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5931B1 - 오브젝트를 검증하기 위한 검증 코드 생성 방법 및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오브젝트를 검증하기 위한 검증 코드 생성 방법 및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5931B1
KR101945931B1 KR1020160166076A KR20160166076A KR101945931B1 KR 101945931 B1 KR101945931 B1 KR 101945931B1 KR 1020160166076 A KR1020160166076 A KR 1020160166076A KR 20160166076 A KR20160166076 A KR 20160166076A KR 101945931 B1 KR101945931 B1 KR 101945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verification
electronic device
specific objec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6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5375A (ko
Inventor
고재필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66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931B1/ko
Publication of KR20180065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 G06Q2220/16Copy protection or preven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브젝트를 검증하기 위한 검증 코드 생성 방법 및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검증 코드 생성 요청에 따라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특정 오브젝트 정보와 관련된 제1 코드를 생성하는 동작, 보안 키를 생성하여 제1 코드를 암호화하는 동작, 보안 키를 추가한 제2 코드를 생성하는 동작 및 제1 코드와 제2 코드를 결합하여 검증 코드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실시 예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오브젝트를 검증하기 위한 검증 코드 생성 방법 및 전자장치{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for Creating of Verifying Code for Verifying of Object}
본 발명은 오브젝트를 검증하기 위한 검증 코드 생성 방법 및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오브젝트의 정품 검증이 가능한 검증 코드를 생성하고, 검증 코드를 오브젝트에 추가될 인쇄 매체로 인쇄하는 오브젝트를 검증하기 위한 검증 코드 생성 방법 및 전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최근 여러 업체에서는 업체가 생산하는 생산 제품(이하, 오브젝트라 함)에 대한 위조품의 제조 및 유통을 방지하고, 소비자들이 오브젝트 및 업체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오브젝트 고유의 시리얼 번호, 바코드, 태그형 RFID 라벨 등의 코드를 오브젝트에 부착, 식각 또는 인쇄하여 오브젝트를 유통한다. 그러나, 상기 코드는 위조품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기가 용이해 정품에 대한 신뢰도를 충분히 제공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오브젝트의 정품 검증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코드로 검증 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오브젝트에 추가함으로써 사용자가 검증 코드로 오브젝트의 검증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오브젝트를 검증하기 위한 검증 코드 생성 방법 및 전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브젝트를 검증하기 위한 검증 코드 생성 방법은, 검증 코드 생성 요청에 따라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특정 오브젝트 정보와 관련된 제1 코드를 생성하는 동작, 보안 키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코드를 암호화하는 동작, 상기 보안 키를 추가한 제2 코드를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코드와 상기 제2 코드를 결합하여 상기 검증 코드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코드를 생성하는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데이터 및 이미지데이터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상기 제1 코드를 생성하는 동작이다.
또한, 제2 코드를 생성하는 동작은, 큐알코드, 바코드 및 바운더리 코드 중 어느 하나의 코드에 상기 보안 키를 추가하여 상기 제2 코드를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코드의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더 포함한다.
또한, 확인된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 상기 제1 코드, 상기 보안 키, 상기 제2 코드 및 상기 식별정보로 매핑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한다.
또한, 서버에서 매핑테이블을 생성하도록 상기 확인된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 상기 제1 코드, 상기 보안 키, 상기 제2 코드 및 상기 식별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한다.
또한, 검증 코드의 생성이 완료되면, 상기 특정 오브젝트에 추가될 상기 검증 코드가 인쇄된 인쇄 매체를 출력하도록 상기 검증 코드를 인쇄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한다.
또한,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정품 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생산일자,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고유번호,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규격,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생산지 및 생산자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확인하는 동작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브젝트를 검증하기 위한 검증 코드 생성하는 전자장치는, 검증 코드 생성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특정 오브젝트 정보와 관련된 제1 코드를 생성하고, 보안 키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코드를 암호화하고, 상기 보안 키를 추가한 제2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코드와 상기 제2 코드를 결합하여 상기 검증 코드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데이터 및 이미지데이터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제1 코드로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는, 큐알코드, 바코드 및 바운더리 코드 중 어느 하나의 코드에 상기 보안 키를 추가하여 상기 제2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코드의 식별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인된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 상기 제1 코드, 상기 보안 키, 상기 제2 코드 및 상기 식별정보로 생성된 매핑테이블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는, 서버에서 매핑테이블을 생성하도록 상기 확인된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 상기 제1 코드, 상기 보안 키, 상기 제2 코드 및 상기 식별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검증 코드의 생성이 완료되면, 상기 특정 오브젝트에 추가될 상기 검증 코드가 인쇄된 인쇄 매체를 출력하도록 상기 검증 코드를 인쇄 장치로 전송한다.
