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0994B1 - 대체불가능 토큰(nft)을 이용한 한시적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체불가능 토큰(nft)을 이용한 한시적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0994B1
KR102550994B1 KR1020220095628A KR20220095628A KR102550994B1 KR 102550994 B1 KR102550994 B1 KR 102550994B1 KR 1020220095628 A KR1020220095628 A KR 1020220095628A KR 20220095628 A KR20220095628 A KR 20220095628A KR 102550994 B1 KR102550994 B1 KR 102550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content
rental
nft
original
cop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5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균
Original Assignee
(주)내스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내스타일 filed Critical (주)내스타일
Priority to KR1020220095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994B1/ko
Priority to US17/950,077 priority patent/US2024003764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06Q20/1235Shopping for digital content with control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e-cash details, e.g. blinded, divisible or detecting double spen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9Keeping log of transactions for guaranteeing non-repudiation of a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6Transaction verification involving fraud or risk level assessment in transaction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Abstract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권을 인증하는 원본 NFT를 발행하는 단계, 상기 원본 NFT가 인증하는 디지털 콘텐츠 원본을 안전 분산 스토리지에 보관하는 단계, 임차인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임대용 디지털 콘텐츠 사본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임대용 디지털 콘텐츠 사본을 임대 분산 스토리지에 보관하는 단계, 상기 임대용 디지털 콘텐츠 사본에 접근 가능한 임시 URL을 생성하는 단계 및 디지털 콘텐츠의 임대권을 인증하는 임대 NFT를 발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체불가능 토큰(NFT)을 이용한 한시적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temporal leasing digital contents by use of NFT}
본 발명은 대체불가능 토큰(NFT)을 이용한 한시적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서는 제3자의 접근이 불가능한 별도 스토리지에 저장하고, 스토리지 접근 가능한 URL을 한시적으로 제공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대여하는 NFT 임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권을 인증하고 이를 통해 디지털 콘텐츠를 판매하는 방식으로서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이 인터넷으로 연결된 네트워크 상에서 소유권에 대한 거래를 증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각광받고 있다. 2021년 기준 글로벌 NFT 시장 규모가 400억 달러에 달하는 등 임의 수정이 불가능한 블록체인 상에 거래 기록을 저장하고 소유권을 보장받는 특성으로 인한 예술산업, 게임 산업 등에서 시장이 커지는 양상이다.
대체가능(fungible) 토큰은 각기 동일한 가치와 기능을 가진다. 서로 교환이 가능하며 동일 단위의 1:1 교환이 발생할 경우 사실상 교환이 발생하지 않았던 것과 동일하며, 명목화폐, 비트코인 등의 통상적 암호화폐, 귀금속, 채권 등이 이에 해당된다. 반면 대체불가능 토큰(NFT)은 각기 고유성을 지니기 때문에 다른 토큰과 1:1로 교환할 수 없는 특성을 가진다. 예를 들어 항공권은 발권자, 비행편, 좌석위치 등 전부 특정되어 있으므로 완전 동일하게 다른 항공권으로 대체할 수 없는 것과 유사하다.
NFT는 암호화된 거래내역을 블록체인에 영구적으로 남김으로써 고유성을 보장을 수 있으며, 따라서 예를 들어 창작자가 이미지 파일, 동영상 파일, 음성 파일 등과 같은 자신의 고유한 디지털 데이터를 창작(생성)한 후 이 창작물의 소유권을 인증하는 수단으로 NFT를 발행하고 NFT를 거래함으로써 디지털 데이터의 소유권을 타인에게 매매하는 수단으로 활용하기도 한다.
다만, 대체 불가능 토큰은 디지털 콘텐츠의 원본 소유권 증명을 위한 용도로만 활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라는 점에서 적극적인 활용이 도모되지 않는 실정이다.
나아가, 대체 불가능 토큰 기술에 있어서 우려되는 점으로 지적되는 것은 거래 사실을 증빙하는 NFT 자체는 블록체인 상에 발행되어 변조불가능하다 하더라도, 대상이 되는 원본 파일은 블록체인 상에 보관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원본 파일이 삭제되거나 변조될 수 있다는 점이다.
