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8087A -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8087A
KR20240028087A KR1020220106173A KR20220106173A KR20240028087A KR 20240028087 A KR20240028087 A KR 20240028087A KR 1020220106173 A KR1020220106173 A KR 1020220106173A KR 20220106173 A KR20220106173 A KR 20220106173A KR 20240028087 A KR20240028087 A KR 20240028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t
assets
nft
information
real e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6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만
Original Assignee
최정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만 filed Critical 최정만
Priority to KR1020220106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8087A/ko
Publication of KR20240028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808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06Q50/163Real estat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04L9/321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using tickets or tokens, e.g. Kerber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서비스제공자에 의해 운영되고, 부동산 자산에 대한 기본 정보인 자산기본정보와 상기 부동산 자산에 대한 평가액에 대한 정보인 자산평가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자산기본정보와 상기 자산평가정보에 따라 상기 부동산 자산을 디지털화하여 복수의 디지털 자산을 생성하고, 생성된 각각의 상기 디지털 자산이 거래될 수 있는 자산거래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서버; 및 상기 서비스제공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자산거래플랫폼이 실행되는 사용자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자산은, NFT(Non-Fungible Token)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액 투자자의 경우에도 대형 부동산과 같은 상품에 대한 투자 기회가 확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부동산과 같은 실물 자산의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실물 자산의 투자 시장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SYSTEM FOR CONVERTING REAL ASSETS TO DIGITAL ASSETS USING BLOCKCHAIN-BASED NFT}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동산과 같은 실물 자산에 대한 NFT를 발행하고, 이에 대한 거래와 수익 배분을 관리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부동산의 투자수단으로서의 가치가 더욱 부각됨에 따라, 부동산에 대한 다양한 방식의 투자 방법들이 출시되고 있다. 특히 소액 투자자의 경우에도 우량 부동산과 같은 상품에 대한 투자 기회를 확대하고자, 최근에는 리츠(Real estate Investment Trusts)라고 하는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다 부동산, 부동산 관련 증권 등에 투자, 운영하고 그 수익을 투자자에게 돌려주는 방식의 투자 방법도 출시되어 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다만, 이러한 투자 방식의 경우, 투자를 관리하는 회사는 모든 투자자들 각각의 투자금 유용 정보를 관리하고 이를 지분에 각각 반영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부동산의 경우는 공시된 등기에 의해서 권리 관계가 형성되는데, 다수의 투자자들이 존재하는 경우 이를 모두 등기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소유권 분쟁의 소지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체불가능토큰 또는 ERC-721 토큰이라고 불리는 NFT(Non-Fungible Token)는 블록체인에 저장된 디지털 등기권리증이라 할 수 있다. 등기권리증에 물건의 주소, 소유자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건물의 구조나 면적 등이 표시되어 있듯이, NFT에는 디지털 콘텐츠 원본이 저장되어 있는 곳의 인터넷 주소, 소유자의 신원 정보, 그리고 해당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 들어가 있다. 또한, NFT는 블록체인 상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삭제나 수정이 불가능하며, 원하는 사람은 누구나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NFT가 대체불가능이라 불리는 이유는 비트코인(혹은 ERC20 토큰)의 경우에는 다른 사람이 갖고 있는 비트코인과 1:1로 교환하는 게 가능하지만, NFT는 등기권리증과 같아서 다른 사람의 NFT와 맞교환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NFT의 데이터는 NFT 미디어 데이터, NFT 메타 데이터 및 NFT 스마트계약 데이터로 구성된다.
먼저, NFT 미디어 데이터란 원본 디지털 콘텐츠 자체를 의미하며, 보통 블록체인이 아닌 외부 저장매체에 보관된다. 이때, 외부 저장매체로는 IPFS(Inter Planetary File System)나 스웜(Swarm) 같은 분산형 저장매체를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NFT 미디어 데이터는 디지털 이미지, 디지털 음원 등 미디어에 관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신체 정보, 지리적 데이터, 부동산에 대한 정보 등 콘텐츠가 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데이터가 이에 해당된다.
