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2014A -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2014A
KR20240012014A KR1020220089391A KR20220089391A KR20240012014A KR 20240012014 A KR20240012014 A KR 20240012014A KR 1020220089391 A KR1020220089391 A KR 1020220089391A KR 20220089391 A KR20220089391 A KR 20220089391A KR 20240012014 A KR20240012014 A KR 20240012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content
verification
transaction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9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재병
유숙인
Original Assignee
채재병
유숙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재병, 유숙인 filed Critical 채재병
Priority to KR1020220089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2014A/ko
Publication of KR20240012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201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9Buyer or seller confidence or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6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certificates, e.g. public key certificate [PKC] or attribute certificate [AC];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arrang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유성이 부여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를 보호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털 콘텐츠를 획득하고자 하는 요청신호를 획득하며, 디지털 콘텐츠를 획득하도록 하는 구매자 단말 유닛; 디지털 콘텐츠를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보유하며, 디지털 콘텐츠를 상기 구매자 단말 유닛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소유자 단말 유닛; 구매자 단말 유닛의 요청신호에 따라, 디지털 콘텐츠를 소유자 단말 유닛으로부터 구매자 단말 유닛으로 전송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트랜잭션 유닛; 및 트랜잭션 유닛의 소정의 레퍼런스 정보를 제공하고, 디지털 콘텐츠의 권리자 확인을 통하여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에 대하여 검증하는 베리피케이션 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System for protection of trade content by verifying transaction sender}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거래를 보호하고자 하는 시스템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고유성을 가지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의 불법 또는 부실한 거래소 이용방지 및 소유자의 확인과 검증을 통하여 고유성을 가지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시 발생되는 폐해를 방지하고자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에 대한 기술분야이다.
NFT(Non-Fungible Token)란 대체 불가능한 정보를 덧붙인 블록체인 토큰으로, 블록체인 암호화 기술을 활용하여 그림, 영상, 음악과 같은 디지털 파일에 별도의 고유한 식별 정보를 부여하는 것으로 디지털 파일의 원본성, 진본성, 유일성을 증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다만, 고유성을 부여하는 토큰(NFT)을 발행하기 전 저작권법에 대한 쟁점이 존재하는데, 고유성이 부여되지 않은 디지털 데이터의 경우, 쉽게 복제 가능하다는 것에 대한 리스크가 존재할 수 있으며, 고유성을 부여하는 토큰이 타인의 저작물에 대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저작권에 대한 문제가 발생되어질 수 있다.
NFT의 경우, 거래소를 통하여 디지털 아트를 비롯한 다양한 디지털 자산이 거래되며, 플랫폼을 통하여 고유성을 부여하는 토큰(NFT)이 발행되는 민팅(minting)이 이루어지게 된다.
플랫폼 내(예컨대, 오픈씨)에서 실제로 만들어진 NFT의 85% 이상은 표절이나 가짜에 해당하며 실질적으로 거래에 문제가 있었다는 사례가 존재한다.
고유성을 부여하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예를 들어 선행 특허문헌 "지식재산권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NFT 컨텐츠의 저촉/위조 여부 판단 및 모니터링방법(등록번호 제10-2410669호,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가 존재한다.
특허문헌 1에 따른 특허발명의 경우, 지식재산권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NFT 컨텐츠의 저촉/위조 여부 판단 및 모니터링방법은, 관리서버의 업로드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가 지정한 사용자 NFT(Not Fungible Token) 컨텐츠를 저장하는 (a)단계, 관리서버의 통신부가 선택된 지식재산권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는 (b)단계, 관리서버의 컨텐츠 비교부가 미리 입력된 이미지 비교 알고리즘을 통해, 지식재산권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문서들에 포함된 이미지를 업로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NFT 컨텐츠와 비교 판단하여, 기 설정된 기준유사도 이상인 이미지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c)단계 및 (c)단계의 판단 결과 기 설정된 기준유사도 이상인 이미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관리서버의 태그설정부가 사용자 NFT 컨텐츠에 유사 주의 태그를 부여하는 (d)단계를 포함한다.
아울러,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등록번호 제10-2355550호, 이하 특허문헌2라 한다.)"가 존재한다.
특허문헌2의 경우,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실물 자산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실물 자산을 대체불가능한 토큰(Non-Fungible Token; NFT)과 매칭시키는 단계; 제1 사용자를 실물 자산의 소유자로 설정하는 단계; 및 제1 사용자로부터 제2 사자가 실물 자산을 구매하는 경우, 제2 사용자를 실물 자산의 소유자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물 자산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거래소에 대한 평가 방법에 대한 선행문헌으로는 예컨대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소 상장여부 평가방법(공개번호 제10-2020-0130767호, 이하 특허문헌3이라 한다.)"가 존재한다.
