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111732A1 -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을 지원하는 플랫폼, 그 운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을 지원하는 플랫폼, 그 운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111732A1
WO2024111732A1 PCT/KR2022/019633 KR2022019633W WO2024111732A1 WO 2024111732 A1 WO2024111732 A1 WO 2024111732A1 KR 2022019633 W KR2022019633 W KR 2022019633W WO 2024111732 A1 WO2024111732 A1 WO 202411173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gricultural
revenue
contract
fungible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963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보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15793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40078433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릭
Publication of WO202411173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111732A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 지원 플랫폼 운영자 장치는, 메모리,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유닛, 및 통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유닛 및 통신망을 통해서, 하나 이상의 피투자자 단말, 하나 이상의 투자자 단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피투자자 단말 각각, 상기 하나 이상의 투자자 단말 각각, 또는 상기 플랫폼 운영자 장치와 연관된 각 전자화폐 지갑을 관리하는 하나 이상의 커스터디 기관 서버와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피투자자 단말로부터의 제1 자산에 기초한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블록체인망 상에서 상기 발행 계약 코드가 실행되도록 하여 복수 개의 상기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이 발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Description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을 지원하는 플랫폼, 그 운영 장치 및 방법
본 개시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발행 및 운용될 수 있는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특히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 및 운용을 지원하는 플랫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 기술은, 탈 중앙화된 분산형 공유 원장 방식에 기초한 거래를 가능하게 하여, 높은 개방성, 신뢰성, 투명성, 및 상호작용성 등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다양한 분야에서의 응용 가능성이 검토되고 있다. 이더리움 등의 새로운 블록체인 기술은, 스마트 계약, 즉 블록체인 상에 계약 조건을 명시하고 그 조건이 충족되면 계약 내용이 자동으로 이행되도록 하는 디지털 계약 기능을 지원함에 따라, 다양한 산업 분야, 특히 금융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의 블록체인 기술의 활용이 시도되고 있다.
한편, 투자의 활성화는 유동성 확보의 문제와 결부되어 있다. 유동성은 자금을 현금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데, 종래 대형 부동산이나 유명 예술품 등과 같은 고가 자산은, 유동성 부족의 문제로, 일반 대중은 쉽게 접근할 수 없는 소수의 자산가들만을 위한 투자 영역이었다. 그런데, 최근에는, 금융 분야에서의 블록체인 기술의 활용이 늘어감에 따라, 부동산이나 예술품, 나아가 비상장 회사에 대한 투자 펀드나 각종 지식재산권 등 다양한 종류의 유형 또는 무형 자산에 대한 권리를 블록체인망 상에서 디지털 토큰화하여 거래에 제공하려는 시도가 대두되고 있다.
또한, 대규모 자금이 필요한 스마트팜 투자 활성화를 위해 자산 유동성을 향상시키려는 다양한 시도가 도입되고 있다. 다양한 형태의 투자 시장 활성화는 전통적 금융 시장과 블록체인 기술 분야를 연결하는 중요한 교량 역할을 할 것이라는 기대가 있다.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서 디지털 자산의 소유주를 증명하는 가상의 토큰(token)으로,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이 있다. 그림·영상 등의 디지털 파일을 가리키는 주소를 토큰 안에 담음으로서 그 고유한 원본성 및 소유권을 나타내는 용도로 사용된다.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을 지원하는 플랫폼 운영자 장치를 제공하여, 대규모 자금이 필요한 스마트팜 투자 활성화를 위해 자산 유동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투자자가 직접 통가를 방문하지 않아도 신뢰할 수 있는 농업 생산자에게 직접투자가 발생할 수 있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제 농산물 재배 현황을 가상공간에서 확인하고 농산물 거래용 대체 불가능 토큰을 통해 메타버스 안에서 농업에 관한 투자 및 거래가 발생하는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일 특징에 의하면,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을 지원하는 플랫폼 운영자 장치가 제공된다. 플랫폼 운영자 장치는 메모리,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유닛, 및 통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유닛 및 통신망을 통해서, 하나 이상의 피투자자 단말, 하나 이상의 투자자 단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피투자자 단말 각각, 상기 하나 이상의 투자자 단말 각각, 또는 상기 플랫폼 운영자 장치와 연관된 각 전자화폐 지갑을 관리하는 하나 이상의 커스터디 기관 서버와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피투자자 단말로부터의 제1 자산에 기초한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블록체인망 상에서 상기 발행 계약 코드가 실행되도록 하여 복수 개의 상기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이 발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 요청은, 상기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을 담보하는 상기 제1 자산의 정보, 토큰 이름, 총 토큰 발행량, 토큰 개당 가격, 운영수익, 예상 연이율, 수익 배당주기, 총 배당기간, 및 판매마감일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서 투자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에 대한 구매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블록체인망 상에서 상기 발행 계약 코드가 실행되도록 하여 상기 구매 요청에 기초한 수량의 상기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이 상기 투자자 단말에 연관된 토큰 지갑으로 이전되고 그에 대응하는 판매 대금 및 수수료가 상기 투자자 단말에 연관된 전자화폐 지갑으로부터 상기 제1 