미국특허공개공보 US2022/022,364 A1 (2022.07.14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체불가능 토큰(NFT)을 이용한 한시적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서는 제3자의 접근이 불가능한 별도 스토리지에 저장하고, 스토리지 접근 가능한 URL을 한시적으로 제공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대여하는 NFT 임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대체불가능 토큰(NFT)을 이용한 한시적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권을 인증하는 원본 NFT를 발행하는 단계;
상기 원본 NFT가 인증하는 디지털 콘텐츠 원본을 안전 분산 스토리지에 보관하는 단계;
임차인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임대용 디지털 콘텐츠 사본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임대용 디지털 콘텐츠 사본을 임대 분산 스토리지에 보관하는 단계;
상기 임대용 디지털 콘텐츠 사본에 접근 가능한 임시 URL을 생성하는 단계; 및
디지털 콘텐츠의 임대권을 인증하는 임대 NFT를 발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원본 NFT는 블록체인의 노드에 저장되는 온-체인 데이터로서 적어도 NFT 소유자 정보, 디지털 콘텐츠 원본 저장위치 정보, 임대 조건 정보를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임대 조건 정보는 적어도 임대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본 NFT가 인증하는 디지털 콘텐츠 원본을 안전 분산 스토리지에 보관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안전 분산 스토리지는 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접근 및 인증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임대 NFT는 블록체인의 노드에 저장되는 온-체인 데이터로서 적어도 NFT 임차인 정보, 디지털 콘텐츠 사본 저장위치 정보, 임대 조건 정보, 임시 URL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차인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임대용 디지털 콘텐츠 사본을 생성하는 단계는 스테가노그래피 기술을 적용하여 사본을 생성할 수 있다.
임대용 디지털 콘텐츠 사본의 유출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대체불가능 토큰(NFT)을 이용한 한시적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가 해결 수단으로 제시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대체불가능 토큰(NFT)을 이용한 한시적 디지털 콘텐츠 임대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권을 인증하는 원본 NFT 및 임대권을 인증하는 임대 NFT를 발행하는 NFT 발행부;
원본 디지털 콘텐츠를 저장하는 원본 분산 스토리지 및 사본 디지털 콘텐츠를 저장하는 사본 분산 스토리지를 제어하는 분산 스토리지 관리부;
디지털 콘텐츠의 매매에 대한 대가 또는 임대에 대한 대가를 지급하는 전자지갑 관리부;
블록체인 상에 발행된 원본 NFT 및 임대 NFT의 원장을 관리하는 블록체인 관리부;
적어도 원본 분산 스토리지 및 사본 분산 스토리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임차인 관련 정보를 부가하여 사본 디지털 콘텐츠를 생성하는 사본생성부; 및
임차인에게 한시적 접근권한을 부여하는 임시 URL을 생성하는 임시 URL 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원본 NFT는 블록체인의 노드에 저장되는 온-체인 데이터로서 적어도 NFT 소유자 정보, 디지털 콘텐츠 원본 저장위치 정보, 임대 조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대 NFT는 블록체인의 노드에 저장되는 온-체인 데이터로서 적어도 NFT 임차인 정보, 디지털 콘텐츠 사본 저장위치 정보, 임대 조건 정보, 임시 URL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본생성부는 스테가노그래피 기술을 적용하여 사본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원본 파일의 유출 및 훼손에 취약한 기존의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의 NFT 거래 및 임대와 관련된 문제점을 해결하고 원본 파일에 대한 유출을 최소화하고, 다수의 제3자에게 NFT 임대가 가능하도록 한시적 URL을 제공하는 임대 NFT를 발행하고 관련 분산 스토리지 제어 개념을 도입하여 사본 파일의 관리를 통한 NFT 임대 서비스를 원활히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시적 디지털 콘텐츠 임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NFT 거래 플랫폼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분산 스토리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임대 시스템의 구성요소들 간의 상호간 동작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한시적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원본 NFT 및 임대 NFT의 구체적인 내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될 수 있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 또는 당해 기술 분야에 속한 통상의 기술자가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시적 디지털 콘텐츠 임대 시스템(10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한시적 디지털 콘텐츠 임대 시스템은 NFT 발행 전자장치(100), NFT 거래 플랫폼(200), 사용자 전자장치(300), 블록체인 네트워크(400), 분산 스토리지(50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 주체(100,200,300,400,500)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상호간에 연결 및 통신할 수 있다.
