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6732B1 - 정품인증라벨, 이를 이용하는 정품인증단말, 정품인증라벨 출력 장치, 정품인증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정품인증라벨, 이를 이용하는 정품인증단말, 정품인증라벨 출력 장치, 정품인증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6732B1
KR101476732B1 KR1020130071531A KR20130071531A KR101476732B1 KR 101476732 B1 KR101476732 B1 KR 101476732B1 KR 1020130071531 A KR1020130071531 A KR 1020130071531A KR 20130071531 A KR20130071531 A KR 20130071531A KR 101476732 B1 KR101476732 B1 KR 101476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duct
check digit
label
specific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1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3520A (ko
Inventor
박삼식
Original Assignee
박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삼식 filed Critical 박삼식
Publication of KR20130143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3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381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dentifiers, e.g. barcodes,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95Pattern authentication; Markers therefor; Forgery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품인증라벨, 이를 이용하는 정품인증단말, 정품인증라벨 출력 장치, 정품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정품인증라벨은 제조자 고유정보가 삽입되는 제조자 고유정보 필드;제품 고유정보가 삽입되는 제품 고유정보 필드;상기 제조자 고유정보와 제품 고유정보가 각각 미리 정해진 연산을 통해 체크 디지트값으로 변환된 후 암호화되어 미리 설정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복호화가 가능한 암호화정보를 포함하는 패턴코드가 삽입되는 패턴코드 필드;라벨의 인식범위 및 인식방향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식포인트가 삽입되는 인식포인트 필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소비자가 정품인증라벨 및 소비자단말을 이용하여 직접 정품 인증을 받고, 정품 인증 정보를 등록서버에 등록할 수 있어, 불법 복제품의 유통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정품인증라벨, 이를 이용하는 정품인증단말, 정품인증라벨 출력 장치, 정품인증 시스템 및 방법{CERTIFICATING QUALIFYING GOODS LABEL, CERTIFICATING QUALIFYING GOODS TERMINAL THEREOF, CERTIFICATING QUALIFYING GOODS LABEL PRINTER, THE SYSTEM AND METHOD FOR CERTIFICATING QUALIFYING GOODS}
본 발명은 정품인증라벨, 이를 이용한 정품인증단말, 정품인증라벨 출력 장치, 정품 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품 고유의 정품인증라벨과, 전용 어플리케이션으로 정품인증라벨을 판독하여 제품이 정품임을 인증하는 정품인증단말과, 제품 고유의 정품인증라벨을 출력하는 정품인증라벨 출력 장치와, 정품인증라벨, 정품인증단말 등을 이용하여 제품이 정품인지 인증하고, 제품의 정품 인증 정보를 등록서버에 등록할 수 있는 정품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비자는 제품의 구매시에 해당 제품이 정품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싶어하며, 특히 유명 브랜드 상품이나 세계적 명품, 골동품, 수제품 등과 같은 고급, 고가의 제품을 구매하는 경우에는 정품 확인에 대한 욕구가 매우 높은 것이 사실이다.