피투자자 단말의 전자화폐 지갑 및 상기 플랫폼 운영자 장치의 상기 전자화폐 지갑으로 각각 이전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블록체인망 상에서 상기 발행 계약 코드가 실행되도록 하여 상기 구매 요청에 기초한 수량의 상기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이 상기 투자자 단말에 연관된 토큰 지갑으로 이전되고 그에 대응하는 판매 대금 및 수수료가 상기 투자자 단말에 연관된 전자화폐 지갑으로부터 상기 제1 피투자자 단말의 전자화폐 지갑 및 상기 플랫폼 운영자 장치의 상기 전자화폐 지갑으로 각각 이전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은 농산물 수익 토큰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스마트 계약 코드는, 분배(distributor) 계약 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에 관한 배당 요청- 상기 배당 요청은, 상기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총 수익금 정보를 포함함 -을 수신한 경우, 상기 블록체인망 상에서 상기 분배 계약 코드가 실행되도록 하여 상기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과 연관된 각 투자자 단말에 대한 배당이 실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각 투자자 단말에 대한 상기 배당의 실행은, 상기 블록체인망 상에서, 연관된 토큰 지갑에 상기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을 하나 이상 보유하고 있는 각 투자자 단말에 대하여, 상기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상기 총 토큰 발행량에 대한 상기 투자자 단말의 상기 토큰 지갑에 보유된 상기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개수의 비율에 기초하여 배당금이 각각 결정되고, 상기 결정된 배당금이 상기 제1 피투자자 단말의 상기 전자화폐 지갑으로부터 상기 투자자 단말의 상기 전자화폐 지갑으로 이전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각 투자자 단말에 대한 상기 배당의 실행은, 상기 블록체인망 상에서, 연관된 토큰 지갑에 상기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을 하나 이상 보유하고 있는 각 투자자 단말과 관련하여, 상기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상기 총 토큰 발행량에 대한 상기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상기 기초 자산에 바인딩된 상기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상기 제1 개수의 비율과, 상기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상기 총 토큰 발행량에 대한 상기 각 투자자 단말의 상기 토큰 지갑에 보유된 상기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개수에 비율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배당금이 각각 결정되고, 상기 결정된 배당금이 상기 제1 피투자자 단말의 상기 전자화폐 지갑으로부터 상기 투자자 단말의 상기 전자화폐 지갑으로 이전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스마트 계약 코드는,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 청산(liquidator) 계약 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 운영자 장치는, 상기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에 대한 청산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블록체인망 상에서 상기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 청산 계약 코드가 실행되도록 하여 상기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에 대한 청산이 실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에 대한 상기 청산의 실행은, 상기 청산을 위한 전체 청산금이 산정되고, 상기 전체 청산금이 관련된 각 투자자와 관련하여 분배되며, 상기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이 모두 소각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유닛 및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피투자자 단말 각각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투자자 단말 각각과 연관된 각 법정화폐 계좌를 관리하는 하나 이상의 법정화폐 관리 금융 기관 서버와 통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농장을 가상화하여 가상의 지도에 표시하고 표시된 가상화된 농장안에서는 실제 농장 영상과 이미지를 제공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투자자 단말 또는 상기 피투자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를 연관된 아바타로 생성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생성된 아바타 각각에 대해서, 적어도 하나의 게임 퀘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아바타가 해당 게임 퀘스트를 완료한 경우, 리워드를 제공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상 지도 상에서, 상기 통신망을 통해서 투자자 단말과 연관된 아바타로부터 상기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에 대한 요청을 수신한 경우, 해당 요청에 따라 지원을 수행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요청이 구매 요청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블록체인망 상에서 상기 발행 계약 코드가 실행되도록 하여 상기 구매 요청에 기초한 수량의 상기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이 상기 투자자 단말에 연관된 토큰 지갑으로 이전되고 그에 대응하는 판매 대금 및 수수료가 상기 투자자 단말에 연관된 전자화폐 지갑으로부터 상기 제1 피투자자 단말의 전자화폐 지갑 및 상기 플랫폼 운영자 장치의 상기 전자화폐 지갑으로 각각 이전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에 기반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 및 운용을 지원하는 플랫폼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플랫폼 상의 플랫폼 운영자 장치를 통해, 다양한 유형의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에 따른 토큰의 발행 및 거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다양한 투자 상품의 제공에 따라 농산물 투자 시장의 활성화를 촉진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을 지원하는 영농투자거래 플랫폼(100)의 개략적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블록체인망(160) 상의 컴퓨팅 노드들(162)에 저장된 블록체인 분산 원장 상에 분산 수록된 예시적 스마트 계약 코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영농투자거래 플랫폼(100)에서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를 통하여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이 발행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절차 흐름도이다.
