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1061A -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 플랫폼 - Google Patents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1061A
KR20190101061A KR1020180020983A KR20180020983A KR20190101061A KR 20190101061 A KR20190101061 A KR 20190101061A KR 1020180020983 A KR1020180020983 A KR 1020180020983A KR 20180020983 A KR20180020983 A KR 20180020983A KR 20190101061 A KR20190101061 A KR 20190101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goods
distribution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0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9351B1 (ko
Inventor
강훈석
김다일
금성 하
Original Assignee
(주)티비스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비스톰 filed Critical (주)티비스톰
Priority to KR1020180020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351B1/ko
Priority to PCT/KR2019/001718 priority patent/WO2019164170A1/ko
Publication of KR20190101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e-cash details, e.g. blinded, divisible or detecting double spen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7Use of message has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음원, 영상, 저작물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상품(콘텐츠)과 의약품에서 골동품에 이르는 다양한 종류의 실물 상품에 대한 유통 상태와 유통이력관리를 통해서 진품과 가품을 판정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유통이력 조회 및 관리 플랫폼에 관한 것이며, 또한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상품을 플랫폼에 등록하고 블록체인을 통해 등록한 상품을 유통하고 수익을 창출하는 것을 지원하는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 플랫폼{A PLATFORM OF PERFORMING INQUIRY AND MANAGEMENT FOR DISTRIBUTION AND DISTRIBUTION HISTORY OF GOODS THROUGH BLOCK CHAIN}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음원, 영상, 저작물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상품(콘텐츠)과 의약품에서 골동품에 이르는 다양한 종류의 실물 상품에 대한 거래, 물류를 포함한 유통과 유통이력관리를 통해서 진품과 가품을 판정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유통과 유통 이력 조회 및 관리 플랫폼에 관한 것이며, 또한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상품을 플랫폼에 등록하고 블록체인을 통해 등록한 상품을 거래 및 배송하고 수익을 창출하는 것을 지원하는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이 활성화되기 전에는 상품을 생산하여 오프라인으로 거래하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실물을 보고 상품을 구매하는 것이 주류를 이루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인터넷의 발달로 온라인으로 상품을 거래하는 일이 오프라인보다 더 늘어나는 추세이다.
온라인에서 상품을 거래함에 있어서, 상품을 생산하고 공급하는 측과 소비하는 측 사이에 신뢰가 형성되어 있어야 하며, 신뢰관계가 보장되지 않으면 누구나 언제든지 신뢰의 훼손으로 인해서 피해를 보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블록체인은 이러한 신뢰관계를 보장해 주는 기술로, 대규모의 노드들 사이에서 관리 대상 데이터를 블록이라고 하는 소규모 데이터들이 P2P 방식을 기반으로 체인 형태의 연결고리를 형성한 상태로 분산 데이터 저장환경에 저장되어 누구도 임의로 수정할 수 없고 누구나 변경의 결과를 열람할 수 있는 분산 컴퓨팅 기반의 데이터 위변조 방지 기술이다.
이러한 블록체인 기술의 응용분야는 산업 전반에 산재해 있으며, 상품의 유통을 관리하는 과정에도 응용될 수 있음이 자명하다. 또한 최근에는 암호화폐(혹은 가상화폐)라고 하는 비트코인이 블록체인의 좋은 응용사례가 되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음원, 영상, 저작물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상품(콘텐츠)과 의약품에서 골동품에 이르는 다양한 종류의 실물 상품에 대한 거래, 물류를 포함한 유통과 유통이력관리를 통해서 진품과 가품을 판정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유통과 유통 이력 조회 및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상품을 플랫폼에 등록하고 블록체인을 통해 등록한 상품을 거래 및 배송하고 수익을 창출하는 것을 지원하는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응용분야 중에서 상품의 유통과 관련한 분야에서 블록체인을 응용하는 사례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한국등록특허 제1680542 B1호(2016.12.13.)는 일회용 상품에 숫자, 문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인쇄용 정품확인요청 코드를 활용하여 별도의 무선 태그가 없어도 정품 확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회용 상품을 제조 생산 내지 유통하는 업체에서 일회용 상품의 재사용을 위해 자체적으로 위조할 경우에도 이를 인지하여 사용자에게 안내 가능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일회용 상품의 정품확인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628005 B1호(2016.06.13.)는 콘텐츠제공업체측이 운영하는 서버에 저장 관리되는 저작권자의 저작권리가 금액으로 환산된 저작권 이용관련 대금분배정보, 저작권자의 저작 권리에 해당하는 금액을 받을 수 있는 일자로 이용되는 디지털 콘텐츠 의 등록일 정보 및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등록권리 만료일정보 등 저작권자의 저작 권리를 행사하는데 필요한 정보가 위변조 시 이를 감지하고, 그 위변조가 감지된 디지털 콘텐츠의 경우 전송 자체를 차단하여 줌으로써, 저작권자의 저작 권리와 관련해 콘텐츠제공업체측과 체결한 저작 권리에 대해 오롯이 보호받게 하여 주고, 저작권자가 등록한 디지털 콘텐츠를 DRM변환 디지털 콘텐츠로 변환하지 않고서도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관리가 가능하며, 사용자가 해당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제공업체측이 운영하는 서버에 회원으로 가입하지 않은 사 용자도 디지털 콘텐츠의 시청에 따른 서비스 이용대금의 결제를 수행할 수 있어, 이용편의성을 극대화시켜 주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리 위변조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626276 B1호(2016.05.26)는 디지털 화폐와 연동되어 디지털 콘텐츠를 생성, 제공, 재생하기 위한 방법, 이를 이용한 단말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콘텐츠 제공 단말이 기술적으로 보호되는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서, 콘텐츠 제공 단말은, 디지털 콘텐츠의 제공자의 디지털 화폐의 수령을 위한 공개키 정보 또는 이에 대한 포인팅 정보가 임베딩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이 상기 공개키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비밀키를 이용하여 지불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지불 정보가 진정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콘텐츠 제공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도록 기술적 보호를 해제하는 과정을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포함하며, 비트코인 등의 디지털 화폐에 관한 정보를 디지털 콘텐츠의 헤더에 삽입하여 유통된 디지털 콘텐츠를 플레이어를 통해 재생되도록 함으로써, 비트코인 등의 디지털 화폐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일회용 상품의 정품확인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서는 일회 상품에 극한 되어있고, 또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리 위변조 감지시스템에서는 저작 권리와 그에 따른 수익성을 보장해 주는 정도이며, 디지털 화폐와 연동되어 디지털 콘텐츠를 생성, 제공, 재생하기 위한 방법, 이를 이용한 단말은 비트코인 등의 디지털 화폐에 관한 정보를 디지털 콘텐츠의 헤더에 삽입하여 유통된 디지털 콘텐츠를 플레이어를 통해 재생되도록 함으로써, 비트코인 등의 디지털 화폐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것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상품을 플랫폼에 등록하고 블록체인을 통해 상기 등록한 상품을 유통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플랫폼은 전무한 실정이다. 