특허문헌 3의 경우,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블록체인 암호화폐 거래소 상장여부 평가 방법에 있어서, ICO 암호화폐의 메타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ICO 암호화폐의 메타데이터를 트레이닝 데이터세트를 이용하여 딥러닝하는 단계; 및 딥러닝된 결과 정보 및 외부 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ICO 성공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종래의 특허문헌 1 내지 2의 경우, NFT대한 검증이 지식재산권의 데이터 베이스 및 실물 자산 소유자를 설정하는 방법을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며, 특허문헌 3의 경우, 머신러닝을 통하여 암호화폐 거래소에 대한 정보를 평가하는 것에 해당하는 것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실질적으로 현재 NFT 거래 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NFT를 발행한 주체와 크리에이터가 동일한지에 대한 여부와 NFT가 불법 또는 부실 거래되는 거래소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과 검증에 대한 내용과는 다른 방식을 통한 검증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원 발명은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거래 시 1) 정당한 거래 사이트 검증 및 2) 판매자(트랜잭션 샌더)가 실제 크리에이터와 일치하는지를 검증함을 통하여 NFT대한 거래를 보호하고자 한다.
등록번호 제10-2410669호 등록번호 제10-2355550호 공개번호 제10-2020-0130767호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구매자에 의한 고유성을 지닌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 불법, 부실 거래소의 이용을 방지하도록 한다.
둘째, 고유성을 지닌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 권한자와 거래자가 다른 것을 확인하도록 한다.
셋째, 소유자가 고유성을 지닌 디지털 콘텐츠를 거래하고자 하는 경우, 구매자의 단말기를 통하여 불법, 부실 거래소에 대한 정보와 거래 시 발생할 수 있는 권리자 확인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은 고유성이 부여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를 보호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획득하고자 하는 요청신호를 획득하며, 상기 요청신호에 따라 종국적으로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획득하도록 하는 구매자 단말 유닛;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보유하며, 상기 요청신호에 따른 수락신호에 따라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상기 구매자 단말 유닛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소유자 단말 유닛; 상기 구매자 단말 유닛의 상기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요청신호를 수락하는 상기 수락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상기 소유자 단말 유닛으로부터 상기 구매자 단말 유닛으로 전송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트랜잭션 유닛(transaction unit); 및 상기 구매자 단말 유닛의 상기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트랜잭션 유닛의 소정의 레퍼런스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권리자 확인을 통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에 대하여 검증하는 베리피케이션 유닛(verification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의 상기 베리피케이션 유닛은, 상기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 상기 소정의 레퍼런스 정보를 통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 거래의 검증 기준에 대한 가변적 검증 영역을 선택적으로 할당한 가변적 데이터를 상기 구매자 단말 유닛에 제공하는 트레이드 매니지먼트(trade management)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의 상기 베리피케이션 유닛은, 상기 구매자 단말 유닛으로부터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상기 요청정보 발생 시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권한 정보를 상기 구매자 단말 유닛에 제공하는 서티피케이트 매니지먼트(certificate management)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의 상기 베리피케이션 유닛은, 상기 구매자 단말 유닛으로부터 서비스 신청을 수신하여, 상기 구매자 단말 유닛에게 서비스에 대한 앱 설치를 요청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부; 및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소에 대한 소정의 레퍼런스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소정의 레퍼런스 정보로부터 검증 기준에 대한 가변적 검증 영역을 할당하여 상기 가변적 데이터를 형성하는 가변 영역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의 상기 베리피케이션 유닛은, 상기 디지털 콘텐츠 거래 요청시 상기 가변적 데이터를 통해 상기 디지털 콘텐츠 거래에 대한 안전성을 검증하는 거래 안전성 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의 상기 베리피케이션 유닛은, 상기 디지털 콘텐츠 거래 요청시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상기 권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권한 정보를 통해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권한 검증 정보를 제공하는 검증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의 상기 가변 영역 설정부는, 상기 소정의 레퍼런스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되, i)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정보; ii)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권리자에 대한 계좌 확인 정보; 또는 iii)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권리자의 신분 확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하여 