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2272B1 - NFT(Non-Fungible Token)를 활용한 현실 공간의 임대 및 매매 시스템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NFT(Non-Fungible Token)를 활용한 현실 공간의 임대 및 매매 시스템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2272B1
KR102382272B1 KR1020210093989A KR20210093989A KR102382272B1 KR 102382272 B1 KR102382272 B1 KR 102382272B1 KR 1020210093989 A KR1020210093989 A KR 1020210093989A KR 20210093989 A KR20210093989 A KR 20210093989A KR 102382272 B1 KR102382272 B1 KR 102382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ft
digital content
display area
display device
r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3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건
박현문
우덕균
황교찬
Original Assignee
황교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교찬 filed Critical 황교찬
Priority to KR1020210093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22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 소유자와 현실 공간 소유자에 임대 또한 매매할 수 있는 NFT(Non-Fungible Token)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기존 자신이 확보한 NFT 정보를 현실 공간 전시를 위해 이루어졌던 대면 계약 혹은 온라인 거래를, NFT 내부의 메타데이터에 현실 공간의 소유자에 실 위치정보 혹은 부동산정보, 계약기간 등 포함함으로써 NFT을 통해 임대 또는 매매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NFT 시스템은 디지털 콘텐츠를 현실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고, 현실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는 실제 공간을 가상화한 공간(VS)에 현실과 동일 위치에 디지털 콘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 시스템이다.

Description

NFT(Non-Fungible Token)를 활용한 현실 공간의 임대 및 매매 시스템의 동작 방법{OPERATION METHOD OF SPACE RENTAL AND SALE SYSTEM USING NON-FUNGIBLE TOKEN}
본 발명은 NFT(Non-Fungible Token)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NFT(Non-Fungible Token)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이라는 뜻으로 디지털 자산에 고유한 코드를 부여하여 블록체인에 기록함으로써 소유자를 입증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 기술을 통해 누구나 쉽게 해당 디지털 자산의 소유자를 확인할 수 있고 개인 또는 NFT 거래소를 통해 쉽게 거래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예술적 분야에서 NFT를 활용하여 디지털 아트에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시장 활성화에 큰 도움을 주고 있는 기술이다.
(등록특허문헌) KR 제10-2199567호 (등록일자, 2021.01.07)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디지털 데이터 소유자와 현실 공간 소유자에 임대 또한 매매할 수 있는 NFT(Non-Fungible Token)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기존에 자신이 확보한 NFT 정보를 현실공간 전시를 위해 이루어졌던 대면계약 혹은 온라인 거래를, NFT 내부의 메타 데이터에 현실 공간의 소유자에 실 위치정보 혹은 부동산정보, 계약기간 등 포함함으로써 NFT을 통해 임대 또는 매매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복잡한 계약 없이도 특정 현실 공간의 단말기에 원하는 디지털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으며, 본 제안된 NFT의 거래를 통해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NFT 시스템은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는 디지털 콘텐츠를 NFT(Non-Fungible Token)로 가상 자산화한 디지털 토큰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현실공간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현실 디스플레이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현실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NFT에 기초한 계약에 따라 임대 또는 매매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현실 디스플레이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현실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NFT에 기초하여 임대 또는 매매 계약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콘텐츠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매칭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NFT 시스템은 가상 디스플레이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상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현실을 그대로 반영한 가상공간의 일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상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NFT에 기초한 계약에 따라 임대 또는 매매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콘텐츠는 상기 가상 디스플레이 영역에 매칭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콘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콘텐츠는 상기 가상 디스플레이 영역에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현실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가상 디스플레이 영역은 각각 복수 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NFT 