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260B1 -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카드를 이용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카드를 이용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6260B1
KR102356260B1 KR1020210104216A KR20210104216A KR102356260B1 KR 102356260 B1 KR102356260 B1 KR 102356260B1 KR 1020210104216 A KR1020210104216 A KR 1020210104216A KR 20210104216 A KR20210104216 A KR 20210104216A KR 102356260 B1 KR102356260 B1 KR 102356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ken
game
digital card
server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4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용제
Original Assignee
서용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용제 filed Critical 서용제
Priority to KR1020210104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2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03Driving vehicles or craft, e.g. cars, airplanes, ships, robots or tan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5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to p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5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 A63F2300/57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details of game services offered to the player
    • A63F2300/575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details of game services offered to the player for trading virtual i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카드를 이용하는 시스템은, 게임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에 이미지를 포함한 디지털 카드들을 제공하는 게임 서버, 게임 서버로부터의 요청에 기초하여 디지털 카드들 중 제 1 디지털 카드에 대한 소유권을 인증하는 토큰을 발행하는 토큰 생성 서버 및 제 1 디지털 카드의 소유자에 해당하는 제 1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기초하여 제 1 사용자 단말에 토큰의 가치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카드를 이용하는 시스템{A SYSTEM USING A BLOCKCHAIN-BASED GAME CARD}
본 개시는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카드를 이용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컴퓨팅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환경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기를 이용한 온라인 기반의 게임을 즐기는 사용자들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들은 유무선 통신기기를 통해 게임 서버에서 제공하는 게임 환경에서 캐릭터를 플레이함으로써 게임에 대한 흥미를 느낄 수 있다.
인터넷 인프라의 보급과 하드웨어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종래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나 가정용 게임 콘솔(Console)에서 구동되던 스탠드 얼론(Stand Alone) 게임은 점차 온라인화되어 다수의 게임 사용자들이 함께 협동하거나 경쟁하면서 게임을 즐기는 온라인 게임이 인기를 얻고 있다.
한편, 온라인 게임 상에서 사용자들이 소유하는 아이템 중에서 희소 가치가 있는 아이템에 대해 고유한 디지털 자산으로서의 소유권을 인정해줄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카드를 이용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과제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제1 측면은,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카드를 이용하는 시스템으로서, 게임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에 이미지를 포함한 디지털 카드들을 제공하는 게임 서버; 상기 게임 서버로부터의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카드들 중 제 1 디지털 카드에 대한 소유권을 인증하는 토큰을 발행하는 토큰 생성 서버; 및 상기 제 1 디지털 카드의 소유자에 해당하는 제 1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에 상기 토큰의 가치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디지털 카드는, 상기 디지털 카드들 중 희소 가치가 인정되는 디지털 카드에 해당하고, 상기 희소 가치는, 상기 제 1 디지털 카드를 제공받기 위해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이 지불한 게임 머니에 기초하여 판단되고, 상기 게임 머니는 블록 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암호화된 토큰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디지털 카드에 대한 소유권을 인증하는 토큰은 대체 불가능 토큰(Non Fungible Token, NFT)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큰 생성 서버는, 상기 제 1 디지털 카드의 소유자, 상기 제 1 디지털 카드의 가치 및 상기 제 1 디지털 카드의 사용 방식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토큰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는, 가상화폐 지갑에 상기 토큰이 저장됨에 따라 상기 제 1 디지털 카드에 대한 소유권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본 개시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게임 내에서 희소 가치를 갖는 디지털 카드를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하여 토큰화함에 따라 디지털 카드는 재화로서의 가치를 가질 수 있다.