상기 소정의 레퍼런스에 대한 정보가 가변적으로 결정되고, 상기 가변적 데이터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의 상기 거래 안전성 확인부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 상기 거래소가 상기 가변적 데이터 범위 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거래 위험 정보를 안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의 상기 베리피케이션 유닛은,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공개키와 개인키 사용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디지털 콘텐츠가 공개키를 사용하여 고유성이 발생된 경우,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의 상기 베리피케이션 유닛은, 상기 구매자 단말 유닛의 상기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 상기 서비스에 대한 앱을 통해 상기 가변적 데이터와 상기 권한 정보를 교차적으로 확인하여 상기 구매자 단말 유닛의 상기 디지털 콘텐츠 거래를 교차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레퍼런스 정보를 통하여 거래 검증 기준에 대한 가변적 검증 영역을 선택적으로 할당하여 구매자 단말 유닛에 제공하여, 거래 시 가변적 검증 영역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고 거래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둘째, 디지털 콘텐츠의 공개키와 개인키 사용여부 확인을 통하여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권한자와 거래자에 대한 권한 정보를 확인하여, 거래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셋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거래 정보, 권리자의 계좌 확인 정보, 권리자의 신분 확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하여 레퍼런스 정보가 가변적으로 설정되어 가변적 데이터를 형성하고, 가변적 데이터를 통하여 거래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 중 베리피케이션 유닛의 가변적 데이터에 대한 가변적 검증 영역이 할당되고, 디지털 콘텐츠 거래에 대한 안전성을 검증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 중 베리피케이션 유닛을 통해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 중 베리피케이션 유닛을 통해 검증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를 통해 소유자로부터 구매자로 디지털 콘텐츠가 전송된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의 베리피케이션 유닛의 서비스 제공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의 베리피케이션 유닛의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의 베리피케이션 유닛의 하위 구성을 도시한 또 다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 중 베리피케이션 유닛의 가변적 데이터에 대한 가변적 검증 영역이 할당되고, 디지털 콘텐츠 거래에 대한 안전성을 검증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 중 베리피케이션 유닛을 통해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 중 베리피케이션 유닛을 통해 검증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를 통해 소유자로부터 구매자로 디지털 콘텐츠가 전송된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의 베리피케이션 유닛의 서비스 제공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의 베리피케이션 유닛의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의 베리피케이션 유닛의 하위 구성을 도시한 또 다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은 고유성이 부여된 디지털 콘텐츠(1)에 대한 거래를 보호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블록체인 상에서 거래되는 디지털 콘텐츠(1)에 대한 거래 중 디지털 콘텐츠(1)를 거래하고자 하는 구매자에게 레퍼런스 정보를 제공하고, 디지털 콘텐츠(1)에 대한 권리자 확인을 통해 디지털 콘텐츠(1)에 대한 거래 보호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은 구매자 단말 유닛(100), 소유자 단말 유닛(200), 트랜잭션 유닛(300), 베리피케이션 유닛(40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먼저, 구매자 단말 유닛(100)은, 디지털 콘텐츠(1)를 획득하고자 하는 요청신호를 획득하며, 요청신호에 따라 종국적으로는 디지털 콘텐츠(1)를 획득하도록 한다.
디지털 콘텐츠(1)의 경우, 고유성이 부여된 디지털 콘텐츠(1)에 해당하는 것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디지털 콘텐츠(1) 내에 토큰(token, 2)이 부여된 것을 의미한다.
고유성이 부여된 디지털 콘텐츠(1)의 경우, NFT(Non-fungible token)을 의미할 수 있으며, 고유성의 경우, 디지털 콘텐츠(1)의 고유한 원본성 및 소유권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 유닛(100)의 경우, 구매자의 요청 신호를 획득하며, 요청 신호에 따라 디지털 콘텐츠(1)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매자 단말 유닛(100)은, 네트워크 가능한 것으로서,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아이패드 등),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등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데이터에 대한 입력과 출력이 가능한 기기에 해당할 수 있다.
소비자 단말 유닛(200)의 경우, 디지털 콘텐츠(1)를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보유하며, 요청신호에 따른 수락신호에 따라 디지털 콘텐츠(1)를 구매자 단말 유닛(100)으로 전송되도록 한다.
소비자 단말 유닛(200)은 디지털 콘텐츠(1)가 거래되도록 하기 위해 예컨대, 자신의 월렛(wallet) 내에 디지털 콘텐츠(1)를 보관 또는 보유할 수 있으며, 또한, 거래소에 디지털 콘텐츠(1)를 업로드하여 거래소 내에 보관하는 방법으로 디지털 콘텐츠(1)를 보유할 수도 있다.
소유자 단말 유닛(200)의 경우, 디지털 콘텐츠(1)를 구매자 단말 유닛(100)으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는데, 디지털 콘텐츠(1)의 경우, 소유자 단말 유닛(200)으로부터 거래소를 거쳐 구매자 단말 유닛(100)으로 전송되어질 수 있다.