또한, 제조자는 자신의 제품을 타인이 모방하여 유통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소비자가 회사와 제품에 대해 신뢰할 수 있도록, 제품이 정품임을 인증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
제품의 모조 방지를 위하여, 제조자는 특정한 식별수단(상표, 홀로그램, 전화 확인코드 등)을 상품에 표기하여 제공하고 있으나, 해당 상품의 외관은 물론 식별수단까지 모방한 위조상품이 유통되고 있기 때문에, 일반 소비자는 전문가의 도움 없이 제품 자체의 외관상으로 모조품과 정품을 구분해 내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마크, 로고 등에 의한 정품 확인방법은 아무리 정교하고 특수한 로고, 표시라 하더라도 모방 또는 도용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정품 제품이라고 할지라도 상표 및 로고가 유사한 제품이 존재하므로, 소비자가 원래 구매하고자 했던 제품이 아닌 유사 제품을 혼동하여 구매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즉, 소비자는 제품의 상표 및 로고와 제품 포장에 적힌 간단한 설명만을 보고 제품을 구별해야하므로, 구매하고자하는 정확한 상표를 쉽게 구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정품 확인 방법은, 제품의 고유 코드번호를 조회하고, 올바른 코드인지 단순 대조하여 정품임을 확인하는데 그쳐, 코드번호 및 바코드 등을 똑같이 복제한 복제품의 경우 정품 제품으로 조회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품에 고유하게 부착되어 제품이 정품임을 인증하는 정품 인증라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 고유의 정품인증라벨을 해독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제품이 정품임을 인증하고, 제품의 정품 인증 정보를 등록서버에 등록하는 정품인증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조자 고유정보와, 제품 고유정보와, 제조자 고유정보 및 상기 제품 고유정보를 각각 미리 정해진 연산을 통해 다른 값을 가지도록 변환한 암호화정보를 부호화하여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서만 해독되는 패턴코드 등이 조합된 인증라벨을 출력하는 정품인증라벨 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품이 정품임을 인증하는 고유의 인증라벨을 제품일측에 부착하고, 인증라벨을 해독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소비자단말을 통해 제품이 정품임을 인증하고, 정품 인증 정보를 등록서버에 등록할 수있도록 구성되는 정품인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품에 부착된 고유의 인증라벨 및 인증라벨을 해독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소비자단말을 이용하여, 제품이 정품임을 인증하고 등록서버에 등록하는 정품인증 시스템을 이용한 정품인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품인증라벨은 제조자 고유정보가 삽입되는 제조자 고유정보 필드;제품 고유정보가 삽입되는 제품 고유정보 필드;상기 제조자 고유정보와 제품 고유정보가 각각 미리 정해진 연산을 통해 체크 디지트값으로 변환된 후 암호화되어 미리 설정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복호화가 가능한 암호화정보를 포함하는 패턴코드가 삽입되는 패턴코드 필드;라벨의 인식범위 및 인식방향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식포인트가 삽입되는 인식포인트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패턴코드 필드에 삽입되는 패턴 코드에 포함되는 암호화정보는,상기 제조자 고유정보를 이용한 다중의 체크 디지트값을 암호화한 정보와 상기 제품 고유정보를 이용한 다중의 체크 디지트값을 암호화한 정보가 결합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패턴코드 필드에 삽입되는 패턴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체크 디지트값은,상기 제조자 고유정보에 인증 라벨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서버로부터 설정된 숫자열을 이용한 연산으로 다중의 체크 디지트값으로 변환한 값들과,상기 제품 고유정보에 인증 라벨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서버로부터 설정된 숫자열을 이용한 연산으로 다중의 체크 디지트값으로 변환한 값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패턴코드 필드에 삽입되는 패턴 코드를 생성하기 위하여,상기 인증 라벨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서버로부터 설정되는 숫자열, 숫자열의 크기, 숫자열의 변화 방식, 연산 규칙의 변화, 연산 횟수는 제조사별 또는 제품별 또는 주기별 또는 등록서버 관리사의 선택에 의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품인증단말은 제품에 부착되는 고유의 인증라벨을 판독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과, 등록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송수신되는 각종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구동부;인증라벨을 촬영하여 상기 인증라벨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부;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정을 조작하기 위한 입력부;상기 제품의 정품 인증 및 정품 인증 정보 등록 과정을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상기 등록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라벨은 제조자 고유정보에 인증 라벨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서버로부터 설정된 숫자열을 이용한 연산으로 