또한,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는,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정품 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생산일자,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고유번호,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규격,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생산지 및 생산자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브젝트를 검증하기 위한 검증 코드 생성 방법 및 전자 장치는, 오브젝트의 정품 검증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코드로 검증 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오브젝트에 추가함으로써, 복수번에 걸쳐 오브젝트를 검증하여 검증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브젝트를 검증하기 위한 검증 코드를 생성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브젝트를 검증하기 위한 검증 코드를 생성하는 전자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브젝트를 검증하기 위한 검증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증 코드를 이용하여 오브젝트를 검증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증 코드를 이용하여 오브젝트를 검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브젝트를 검증하기 위한 검증 코드를 생성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은 인쇄장치(100), 전자장치(200) 및 서버(300)를 포함한다.
인쇄장치(100)는 인쇄 매체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인쇄장치(100)는 전자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인쇄장치(100)는 USB 등의 케이블을 이용하여 전자장치(200)와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블루투스, 와이파이, BLE(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인쇄장치(100)는 전자장치(200)와 연결된 프린터기, 휴대용 사진 프린터기 등일 수 있으며, 인쇄장치(100)는 전자장치(200)로부터 수신된 검증 코드를 인쇄하여 인쇄 매체를 생성한다. 인쇄장치(100)는 종이, 컴팩트 디스크 등의 매체에 검증 코드를 출력하여 인쇄 매체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장치(200)는 인쇄장치(100) 및 서버(300) 등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전자장치(200)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유선 통신은 USB 등의 케이블 등을 이용할 수 있고,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BLE(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전자장치(200)는 오브젝트를 생산하는 생산자가 사용하는 장치로서, 컴퓨터, 태블릿 PC, 스마트 폰 등의 전자장치일 수 있다. 전자장치(200)는 생산자로부터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 이를 서버(300)로 전송한다.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는, 오브젝트가 정품임을 검증할 수 있는 정보로, 오브젝트의 생산일자, 오브젝트의 고유번호, 오브젝트의 규격, 오브젝트의 생산지, 생산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200)는 오브젝트 정보에 할당할 제1 코드를 생성한다. 제1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데이터 및 이미지데이터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일 수 있다. 특히, 제1 코드는 생산자의 특징을 나타낼 수 있는 캐릭터 등의 이미지데이터일 수 있고, 다양한 명도 또는 채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자장치(200)는 생성된 제1 코드를 암호화하기 위한 보안 키를 할당하고, 보안 키를 이용하여 제1 코드를 암호화한다. 전자장치(200)는 제1 코드를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때, 전자장치(200)는 제1 코드가 이미지데이터일 경우, 이미지데이터의 특징점을 분석하여 이미지데이터와, 분석결과인 특징점을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장치(200)는 제1 코드가 텍스트데이터일 경우, 텍스트데이터를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분석하여 텍스트데이터와, OCR분석결과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장치(200)는 보안 키를 포함하는 제2 코드를 생성한다. 제2 코드는, 큐알코드, 바코드 및 바운더리 코드 중 적어도 하나로 2가지의 명도만을 갖는 2진 코드일 수 있다. 전자장치(200)는 제2 코드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생성한다. 전자장치(200)는 제2 코드와 식별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한다. 전자장치(200)는 제1 코드와 제2 코드를 포함하는 검증 코드의 생성이 완료되면, 검증 코드를 인쇄장치(100)로 전송한다.
