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1071B1 - 토큰 이코노미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토큰 이코노미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1071B1
KR102371071B1 KR1020210084419A KR20210084419A KR102371071B1 KR 102371071 B1 KR102371071 B1 KR 102371071B1 KR 1020210084419 A KR1020210084419 A KR 1020210084419A KR 20210084419 A KR20210084419 A KR 20210084419A KR 102371071 B1 KR102371071 B1 KR 102371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oken
blockchain
platform service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호근
Original Assignee
전호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호근 filed Critical 전호근
Priority to KR1020210084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10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involving input on products or services in exchange for incentives or rewards
    • G06Q30/0218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involving input on products or services in exchange for incentives or rewards based on sc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06Q20/3267In-app pay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9Online discounts or incentives

Abstract

토큰 이코노미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블록체인 메신저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콘텐츠를 유료 또는 무료로 스트리밍 또는 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콘텐츠를 업로드하고, 사용자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소비에 따른 보상을 지급받는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 간 메시지를 송수신하도록 메신저를 제공하는 메신저부,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콘텐츠의 소비에 따른 기여도를 산출하는 산출부, 기여도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토큰으로 보상을 지급하는 홍보보상부를 포함하는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토큰 이코노미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TOKEN ECONOMY BASED BLOCK-CHAIN PLATFORM SERVICE}
본 발명은 토큰 이코노미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참여자를 유입 및 유지시킬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블록체인 비즈니스는 많은 코인 및 토큰들이 블록체인 활용을 위해 토큰 경제 생태계를 구축하는 토큰 이코노미(Token Economy)의 부가가치 획득으로 규모있는 사업화를 이룰 수 있다. 토큰 이코노미의 광의적인 의미로는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로 가능해진 새로운 경제 시스템, 경제 체제와 의사결정(Governance) 구조까지 영향을 주는 거대한 움직임으로 정의할 수 있는데, 협의적인 의미로는 모든 이해관계자에게 합리적인 혜택이 돌아가는 게임이론과 보상(Incentive) 기반의 토큰구조와 설계로 정의된다. 이러한 토큰 이코노미의 구조와 설계를 하는 것은 블록체인 기반 비즈니스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데, 토큰 이코노미 생테계 초기 참여자를 위한 할인 제공과 독점적인 멤버십 권한을 부여하고, 사용자 증가에 따른 네트워크 효과 적용 또는 비즈니스 영역이 존재해야 하며, 합법적 과정을 거쳐 모인 사용자 정보가 빅데이터 기반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어야 함을 고려해야 한다.
이때, 토큰 이코노미 기반으로 기여자에게 보상을 주는 방법 및 메신저를 제공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20-0142389호(2020년12월22일 공개)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9-0135234호(2019년12월06일 공개)에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노드 그룹을 지정한 후, 데이터는 데이터 처리 그룹 노드에서만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처리속도를 증가시키고, 블록체인 시스템 유지에 실질적으로 기여한 노드에게는 보상을 지급하는 구성과, 노드 간 메신저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메신저 데이터 블록을 생성한 후 큐브화(Cubing)하여 데이터 세션 연결을 중단 시 서버 단에서 메신저 데이터를 삭제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자가 모여들어야 하고, 참여자가 모여들기 위해서는 홍보 및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메신저를 기반으로 플랫폼을 제공해야 하는데, 전자의 경우에는 데이터 처리에 기여한 노드에만 보상을 제공할 뿐 지속적으로 네트워크에 참여할 유도인자가 부족하며, 후자의 경우에도 메신저 데이터를 프라이버시를 지키면서 큐브화를 진행할 뿐 참여자나 기여자에게 어떻게 보상을 할 것인지에 대한 구성이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이에, 크리에이터의 홍보를 통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마케팅을 진행하고, 메신저를 기반으로 지속적으로 참여자를 유입 및 유지시키며, 각 기여자에게는 토큰으로 보상을 하는 토큰 이코노미 기반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크리에이터의 홍보를 통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마케팅을 진행한 후 크리에이터에게는 토큰으로 보상하고, 메신저를 기반으로 지속적으로 참여자를 유입 및 유지시키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여를 한 노드에게도 토큰으로 보상체계를 제공함으로써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각 노드가 머무를 수 있는 유인인자를 제공할 수 있는, 토큰 이코노미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블록체인 메신저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콘텐츠를 유료 또는 무료로 스트리밍 또는 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콘텐츠를 