도 4에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의 디스플레이 상에, 플랫폼 운영자를 위하여 제시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 중에서, 영농투자거래 플랫폼(100) 상에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에 대한 발행을 진행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투자자 단말(150)에 의해, 영농투자거래 플랫폼(100) 상에 발행된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이 구매되는 예시적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절차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영농투자거래 플랫폼(100) 상에 발행된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에 관한 수익금 배당이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절차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영농투자거래 플랫폼(100) 상에 발행된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에 관한 청산 절차가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절차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가상농장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 캐릭터 생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장 메타버스 내의 NFT 거래소에서 NFT 상품을 거래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미 공지된 기능 및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어디까지나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일 뿐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에서 사용된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단수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되는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항목에 의한 임의의 가능한 모든 조합들을 포괄하는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개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이고, 이러한 용어의 사용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자산이라는 용어는 누군가에 의해 소유되거나 가치를 생성하도록 제어될 수 있는 유형 또는 무형의 가치물로서, 금전으로 변환될 수 있는 소유 가치를 갖는 모든 것을 지칭한다. 예컨대, 자산에는 부동산, 예술품, 보석, 각종 현물(농산물 포함) 등을 포함한 각종 유형의 자산 뿐만 아니라, 특허권, 저작권 등 지식재산권, 주식, 채권 등과 같은 무형의 자산이 모두 포함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이라 함은, 블록체인망 상에서 해당 토큰이 생성되어, 거래(또는 구매)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상태에 놓인다는 의미이며, 투자자가 그 발행된 토큰 중 일부를 구매할 경우, 해당 토큰이 투자자의 토큰 지갑으로 이전될 수 있다.
덧붙여,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 또는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하여,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과도하게 제한 또는 확장하여 해석되지 않는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을 지원하는 영농투자거래 플랫폼(100)의 개략적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영농투자거래 플랫폼(100)은,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 통신망(120), 복수의 피투자자 단말(130), 복수의 투자자 단말(150), 블록체인망(160), 법정화폐 기관 서버(170) 및 거래 중개 서버(190)를 포함하고, 블록체인망(160)은 그 블록체인망(160)을 구성하는 복수의 컴퓨팅 노드(162) 및 커스터디 기관 서버(164)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는, 후술하는 블록체인망(160) 상에서 각종 스마트 계약 코드들을 호출 및 실행시킴으로써, 영농투자거래 플랫폼(100) 상에서의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및 판매)과 전반적 운용(예컨대, 기 발행된 토큰에 관련된 배당이나 청산 등) 과정을 관리하는 플랫폼 운영자를 위한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는, 통신망(120)을 통하여, 영농투자거래 플랫폼(100) 상의 다른 엔티티들, 예컨대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 상의 피투자자 단말(130), 복수의 투자자 단말(150), 블록체인망(160)의 각 컴퓨팅 노드(162) 및 커스터디 기관 서버(164), 및/또는 법정화폐 기관 서버(170)와 통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주로,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 구매(또는 판매), 배당, 및 청산의 각 과정이, 통신망(120)을 통한 각 엔티티와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 간의 통신과,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를 통한 블록체인망(160) 상의 스마트 계약 코드의 호출 및 실행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될 것이나,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영농투자거래 플랫폼(100) 상에서,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 이외의 엔티티에 의한 스마트 계약 코드의 직접 호출 및 실행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각 피투자자 단말(130), 각 투자자 단말(150), 및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는, 각각 자신에게 연관된, 커스터디 기관 관리 하의 전자화폐 계좌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각 피투자자 단말(130) 및 각 투자자 단말(150)은 또한, 각각 자신에게 연관된, 법정화폐 기관(예컨대, 시중 은행 등)이 관리하는 법정화폐 계좌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각 투자자 단말(150)은 또한, 각자에게 연관된 토큰 계좌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는, 각 피투자자 단말(130)과 연관된 각 전자화폐 계좌 및/또는 각 법정화폐 계좌, 각 투자자 단말(150)과 연관된 각 전자화폐 계좌, 각 법정화폐 계좌 및/또는 각 토큰 계좌, 그리고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 자신과 연관된 전자화폐 계좌 정보를 보관 및 관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는, 각 피투자자 단말(130) 및 각 투자자 단말(150)이 영농투자거래 플랫폼(100)에 가입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가입 과정에서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는 각 피투자자 단말(130) 및 각 투자자 단말(150)의 각 연관된 법정화폐 계좌 정보, 전자화폐 계좌 정보 및/또는 토큰 계좌 정보를 획득 및 보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는 또한 각 투자자 단말(150)의 영농투자거래 플랫폼(100) 가입 과정을 지원하기 위하여, 각 투자자에 관한 고객확인절차(Know Your Customer: KYC) 절차 진행을 지원할 수 있으며, 이러한 KYC 절차 진행에 의해 적격 투자자로 인정된 투자자(및 해당 투자자 단말(150))의 영농투자거래 플랫폼(100) 가입을 허용할 수 있다. 