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7274A - 저작물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저작물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7274A
KR20210037274A KR1020190119702A KR20190119702A KR20210037274A KR 20210037274 A KR20210037274 A KR 20210037274A KR 1020190119702 A KR1020190119702 A KR 1020190119702A KR 20190119702 A KR20190119702 A KR 20190119702A KR 20210037274 A KR20210037274 A KR 20210037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ork
blockchain
managemen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대근
Original Assignee
구대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대근 filed Critical 구대근
Priority to KR1020190119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7274A/ko
Publication of KR20210037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2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Handling legal document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Abstract

저작물 관리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관리 장치는 제1 정보와 관련된 제2 정보를 획득하고, 블록체인을 이용해 상기 제2 정보를 보관하는 보관부; 상기 제2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제1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작물 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ONTENTS}
본 발명은 저작물을 효율적으로 보관하거나 추적할 수 있는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많은 디지털 서비스 제공자들은 디지털 음악, 이미지, 비디오, 책 및 게임과 같은 디지털 콘텐츠들을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판매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업적인 디지털 지적 재산권을 보호하고 디지털 저작권 침해를 피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인가되지 않은 접속을 방지하고 디지털 콘텐츠 사용 권리들을 관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981699호에는 비디지털 저작물을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기술이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블록체인에 대한 저작물의 등록시 발생되는 각종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미흡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981699호
본 발명은 효율적으로 저작물을 보관하거나 추적할 수 있는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관리 장치는 제1 정보와 관련된 제2 정보를 획득하고, 블록체인을 이용해 상기 제2 정보를 보관하는 보관부; 상기 제2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제1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저작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저작물을 만든 저작권자의 정보, 상기 저작권자의 KYC(Know Your Customer) 인증 정보, 상기 저작물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정보, 상기 저작물의 이용 내역 정보, 상기 저작물에 부여된 저작권 원본 인증서, 상기 저작물에 접근할 수 있는 라이센스, 타임 스탬프가 포함된 상기 저작권자의 제1 상태 정보, 타임 스탬프가 포함된 상기 사용자의 제2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리 방법은 저작물, 상기 저작물을 만든 저작권자의 정보, 상기 저작권자의 KYC(Know Your Customer) 인증 정보를 합성해서 저작권 원본 인증서를 생성하고, 상기 저작권 원본 증명서를 해시값으로 블록체인에 기록하며, 상기 저작권 원본 인증서에 기반해서 상기 라이센스를 생성하고, 상기 라이센스를 해시값으로 변환해서 블록체인 상에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리 방법은 저작물이 포함된 제1 정보를 쪼개어 복수의 모듈 파일을 생성하고, 복수의 상기 모듈 파일을 인터넷망과 클라우드에 분산 저장하고,
상기 저작물을 만든 저작권자의 정보, 상기 저작권자의 KYC(Know Your Customer) 인증 정보, 상기 저작물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정보, 상기 저작물의 이용 내역 정보, 상기 저작물에 부여된 저작권 원본 인증서, 상기 저작물에 접근할 수 있는 라이센스, 타임 스탬프가 포함된 상기 저작권자의 제1 상태 정보, 타임 스탬프가 포함된 상기 사용자의 제2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이용해서 워터마크 또는 지문으로 접근 가능하게 상기 제1 정보를 암호화하며,
상기 제1 정보 또는 상기 제2 정보를 블록체인에 등록하기 전에 상기 제1 상태 정보를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스마트 계약의 형태로 상기 저작권 원본 인증서 및 상기 이용 내역 정보를 블록체인에 등록하며,
상기 스마트 계약에 연계된 암호화 기법을 상기 제1 정보에 적용하고,
정당 권리자의 요청시 상기 암호화 기법을 통해 상기 제1 정보를 복호화하며, 복수의 상기 모듈 파일을 하나로 합쳐서 상기 제1 정보를 복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에 따르면, 저작물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 또는 저작물을 재생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의 획득에 필요한 각종 저작물 관련 정보가 블록체인 상에 등록 또는 기록될 수 있다.
투명성이 보장되는 블록체인에 등록된 각종 저작물 관련 정보는 안전하게 보호되며, 저작권자의 보호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블록체인 등록된 저작물 관련 정보를 통해 저작물의 복제 여부, 정당 권리자인지 여부 등이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블록체인 상에 기록된 저작물 관련 정보를 통해 등록을 희망하는 저작물이 기존에 존재하는지 여부가 쉽게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작물 자체(각종 콘텐츠 포함)는 블록체인 상에 보관되거나, 일반 서버, 인터넷망, 클라우드 등에 보관될 수 있다. 인터넷망, 클라우드에 보관되는 저작물은 잘못 등록된 경우, 블록체인과 달리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저작물을 잘게 쪼개어 복수의 서버, 클라우드 등에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작물을 보관하는 클라우드의 부하가 대폭 경감될 수 있다. 블록체인을 이용하지 않는 저작물은 해킹 등에 의해 불법 복제될 수 있으나, 해당 저작물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이 블록체인 상에 등록된 저작물 관련 정보에 의해 부여되므로, 사실상 불법 복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저작물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타임 스탬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저작물은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되는 모든 형태의 저작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어떠한 형태의 저작물이라도 포괄할 수 있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저작물은 문서, 이미지, 동영상, 음악, 소리, 그림, 노래, 디자인, 책, 소설 등의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저작권자, 사용자를 대상으로 각종 정보가 오고가는 내용이 등장하며, 정보를 받는 객체로 등장하는 '저작권자'는 자연인 또는 법인에 해당하는 저작권자가 사용하는 제1 단말기(10)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정보를 받는 객체로 등장하는 '사용자'는 자연인 또는 법인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2 단말기(20)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크게 2가지의 특징을 갖고 있다.
