NFT 거래가 성립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NFT를 이용한 저작권 거래 시스템은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과, NFT DID 관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은 저작물 등록부와, 저작권 거래 동의서 등록부와, 저작권 거래 동의서 조회부를 포함하며, 저작물 등록부는 저작재산권자의 저작물 등록 요청을 처리하여 거래 대상 저작물에 대한 저작물 DID 문서를 저장하여 저작물을 등록하고, 저작권 거래 동의서 등록부는 등록된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의 권리 관계 및 권리 내용을 포함하는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생성하여 등록하고, 저작권 거래 동의서 조회부는 요청된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조회하여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제공한다.
NFT DID 관리 시스템은 NFT DID 문서 생성부와, NFT DID 문서 조회부와, NFT DID 문서 변경부를 포함하며, NFT DID 문서 생성부는 NFT와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에 등록된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연결하는 NFT DID 문서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NFT DID 문서 조회부는 거래하고자 하는 NFT에 대한 NFT DID 문서를 조회하여 NFT DID 문서를 제공하고, NFT DID 문서 변경부는 NFT가 발행된 저작물의 권리 관계 또는 권리 내용의 변동 사항을 반영한 NFT DID 문서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상기 저작물 등록부는 거래 대상 저작물에 대한 저작물 DID를 생성하고, 저작물 DID와 저작물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저작물 DID 문서를 생성하여 저작물 DID 문서 저장소에 저장하여 저작물을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저작권 거래 동의서 등록부는 저작권 거래 동의서 식별자와 저작물 DID와 양수인 식별자와 권리 내용과 저작권 거래 동의서 검증을 위한 하나 이상의 증거값(proof value)을 포함하는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생성하여 저작권 거래 동의서 저장소에 저장하여 등록할 수 있다.
상기 NFT DID 문서 생성부는 NFT와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에 등록된 저작권 거래 동의서 연결 요청에 포함된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NFT DID를 포함하는 NFT DID 문서를 생성하여 NFT DID 문서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 정보는 저작물 DID와 저작물 거래 동의서 식별 정보와 블록체인 플랫폼 식별자와 블록체인 네트워크 식별자와 NFT 토큰 식별자와 NFT 컨트랙트 주소와 NFT 소유자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고, NFT DID는 미리 정해진 생성 방법에 의해 블록체인 플랫폼 식별자와 블록체인 네트워크 식별자와 NFT 토큰 식별자와 NFT 컨트랙트 주소 중 3개 이상을 조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NFT DID 문서 변경부는 NFT 거래로 인한 저작물의 권리 관계 또는 권리 내용의 변동 사항이 반영된 NFT DID 문서를 수신하여 NFT DID 문서 저장소에 저장하거나 NFT 거래로 인한 저작물의 권리 관계 또는 권리 내용의 변동 사항에 대한 정보와 NFT DID를 수신하여 변동 사항이 반영된 NFT DID 문서를 생성하고 NFT DID 문서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 NFT DID 문서 생성부는 상기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과 연동하여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조회하고, 저작권 거래 동의서가 존재하지 않거나 조회된 저작권 거래 동의서 내의 양수인 식별자와 NFT 소유권자 식별자가 동일하지 않으면 저작권 거래 동의서 연결 요청을 거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 NFT DID 문서 생성부는 블록체인 플랫폼 식별자와 블록체인 네트워크 식별자와 NFT 토큰 식별자와 NFT 컨트랙트 주소를 이용하여 해당 NFT의 존재 여부를 검증하고, 해당 NFT가 존재하지 않으면 저작권 거래 동의서 연결 요청을 거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NFT 거래소를 통한 NFT가 특정하는 저작권 거래 시 해당 저작권에 대해 NFT 발행자 또는 NFT 판매자가 저작권 이전/이용허락에 대한 권리를 보유하고 있는 지와 NFT 구매 시 어떠한 권리를 취득하거나 이용할 수 있는 지를 확인할 수 있어 신뢰성이 있는 NFT 거래가 성립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방식의 NFT 거래소를 통한 NFT 거래의 예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작권 거래 시스템을 이용한 NFT 거래의 예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작권 거래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저작물 DID 문서, NFT DID 문서, 저작권 거래 동의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작권 거래 방법의 절차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 예들을 통해 구체화된다. 각 실시 예들의 구성 요소들은 다른 언급이나 상호간에 모순이 없는 한 실시 예 내에서 다양한 조합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된다. 블록도의 각 블록은 어느 경우에 있어서 물리적인 부품을 표현할 수 있으나 또 다른 경우에 있어서 하나의 물리적인 부품의 기능의 일부 혹은 복수의 물리적인 부품에 걸친 기능의 논리적인 표현일 수 있다. 때로는 블록 혹은 그 일부의 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들의 집합(set)일 수 있다. 이러한 블록들은 전부 혹은 일부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혹은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방식의 NFT 거래소를 통한 NFT 거래의 예시를 도시한 것으로, NFT 거래소를 통해서 NFT 판매자와 NFT 구매자 사이의 NFT 거래가 도시되어 있다. NFT 판매자는 디지털 파일 형태의 저작물을 블록체인에서 유통하기 위하여 NFT를 발행(민팅)하고 발행한 NFT를 NFT 거래소에 등록한 후 거래소를 통해 유통시킨다. NFT 판매자는 저작자, 저작재산권 양수인, NFT 판매 이용 허락을 받은 자 등이 될 수 있다. 저작자는 자유롭게 저작물을 NFT로 발행하여 판매할 수 있으며, 저작재산권 양수인은 저작자로부터 저작재산권을 양도받은 자로 저작물에 대하여 NFT를 발행하여 판매하려면 해당 저작물의 복제권 및 전송권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NFT 판매 이용 허락을 받은 자는 저작물에 대한 권리자로부터 저작물에 대하여 NFT를 발행하여 판매하는 것의 허락을 받은 자로 허락을 받은 범위 내에서 NFT를 판매할 수 있다. NFT 판매자는 NFT 거래소를 통해 디지털 저작물에 대한 NFT를 발행한다. 이후 발행된 NFT는 NFT 거래소를 통해 NFT 구매자가 구매할 수 있다.
NFT 구매자는 NFT 거래소를 통해 NFT 구매 시 NFT가 특정하는 저작물에 대하여 NFT 판매자가 이전/이용 허락에 대한 권리를 보유하고 있는 지에 대한 저작물 거래를 위한 기본 정보를 확인할 필요가 있으나 NFT 거래소는 해당 기본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 않는다. 따라서, NFT 구매자는 거래와 관계없는 저작권 등록시스템을 통해 NFT 판매자가 해당 저작물에 대하여 정당한 권리를 보유하고 있는 지 확인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작권 거래 시스템을 이용한 NFT 거래의 예시를 도시하고 있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작권 거래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저작물 DID 문서, NFT DID 문서, 저작권 거래 동의서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NFT를 이용한 저작권 거래 시스템(10)은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과, NFT DID 관리 시스템(2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저작권 거래 시스템(10)은 NFT 거래 시 거래 대상 NFT가 특정하는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거래 정보(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제공하여 NFT 판매 및 저작물 유통 거래에 대한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작권 거래 동의서는 NFT가 특정하는 저작물에 대해 NFT 발행자, NFT 판매자가 저작권 이전/이용허락 권리를 소유하고 있음을 표시한 디지털 문서이다.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은 저작물 등록 기능과, 저작권 거래 동의서 등록 기능과, 저작권 거래 동의서 조회 기능을 제공하고, NFT DID 관리 시스템(200)은 NFT와 저작권 거래 동의서 간 연결 기능과, NFT DID 문서 조회 기능, NFT DID 문서 변경 기능을 제공한다.
