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362B1 - Nft 기반의 상품의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Nft 기반의 상품의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5362B1
KR102495362B1 KR1020220034062A KR20220034062A KR102495362B1 KR 102495362 B1 KR102495362 B1 KR 102495362B1 KR 1020220034062 A KR1020220034062 A KR 1020220034062A KR 20220034062 A KR20220034062 A KR 20220034062A KR 102495362 B1 KR102495362 B1 KR 102495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ft
transaction
product
information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4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진흥
Original Assignee
소프트런치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프트런치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프트런치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4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362B1/ko
Priority to KR1020220187192A priority patent/KR20230136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e-cash details, e.g. blinded, divisible or detecting double spen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9Buyer or seller confidence or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2Brokering proxy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04L9/321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using tickets or tokens, e.g. Kerber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NFT 기반의 상품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판매자 단말로부터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고, 디지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품에 대한 소유권을 인증하는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을 획득하고, 상기 상품에 대한 정보와 상기 NFT 정보를 맵핑(mapping)하는 맵핑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NFT의 거래와 관련된 거래 조건 정보를 생성하고, 구매자 단말이 NFT의 결제를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NFT의 결제 완료 여부에 기초하여 상품의 거래를 중개할 수 있다.

Description

NFT 기반의 상품의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product for performing trading of goods based on NFT(Non-Fungible Token)}
본 개시는 NFT 기반의 상품의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최근 NFT(Non-Fungible Token) 거래 시장이 급 성장하면서 시장의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기존의 암호화폐는 개별 토큰을 구분하지 않는 대체 가능 토큰(Fungible Token) 인데 각 토큰이 동일한 속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서로 거래나 교환을 할 수 있다.
반면에 NFT는 유일하고 대체할 수 없는 대체 불가능 토큰으로 고유한 가치를 가진 유무형 자산을 디지털 세계에 구현하고 상품화할 수 있다. 데이터의 위변조가 어려운 블록체인에 거래이력, 소유자 등 자산의 세부 정보가 안전하게 저장되기 때문에 디지털 자산 진위와 희소성을 보장할 수 있고 자산에 대한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NFT 기반의 상품의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들이 유추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제1 측면은, 상품의 구매를 예약하는 방법에 있어서, NFT 기반의 상품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판매자 단말로부터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소유권을 인증하는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상품에 대한 정보와 상기 NFT 정보를 맵핑(mapping)하는 맵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NFT의 거래와 관련된 거래 조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구매자 단말이 상기 NFT의 결제를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NFT의 결제 완료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의 거래를 중개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맵핑 정보는, 상기 판매자 단말이 상기 상품에 대한 소유권을 가지고 있음을 인증하는 인증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맵핑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웹 페이지, 앱 페이지 또는 데이터 컨테이너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 페이지, 앱 페이지 또는 데이터 컨테이너를 식별하는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소는 네트워크 상에서 접근 가능한 고유 주소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래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웹 페이지, 앱 페이지 또는 데이터 컨테이너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 페이지, 앱 페이지 또는 데이터 컨테이너를 식별하는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소는 네트워크 상에서 접근 가능한 고유 주소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NFT를 구매할 수 있는 웹 링크 또는 앱 링크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웹 링크를 통해 상기 구매자 단말이 NFT 거래 서버에 승인한 거래 정보를 상기 NFT 거래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거래 정보의 획득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구매자 단말이 상기 NFT의 결제를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거래정보는 상기 NFT의 가치에 대응되는 금액 또는 자산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개하는 단계는, 상기 결제 완료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판매자 단말에게 구매자와 관련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상품의 전달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의 전달이 완료된 경우, 상기 판매자의 계좌 또는 가상 화폐 지갑에 상기 NFT의 가치에 대응되는 금액 또는 자산을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2 측면은, NFT 기반의 상품 거래를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상품 거래를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판매자 단말로부터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디지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소유권을 인증하는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을 생성하고, 구매자 단말이 상기 NFT의 결제를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NFT의 결제 완료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의 거래를 중개할 수 있다.