업로드하고, 사용자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소비에 따른 보상을 지급받는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 간 메시지를 송수신하도록 메신저를 제공하는 메신저부,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콘텐츠의 소비에 따른 기여도를 산출하는 산출부, 기여도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토큰으로 보상을 지급하는 홍보보상부를 포함하는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크리에이터의 홍보를 통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마케팅을 진행한 후 크리에이터에게는 토큰으로 보상하고, 메신저를 기반으로 지속적으로 참여자를 유입 및 유지시키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여를 한 노드에게도 토큰으로 보상체계를 제공함으로써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각 노드가 머무를 수 있는 유인인자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큰 이코노미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큰 이코노미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큰 이코노미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큰 이코노미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토큰 이코노미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토큰 이코노미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정보제공 서버(5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토큰 이코노미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메신저를 이용하고, 크리에이터의 콘텐츠를 유료 또는 무료로 소비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또, 사용자 단말(100)은, 콘텐츠 외에도 쇼핑, 가상화폐 거래, 교환 등을 블록체인 플랫폼 내에서 수행하고 기여도에 따라 토큰으로 보상받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토큰 이코노미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400)로부터 홍보 콘텐츠 등을 업로드받고 소비되는 경우 기여도 보상정책에 따라 토큰으로 보상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메신저를 사용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쇼핑 등의 결제를 수행하거나 인앱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 보상을 토큰으로 지급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400)은, 토큰 이코노미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업로드하고, 콘텐츠의 소비에 따라 토큰으로 보상을 받는 크리에이터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콘텐츠는 블록체인 플랫폼을 홍보하는 홍보 콘텐츠일 수도 있고 각종 카테고리별 주제를 담은 콘텐츠일 수도 있고, 소설, 웹툰 등의 콘텐츠일 수도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큰 이코노미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메신저부(310), 산출부(320), 홍보보상부(330), 기여보상부(340), 배포부(350), 일치부(360) 및 계약관리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400)로 토큰 이코노미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400)은, 토큰 이코노미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설명하기 이전에 토큰 이코노미에 대한 기본개념을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된 개념은 도 2를 설명하면서 중복하지 않는다.
1999년 인터넷 등장, 2009년 스마트폰으로 시작된 모바일 시대에 이어서 2018년 현재 블록체인은 탈중앙화된 P2P방식으로 거래장부를 공유하고 관리하는 데이터 보안기술로써 보안성, 투명성, 탈중개성, 신속성의 특징이 있다. 블록체인 기술과 암호화폐의 토큰 이코노미는 향후 5년간 10배 이상 성장할 것이며 금융, 물류, 의료 등의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블록체인은 지급수단(1세대: 09년~14년) 기능에 대한 검증을 통해 거래 및 스마트 계약 기능이 추가된 2세대(15년~현재)로 발전되었으며 특정 업무목적에 활용할 수 있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이 등장하고 있다.
3세대 블록체인은 성능 개선과 공공 서비스, 계약, 증명 등 신뢰가 필요한 분야의 기반기술 이다. 토큰은 알트 코인에 비해 플랫폼 기반으로 가장 많이 통용되는 것인 이더리움 토큰 규격인 ERC-20 인데 ETH로만 구매 가능하며, EOS도 이더리움 기반의 토큰으로 올라가는 알트코인이다. 초기에 이더리움 수준의 블록체인을 구축하는 것보다 이더리움 토큰 기반으로 올렸다가 전환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토큰 플랫폼에서는 스마트계약이라는 것을 만들어 배포할 수 있다. 토큰도 스마트계약의 일종 중에 하나이다. ICO(Initial Coin Offering)는 새로운 암호화폐 토큰을 판매해 투자금을 모집을 위한 수단으로, 코인과 토큰의 차이는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코인 독립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메인넷)를 소유한 경우 코인으로 부른다. 예를 들면, 비트코인 (BTC), 이더리움(ETH), 퀀텀(QTUM), 스팀(STEEM), 넴(NEM) 등을 들 수 있다.
토큰 독립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소유하지 않은 경우 토큰으로 부른다. 예를 들면, 이오스(EOS), 트론(TRX) 등을 들 수 있다.
아울러, 최근 5년 사이에 블록체인에 관한 서적의 수에 분석으로 컴퓨터 과학 뿐 만 아니라 비즈니스 및 경제 분야를 아우른 모든 장르에서 전반적인 관심이 급증 등 다양한 토큰 비즈니스가 발전하고 있다.
<ICO 현황과 블록체인 생태계>
블록체인 기술 기반과 토큰(Token)이코노미 생태계에 대한 지지와 확신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블록체인 사업화가 시도되고 있다. 2009년 하반기 비트코인의 논문의 등장과 2010년 초비트코인의 기술적인 구현 이후 2013년 7월에 마스터코인(Master Coin)이 전 세계 첫 번째 ICO를 통해서 5백만달러 자금 조달을 진행하였다. 2014년 8월 이더리움(Ethereum)이 1,800만 달러의 ICO 방식을 세상에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이더리움은 ICO를 통한 자금조달은 ERC-20 기반으로 손쉽게 토큰을 발행할 수 있게 하면서 ICO의 대중화를 선도했다. 미국 달러가 기축통화로서 원유(oil) 거래를 장악한 것과 비슷한 일이다. 특히, 2017년 4분기에는 월단위로 1조원 이상 ICO를 통해 조달되었다.
