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489B1 - 블록체인 기반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489B1
KR102635489B1 KR1020210181942A KR20210181942A KR102635489B1 KR 102635489 B1 KR102635489 B1 KR 102635489B1 KR 1020210181942 A KR1020210181942 A KR 1020210181942A KR 20210181942 A KR20210181942 A KR 20210181942A KR 102635489 B1 KR102635489 B1 KR 102635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ft
rental
transaction
origi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1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3552A (ko
Inventor
인호
최지혁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30033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3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4Tools and structures for managing or administering access control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3User 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4Protecting data integrity, e.g. using checksums, certificates or sign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7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BBIO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GENETIC OR PROTEIN-RELATED DATA PROCESSING IN COMPUTATIONAL MOLECULAR BIOLOGY
    • G16B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unctional genomics or proteomics, e.g. genotype-phenotype associ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BBIO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GENETIC OR PROTEIN-RELATED DATA PROCESSING IN COMPUTATIONAL MOLECULAR BIOLOGY
    • G16B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biostatistics; ICT specially adapted for bioinformatics-related machine learning or data mining, e.g. knowledge discovery or pattern finding

Abstract

블록체인 기반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자산 관리 시스템은 보유한 자산에 대한 등록과 상기 등록된 자산에 대한 대여거래를 요청하는 발행자 단말기, 일정기간 동안 상기 등록된 자산의 대여를 희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여자 단말기 및 상기 발행자 단말기와 상기 대여자 단말기 사이의 상기 자산에 대한 대여거래를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으로 체결하고 이를 기초로 대여권 NFT를 발행하는 자산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이 보유한 자산에 대해 원본 NFT 를 발행하고,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상기 원본 NFT 에 대한 대여거래를 체결하고 이를 기초로 대여권 NFT 를 발행함으로써, 자산에 대한 소유권 이전없이 대여권을 생성하여 자산의 소유권에 대한 활용방안을 넓히고 자산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SSET BASED ON BLOCKCHAIN}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자산에 대해 NFT를 발행하는 블록체인 기반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다.
블록체인(Blockchain)은 관리 대상 데이터를 '블록'이라 불리는 소규모 데이터들이 피어 투 피어(P2P, peer-to-peer) 방식을 기반으로 생성된 체인 형태의 연결고리 기반 분산 데이터 저장환경에 저장시키는, 분산 컴퓨팅(distributed computing) 기술 기반의 데이터 대변 방지 기술이다. 블록체인에서의 개별적인 트랜잭션(transaction) 은 탈중앙화된(decentralized) 전자장부에 쓰이기 때문에 블록체인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사용자들의 컴퓨터에서 서버가 운영되어 중앙은행없이 개인간의 자유로운 거래가 가능하다.
한편, 개인간의 거래에 대상이 되는 자산으로서, 디지털 자산과 실물자산이 고려될 수 있다.
디지털 자산은 사진, 로고, 삽화 또는 애니메이션의 디지털 형식과 메타 데이터, 비트코인, 이더리움 같은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디지털 자산은 발행한 플랫폼이 사라지면 그것이 가진 가치와 효용도 사라지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디지털 자산은 저장소에 안전하게 저장되는 것이 요구되며, 이러한 디지털 자산에 대해 개인간에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또한, 실물자산은 예술품, 금, 부동산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물 자산은 시가에 따라 책정되는 가격이 다르며 실물자산의 거래기록 및 소유권 정보에 대한 안정적인 관리 및 거래시 보안상의 문제점이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개인 간 자산거래에 대해 효율적이고 보안상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플랫폼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99567호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발행자 단말기로부터 자신이 