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012B1 - 대체 불가능한 토큰의 사용자 위치 기반 발행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체 불가능한 토큰의 사용자 위치 기반 발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012B1
KR102505012B1 KR1020220112938A KR20220112938A KR102505012B1 KR 102505012 B1 KR102505012 B1 KR 102505012B1 KR 1020220112938 A KR1020220112938 A KR 1020220112938A KR 20220112938 A KR20220112938 A KR 20220112938A KR 102505012 B1 KR102505012 B1 KR 102505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ft
ring
rail
token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2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현
이진우
채민주
Original Assignee
(주)엠나인파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11076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505006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엠나인파이브 filed Critical (주)엠나인파이브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8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at point-of-sale [PO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04L9/321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using tickets or tokens, e.g. Kerberos

Abstract

본 발명은 불특정 다수가 아닌 발행자가 원하는 장소 및 사람에게 NFT 발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대체 불가능한 토큰의 사용자 위치 기반 발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가맹점이 발행한 인증토큰 NFT를 소유한 소유자의 사용자 단말기가 인증토큰 NFT를 발행한 가맹점 근처로 접근할 경우 가맹점이 발행하는 이벤트 NFT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토큰 발행 서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대체 불가능한 토큰의 사용자 위치 기반 발행 시스템{User location-based issuance system of non-fungible tokens}
본 발명은 대체 불가능한 토큰의 사용자 위치 기반 발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불특정 다수가 아닌 발행자가 원하는 장소 및 사람에게 NFT 발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대체 불가능한 토큰의 사용자 위치 기반 발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NFT(Non-Fungible Token)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이라는 뜻으로 디지털 자산에 고유한 코드를 부여하여 블록체인에 기록함으로써 소유자를 입증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 기술을 통해 누구나 쉽게 해당 디지털 자산의 소유자를 확인할 수 있고 개인 또는 NFT 거래소를 통해 쉽게 거래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예술적 분야에서 NFT를 활용하여 디지털 아트에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시장 활성화에 큰 도움을 주고 있는 기술이다.
특정 시간에 많은 사용자들이 온라인으로 지갑 연결 후에 접속해서 NFT 구매를 시도하는 바람에 네트워크 혼란과 사람 뿐만 아니라 많은 자동화된 봇(bot)으로 인해서 정상적인 구매를 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2382272호 (2022.04.01. 공고)
본 발명의 일측면은 불특정 다수가 아닌 발행자가 원하는 장소 및 사람에게 NFT 발행이 가능하고, 온라인으로 발행했을 경우 봇으로부터 대량구매가 시도되는 공격 때문에 일반 사용자들이 발행을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NFT 소유자가 NFT를 발행한 곳 근처에 도달했을 때 기프티콘 NFT 등을 Push로 알려주어 해당 소유자가 이벤트 NFT를 사용 후 소각할 수 있도록 구현한 대체 불가능한 토큰의 사용자 위치 기반 발행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체 불가능한 토큰의 사용자 위치 기반 발행 시스템은, 가맹점이 발행한 인증토큰 NFT를 소유한 소유자의 사용자 단말기가 인증토큰 NFT를 발행한 가맹점 근처로 접근할 경우 가맹점이 발행하는 이벤트 NFT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토큰 발행 서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토큰 발행 서버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가맹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진입할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이벤트 NFT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이벤트 NFT가 수령되면 사용자의 암호화폐지갑에 해당 이벤트 NFT를 저장해 둘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토큰 발행 서버부를 통해 수령되는 이벤트 NFT가 사용된 경우 해당 사용된 이벤트 NFT를 사용자의 암호화폐지갑으로부터 소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체 불가능한 토큰의 사용자 위치 기반 발행 시스템은, 이벤트 NFT를 발행하는 가맹점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접근을 상기 토큰 발행 서버부로 통지하며, 가맹점의 점주로부터 입력되는 이벤트 NFT 정보 또는 가맹점에서 판매 중인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가맹점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맹점 단말기는, 이벤트 NFT를 발행하는 가맹점에 설치되며,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4 개의 각 측면에 디스플레이 모듈이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접근을 상기 토큰 발행 서버부로 통지하며, 가맹점의 점주로부터 입력되는 이벤트 NFT 또는 가맹점에서 판매 중인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키오스크 단말기; 및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토큰 발행 서버부로 전송하는 360º 촬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360º 촬영 장치는,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의 상측에 설치되는 링형 레일; 상기 링형 레일의 