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5550B1 -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5550B1
KR102355550B1 KR1020210080610A KR20210080610A KR102355550B1 KR 102355550 B1 KR102355550 B1 KR 102355550B1 KR 1020210080610 A KR1020210080610 A KR 1020210080610A KR 20210080610 A KR20210080610 A KR 20210080610A KR 102355550 B1 KR102355550 B1 KR 102355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sset
real
node
encrypted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0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래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매스어답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매스어답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매스어답션
Priority to KR1020210080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55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H04L67/2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 H04L2209/38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실물 자산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실물 자산을 대체불가능한 토큰(Non-Fungible Token; NFT)과 매칭시키는 단계; 제1 사용자를 상기 실물 자산의 소유자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제2 사용자가 상기 실물 자산을 구매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를 상기 실물 자산의 소유자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물 자산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NVERTING REAL ASSETS TO DIGITAL ASSETS BASED ON BLOCKCHAIN}
아래 실시예들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여 실물 자산을 디지털 자산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음악 파일, 그림 파일 등 디지털 자산은 복사가 용이하고, 그 디지털 자산의 원본의 소유권이 누구에게 있는지 알 수 없어서, 실질적으로 거래가능한 자산으로 인정되어오지 않았다. 이에 대하여, 최근 이용되기 시작한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은, 디지털 자산의 일종으로서 현재 이더리움에서 발행하고 있는 대체 불가능한 특정 암호 디지털 자산을 의미한다. 디지털 파일에 대한 소유권을 블록체인 상에 저장함으로써 위조 및 변조가 불가능하도록 만들어 영구 보존하고, 그 소유권을 탈중앙화한 형태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NFT 의 대체가 불가능한 특징은 기존의 암호 화폐와는 다른 교환 불가능성에 기반하고 있다. 기존 암호 화페가 다른 암호 화폐와 1:1 교환이 가능했던 것에 비해, 대체 불가능 토큰은 각기 거래 불가능한 암호 화폐로 1:1 거래가 성립하지 않는다. 이를 통해 각각의 대체 불가능 토큰은 희소성을 지니며, 비가역적 거래 증명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NFT 는 가상의 세계인 메타버스 내에서의 디지털 자산에 대한 소유권을 증명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메타버스에 익숙하지 않은 일반 사람들에게는 NFT 에 따른 디지털 자산의 소유라는 것을 허상으로 느끼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NFT 를 눈에 보이는 실물 자산에 접목시킨다는 시도는 기술적으로도 개념적으로도 아직까지 제안된 바 없다.
한편, 최근 중고품 시장이 큰 폭으로 성장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B2C 또는 C2C 거래가 활발해지고 있다. 또한, 중고품으로서 일반적인 생활용품이나 의복, 가전제품 등이 거래되기도 하지만, 이른바 MZ 세대와 같은 젊은층이 고가인 명품을 보다 저렴하게 구입하기 위하여 중고품을 선택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으며, 지속가능한 슬로우 패션의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렇게 중고 명품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중고 명품이 진품인지 가품인지 여부의 감정에 대한 수요, 및 중고 명품의 수선에 대한 수요도 함께 증가하여 왔다. 특히, 최근 자원 절약과 환경 개선의 필요성이 크게 이슈가 되면서, 안쓰거나 버려지는 물품들을 재가공하여 보다 좋은 품질 또는 더 높은 환경적 가치가 있는 물품으로 만드는 업사이클링(up-cycling)의 인기가 높아지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 명품 브랜드에 대한 수선은 전체의 약 5% 정도만이 브랜드에서 직접 수선을 진행하고 있을 뿐, 나머지 95% 정도는 국내의 일반 수선사에서 수선을 진행하고 있어서, 일반 수선사에서 수선, 리폼 또는 업사이클링된 명품에 대하여, 구매하려는 일반 소비자에게 진품임을 인증할 수 있는 신뢰도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구매한 명품에 대하여, 거래 이력이나 수선 이력 등을 쉽게 알 수 있으면서, 자신의 소유권을 용이하게 증명가능하게 하는 서비스는 아직까지 제안된 바 없다.
등록특허공보 제10-220554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품 등 실물 자산에 NFT 를 접목시킴으로써 디지털 자산화를 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중고 물품에 위 기술을 적용할 때, 중고 물품의 판매자, 구매자, 수선사 간을 중개하면서,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는 실물 자산을 디지털 자산으로 변환시키는 새로운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추가적인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실물 자산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실물 자산을 대체불가능한 토큰(Non-Fungible Token; NFT)과 매칭시키는 단계; 제1 사용자를 상기 실물 자산의 소유자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제2 사용자가 상기 실물 자산을 구매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를 상기 실물 자산의 소유자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실물 자산을 NFT와 매칭시키는 단계는, 외부 장치와 통신가능하며 상기 실물 자산에 매칭되는 칩을 상기 실물 자산에 부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칩과 연관되며 상기 NFT를 포함하는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을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은 상기 실물 자산과 연관되지만 상기 실물 자산과 별개로 전송가능한,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를 상기 실물 자산의 소유자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와 연관된 제1 사용자 식별자 코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을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 코드와 연결시키는 단계;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원장으로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 및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 코드를 전송하여, 상기 분산 원장의 트랜잭션 블록 상에 상기 제1 사용자를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의 소유자로서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를 상기 실물 자산의 소유자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와 연관된 제2 사용자 식별자 코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을 상기 제2 사용자 식별자 코드와 연결시키는 단계; 상기 분산 원장으로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 및 상기 제2 사용자 식별자 코드를 전송하여, 상기 분산 원장의 새로운 트랜잭션 블록 상에 제2 사용자를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의 새로운 소유자로서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물 자산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실물 자산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제1 사용자인 거래 서비스 업체의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제1 노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블록체인 서비스에 관한 제2 노드, 및 상기 실물 자산을 수선하는 수선사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수행되고, 상기 거래 서비스 업체는 매입한 상기 실물 자산을 상기 수선사로 전달하고, 상기 수선사는 상기 실물 자산을 수선하고 상기 칩을 부착시켜 상기 거래 서비스 업체로 전달하고,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을 생성하여 상기 제1 사용자가 보유한 가상 지갑 내에 저장하되,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은, 상기 실물 자산과 연관된 가상 보증 카드(virtual guarantee card)의 정보, 상기 실물 자산의 정보, 현재 소유자의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 코드가 연결된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을 상기 제2 노드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노드는 트랜잭션 해시를 상기 제1 노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물 자산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거래 서비스 업체가,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실물 자산의 구매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제2 사용자로 상기 실물 자산을 배송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실물 자산의 상기 칩과 통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제1 노드로 상기 제2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을 상기 제2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상기 제2 사용자 식별자 코드와 연결시킨 후,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을 상기 제2 노드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노드는 트랜잭션 해시를 상기 제1 노드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가상 보증 카드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물 자산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상 보증 카드는, 상기 실물 자산이 정품임을 인증할 수 있는 정품 인증 정보 및 상기 실물 자산에 대해 소정의 보증 기간 내에 보증 수선이 가능함을 증명할 수 있는 수선 보증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보증 카드는, 상기 제1 노드에 저장되고, 상기 실물 자산의 소유자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어 상기 정품 