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6621B1 - 예술품 인증 방법 및 예술품 인증 시스템 - Google Patents

예술품 인증 방법 및 예술품 인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6621B1
KR102166621B1 KR1020190111940A KR20190111940A KR102166621B1 KR 102166621 B1 KR102166621 B1 KR 102166621B1 KR 1020190111940 A KR1020190111940 A KR 1020190111940A KR 20190111940 A KR20190111940 A KR 20190111940A KR 102166621 B1 KR102166621 B1 KR 102166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code
information
code
authentication
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호열
Original Assignee
(주)헤리티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헤리티지케이 filed Critical (주)헤리티지케이
Priority to KR1020190111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6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8File system types
    • G06F16/182Distributed file systems
    • G06F16/1834Distributed file systems implemented based on peer-to-peer networks, e.g. gnutell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술품 인증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예술품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QR 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얻어진 하나 이상의 QR 코드 스캔 정보를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증 서버 또는 증강현실 서버가, 상기 하나 이상의 QR 코드 스캔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QR 코드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증강현실 서버가, 상기 QR 코드 상에 바코드를 증강현실로서 제공하는 단계;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바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얻어진 바코드 스캔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바코드 스캔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바코드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예술품 인증 방법 및 예술품 인증 시스템{ART CERTIFICATION METHOD AND ART CERT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예술품 인증 방법 및 예술품 인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술품의 인증을 위한 기술이 많이 개발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며, 특히 전통 예술품에 대해서는 전문가들의 주관적인 판단으로 인증이 이루어지고 있어 인증의 객관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등록특허 제10-1812638호는, 모듈 생성 시 발급된 인증서 개인키 및 고유 ID를 저장하고, 제품 구매 시 정품 인증 서비스 서버로부터 발급된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보안 장치(Secure Element); 상기 고유 ID 또는 상기 인증 정보를 상기 인증서 개인키로 암호화하는 암호화부; 및 결제 단말과 접속 시 암호화된 고유 ID를 포함한 식별 정보를 생성하여 결제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정품 인증 서비스 서버로부터 고유 ID 인증 완료 시 상기 결제 단말을 통해 입력된 판매 정보 및 제품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암호화부를 통해 상기 판매 정보 및 상기 제품 정보를 포함한 상기 인증 정보를 상기 인증서 개인키로 암호화하도록 하고, 상기 보안 장치는 상기 인증서 개인키로 암호화된 상기 인증 정보 및 상기 인증서 개인키로 암호화된 상기 고유 ID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품 인증 모듈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특허는 보안 장치를 이용하고 있으나, 이는 제품, 즉 예술품과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표식의 가변성이 높아 원작에 대한 위조의 염려를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없다.
등록특허 제10-1812638호
본 발명은 미술품과 일체화된 인증코드를 통해 진품에 대한 논란을 해결 가능한 예술품 인증 방법 및 예술품 인증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술품 인증 시스템은, 예술품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QR 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얻어진 하나 이상의 QR 코드 스캔 정보를 전송하며, 하나 이상의 바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얻어진 하나 이상의 바코드 스캔 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하나 이상의 QR 코드 상에 하나 이상의 바코드를 증강현실로서 제공하는 증강현실 서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QR 코드 스캔 정보와, 미리 설정된 QR 코드 정보와의 일치 여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바코드 스캔 정보와, 미리 설정된 바코드 정보와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예술품 인증 시스템은, 상기 인증 서버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바코드 스캔 정보가 상기 미리 설정된 바코드 정보와 일치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입력되어 전송된 예술품 정보를 내부에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술품 인증 시스템은, 상기 예술품 정보를 블록체인 상에 저장하는 블록체인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강현실 서버는, 상기 인증 서버에서, 상기 QR 코드 스캔 정보의 적어도 일부와, 미리 설정된 QR 코드 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바코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QR 코드는 블랙 라이트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QR 코드가 예술품의 어느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지에 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술품 인증 시스템은, 예술품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QR 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얻어진 하나 이상의 QR 코드 스캔 정보를 전송하고, 예술품을 촬영함으로써 얻어진 예술품의 이미지를 전송하며, 바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얻어진 바코드 스캔 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예술품 상에 상기 바코드를 증강현실로서 제공하는 증강현실 서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QR 코드 스캔 정보와 미리 설정된 QR 코드 정보와의 일치 여부 및, 상기 바코드 스캔 정보와 미리 설정된 바코드 정보와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증강현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복수의 