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914B1 - 정품인증라벨을 이용하는 정품인증단말, 정품인증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정품인증라벨을 이용하는 정품인증단말, 정품인증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0914B1
KR101160914B1 KR1020110086316A KR20110086316A KR101160914B1 KR 101160914 B1 KR101160914 B1 KR 101160914B1 KR 1020110086316 A KR1020110086316 A KR 1020110086316A KR 20110086316 A KR20110086316 A KR 20110086316A KR 101160914 B1 KR101160914 B1 KR 101160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formation
check digit
unique information
ac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삼식
Original Assignee
박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삼식 filed Critical 박삼식
Priority to KR1020110086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914B1/ko
Priority to CN201180073996.3A priority patent/CN104040567B/zh
Priority to PCT/KR2011/009636 priority patent/WO201303207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 G06K19/1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at least one kind of marking being used for authentication, e.g. of credit or identity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9Buyer or seller confidence or verif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품인증라벨, 이를 이용하는 정품인증단말, 정품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정품인증 시스템은 제조자 고유정보(110)와, 제품 고유정보(120)와,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 및 제품 고유정보(120)가 암호화된 정보를 포함하는 패턴코드(140)와, 라벨의 인식범위 및 인식방향을 표시하는 인식포인트(150)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인증라벨(100)과; 정품 인증을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인증라벨(100)을 인식, 판독, 복호화하여 1차적으로 정품 인증한 후, 제품정보를 등록서버(300)에 전송하여 제품의 정품인증 정보의 기 등록 여부를 확인하여 2차적으로 정품 인증하고, 상기 제품에 대한 정품인증 정보의 등록을 요청하는 소비자단말(200)과; 상기 소비자단말(200)의 정품인증 정보의 등록요청에 따라 상기 정품인증 정보를 상기 제품데이터베이스(310)에 등록하는 등록서버(300)와; 상기 소비자단말(200) 및 등록서버(300)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는 통신망(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비자가 정품인증라벨 및 소비자단말을 이용하여 직접 정품 인증을 받고, 정품 인증 정보를 등록서버에 등록할 수 있어, 불법 복제품의 유통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정품인증라벨을 이용하는 정품인증단말, 정품인증 시스템 및 방법{CERTIFICATING QUALIFYING GOODS TERMINAL USING CERTIFICATING QUALIFYING GOODS LABEL, THE SYSTEM AND METHOD FOR CERTIFICATING QUALIFYING GOODS}
본 발명은 정품인증라벨, 이를 이용한 정품인증단말, 정품 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품 고유의 정품인증라벨과, 전용 어플리케이션으로 정품인증라벨을 판독하여 제품이 정품임을 인증하는 정품인증단말과, 정품인증라벨, 정품인증단말 등을 이용하여 제품이 정품인지 인증하고, 제품의 정품 인증 정보를 등록서버에 등록할 수 있는 정품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비자는 제품의 구매시에 해당 제품이 정품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싶어하며, 특히 유명 브랜드 상품이나 세계적 명품, 골동품, 수제품 등과 같은 고급, 고가의 제품을 구매하는 경우에는 정품 확인에 대한 욕구가 매우 높은 것이 사실이다.
또한, 제조자는 자신의 제품을 타인이 모방하여 유통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소비자가 회사와 제품에 대해 신뢰할 수 있도록, 제품이 정품임을 인증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
제품의 모조 방지를 위하여, 제조자는 특정한 식별수단(상표, 홀로그램, 전화 확인코드 등)을 상품에 표기하여 제공하고 있으나, 해당 상품의 외관은 물론 식별수단까지 모방한 위조상품이 유통되고 있기 때문에, 일반 소비자는 전문가의 도움 없이 제품 자체의 외관상으로 모조품과 정품을 구분해 내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마크, 로고 등에 의한 정품 확인방법은 아무리 정교하고 특수한 로고, 표시라 하더라도 모방 또는 도용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정품 제품이라고 할지라도 상표 및 로고가 유사한 제품이 존재하므로, 소비자가 원래 구매하고자 했던 제품이 아닌 유사 제품을 혼동하여 구매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즉, 소비자는 제품의 상표 및 로고와 제품 포장에 적힌 간단한 설명만을 보고 제품을 구별해야하므로, 구매하고자하는 정확한 상표를 쉽게 구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정품 확인 방법은, 제품의 고유 코드번호를 조회하고, 올바른 코드인지 단순 대조하여 정품임을 확인하는데 그쳐, 코드번호 및 바코드 등을 똑같이 복제한 복제품의 경우 정품 제품으로 조회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품에 고유하게 부착되어 제품이 정품임을 인증하는 정품인증라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 고유의 정품인증라벨을 해독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제품이 정품임을 인증하고, 제품의 정품 인증 정보를 등록서버에 등록하는 정품인증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품이 정품임을 인증하는 고유의 인증라벨을 제품일측에 부착하고, 인증라벨을 해독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소비자단말을 통해 제품이 정품임을 인증하고, 정품 인증 정보를 등록서버에 등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정품인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품에 부착된 고유의 인증라벨 및 인증라벨을 해독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소비자단말을 이용하여, 제품이 정품임을 인증하고 등록서버에 등록하는 정품인증 시스템을 이용한 정품인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인 정품 인증 시스템은, 제조자 고유정보와, 제품 고유정보와,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 및 제품 고유정보가 각각 미리 정해진 연산을 통해 체크디지트(check digit) 값으로 변환된 후 암호화되어 미리 설정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복호화가 가능한 암호화정보를 포함하는 패턴코드와, 라벨의 인식범위 및 인식방향을 표시하는 인식포인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품에 부착되는 인증라벨과;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인증라벨의 제조자 고유정보 및 제품 고유정보를 인식하여 체크디지트값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체크디지트값과 상기 패턴코드의 암호화정보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제조자 고유정보 및 제품 고유정보를 복호화하여 변환된 체크디지트값이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1차적으로 정품 인증한 후,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 및 제품 고유정보를 포함한 제품정보를 후술하는 등록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제품에 대한 정품인증 정보가 기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2차적으로 정품 인증하고, 기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품에 대한 정품인증 정보의 등록을 요청하는 소비자단말과; 상기 소비자단말로부터 전송된 제품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의 정품인증 정보가 제품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그 확인결과를 상기 소비자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정품인증 정보의 등록요청에 따라 상기 정품인증 정보를 상기 