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140B1 - 이력 관리 보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이력 관리 보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140B1
KR102505140B1 KR1020220089384A KR20220089384A KR102505140B1 KR 102505140 B1 KR102505140 B1 KR 102505140B1 KR 1020220089384 A KR1020220089384 A KR 1020220089384A KR 20220089384 A KR20220089384 A KR 20220089384A KR 102505140 B1 KR102505140 B1 KR 102505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product
target product
n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9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목
Original Assignee
(주)이끌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끌라 filed Critical (주)이끌라
Priority to KR1020220089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1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140B1/ko
Priority to JP2023094277A priority patent/JP2024014730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Customer relationship services
    • G06Q30/015Providing customer assistance, e.g. assisting a customer within a business location or via helpdesk
    • G06Q30/016After-sa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이력 관리 보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이력 관리 보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거래 대상 상품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거래 대상 상품과 연계된 NFT를 발행하는 단계 - 상기 NFT의 발행 당시 상기 NFT의 소유자는 제 1 사용자로 설정됨 - ; 상기 NFT의 컨트랙트 주소 및 상기 상품 정보를 연관시켜 거래 대상 상품 DB(database)를 구성하는 단계;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사용자의 제 1 가상 지갑 주소 및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의 갱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온-체인 영역에서 상기 NFT의 소유권 정보가 상기 제 2 사용자의 제 1 가상 지갑 주소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NFT의 소유자가 상기 제 2 사용자라고 결정된 경우, 상기 제 2 사용자에게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의 갱신을 허용하고,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의 갱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력 관리 보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PROVIDING HISTORY MANAGEMENT GUARANTEE SERVICE}
본 개시는 이력 관리 보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대체 불가능 토큰을 이용하여 실물 상품의 이력 관리 보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발행되는 토큰의 일종으로 발행 량이 제한되어 있어서 일반적인 암호화폐 토큰과 달리 대체 불가능성을 가진다. 대체 불가능 토큰은 디지털 파일을 가리키는 주소를 토큰 안에 담음으로서, 고유성, 원본성 또는 소유권을 나타내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근래에는 명품을 보유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진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여기서, 명품은 전세계적으로 브랜드 가치를 인정받은 브랜드에서 생산하는 고급품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계, 보석, 가방 또는 지갑이나 그 외 어떤 물건도 명품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명품은 일반적으로 고가일 수 있다. 대게의 소비자들은 명품을 구매하기 위해 많은 돈을 투자할 수 있으나, 몇몇의 소비자들은 이러한 명품을 복제하여 조잡하게 제작된 가품을 구매하기도 한다. 가품을 구매하는 것도 문제 행위이지만, 더 큰 문제는 이와 같은 가품을 진품으로 속여 다른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행위일 수 있다.
상술한 배경 기술로부터 비롯하여, 만약 명품의 구매 이력을 NFT를 통해 관리할 수 있다면, 명품을 구매한 소비자는 자신이 구매한 명품에 대해 신뢰도가 생길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10-2343025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NFT를 이용하는 이력 관리 보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이력 관리 보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이력 관리 보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거래 대상 상품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거래 대상 상품과 연계된 NFT를 발행하는 단계 - 상기 NFT의 발행 당시 상기 NFT의 소유자는 제 1 사용자로 설정됨 - ; 상기 NFT의 컨트랙트 주소 및 상기 상품 정보를 연관시켜 거래 대상 상품 DB(database)를 구성하는 단계;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사용자의 제 1 가상 지갑 주소 및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의 갱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온-체인 영역에서 상기 NFT의 소유권 정보가 상기 제 2 사용자의 제 1 가상 지갑 주소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NFT의 소유자가 상기 제 2 사용자라고 결정된 경우, 상기 제 2 사용자에게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의 갱신을 허용하고,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의 갱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를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품 정보는, 상기 제 1 사용자가 상기 거래 대상 상품을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상 이미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상 이미지의 제 1 메타데이터에서 확인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상 이미지가 촬영된 제 1 위치 데이터, 상기 제 1 메타데이터에서 확인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상 이미지가 촬영된 제 1 시간 데이터, 상기 거래 대상 상품이 구입된 구입처 정보 및 상기 거래 대상 상품의 배송 이력과 관련된 트래킹(tracking)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갱신 정보는, 상기 제 2 사용자가 상기 거래 대상 상품을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영상 이미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영상 이미지의 제 2 메타데이터에서 확인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영상 이미지가 촬영된 제 2 위치 데이터, 상기 제 2 메타데이터에서 확인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영상 이미지가 촬영된 제 2 시간 데이터 및 상기 제 2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거래 대상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판매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판매 요청 신호를 수신한 이후, 적어도 하나의 제 3 사용자의 제 3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를 열람하기 위한 열람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열람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에 저장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 3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거래 대상 상품의 감정을 의뢰하기 위한 감정 의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온-체인 영역에서 상기 NFT의 소유권 정보가 상기 제 2 사용자의 제 1 가상 지갑 주소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NFT의 소유자가 상기 제 2 사용자라고 결정된 경우,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에 저장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정 의뢰 업체와 관련된 업체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업체 단말로부터 감정 의뢰 결과와 관련된 감정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감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를 갱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정 정보는, 상기 감정 의뢰 업체가 감정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결과 정보 및 상기 감정 의뢰 업체와 관련된 업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사용자가 실제로 수령한 제 1 상품이 상기 거래 대상 상품과 동일한 상품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상품 확인 의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온-체인 영역에서 상기 NFT의 소유권 정보가 상기 제 2 사용자의 제 1 가상 지갑 주소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NFT의 소유자가 상기 제 2 사용자라고 결정된 경우,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에 저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상 이미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영상 이미지를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상품이 상기 거래 대상 상품과 동일한 상품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력관리 보증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로서, 제어부; 및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거래 대상 상품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거래 대상 상품과 연계된 NFT를 발행하고, - 상기 NFT의 발행 당시 상기 NFT의 소유자는 제 1 사용자로 설정됨 - , 상기 NFT의 컨트랙트 주소 및 상기 상품 정보를 연관시켜 거래 대상 상품 DB(database)를 구성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사용자의 제 1 가상 지갑 주소 및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의 갱신 요청을 수신하고, 온-체인 영역에서 상기 NFT의 소유권 정보가 상기 제 2 사용자의 제 1 가상 지갑 