특히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사용자 개인의 ID와 개인키, 공개키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는 물론이고 유통하는 상품에 대한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가 가능한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음원, 영상, 저작물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상품(콘텐츠)과 의약품에서 골동품에 이르는 다양한 종류의 실물 상품에 대한 유통과 유통이력관리를 통해서 진품과 가품을 판정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유통이력 조회 및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상품을 플랫폼에 등록하고 블록체인을 통해 등록한 상품을 유통하고 수익을 창출하는 것을 지원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개인 ID에 따른 개인키와 공개키를 발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게 계좌를 포함한 전자지갑을 발행하는 단계, 상기 공개키와 전자지갑을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인증하는 인증 단계 및 상기 발행한 공개키와 전자지감을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지갑에 대한 저장 매체는 온라인, 오프라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개인 ID에 대한 공개키와 상기 전자지갑은 블록체인에 의해서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개인 ID와 발행된 전자지갑을 통해 실물 상품 및 디지털 상품을 플랫폼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는 상기 플랫폼에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상품등록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품이 실물 상품의 경우, QR 코드, 통신사 인증 태그, 실물권한에 대한 인증서, 보증서, 수령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인증정보 또는 발행정보로 실물 상품을 디지털화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물 상품은 의료품, 전자제품, 식재료, 장난감, 생필품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실물 거래가 가능한 상품을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상품은 미디어 콘텐츠, 정보 콘텐츠, 양방향 콘텐츠, 예능, 드라마, 다큐멘터리, 서적 또는 예술작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록된 상품은 자동으로 암호화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저장되며, 상기 암호화된 상품은 영구정보와 이력정보를 각각 블록화하여 보유하며, 상기 영구정보는 사용자 및 생산자의 상품정보, 원산지정보, 생산자정보, 발행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발행정보는 사용자가 지정한 실물 권한과 디지털 권한으로 구성되며, 상기 이력정보는 사용자가 조회하여 볼 수 있도록 거래정보와 상품의 상태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로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을 조회 관리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개인 ID에 따른 개인키와 공개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한 공개키를 블록체인 플랫폼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한 개인키, 상기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전달된 전자지갑을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장치는 거래에 용이한 분산 노드와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디바이스이며, 상기 단말장치에 있는 분산 노드는 사용자들 간의 거래를 위한 용도이며, 상품의 조회, 거래, 재생, 저장을 위한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하는 플랫폼은, 사용자의 개인 ID에 따른 개인키와 공개키를 발행하고, 상기 사용자의 전자지갑을 발행하여 상기 공개키와 전자지갑을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인증하는 사용자인증부 및 상기 발행한 공개키에 대한 암호정보 및 상기 전자지갑에 암호계좌를 생성하는 블록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지갑에 대한 저장 매체는 온라인, 오프라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개인 ID에 대한 공개키와 상기 전자지갑은 블록체인에 의해서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하는 플랫폼은, 상기 사용자의 개인 ID와 발행된 전자지갑을 통해 실물 상품 및 디지털 상품을 플랫폼에 등록하는 상품등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는 상기 플랫폼에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상품등록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을 조회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장치는, 사용자의 개인 ID에 따른 개인키와 공개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공개키를 블록체인 플랫폼에 제공하는 사용자정보생성부 및 상기 생성한 개인키, 상기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전달된 전자지갑을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장치는 거래에 용이한 분산 노드와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디바이스이며, 상기 단말장치에 있는 분산 노드는 사용자들 간의 거래를 위한 용도이며, 상품의 조회, 거래, 재생, 저장을 위한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 플랫폼은, 음원, 영상, 저작물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상품(콘텐츠)과 의약품에서 골동품에 이르는 다양한 종류의 실물 상품에 대한 유통 상태와 유통이력관리를 통해서 진품과 가품을 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상품을 플랫폼에 등록하고 블록체인을 통해 등록한 상품을 유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플랫폼을 통해서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 플랫폼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 플랫폼이 작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분산노드를 통해서 상품등록을 하면 플랫폼에서 상기 상품을 디지털화하고 블록체인 암호화하여 복수의 분산노드에 저장하는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 플랫폼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를 위한 사용자 단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 플랫폼에서 사용자 간에 상품을 거래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 플랫폼에서 사용자가 상품과 판매자를 조회한 다음 상품을 구매하는 과정을 절차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 플랫폼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 플랫폼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 플랫폼(100)은 도처에 산재해 있는 블록체인 분산서버(200)에 탑재되어 있으며, 각 블록체인 분산서버(200)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블록체인 분산서버(200)에 접속하여 사용자 등록을 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복수의 블록체인 분산서버(200) 중에서 어느 곳에 접속하더라도 그 결과는 동일하며, 동일한 플랫폼(100)의 인터페이스와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 플랫폼(100)은 각 블록체인 분산서버(200)에 플랫폼의 기능과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있으면서, 또한 각 블록체인 분산서버(200)가 서로 접속된 환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플랫폼(100)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개인 ID에 따른 개인키와 공개키를 발행받고, 거래를 위한 계좌를 포함한 전자지갑을 발행 받는다. 여기서 전자지갑은 온라인, 오프라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하여 저장매체에 보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에게 ID와 계좌를 포함한 전자지갑을 발행하는 것은 블록체인에 의해서 이루어지는데, 그 결과 블록체인 분산서버(200)는 각 사용자의 개인 ID, 암호키 및 전자지갑의 정보는 블록으로 생성한 다음 주기적으로 갱신하여 분산 저장함으로써, 이들에 대한 해킹에 대비한다.