보유한 자산에 대한 등록요청에 따라 해당 자산에 대해 원본 NFT 를 발행하고, 일정기간동안 해당 자산에 대해 대여를 희망하는 대여자 단말기와의 대여거래를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으로 체결하여 이를 기초로 원본 NFT 에 대한 대여권 NFT 를 발행하는 블록체인 기반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자산 관리 시스템은 보유한 자산에 대한 등록과 상기 등록된 자산에 대한 대여거래를 요청하는 발행자 단말기, 일정기간 동안 상기 등록된 자산의 대여를 희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여자 단말기 및 상기 발행자 단말기와 상기 대여자 단말기 사이의 상기 자산에 대한 대여거래를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으로 체결하고 이를 기초로 대여권 NFT를 발행하는 자산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한편, 자산 관리 서버는, 상기 발행자 단말기로부터 보유한 자산에 대한 등록 트랜잭션을 수신하고, 상기 등록 트랜잭션에 포함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 에 전송하여 저장시키는 자산 등록 모듈 및 상기 등록 트랜잭션에 포함된 데이터를 기초로 원본 NFT 를 발행하는 NFT 발행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하, 자산 관리 서버는, 상기 발행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원본 NFT에 대한 대여거래요청 트랜잭션을 수신하면, 상기 대여거래요청 트랜잭션을 기초로 상기 원본 NFT 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여자 단말기와의 대여거래를 중개하는 P2P 거래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NFT 발행 모듈은, 상기 P2P 거래 관리 모듈에서 상호 매칭된 발행자 단말기와 대여자 단말기 간의 대여거래를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으로 체결하고, 이를 기초로 대여권 NFT 를 발행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대여권 NFT 는 거래당사자 정보, 원본 NFT 주소정보, 대여유효기간 및 상기 거래당사자의 다중서명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여자 단말기는, 상기 대여권 NFT 를 기반으로 상기 원본 NFT 에 대한 데이터 열람 트랜잭션을 상기 자산 관리 서버측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자산 관리 서버는, 상기 데이터 열람 트랜잭션에 응답하여, 상기 대여권 NFT를 기초로 본인여부와 대여유효기간을 검증하고, 검증이 완료되면 일회성 API 토큰을 상기 대여자 단말기 측에 전송하고, 상기 일회성 API 토큰에 응답한 인증코드가 상기 대여자 단말기 측으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원본 NFT 에 대한 데이터 열람을 허용하는 API 접근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산 관리 서버는, 상기 API 접근 제어 모듈로부터 상기 원본 NFT 에 대한 데이터 열람이 허용되면, 상기 IPFS 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상기 대여자 단말기측에 읽기 전용(read-only)의 뷰 스트리밍(View-Streaming)을 제공하는 뷰 스트리밍 제공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자산 관리 방법은, 자산을 보유한 발행자 단말기 및 일정기간 동안 자산의 대여를 희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여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자산 관리 서버에서의 블록체인 기반 자산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발행자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자산에 대한 등록 요청에 따라 상기 자산에 대한 원본 NFT 를 발행하는 단계, 상기 발행자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원본 NFT 에 대한 대여거래 요청에 따라 매칭되는 대여자 단말기와 대여거래를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으로 체결하고 이를 기초로 대여권 NFT 를 발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자산에 대한 원본 NFT 를 발행하는 단계는, 상기 발행자 단말기로부터 등록 트랜잭션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등록 트랜잭션이 수신되면, 상기 등록 트랜잭션에 포함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 에 전송하여 저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등록 트랜잭션에 포함된 데이터를 기초로 원본 NFT 를 발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여권 NFT 를 발행하는 단계는, 상기 발행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원본 NFT 에 대한 대여거래요청 트랜잭션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대여거래요청 트랜잭션을 기초로 상기 원본 NFT 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여자 단말기와의 대여거래를 중개하는 단계 및 상기 대여거래의 중개 결과, 상호 매칭된 발행자 단말기와 대여자 단말기 간의 대여거래를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으로 체결하고, 이를 기초로 대여권 NFT 를 발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여권 NFT 는 거래당사자 정보, 원본 NFT 주소정보, 대여유효기간 및 상기 거래당사자의 다중서명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여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대여권 NFT 를 기반으로 한 열람 요청에 따라 상기 대여자 단말기의 상기 원본 NFT 로의 접근 여부를 승인하는 단계 및 상기 대여자 단말기의 접근이 승인되면, 상기 원본 NFT 를 열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원본 