주소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NFT의 소유자가 상기 제 2 사용자라고 결정된 경우, 상기 제 2 사용자에게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의 갱신을 허용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의 갱신 정보를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갱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경우, 이력 관리 보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방법은: 거래 대상 상품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거래 대상 상품과 연계된 NFT를 발행하는 단계 - 상기 NFT의 발행 당시 상기 NFT의 소유자는 제 1 사용자로 설정됨 - ; 상기 NFT의 컨트랙트 주소 및 상기 상품 정보를 연관시켜 거래 대상 상품 DB(database)를 구성하는 단계;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사용자의 제 1 가상 지갑 주소 및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의 갱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온-체인 영역에서 상기 NFT의 소유권 정보가 상기 제 2 사용자의 제 1 가상 지갑 주소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NFT의 소유자가 상기 제 2 사용자라고 결정된 경우, 상기 제 2 사용자에게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의 갱신을 허용하고,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의 갱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를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에 대해 신뢰도가 생길 수 있도록 하는 이력 관리 보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시들에서, 공지의 구조들 및 장치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기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력 관리 보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이력 관리 보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통해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력 관리 보증 서비스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거래 대상 상품 DB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감정 정보에 기초하여 거래 대상 상품 DB를 갱신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통해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거래 대상 상품을 확인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 1, 제 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는 구매자 단말을 통해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서버에 접속한 구매자는 이력 관리 보증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구매자가 서버에 접속하여 이력 관리 보증 서비스를 이용한다는 의미는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 등을 이용한다는 의미로도 이해될 수 있다. 또한, 구매자는 구매자 단말을 통해 서버에 접속하여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구매자가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 서버와 관련된 판매자는 상품을 구매자에게 배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는 상품과 연계된 NFT(Non-Fungible Token, NFT)의 소유권을 구매자의 가상 지갑 주소로 이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는 구매자 단말로부터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판매하는 공식 업체에서 해당 상품을 주문할 수 있다. 또는 판매자는 해당 상품을 사전에 구매하여 보유하고 있을 수도 있다. 서버는 해당 상품과 관련된 상품 정보, 해당 상품을 촬영한 영상 이미지 및 해당 상품의 배송과 관련되는 트래킹 정보 등을 이용하여 NFT를 발행할 수 있다. 여기서, NFT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발행되는 가상의 토큰일 수 있다. NFT는 디지털 파일을 가리키는 주소를 토큰 안에 담음으로서, 고유성, 원본성 또는 소유권을 나타내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서버는 해당 상품이 구매자에게 배송되었다고 결정된 경우, 상품과 연계된 NFT의 소유권을 구매자의 가상 지갑으로 이전할 수 있다. 또는, 서버는 구매자 단말로부터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품과 연계된 NFT의 소유권을 구매자의 가상 지갑으로 이전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본 개시에 따른 이력 관리 보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력 관리 보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버(100)는 제어부(110), 저장부(120) 및 통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서버(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서버(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서버(100)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메인프레임 컴퓨터, 디지털 프로세서, 휴대용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 제어기 등과 같은 임의의 타입의 컴퓨터 시스템 또는 컴퓨터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전형적인 컴퓨터 하드웨어(예컨대,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 스토리지,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 기타 기존의 컴퓨팅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 장치; 라우터, 스위치 등과 같은 전자 통신 장치; 네트워크 부착 스토리지(NAS; network-attached storage) 및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SAN; storage area network)와 같은 전자 정보 스토리지 시스템)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즉,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특정의 방식으로 기능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원하는 시스템 성능을 달성하는 것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통상적으로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서버(100)의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저장부(12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하나 이상의 코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범용 그래픽 처리 장치(GPGPU: General Purpose Graphics Processing Unit), 텐서 처리 장치(TPU: Tensor Processing Unit) 등의 데이터 분석을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어부(110)는 거래 대상 상품과 관련된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거래 대상 상품과 연계된 NFT를 발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상 이미지, 제 1 위치 데이터, 제 1 시간 데이터, 구입처 정보 및 트래킹(tracking)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상 이미지는 제 1 사용자가 거래 대상 상품을 촬영한 영상 이미지일 수 있다. 제 1 사용자는 서버(100)와 관련된 관리자 또는 판매자 등일 수 있다. 판매자는 거래 대상 상품을 획득한 경우, 거래 대상 상품을 촬영하여 서버(10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는 보유하고 있는 카메라를 통해 거래 대상 상품의 영상 이미지 또는 동영상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또는 제 1 사용자는 서버(100)외 다른 서버를 통해 거래 대상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일 수도 있다. 예컨데, 구매자는 다른 서버를 통해 거래 대상 상품을 구매했을 수 있다. 그러나, 구매자가 거래 대상 상품을 구매한 다른 서버는 본 개시에 따른 이력 관리 보증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서버일 수 있다. 구매자는 추후 발생될지도 모르는 중고 거래를 위해, 본 개시에 따른 이력 관리 보증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 1 사용자는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일 수도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사용자는 서버(100)와 관련된 관리자라고 가정하고 설명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 1 위치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상 이미지가 촬영된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1 시간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상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1 위치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제 1 시간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상 이미지의 제 1 메타 데이터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구입처 정보는 거래 대상 상품이 구입된 구입처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일례로, 제 2 사용자는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 거래 대상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그러나, 서버(100)와 관련된 제 1 사용자는 거래 대상 상품을 직접 생산하거나 제작하는 업체가 아닐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는 제 2 사용자로부터의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의사에 따라, 해당 상품을 대신 구매하여 전달해주는 사람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거래 대상 상품과 관련되는 구입처가 별도로 존재할 수 있으며, 상품 정보는 구입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래킹 정보는 제 1 사용자가 거래 대상 상품을 구입처로부터 구매함에 따라 발생되는 배송 이력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래킹 정보는 거래 대상 상품이 해외로부터 배송되는 경우, 거래 대상 상품을 발송한 곳에 대한 정보, 국내로 수입됨에 따라 발생되는 통관 번호, 수입 통관 필증 정보, 수입 비용 및 국내에서 거래 대상 상품을 이송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래킹 정보가 포함하는 정보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물류의 배송에 따라 발생되는 모든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거래 대상 상품과 연계된 NFT를 발행할 수 있다. 이하, 제어부(110)가 거래 대상 상품과 연계된 NFT를 발행하는 일례는 도 2를 통해 설명한다.