먼저, 본 발명은 KYC 인증을 통해 저작권/저작물을 보호할 수 있다. KYC 인증을 이용한 저작권 보호는 블록체인 기반 하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저작물의 보호를 위해 저작물을 쪼개어 관리할 수 있다. 저작물을 쪼개어 관리하는 기술은 블록체인과 상관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해당 특징을 구현하는 서비스는 서버를 통해 제공되며, 이때의 서버는 아래에 기술되는 보관부와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는 저작물과 관련된 KYC 인증 정보 등을 획득하고, 블록체인을 이용해 KYC 인증 정보를 보관할 수 있다. 서버는 블록체인에 보관된 KYC 인증 정보를 이용해서 저작물을 관리할 수 있다.
서버는 단일의 제1 정보를 쪼개어 조각에 해당하는 복수의 모듈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서버는 각 모듈 파일을 인터넷망 또는 클라우드에 분산 저장할 수 있다. 각 모듈 파일은 블록체인 상에 저장되어도 무방하고, 비블록체인망에 저장되어도 무방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투영된 서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저작권/저작물을 보호하는 서버는 관리 장치(100)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저작물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저작물 관리 시스템은 제1 단말기(10), 제2 단말기(20), 관리 장치(100), 데이터베이스(50), 블록체인망(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는 저작물을 창작하거나 저작물의 소유권을 가진 저작권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말기(20)는 저작물을 시청 또는 이용하기 위해 저작물에 접근하려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 또는 제2 단말기(20)로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 : 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phone),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왑폰(WAP phone :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 게임기(Playstation), DMB 장치, IP TV, 웹 TV, 인터넷 방송 장치 등이 사용자가 처한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관리 장치(100)는 제1 단말기(10)와 제2 단말기(20)의 사이에서 저작물을 관리할 수 있다. 저작물의 관리는 저작물을 보관하거나, 저작물을 수정/삭제/갱신하거나, 저작물과 관련된 정보를 생성하거나, 해당 정보를 이용해서 저작물 또는 저작권자를 보호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저작물의 관리는 저작물의 이용 대가를 사용자로부터 받아내서 저작권자에게 제공하거나, 저작물을 복제한 사용자를 추적하거나, 저작물이 복제된 경로를 추적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저작물의 관리는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저작물을 탐색하거나, 특정 저작물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권한을 확인하거나, 암호화된 특정 저작물을 복호화하거나 복원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관리 장치(100)에 의해 관리되는 저작물은 외형적으로 디지털 데이터(제1 정보)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관리 장치(100)는 저작물에 해당하는 콘텐츠 또는 저작물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50) 또는 블록체인망(70)에 기록, 보관, 저장, 등록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50)는 저작물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50)는 인터넷망 또는 클라우드망에 마련될 수 있다.
블록체인망(70)은 블록체인을 이용해서 저작물 또는 저작물 관련 정보를 분산 기록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
4차 산업 혁명의 핵심 기술로 블록체인이 주목받고 있다.
블록체인의 탈중앙화, 분산형 구조가 새로운 신뢰 검증 수단으로 떠오르면서 저작권분야, 소프트웨어, 금융, 유통, 공공 서비스 등 다양한 영역에서 블록체인을 활용한 서비스가 선보이고 있다.
블록체인은 신뢰를 만드는 컴퓨터, 신뢰 프로토콜이자 분산된 저장소이며 독립적이며, 개방된 공공 거래장부이다.
블록(block)이 체인(chain)처럼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인증 내역이나 사용 내역, 거래를 포함한 분산 장부를 기록하고 체인 형태로 연결되어 블록체인이라 하며 해킹이나 위변조가 근본적으로 방지되는 기술이다.
블록체인 기술은 중앙 서버나 제3 기관 없이 개인간에 직접적으로 거래할 수 있는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 전자 계약)를 이용해 자동으로 콘텐츠의 전송이나 거래를 체결하므로, 별도 인증기관이 필요하지 않은 특징이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는 블록체인 플랫폼에 실현되어 있는 일련의 소프트웨어 코드로서, 미리 결정된 조건이 성취되는 경우에 블록체인에 담겨진 자산에 대하여 계약의 내용이 자동적으로 이행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계약의 대가 지급수단 및 반대급부가 암호화되고 계약 이행 및 검증의 과정이 네트워크로 자동화되어, 계약실행 조건을 확인하는 사람의 간섭 없이, 그리고 추가 비용 없이 직접 처리함으로써 복잡한 사업상의 계약을 적은 비용과 합의에 따른 신뢰를 바탕으로 안전하게 계약을 실행할 수 있게 한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코드로 작성되므로 문언주의 하에 엄격히 해석될 가능성이 높아 계약 해석의 불명확성을 감소시키나, 일상 언어의 계약을 프로그래밍하는 작성 단계에서 해석의 불일치 및 작성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관리 장치(100)는 저작권 분야에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하고, 저작물의 이력을 추적하거나 저작물에 기초한 수익에 대한 정산과 분배 등의 저작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리 장치(100)는 저작물의 보관에 필요한 저장 공간의 급격한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블록체인은 거래 장부를 중앙 서버가 아닌 거래 당사자들 모두의 서버에 동일하게 저장하도록 하여 특정 서버에서의 위, 변조가 불가능하게 만드는 기술이다. 거래 내역이 저장된 블록이 추가될 때마다 해쉬함수를 통해 그 전의 거래 내역들이 새로운 블록에 포함될 수 있게 체인처럼 연결되므로 블록체인이라고 한다.
모두가 동일한 장부를 저장하기 때문에 위, 변조가 불가능하고, 거래 내역 확인이 전체 참여자들이 동시에 가능하므로 거래 당사자끼리 신뢰를 가지고 직거래가 가능하다는 점이 기존 P2P 네트워크 서비스와 다른 점으로서 중개자나 중간 관리자가 필요없는 신뢰 가능한 기술 혁명이라고 불릴 수 있다.