다중의 체크 디지트값으로 변환한 값들과, 제품 고유정보에 인증 라벨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서버로부터 설정된 숫자열을 이용한 연산으로 다중의 체크 디지트값으로 변환한 값들을 암호화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정품인증단말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획득된 인증라벨의 이미지에서 제조자 고유정보 및 제품 고유정보를 인식하여 체크 디지트값으로 변환하고,상기 변환된 체크 디지트값과 상기 인증라벨에 포함된 암호화 정보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제조자 고유정보 및 제품 고유정보를 복호화하여 변환된 체크 디지트값이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1차적으로 정품 인증한 후,상기 제조자 고유정보 및 제품 고유정보를 포함한 제품정보를 등록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제품에 대한 정품인증 정보가 기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2차적으로 정품 인증하고, 기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품에 대한 정품인증 정보의 등록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품인증라벨 출력 장치는 다중 체크 디지트 값을 포함하는 인증라벨을 출력하는 장치에 있어서,인증라벨의 생성에 사용되는 제조자 고유정보를 관리하는 제조자 고유정보 관리부;인증라벨의 생성에 사용되는 제품 고유정보를 관리하는 제품 고유정보 관리부;상기 제조자 고유정보 및 제품 고유정보를 각각 미리 정해진 연산을 통해 체크 디지트 값으로 변환하는 체크 디지트 연산부;상기 체크 디지트 연산부에서 변환된 체크 디지트 값을 다시 암호화정보로 변환하는 체크 디지트 암호화부;상기 체크 디지트값이 변환되어 생성된 암호화정보를 격자무늬 패턴코드로 부호화하는 패턴 코드 생성부;상기 제조자 고유정보 및 제품 고유정보를 이용하여 체크 디지트값을 생성하고, 암호화 및 부호화를 제어하는 제어부;암호화 및 부호화되어 생성된 인증 라벨을 출력하는 인증 라벨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정품인증라벨 출력 장치는, 인증 라벨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인증 라벨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서버와 송수신하기 위한 인증 라벨 정보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 관리부는 제조자 고유정보를 인증 라벨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서버로부터 받고, 상기 제품 고유정보 관리부는 제품 고유정보를 인증 라벨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서버로부터 받거나, 자체에서 생성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체크 디지트 연산부는,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와 인증 라벨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서버로부터 설정된 숫자열을 이용한 연산으로 다중의 체크 디지트값으로 변환한 값들 및,상기 제품 고유정보와 인증 라벨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서버로부터 설정된 숫자열을 이용한 연산으로 다중의 체크 디지트값으로 변환한 값들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체크 디지트 암호화부에서 출력되는 암호화 정보는,상기 제조자 고유정보를 이용한 다중의 체크 디지트값을 암호화한 정보와 상기 제품 고유정보를 이용한 다중의 체크 디지트값을 암호화한 정보가 결합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품인증시스템은 제조자 고유정보를 이용한 다중의 체크 디지트값을 암호화한 정보와 상기 제품 고유정보를 이용한 다중의 체크 디지트값을 암호화한 정보가 결합 된 암호화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라벨;상기 인증라벨을 인증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인증라벨의 제조자 고유정보 및 제품 고유정보를 인식하여 체크 디지트 값으로 변환하고,상기 변환된 체크 디지트값과 상기 암호화정보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제조자 고유정보 및 제품 고유정보를 복호화하여 변환된 체크 디지트값을 비교하여 1차적으로 정품 인증한 후,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 및 제품 고유정보를 포함한 제품정보를 등록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제품에 대한 정품 인증 정보가 기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2차적으로 정품 인증하는 소비자단말;상기 소비자단말로부터 전송된 제품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의 정품 인증 정보가 제품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그 확인결과를 상기 소비자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정품인증 정보의 등록요청에 따라 상기 정품인증 정보를 상기 제품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등록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인증라벨은, 제조자 고유정보와,제품 고유정보와,상기 제조자 고유정보와 인증 라벨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서버로부터 설정된 숫자열을 이용한 연산으로 다중의 체크 디지트값으로 변환한 값들 및, 상기 제품 고유정보와 인증 라벨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서버로부터 설정된 숫자열을 이용한 연산으로 다중의 체크 디지트값으로 변환한 값들이 암호화된 정보들을 포함하는 패턴코드와,라벨의 인식범위 및 인식방향을 표시하는 