NFT 로의 접근 여부를 승인하는 단계는, 상기 대여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대여권 NFT 를 기반으로 상기 원본 NFT 에 대한 데이터 열람 트랜잭션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열람 트랜잭션에 응답하여, 상기 대여권 NFT를 기초로 API 접근을 제어하는 단계로서, 상기 API 접근을 제어하는 단계는, 본인여부와 대여유효기간을 검증하고, 검증이 완료되면 일회성 API 토큰을 상기 대여자 단말기 측에 전송하고, 상기 일회성 API 토큰에 응답한 인증코드가 상기 대여자 단말기 측으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원본 NFT 에 대한 데이터 열람을 허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원본 NFT 를 열람하는 단계는, 상기 원본 NFT 에 대한 데이터 열람이 허용되면, 상기 IPFS 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상기 대여자 단말기측에 읽기 전용(read-only)의 뷰 스트리밍(View-Streaming)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이 보유한 자산에 대해 원본 NFT 를 발행하고,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상기 원본 NFT 에 대한 대여거래를 체결하고 이를 기초로 대여권 NFT 를 발행함으로써, 자산에 대한 소유권 이전없이 대여권을 생성하여 자산의 소유권에 대한 활용방안을 넓히고 자산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디지털 자산, 실물자산, 개념적 자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자산에 대한 원본 인증서이자 소유권 증명서로 활용되는 NFT 를 발행하여 이에 대한 대여거래를 체결하게 함으로써, 개인데이터나 민감정보와 같이 소유권 이전이 불가능한 자산에 대해 보호하고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자산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자산 관리 서버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자산 관리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는 도 3 에 도시된 원본 NFT 를 발행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는 도 3 에 도시된 대여권 NFT 를 발행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은 도 3 에 도시된 원본 NFT 로의 접근 여부를 승인하고 이를 열람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자산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자산 관리 서버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자산 관리 시스템은 발행자가 자신이 보유한 자산에 대한 등록과 등록된 자산에 대한 대여거래를 요청하면, 해당 자산에 대해 대여거래를 희망하는 대여자와의 매칭을 중개하고 매칭된 대여자와의 대여거래를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으로 체결하여 이에 대한 거래내역을 블록체인 상에 저장하는 시스템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자산 관리 시스템은 자산을 토큰화하여 관리하는데, 여기서 토큰은 블록체인 상에 저장된 디지털 파일로서, 특정 자산을 의미하며, 그 대상이 되는 자산의 형태에는 제한이 없다.
예컨대, 자산은 부동산, 예술품, 명품, 금 등과 같은 실물자산을 포함한다. 또한, 자산은 이미지, 오디오가 담긴 파일, 암호화폐, 특허, 상표권, 저작권, 퍼블리시티권 등의 산업재산권, 게임 아이템, 게임 캐릭터, 디지털 음반, 디지털 미술작품, 모바일 이벤트 티켓 등 디지털 세상에 존재하는 디지털 자산을 포함한다. 또한, 자산은 투표권, 관심이나 주목, 평판 등 개념적 자산도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자산 관리 시스템은 다양한 형태의 자산에 대한 소유권을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거래 가능한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로 발행하여 해당 자산에 대한 일종의 원본 인증서이자 소유권 증명서로 활용 및 관리하며, 이러한 NFT 로 발행된 자산에 대해 일정기간 동안의 대여권을 형성하여 소유권 이전 없이도 NFT 에 대한 접근권한을 허용한다.
이를 위해, 도 1 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다른 블록체인 기반 자산 관리 시스템은 발행자 단말기(10), 대여자 단말기(20) 및 자산 관리 서버(100)를 포함한다.
발행자 단말기(10) 및 대여자 단말기(20)는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로서, 데스크탑 PC, 랩탑 PC,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의 컴퓨팅이 가능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발행자 단말기(10)와 대여자 단말기(20)는 자산을 등록하고 관리하기 위한 자산 관리 서버(100)에 회원가입과 같은 절차를 통해 회원 ID 및 전자지갑을 부여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행자 단말기(10)는 자산을 보유한 소유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로서, 자신이 보유한 자산에 대한 등록과 상기 등록된 자산에 대한 대여거래를 요청한다. 이를 위해, 발행자 단말기(10)는 자산 관리 서버(100)와 자산 관리 서버(100)가 관리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자산에 대한 등록을 요청하는 등록 트랜잭션과 등록자산에 대한 대여거래를 요청하는 대여거래요청 트랜잭션을 전파시킨다.
대여자 단말기(20)는 자산에 대한 열람을 희망하는 대여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로서, 대여거래에 따라 발행자 단말기(10)에서 등록한 자산에 대해 일정기간 동안 접근권한을 허가받아 열람한다. 이를 위해, 대여자 단말기(20)는 자산 관리 서버(100)와 자산 관리 서버(100)가 관리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대여권 NFT 에 기반한 원본 NFT 의 열람을 요청하는 데이터 열람 트랜잭션을 전파시킨다.