저장부(120)는 메모리 및/또는 영구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20)에는 NFT의 컨트랙트 주소 및 상품 정보가 연관되어 데이터베이스화 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컨트랙트 주소는 NFT가 위치하고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주소일 수 있다. 상품 정보는 거래 대상 상품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거래 대상 상품과 연계된 NFT가 발행된 경우, NFT의 컨트랙트 주소 및 상품 정보를 연관시켜 거래 대상 상품 DB(database)를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품 DB가 구성된 경우, 상품 DB를 저장부(120)를 통해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서버(100)와 통신 시스템 사이, 서버(100)와 제 2 사용자 단말(200) 사이, 서버(100)와 블록체인 메인넷(300) 사이, 또는 서버(100)와 네트워크(400)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사용자 단말(200)은 전형적인 컴퓨터 하드웨어(예컨대,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 스토리지,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 기타 기존의 컴퓨팅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 장치; 라우터, 스위치 등과 같은 전자 통신 장치; 네트워크 부착 스토리지(NAS; network-attached storage) 및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SAN; storage area network)와 같은 전자 정보 스토리지 시스템)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즉,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특정의 방식으로 기능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원하는 시스템 성능을 달성하는 것일 수 있다. 제 2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note book), 모바일 단말기(mobile terminal),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 2 사용자 단말(200)의 제 2 사용자는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 거래 대상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거나 또는 구매한 사용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사용자는 제 2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서버에서 제공하는 상품 판매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다. 상품 판매 서비스는 본 개시에 따른 이력 관리 보증 서비스와 동일한 서비스이거나 또는 연계되어 있는 서비스일 수 있다. 제 2 사용자는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거래 대상 상품을 검색한 후, 동일한 서비스를 통해 거래 대상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는 제 2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거래 대상 상품의 검색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제 2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여, 거래 대상 상품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는 제 2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거래 대상 상품 DB를 열람하기 위한 열람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열람 요청 신호는 거래 대상 상품의 검색을 요청하는 신호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응할 수 있다. 열람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서버(100)는 열람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거래 대상 상품 DB에 저장된 정보를 제 2 사용자 단말(200)에 전달할 수 있다.
블록체인 메인넷(300)은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출시하여 운영하는 네트워크일 수 있다. 블록체인 메인넷(300)은 불특정 다수의 노드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트랜잭션(transaction)을 기록하고 블록체인 프로토콜에 의해 검증할 수 있다. 블록체인 메인넷(300)은 소정의 프로토콜에 의해 토큰을 발행하고 토큰의 소유권에 대한 트랜잭션을 기록 및 검증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편의상 하나의 블록체인 메인넷(300)을 표시하였지만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100)는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블록체인 메인넷(300)과 통신할 수 있다. 각각의 블록체인 메인넷(300)은 NFT를 지원하는 블록체인 프로토콜에 의해 운영될 수 있다. NFT를 지원하는 블록체인 프로토콜은 이더리움, WAX, FLOW,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Binance Smart Chain) 등이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NFT는 상술한 이더리움, WAX, FLOW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 등의 프로토콜에 따라 발행될 수 있다. NFT의 발행량은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FT의 발행량은 1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NFT의 발행량은 1보다 큰 수일 수 있다. NFT의 발행량은 대체 가능한 토큰의 발행량에 비해 현저히 작을 수 있다.
네트워크(400)는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일 수 있다.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서버(100)가 이력 관리 보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이력 관리 보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버(100)의 제어부(110)는 거래 대상 상품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10).
상품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상 이미지, 제 1 위치 데이터, 제 1 시간 데이터, 구입처 정보 및 트래킹(tracking)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상 이미지는 제 1 사용자가 거래 대상 상품을 촬영한 영상 이미지일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이미지는 사진 또는 동영상 등일 수 있다. 제 1 사용자는 거래 대상 상품을 획득한 경우, 거래 대상 상품을 촬영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는 보유하고 있는 카메라를 통해 거래 대상 상품의 사진 또는 동영상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제 1 사용자가 거래 대상 상품을 촬영하도록 하는 가이드 라인을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거래 대상 상품의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배면도, 저면도 및 사시도를 촬영하도록 가이드 라인을 제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거래 대상 상품 별로 사전 결정된 특정 부분을 근접하여 촬영하도록 가이드 라인을 제시할 수 있다. 특정 부분은 예를 들어, 가죽과 가죽이 맞닿는 부분의 이음새, 천과 천이 맞닿는 부분의 이음새, 가죽의 모양과 형태가 접하는 부분, 가죽의 결, 가죽이 접히는 부분, 그림 또는 라벨 등이 가죽과 박음질된 부분 등일 수 있다. 제 1 사용자는 제시된 가이드 라인에 기초하여 거래 대상 상품을 촬영한 후, 사진 또는 영상 이미지를 서버(100)에 업로드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1 위치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상 이미지가 촬영된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1 시간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상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1 위치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제 1 시간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상 이미지의 제 1 메타 데이터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메타 데이터는 제 1 사용자가 거래 대상 상품을 촬영함에 따라 생성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제 1 사용자가 거래 대상 상품을 촬영하여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상 이미지는 제 1 메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입처 정보는 거래 대상 상품이 구입된 구입처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서버(100)와 관련된 제 1 사용자는 거래 대상 상품을 직접 생산하거나 제작하는 업체가 아닐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는 제 2 사용자로부터의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의사에 따라 해당 상품을 대신 구매하여 전달해주는 사람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거래 대상 상품과 관련되는 구입처 정보가 존재할 수 있으며, 상품 정보는 구입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래킹 정보는 제 1 사용자가 거래 대상 상품을 구입처로부터 구매함에 따라 발생되는 배송 이력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래킹 정보는 거래 대상 상품이 해외로부터 배송되는 경우, 거래 대상 상품을 발송한 업체에 대한 정보, 거래 대상 상품이 보관된 창고에 대한 정보, 거래 대상 상품이 국내로 수입됨에 따라 발생되는 통관 번호, 거래 대상 상품을 배송하는 배송 기사에 대한 정보, 수입 통관 필증 정보, 수입 비용 및 국내에서 거래 대상 상품을 이송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배송 업체에서 제공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트래킹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배송 업체에서 제공하는 웹 상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크롤링(crawling)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트래킹 정보가 포함하는 정보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물류의 배송에 따라 발생되는 모든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거래 대상 상품과 연계된 NFT를 발행할 수 있다(S120). 