서버(300)는 전자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고, 전자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오브젝트 정보, 제1 코드, 제1 코드의 분석 결과, 보안 키, 제2 코드 및 식별정보를 매핑하여 매핑테이블을 생성한다. 서버(300)는 전자장치(200)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유선 통신은 USB 등의 케이블 등을 이용할 수 있고,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BLE(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자장치(200)와 서버(300)가 별개의 장치인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전자장치(200)와 서버(300)는 하나의 전자장치(200)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자장치(200)는 오브젝트 정보, 제1 코드, 제1 코드의 분석 결과, 보안 키, 제2 코드 및 식별정보를 매핑한 매핑테이블을 생성하여 전자장치(20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브젝트를 검증하기 위한 검증 코드를 생성하는 전자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200)는 통신부(210), 입력부(220), 표시부(230), 메모리(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전자장치(200)의 외부에 구비된 인쇄장치(100) 및 서버(30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210)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210)는 이동 통신망 또는 데이터 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에 접속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방식은 LTE(long term evolution),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20)는 전자장치(200)의 생산자 입력에 대응하여, 입력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입력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입력부(22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널(touch panel), 조그 셔틀(jog and shuttle), 터치 키(touch key) 및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입력부(220)가 스타일러스 펜일 경우, 생산자가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제1 코드로 사용할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직접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제3자가 제1 코드를 복제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표시부(230)는 전자장치(200)의 동작에 따른 화면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때, 표시부(23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등으로 구현된다. 표시부(230)는 입력부(220)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40)는 전자장치(200)의 동작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제1 코드로 사용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제2 코드로 사용할 수 있는 큐알코드, 바코드 및 바운더리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입력부(220)를 통해 오브젝트의 생산자로부터 검증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신호가 수신되면, 입력부(220)를 통해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는, 오브젝트의 생산일자, 오브젝트의 고유번호, 오브젝트의 규격, 오브젝트의 생산지, 생산자 정보 등 오브젝트가 정품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250)는 제1 코드를 생성한다. 제1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데이터 및 이미지데이터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일 수 있다. 특히, 제1 코드는 생산자의 특징을 나타낼 수 있는 캐릭터 등의 이미지데이터일 수 있다. 제1 코드는 입력부(220)를 통해 생산자로부터 입력될 수 있고, 입력부(220)를 통해 메모리(240)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오브젝트 정보에 생성된 제1 코드를 할당한다. 제어부(250)는 제1 코드가 이미지데이터일 경우, 이미지데이터를 분석하여 특징점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제1 코드가 텍스트데이터일 경우, 텍스트데이터를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분석하여 OCR분석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제1 코드를 암호화 및 복호화하기 위한 보안 키를 할당한다. 제어부(250)는 할당된 보안 키로 제1 코드를 암호화한다.
제어부(250)는 제1 코드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보안 키를 포함하는 제2 코드를 생성한다. 제2 코드는, 큐알코드, 바코드 및 바운더리 코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어부(250)는 제2 코드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생성한다. 제어부(250)는 제1 코드와 제2 코드를 포함하는 검증 코드의 생성이 완료되면 인쇄장치(100)에서 검증 코드를 인쇄하여 인쇄 매체로 생성하도록 검증 코드를 인쇄장치(100)로 전송한다. 제어부(250)는 서버(300)에서 오브젝트 정보, 제1 코드, 제1 코드의 분석결과, 보안 키, 제2 코드 및 식별정보로 매핑테이블을 생성하도록 오브젝트 정보, 제1 코드, 제1 코드의 분석결과, 보안 키, 제2 코드 및 식별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브젝트를 검증하기 위한 검증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01동작에서 전자장치(200)는 오브젝트의 생산자로부터 검증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신호가 수신되면 303동작을 수행한다. 301동작에서 전자장치(200)는 생성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생성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이때, 검증 코드는, 오브젝트가 정품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검증 코드를 의미할 수 있다. 303동작에서 전자장치(200)는 생산자로부터 정품 검증이 필요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는, 예컨대, 오브젝트의 생산일자, 오브젝트의 고유번호, 오브젝트의 규격, 오브젝트의 생산지, 생산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305동작에서 전자장치(200)는 입력된 오브젝트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한다. 307동작에서 서버(300)는 오브젝트 정보를 전송한다.