자산 관리 서버(100)는 발행자 단말기(10)와 대여자 단말기(20)와 통신하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서버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자산 관리 서버(100)는 발행자 단말기(10)의 등록 트랜잭션에 응답하여 자산에 대한 원본 NFT 를 발행하고, 발행자 단말기(10)의 대여거래요청 트랜잭션에 응답하여 원본 NFT 에 대한 대여거래를 중개하며 이에 따라 매칭된 대여자 단말기(20)와의 대여거래에 대한 결과로 대여권 NFT 를 발행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자산 관리 서버(100)는 자산 등록 모듈(110), P2P 거래 관리 모듈(120) 및 NFT 발행 모듈(130)을 포함한다.
자산 등록 모듈(110)은 발행자 단말기(10)로부터의 등록 트랜잭션에 포함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 에 전송하여 저장시킨다.
한편, 등록 트랜잭션에 포함된 데이터는, 발행자 정보, 발행자 서명, 메타데이터, 자산 원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행자 정보는 발행자 ID, 발행자 단말의 단말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타데이터는 자산의 속성을 설명하는 설명데이터로서, 자산명, 자산종류, 자산세부내역정보(예컨대, 자산의 생성일자, 보증서 내용, 보증기관 정보, 소유권 분할여부, 자산에 부여된 지식재산권 정보 등), 계약조건, 미디어 링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산 원본 데이터는 등록하고자 하는 자산의 원본 콘텐츠 데이터로서,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 파일일 수 있다.
자산 등록 모듈(110)은 상기 등록 트랜잭션에 포함된 데이터 중 자산 원본 데이터를 탈중앙화 분산형 저장 파일 시스템인 IPFS 에 저장시킬 수 있다. 여기서, IPFS는 IPFS Gateway 를 거친 URI 해쉬와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이다. 즉, 등록자산의 원본 컨텐츠는 온체인이 아닌 오프체인상에 저장되는 것이다. 자산 등록 모듈(110)은 이렇게 자산 원본 데이터를 IPFS 에 저장시킨 결과, IPFS 에 저장된 자산 원본 데이터의 접근 주소정보인 URI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메타데이터, 암호화키와 함께 자산 관리 서버 내 DB 에 저장시킬 수 있다.
또한. 자산 등록 모듈(110)은 등록 트랜잭션에 포함된 데이터를 NFT 발행 모듈(130)에 연계하고, 그 결과 NFT 발행 모듈(130)로부터 발행된 원본 NFT 를 자산 등록의 결과물로서 발행자 단말기(10) 측에 전송할 수 있다.
P2P 거래 관리 모듈(120)은, 발행자 단말기(10)로부터의 원본 NFT 에 대한 대여거래요청 트랜잭션에 응답하여, 발행자 단말기(10)와 대여거래를 희망하는 대여자 단말기(20)간의 거래를 중개한다.
한편, 대여거래요청 트랜잭션은 대여거래를 원하는 발행자 단말기(10)의 발행자 정보, 원본 NFT 정보, 대여조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원본 NFT 정보는 자산에 대한 등록이 완료되어 생성된 원본 NFT 의 정보로서, 원본 NFT 주소정보,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여조건정보는 원본 NFT 에 대한 대여상세조건정보로서, 희망대여기간, 대여범위, 대여금액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P2P 거래 관리 모듈(120)은, 상기 대여거래요청 트랜잭션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대여거래의 대상이 되는 원본 NFT 정보와 대여조건정보를 공시하고, 해당 공시된 정보에 따라 대여거래를 희망하는 대여자 단말기(20)를 매칭시키는 거래 중개 서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P2P 거래 관리 모듈(120)은 매칭된 발행자 단말기(10)와 대여자 단말기(20)인 거래당사자간의 대여거래계약을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NFT 발행 모듈(130)과 연계한다. 또한, P2P 거래 관리 모듈(120)은 해당 계약의 체결에 따른 결과물인 대여권 NFT를 대여자 단말기(20)측에 발급하고, 거래 당사자 간의 대여금액에 따른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P2P 거래 관리 모듈(120)은 거래 당사자가 디지털 화폐 결제를 희망하는 경우, 대여자 단말기(20)의 전자지갑 내 유틸리티 토큰을 전송하되, 정해진 수수료를 차감하여 발행자 단말기(10) 측의 전자지갑에 전송할 수 있다.