인증 정보 및 상기 수선 보증 정보의 열람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물 자산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상기 제1 노드 및 상기 제2 노드를 포함하는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 네트워크이고, 상기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원장의 블록에 거래 이력을 기록하고 공유할 수 있는 노드로서, 상기 제1 노드 및 상기 제2 노드만이 참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실물 자산의 거래가 디지털 자산의 거래와 결합되기 때문에, 실물 자산을 이전받았을 때 그와 관계된 디지털 자산도 동시에 이전받을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과 같은 디지털 자산의 소유 또는 이전에 대한 허무감을 해소하면서, 동시에 실물 자산의 소유권의 증명 또한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과 블록 체인 네트워크의 결합을 통해 보다 확실하고 높은 보안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중고 물품에 대해 정품 인증과 수선 보증을 결합하여 사용자와 거래함에 있어서, 디지털 자산의 거래에 이용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높은 보안성과 안정성있는 거래를 이끌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종래의 디지털 자산 거래의 개념과 달리, 디지털 자산의 거래를 통해 디지털 자산 뿐만 아니라 실물 자산의 거래가 함께 일어나고, 실물 자산에 대한 소유권 이전의 개념이 단순히 실물 자산 자체의 이전에 한정되는 것이라 그와 관련된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 이전만으로도 가능하도록 변경될 수 있으므로, 기존의 거래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실물 자산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실물 자산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세분화된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실물 자산의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중고 물품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실시예에 따른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중고 물품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중고 물품의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가상 지갑에 가상 보증 카드를 저장한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중고 물품의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가상 보증 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및 2은,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실물 자산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에서는 실물 자산을 디지털 자산화를 하고 최초 소유자를 설정하고 매매의 경우 소유자가 변경되는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내고 있고, 도 2는 도 1의 각 단계에 대한 세분화된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실물 자산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1과 같이, 먼저 실물 자산을 대체불가능한 토큰(NFT)와 매칭시킴으로서 실물 자산을 디지털 자산화하고(S110 단계), 다음으로 디지털 자산인 NFT를 이용하여 실물 자산의 최초 소유자로서 제1 사용자를 설정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기록하고(S120 단계), 만약 제2 사용자가 실물 자산을 구매하는 경우에는 실물 자산을 제1 사용자로부터 제2 사용자로 이동시킴과 함께 디지털 자산인 NFT 상의 소유자 또한 제2 사용자로 변경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기록하게 된다(S130 단계).
일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플랫폼에 있어서, 각 노드들은 암호화된 p2p 네트워트로서 동작하며, 이른바 '블록'이라고 하는 각 자산들의 거래 기록들이 분산 원장에서의 암호화된 해시 함수를 통해 연결되어, 상호간 연결된 이른바 '블록체인'을 형성한다. 블록체인에 있어서의 각각의 블록은 각각의 거래의 유효성을 피어 장치들을 통해 인증된 디지털 자산의 거래 기록을 포함하고 있다. 암호화되고 탈중앙화된 컴퓨팅 기술들이 자산의 거래에 대한 검증과 인증을 식별하는데 사용되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플랫폼에 등록된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들의 복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인증된 소유자에게는 개인 키(private key)가 제공될 수 있고, 개인 키는 네트워크 상에서 자산이 위치한 곳을 가리키거나 파일이 해독 또는 재구성되는 방법을 지시한다.
도 1에 있어서, 먼저 S110 단계에서는, 실물 자산을 대체불가능한 토큰(NFT)과 매칭시킨다. 일반적으로, 실물 자산은, 토지, 건물, 기계설비, 원료 등과 같이 형체가 있어서 눈에 보이는 형태의 자산을 의미하며, 특히 본 발명에서는 그 자체가 경제적 가치를 갖고 재화를 생산할 수 있는 동산을 주로 의미하며 넓게는 부동산까지 개념을 확장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실물 자산은 거래의 대상이 되는 패션 물품으로서, 가방, 신발, 의복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암호 화폐로 사용되고 있는 대체가능한 토큰(Fungible Token)은 하나의 토큰을 다른 토큰으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한 토큰을 말한다. 대체가능한 토큰은 매 토큰이 유일성을 가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대체가능한 토큰의 상호간 호환이 된다. 현재 절대 다수의 암호 화폐는 거래, 계량 단위, 또는 가치 저장을 할 수 있도록 대체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 네트워크 상의 ERC-20은 대체가능한 토큰이다.
반면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대체불가능한 토큰(Non-Fungible Token; NFT)은 그 진위를 영구하게 기록하는 고유 비트로 인증된 디지털 자산으로서, 이더리움과 같은 암호 화폐의 기반이 되는 분산 원장 시스템인 블록체인에 저장된다.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토큰화(또는 자산화)했다는 점에서는 대체가능한 암호 화폐와 유사한 면이 있지만, 암호 화폐는 현실의 화폐처럼 누구나 통용할 수 있는 반면, NFT 는 각각의 디지털 자산이 고유한 인식 값을 갖고 있기 때문에 대체불가능한 특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NFT는 블록체인 기술의 특성상 한 번 생성되면 삭제하거나 위조할 수가 없고 소유권과 거래 이력이 명시되므로 일종의 디지털 인증서 및 소유권 증명서와 같이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 네트워크 상의 ERC-721은 대체불가능한 토큰(NFT)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실물 자산을 디지털 자산화한다는 것은, 실물 자산을 디지털 자산인 대체불가능한 토큰(NFT)과 매칭시킨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실물 자산과 디지털 자산을 일대일로 매칭시킬 수 있고, 실물 자산의 소유권 이전 등 거래 이력이 변동이 되었을 때, 이와 함께 디지털 자신의 거래 이력을 변동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거래 이력에 대한 인증과 소유권 증명을 확실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의 S110 단계를 좀더 구체화하면, 도 2의 S111 단계 및 S112 단계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S111 단계에서는, 외부 장치와 통신가능하며 실물 자산에 매칭되는 칩을 실물 자산에 부착시킨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실물 자산에 부착되는 칩은 사용자의 단말이나 서버와 같은 외부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가능 칩은 근거리 무선통신(NFC) 방식이 바람직하나, 이러한 방식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근거리 통신가능 칩에는 실물 자산에 고유한 번호가 식별자로서 포함될 수 있어서, 사용자의 단말이나 서버와 같은 외부 장치를 통해 해당 실물 자산을 식별할 수 있다. 즉, 실물 자산에 부착되는 칩은, 실물 자산에 매칭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실물 자산에 부착되는 칩은 실물 자산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실물 자산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칩은 실물 자산의 고리 등에 걸 수 있는 키링 형태의 외부 매체 내에 탑재될 수도 있다. 또한, 칩은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매우 작은 사이즈로 구현될 수 있어서, 실물 자산의 일 부분 내에 주사 방식으로 삽입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칩을 실물 자산에 부착시킨다는 의미는, 위와 같은 양태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다음으로, S112 단계에서는,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을 생성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은 NFT 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의 생성은, 주소, 공개 키(public key) 및 개인 키(private key) 페어를 갖는, 암호화된 고유의 디지털 자산 코드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에는, 실물 자산에 부착되는 칩 내에 포함되는 실물 자산에 고유한 번호인 식별자가 포함된다. 따라서,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은 칩에 연동되어 있는 실물 자산과 일대일로 매칭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에는 실물 자산에 부착되는 칩 내의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실물 자산에 매칭되는 이미지나 영상의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실물 자산이 특정 브랜드의 가방인 경우에는 생성된 디지털 자산에는 당해 브랜드의 로고나 당해 가방의 이미지 또는 영상이 포함됨으로써, 사용자가 확인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또는 NFT)은 실물 자산과 연관되어 있긴 하지만, 실물 자산과 별개로 전송가능하다. 즉,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의 거래는 실물 자산의 거래와 동시에 일어날 수도 있고, 실물 자산의 거래와 별개로 일어날 수도 있다. 이러한 개념으로부터, 실제로 실물 자산 자체의 이동이 없이도,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 이동을 통해 실물 자산의 소유권 이동을 실현할 수 있고 소유권을 증명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로 돌아가서, S120 단계에서는 제1 사용자를 실물 자산의 최초 소유자로 설정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실물 자산을 실제로 소유하고 있는 자는 제1 사용자로 이미 정해져 있기 때문에, 제1 사용자를 실물 자산의 최초 소유자로 설정한다는 의미는, 실물 자산(엄밀하게 말해서는, 실물 자산에 부착된 칩)과 연관된 NFT에 대하여, 소유자로서 제1 사용자를 등록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S110 단계에서 NFT 가 생성되었을 때에는 소유자가 기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S120 단계에서 생성된 NFT 에 대하여 소유자를 현재의 실물 자산의 소유자인 제1 사용자로 등록하게 된다.