블록체인은 '블록'이라고 하는 소규모 데이터들이 P2P 방식을 기반으로 생성된 체인 형태의 연결 고리 기반의 분산 데이터 저장 환경에 저장되어 누구라도 임의로 수정할 수 없고 누구나 변경의 결과를 열람할 수 있는 분산 컴퓨팅 기술 기반의 데이터 위조와 변조 방지 기술이다. 이는 근본적으로 분산 데이터 저장 기술의 한 형태로, 지속적으로 변경되는 데이터를 모든 참여 노드에 기록한 변경 리스트로서 분산 노드의 운영자에 의한 임의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고안되었다.
블록체인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50)와 유사한 공공 전자 원장으로, 이질적인 사용자들이 공개적으로 공유할 수 있으며 각각 타임 스탬프가 적용되고 이전의 것과 연계된 트랜잭션에 대한 변경 불가능한 기록을 생성한다. 스레드(thread)에서 각 디지털 기록 또는 트랜잭션을 블록이라고 부르며, 이를 통해 공개되거나 통제되는 사용자 세트가 전자 원장에 참여할 수 있다. 각 블록은 특정 참여자와 연결될 수 있다.
블록체인은 시스템 내에서 당사자들 사이의 합의에 의해서만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되면 절대로 삭제할 수 없다. 블록체인에는 시스템에서 만들어진 각 모든 트랜잭션에 대한 정확하며 확인 가능한 기록이 포함되어 있다.
암호 화폐의 거래 과정은 탈중앙화된 전자 장부에 쓰이기 때문에 블록체인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많은 사용자들의 각 컴퓨터에서 서버가 운영되어 중앙은행 없이 개인 간의 자유로운 거래가 가능하다.
현대 사회에서 창작자들이 쉽고 빠르게 권리를 주장하고 보호받기 위하여 저작권 등록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저작권자는 저작권료를 받기 위해 저작권 신탁 업체와 같은 전문적인 기관에 맡겨 저작물을 보호할 수 있다.
저작권 관리 기관을 통해 창작물을 관리하고 유통하려면 높은 수수료를 지급해야 하기에 그만큼 창작자들의 수익은 줄어들게 된다. 창작물(저작물)을 관리하는 저작권 유통자나 중개업자는 일정한 비율의 수수료를 받기 때문에, 소규모 창작자들에게는 큰 부담이 된다. 따라서 저렴한 비용으로 창작물의 유통을 관리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최근의 저작물들은 디지털 기기의 발달에 힘입어 디지털 콘텐츠로 변환되어 유통되고 있다. 디지털 콘텐츠는 무제한 재생산이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 아날로그 콘텐츠와 달리 무단 복제로 인해 큰 손해를 볼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 Digital Rights Management) 기술이 출현하였다. 이러한 DRM의 예로는 애플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FairPlay 기술이 있다. 그러나 DRM 기술의 표준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특정 플랫폼을 벗어나면 콘텐츠의 활용이 어려워 저작물 유통 활성화에 또 다른 저해 요인이 되고 있다.
DRM 기술은 다양한 디지털 형태의 저작물에 대한 접근을 중앙 서버를 통제하여 저작권자의 라이센스를 얻는 사용자만이 콘텐츠에 대해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여 저작권자의 이익을 보호하고 관리하는 기술이다.
오늘날, 많은 디지털 서비스 제공자들이 디지털 음악, 이미지, 비디오, 책 및 게임과 같은 디지털 콘텐츠들을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판매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업적인 디지털 지적 재산권을 보호하고 디지털 저작권 침해를 피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인가되지 않은 접속을 방지하고 디지털 콘텐츠 사용 권리들을 관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DRM에 있어서의 핵심 개념은 디지털 라이센스의 사용이다. 라이센스는 콘텐츠 해독 키(content decryption keys)들과 콘텐츠 사용 규약들(content usage rules)을 함유한 디지털 데이터 파일이다. DRM에서, 사용자는 콘텐츠를 직접 구입하기 보다는 그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특정한 권리들을 허여하는 라이센스를 구입한다. 사용 규약들은, 복사 허용, 1회 열람시의 비용(pay-per-view), 일주일 대여 등과 같이 콘텐츠가 어떻게 사용되어야 하는지를 특정할 수 있다.
암호화된 콘텐츠는 임의의 통신 매체,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 슈퍼-분포(superdistribution),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방송, 또는 CDs 등을 통해 공급될 수 있지만, 유효한 라이센스를 소유하고 있지 않으면, 해당 콘텐츠는 해독될 수 없다. 따라서, 보호된 콘텐츠는 그 어떤 라이센스에 관계없이 다양한 루트(경로)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 더 특별하게는, 사용자가 보호된 콘텐츠를 소비하고자 시도했을 때, 제2 단말기(20)가 사용자 디바이스에 콘텐츠를 위한 유효한 라이센스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할 것이다. 만일, 제2 단말기(20)가 라이센스를 찾지 못한 경우에는, 제2 단말기(20)는 콘텐츠에 대한 접근을 거절할 것이며, 사용자로 하여금 유효한 라이센스를 획득하도록 라이센스 서버에 접속해야함을 알려줄 것이다. 라이센스를 얻는데 필요할 수도 있는 요금 및/또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 이후에, 라이센스가 제2 단말기(20)에 전송될 것이며, 보호된 콘텐츠는 해독될 수 있으며, 라이센스 내의 사용 기간이나 사용 조건에 따라 이용될 수 있다.
저작권의 전송을 통한 디지털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해서, 대부분의 DRM 해법들은 라이센스들을 특정한 디바이스에 속박시켜놓고 있다. 라이센스는 전송될 수 없으며 다른 디바이스에서는 사용될 수 없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구입한 영화를 다른 장소에서 시청하기를 원하거나 또는 이동식 디바이스에서 음악을 듣기를 원한다면, 사용자는 각각의 프로그램이나 각각의 디바이스마다 새로운 라이센스를 획득해야 하는바, 이는 사용자에게 매우 불편하다.