또한, NFT 메타 데이터란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메타 정보를 의미하며, NFT 미디어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보통 블록체인이 아닌 외부 저장매체(IPFS, Swarm 등)에 보관된다. 한편, NFT 메타 데이터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 즉, 콘텐츠의 제목, 설명, 원본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경로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NFT 스마트계약 데이터란 콘텐츠의 소유권 및 계약사항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며, 블록체인에 직접 저장된다. 한편, NFT 스마트계약 데이터는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권 확인, 소유권 양도, 소유권 양도시에 로열티 지급 등의 스마트 계약에 관한 정보와, 메타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최근, 인터넷을 이용한 부동산 거래 정보의 활용이 증대됨에 따라, 부동산 매도자와 매수자 간의 매칭을 중개하는 다양한 부동산 거래 관리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 상술한 NFT를 활용하면 각종 디지털 자산을 위변조 없이, 신뢰도가 높고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현재까지 부동산 거래 관리 서비스에는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8227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동산과 같은 실물 자산에 대한 NFT를 발행하고, 이에 대한 거래와 수익 배분을 관리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서비스제공자에 의해 운영되고, 부동산 자산에 대한 기본 정보인 자산기본정보와 상기 부동산 자산에 대한 평가액에 대한 정보인 자산평가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자산기본정보와 상기 자산평가정보에 따라 상기 부동산 자산을 디지털화하여 복수의 디지털 자산을 생성하고, 생성된 각각의 상기 디지털 자산이 거래될 수 있는 자산거래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서버; 및 상기 서비스제공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자산거래플랫폼이 실행되는 사용자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자산은, NFT(Non-Fungible Toke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서비스제공서버는, 통신부와, 상기 부동산 자산에 대한 상기 자산기본정보와 상기 부동산 자산에 대한 상기 자산평가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자산거래플랫폼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자산기본정보를 생성하는 자산정보부와, 상기 자산기본정보를 기초로 상기 자산평가정보를 생성하는 자산평가부)와, 상기 NFT가 거래될 수 있는 블록체인을 형성하고, 상기 자산기본정보와 상기 자산평가정보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 내에서 거래될 수 있는 상기 부동산 자산에 대한 복수의 상기 NFT를 발행하고, 발행된 상기 NFT의 거래를 관리하는 NFT관리부와, 거래된 각각의 상기 NFT의 가격의 비율에 따라 상기 부동산 자산을 운용함으로써 얻는 수익을 배분하는 수익배분부와, 상기 자산거래플랫폼이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NFT관리부는, 상기 자산기본정보와 상기 자산평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동산 자산에 대한 NFT 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부동산 자산에 대한 NFT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부동산 자산에 대한 복수의 상기 NFT를 발행하고, NFT 스마트계약 데이터를 관리함으로써 발행된 상기 NFT의 거래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익배분부는, 상기 부동산 자산을 운용함으로써 얻는 수익을 상기 서비스제공자가 발행하는 제1 코인으로 지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제공서버는, 상기 수익배분부에서 지급받은 상기 제1 코인을 제2 코인으로 교환해주는 코인교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액 투자자의 경우에도 대형 부동산과 같은 상품에 대한 투자 기회가 확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부동산과 같은 실물 자산의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실물 자산의 투자 시장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의 서비스제공서버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의 서비스제공서버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의 자산거래플랫폼 상에 출력되는 실시간영상의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의 드론의 카메라부와 에어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의 에어부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각각의 "부", "모듈" 또는 "단계"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상태 머신, 및 등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몇몇 환경에서는, 프로세서는 주문형 반도체(ASIC),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등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은 처리 디바이스들의 조합을 지칭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는 전자 정보를 저장 가능한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메모리는 임의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비-휘발성 임의 액세스 메모리(NVRAM), 프로그램 가능 판독-전용 메모리(PROM), 소거-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 PROM(EEPROM), 플래쉬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장치, 레지스터들 등과 같은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의 다양한 유형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가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메모리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면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고 불리며, 각각의 "부", "모듈" 또는 "단계"는 전자 통신 상태에 있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에 기반한 프로그램 내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의 서비스제공서버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100)은 서비스제공서버(110)와, 사용자단말(120)을 포함한다.