NFT 발행 모듈(130)은 자산 등록 모듈(110)에서 등록 트랜잭션에 따른 자산 등록의 결과인 원본 NFT 를 발행하고, P2P 거래 관리 모듈(120)에서 발행자 단말기와 대여자 단말기의 대여거래계약을 한 결과인 대여권 NFT 를 발행한다.
NFT 발행 모듈(130)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ERC-721, ERC-1155 토큰표준에 따라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대체불가능 토큰(NFT: Non Fungible Token) 을 고유식별자의 형태로 발행하는 모듈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NFT 발행 모듈(130)은 등록된 자산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 고유식별자, 메타데이터, URI 정보를 포함하는 원본 NFT 를 발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NFT 발행 모듈(130)은 P2P 거래 관리 모듈(120)에서의 대여거래를 체결한 결과로서, 대여거래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 고유식별자, 거래당사자 정보(ID), 원본 NFT 주소정보, 대여유효기간(Epoch Time), 다중서명(Multi Sig) 을 포함한 대여권 NFT 를 발행할 수 있다. 이러한 대여권 NFT 는 유효기간 동안 해당 거래당사자인 대여자 단말기(20)가 원본 NFT 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자산 관리 서버(100)는 대여권 NFT 에 근거한 데이터 열람 트랜잭션 수신에 응답하여, 원본 NFT 에 대한 접근제어를 수행한다. 즉, 자산 관리 서버(100)는 대여권 NFT 를 기초로 해당 데이터 열람 트랜잭션을 발신한 대여자 단말기(20)의 접근 권한 여부를 검증하고, 검증된 대여자 단말기(20)에 한해서만 원본 NFT 에 대한 API 접근을 허용한다. 이로써, 기존의 NFT 가 IPFS 에의 접근주소를 통해 자산 원본 데이터에 누구나 접근 및 열람이 가능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자산 관리 서버(100)는, API 접근 제어 모듈(140)과 뷰 스트리밍 제공 모듈(150)을 더 포함한다.
API 접근 제어 모듈(140)은 데이터 열람 트랜잭션에 응답하여, 접근 권한을 검증하고, 검증이 완료되면 상기 원본 NFT 에 대한 데이터 열람을 허용한다.
여기서, 데이터 열람 트랜잭션은 대여자 정보, 대여권 NFT를 포함하며, 대여자 정보는 대여자 단말정보, 대여자 식별정보(ID), 개인키(Private key)를 포함할 수 있다.
API 접근 제어 모듈(140)은 대여자 정보와 대여권 NFT를 기초로 본인여부와 대여유효기간을 검증하고, 검증이 완료되면 일회성 API 토큰을 상기 대여자 단말기(20) 측에 전송한다. 여기서, 일회성 API 토큰은 JWT, OTP 와 같은 인증코드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API 접근 제어 모듈(140)은 상기 일회성 API 토큰에 응답한 인증코드가 제한시간 내에 대여자 단말기(20) 측으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원본 NFT 에 대한 데이터 열람을 허용하며 이를 뷰 스트리밍 제공 모듈(150)에 연계한다.
뷰 스트리밍 제공 모듈(150)은 API 접근 제어 모듈(140)로부터 상기 원본 NFT 에 대한 데이터 열람이 허용되면, IPFS 에 저장된 자산 원본 데이터의 접근 주소정보인 URI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IPFS 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뷰 스트리밍 제공 모듈(150)은 자산 관리 서버(100) 내 DB 에 기저장된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한다.