NFT 판매자와 NFT 구매자가 NFT 거래소를 통해 NFT 거래 시, NFT 거래소는 NFT DID 관리 시스템(200)을 통해 해당 NFT에 대한 NFT DID 문서를 찾고, 해당 문서를 통해 해당 NFT가 특정하는 저작물에 대한 저작물 거래 동의서(디지털 문서)가 있는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의 특정 위치(저작권 거래 동의서 URL) 또는 저작물 거래 동의서 식별자를 찾는다. NFT 거래소는 이 위치에서 또는 이 저작물 거래 동의서 식별자를 이용한 조회 기능을 통해 저작물 거래 동의서를 얻은 후 이를 NFT 판매자와 NFT 구매자에게 제공한다. 저작물 거래 동의서는 NFT 거래소를 통해서만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NFT 발행자, NFT 판매자, NFT 구매자를 포함한 누구나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과 NFT DID 관리 시스템(200)과 직접 연동하여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해 NFT 발행자 또는 NFT 판매자는 직접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과 연동하거나 NFT 거래소를 통해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에 대상 저작물을 등록하고 이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등록한다.
NFT 거래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NFT 구매자가 이 NFT가 특정하는 저작물에 대해 저작권 이전/이용허락 권리를 갖게 되므로 이에 따라 변경된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에 등록해야 한다.
NFT 판매자는 NFT DID 관리 시스템(200)을 통해 판매하는 NFT와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연결을 해야 한다. 이 연결은 현재 NFT 소유권자인 NFT 판매자가 해당 NFT를 판매할 수 있는 저작권 이전/이용허락 권리를 보유한 자임을 알릴 수 있다. 만일 NFT 거래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NFT 구매로 인해 새롭게 생성된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이 구매 완료된 NFT에 연결하여 NFT 구매자가 이 NFT가 특정하는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이전/이용허락 권리를 보유한 자임을 알려야 한다.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은 프로세서와 메모리 외에 추가적으로 저장 장치, 디스플레이, 입력 장치, 네트워크 장치 등을 더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의 각 기능 블록을 구현하는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이고,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연결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명령어들과 프로세서가 연산에 사용할 데이터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은 저작물 등록부(110)와, 저작권 거래 동의서 등록부(120)와, 저작권 거래 동의서 조회부(130)를 포함하며, 저작물 등록부(110)와, 저작권 거래 동의서 등록부(120)와, 저작권 거래 동의서 조회부(130)는 적어도 그 기능의 일부가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에 포함되는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 세트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작물 등록부(110)는 저작재산권자의 저작물 등록 요청을 처리하여 거래 대상 저작물에 대한 저작물 DID 문서를 저장하여 저작물을 등록한다. 저작재산권자인 NFT 발행자는 NFT 발행 또는 NFT 판매 이전에 NFT 소유권 거래 대상인 저작물을 미리 등록하여야 한다. NFT 발행자는 직접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에 연동하여 저작물을 등록 요청하거나 NFT 거래소를 통해 저작물을 등록 요청하고, 저작물 등록부(110)는 이 저작물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 처리하여 저작물을 등록한다. 이때 저작물은 저작물을 유일하게 식별하기 위하여 저작물 DID(Decentralized Identifier) 문자열(예, "did:cr:w:4f75568d-6b09-4b07-ab99-7c9114b733b4")을 사용한다. 저작물 DID는 NFT 발행자가 직접 생성한 후 등록 요청에 포함시켜 전달하거나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이 NFT 발행자를 대신하여 생성할 수 있다.
저작물 등록부(110)는 저작물 등록 요청에 저작물 DID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거래 대상 저작물에 대한 저작물 DID를 생성하고, 생성된 저작물 DID와 저작물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저작물 DID 문서를 생성하여 저작물 DID 문서 저장소에 저장하여 저작물을 등록할 수 있다. 저작물 DID 문서는 저작물 식별자인 저작물 DID 문자열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저작물 DID 문서는 저작물에 대한 메타데이터(예, 종류, 소유자 정보, 설명, 저작물 식별자 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저작물 DID 문서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저작물 등록부(110)는 저작물 DID 문서를 저작물 DID 문서 저장소에 저장한다. 이때, 저작물 DID 문서 저장소는 블록체인 분산 원장 또는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가 될 수 있으며 특정한 저장소 기술에 종속되지 않는다.
저작권 거래 동의서 등록부(120)는 등록된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의 권리 관계 및 권리 내용을 포함하는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생성하여 등록한다. 저작권 거래 동의서는 해당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이전/이용허락 권리를 누가 소유하고 있는지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디지털 전자 문서이다.
NFT 판매자가 등록한 저작물에 대한 NFT 판매를 시작하기 전에 NFT 판매자가 해당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이전/이용허락 권리를 보유하고 있음을 증명하기 위해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등록하여야 한다. 또한, NFT 판매자가 NFT 구매자에게 NFT를 판매한 후 NFT 구매자가 이 NFT가 특정하는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이전/이용허락 권리를 보유하고 있음을 증명하기 위해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등록하여야 한다.
저작권 거래 동의서 등록부(120)는 저작권 거래 동의서 식별자와 저작물 DID와 양수인 식별자와 권리 내용과 저작권 거래 동의서 검증을 위한 하나 이상의 증거값(proof value)을 포함하는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생성하여 저작권 거래 동의서 저장소에 저장하여 등록할 수 있다.