예술품의 부분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한 복수의 예술품의 부분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가 미리 설정된 이미지가 동일하면, 상기 복수의 예술품의 부분 이미지에 해당하는 예술품의 부분에 복수의 바코드를 증강현실로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술품 인증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예술품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QR 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얻어진 하나 이상의 QR 코드 스캔 정보를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하나 이상의 QR 코드 스캔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내부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QR 코드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증강현실 서버가, 상기 QR 코드 상에 바코드를 증강현실로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바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얻어진 바코드 스캔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바코드 스캔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바코드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예술품 인증 방법은,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인증 서버에서 상기 바코드 스캔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미리 설정된 바코드 정보와 일치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예술품 정보를 내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술품 인증 방법은, 블록체인 서버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예술품 정보를 블록체인 상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QR 코드는 블랙 라이트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술품 인증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예술품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QR 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얻어진 하나 이상의 QR 코드 스캔 정보를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하나 이상의 QR 코드 스캔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QR 코드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인증 서버 또는 증강현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신한 예술품의 이미지가 미리 설정된 이미지와 동일한지 판단하고, 동일한 경우 상기 예술품 상에 바코드를 증강현실로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바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얻어진 바코드 스캔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바코드 스캔 정보가, 미리 설정된 바코드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바코드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증강현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복수의 예술품의 부분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한 복수의 예술품의 부분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가 미리 설정된 이미지가 동일하면, 상기 복수의 예술품의 부분 이미지 상에 복수의 바코드를 증강현실로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증강현실을 통해 결합된 QR 코드 및 바코드를 통해 예술품의 인증 절차를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예술품에 삽입된 QR 코드가 블랙라이트에 의해 식별되도록 함으로써, QR 코드의 위치를 아는 경우에만 인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예술품 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하기 때문에, 예술품 정보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술품 거래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예술품 등록 단계의 구체적인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예술품 인증 단계의 구체적인 순서도의 일 예이다.
도 4는 도 1의 예술품 인증 단계의 구체적인 순서도의 다른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술품 거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전송", "송신", "수신" 또는 "전달"된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전송, 송신, 수신 또는 전달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연결, 전송, 송신, 수신 또는 전달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술품 인증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술품 인증 방법은 예술품 등록 단계(S100), 예술품 인증 단계(S200) 및 예술품 정보 변경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술품 등록 단계(S100)는 작가가 예술품을 완성하고, 완성된 예술품을 정품으로서 등록하는 단계이다.
예술품 인증 단계(S2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술품의 인증 방법이 수행되는 단계이다.
예술품 정보 변경 단계(S300)는 예술품 인증 단계(S200)에서 예술품이 정품으로 인증된 경우 예술품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예술품이 판매되는 경우 소유주 정보가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예술품 등록 단계(S100)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예술품 등록 단계(S100)는, QR 코드 정보와 바코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110); QR 코드 정보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QR 코드를 예술품에 삽입하고, QR 코드가 삽입된 위치를 인증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S120); 예술품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및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S130); 및 고객 정품 인증번호를 생성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QR 코드 정보와 바코드 정보를 인증 서버에 저장한다(S110).
QR 코드 정보와 바코드 정보는 서로 대응하여 저장될 수 있다. QR 코드 정보와 바코드 정보가 일대일 대응하도록 저장될 수 있다. 서로 상이한 QR 코드에 상이한 바코드 정보가 대응할 수도 있고, 동일한 바코드 정보가 대응할 수도 있다.
QR 코드 정보와 바코드 정보가 "인증 서버에 저장"된다고 기재하였으나, 물리적으로 인증 서버 내의 저장 매체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인증 서버와 통신 가능한 별도의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인증 서버에 저장된 QR 코드 정보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QR 코드를 예술품에 삽입하고, QR 코드가 삽입된 위치를 인증 서버에 저장한다(S120).