외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이격 연결 설치되며, 상기 링형 레일의 외측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주변의 영상을 개별적으로 촬영한 뒤 상기 토큰 발행 서버부로 각각 전송하는 촬영 유닛; 및 상기 링형 레일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촬영 유닛의 슬라이딩 이동을 유도하는 회전 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링형 레일은,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는 레일 바디; 상기 레일 바디의 내주면과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의 상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 바디를 지지하는 레일 지지대; 및 상기 촬영 유닛이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 바디의 외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레일 바디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유도부는,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의 내측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되며, 내주면을 따라 기어산을 형성하는 링형 회전체; 및 상기 레일 바디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링형 회전체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함에 따라 상기 링형 회전체를 회전 구동시켜 주는 회전 구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촬영 유닛은, 상기 링형 회전체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링형 회전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함께 이동하는 제1 슬라이더;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전단에 설치되며, 전단이 상기 슬라이딩홈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레일 바디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연장 프레임; 상기 연장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 바디의 외주면에 안착되며, 상기 제1 슬라이더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레일 바디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슬라이더; 및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전단에 설치되며, 주변의 영상을 촬영한 뒤 상기 토큰 발행 서버부로 전송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슬라이더는, 상기 레일 바디의 외주면에 안착되는 슬라이더 바디; 상기 슬라이더 바디의 이동을 위해 상기 슬라이더 바디의 일측 및 타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 설치되어 상기 레일 바디의 외주면에 안착되는 회전휠; 상기 연장 프레임이 관통하고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 바디를 관통하고 형성되는 연통홀; 상기 연통홀보다 큰 직경을 형성하면서 상기 슬라이더 바디의 전단에 형성되는 플레이트 안착홈; 상기 플레이트 안착홈의 형상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 안착홈에 안착되며, 후단에 상기 연장 프레임의 전단이 설치되는 설치 플레이트; 및 내측을 따라 상기 연장 프레임이 배치되며, 상기 플레이트 안착홈의 내측과 상기 설치 플레이트의 후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 바디를 상기 레일 바디의 외주면으로 밀착시켜 주는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불특정 다수가 아닌 발행자가 원하는 장소 및 사람에게 NFT 발행이 가능하고, 온라인으로 발행했을 경우 봇으로부터 대량구매가 시도되는 공격 때문에 일반 사용자들이 발행을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NFT 소유자가 NFT를 발행한 곳 근처에 도달했을 때 기프티콘 NFT 등을 Push로 알려주어 해당 소유자가 이벤트 NFT를 사용 후 소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체 불가능한 토큰의 사용자 위치 기반 발행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체 불가능한 토큰의 사용자 위치 기반 발행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360º 촬영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제2 슬라이더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체 불가능한 토큰의 사용자 위치 기반 발행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체 불가능한 토큰의 사용자 위치 기반 발행 시스템(10)은, 토큰 발행 서버부(100)를 포함한다.
토큰 발행 서버부(100)는, 가맹점이 발행한 인증토큰 NFT를 소유한 소유자의 사용자 단말기(200)가 인증토큰 NFT를 발행한 가맹점 근처로 접근할 경우 가맹점이 발행하는 이벤트 NFT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200)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데스크탑 컴퓨터(PC)는 물론, 노트북(Notebook),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컴퓨터(Tablet PC) 등과 같이 일반인들에게 널리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 유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를 의미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그리고, 네트워크(N)는, 예컨대 무선 통신, 유선 통신, 광 초음파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BAN(Body Area Network), 위성 통신, 셀룰러 통신,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standard), WiFi(Wireless Fidelity), 및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는 통신 경로에 포함될 수 있는 무선 통신의 예이며, 이더넷, 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 to the Home), 및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는 통신망에 포함될 수 있는 유선 통신의 예이다. 