제어부(110)는 거래 대상 상품과 연계된 NFT를 최초로 발행하는 경우, NFT의 소유자를 제 1 사용자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거래 대상 상품과 연계된 NFT를 직접 발행하거나 또는 마켓 플레이스와 같은 플랫폼 서비스를 통해 NFT를 발행할 수도 있다. 마켓 플레이스의 예로 오픈시(OpenSea), 라리블(Rarible), 니프티 게이트웨이(Nifty Gateway), 슈퍼레어(SuperRare) 등이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10)는 NFT를 발행하기 위해, 상품 정보 또는 상품 정보가 포함된 트랜잭션을 통신부(130)를 통해 블록체인 메인넷(3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노드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복수의 노드가 합의 알고리즘을 통해 블록에 상품 정보 또는 상품 정보가 포함된 트랜잭션을 기록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록은 블록체인 기술에서 말하는 체인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품 정보 또는 상품 정보가 포함된 트랜잭션이 블록체인 메인넷(300)에 기록되는 경우 상품 정보가 위조 또는 변조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제 2 사용자가 거래 대상 상품을 구매하기 위하여, 거래 대상 상품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열람하는 경우, 열람한 상품 정보에 대한 신뢰도가 상승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추후 제 2 사용자가 중고 거래를 통해 거래 대상 상품을 판매하더라도, 제 2 사용자로부터 거래 대상 상품을 구매하는 제 3 사용자도 상품 정보를 신뢰성 있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거래 대상 상품을 판매하는 제 2 사용자도 자신이 구매한 상품의 이력이 블록체인 메인넷(300)을 통해 관리되고 있기 때문에, 제품에 문제가 없다는 것을 보증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NFT의 컨트랙트 주소 및 상품 정보를 연관시켜 거래 대상 상품 DB(database)를 구성할 수 있다(S130). 여기서, 컨트랙트 주소는 NFT가 위치하고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주소일 수 있다.
거래 대상 상품 DB는 상품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상 이미지,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상 이미지가 촬영된 제 1 위치 데이터,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상 이미지가 촬영된 제 1 시간 데이터, 구입처 정보, 트래킹 정보, 상품 고유 번호, NFT 컨트랙트 주소 및 소유권 변동 이력 등이 구성될 수 있다. 이하, 거래 대상 상품 DB와 관련된 일례는 도 4를 통해 설명한다.
제어부(110)는 구성된 거래 대상 상품 DB를 오프-체인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오프-체인 영역은 블록체인 메인넷(300)을 통하지 않고 제어부(110)가 거래 대상 상품 DB를 저장할 수 있는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프-체인 영역은 저장부(120)와 같은 물리적 저장소와 관련되는 영역 또는 클라우드 저장소 등일 수 있다.
통신부(130)는 제 2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 2 사용자의 제 1 가상 지갑 주소 및 거래 대상 상품 DB의 갱신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140). 제 1 가상 지갑 주소는 제 1 사용자와 관련된 가상 지갑을 나타내는 주소일 수 있다. 갱신 요청은 거래 대상 상품 DB를 갱신하기 위한 요청일 수 있다.
제 1 가상 지갑 주소 및 갱신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110)는 온-체인 영역에서 NFT의 소유권 정보가 제 2 사용자의 제 1 가상 지갑 주소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150).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NFT의 최종 소유자가 제 1 가상 지갑 주소로 기록된 경우, NFT의 소유권 정보가 제 2 사용자의 제 1 가상 지갑 주소에 대응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사용자는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 거래 대상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제 2 사용자가 거래 대상 상품을 구매함에 따라, 서버(100)의 제 1 사용자는 거래 대상 상품을 제 2 사용자의 현실 주소로 발송할 수 있다. 거래 대상 상품이 발송됨에 따라, 제어부(110)는 제 1 사용자로 설정되어 있던 NFT의 소유권을 제 2 사용자로 이전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배송 업체에서 제공하는 API를 통해 거래 대상 상품이 제 2 사용자에게 배송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거래 대상 상품이 제 2 사용자에게 배송되었다고 결정된 경우, 제어부(110)는 제 1 사용자로 설정되어 있던 NFT의 소유권을 제 2 사용자로 이전할 수 있다. 만약, 서버(100)와 관련된 오프라인 매장이 존재하는 경우, 제 1 사용자는 거래 대상 상품을 제 2 사용자에게 직접 인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제 1 사용자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사용자로 설정되어 있던 NFT의 소유권을 제 2 사용자로 이전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거래 대상 상품이 제 2 사용자에게 배송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거래 대상 상품의 배송과 관련된 트래킹 정보를 배송 업체에서 제공하는 API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획득된 트래킹 정보를 이용하여 거래 대상 상품 DB를 갱신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NFT의 소유자가 제 2 사용자라고 결정된 경우, 제 2 사용자에게 거래 대상 상품 DB의 갱신을 허용하고,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거래 대상 상품 DB의 갱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60). 여기서, 갱신 정보는 제 2 사용자가 거래 대상 상품을 획득함에 따라, 제 2 사용자에 의해서 생성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일례로, 갱신 정보는 제 2 사용자가 거래 대상 상품을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영상 이미지, 적어도 하나의 제 2 영상 이미지의 제 2 메타데이터에서 확인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영상 이미지가 촬영된 제 2 위치 데이터, 제 2 메타데이터에서 확인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영상 이미지가 촬영된 제 2 시간 데이터 및 제 2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NFT의 소유자가 제 2 사용자라고 결정되지 않은 경우, 제 2 사용자에게 거래 대상 상품 DB의 갱신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제어부(110)는 갱신 정보에 기초하여 거래 대상 상품 DB를 갱신할 수 있다(S170). 여기서, 거래 대상 상품 DB를 갱신한다는 의미는, 수신된 갱신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가 거래 대상 상품 DB를 업데이트한다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10)는 갱신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영상 이미지, 적어도 하나의 제 2 영상 이미지가 촬영된 제 2 위치 데이터, 적어도 하나의 제 2 영상 이미지가 촬영된 제 2 시간 데이터 및 제 2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거래 대상 상품 DB를 갱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제 2 사용자가 거래 대상 상품을 촬영하도록 하는 가이드 라인을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거래 대상 상품의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배면도, 저면도 및 사시도를 촬영하도록 가이드 라인을 제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거래 대상 상품 별로 사전 결정된 특정 부분을 근접하여 촬영하도록 가이드 라인을 제시할 수 있다. 