도 1의 S120 단계를 좀더 구체화하면, 도 2의 S121 단계 내지 S123 단계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S121 단계에서는, 제1 사용자와 연관된 제1 사용자 식별자 코드를 결정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식별자 코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식별자 외에 본 발명의 실물 자산의 거래 서비스에 있어서 제1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ID 코드를 의미한다. 제1 사용자 식별자 코드는 제1 사용자의 이름, 사용자 ID, 전화번호, 이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사용자 식별자 코드를 사용하면, 본 발명의 실물 자산의 거래 서비스에 있어서 제1 사용자를 식별하고 인증할 수 있다.
S122 단계에서는, 생성된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을 제1 사용자 식별자 코드와 연결시킨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과 제1 사용자 식별자 코드의 연결은,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의 코드에 제1 사용자를 지정하면서, 제1 사용자의 블록 체인 락커에 공개 키 및 개인 키를 저장하는 일련의 명령을 실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S123 단계에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원장에 제1 사용자를 소유자로 기록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원장으로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과 함께 제1 사용자 식별자를 전송한다. 또한,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의 전송은, NFT, 공개 키 및 개인 키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분산 원장의 트랜잭션 블록 상에는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의 소유자로서 제1 사용자가 설정되었음이 거래 기록으로 기록되게 되며, 이러한 거래 기록이 각 노드 피어들을 통해 검증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에는 실물 자산에 부착되는 칩 내에 포함되는 실물 자산에 고유한 번호인 식별자가 포함되어 실물 자산과 일대일로 매칭될 수 있기 때문에, 분산 원장의 트랜잭션 블록 상에서 제1 사용자가 소유자로 설정됨으로써, 그 매칭되는 실물 자산의 소유자가 제1 사용자임을 검증 및 인증할 수 있다. 즉, 디지털 자산의 소유자를 제1 사용자로 설정하는 것을 통하여, 실물 자산의 소유자를 제1 사용자로 설정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로 돌아가서, 제2 사용자가 제1 사용자로부터 실물 자산을 구매하는 경우를 가정해본다. 제2 사용자가 실물 자산을 구매하게 되면, S130 단계에서는 제2 사용자를 실물 자산의 새로운 소유자로 변경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사용자가 실물 자산을 구매하게 되는 경우에는, 그 구매 행위와 동시에 제2 사용자가 실물 자산을 취득하는 경우도 있고, 구매 후 배송을 통하여 제2 사용자가 실물 자산을 취득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또는 NFT)은 실물 자산과 연관되어 있긴 하지만, 실물 자산과 별개로 전송가능하다. 즉,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의 거래는 실물 자산의 거래와 동시에 일어날 수도 있고, 실물 자산의 거래와 별개로 일어날 수도 있다. 따라서, 여기서의 제2 사용자를 실물 자산의 새로운 소유자로 변경한다는 의미는, 실물 자산(엄밀하게 말해서는, 실물 자산에 부착된 칩)과 연관된 NFT에 대하여, 새로운 소유자로서 제2 사용자를 등록하는 것을 말한다.
도 1의 S130 단계를 좀더 구체화하면, 도 2의 S131 단계 내지 S133 단계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S131 단계에서는, 제2 사용자와 연관된 제2 사용자 식별자 코드를 결정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사용자 식별자 코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식별자 외에 본 발명의 실물 자산의 거래 서비스에 있어서 제2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ID 코드를 의미한다. 제1 사용자 식별자 코드는 제2 사용자의 이름, 사용자 ID, 전화번호, 이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제2 사용자 식별자 코드를 사용하면, 본 발명의 실물 자산의 거래 서비스에 있어서 제2 사용자를 식별하고 인증할 수 있다. 또한, 제2 사용자 식별자 코드의 생성은, 실물 자산의 구매 행위와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실물 자산의 구매 전에 미리 생성해놓는 것도 가능하다.