<토큰 이코노미 발전 및 네트워크>
블록체인 비즈니스는 많은 코인 및 토큰들이 블록체인 활용을 위해 토큰 경제 생태계를 구축하는 토큰 이코노미(Token Economy)의 부가가치 획득으로 규모있는 사업화를 이룰 수 있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토큰 이코노미의 광의적인 의미로는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로 가능해진 새로운 경제 시스템, 경제 체제와 의사결정(Governance) 구조까지 영향을 주는 거대한 움직임’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협의적인 의미로는 ‘모든 이해관계자(투자자, 중개자, 이용자(소비자) 등)에게 합리적인 혜택이 돌아가는 게임이론과 보상(Incentive) 기반의 토큰구조와 설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토큰 이코노미의 구조와 설계를 하는 것은 블록체인 기반 비즈니스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으며, 표 2와 같은 사항들을 고려해야 한다.
번호 내용
1 토큰 이코노미 생테계 초기 참여자를 위한 할인 제공과 독점적인 멤버십 권한을 부여함
2 사용자 증가에 따른 네트워크 효과 적용 또는 비즈니스 영역이 존재해야 함
3 합법적 과정을 거쳐 모인 사용자 정보가 빅데이터 기반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어야 함
4 블록체인 기반 토큰 이코노미 생태계는 대부분 사용자들간의 공정하고 투명하게 직접적인 가치교환과 거래가 이루어지므로 중재 역할이 축소되고 이에 따라 미들맨이 소멸되도록 설계된다.
5 지속적인 토큰 가치상승을 위해 생태계 전체가 성장해야 하며 이를 위해 토큰 수요와 공급이 조화를 이루되 수요가 공급을 견인해야 한다
<블록체인과 토큰 이코노미>
Facebook, Google, Amazon, Naver, Tencent 등의 기업들은 대부분의 부가가치를 사용자들의 콘텐츠 생산, 공유, 확산 혹은 그들의 커머스나 게임 참여활동을 통해서 만들어내고 확산시킨 것이다. 세계적인 금융위기와 그에 따른 각 국가별 화폐발행 남발 등으로 국가 주도 화폐 발행과 운용에 대한 불신과 맞물리면서 블록체인의 기술을 바탕으로 암호 화폐에 대한 강력한 지지와 관심이 생겨나게 되었다. 2015년부터 블록체인 기술 기반 암호 화폐와 비즈니스가 새로운 가능성의 영역으로 토큰 이코노미가 조성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필수요소가 있다
Tokens
Back-up Reinforcers
Specified Target Behaviors
Tokens는 상벌점 제도에서는 상점 또는 벌점이 될것이고, 암호화폐 생태계에서 암호화폐가 될 것이다. Back-up Reinforcers는 토큰과 교환 가능한 강화제로 상점을 가장 많이 모은 사람에게 주는 인센티브나 벌점으로 암호화폐 시장에서는 실제 생활에서 쓰이는 재화 또는 현금 등의 리워드를 의미한다. Specified Target Behaviors는 토큰 이코노미 참여자들이 어떤 행동을 하도록 유도하는 생태계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홍보하기 위하여 크리에이터가 홍보 콘텐츠를 업로드하면 토큰으로 보상을 주어 Tokens를 제공하고, Back-up Reinforcers를 위해 콘텐츠, 상업, 소셜 및 교환 등에 따른 리워드를 제공하며, 참여자들이 메신저를 기반으로 실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유인책을 마련하여 Specified Target Behaviors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토큰 이코노미 기업>
국내외적으로 널리 알려진 토큰 이코노미의 대표적 사례로는 보상형 글쓰기 플랫폼 스팀잇(Steemit)이다. 이러한 스팀잇은 ‘An incentivized, blockchain-based, public content platform’의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스팀잇이 구현하고자 하는 블록체인 기반 토큰 이코노미 생태계가 무엇인지 명확하게 담겨있다. 스팀잇은 Financing, Sweat Equity, Credit Union의 3 원칙 측면에서 기준과 가이드를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스팀잇 생태계의 지속적인 활성화 유지와 확산을 위해서 STEEM(유동성 공급, 현실 화폐와의 교환 수단), Steem Power(Vesting의 개념(13 주간의 원리금 균등상황), 글쓰기 보상, Power up&down을 통한 생태계 활성화 유지), Steem Dollar(부채(Convertible Note), 글쓰기에 대한 현실화폐 연동 보상)의 3종 화폐를 도입했다. 이러한 내용은 블록체인의 비가역적 공개 데이터로 SteemSQL, SteemDB사이트에서 실시간 확인 가능하다. 이로서 스팀잇 서비스의 활성화 원인과 구성원들의 반응 및 암호화폐 거래내역 등을 확인해 볼 수 있다.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마케팅 컴퍼니 '애드포스 인사이트(AD4th Insight)'는 다양한 블록체인 관련 사업 포트폴리오 및 블록체인 원천 기술을 가지고 있는 ICON과의 협력관계 그리고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광고시장의 탈중앙화를 설계하고 있다. AD4th 블록체인 플랫폼은 광고 중개자나 일부 매체를 위주로 혜택이 돌아가는 기존 광고 생태계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생태계 구성원 모두에게 기여도에 따른 보상이 돌아갈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새로운 광고 생태계의 확장을 준비하고 있다.