시스템은 복수의 동작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동작모드들 중 제1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현실 디스플레이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가상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전달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동작모드들 중 제2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구매하고자 하는 제1 구매자의 제1 단말기가 상기 디지털 토큰의 소유권을 변경하는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동작모드들 중 제3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가상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구매하고자 하는 제2 구매자의 제2 단말기가 상기 디지털 토큰의 소유권을 변경하는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동작모드 및 상기 제3 동작모드가 동시에 동작하는 경우, 상기 NFT 시스템은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에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구매가격을 제시할 것을 요청하는 구매가격 요청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NFT 시스템은 상기 제1 단말기가 제시하는 제1 구매가격 및 제2 단말기가 제시하는 제2 구매가격을 비교하여 상기 디지털 토큰의 소유권을 변경하는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NFT 시스템의 동작방법에서는, 단말기가 디지털 콘텐츠를 NFT(Non-Fungible Token)로 가상 자산화한 디지털 토큰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현실공간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현실 디스플레이 영역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NFT 시스템은 현실 공간의 특정 위치 또는 현실 공간의 특정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단말기가 NFT(Non-Fungible Token)로 만들어져 가상 자산화된 자산으로 제공됨으로써 디지털 아트를 현실 공간에 전시하는 실질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NFT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NFT를 적용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NFT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NFT 시스템에 적용되는 복수 개의 현실 디스플레이 영역들 및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NFT 시스템에 적용되는 복수 개의 가상 디스플레이 영역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NFT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NFT 시스템의 동작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NFT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NFT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따른 NFT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NFT 시스템의 동작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NFT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NFT를 적용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NFT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NFT 시스템(10)은 단말기(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1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디지털 콘텐츠(DC)를 NFT(Non-Fungible Token)로 가상 자산화한 디지털 토큰(DT)에 기초하여 디지털 콘텐츠(DC)를 제공할 수 있다. NFT(Non-Fungible Token)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이라는 뜻으로, 희소성을 갖는 디지털 자산을 대표하는 토큰일 수 있다. NFT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지만, 기존의 가상자산과 달리 디지털 자산에 별도의 고유한 인식 값을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콘텐츠(DC)는 그림, 동영상, 문서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디지털 파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는 디지털 콘텐츠(DC)의 소유자일 수 있다. 제1 사용자는 NFT를 통하여 블록체인에 디지털 콘텐츠(DC)의 소유자가 제1 사용자임을 기록하고, 디지털 토큰(DT)을 생성 수 있다. 제1 사용자는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디지털 콘텐츠(DC)를 단말기(100) 외부로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10)는 디지털 콘텐츠(DC)를 디스플레이하고, 현실공간(RS)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현실 디스플레이 영역(200)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현실 디스플레이 영역(2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10)는 NFT에 기초한 계약에 따라 임대 또는 매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는 현실 디스플레이 영역(200)의 기존 소유자로부터 NFT에 기초한 제1 NFT 계약(NC1)에 따라 현실 디스플레이 영역(200)을 임대 또는 매매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10)의 기존 소유자로부터 NFT에 기초한 제2 NFT 계약(NC2)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10)를 임대 또는 매매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NFT 계약(NC1) 및 제2 NFT 계약(NC2)은 이더리움과 같은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스마트 컨트랙트일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10)는 현실 디스플레이 