인식포인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제품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소비자 단말은,제품에 부착되는 고유의 인증라벨을 판독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과, 등록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송수신되는 각종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구동부와,인증라벨을 촬영하여 상기 인증라벨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부와,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정을 조작하기 위한 입력부와,상기 제품의 정품 인증 및 정품 인증 정보 등록 과정을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와,상기 등록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제어하고 제품의 정품 인증 및 정품 인증 정보 등록 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정품 인증 시스템은,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업로드하는 어플리케이션 업로드장치와,상기 어플리케이션 업로드장치로부터 업로드된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내부저장소에 저장되는 어플리케이션 등록서버를 더 포함하고,상기 소비자단말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등록서버로부터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품 인증 방법은 암호화된 체크 디지트 값을 포함하는 인증라벨을 인증하기 위하여,소비자단말에서, 상기 인증라벨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제조자 고유정보 및 제품 고유정보를 인식하는 단계;상기 인증라벨을 인증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소비자 단말에서 구동하여 상기 인식된 제조자 고유정보 및 제품 고유정보와 인증 라벨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서버로부터 설정된 숫자열을 이용한 연산을 통하여 체크 디지트값으로 변환하는 단계;상기 변환된 체크 디지트값과 상기 인증라벨의 암호화되어 있는 체크 디지트 값을 복호화하여 비교하여 1차적으로 정품 인증을 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소비자단말에서,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 및 제품 고유정보를 포함한 정품인증정보를 등록서버에 전송하여 2차적으로 정품 인증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소비자단말에서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 및 제품 고유정보를 포함한 제품정보를 등록서버에 전송되면,등록서버는, 상기 정품인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품의 정품 인증 정보가 제품데이터베이스에 기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상기 제품데이터베이스에 기 등록되어 있으면 기 등록 제품임을 상기 소비자단말로 알리는 단계와,상기 제품데이터베이스에 기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품이 정품임을 2차적으로 인증하여 상기 소비자단말로 알리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등록서버에서 2차 정품 인증이 이루어지면 소비자단말은,상기 등록서버로 상기 제품의 정품 인증 정보의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인증라벨은,제조자 고유정보와,제품 고유정보와,상기 제조자 고유정보와 인증 라벨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서버로부터 설정된 숫자열을 이용한 연산으로 다중의 체크 디지트값으로 변환한 값들 및, 상기 제품 고유정보와 인증 라벨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서버로부터 설정된 숫자열을 이용한 연산으로 다중의 체크 디지트값으로 변환한 값들이 암호화된 정보들을 포함하는 패턴코드와,라벨의 인식범위 및 인식방향을 표시하는 인식포인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제품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패턴코드의 생성을 위하여,인증 라벨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서버로부터 설정되는 숫자열, 숫자열의 크기, 숫자열의 변화 방식, 연산 규칙의 변화, 연산 횟수는 제조사별 또는 제품별 또는 주기별 또는 등록서버 관리사의 선택에 의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정품 인증 과정에서 정품 인증 라벨을 복제한 경우의 식별은, 시계열적인 분석, 패턴 분석, 경로 분석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분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시계열적인 분석은 조회 회차, 조회 장소, 조회 시간 항목의 체크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 분석은 조회 빈도 분석, 지점 분포수 분석 항목의 체크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경로 분석은 소요 시간, 이동지점, 이동 회수 항목을 체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정품인증라벨, 이를 이용한 정품인증단말, 정품인증라벨 출력 장치, 정품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는 제조자 고유정보와, 제품 고유정보와, 제조자 고유정보 및 상기 제품 고유정보를 각각 미리 정해진 연산을 통해 다른 값을 가지도록 변환한 암호화정보를 부호화하여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서만 해독되는 패턴코드 등이 조합된 인증라벨이 구비된다.