특정 부분은 예를 들어, 가죽과 가죽이 맞닿는 부분의 이음새, 천과 천이 맞닿는 부분의 이음새, 가죽의 모양과 형태가 접하는 부분, 가죽의 결, 가죽이 접히는 부분, 그림 또는 라벨 등이 가죽과 박음질된 부분 등일 수 있다. 제 2 사용자는 제 2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제시된 가이드 라인에 기초하여 거래 대상 상품을 촬영한 후, 사진 또는 영상 이미지를 서버(100)에 업로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갱신 정보 또는 갱신 정보가 포함된 트랜잭션을 통신부(130)를 통해 블록체인 메인넷(3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노드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복수의 노드가 합의 알고리즘을 통해 블록에 갱신 정보 또는 갱신 정보가 포함된 트랜잭션을 기록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서버(100)는 거래 대상 상품과 관련된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거래 대상 상품과 연계된 NFT를 발행할 수 있다. 서버(100)는 발행된 NFT의 컨트랙트 주소 및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거래 대상 상품 DB를 구성할 수 있다. 거래 대상 상품 DB에는 서버(100)의 제 1 사용자가 거래 대상 상품을 취득했던 이력 및 제 1 사용자로부터 제 2 사용자에게로 거래 대상 상품이 이전되기까지의 이력이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거래 대상 상품의 이력이 신뢰성 있게 관리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는 거래 대상 상품이 제 2 사용자에게 전달되고, 그리고 거래 대상 상품과 연계된 NFT의 소유권이 제 2 사용자에게 이전된 이후에도 거래 대상 상품의 이력 관리 보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통해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력 관리 보증 서비스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3을 통해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력 관리 보증 서비스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거래 대상 상품 DB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100)의 통신부(130)는 제 2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거래 대상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판매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210). 판매 요청 신호는 제 2 사용자가 거래 대상 상품을 서버(100)와 관련된 제 1 사용자에게 판매하기 위한 신호이거나 또는 거래 대상 상품을 제 1 사용자 외 다른 사용자에게 판매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사용자는 특정 사용자가 아니라, 거래 대상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 임의의 사용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판매 요청 신호는 제 2 사용자가 임의의 제 3 사용자에게 거래 대상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신호라고 가정하고 실명한다.
제어부(110)는 판매 요청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 거래 대상 상품을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거래 대상 상품을 등록한다는 의미는 다른 사용자가 거래 대상 상품을 검색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는 의미로도 이해될 수 있다.
통신부(130)는 판매 요청 신호를 수신한 이후, 적어도 하나의 제 3 사용자의 제 3 사용자 단말로부터 거래 대상 상품 DB를 열람하기 위한 열람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220).
통신부(130)는 열람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거래 대상 상품 DB에 저장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제 3 사용자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S230).
구체적으로, 거래 대상 상품 DB에는 거래 대상 상품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정보들뿐만 아니라, 제 2 사용자의 개인 정보도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래 대상 상품 DB에는 제 2 사용자의 연락처 등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연락처뿐만 아니라, 거래 대상 상품 DB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영상 이미지가 촬영된 제 2 위치 데이터 및 거래 대상 상품이 제 2 사용자에게 배송된 트래킹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래 대상 상품 DB에 저장된 정보가 모두 제 3 사용자 단말로 전달되는 경우, 제 2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통신부(130)는 거래 대상 상품 DB에 저장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제 3 사용자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NFT의 컨트랙트 주소 및 상기 상품 정보를 연관시켜 거래 대상 상품 DB를 구성할 수 있다.
거래 대상 상품 DB는 거래 대상 상품의 상품 고유 번호, NFT 컨트랙트 주소, 소유권 변동 이력, 영상 이미지, 위치 정보, 시간 정보, 개인 정보, 감정 정보 및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트래킹 정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거래 대상 상품 DB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들을 필드 별로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거래 대상 상품 DB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 중 거래 대상 상품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정보들을 제 1 필드로 분류할 수 있다. 제 1 필드로 분류되는 정보는 예를 들어, 상품 고유 번호, NFT 컨트랙트 주소, 소유권 변동 이력, 영상 이미지, 시간 정보 및 감정 정보 등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거래 대상 상품 DB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 중 거래 대상 상품과 간접적으로 관련된 정보들을 제 2 필드로 분류할 수 있다. 제 2 필드로 분류되는 정보들은 거래 대상 상품을 소유한 적이 있는 사용자들의 개인 정보와 관련될 수 있다. 제 2 필드로 분류되는 정보는 예를 들어, 위치 정보, 개인 정보 또는 트래킹 정보 등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3 사용자의 제 3 사용자 단말로부터 거래 대상 상품 DB를 열람하기 위한 열람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어부(110)는 온-체인 영역에서 NFT의 소유권 정보가 제 3 사용자의 제 2 가상 지갑 주소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NFT의 소유권 정보가 제 3 사용자의 제 2 가상 지갑 주소에 대응하지 않는다고 결정됨에 따라, 거래 대상 상품 DB에 저장된 정보 중 제 2 필드로 분류된 정보를 통신부(130)를 통해 제 3 사용자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트래킹 정보는 제 2 사용자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주소를 제외한 정보는 제 3 사용자 단말로 전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제 2 사용자의 집 주소 또는 회사 주소를 제외한 트래킹 정보를 통신부(130)를 통해 제 3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서버(100)는 제 2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거래 대상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판매 요청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거래 대상 상품의 판매를 위한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사용자 단말로부터 거래 대상 상품 DB를 열람하기 위한 열람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거래 대상 상품 DB에 저장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100)는 제 2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거래 대상 상품과 관련되는 정보들을 적어도 하나의 제 3 사용자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거래 대상 상품 DB를 살펴보면, 감정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감정 정보는 전문가가 거래 대상 상품을 감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거래 대상 상품 DB에 감정 정보가 포함됨에 따라, 사용자들은 거래 대상 상품의 구매에 있어서 좀 더 신뢰감을 느낄 수 있다. 이하, 도 5를 통해 본 개시에 따른 서버(100)가 감정 정보에 기초하여 거래 대상 상품 DB를 구성 및 갱신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감정 정보에 기초하여 거래 대상 상품 DB를 갱신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버(100)의 통신부(130)는 제 2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거래 대상 상품의 감정을 의뢰하기 위한 감정 의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310).