또한, 뷰 스트리밍 제공 모듈(150)은 상기 대여자 단말기(20) 측에 파일 원본의 다운로드는 불가한 읽기 전용(read-only)의 뷰 스트리밍(View-Streaming)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뷰 스트리밍 제공 모듈(150)은 JPEG, BMP, 또는 TIFF 파일 형식의 뷰 스트리밍을 제공하는 뷰어 프로그램 또는 WAV, MP3, MIDI, PTX, PIF, M4A 와 같은 파일 형식의 뷰 스트리밍을 제공하는 스트리밍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자산 관리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 는 도 3 에 도시된 원본 NFT 를 발행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 는 도 3 에 도시된 대여권 NFT 를 발행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 은 도 3 에 도시된 원본 NFT 로의 접근 여부를 승인하고 이를 열람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자산 관리 방법은, 자산을 보유한 발행자 단말기 및 일정기간 동안 자산의 대여를 희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여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자산 관리 서버에서의 블록체인 기반 자산 관리 방법으로서, 도 3 에 따르면, 자산에 대한 원본 NFT 를 발행하는 단계(S10), 원본 NFT 에 대한 대여권 NFT 를 발행하는 단계(S20), 대여권 NFT 를 기반으로 한 열람 요청에 따라 원본 NFT 로의 접근여부를 승인하는 단계(S30) 및 원본 NFT 를 열람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자산에 대한 원본 NFT 를 발행하는 단계(S10)는, 도 4 에 따르면, 상기 발행자 단말기로부터 등록 트랜잭션을 수신하는 단계(① 데이터 전송), 상기 등록 트랜잭션이 수신되면, 상기 등록 트랜잭션에 포함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② 암호화),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 에 전송하여 저장시키고, 암호화 키를 자산 관리 서버 내 DB 에 저장하는 단계(③Key 저장, ④암호화 데이터 저장), IPFS 로부터 URI 를 수신하고 이를 자산 관리 서버 내 저장하는 단계(⑤ URI 전송, ⑥ 설명 및 URI 입력) 및 상기 등록 트랜잭션에 포함된 데이터를 기초로 원본 NFT 를 발행하는 단계(⑦ 메타데이터 입력 및 NFT 발행 ⑧ NFT 전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여권 NFT 를 발행하는 단계(S20)는, 도 5 에 따르면, 상기 발행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원본 NFT 에 대한 대여거래요청 트랜잭션을 수신하는 단계(① 거래동의 및 임대기간 설정), 상기 대여거래요청 트랜잭션을 기초로 상기 원본 NFT 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여자 단말기와의 대여거래를 중개하는 단계 및 상기 대여거래의 중개 결과, 상호 매칭된 발행자 단말기와 대여자 단말기 간의 대여거래를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으로 체결하고, 이를 기초로 대여권 NFT 를 발행하는 단계(② 암호화, ③대여권 NFT 발행, ④대여권 NFT 저장)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원본 NFT 로의 접근 여부를 승인하는 단계(S30)는, 도 6 에 따르면, 상기 대여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대여권 NFT 를 기반으로 상기 원본 NFT 에 대한 데이터 열람 트랜잭션을 수신하는 단계(① 열람 요청) 및 상기 데이터 열람 트랜잭션에 응답하여, 상기 대여권 NFT를 기초로 API 접근을 제어하는 단계로서, 상기 API 접근을 제어하는 단계는, 본인여부와 대여유효기간을 검증하고(② 소유자 검증(private key), ③유효기간 검증(Epoch Time)), 검증이 완료되면 일회성 API 토큰을 상기 대여자 단말기 측에 전송하고(④인증코드 전송), 상기 일회성 API 토큰에 응답한 인증코드가 상기 대여자 단말기 측으로부터 수신(⑤ 인증코드 입력)되면 상기 원본 NFT 에 대한 데이터 열람을 허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원본 NFT 를 열람하는 단계(S40)는, 도 6 을 참조하면, 상기 원본 NFT 에 대한 데이터 열람이 허용되면, 상기 IPFS 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하고(⑥ 데이터 요청, ⑦ 데이터 전송), 상기 수신된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⑧Key를 통한 데이터 복호화)하여 상기 대여자 단말기측에 읽기 전용(read-only)의 뷰 스트리밍(View-Streaming)을 제공(⑨ ViewStreaming)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이 보유한 자산에 대해 원본 NFT 를 발행하고,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상기 원본 NFT 에 대한 대여거래를 체결하고 이를 기초로 대여권 NFT 를 발행함으로써, 자산에 대한 소유권 이전없이 대여권을 생성하여 자산의 소유권에 대한 활용방안을 넓히고 자산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디지털 자산, 실물자산, 개념적 자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자산에 대한 원본 인증서이자 소유권 증명서로 활용되는 NFT 를 발행하여 이에 대한 대여거래를 체결하게 함으로써, 개인데이터나 민감정보와 같이 소유권 이전이 불가능한 자산에 대해 보호하고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발행자 단말기
20: 대여자 단말기
100: 자산 관리 서버

Claims (14)

  1. 보유한 자산에 대한 등록과 상기 등록된 자산에 대한 대여거래를 요청하는 발행자 단말기;
    일정기간 동안 상기 등록된 자산의 대여를 희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여자 단말기; 및
    상기 발행자 단말기와 상기 대여자 단말기 사이의 상기 자산에 대한 대여거래를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으로 체결하고 이를 기초로 대여권 NFT를 발행하는 자산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자산 관리 서버는,
    상기 발행자 단말기로부터 보유한 자산에 대한 등록 트랜잭션을 수신하고, 상기 등록 트랜잭션에 포함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 에 전송하여 저장시키는 자산 등록 모듈; 및
    상기 등록 트랜잭션에 포함된 데이터를 기초로 원본 NFT 를 발행하는 NFT 발행 모듈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자산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산 관리 서버는,