<토큰 이코노미 활용>
기존 PC기반 인터넷과 모바일에서의 Protocol은 기술 규약 수준에 머물러서 다양한 앱(App)들의 등장에 따라 응용계층에서 많은 부가가치가 창출하였다. 블록체인 이코노미에서는 이더리움, 아이콘(ICON), 이오스(EOS)처럼 블록체인 기술 기반 플랫폼을 만든 곳에서 부가가치의 확산이 기대된다. Fat Protocol은 해당 영역에서 커다란 부가가치가 기대되는 이유는 암호 화폐의 발행을 동반하고 있기 때문이다. ETH, ICX, EOS 같은 플랫폼 혹은 프로토콜 코인은 각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 생태계에서 기축통화의 역할을 하며, 부가가치의 핵심 수혜자가 될 것이다. 이러한 프로토콜 프로젝트들은 2018년 5월 블록체인 업계에서 가장 권위있는 언론사인 코인데스크(Coindesk)가 발표한 것처럼 The bitcoin standard에 따라서, Price, Exchange, Network, Social, Developer 다섯 가지 영역에 따라 비즈니스로 확장 될 것이다.
또한 블록체인 기반 비즈니스로 콘텐츠, 광고, 게임, 커머스, 결제(Payment), 부동산(Real Estate), 스테이블 코인(Stable Coin) 이상의 7개 분야들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앞으로 블록체인 기반 비즈니스 영역에서 다양한 시도와 도전과 성과를 만들어 낼 것이다. 이러한 블록체인 기술 및 토큰 이코노미의 결합과 확산은 블록체인 기술의 특성상 모든 거래의 이체 내역이 원장에 공개되기 때문에 토큰 비즈니스 사용자들을 위해 더 나은 사용가치를 창출하게 됨으로서 토큰 비즈니스 생태계에 변화가 생길 것으로 예측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메신저부(31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 간 메시지를 송수신하도록 메신저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블록체인 메신저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콘텐츠를 유료 또는 무료로 스트리밍 또는 플레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400)은,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콘텐츠를 업로드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소비에 따른 보상을 지급받을 수 있다.
이때, 블록체인은 실시예에 따라 퍼블릭 또는 프라이빗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복수의 거래원장의 결과를 실시간 비교하여 중앙 통제자의 개입 없이 컴퓨터 네트워크상에서 P2P(Peer-to-Peer) 형태로 당사자 간의 거래가 자동으로 실행되는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탈중앙화(Decentralization)를 통하여 기존의 서버-클라이언트 구조가 아닌 분산되고, 독립적이며, 개방된 공통 장부 관리 기술로, 거래정보를 기록한 원장을 특정 기관의 중앙 서버가 아닌 P2P 네트워크에 분산하여 참가자가 공동으로 기록하고 관리하는 기술이다.
이를 위해, 블록체인은 거래정보가 담긴 각각의 블록을 해시함수를 사용하여 연결하며, 블록이란 블록체인의 원소 개념으로 각각의 블록은 블록헤더와 거래 정보, 부가정보들로 구성되어 있다. 블록체인을 통해 신규거래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거래를 모아 블록을 만들고, 신규 거래가 담긴 블록이 블록체인에 추가된 후 모두에게 공유되어야 한다. 블록체인은 공용장부에 추가되는 신규거래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블록 생산자들에게 일종의 비용을 요구하는데, 대다수의 블록체인에서는 그 방식으로 PoW(Proof of Work)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PoW 방식은 이전 블록해시와 nonce값을 입력 값으로 해시함수를 수행하는데, 해시함수의 출력 값이 미리 정해놓은 해시 값 범위에 수렴해야 한다.
이후 가장 먼저 위의 출력 값을 찾은 블록 생성자의 블록이 신규블록으로 추가되고 모든 참여자들에게 공유된다. PoW 방식은 현재까지 가장 보편적으로 거래 합의에 사용되고 있는 기술이지만, Nonce 값을 찾는 과정에서 많은 전력이 소모될 수 있기 때문에, 대용량의 거래를 실시간을 수행하기 위해서, 다른 채굴 방식인 PoS(Proof of Stake), DPoS(Delegated Proof of Stake)를 이용할 수도 있다. PoS(Proof of Stake)는 화폐의 소유권에 의한 증명 방식의 한 형태로, 블록을 추가하기 위해 지분(Stake)을 사용하여 해시 결과 값을 계산한다. PoS에서는 보유한 지분이 클수록 블록 해시 값을 찾을 확률이 높아져 상대적으로 빠르게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DPoS에서는 PoS를 기반으로 하여 모든 개인이 블록 마이닝에 참여할 수 있지만, 투표로 선출된 대표자(Delegator)만이 생성된 블록에 서명을 붙이고 기존의 블록체인에 새로운 블록을 연결할 수 있다. 대표자는 각각이 보유한 지분을 기반으로 투표 후 선출된다. DPoS방식은 합의 과정에서 해시 계산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해시계산을 이용한 PoW, PoS 방식에 비해 빠르게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마이닝 및 분산 저장 방식이 이용될 수 있고, 상술한 것들로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산출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4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콘텐츠의 소비에 따른 기여도를 산출할 수 있다.