감정 의뢰 신호를 수신된 경우, 제어부(110)는 온-체인 영역에서 NFT의 소유권 정보가 제 2 사용자의 제 1 가상 지갑 주소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320).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NFT의 최종 소유자가 제 1 가상 지갑 주소로 기록된 경우, NFT의 소유권 정보가 제 2 사용자의 제 1 가상 지갑 주소에 대응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NFT의 소유자가 제 2 사용자라고 결정된 경우, 통신부(130)는 거래 대상 상품 DB에 저장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정 의뢰 업체와 관련된 업체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330).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제 2 사용자로부터 촬영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이미지를 통신부(130)를 통해 업체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거래 대상 상품 DB에 저장된 정보 중 제 2 필드로 분류된 정보를 통신부(130)를 통해 업체 단말로 전달할 수도 있다.
제어부(110)는 업체 단말로부터 감정 의뢰 결과와 관련된 감정 정보가 수신된 경우, 감정 정보에 기초하여 거래 대상 상품 DB를 갱신할 수 있다(S340). 거래 대상 상품 DB가 갱신됨에 따라, 제 2 사용자는 제 2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감정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감정 정보는 감정 의뢰 업체가 감정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결과 정보 및 감정 의뢰 업체와 관련된 업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업체 정보는 예를 들어, 감정을 수행한 업체의 전화 번호, 업체명, 업체의 오프라인 주소 및 업체의 온라인 홈페이지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결과 정보는 제 2 사용자가 획득한 거래 대상 상품이 정품인지 또는 가품인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결과 정보는 거래 대상 상품의 상태를 감정한 결과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거래 대상 상품과 같은 실물 상품은 사용자가 사용함에 따라 그리고, 세월이 흐름에 따라 낡거나 또는 손상될 수 있다. 결과 정보는 이와 같은 낡음 또는 손상 등에 기초하여 업체에서 거래 대상 상품에 대하여 등급을 결정한 정보일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의 제 1 사용자는 거래 대상 상품을 직접 생산하거나 제작하는 업체가 아닐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사용자는 거래 대상 상품을 획득한 경우, 감정 의뢰 업체에 거래 대상 상품을 감정 의뢰할 수도 있다. 제 1 사용자가 직접 거래 대상 상품에 대한 감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나, 감정 의뢰 업체에 거래 대상 상품을 감정 의뢰하고, 업체 단말로부터 획득된 감정 정보를 이용하여 거래 대상 상품 DB를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의 서버(100)와 관련된 이력 관리 보증 서비스에 대한 신뢰도가 상승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서버(100)는 제 2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감정 의뢰 신호가 수신된 경우, 거래 대상 상품 DB에 저장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업체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0)는 업체 단말로부터 수신된 감정 정보에 기초하여, 거래 대상 상품 DB를 갱신할 수 있다. 감정 정보에 기초하여 거래 대상 상품 DB가 갱신됨에 따라, 추후 제 2 사용자가 거래 대상 상품을 재판매 하더라도, 제 2 사용자는 자신이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쉽게 타인에게 보증할 수 있다. 또한, 제 2 사용자로부터 거래 대상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제 3 사용자도 거래 대상 상품을 신뢰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는 제 2 사용자가 실제로 획득한 거래 대상 상품이 서버(100)의 제 1 사용자가 발송했던 거래 대상 상품과 동일한 상품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하, 도 6을 통해 본 개시에 따른 서버가 거래 대상 상품을 확인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6을 통해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거래 대상 상품을 확인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버(100)의 통신부(130)는 제 2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 2 사용자가 실제로 수령한 제 1 상품이 거래 대상 상품과 동일한 상품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상품 확인 의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410).