여기서는 KYC를 지원하는 구체적인 과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 의하면,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는, 또한, 영농투자거래 플랫폼(100) 상에서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을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는,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피투자자 단말(130) 피투자자 단말로부터 각 토큰 발행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그 수신된 토큰 발행 요청에 따라, 토큰 발행을 위한 블록체인망(160) 상의 스마트 계약 코드를 실행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는 또한, 투자자 단말(15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투자자 단말(150)에 의한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구매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는, 투자자 단말(150)로부터 소정 토큰에 대한 구매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그 수신된 구매 요청에 따라, 토큰 구매를 위한 블록체인망(160) 상의 스마트 계약 코드를 실행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는,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에 관한 수익금을 각 투자자에게 배당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는,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피투자자 단말(130)로부터 수익금 정보를 포함하는 배당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그 수신된 배당 요청에 따라, 수익금 배당을 위한 블록체인망(160) 상의 스마트 계약 코드를 실행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는 또한,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 발행자(13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청산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는,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피투자자 단말(130)로부터 해당 토큰에 대한 청산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그 수신된 청산 요청에 따라, 청산 절차를 진행하기 위한 블록체인망(160) 상의 스마트 계약 코드를 실행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망(120)은, 예컨대 P2P 분산 네트워크가 구현된 TCP/IP 통신망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망(120)는, 예컨대 Wi-Fi망, LAN망, WAN망, 인터넷망 등일 수 있으며, 다만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피투자자 단말(130)은, 자신이 보유(또는 관리)하는 소정의 자산에 기초하여, 영농투자거래 플랫폼(100) 상에서,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되어 투자를 받는 피투자자를 위한 통신 단말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피투자자 단말(130)은, 통신망(120)을 통하여,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로, 자신이 보유(또는 관리)하는 실물 자산에 기초한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피투자자 단말(130)은, 토큰 발행 이후, 발행된 토큰에 관한 배당 요청 또는 청산 요청을, 통신망(120)을 통하여,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피투자자 단말(130)이 두 개만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더 많은 수의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피투자자 단말(130)이 영농투자거래 플랫폼(100)에 포함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투자자 단말(150) 각각은, 영농투자거래 플랫폼(100) 내의 블록체인망(160) 상에 발행되어 거래에 제공된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을 구매하는 각 투자자를 위한 통신 단말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각 투자자 단말(150)은, 통신망(120)을 통하여,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로 현재 영농투자거래 플랫폼(100) 내의 블록체인망(160) 상에 발행되어 거래에 제공되어 있는 각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 정보를 요청할 수 있고,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로부터 그에 대한 응답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각 투자자 단말(150)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로부터 수신된 응답 정보, 예컨대 영농투자거래 플랫폼(100) 상에 발행되어 거래에 제공된 각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 정보를 해당 디스플레이 상에 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각 투자자 단말(150)은, 해당 단말 상의 투자자로부터 입력된 소정 토큰의 소정 수량에 대한 구매 요청을, 통신망(120)을 통해,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블록체인망(160)의 각 컴퓨팅 노드들(162) 각각은, 통신망(120)을 통하여 서로 P2P 통신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이들 각 컴퓨팅 노드(162)는 또한 영농투자거래 플랫폼(100) 상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거래들, 예컨대 토큰의 발행, 구매, 배당, 청산 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마트 계약 코드와, 각 스마트 계약 코드의 실행에 의해 이루어지는 각 거래에 관한 기록을 저장한 블록체인 분산 원장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각 컴퓨팅 노드(162)는 또한, 미리 정의된 알고리즘에 따라, 새로운 거래 기록을 기록하기 위한 각각의 블록을 생성(또는 채굴) 및/또는 검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소정의 시간 간격 동안에 영농투자거래 플랫폼(100) 상에서 발생한 각 거래 기록들이, 새로이 생성된 블록에 함께 저장되어, 블록체인망(160) 상의 각 컴퓨팅 노드(162)로 분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블록체인망(160)은 프라이빗 블록체인망이고, 각 컴퓨팅 노드(162)는 해당 블록체인망에 참여할 권한을 가진 노드들로 제한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블록체인망(160)은 퍼블릭 블록체인망일 수 있고 참여 노드에 대한 특별한 제한이 없을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법정화폐 기관 서버(170)는, 법정화폐를 관리하는 기관, 예컨대 시중의 온오프라인 은행이나 증권사 등 사용자의 법정화폐 계좌를 관리하는 기관의 일 서버 장치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피투자자 단말(130) 및 각 투자자 단말(150)은 각각에 연관된 법정화폐 계좌를 가질 수 있으며, 법정화폐 기관 서버(170)의 개입 하에, 이들의 법정화폐 계좌가 토큰 플랫폼(110) 상에서 발생하는 각종 거래 등에 따라, 관련된 전자화폐 계좌와 연동될 수 있다. 예컨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각 투자자 단말(15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법정화폐 기관 서버(170)는, 소정 액수의 법정화폐가, 해당 투자자 단말(150)과 연관된 소정 커스터디 기관 관리 하의 전자화폐 계좌의 전자화폐로 충전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하나의 법정화폐 기관 서버(170)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더 많은 수의 법정화폐 기관 서버가 플랫폼(100)에 포함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커스터디 기관 서버(164)는, 영농투자거래 플랫폼(100) 상에서 동작하는 각 엔티티, 예컨대 각 피투자자 단말(130), 각 투자자 단말(150), 및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와 연관된 전자화폐 계좌를 보관 및 관리하는 커스터디 기관의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커스터디는 주식이나 가상자산 등을 거래함에 있어서 이러한 자산들을 보관 및 관리하는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커스터디 기관 서버(164)는, 전술한 바와 같이, 법정화폐 기관 서버(170)와의 통신을 통해, 법정화폐 계좌로부터의 소정 금액의 법정화폐가, 그에 연계된 전자화폐 계좌의 소정 전자화폐로 충전되도록 환전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블록체인망(160) 상의 컴퓨팅 노드들(162)에 저장된 블록체인 분산 원장 상에 분산 수록된 예시적 스마트 계약 코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블록체인망(160)의 블록체인 분산 원장에는, 예컨대 발행(issuance) 계약 코드(210), 볼트(vault) 계약 코드(220), 분배(distributor) 계약 코드(230),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 