서비스제공서버(110)는 서비스제공자에 의해 운영되고, 자산기본정보와 자산평가정보가 저장되고, 자산기본정보와 자산평가정보에 따라 부동산 자산을 디지털화하여 복수의 디지털 자산을 생성하고, 생성된 각각의 디지털 자산이 거래될 수 있는 자산거래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사용자단말(12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여기서 디지털 자산은 NFT(Non-Fungible Token)로 마련된다. NFT란 고유 아이디를 가지며 다른 토큰과 교환이 불가능한 대체 불가능 토큰을 의미하며, 이러한 NFT의 데이터는 NFT 미디어 데이터와, NFT 메타 데이터와, NFT 스마트계약 데이터를 포함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서비스제공서버(110)는 보다 상세하게, 통신부(111)와, 저장부(112)와, 제어부(113)를 포함한다.
통신부(111)는 외부의 데이터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단말(12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 제어부(1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네트워크는 노드들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분산형 연결 구조인 P2P 네트워크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P2P 네트워크는 Pure P2P 방식, Hybrid P2P 방식 및 Super Peer 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Pure P2P 방식은 중앙서버를 사용하지 않는 방식으로서,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컴퓨터는 똑같이 서버-클라이언트 역할을 겸하며 검색,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동일한 수준의 책임을 지는 방식이다. 또한, Hybrid P2P 방식은 기존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을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 형태의 P2P 형태로, 중앙서버가 존재해 중개 및 검색을 제공하고 데이터 전송은 개인 PC, 즉 피어 간에 주고 받는 방식이다. 또한, Super Peer 방식은 기존의 Pure P2P 방식과 Hybrid P2P 방식의 장점을 결합해 놓은 것으로, P2P 네트워크 상에 중앙서버 역할을 하는 슈퍼 피어들을 복수개 형성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Pure P2P 방식, Hybrid P2P 방식 및 Super Peer 방식은 3G, LTE, 5G, 블루투스 통신, NFC 네트워크, 인터넷, 전용선, LAN, 인트라넷 등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에 의해 동작할 수 있으며, TCP, UDP 등의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서버는 행정부에서 운영하는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 국가공간정보포털(www.nsdi.go.kr), 국토지리정보원(www.ngii.go.kr), 대법원 인터넷등기소(www.iros.go.kr),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rt.molit.go.kr), 법원경매정보포털(www.courtauction.go.kr), 한국자산관리공사(KAMCO)의 공매포털(www.onbid.co.kr), 전국 자치단체의 건축행정시스템(cloud.eais.go.kr, 세움터) 등을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자산기본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저장부(112)는 상술한 자산기본정보와 자산평가정보가 저장되고, 자산거래플랫폼이 저장되는 것으로, 제어부(1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저장부(112)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3)는 자산기본정보와 자산평가정보를 생성하고, 자산기본정보와 자산평가정보에 따라 부동산 자산을 디지털화하여 복수의 디지털 자산을 생성하고, 생성된 각각의 디지털 자산이 거래될 수 있는 자산거래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으로, 통신부(111)와 저장부(1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어부(113)는 서비스제공서버(11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13)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3)는 사용자단말(120) 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산거래플랫폼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13)는 보다 상세하게, 자산정보부(113a)와, 자산평가부(113b)와, NFT관리부(113c)와, 수익배분부(113d)와, 코인교환부(113e)와, 플랫폼제공부(113f)를 포함한다.
자산정보부(113a)는 부동산 자산에 대한 정보들을 수집하여 자산기본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자산평가부(113b), NFT관리부(113c) 및 플랫폼제공부(113f)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자산정보부(113a)는 외부의 데이터서버로부터 부동산 자산에 대한 정보들, 예를 들면, 부동산의 지적편집도, 거리뷰, 항공뷰, 위성뷰 등의 지도에 대한 정보와, 부동산의 소유자, 공유자, 채권자, 권리변동이력, 분할 및 합병 등에 대한 소유이력에 대한 정보와, 부동산의 공시지가, 실거래가 및 매매가 등의 부동산의 가격에 대한 정보와, 부동산이 토지인 경우 토지의 면적, 주소 지목 및 토지 특성에 대한 정보와, 부동산이 토지인 경우 토지의 개발, 허가 또는 정비계획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자산정보부(113a)는 상술한 정보들을 수집하여 자산기본정보를 생성한 후 저장부(112)에 저장하며, 생성된 자산기본정보는 후술하는 플랫폼제공부(113f)를 통해 자산거래플랫폼에서 출력될 수 있다.