영역(200)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현실 디스플레이 영역(2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10)가 NFT에 기초하여 임대 또는 매매 계약되는 경우, 디지털 콘텐츠(DC)는 디스플레이 장치(210)에 매칭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는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디지털 콘텐츠(DC)를 현실 디스플레이 영역(200)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2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NFT 시스템(10)은 가상 디스플레이 영역(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상 디스플레이 영역(300)은 디지털 콘텐츠(DC)를 디스플레이하고, 가상공간(VS)의 일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실공간(RS)은 인간이 살아가는 현실의 공간으로서 도시의 건축물 내부의 공간일 수 있고, 가상공간(VS)은 인간이 실제로 사는 공간은 아니지만, 현실의 공간과 동일한 구성으로 구현되고, 단말기(100)의 내부에서 프로그램을 동작시킴으로써 생성되는 가상의 공간일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100)에 포함되는 화면을 통해서 가상공간(VS)을 경험할 수도 있고,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방식을 통해서 가상공간(VS)을 경험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상 디스플레이 영역(300)이 NFT에 기초한 계약에 따라 임대 또는 매매되는 경우, 디지털 콘텐츠(DC)는 가상 디스플레이 영역(300)에 매칭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콘텐츠(DC)가 디스플레이 장치(210)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디지털 콘텐츠(DC)는 가상 디스플레이 영역(300)에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NFT 시스템(10)은 디지털 콘텐츠(DC)를 NFT(Non-Fungible Token)로 가상 자산화한 디지털 토큰(DT)에 기초하여 디지털 콘텐츠(DC)를 현실 디스플레이 영역(200)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210) 및 가상 디스플레이 영역(300)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NFT 시스템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미지 및 영상, 음성, 음악 등 시각적, 청각적, 감각적 디지털 콘텐츠를 출력하는 장치 일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NFT 시스템에 적용되는 복수 개의 현실 디스플레이 영역들 및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NFT 시스템에 적용되는 복수 개의 가상 디스플레이 영역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NFT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210), 현실 디스플레이 영역(200) 및 가상 디스플레이 영역(300)은 각각 복수 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실공간(RS)은 제1 현실 디스플레이 영역(260), 제2 현실 디스플레이 영역(270), 제3 현실 디스플레이 영역(280) 및 제4 현실 디스플레이 영역(29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현실 디스플레이 영역(260)에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216)가 배치될 수 있고, 제2 현실 디스플레이 영역(270)에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217)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현실 디스플레이 영역(280)에는 제3 디스플레이 장치(218)가 배치될 수 있고, 제4 현실 디스플레이 영역(290)에는 제4 디스플레이 장치(219)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가상공간(VS)은 제1 가상 디스플레이 영역(360), 제2 가상 디스플레이 영역(370), 제3 가상 디스플레이 영역(380) 및 제4 가상 디스플레이 영역(39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는 가상 디스플레이 영역(300)의 기존 소유자로부터 NFT에 기초한 제3 NFT 계약(NC3)에 따라 가상 디스플레이 영역(300)을 임대 또는 매매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NFT 계약(NC3)은 이더리움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스마트 컨트랙트일 수 있다.
제1 사용자는 제1 디지털 콘텐츠(DC1) 내지 제4 디지털 콘텐츠(DC4)의 소유자일 수 있고, 제1 사용자는 NFT를 통하여 블록체인에 제1 디지털 콘텐츠(DC1) 내지 제4 디지털 콘텐츠(DC4)의 소유자가 제1 사용자임을 기록하고, 디지털 토큰(DT)을 생성 수 있다. 이 경우, 제1 사용자는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제1 디지털 콘텐츠(DC1) 내지 제4 디지털 콘텐츠(DC4)를 각각 제1 디스플레이 장치(216)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219)에 제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동시에 제1 사용자는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제1 디지털 콘텐츠(DC1) 내지 제4 디지털 콘텐츠(DC4)를 각각 제1 가상 디스플레이 영역(360) 내지 제4 가상 디스플레이 영역(390)에 제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NFT 시스템(10)은 복수의 시간간격들 동안 디지털 콘텐츠(DC)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시간들은 제1 시간(T1) 내지 제N+1 시간(TN+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시간간격들은 제1 시간간격(TI1) 내지 제N 시간간격(TIN)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시간간격(TI1)은 제1 시간(T1)부터 제2 시간(T2)까지의 시간간격일 수 있고, 제2 시간간격(TI2)은 제2 시간(T2)부터 제3 시간(T3)까지의 시간간격일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제N 시간간격(TIN)은 제N 시간(TN)부터 제N+1 시간(TN+1)까지의 시간간격일 수 있다. 