청산(liquidator) 계약 코드(240)가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발행 계약 코드(210)는,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을 발행하고자 하는 토큰 발행 요청 및 관련 정보들, 예컨대 해당 토큰 이름, 총 토큰 발행량, 운영수익(자산 운용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이익), 예상 연이율, 수익 배당주기, 총 배당기간, 및 판매마감일 등(단지 예이며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님)의 정보를 입력으로 수신하여 실행될 경우, 그러한 입력 정보에 기초한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을 블록체인망(160) 상에 발행(거래에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발행 계약 코드(210)는 또한, 블록체인망(160) 상에 발행된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에 대한 구매 요청 및 관련 정보들, 예컨대 구매 대상이 되는 토큰 종류, 수량, 구매자(또는 투자자 단말(150))에 연관된 토큰 지갑 정보, 및 구매자(또는 투자자 단말(150))에 연관된 전자화폐 지갑 정보 등을 수신하여 실행될 경우, 그러한 입력 정보에 기초한 토큰의 구매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구매 대상이 되는 종류 및 수량의 토큰이 구매자(예컨대, 투자자 단말(150))에 연관된 토큰 지갑으로 이전되고, 그에 상응하게, 그 구매 토큰의 개당 가격 및 구매 수량에 따라 정해진 구매 대금이 구매자에 연관된 전자화폐 계좌로부터 해당 토큰의 발행자(또는 발행자 단말(130))에 연관된 전자화폐 계좌로 자동으로 이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분배(distributor) 계약 코드(230)는,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이 수익형 토큰일 때 각 투자자에 대해 수익금을 배당하기 위하여 호출될 수 있는 스마트 계약 코드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익금을 배당하려는 토큰 이름과 총 수익금(금회 배당 대상이 되는 총 수익금) 등을 입력으로 수신하여 분배 계약 코드(230)가 실행되면, 해당 토큰의 발행자 단말(130)과 연관된 전자화폐 계좌로부터, 해당 토큰을 보유한 각 투자자의 전자화폐 계좌로, 상응하는 수익금이 이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예컨대 분배 계약 코드(230)의 실행에 의해,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 A에 관한 배당이 이루어질 경우, 주어진 총 수익금과, 판매된 A 토큰 전체 수량에 기초하여, 개별 토큰에 대한 배당 수익금이 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분배 계약 코드(230)의 실행은, A 토큰을 하나 이상 보유하고 있는 각 투자자 단말(140)과 관련하여, 그 투자자 단말(140)과 연관된 전자화폐 계좌로, 상응하는(즉, 산정된 개별 토큰에 대한 배당 수익금과 보유 중인 A 토큰 수에 따라 정해지는) 수익금의 전자화폐의 이전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 청산 코드(240)는,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자가 해당 토큰을 청산하고자 할 경우 호출 및 실행될 수 있는 스마트 계약 코드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 청산 코드(240)가, 청산 대상 토큰에 관한 정보를 입력으로 수신하여 실행되면, 해당 토큰의 전체 판매 수량 및 개당 판매 가격 등에 기초하여 전체 청산금이 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 청산 코드(240)의 실행은, 해당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자에 연관된 전자화폐 계좌로부터, 해당 토큰이 보유된 각 토큰 지갑과 연관된 각 전자화폐 계좌(예컨대, 해당 토큰을 자신의 토큰 지갑에 보유한 각 투자자에 연관된 전자화폐 계좌와, 해당 토큰이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기초 자산으로서 바인딩되어 보관 중인 경우 그 토큰 발행자에 연관된 전자화폐 계좌)로, 각 토큰 지갑에 보유되고 있는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개수에 따른 청산금이 이전되도록 하고, 그와 동시에 각 토큰 지갑의 각 토큰이 소각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영농투자거래 플랫폼(100)에서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를 통하여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이 발행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절차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단계(302)에서,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가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위 토큰 발행 요청에는, 토큰 이름, 총 토큰 발행량, 운영수익, 예상 연이율, 수익 배당주기, 총 배당기간, 및 판매마감일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 발행 요청(및 관련 정보)이 소정의 방법에 의해 플랫폼 운영자에게 전달될 수 있고, 그러한 정보를 수신한 플랫폼 운영자의 개입에 의해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로 그러한 발행 요청(및 관련 정보)이 입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토큰 발행 요청(및 관련 정보)은, 토큰 발행을 원하는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피투자자 단말(130)로부터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로 통신망(120)을 통해 직접 전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단계(304)에서,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는, 블록체인망(160) 상의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 발행을 위한 스마트 계약 코드(예컨대, 전술한 발행 계약 코드)를 호출 및 실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플랫폼 운영자는, 토큰 발행을 위한 정보를 입력한 후, 블록체인망(160) 상의 발행 계약 코드를 호출 및 실행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단계(306)에서, 발행 계약 코드의 실행에 따라, 블록체인망(160) 상에 새로운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이 발행되고 블록체인 분산 원장 상에 기록될 수 있다. 이제 새로 발행된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은 거래에 제공된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4에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의 디스플레이 상에, 플랫폼 운영자를 위하여 제시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 중에서, 영농투자거래 플랫폼(100) 상에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에 대한 발행을 진행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의 디스플레이 상에 플랫폼 운영자를 위하여 제시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는, 투자와 관련된 정보, 예컨대 판매기간, 계약기간, 판매수량, 상품가격, 수익률, 지급형태, 지급날짜, 지급방식, 양도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화면 상에서는, 투자와 관련된 계약조건을 이미지로 형상화한 투자계약서를 생성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는 투자계약서 미리보기 기능 또는 투자계약서 다운로드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투자자 단말(150)에 의해, 영농투자거래 플랫폼(100) 상에 발행된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이 구매되는 예시적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절차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단계(502)에서, 투자자 단말(150)은 영농투자거래 플랫폼(100) 상에 발행되어 현재 거래에 제공되고 있는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에 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투자자 단말(150)은, 단계(504)에서, 전술한 단계(502)에서의 요청에 대한 응답, 즉 현재 거래에 제공되고 있는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그 수신된 정보를 투자자 단말(150) 상의 디스플레이에 제시할 수 있다.