소유자 단말 유닛(200)의 경우도 네트워크 가능한 것으로서,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아이패드 등),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등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데이터에 대한 입력과 출력이 가능한 기기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랜잭션 유닛(300, transaction unit)의 경우, 구매자 단말 유닛(100)의 요청신호에 따라 요청신호를 수락하는 수락신호를 제공하며, 디지털 콘텐츠(1)를 소유자 단말 유닛(200)으로부터 구매자 단말 유닛(100)으로 전송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트랜잭션 유닛(300)의 경우, 디지털 콘텐츠(1)에 대하여 소유권에 대한 권한 변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디지털 콘텐츠(1)의 소유권에 대한 정보가 변환되도록 할 수 있다.
베리피케이션 유닛(400)은 구매자 단말 유닛(100)의 요청신호에 따라 트랜잭션 유닛(300)의 소정의 레퍼런스 정보를 제공하고, 디지털 콘텐츠(1)의 권리자 확인을 통해 디지털 콘텐츠(1)의 거래에 대하여 검증하도록 한다.
베리피케이션 유닛(400)의 경우, 구매자의 디지털 콘텐츠(1) 거래 시 불법 혹은 부실 거래소에 대한 이용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구매자 단말 유닛(100)의 디지털 콘텐츠(1) 거래 시 거래소에 대한 레퍼런스 정보를 제공하여 거래소에 대한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구매자의 스마트 폰(smartphone)을 이용하여 디지털 콘텐츠(1)에 대한 거래가 이루어지는 경우, 베리피케이션 유닛(400)은 거래소에 대한 정보를 통하여 거래소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거래소에 대한 검증 후 거래소가 불법 혹은 부실 거래소로 의심되는 경우, 구매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고객님이 거래하시려는 사이트는 안전하지 않습니다."라는 푸시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의 베리피케이션 유닛(400)은, 트레이드 매니지먼트(41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트레이드 매니지먼트(410)의 경우, 디지털 콘텐츠(1) 거래 시 소정의 레퍼런스 정보를 통하여 디지털 콘텐츠(1) 거래의 검증 기준에 대한 가변적 검증 영역을 선택적으로 할당한 가변적 데이터를 구매자 단말 유닛(100)에 제공할 수 있다.
소정의 레퍼런스 정보의 경우, 거래소에 대한 정보에 해당하는 것으로 불법 혹은 부실 거래소에 대하여 판단하고 검증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레퍼런스 정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베이스 서버를 통하여 레퍼런스 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레퍼런스 정보를 통해 가변적 검증 영역이 선택적으로 할당되어 지도록 할 수 있는데, 가변적 검증 영역의 경우, 예컨대, 거래소에서 신분확인이 이루어졌지, 거래가 원활하게 진행되었는지, 검증 가능한 계좌를 확인했는지에 대하여 레퍼런스 정보를 통하여 가변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가변적 검증 영역을 설정함을 통하여 각 거래소로부터 주어진 데이터에 대하여 거래소의 불법 혹은 부실 검증 기준이 정해지도록 할 수 있으며, 검증 영역의 경우, 가변적으로 설정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의 베리피케이션 유닛(400)은, 서티피케이트 매니지먼트부(42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서티피케이트 매니지먼트부(420)의 경우, 구매자 단말 유닛(100)으로부터 디지털 콘텐츠(1)의 요청정보 발생시 디지털 콘텐츠(1)에 대한 권한 정보를 구매자 단말 유닛(100)에 제공할 수 있다.
서티피케이트 매니지먼트부(420)는, 디지털 콘텐츠(1)에 대한 거래 시 발생되는 트랜잰션 샌더(transaction sender)를 확인하는 것으로 거래 시 슬립민팅(Sleepminting)을 방지하고자 한다.
슬립민팅의 경우, 원작자의 의도와 다르게 위조 또는 변조를 통하여 유효할 수 없는 고유성이 부여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트랜잭션 샌더의 경우, 디지털 콘텐츠(1)에 대한 거래 시 디지털 콘텐츠(1)를 발송하는 샌더에 해당할 수 있으며, 판매자 또는 소유자에 해당할 수 있다.
서티피케이트 매니지먼트부(420)는 트랜잭션 샌더(transaction sender)와 크리에이터(creator)와의 관계를 검증함에 따라 거래에 대한 권한 정보를 확인하고 검증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의 베리피케이션 유닛(400)은, 어플리케이션 제공부(401), 가변 영역 설정부(402), 거래 안전성 확인부(403), 검증 정보 제공부(404)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어플리케이션 제공부(401)의 경우, 구매자 단말 유닛(100)으로부터 서비스 신청을 수신하여, 구매자 단말 유닛(100)에게 서비스에 대한 앱 설치를 요청한다.