    상기 발행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원본 NFT에 대한 대여거래요청 트랜잭션을 수신하면, 상기 대여거래요청 트랜잭션을 기초로 상기 원본 NFT 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여자 단말기와의 대여거래를 중개하는 P2P 거래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NFT 발행 모듈은, 상기 P2P 거래 관리 모듈에서 상호 매칭된 발행자 단말기와 대여자 단말기 간의 대여거래를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으로 체결하고, 이를 기초로 대여권 NFT 를 발행하는 것인, 블록체인 기반 자산 관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여권 NFT 는 거래당사자 정보, 원본 NFT 주소정보, 대여유효기간 및 상기 거래당사자의 다중서명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자산 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여자 단말기는,
    상기 대여권 NFT 를 기반으로 상기 원본 NFT 에 대한 데이터 열람 트랜잭션을 상기 자산 관리 서버측에 송신하는, 블록체인 기반 자산 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산 관리 서버는,
    상기 데이터 열람 트랜잭션에 응답하여, 상기 대여권 NFT를 기초로 본인여부와 대여유효기간을 검증하고, 검증이 완료되면 일회성 API 토큰을 상기 대여자 단말기 측에 전송하고, 상기 일회성 API 토큰에 응답한 인증코드가 상기 대여자 단말기 측으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원본 NFT 에 대한 데이터 열람을 허용하는 API 접근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자산 관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자산 관리 서버는,
    상기 API 접근 제어 모듈로부터 상기 원본 NFT 에 대한 데이터 열람이 허용되면, 상기 IPFS 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상기 대여자 단말기측에 읽기 전용(read-only)의 뷰 스트리밍(View-Streaming)을 제공하는 뷰 스트리밍 제공 모듈을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자산 관리 시스템.
  8. 자산을 보유한 발행자 단말기 및 일정기간 동안 자산의 대여를 희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여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자산 관리 서버에서의 블록체인 기반 자산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발행자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자산에 대한 등록 요청에 따라 상기 자산에 대한 원본 NFT 를 발행하는 단계;
    상기 발행자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원본 NFT 에 대한 대여거래 요청에 따라 매칭되는 대여자 단말기와 대여거래를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으로 체결하고 이를 기초로 대여권 NFT 를 발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자산에 대한 원본 NFT 를 발행하는 단계는,
    상기 발행자 단말기로부터 등록 트랜잭션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등록 트랜잭션이 수신되면, 상기 등록 트랜잭션에 포함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 에 전송하여 저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등록 트랜잭션에 포함된 데이터를 기초로 원본 NFT 를 발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자산 관리 방법.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여권 NFT 를 발행하는 단계는,
    상기 발행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원본 NFT 에 대한 대여거래요청 트랜잭션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대여거래요청 트랜잭션을 기초로 상기 원본 NFT 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여자 단말기와의 대여거래를 중개하는 단계; 및
    상기 대여거래의 중개 결과, 상호 매칭된 발행자 단말기와 대여자 단말기 간의 대여거래를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으로 체결하고, 이를 기초로 대여권 NFT 를 발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자산 관리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여권 NFT 는 거래당사자 정보, 원본 NFT 주소정보, 대여유효기간 및 상기 거래당사자의 다중서명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자산 관리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여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대여권 NFT 를 기반으로 한 열람 요청에 따라 상기 대여자 단말기의 상기 원본 NFT 로의 접근 여부를 승인하는 단계; 및
    상기 대여자 단말기의 접근이 승인되면, 상기 원본 NFT 를 열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자산 관리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원본 NFT 로의 접근 여부를 승인하는 단계는,
    상기 대여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대여권 NFT 를 기반으로 상기 원본 NFT 에 대한 데이터 열람 트랜잭션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열람 트랜잭션에 응답하여, 상기 대여권 NFT를 기초로 API 접근을 제어하는 단계로서, 상기 API 접근을 제어하는 단계는, 본인여부와 대여유효기간을 검증하고, 검증이 완료되면 일회성 API 토큰을 상기 대여자 단말기 측에 전송하고, 상기 일회성 API 토큰에 응답한 인증코드가 상기 대여자 단말기 측으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원본 NFT 에 대한 데이터 열람을 허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API 접근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자산 관리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원본 NFT 를 열람하는 단계는,
    상기 원본 NFT 에 대한 데이터 열람이 허용되면, 상기 IPFS 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상기 대여자 단말기측에 읽기 전용(read-only)의 뷰 스트리밍(View-Streaming)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자산 관리 방법.