저작권 거래 동의서 등록부(120)가 생성하는 저작권 거래 동의서는 저작권 거래 동의서 식별자, 저작물 DID 문자열, 양수인(예, NFT 판매자 또는 NFT 구매자) 식별자, 저작권 이전/이용허락 권리 내용(예, 전송권/복제권 등 권리 종류, 제3자에 대한 NFT 재판매 여부, 이용허락 이전 가능 여부 등)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저작권 거래 동의서는 저작권 이전/이용허락 권리를 양도한 양도인 식별자(예, 저작재산권자, NFT 발행자 NFT 판매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작권 거래 동의서는 추가적으로 동의서 검증을 위한 하나 이상의 증거값(proof value)을 포함할 수 있다. 증거값은 '저작권 거래 동의서 내용에 대해 해시 알고리즘(예를 들어 SHA-1/2/3, RIPEMD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얻은 해시 값을 양수인의 개인키로 디지털 서명한 값', '양수인 공개키 식별자', '해시 알고리즘 식별자', '공개키 암호화 알고리즘 식별자'를 포함한다. 저작권 거래 동의서는 추가적으로 양도인의 개인키로 디지털 서명한 증거값(양도인의 서명값, 양도인의 공개키 식별자, 해시 알고리즘 식별자, 공개키 암호화 알고리즘 식별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작권 거래 동의서는 추가적으로 NFT 거래소와 같은 신뢰할 수 있는 제3자의 개인키로 디지털 서명한 증거값(제3자의 서명값, 제3자의 공개키 식별자, 해시 알고리즘 식별자, 공개키 암호화 알고리즘 식별자)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저작권 거래 동의서는 전술한 증거값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저작권 거래 동의서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저작권 거래 동의서 등록부(120)는 생성된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저작권 거래 동의서 저장소에 저장한다. 이때, 저작권 거래 동의서 저장소는 블록체인 분산 원장 또는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가 될 수 있으며 특정한 저장소 기술에 종속되지 않는다
저작권 거래 동의서 조회부(130)는 요청된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조회하여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제공한다. 이때,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을 통해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조회하는 저작권 거래 동의서 조회자는 NFT 거래소, NFT 판매자, NFT 구매자를 포함할 수 있다.
조회자는 저작권 거래 동의서가 위치한 URL에서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직접 조회하거나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조회 서비스에 저작권 거래 동의서 식별자를 전달하여(저작권 거래 동의서 조회 요청) 원하는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조회할 수 있다.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은 저작권 거래 동의서 저장소에서 요청한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검색하여 조회자에게 응답할 수 있다.
응답을 받은 조회자는 저작권 거래 동의서에 대한 신뢰 검증을 위해 동의서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증거값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회자가 NFT 구매자인 경우 저작권 거래 동의서에 기술되어 있는 양수인(NFT 판매자) 식별자와 거래 대상인 NFT 판매자의 식별자가 동일한지 확인한 후 NFT 판매자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해당 저작권 거래 동의서의 증거값에 있는 서명 값을 검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같은 방법으로 양도인(저작재산권자)이 생성한 증거값, 또는 NFT 거래소(제3자)가 생성한 증거값을 검증할 수도 있다.
NFT DID 관리 시스템(200)은 프로세서와 메모리 외에 추가적으로 저장 장치, 디스플레이, 입력 장치, 네트워크 장치 등을 더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NFT DID 관리 시스템(200)의 각 기능 블록을 구현하는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이고,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연결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명령어들과 프로세서가 연산에 사용할 데이터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NFT DID 관리 시스템(200)은 NFT DID 문서 생성부(210)와, NFT DID 문서 조회부(220)와, NFT DID 문서 변경부(230)를 포함하며, NFT DID 문서 생성부(210)와, NFT DID 문서 조회부(220)와, NFT DID 문서 변경부(230)는 적어도 그 기능의 일부가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에 포함되는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 세트로 구성될 수 있다.
NFT DID 문서 생성부(210)는 NFT와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에 등록된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연결하는 NFT DID 문서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NFT 판매자는 소유하고 있는 NFT와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에 미리 등록한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연결시켜야 현재 NFT 소유권자가 자신이며 자신이 해당 NFT를 판매할 수 있는 저작권 이전/이용허락 권리를 보유한 자임을 알릴 수 있다.
또한, NFT 구매자가 NFT 판매자로부터 NFT를 구매한 후 NFT 거래로 인한 권리 관계 변동을 반영하기 위하여 새롭게 생성된 저작권 거래 동의서와 구매한 NFT를 연결시켜야 현재 NFT 소유권자인 NFT 구매자가 해당 NFT에 대한 저작권 이전/이용허락 권리를 가지고 있음을 알릴 수 있다.
이러한, NFT와 저작권 거래 동의서 간의 연결은 NFT DID 문서를 통해 이루어지며, NFT DID 문서의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NFT와 저작권 거래 동의서 간의 연결 요청은 NFT 판매자, NFT 구매자가 직접 할 수 있고, NFT 거래소가 NFT 판매자 또는 NFT 구매자를 대신하여 할 수도 있다. 이때 연결 요청을 하는 자를 연결 요청자라고 한다.
NFT DID 문서 생성부(210)는 NFT와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에 등록된 저작권 거래 동의서 연결 요청에 포함된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NFT DID를 포함하는 NFT DID 문서를 생성하여 NFT DID 문서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
연결 요청자는 이 연결 요청에 연결 정보를 포함시켜 NFT DID 관리 시스템(200)의 NFT DID 문서 생성부(210)에 전달한다. 이때, 연결 정보는 저작물 DID 문자열, 저작물 거래 동의서 식별자 또는 동의서가 위치한 URL인 저작물 거래 동의서 식별 정보, 블록체인 플랫폼 식별자(예, 이더리움), 블록체인 네트워크 식별자(예, mainnet 등과 같은 문자열 형태 또는 숫자 형태의 Chain Identifier), 토큰 식별자(token identifier), 컨트랙트 주소(contract address), 현재 NFT 소유권자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NFT DID 문서 생성부(210)는 이 연결 요청을 처리하여 NFT와 저작권 거래 동의서 간 연결을 수행한다. 먼저, NFT DID 문서 생성부(210)는 NFT DID 문자열을 유일한 값으로 생성한다. NFT DID 문서 생성부(210)는 미리 정해진 생성 방법에 의해 NFT DID 문자열을 생성하기 위해 요청 입력으로 받은 블록체인 플랫폼 식별자, 블록체인 네트워크 식별자, 토큰 식별자, 컨트랙트 주소를 이용한다. 이때, NFT DID 문서 생성부(210)는 블록체인 플랫폼 식별자, 블록체인 네트워크 식별자, 토큰 식별자, 컨트랙트 주소 중 적어도 3개 이상을 조합하여 NFT DID 문자열을 생성한다. NFT DID 문자열을 생성하는 구체적인 예로 상기 값들을 조합한 값 또는 조합한 값에 대해 해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얻은 해시 값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NFT DID 문자열 생성 방법에 종속되지 않는다.