일 실시예에 따라, 거래 대상 상품 DB에는 트래킹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래 대상 상품이 제 2 사용자에게 배송되기 까지의 모든 이력이 보증될 수 있다. 그러나, 트래킹 정보가 투명하게 공개되더라도, 거래 대상 상품을 배송하는 배송 기사가 직접 거래 대상 상품을 다른 상품으로 교체하여 배송하는 것까지 방지하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 따른 서버(100)는 이러한 상황에서도 거래 대상 상품에 대한 보증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 2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상품 확인 의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온-체인 영역에서 NFT의 소유권 정보가 제 2 사용자의 제 1 가상 지갑 주소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420).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NFT의 최종 소유자가 제 1 가상 지갑 주소로 기록된 경우, NFT의 소유권 정보가 제 2 사용자의 제 1 가상 지갑 주소에 대응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NFT의 소유권 정보가 제 2 사용자의 제 1 가상 지갑 주소에 대응하지 않는다고 결정된 경우, 후술할 동작들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NFT의 소유자가 제 2 사용자라고 결정된 경우, 제어부(110)는 거래 대상 상품 DB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상 이미지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영상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S430). 제어부(110)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제 1 상품이 거래 대상 상품과 동일한 상품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440).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상 이미지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영상 이미지는 제어부(110)로부터 제시된 가이드 라인에 따라 촬영된 이미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가 거래 대상 상품을 촬영할 때, 사전 설정된 가이드 라인을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가 거래 대상 상품의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배면도, 저면도 및 사시도를 촬영하도록 가이드 라인을 제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거래 대상 상품 별로 사전 결정된 특정 부분을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가 근접하여 촬영하도록 가이드 라인을 제시할 수 있다. 특정 부분은 예를 들어, 가죽과 가죽이 맞닿는 부분의 이음새, 천과 천이 맞닿는 부분의 이음새, 가죽의 모양과 형태가 접하는 부분, 가죽의 결, 가죽이 접히는 부분, 그림 또는 라벨 등이 가죽과 박음질된 부분 등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사용자가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상 이미지와 제 2 사용자가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영상 이미지는 거래 대상 상품에 있어서 동일한 부분을 촬영한 이미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상 이미지 중 제 1-1 영상 이미지는 가죽과 가죽이 맞닿는 부분의 이음새를 촬영한 이미지일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제 2 영상 이미지 중 제 2-1 영상 이미지도 가죽과 가죽이 맞닿는 부분의 이음새를 촬영한 이미지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 1-1 영상 이미지와 제 2-1 영상 이미지는 거래 대상 상품에 있어서 동일한 부분을 촬영한 영상 이미지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10)가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상 이미지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영상 이미지를 비교하는 경우, 비교 결과에 대한 정확도가 높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복수의 영상 이미지들로부터 차이점을 결정하도록 학습된 신경망 모델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상 이미지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영상 이미지에서의 차이점을 결정할 수 있다. 신경망 모델은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DNN(Deep Neural Network) 또는 RNN(Recurrent Neural Network) 기반의 네트워크 모델일 수 있다. 신경망 모델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상 이미지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영상 이미지가 입력되는 경우, 영상 이미지에서 차이점을 출력하는 모델일 수 있다. 이하, 신경망 모델을 이용하여 영상 이미지에서 차이점을 인식하는 방법은 종래의 기술들이 이용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110)는 제 1 상품이 거래 대상 상품과 동일한 상품인지 여부가 결정된 경우, 판단 결과를 이용하여 거래 대상 상품 DB를 갱신할 수 있다. 거래 대상 상품 DB가 갱신됨에 따라, 제 2 사용자는 제 2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판단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서버(100)는 제 2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상품 확인 의뢰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사용자가 발송한 거래 대상 상품과 제 2 사용자가 획득한 거래 대상 상품이 동일한 상품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거래 대상 상품 DB에는 트래킹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래 대상 상품이 제 2 사용자에게 배송되기 까지의 모든 이력이 보증될 수 있다. 그러나, 트래킹 정보가 투명하게 공개되더라도, 거래 대상 상품을 배송하는 배송 기사가 직접 거래 대상 상품을 다른 상품으로 교체하여 배송하는 것까지 방지하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100)는 제 1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상 이미지 및 제 2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영상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 2 사용자가 실제로 수령한 거래 대상 상품이 제 1 사용자가 발송한 거래 대상 상품과 동일한 상품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악의적인 배송 기사에 의해 사용자가 잘못된 상품을 전달받더라도 잘못된 상품임을 모른 채 사용하는 상황이 방지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이력 관리 보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거래 대상 상품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거래 대상 상품과 연계된 NFT를 발행하는 단계 - 상기 NFT의 발행 당시 상기 NFT의 소유자는 제 1 사용자로 설정됨 - ;
    상기 NFT의 컨트랙트 주소 및 상기 상품 정보를 연관시켜 거래 대상 상품 DB(database)를 구성하는 단계 -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는 상기 거래 대상 상품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1 필드 및 상기 거래 대상 상품과 간접적으로 관련된 정보인 상기 거래 대상 상품을 소유한 적이 있는 사용자들의 개인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 필드로 분류됨 - ;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사용자의 제 1 가상 지갑 주소 및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의 갱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온-체인 영역에서 상기 NFT의 소유권 정보가 상기 제 2 사용자의 제 1 가상 지갑 주소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NFT의 소유자가 상기 제 2 사용자라고 결정된 경우, 상기 제 2 사용자에게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의 갱신을 허용하고,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의 갱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갱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를 갱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거래 대상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판매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판매 요청 신호를 수신한 이후, 적어도 하나의 제 3 사용자의 제 3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를 열람하기 위한 열람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온-체인 영역에서 상기 NFT의 소유권 정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사용자의 제 2 가상 지갑 주소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NFT의 소유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사용자가 아니라고 결정된 경우, 상기 열람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에 저장된 정보 중 상기 제 2 필드로 분류된 정보를 상기 제 3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는,
    상기 제 1 사용자가 상기 거래 대상 상품을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상 이미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상 이미지의 제 1 메타데이터에서 확인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상 이미지가 촬영된 제 1 위치 데이터, 상기 제 1 메타데이터에서 확인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상 이미지가 촬영된 제 1 시간 데이터, 상기 거래 대상 상품이 구입된 구입처 정보 및 상기 거래 대상 상품의 배송 이력과 관련된 트래킹(tracking)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정보는,
    상기 제 2 사용자가 상기 거래 대상 상품을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영상 이미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영상 이미지의 제 2 메타데이터에서 확인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영상 이미지가 촬영된 제 2 위치 데이터, 상기 제 2 메타데이터에서 확인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영상 이미지가 촬영된 제 2 시간 데이터 및 상기 제 2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거래 대상 상품의 감정을 의뢰하기 위한 감정 의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온-체인 영역에서 상기 NFT의 소유권 정보가 상기 제 2 사용자의 제 1 가상 지갑 주소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NFT의 소유자가 상기 제 2 사용자라고 결정된 경우,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에 저장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정 의뢰 업체와 관련된 업체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업체 단말로부터 감정 의뢰 결과와 관련된 감정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감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를 갱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정 정보는,
    상기 감정 의뢰 업체가 감정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결과 정보 및 상기 감정 의뢰 업체와 관련된 업체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사용자가 실제로 수령한 제 1 상품이 상기 거래 대상 상품과 동일한 상품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상품 확인 의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온-체인 영역에서 상기 NFT의 소유권 정보가 상기 제 2 사용자의 제 1 가상 지갑 주소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NFT의 소유자가 상기 제 2 사용자라고 결정된 경우,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에 저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상 이미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영상 이미지를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상품이 상기 거래 대상 상품과 동일한 상품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이력관리 보증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로서,
    제어부; 및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거래 대상 상품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거래 대상 상품과 연계된 NFT를 발행하고, - 상기 NFT의 발행 당시 상기 NFT의 소유자는 제 1 사용자로 설정됨 - ,
    상기 NFT의 컨트랙트 주소 및 상기 상품 정보를 연관시켜 거래 대상 상품 DB(database)를 구성하고 -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는 상기 거래 대상 상품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1 필드 및 상기 거래 대상 상품과 간접적으로 관련된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 필드로 분류됨 -,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사용자의 제 1 가상 지갑 주소 및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의 갱신 요청을 수신하고,
    온-체인 영역에서 상기 NFT의 소유권 정보가 상기 제 2 사용자의 제 1 가상 지갑 주소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NFT의 소유자가 상기 제 2 사용자라고 결정된 경우, 상기 제 2 사용자에게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의 갱신을 허용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의 갱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갱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를 갱신하고,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거래 대상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판매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판매 요청 신호를 수신한 이후, 적어도 하나의 제 3 사용자의 제 3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를 열람하기 위한 열람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온-체인 영역에서 상기 NFT의 소유권 정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3 사용자의 제 2 가상 지갑 주소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NFT의 소유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사용자가 아니라고 결정된 경우, 상기 열람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에 저장된 정보 중 제 2 필드로 분류된 정보를 상기 제 3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서버.