자산평가부(113b)는 자산기본정보를 기초로 부동산 자산에 대한 평가액에 대한 정보인 자산평가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자산정보부(113a)와 저장부(112)와 NFT관리부(113c)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자산평가부(113b)는 상술한 지적편집도, 거리뷰, 항공뷰, 위성뷰 등의 지도에 대한 정보와, 부동산의 소유자, 공유자, 채권자, 권리변동이력, 분할 및 합병 등에 대한 소유이력에 대한 정보와, 부동산의 공시지가, 실거래가 및 매매가 등의 부동산의 가격에 대한 정보와, 부동산이 토지인 경우 토지의 면적, 주소 지목 및 토지 특성에 대한 정보와, 부동산이 토지인 경우 토지의 개발, 허가 또는 정비계획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자산정보부(113a)는 상술한 정보들을 기 설정된 알고리즘을 통해 종합적으로 고려한 후 해당 부동산의 평가액을 결정한다. 자산평가부(113b)는 자산평가정보를 생성한 후 저장부(112)에 저장하며, 생성된 자산평가정보는 후술하는 플랫폼제공부(113f)를 통해 자산거래플랫폼에서 출력될 수 있다.
NFT관리부(113c)는 NFT를 거래할 수 있는 블록체인을 형성하고, 자산기본정보와 자산평가정보에 따라 블록체인 내에서 부동산 자산에 대한 복수의 NFT를 발행하고, 발행된 NFT의 거래를 관리하는 것으로, 자산평가부(113b)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면, 서비스제공자가 소유한 시가가 100억인 A부동산에 대하여, NFT관리부(113c)는 10,000개의 NFT를 발행하여 자산거래플랫폼 상에서 거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NFT관리부(113c)는 NFT 발급 내용에 대한 트랜잭션이 생성되어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전송됨으로써 복수의 노드가 NFT 발급 내용에 대한 트랜잭션을 공유하면, 노드가 공유된 NFT 발급 내용에 대한 트랜잭션을 블록(Block) 단위의 체인(Chain) 형태로 저장함으로써 블록체인화하고, 이후, 각각의 노드가 블록체인화되어 전파된 NFT 발급 내용 트랜잭션에 따라 자신의 스마트계약 데이터베이스를 동기화함으로써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NFT 발급 내용이 전파된다.
한편, 각각의 노드는 해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전파된 복수의 트랜잭션을 해시값으로 변환한다. 이때, 해시 알고리즘은 SHA-256으로 마련될 수 있다. SHA-256은 표준 해시 알고리즘인 SHA-2 계열 중 하나로서, 256비트로 구성되며 64자리 문자열을 반환한다. SHA-256은 현재 블록체인에서 가장 많이 채택하여 사용되고 있는 암호화 방법이며, 출력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또한, 단방향성의 성질을 가지고 있는 암호화 방법으로 복호화가 불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NFT의 데이터는 NFT 미디어 데이터, NFT 메타 데이터 및 NFT 스마트계약 데이터로 구성되는데, 본 발명에서 NFT 미디어 데이터란 부동산 자산에 대한 원본 데이터 자체를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블록체인이 아닌 IPFS(Inter Planetary File System)나 스웜(Swarm)과 같은 외부 저장매체에 보관된다.
또한, NFT 메타 데이터란 부동산 원본 데이터에 대한 메타 정보를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NFT 미디어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블록체인이 아닌 IPFS(Inter Planetary File System)나 스웜(Swarm)과 같은 외부 저장매체에 보관된다. 한편, NFT 메타 데이터는 부동산 자산의 원본 데이터에 대한 정보, 즉, 원본 데이터의 제목, 설명, 원본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경로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NFT 스마트계약 데이터란 부동산 자산의 원본 데이터의 소유권 및 계약사항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며, NFT관리부(113c)에 의해 형성된 블록체인에 직접 저장된다. 한편, NFT 스마트계약 데이터는 원본 데이터의 소유권 확인, 소유권 양도, 소유권 양도시에 로열티 지급 등의 스마트 계약에 관한 정보와, 메타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NFT관리부(113c)는 자산기본정보와 자산평가정보에 기초하여 부동산 자산에 대한 NFT 미디어 데이터와 부동산 자산에 대한 NFT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여 부동산 자산에 대한 복수의 NFT를 발행하고, NFT 스마트계약 데이터를 관리함으로써 발행된 NFT의 거래를 관리할 수 있다.