또한 사용자는 암호정보와 암호계좌를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암호정보는 개인키와 공공키로 구성된다, 상기 개인키는 소유자, 조회자, 생산자에 대한 고유정보를 가지며, 거래, 권한, 상품에 따른 공개키를 포함한다. 또한 암호계좌는 IP/PWD, OTP, BIO를 포함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정보와 암호상품, 결제화폐를 포함한 자산정보, 온라인, 오프라인의 저장소를 포함한다.
전자지갑과 관련하여 화폐는 비트코인, 이더리움과 같은 암호화폐와 원/달러와 같은 현금화폐를 포함하며, 상기 암호화폐와 현금화폐를 통해서 결제가 가능하다. 또한 암호계좌는 온라인(예: 암호화폐 거래소, 본 발명의 플랫폼, 블록체인 분산서버 포함) 또는 오프라인(USB를 포함한 오프라인 저장매체)을 포함하는 저장소에 계좌 및 지갑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의 개인 ID와 발행된 계좌를 통해 실물 상품 및 디지털 상품을 플랫폼(100)에 등록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는 상기 플랫폼에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상품등록이 가능하다. 여기서 등록한 상품이 실물 상품의 경우, QR 코드, 통신사 인증 태그, 실물권한에 대한 인증서, 보증서, 수령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인증정보 또는 발행정보로 실물 상품을 디지털화한다. 여기서 QR 코드, 통신사 인증 태그, 실물권한에 대한 인증서, 보증서, 수령서 등은 인증정보와 발행정보는 동시에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실물 상품은 의료품, 전자제품, 식재료, 장난감, 생필품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실물 거래가 가능한 상품을 포함하며, 디지털 상품은 미디어 콘텐츠, 정보 콘텐츠, 양방향 콘텐츠, 예능, 드라마, 다큐멘터리, 서적 또는 예술작품을 포함한다.
상기 플랫폼(100)에서 상기 등록된 상품은 자동으로 암호화되어 분산노드인 사용자 단말장치(400)에 저장되며, 상기 암호화된 상품은 영구정보와 이력정보를 각각 블록화하여 보유하고, 상기 영구정보는 사용자 및 생산자의 상품정보, 원산지정보, 생산자정보, 발행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발행정보는 사용자가 지정한 실물 권한과 디지털 권한으로 구성되며, 상기 이력정보에는 사용자가 조회하여 볼 수 있도록 거래정보와 상품의 상태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분산노드는 사용자의 단말장치(400)가 될 수도 있고,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100)이나 별도의 블록체인 분산서버(200)가 될 수도 있다. 상기 단말장치(400)는 거래에 용이한 분산노드와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디바이스이며, 상기 단말장치에 있는 분산노드는 사용자들 간의 거래를 위한 용도이며, 상품의 조회, 거래, 재생, 저장을 위한 디바이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 플랫폼이 작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먼저 자신의 개인 ID를 플랫폼에 등록한다. 사용자가 개인 ID를 등록하는 것은 자신의 생체정보를 이용하거나 ID카드를 활용할 수 있다. 플랫폼은 정당한 사용자라고 판단되면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는 킷값을 포함한 암호정보와 전자지갑과 같은 계좌정보에 대한 암호계좌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지갑과 관련하여 화폐는 비트코인, 이더리움과 같은 암호화폐와 원/달러와 같은 현금화폐를 포함하며, 상기 암호화폐와 현금화폐를 통해서 결제가 가능하다. 또한 암호계좌는 온라인(예: 암호화폐 거래소, 본 발명의 플랫폼, 블록체인 분산서버 포함) 또는 오프라인(USB를 포함한 오프라인 저장매체)을 포함하는 저장소에 계좌 및 지갑이 저장될 수 있다.
이렇게 권한을 부여받은 사용자는 이를 사용하여 자신의 단말장치에 상기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는 앱을 설치한 후, 상기 앱을 통해서 자신이 원하는 상품을 등록한다. 이때, 사용자의 단말장치(400)는 분산노드의 역할을 하며, 또한 사용자의 이력을 저장하고 있다. 이렇게 사용자의 단말장치(400)로 상품을 등록하면, 플랫폼에서는 실용상품과 디지털상품을 포함한 유통상품을 디지털화 한다.