단계(506)에서, 투자자 단말(150) 상에서 하나의 토큰이 선택되고 그에 대한 구매 요청이 입력될 수 있고, 그런 다음 단계(508)에서는 요청된 구매의 진행을 위한 스마트 계약 코드(예컨대, 발행 계약 코드)가 호출 및 실행될 수 있다. 단계(410)에서는 위 스마트 계약 코드의 실행에 따라 해당 투자자 단말(150)(및 연관 투자자)에 의한 토큰 구매 거래가 성립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영농투자거래 플랫폼(100) 상에 발행된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에 관한 수익금 배당이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절차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단계(602)에서,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가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에 대한 수익금 배당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 관련 배당 요청이 소정의 방법에 의해 플랫폼 운영자에게 전달될 수 있고, 그러한 정보를 수신한 플랫폼 운영자의 개입에 의해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로 그러한 배당 요청이 입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배당 요청은, 수익금 배당을 원하는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피투자자 단말(130)로부터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로 통신망(120)을 통해 직접 전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익금 배당 요청은,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 발행자 또는 그의 단말(130)로부터 유래할 필요 없이, 해당 토큰 발행시 정해진 배당 주기마다, 자동으로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 상에서 생성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단계(604)에서,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는, 블록체인망(160) 상의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과 관련한 수익금 배당을 위한 스마트 계약 코드(예컨대, 분배 계약 코드)를 호출 및 실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플랫폼 운영자는, 예컨대 수익금 배당을 위한 정보를 입력한 후, 수행을 지시함으로써, 블록체인망(160) 상의 분배 계약 코드를 호출 및 실행할 수 있다.
단계(606)에서, 분배 계약 코드의 실행에 따라, 전체 수익금 중에서 해당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각 토큰별로 주어질 수익금이 자동으로 계산되고, 해당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피투자자 단말(130)과 연관된 전자화폐 계좌로부터, 하나 이상의 해당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을 보유한 각 토큰 지갑으로 상응하는 수익금(배당금)이 자동으로 이전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배당의 대상이 되는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을 하나 이상 자신의 토큰 지갑에 보유한 각 투자자에 대해, 각각의 연관 전자화폐 계좌로, 보유한 토큰 수에 비례한 수익금이 이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분배 계약 코드의 실행에 따라, 전체 수익금 중에서 해당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각 토큰별로 주어질 수익금이 자동으로 계산되고, 해당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피투자자 단말(130)과 연관된 법정화폐 계좌로부터, 하나 이상의 해당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과 연관된 계좌로 상응하는 수익금(배당금)이 자동으로 이전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영농투자거래 플랫폼(100) 상에 발행된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에 관한 청산 절차가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절차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단계(702)에서,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가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에 대한 청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 관련 청산 요청이 소정의 방법에 의해 플랫폼 운영자에게 전달될 수 있고, 그러한 정보를 수신한 플랫폼 운영자의 개입에 의해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로 그러한 청산 요청이 입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청산 요청은, 청산을 원하는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피투자자 단말(130)로부터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로 통신망(120)을 통해 직접 전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청산 요청은,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 발행자 또는 그의 단말(130)로부터 유래할 필요 없이, 해당 토큰 발행시 정해진 운영 만료 시기에, 자동으로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 상에서 생성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단계(704)에서,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는, 블록체인망(160) 상의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청산을 위한 스마트 계약 코드(예컨대,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 청산 계약 코드)를 호출 및 실행할 수 있다.