NFT 발행 전자장치(100)는 디지털 콘텐츠 자산을 생성하거나 판매/임대하고자 하는 자산을 보유하거나 관리 권한을 가진 전자장치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소유자 단말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데스크탑 컴퓨터 등 임의의 휴대용/비휴대용 또는 무선/유선 컴퓨터 장치일 수 있으며 특정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지털 자산은 컴퓨터 장치에 저장될 수 있는 형태의 디지털 콘텐츠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이미지 파일, 동영상 파일, 음성 파일, 문서파일 등 컴퓨터에 저장가능한 형태의 임의의 디지털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전자장치(300)는 NFT 발행 전자장치(100)가 소유한 디지털 콘텐츠를 임대하고자 하는 임차인의 단말을 의미한다. 사용자 전자장치(300) (20)의 단말도 예를 들어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데스크탑 컴퓨터 등 임의의 컴퓨터 장치일 수 있으며 특정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는 공지의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한 분산형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는 대체불가능 토큰(NFT)을 발행하고 저장할 수 있는 구조의 네트워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는 이더리움 기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이다. 디지털 콘텐츠 소유자는 공지의 NFT 발행 플랫폼 또는 NFT 거래 플랫폼(예를 들어 OpenSea, Rarible 등)에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소유권을 인증하는 NFT("원본 NFT"를 발행하거나 구매할 수 있다.
이 때 디지털 콘텐츠 자체(이하 "원본 콘텐츠"라고도 함)를 블록체인 네트워크(400) 상의 노드들에 분산 저장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대규모 용량을 블록체인에 온-체인으로 저장하는 경우 막대한 처리 비용이 발생하므로 별도의 저장 스토리지에 저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별도의 분산 스토리지(500)를 구성요소로 하여 원본 디지털 콘텐츠 및 사본 디지털 콘텐츠를 별도로 저장하여 인증 제어 및/또는 접근 제어를 통해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특히 원본 파일의 경우 "매매"와 같이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권 자체를 매매하는 경우에 한해서만 원본 스토리지에 접근 권한을 부여하고 "임대"의 경우에는 사본 디지털 콘텐츠에만 접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변경/훼손/분실 가능성을 예방하고, 임차인 정보 등 임대 관련 정보가 포함된 사본 디지털 콘텐츠만을 임대에 활용함으로써 원본 파일 훼손 방지 및 유출 방지 등의 본 발명에서 의도한 효과를 확보할 수 있도록 분산 스토리지(50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분산 스토리지(500)의 세부 구성이 도시된다.
NFT 거래 플랫폼(200)은 NFT 발행 전자장치(100)에서 제공되는 원본 콘텐츠에 대하여 사용자 전자장치(300)에게 매매/임대 등 거래가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일 실시예에서 NFT 거래 플랫폼(200)은 원본 콘텐츠를 "원본 NFT"의 소유자만 제한적 접근이 가능하도록 원본 분산 스토리지에 저장하고, 임대를 위한 사본 콘텐츠를 생성한 뒤 "임대 NFT"를 발행하고 이를 임차인에게 전송함으로써 사본 콘텐츠에 대한 제한적 접근만을 임차인에게 제공함으로써 임대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다. NFT 거래 플랫폼(200)에 대한 세부구성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원본 디지털 콘텐츠는 암호화 되어 저장되므로 이를 복호화하기 위한 키 관리 시스템 정보는 소유자에게만 제공될 수 있다. 이외에도 원본 NFT 소유자만이 원본 콘텐츠가 저장된 안전 분산 스토리지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시 알고리즘 및 서명값에 대한 인증 제어정보가 소유자에게만 제공될 수 있다. 서명 값은 접근 제어 정보를 소정의 해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생성한 값이고 이 때 사용된 해시 알고리즘을 토큰 URI에 기록한다. 이 때 해시의 대상은 접근 제어 정보, 즉 소유권 정보와 키 관리 시스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분일 수 있고, 대안적으로 원본 콘텐츠의 저장 위치 등 다른 정보가 추가적으로 해시 대상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도 1에 따른 NFT 거래 플랫폼(2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NFT 거래 플랫폼(200)은 사용자 관리부(210), NFT 발행부(220), 전자지갑 관리부(230), 블록체인(원장) 관리부(240), 통신부(280), 분산 스토리지 관리부(270), 사본 생성부(260), 임시 URL 생성부(250)를 포함한다.
사용자 관리부(210)는 디지털 콘텐츠의 매도인/임대인(NFT 발행 전자장치(도1 의 100))과 매수인/임차인(사용자 전자장치(300))의 개인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부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관리부(210)는 회원가입 관리, 회원명부 생성 및 관리, 회원의 계정 생성 및 관리, 전자지갑 생성 및 관리 등의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하드웨어 자원(예컨대 데이터베이스 등) 및/또는 소프트웨어(예컨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등) 자원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회원 관리 기능들은 공지 기술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사용자 관리부(210)는 디지털 콘텐츠의 매도/매수를 목적으로 하는 회원 및 임대/임차를 목적으로 하는 회원을 구분하여 개인 정보를 별도로 수집하고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관리부(210)는 임대/임차를 목적으로 하는 회원은 임대기간, 임대기간 당 임대료, 유출방지 조건, 사용 조건 등의 정보를 별도로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관리부(210)는 매도/매수를 목적으로 하는 회원은 매매비용 등의 정보를 별도로 수집할 수 있다.