단말기(100)는 제1 시간간격(TI1)동안 제1 디지털 콘텐츠(DC1)를 제1 디스플레이 장치(216)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219)에 제공하고, 동시에 제1 디지털 콘텐츠(DC1)를 제1 가상 디스플레이 영역(360) 내지 제4 가상 디스플레이 영역(39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콘텐츠(DC)의 종류, 가격 및 선호도에 따라 디스플레이 하는 시간 및 방법을 달리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NFT 시스템의 동작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의 NFT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NFT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9를 참조하면, NFT 시스템(10)은 복수의 동작모드(OM)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동작모드(OM)들은 제1 동작모드(OM1), 제2 동작모드(OM2) 및 제3 동작모드(OM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동작모드(OM)들 중 제1 동작모드(OM1)에서는, 단말기(100)가 현실 디스플레이 영역(200)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210) 및 가상 디스플레이 영역(300)에 디지털 콘텐츠(DC)를 전달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는 디지털 콘텐츠(DC)의 소유자일 수 있고, 제1 동작모드(OM1)는 제1 사용자에 의해서 동작될 수 있는 모드일 수 있다. 제1 사용자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216)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219)에 매칭되는 디지털 콘텐츠(DC)를 전달할 수 있고, 동시에 제1 가상 디스플레이 영역(360) 내지 제4 가상 디스플레이 영역(390)에 매칭되는 디지털 콘텐츠(DC)를 제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복수의 동작모드(OM)들 중 제2 동작모드(OM2)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10)를 통해서 디스플레이되는 디지털 콘텐츠(DC)를 구매하고자 하는 제1 구매자의 제1 단말기(20)가 디지털 토큰(DT)의 소유권을 변경하는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복수의 동작모드(OM)들 중 제3 동작모드(OM3)에서는, 가상 디스플레이 영역(300)에 디스플레이되는 디지털 콘텐츠(DC)를 구매하고자 하는 제2 구매자의 제2 단말기(30)가 디지털 토큰(DT)의 소유권을 변경하는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동작모드(OM2) 및 제3 동작모드(OM3)는 디지털 콘텐츠(DC)를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에 의해서 동작될 수 있는 모드일 수 있다. 현실공간(RS)에서 디지털 콘텐츠(DC)를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제2 동작모드(OM2)가 사용될 수 있고, 제1 구매자는 제1 단말기(20)를 통해서 QR코드 인식방식으로 디지털 콘텐츠(DC)를 구매할 수 있다. 또한, 가상공간(VS)에서 디지털 콘텐츠(DC)를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제3 동작모드(OM3)가 사용될 수 있고, 제2 구매자는 제2 단말기(30)를 통해서 다양한 디지털 결제방식으로 디지털 콘텐츠(DC)를 구매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동작모드(OM2) 및 제3 동작모드(OM3)가 동시에 동작하는 경우, NFT 시스템(10)은 제1 단말기(20) 및 제2 단말기(30)에 디지털 콘텐츠(DC)의 구매가격을 제시할 것을 요청하는 구매가격 요청 메시지(PR)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T 시스템(10)이 제2 동작모드(OM2) 및 제3 동작모드(OM3)가 동시에 동작하는 경우, NFT 시스템(10)은 제1 단말기(20) 사용자에 해당하는 제1 구매자 및 제2 단말기(30) 사용자에 해당하는 제2 구매자 사이에 높은 가격을 제시하는 사람을 선택하는 경매방식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NFT 시스템(10)은 제1 단말기(20) 및 제2 단말기(30)에 구매가격 요청 메시지(PR)를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NFT 시스템(10)은 제1 단말기(20)가 제시하는 제1 구매가격(PP1) 및 제2 단말기(30)가 제시하는 제2 구매가격(PP2)을 비교하여 디지털 토큰(DT)의 소유권을 변경하는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매가격(PP1)이 제2 구매가격(PP2)보다 높은 경우, NFT 시스템(10)은 제1 단말기(20)의 사용자와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NFT 시스템(10)의 동작방법에서는, 단말기(100)가 디지털 콘텐츠(DC)를 NFT(Non-Fungible Token)로 가상 자산화한 디지털 토큰(DT)에 기초하여 디지털 콘텐츠(DC)를 제공할 수 있다(S100). 현실공간(RS)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현실 디스플레이 영역(200)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210)가 디지털 콘텐츠(DC)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200). 본 발명에 따른 NFT 시스템(10)은 디지털 콘텐츠(DC)를 NFT(Non-Fungible Token)로 가상 자산화한 디지털 토큰(DT)에 기초하여 디지털 콘텐츠(DC)를 현실 디스플레이 영역(200)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210) 및 가상 디스플레이 영역(300)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NFT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NFT 시스템의 동작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NFT 시스템(10)은 제1 소유자 단말기(70), 제2 소유자 단말기(80) 및 NFT 발행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소유자 단말기(7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유자가 보유하고 있는 단말기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10)의 소유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10)가 배치될 위치정보(PI)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장치정보(DI)를 제1 소유자 단말기(70)에 보유할 수 있다. 장치정보(DI)는 디스플레이 화면 내의 출력위치 및 장비 고유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소유자 단말기(80)는 디지털 콘텐츠(DC)의 소유자가 보유하고 있는 단말기일 수 있다. 콘텐츠 주소(CA)는 디지털 콘텐츠(DC)를 접근할 수 있는 URL주소일 수 있다.