제품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등록서버와; 상기 소비자단말 및 등록서버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는 통신망을 포함하고, 상기 체크디지트값의 변환은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 및 제품 고유정보 중 숫자(A)를 순차적으로 나열하고 상기 나열된 숫자(A)의 각 자리에 상기 체크디지트값을 생성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임의의 숫자(B)를 상기 나열된 숫자(A)의 뒷자리부터 차례로 교번하여 대응시키고, 상기 나열된 숫자(A)의 각 자리와, 상기 나열된 숫자(A)의 각 자리에 대응되는 상기 설정된 임의의 숫자(B)를 자리별로 각각 곱하며, 상기 각 자리별로 곱한 숫자의 10의 자리와 1의 자리를 분리해서 모두 더한 결과에서 1의 자리의 숫자에 대한 10의 보수로 제1 체크디지트값을 결정하고, 상기 임의의 숫자(B)의 자릿수를 각각 서로 다르게 변경하여 상기 제1체크디지트값을 결정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2,3,...,n 체크디지트값을 결정한 후 이들의 조합으로 최종 체크디지트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정품 인증 시스템을 이용한 정품 인증 방법은, 소비자단말에서 카메라를 통해 인증할 제품에 부착된 인증라벨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입력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소비자단말에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제1 단계에서 입력된 인증라벨의 이미지의 인식범위 및 인식방향을 확인하고 상기 이미지로부터 제조자 고유정보 및 제품 고유정보를 인식하여 체크디지트값으로 변환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소비자단말에서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 및 제품 고유정보가 각각 미리 정해진 연산을 통해 체크디지트값으로 변환된 후 암호화된 암호화정보를 포함하는 패턴코드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제조자 고유정보 및 제품 고유정보를 복호화하여 체크디지트값으로 변환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소비자단말에서 상기 제2 단계에서 변환된 체크디지트값과, 상기 제3 단계에서 복호화된 체크디지트값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제4 단계에서 일치하면 상기 소비자단말에서 상기 제품이 정품임을 1차적으로 인증하고 정품인증을 표시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제5 단계에서 1차적으로 정품 인증이 되면, 상기 소비자단말에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등록서버로 정품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제6 단계와; 상기 등록서버에서 상기 정품인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품의 정품 인증 정보가 제품데이터베이스에 기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제7 단계와; 상기 제7 단계에서 상기 제품데이터베이스에 기 등록되어 있으면 상기 등록서버에서 상기 제품이 기 등록 제품임을 상기 소비자단말로 알리는 제8 단계와; 상기 제8 단계에서 상기 제품데이터베이스에 기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등록서버에서 상기 제품이 정품임을 2차적으로 인증하여 상기 소비자단말로 알리는 제9 단계와; 상기 제품이 2차적으로 정품 인증되면, 상기 소비자단말에서 상기 등록서버로 상기 제품의 정품 인증 정보의 등록을 요청하는 제10 단계와; 상기 등록서버에서 상기 제품의 정품 인증 정보를 상기 제품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제11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크디지트값의 변환은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 및 제품 고유정보 중 숫자(A)를 순차적으로 나열하고 상기 나열된 숫자(A)의 각 자리에 상기 체크디지트값을 생성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임의의 숫자(B)를 상기 나열된 숫자(A)의 뒷자리부터 차례로 교번하여 대응시키고, 상기 나열된 숫자(A)의 각 자리와, 상기 나열된 숫자(A)의 각 자리에 대응되는 상기 설정된 임의의 숫자(B)를 자리별로 각각 곱하며, 상기 각 자리별로 곱한 숫자의 10의 자리와 1의 자리를 분리해서 모두 더한 결과에서 1의 자리의 숫자에 대한 10의 보수로 제1 체크디지트값을 결정하고, 상기 임의의 숫자(B)의 자릿수를 각각 서로 다르게 변경하여 상기 제1체크디지트값을 결정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2,3,...,n 체크디지트값을 결정한 후 이들의 조합으로 최종 체크디지트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정품인증라벨은, 제조자 고유정보가 삽입되는 제조자 고유정보 필드와; 제품 고유정보가 삽입되는 제품 고유정보 필드와;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와 제품 고유정보가 각각 미리 정해진 연산을 통해 체크디지트값으로 변환된 후 암호화되어 미리 설정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복호화가 가능한 암호화정보를 포함하는 패턴코드가 삽입되는 패턴코드 필드와; 라벨의 인식범위 및 인식방향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식포인트가 삽입되는 인식포인트 필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정품인증단말은, 제품에 부착되는 고유의 인증라벨을 판독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과, 등록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송수신되는 각종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구동부와; 인증라벨을 촬영하여 상기 인증라벨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정을 조작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제품의 정품 인증 및 정품 인증 정보 등록 과정을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등록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소비자단말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획득된 인증라벨의 이미지에서 제조자 고유정보 및 제품 고유정보를 인식하여 체크디지트값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체크디지트값과 상기 인증라벨 내 패턴코드의 암호화정보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제조자 고유정보 및 제품 고유정보를 복호화하여 변환된 체크디지트값이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1차적으로 정품 인증한 후,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 및 제품 고유정보를 포함한 제품정보를 등록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제품에 대한 정품인증 정보가 기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2차적으로 정품 인증하고, 기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품에 대한 정품인증 정보의 등록을 요청하고, 상기 체크디지트값의 변환은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 및 제품 고유정보 중 숫자(A)를 순차적으로 나열하고 상기 나열된 숫자(A)의 각 자리에 상기 체크디지트값을 생성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임의의 숫자(B)를 상기 나열된 숫자(A)의 뒷자리부터 차례로 교번하여 대응시키고, 상기 나열된 숫자(A)의 각 자리와, 상기 나열된 숫자(A)의 각 자리에 대응되는 상기 설정된 임의의 숫자(B)를 자리별로 각각 곱하며, 상기 각 자리별로 곱한 숫자의 10의 자리와 1의 자리를 분리해서 모두 더한 결과에서 1의 자리의 숫자에 대한 10의 보수로 제1 체크디지트값을 결정하고, 상기 임의의 숫자(B)의 자릿수를 각각 서로 다르게 변경하여 상기 제1체크디지트값을 결정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2,3,...,n 체크디지트값을 결정한 후 이들의 조합으로 최종 체크디지트값으로 결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크디지트값의 변환과정을 이용하여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 및 제품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체크디지트값 및 상기 패턴코드에 대응하는 체크디지트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두 체크디지트값이 일치하면 상기 제품을 정품으로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정품인증라벨, 이를 이용한 정품인증단말, 정품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는 제조자 고유정보와, 제품 고유정보와, 제조자 고유정보 및 상기 제품 고유정보를 각각 미리 정해진 연산을 통해 다른 값을 가지도록 변환한 암호화정보를 부호화하여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서만 해독되는 패턴코드 등이 조합된 인증라벨이 구비된다.