309동작에서 전자장치(200)는 제1 코드를 생성한다. 제1 코드는 텍스트데이터, 이미지데이터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일 수 있다. 특히, 제1 코드는 생산자의 특징을 나타낼 수 있는 캐릭터 등의 이미지데이터일 수 있다. 전자장치(200)는 제1 코드를 입력된 오브젝트 정보에 할당한다. 전자장치(200)는 제1 코드가 이미지데이터일 경우, 이미지데이터를 분석하여 특징점을 확인한다. 전자장치(200)는 제1 코드가 텍스트데이터일 경우, 텍스트데이터를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분석하여 OCR분석결과를 확인한다.
311동작에서 전자장치(200)는 제1 코드를 암호화할 수 있는 보안 키를 할당한다. 313동작에서 전자장치(200)는 보안 키를 이용하여 제1 코드를 암호화한다. 315동작에서 전자장치(200)는 제1 코드, 제1 코드의 분석결과를 서버(300)로 전송한다. 317동작에서 서버(300)는 전자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1 코드 및 제1 코드의 분석결과를 저장한다.
319동작에서 전자장치(200)는 제2 코드를 생성한다. 제2 코드는 암호화된 제1 코드의 복호화를 위해 311동작에서 할당된 보안 키를 포함한다. 321동작에서 전자장치(200)는 제2 코드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생성한다. 323동작에서 전자장치(200)는 제1 코드와 제2 코드를 포함하는 검증 코드의 생성이 완료됨이 확인되면 325동작을 수행한다. 323동작에서 전자장치(200)는 검증 코드의 생성이 완료됨이 확인되지 않으면 309동작으로 회귀하여 상기의 프로세스를 재수행할 수 있다.
325동작에서 전자장치(200)는 제2 코드 및 식별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한다. 327동작에서 전자장치(200)는 제2 코드 및 식별정보를 저장한다. 329동작에서 서버(300)는 오브젝트 정보, 제1 코드, 제1 코드의 분석결과, 보안키, 제2 코드 및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매핑테이블을 생성한다. 331동작에서 전자장치(200)는 생성이 완료된 검증 코드를 인쇄장치(100)로 전송한다. 333동작에서 인쇄장치(100)는 검증 코드를 포함하는 인쇄 매체를 출력한다. 생산자는 출력된 인쇄 매체를 오브젝트에 추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증 코드를 이용하여 오브젝트를 검증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40)은 오브젝트(400), 사용자 장치(500) 및 서버(600)를 포함한다.
오브젝트(400)는 검증 코드(420)가 인쇄된 인쇄 매체(410)가 추가된 제품이다. 오브젝트(400)는 인쇄 매체(410)가 부착, 삽입 등의 추가가 가능한 제품으로 주류, 식품류, 공산품류 등 다양한 분야의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500)는 오브젝트(400)를 구매하거나, 오브젝트(400)의 정품 여부를 확인하고 싶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전자장치로,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 카메라가 구비된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 장치(500)는 서버(600, 도 1에 도시된 서버(300)와 동일함) 등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장치(500)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유선 통신은 USB 등의 케이블 등을 이용할 수 있고,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BLE(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5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카메라(미도시)를 활성화하여 인쇄 매체(410)에 인쇄된 검증 코드(420)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획득한다. 사용자 장치(500)는 사용자 장치(500)에 표시된 영상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검증 코드(420)에서 제1 코드(510)와 제2 코드(520)를 확인한다. 사용자 장치(500)는 제2 코드(520)에 대응되는 식별정보를 확인한다. 사용자 장치(500)는 확인된 식별정보를 서버(600)로 전송하고, 서버(600)로부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보안 키를 수신한다. 사용자 장치(500)는 수신된 보안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제1 코드(510)의 복호화를 수행한다.
사용자 장치(500)는 복호화된 제1 코드(510)를 서버(600)로 전송한다. 사용자 장치(500)는 복호화된 제1 코드(510)가 이미지데이터일 경우, 이미지데이터를 분석하여 특징점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500)는 복호화된 제1 코드(510)가 텍스트데이터일 경우, 텍스트데이터를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분석하여 OCR분석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500)는 복호화된 제1 코드(510) 및 제1 코드(510)의 분석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서버(600)로 전송한다.