S132 단계에서는, 생성된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을 제1 사용자 식별자 코드와 연결시킨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과 제2 사용자 식별자 코드의 연결은,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의 코드에 제2 사용자를 지정하면서, 제2 사용자의 블록 체인 락커에 공개 키 및 개인 키를 저장하는 일련의 명령을 실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S133 단계에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원장에 제2 사용자를 새로운 소유자로 기록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원장으로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과 함께 제2 사용자 식별자를 전송한다. 또한,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의 전송은, NFT, 공개 키 및 개인 키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분산 원장의 종전의 트랜잭션 블록과 연결된 새로운 트랜잭션 블록 상에는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의 새로운 소유자로서 제2 사용자가 등록되었음이 거래 기록으로 기록되게 되며, 이러한 거래 기록이 각 노드 피어들을 통해 검증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NFT에는 실물 자산에 부착되는 칩 내에 포함되는 실물 자산에 고유한 번호인 식별자가 포함되어 실물 자산과 일대일로 매칭될 수 있기 때문에, 분산 원장의 새로운 트랜잭션 블록 상에서 제2 사용자가 새로운 소유자로 등록됨으로써, 그 매칭되는 실물 자산의 소유권이 제1 사용자로부터 제2 사용자로 이전되었고, 현재의 소유자가 제2 사용자임을 검증 및 인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물 자산의 거래와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의 거래는 동시에 일어날 수도 있지만 실물 자산의 거래와 별개로 일어날 수도 있다. 따라서, 만약 엄밀한 의미에서 실물 자산의 거래에 따라 실물 자산이 실제로 제2 사용자에게 이전된 경우에 한하여, 실물 자산의 소유자가 제2 사용자임을 검증 및 인증하기 위해서는, 제2 사용자가 실제로 실물 자산을 실제로 취득했을 때,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의 새로운 소유자를 등록하면 된다. 즉, 실물 자산에 부착된 칩을 사용자의 단말에서 인식하게 하면, 그 인식을 통하여 제2 사용자가 실물 자산을 실제로 취득했음을 인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칩과 연결된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의 새로운 소유자로의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실물 자산의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물 자산의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제1 노드를 운영하는 거래 서비스 업체(110), 실물 자산을 수선하는 수선사(120),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제2 노드를 운영하는 블록체인 서비스 업체(130)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거래 서비스 업체(110)의 제1 노드와 블록체인 서비스 업체(130)의 제2 노드는 각각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일 노드에 해당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제1 노드 및 제2 노드를 포함하는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 네트워크이다.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사적 블록체인, 폐쇄형 블록체인, 허가형 블록체인, 기업형 블록체인 또는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이라고도 불리며, 허가된 노드 외의 거래 내역과 행동은 공유되지 않고 추적할 수 없고,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기 위해 한 명의 주체로부터 허가된 참여자만 참여하여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또다른 예시적인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제1 노드 및 제2 노드를 포함하는 퍼블릭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거래 서비스 업체(110)는, 중고 물품인 실물 자산을 매입한 후, 수선된 중고 물품에 대한 거래를 관리한다. 예시적인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중고 물품은 중고 명품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거래 서비스 업체(110)는, 중고 물품에 대하여 정품 인증 및 수선 보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보증 카드(Virtual Guarantee Card; VGC)를 발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상 보증 카드란 상품의 제조사에서 제공하던 실물의 보증 카드를 가상으로 구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하나의 사용자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보증 카드의 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온라인 보증 카드를 의미한다. 가상 보증 카드는 당해 물품의 브랜드, 모델명, 구입시기, 수선이력 또는 현재의 시세와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가상 보증 카드는 예를 들어 유명 브랜드 별로 구분되어 생성될 수도 있다. 가상 보증 카드는 상술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정보를 기록할 수 있고, 상술한 NFT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보증 카드는 정품 인증 및 수선 보증 정보등과 함께, 거래 서비스 업체(110)의 제1 노드에 저장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 등에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열람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중고 물품에 대한 정품 인증은 중고 물품이 해당 브랜드의 해당 모델에 해당하는 정품임을 인증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인증은 중고 물품의 해당 브랜드와 제휴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중고 물품에 대한 수선 보증은 수선된 중고 물품에 대해 소정의 보증 기간 동안 수선받을 수 있는 권한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수선을 진행한 수선 업체에서 전담하여 수선받을 수 있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다른 협력 수선 업체 또는 당해 중고 물품의 소유자가 선택한 수선 업체를 통해 수선받을 수도 있다. 보증 수선의 범위는 중고 물품의 수선된 부분에 한정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선된 부분이 아닌 부분으로 확장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선사(120)는, 거래 서비스 업체(110)의 의뢰를 받아 중고 물품을 수선하는 업체이다. 예시적인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선사(120)는 당해 중고 물품의 종류를 전문적으로 수선하는 업체일 수도 있고, 당해 중고 물품의 특정 제조사 또는 브랜드만을 전문적으로 수선하는 업체일 수도 있다. 예시적인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선사(120)는 거래 서비스 업체(110)로부터 의뢰를 받아 중고 물품의 파손 부위 등을 수선할 수도 있고, 나아가 심하게 훼손된 경우 업사이클링(up-cycling)을 통해 새로운 제품으로 변형할 수도 있다. 또한, 수선사(120)는 중고 물품을 수선하거나 업사이클링을 전문으로 할 수도 있고, 물품의 제작이나 OEM 주문 생산이 가능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선사(120)는 입고된 중고 물품에 대하여 정품인지를 확인하고 수선을 진행한 후에, 정품임이 확인되고 수선이 완료되면, 당해 중고 물품에 칩을 부착하여 거래 서비스 업체(110)로 보낼 수 있다. 예시적인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중고 물품에는 칩을 부착함과 함께 정품 인증 및 수선 보증이 가능한 QR 코드가 기재된 실물 카드를 함께 보낼 수도 있다. 칩이나 QR 코드는 거래 서비스 업체(110)로부터 미리 제공받을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체인 서비스 업체(13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제2 노드를 운영하면서, 서비스 운영에 필요한 정보들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관하여 생성한다. 예시적인 일실시형태로서, 블록체인 서비스 업체(13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저장되는 거래 정보들을 연관시킬 수 있는 근거리 통신가능 칩을 제공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가능 칩은 근거리 무선통신(NFC) 방식이 바람직하나, 이러한 방식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인 일실시형태로서, 블록체인 서비스 업체(13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저장되는 거래 정보들을 연관시킬 수 있는 QR 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 QR 코드는 라벨의 형식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블록체인 서비스 업체(130)는 해당 칩 또는 QR 라벨을 직접 생산하여 제공할 수도 있고, 다른 OEM 업체에 위탁하여 생산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체인 서비스 업체(130)는, 거래 서비스 업체(110)의 의뢰를 받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동된 NFT를 제공할 수 있다. NFT의 상세한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물 자산의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실물 자산을 거래하는 사용자 단말(140)과 통신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실시형태로서, 사용자 단말(140)은, 유선, 무선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공지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거래 서비스 업체(110)의 제1 노드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40)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거래 서비스 업체(110)의 제1 노드와 접속하여, 거래 서비스 업체(110)로부터 실물 자산을 구매하거나, 그 이후 사용자들 간 실물 자산의 거래가 가능하다. 또한, 실물 자산의 거래는, 거래 서비스 업체(110)의 제1 노드를 경유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관리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중고 물품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실시예에 따른 흐름도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거래 서비스 업체(110)가 중고 물품을 매입한 후 디지털 자산 및 가상 보증 카드를 생성하고 설정하는 단계를 설명한다.
먼저, S210 단계에서, 거래 서비스 업체(110)는 판매자로부터 중고 물품을 매입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판매자는 중고 물품을 판매/유통/수입하는 개인 또는 업체일 수 있다. 거래 서비스 업체(110)는 중고 물품을 매입한 후 검수 과정을 진행하여 수선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한다. 그 후, S220 단계에서, 거래 서비스 업체(110)는 중고 물품을 수선사(120)로 전달한다.
S230 단계에서, 수선사(120)는 중고 물품에 대한 수선을 진행하고, 중고 물품에 칩 또는 칩과 함께 QR 코드 라벨을 부착시킨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선사(120)는 거래 서비스 업체(110)로부터 전달된 중고 물품에 대하여 해당 브랜드의 해당 모델에 해당하는 정품인지를 확인한다. 수선사(120)는 중고 물품이 정품인지가 확인되면, 해당 물품에 대하여 수선을 진행한다. 본 발명에서의 수선은, 파손된 부분을 수선하는 협의의 수선뿐만 아니라 리폼 또는 업사이클링과 같이 당해 물품을 변경하는 수준의 광의의 수선도 포함한다.