저작권 관리에서도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 수 있다. 기존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 상에서는 불법 복제 및 공유가 만연했고, 최초의 원본을 찾기 어려웠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면 콘텐츠 저작권 보호도 수월해진다. 블록체인 위에 콘텐츠가 저장되면 위조 및 변조가 불가능하다. 콘텐츠를 블록으로 생산해 관리하면 그 소유와 사용이 쉽게 증명될 수 있다. 블록체인 상에서는 정보를 공유하기에 불법 복제 및 공유에 대한 기록도 블록체인 상에 저장되므로, 콘텐츠 불법 복제가 발생할 경우 쉽게 추적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상 화폐에 사용되면서 주목받는 블록체인(Blockchain)은 현재의 저작권 관리 시스템에 접목할 수 있는 신기술로, 블록체인의 분산 데이터베이스(50)와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 등을 통해 저작물의 이력 관리 및 저작권료 징수나 위조/변조 방지 등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면 기존 DRM의 문제점이 개선될 수 있다.
현재 저작자의 저작물에 대한 권리는 무분별하게 복제되거나 유출되기 쉬워, 정당한 대가를 받아야 할 저작자의 권리가 침해받는 사례를 쉽게 접할 수 있다. 하지만 블록체인을 통하면 저작물 소유권에 대한 추적이 가능하여 저작권 관리가 유용하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면 창작자는 저작권으로 보호받기 원하는 창작물을 블록에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원, 악보, 대본, 라이센스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창작물의 정보(저작물 관련 정보)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전파되고, 사용자의 저작물 이용 내역도 블록에 저장되며, 복제에 대한 추적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일 예로, 저작권자(창작자)의 신원 확인 정보에 해당하는 KYC(Know Your Customer) 정보를 기초로 한 저작권 원본 인증서와 사용권 인증 정보(라이센스)를 블록에 저장한 후에 배포하면 무분별한 복제 또는 위변조로부터 저작권이 보호될 수 있다.
저작권으로 보호받고자 하는 창작자가 관리 장치(100)에 콘텐츠를 업로드하면, 관리 장치(100)는 블록체인 증명서를 발급할 수 있다. 저작권 원본 인증서와 같은 해당 증명서에는 저작권자와 작품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 온라인 상의 불법 이용 또는 위변조로부터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을 보호받을 수 있다. 블록체인에 저작권을 등록할 때부터 위변조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고 저작물을 이용할 때마다, 저작권자에 대한 정보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블록으로 추가로 연결될 수 있다.
블록체인은 비트코인 거래 이외의 용도로 사용하기가 쉽지 않다. 창작물을 블록체인에 등록하고 그 내용을 확인하는 프로그램, 스마트 컨트랙트를 위한 프로그램 등이 제작돼어야 한다. 특히 창작물 등록의 경우 기존 블록체인에 동일한 창작물이 등록되지는 않았는지 기존 기록과 대조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실수나 고의로 잘못된 저작권 정보가 올라갔을 때 한번 기록되어 유포가 되면 블록체인의 특성상 취소나 회수가 어렵기 때문에 기존 저작권 등록물 데이터베이스(50)와 검증 과정이 필요하다. 기록된 저작물에 대한 불가역성으로 인하여 착오나 실수, 고의로 인하여 잘못된 저작권 등록시에 이를 취소할 수 없는 문제가 있는데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일시적으로 원장을 수정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블록체인 활용이 증가할수록 블록체인의 크기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문제도 있다. 2013년 1월 2일 약 4.2GB였던 비트코인 블록체인의 크기는 2015년 1월 3일 약 27GB, 2017년 1월 2일 약 94GB로 증가했다. 현재는 100GB를 넘어섰다. 그만큼 DB를 저장하는데 저장되는 용량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제1 단말기(10)는 관리 장치(100)를 대상으로 저작물을 등록하고, 저작물의 판매 조건을 등록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는 판매 조건에 부합되는 로열티를 관리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제2 단말기(20)는 관리 장치(100)를 대상으로 구매 조건을 등록할 수 있다. 제2 단말기(20)는 구매 조건에 부합되는 저작물의 사용권(예를 들어 라이센스 등)을 관리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관리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작권자의 정보 또는 사용자의 정보에 해당하는 회원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관리 장치(100)는 제1 단말기(10)의 요청 또는 제2 단말기(20)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50)에 보관된 저작물을 검색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50)는 관리 장치(100)로부터 저작권자의 저작물을 전달받아 보관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50)는 저작권이 증명된 저작권자 또는 제3의 정보 가공자에 한해 기보관된 저작물의 수정, 삭제, 갱신을 허용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50)는 블록체인망(70)과 전자 지갑 또는 저작물의 이용 거래 내역을 주고받거나, 보관할 수 있다. 전자 지갑(Electronic Wallet)은 가상 화폐를 저장하는 전자 계좌를 가리킬 수 있다. 전자 지갑은 가상 화폐의 개발사에서 제공하는 가상 자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단말기에 설치하여 생성하거나, 'www.bithumb.com'와 같은 가상 화폐 거래소에 가입하여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전자 지갑은 일종의 가상 화폐 계좌라 할 수 있는데 전자 지갑의 생성은 32 바이트(byte) 이상의 퍼블릭 어드레스와 같이 숫자와 영어 대소문자를 조합해 이루어진 주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지갑은 '16YxMgbMydAtgFWQB5', 'jP8rh9auwpqqthJY'와 같은 형태가 될 수 있다.
블록체인망(70)은 분산 원장을 통해 각종 정보를 공개할 수 있다. 블록체인망(70)에 의해 공개된 정보는 DAPP(Decentralized Application) 개발자 또는 블록체인망(70)의 기여자(채굴 서버 등)에게 제공될 수 있다.