사용자 장치(500)는 제1 코드(510)에 대응되는 오브젝트 정보가 서버(600)에 저장된 상태가 아니면, 서버(600)로부터 오브젝트(400)는 정품이 아님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500)는 제1 코드(510)에 대응되는 오브젝트 정보가 서버(600)에 저장된 상태면, 서버(600)로부터 제1 코드(510)에 대응되는 오브젝트 정보를 수신한다. 사용자 장치(500)는 오브젝트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오브젝트 정보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전자장치(200)가 서버(300)에 전송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로, 오브젝트의 정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오브젝트의 생산일자, 오브젝트의 고유번호, 오브젝트의 규격, 오브젝트의 생산지, 생산자 정보일 수 있다.
서버(600)는 사용자 장치(5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서버(600)는 사용자 장치(500)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유선 통신은 USB 등의 케이블 등을 이용할 수 있고,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BLE(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서버(600)는 사용자 장치(500)로부터 제2 코드(520)에 대응되는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저장된 매핑테이블에서 식별정보에 매핑된 보안 키를 확인한다. 서버(600)는 확인된 보안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제1 코드(510)의 복호화를 수행하도록 보안 키를 사용자 장치(500)로 전송한다. 서버(600)는 사용자 장치(500)로부터 복호화된 제1 코드(510) 및 제1 코드(510)에 대한 분석결과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되면, 수신된 제1 코드(510)에 매핑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다.
서버(600)는 제1 코드(510)에 매핑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가 매핑테이블에 존재하지 않으면, 오브젝트(400)가 정품이 아님을 알리는 검증 실패 메시지를 사용자 장치(500)로 전송한다. 서버(600)는 제1 코드(510)에 매핑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가 매핑테이블에 존재하면,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장치(500)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 장치(500)가 서버(600)로 오브젝트(400)의 정품 여부 검증을 요청하고, 서버(600)로부터 정품 여부에 대한 결과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1 내지 도 3에서 전자장치(200)와 서버(300)가 하나의 전자장치(200)로 구성된 경우, 사용자 장치(500)는 전자장치(200)에 접속하여 오브젝트(400)의 정품 여부에 대한 검증 요청 및 검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아울러, 제3 자가 인쇄 매체(410)에 인쇄된 검증 코드(420)를 복제하기 위해서는 검증 코드(420)를 촬영 또는 스캔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1 코드(510)에 대한 명도 또는 채도 중 적어도 하나에 변화가 발생되어 제1 코드(510)가 훼손된다. 이때, 제2 코드(520)는 2가지의 명도만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명도 또는 채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변화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복제된 검증 코드에 포함된 제2 코드로부터 보안 키가 획득되더라도, 획득된 보안 키로 복제된 제1 코드의 복호화가 불가능하므로, 복제된 검증 코드를 이용한 오브젝트의 정품 확인이 불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증 코드를 이용하여 오브젝트를 검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501동작에서 사용자 장치(500)는 사용자로부터 오브젝트의 정품 여부에 대한 검증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503동작을 수행한다. 501동작에서 사용자 장치(500)는 검증요청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검증요청 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503동작에서 사용자 장치(500)는 검증요청 신호의 수신에 따라 사용자 장치(500)에 구비된 카메라(미도시)를 활성화하여 검증 코드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획득한다. 검증 코드는 인쇄 매체에 포함되고, 인쇄 매체는 오브젝트에 부착 또는 삽입 등을 통해 오브젝트에 추가될 수 있다.
505동작에서 사용자 장치(500)는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영상데이터 내에서 제1 코드와 제2 코드를 확인한다. 사용자 장치(500)는 영상데이터 내에서 텍스트데이터, 이미지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형성된 코드를 제1 코드로 확인하고, 큐알코드, 바코드 및 바운더리 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제2 코드로 확인한다. 507동작에서 사용자 장치(500)는 확인된 제2 코드를 분석하여 제2 코드에 대한 식별정보를 확인한다.
509동작에서 사용자 장치(500)는 확인된 식별정보를 서버(600)로 전송한다. 511동작에서 서버(600)는 도 3의 329동작에서와 같이 전자장치(200)에 의해 생성한 적어도 하나의 매핑테이블을 확인한다. 513동작에서 서버(600)는 매핑테이블의 확인결과 식별정보와 매핑된 보안 키를 추출한다. 보안 키는 암호화된 제1 코드를 복호화할 수 있는 키다. 515동작에서 서버(600)는 추출된 보안 키를 사용자 장치(500)로 전송한다.