상기 디지털화된 유통상품은 암호상품으로 영구정보와 이력정보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들은 블록으로 저장되어 있으며, 해쉬값을 포함한다.
상기 해시코드는 나중에 거래가 이루어지면 새로운 블록을 생성할 때 함께 포함되어 다시 새로운 해시코드로 암호화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품의 등록, 거래, 등의 이벤트가 발생할 때 마다 혹은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여 업데이트함으로써, 연속적인 블록체인을 형성하게 된다.
해시코드를 모르는 상태에서 이러한 블록체인의 고리를 끊고 새로운 이벤트를 발생하려면, 블록의 갱신 주기 이내에 해당 해시코드의 역 해시코드를 구해내야 하는데, 이는 매우 많은 계산량이 필요하고, 사실상 계산이 불가능한 정도이다.
한편, 이러한 해시코드를 가진 블록을 네트워크상의 블록체인서버에 분산하여 저장하고 있으므로, 복수의 분산 저장된 블록을 모두 해킹하여 암호를 해독하는 것은 아예 불가능할 수 있어,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은 안전한 거래를 도모하여 거래를 활성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플랫폼을 통해서 유통가능한 상품은 의료품, 전자제품, 음원과 같은 1) 실물 상품과 실시간방송, 클립영상, 음원을 미디어 콘텐츠, e-러닝, e-북, e-뉴스를 포함한 정보콘텐츠, 게임, VR 등을 포함하는 양방향 콘텐츠를 포함하는 2) 디지털상품으로 나누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분산노드를 통해서 상품등록을 하면 플랫폼(100)에서 상기 상품을 디지털화하고 블록체인 암호화하여 복수의 분산노드에 저장하는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장치(400)를 이용하여 상품등록을 하면,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 플랫폼(간략하게 플랫폼이라고도 함)(100)에서 블록체인 암호화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각 단말장치(400)와 플랫폼(100)에 분산 저장한다. 여기서 실물 상품이 등록되면, 플랫폼에서 디지털화하여 저장 관리한다.
상기 분산노드는 플랫폼(100), 사용자 단말장치(400) 및 블록체인 분산서버(200)가 그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분산노드로서 플랫폼(100)은 블록체인 암호화를 수행하는데, 각 사용자의 개인 ID, 암호키 및 전자지갑의 정보는 블록으로 생성한 다음 주기적으로 갱신하여 분산 저장하며, 또한 상기 플랫폼(100)에서 상기 등록된 상품은 자동으로 암호화되어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장치(400)에 저장되며, 상기 암호화된 상품은 해당 상품의 영구정보와 이력정보를 각각 블록화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장치(40)), 플랫폼(100), 및 블록체인 분산서버(200)에 각각 저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블록은 해시코드로 암호화되고, 이어서 거래를 포함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전에 생성된 해시코드를 참조하고 이를 포함한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고 다시 해시코드로 암호화하며, 상기 해시코드는 이어지는 이벤트에서 참조되며, 이를 포함한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고 다시 해시코드로 암호화한다. 이렇게 생성되고 업데이트되는 블록이 해시코드를 통해서 체인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주기적으로 계속하여 반복하면서 블록을 업데이트해 나가되, 해킹이 불가능할 정도로 반복주기에 대한 시간을 설정하면 강건한 암호화가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 플랫폼 혹은 블록체인 분산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체인 플랫폼(100)은 블록체인 분산서버(200)에 구현되어 있을 수 있으며, 각각 분산노드가 되고,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400)도 또한 분산노드이다. 결국, 상기 플랫폼(100), 분산서버(20)) 및 단말장치(400)는 각각 분산노드이다. 상기 분산노드의 역할을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가 가능하도록 P2P 통신 인터페이스와 블록체인의 블록을 분산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네트워크를 통해서 블록을 생성하여 전송하거나, 전송되어온 블록을 저장하거나, 생성 혹은 저장된 블록을 조회하는 기능을 구비하여, 상기 플랫폼(100), 분산서버(200) 및 단말장치(400)에 따라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면 된다.
상기 플랫폼(100)은 사용자인증부(110), 상품등록부(120), 블록생성부(130), 상품조회부(140), 웹서비스부(150) 및 상품거래부(160)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인증부(110), 상품등록부(120), 블록생성부(130), 상품조회부(140), 상품거래부(160) 등은 플랫폼이 분산노드의 역할을 하는데 필요한 기능들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사용자인증부(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하는 플랫폼(100)에서 사용자의 개인 ID에 따른 개인키와 공개키를 발행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계좌를 포함한 전자지갑을 발행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생성한 개인 ID에 대해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입력하여 개인키를 생성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개인키와 쌍을 이루는 공개키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개인키와 공개키는 단말장치에서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상기 인증은 사용자 단위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단말장치의 디바이스 차원에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의 단말장치에서 상품을 등록하면, 상기 플랫폼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공개키를 요청하고 이를 제공받는다. 동시에 플랫폼은 등록된 상품정보에 대한 해시코드를 생성하고, 해시코드를 상기 사용자의 공개키로 암호화하여 상품정보와 함께 사용자 단말장치(400)로 전송한다. 상기 단말장치(400)는 자신이 제공한 공개키와 쌍이 되는 개인키로 해시코드를 복호화하고, 상품정보에서 생성한 해시코드와 비교하여 제품정보가 변경되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이로써, 단말장치는 등록상품의 상품정보를 안전하게 등록한다.
상기 전자지갑에 대한 저장 매체는 온라인, 오프라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에게 ID와 계좌를 포함한 전자지갑을 발행하는 것은 블록체인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진다.