또한, 통신망은 다수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거리를 횡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망은 직접 연결,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oRaWAN, NB-Fi, RPMA을 포함하는 저전력광대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Network)를 통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다만, 네트워크(N)는, 통신망에 관한 설명은 상기한 통신망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임의의 최신 데이터 통신망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토큰 발행 서버부(100)는, 특정 사용자 단말기(200)가 NFT를 발행받을 수 있는 장소를 설정하여 저장해 둘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200)가 해당 장소에 접근하는 경우에 한하여 해당 NFT를 발행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토큰 발행 서버부(100)는, 사용자 단말기(200)가 가맹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예를 들어, 40 내지 60m 등)로 진입할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200)로 이벤트 NFT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200)는, 이벤트 NFT가 수령되면 사용자의 암호화폐지갑에 해당 이벤트 NFT를 저장해 둘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200)는, 토큰 발행 서버부(100)를 통해 수령되는 이벤트 NFT가 사용된 경우 해당 사용된 이벤트 NFT를 사용자의 암호화폐지갑으로부터 소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200)는, 자산이 발급받은 이벤트 NFT를 QR 코드 등의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이벤트 NFT의 사용이 허용된 특정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체 불가능한 토큰의 사용자 위치 기반 발행 시스템(10)은, 특정 시간에 많은 사용자들이 온라인으로 지갑 연결 후에 접속해서 NFT 구매를 시도하는 바람에 네트워크 혼란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람 뿐만 아니라 많은 자동화된 봇(bot)으로 인해서 정상적인 구매를 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체 불가능한 토큰의 사용자 위치 기반 발행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체 불가능한 토큰의 사용자 위치 기반 발행 시스템(20)은, 토큰 발행 서버부(100) 및 가맹점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토큰 발행 서버부(1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가맹점 단말기(300)는, 이벤트 NFT를 발행하는 가맹점에 설치되며, 사용자 단말기(200)의 접근이 감지되면 사용자 단말기(200)의 접근을 토큰 발행 서버부(100)로 통지하며, 가맹점의 점주로부터 입력되는 이벤트 NFT 정보 또는 가맹점에서 판매 중인 상품 정보를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가맹점 단말기(300)는, 키오스크 단말기(400) 및 360º 촬영 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키오스크 단말기(400)는, 이벤트 NFT를 발행하는 가맹점에 설치되며,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4 개의 각 측면에 디스플레이 모듈이 설치되며, 사용자 단말기(200)의 접근이 감지되면 사용자 단말기(200)의 접근을 토큰 발행 서버부(100)로 통지하며, 가맹점의 점주로부터 입력되는 이벤트 NFT 또는 가맹점에서 판매 중인 상품 정보를 표시한다.
360º 촬영 장치(500)는, 키오스크 단말기(400)의 상측에 설치되며, 키오스크 단말기(400)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여 토큰 발행 서버부(100)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토큰 발행 서버부(100)는, 360º 촬영 장치(5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360º 촬영 장치(500)로 접근하는 사용자가 NFT 발행이 허용된 정당 사용자 여부를 안면 인식 기술 또는 인공지능 분석 등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고, 정당 사용자라고 판독되는 경우에 한하여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200)로 이벤트 NFT를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체 불가능한 토큰의 사용자 위치 기반 발행 시스템(20)은, 영상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접근하는 사용자의 정당 사용자 여부를 보다 객관적이고 정밀하게 인식하여 정당 사용자가 아닌 권한이 없는 다른 사용자에게 NFT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360º 촬영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360º 촬영 장치(500)는, 링형 레일(510), 다수 개의 촬영 유닛(520) 및 회전 유도부(530)를 포함한다.
링형 레일(510)은,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키오스크 단말기(100)의 상측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링형 레일(510)은, 레일 바디(511), 레일 지지대(512) 및 슬라이딩홈(513)을 포함한다.
레일 바디(511)는, 촬영 유닛(520)이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레일 지지대(512)에 의해 지지된다.
레일 지지대(512)는, 레일 바디(511)의 내주면과 키오스크 단말기(400)의 상측 사이에 설치되어 레일 바디(511)를 지지한다.
슬라이딩홈(513)은, 촬영 유닛(520)이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레일 바디(511)의 외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레일 바디(511)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촬영 유닛(520)은, 링형 레일(510)의 외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이격 연결 설치(520-1 내지 520-4)되며, 링형 레일(510)의 외측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주변의 영상을 개별적으로 촬영한 뒤 토큰 발행 서버부(10)로 각각 전송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촬영 유닛(520)은, 제1 슬라이더(521), 연장 프레임(522), 제2 슬라이더(523) 및 카메라(524)를 포함한다.
제1 슬라이더(521)는, 후술하는 링형 회전체(531)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링형 회전체(531)가 회전함에 따라 슬라이딩홈(513)을 따라 함께 이동한다.
연장 프레임(522)은, 제1 슬라이더(521)의 전단에 설치되며, 전단이 슬라이딩홈(513)의 개구부를 통해 레일 바디(511)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제2 슬라이더(523)는, 연장 프레임(522)의 전단에 설치되어 레일 바디(511)의 외주면에 안착되며, 제1 슬라이더(521)가 이동함에 따라 레일 바디(511)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한다.