게임 내에서 희소 가치를 갖는 디지털 카드를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하여 대체불가능토큰(NFT)으로 토큰화하고, NFT를 실물 경제와 연동을 통해 가상 세계의 자산에 가치를 부여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카드를 이용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드에 대한 소유권을 인증하는 NFT(Non Fungible Token)를 발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가 NFT에 기초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서비스 제공 서버의 블록도의 일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소정의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매커니즘”, “요소”, “수단” 및 “구성”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 선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이다.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된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에 의해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카드를 이용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카드를 이용하는 시스템(1000)은 게임 서버(100), 토큰 생성 서버(110) 및 서비스 제공 서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카드를 이용하는 시스템(1000)에는 일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카드를 이용하는 시스템(1000)에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게임 서버(100), 토큰 생성 서버(110) 및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및 이들의 상호 조합을 포함하며, 도 1에 도시된 각 네트워크 구성 주체가 서로 원활하게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포괄적인 의미의 데이터 통신망이며,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및 모바일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무선 랜(Wi-Fi),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임 서버(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게임 서버(1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게임에 참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과 게임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가전기기, 카메라가 탑재된 디바이스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게임 서버(100)는 게임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에 이미지를 포함하는 디지털 카드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 서버(100)는 트레이딩 카드 게임(Trading card game, TCG)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은 게임 머니를 이용하여 게임 속에서 디지털 카드들을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 서버(100)는 자동차 카드를 수집하거나 조합하여 레이싱 덱을 만들고 레이싱 경주를 진행하여 레벨을 올릴 수 있는 레이싱 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토큰 생성 서버(110)는 게임 서버(100)의 요청에 따라 디지털 카드에 대한 소유권을 인증하는 토큰을 발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큰 생성 서버(11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디지털 카드와 관련된 토큰을 발행하여 블록체인에 기록할 수 있다. 블록체인은 네트워크 통신상에서 이루어지는 거래 내용을 안전하게 기록하고 저장하는 기술이다. 거래 내용은 각 블록에 기록되는데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체인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체인들은 P2P 네트워크 상에 분산 저장되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디지털 카드에 대한 소유권을 인증하는 토크은 대체불가능토큰(Non Fungible Token, NFT)에 해당할 수 있다. 기존의 암호화폐는 개별 토큰을 구분하지 않는 대체가능토큰(Fungible Token) 인데 각 토큰이 동일한 속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서로 거래나 교환을 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NFT는 유일하고 대체할 수 없는 대체불가능토큰으로 고유한 가치를 가진 유무형 자산을 디지털 세계에 구현하고 상품화할 수 있다. 데이터의 위변조가 어려운 블록체인에 거래이력, 소유자 등 자산의 세부 정보가 안전하게 저장되기 때문에 디지털 자산 진위와 희소성을 보장할 수 있고 자산에 대한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네트워크를 통해 게임 서버(100) 및 토큰 생성(1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게임 서버(100)와 제휴된 서버에 해당할 수 있으며, 디지털 카드에 대한 소유권을 갖는 사용자 단말에 디지털 카드의 가치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차량 구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드에 대한 소유권을 인증하는 NFT(Non Fungible Token)를 발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토큰 생성 서버(110)는 게임 서버로부터의 요청에 기초하여 디지털 카드들 중 제 1 디지털 카드에 대한 소유권을 인증하는 토큰을 발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지털 카드는 디지털 카드들 중 희소 가치가 인정되는 디지털 카드에 해당할 수 있다. 희소 가치는 제 1 디지털 카드를 제공받기 위해 제 1 사용자 단말이 지불한 게임 머니에 기초하여 판단되고, 게임 머니는 블록 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암호화된 토큰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게임 서버(100)가 제공하는 게임에 참여하는 사용자 단말들(200, 210, 220..)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암호화된 토큰 형태의 게임 머니를 지불하고 게임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게임 서버(100)로부터 디지털 카드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 단말(200)은 제 1 디지털 카드(201)를 소유할 수 있고, 제 2 사용자 단말(210)은 제 2 디지털 카드(202)를 소유할 수 있고, 제 3 사용자 단말(220)은 제 3 디지털 카드(203)를 소유할 수 있다.
이 때, 각 사용자 단말들이 소유하는 디지털 카드들의 가치는 각각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 단말(200)이 소유하는 제 1 디지털 카드(201)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에게 제공된 디지털 카드들 중 희소 가치가 인정되는 디지털 카드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희소 가치는 디지털 카드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자 단말이 지불한 게임 머니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게임 머니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암호화된 토큰에 해당할 수 있다. 즉, 해당 디지털 카드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자 단말이 지불한 토큰의 규모가 클수록, 디지털 카드의 희소 가치는 증가할 수 있다.
게임 서버(1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이 소유하는 디지털 카드들 중 제 1 사용자 단말(200)이 소유하는 제 1 디지털 카드(201)의 희소 가치가 인정된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토큰 발행 서버(110)에 제 1 디지털 카드(201)에 대하여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소유권을 인증하는 토큰의 발행을 요청할 수 있다.