NFT 발행부(220)는 원본 NFT 및 임대 NFT를 발행하고 관리하는 기능부이다. 예를 들어 NFT 발행부(120)는 NFT 발행 전자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원본 NFT(예컨대 기존 이더리움 기반으로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권을 인증하기 위해 생성한 NFT)를 생성(발행)하고 저장할 수 있다. 원본 NFT의 메타데이터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도 1의 400)의 온-체인 상에 저장될 수 있으며, 콘텐츠 데이터는 분산 스토리지(500)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FT 발행부(120)는 사용자 전자장치(도 1의 300)의 임대 요청에 따라 임대 NFT를 생성(발행)하고 저장할 수 있다. 임대 NFT는 원본 디지털 콘텐츠로부터 생성된 사본 디지털 콘텐츠의 대여에 대한 NFT로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속 정보는 포함되지 않고, 사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한시적 접속/사용 권한이 주어지는 정보만을 포함하도록 발행될 수 있다.
전자지갑 관리부(230)는 NFT를 통한 원본 콘텐츠의 매도 또는 사본 콘텐츠의 임대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트랜잭션으로 인한 수수료를 권리자의 단말인 NFT 발행 전자장치(100)의 전자지갑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블록체인 관리부(24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도 1의 400)상에 발행된 원본 NFT 및 임대 NFT의 원장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임시 URL 생성부(250)는 임대 NFT의 스마트 컨트랙트에 포함되는 URL 주소로 임대 NFT에 대한 권리자가 원본과 콘텐츠 적으로 동일성을 가지는 사본 콘텐츠에 대한 접근 권한을 가질 수 있는 임시 URL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임시 URL 생성부(250)는 새로운 임차인이 생기고 임대차 거래에 대한 트랜잭션이 발생하는 경우 임대 기간 동안만 작동하는 임시 URL을 생성할 수 있다. 임시 URL 생성부(250)는 구체적으로 사용자 전자장치(도 1의 300)과 사본 분산 스토리지(520)간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임시 URL을 생성하고, 해당 URL은 원본 분산 스토리지(510)와의 접속은 불가능하도록 하여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 권한은 제공하지 않는다.
사본 생성부(260)는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임차인 관련 정보를 부가하여 사본 디지털 콘텐츠를 생성한다. 사본 생성부(260)는 스테가노그래피 기술을 적용하여 사본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본 생성부(260)는 원본 콘텐츠의 내용과 더불어 적어도 NFT 임차인 정보, 디지털 콘텐츠 사본 저장위치 정보, 임대 조건 정보, 임시 URL 를 포함하는 사본 콘텐츠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분산 스토리지 관리부(270)는 분산 스토리지(500)의 원본 분산 스토리지(510) 및 사본 분산 스토리지(520)에 대한 접근을 관리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분산 스토리지(500)는 저장된 디지털 콘텐츠에 권한 있는 자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부이다. 일 실시예에서, NFT 거래 플랫폼(200)은 원본 NFT를 생성할 때 원본 분산 스토리지(510)에 접근 가능한 경로(이하 '접속 경로' 또는 '접속 정보' 라고도 함)를 생성하고 이를 원본 NFT 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원본 NFT 소유자는 원본 NFT에 포함된 접속 정보에 따라 분산 스토리지 관리부(270)에 액세스 요청을 하고, 분산 스토리지 관리부(270)는 접속 정보를 검증하여 권한 있는 소유자인지 여부를 판단한 후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의외의 임차인은 원본 분산 스토리지(510)에 대한 접근이 차단됨으로써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훼손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분산 스토리지 관리부(270)는 임대 NFT의 소유자인 임차인의 요청에 따라 임시 URL을 통해 접속하는 경우 권한 있는 소유자인지 여부를 판단한 후 사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임대 NFT 및 사본 디지털 콘텐츠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 임차인임을 확인할 수 있는 임대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만약 사본 콘텐츠 데이터가 유출되는 경우 유출자 및 유출된 임대 NFT를 특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NFT 거래 플랫폼(200)은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통신 모듈 등과 같이 다른 범용적인 요소들이 서버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는 서버에서 처리되는 각종 명령어들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는 ROM, PROM, 