517동작에서 사용자 장치(500)는 보안 키를 이용하여 제1 코드를 복호화한다. 사용자 장치(500)는 복호화된 제1 코드 및 제1 코드의 분석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서버(600)로 전송한다. 이때, 제1 코드의 분석결과는, 제1 코드가 이미지데이터일 경우, 이미지데이터에 대한 특징점일 수 있다. 제1 코드가 텍스트데이터일 경우, 텍스트데이터에 대한 OCR분석결과일 수 있다.
521동작에서 서버(600)는 제1 코드 및 제1 코드의 분석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매핑테이블에서 오브젝트 정보를 확인한다. 523동작에서 서버(600)는 매핑테이블 분석결과, 매핑테이블에 제1 코드 및 제1 코드의 분석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매핑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525동작을 수행한다. 525동작에서 서버(600)는 오브젝트가 정품이 아님을 알리는 검증실패 메시지를 사용자 장치(500)로 전송한다. 527동작에서 사용자 장치(500)는 검증실패 메시지를 출력한다.
523동작에서 서버(600)는 매핑테이블에 제1 코드 및 제1 코드의 분석결과 중 적어도 하나와 매핑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면, 529동작을 수행한다. 529동작에서 서버(600)는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장치(500)로 전송한다. 사용자 장치(500)는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 장치(500)는 오브젝트가 정품임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4)

  1. 전자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오브젝트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오브젝트 정보와 관련된 제1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코드의 특징점을 확인하는 동작;
    상기 전자장치가 암호화 및 복호화가 가능한 보안 키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코드를 암호화하는 동작;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제1 코드, 상기 제1 코드의 특징점 및 상기 보안 키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암호화된 제1 코드를 복호화할 수 있는 상기 보안 키를 추가하여 제2 코드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암호화된 제1 코드와 상기 제2 코드를 결합하여 상기 검증 코드를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오브젝트 정보, 상기 제1 코드, 상기 제1 코드의 특징점, 상기 제2 코드 및 상기 보안 키를 매핑하여 매핑테이블을 생성하도록 상기 제2 코드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코드의 특징점은,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검증 코드에서 확인된 제2 코드에 매핑된 보안 키를 수신하고, 상기 보안 키로 상기 검증 코드에 포함된 암호화된 제1 코드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제1 코드에 대한 제1 코드의 특징점과 상기 매핑테이블에 포함된 상기 제1 코드의 특징점이 동일할 경우, 상기 매핑테이블에서 상기 제1 코드의 특징점에 대응되는 오브젝트 정보의 존재유무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검증을 수행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코드의 특징점을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데이터 및 이미지데이터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상기 제1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텍스트데이터의 OCR분석 및 상기 이미지데이터의 특징점 분석을 통해 상기 제1 코드의 특징점을 확인하는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드를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장치가 큐알코드, 바코드 및 바운더리 코드 중 어느 하나의 코드에 상기 보안 키를 추가하여 상기 제2 코드를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제2 코드의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검증 코드의 생성이 완료되면, 상기 특정 오브젝트에 추가될 상기 검증 코드가 인쇄된 인쇄 매체를 출력하도록 상기 검증 코드를 인쇄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정품 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생산일자,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고유번호,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규격,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생산지 및 생산자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확인하는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사용자로부터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오브젝트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오브젝트 정보와 관련된 제1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코드의 특징점을 확인하고, 암호화 및 복호화가 가능한 보안키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코드를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제1 코드를 복호화할 수 있는 상기 보안 키를 추가하여 제2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암호화된 제1 코드와 상기 제2 코드를 결합하여 상기 검증 코드를 생성하고, 서버에서 상기 오브젝트 정보, 상기 제1 코드, 상기 제1 코드의 특징점, 상기 제2 코드 및 상기 보안 키를 매핑하여 매핑테이블을 생성하도록 상기 오브젝트 정보, 상기 제1 코드, 상기 제1 코드의 특징점, 상기 제2 코드 및 상기 보안 키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코드의 특징점은,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검증 코드에서 확인된 제2 코드에 매핑된 보안 키를 수신하고, 상기 보안 키로 상기 검증 코드에 포함된 암호화된 제1 코드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제1 코드에 대한 제1 코드의 특징점과 상기 매핑테이블에 