제품에 부착된 인증라벨은, 해당 인증라벨을 인식하고 해독할 수 있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소비자단말에 의해서, 제품이 정품임을 인증하고 등록 서버에 접속하여, 제품의 정품인증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가 스마트폰에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은 후, 제품에 부착된 인증라벨을 인식시켜 간편하게 직접 해당 제품이 정품임을 인증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정품 인증을 받은 제품을 등록서버에 등록하여, 인증라벨을 복제한 불법 복제 제품이 추후에 유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등록서버를 통해 해당 제품의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므로, 소비자는 해당 제품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구매를 원하는 정확한 상표를 쉽게 구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비자가 직접 구매한 제품이 정품임을 인증하고, 등록서버에 인증 정보를 등록하도록 하여, 인증라벨을 그대로 복제한 복제품의 유통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품 인증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품인증라벨(인증라벨)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품인증라벨(인증라벨)의 패턴코드 생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품인증라벨(인증라벨)의 패턴코드가 포함하는 암호화정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품인증단말(소비자단말)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품인증단말(소비자단말)의 1차 정품 인증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품 인증 시스템을 이용한 정품 인증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정품인증라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품 인증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품인증라벨(인증라벨)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품인증라벨(인증라벨)의 패턴코드 생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품인증라벨(인증라벨)의 패턴코드가 포함하는 암호화정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품인증단말(소비자단말)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품인증단말(소비자단말)의 1차 정품 인증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정품 인증 시스템은, 제품의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제품이 정품임을 인증하는 정품인증라벨(100)(이하, '인증라벨'이라 칭함)과,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제품에 부착된 인증라벨(100)을 인식, 판독하여 정품임을 인증하는 정품인증단말(200)(이하, '소비자단말'이라 칭함)과, 소비자단말(200)의 정품인증 정보 등록요청에 따라 정품인증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서버(300)와, 유무선 통신망(400) 등으로 구성된다.
제품에는 인증라벨(100)이 부착된다. 상기 인증라벨(100)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자 고유정보(110)와, 제품 고유정보(120)와, 패턴코드(140) 및 인식포인트(15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는 상기 인증라벨(100)의 제조자 고유정보 필드에 삽입된다.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는 하나의 제조자에 고유하게 부여되며, 제품의 정품 인증 및 제품의 정보 조회 등에 이용된다.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는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한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의 조합으로 표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는 상기 인증라벨(100)의 상단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품 고유정보(120)는 상기 인증라벨(100)의 제품 고유정보 필드에 삽입된다. 상기 제품 고유정보(120)는 하나의 제품에 고유하게 부여되며, 제품의 정품 인증 및 제품의 정보 조회 등에 이용된다. 상기 제품 고유정보(120)는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한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의 조합으로 표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20)는 상기 인증라벨(100)의 하단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패턴코드(140)는 상기 인증라벨(100)의 패턴코드 필드에 삽입된다. 상기 패턴코드(140)는 제품의 정품 여부를 판별하는 코드로,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 및 제품 고유정보(120)를 이용하여 제품의 정품여부를 판별하는데 이용된다. 도 2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패턴코드(140)는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와 상기 제품 고유정보(120)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패턴코드(140)는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 및 제품 고유정보(120)가 각각 미리 정해진 연산을 통해 체크디지트(check digit) 값으로 변환된 후 암호화된 정보가 흑백의 격자무늬 패턴으로 부호화되어 삽입된다.
보다 상세하게,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턴코드(140)의 생성을 위해서 먼저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 X) 및 제품 고유정보(120, Y)가 각각 미리 정해진 연산을 통해 체크디지트값(X1, Y1)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상기 체크디지트값(X1, Y1)은 다시 암호화정보(X', Y')로 변환된다. 그리고, 상기 암호화정보(X', Y')는 흑백의 격자무늬 패턴코드로 부호화된다.
상기 패턴코드(140)의 생성을 위해서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 X) 및 제품 고유정보(120, Y) 중 나열된 숫자(A)는 상기 체크디지트값을 생성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임의의 숫자(B)를 이용한 여러 차례의 연산을 통하여 다중의 체크디지트값(X1, Y1)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상기 체크디지트값(X1, Y1)은 다시 다중의 암호화정보(X', Y')로 변환된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턴코드(140)에는 여섯자리의 암호화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여섯자리 암호화정보 중에서 앞자리 세자리는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가 변환되어 생성될 수 있으며, 뒷자리 세자리는 상기 제품 고유정보(120)가 변환되어 생성될 수 있다.
상기의 예와 같이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 및 제품 고유정보(120)에 나열된 숫자(A)에 대한 세 자리의 암호화정보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미리 설정된 임의의 숫자(B)를 이용한 세 번의 연산이 수행된다. 즉,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에 상기 임의의 숫자(B)를 이용한 연산을 수행하여 하나의 체크디지트값이 생성되며, 임의의 숫자(B)의 자릿수를 교번으로 변화시켜 총 세 번의 연산을 수행하여 총 세 개의 체크디지트값이 생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크디지트값 각각이 암호화 정보로 변환된다.
도 4의 실시예와 같이, 제조자 고유정보가 SA-20115806인 경우의 체크디지트값 생성을 위한 임의의 숫자(B)를 이용한 연산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1) 제1 체크디지트값 : 미리 설정된 임의의 숫자(B) 173을 이용한 연산
2 0 1 1 5 8 0 6
1단계 7 3 1 7 3 1 7 3
2단계 14 3 1 7 15 8 0 18
3단계 (1+4) +3 +1 +7 +(1+5) +8 +0 +(1+8) 36
4단계 4
1단계 : 제조자 고유정보의 각 자리에 미리 설정된 임의의 숫자(B) 173이 뒷자리부터 차례로 대입된다.
2단계 : 제조자 고유정보의 각 자리와, 제조자 고유정보의 각 자리에 대응되는 임의의 숫자(B)의 해당 자릿수가 각각 곱해진다.
3단계 : 2단계에서 구해진 곱셈값의 10의 자리와 1의 자리가 분리되어 모두 더해진다.
4단계 : 3단계에서 구해진 덧셈값(36)의 일의 자리(6)에 대한 10의 보수(4)가 구해진다. 즉, 4단계에서 구해진 보수(4)가 제1 체크디지트값이 된다.