NFT DID 문서 생성부(210)는 NFT DID 문자열 생성 후 NFT DID 문서를 생성한다. NFT DID 문서는 생성된 NFT DID 문자열, 저작물 DID, 블록체인 플랫폼 식별자, 블록체인 네트워크 식별자, 토큰 식별자, 컨트랙트 주소, 현재 NFT 소유권자 식별자, 저작권 거래 동의서 식별자, 저작권 거래 동의서가 위치한 URL이 포함된다. 이때, 저작권 거래 동의서 식별자와 저작권 거래 동의서가 위치한 URL은 동시에 존재할 수 있고 어느 하나만 존재할 수도 있다. 그러나 둘 중에 하나는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
NFT DID 문서 생성부(210)는 생성한 NFT DID 문서를 NFT DID 문서 저장소에 저장한다. NFT DID 문서 저장소는 블록체인 분산 원장 또는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가 될 수 있으며 특정한 저장소 기술에 종속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NFT DID 문서 생성부(210)는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과 연동하여 저작권 거래 동의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조회하여 저작권 거래 동의서가 존재하지 않거나 조회된 저작권 거래 동의서 내의 양수인 식별자와 연결 요청한 NFT 소유권자 식별자가 동일하지 않으면 저작권 거래 동의서 연결 요청을 거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NFT DID 문서 생성부(210)는 블록체인 플랫폼 식별자와 블록체인 네트워크 식별자와 NFT 토큰 식별자와 NFT 컨트랙트 주소를 이용하여 해당 NFT의 존재 여부를 검증하고, 해당 NFT가 존재하지 않으면 저작권 거래 동의서 연결 요청을 거부할 수 있다. 즉, NFT DID 문서 생성부(210)는 연결 요청에 있는 블록체인 플랫폼 식별자와 블록체인 네트워크 식별자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플랫폼에 접근한 후 해당 토큰 식별자와 NFT 컨트랙트 주소에 해당하는 NFT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NFT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연결 요청을 거부할 수 있다.
NFT DID 문서 조회부(220)는 거래하고자 하는 NFT에 대한 NFT DID 문서를 조회하여 NFT DID 문서를 제공한다. NFT DID 문서를 조회하는 조회자는 NFT 거래소, NFT 판매자, NFT 구매자를 포함하여 누구나 될 수 있다.
조회자는 블록체인 플랫폼 식별자, 블록체인 네트워크 식별자, 토큰 식별자, 컨트랙트 주소를 이용하여 NFT DID 문자열 생성하여 조회 요청에 전달하여야 한다. 이때 조회자가 NFT DID 문자열을 생성하는 방법은 NFT DID 관리 시스템(200)이 제공하는 NFT와 저작권 거래 동의서 간 연결 기능에 있는 NFT DID 문자열 생성 방법과 동일해야 한다. 즉, NFT DID 문자열은 미리 정해진 생성 방법에 의해 블록체인 플랫폼 식별자, 블록체인 네트워크 식별자, 토큰 식별자, NFT 컨트랙트 주소 중 적어도 3개 이상을 조합하여 생성된다.
조회자는 생성한 NFT DID 문자열을 이용하여 NFT DID 관리 시스템(200)으로 NFT DID 문서를 요청한다. NFT DID 관리 시스템(200)의 NFT DID 문서 조회부(220)는 NFT DID 문서 저장소에서 NFT DID 문서를 검색하여 검색된 NFT DID 문서를 조회자에게 전달한다.
NFT DID 문서 변경부(230)는 NFT가 발행된 저작물의 권리 관계 또는 권리 내용의 변동 사항을 반영한 NFT DID 문서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NFT 소유권자 식별자가 변경된 경우, 저작권 거래 동의서가 위치한 URL이 변경된 경우, 또는 저작권 거래 동의서 식별자가 변경된 경우 이 NFT DID 문서를 변경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NFT 판매자가 NFT 구매자에게 판매가 이루어진 경우 NFT DID 문서의 현재 NFT 소유권자 식별자는 NFT 판매자 식별자에서 NFT 구매자의 식별자로 변경되어야 한다. 또한 NFT 판매로 인해 새롭게 생성된 저작권 거래 동의서의 위치 정보인 URL 또는 동의서 식별자를 NFT DID 문서 내에서 변경해야 한다.
NFT의 블록체인 플랫폼 식별자, 블록체인 네트워크 식별자, 토큰 식별자, 컨트랙트 주소, 저작물 DID 중 어느 하나라도 변경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NFT DID 문서 변경 기능을 이용할 수 없다. 이 경우는 새로운 NFT DID 문자열 생성과 NFT DID 문서를 생성하는 NFT와 저작권 거래 동의서 간 연결 기능을 이용해야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NFT DID 문서 변경부(230)는 NFT 거래로 인한 저작물의 권리 관계 또는 권리 내용의 변동 사항이 반영된 NFT DID 문서를 수신하여 NFT DID 문서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 즉, 권리 관계 변동을 NFT DID 문서에 반영하고자 하는 변경 요청자는 변경할 새로운 NFT DID 문서를 생성하여 NFT DID 관리 시스템(200)에 해당 NFT DID 문서와 NFT DID 문자열을 함께 전달하여 NFT DID 문서 변경을 요청하면 NFT DID 문서 변경부(230)는 수신한 NFT DID 문서를 NFT DID 문서 저장소에 저장하여 NFT DID 문서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NFT DID 문서 변경부(230)는 NFT 거래로 인한 저작물의 권리 관계 또는 권리 내용의 변동 사항에 대한 정보와 NFT DID를 수신하여 변동 사항이 반영된 NFT DID 문서를 생성하고 NFT DID 문서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
변경 요청자는 변경할 NFT DID 문서 전체가 아닌 변경할 NFT DID 문서 내 하나 이상의 항목들과 NFT DID 문자열을 전달하여 변경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이 경우 NFT DID 문서 변경부(230)는 NFT DID 문서 저장소에서 NFT DID 문자열을 이용하여 NFT DID 문서를 조회한 후 변경 요청한 항목들을 갱신하여 최종 변경된 NFT DID 문서를 NFT DID 문서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
NFT DID 문서 변경부(230)는 NFT DID 문서 변경 요청을 수신한 후 변경 요청에 포함된 NFT DID 문자열에 해당하는 NFT DID 문서가 NFT DID 문서 저장소에 존재하는지 검사할 수 있다.
NFT DID 문서 변경부(230)는 NFT DID 문서 변경 요청에 포함된 NFT DID에 해당하는 NFT DID 문서를 조회하여 NFT DID 문서가 존재하지 않으면 NFT DID 문서 변경 요청을 거부할 수 있다.