제품에 부착된 인증라벨은, 해당 인증라벨을 인식하고 해독할 수 있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소비자단말에 의해서, 제품이 정품임을 인증하고 등록 서버에 접속하여, 제품의 정품인증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가 스마트폰에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은 후, 제품에 부착된 인증라벨을 인식시켜 간편하게 직접 해당 제품이 정품임을 인증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조자 고유정보와, 제품 고유정보와, 제조자 고유정보 및 상기 제품 고유정보를 각각 미리 정해진 연산을 통해 다른 값을 가지도록 변환한 암호화정보를 부호화하여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서만 해독되는 패턴코드 등이 조합된 인증라벨을 출력하는 정품인증라벨 출력 장치를 제공하여 제조자가 직접 정품인증라벨을 출력하여 제품에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정품 인증을 받은 제품을 등록서버에 등록하여, 인증라벨을 복제한 불법 복제 제품이 추후에 유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등록서버를 통해 해당 제품의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므로, 소비자는 해당 제품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구매를 원하는 정확한 상표를 쉽게 구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비자가 직접 구매한 제품이 정품임을 인증하고, 등록서버에 인증 정보를 등록하도록 하여, 인증라벨을 그대로 복제한 복제품의 유통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품 인증 시스템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품인증라벨(인증라벨)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품인증라벨(인증라벨)의 생성 및 출력을 위한 출력 장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품인증라벨(인증라벨) 생성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품인증라벨(인증라벨)의 패턴코드가 포함하는 암호화정보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품인증단말(소비자단말) 구성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품인증단말(소비자단말)의 1차 정품 인증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정품 인증 시스템을 이용한 정품 인증 방법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정품 인증 라벨 복제시의 식별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정품인증라벨, 이를 이용한 정품인증단말, 정품인증라벨 출력 장치, 정품인증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정품인증라벨, 이를 이용한 정품인증단말, 정품인증라벨 출력 장치, 정품인증 시스템 및 방법의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의 각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품 인증 시스템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품인증라벨(인증라벨)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정품 인증 시스템은, 제품의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제품이 정품임을 인증하는 정품인증라벨(100)(이하, '인증라벨'이라 칭함)과,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제품에 부착된 인증라벨(100)을 인식, 판독하여 정품임을 인증하는 정품인증단말(200)(이하, '소비자단말'이라 칭함)과, 소비자단말(200)의 정품인증 정보 등록요청에 따라 정품인증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서버(300)와, 유무선 통신망(400) 등으로 구성된다.
제품에는 인증라벨(100)이 부착된다. 상기 인증라벨(100)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자 고유정보(110)와, 제품 고유정보(120)와, 패턴코드(140) 및 인식포인트(15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는 상기 인증라벨(100)의 제조자 고유정보 필드에 삽입된다.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는 하나의 제조자에 고유하게 부여되며, 제품의 정품 인증 및 제품의 정보 조회 등에 이용된다.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는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한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의 조합으로 표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는 상기 인증라벨(100)의 상단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품 고유정보(120)는 상기 인증라벨(100)의 제품 고유정보 필드에 삽입된다. 상기 제품 고유정보(120)는 하나의 제품에 고유하게 부여되며, 제품의 정품 인증 및 제품의 정보 조회 등에 이용된다. 상기 제품 고유정보(120)는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한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의 조합으로 표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20)는 상기 인증라벨(100)의 하단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패턴코드(140)는 상기 인증라벨(100)의 패턴코드 필드에 삽입된다. 상기 패턴코드(140)는 제품의 정품 여부를 판별하는 코드로,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 및 제품 고유정보(120)를 이용하여 제품의 정품여부를 판별하는데 이용된다.