블록체인망(70)은 전자 지갑, 저작물의 이용 거래 내역을 데이터베이스(50)와 주고받을 수 있다. 관리 장치(100)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취급하는 블록체인망(70)에 대해 저작권자와 사용자 간의 거래 자동 매칭을 의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관리 장치(10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관리 장치(100)는 통신부(110), 보관부(130), 관리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제1 단말기(10), 제2 단말기(20), 데이터베이스(50), 블록체인망(70) 중 적어도 하나와 유무선 통신할 수 있다.
보관부(130)는 제1 정보와 관련된 제2 정보를 획득하고, 블록체인을 이용해 제2 정보를 보관할 수 있다.
관리부(150)는 제2 정보를 이용해서 제1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제1 정보는 저작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정보는 저작물을 만든 저작권자의 정보, 저작권자의 KYC(Know Your Customer) 인증 정보, 저작물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정보, 저작물의 이용 내역 정보, 저작물에 부여된 저작권 원본 인증서, 저작물에 접근할 수 있는 라이센스, 타임 스탬프(time stamp)가 포함된 저작권자의 제1 상태 정보, 타임 스탬프가 포함된 사용자의 제2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보관부(130)는 저작물 자체에 해당하는 콘텐츠(제1 정보)를 일반 서버에 저장하거나 블록체인에 저장할 수 있다. 반면, 보관부(130)는 저작물 관련 정보(제2 정보)를 반드시 블록체인을 이용해 보관할 수 있다.
관리부(150)는 블록체인에 보관된 제2 정보를 이용해서 제1 정보를 관리할 수 ㅣㅇㅆ다. 제1 정보의 관리는 저작물의 관리를 의미할 수 있다.
보관부(130)는 3가지의 정보, 구체적으로 저작권자의 정보, 저작권자의 KYC(Know Your Customer) 인증 정보, 저작물을 합성해서 저작권 원본 인증서를 생성할 수 있다.
보관부(130)는 3가지의 정보를 합성해서 생성한 저작권 원본 인증서를 해시값으로 변환해서 블록체인 상에 기록할 수 있다.
보관부(130)는 저작권 원본 인증서에 기반해서 라이센스를 생성하고, 라이센스를 해시값으로 변환해서 블록체인 상에 기록할 수 있다. 이때, 라이센스는 저작물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관부(130)에 따르면, 저작물, 저작권자의 정보, 저작권자의 정당성을 의미하는 KYC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저작권 원본 인증서가 블록체인에 기록되므로, 진실된 저작권자를 의미하는 저작물의 출처가 명확하게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저작물과 진실된 저작권자의 정보를 이용해서, 특정 창착물이 기등록된 상태인지 용이하게 탐색될 수 있다.
한편, 보관부(130)는 블록체인의 급격한 용량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 저작물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원본 그대로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대신, 콘텐츠의 용량을 줄여서 블록체인에 기록할 수 있다. 이미지 파일의 경우, 보관부(130)는 콘텐츠의 섬네일(thumbnail)을 생성하고, 콘텐츠 원본은 다른 저장소에 보관하며, 섬네일만을 블록체인에 보관할 수 있다. 섬네일은 해상도를 대폭 줄여서 원본보다 용량을 줄인 작은 이미지 파일일 수 있다. 음향 파일의 경우 보관부(130)는 원본의 주파수 대역폭을 낮춘 저음질 파일을 생성하고, 저음질 파일만을 블록체인에 보관할 수 있다. 원본 파일은 다른 저장소에 보관될 수 있다.
관리부(150)는 블록체인 상에 보관된 제2 정보를 이용해서 제1 정보에 대한 특정 사용자의 접근 권한을 확인할 수 있다.
관리부(150)는 블록체인 상에 보관된 제2 정보를 이용해서 특정 사용자가 제1 정보를 입수한 경로를 추적할 수 잇다.
블록체인 상에 보관된 제2 정보는 해킹되거나 조작되기 어려운 높은 신뢰성의 정보에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정보를 이용하면 제1 정보에 대한 불법적인 접근 권한 등을 걸러낼 수 있다. 또한, 저작물에 기록된 사용자의 정보 역시 제2 정보로서 블록체인에 기록되므로 인위적인 수정이 불가능하다. 저작물에 기록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정보를 추적하면, 접근 권한이 없는 사용자가 이전의 어떤 사용자로부터 해당 저작물을 획득했는지 등이 파악될 수 있다.
관리부(150)는 접근 권한이 없는 제2 사용자에게 접근 권한을 획득할 수 있는 방안을 안내하는 한편, 제2 사용자에게 저작물을 제공한 제1 사용자에게 해당 저작물의 유출 사실을 안내할 수 있다.