또한, NFT DID 문서 변경부(230)는 NFT DID 문서 변경 요청이 NFT DID 문서 내에 있는 블록체인 플랫폼 식별자, 블록체인 네트워크 식별자, 토큰 식별자, 컨트랙트 주소, 저작물 DID 항목 중에서 어느 하나의 변경을 포함하면 NFT DID 문서 변경 요청을 거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NFT를 이용한 저작권 거래 방법은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과, NFT DID 관리 시스템(200)을 포함하는 저작권 거래 시스템(10)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 저작물 등록 단계와 저작권 거래 동의서 등록 단계와 NFT DID 문서 생성 단계와 NFT DID 문서 변경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저작권 거래 방법은 NFT 거래 시 거래 대상 NFT가 특정하는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거래 정보(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제공하여 NFT 판매 및 저작물 유통 거래에 대한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작물 등록 단계는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이 저작재산권자의 저작물 등록 요청을 처리하여 거래 대상 저작물에 대한 저작물 DID 문서를 저장하여 저작물을 등록하는 단계이다. 저작재산권자인 NFT 발행자는 NFT 발행 또는 NFT 판매 이전에 NFT 소유권 거래 대상인 저작물을 미리 등록하여야 한다. NFT 발행자는 직접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에 연동하여 저작물을 등록 요청하거나 NFT 거래소를 통해 저작물을 등록 요청한다.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은 이 저작물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 처리하여 저작물을 등록한다. 이때 저작물은 저작물을 유일하게 식별하기 위하여 저작물 DID(Decentralized Identifier) 문자열(예, "did:cr:w:4f75568d-6b09-4b07-ab99-7c9114b733b4")을 사용한다. 저작물 DID는 NFT 발행자가 직접 생성한 후 등록 요청에 포함시켜 전달하거나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이 NFT 발행자를 대신하여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작물 등록 단계에서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은 저작물 등록 요청에 저작물 DID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거래 대상 저작물에 대한 저작물 DID를 생성하고, 생성된 저작물 DID와 저작물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저작물 DID 문서를 생성하여 저작물 DID 문서 저장소에 저장하여 저작물을 등록할 수 있다. 저작물 DID 문서는 저작물 식별자인 저작물 DID 문자열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저작물 DID 문서는 저작물에 대한 메타데이터(예, 종류, 소유자 정보, 설명, 저작물 식별자 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은 저작물 DID 문서를 저작물 DID 문서 저장소에 저장한다. 이때, 저작물 DID 문서 저장소는 블록체인 분산 원장 또는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가 될 수 있으며 특정한 저장소 기술에 종속되지 않는다.
저작권 거래 동의서 등록 단계는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이 등록된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의 권리 관계 및 권리 내용을 포함하는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생성하여 등록하는 단계이다.
NFT 판매자가 등록한 저작물에 대한 NFT 판매를 시작하기 전에 NFT 판매자가 해당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이전/이용허락 권리를 보유하고 있음을 증명하기 위해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등록하여야 한다. 또한, NFT 판매자가 NFT 구매자에게 NFT를 판매한 후 NFT 구매자가 이 NFT가 특정하는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이전/이용허락 권리를 보유하고 있음을 증명하기 위해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등록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저작권 거래 동의서 등록 단계에서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이 저작권 거래 동의서 식별자와 저작물 DID와 양수인 식별자와 권리 내용과 저작권 거래 동의서 검증을 위한 하나 이상의 증거값(proof value)을 포함하는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생성하여 저작권 거래 동의서 저장소에 저장하여 등록할 수 있다.
저작권 거래 동의서 등록 단계에서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이 생성하는 저작권 거래 동의서는 저작권 거래 동의서 식별자, 저작물 DID 문자열, 양수인(예, NFT 판매자 또는 NFT 구매자) 식별자, 저작권 이전/이용허락 권리 내용(예, 전송권/복제권 등 권리 종류, 제3자에 대한 NFT 재판매 여부, 이용허락 이전 가능 여부 등)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저작권 거래 동의서는 저작권 이전/이용허락 권리를 양도한 양도인 식별자(예, 저작재산권자, NFT 발행자 NFT 판매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작권 거래 동의서는 추가적으로 동의서 검증을 위한 하나 이상의 증거값(proof value)을 포함할 수 있다. 증거값은 '저작권 거래 동의서 내용에 대해 해시 알고리즘(예를 들어 SHA-1/2/3, RIPEMD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얻은 해시 값을 양수인의 개인키로 디지털 서명한 값', '양수인 공개키 식별자', '해시 알고리즘 식별자', '공개키 암호화 알고리즘 식별자'를 포함한다. 저작권 거래 동의서는 추가적으로 양도인의 개인키로 디지털 서명한 증거값(양도인의 서명값, 양도인의 공개키 식별자, 해시 알고리즘 식별자, 공개키 암호화 알고리즘 식별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작권 거래 동의서는 추가적으로 NFT 거래소와 같은 신뢰할 수 있는 제3자의 개인키로 디지털 서명한 증거값(제3자의 서명값, 제3자의 공개키 식별자, 해시 알고리즘 식별자, 공개키 암호화 알고리즘 식별자)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저작권 거래 동의서는 전술한 증거값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은 생성된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저작권 거래 동의서 저장소에 저장한다. 이때, 저작권 거래 동의서 저장소는 블록체인 분산 원장 또는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가 될 수 있으며 특정한 저장소 기술에 종속되지 않는다
저작권 거래 동의서 조회부(130)는 요청된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조회하여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제공한다. 이때,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을 통해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조회하는 저작권 거래 동의서 조회자는 NFT 거래소, NFT 판매자, NFT 구매자를 포함할 수 있다.
조회자는 저작권 거래 동의서가 위치한 URL에서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직접 조회하거나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조회 서비스에 저작권 거래 동의서 식별자를 전달하여(저작권 거래 동의서 조회 요청) 원하는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조회할 수 있다.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은 저작권 거래 동의서 저장소에서 요청한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검색하여 조회자에게 응답할 수 있다.
응답을 받은 조회자는 저작권 거래 동의서에 대한 신뢰 검증을 위해 동의서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증거값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회자가 NFT 구매자인 경우 저작권 거래 동의서에 기술되어 있는 양수인(NFT 판매자) 식별자와 거래 대상인 NFT 판매자의 식별자가 동일한지 확인한 후 NFT 판매자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해당 저작권 거래 동의서의 증거값에 있는 서명 값을 검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같은 방법으로 양도인(저작재산권자)이 생성한 증거값, 또는 NFT 거래소(제3자)가 생성한 증거값을 검증할 수도 있다.
NFT DID 문서 생성 단계는 NFT DID 관리 시스템(200)이 NFT와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에 등록된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연결하는 NFT DID 문서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이다.
NFT 판매자는 소유하고 있는 NFT와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에 미리 등록한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연결시켜야 현재 NFT 소유권자가 자신이며 자신이 해당 NFT를 판매할 수 있는 저작권 이전/이용허락 권리를 보유한 자임을 알릴 수 있다.
또한, NFT 구매자가 NFT 판매자로부터 NFT를 구매한 후 NFT 거래로 인한 권리 관계 변동을 반영하기 위하여 새롭게 생성된 저작권 거래 동의서와 구매한 NFT를 연결시켜야 현재 NFT 소유권자인 NFT 구매자가 해당 NFT에 대한 저작권 이전/이용허락 권리를 가지고 있음을 알릴 수 있다.
이러한, NFT와 저작권 거래 동의서 간의 연결은 NFT DID 문서를 통해 이루어지며, NFT DID 문서의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NFT와 저작권 거래 동의서 간의 연결 요청은 NFT 판매자, NFT 구매자가 직접 할 수 있고, NFT 거래소가 NFT 판매자 또는 NFT 구매자를 대신하여 할 수도 있다. 이때 연결 요청을 하는 자를 연결 요청자라고 한다.