도 2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상기 패턴코드(140)는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와 상기 제품 고유정보(120)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패턴코드(140)는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 및 제품 고유정보(120)가 각각 미리 정해진 연산을 통해 체크 디지트(digit)값으로 변환된 후 암호화된 정보가 흑백의 격자무늬 패턴으로 부호화되어 삽입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정품인증라벨을 출력하기 위한 정품인증라벨 출력 장치 및 정품인증라벨 출력 장치에서 제조자 고유정보 및 상기 제품 고유정보를 각각 미리 정해진 연산을 통해 다른 값을 가지도록 변환한 암호화정보를 부호화하여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서만 해독되는 패턴코드 등이 조합된 인증라벨을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품인증라벨(인증라벨)의 생성 및 출력을 위한 출력 장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품인증라벨(인증라벨) 생성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품인증라벨(인증라벨)의 패턴코드가 포함하는 암호화정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품인증라벨(인증라벨)의 생성 및 출력을 위한 출력 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3에서와 같이, 인증라벨의 생성에 사용되는 제조자 고유정보를 관리하는 제조자 고유정보 관리부(610)와, 인증라벨의 생성에 사용되는 제품 고유정보를 관리하는 제품 고유정보 관리부(620)와,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 및 제품 고유정보를 각각 미리 정해진 연산을 통해 체크 디지트(digit)값으로 변환하는 체크 디지트 연산부(630)와, 체크 디지트 연산부(630)에서 변환된 체크 디지트(digit)값을 다시 암호화정보로 변환하는 체크 디지트 암호화부(640)와, 상기 체크 디지트(digit)값이 변환되어 생성된 암호화정보를 흑백의 격자무늬 패턴코드로 부호화하는 패턴 코드 생성부(650)와,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 및 제품 고유정보를 이용하여 체크 디지트값을 생성하고, 암호화 및 부호화를 제어하는 제어부(660)와, 도 2에서와 같이 암호화 및 부호화되어 생성된 인증 라벨을 출력하는 인증 라벨 출력부(67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인증라벨 출력장치는 인증 라벨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인증 라벨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서버와 송수신하기 위한 인증 라벨 정보 송수신부(6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조자 고유정보 관리부(610)는 제조자 고유정보를 인증 라벨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서버로부터 받을 수도 있다.
또한, 제품 고유정보 관리부(620)는 제품 고유정보를 인증 라벨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서버로부터 받을 수도 있고, 자체에서 생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인증라벨 출력장치에서 인증라벨을 생성하고 출력하는 과정은 도 4에서와 같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턴코드(140)의 생성을 위해서 먼저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 X) 및 제품 고유정보(120, Y)가 각각 미리 정해진 연산을 통해 체크 디지트(digit)값(X1, Y1)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상기 체크 디지트값(X1, Y1)은 다시 암호화정보(X', Y')로 변환된다. 그리고, 상기 암호화정보(X', Y')는 흑백의 격자무늬 패턴코드로 부호화된다.
상기 패턴코드(140)의 생성을 위해서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 X) 및 제품 고유정보(120, Y)는 최소한 한 차례 또는 여러 차례의 연산을 통하여 다중의 체크 디지트값(X1, Y1)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상기 체크 디지트값(X1, Y1)은 다시 다중의 암호화정보(X', Y')로 변환된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턴코드(140)에는 여섯자리의 암호화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여섯자리 암호화정보 중에서 앞자리 세자리는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가 변환되어 생성될 수 있으며, 뒷자리 세자리는 상기 제품 고유정보(120)가 변환되어 생성될 수 있다.
상기의 예와 같이 세자리의 암호화정보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세 개의 다른 숫자를 이용한 세 번의 연산이 수행된다. 즉,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에 인증 라벨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서버로부터 설정된 숫자열을 이용한 연산을 수행하여 하나의 체크 디지트값이 생성되며, 숫자열을 변화시켜 총 세 번의 연산을 수행하여 총 세 개의 체크 디지트값이 생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크 디지트값 각각이 암호화 정보로 변환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패턴코드(140)의 생성에 있어서, 인증 라벨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서버로부터 설정되는 숫자열, 숫자열의 크기, 숫자열의 변화 방식, 연산 규칙의 변화, 연산 횟수는 제조사별 또는 제품별 또는 주기별 또는 등록서버 관리사의 선택에 의해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5의 실시예와 같이, 제조자 고유정보가 SA-20115806인 경우의 체크 디지트값 생성을 위한 다중 연산의 실시 예는 다음과 같다.