무수히 많은 저작물의 저장에 필요한 블록체인의 용량을 저감하거나, 저작물의 저장에 필요한 일반 서버, 인터넷망, 클라우드의 용량을 저감하는 방안이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관리부(150)는 단일의 제1 정보를 쪼개어 복수의 모듈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관리부(150)는 온전한 하나의 제1 정보를 불완전한 복수의 모듈 파일로 분해할 수 있다. 모듈 파일은 완성된 조립체를 구성하는 하위의 부품에 해당되며, 그 자체만으로는 완성된 이미지, 문서, 음향 파일을 형성할 수 없다. 대신 용량은 쪼개어진 개수만큼 줄어들 수 있다. 예를 들어, 100Mbyte의 제1 정보가 10개의 모듈 파일로 쪼개어질 경우, 각 모듈 파일은 최대 10Mbyte까지 용량이 줄어들 수 있다. 10Mbyte 용량의 각 모듈 파일은 아무 의미도 없는 더미 파일과 유사할 수 있다. 모듈 파일 10개가 하나로 조립되어 100Mbyte의 제1 정보로 복원된 후에야 비로서 온전한 저작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보관부(130) 또는 관리부(150)는 제2 정보를 수정 또는 갱신이 불가능한 블록체인에 저장할 수 있다. 관리부(150)는 블록체인과 구분되는 서버 또는 단말기에 제1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관리부(150)는 저작권자의 요청에 따라 제1 정보를 수정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관리부(150)는 제1 정보를 복수의 모듈 파일로 쪼개어 관리할 수 있다. 관리부(150)는 특정 사용자(특정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부터 제1 정보에 대한 접근 요청을 받으면, 제2 정보를 이용해 특정 사용자가 저작물의 정당 권리자인지 확인할 수 있다. 관리부(150)는 특정 사용자가 정당 권리자로 확인된 경우에 한하여, 복수의 모듈 파일을 하나로 합쳐서 제1 정보를 복원하고, 복원된 제1 정보를 특정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부(150)는 접근 권한이 부여된 제2 단말기(20)에 대해서만, 모듈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보관부(130) 또는 관리부(150)는 접근 권한이 부여된 제2 단말기(20)에 대해서만, 해당 모듈 파일을 조립할 수 있는 추가 권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관부(130) 또는 관리부(150)는 접근 권한이 부여된 제2 단말기(20)에 대해서만, 조립된 제1 정보의 이용을 허용할 수 있다. 결국, 단일의 제1 정보를 복수의 모듈 파일로 쪼개는 구성에 따르면, 저작물에 대한 접근 권한이 3중으로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모듈 파일에 따르면, 저작물의 보관에 필요한 블록체인망(70), 일반 서버, 인터넷망, 클라우드의 저장 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일반 서버, 인터넷망, 클라우드에 저장된 저작물은 저작권자에 의해 수정/변경/갱신이 쉽게 가능하다. 블록체인망(70)과 대비하여 투명성, 보안성이 낮아질 수 있는데, 모듈 파일의 조립에 대한 추가 권한의 부여를 통해 투명성, 보안성이 보강될 수 있다.
저작물의 추적이 용이하도록, 보관부(130)는 제1 상태 정보 및 제2 상태 정보를 블록체인 상에 기록할 수 있다. 이때, 관리부(150)는 제1 상태 정보 및 제2 상태 정보를 이용해서 저작물 원본과 사본의 상태 변화를 추적하며, 사용자에 의해 지불된 비용 정보를 저작권자가 확인 가능한 블록체인 상에 등록할 수 있다.
도 3은 타임 스탬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타임 스탬프(영어: timestamp)는 특정한 시각을 나타내는 문자열일 수 있다. 둘 이상의 시각을 비교하거나 기간을 계산할 때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일관성 있는 형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실제 정보를 타임 스탬프 형식에 따라 기록하는 행위를 타임 스탬핑(time stamping)이라 한다. 파일 시스템에서 타임스탬프는 저장된 파일이 생성되거나 변경된 시각을 뜻할 수 있다. 타임 스탬프는 이벤트, 즉 사건이 컴퓨터에 기록된 시간(시각)을 의미하며, 사건 그 자체의 시간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타임 스탬프는 저작물의 복제, 저작물의 전송, 저작물의 실행 등과 같은 중요 이벤트가 기록된 시각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보관부(130)에 따르면, 저작권자(창작자)의 신원 확인 정보인 KYC 정보를 기초로한 저작권 원본 인증서와 라이센스가 블록에 저장된 후에 제1 정보 또는 제2 정보가 배포되며, 이를 통해 무분별한 복제 또는 위변조로부터 저작권이 보호될 수 있다.
보관부(130) 또는 관리부(150)는 KYC 신원 인증 사실 및 저작물 등록 사실이 저작권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간 알림 기능을 통해 저작권자의 실수 및 착오로 인한 콘텐츠의 등록이 방지될 수 있다. 보관부(130) 또는 관리부(150)는 실시간 알림에 저작권자의 허락 메뉴를 추가하고, 해당 허락 메뉴를 통해 저작권자가 허락을 한 경우에 한해 실질적으로 제1 정보 또는 제2 정보를 블록체인에 등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의 관리 방법은 보관부(130) 또는 관리부(1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저작권자에 의해 저작물이 생성되고(S 510), 저작권자의 저작물 등록이 요청될 수 있다.
보관부(130)는 저작물, 저작권자의 정보를 입수하고(S 520), 저작권자의 정보(성명, 나이, 생년월일 등)를 이용해서 KYC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 530)
보관부(130)는 저작물, 해당 저작물을 만든 저작권자의 정보, 저작권자의 KYC(Know Your Customer) 인증 정보를 합성해서 저작권 원본 인증서를 생성할 수 있다(S 540).
보관부(130)는 생성된 저작권 원본 인증서를 해시값으로 블록체인에 기록할 수 있다(S 550).
보관부(130)는 저작권 원본 인증서에 기반해서 라이센스를 생성하고, 라이센스를 해시값으로 변환해서 블록체인 상에 기록할 수 있다(S 560).
보관부(130)는 블록 노드를 다른 노드와 체인 형태로 연결하여 상태(제1 상태 정보 등)를 전파할 수 있다(S 560).
보관부(130) 또는 관리부(150)는 저작권자, 사용자의 조회시 실시간 이용 이력을 제공할 수 있다(S 570).
본 발명의 관리 방법에 따르면, 시간 이력에 따른 콘텐츠의 이용 내역을 블록체인의 저장소에 기록하여 이용 내역을 조회, 확인할 수 있다(S 580).
디지털 콘텐츠를 소유한 저작권자는 블록체인의 저작권 보호 기술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보호를 받을 수 있다. 각 콘텐츠는 블록체인 콘텐츠의 보안 기술을 통해서 고유의 ID를 할당 받으며 블록체인에서 고유의 ID를 식별자로 하여 콘텐츠 사용 내용의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다.