베리피케이션 유닛(400)의 정보는 구매자 단말 유닛(100)을 통해 구매자에게 제공되도록 하는데, 서비스에 대한 앱(application)을 통하여 구매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구매자 단말 유닛(100)에 앱에 대한 설치를 요청하는 것이 어플리케이션 제공부(401)가 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앱(application, App)에 대한 설치와 앱(application)을 통한 서비스 및 정보 제공에 대하여 설명하자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매자가 베리피케이션 유닛(400)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기 위해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서비스에 대한 신청은 본인인증을 통하여 결제함을 통해 구매자에 대한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구매자가 신청한 서비스에 따라 베리피케이션 유닛(400)을 이용할 수 있는 앱을 설치하도록 하며, 이는, 앱 사용에 대한 결제 완료 고객에게 앱 설치를 요청하고, 앱이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베리피케이션 유닛(400)의 경우, 구매자의 월렛(wallet), 클라우드 등에 저장된 디지털 콘텐츠(1)에 대한 관련정보 제공 동의를 요청할 수 있다.
앞서 구매자가 동의한 디지털 콘텐츠(1)에 대한 관련 정보에 대하여서는 베리피케이션 유닛(400)의 데이터베이스(DB) 서버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베리피케이션 유닛(400)이 보유하는 레퍼런스 정보를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개시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DB) 서버에 저장된 구매자의 디지털 콘텐츠 정보를 활용하여 구매자가 디지털 콘텐츠(1)를 거래하는 경우, 안전거래가 가능하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가변 영역 설정부(402)의 경우, 디지털 콘텐츠(1)의 거래소에 대한 소정의 레퍼런스 정보를 수집하여, 소정의 레퍼런스 정보로부터 검증 기준에 대한 가변적 검증 영역을 할당하여 가변적 데이터를 형성하도록 한다.
검증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검증 기준에 대하여 가변적으로 검증 영역이 할당되어 설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검증 기준에 대한 자세한 사항에 대해서는 가변 영역 설정부(402)의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거래 안전성 확인부(403)의 경우, 디지털 콘텐츠(1) 거래 요청시 가변적 데이터를 통하여 디지털 콘텐츠(1) 거래에 대한 안전성을 검증하도록 한다.
거래 안전성 확인부(403)의 경우, 디지털 콘텐츠(1)에 대하여 안전성을 검증하도록 할 수 있는데, 안전성의 경우, 디지털 콘텐츠(1)를 거래하고자 하는 트랜잭션 유닛(300)에 대한 안전성을 검증하는 것으로, 트랜잭션 유닛(300)의 안전성은 가변적 데이터를 통하여 검증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구매자 단말 유닛(100)을 통하여 디지털 콘텐츠(1)의 거래가 요청되는 경우, 해당 디지털 콘텐츠(1)의 거래가 이루어지는 트랜잭션 유닛(300)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베리피케이션 유닛(400)에 포함된 레퍼런스 정보 중 가변적 데이터를 통하여 트랜잭션 유닛(300)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트랜잭션 유닛(300)에 대하여, 가변적 데이터 중 부실 또는 불법 거래 정보에 대하여 확인되는 경우, 트랜잭션 유닛(300)이 안전하지 않은 사이트임이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검증 정보 제공부(404)의 경우, 디지털 콘텐츠(1) 거래 요청시 디지털 콘텐츠(1)의 권한 정보를 확인하고, 권한 정보를 통해 디지털 콘텐츠(1)에 대한 권한 검증 정보를 제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리피케이션 유닛(400)의 경우, 디지털 콘텐츠(1)에 대하여 권한 정보를 확인하고, 구매자 단말 유닛(100)에게 디지털 콘텐츠(1)에 대한 권한 검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의 가변 영역 설정부(402)는, 소정의 레퍼런스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되, i) 디지털 콘텐츠(1)의 거래 정보; ii) 디지털 콘텐츠(1)의 권리자에 대한 계좌 확인 정보; 또는 iii) 디지털 콘텐츠(1)의 권리자의 신분 확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하여 소정의 레퍼런스에 대한 정보가 가변적으로 결정되고, 가변적 데이터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한다.
가변적 데이터의 경우, 식별된 일부 거래소에 대하여 접근, 이동, 서비스, 특정 권한, 인식에 대하여 명시적으로 허가하는 목록에 해당할 수 있다.