토큰 발행 서버(110)는 게임 서버(100)의 요청에 따라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제 1 디지털 카드(201)와 관련된 토큰을 발행하여 블록체인에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큰 발행 서버(110)는 제 1 디지털 카드(201)의 소유자, 가치 및 사용 방식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토큰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되는 토큰은 대체불가능토큰(NFT)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는 본인의 가상화폐 지갑에 NFT 토큰이 저장됨에 따라 제 1 디지털 카드(201)에 대한 소유권을 갖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게임 내에서 희소 가치를 갖는 디지털 카드를 토큰화함에 따라, 디지털 카드는 재화로서 이용될 수 있으며 NFT 토큰으로 디지털 카드에 대한 소유권을 갖는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는 온라인 마켓을 통해 다른 사용자 단말들과 거래를 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재화는 온라인 세계가 아닌 실물 세계에서도 재화로서의 가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지털 카드(201)를 제 1 디지털 카드(201)에 대한 소유권을 갖지 않는 사용자 단말이 이용하는 경우, 게임 서버(100)는 제 1 사용자 단말(200)에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워드는 게임에 이용되는 게임 머니를 블록 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암호화한 토큰에 해당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가 NFT에 기초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토큰 생성 서버(110)는 게임 서버로부터의 요청에 기초하여 디지털 카드들 중 제 1 디지털 카드에 대한 소유권을 인증하는 토큰을 발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게임 서버(100)와 제휴된 서버에 해당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제 1 디지털 카드에 대한 소유권을 갖는 제 1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기초하여 제 1 사용자 단말에 토큰의 가치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에 차량을 구독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버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서비스 제공 서버(120)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차량을 구독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제 1 사용자 단말(200)이 제 1 디지털 카드(201)에 대한 소유권을 인증하는 토큰을 지불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120)가 제공할 수 있는 복수의 차량들 중 상기 토큰의 가치에 대응하는 제 1 차량(300)을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제 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 1 디지털 카드(201)에 대한 소유권을 인증하는 토큰의 지불을 요청받은 경우, 제 1 사용자 단말(200)이 제 1 디지털 카드(201)의 소유자에 해당하는 지에 여부에 관한 인증 요청(310)을 토큰 생성 서버(110)에 송신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토큰 생성 서버(110)로부터 제 1 디지털 카드(201)의 소유자와 제 1 사용자 단말(200)이 일치하므로 인증이 완료되었다는 응답을 수신한 경우, 제 1 디지털 카드(201)에 대한 소유권을 인증하는 토큰의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결제가 완료된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제 1 사용자 단말(200)에 토큰의 가치에 대응하는 제 1 차량(300)을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 서버(120)가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는 상술한 차량을 구독할 수 있는 서비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토큰의 가치에 대응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서비스 제공 서버의 블록도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를 참고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통신부(410), 프로세서(420) 및 DB(4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는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통신부(410)는 서비스 제공 서버(400)와 유선/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410)는, 근거리 통신부(미도시), 이동 통신부(미도시) 및 방송 수신부(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DB(430)는 서비스 제공 서버(400) 내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하드웨어로서, 프로세서(42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DB(430)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CD-ROM, 블루레이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20)는 서비스 제공 서버(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20)는 DB(43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입력부(미도시), 디스플레이(미도시), 통신부(410), DB(43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420)는, DB(43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서비스 제공 서버(4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42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의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카드를 이용하는 시스템으로서,
    게임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에 이미지를 포함한 디지털 카드들을 제공하는 게임 서버;
    상기 게임 서버로부터의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카드들 중 제 1 디지털 카드에 대한 소유권을 인증하는 토큰을 생성하는 토큰 생성 서버; 및
    상기 제 1 디지털 카드의 소유자에 해당하는 제 1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에 상기 토큰의 가치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지털 카드는, 상기 디지털 카드들 중 희소 가치가 인정되는 디지털 카드에 해당하고,
    상기 희소 가치는, 상기 제 1 디지털 카드를 제공받기 위해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이 지불한 게임 머니에 기초하여 판단되고,
    상기 게임 머니는 블록 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암호화된 토큰에 해당하고,
    상기 게임 서버는,
    상기 제 1 디지털 카드를 상기 제 1 디지털 카드에 대한 소유권을 갖지 않는 사용자 단말이 이용하는 경우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에 리워드를 제공하고,
    상기 리워드는 상기 블록 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암호화된 토큰인 상기 게임 머니에 해당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들에 차량을 구독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버에 해당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 1 디지털 카드에 대한 소유권을 인증하는 토큰을 지불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제공할 수 있는 복수의 차량들 중 상기 토큰의 가치에 대응하는 제 1 차량을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디지털 카드에 대한 소유권을 인증하는 토큰의 지불을 요청 받은 경우,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 1 디지털 카드의 소유자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관한 인증 요청을 상기 토큰 생성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토큰 생성 서버로부터 인증이 완료되었다는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에 상기 토큰의 가치에 대응하는 제 1 차량을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게임은 상기 사용자 단말들이 상기 게임 머니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카드들에 해당하는 자동차 카드들을 조합하여 레이싱 덱을 만들고 레이싱 경주를 진행하여 레벨을 올릴 수 있는 레이싱 게임인,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지털 카드에 대한 소유권을 인증하는 토큰은 대체 불가능 토큰(Non Fungible Token, NFT)에 해당하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생성 서버는,
    상기 제 1 디지털 카드의 소유자, 상기 제 1 디지털 카드의 가치 및 상기 제 1 디지털 카드의 사용 방식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토큰을 생성하는,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는,
    가상화폐 지갑에 상기 토큰이 저장됨에 따라 상기 제 1 디지털 카드에 대한 소유권을 갖는, 시스템.