예술품에는 정품 인증을 위해 QR 코드가 삽입된다. QR 코드는 예술품 자체 또는, 액자 등과 같은 예술품의 포장재에 삽입될 수 있으며, QR 코드 자체의 위조를 방지하기 위해 예술품 자체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그림의 경우에는 종이의 뒷면에 삽입될 수 있고, 바닥이 있는 3차원 조각의 경우에는 바닥에 삽입될 수 있으며, 호리병과 같은 형상을 갖는 조각의 경우에는 병 형상의 안쪽에 형성될 수 있다.
QR 코드는 예술품에 한 개 이상 삽입될 수 있다. 복수의 QR 코드가 삽입되는 경우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이한 QR 코드가 삽입될 수 있다.
QR 코드가 삽입된 위치는 인증 서버에 저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증 서버 내부의 저장 매체뿐만 아니라, 인증 서버와 물리적으로 구분되어 있더라도 인증 서버와 통신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QR 코드는 블랙라이트에 의해 식별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QR 코드가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기 때문에, QR 코드가 삽입된 위치를 저장해 놓을 필요가 있다. 또한, QR 코드가 블랙라이트에 의해 식별되는 경우에는 QR 코드는 그림의 앞면, 3차원 조각위 윗 부분, 호리병의 겉면 등과 같이 예술품의 어느 위치라도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예술품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및 블록체인에 저장한다(S130).
예술품 정보는, 소유주 정보, 예술품 이미지 정보, 작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술품 정보에는 소유주 정보가 필수적으로 포함된다. 추가적으로 작가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예술품이 만들어진 이후 양도되지 않았다면 작가 정보와 소유주 정보가 동일할 수 있다.
예술품 정보에는 예술품 이미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술품 이미지 정보는 그림의 경우 예술품의 정면 사진이 될 수 있고, 조각의 경우 정면, 후면, 양 측면, 상면, 하면을 각각 촬영한 사진이거나, 조각을 360도 스캔한 3D 이미지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예술품 정보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 추가적으로 예술품 정보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블록체인에도 저장될 수 있다.
S110 단계, S120 단계, S130 단계가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세 개의 단계의 순서는 무관하며, 어느 것이 먼저 실행될 수도 있고 동시에 실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고객 정품 인증번호를 생성한다(S140).
고객 정품 인증번호는 예술품에 대한 등록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카드의 형태로 고객에게 발급될 수 있다. 고객 정품 인증번호는 예술품에 대한 식별번호로 기능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예술품 판매 단계(S200)에서의 예술품 인증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술품 인증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예술품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QR 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얻어진 하나 이상의 QR 코드 스캔 정보를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210); 상기 인증 서버 또는 증강현실 서버가, 상기 하나 이상의 QR 코드 스캔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QR 코드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220), 상기 S220 단계에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증강현실 서버가, 상기 QR 코드 상에 바코드를 증강현실로서 제공하는 단계(S230);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바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얻어진 바코드 스캔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S240); 및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바코드 스캔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바코드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250)를 포함한다.
먼저, 사용자 단말이, 예술품에 삽입된 하나 이상의 QR 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얻어진 하나 이상의 QR 코드 스캔 정보를 인증 서버로 전송한다(S210).
예술품의 소유주는 예술품의 판매를 위해 중개업체에 예술품을 가져와 정품 인증을 의뢰할 수 있다. 이때, 중개업체는 인증 서버에서 고객 정품 인증번호를 조회하여, 해당 예술품의 QR 코드의 위치를 알 수 있다(S120을 참조). 이에 따라, QR 코드 스캐너를 이용하여 예술품의 QR 코드의 위치를 스캔함으로써 QR 코드 스캔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QR 코드 스캔 정보를 인증 서버로 전송한다.
QR 코드 스캐너는 범용으로 사용되는 것이거나, 본 발명에 따른 예술품 인증 시스템 내부에서만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내부에서만 사용되는 것일 경우에는, 스캔 전에 QR 코드 스캐너의 인증 절차가 수행되도록 하거나, QR 코드 스캔 정보를 인증 서버로 전송한 후 QR 코드 스캐너의 인증 절차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QR 코드 스캐너의 인증 방법으로서, IP 주소를 이용하거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받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QR 코드 스캐너와 사용자 단말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이 하나의 기기일 수도 있고, QR 코드 스캐너가 컴퓨터와 같은 사용자 단말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인증 서버 또는 증강현실 서버가, 상기 하나 이상의 QR 코드 스캔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QR 코드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S220).