카메라(524)는, 제2 슬라이더(523)의 전단에 설치되며, 주변의 영상을 촬영한 뒤 토큰 발행 서버부(10)로 전송한다.
회전 유도부(530)는, 링형 레일(510)에 연결 설치되어 촬영 유닛(520)의 슬라이딩 이동을 유도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회전 유도부(530)는, 링형 회전체(531) 및 회전 구동 기어(532)를 포함한다.
링형 회전체(531)는,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슬라이딩홈(513)의 내측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되며, 내주면을 따라 기어산(G)을 형성한다.
회전 구동 기어(532)는, 레일 바디(511)의 내측에 설치되며, 링형 회전체(531)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G)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함에 따라 링형 회전체(531)를 회전 구동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360º 촬영 장치(500)는, 사용자 주변의 영상을 다각도로 촬영하여 토큰 발행 서버부(10)로 전송함으로써, 영상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접근하는 사용자의 정당 사용자 여부를 보다 객관적이고 정밀하게 인식하여 정당 사용자가 아닌 권한이 없는 다른 사용자에게 NFT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제2 슬라이더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슬라이더(523)는, 슬라이더 바디(5231), 회전휠(5232), 연통홀(5233), 플레이트 안착홈(5234), 설치 플레이트(5235) 및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5236)을 포함한다.
슬라이더 바디(5231)는, 레일 바디(511)의 외주면에 안착된다.
회전휠(5232)은, 슬라이더 바디(5231)의 이동을 위해 슬라이더 바디(5231)의 일측 및 타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 설치되어 레일 바디(511)의 외주면에 안착된다.
연통홀(5233)은, 연장 프레임(522)이 관통하고 삽입될 수 있도록 슬라이더 바디(5231)를 관통하고 형성된다.
플레이트 안착홈(5234)은, 연통홀(5233)보다 큰 직경을 형성하면서 슬라이더 바디(5231)의 전단에 형성된다.
설치 플레이트(5235)는, 플레이트 안착홈(5234)의 형상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플레이트 안착홈(5234)에 안착되며, 후단에 연장 프레임(522)의 전단이 설치된다.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5236)은, 내측을 따라 연장 프레임(522)이 배치되며, 플레이트 안착홈(5234)의 내측과 설치 플레이트(5235)의 후단 사이에 설치되어 슬라이더 바디(5231)를 레일 바디(511)의 외주면으로 밀착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2 슬라이더(523)는, 레일 바디(511)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함에 있어 진동 또는 충격의 발생을 최소화시켜 줌으로써, 카메라(524)에 의한 선명한 영상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대체 불가능한 토큰의 사용자 위치 기반 발행 시스템
100: 토큰 발행 서버부
200: 사용자 단말기
300: 가맹점 단말기
400: 키오스크 단말기
500: 360º 촬영 장치

Claims (2)

  1. 가맹점이 발행한 인증토큰 NFT를 소유한 소유자의 사용자 단말기가 인증토큰 NFT를 발행한 가맹점 근처로 접근할 경우 가맹점이 발행하는 이벤트 NFT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토큰 발행 서버부;를 포함하며,
    이벤트 NFT를 발행하는 가맹점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접근을 상기 토큰 발행 서버부로 통지하며, 가맹점의 점주로부터 입력되는 이벤트 NFT 정보 또는 가맹점에서 판매 중인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가맹점 단말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토큰 발행 서버부는,
    특정 사용자 단말기가 NFT를 발행받을 수 있는 장소를 설정하여 저장해 두며,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기가 해당 장소에 접근하는 경우에 한하여 해당 NFT를 발행하여 제공하며,
    상기 가맹점 단말기는,
    이벤트 NFT를 발행하는 가맹점에 설치되며,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4 개의 각 측면에 디스플레이 모듈이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접근을 상기 토큰 발행 서버부로 통지하며, 가맹점의 점주로부터 입력되는 이벤트 NFT 또는 가맹점에서 판매 중인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키오스크 단말기; 및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토큰 발행 서버부로 전송하는 360º 촬영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360º 촬영 장치는,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의 상측에 설치되는 링형 레일;
    상기 링형 레일의 외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이격 연결 설치되며, 상기 링형 레일의 외측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주변의 영상을 개별적으로 촬영한 뒤 상기 토큰 발행 서버부로 각각 전송하는 촬영 유닛; 및
    상기 링형 레일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촬영 유닛의 슬라이딩 이동을 유도하는 회전 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링형 레일은,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는 레일 바디;
    상기 레일 바디의 내주면과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의 상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 바디를 지지하는 레일 지지대; 및
    상기 촬영 유닛이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 바디의 외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레일 바디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유도부는,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의 내측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되며, 내주면을 따라 기어산을 형성하는 링형 회전체; 및
    상기 레일 바디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링형 회전체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함에 따라 상기 링형 회전체를 회전 구동시켜 주는 회전 구동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촬영 유닛은,
    상기 링형 회전체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링형 회전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함께 이동하는 제1 슬라이더;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전단에 설치되며, 전단이 상기 슬라이딩홈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레일 바디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연장 프레임;
    상기 연장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 바디의 외주면에 안착되며, 상기 제1 슬라이더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레일 바디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슬라이더; 및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전단에 설치되며, 주변의 영상을 촬영한 뒤 상기 토큰 발행 서버부로 전송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의 사용자 위치 기반 발행 시스템.