제1 소유자 단말기(70)는 현실공간(RS)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현실 디스플레이 영역(200)에 해당하는 위치정보(PI) 및 위치정보(PI)에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210)에 대한 장치 정보(DI)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소유자 단말기(80)는 디지털 콘텐츠(DC)가 위치하는 URL에 상응하는 콘텐츠 주소(CA)를 제공할 수 있다. NFT 발행부(90)는 위치정보(PI), 장치정보(DI), 콘텐츠 주소(CA), 현실의 위치정보 및 현실의 임대정보를 NFT로 가상 자산화하여 결과 NFT(RNFT)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소유자 단말기(70)는 위치정보(PI) 및 장치정보(DI)를 NFT로 가상 자산화하여 제1 NFT(NFT1)를 NFT 발행부(9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소유자 단말기(70)는 위치정보(PI) 및 장치정보(DI)를 NFT 발행부(90)로 직접 전달할 수도 있고, 위치정보(PI) 및 장치정보(DI)를 NFT로 가상 자산화한 제1 NFT(NFT1)를 NFT 발행부(90)로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소유자 단말기(80)는 콘텐츠 주소(CA)를 NFT로 가상 자산화하여 제2 NFT(NFT2)를 NFT 발행부(9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소유자 단말기(80)는 콘텐츠 주소(CA)를 NFT 발행부(90)로 직접 전달할 수도 있고, 콘텐츠 주소(CA)를 NFT로 가상 자산화한 제2 NFT(NFT2)를 NFT 발행부(90)로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NFT 발행부(90)는 제1 NFT(NFT1) 및 제2 NFT(NFT2)를 다시 NFT로 가상 자산화하여 결과 NFT(RNFT)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콘텐츠(DC)는 결과 NFT(RNFT)에 따라 매칭되는 디스플레이 장치(21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과 NFT(RNFT)에 포함되는 메타 데이터는 콘텐츠 주소(CA), 디스플레이 위치, 디스플레이 기간, 노출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주소(CA)는 노출을 원하는 디지털 콘텐츠(DC)의 URL 또는 NFT 주소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위치는 서울시 용산구 효창원로 17 서린빌딩 202호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기간은 UTC 2023년11월 12일 09:11 ~ 2023년 11월 13일 09:11일 수 있고, 노출방법은 1분에 한 번씩 디지털 콘텐츠(DC)의 URL을 갱신하면서 노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지털 콘텐츠(DC)는 서울시 용산구 효창원로 17 서린빌딩 202호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210)에 2023년11월 12일 09:11 부터 2023년 11월 13일 09:11까지 1분에 한 번씩 URL을 갱신하면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디지털 콘텐츠(DC)가 디스플레이 장치(210)에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 디지털 콘텐츠(DC)는 현실공간(RS)과 동일하게 프로그램 상에 구현되는 가상공간(VS)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가상 디스플레이 영역(300)에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10: NFT 시스템 100: 단말기
200: 현실 디스플레이 영역 210: 디스플레이 장치
300: 가상 디스플레이 영역

Claims (17)

  1. 디지털 콘텐츠를 NFT(Non-Fungible Token)로 가상 자산화한 디지털 토큰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현실공간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현실 디스플레이 영역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현실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가상공간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가상 디스플레이 영역의 각각에 대한 소유자로부터 상기 NFT에 기초한 제1 NFT 계약 내지 제3 NFT 계약에 따라 상기 현실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가상 디스플레이 영역의 각각은 임대 또는 매매되고,
    상기 디지털 콘텐츠가 상기 현실 디스플레이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동시에 상기 가상 디스플레이 영역에도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종류 및 선호도에 따라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가상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시간을 달리하고,
    NFT 시스템은 복수의 동작모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동작모드들 중 제1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현실 디스플레이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가상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전달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복수의 동작모드들 중 제2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구매하고자 하는 제1 구매자의 제1 단말기가 상기 디지털 토큰의 소유권을 변경하는 계약을 체결하고,