수익배분부(113d)는 거래된 각각의 NFT의 가격의 비율에 따라 부동산 자산을 운용함으로써 얻는 수익을 배분하는 것으로, 해당 부동산을 운용하는데 발생되는 비용을 제외한 후 해당 NFT를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수익을 배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제공자가 소유한 시가가 100억인 A부동산에 대하여 NFT관리부(113c)가 발행한 NFT를 구매한 사용자는, 서비스제공자가 해당 A부동산을 타인에게 임대함으로써 발생시킨 임대수익을 소지한 NFT의 가격의 비율 및 갯수에 따라 배분받을 수 있다.
한편, 수익배분부(113d)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경우, 부동산 자산을 운용함으로써 얻는 수익을 서비스제공자가 발행하는 제1 코인으로 지급할 수 있다.
코인교환부(113e)는 사용자가 제1 코인으로 수익을 배분받은 경우 수익배분부(113d)에서 지급받은 제1 코인을 제2 코인으로 교환해주는 것으로, 코인교환부(113e)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경우 서비스제공자가 발행하는 제1 코인을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의 사용자가 원하는 제2 코인으로 교환해줄 수 있다. 이때, 제1 코인과 제2 코인의 교환비율은 교환 당시의 제1 코인과 제2 코인의 가격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플랫폼제공부(113f)는 자산거래플랫폼이 사용자단말(120)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플랫폼제공부(113f)를 통해 자산거래플랫폼 상에는 부동산 자산에 대한 자산기본정보와 자산평가정보가 출력될 수 있고, 발행된 NFT의 거래가 중개될 수 있으며, 부동산 자산을 운용함으로써 얻는 수익을 NFT 가격의 비율에 따라 배분할 수 있고, 사용자가 제1 코인으로 수익을 배분받은 경우 제1 코인을 제2 코인으로 교환해줄 수 있다.
사용자단말(120)은 상술한 자산거래플랫폼이 실행되는 것으로, 서비스제공서버(11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사용자단말(12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단말(12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12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서비스제공서버(110)와, 사용자단말(12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100)에 따르면, 소액 투자자의 경우에도 대형 부동산과 같은 상품에 대한 투자 기회가 확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부동산과 같은 실물 자산의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실물 자산의 투자 시장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의 서비스제공서버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의 자산거래플랫폼 상에 출력되는 실시간영상의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의 드론의 카메라부와 에어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의 에어부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가 부동산, 특히 토지에 대한 NFT를 매수하기 전 해당 부동산의 실물을 확인하고 싶은 경우, 자산기본정보의 지적편집도, 거리뷰, 항공뷰 및 위성뷰가 최신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직접 해당 부동산 지역을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직접 방문하더라도 해당 부동산의 전체적인 모습을 파악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200)은 서비스제공서버(210)와, 사용자단말(220)과, 드론(230)을 포함한다.
서비스제공서버(210)는 서비스제공자에 의해 운영되고, 자산기본정보와 자산평가정보가 저장되고, 자산기본정보와 자산평가정보에 따라 부동산 자산을 디지털화하여 복수의 NFT(Non-Fungible Token) 디지털 자산을 생성하고, 생성된 각각의 디지털 자산이 거래될 수 있는 자산거래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사용자단말(22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서비스제공서버(210)는 보다 상세하게, 통신부(211)와, 저장부(212)와, 제어부(213)를 포함하고, 제어부(213)는 자산정보부(213a)와, 자산평가부(213b)와, NFT관리부(213c)와, 수익배분부(213d)와, 플랫폼제공부(213f)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통신부(211)와, 저장부(212)와, 자산평가부(213b)와, NFT관리부(213c)와, 수익배분부(213d)와, 코인교환부(213e)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100)의 것과 동일한 것이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자산정보부(213a)는 부동산 자산에 대한 정보들을 수집하여 자산기본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자산정보부(213a)는 영상처리모듈(213a1)을 포함한다.