  9.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경우, 이력 관리 보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방법은:
    거래 대상 상품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거래 대상 상품과 연계된 NFT를 발행하는 단계 - 상기 NFT의 발행 당시 상기 NFT의 소유자는 제 1 사용자로 설정됨 - ;
    상기 NFT의 컨트랙트 주소 및 상기 상품 정보를 연관시켜 거래 대상 상품 DB(database)를 구성하는 단계 -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는 상기 거래 대상 상품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1 필드 및 상기 거래 대상 상품과 간접적으로 관련된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 필드로 분류됨 - ;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사용자의 제 1 가상 지갑 주소 및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의 갱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온-체인 영역에서 상기 NFT의 소유권 정보가 상기 제 2 사용자의 제 1 가상 지갑 주소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NFT의 소유자가 상기 제 2 사용자라고 결정된 경우, 상기 제 2 사용자에게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의 갱신을 허용하고,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의 갱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를 갱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거래 대상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판매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판매 요청 신호를 수신한 이후, 적어도 하나의 제 3 사용자의 제 3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를 열람하기 위한 열람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온-체인 영역에서 상기 NFT의 소유권 정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3 사용자의 제 2 가상 지갑 주소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NFT의 소유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사용자가 아니라고 결정된 경우, 상기 열람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거래 대상 상품 DB에 저장된 정보 중 제 2 필드로 분류된 정보를 상기 제 3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089384A 2022-07-20 2022-07-20 이력 관리 보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102505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384A KR102505140B1 (ko) 2022-07-20 2022-07-20 이력 관리 보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JP2023094277A JP2024014730A (ja) 2022-07-20 2023-06-07 履歴管理保証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384A KR102505140B1 (ko) 2022-07-20 2022-07-20 이력 관리 보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5140B1 true KR102505140B1 (ko) 2023-03-02

Family

ID=85509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9384A KR102505140B1 (ko) 2022-07-20 2022-07-20 이력 관리 보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24014730A (ko)
KR (1) KR1025051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061A (ko) * 2018-02-22 2019-08-30 (주)티비스톰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 플랫폼
KR20210125197A (ko) * 2020-04-08 2021-10-18 블랍스 주식회사 블록체인을 이용한 제품의 소유권 등록 및 위조 판단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KR102340588B1 (ko) * 2021-05-11 2021-12-21 주식회사 와이콘즈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객체 관리 서비스를 지원하는 객체 관리 시스템
KR102343025B1 (ko) 2021-10-05 2021-12-24 (주) 모로보기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품 거래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061A (ko) * 2018-02-22 2019-08-30 (주)티비스톰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 플랫폼
KR20210125197A (ko) * 2020-04-08 2021-10-18 블랍스 주식회사 블록체인을 이용한 제품의 소유권 등록 및 위조 판단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KR102340588B1 (ko) * 2021-05-11 2021-12-21 주식회사 와이콘즈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객체 관리 서비스를 지원하는 객체 관리 시스템
KR102343025B1 (ko) 2021-10-05 2021-12-24 (주) 모로보기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품 거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014730A (ja) 202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0907B2 (en) Blockchain-based product authentication system
US1182312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securing, and communicating industrial commerce transactions
US20110320317A1 (en) Image capture for purchases
US20230092012A1 (en) Adding Additional Value to NFTs
US20220215382A1 (en) Blockchain-based product authentication system
CA3185987A1 (en) Integrated online and offline inventory management
CN113272772A (zh) 集成有加密货币钱包的增强、混合或虚拟现实平台的支付系统
US20230088936A1 (en) Physical Storage Vault for Physical Items of Digital Twin NFTs
US20210133875A1 (en) Comprehensive buying, selling, trading, tracking, verification, validation, tokenization and financial services using blockchain
JP7038880B2 (ja) ユーザが提供する商品の表示を当該商品の販売者にマッチングさせること
US11893598B1 (en) On-chain loyalty program management
CN117716379A (zh) 用于高效区块链交易的软件架构
WO2022213061A1 (en) Using an internal ledger with blockchain transactions
US20230298001A1 (en) Non-fungible token (nft) purchase and transfer system
KR20190132802A (ko) 중고거래 사기방지를 위한 중고물품 거래 시스템 및 방법
US11888991B2 (en) Universally trusted bridges for heterogenous blockchain networks
KR102505140B1 (ko) 이력 관리 보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20180036083A (ko) 허위매물 등록 방지 시스템 및 방법
US20230298008A1 (en) Omniverse platform for predictive digital asset identification and recommendation in different metaverses
US20230177507A1 (en) User activity detection for locking cryptocurrency conversions
JP2020086573A (ja) サーバ、真贋判定システム、及びデータ構造
US20230298005A1 (en) Multi-layer cryptocurrency conversions using available blockchain outputs
US2024001319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e-validating token-based access control
US2023027426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inting non-fungible tokens at a point of sale
WO2023183256A1 (en) Blockchain-based product authentic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