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PRAM, MRAM, RRAM, FRAM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DRAM, SRAM, SDRAM, PRAM, RRAM, Fe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고, HDD, SSD, SD, Micro-SD 등의 형태, 또는 이들에 관한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NFT 거래 플랫폼(200)의 운영을 위해 요구되는 처리 과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프로세서는 서버 내부의 각종 연산들을 처리하기 위한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 또는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고, 단일의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는 CPU, GPU 및 AP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되는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NFT 거래 플랫폼(200)의 각 구성인 사용자 관리부(210), NFT 발행부(220), 전자지갑 관리부(230), 블록체인(원장) 관리부(240), 통신부(280), 분산 스토리지 관리부(270), 사본 생성부(260), 임시 URL 생성부(25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분산 스토리지(500)이 도시된다. 분산 스토리지(500)는 원본 분산 스토리지(510) 및 사본 분산 스토리지(520)를 포함 할 수 있다. 분산 스토리지(500)는 IPFS와 같은 분산형 저장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특정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원본 분산 스토리지(510)는 원본 디지털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원본 파일의 경우 "매매"와 같이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권 자체를 매매하는 경우에 한해서만 원본 스토리지에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사본 분산 스토리지(520)는 사본 디지털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사본 파일의 경우"임대"와 같이 사본 디지털 콘텐츠에만 접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변경/훼손/분실 가능성을 예방하고, 임차인 정보 등 임대 관련 정보가 포함된 사본 디지털 콘텐츠만을 임대에 활용함으로써 원본 파일 훼손 방지 및 유출 방지 등의 본 발명에서 의도한 효과를 확보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4는 도 1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임대 시스템의 구성요소들 간의 상호간 동작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NFT 발행 전자장치(100), NFT 거래 플랫폼(200), 사용자 전자장치(300), 블록체인 네트워크(400), 분산 스토리지(500)의 구체적인 작동이 도시된다.
단계(S110)에서 NFT 발행 전자장치(100)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원본 NFT 발행을 플랫폼(200)으로 요청할 수 있다. NFT 거래 플랫폼(200)은 원본 NFT를 발행 후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상에 등록할 수 있다.
단계(S120)에서 플랫폼(200)은 원본 디지털 콘텐츠 데이터를 분산 스토리지(500)에 저장할 수 있다. 원본 파일은 권한 없는 제3자가 확인할 수 없도록 암호화 된 상태로 분산 스토리지(500)에 저장될 수 있다. 분산 스토리지(5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원본 파일 및 사본 파일에 대한 저장소를 구분하도록 구성되고 이를 통한 원본 파일의 훼손을 예방할 수 있다.
단계(S130)에서 사용자 전자장치(300)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내용을 NFT 거래 플랫폼(200)에서 확인하고 해당 파일에 대한 임대 요청을 제안할 수 있다.
단계(S140)에서 플랫폼(200)은 파일에 대한 임대를 수행하기 위해 사본 디지털 콘텐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사본 디지털 콘텐츠 데이터는 원본 디지털 콘텐츠 데이터와 동등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고, 임대 정보 및 임차인을 특정할 수 있도록 추가 임대 정보를 포함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단계(S150)에서 생성된 사본 파일은 분산 스토리지(500)에 저장될 수 있다. 사본 파일의 저장소는 원본 파일의 저장소와는 분리된 상태로 저장된다.
단계(S160)에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임대 계약의 내용 및 임대료 약정, 사본 파일에 대한 접속 권한 및 URL 주소가 포함된 임대 NFT가 블록체인(400) 상에 발행될 수 있다. 이때, 계약에 의해 정해진 임대료가 원본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자인 NFT 발행 전자장치(100)의 전자지급으로 전송될 수 있다.
단계(S170)에서, 임차인은 사본 파일에 대한 URL을 통해 임대 NFT에 의해서 규정된 임대 기간 동안만 한시적으로 사본 디지털 콘텐츠에 접속할 수 있다.