영상처리모듈(213a1)은 사용자가 자산거래플랫폼 상에서 실물을 확인하고 싶은 부동산(특히, 토지)을 선택한 후 해당 부동산에 대한 실시간영상을 요청하는 경우, 후술하는 드론(230)으로부터 해당 부동산에 대한 실시간영상을 수신한 후 이를 자산거래플랫폼 상에서 출력될 수 있도록 영상처리하는 것으로, 플랫폼제공부(213f)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플랫폼제공부(213f)는 영상처리모듈(213a1)에서 영상처리된 실시간영상을 자산거래플랫폼 상에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자산정보부(213a)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실시간영상을 출력하는 자산거래플랫폼 상에는 해당 부동산에 대한 NFT를 매수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드론(230)의 동작을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드론제어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드론제어버튼은 상승버튼, 하강버튼, 좌회전버튼, 우회전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드론(230)은 사용자단말(220)에서 실행된 자산거래플랫폼과 연동된 후, 사용자가 자산거래플랫폼 상에서 부동산(특히, 토지)을 선택한 후 해당 부동산에 대한 실시간영상을 요청하는 경우, 해당 부동산의 상공에서 해당 부동산를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실시간영상을 생성하는 것으로, 지도 상의 각 스팟(spot)에 배치되며, 토지정보제공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여기서 각 스팟은 디지털화되어 복수의 NFT 디지털 자산이 생성되었거나, 생성될 예정인 대형 부동산으로, 개발예정 토지 또는 정비예정 토지 등 사용자(즉, 매수자)들의 투자 관심도가 높은 지역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이러한 각 스팟에는 드론스테이션이 구비되어 드론(230)이 이륙 또는 착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드론(230)의 충전 또는 배터리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드론(230)은 보다 상세하게, 본체부(231)와, 하우징부(232)와, 카메라부(233)와, 에어부(234)를 포함한다.
본체부(231)는 비행수단이 구비되어 비행하는 것으로, 복수의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비행하는 일반적인 드론(drone)으로 마련될 수 있고, 수소전지 드론 또는 내풍성 강화 드론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비행수단이 구비되어 비행하는 것이라면 그 형상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하우징부(232)는 후술하는 카메라부(233)와 에어부(234)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체부(231)의 하부에 설치된다.
카메라부(233)는 상공에서 해당 토지를 바라본 영상을 촬영하여 실시간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부(231) 하부의 하우징부(232)에 설치된다. 이러한 카메라부(233)를 통해 생성된 실시간영상은 서비스제공서버(110)의 자산정보부(113a)의 영상처리모듈(213a1)로 전송되어 영상처리된 후 자산거래플랫폼 상에서 출력된다.
한편, 본 발명의 드론(230)이 우천 시 비행을 하는 경우, 카메라부(233)의 렌즈에 빗방울이 맺힐 수 있다. 이때 카메라부(233)의 화각(field of view, fov)에 대응되는 렌즈의 일부분에 빗방울이 맺히게 되면 굴절률의 차이로 인하여 촬영되는 실시간영상에 왜곡이 발생하므로 이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에어부(234)는 카메라부(233)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하우징부(232)에 설치되어 고압의 공기를 전방으로 분출하는 것으로, 고압의 공기는 빗방울의 낙하방향을 변화시켜 카메라부(233)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에어부(234)는 고압의 공기를 분출할 수 있도록 공기펌프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압의 공기는 수평으로 분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고압의 공기 분출로 인하여 카메라부(233)의 렌즈에 빗방울이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면, 그 각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르면, 카메라부(233)의 렌즈에 빗방울이 도달하지 못하도록 저지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부(233)의 렌즈에 빗방울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에어부(234)는 외부의 기상 서버 또는 서비스제공서버(110)와 연결되어 날씨정보를 전달받아 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부(234)는 우천시에만 작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고, 강수량에 따라 고압의 공기의 분출 세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풍량 및 풍향에 따라 고압의 공기의 분출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에어부(234)는 우천시에만 노출되어 작동될 수 있는데, 이러한 에어부(234)는 보다 상세하게 모터(234a)와, 피니언기어(234b)와, 랙기어(234c)와, 연장부(234d)와, 회동부(234e)와, 마운트(234f)와, 노즐부(234g)를 포함한다.
모터(234a)는 후술하는 피니언기어(234b)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하우징부(232)에 설치되어 피니언기어(234b)와 체결된다.
피니언기어(234b)는 모터(234a)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모터(234a)에 체결되어 랙기어(234c)에 치합된다.