KR1020210104216A 2021-08-06 2021-08-06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카드를 이용하는 시스템 KR102356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216A KR102356260B1 (ko) 2021-08-06 2021-08-06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카드를 이용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216A KR102356260B1 (ko) 2021-08-06 2021-08-06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카드를 이용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6260B1 true KR102356260B1 (ko) 2022-02-08

Family

ID=80252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4216A KR102356260B1 (ko) 2021-08-06 2021-08-06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카드를 이용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2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7523A (ko) 2022-10-05 2024-04-12 주식회사 너울소프트 Nft를 활용한 게이머 프로파일 및 아이템 거래가 가능한 월드에서의 거래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260A (ko) * 2018-10-24 2020-05-07 김건호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콜렉터블 카드 관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260A (ko) * 2018-10-24 2020-05-07 김건호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콜렉터블 카드 관리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f you lend items in a blockchain game", Internet Dingle.com site post (2019.09.09.) *
"블록체인 게임에서 아이템을 대여를 해준다면", 인터넷 땡글닷컴 사이트 게시글(2019.09.09.)
"`대체 불가능한 토큰` NFT에 대한 관심 증가... `디알씨모빌리티(DRC)` 시장 선점 나서", 인터넷 한국경제TV 뉴스 기사(2021.06.15.)
"`슈퍼카의 상징` 포르쉐 NFT시장 뛰어 들었다… 트레이딩 카드 플랫폼 `팬존` 출시", 인터넷 글로벌이코노믹 뉴스 기사(2021.06.16.)
"‘The symbol of supercars’ Porsche has entered the NFT market… Trading card platform ‘Fanzone’ launched", Internet Global Economic News article (2021.06.16.) *
"Increasing interest in ‘irreplaceable token’ NFT… Preoccupying ‘DRC’ market", Internet Korea Economic Daily TV news article (2021.06.15.)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7523A (ko) 2022-10-05 2024-04-12 주식회사 너울소프트 Nft를 활용한 게이머 프로파일 및 아이템 거래가 가능한 월드에서의 거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5375B2 (en) Computer program,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deemable promotional-valued credits
US10163306B2 (en) Limiting transfer of virtual currency in a multiuser online game
Jani The growth of cryptocurrency in India: Its challenges & potential impacts on legislation
US20210224758A1 (en) Electronic funds transfers based on automatic cryptocurrency transactions
KR20130116956A (ko) 특권 양도 방법, 온라인 특권 양도 방법, 온라인 특권 양도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US20230122552A1 (en) System for validating play of game applications via game nfts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KR20130104574A (ko) 유료 아이템 구매에 따른 보상 방법 및 서버
KR102356260B1 (ko)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카드를 이용하는 시스템
KR20220065271A (ko) 블록 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대체 불가능 토큰을 이용한 소유권 아이템 자산의 유동성 가치 조절 서비스 제공 방법, 그를 수행하는 판매자 단말 장치 및 시스템
Tavares et al. Gamers' Reaction to the Use of NFT in AAA Video Games
US20230353355A1 (en) Tag-based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KR20230136511A (ko) Nft 기반의 상품의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30119838A1 (en) Game platform using player token nfts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CN110689412A (zh) 基于区块链的用于游戏虚拟物品交易的方法、装置、服务器和存储介质
Cheng Metaverse and Blockchain
KR20230009802A (ko)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카드를 이용하는 시스템
TWM587780U (zh) 具有抽籤賣票與分票機制的區塊鏈電子票務系統
US20140194187A1 (en) Game card including payment identifier
Schonbaum Decentraland NFT (LAND) Market Efficiency & Responsiveness to Events
US20200134718A1 (en) Game money trading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ame
KR102566831B1 (ko) 게임 환경 내 nft 및 아이템의 교환 및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230039832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action of digital asset
KR20220132369A (ko) 아이템 거래 중개를 지원하는 게임 서버, 아이템 거래 중개를 수행하는 중개 서버 및 이들의 동작 방법
US20230334493A1 (en) Manufacturing system using nfts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20240046250A1 (en) Client device for use with game token nfts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