가변적 데이터의 범위의 경우, 거래소의 검증 범위에 대한 기준이 어느 정도까지 인정되는지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신분 확인 정보의 경우, 신분을 확인하는 정보가 신용카드, 주민번호, SNS를 통한 신분 정보 위임을 통한 신분 확인이 되는지에 대한 신분 확인 정보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계좌확인의 경우, 각국의 법령에 따라 가변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기준점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거래 정보의 경우, 거래소의 거래 히스토리에 해당할 수 있으며, 거래 히스토리 중 거래사고, 입금에 대한 지연, 이자 지연, 반대 의무 위반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가변적 데이터의 범위는 확장 또는 축소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변적 데이터의 경우, 예컨대, 거래소가 안전한 거래소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데이터에 해당할 수 있으며, 가변적 데이터를 통하여 거래소가 리스크 영역 내에 해당하는지 또는 리스크 영역 밖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의 거래 안전성 확인부(403)는, 디지털 콘텐츠(1) 거래 시 거래소가 가변적 데이터 범위 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디지털 콘텐츠(1)에 대한 거래 위험 정보를 안내하도록 한다.
거래 위험 정보의 경우, 구매자 단말 유닛(100)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예컨대, 구매자 단말 유닛(100)의 앱 푸시 안내를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거래 위험 정보는 거래하는 거래소에 대한 안전성 정보에 해당할 수 있으며, 거래하려는 사이트 또는 앱이 안전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는 문구, 아이콘, 소리 알림, 진동 알림, 문자 알림 등을 통하여 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의 베리피케이션 유닛(400)의 경우, 디지털 콘텐츠(1)의 공개키와 개인키 사용여부를 확인하며, 디지털 콘텐츠(1)가 공개키를 사용하여 고유성이 발생된 경우, 디지털 콘텐츠(1)의 거래가 제한되도록 한다.
종래의 디지털 콘텐츠에 고유성을 발행하는 경우, 최초 NFT 생성과정 시 공개키와 개인키를 저장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공개키(public-key)의 경우, 공개된 것이며, 개인키(private key)의 경우, 공개되지 않으며 개인이 아니면 알 수 없는 것으로 비밀리에 사용하는 키에 해당한다.
공개키와 개인키를 저장하여 사용하는 경우, 사용 시 고유성 발행에 대한 정보의 개인서명이 디지털 콘텐츠 내에 봉인 저장되는데, 이와 동시에 공개키와 개인키에 사용에 대한 데이터가 동시에 발행되어 개인서명과 함께 합치되고, 봉인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의 NFT발행(민팅, minting)의 경우, 거래소에서 공개키를 확인하여 트랜잭션 샌더(발송자)를 표시함으로 원작자의 의도와 다르게 위변조를 통하여 유효할 수 없는 고유성이 부여된(슬립민팅, Sleepminting)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의 베리피케이션 유닛(400)의 경우, 거래 시 트랜잭션 샌더를 확인하여, 공개키를 통하여 디지털 콘텐츠(1)에 고유성이 발행된 경우와 개인키를 통하여 디지털 콘텐츠(1)에 고유성이 발행된 경우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콘텐츠(1)가 공개키를 사용하여 고유성이 발생된 경우, 거래를 제한 또는 제한에 대한 안내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의 베리피케이션 유닛(400)의 경우, 구매자 단말 유닛(100)의 디지털 콘텐츠(1) 거래 시 서비스에 대한 앱을 통해 가변적 데이터와 권한 정보를 교차적으로 확인하여 구매자 단말 유닛(100)의 디지털 콘텐츠(1) 거래를 교차 검증한다.
베리피케이션 유닛(400)의 경우, 거래소에 대한 정보 확인과 함께, 디지털 콘텐츠(1)에 대한 권한 정보를 확인하여 디지털 콘텐츠(1)에 대한 거래를 교차적으로 검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디지털 콘텐츠 거래에 대한 문제점으로는, 불법 또는 부실 거래소에 대한 이용과, 디지털 콘텐츠 자체에 대하여 크리에이터(creator)와 판매자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디지털 콘텐츠(1)에 대한 거래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원 발명은 이에 대한 문제점을 방지하고자 불법 또는 부실 거래소에 대하여 확인함과 함께, 크리에이터와 판매자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1)의 권한 정보를 교차적으로 확인하고 검증하여 거래에 대하여 검증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은 쉐어링 유닛(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쉐어링 유닛(500)의 경우, 복수 개의 노드로 형성되며, 복수 개의 노드(node)를 통하여 디지털 콘텐츠에 개인키 또는 공개키를 통하여 고유성이 발생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콘텐츠(1)에 발생된 트랜잭션(transaction)에 대하여 공유한다.