(1) 제1 체크 디지트값 : 인증 라벨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서버로부터 설정된 숫자열 173을 이용한 연산
2 0 1 1 5 8 0 6
1단계 7 3 1 7 3 1 7 3
2단계 14 0 1 7 15 8 0 18
3단계 (1+4) 0 1 7 (1+5) 8 0 (1+8) 36
4단계 4
1단계 : 제조자 고유정보의 각 자리에 숫자 173이 뒷자리부터 차례로 교번하여 대입된다.
2단계 : 제조자 고유정보의 각 자리와, 제조자 고유정보의 각 자리에 대응되는 숫자가 곱해진다.
3단계 : 2단계에서 구해진 곱셈값의 10의 자리와 1의 자리가 분리되어 모두 더해진다.
4단계 : 3단계에서 구해진 덧셈값(36)의 일의 자리(6)에 대한 10의 보수(4)가 구해진다. 즉, 4단계에서 구해진 보수(4)가 제1 체크 디지트값이 된다.
제2 체크 디지트값은 설정된 숫자열 731을 이용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구해질 수 있으며, 제3 체크 디지트값은 설정된 숫자열 317을 이용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구해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체크 디지트값을 구하는 방법은 상기한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적용 분야 및 특성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구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제품 고유정보(120)의 체크 디지트값은, 상기 제조자 고유 정보(110)의 체크 디지트값 생성의 연산 예와 같이 인증 라벨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서버로부터 설정된 숫자열 이용한 연산을 통해 총 세 개의 체크 디지트값이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는 제조자 고유정보(110) 및 제품 고유정보(120) 중에서 숫자부분만 추출하여 체크 디지트값을 생성하였으나, 다른 문자나 기호 등도 미리 정해진 숫자로 변환하여 체크 디지트값을 생성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의 체크 디지트값과 상기 제품 고유정보(120)의 체크 디지트값은 다른 숫자, 문자 도는 기호 등의 암호화정보로 변환된다.
즉, 도 5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상기 체크 디지트값은 "ABCXYZ"의 암호화정보로 변환될수 있으며, 변환된 암호화정보가 상기 패턴코드(140)로 부호화되어 상기 인증라벨(100)에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인증 라벨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서버로부터 설정된 숫자열은 각 제품별로 다르게 적용되거나, 기간별로 변경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설정된 숫자열은 제품의 정품 인증시에 다시 사용되므로, 이를 위하여 제품별 설정 숫자열이 별도로 저장되는 것이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패턴코드(140)는 미리 설정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서만 복호화될 수 있다. 즉, 상기 패턴코드(140)는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암호화정보(X', Y')로 판독된 후 상기 판독된 암호화정보(X', Y')가 체크 디지트값(X2, Y2)으로 복호화된다.
그리고 상기 인증라벨(100)의 인식포인트 필드에는 인식포인트(150)가 삽입된다.
상기 인식포인트(150)는 상기 인증라벨(100)의 인식범위 및 인식방향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인증라벨(100)의 이미지 인식 범위를 한정하고, 상기인증라벨(100)이 어느 방향에서 촬영되더라도 정방향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방향을 표시한다.