(2) 제2 체크디지트값 : 미리 설정된 임의의 숫자(B) 731을 이용한 연산
제2 체크디지트값은 임의의 숫자(B)에서 자릿수를 변경한 731을 이용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제1체크디지트값을 구한 방법)으로 구해질 수 있다.
(3) 제3 체크디지트값 : 미리 설정된 임의의 숫자(B) 317을 이용한 연산
제3 체크디지트값은 임의의 숫자(B)에서 다시 자릿수를 변경한 317을 이용하여 역시 상기와 동일한 방법(제1 및 제2체크디지트값을 구한 방법)으로 구해질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n 체크디지트값을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품 고유정보(120)의 체크디지트값은,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의 체크디지트값 생성의 연산 예와 같이, 상기 체크디지트값을 생성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임의의 숫자(B)를 이용한 연산을 통해 총 세 개의 체크디지트값이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임의의 숫자(B)는 체크디지트값을 변환하기 위해 운용자는 미리 설정하여 알고 있는 값이 된다.
한편, 여기에서는 제조자 고유정보(110) 및 제품 고유정보(120) 중에서 숫자부분만 추출하여 체크디지트값을 생성하였으나, 다른 문자나 기호 등도 미리 정해진 숫자로 변환하여 체크디지트값을 생성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의 체크디지트값과 상기 제품 고유정보(120)의 체크디지트값은 다른 숫자, 문자 도는 기호 등의 암호화정보로 변환된다. 즉, 도 4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체크디지트값은 "ABCXYZ"의 암호화정보로 변환될 수 있으며, 변환된 암호화정보가 상기 패턴코드(140)로 부호화되어 상기 인증라벨(100)에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임의의 숫자(B)는 각 제품별로 다르게 적용된다. 상기 숫자(B)는 제품의 정품 인증시에 다시 사용되므로, 이를 위하여 제품별로 숫자(B)가 별도로 저장되는 것이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패턴코드(140)는 미리 설정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서만 복호화될 수 있다. 즉, 상기 패턴코드(140)는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암호화정보(X', Y')로 판독된 후 상기 판독된 암호화정보(X', Y')가 체크디지트값(X2, Y2)으로 복호화된다.
상기 인증라벨(100)의 인식포인트 필드에는 인식포인트(150)가 삽입된다. 상기 인식포인트(150)는 상기 인증라벨(100)의 인식범위 및 인식방향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인증라벨(100)의 이미지 인식 범위를 한정하고, 상기 인증라벨(100)이 어느 방향에서 촬영되더라도 정방향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방향을 표시한다.
도 2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인식포인트(150)는 상기 인증라벨(100) 상단의 좌우측 모퉁이와, 하단의 좌우측 모퉁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모퉁이에 각각 표기될 수 있다. 그리고, 원문양의 중심에 십자선이 표시된 기호로써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증라벨(100)은 복제가 불가능 하도록 특수용지로 제작되거나 홀로그램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특수용지는 육안으로는 볼 수 없으나 복사, 스캔, 팩스 시에 문자나 비표가 표시되어 복제 사실을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특수처리된 용지이다. 그리고, 상기 홀로그램은, 복사, 스캔, 팩스 시에 검정색으로 표시되어 복제사실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는 인증라벨(100)이 제품의 일측에 부착되는 것을 예시로 하였으나, 다양하게 제품에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품의 포장 인쇄시에 상기 인증라벨(100)의 이미지를 부가하여 동시에 인쇄할 수 있다. 또는, 상표 라벨의 인쇄시에 상기 인증라벨(100)의 이미지를 부가하여 동시에 인쇄하여 제품에 부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인증라벨(100)만을 스티커 형태의 라벨로 인쇄하여 제품의 일측에 부착할 수도 있다.
상기 인증라벨(100)은, 아래에서 설명할 소비자단말(200)에 의하여 인식된다. 그리고, 상기 소비자단말(200)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실행시킬 수 있는 스마트폰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비자단말(200)은 각종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210)와,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구동부(220)와, 상기 인증라벨(100)을 촬영하는 카메라부(230)와,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정을 조작하기 위한 입력부(240)와, 상기 제품의 정품 인증 및 정품 인증 정보 등록 과정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250)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260)와, 소비자단말(2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70) 등을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부(210)에는 상기 인증라벨(100)을 인식하고 판독할 수 있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부에는 상기 소비자단말(200)과 후술할 등록서버(300) 간의 통신에 의해 송수신되는 각종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구동부(220)는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카메라부(230)는 상기 인증라벨(100)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인증라벨(100)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상기 메모리부(210)에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입력부(240)는,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여러 버튼으로써 소비자에 의하여 조작되며, 상기 소비자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정을 선택적으로 조작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50)는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화면으로써, 상기 제품의 정품 인증 및 정품 인증 정보 등록 과정을 소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통신부(260)는 후술할 등록서버(300)와의 통신을 통해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소비자단말(200)의 각 기능의 동작 및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비자단말(200)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인증라벨(100)의 제조자 고유정보(110, X) 및 제품 고유정보(120, Y)를 인식하고, 미리 정해진 연산을 통해 체크디지트값(X1, Y1)으로 변환한다.
또한, 상기 소비자단말(200)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패턴코드(140)로부터 암호화정보(X', Y')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된 제조자 고유정보(110, X) 및 제품 고유정보(120, Y)의 암호화정보(X', Y')를 복호화하여 체크디지트값(X2, Y2)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 및 제품 고유정보(120)로부터 구해진 체크디지트값(X1, Y1)과 상기 패턴코드(140)로부터 구해진 체크디지트값(X2, Y2)을 대조하여 1차적으로 정품 인증을 한다.
즉,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 및 제품 고유정보(120)로부터 구해진 체크디지트값(X1, Y1)과 상기 패턴코드(140)로부터 구해진 체크디지트값(X2, Y2)이 각각 일치(X1=X2 and Y1=Y2)하는 경우에 제품이 정품임을 1차적으로 인증하고 정품인증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소비자단말(200)은 제품의 1차 정품 인증 후에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 및 제품 고유정보(120)를 포함한 제품정보를 아래에서 설명할 등록서버(300)에 전송한다. 상기 등록서버(300)로 전송되는 제품정보에는,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 제품 고유정보(120), 상기 소비자단말(200)의 고유번호, 맥 주소(Mac address), 서버 최초 접속시각, 서버 총 접속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등록서버(300)에 상기 제품에 대한 정품인증 정보가 기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2차적으로 정품 인증하고, 기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품에 대한 정품인증 정보의 등록을 요청한다.