KR1020210181942A 2021-09-01 2021-12-17 블록체인 기반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6354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594 2021-09-01
KR20210116594 2021-09-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552A KR20230033552A (ko) 2023-03-08
KR102635489B1 true KR102635489B1 (ko) 2024-02-13

Family

ID=85507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1942A KR102635489B1 (ko) 2021-09-01 2021-12-17 블록체인 기반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54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7797B1 (ko) * 2023-04-11 2023-12-27 (주)피터 홀덤 대회 실시간 예약 관리 플랫폼 제공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68388A (ja) * 2018-10-19 2020-04-3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コンテンツ契約システム、コンテンツ契約方法、権利者端末、譲受人端末、制御端末、コンテンツ蓄積サーバ、権利者プログラム、譲受人プログラム、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蓄積プログラム
KR102199567B1 (ko) 2019-11-11 2021-01-07 주식회사 블루인덱스 블록체인 기반 예술품 거래 데이터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69812B1 (ko) * 2020-11-12 2021-06-28 (주)아이디엔디 블록체인 기반 도면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7274A (ko) * 2019-09-27 2021-04-06 구대근 저작물 관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68388A (ja) * 2018-10-19 2020-04-3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コンテンツ契約システム、コンテンツ契約方法、権利者端末、譲受人端末、制御端末、コンテンツ蓄積サーバ、権利者プログラム、譲受人プログラム、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蓄積プログラム
KR102199567B1 (ko) 2019-11-11 2021-01-07 주식회사 블루인덱스 블록체인 기반 예술품 거래 데이터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69812B1 (ko) * 2020-11-12 2021-06-28 (주)아이디엔디 블록체인 기반 도면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552A (ko) 202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73270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におけるスマートコントラクトに基づくトランザクション活動の取扱注意データを保護するための方法及びデバイス
US10673632B2 (en) Method for managing a trusted identity
US20210383377A1 (en) Decentralized identity verification platforms
Zhang et al. A design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mechanism based on blockchain technology
US11880828B2 (en) Data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AU2006236243B2 (en) Network commercial transactions
US8996423B2 (en) Authentication for a commercial transaction using a mobile module
KR101067191B1 (ko) 네트워크를 통한 트랜잭션 보안 방법
JP5397917B2 (ja) Idトークンから属性を読み込む方法とプログラム、idトークン、およ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2019514099A (ja) 複数のトランザクションをブロックチェーンに記録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20060235795A1 (en) Secure network commercial transactions
Lokre et al. Gun tracking system using blockchain technology
JP7114078B2 (ja) 電子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10037274A (ko) 저작물 관리 장치 및 방법
US20020128929A1 (en) Electronic commerce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method
WO2019063512A1 (en) METHOD FOR GENERATING A DIGITAL IDENTITY, DIGITAL IDENTITY, METHOD FOR CREATING AN ELECTRONIC TRANSACTION DOCUMENT AND ELECTRONIC TRANSACTION DOCUMENT
WO2023278635A1 (en) Digital tracking of asset transfers
KR102635489B1 (ko) 블록체인 기반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1681792B2 (en) Digital, personal and secure electronic access permission
US20230283466A1 (en) Content protection system
KR20230044953A (ko) 블록체인의 계정인증을 통해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컴퓨팅 방법 및 시스템
WO2021060340A1 (ja) 取引情報処理システム
Mehta et al. Security in e-services and applications
TWI818679B (zh) 非同質化代幣登入驗證系統及其方法
TWI737139B (zh) 個人資料保護應用系統與個人資料保護應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