단계(706)에서, 청산 계약 코드의 실행에 따라, 전체 청산금 중에서 해당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각 보유자에게 지급될 청산금이 계산되고, 해당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피투자자 단말(130)과 연관된 전자화폐 계좌로부터, 각각의 토큰 보유자에 대한 전자화폐 지갑으로 상응하는 청산금이 자동으로 이전될 수 있다. 아울러, 그와 함께 단계(708)에서 각 토큰 보유자의 토큰 지갑으로부터 해당 토큰이 소각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는 투자자가 직접 통가를 방문하지 않아도 신뢰할 수 있는 농업 생산자에게 직접투자가 발생할 수 있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는 실제 농산물 재배 현황을 가상공간에서 확인하고 농산물 거래용 대체 불가능 토큰을 통해 메타버스 안에서 농업에 관한 투자 및 거래가 발생하는 플랫폼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가상농장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화면은 메타버스 게임 내의 가상농장 외부 디자인 및 공간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는 캐릭터를 제공하며, 캐릭터는 메타버스 게임 내의 공간을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는 작물 재배 현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는 실제 농장의 현장 영상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는 가상 농장의 내부 및 공간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는 가상농장의 내부 및 공간 구현과 함께, 농장 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농장의 운영주체, 예컨대 농업법인 등의 매출 및 재무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는 해당 농장법인이 판매하는 대체 불가 토큰 상품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 캐릭터 생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는 농장 메타버스 내에 필요한 아바타 캐릭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아바타 캐릭터는 농부, 트레이더, 또는 애널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는 캐릭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는 캐릭터가 보유한 아이템, 능력치 정보, 보유한 게임 머니 현황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는 게이밍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는 아바타 캐릭터에게 적어도 하나의 게임 퀘스트를 제공하고, 해당 아바타 캐릭터가 게임 퀘스트를 완료한 경우,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장 메타버스 내의 NFT 거래소에서 NFT 상품을 거래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는 NFT 거래소에서 NFT 상품 목록 나열 기능, NFT 상품 분류별 검색 기능, NFT 상품 방식별 검색 기능, NFT 상품 등록 및 거래소 통합 메뉴, NFT 상품 이미지 디자인 생성, NFT 상품 상세보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랫폼 운영자 장치(110)는 NFT 상품 등록 기능, 상품명 등 상품 상세정보 설정 기능, NFT 등록 정보의 상세정보로의 데이터 이관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을 지원하는 플랫폼은 블록체인 및 NFT 거래 시스템 기술 적용된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블로서리의 시스템 또는 기타 농산물 온라인 쇼핑몰 거래 시스템과 비교해 다양한 실물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유저들의 높은 신뢰를 제공하며, 플랫폼 내 상품 거래를 위한 NFT 발행을 통해 실물경제와 연결된 가상자산 보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알 수 있듯이, 본 개시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개시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재구성 및 대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기술들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Claims (15)

  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을 지원하는 플랫폼 운영자 장치로서,
    메모리,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유닛, 및
    통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유닛 및 통신망을 통해서, 하나 이상의 피투자자 단말, 하나 이상의 투자자 단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피투자자 단말 각각, 상기 하나 이상의 투자자 단말 각각, 또는 상기 플랫폼 운영자 장치와 연관된 각 전자화폐 지갑을 관리하는 하나 이상의 커스터디 기관 서버와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피투자자 단말로부터의 제1 자산에 기초한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블록체인망 상에서 상기 발행 계약 코드가 실행되도록 하여 복수 개의 상기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이 발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는,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 지원 플랫폼 운영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 요청은, 상기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을 담보하는 상기 제1 자산의 정보, 토큰 이름, 총 토큰 발행량, 토큰 개당 가격, 운영수익, 예상 연이율, 수익 배당주기, 총 배당기간, 및 판매마감일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 지원 플랫폼 운영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서 투자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에 대한 구매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블록체인망 상에서 상기 발행 계약 코드가 실행되도록 하여 상기 구매 요청에 기초한 수량의 상기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이 상기 투자자 단말에 연관된 토큰 지갑으로 이전되고 그에 대응하는 판매 대금 및 수수료가 상기 투자자 단말에 연관된 전자화폐 지갑으로부터 상기 제1 피투자자 단말의 전자화폐 지갑 및 상기 플랫폼 운영자 장치의 상기 전자화폐 지갑으로 각각 이전되도록 지원할 수 있는,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 지원 플랫폼 운영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은 농산물 수익 토큰인,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 지원 플랫폼 운영자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마트 계약 코드는, 분배(distributor) 계약 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에 관한 배당 요청- 상기 배당 요청은, 상기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총 수익금 정보를 포함함 -을 수신한 경우, 상기 블록체인망 상에서 상기 분배 계약 코드가 실행되도록 하여 상기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과 연관된 각 투자자 단말에 대한 배당이 실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는,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 지원 플랫폼 운영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투자자 단말에 대한 상기 배당의 실행은,
    상기 블록체인망 상에서, 연관된 토큰 지갑에 상기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을 하나 이상 보유하고 있는 각 투자자 단말에 대하여, 상기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상기 총 토큰 발행량에 대한 상기 투자자 단말의 상기 토큰 지갑에 보유된 상기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개수의 비율에 기초하여 배당금이 각각 결정되고, 상기 결정된 배당금이 상기 제1 피투자자 단말의 상기 전자화폐 지갑으로부터 상기 투자자 단말의 상기 전자화폐 지갑으로 이전되는 것을 포함하는,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 지원 플랫폼 운영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투자자 단말에 대한 상기 배당의 실행은,