인증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QR 코드 스캔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QR 코드 스캔 정보가 미리 설정된 QR 코드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QR 코드 정보는 전술한 S110 단계에서 저장된 QR 코드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인증 서버 대신에 증강현실 서버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때, QR 코드 스캔 정보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QR 코드 스캔 정보 전부가 내부에 저장된 QR 코드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거나, 또는 복수의 QR 코드 스캔 정보 중 일부만이 내부에 저장된 QR 코드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술품에 4개의 QR 코드가 삽입되어, 이를 스캔함으로써 4개의 QR 코드 스캔 정보가 획득된 경우, 이 중 3개의 QR 코드 스캔 정보가 내부에 저장된 QR 코드 정보와 일치하면 다음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증강현실 서버가, 상기 QR 코드 상에 바코드를 증강현실로서 제공한다(S230).
전술한 바와 같이, QR 코드 정보와 바코드 정보는 서로 대응하여 저장되어 있다(S110을 참조). 이에 따라, QR 코드 스캔 정보가 미리 설정된 QR 코드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QR 코드 정보에 해당하는 바코드를 증강현실로서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QR 코드 스캔 정보의 일부만이 미리 설정된 QR 코드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일치하지 않는 QR 코드 스캔 정보에 대해서는 임의의 바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바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얻어진 바코드 스캔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에 전송한다(S240).
사용자는, QR 코드 상에 증강현실로서 디스플레이된 바코드를 바코드 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캔한다. 이때, 바코드 스캐너에 대해, QR 코드 스캐너에서 이용된 것과 같은 인증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바코드 스캐너와 사용자 단말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이 하나의 기기일 수도 있고, 바코드 스캐너가 컴퓨터와 같은 사용자 단말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바코드 스캔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미리 설정된 바코드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40).
S220 단계에서와 유사하게, 바코드 스캔 정보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바코드 스캔 정보 전부가 내부에 저장된 바코드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거나, 또는 복수의 바코드 스캔 정보 중 일부만이 내부에 저장된 바코드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치 여부의 기준이 되는 바코드 스캔 정보의 개수는 S220 단계의 QR 코드 스캔 정보의 개수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인증 서버는 단순히 QR 코드 스캔 정보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QR 코드 스캔 정보와 바코드 스캔 정보 두 가지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기 때문에 인증의 신뢰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예술품 판매 단계(S200)에서의 예술품 인증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의 예술품 인증 방법은, 도 3과 유사하지만, S230 단계 대신에, 인증 서버 또는 증강현실 서버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신한 예술품의 이미지가 미리 설정된 이미지와 동일한지 판단하고, 동일한 경우 증강현실 서버가 상기 예술품 상에 바코드를 증강현실로서 제공하는 단계(S230')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예술품의 이미지를 미리 저장해 두고, 카메라를 통해 수신된 예술품의 이미지가 저장된 이미지와 동일한지 판단한다.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예술품의 이미지 상에 바코드를 증강현실로서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S230'단계에서 예술품의 부분 이미지를 복수 수신하고, 복수의 예술품의 부분 이미지와 미리 설정된 이미지가 동일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이미지는 예술품의 부분 이미지에 해당할 수 있다. 도 3에서 복수의 QR 코드 스캔 정보 또는 복수의 바코드 스캔 정보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S220, S240)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예술품의 부분 이미지 중 일부만 일치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예술품의 부분 이미지에 해당하는 예술품의 부분에 바코드를 증강현실로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예술품의 QR 코드 상에 바코드를 디스플레이한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예술품의 부분에 바코드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술품 인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술품 인증 시스템은, 예술품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QR 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얻어진 하나 이상의 QR 코드 스캔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QR 코드 상에 디스플레이된 하나 이상의 바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얻어진 하나 이상의 바코드 스캔 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100); 상기 하나 이상의 QR 코드 상에 상기 하나 이상의 바코드를 증강현실로서 제공하는 증강현실 서버(300); 및 상기 하나 이상의 QR 코드 스캔 정보와, 미리 설정된 QR 코드 정보와의 일치 여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바코드 스캔 정보와, 미리 설정된 바코드 정보와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 서버(200)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예술품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400) 및 블록체인 서버(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술품 정보의 신뢰성이 보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술품 인증 시스템은, 예술품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QR 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얻어진 하나 이상의 QR 코드 스캔 정보를 전송하고, 예술품을 촬영함으로써 얻어진 예술품의 이미지를 전송하며, 바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얻어진 바코드 스캔 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100); 상기 예술품 상에 상기 바코드를 증강현실로서 제공하는 증강현실 서버(300); 및 상기 하나 이상의 QR 코드 스캔 정보와, 미리 설정된 QR 코드 정보와의 일치 여부 및, 상기 바코드 스캔 정보와 미리 설정된 바코드 정보와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증강현실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복수의 예술품의 