전술한 본 개시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NFT는 블록체인에 자산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에 위변조가 불가능하고 최초 발행자부터 현재 소유자까 지의 모든 거래 내역을 추적할 수 있으므로, NFT 결제에 기반하여 상품을 거래하는 경우 거래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NFT 결제에 기반한 상품의 거래 방법은 제3자 전문 기관의 검증을 거치지 않고 상품의 가치와 진위를 보장할 수 있기 때문에 유통과 검증 절차를 간소화 및 효율화하고 부정 유통과 사기를 막을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의 상품의 거래를 수행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의 상품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NFT 및 NFT를 구매할 수 있는 웹 링크를 생성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대체 불가능 토큰의 결제 완료 여부에 기초한 상품의 거래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대체 불가능 토큰의 결제 완료 여부에 기초한 상품의 거래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실시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실시예들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일부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실시예들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들은 단지 실시예들의 설명을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실시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실시예들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실시예들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도면 내에서 개별적으로 설명되는 기술적 특징은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동시에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unit)”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의 상품의 거래를 수행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의 상품의 거래를 수행하는 시스템(1000)은 판매자 단말(100), 구매자 단말(110), 구매 중개 서버(120) 및 NFT 거래 서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NFT 기반의 상품의 거래를 수행하는 시스템(1000)에는 일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NFT 기반의 상품의 거래를 수행하는 시스템(1000)에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NFT 기반의 상품의 거래를 수행하는 시스템(1000)은 판매자 단말(100)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의 결제에 기반하여, 최종적으로 구매자 단말(130)에게 판매자 단말(100)이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인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판매자 단말(100)은 판매자 단말(100)에 소유권이 있는 특정 상품을 구매자 단말(130)에 판매하고자 하는 단말에 해당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100)은 판매하고자 하는 특정 상품에 대한 NFT의 생성을 위해, 판매하고자 하는 특정 상품을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데이터는 판매하고자 하는 특정 상품을 카메라로 찍은 사진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판매하고자 하는 특정 상품을 나타내는 그림, 사진, 영상 등 다양한 형태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매자 단말(110)은 판매자 단말(100)이 판매하고자 하는 특정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단말에 해당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110)은 판매자 단말(100)이 판매하고자 하는 특정 상품에 대한 NFT의 결제를 통해, 판매자 단말(100)로부터 특정 상품을 실제로 인도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매 중개 서버(120)는 판매자 단말(100)이 판매하고자 하는 특정 상품을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을 수신하고,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NFT를 획득할 수 있다. 즉, 구매 중개 서버(120)는 디지털 데이터로부 존재하는 자산을 NFT로 변환하는 민팅(minting)을 수행할 수 있다. 민팅은 디지털 데이터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하는 것으로, 디지털 데이터의 자산 가격을 결정한 후에 디지털 데이터를 NFT와 연결하여 시장에 상품을 등록하는 과정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구매 중개 서버(120)가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NFT를 획득하는 방법은 상술한 바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NFT 거래 서버(130) 또는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NFT 생성 서버로부터 생성된 NFT를 수신하여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구매 중개 서버(120)는 구매자 단말(110)이 NFT의 결제를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결제 완료 여부에 기초하여 판매자 단말(100)이 판매하고자 하는 특정 상품의 실제 거래를 중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NFT 거래 서버(130)는 구매 중개 서버(120)로부터 생성된 특정 상품의 NFT의 결제 및 거래를 중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T 거래 서버(130)는 구매 중개 서버(120)로부터 NFT의 거래 대금을 전달받고, NFT를 구매자 단말(110)에 전달할 수 있다. NFT의 거래 대금은 상술한 구매 중개 서버(120)의 민팅 과정에서 결정된 디지털 데이터의 자산 가격에 해당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100), 구매자 단말(110), 구매 중개 서버(120) 및 NFT 거래 서버(130)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로 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및 이들의 상호 조합을 포함하며, 도 1에 도시된 각 네트워크 구성 주체가 서로 원활하게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포괄적인 의미의 데이터 통신망이며,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및 모바일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무선 랜(Wi-Fi),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판매자 단말(100) 및 구매자 단말(11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가전기기, 카메라가 탑재된 디바이스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구매 중개 서버(120) 및 NFT 거래 서버(130) 각각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의 상품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단계 210에서 구매 중개 서버(120)는 판매자 단말(100)로부터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데이터는 판매자 단말(100)이 판매하고자 하는 특정 상품을 카메라로 찍은 사진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구매 중개 서버(120)는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를 특정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으며, 특정 서버는 판매자 단말(100)로부터 특정 상품의 판매를 요청받은 서버에 해당할 수 있다.