중고 물품에 대한 수선이 완료되면, 수선사(120)는 거래 서비스 업체(110)로부터 전달받은 칩을 해당 중고 물품에 부착시킨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중고 물품에 부착되는 칩은 외부 장치와 NFC 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고, 해당 중고 물품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한 번호가 식별자로서 할당되어, 사용자의 단말이나 서버와 같은 외부 장치를 통해 해당 실물 자산을 식별할 수 있다. 즉, 실물 자산에 부착되는 칩은, 실물 자산에 매칭된다. 또한, 칩은 중고 물품의 외측 또는 내측 어디에도 부착될 수 있으며 물품의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방의 경우에는, 칩이 가방의 브랜드 로고 뒷면에 부착되거나, 가방의 가죽 등에 주사 방식으로 삽입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선사(120)는 거래 서비스 업체(110)로부터 전달받은 QR 코드가 기재된 라벨을 중고 물품에 부착시킬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선사(120)가 중고 물품에 칩이나 QR 코드를 부착한다는 것은, 해당 중고 물품에 대하여 정품임을 확인하고 수선을 완료하였으며 추후 수선 보증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후, S240 단계에서, 수선사(120)는 수선된 중고 물품을 거래 서비스 업체(110)로 전달한다.
다음으로, S250 단계에서, 거래 서비스 업체(110)의 제1 노드에서는, 전달된 중고 물품을 등록하고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을 생성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은 NFT 를 포함한다. 또한,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의 생성은, 주소, NFT, 공개 키(public key) 및 개인 키(private key) 페어를 갖는, 암호화된 고유의 디지털 자산 코드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은, 가상 보증 카드(virtual guarantee card)의 정보, 소유권자의 정보, 및 해당 중고 물품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은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가상 지갑에 저장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중고 물품의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가상 지갑에 가상 보증 카드를 저장한 예시를 나타낸다. 도 6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본 발명의 중고 물품의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단말에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사용자에 고유한 가상 지갑이 구현되어 있고, 가상 지갑 내에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가상 보증 카드(VGC)가 저장되어 있다. 예시적인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상 보증 카드는, 물품마다 생성될 수도 있고, 브랜드마다 생성되어 물품의 목록이나 이미지가 저장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보유하고 있는 가상 보증 카드를 선택하게 되면, 도 7(a)과 같이 선택된 가상 보증 카드를 확인할 수 있고, 도 7(b)와 같이 가상 보증 카드 내에 기록된 사항들로서 중고 물품의 정보(사진, 브랜드, 이름, 설명, 가격 등)이나, 가상 보증 카드의 정보(발급일, ID, 고유 번호)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중고 물품을 보유함에 따라 가상 보증 카드를 추가하게 되면, 이와 연관된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이 생성되고, 그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 내에 가상 보증 카드의 정보, 소유권자의 정보, 및 해당 중고 물품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상 보증 카드의 정보로는 가상 보증 카드의 식별 ID, 생성일시, 고유 번호 등이 있고, 소유권자의 정보로는 이름, 유저 ID, 전화번호, 이메일 등이 있고, 중고 물품의 정보로는 해당 물품의 실물사진, 물품명, 설명, 가격 등이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중고 물품의 등록과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의 생성은, 사용자의 단말과 중고 물품에 부착된 칩과의 통신에 의해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중고 물품의 근거리에 있는 사용자의 단말을 이용하여, 전용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중고 물품을 등록하는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중고 물품에 부착된 칩과 사용자의 단말이 통신하게 되고, 칩 내에 포함된 중고 물품의 식별자인 고유한 번호를 인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중고 물품에 대한 소유권자의 정보가 칩과 연결된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 내에 등록될 수 있다.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중고 물품의 등록과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의 생성은, 중고 물품에 부착된 라벨의 QR 코드를 사용자의 단말로 촬영하여 진행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 내에 소유권자의 정보를 등록시키는 것은,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의 코드에 소유권자를 지정하면서, 소유권자의 블록 체인 락커에 공개 키 및 개인 키를 저장하는 일련의 명령을 실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거래 서비스 업체(110)를 소유권자로 등록시키는 것은, 중고 물품을 수선한 후 정품 인증 및 수선 보증이 되는 상태에 있어서 최초의 소유권자로서 설정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도 4로 돌아와서, S260 단계에서, 거래 서비스 업체(110)의 제1 노드는, 소유권자의 정보가 연결된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을 블록체인 서비스 업체(130)의 제2 노드로 전송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노드는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과 함께 트랜잭션 정보 및 거래 서비스 업체(110)의 개인 키(private key)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S270 단계에서, 블록체인 서비스 업체(130)의 제2 노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원장으로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을 전송하여, 분산 원장의 트랜잭션 블록 상에 거래 서비스 업체(110)를 당해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의 소유자로서 기록한다.
그 후, S280 단계에서, 블록체인 서비스 업체(130)의 제2 노드는,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에 대한 트랜잭션 정보 및 개인 키에 대한 트랜잭션 해시를 거래 서비스 업체(110)의 제1 노드로 전송한다. 트랜잭션 해시는 일종의 트랜잭션(거래)의 고유 ID로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내에서 해당 트랜잭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식별자를 말한다. 따라서, 거래 서비스 업체(110)는 해당 트랜잭션 해시를 통하여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에 대한 트랜잭션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S290 단계에서, 거래 서비스 업체(110)의 제1 노드는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에 포함된 가상 보증 카드에 대하여, 가상 보증 카드에 대응되는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었음을 인증하는 정보를 부가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거래 서비스 업체(110)의 제1 노드는, 블록체인 서비스 업체(130)의 제2 노드로부터 전송받은 트랜잭션 해시를 가상 보증 카드에 기록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중고 물품에 대하여 수선 후 거래 서비스 업체(110)를 소유자로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지만, 다른 일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중고 물품이 아니라 거래 서비스 업체(110)에서 수입한 물품을 소유자로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입 물품은 신품에 해당하므로 수선사(120)에게 물품을 전달하여 수선하는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또다른 일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거래 서비스 업체(110)가 중고 물품이 아니라 반품되어온 물품 또는 흠이 발생한 물품들을 매입하는 경우가 고려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물품에 수선이 필요한지 여부를 체크한 후 수선사(120)에게 물품을 전달하여 수선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중고 물품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흐름도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거래 서비스 업체(110)가 중고 물품을 보유하고 있을 때 구매 요청이 있는 경우 중고 물품이 거래되는 단계를 설명한다.
먼저, S310 단계에서, 중고 물품의 구매를 요청하는 구매자(140)가 거래 서비스 업체(110)에게 구매 요청을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구매자(140)는 중고 물품의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판매되는 중고 물품을 확인하고, 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1 노드로 구매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구매자(140)는 다른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사이트를 통하여 판매되는 중고 물품을 확인하고 거래 서비스 업체(110)의 제1 노드로 구매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S320 단계에서, 거래 서비스 업체(110)의 제1 노드는 구매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거래를 승인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거래 서비스 업체(110)의 제1 노드는구매자(140)의 사용자 단말로 당해 중고 물품에 대한 결제 정보를 송신한다. 이러한 결제 정보에 대해 구매자(140)가 결제를 함으로써 거래가 승인된다. 이후, S330 단계에서, 거래 서비스 업체(110)는 거래가 승인된 중고 물품을 구매자(140)에게 배송하게 된다.