도 5는 한시적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한시적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은,
디지털 콘텐츠 NFT를 발행하는 단계(S210), 발행한 NFT 원본 파일을 안전 분산 스토리지에 보관하는 단계(S220), 전시용 사본 파일을 생성 및 보관하는 단계(S230), 임대 사용자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임대용 사본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S240), 사본 파일에 접근 가능한 임시 URL을 생성하는 단계(S250), 임대 NFT를 발행하여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단계(S260), 유출된 사본 파일을 획득하는 단계(S270), 사본 파일의 임대 사용자 관련 정보를 확인하여 유출자를 도출하는 단계(S280)를 포함할 수 있다.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도 4에 따른 방법에서 기술되지 않는 단계에 대해서 자세한 내용을 이하 후술하도록 한다.
전시용 사본 파일을 생성 및 보관하는 단계(S230)는 임대를 희망하는 사용자가 NFT 거래 플랫폼(200)에 접속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디지털 콘텐츠의 일부가 제한적으로 제공되는 전시용 사본 파일을 생성하고 보관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러한 전시용 사본 파일은 임대에 제공되는 사본 파일과 구분됨은 물론이다.
유출된 사본 파일을 획득하는 단계(S270)는 NFT 거래 플랫폼(도 2의 200)에서 WEB 검색, 크롤링의 형태로 NFT 거래 플랫폼(200)에서 거래되는 디지털 콘텐츠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일 수 있다.
사본 파일의 임대 사용자 관련 정보를 확인하여 유출자를 도출하는 단계(S28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집한 결과 사본 파일이 외부에 공개되지 않도록 규정되며 NFT 거래 플랫폼(도 2의 200)에서만 규정된 임차인에 의해서 사용되어야 하는 데이터가 유출된 경우, 사본 데이터에 포함된 임대 정보, 임차인 정보를 특정하여 유출자를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경우 원본 데이터는 콘텐츠로만 구성되어 있으나, 사본 데이터는 해당 트랜잭션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사본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고, 임대 NFT 에도 포함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사본 데이터를 수집하는 경우 유출자를 도출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원 권리자의 데이터가 적법한 권한이 없는 제3자나 악의를 가진 임차인에 의해서 임의로 재거래되거나 활용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도 6은 원본 NFT 및 임대 NFT의 구체적인 내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임대인이 제작하고 디지타이즈한 원본 NFT는 NFT 메타데이터 및 NFT 원본데이터와 사본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NFT 메타데이터는 등록일자, 임대인(소유자) 정보, 제목, 설명, 임대료, 해시값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타데이터는 온-체인 데이터로써 블록체인 상에 직접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NFT 원본데이터는 안전한 원본 분산 스토리지에 저장되고, 사본 데이터는 외부에 URL 제공만으로 접속이 가능한 임대 분산 스토리지에 저장될 수 있다.
소유자 정보는 예를 들어 원본 NFT 소유자를 식별하는 정보로서 예를 들어 NFT 소유자의 전자지갑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NFT 소유자 정보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소유자를 식별할 수 있는 임의의 식별정보로 대체될 수 있다.
임대 NFT는 등록일자, 임차인 아이디, 대상 원본 NFT, 임대 기간, 임시 URL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포함하고, 임대 계약에 대한 스마트컨트랙트가 블록체인 상에서 민팅(minting)될 수 있다. 임차인은 제공된 URL을 통해 임대 분산 스토리지에 저장된 사본 디지털 콘텐츠에 접속할 수 있으나, 외부로부터의 접근이 제한된 안전 분산 스토리지에는 접근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프로그램 코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는 비일시적 저장 매체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는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고, 프로그램 코드는 분산형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서 인공지능 파이프라인을 NFT(Non Fungible Toke) 기반으로 생성되는 소유권 정보를 기반으로 거래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는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기능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트랜잭션에 따라 업데이트되는 복수의 블록 상태(state)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서, 기법들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RAM), 판독전용 메모리 (read-only memory; ROM), 비휘발성 RAM (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NVRA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erasable PROM), 플래시 메모리, 컴팩트 디스크 (compact disc; CD),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 가능할 수도 있고,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본 개시에 설명된 기능의 특정 양태들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법들은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상에 