    상기 복수의 동작모드들 중 제3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가상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구매하고자 하는 제2 구매자의 제2 단말기가 상기 디지털 토큰의 소유권을 변경하는 계약을 체결하며,
    상기 제2 동작모드 및 상기 제3 동작모드를 구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 및 상기 가상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분리하여 소유권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현실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가상 디스플레이 영역은 각각 복수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 시스템.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작모드 및 상기 제3 동작모드가 동시에 동작하는 경우,
    상기 NFT 시스템은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에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구매가격을 제시할 것을 요청하는 구매가격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NFT 시스템은 상기 제1 단말기가 제시하는 제1 구매가격 및 제2 단말기가 제시하는 제2 구매가격을 비교하여 상기 디지털 토큰의 소유권을 변경하는 계약을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210093989A 2021-07-19 2021-07-19 NFT(Non-Fungible Token)를 활용한 현실 공간의 임대 및 매매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382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989A KR102382272B1 (ko) 2021-07-19 2021-07-19 NFT(Non-Fungible Token)를 활용한 현실 공간의 임대 및 매매 시스템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989A KR102382272B1 (ko) 2021-07-19 2021-07-19 NFT(Non-Fungible Token)를 활용한 현실 공간의 임대 및 매매 시스템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2272B1 true KR102382272B1 (ko) 2022-04-01

Family

ID=81183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3989A KR102382272B1 (ko) 2021-07-19 2021-07-19 NFT(Non-Fungible Token)를 활용한 현실 공간의 임대 및 매매 시스템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2272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8521B1 (ko) * 2022-03-25 2023-02-10 유진 메타버스 기반 가상 오피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05006B1 (ko) 2022-09-01 2023-03-02 (주)엠나인파이브 사용자 위치 기반 nft 발행 시스템
KR102505012B1 (ko) 2022-09-01 2023-03-02 (주)엠나인파이브 대체 불가능한 토큰의 사용자 위치 기반 발행 시스템
KR102516736B1 (ko) 2022-12-01 2023-03-31 (주)엠나인파이브 봇 거래 차단을 위한 민팅 시스템
KR102521383B1 (ko) 2022-04-29 2023-04-13 주식회사 나스컴퍼니 피지컬 아트의 디지털화 및 nft를 적용한 디지털 아트 제작 방법 및 시스템
KR102530110B1 (ko) * 2022-05-11 2023-05-04 정채린 개인 계정의 가상 부동산화를 이용한 권리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50994B1 (ko) * 2022-08-01 2023-07-04 (주)내스타일 대체불가능 토큰(nft)을 이용한 한시적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 및 시스템
KR102576266B1 (ko) * 2023-02-08 2023-09-08 주식회사 커먼컴퓨터 Nft를 이용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53674A (ko) 2022-04-29 2023-11-07 주식회사 이지스헬스케어 임상 의사 결정의 방법 및 시스템
WO2023220031A1 (en) * 2022-05-09 2023-11-16 Integrated Projects Technology Inc. Platform for utilization of non-fungible tokens for digital building information
KR20240011090A (ko) 2022-07-18 2024-01-25 서울대학교병원 신경망을 이용한 뇌 mri 분석 방법 및 장치
KR20240020309A (ko) 2022-08-03 2024-02-15 주식회사 빅밸류 대체 불가능한 토큰을 이용한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40028087A (ko) 2022-08-24 2024-03-05 최정만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3752A (ko) * 2013-09-23 2015-04-02 김경중 미술품 디지털 이미지 대여 및 임차 전시 시스템 및 방법
KR102199567B1 (ko) 2019-11-11 2021-01-07 주식회사 블루인덱스 블록체인 기반 예술품 거래 데이터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3752A (ko) * 2013-09-23 2015-04-02 김경중 미술품 디지털 이미지 대여 및 임차 전시 시스템 및 방법