부분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한 복수의 예술품의 부분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가 미리 설정된 이미지가 동일하면, 상기 복수의 예술품의 부분 이미지 상에 복수의 바코드를 증강현실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응용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예술품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QR 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얻어진 하나 이상의 QR 코드 스캔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QR 코드 상에 디스플레이된 하나 이상의 바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얻어진 하나 이상의 바코드 스캔 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하나 이상의 QR 코드 상에 하나 이상의 바코드를 증강현실로서 제공하는 증강현실 서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QR 코드 스캔 정보와, 미리 설정된 QR 코드 정보와의 일치 여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바코드 스캔 정보와, 미리 설정된 바코드 정보와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 서버
    를 포함하는 예술품 인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서버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바코드 스캔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미리 설정된 바코드 정보와 일치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입력되어 전송된 예술품 정보를 내부에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술품 인증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예술품 정보를 블록체인 상에 저장하는 블록체인 서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술품 인증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서버는,
    상기 인증 서버에서, 상기 QR 코드 스캔 정보의 적어도 일부와, 미리 설정된 QR 코드 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바코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술품 인증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QR 코드는 블랙 라이트에 의해 식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술품 인증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QR 코드가 예술품의 어느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지에 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술품 인증 시스템.
  7. 예술품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QR 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얻어진 하나 이상의 QR 코드 스캔 정보를 전송하고, 예술품을 촬영함으로써 얻어진 예술품의 이미지를 전송하며, 바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얻어진 바코드 스캔 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예술품 상에 상기 바코드를 증강현실로서 제공하는 증강현실 서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QR 코드 스캔 정보와, 미리 설정된 QR 코드 정보와의 일치 여부 및, 상기 바코드 스캔 정보와 미리 설정된 바코드 정보와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 서버
    를 포함하는 예술품 인증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복수의 예술품의 부분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한 복수의 예술품의 부분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가 미리 설정된 이미지가 동일하면, 상기 복수의 예술품의 부분 이미지 상에 복수의 바코드를 증강현실로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술품 인증 시스템.
  9. 사용자 단말이, 예술품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QR 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얻어진 하나 이상의 QR 코드 스캔 정보를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하나 이상의 QR 코드 스캔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QR 코드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증강현실 서버가, 상기 QR 코드 상에 바코드를 증강현실로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바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얻어진 바코드 스캔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바코드 스캔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바코드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예술품 인증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인증 서버에서 상기 바코드 스캔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미리 설정된 바코드 정보와 일치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예술품 정보를 내부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술품 인증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블록체인 서버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예술품 정보를 블록체인 상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술품 인증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QR 코드는 블랙 라이트에 의해 식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술품 인증 방법.
  13. 사용자 단말이, 예술품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QR 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얻어진 하나 이상의 QR 코드 스캔 정보를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하나 이상의 QR 코드 스캔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QR 코드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신한 예술품의 이미지가 미리 설정된 이미지와 동일한지 판단하고, 증강현실 서버가, 동일한 경우 상기 예술품 상에 바코드를 증강현실로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바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얻어진 바코드 스캔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바코드 스캔 정보가, 미리 설정된 바코드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예술품 인증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증강현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복수의 예술품의 부분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한 복수의 예술품의 부분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가 미리 설정된 이미지가 동일하면, 상기 복수의 예술품의 부분 이미지 상에 복수의 바코드를 증강현실로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술품 인증 방법.