즉, 상기 사용자의 개인 ID, 계좌를 포함한 전자지갑에 대한 정보, 상품정보와 거래정보는 블록으로 생성되어 해시코드로 암호화하여, 다른 분산서버(200)와 플랫폼(100)에 분산 저장된다.
상기 상품등록부(120)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 ID와 발행된 계좌를 통해 실물 상품 및 디지털 상품을 플랫폼에 등록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사용자는 상기 플랫폼에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상품등록이 가능하다.
상기 상품을 등록하는 과정에서 실물 상품의 경우, 먼저 QR 코드, 통신사 인증 태그, 실물권한에 대한 인증서, 보증서, 수령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인증정보나 발행정보로 실물 상품을 디지털화한다. 디지털화된 상품은 다시 해당 상품의 상품정보, 사용자정보, 거래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으로 생성되고, 이는 다시 복수의 분산노드들 간에 체인을 형성하여 저장된다. 여기서 실물 상품은 의료품, 전자제품, 식재료, 장난감, 생필품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실물 거래가 가능한 상품을 포함하며, 디지털 상품은 미디어 콘텐츠, 정보 콘텐츠, 양방향 콘텐츠, 예능, 드라마, 다큐멘터리, 서적 또는 예술작품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플랫폼에서 상기 등록된 상품은 자동으로 암호화되어 사용자 단말장치에 저장되는데, 상기 암호화된 상품은 영구정보와 이력정보를 각각 블록화하여 보유하며, 상기 영구정보는 사용자 및 생산자의 상품정보, 원산지정보, 생산자정보, 발행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발행정보는 사용자가 지정한 실물 권한과 디지털 권한으로 구성되며, 상기 이력정보는 사용자가 조회하여 볼 수 있도록 거래정보와 상품의 상태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상기 실물권한은 실물 상품을 인증, 보증, 수령하기 위한 것이고, 디지털권한은 권한 공유와 한정소유로 구분된다. 권한 공유는 시간, 횟수, 기간, 단말을 포함하며, 실물권한과 상품권한은 한정소유가 가능하다.
상기 블록생성부(130)는 사용자의 개인 ID, 암호키값, 계좌정보, 상품정보, 이력정보를 포함한 각각의 정보에 대한 조합을 블록으로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생성된 블록은 이전 단계에서 생성한 해시코드를 포함하는데, 최초로 생성된 블록은 이전 블록이 존재하지 아니하므로 이전 단계의 해시코드를 포함할 수 없다. 이 후로는 각 블록은 이전 단계의 해시코드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상품조회부(140)는 사용자가 자신이 등록한 상품이나 구매할 상품을 검색할 수 있도록, 상기 플랫폼에 등록된 상품의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상품의 명칭이나 메이커, 상품류 등을 입력하여 검색하면,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등록된 상품을 불러와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해 준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분산 노드일 수도 있지만, 플랫폼에 등록된 모든 상품을 단말장치에 보유하고 있지 않으므로, 플랫폼의 특정 서버와 데이터베이스에 통합적으로 저장된 상품을 로딩하여 그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웹서비스부(150)는 사용자 단말장치가 플랫폼에 접속하여 상품을 등록하거나 구매하거나, 조회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웹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사용자 단말장치는 블록체인 플랫폼을 위한 앱을 가동하여 플랫폼에 접속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에서 단말에서 가동하는 앱을 제공하는 것과 동시에 사용자 단말장치가 플랫폼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해 준다. 이를 위해 필요한 기능이 웹서비스이다.
상기 상품거래부(160)는 사용자 단말에서 등록한 상품을 특정 다른 사용자와 거래할 때, 해당 거래를 위해서 필요한 서류를 만들고 대금의 지급조건과 상품의 양도조건, 물류를 통한 배달의 확인 등 계약사항을 준비한다. 여기서 생성된 계약조건에 따라 거래 원장이 만들어지며, 이를 블록생성부(130)로 제공하여, 상기 원장에 대한 블록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300)에는 상품정보, 블록정보, 인증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상품정보는 영구정보와 이력정보를 각각 블록화하여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영구정보는 사용자 및 생산자의 상품정보, 원산지정보, 생산자정보, 발행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발행정보는 사용자가 지정한 실물 권한과 디지털 권한으로 구성되며, 상기 이력정보는 사용자가 조회하여 볼 수 있도록 거래정보와 상품의 상태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인증정보에 대해서는 사용자의 개인 ID, 암호키값, 계좌정보를 포함하며, 이들 정보를 블록화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플랫폼은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정보는 물론이고 유통할 상품에 대해서도 거래가 이루어질 때 마다 블록체인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정보에 대한 블록은 사용자의 인증을 위한 것이며, 상품정보에 대한 블록은 상품의 유통과정을 기록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를 위한 사용자 단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장치(400)는 사용자의 개인 ID에 따른 개인키와 공개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공개키를 블록체인 플랫폼(100)에 제공하는 사용자정보생성부(410) 및 상기 생성한 개인키, 상기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전달된 전자지갑을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부(4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400)는 디지털 상품을 재생하는 미디어재생부(430)와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플랫폼의 웹서비스에 접속하여 웹액세스를 지원하는 웹액세스부(440)를 포함한다.
상기 미디어재생부(430)는 디지털 상품인 미디어 콘텐츠, 정보 콘텐츠, 양방향 콘텐츠, 예능, 드라마, 다큐멘터리, 서적 또는 예술작품 등을 출력하여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사용자정보생성부(410)는 사용자의 개인 ID에 따른 개인키와 공개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공개키를 블록체인 플랫폼에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사용자 ID에 따른 개인키와 공개키는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기반을 두거나 정부나 공인기관에서 발행하는 ID카드가 될 수 있다.