디지털 콘텐츠(1)의 트랜잭션의 경우, 디지털 콘텐츠(1)에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정보에 해당하는 것으로 디지털 콘텐츠에서 발생한 이벤트 기록을 의미한다.
예컨대, 디지털 콘텐츠(1)에 개인키를 이용하여 고유성이 발행된 경우, 고유성 발행에 대한 이벤트가 복수 개의 노드에 공유되도록 하는 것이다.
복수 개의 노드의 경우, 공유된 디지털 콘텐츠(1)에 대한 트랜잭션의 정보를 공유하고 합치한다.
복수 개의 노드는 미리 설정된 군집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복수 개의 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에서 디지털 콘텐츠(1)에 대한 트랜잭션이 발생되면, 복수 개의 노드에 공유된 트랜잭션 정보를 각각 비교하고, 복수 개의 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를 통하여 트랜잭션 정보에 대한 이벤트의 수정 및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 개의 노드에 트랜잭션이 공유되는 과정을 통하여, 디지털 콘텐츠(1)에 고유성이 발행되는 과정이 모든 복수 개의 노드에 공유되어 저장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복수 개의 노드는 트랜잭션에 대하여 상호 교차적으로 매칭 비교함을 통하여 디지털 콘텐츠(1)에 대한 이벤트가 상호 정합되는지 여부를 매칭 비교하고, 각각에 저장된 디지털 콘텐츠(1)에 대한 이벤트가 합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어느 하나의 노드에서 디지털 콘텐츠(1)의 이벤트 발생되었으나, 노드 상호 간의 정합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구매자 단말 유닛(100), 소유자 단말 유닛(200), 트랜잭션 유닛(300), 베리피케이션 유닛(400)으로부터 소싱되지 않은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거되고, 노드 상호 간의 디지털 콘텐츠(1)의 이벤트에 대한 정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디지털 콘텐츠(1)가 개인키 또는 공유키를 이용하여 고유성이 발생되었다는 이벤트에 대하여 복수 개의 노드에 공유함으로 고유성이 발행된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신뢰를 담보할 수 있으며, 베리피케이션 유닛(400)은 공개키와 개인키 사용여부를 확인 시 복수 개의 노드를 통하여 검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디지털 콘텐츠
2: 고유성 제공 토큰(token)
100: 구매자 단말 유닛
200: 소유자 단말 유닛
300: 트랜잭션 유닛(transaction unit)
400: 베리피케이션 유닛(verification unit)
410: 트레이드 매니지먼트(trade management)부
420: 서티피케이트 매니지먼트(certificate management)부
401: 어플리케이션 제공부
402: 가변 영역 설정부
403: 거래 안전성 확인부
404: 검증 정보 제공부

Claims (10)

  1. 고유성이 부여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를 보호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획득하고자 하는 요청신호를 획득하며, 상기 요청신호에 따라 종국적으로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획득하도록 하는 구매자 단말 유닛;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보유하며, 상기 요청신호에 따른 수락신호에 따라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상기 구매자 단말 유닛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소유자 단말 유닛;
    상기 구매자 단말 유닛의 상기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요청신호를 수락하는 상기 수락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상기 소유자 단말 유닛으로부터 상기 구매자 단말 유닛으로 전송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트랜잭션 유닛(transaction unit); 및
    상기 구매자 단말 유닛의 상기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트랜잭션 유닛의 소정의 레퍼런스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권리자 확인을 통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에 대하여 검증하는 베리피케이션 유닛(verification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피케이션 유닛은,
    상기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 상기 소정의 레퍼런스 정보를 통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 거래의 검증 기준에 대한 가변적 검증 영역을 선택적으로 할당한 가변적 데이터를 상기 구매자 단말 유닛에 제공하는 트레이드 매니지먼트(trade management)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피케이션 유닛은,
    상기 구매자 단말 유닛으로부터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상기 요청정보 발생 시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권한 정보를 상기 구매자 단말 유닛에 제공하는 서티피케이트 매니지먼트(certificate management)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피케이션 유닛은,
    상기 구매자 단말 유닛으로부터 서비스 신청을 수신하여, 상기 구매자 단말 유닛에게 서비스에 대한 앱 설치를 요청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부; 및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소에 대한 소정의 레퍼런스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소정의 레퍼런스 정보로부터 검증 기준에 대한 가변적 검증 영역을 할당하여 상기 가변적 데이터를 형성하는 가변 영역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피케이션 유닛은,
    상기 디지털 콘텐츠 거래 요청시 상기 가변적 데이터를 통해 상기 디지털 콘텐츠 거래에 대한 안전성을 검증하는 거래 안전성 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피케이션 유닛은,
    상기 디지털 콘텐츠 거래 요청시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상기 권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권한 정보를 통해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권한 검증 정보를 제공하는 검증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영역 설정부는,
    상기 소정의 레퍼런스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되,