  2. 삭제
KR1020220112938A 2022-09-01 2022-09-06 대체 불가능한 토큰의 사용자 위치 기반 발행 시스템 KR1025050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765A KR102505006B1 (ko) 2022-09-01 2022-09-01 사용자 위치 기반 nft 발행 시스템
KR1020220110484 2022-09-01
KR20220110484 2022-09-0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0765A Division KR102505006B1 (ko) 2022-09-01 2022-09-01 사용자 위치 기반 nft 발행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5012B1 true KR102505012B1 (ko) 2023-03-02

Family

ID=85509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2938A KR102505012B1 (ko) 2022-09-01 2022-09-06 대체 불가능한 토큰의 사용자 위치 기반 발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01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2422A (ko) * 2005-08-22 2007-02-27 주식회사 아이캐시 휴대전화기를 매체로 하는 전자영수증, 할인쿠폰, 포인트,티켓 및 토큰 발행내역기록 방법 및 시스템
KR20180135222A (ko) * 2017-06-12 2018-12-20 주식회사 엔터소프트 다채널 인증 방법, 이를 위한 인증 서버와 인증 단말
KR102382272B1 (ko) 2021-07-19 2022-04-01 황교찬 NFT(Non-Fungible Token)를 활용한 현실 공간의 임대 및 매매 시스템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2422A (ko) * 2005-08-22 2007-02-27 주식회사 아이캐시 휴대전화기를 매체로 하는 전자영수증, 할인쿠폰, 포인트,티켓 및 토큰 발행내역기록 방법 및 시스템
KR20180135222A (ko) * 2017-06-12 2018-12-20 주식회사 엔터소프트 다채널 인증 방법, 이를 위한 인증 서버와 인증 단말
KR102382272B1 (ko) 2021-07-19 2022-04-01 황교찬 NFT(Non-Fungible Token)를 활용한 현실 공간의 임대 및 매매 시스템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225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gramming, controlling and monitoring wireless networks
CN109074691B (zh) 在与多个访问控制装置交互时捕获个人用户意图
ES2732909T3 (es) Sistema antirrobo usado para servicio al cliente
US9749863B2 (en) Handheld video visitation
US2018033824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gramming, controlling and monitoring wireless networks
CN110121710A (zh) 用于用户认证的系统、方法和软件
CN108431698A (zh) 使用移动装置进行认证的系统和方法
US20080214111A1 (en) Lost phone alarm system and method
US20140230019A1 (en) Authentication to a first device using a second device
US20150199547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ies of a connected object associated with a user id
CN103109259A (zh) 位置感知移动连接及信息交换系统
US20210082271A1 (en) Facility control methods and apparatus
JP2017531843A (ja) 虹彩認識用着用感知手付着型ウェアラブル装置とこれを利用した保安強化セット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40203073A1 (en) Method of mobile optical recognition
US10545343B2 (en) Augmented reality security verification
US1154672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sence sensing reporting
KR102505012B1 (ko) 대체 불가능한 토큰의 사용자 위치 기반 발행 시스템
JP6969730B2 (ja) 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を用いてアクセス許可を確認する方法
KR102505006B1 (ko) 사용자 위치 기반 nft 발행 시스템
JP6671627B2 (ja) プライバシ保護を可能とするカメラシステム
US20220264252A1 (en) Application program and behavior management device
Michael et al. Überveillance and the rise of last-mile implantables: Past, present, and future
KR102516729B1 (ko) Nft 발행 시스템
RU2701208C2 (ru) Система аутентификации для мобильного терминала данных
EP3522123A1 (en) Room camera access control by keycard and tracking guest access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