단계 220에서 구매 중개 서버(120)는 디지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품에 대한 소유권을 인증하는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을 획득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NFT 및 NFT를 구매할 수 있는 웹 링크를 생성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매 중개 서버(120)는 판매자 단말(100)로부터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고, 디지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품에 대한 소유권을 인증하는 NFT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구매 중개 서버(120)는 NFT를 구매할 수 있는 웹 링크 또는 앱 링크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구매 중개 서버(120)는 판매자 단말(100)로부터 판매자 단말(100)이 판매하고자 하는 특정 상품을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디지털 데이터는 판매자 단말(100)이 판매하고자 하는 특정 상품을 카메라로 찍은 사진(300)에 해당할 수 있다. 구매 중개 서버(120)는 판매자 단말(100)이 판매하고자 하는 특정 상품을 카메라로 찍은 사진(300)을 민팅(minting)하여 NFT(310)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구매 중개 서버(120)는 생성한 NFT를 구매자 단말(110)이 구매할 수 있는 웹 링크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단계 230에서, 구매 중개 서버(120)는 상품에 관한 정보와 NFT 정보를 맵핑(mapping)할 수 있는 맵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맵핑 정보는 판매자 단말(100)이 상품의 소유권을 가지고 있음을 인증하는 인증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맵핑 정보는 NFT의 소유자가 상기 상품의 소유자임을 인증하는 인증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품에 관한 정보는 상품의 소유권을 가지는 사람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NFT를 통해 거래하고자 하는 실제 상품과 NFT를 연결하는 맵핑 정보를 생성하여, NFT의 거래에 따른 상품의 소유권의 변동을 명확히 하기 위함이다.
맵핑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상품에 관한 정보 및 NFT 정보는, 판매자 단말(100), NFT 거래 서버(130) 또는 상술한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NFT 생성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구매 중개 서버(120)는 맵핑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웹 페이지, 앱 페이지 또는 데이터 컨테이너를 생성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웹 페이지, 앱 페이지 또는 데이터 컨테이너를 식별하는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컨테이너는 데이터의 묶음에 해당할 수 있고, 블록 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암호화된 토큰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웹 페이지, 앱 페이지 또는 데이터 컨테이너를 식별하는 주소는 네트워크 상에서 접근 가능한 고유 주소에 해당할 수 있다.
단계 240에서, 구매 중개 서버(120)는 NFT의 거래와 관련된 거래 조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래 조건 정보는 판매자 단말(100)이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수량, 상품의 가격 및 상품의 배송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품의 가격은 NFT의 가치에 대응되는 금액 또는 자산에 해당하는 거래 대금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구매 중개 서버(120)는 거래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웹 페이지, 앱 페이지 또는 데이터 컨테이너를 생성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웹 페이지, 앱 페이지 또는 데이터 컨테이너를 식별하는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컨테이너는 데이터의 묶음에 해당할 수 있고, 블록 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암호화된 토큰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웹 페이지, 앱 페이지 또는 데이터 컨테이너를 식별하는 주소는 네트워크 상에서 접근 가능한 고유 주소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래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웹 페이지, 앱 페이지 또는 데이터 컨테이너는 NFT를 구매할 수 있는 웹 링크 또는 앱 링크와 연결될 수 있도록, NFT를 구매할 수 있는 웹 링크 또는 앱 링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250에서 구매 중개 서버(120)는 구매자 단말이 대체 불가능 토큰의 결제를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구매 중개 서버(120)는 특 구매자 단말로부터 특정 상품의 구매를 요청받은 서버가 대체 불가능 토큰의 결제를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단계 