Baas(Blockchain as a Service)나 SaaS(Software as a Service)를 통해서 다양한 방법의 콘텐츠 오픈 마켓(B2B, B2C)의 서비스를 구성할 수 있다.
보관부(130) 또는 관리부(150)에 의해, 제1 상태 정보 또는 제2 상태 정보가 포함된 콘텐츠 추적 정보 파일이 생성될 수 있다.
콘텐츠 추적 정보 파일은 Header, Printing, Encrypted Data로 구성될 수 있다.
콘텐츠 추적 정보 Header에는 콘텐츠 추적 정보 파일에 대한 정보가 메타 코드로 삽입될 수 있다. 콘텐츠 추적 정보 Printing에는 저작자 정보와 콘텐츠 정보가 디지털 포렌식 마킹으로 지속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콘텐츠 추적 정보 Printing에는 저작권자 및 사용자의 정보가 꼬리표처럼 붙여질 수 있다.
Header, Printing, Encrypted Data 영역으로 구성된 콘텐츠 추적 정보 파일에 대한 블록체인 적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메타 코드 정보가 담긴 Header 영역, 저작자 정보와 콘텐츠 정보가 Digital Forensic Marking(포렌식 마킹)으로 지속적으로 콘텐츠 추적 정보 파일 내에 삽입되는 Printing 영역은 트랜잭션이 발생할 때마다 해시 함수 알고리즘으로 암호화되며, 머클트리 방식에 의한 해시값으로 추출된 후 Encrypted Data의 해시값과 결합되어 최종 루트 해시값으로 블록체인 분산 원장에 기록될 수 있다.
암호화된 콘텐츠 데이터가 담겨 있는 Encrypted Data 영역은 콘텐츠 추적 정보 클라우드의 Object Storage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에서 Object Storage의 저장 ID값은 블록체인의 루트 해시값(고유의 ID)을 참조하여 콘텐츠 추적 정보 메타 코드와 콘텐츠 데이터를 연결할 수 있다.
콘텐츠 추적 정보 파일 정보에 대한 작업 증명은 인증된 마스터 노드가 담당하며 POS 방식의 작업 증명을 시행하여 콘텐츠 추적 정보 파일 정보를 검증하고 분산 원장에 기록할 수 있다.
콘텐츠 추적 정보 파일 정보는 저작권자의 저작권 정보, 판매권자 정보, 구매자 정보, 유통 경로, 사용자 정보 등을 워터마크로 삽입한 정보와 암호화된 콘텐츠 데이터와 결합되어 블록체인 분산 원장에 저장됨으로써 콘텐츠에 대한 보안성과 유통 경로에 대한 투명성이 강화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관리 방법은 보관부(130) 또는 관리부(15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관리부(150)는 저작물이 포함된 제1 정보를 쪼개어 복수의 모듈 파일을 생성하고, 복수의 모듈 파일을 인터넷망과 클라우드에 분산 저장할 수 있다(S 610).
보관부(130) 또는 관리부(150)는 저작물을 만든 저작권자의 정보, 저작권자의 KYC(Know Your Customer) 인증 정보, 저작물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정보, 저작물의 이용 내역 정보, 저작물에 부여된 저작권 원본 인증서, 저작물에 접근할 수 있는 라이센스, 타임 스탬프가 포함된 저작권자의 제1 상태 정보, 타임 스탬프가 포함된 사용자의 제2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이용해서 워터마크 또는 지문으로 접근 가능하게 제1 정보를 암호화할 수 있다(S 620).
보관부(130) 또는 관리부(150)는 제1 정보 또는 제2 정보를 블록체인에 등록하기 전에 제1 상태 정보를 블록체인에 기록할 수 있다(S 630).
보관부(130) 또는 관리부(150)는 스마트 계약의 형태로 저작권 원본 인증서 및 내역 정보를 블록체인에 등록할 수 있다(S 640).
보관부(130) 또는 관리부(150)는 스마트 계약에 연계된 암호화 기법을 제1 정보에 적용할 수 있다(S 650).
보관부(130) 또는 관리부(150)는 정당 권리자의 요청시 암호화 기법을 통해 제1 정보를 복호화하며, 복수의 모듈 파일을 하나로 합쳐서 제1 정보를 복원할 수 있다(S 660).
보관부(130) 또는 관리부(150)는 복제된 저작물이 구동시에 제2 단말기(20)의 상태 정보(타임 스탬프)를 블록체인에 기록할 수 있다(S 670).
사용자는 암호화된 프로그램을 복호화하고 실행하기 위해서 블록체인에 연결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 컨트랙트에 명시된 사용료를 지불하고 인증서 개인 키를 획득한 후에 저작물에 접근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미지 뷰어, 음향 플레이어 등)을 실행할 수 있다.