상기 제품의 정품인증 정보는 등록서버(300)에 등록된다. 상기 등록서버(300)는, 상기 소비자단말(200)로부터 전송된 제품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의 정품인증 정보가 제품데이터베이스(310)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그 확인결과를 상기 소비자단말(2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소비자단말(200)로부터 전송된 상기 정품인증 정보의 등록요청에 따라 상기 정품인증 정보를 상기 제품데이터베이스(310)에 등록한다.
상기 소비자단말(200)과 상기 등록서버(300)는 통신망(400)에 의하여 연결된다. 즉, 상기 통신망(400)은, 상기 소비자단말(200)과 상기 등록서버(300) 사이에 정보가 송수신 될수 있도록, 상기 소비자단말(200) 및 등록서버(300)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는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업로드하는 어플리케이션 업로드장치(510)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업로드장치(510)로부터 업로드된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내부저장소에 저장되는 어플리케이션 등록서버(520)가 더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소비자단말(200)은 어플리케이션이 업로드된 어플리케이션 마켓(스토어)에 통신 접속하여,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해야한다.
상기 업로드장치(51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마켓(스토어)에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업로드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등록서버(520)에는, 상기 업로드장치(510)에 의해 업로드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등록서버(520)는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상기 소비자단말(200)의 다운로드요청에 따라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소비자단말(200)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소비자단말(200)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마켓(스토어)에 접속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등록서버(520)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를 요청한다.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등록서버(520)에서 전송되는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상기 메모리부(210)에 저장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정품 인증 시스템을 이용한 정품 인증 방법을 도 7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정품 인증 시스템을 이용한 정품 인증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품 인증 시스템을 이용한 정품 인증 방법은 다음의 단계로 구성된다.
먼저, 인증라벨(100)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입력하는 제1 단계가 수행된다.(S110)
상기 제1 단계(S110)에서는 인증할 제품에 부착된 인증라벨(100)을 소비자단말(200)의 카메라부(230)에서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한다. 상기 촬영된 인증라벨(100)의 이미지는 상기 소비자단말(200)의 메모리부(210)에 저장된다.
상기 소비자단말(200)에 상기 인증라벨(100)의 이미지가 입력되면, 상기 소비자단말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제1 단계(S110)에서 입력된 인증라벨(100)의 이미지의 인식범위 및 인식방향을 확인하고, 제조자 고유정보(110) 및 제품 고유정보(120)를 인식하여 체크디지트값으로 변환하는 제2 단계가 수행된다.(S120)
상기 제2 단계(S120)에서 상기 소비자단말(200)은, 상기 인증라벨(100)의 이미지에서 인식포인트(150)를 추출하여 상기 이미지의 방향이 정방향이 되도록 상기 이미지를 회전시키고, 상기 이미지의 인식 범위에 맞도록 상기 이미지의 크기를 변환시킨다. 즉, 각 인식포인트(150)가 제자리에 위치하도록 회전시켜 상기 이미지를 정방향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이미지가 정해진 인식 범위에 맞도록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시킨다.
그리고, 상기 인증라벨(100)의 제조자 고유정보 필드에 삽입된 제조자 고유정보(110)와, 상기 인증라벨(100)의 제품 고유정보 필드에 삽입된 제품 고유정보(120)를 인식하고, 미리 정해진 연산을 통해 체크디지트값(X1, Y1)이 구해진다.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 및 제품 고유정보(120)로부터 체크디지트값(X1, Y1)이 구해지면, 패턴코드(140)로부터 제조자 고유정보(110) 및 제품 고유정보(120)의 암호화정보를 판독한 후 복호화하여 체크디지트값으로 변환하는 제3 단계가 수행된다.(S130)
상기 패턴코드(140)에는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 및 제품 고유정보(120)가 각각 미리 정해진 연산을 통해 체크디지트값으로 변환된 후 암호화된 암호화정보가 부호화되어 삽입되어 있다.
상기 제3 단계(S130)에서는 상기 패턴코드로부터 상기 암호화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암호화정보를 복호화하여 상기 패턴코드에 암호화 입력되어있던 제조자 고유정보(110) 및 제품 고유정보(120)의 체크디지트값(X2, Y2)이 구해진다.
상기 패턴코드(140)를 복호화한 다음에는, 상기 제2 단계(S120)에서 변환된 체크디지트값(X1, Y1)과, 상기 제3 단계(S130)에서 복호화된 체크디지트값(X2, Y2)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4 단계가 수행된다.(S140)
상기 제4 단계(S140)에서 상기 체크디지트값 중 어느 하나라도 일치하지 않는(X1≠X2 or Y1≠Y2) 경우, 상기 제품이 복제품임을 상기 소비자단말(200)로 알리는 제5 단계가 수행된다.(S142)
한편, 상기 제4 단계(S140)에서 상기 체크디지트값이 모두 일치하는(X1=X2 and Y1=Y2) 경우, 상기 소비자단말(200)에서 상기 제품이 정품임을 1차적으로 인증하고 정품인증을 알리는 제6 단계가 수행된다.(S150)
제품의 정품 인증 과정은, 등록서버(300)에 접속하여 제품데이터베이스(310)를 불러오는 과정 없이, 상기 소비자단말(200) 상에서 모두 이루어진다.
상기 소비자단말(200)에서 1차적으로 정품 인증된 다음에는, 상기 정품 인증 정보를 등록서버(300)에 등록하기 위한 다음 과정이 진행된다.