260에서, 구매 중개 서버(120)는 대체 불가능 토큰의 결제 완료 여부에 기초하여 상품의 거래를 중개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대체 불가능 토큰의 결제 완료 여부에 기초한 상품의 거래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구매 중개 서버(120)는 웹 링크를 통해 구매자 단말(110)이 NFT 거래 서버(120)에 승인한 거래 정보를 NFT 거래 서버(12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구매 중개 서버(120)는 거래 정보의 획득 여부에 기초하여 구매자 단말(110)이 NFT의 결제를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거래 정보는 NFT의 가치에 대응되는 금액 또는 자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구매 중개 서버(120)는 결제 완료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판매자 단말에게 구매자와 관련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구매 중개 서버(120)는 구매자 단말(110)로부터 상품의 전달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품의 전달이완료된 경우, 판매자의 계좌 또는 가상 화폐 지갑에 상기 NFT의 가치에 대응되는 금액 또는 자산을 전달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구매자 단말(110)은 NFT를 구매할 수 있는 웹 링크를 통해 NFT 거래 서버(130)를 통해 NFT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110)은 NFT 거래 서버(130)에 NFT의 가치에 대응되는 금액 또는 자산에 해당하는 거래 대금을 지불할 수 있다. 즉, 거래 대금은 판매자 단말(100)이 판매하고자 하는 특정 상품을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의 금액 또는 자산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래 대금은 블록 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암호화된 토큰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NFT 거래 서버(130)는 구매자 단말(110)로부터 NFT의 가치에 대응되는 금액 또는 자산을 포함하는 거래 정보를 승인 받음과 동시에 NFT를 구매자 단말(11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NFT 거래 서버(130)는 구매자 단말(110)로부터 지불받은 NFT의 가치에 대응되는 금액 또는 자산을 구매 중개 서버(120)에 전달할 수 있다.
구매 중개 서버(120)는 NFT 거래 서버(130)로부터 NFT의 가치에 대응되는 금액 또는 자산을 획득한 경우, 구매자 단말(110)이 NFT의 결제를 완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매 중개 서버(120)는 판매자 단말(100)에 구매자와 관련된정보를 전달하여 판매자 단말(100) 및 구매자 단말(110) 간에 상품이 실제로 거래될 수 있도록 중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와 관련된 정보는 구매자의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100)은 구매 중개 서버(120)로부터 구매자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경우, 구매자 단말(110)에 상품을 전달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110)은 구매 중개 서버(120)에 상품의 전달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알림을 송신할 수 있다.
구매 중개 서버(120)는 상품의 전달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알림을 수신한 경우, 판매자의 계좌 또는 가상 화폐 지갑에 NFT의 가치에 대응되는 금액 또는 자산을 전달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판매자 단말(100)은 NFT의 가치에 대응되는 금액 또는 자산을 획득하고, 구매자 단말(110)은 판매자 단말(100)이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 및 상품의 NFT를 획득함으로써 판매자 단말(100) 및 구매자 단말(110) 간의 상품 거래가 성사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대체 불가능 토큰의 결제 완료 여부에 기초한 상품의 거래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구매 중개 서버(120)는 구매자 단말로부터 상품의 전달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매 중개 서버(120)는 구매자 단말로부터 상품의 전달이 완료되었다는 알림을 전달받은 경우, 상품의 전달이 완료되었다는 알림을 NFT 거래 서버(130)에 전달할 수 있다. 구매자 중개 서버(120)는 구매자 단말로부터 상품의 전달이 완료되었다는 알림을 전달받은 경우, 판매자 단말(100)에 NFT 거래 대금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NFT 거래 서버(130)는 이와 동시에 구매자 단말(110)에게 NFT를 전달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구매자 단말(110)은 NFT를 구매할 수 있는 웹 링크를 통해 NFT 거래 서버(130)를 통해 NFT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110)은 NFT 거래 서버(130)에 NFT의 가치에 대응되는 금액에 해당하는 거래 대금을 지불할 수 있다. 즉, 거래 대금은 판매자 단말(100)이 판매하고자 하는 특정 상품을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의 자산 가격에 해당할 수 있다.