    i)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정보;
    ii)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권리자에 대한 계좌 확인 정보; 또는
    iii)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권리자의 신분 확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하여 상기 소정의 레퍼런스에 대한 정보가 가변적으로 결정되고, 상기 가변적 데이터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 안전성 확인부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 상기 거래소가 상기 가변적 데이터 범위 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거래 위험 정보를 안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피케이션 유닛은,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공개키와 개인키 사용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디지털 콘텐츠가 공개키를 사용하여 고유성이 발생된 경우,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피케이션 유닛은,
    상기 구매자 단말 유닛의 상기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 상기 서비스에 대한 앱을 통해 상기 가변적 데이터와 상기 권한 정보를 교차적으로 확인하여 상기 구매자 단말 유닛의 상기 디지털 콘텐츠 거래를 교차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



KR1020220089391A 2022-07-20 2022-07-20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 KR202400120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391A KR20240012014A (ko) 2022-07-20 2022-07-20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391A KR20240012014A (ko) 2022-07-20 2022-07-20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2014A true KR20240012014A (ko) 2024-01-29

Family

ID=89717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9391A KR20240012014A (ko) 2022-07-20 2022-07-20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2014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0767A (ko) 2019-04-30 2020-11-20 초록소프트 주식회사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소 상장여부 평가방법
KR102355550B1 (ko) 2021-06-22 2022-02-08 주식회사 매스어답션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10669B1 (ko) 2021-12-31 2022-06-22 주식회사 메타버즈 지식재산권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nft 컨텐츠의 저촉/위조 여부 판단 및 모니터링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0767A (ko) 2019-04-30 2020-11-20 초록소프트 주식회사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소 상장여부 평가방법
KR102355550B1 (ko) 2021-06-22 2022-02-08 주식회사 매스어답션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10669B1 (ko) 2021-12-31 2022-06-22 주식회사 메타버즈 지식재산권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nft 컨텐츠의 저촉/위조 여부 판단 및 모니터링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878B1 (ko) 블록체인 기반 저작권 관리 시스템
JP6494004B1 (ja) 個人情報管理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83529B1 (ko) 저작권 침해 방지를 위한 스마트 컨트랙트 시스템
KR101534146B1 (ko) 데이터로 관리되는 무형화폐인 비트머니의 생성 방법과 제공서비스 시스템
KR101877345B1 (ko) 블록체인 및 이와 연동되는 머클 트리 구조 기반의 토큰 아이디를 이용하여 카드 사용을 승인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CN112749957A (zh) 基于区块链的资产权利管理系统及其方法
JP2023062065A (ja) ブロックチェーンに格納された個人データを安全に共有するための非接触カードの使用
CN110766405B (zh) 数字资产凭证继承转移中的信息处理方法、和相关装置
US20090271321A1 (en) Method and system for verific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CN111814195B (zh) 一种基于可信硬件的数据管理方法、装置及设备
US11663595B1 (en) Blockchain transactional identity verification
KR101983530B1 (ko) 블록체인에 저작물을 저장하는 등록 시스템
KR102372960B1 (ko) 블록체인 기반으로 상품 정품 인증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102069002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위변조를 방지하는 이력관리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1876672B1 (ko) 블록 체인을 이용한 전자 서명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CN112862589A (zh) 金融场景下的身份验证方法、装置和系统
KR20240012014A (ko) 디지털 콘텐츠의 권한 정보 검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보호 시스템
KR102635489B1 (ko) 블록체인 기반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71647B1 (ko) 데이터 상호 공유 오브젝트 검증을 통한 포트폴리오 관리 시스템
KR20210058091A (ko) 블록체인 기반 위변조 방지 및 인증마크 부여를 통한 이력관리 시스템 제공방법
KR20210058092A (ko) Eid를 이용한 거래자 인증을 수반하는 블록체인 기반 거래내역 관리방법
KR102447638B1 (ko) 트레이드 정보가 제시되는 디지털 데이터의 선택적 거래 승인을 통한 디지털 데이터 거래 처리 시스템
KR102550994B1 (ko) 대체불가능 토큰(nft)을 이용한 한시적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 및 시스템
KR102473824B1 (ko) 데이터의 성격에 따라 트레이딩 가능성을 선택적으로 포스팅하는 디지털 도큐먼트 트레이딩 체크 시스템
KR102276527B1 (ko) 오브젝트의 정보 변경 방지를 위한 오브젝트 발행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