상기 제6 단계(S150)에서 1차적으로 정품 인증이 되면, 상기 소비자단말(200)에서 유무선 통신망(400)을 통해 등록서버(300)로 정품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제7 단계가 수행된다.(S210)
상기 소비자단말(200)에서 정품인증 정보를 상기 등록서버(300)로 전송하면, 상기 등록서버(300)에서 상기 정품인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품의 정품 인증 정보가 제품데이터베이스(310)에 기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제8 단계가 수행된다.(S220)
상기 제8 단계(S220)에서 상기 제품데이터베이스(310)에 기 등록되어 있으면 기 등록 제품임을 상기 소비자단말(200)로 알리는 제9 단계가 수행된다.(S222)
상기 제품의 정품 인증 정보가 기 등록되었다는 것은, 소비자가 해당 제품의 정품 인증 정보를 이전에 등록하였으며, 그 후에 등록 사실을 재확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 소비자가 제품 구매후 처음으로 정품 인증 및 등록을 시도하는 것인 경우 해당 제품은 복제품이라고 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8 단계(S220)에서 상기 제품데이터베이스(310)에 기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등록서버(300)에서 상기 제품이 정품임을 2차적으로 인증하여 상기 소비자단말(200)로 알리는 제10 단계가 수행된다.(S230)
상기 소비자단말(200)에서 상기 제품이 2차적으로 정품 인증되면, 상기 제품의 정품 인증 정보의 등록요청을 상기 등록서버(300)로 전송하는 제11 단계가 수행된다.(S240)
상기 등록서버(300)에서 상기 소비자단말(200)로부터 전송된 정품 인증 정보의 등록요청이 확인되면, 상기 등록서버(300)에서 상기 제품의 정품 인증 정보를 상기 제품데이터베이스(310)에 등록하는 제12 단계가 수행된다.(S250)
한편, 상기 제11 단계(S240)에서 상기 제품의 정품 인증 정보를 등록을 요청하지 않은 경우, 즉 상기 등록서버(300)에서 상기 소비자단말(200)로부터 전송된 정품 인증 정보의 등록요청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 단계(S110)로 진행하여 다른 제품에 대한 인증라벨(100)의 이미지 입력단계가 수행된다.
제품의 정품 인증 정보 등록은, 다른 복제품의 유통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품의 정품 인증 정보를 소비자단말(200)을 통해 소비자가 직접 등록하게 함으로써, 상기 인증라벨(100)을 그대로 복제했을지라도 상기 등록서버(300)에 이미 상기 정품 인증 정보가 등록되어 있어 복제품임이 확인되므로 불법 복제품의 유통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 인증라벨 110 : 제조자 고유정보
120 : 제품 고유정보 140 : 패턴코드
150 : 인식포인트 200 : 소비자단말
210 : 메모리부 220 : 구동부
230 : 카메라부 240 : 입력부
250 : 디스플레이부 260 : 통신부
270 : 제어부 300 : 등록서버
310 : 제품데이터베이스 400 : 통신망
510 : 어플리케이션 업로드장치 520 : 어플리케이션 등록서버

Claims (8)

  1. 제조자 고유정보(110)와, 제품 고유정보(120)와,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 및 제품 고유정보(120)가 각각 미리 정해진 연산을 통해 체크디지트(check digit)값으로 변환된 후 암호화되어 미리 설정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복호화가 가능한 암호화정보를 포함하는 패턴코드(140)와, 라벨의 인식범위 및 인식방향을 표시하는 인식포인트(150)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품에 부착되는 인증라벨(100)과;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인증라벨(100)의 제조자 고유정보(110) 및 제품 고유정보(120)를 인식하여 체크디지트값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체크디지트값과 상기 패턴코드(140)의 암호화정보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제조자 고유정보(110) 및 제품 고유정보(120)를 복호화하여 변환된 체크디지트값이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1차적으로 정품 인증한 후,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 및 제품 고유정보(120)를 포함한 제품정보를 후술하는 등록서버(300)에 전송하여 상기 제품에 대한 정품인증 정보가 기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2차적으로 정품 인증하고, 기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품에 대한 정품인증 정보의 등록을 요청하는 소비자단말(200)과;
    상기 소비자단말(200)로부터 전송된 제품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의 정품인증 정보가 제품데이터베이스(310)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그 확인결과를 상기 소비자단말(200)로 전송하고 상기 정품인증 정보의 등록요청에 따라 상기 정품인증 정보를 상기 제품데이터베이스(310)에 등록하는 등록서버(300)와;
    상기 소비자단말(200) 및 등록서버(300)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는 통신망(400)을 포함하며,
    상기 체크디지트값의 변환은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 및 제품 고유정보 중 숫자(A)를 순차적으로 나열하고 상기 나열된 숫자(A)의 각 자리에 상기 체크디지트값을 생성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임의의 숫자(B)를 상기 나열된 숫자(A)의 뒷자리부터 차례로 교번하여 대응시키고, 상기 나열된 숫자(A)의 각 자리와, 상기 나열된 숫자(A)의 각 자리에 대응되는 상기 설정된 임의의 숫자(B)를 자리별로 각각 곱하며, 상기 각 자리별로 곱한 숫자의 10의 자리와 1의 자리를 분리해서 모두 더한 결과에서 1의 자리의 숫자에 대한 10의 보수로 제1 체크디지트값을 결정하고, 상기 임의의 숫자(B)의 자릿수를 각각 서로 다르게 변경하여 상기 제1체크디지트값을 결정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2,3,...,n 체크디지트값을 결정한 후 이들의 조합으로 최종 체크디지트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품 인증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 및 상기 제품 고유정보(120)는,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한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의 조합으로 표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품 인증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단말(200)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등록서버(300)와의 통신을 통해 송수신되는 각종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210)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구동부(220)와;
    상기 인증라벨(100)을 촬영하여 상기 인증라벨(100)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부(230)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정을 조작하기 위한 입력부(240)와;
    상기 제품의 정품 인증 및 정품 인증 정보 등록 과정을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250)와;
    상기 등록서버(300)와의 통신을 통해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260)와;
    상기 소비자단말(2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7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체크디지트값의 변환과정을 이용하여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 및 제품 고유정보(120)에 대응하는 체크디지트값 및 상기 패턴코드(140)에 대응하는 체크디지트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두 체크디지트값이 일치하면 상기 제품을 정품으로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품 인증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업로드하는 어플리케이션 업로드장치(510)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업로드장치(510)로부터 업로드된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내부저장소에 저장되는 어플리케이션 등록서버(5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비자단말(200)은 상기 통신망(400)을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등록서버(520)로부터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품 인증 시스템.