지불된 비용은 블록체인을 통하여 투명하게 공개(저작권자와 서비스 제공자, 유통업자 등)될 수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에 명시된 지분률(저작권료)에 따라서 저작권자(개발사)에게 즉시 정산 분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컴퓨팅 장치(TN100)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장치(예, 관리 장치 등) 일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TN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TN110), 송수신 장치(TN120), 및 메모리(TN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TN100)는 저장 장치(TN14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TN15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TN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TN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TN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그래픽 처리 장치(GPU: graphics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절차, 기능, 및 방법 등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컴퓨팅 장치(TN1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프로세서(TN11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TN130)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유선 신호 또는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금까지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상술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통상의 기술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제1 단말기 20...제2 단말기
50...데이터베이스 70...블록체인망
100...관리 장치 110...통신부
130...보관부 150...관리부

Claims (5)

  1. 제1 정보와 관련된 제2 정보를 획득하고, 블록체인을 이용해 상기 제2 정보를 보관하는 보관부;
    상기 제2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제1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저작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저작물을 만든 저작권자의 정보, 상기 저작권자의 KYC(Know Your Customer) 인증 정보, 상기 저작물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정보, 상기 저작물의 이용 내역 정보, 상기 저작물에 부여된 저작권 원본 인증서, 상기 저작물에 접근할 수 있는 라이센스, 타임 스탬프가 포함된 상기 저작권자의 제1 상태 정보, 타임 스탬프가 포함된 상기 사용자의 제2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는 상기 저작권자의 정보, 상기 저작권자의 KYC(Know Your Customer) 인증 정보, 상기 저작물을 합성해서 상기 저작권 원본 인증서를 생성하고, 상기 저작권 원본 인증서를 해시값으로 변환해서 블록체인 상에 기록하는 관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단일의 상기 제1 정보를 쪼개어 복수의 모듈 파일을 생성하고, 각 모듈 파일을 인터넷망 또는 클라우드에 분산 저장하는 관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제1 정보를 복수의 모듈 파일로 쪼개어 관리하고,
    상기 관리부는 특정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정보에 대한 접근 요청을 받으면, 상기 제2 정보를 이용해 상기 특정 사용자가 상기 저작물의 정당 권리자인지 확인하며,
    상기 관리부는 상기 특정 사용자가 상기 정당 권리자로 확인된 경우에 한하여, 복수의 상기 모듈 파일을 하나로 합쳐서 상기 제1 정보를 복원하고, 복원된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특정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관리 장치.
  5. 저작물, 상기 저작물을 만든 저작권자의 정보, 상기 저작권자의 KYC(Know Your Customer) 인증 정보를 합성해서 저작권 원본 인증서를 생성하고, 상기 저작권 원본 증명서를 해시값으로 블록체인에 기록하며,
    상기 저작권 원본 인증서에 기반해서 상기 라이센스를 생성하고, 상기 라이센스를 해시값으로 변환해서 블록체인 상에 기록하는 관리 방법.
KR1020190119702A 2019-09-27 2019-09-27 저작물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100372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702A KR20210037274A (ko) 2019-09-27 2019-09-27 저작물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702A KR20210037274A (ko) 2019-09-27 2019-09-27 저작물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274A true KR20210037274A (ko) 2021-04-06

Family

ID=75473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702A KR20210037274A (ko) 2019-09-27 2019-09-27 저작물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727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5728A (ko) * 2021-05-17 2022-11-24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의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30002033A (ko) *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레드윗 블록체인 기반의 연구노트 관리 시스템
KR20230033552A (ko) * 2021-09-01 2023-03-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23177111A1 (ko) * 2022-03-18 2023-09-21 라인넥스트 주식회사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공동 운영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계정을 운영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643882B1 (ko) * 2023-08-28 2024-03-07 주식회사 이루티 블록체인 기반 디자인 저작권 등록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자인 저작권 등록 서비스 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699B1 (ko) 2018-10-22 2019-05-23 김보언 블록체인 기반의 비디지털 저작물의 저작권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699B1 (ko) 2018-10-22 2019-05-23 김보언 블록체인 기반의 비디지털 저작물의 저작권 관리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5728A (ko) * 2021-05-17 2022-11-24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의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30002033A (ko) *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레드윗 블록체인 기반의 연구노트 관리 시스템
KR20230033552A (ko) * 2021-09-01 2023-03-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23177111A1 (ko) * 2022-03-18 2023-09-21 라인넥스트 주식회사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공동 운영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계정을 운영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643882B1 (ko) * 2023-08-28 2024-03-07 주식회사 이루티 블록체인 기반 디자인 저작권 등록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자인 저작권 등록 서비스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83794B2 (ja) 著作権管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Zhang et al. A design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mechanism based on blockchain technology
Zhao et al. Bmcprotector: A blockchain and smart contract based application for music copyright protection
Konashevych General concept of real estate tokenization on blockchain: The right to choose
US2017011669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centralizing Commerce and Rights Management for Digital Assets Using a Blockchain Rights Ledger
KR101026607B1 (ko) 디지털 콘텐츠 공표 및 대응 디지털 공표자 라이센스 발행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RU2348073C2 (ru) Регистрация/субрегистрация сервера управления цифровыми правами (уцп) в архитектуре уцп
JP4750352B2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に対応するデジタルライセンスを取得する方法
KR20210037274A (ko) 저작물 관리 장치 및 방법
JP2019511854A (ja) 分散ハッシュテーブル及びブロックチェーンを用いてコンピュータソフトウェアを保証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20200159890A1 (en) Securely storing digital content using a distributed ledger
US20080167994A1 (en) Digital Inheritance
US2005027380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title transaction network
Hwang et al. Modeling and implementation of digital rights
NO332664B1 (no) Fremgangsmate for bruk av en rettighetsmal for a oppna et signert rettighetsmerke (SRL) for digitalt innhold i et digitalt rettighetsforvaltningssystem
MXPA06001252A (es) Arquitectura flexible de ortogamiento de licencia en sistemas de adiministracion de derechos de contenido.
US20200159889A1 (en) Preventing fraud in digital content licensing and distribution using distributed ledgers
GB2607026A (en) A smart contract based blockchain application using non-fungible token for authorized asset sharing
US9374226B2 (en) Protectio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digital files whether new, second-hand, for rental, exchange or transfer
KR20070061605A (ko) 합법적 네트워크 마케팅 유통 지원 및 저작권 파일 무단전송/복제의 차단 및 탐지 가능한 저작권 보호 p2p 시스템
US200500605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content management and controlling copyright protection
CN112954403B (zh) 视频加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TW201327440A (zh) 雲端數位版權商品交易平台與雲端數位版權管理方法
US20230245102A1 (en) Non Fungible Token (NFT) Based Licensing and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for Software and Other Digital Assets
Adjei-Mensah et al. Securing music sharing platforms: A blockchain-based approa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