NFT 거래 서버(130)는 구매자 단말(110)로부터 지불 받은 NFT 거래 대금을 구매 중개 서버(120)에 전달할 수 있다.
구매 중개 서버(120)는 NFT 거래 서버(130)로부터 NFT 거래 대금을 획득한 경우, 구매자 단말(110)이 NFT의 결제를 완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매 중개 서버(120)는 판매자 단말(100)에 구매자 단말(110)의 주소 정보를 전달하여 판매자 단말(100) 및 구매자 단말(110) 간에 상품이 실제로 거래될 수 있도록 중개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100)은 구매 중개 서버(120)로부터 구매자 단말(110)의 주소 정보를 수신한 경우, 구매자 단말(110)에 상품을 전달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110)은 구매 중개 서버(120)에게 상품의 전달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알림을 송신할 수 있다.
구매 중개 서버(120)는 상품의 전달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알림을 수신한 경우, 상품의 전달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알림을 NFT 거래 서버(130)에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구매 중개 서버(120)는 상품의 전달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알림을 수신한 경우 판매자 단말(100)에 NFT 거래 대금을 전달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NFT 거래 서버(130)는 상품의 전달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알림을 수신한 경우 구매자 단말(110)에게 NFT를 전달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판매자 단말(100)은 NFT 거래 대금을 획득하고, 구매자 단말(110)은 판매자 단말(100)이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 및 상품의 NFT를 획득함으로써 판매자 단말(100) 및 구매자 단말(110) 간의 상품 거래가 성사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 중개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구매 중개 서버(600)는 통신부(610), 프로세서(620) 및 DB(6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구매 중개 서버(600)에는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통신부(610)는 구매 중개 서버(600)와 유선/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610)는, 근거리 통신부(미도시), 이동 통신부(미도시) 및 방송 수신부(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DB(630)는 구매 중개 서버(600) 내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하드웨어로서, 프로세서(62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DB(630)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CD-ROM, 블루레이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20)는 구매 중개 서버(6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620)는 DB(63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입력부(미도시), 디스플레이(미도시), 통신부(610), DB(63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620)는, DB(63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구매 중개 서버(6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62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의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 기반의 상품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판매자 단말로부터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소유권을 인증하는 NFT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상품에 대한 정보와 상기 NFT 정보를 맵핑(mapping)하는 맵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NFT의 거래와 관련된 거래 조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구매자 단말이 상기 NFT의 결제를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NFT의 결제 완료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의 거래를 중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NFT를 구매할 수 있는 웹 링크 또는 앱 링크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웹 링크 또는 상기 앱 링크를 통해 상기 구매자 단말이 NFT 거래 서버에 승인한 거래 정보를 상기 NFT 거래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거래 정보의 획득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구매자 단말이 상기 NFT의 결제를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거래 정보는 상기 NFT의 가치에 대응되는 금액 또는 자산을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맵핑 정보는,
    상기 판매자 단말이 상기 상품에 대한 소유권을 가지고 있음을 인증하는 인증 정보에 해당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맵핑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웹 페이지, 앱 페이지 또는 데이터 컨테이너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 페이지, 앱 페이지 또는 데이터 컨테이너를 식별하는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소는 네트워크 상에서 접근 가능한 고유 주소에 해당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웹 페이지, 앱 페이지 또는 데이터 컨테이너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 페이지, 앱 페이지 또는 데이터 컨테이너를 식별하는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소는 네트워크 상에서 접근 가능한 고유 주소에 해당하는,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하는 단계는,
    상기 결제 완료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판매자 단말에게 구매자와 관련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상품의 전달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의 전달이 완료된 경우, 판매자의 계좌 또는 가상 화폐 지갑에 상기 NFT의 가치에 대응되는 금액 또는 자산을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NFT 기반의 상품 거래를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상품 거래를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판매자 단말로부터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디지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소유권을 인증하는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을 획득하고,
    상기 상품에 대한 정보와 상기 NFT 정보를 맵핑(mapping)하는 맵핑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NFT의 거래와 관련된 거래 조건 정보를 생성하고,
    구매자 단말이 상기 NFT의 결제를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NFT의 결제 완료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의 거래를 중개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NFT를 구매할 수 있는 웹 링크 또는 앱 링크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웹 링크 또는 상기 앱 링크를 통해 상기 구매자 단말이 NFT 거래 서버에 승인한 거래 정보를 상기 NFT 거래 서버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거래 정보의 획득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구매자 단말이 상기 NFT의 결제를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거래 정보는 상기 NFT의 가치에 대응되는 금액 또는 자산을 포함하는, 장치.