    상기 블록체인망 상에서, 연관된 토큰 지갑에 상기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을 하나 이상 보유하고 있는 각 투자자 단말과 관련하여, 상기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상기 총 토큰 발행량에 대한 상기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상기 기초 자산에 바인딩된 상기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상기 제1 개수의 비율과, 상기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상기 총 토큰 발행량에 대한 상기 각 투자자 단말의 상기 토큰 지갑에 보유된 상기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개수에 비율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배당금이 각각 결정되고, 상기 결정된 배당금이 상기 제1 피투자자 단말의 상기 전자화폐 지갑으로부터 상기 투자자 단말의 상기 전자화폐 지갑으로 이전되는 것을 포함하는,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 지원 플랫폼 운영자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마트 계약 코드는,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 청산(liquidator) 계약 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 운영자 장치는, 상기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에 대한 청산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블록체인망 상에서 상기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 청산 계약 코드가 실행되도록 하여 상기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에 대한 청산이 실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는,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 지원 플랫폼 운영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에 대한 상기 청산의 실행은,
    상기 청산을 위한 전체 청산금이 산정되고, 상기 전체 청산금이 관련된 각 투자자와 관련하여 분배되며, 상기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이 모두 소각되는 것을 포함하는,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 지원 플랫폼 운영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유닛 및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피투자자 단말 각각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투자자 단말 각각과 연관된 각 법정화폐 계좌를 관리하는 하나 이상의 법정화폐 관리 금융 기관 서버와 통신하도록 더 구성된, 복수-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 지원 플랫폼 운영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농장을 가상화하여 가상의 지도에 표시하고 표시된 가상화된 농장안에서는 실제 농장 영상과 이미지를 제공하도록 더 구성된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 지원 플랫폼 운영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투자자 단말 또는 상기 피투자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를 연관된 아바타로 생성하도록 더 구성된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 지원 플랫폼 운영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생성된 아바타 각각에 대해서, 적어도 하나의 게임 퀘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아바타가 해당 게임 퀘스트를 완료한 경우, 리워드를 제공하도록 더 구성된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 지원 플랫폼 운영자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상 지도 상에서, 상기 통신망을 통해서 투자자 단말과 연관된 아바타로부터 상기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에 대한 요청을 수신한 경우, 해당 요청에 따라 지원을 수행하도록 더 구성되는,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 지원 플랫폼 운영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이 구매 요청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블록체인망 상에서 상기 발행 계약 코드가 실행되도록 하여 상기 구매 요청에 기초한 수량의 상기 제1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이 상기 투자자 단말에 연관된 토큰 지갑으로 이전되고 그에 대응하는 판매 대금 및 수수료가 상기 투자자 단말에 연관된 전자화폐 지갑으로부터 상기 제1 피투자자 단말의 전자화폐 지갑 및 상기 플랫폼 운영자 장치의 상기 전자화폐 지갑으로 각각 이전되도록 지원할 수 있는,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 지원 플랫폼 운영자 장치.
PCT/KR2022/019633 2022-11-23 2022-12-05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을 지원하는 플랫폼, 그 운영 장치 및 방법 WO202411173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7930 2022-11-23
KR1020220157930A KR20240078433A (ko) 2022-11-23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을 지원하는 플랫폼, 그 운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11732A1 true WO2024111732A1 (ko) 2024-05-30

Family

ID=91196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9633 WO2024111732A1 (ko) 2022-11-23 2022-12-05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을 지원하는 플랫폼, 그 운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4111732A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365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ling virtual items on multiple online sales platforms simultaneously, the virtual items being useable within an online game
WO2022103106A1 (ko) 복수-자산 담보부 증권형 토큰의 발행을 지원하는 플랫폼 운영자 장치
KR102093291B1 (ko)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
WO2019027264A1 (ko) 컨텐츠에 대한 가상 화폐 발행 및 유통 시스템
KR102343615B1 (ko) 예술 작품 거래와 정보 관리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605893B1 (ko) 복수 자산 담보부 증권형 토큰을 거래하는 투자자 단말
KR102343432B1 (ko) 모바일 기반 블록체인 분산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노드들에 대하여 온 오프 상에서 가상 화폐의 지불결제 시스템 및 방법
US20190325486A1 (en) System of publicly raising funds for activities
US2023025990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uying virtual items from multiple online sales platforms, the virtual items being useable within an online game
JP2023039374A (ja) 取引システム、取引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1096100A1 (ko)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미디어 콘텐츠 판매 시스템 및 판매 방법
US202000744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stable cryptocurrency
KR102305072B1 (ko) 복수-자산 담보부 증권형 토큰의 운용 지원 방법
KR101915886B1 (ko) 네트워크 기반의 게임 플랫폼 시스템
WO2024111732A1 (ko)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을 지원하는 플랫폼, 그 운영 장치 및 방법
WO2022131763A1 (ko) 공유부동산 기반의 투자 관리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2305070B1 (ko) 복수-자산 담보부 증권형 토큰의 발행 방법
WO2018169122A1 (ko) 가상 화폐의 통합 관리 시스템, 국내 관리 시스템 및 그의 통합 관리 방법
KR20080084874A (ko) 아이템 구매 대행 장치와 그 방법, 게임 서비스 시스템,아이템 구매 대행을 위한 pc방 관리 장치
WO2020101412A1 (ko)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에서 사용자들의 활동 보상과 광고 거래를 실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6633128B2 (ja) 動産取引管理装置および動産取引管理システム
KR20240078433A (ko) 농업법인 또는 농업 생산물에 대한 수익 창출 계약과 연관된 대체 불가능 토큰의 발행을 지원하는 플랫폼, 그 운영 장치 및 방법
JP2008250800A (ja) 取引仲介システム、取引仲介方法、取引仲介装置、取引仲介プログラム
Sawarnkatat et al. NAGA: multi-blockchain based decentralized platform architecture for cryptocurrency payment
WO2021256876A1 (ko) 온라인 계정에 대한 활동가치 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주식 거래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