  5. 소비자단말(200)에서 카메라를 통해 인증할 제품에 부착된 인증라벨(100)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입력하는 제1 단계(S110)와;
    상기 소비자단말(200)에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제1 단계(S110)에서 입력된 인증라벨(100)의 이미지의 인식범위 및 인식방향을 확인하고 상기 이미지로부터 제조자 고유정보(110) 및 제품 고유정보(120)를 인식하여 체크디지트값으로 변환하는 제2 단계(S120)와;
    상기 소비자단말(200)에서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 및 제품 고유정보(120)가 각각 미리 정해진 연산을 통해 체크디지트값으로 변환된 후 암호화된 암호화정보를 포함하는 패턴코드(140)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제조자 고유정보(110) 및 제품 고유정보(120)를 복호화하여 체크디지트값으로 변환하는 제3 단계(S130)와;
    상기 소비자단말(200)에서 상기 제2 단계(S120)에서 변환된 디지트값과, 상기 제3 단계(S130)에서 복호화된 디지트값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4 단계(S140)와;
    상기 제4 단계(S140)에서 일치하면 상기 소비자단말(200)에서 상기 제품이 정품임을 1차적으로 인증하고 정품인증을 표시하는 제5 단계(S150)와;
    상기 제5 단계(S150)에서 1차적으로 정품 인증이 되면, 상기 소비자단말(200)에서 유무선 통신망(400)을 통해 등록서버(300)로 정품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제6 단계(S210)와;
    상기 등록서버(300)에서 상기 정품인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품의 정품 인증 정보가 제품데이터베이스(310)에 기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제7 단계(S220)와;
    상기 제7 단계(S220)에서 상기 제품데이터베이스(310)에 기 등록되어 있으면 상기 등록서버(300)에서 상기 제품이 기 등록 제품임을 상기 소비자단말(200)로 알리는 제8 단계(S222)와;
    상기 제7 단계(S220)에서 상기 등록서버(300)에서 상기 제품데이터베이스(310)에 기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품이 정품임을 2차적으로 인증하여 상기 소비자단말(200)로 알리는 제9 단계(S230)와;
    상기 제품이 2차적으로 정품 인증되면, 상기 소비자단말(200)에서 상기 등록서버(300)로 상기 제품의 정품 인증 정보의 등록을 요청하는 제10 단계(S240)와;
    상기 등록서버(300)에서 상기 제품의 정품 인증 정보를 상기 제품데이터베이스(310)에 등록하는 제11 단계(S2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크디지트값의 변환은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 및 제품 고유정보 중 숫자(A)를 순차적으로 나열하고 상기 나열된 숫자(A)의 각 자리에 상기 체크디지트값을 생성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임의의 숫자(B)를 상기 나열된 숫자(A)의 뒷자리부터 차례로 교번하여 대응시키고, 상기 나열된 숫자(A)의 각 자리와, 상기 나열된 숫자(A)의 각 자리에 대응되는 상기 설정된 임의의 숫자(B)를 자리별로 각각 곱하며, 상기 각 자리별로 곱한 숫자의 10의 자리와 1의 자리를 분리해서 모두 더한 결과에서 1의 자리의 숫자에 대한 10의 보수로 제1 체크디지트값을 결정하고, 상기 임의의 숫자(B)의 자릿수를 각각 서로 다르게 변경하여 상기 제1체크디지트값을 결정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2,3,...,n 체크디지트값을 결정한 후 이들의 조합으로 최종 체크디지트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품 인증 시스템을 이용한 정품 인증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0 단계(S240)에서 상기 소비자단말(200)에서 상기 등록서버(300)로 상기 제품의 정품 인증 정보의 등록을 요청하지 않은 경우, 제1 단계(S110)로 진행하여 상기 소비자단말(200)에서 다른 제품에 대한 인증라벨 이미지 입력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품 인증 시스템을 이용한 정품 인증 방법.
  7. 삭제
  8. 제품에 부착되는 고유의 인증라벨을 판독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과, 등록서버(300)와의 통신을 통해 송수신되는 각종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210)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구동부(220)와;
    인증라벨(100)을 촬영하여 상기 인증라벨(100)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부(230)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정을 조작하기 위한 입력부(240)와;
    상기 제품의 정품 인증 및 정품 인증 정보 등록 과정을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250)와;
    등록서버(300)와의 통신을 통해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260)와;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70)를 포함하며;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카메라부(230)를 통해 획득된 인증라벨(100)의 이미지에서 제조자 고유정보(110) 및 제품 고유정보(120)를 인식하여 체크디지트값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체크디지트값과 상기 인증라벨 내 패턴코드(140)의 암호화정보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제조자 고유정보(110) 및 제품 고유정보(120)를 복호화하여 변환된 체크디지트값이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1차적으로 정품 인증한 후,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 및 제품 고유정보(120)를 포함한 제품정보를 등록서버(300)에 전송하여 상기 제품에 대한 정품인증 정보가 기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2차적으로 정품 인증하고, 기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품에 대한 정품인증 정보의 등록을 요청하고,
    상기 체크디지트값의 변환은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 및 제품 고유정보 중 숫자(A)를 순차적으로 나열하고 상기 나열된 숫자(A)의 각 자리에 상기 체크디지트값을 생성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임의의 숫자(B)를 상기 나열된 숫자(A)의 뒷자리부터 차례로 교번하여 대응시키고, 상기 나열된 숫자(A)의 각 자리와, 상기 나열된 숫자(A)의 각 자리에 대응되는 상기 설정된 임의의 숫자(B)를 자리별로 각각 곱하며, 상기 각 자리별로 곱한 숫자의 10의 자리와 1의 자리를 분리해서 모두 더한 결과에서 1의 자리의 숫자에 대한 10의 보수로 제1 체크디지트값을 결정하고, 상기 임의의 숫자(B)의 자릿수를 각각 서로 다르게 변경하여 상기 제1체크디지트값을 결정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2,3,...,n 체크디지트값을 결정한 후 이들의 조합으로 최종 체크디지트값으로 결정하며,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체크디지트값의 변환과정을 이용하여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 및 제품 고유정보(120)에 대응하는 체크디지트값 및 상기 패턴코드(140)에 대응하는 체크디지트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두 체크디지트값이 일치하면 상기 제품을 정품으로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품인증단말.