홍보보상부(330)는, 기여도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토큰으로 보상을 지급할 수 있다. 이때 토큰은 NFT(Non-Fungible Token)일 수 있다.
기여보상부(340)는, 콘텐츠의 결제, 상품의 결제, 개인 간 토큰 전송 및 인앱(In-App) 결제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여를 한 적어도 하나의 노드로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클라우드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가 분산된 분산 클라우드 환경 내의 에지 노드(Edge Nod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에지 노드 이외에도 분산 클라우드나 분산 노드 환경이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할 수도 있다.
이때, 에지 컴퓨팅이란 엑세스 포인트, 스위치, 라우터 등과 같은 네트워크 에지 노드에서 발전하여 다양한 구성 요소가 있을 수 있다. 에지 클라우드는 소규모 클라우드로 전망하며, 자원 제약으로 인해 중앙 클라우드와 연동이 필요할 수 있다. 클라우드 연동을 고려한 에지 클라우드 시스템 구조를 이용하여, 신속한 서비스 제공 및 효율적인 자원 운용은 몰입감 또는 저지연시간을 필요로 하는 서비스에 필수요소이다. 이를 위해 클라우드와 연동을 고려한 에지 클라우드 시스템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먼저, 클라우드는 잘 알려진 네트워크상에서 멀리 떨어진 중앙 집중형 클라우드를 의미하고, 에지 클라우드는 사용자와 가까이 있는 네트워크 장치와 클라우드 기술이 결합된 클라우드이다. 에지 클라우드는 네트워크 기술과 클라우드 기술을 함께 활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을 위한 컴퓨팅 자원 및 네트워크 자원 관리는 매니저 노드에서 담당하며, 서비스는 워커 노드에서 구동 및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서비스를 요청하면 에지 클라우드에서 서비스 인지 후 서비스 라우팅을 통해 서비스를 빠르게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매니저는 서비스 인지 모듈(Service Aware Module)을 통해 사용자가 요청하는 서비스를 인지할 수 있고, 서비스 라우팅모듈(Service Routing Module)은 인지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서비스를 클라우드에서 에지로 배치하고, 서비스를 구동중인 타 에지로 전달하며, 클라우드로 전달과 같은 결정을 하고 이를 통해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는 서비스 인지 모듈과 서비스 라우팅 모듈을 활용한 클라우드와 에지의 효율적인 연동의 한 예가 될 수 있다. 에지 클라우드 RESTful API 서비스(Edge Cloud RESTful API Service), 에지 정보 데이터베이스(Edge Info DB), 클라우드 리소스 모니터(Cloud Resource Monitor) 모듈은 서비스를 포함한 에지 클라우드 자원 관리에 활용된다. 에지 클라우드 RESTful API 서비스 모듈은 서비스 검색, 생성, 업데이트, 삭제 요청을 수행하고 이때 서비스로드 밸런싱을 설정 할 수 있다. 에지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에지 클라우드에서 구동중인 서비스의 상태를 관리한다. 클라우드 리소스 모니터는 매니저와 워커 및 구동중인 서비스의 상태를 확인하여 에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워커는 요청된 로드 밸런싱 정보에 따라 서비스를 구동하고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배포부(35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로 리워드 dApp(Decentralized Application)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지갑 포맷은, ERC(Ethereum Requests for Comment)-20 Token을 지원할 수 있다. ERC는 이더리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발행되는 토큰의 표준규약이다. 이더리움 네트워크내에서는 다양한 디앱(DApp, 탈중앙화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고 이 디앱들은 각각 이더리움 기반의 서로 다른 토큰들을 발행하고 있다. ERC는 디앱 토큰을 개발하면서 준수하자고 합의한 개발자들의 기술표준 같은 것이다. 토큰 발행 시 지켜야 할 일종의 가이드라인이다. ERC-20의 장점은 이더리움의 스마트 계약(Smart Contaract)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이다. 토큰 거래에 특정한 계약조건을 추가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이고 범용성 높은 블록체인 활용이 가능해진다.