상기 정보저장부(420)는 사용자정보, 사용자 이력정보, 상품정보, 블록정보 등을 포함하며, 이 정보는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된다.
상기 미디어재생부(430)는 디지털 상품을 재생하는 것을 지원하는 것으로, 디지털 상품의 포맷에 따른 재생을 지원하여야 하므로, 2D, 3D, AR, VR, 홀로그램 등을 포함한 재생을 지원한다.
상기 웹액세스부(440)는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웹서비스와 접속하여 단말장치에서 웹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웹액세스를 지원한다. 웹액세스를 통해서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증, 상품등록, 상품조회, 상품거래에 대한 기능을 마치 로컬에서 제공되는 것처럼 할 수 있다.
상기 단말장치(400)는 거래에 용이한 분산 노드와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디바이스이며, 상기 단말장치에 있는 분산 노드는 사용자들 간의 거래를 위한 용도이며, 상품의 조회, 거래, 재생, 저장을 위한 디바이스이다,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400)는 블록체인에 따른 상품의 등록, 거래에 관한 작업을 다른 단말장치(400) 및 블록체인 분산서버(200)와 자동으로 연동하여 수행한다.
사용자 단말장치(400)는 분산노드 및 사용자 관련 기능을 수행한다. 분산노드는 등록블록과 거래블록으로 나누어지는데, 여기서 등록블록은 사용자노드와 상품노드를 포함하며, 거래블록은 내용보관노드, 순서검증노드, 트랜잭션 생성노드, 내용검사노드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기에서 사용자 정보는 조회, 거래, 재생, 저장될 수 있으며, 저장 시에는 실물권한과 디지털권한으로 나누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 플랫폼에서 사용자 간에 상품을 거래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는 자신의 개인 ID를 플랫폼에 등록하고(S110), 자신이 소유한 상품을 플랫폼에 등록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자신의 ID 카드(신용카드, 신분증 등)로 해당 ID를 부여받으며, 금융인증을 획득한다(S120). 플랫폼에서는 사용자가 등록한 ID 및 상품을 자동으로 블록으로 만들어 암호화한다(S130). 사용자 간의 거래가 이루어질 경우, 사용자는 상품내역을 열람요청하고 거래에 응한다(S140). 거래가 성사되면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고 각 노드에 업데이트한다(S150). 이 과정에서 새로운 블록은 이전에 자동암호화에 사용한 해시코드를 포함하여 블록을 형성함으로써, 블록간의 체인을 형성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판매자로 등록하고 자신이 판매할 상품을 등록하면, 판매자에 대한 기본정보, 판매할 상품 종류 및 판매자가 할인정보, 상품에 대한 특징 등을 포함한 부가정보를 플랫폼에 등록하게 된다. 또한 상품을 등록하고 거래를 하면, 해당 상품에 대한 등록정보는 상품의 기본정보 이외에 상품의 거래 내역도 더 포함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 플랫폼에서 사용자가 상품과 판매자를 조회한 다음 상품을 구매하는 과정을 절차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구매자는 블록체인을 통해서 상품과 판매자의 정보를 열람한다(스탭 1). 물론 이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판매자와 협상을 하고 대금을 지불하여 거래를 하면(스탭 2), 플랫폼은 해당 거래 내역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블록을 생성한다(스탭 3). 상기 생성된 블록은 분산 노드에 전송되는데, 상기 블록은 이전 블록의 해시코드를 포함하고 있어 블록체인이 형성되며, 각 분산 노드는 해당 블록을 저장하며, 해당 상품이 정품이라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스탭 4).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 플랫폼은, 음원, 영상, 저작물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상품(콘텐츠)과 의약품에서 골동품에 이르는 다양한 종류의 실물 상품에 대한 유통 상태와 유통이력관리를 통해서 진품과 가품을 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상품을 플랫폼에 등록하고 블록체인을 통해 등록한 상품을 유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플랫폼을 통해서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 플랫폼
200 : 분산 서버 300 : 데이터베이스(분산서버/플랫폼 측)
400 : 사용자 단말장치 500 : 데이터베이스(단말장치 측)

Claims (12)

  1. 사용자의 개인 ID에 따른 개인키와 공개키를 발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게 계좌를 포함한 전자지갑을 발행하는 단계;
    상기 공개키와 전자지갑을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인증하는 인증 단계;및
    상기 발행한 공개키와 전자지감을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지갑에 대한 저장 매체는 온라인, 오프라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개인 ID에 대한 공개키와 상기 전자지갑은 블록체인에 의해서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개인 ID와 발행된 전자지갑을 통해 실물 상품 및 디지털 상품을 플랫폼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는 상기 플랫폼에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상품등록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하는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품이 실물 상품의 경우, QR 코드, 통신사 인증 태그, 실물권한에 대한 인증서, 보증서, 수령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인증정보 또는 발행정보로 실물 상품을 디지털화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하는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실물 상품은 의료품, 전자제품, 식재료, 장난감, 생필품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실물 거래가 가능한 상품을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상품은 미디어 콘텐츠, 정보 콘텐츠, 양방향 콘텐츠, 예능, 드라마, 다큐멘터리, 서적 또는 예술작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하는 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상품은 자동으로 암호화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저장되며, 상기 암호화된 상품은 영구정보와 이력정보를 각각 블록화하여 보유하며, 상기 영구정보는 사용자 및 생산자의 상품정보, 원산지정보, 생산자정보, 발행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발행정보는 사용자가 지정한 실물 권한과 디지털 권한으로 구성되며, 상기 이력정보는 사용자가 조회하여 볼 수 있도록 거래정보와 상품의 상태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하는 방법.