KR1020110086316A 2011-08-29 2011-08-29 정품인증라벨을 이용하는 정품인증단말, 정품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1160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316A KR101160914B1 (ko) 2011-08-29 2011-08-29 정품인증라벨을 이용하는 정품인증단말, 정품인증 시스템 및 방법
CN201180073996.3A CN104040567B (zh) 2011-08-29 2011-12-14 正品认证标签、利用该标签的正品认证终端、正品认证标签输出装置、正品认证系统及方法
PCT/KR2011/009636 WO2013032070A1 (ko) 2011-08-29 2011-12-14 정품인증라벨, 이를 이용하는 정품인증단말, 정품인증라벨 출력 장치, 정품인증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316A KR101160914B1 (ko) 2011-08-29 2011-08-29 정품인증라벨을 이용하는 정품인증단말, 정품인증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0914B1 true KR101160914B1 (ko) 2012-08-07

Family

ID=46886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316A KR101160914B1 (ko) 2011-08-29 2011-08-29 정품인증라벨을 이용하는 정품인증단말, 정품인증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160914B1 (ko)
CN (1) CN104040567B (ko)
WO (1) WO2013032070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352B1 (ko) 2013-02-28 2014-01-15 서영호 위품방지를 위한 판매관리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4104694A1 (ko) * 2012-12-24 2014-07-03 Son Young Suk 라벨을 이용한 인증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
KR101525928B1 (ko) * 2013-08-19 2015-06-05 이찬주 정품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69107B1 (ko) 2015-06-30 2015-11-16 주식회사 디지워크 아이피 추적 모듈이 삽입된 전자상거래 상의 상품 이미지, 이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상의 상품 진위 여부 판단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단말 장치
KR101785260B1 (ko) * 2014-10-30 2017-10-16 김동혁 맞춤생산식 물품용 라벨
KR20180024566A (ko) * 2016-08-30 2018-03-08 주식회사 씨케이앤비 정품 인증용 라벨, 정품 인증용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13773B2 (en) 2017-03-06 2022-01-04 Cummins Filtration Ip, Inc. Genuine filter recognition with filter monitoring system
KR101838276B1 (ko) * 2017-07-21 2018-03-14 주식회사 글로벌링커스 정품 확인 태그 및 이를 포함한 포장지
WO2019151561A1 (ko) * 2018-01-30 2019-08-08 주식회사 비주얼넷 위변조 방지를 위한 암호갱신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전자태그 기반의 정품인증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11089657A (zh) * 2019-03-07 2020-05-01 杭州视洞科技有限公司 一种非接触式可远距离测温的方法和系统
KR102152915B1 (ko) * 2020-01-22 2020-09-07 주식회사 미래기술연구소 컴퓨터 생성 홀로그램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홀로그램 태그의 보안 수준을 강화시킨 정품 인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340378A1 (en) * 1997-11-10 2001-01-29 Thorn Secure Science Ltd Method of labelling goods
CN1290914A (zh) * 1999-07-05 2001-04-11 上海邮政通用技术设备公司 邮资标签防伪加密条码的制造方法
CN1264882A (zh) * 2000-04-04 2000-08-30 张念录 一种新的商品防伪标记印刷与识别系统
CN2470900Y (zh) * 2001-03-17 2002-01-09 王浩然 含有自我认证信息的防伪标记
KR100404869B1 (ko) * 2001-05-04 2003-11-07 이광희 상품의 진위여부 확인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N1188803C (zh) * 2002-04-01 2005-02-09 谭寅生 基于标识纤维随机分布的票证加密及验证方法
CN100349168C (zh) * 2003-06-23 2007-11-14 中国科学院研究生院 一种防伪票据、票据防伪方法及系统
KR20050022695A (ko) * 2003-08-29 2005-03-08 김용욱 온라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진품 보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24301A (ko) * 2004-09-13 2006-03-16 이상례 이미지패턴코드 인식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를이용한 정품인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N101727775A (zh) * 2008-11-04 2010-06-09 郑阿奇 随机防伪产品及手机鉴真方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4694A1 (ko) * 2012-12-24 2014-07-03 Son Young Suk 라벨을 이용한 인증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
KR101351352B1 (ko) 2013-02-28 2014-01-15 서영호 위품방지를 위한 판매관리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525928B1 (ko) * 2013-08-19 2015-06-05 이찬주 정품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85260B1 (ko) * 2014-10-30 2017-10-16 김동혁 맞춤생산식 물품용 라벨
KR101569107B1 (ko) 2015-06-30 2015-11-16 주식회사 디지워크 아이피 추적 모듈이 삽입된 전자상거래 상의 상품 이미지, 이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상의 상품 진위 여부 판단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단말 장치
WO2017003060A1 (ko) * 2015-06-30 2017-01-05 주식회사 디지워크 아이피 추적 모듈이 삽입된 전자상거래 상의 상품 이미지, 이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상의 상품 진위 여부 판단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단말 장치
KR20180024566A (ko) * 2016-08-30 2018-03-08 주식회사 씨케이앤비 정품 인증용 라벨, 정품 인증용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
CN107798542A (zh) * 2016-08-30 2018-03-13 息科安宝 正品认证用标签、正品认证用系统及执行其的计算装置
KR101959066B1 (ko) * 2016-08-30 2019-03-18 주식회사 씨케이앤비 정품 인증용 라벨, 정품 인증용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40567B (zh) 2016-08-17
WO2013032070A1 (ko) 2013-03-07
CN104040567A (zh) 2014-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0914B1 (ko) 정품인증라벨을 이용하는 정품인증단말, 정품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1476732B1 (ko) 정품인증라벨, 이를 이용하는 정품인증단말, 정품인증라벨 출력 장치, 정품인증 시스템 및 방법
US10461936B2 (en) Data verification
US20200051144A1 (en) Encrypted payment image
US6572025B1 (en) Information code product, manufactur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information code reading device, authentication system, authentication terminal, authentication server, and authentication method
AU2012345478B2 (en) A method of generation and transmission of secure tokens based on tokens generated by TRNG and split into shares and the system thereof
JP4539340B2 (ja) 認証システム
CN105894304B (zh) 一种产品防伪方法
US9563830B2 (en) Incremental information object with an embedded information region
US9613327B2 (en) Adapting an incremental information object
CN110197244A (zh) 二维码、二维码输出系统和方法、二维码读取系统和方法
US20070278289A1 (en) Payment adjusting apparatus and program therefor
JP6955128B2 (ja) アートワークの取引方法及び取引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CN110334783A (zh) 电子烟防伪方法、验证方法、电子烟系统及存储介质
CN103765449B (zh) 生成增量信息对象
CN103502996B (zh) 防二重增量信息对象
KR102166621B1 (ko) 예술품 인증 방법 및 예술품 인증 시스템
CN112418371B (zh) 用于区块链的安全三维码以及生成和解码方法
KR101945931B1 (ko) 오브젝트를 검증하기 위한 검증 코드 생성 방법 및 전자장치
US8857711B2 (en) Tracking customer loyalty information using an incremental information object
KR20100070115A (ko) 정품 인증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60342783A1 (en) Visual obfuscation security device, method and system
JP2005141314A (ja) 電子バリューを用いた決済システム、決済装置、サーバ及び携帯情報端末
EP3816828A1 (en) Method and token for document authentication
CN114841713A (zh) 一种产品追溯防伪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