구체적으로, NFT DID 문서 생성 단계는 NFT DID 관리 시스템(200)이 NFT와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에 등록된 저작권 거래 동의서 연결 요청에 포함된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NFT DID를 포함하는 NFT DID 문서를 생성하여 NFT DID 문서 저장소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연결 요청자는 이 연결 요청에 연결 정보를 포함시켜 NFT DID 관리 시스템(200)의 NFT DID 문서 생성부(210)에 전달한다. 이때, 연결 정보는 저작물 DID 문자열, 저작물 거래 동의서 식별자 또는 동의서가 위치한 URL인 저작물 거래 동의서 식별 정보, 블록체인 플랫폼 식별자(예, 이더리움), 블록체인 네트워크 식별자(예, mainnet 등과 같은 문자열 형태 또는 숫자 형태의 Chain Identifier), 토큰 식별자(token identifier), 컨트랙트 주소(contract address), 현재 NFT 소유권자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NFT DID 관리 시스템(200)은 이 연결 요청을 처리하여 NFT와 저작권 거래 동의서 간 연결을 수행한다. 먼저, NFT DID 관리 시스템(200)은 NFT DID 문자열을 유일한 값으로 생성한다. NFT DID 관리 시스템(200)은 미리 정해진 생성 방법에 의해 NFT DID 문자열을 생성하기 위해 요청 입력으로 받은 블록체인 플랫폼 식별자, 블록체인 네트워크 식별자, 토큰 식별자, 컨트랙트 주소를 이용한다. 이때, NFT DID 관리 시스템(200)은 블록체인 플랫폼 식별자, 블록체인 네트워크 식별자, 토큰 식별자, 컨트랙트 주소 중 적어도 3개 이상을 조합하여 NFT DID 문자열을 생성한다. NFT DID 문자열을 생성하는 구체적인 예로 상기 값들을 조합한 값 또는 조합한 값에 대해 해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얻은 해시 값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NFT DID 문자열 생성 방법에 종속되지 않는다.
NFT DID 관리 시스템(200)은 NFT DID 문자열 생성 후 NFT DID 문서를 생성한다. NFT DID 문서는 생성된 NFT DID 문자열, 저작물 DID, 블록체인 플랫폼 식별자, 블록체인 네트워크 식별자, 토큰 식별자, 컨트랙트 주소, 현재 NFT 소유권자 식별자, 저작권 거래 동의서 식별자, 저작권 거래 동의서가 위치한 URL이 포함된다. 이때, 저작권 거래 동의서 식별자와 저작권 거래 동의서가 위치한 URL은 동시에 존재할 수 있고 어느 하나만 존재할 수도 있다. 그러나 둘 중에 하나는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
NFT DID 관리 시스템(200)은 생성한 NFT DID 문서를 NFT DID 문서 저장소에 저장한다. NFT DID 문서 저장소는 블록체인 분산 원장 또는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가 될 수 있으며 특정한 저장소 기술에 종속되지 않는다.
NFT DID 문서 변경 단계는 NFT DID 관리 시스템(200)이 NFT 거래 후 해당NFT에 대하여 저작물의 권리 관계 또는 권리 내용의 변동 사항을 반영한 NFT DID 문서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이다.
NFT 소유권자 식별자가 변경된 경우, 저작권 거래 동의서가 위치한 URL이 변경된 경우, 또는 저작권 거래 동의서 식별자가 변경된 경우 이 NFT DID 문서를 변경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NFT 판매자가 NFT 구매자에게 판매가 이루어진 경우 NFT DID 문서의 현재 NFT 소유권자 식별자는 NFT 판매자 식별자에서 NFT 구매자의 식별자로 변경되어야 한다. 또한 NFT 판매로 인해 새롭게 생성된 저작권 거래 동의서의 위치 정보인 URL 또는 동의서 식별자를 NFT DID 문서 내에서 변경해야 한다.
NFT의 블록체인 플랫폼 식별자, 블록체인 네트워크 식별자, 토큰 식별자, 컨트랙트 주소, 저작물 DID 중 어느 하나라도 변경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NFT DID 문서 변경 기능을 이용할 수 없다. 이 경우는 새로운 NFT DID 문자열 생성과 NFT DID 문서를 생성하는 NFT와 저작권 거래 동의서 간 연결 기능을 이용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NFT DID 문서 변경 단계에서 NFT DID 관리시스템은 NFT 거래로 인한 저작물의 권리 관계 또는 권리 내용의 변동 사항이 반영된 NFT DID 문서를 포함하는 NFT DID 문서 변경 요청을 수신하여 NFT DID 문서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 즉, 권리 관계 변동을 NFT DID 문서에 반영하고자 하는 변경 요청자는 변경할 새로운 NFT DID 문서를 생성하여 NFT DID 관리 시스템(200)에 해당 NFT DID 문서와 NFT DID 문자열을 함께 전달하여 NFT DID 문서 변경을 요청하면 NFT DID 관리 시스템(200)은 수신한 NFT DID 문서를 NFT DID 문서 저장소에 저장하여 NFT DID 문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NFT DID 문서 변경 단계에서 NFT DID 관리시스템은 NFT 거래로 인한 저작물의 권리 관계 또는 권리 내용의 변동 사항에 대한 정보와 NFT DID를 수신하여 변동 사항이 반영된 NFT DID 문서를 생성하고 NFT DID 문서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
변경 요청자는 변경할 NFT DID 문서 전체가 아닌 변경할 NFT DID 문서 내 하나 이상의 항목들과 NFT DID 문자열을 전달하여 변경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이 경우 NFT DID 관리시스템은 NFT DID 문서 저장소에서 NFT DID 문자열을 이용하여 NFT DID 문서를 조회한 후 변경 요청한 항목들을 갱신하여 최종 변경된 NFT DID 문서를 NFT DID 문서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
NFT DID 관리 시스템(200)은 NFT DID 문서 변경 요청을 수신한 후 변경 요청에 포함된 NFT DID 문자열에 해당하는 NFT DID 문서가 NFT DID 문서 저장소에 존재하는지 검사할 수 있다.
NFT DID 문서 변경 단계에서 NFT DID 관리시스템은 NFT DID 문서 변경 요청에 포함된 NFT DID에 해당하는 NFT DID 문서를 조회하여 NFT DID 문서가 존재하지 않으면 NFT DID 문서 변경 요청을 거부할 수 있다.