다음으로, S340 단계에서, 구매자(140)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배송받은 중고 물품의 구매를 등록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중고 물품의 구매의 등록은, 사용자 단말과 중고 물품에 부착된 칩과의 통신에 의해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중고 물품의 근거리에 있는 사용자의 단말을 이용하여, 도 5와 같은 전용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중고 물품을 등록하는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중고 물품에 부착된 칩과 사용자의 단말이 통신하게 되고, 칩 내에 포함된 중고 물품의 식별자인 고유한 번호를 인식하게 된다.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중고 물품의 등록은, 중고 물품에 부착된 라벨의 QR 코드를 사용자의 단말로 촬영하여 진행될 수도 있다.
그 후, S350 단계에서, 구매자(140)의 사용자 단말은 거래 서비스 업체(110)의 제1 노드로 등록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등록 요청 신호는 구매자(140)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구매자(140)에 대한 식별 정보는, 본 발명의 중고 물품의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ID 와 난수 번호가 조합된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S360 단계에서, 거래 서비스 업체(110)의 제1 노드는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을 업데이트한다.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의 업데이트되는 정보로서는, 소유권자의 정보 및 해당 중고 물품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소유권자의 정보로는 이름, 유저 ID, 전화번호, 이메일 등이 있고, 중고 물품의 정보로는 해당 물품의 실물사진, 물품명, 설명, 가격, 거래 일시 등이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 내에 소유권자의 정보를 구매자(140)으로 업데이트시키는 것은,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의 코드에 구매자(140)를 소유권자로 지정하면서, 구매자(140)의 블록 체인 락커를 생성하고, 그 블록 체인 락커에 공개 키 및 개인 키를 저장하는 일련의 명령을 실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S370 단계에서, 거래 서비스 업체(110)의 제1 노드는, 구매자(140)의 정보가 연결된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을 블록체인 서비스 업체(130)의 제2 노드로 전송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노드는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과 함께 트랜잭션 정보 및 구매자(140)의 개인 키(private key)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S380 단계에서, 블록체인 서비스 업체(130)의 제2 노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원장으로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을 전송하여, 분산 원장의 트랜잭션 블록 상에 구매자(140)를 당해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의 새로운 소유자로서 기록한다.
그 후, S390 단계에서, 블록체인 서비스 업체(130)의 제2 노드는,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에 대한 트랜잭션 정보 및 개인 키에 대한 트랜잭션 해시를 거래 서비스 업체(110)의 제1 노드로 전송한다.
마지막으로, S400 단계에서, 거래 서비스 업체(110)의 제1 노드는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에 포함된 가상 보증 카드에 대하여, 가상 보증 카드에 대응되는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이 구매자(140)로 이전되었음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었음을 인증하는 정보를 부가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거래 서비스 업체(110)의 제1 노드는, 블록체인 서비스 업체(130)의 제2 노드로부터 전송받은 트랜잭션 해시를 가상 보증 카드에 기록한다. 또한, 거래 서비스 업체(110)의 가상 지갑에 저장되어 있던 가상 보증 카드(VGC)는 구매자(140)의 가상 지갑으로 이전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구매자(140)는 사용자 단말에서 거래 서비스 업체(110)의 제1 노드에 접속하여, 당해 중고 물품의 정품 인증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구매자(140)는 당해 중고 물품이 정품이라는 것을 쉽게 인증받을 수 있고, 추후 제3자에게 당해 중고 물품을 양도하는 경우에도 정품임을 쉽게 증명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구매자(140)는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거래 서비스 업체(110)의 제1 노드에 접속하여, 당해 중고 물품의 수선 보증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수선을 신청할 수 있다. 따라서, 구매자(140)는 소정의 보증 기간 내에서 당해 중고 물품을 수선한 수선사에서 전담하여 수선받거나, 다른 협력 수선사 등을 통해 수선받을 수 있다. 또한, 구매자(140)로부터 추후 양도받은 제3자도 소정의 보증 기간 내라면 위와 같은 보증 수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정품 인증 및 수선 보증을 중고 물펌(실물 자산)과 연동시킴으로써, 중고 물품의 구입 이후의 사후 관리가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당해 중고 물품의 브랜드의 A/S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정품 인증 및 수선 보증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보증 카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동된다.
종래의 정품 인증 방식은 복제가 불가능한 홀로그램이나 잉크 등의 식별자를 물품에 적용시키는 방식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식별자가 갖는 보안성과 식별가능성은 서로 트레이드 오프 관계에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사용자의 단말에 설치된 카메라 등을 이용하는 경우 당해 식별자를 식별하는 것이 곤란해질 수도 있고, 반대로 종이 등 다른 매체에 복사된 식별자를 식별하더라도 동일하게 인식되어 보안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물품마다 고유의 번호를 부여하며 번호에 기반하여 유통 정보를 계속 기록함으로써, 당해 식별자가 복제된 다른 물품에 대해서는 유통 정보가 상이하여 정품이 아님을 알 수 있으므로, 보안성과 식별성의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고 물품의 실물에 부착된 근거리 통신가능 칩에 포함된 고유한 번호에 기반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블록에서는 당해 중고 물품의 거래나 수선 이력 등이 연쇄적으로 기록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사용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이며, 거래 서비스 업체(110)의 제1 노드 및 블록체인 서비스 업체(130)의 제2 노드가 분산 원장의 블록에 거래 이력을 기록하고 공유할 수 있는 노드로서 참여할 수 있지만, 구매자 등 일반 사용자의 단말은 상기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로서 참여할 수 없다.