저장되거나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여 컴퓨터 저장 매체들 및 통신 매체들 양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들은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들일 수도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스토리지 디바이스들, 또는 소망의 프로그램 코드를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이송 또는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히 칭해진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와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존재할 수도 있다. ASIC은 유저 단말 내에 존재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프로세서와 저장 매체는 유저 단말에서 개별 구성요소들로서 존재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서버에 의해 수행되고 대체불가능 토큰(NFT)을 이용한 한시적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권을 인증하는 원본 NFT를 발행하는 단계;
    상기 원본 NFT가 인증하는 디지털 콘텐츠 원본을 안전 분산 스토리지에 보관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임대 거래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 디지털 콘텐츠 원본에 대한 접속 정보를 제외한 임차인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임대용 디지털 콘텐츠 사본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임대용 디지털 콘텐츠 사본을 임대 분산 스토리지에 보관하는 단계;
    상기 임대용 디지털 콘텐츠 사본에 접근 가능한 임시 URL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임대용 디지털 콘텐츠 사본에 대한 한시적 접속/사용 권한 정보 및 디지털 콘텐츠의 임대권을 인증하는 임대 NFT를 발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시적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본 NFT는 블록체인의 노드에 저장되는 온-체인 데이터로서 적어도 NFT 소유자 정보, 디지털 콘텐츠 원본 저장위치 정보, 임대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시적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임대 조건 정보는 적어도 임대료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시적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본 NFT가 인증하는 디지털 콘텐츠 원본을 안전 분산 스토리지에 보관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안전 분산 스토리지는 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접근 및 인증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시적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대 NFT는 블록체인의 노드에 저장되는 온-체인 데이터로서 적어도 NFT 임차인 정보, 디지털 콘텐츠 사본 저장위치 정보, 임대 조건 정보, 임시 URL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시적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차인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임대용 디지털 콘텐츠 사본을 생성하는 단계는 스테가노그래피 기술을 적용하여 사본을 생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시적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임대용 디지털 콘텐츠 사본의 유출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시적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한시적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9. 대체불가능 토큰(NFT)을 이용한 한시적 디지털 콘텐츠 임대 시스템으로서,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권을 인증하는 원본 NFT 및 임대권을 인증하는 임대 NFT를 발행하는 NFT 발행부;
    원본 디지털 콘텐츠를 저장하는 원본 분산 스토리지 및 사본 디지털 콘텐츠를 저장하는 사본 분산 스토리지를 제어하는 분산 스토리지 관리부;
    디지털 콘텐츠의 매매에 대한 대가 또는 임대에 대한 대가를 지급하는 전자지갑 관리부;
    블록체인 상에 발행된 원본 NFT 및 임대 NFT의 원장을 관리하는 블록체인 관리부;
    적어도 원본 분산 스토리지 및 사본 분산 스토리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임대 거래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 디지털 콘텐츠 원본에 대한 접속 정보를 제외한 임차인 관련 정보를 부가하여 사본 디지털 콘텐츠를 생성하는 사본생성부; 및
    상기 사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한시적 접근권한을 임차인에게 부여하는 임시 URL을 생성하는 임시 URL 생성부;를 포함하는 NFT를 이용한 한시적 디지털 콘텐츠 임대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원본 NFT는 블록체인의 노드에 저장되는 온-체인 데이터로서 적어도 NFT 소유자 정보, 디지털 콘텐츠 원본 저장위치 정보, 임대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시적 디지털 콘텐츠 임대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임대 NFT는 블록체인의 노드에 저장되는 온-체인 데이터로서 적어도 NFT 임차인 정보, 디지털 콘텐츠 사본 저장위치 정보, 임대 조건 정보, 임시 URL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시적 디지털 콘텐츠 임대 시스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본생성부는 스테가노그래피 기술을 적용하여 사본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시적 디지털 콘텐츠 임대 시스템.