KR102199567B1 (ko) 2019-11-11 2021-01-07 주식회사 블루인덱스 블록체인 기반 예술품 거래 데이터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8521B1 (ko) * 2022-03-25 2023-02-10 유진 메타버스 기반 가상 오피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21383B1 (ko) 2022-04-29 2023-04-13 주식회사 나스컴퍼니 피지컬 아트의 디지털화 및 nft를 적용한 디지털 아트 제작 방법 및 시스템
KR20230153674A (ko) 2022-04-29 2023-11-07 주식회사 이지스헬스케어 임상 의사 결정의 방법 및 시스템
WO2023220031A1 (en) * 2022-05-09 2023-11-16 Integrated Projects Technology Inc. Platform for utilization of non-fungible tokens for digital building information
KR102530110B1 (ko) * 2022-05-11 2023-05-04 정채린 개인 계정의 가상 부동산화를 이용한 권리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23219383A1 (ko) * 2022-05-11 2023-11-16 정채린 개인 계정의 가상 부동산화를 이용한 권리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40011090A (ko) 2022-07-18 2024-01-25 서울대학교병원 신경망을 이용한 뇌 mri 분석 방법 및 장치
KR102550994B1 (ko) * 2022-08-01 2023-07-04 (주)내스타일 대체불가능 토큰(nft)을 이용한 한시적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20309A (ko) 2022-08-03 2024-02-15 주식회사 빅밸류 대체 불가능한 토큰을 이용한 부동산 투자 시뮬레이션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40028087A (ko) 2022-08-24 2024-03-05 최정만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
KR102505012B1 (ko) 2022-09-01 2023-03-02 (주)엠나인파이브 대체 불가능한 토큰의 사용자 위치 기반 발행 시스템
KR102505006B1 (ko) 2022-09-01 2023-03-02 (주)엠나인파이브 사용자 위치 기반 nft 발행 시스템
KR102516729B1 (ko) 2022-12-01 2023-03-31 (주)엠나인파이브 Nft 발행 시스템
KR102516736B1 (ko) 2022-12-01 2023-03-31 (주)엠나인파이브 봇 거래 차단을 위한 민팅 시스템
KR102576266B1 (ko) * 2023-02-08 2023-09-08 주식회사 커먼컴퓨터 Nft를 이용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2272B1 (ko) NFT(Non-Fungible Token)를 활용한 현실 공간의 임대 및 매매 시스템의 동작 방법
US20210049696A1 (en) Trading platform networks for rarities
TW561381B (en) Activity management method
US20080109296A1 (en) Contingent rights exchange associated with a social network
US20090070249A1 (en) Contingent event rights relating to team location
US20080109322A1 (en) Rights exchange user interface
US20080109321A1 (en) Contingent forward rights exchange
US20080103801A1 (en) Contingent travel rights exchange
JP6904002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20080109323A1 (en) Associating media channels with a contingent rights exchange
US20080109233A1 (en) Contingent rights exchange relating to a private event, good or service
US20080103919A1 (en) Contingent consumer product rights exchange
KR20190014488A (ko) 컨텐츠에 대한 가상 화폐 발행 및 유통 시스템
KR100896613B1 (ko) 쇼핑몰 사이트 운영 방법
KR102000385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아트마켓 플랫폼 서비스 방법
KR20220105621A (ko) 인공신경망을 활용한 장례식 시스템
US20210019785A1 (en) Desktop computers and mobile computing device interface for beauty consulting
CN115713381A (zh) 一种基于物联网的元宇宙数字藏品销发行系统
KR20150120046A (ko) 디지털 저작물을 업로드 하는 단말, 디지털 저작물을 관리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들
KR20020077791A (ko) 인터넷을 이용한 온/오프라인상의 전시회 참관 고객 및참가업체 관리 장치 및 방법
US8386319B1 (en) Student prospects assessment system
Li The Impact of Technological Developments in Virtual Real Estate on Transactions: Virtual Reality, Blockchain, Tokens
KR20200126738A (ko) 글로벌 증권형 가상화폐를 이용한 부동산 개발투자방법
US20230169615A1 (en) Real Estate Associated Tokens
Nicol Uses, Applications, and Benefits of Virtual Reality Technologies in E-Busin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