랙기어(234c)는 피니언기어(234b)의 회전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하는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피니언기어(234b)와 치합된다.
연장부(234d)는 랙기어(234c)의 후진 또는 전진에 따라 후술하는 회동부(234e)의 일단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회동시키는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일단은 랙기어(234c)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회동부(234e)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회동부(234e)는 일단이 상방으로 회동되는 경우 연장부(234d)의 타단을 승강시키는 것으로, 일부분이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일단은 연장부(234d)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하우징부(23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하우징부(232)의 일측면에는 후술하는 마운트(234f)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부가 돌출 형성되는데, 이러한 거치부에는 마운트(234f)의 복수의 기둥이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다.
마운트(234f)는 일측면에는 후술하는 노즐부(234g)가 설치되고 타측면에는 회동부(234e)에 의해 상방으로 회동된 연장부(234d)의 일단이 접촉되는 것으로, 거치부에 거치된다.
이러한 마운트(234f)는 보다 상세하게 거치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일면에 노즐부(234g)가 설치되는 제1마운트와, 거치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일면에 회동부(234e)에 의해 상방으로 회동된 연장부(234d)의 일단이 접촉되는 제2마운트와, 거치부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제1마운트와 제2마운트를 연결하는 복수의 기둥을 포함한다.
이때, 거치부와 제2마운트 사이의 각각의 기둥에는 마운트(234f)에 탄성복원력을 인가하기 위한 탄성스프링이 구비된다.
노즐부(234g)는 공기펌프모듈에 연결되어 고압의 공기를 전방으로 분출하는 것으로, 제1마운트에 설치된다.
지금부터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에어부(234)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비가 오는 경우 하우징부(232)의 닫혀있던 개폐부가 개방되면, 모터(234a)가 회전되어 피니언기어(234b)를 일측 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랙기어(234c)가 좌측으로 이동되고, 연장부(234d)에 의해 회동부(234e)가 상방으로 회동된다. 이에 따라 연장부(234d)의 타단 또는 회동부(234e)의 일단이 마운트(234f)의 일면(제2마운트의 일면)에 접촉되어 마운트(234f)를 승강시키고, 노즐부(234g)가 하우징부(232)의 외부로 노출되어 고압의 공기를 분사한다.
그리고 비가 그친 경우 모터(234a)가 회전되어 피니언기어(234b)를 타측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랙기어(234c)가 우측으로 이동되고, 연장부(234d)에 의해 회동부(234e)가 하방으로 회동된다. 이에 따라 연장부(234d)의 타단 또는 회동부(234e)의 일단이 마운트(234f)의 일면(제2마운트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되고, 탄성스프링에 의해 마운트(234f)가 탄성복귀되어 노즐부(234g)가 하우징부(232)의 내부로 인입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서비스제공서버(210)와, 사용자단말(220)과, 드론(23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200)에 따르면, 부동산, 특히 토지에 대한 NFT를 매수하기 전 해당 부동산의 실물을 확인하고 싶은 사용자가 실제로 관심 부동산 지역을 방문할 필요 없이, 해당 부동산에 대한 실시간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우천시에도 해당 부동산에 대한 고화질의 실시간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
110 : 서비스제공서버
111 : 통신부
112 : 저장부
113 : 제어부
113a : 자산정보부
113b : 자산평가부
113c : NFT관리부
113d : 수익배분부
113e : 코인교환부
113f : 플랫폼제공부
120 : 사용자단말
200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
210 : 서비스제공서버
211 : 통신부
212 : 저장부
213 : 제어부
213a : 자산정보부
213a1 : 영상처리모듈
213b : 자산평가부
213c : NFT관리부
213d : 수익배분부
213e : 코인교환부
213f : 플랫폼제공부
220 : 사용자단말
230 : 드론
231 : 본체부
232 : 하우징부
233 : 카메라부
234 : 에어부
234a : 모터
234b : 피니언기어
234c : 랙기어
234d : 연장부
234e : 회동부
234f : 마운트
234g : 노즐부

Claims (5)

  1. 서비스제공자에 의해 운영되고, 부동산 자산에 대한 기본 정보인 자산기본정보와 상기 부동산 자산에 대한 평가액에 대한 정보인 자산평가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자산기본정보와 상기 자산평가정보에 따라 상기 부동산 자산을 디지털화하여 복수의 디지털 자산을 생성하고, 생성된 각각의 상기 디지털 자산이 거래될 수 있는 자산거래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서버; 및
    상기 서비스제공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자산거래플랫폼이 실행되는 사용자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자산은,
    NFT(Non-Fungible Toke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서버는,
    통신부와,
    상기 부동산 자산에 대한 상기 자산기본정보와 상기 부동산 자산에 대한 상기 자산평가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자산거래플랫폼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자산기본정보를 생성하는 자산정보부와,
    상기 자산기본정보를 기초로 상기 자산평가정보를 생성하는 자산평가부)와,
    상기 NFT가 거래될 수 있는 블록체인을 형성하고, 상기 자산기본정보와 상기 자산평가정보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 내에서 거래될 수 있는 상기 부동산 자산에 대한 복수의 상기 NFT를 발행하고, 발행된 상기 NFT의 거래를 관리하는 NFT관리부와,
    거래된 각각의 상기 NFT의 가격의 비율에 따라 상기 부동산 자산을 운용함으로써 얻는 수익을 배분하는 수익배분부와,