KR1020220095628A 2022-08-01 2022-08-01 대체불가능 토큰(nft)을 이용한 한시적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 및 시스템 KR102550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628A KR102550994B1 (ko) 2022-08-01 2022-08-01 대체불가능 토큰(nft)을 이용한 한시적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 및 시스템
US17/950,077 US20240037643A1 (en) 2022-08-01 2022-09-21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contents by use of rental nf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628A KR102550994B1 (ko) 2022-08-01 2022-08-01 대체불가능 토큰(nft)을 이용한 한시적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0994B1 true KR102550994B1 (ko) 2023-07-04

Family

ID=87156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5628A KR102550994B1 (ko) 2022-08-01 2022-08-01 대체불가능 토큰(nft)을 이용한 한시적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40037643A1 (ko)
KR (1) KR102550994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8417A (ko) * 2003-11-19 2005-05-24 유형묵 게임 아이템의 대여중개방법
KR20180113739A (ko) * 2017-04-07 2018-10-1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파일 접근 정보 상속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파일 시스템
JP2020068388A (ja) * 2018-10-19 2020-04-3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コンテンツ契約システム、コンテンツ契約方法、権利者端末、譲受人端末、制御端末、コンテンツ蓄積サーバ、権利者プログラム、譲受人プログラム、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蓄積プログラム
JP2021072116A (ja) * 2019-10-30 2021-05-06 天宿智能科技股▲分▼有限公司 ブロックチェーンに基づく資産権利管理システムとその方法
KR20210081688A (ko) * 2019-12-24 2021-07-02 주식회사 이구아나커머스 역학기반의 이커머스 개인화 솔루션과 개인화에 따른 메인화면
KR102343025B1 (ko) * 2021-10-05 2021-12-24 (주) 모로보기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품 거래 방법
US20220022364A1 (en) 2018-11-28 2022-01-27 Precision Planting Ll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crop input variety selection
KR102382272B1 (ko) * 2021-07-19 2022-04-01 황교찬 NFT(Non-Fungible Token)를 활용한 현실 공간의 임대 및 매매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388233B1 (ko) * 2021-09-02 2022-04-18 김한조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음원 플랫폼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20065259A (ko) * 2020-11-13 2022-05-20 (주)티지엑스씨 블록 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대체 불가능 토큰을 이용한 게임 아이템 자산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참여자 단말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8417A (ko) * 2003-11-19 2005-05-24 유형묵 게임 아이템의 대여중개방법
KR20180113739A (ko) * 2017-04-07 2018-10-1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파일 접근 정보 상속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파일 시스템
JP2020068388A (ja) * 2018-10-19 2020-04-3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コンテンツ契約システム、コンテンツ契約方法、権利者端末、譲受人端末、制御端末、コンテンツ蓄積サーバ、権利者プログラム、譲受人プログラム、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蓄積プログラム
US20220022364A1 (en) 2018-11-28 2022-01-27 Precision Planting Ll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crop input variety selection
JP2021072116A (ja) * 2019-10-30 2021-05-06 天宿智能科技股▲分▼有限公司 ブロックチェーンに基づく資産権利管理システムとその方法
KR20210081688A (ko) * 2019-12-24 2021-07-02 주식회사 이구아나커머스 역학기반의 이커머스 개인화 솔루션과 개인화에 따른 메인화면
KR20220065259A (ko) * 2020-11-13 2022-05-20 (주)티지엑스씨 블록 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대체 불가능 토큰을 이용한 게임 아이템 자산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참여자 단말 장치 및 시스템
KR102382272B1 (ko) * 2021-07-19 2022-04-01 황교찬 NFT(Non-Fungible Token)를 활용한 현실 공간의 임대 및 매매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388233B1 (ko) * 2021-09-02 2022-04-18 김한조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음원 플랫폼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343025B1 (ko) * 2021-10-05 2021-12-24 (주) 모로보기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품 거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37643A1 (en) 202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878B1 (ko) 블록체인 기반 저작권 관리 시스템
JP6873270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におけるスマートコントラクトに基づくトランザクション活動の取扱注意データを保護するための方法及びデバイス
KR101983529B1 (ko) 저작권 침해 방지를 위한 스마트 컨트랙트 시스템
JPWO2020080537A1 (ja) 取扱管理装置
CN112749957A (zh) 基于区块链的资产权利管理系统及其方法
US7802306B1 (en) Multiple watermarks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and content tracking
KR101981699B1 (ko) 블록체인 기반의 비디지털 저작물의 저작권 관리 시스템
BRPI0608591A2 (pt) transaÇÕes comerciais em rede
US11663595B1 (en) Blockchain transactional identity verification
KR101983530B1 (ko) 블록체인에 저작물을 저장하는 등록 시스템
US2022039188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enance of NFT Assets
KR20190107601A (ko) 사용자 개시 연합 아이덴티티의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100218239A1 (en) Digital Content Counting System and Method
US2023010042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action Management in NFT-Directed Environments
CN112085551A (zh) 一种基于区块链的交易方法及相关设备
CN110232569B (zh) 一种交易记录的读取方法、装置及存储介质
Corsi et al. TickEth, a ticketing system built on Ethereum
TW201327440A (zh) 雲端數位版權商品交易平台與雲端數位版權管理方法
US20230283466A1 (en) Content protection system
KR102550994B1 (ko) 대체불가능 토큰(nft)을 이용한 한시적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 및 시스템
CN111833059A (zh) 一种数据银行中的数据资产管理方法和数据银行系统
KR102635489B1 (ko) 블록체인 기반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5131034A (zh) 一种基于区块链的权益数字藏品的核销方法及设备
KR20230006535A (ko) 개인 정보 보호 분산 지불 수단 네트워크
EP35410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controlled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