따라서, 노드들의 허락없이는 가상 보증 카드의 정보가 업데이트되지 않고,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에서 거래 서비스 업체(110)의 제1 노드를 경유해서만 승인된 거래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서비스 이용을 장려할 수 있고, 보안성 측면뿐만 아니라 서비스를 운영하는 주체 측면에서도 장점이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참여되는 합의 방식으로서, 예를 들어 Hyperledger Sawtooth의 PoET(proof of elapsed time) 합의 방식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

  1.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실물 자산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실물 자산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1 사용자인 거래 서비스 업체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제1 노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블록체인 서비스에 관한 제2 노드, 및 상기 실물 자산을 수선하는 수선사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수행되고,
    상기 제1 사용자가 매입한 상기 실물 자산을 상기 수선사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수선사에 의해, 상기 실물 자산에 대한 수선을 완료한 후, 외부 장치와 통신가능하며 상기 실물 자산에 매칭되는 칩을 상기 실물 자산에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제1 노드에 의해, 상기 실물 자산을 대체불가능한 토큰(Non-Fungible Token; NFT)과 매칭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칩과 연관되며 상기 NFT를 포함하는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을 생성하고,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은 상기 실물 자산과 연관되지만 상기 실물 자산과 별개로 전송가능한, 상기 매칭시키는 단계;
    상기 제1 노드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와 연관된 제1 사용자 식별자 코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노드에 의해,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을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 코드와 연결시키는 단계;
    상기 제1 노드에 의해, 상기 제2 노드의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원장으로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 및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 코드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분산 원장의 트랜잭션 블록 상에 상기 제1 사용자를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의 소유자로서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제2 사용자가 상기 실물 자산을 구매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를 상기 실물 자산의 소유자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를 상기 실물 자산의 소유자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노드에 의해, 상기 제2 사용자와 연관된 제2 사용자 식별자 코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노드에 의해,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을 상기 제2 사용자 식별자 코드와 연결시키는 단계;
    상기 제1 노드에 의해, 상기 제2 노드의 상기 분산 원장으로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 및 상기 제2 사용자 식별자 코드를 전송하여, 상기 분산 원장의 새로운 트랜잭션 블록 상에 제2 사용자를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의 새로운 소유자로서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칩은 상기 실물 자산의 일 부분 내에 주사 방식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실물 자산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 자산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을 생성하여 상기 제1 사용자가 보유한 가상 지갑 내에 저장하되,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은, 상기 실물 자산과 연관된 가상 보증 카드(virtual guarantee card)의 정보, 상기 실물 자산의 정보, 현재 소유자의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 코드가 연결된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을 상기 제2 노드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노드는 트랜잭션 해시를 상기 제1 노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 자산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 서비스 업체가,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실물 자산의 구매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제2 사용자로 상기 실물 자산을 배송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실물 자산의 상기 칩과 통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제1 노드로 상기 제2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을 상기 제2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상기 제2 사용자 식별자 코드와 연결시킨 후,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을 상기 제2 노드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노드는 트랜잭션 해시를 상기 제1 노드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가상 보증 카드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 자산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10080610A 2021-06-22 2021-06-22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355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610A KR102355550B1 (ko) 2021-06-22 2021-06-22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610A KR102355550B1 (ko) 2021-06-22 2021-06-22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5550B1 true KR102355550B1 (ko) 2022-02-08

Family

ID=80252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0610A KR102355550B1 (ko) 2021-06-22 2021-06-22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5550B1 (ko)

Cited B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0524B1 (ko) * 2022-02-24 2022-05-19 김태원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하는 플랫폼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nft에 대한 위변조를 감지하는 위변조 감지 방법
KR102438846B1 (ko) 2022-03-15 2022-09-01 클로우플레이크(주) Did 기반 사용자 스타일 정보의 nft 자산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62901B1 (ko) * 2022-03-16 2022-11-04 인바이츠바이오코아 주식회사 유전정보 nft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비스서버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2470154B1 (ko) * 2022-04-22 2022-11-24 주식회사 대하에프앤씨 블록체인 기반 의료기기 거래 및 공유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72008B1 (ko) * 2022-06-08 2022-11-30 (주) 가드시스템즈 메타버스를 통해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자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자산 관리 시스템
KR102495362B1 (ko) * 2022-03-18 2023-02-06 소프트런치주식회사 Nft 기반의 상품의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99736B1 (ko) * 2022-06-23 2023-02-17 주식회사 디시에스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메타버스에 기반한 상품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037517A (ko) * 2023-01-30 2023-03-16 소프트런치주식회사 상품의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42866B1 (ko) * 2022-02-24 2023-06-13 박성준 부동산 지분에 대한 nft를 생성하는 전자장치
KR20230130441A (ko) 2022-03-03 2023-09-12 주식회사 마젤디파인 대체불가토큰 기술을 적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30133674A (ko) 2022-03-11 2023-09-19 케이파워에너지 주식회사 실물자산 탄소배출권과 nft 융합 시스템
KR20230133673A (ko) 2022-03-11 2023-09-19 케이파워에너지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 탄소배출권 nft 생성 시스템
KR20230133676A (ko) 2022-03-11 2023-09-19 케이파워에너지 주식회사 실물자산 탄소배출권을 활용한 nft 발행 및 거래 시스템
KR20230133675A (ko) 2022-03-11 2023-09-19 케이파워에너지 주식회사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탄소배출권의 실물기반 nft 발행 시스템
KR20230136062A (ko) 2022-03-17 2023-09-26 주식회사 마인스소프트 포인트를 활용한 엔에프티 및 가상화폐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3214596A1 (ko) * 2022-05-03 2023-11-09 한국과학기술원 Nft 카드 제작 방법 및 시스템
WO2023219208A1 (ko) * 2022-05-10 2023-11-16 주식회사 크로스체크 메타버스 기반의 금융 서비스 제공시스템
WO2023220031A1 (en) * 2022-05-09 2023-11-16 Integrated Projects Technology Inc. Platform for utilization of non-fungible tokens for digital building information
WO2023229067A1 (ko) * 2022-05-26 2023-11-30 주식회사 블록체인기술연구소 Did 기반의 nft 거래 시스템
KR20230168764A (ko) 2022-06-08 2023-12-15 주식회사 위고컴퍼니 Nft를 활용한 프랜차이즈 가맹점 운영 방법
WO2023243784A1 (ko) * 2022-06-14 2023-12-21 주식회사 스탁키퍼 Nft 기반의 소유권 증빙을 이용한 가축 투자 방법 및 시스템
WO2024010348A1 (ko) * 2022-07-05 2024-01-11 채경수 프라이빗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유통 방법