일치부(360)는,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400)의 계정을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의 전자지갑과 일치시켜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400)에서 개인키(Private Key)의 관리하지 않아도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계약관리부(370)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계약을 스마트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이용하여 자동화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스마트컨트랙트, 즉 스마트계약은 인간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실행되므로 당사자의 신뢰를 중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계약의 가장 큰 약점이라 할 수 있는 계약의 불이행 문제가 상대방의 신용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래밍된 조건의 성취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소위 조건부 계약(Conditional Nature)의 일종이다. 따라서 스마트계약에서는 조건 성취 여부를 해석, 판단, 평가하는 것이 법적으로 중요한 쟁점이 된다. 그러나 이러한 판단 역시 컴퓨터가 하게 되어 사후적이고 예외적인 경우에만 인간의 개입이 허용되므로 전형적이고 객관적 조건을 필요로 하는 계약에서 유용할 수 있다.
스마트계약은 알고리즘을 따라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하므로 인간 의사 결정에 기초하는 지능형 프로세스의 자동화보다 속도와 신뢰 면에서 월등한 기능을 갖는다. 특히 비정형 데이터를 처리하고 복잡한 의사 결정을 내려야 하는 프로세스의 자동화 작업은 비용절감 효과가 있고, 속도 면에서도 신속처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파생금융상품거래를 스마트계약으로 구현할 경우, 계약의 자동생성 단계에서 계약조건에 대한 컴퓨터의 영향 정도에 따라 프로세스 자동화 요소가 포함됨과 동시에 거기에 인간의 의사가 영향을 미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를 위해서는 기술적으로 매우 복잡한 설계가 요구되는 반면에, 법적 측면에서는 구성요소에 대한 제어보다는 책임 귀속의 문제로 귀결된다. 통상 자동화된 프로그램으로 작동되는 프로세스 배후에 자연인이나 법인이 존재하게 되므로 자신들이 원하지 않는 거래이거나 혹은 불법적인 프로세스라면 취소를 통해 이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스마트계약 트랜잭션>
스마트계약은 분산된 구조 시스템에서 상호작용을 통하여 계약체결과 이행이 자동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일종이다. 따라서 프로그램 규칙과 메커니즘(Mechanism)을 기반으로 프로그래밍된 계약절차가 중간자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작동하는 시스템이다. 계약의 작동원리는 ① 프로그래밍 코드 작성, ② 코드 서명, ③ 블록체인 저장, ④ 거래실행 순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와 그 결과는 트랜잭션에 포함되어 체인으로 연결된 블록(Block)에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되어 모든 참여자가 거래정보를 공유하게 되며, 거래내역과 계약내용은 추가나 변경 없이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에 상호 독립적으로 보관된다. 여기서 참여자들은 공개키 암호화 방식으로 만들어진 지갑 주소(Wallet address)를 블록체인과 연동하여 계약을 체결하고 전자서명을 하게 된다. 스마트계약 트랜잭션은 계약의 수행을 네트워크상에서 실행하거나 입증이 쉽고 편리하도록 만들어진 컴퓨터 프로토콜(Protocol)이다. 이러한 트랜잭션은 추적이 가능하지만, 거래기록을 이전의 상태로 되돌리거나 변경할 수 없는 불가역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스마트계약에 활용되는 전자문서는 전통적인 방식의 종이 계약서와 동일하진 않지만 적절한 조건이 충족되고 법적 근거가 마련된다면 종이 계약서를 대체할 수 있다.
스마트계약은 전통적인 계약이라기보다 미리 정의된 조건이 충족될 것을 전제로 법률관계를 통제하거나 거래기록을 디지털화하여 기록하는 소프트웨어이다. 따라서 스마트계약에서는 네트워크상에서 거래 당사자가 조건을 충족하면 트랜잭션이 자동으로 체결 및 실행되므로 소프트웨어 자체가 모든 당사자에게 서비스 제공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즉 계약의 내용은 외부 환경의 결과이지만 실행은 기계장치를 통해서만 이루어지는 특수성을 갖는다. 이렇듯 자동화된 거래유형은 상업적 및 법적 트랜잭션을 포함하여 모든 응용 프로그램의 형태로 활용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계약에서 블록체인을 활용할 경우, 먼저 거래 당사자의 동일성이 확인되고 위·변조가 불가능한 사본을 유지하는 블록체인 분산원장 방식을 적용하면 거래당사자와 대상물에 대한 신뢰성이 확보되고 동시에 보안성이 확보된다. 또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적어도 하나의 계약 과정을 블록체인으로 대체함으로써 거래의 신속성 및 효율성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계약을 위한 에스크로(Escrow) 계정을 블록체인 스마트계약의 다중서명 지갑(Multi-signature Wallets)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이때, 블록체인 재산권 레지스트리 적용 레벨에 따라 구분하면 ① 블록체인 기록(Recording) ② 스마트워크플로우(Smart Workflow) ③ 스마트 에스크로(Smart Escrow) ④ 블록체인 승인(Registry) ⑤ 세분된 권리(Disaggregated Rights) ⑥ 소수의 권리(Fractional Rights) ⑦ P2P 거래(Peer-to-Peer Transactions) ⑧ 상호 운용(Interoperability)이 있다.