    상기 자산거래플랫폼이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제공부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NFT관리부는,
    상기 자산기본정보와 상기 자산평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동산 자산에 대한 NFT 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부동산 자산에 대한 NFT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부동산 자산에 대한 복수의 상기 NFT를 발행하고, NFT 스마트계약 데이터를 관리함으로써 발행된 상기 NFT의 거래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익배분부는,
    상기 부동산 자산을 운용함으로써 얻는 수익을 상기 서비스제공자가 발행하는 제1 코인으로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서버는,
    상기 수익배분부에서 지급받은 상기 제1 코인을 제2 코인으로 교환해주는 코인교환부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
KR1020220106173A 2022-08-24 2022-08-24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 KR202400280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173A KR20240028087A (ko) 2022-08-24 2022-08-24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173A KR20240028087A (ko) 2022-08-24 2022-08-24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8087A true KR20240028087A (ko) 2024-03-05

Family

ID=90298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6173A KR20240028087A (ko) 2022-08-24 2022-08-24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808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272B1 (ko) 2021-07-19 2022-04-01 황교찬 NFT(Non-Fungible Token)를 활용한 현실 공간의 임대 및 매매 시스템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272B1 (ko) 2021-07-19 2022-04-01 황교찬 NFT(Non-Fungible Token)를 활용한 현실 공간의 임대 및 매매 시스템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2224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lockchain rule synchronization
Lee et al. Inclusive fintech: blockchain, cryptocurrency and ICO
US20230351367A1 (en) Systems and methods of blockchain transaction recordation
Aldridge et al. Real-time risk: What investors should know about FinTech, high-frequency trading, and flash crashes
Gerard Attack of the 50 foot blockchain: Bitcoin, blockchain, Ethereum & smart contracts
US10937111B2 (en) Managing energy purchase agreements on a blockchain
JP6901664B2 (ja) 暗号複数証券資産作成および償還プラットフォーム
US11283865B2 (en) Service meshes and smart contracts for zero-trust systems
US2020027309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rental reservations with blockchain
US11557008B2 (en) Creating, monitoring, and updating energy transactions using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and contract codex
WO20200145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storage of digital assets to facilitate electronic transactions
Quest Cryptocurrency master: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cryptocurrency and Bitcoin trading, mining, investing, ethereum, ICOs, and the blockchain
Leonhard Decentralized finance on the ethereum blockchain
Klink Metropolis, money and markets: Brazilian urban financialization in times of re-emerging global finance
Malović Demystifying Bitcoin: Sleight of Hand or major global currency alternative?
KR20240028087A (ko)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실물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
US202300283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and securing transactions when blockchain connection is unreliable
US20220343331A1 (en) Assessing risk over a contingent asset lifecycle
Hamberg Cuba opens to private housing but preserves housing rights
US20150066774A1 (en) Travel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KR20230059112A (ko) 블록체인 기반의 채권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 및 방법
Rius et al. Smart derivatives: On-chain forwards for digital assets
Joshi et al. Blockchain Based Efficient and Accurate Property Title Retrieval and Secured Storage System
Bhardwaj Crypto currency for beginners
US1181018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et sharing using distributed ledger techniq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