또한, NFT DID 문서 변경 단계에서 NFT DID 관리시스템은 NFT DID 문서 변경 요청이 NFT DID 문서 내에 있는 블록체인 플랫폼 식별자, 블록체인 네트워크 식별자, 토큰 식별자, 컨트랙트 주소, 저작물 DID 항목 중에서 어느 하나의 변경을 포함하면 NFT DID 문서 변경 요청을 거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작권 거래 방법의 절차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저작재산권자(NFT 발행자)는 디지털 파일 형태의 거래 대상 저작물을 블록체인에서 유통하기 위하여 NFT를 발행(민팅)한다(S1000). 저작재산권자인 NFT 발행자는 NFT 발행 또는 NFT 판매 이전에 NFT 소유권 거래 대상인 저작물을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에 등록 요청한다(S1020). 이때, NFT 발행자는 직접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에 연동하여 저작물을 등록 요청하거나 NFT 거래소를 통해 저작물을 등록 요청할 수 있다.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은 이 저작물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 처리하여 저작물을 등록한다(S1040). 이때,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은 저작재산권자의 저작물 등록 요청을 처리하여 거래 대상 저작물에 대한 저작물 DID 문서를 저장하여 저작물을 등록한다.
NFT 판매자는 등록한 저작물에 대한 NFT 판매를 시작하기 전에 NFT 판매자가 해당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이전/이용허락 권리를 보유하고 있음을 증명하기 위해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과 연동하여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등록 요청한다(S1060).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은 저작권 거래 동의서 식별자와 저작물 DID와 양수인 식별자와 권리 내용과 저작권 거래 동의서 검증을 위한 하나 이상의 증거값(proof value)을 포함하는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생성하여 저작권 거래 동의서 저장소에 저장하여 등록한다(S1080).
NFT 판매자는 현재 NFT 소유권자가 자신이며 자신이 해당 NFT를 판매할 수 있는 저작권 이전/이용허락 권리를 보유한 자임을 알릴 수 있도록 소유하고 있는 NFT와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에 미리 등록한 저작권 거래 동의서 연결을 요청한다(S1100). NFT DID 관리 시스템(200)은 NFT와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100)에 등록된 저작권 거래 동의서 연결 요청에 포함된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NFT DID를 포함하는 NFT DID 문서를 생성하여 NFT DID 문서 저장소에 저장하여 NFT와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연결한다(S1120).
NFT 구매자는 NFT 판매자가 판매하는 NFT를 구매하기 위하여 NFT DID 문서, 저작권 거래 동의서 등을 조회하여 확인한 후 NFT를 구매한다(S1140). NFT 구매자는 변경된 권리 관계 등을 NFT DID 문서에 반영하기 위하여 NFT DID 관리 시스템(200)에 NFT DID 문서 변경을 요청(이때, NFT DID 문서를 생성하여 전달하거나 변경된 항목을 전달할 수 있다.)하고(S1160), NFT DID 관리 시스템(200)은 수신한 NFT DID 문서를 저장하거나 변경 요청에 포함된 변경 내용이 반영된 NFT DID 문서를 생성하여 NFT DID 문서를 변경하여 저장한다(S1180).
이상에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는 실시 예들을 통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로부터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도출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을 포괄하도록 해석되어야 한다. 특허청구범위는 이러한 변형 예들을 포괄하도록 의도되었다.
10 : 저작권 거래 시스템
100 :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
110 : 저작물 등록부
120 : 저작권 거래 동의서 등록부
130 : 저작권 거래 동의서 조회부
200 : NFT DID 관리 시스템
210 : NFT DID 문서 생성부
220 : NFT DID 문서 조회부
230 : NFT DID 문서 변경부

Claims (16)

  1. 거래 대상 저작물에 대한 저작물 DID 문서를 저장하여 저작물을 등록하는 저작물 등록부와, 등록된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의 권리 관계 및 권리 내용을 포함하는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생성하여 등록하는 저작권 거래 동의서 등록부와, 요청된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조회하여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제공하는 저작권 거래 동의서 조회부를 포함하는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 및
    NFT와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에 등록된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연결하는 NFT DID 문서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NFT DID 문서 생성부와, 거래하고자 하는 NFT에 대한 NFT DID 문서를 조회하여 NFT DID 문서를 제공하는 NFT DID 문서 조회부와, NFT가 발행된 저작물의 권리 관계 또는 권리 내용의 변동 사항을 반영한 NFT DID 문서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NFT DID 문서 변경부를 포함하는 NFT DID 관리 시스템;
    을 포함하는, NFT를 이용한 저작권 거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물 등록부는 :
    거래 대상 저작물에 대한 저작물 DID를 생성하고, 저작물 DID와 저작물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저작물 DID 문서를 생성하여 저작물 DID 문서 저장소에 저장하여 저작물을 등록하는, NFT를 이용한 저작권 거래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거래 동의서 등록부는 :
    저작권 거래 동의서 식별자와 저작물 DID와 양수인 식별자와 권리 내용과 저작권 거래 동의서 검증을 위한 하나 이상의 증거값(proof value)을 포함하는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생성하여 저작권 거래 동의서 저장소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NFT를 이용한 저작권 거래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FT DID 문서 생성부는 NFT와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에 등록된 저작권 거래 동의서 연결 요청에 포함된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NFT DID를 포함하는 NFT DID 문서를 생성하여 NFT DID 문서 저장소에 저장하되,
    상기 연결 정보는 저작물 DID와 저작물 거래 동의서 식별 정보와 블록체인 플랫폼 식별자와 블록체인 네트워크 식별자와 NFT 토큰 식별자와 NFT 컨트랙트 주소와 NFT 소유자 식별자를 포함하고,
    NFT DID는 미리 정해진 생성 방법에 의해 블록체인 플랫폼 식별자와 블록체인 네트워크 식별자와 NFT 토큰 식별자와 NFT 컨트랙트 주소 중 3개 이상을 조합하여 생성되는, NFT를 이용한 저작권 거래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NFT DID 문서 생성부는 상기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과 연동하여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조회하고, 저작권 거래 동의서가 존재하지 않거나 조회된 저작권 거래 동의서 내의 양수인 식별자와 NFT 소유권자 식별자가 동일하지 않으면 저작권 거래 동의서 연결 요청을 거부하는, NFT를 이용한 저작권 거래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NFT DID 문서 생성부는 블록체인 플랫폼 식별자와 블록체인 네트워크 식별자와 NFT 토큰 식별자와 NFT 컨트랙트 주소를 이용하여 해당 NFT의 존재 여부를 검증하고, 해당 NFT가 존재하지 않으면 저작권 거래 동의서 연결 요청을 거부하는, NFT를 이용한 저작권 거래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NFT DID 문서 변경부는 NFT 거래로 인한 저작물의 권리 관계 또는 권리 내용의 변동 사항이 반영된 NFT DID 문서를 포함하는 NFT DID 문서 변경 요청을 수신하여 NFT DID 문서 저장소에 저장하는, NFT를 이용한 저작권 거래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NFT DID 문서 변경부는 NFT 거래로 인한 저작물의 권리 관계 또는 권리 내용의 변동 사항에 대한 정보와 NFT DID를 포함하는 NFT DID 문서 변경 요청을 수신하여 변동 사항이 반영된 NFT DID 문서를 생성하고 NFT DID 문서 저장소에 저장하는, NFT를 이용한 저작권 거래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NFT DID 문서 변경부는 상기 NFT DID 문서 변경 요청에 포함된 NFT DID에 해당하는 NFT DID 문서를 조회하여 NFT DID 문서가 존재하지 않으면 NFT DID 문서 변경 요청을 거부하는, NFT를 이용한 저작권 거래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NFT DID 문서 변경부는 상기 NFT DID 문서 변경 요청이 블록체인 플랫폼 식별자와 블록체인 네트워크 식별자와 NFT 토큰 식별자와 NFT 컨트랙트 주소와 저작물 DID 중 하나 이상의 항목의 변경을 포함하면 NFT DID 문서 변경 요청을 거부하는, NFT를 이용한 저작권 거래 시스템.