<스마트계약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계약의 자동실행>
블록체인 스마트계약은 기존 비트코인의 단점인 거래 지연과 복잡한 거래기록에 대한 전송의 불편함을 해소하는 방안의 하나로, 스마트계약에서는 일반 계약서의 내용을 디지털 형식으로 기록하고 이들 내용이 당사자 간에 수행되도록 하는 프로토콜을 포함하여 일련의 약속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설계된다. 기술적으로 스마트계약은 블록체인의 분산원장기술이라는 특성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계약을 중개자 없이 P2P 방식으로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자동화 프로그램인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자동실행 프로그램은 사전 계약체결의 조건충족에 따라 다음 단계가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코딩되어야 하며, 자동화 코드 실행은 계약이행에 따른 데이터에 상응하는 가치 또는 대금도 동시에 이전할 수 있어야 한다.
일반적인 계약과 달리 스마트계약에서는 인간의 재량권을 제거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당사자가 자의적으로 계약을 위반하거나 수정할 수 없으며, 중앙기관이나 감독 당국 또는 법원 등의 개입에 의해 이행이 중단될 수 없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처럼 스마트계약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서 작동되고 결합할 때만 완전한 효력을 발휘하게 되는데, 프로세스 과정에서 인간의 재량에 의해 공정을 방해하게 된다면 실행의 확실성이 절대적으로 보장될 수 없으므로 거래 당사자 간 이익균형을 맞추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실행의 자율성이 최대한 확보될 수 있어야 한다. 예컨대, 스마트계약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계약라면 구매자가 대금결제를 이행하면 판매자의 소유권이 자동으로 구매자에게 이전되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만약 구매자가 채무를 불이행하게 되는 경우 소유권 이전이 중단되거나 판매자에게 소유권이 자동으로 복귀될 수 있도록 계약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스케치 토큰(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큰 가칭)은 메신저, 크리에이터 및 토큰의 세 축을 연결하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도 3c와 같이 사용자는 스케치 체인(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가칭)에 토큰 및 수수료를 지불하고, 크리에이터로부터 콘텐츠를 제공해준다. 또, 크리에이터에게는 플랫폼을 제공하고, 사용자에게는 정보와 콘텐츠를 제공해준다. 이 세 가지 축은 도 3d와 같이 순환되고 도 3e 및 도 4a와 같은 분야로 확장될 수 있다. 토큰 분배는 도 4b와 같을 수 있고, 토큰의 사용은 도 4c와 같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플랫폼은 도 4d와 같은 로드맵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토큰 정보는 도 4e와 같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토큰 이코노미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토큰 이코노미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토큰 이코노미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 간 메시지를 송수신하도록 메신저를 제공하고(S5100),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콘텐츠의 소비에 따른 기여도를 산출하며(S5200), 기여도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토큰으로 보상을 지급한다(S5300).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토큰 이코노미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토큰 이코노미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큰 이코노미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큰 이코노미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큰 이코노미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블록체인 메신저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콘텐츠를 유료 또는 무료로 스트리밍 또는 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콘텐츠를 업로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소비에 따른 보상을 지급받는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 및
    토큰 이코노미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콘텐츠를 업로드받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소비되는 경우에 기여도 보상정책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에게 토큰으로 보상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메신저를 사용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쇼핑 관련 결제를 수행하거나 인앱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에게 보상을 토큰으로 지급하는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 간 메시지를 송수신하도록 메신저를 제공하는 메신저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콘텐츠의 소비에 따른 기여도를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기여도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토큰으로 보상을 지급하는 홍보보상부; 및
    콘텐츠의 결제, 상품의 결제, 개인 간 토큰 전송 및 인앱(In-App) 결제를 포함하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여를 한 적어도 하나의 노드로 리워드를 제공하는 기여보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콘텐츠는, 블록체인 플랫폼을 홍보하는 홍보 콘텐츠, 카테고리별 주제를 담은 콘텐츠, 소설 콘텐츠 및 웹툰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드는 분산 클라우드 환경 내의 에지 노드(edge node)이고,
    상기 토큰은 NFT(Non-Fungible Toke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큰 이코노미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로 리워드 dApp(Decentralized Application)을 제공하는 배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큰 이코노미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의 계정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의 전자지갑과 일치시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에서 개인키(Private Key)의 관리하지 않아도 되도록 설정하는 일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큰 이코노미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계약을 스마트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이용하여 자동화되도록 설정하는 계약관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계약은 분산된 구조 시스템에서 상호작용을 통해 계약체결과 이행이 자동실행되며, 프로그래밍 코드 작성, 코드 서명, 블록체인 저장 및 거래실행의 순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큰 이코노미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삭제
KR1020210084419A 2021-06-29 2021-06-29 토큰 이코노미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71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419A KR102371071B1 (ko) 2021-06-29 2021-06-29 토큰 이코노미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419A KR102371071B1 (ko) 2021-06-29 2021-06-29 토큰 이코노미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1071B1 true KR102371071B1 (ko) 2022-03-07