  6. 사용자 단말장치로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을 조회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개인 ID에 따른 개인키와 공개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한 공개키를 블록체인 플랫폼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한 개인키, 상기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전달된 전자지갑을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장치는 거래에 용이한 분산 노드와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디바이스이며, 상기 단말장치에 있는 분산 노드는 사용자들 간의 거래를 위한 용도이며, 상품의 조회, 거래, 재생, 저장을 위한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장치로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하는 방법.
  7. 사용자의 개인 ID에 따른 개인키와 공개키를 발행하고, 상기 사용자의 전자지갑을 발행하여 상기 공개키와 전자지갑을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인증하는 사용자인증부; 및
    상기 발행한 공개키에 대한 암호정보 및 상기 전자지갑에 암호계좌를 생성하는 블록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지갑에 대한 저장 매체는 온라인, 오프라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개인 ID에 대한 공개키와 상기 전자지갑은 블록체인에 의해서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하는 플랫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개인 ID와 발행된 전자지갑을 통해 실물 상품 및 디지털 상품을 플랫폼에 등록하는 상품등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는 상기 플랫폼에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상품등록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하는 플랫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상품이 실물 상품의 경우, QR 코드, 통신사 인증 태그, 실물권한에 대한 인증서, 보증서, 수령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인증정보 또는 발행정보로 실물 상품을 디지털화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하는 플랫폼.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실물 상품은 의료품, 전자제품, 식재료, 장난감, 생필품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실물 거래가 가능한 상품을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상품은 미디어 콘텐츠, 정보 콘텐츠, 양방향 콘텐츠, 예능, 드라마, 다큐멘터리, 서적 또는 예술작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하는 플랫폼.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상품은 자동으로 암호화되어 사용자 단말장치에 저장되며, 상기 암호화된 상품은 영구정보와 이력정보를 각각 블록화하여 보유하며, 상기 영구정보는 사용자 및 생산자의 상품정보, 원산지정보, 생산자정보, 발행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발행정보는 사용자가 지정한 실물 권한과 디지털 권한으로 구성되며, 상기 이력정보는 사용자가 조회하여 볼 수 있도록 거래정보와 상품의 상태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하는 플랫폼.
  12.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을 조회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개인 ID에 따른 개인키와 공개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공개키를 블록체인 플랫폼에 제공하는 사용자정보생성부; 및
    상기 생성한 개인키, 상기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전달된 전자지갑을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장치는 거래에 용이한 분산 노드와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디바이스이며, 상기 단말장치에 있는 분산 노드는 사용자들 간의 거래를 위한 용도이며, 상품의 조회, 거래, 재생, 저장을 위한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장치.
KR1020180020983A 2018-02-22 2018-02-22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 플랫폼 KR102039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983A KR102039351B1 (ko) 2018-02-22 2018-02-22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 플랫폼
PCT/KR2019/001718 WO2019164170A1 (ko) 2018-02-22 2019-02-13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 플랫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983A KR102039351B1 (ko) 2018-02-22 2018-02-22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 플랫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061A true KR20190101061A (ko) 2019-08-30
KR102039351B1 KR102039351B1 (ko) 2019-11-01

Family

ID=67686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0983A KR102039351B1 (ko) 2018-02-22 2018-02-22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 플랫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39351B1 (ko)
WO (1) WO2019164170A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002B1 (ko) 2019-11-13 2020-01-22 주식회사 유니허브랩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위변조를 방지하는 이력관리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166621B1 (ko) * 2019-09-10 2020-10-16 (주)헤리티지케이 예술품 인증 방법 및 예술품 인증 시스템
KR102248840B1 (ko) * 2019-12-23 2021-05-06 주식회사 에코맘의산골이유식 농업회사법인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
KR102248832B1 (ko) * 2019-12-23 2021-05-06 주식회사 에코맘의산골이유식 농업회사법인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구매방법
KR20210079910A (ko) * 2019-12-20 2021-06-30 유동수 금 코드화를 이용한 금 거래 운용 시스템 및 방법
KR102432002B1 (ko) * 2021-08-31 2022-08-16 마이크로웍스코리아 주식회사 블록체인 및 빅데이터를 이용한 반도체 진품여부 판별 시스템
KR20220134341A (ko) * 2021-03-26 2022-10-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분산 id를 활용한 소유권 증명 및 이전 내역 증명 방법
KR102505140B1 (ko) * 2022-07-20 2023-03-02 (주)이끌라 이력 관리 보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WO2023128239A1 (ko) * 2021-12-30 2023-07-06 주식회사 우경정보기술 블록체인 기반 이력관리 시스템
WO2024072168A1 (ko) * 2022-09-27 2024-04-04 천국의설계도 유한회사 블록체인을 이용한 숙소 공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98470B (zh) * 2019-09-17 2023-12-1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商品信息存储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JP6955128B2 (ja) * 2019-11-08 2021-10-27 株式会社ワコム アートワークの取引方法及び取引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CN110956551B (zh) * 2019-11-20 2024-04-0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收益分发方法及相关设备