  11.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이 거래 대상 저작물에 대한 저작물 DID 문서를 저장하여 저작물을 등록하는 저작물 등록 단계;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이 등록된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의 권리 관계 및 권리 내용을 포함하는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생성하여 등록하는 저작권 거래 동의서 등록 단계;
    NFT DID 관리 시스템이 NFT와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에 등록된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연결하는 NFT DID 문서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NFT DID 문서 생성 단계; 및
    NFT DID 관리 시스템이 NFT 거래 후 해당 NFT에 대하여 저작물의 권리 관계 또는 권리 내용의 변동 사항을 반영한 NFT DID 문서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NFT DID 문서 변경 단계;
    를 포함하는, NFT를 이용한 저작권 거래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물 등록 단계는 거래 대상 저작물에 대한 저작물 DID를 생성하고, 저작물 DID와 저작물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저작물 DID 문서를 생성하여 저작물 DID 문서 저장소에 저장하여 저작물을 등록하는 단계인, NFT를 이용한 저작권 거래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거래 동의서 등록 단계는 저작권 거래 동의서 식별자와 저작물 DID와 양수인 식별자와 권리 내용과 저작권 거래 동의서 검증을 위한 하나 이상의 증거값(proof value)을 포함하는 저작권 거래 동의서를 생성하여 저작권 거래 동의서 저장소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단계인, NFT를 이용한 저작권 거래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NFT DID 문서 생성 단계는 NFT와 저작권 거래 관리 시스템에 등록된 저작권 거래 동의서 연결 요청에 포함된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NFT DID를 포함하는 NFT DID 문서를 생성하여 NFT DID 문서 저장소에 저장하는 단계이고,
    상기 연결 정보는 저작물 DID와 저작물 거래 동의서 식별 정보와 블록체인 플랫폼 식별자와 블록체인 네트워크 식별자와 NFT 토큰 식별자와 NFT 컨트랙트 주소와 NFT 소유자 식별자를 포함하고,
    NFT DID는 미리 정해진 생성 방법에 의해 블록체인 플랫폼 식별자와 블록체인 네트워크 식별자와 NFT 토큰 식별자와 NFT 컨트랙트 주소 중 3개 이상을 조합하여 생성되는, NFT를 이용한 저작권 거래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NFT DID 문서 변경 단계는 NFT 거래로 인한 저작물의 권리 관계 또는 권리 내용의 변동 사항이 반영된 NFT DID 문서를 포함하는 NFT DID 문서 변경 요청을 수신하여 NFT DID 문서 저장소에 저장하는 단계인, NFT를 이용한 저작권 거래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NFT DID 문서 변경 단계는 NFT 거래로 인한 저작물의 권리 관계 또는 권리 내용의 변동 사항에 대한 정보와 NFT DID를 포함하는 NFT DID 문서 변경 요청을 수신하여 변동 사항이 반영된 NFT DID 문서를 생성하고 NFT DID 문서 저장소에 저장하는 단계인, NFT를 이용한 저작권 거래 방법.
KR1020220136255A 2022-10-21 2022-10-21 Nft를 이용한 저작권 거래 시스템 KR102534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255A KR102534359B1 (ko) 2022-10-21 2022-10-21 Nft를 이용한 저작권 거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255A KR102534359B1 (ko) 2022-10-21 2022-10-21 Nft를 이용한 저작권 거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4359B1 true KR102534359B1 (ko) 2023-05-26

Family

ID=86536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6255A KR102534359B1 (ko) 2022-10-21 2022-10-21 Nft를 이용한 저작권 거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35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9164A (ko) * 2019-11-15 2021-05-25 주식회사 아트스토어 블록체인을 이용한 2차 저작권 소유권 발행시스템
KR102411652B1 (ko) * 2021-11-05 2022-06-22 석인수 Did 및 nft를 이용한 실물자산의 원본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47320B1 (ko) * 2022-01-21 2022-09-26 정경열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60170B1 (ko) * 2022-07-06 2022-10-31 김한조 블록체인 기반의 did를 이용하는 플랫폼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488075B1 (ko) * 2021-12-20 2023-01-13 김주원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9164A (ko) * 2019-11-15 2021-05-25 주식회사 아트스토어 블록체인을 이용한 2차 저작권 소유권 발행시스템
KR102411652B1 (ko) * 2021-11-05 2022-06-22 석인수 Did 및 nft를 이용한 실물자산의 원본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88075B1 (ko) * 2021-12-20 2023-01-13 김주원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
KR102447320B1 (ko) * 2022-01-21 2022-09-26 정경열 Nft 기반 저작물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60170B1 (ko) * 2022-07-06 2022-10-31 김한조 블록체인 기반의 did를 이용하는 플랫폼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3189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assets
US20190116185A1 (en) Access authority management method, access authority management system, and access authority management apparatus
US20050240536A1 (en) Networked electronic trading system
EP345580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assets
US76982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ding digital items in a network data processing system
JP2019512778A (ja) 著作権管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RU2402814C2 (ru) Сетевые коммерческие транзакции
US20180197186A1 (en) Managing chain-of-ownership for art using cryptocurrency blockchain
US20230073859A1 (en) Digital Twin NFT Listing
CN114155095B (zh) 一种数字艺术品认证和交易系统及认证和交易方法
US20180197159A1 (en) Managing chain-of-ownership for art using cryptocurrency blockchain
GB2583832A (en) Blockchain assisted asset pedigree trackback
US20230088936A1 (en) Physical Storage Vault for Physical Items of Digital Twin NFTs
US20200045538A1 (en) Techniques for determining authenticity of an item
KR102303711B1 (ko) 유가증권의 공매도를 지원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CN115997229A (zh) 区块链上的协议
US79580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mporary ownership of digital items in a network data processing system
JP2023536396A (ja) 電子文書署名
KR102534359B1 (ko) Nft를 이용한 저작권 거래 시스템
EP4070504A1 (en) Smart contracts
US20230102525A1 (en) Cryptographic token rights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ing trusted ledgers
CN110599176A (zh) 基于区块链的数据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节点设备
US2011007808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asset title corresponding to an asset
US12001522B1 (en) Asset metadata oracle service for facilitating digital asset trading
US20230119482A1 (en) Method for securing private structured databases within a public blockch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