Family

ID=80817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419A KR102371071B1 (ko) 2021-06-29 2021-06-29 토큰 이코노미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107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362B1 (ko) * 2022-03-18 2023-02-06 소프트런치주식회사 Nft 기반의 상품의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44012B1 (ko) * 2022-12-01 2023-06-15 주식회사 엔터프라이즈블록체인 Nft 발행 시스템 및 방법
KR102562365B1 (ko) * 2023-03-17 2023-08-01 주식회사 몰덴아이 블록체인 기반 개인 건강 기록 분석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66037B1 (ko) * 2023-01-27 2023-08-11 김태원 성인용 vr 콘텐츠의 제공 및 위변조를 방지하는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102579517B1 (ko) * 2022-08-10 2023-09-19 주식회사 아이엘네트워크 Nft 연계 현물상품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23204533A1 (ko) * 2022-04-18 2023-10-26 박은지 콘텐츠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594578B1 (ko) * 2022-11-15 2023-10-27 주식회사 블록버스터랩 게임 런처 운영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8486A (ko) * 2018-07-16 2020-01-28 (주)아이씨엔캐스트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리워드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190870B1 (ko) * 2020-04-24 2020-12-14 이상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
KR20210034933A (ko) * 2019-09-23 2021-03-31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술 기반 재개발/재건축 조합원의 소통 및 참여를 위한 서비스 플랫폼 기술 및 구현방법
KR20210046982A (ko) * 2019-10-21 2021-04-29 (주)노므브랜드테일러 프로젝트 관리 플랫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8486A (ko) * 2018-07-16 2020-01-28 (주)아이씨엔캐스트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리워드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34933A (ko) * 2019-09-23 2021-03-31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술 기반 재개발/재건축 조합원의 소통 및 참여를 위한 서비스 플랫폼 기술 및 구현방법
KR20210046982A (ko) * 2019-10-21 2021-04-29 (주)노므브랜드테일러 프로젝트 관리 플랫폼
KR102190870B1 (ko) * 2020-04-24 2020-12-14 이상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362B1 (ko) * 2022-03-18 2023-02-06 소프트런치주식회사 Nft 기반의 상품의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3204533A1 (ko) * 2022-04-18 2023-10-26 박은지 콘텐츠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579517B1 (ko) * 2022-08-10 2023-09-19 주식회사 아이엘네트워크 Nft 연계 현물상품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94578B1 (ko) * 2022-11-15 2023-10-27 주식회사 블록버스터랩 게임 런처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2544012B1 (ko) * 2022-12-01 2023-06-15 주식회사 엔터프라이즈블록체인 Nft 발행 시스템 및 방법
KR102566037B1 (ko) * 2023-01-27 2023-08-11 김태원 성인용 vr 콘텐츠의 제공 및 위변조를 방지하는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102562365B1 (ko) * 2023-03-17 2023-08-01 주식회사 몰덴아이 블록체인 기반 개인 건강 기록 분석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1071B1 (ko) 토큰 이코노미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umar et al. Is blockchain a silver bullet for supply chain management? Technical challenges and research opportunities
Nam et al. Blockchain technology for smart city and smart tourism: latest trends and challenges
Kingiri et al. Understanding the diffusion and adoption of digital finance innovation in emerging economies: M-Pesa money mobile transfer service in Kenya
Vatankhah Barenji A blockchain technology based trust system for cloud manufacturing
Wan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platform choice and supplier’s efficiency-evidence from China’s online to offline (O2O) e-commerce platforms
Martinsons Relationship‐based e‐commerce: theory and evidence from China
Fiorentino et al. Blockchain-based smart contracts as new governance tools for the sharing economy
Turi et al. A co-utility approach to the mesh economy: The crowd-based business model
Aithal Mobile business as an optimum model for ideal business
Yadav et al. An IAD type framework for Blockchain enabled smart tourism ecosystem
Malthouse et al. Beyond reciprocal: the role of platforms in diffusing data value across multiple stakeholders
KR102250788B1 (ko) 탈중앙화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제공하는 이용권 거래 서비스 제공 서버, 시스템 및 방법
Treleaven et al. Real estate data marketplace
Jacobs et al. Evolving the social business: a look at stages of growth for Web 2.0 integration with business activities
Li et al. TFCrowd: A blockchain-based crowdsourcing framework with enhanced trustworthiness and fairness
Killeen et al. Global financial institutions 2.0
Banotra et al. Asset security in data of Internet of Things using blockchain technology
Moro-Visconti Blockchain valuation: Internet of value and smart transactions
Zhou et al. An evolutionary game analysis on blockchain technology adoption in cross-border e-commerce
Brandão et al. Trusted data’s marketplace
Themistocleous et al. To chain or not to chain? A case from energy sector
Schmitz Should contractual clauses that forbid renegotiation always be enforced?
Moro-Visconti The impact of technology on microfinance
Ramos Blockchain Technology in Tourism Management: Potentialities, Challenges, and Im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