KR1020220034062A 2022-03-18 2022-03-18 Nft 기반의 상품의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95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062A KR102495362B1 (ko) 2022-03-18 2022-03-18 Nft 기반의 상품의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220187192A KR20230136511A (ko) 2022-03-18 2022-12-28 Nft 기반의 상품의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062A KR102495362B1 (ko) 2022-03-18 2022-03-18 Nft 기반의 상품의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7192A Division KR20230136511A (ko) 2022-03-18 2022-12-28 Nft 기반의 상품의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5362B1 true KR102495362B1 (ko) 2023-02-06

Family

ID=8522381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062A KR102495362B1 (ko) 2022-03-18 2022-03-18 Nft 기반의 상품의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220187192A KR20230136511A (ko) 2022-03-18 2022-12-28 Nft 기반의 상품의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7192A KR20230136511A (ko) 2022-03-18 2022-12-28 Nft 기반의 상품의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953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8227B1 (ko) * 2023-05-02 2023-09-13 (주)에이비스포츠 커스터마이징된 의류 디자인과 연동된 nft 발행 및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025B1 (ko) * 2021-10-05 2021-12-24 (주) 모로보기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품 거래 방법
KR102355550B1 (ko) * 2021-06-22 2022-02-08 주식회사 매스어답션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371071B1 (ko) * 2021-06-29 2022-03-07 전호근 토큰 이코노미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550B1 (ko) * 2021-06-22 2022-02-08 주식회사 매스어답션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371071B1 (ko) * 2021-06-29 2022-03-07 전호근 토큰 이코노미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43025B1 (ko) * 2021-10-05 2021-12-24 (주) 모로보기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품 거래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8227B1 (ko) * 2023-05-02 2023-09-13 (주)에이비스포츠 커스터마이징된 의류 디자인과 연동된 nft 발행 및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6511A (ko) 202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01434A1 (en) Global liquidity and settlement system
KR20210127132A (ko) 토큰화 플랫폼
IL267930A (en) Methods for converting and evaluating virtual currencies
WO2019095666A1 (zh) 一种贷款额度评估方法及相关设备
AU2016380941A1 (en) Method for determining if a current wallet-based transaction initiated by a digital wallet user is fraudulent
KR101805404B1 (ko) P2p 담보 대출 금융 기술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21080630A1 (en) Authorization of electronic transactions based on secured zones
US20220130005A1 (en) Digital asset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201602840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digital currency savings platform
US20190354978A1 (en) Server and method for managing an authorization amount over a plurality of payments
CN110599345A (zh) 基于区块链的期权交易数据处理方法及装置
KR102572638B1 (ko) 아티스트를 위한 디지털 nft 판매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판매 방법
WO2020049442A1 (en) Digital currency and trading system
KR102495362B1 (ko) Nft 기반의 상품의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N110942393B (zh) 基于主子账户的交易处理方法和装置、电子设备
KR20170133301A (ko) 주식 담보를 이용한 피어 투 피어 기반 금융 기술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10007363A (ko) 블록체인 기반의 환전 방법 및 장치
KR20190073725A (ko) 복수의 거래소를 이용한 가상 화폐 반대 매매를 위한 금융 기술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102356260B1 (ko)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카드를 이용하는 시스템
US20120254009A1 (en) Real-time commodity exchange system and method
US201901720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centralized Digital Currency Issuance, Secure Transfer and De-Issuance
KR20160144293A (ko) 실물 화폐를 이용한 거래 방법 및 장치
KR102625311B1 (ko) 상품의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97935B1 (ko) 상대매매 방식 거래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
CN110675260A (zh) 基于区块链的农产品交易数据处理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