KR20240012014A (ko) 2022-07-20 2024-01-29 채재병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
KR20240019895A (ko) 2022-08-05 2024-02-14 (주)소셜인프라테크 시리즈 콘텐츠에 대한 연계성 부여를 위한 토큰 발행 시스템
KR20240019989A (ko) 2022-08-05 2024-02-14 (주)소셜인프라테크 좌표 값 정보가 반영되어 재조합과 연계성을 제공하는 토큰 데이터 시스템
KR20240019896A (ko) 2022-08-05 2024-02-14 (주)소셜인프라테크 콘텐츠의 독립성과 연계성이 구비된 개념적 계층 구조의 토큰 시스템
KR20240019897A (ko) 2022-08-05 2024-02-14 (주)소셜인프라테크 파편적 피스의 재조합을 위한 포지션 정보가 반영된 토큰 발행 시스템
KR20240026654A (ko) 2022-08-22 2024-02-29 김현정 Nft 연계 상품 판매 시스템 및 방법
WO2024049019A1 (ko) * 2022-09-02 2024-03-07 김태환 유명인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KR20240039384A (ko) 2022-09-19 2024-03-26 주식회사 위고컴퍼니 Nft를 활용한 프랜차이즈 가맹점 운영 방법
JP2024041177A (ja) * 2022-09-14 2024-03-27 株式会社Nfigure 取引支援システム及び取引支援プログラム
KR20240048387A (ko) 2022-10-06 2024-04-15 주식회사 마젤디파인 대체불가토큰 기술을 적용하여 캐릭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401B2 (ko) * 1983-04-15 1992-02-25
US20200294011A1 (en) * 2019-03-12 2020-09-17 Airtime Network, Inc. Trustless physical cryptocurrency
KR102205541B1 (ko) 2020-09-17 2021-01-20 김홍준 경매 기반 중고명품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JP2021077422A (ja) * 2021-02-17 2021-05-20 忠久 中谷 デジタルアセットトークン移転取引のためのピアツーピア分散型台帳統合システム及びピアツーピア分散型台帳記録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401B2 (ko) * 1983-04-15 1992-02-25
US20200294011A1 (en) * 2019-03-12 2020-09-17 Airtime Network, Inc. Trustless physical cryptocurrency
KR102205541B1 (ko) 2020-09-17 2021-01-20 김홍준 경매 기반 중고명품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JP2021077422A (ja) * 2021-02-17 2021-05-20 忠久 中谷 デジタルアセットトークン移転取引のためのピアツーピア分散型台帳統合システム及びピアツーピア分散型台帳記録方法

Cited B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0524B1 (ko) * 2022-02-24 2022-05-19 김태원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하는 플랫폼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nft에 대한 위변조를 감지하는 위변조 감지 방법
KR102542866B1 (ko) * 2022-02-24 2023-06-13 박성준 부동산 지분에 대한 nft를 생성하는 전자장치
WO2023163286A1 (ko) * 2022-02-24 2023-08-31 김태원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하는 플랫폼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nft에 대한 위변조를 감지하는 위변조 감지 방법
KR20230130441A (ko) 2022-03-03 2023-09-12 주식회사 마젤디파인 대체불가토큰 기술을 적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30133673A (ko) 2022-03-11 2023-09-19 케이파워에너지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 탄소배출권 nft 생성 시스템
KR20230133674A (ko) 2022-03-11 2023-09-19 케이파워에너지 주식회사 실물자산 탄소배출권과 nft 융합 시스템
KR20230133676A (ko) 2022-03-11 2023-09-19 케이파워에너지 주식회사 실물자산 탄소배출권을 활용한 nft 발행 및 거래 시스템
KR20230133675A (ko) 2022-03-11 2023-09-19 케이파워에너지 주식회사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탄소배출권의 실물기반 nft 발행 시스템
KR102438846B1 (ko) 2022-03-15 2022-09-01 클로우플레이크(주) Did 기반 사용자 스타일 정보의 nft 자산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62901B1 (ko) * 2022-03-16 2022-11-04 인바이츠바이오코아 주식회사 유전정보 nft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비스서버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20230136062A (ko) 2022-03-17 2023-09-26 주식회사 마인스소프트 포인트를 활용한 엔에프티 및 가상화폐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95362B1 (ko) * 2022-03-18 2023-02-06 소프트런치주식회사 Nft 기반의 상품의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70154B1 (ko) * 2022-04-22 2022-11-24 주식회사 대하에프앤씨 블록체인 기반 의료기기 거래 및 공유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23214596A1 (ko) * 2022-05-03 2023-11-09 한국과학기술원 Nft 카드 제작 방법 및 시스템
WO2023220031A1 (en) * 2022-05-09 2023-11-16 Integrated Projects Technology Inc. Platform for utilization of non-fungible tokens for digital building information
WO2023219208A1 (ko) * 2022-05-10 2023-11-16 주식회사 크로스체크 메타버스 기반의 금융 서비스 제공시스템
WO2023229067A1 (ko) * 2022-05-26 2023-11-30 주식회사 블록체인기술연구소 Did 기반의 nft 거래 시스템
KR102472008B1 (ko) * 2022-06-08 2022-11-30 (주) 가드시스템즈 메타버스를 통해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자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자산 관리 시스템
KR20230168764A (ko) 2022-06-08 2023-12-15 주식회사 위고컴퍼니 Nft를 활용한 프랜차이즈 가맹점 운영 방법
WO2023243784A1 (ko) * 2022-06-14 2023-12-21 주식회사 스탁키퍼 Nft 기반의 소유권 증빙을 이용한 가축 투자 방법 및 시스템
KR102499736B1 (ko) * 2022-06-23 2023-02-17 주식회사 디시에스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메타버스에 기반한 상품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4010348A1 (ko) * 2022-07-05 2024-01-11 채경수 프라이빗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유통 방법
KR20240012014A (ko) 2022-07-20 2024-01-29 채재병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
KR20240019895A (ko) 2022-08-05 2024-02-14 (주)소셜인프라테크 시리즈 콘텐츠에 대한 연계성 부여를 위한 토큰 발행 시스템
KR20240019989A (ko) 2022-08-05 2024-02-14 (주)소셜인프라테크 좌표 값 정보가 반영되어 재조합과 연계성을 제공하는 토큰 데이터 시스템
KR20240019896A (ko) 2022-08-05 2024-02-14 (주)소셜인프라테크 콘텐츠의 독립성과 연계성이 구비된 개념적 계층 구조의 토큰 시스템
KR20240019897A (ko) 2022-08-05 2024-02-14 (주)소셜인프라테크 파편적 피스의 재조합을 위한 포지션 정보가 반영된 토큰 발행 시스템
KR20240026654A (ko) 2022-08-22 2024-02-29 김현정 Nft 연계 상품 판매 시스템 및 방법
WO2024049019A1 (ko) * 2022-09-02 2024-03-07 김태환 유명인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JP2024041177A (ja) * 2022-09-14 2024-03-27 株式会社Nfigure 取引支援システム及び取引支援プログラム
KR20240039384A (ko) 2022-09-19 2024-03-26 주식회사 위고컴퍼니 Nft를 활용한 프랜차이즈 가맹점 운영 방법
KR20240048387A (ko) 2022-10-06 2024-04-15 주식회사 마젤디파인 대체불가토큰 기술을 적용하여 캐릭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625311B1 (ko) * 2023-01-30 2024-01-16 소프트런치주식회사 상품의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037517A (ko) * 2023-01-30 2023-03-16 소프트런치주식회사 상품의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5550B1 (ko)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11880809B2 (en) Blockchain cross-chain non-fungible token exchange
CN109544160B (zh) 一种基于区块链和智能合约的交易真实性验证方法及系统
US10977626B2 (en) Semi-private blockchain virtual currency exchange systems
JP2022550924A (ja) トークン化プラットフォーム
CN105378774A (zh) 安全交易系统和方法
KR20170056332A (ko) 비트코인을 이용한 오프라인 지불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0509458A (ja) コンピュータにより実現され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12767163B (zh) 基于区块链的数字商品交易方法和装置
KR102437601B1 (ko) 고유 코드와 매칭된 nft를 기반으로 한 제품 거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품 거래 방법
TW201626301A (zh) 電子憑證產生裝置及其系統
US11392978B2 (en) Device with rule based offers
US11304059B2 (en) Techniques for determining authenticity of an item
KR102438846B1 (ko) Did 기반 사용자 스타일 정보의 nft 자산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323715B1 (ko) 중고 명품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A2997813A1 (en) Electronic certificate-based goods distribution system
US20230334472A1 (en) Automatically pairing physical assets to a non-fungible token or digital asset
CN110223063B (zh) 基于零知识证明的供应链数据管理方法及装置
CA3176726C (en) Electronic certificate-based payment system
TWM565363U (zh) 基於區塊鏈的虛擬貨幣整合系統
US20210125177A1 (en) Authentication network for transaction data
Zocca et al. Combining NFC Authenticated Tags with NFTs to Spot Counterfeit Luxury Products Using Solana Blockchain
KR102528059B1 (ko) Nft 기반의 전자상거래 운영시스템 및 방법
US20230396430A1 (en) Tag-based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20240135340A1 (en) Blockchain Cross-Chain Non-Fungible Token Excha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