KR102363044B1 (ko) * 2019-12-02 2022-02-15 정동희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108549B1 (ko) 2019-12-06 2020-05-07 최원일 타일 및 위생 도기의 유통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217121B1 (ko) 2020-01-29 2021-02-18 서성원 특별 주류세 증명(PoSLT, Proof-of-Special-Liquor-Tax)을 합의 알고리즘으로 가지는 맥주 유통 블록체인 시스템 및 시스템
KR102469556B1 (ko) 2020-02-12 2022-12-06 엄명용 Nfc를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의 관리대상 오브젝트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1881482B (zh) * 2020-08-05 2023-03-28 黄灿楠 基于区块链技术的用户身份隐私加密方法
CN112085503A (zh) * 2020-09-15 2020-12-15 北京书礼行知文化传媒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电商分销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633813B (zh) * 2020-12-31 2023-12-01 浙江万里学院 基于区块链技术的贵重商品配送管理方法
KR20220141642A (ko) 2021-04-13 2022-10-2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블록체인 기반 농산품 생산 및 유통 관리 방법, 및 블록체인 기반 농산품 생산 및 유통 관리 시스템
CN114119038A (zh) * 2021-08-23 2022-03-01 广州方舟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技术的药品溯源方法、装置以及设备
KR102381499B1 (ko) * 2021-11-12 2022-04-01 주식회사 블록오디세이 프라이빗 블록체인 및 퍼블릭 블록체인을 이용한 상품 정보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20230102986A (ko) 2021-12-30 2023-07-07 주식회사우경정보기술 블록체인 기반 1차상품 이력관리 시스템
KR102390660B1 (ko) 2022-01-04 2022-04-26 정세인 블록체인을 활용한 qr 코드 방식의 온라인 쇼핑몰 거래 플랫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9347A (ko) * 2003-12-13 2005-06-20 주식회사 드림인테크 디지털 만화 콘텐츠 보호 및 유통을 위한 피투피통합구현방법
KR101628007B1 (ko) * 2015-04-07 2016-06-13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
KR101661930B1 (ko) * 2015-08-03 2016-10-05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공인인증서 발급시스템
KR101680542B1 (ko) * 2015-09-09 2016-12-13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일회용 상품의 정품확인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2856B1 (ko) * 2017-05-02 2018-05-31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진품 관리를 위하여 제품의 사용 관련 데이터를 기록하고 검증하는 방법 및 서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9347A (ko) * 2003-12-13 2005-06-20 주식회사 드림인테크 디지털 만화 콘텐츠 보호 및 유통을 위한 피투피통합구현방법
KR101628007B1 (ko) * 2015-04-07 2016-06-13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
KR101661930B1 (ko) * 2015-08-03 2016-10-05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공인인증서 발급시스템
KR101680542B1 (ko) * 2015-09-09 2016-12-13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일회용 상품의 정품확인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621B1 (ko) * 2019-09-10 2020-10-16 (주)헤리티지케이 예술품 인증 방법 및 예술품 인증 시스템
KR102069002B1 (ko) 2019-11-13 2020-01-22 주식회사 유니허브랩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위변조를 방지하는 이력관리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10079910A (ko) * 2019-12-20 2021-06-30 유동수 금 코드화를 이용한 금 거래 운용 시스템 및 방법
KR102248840B1 (ko) * 2019-12-23 2021-05-06 주식회사 에코맘의산골이유식 농업회사법인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
KR102248832B1 (ko) * 2019-12-23 2021-05-06 주식회사 에코맘의산골이유식 농업회사법인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구매방법
KR20220134341A (ko) * 2021-03-26 2022-10-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분산 id를 활용한 소유권 증명 및 이전 내역 증명 방법
KR102432002B1 (ko) * 2021-08-31 2022-08-16 마이크로웍스코리아 주식회사 블록체인 및 빅데이터를 이용한 반도체 진품여부 판별 시스템
WO2023128239A1 (ko) * 2021-12-30 2023-07-06 주식회사 우경정보기술 블록체인 기반 이력관리 시스템
KR102505140B1 (ko) * 2022-07-20 2023-03-02 (주)이끌라 이력 관리 보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WO2024072168A1 (ko) * 2022-09-27 2024-04-04 천국의설계도 유한회사 블록체인을 이용한 숙소 공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9351B1 (ko) 2019-11-01
WO2019164170A1 (ko) 2019-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9351B1 (ko)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 플랫폼
KR102388233B1 (ko)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음원 플랫폼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
US8229859B2 (en) Bit currency: transactional trust tools
US20200043001A1 (en) Pet Food Traceability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633976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fining private currencies
US6119229A (en) Virtual property system
US20160125403A1 (en) Offline virtual currency transaction
US20160140653A1 (en) Virtual currency bank
CN107145768A (zh) 版权管理方法和系统
CN108292330A (zh) 安全令牌分发
TW201732700A (zh) 以令牌化來進行以區塊鏈為基礎的匯兌
CN114155095B (zh) 一种数字艺术品认证和交易系统及认证和交易方法
CN105378774A (zh) 安全交易系统和方法
KR20070051338A (ko) 전자 상거래를 위한 현금 및 현금 등가물을 제공하는 방법
CN101427268A (zh) 使用移动模块对商业交易的认证
KR20140137098A (ko) 데이터로 관리되는 무형화폐인 비트머니의 생성 방법과 제공서비스 시스템
JP2014504110A (ja) 製造された物品にマーク付け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951408B1 (ko) 보안성을 강화한 가상화폐 관리 시스템
US11948132B2 (en) Cryptographically secure booster packs in a blockchain
CN104182866A (zh) 适合于转手贸易等情况的产品或物品的防伪的系统及方法
US20230071913A1 (en) Service providing method performed by server of music platform using blockchain-based nft
KR102500458B1 (ko)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nft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자산 마켓 서비스 제공방법
KR102635489B1 (ko) 블록체인 기반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6308903A (zh) 一种基于区块链的数字资产确权保护方法
CN116186783B (zh) 一种基于区块链ntf的票务可信交易系统和可信交易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