포함된 상기 제1 코드의 특징점이 동일할 경우, 상기 매핑테이블에서 상기 제1 코드의 특징점에 대응되는 오브젝트 정보의 존재유무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검증을 수행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데이터 및 이미지데이터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제1 코드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큐알코드, 바코드 및 바운더리 코드 중 어느 하나의 코드에 상기 보안 키를 추가하여 상기 제2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코드의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증 코드의 생성이 완료되면, 상기 특정 오브젝트에 추가될 상기 검증 코드가 인쇄된 인쇄 매체를 출력하도록 상기 검증 코드를 인쇄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는,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정품 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생산일자,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고유번호,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규격,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생산지 및 생산자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KR1020160166076A 2016-12-07 2016-12-07 오브젝트를 검증하기 위한 검증 코드 생성 방법 및 전자장치 KR101945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076A KR101945931B1 (ko) 2016-12-07 2016-12-07 오브젝트를 검증하기 위한 검증 코드 생성 방법 및 전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076A KR101945931B1 (ko) 2016-12-07 2016-12-07 오브젝트를 검증하기 위한 검증 코드 생성 방법 및 전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375A KR20180065375A (ko) 2018-06-18
KR101945931B1 true KR101945931B1 (ko) 2019-02-08

Family

ID=62767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6076A KR101945931B1 (ko) 2016-12-07 2016-12-07 오브젝트를 검증하기 위한 검증 코드 생성 방법 및 전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59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33473B2 (en) * 2018-09-20 2020-08-04 Uber Technologies Inc. Object verification for a network-based ser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582B1 (ko) * 2014-07-07 2015-06-10 (주)어비트 이중보안키를 이용한 정품확인시스템 및 정품확인방법
KR101543457B1 (ko) * 2014-11-04 2015-08-11 장한봉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위조방지를 위한 인증라벨을 이용하는 정품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1643380B1 (ko) * 2015-07-29 2016-07-27 주식회사 렌텍코리아 정품 인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676846B1 (ko) * 2016-06-29 2016-11-17 주식회사 블랙라벨 상호 검증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375A (ko) 201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29969B (zh) 一种利用nfc查伪溯源的方法及系统
KR101476732B1 (ko) 정품인증라벨, 이를 이용하는 정품인증단말, 정품인증라벨 출력 장치, 정품인증 시스템 및 방법
US10453105B2 (en) Encrypted payment image
US10679023B2 (en) Two-dimensional code, two-dimensional code output system, two-dimensional code output method, two-dimensional code reading system, and two-dimensional code reading method
JP5869733B2 (ja) 認証サーバ、認証システム、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941302A (zh) 净水设备、滤芯、滤芯防伪装置及方法
KR102178179B1 (ko) 모바일 신분증 관리 장치 및 사용자 단말기
US9066027B2 (en) Picture delivering system based on visual cryptography and related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2033621B1 (ko) Qr 코드 위변조 탐지 시스템
CN106712952B (zh) 一种射频标签安全识别方法和系统
KR101638787B1 (ko) 위치정보와 단말기 고유번호 기반의 모바일 티켓 보안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45931B1 (ko) 오브젝트를 검증하기 위한 검증 코드 생성 방법 및 전자장치
JP2007164290A (ja) 判定システム、生成装置、判定装置及び判定方法等
KR101983680B1 (ko)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9672505B2 (en) Method for verifying the authenticity of a terminal, corresponding device and program
TW201443799A (zh) 行動通訊裝置結合二維條碼進行金融憑證交易系統及方法
KR20150044150A (ko) 문서 이미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US7823779B2 (en) Complimentary optical image and radio frequency signal processing
JP2007166519A (ja) 判定システム、生成装置、判定装置及び判定方法等
KR101639045B1 (ko) 암호화된 전자 영수증 발급 방법 및 시스템
JP2013190610A (ja) 表示装置及び配信システム
JPWO2020090088A1 (ja) エンコード方法、デコード方法、エンコーダ及びデコーダ
KR102432106B1 (ko) 간편 결제를 위해 이차원 바코드를 이용하는 정보 송수신 방법
KR102121190B1 (ko) 광학 판독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인증 단말
KR20170121737A (ko) 카메라를 이용한 비대면 인증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