KR1020190111940A 2019-09-10 2019-09-10 예술품 인증 방법 및 예술품 인증 시스템 KR102166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940A KR102166621B1 (ko) 2019-09-10 2019-09-10 예술품 인증 방법 및 예술품 인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940A KR102166621B1 (ko) 2019-09-10 2019-09-10 예술품 인증 방법 및 예술품 인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6621B1 true KR102166621B1 (ko) 2020-10-16

Family

ID=73035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940A KR102166621B1 (ko) 2019-09-10 2019-09-10 예술품 인증 방법 및 예술품 인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6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7859B1 (ko) * 2022-12-29 2024-03-20 보이스아이 주식회사 물품정보가 인코딩된 컬러코드의 생성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178B1 (ko) * 2016-02-18 2017-05-25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을 이용한 다중 요소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101812638B1 (ko) 2016-09-05 2018-01-30 코나아이 (주) 보안 장치를 이용한 정품 인증 모듈, 서비스 서버, 시스템 및 방법
KR101997498B1 (ko) * 2019-03-19 2019-07-08 대원아트팩 주식회사 패키지 박스의 코드 인증을 이용한 위품 판정 장치
KR20190101061A (ko) * 2018-02-22 2019-08-30 (주)티비스톰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 플랫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178B1 (ko) * 2016-02-18 2017-05-25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을 이용한 다중 요소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101812638B1 (ko) 2016-09-05 2018-01-30 코나아이 (주) 보안 장치를 이용한 정품 인증 모듈, 서비스 서버,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01061A (ko) * 2018-02-22 2019-08-30 (주)티비스톰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 플랫폼
KR101997498B1 (ko) * 2019-03-19 2019-07-08 대원아트팩 주식회사 패키지 박스의 코드 인증을 이용한 위품 판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7859B1 (ko) * 2022-12-29 2024-03-20 보이스아이 주식회사 물품정보가 인코딩된 컬러코드의 생성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6091068B (zh) 利用去中心化标识符和非同质化代币提供实物资产原件认证服务的方法
US9646296B2 (en) Mobile-to-mobile transactions
US20190097808A1 (en) Security scheme for authenticating object origins
TWI651656B (zh) 多維條碼行動身分認證方法、數位證件裝置
US201600987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block-chain verification of goods
WO2016197934A1 (zh) 一种二维码安全认证方法
CN101317360A (zh) 使用puf的物理秘密共享和邻近的证明
JP7011669B2 (ja) 権限を管理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160914B1 (ko) 정품인증라벨을 이용하는 정품인증단말, 정품인증 시스템 및 방법
CN109191142B (zh) 一种商品追溯方法、设备及系统
KR20130143520A (ko) 정품인증라벨, 이를 이용하는 정품인증단말, 정품인증라벨 출력 장치, 정품인증 시스템 및 방법
US10102407B2 (en) Method for generating a unique package identifier based on physical properties of a package
JP7235258B2 (ja) 正規品認証コンテンツの生成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る統合認証システム
CN104899775A (zh) 一种产品的防伪方法及产品的防伪查验方法及一种防伪包装
JP6549692B2 (ja) 認証マークの送信
JP7176784B2 (ja) モバイルパスポート生成システム及びモバイルパスポート認証方法
TW201604804A (zh) 驗證行動端動態顯示之資料之系統及其方法
KR102166621B1 (ko) 예술품 인증 방법 및 예술품 인증 시스템
KR20180042788A (ko) 모바일 여권 및 이를 생성하기 위한 모바일 여권 생성시스템과 모바일 여권 인증 방법
TW201826177A (zh) 驗貨裝置及其驗貨方法
US20230147221A1 (en) Near-Field Communication Anti-Counterfeit System and Method
US20030051141A1 (en) Method and a system for generating and handling documents
JP4742846B2 (ja) 生体情報照合システム
KR20220125130A (ko) 2차원 코드를 활용하여 당사자 간의 전자 계약을 처리하는 전자 계약 처리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US20200117790A1 (en) Authentication system, request apparatus, response apparatus, request method, and respons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