도 2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상기 인식포인트(150)는 상기 인증라벨(100) 상단의 좌우측 모퉁이와, 하단의 좌우측 모퉁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모퉁이에 각각 표기될 수 있다. 그리고, 원문양의 중심에 십자선이 표시된 기호로써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증라벨(100)은 복제가 불가능 하도록 특수용지로 제작되거나 홀로그램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특수용지는 육안으로는 볼 수 없으나 복사, 스캔, 팩스 시에 문자나 비표가 표시되어 복제 사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특수처리된 용지이다. 그리고, 상기 홀로그램은, 복사, 스캔, 팩스 시에 검정색으로 표시되어 복제사실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는 인증라벨(100)이 제품의 일측에 부착되는 것을 예시로 하였으나, 다양하게 제품에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품의 포장 인쇄시에 상기 인증라벨(100)의 이미지를 부가하여 동시에 인쇄할 수 있다. 또는, 상표 라벨의 인쇄시에 상기 인증라벨(100)의 이미지를 부가하여 동시에 인쇄하여 제품에 부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인증라벨(100)만을 스티커 형태의 라벨로 인쇄하여 제품의 일측에 부착할 수도 있다.
상기 인증라벨(100)은, 아래에서 설명할 소비자단말(200)에 의하여 인식된다. 그리고, 상기 소비자단말(200)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실행시킬 수 있는 스마트폰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품인증단말(소비자단말)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품인증단말(소비자단말)의 1차 정품 인증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비자단말(200)은 각종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210)와,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구동부(220)와, 상기 인증라벨(100)을 촬영하는 카메라부(230)와,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정을 조작하기 위한 입력부(240)와, 상기 제품의 정품 인증 및 정품 인증 정보 등록 과정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250)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260)와, 소비자단말(2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70) 등을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부(210)에는 상기 인증라벨(100)을 인식하고 판독할 수 있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부에는 상기 소비자단말(200)과 후술할 등록서버(300) 간의 통신에 의해 송수신되는 각종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구동부(220)는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카메라부(230)는 상기 인증라벨(100)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인증라벨(100)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상기 메모리부(210)에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입력부(240)는,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여러 버튼으로써 소비자에 의하여 조작되며, 상기 소비자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정을 선택적으로 조작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50)는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화면으로써, 상기 제품의 정품 인증 및 정품 인증 정보 등록 과정을 소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통신부(260)는 후술할 등록서버(300)와의 통신을 통해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소비자단말(200)의 각 기능의 동작 및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비자단말(200)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인증라벨(100)의 제조자 고유정보(110, X) 및 제품 고유정보(120, Y)를 인식하고, 미리 정해진 연산을 통해 체크 디지트값(X1, Y1)으로 변환한다.
또한, 상기 소비자단말(200)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패턴코드(140)로부터 암호화정보(X', Y')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된 제조자 고유정보(110, X) 및 제품 고유정보(120, Y)의 암호화정보(X', Y')를 복호화하여 체크 디지트값(X2, Y2)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 및 제품 고유정보(120)로부터 구해진 체크 디지트값(X1, Y1)과 상기 패턴코드(140)로부터 구해진 체크 디지트값(X2, Y2)을 대조하여 1차적으로 정품 인증을 한다.
즉,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 및 제품 고유정보(120)로부터 구해진 체크 디지트값(X1, Y1)과 상기 패턴코드(140)로부터 구해진 체크 디지트값(X2, Y2)이 각각 일치(X1=X2 and Y1=Y2)하는 경우에 제품이 정품임을 1차적으로 인증하고 정품인증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소비자단말(200)은 제품의 1차 정품 인증 후에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 및 제품 고유정보(120)를 포함한 제품정보를 아래에서 설명할 등록서버(300)에 전송한다. 상기 등록서버(300)로 전송되는 제품정보에는,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 제품 고유정보(120), 상기 소비자단말(200)의 고유번호, 맥주소(Mac address), 서버 최초 접속시각, 서버 총 접속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등록서버(300)에 상기 제품에 대한 정품인증 정보가 기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2차적으로 정품 인증하고, 기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품에 대한 정품인증 정보의 등록을 요청한다.
상기 제품의 정품인증 정보는 등록서버(300)에 등록된다. 상기 등록 서버(300)는, 상기 소비자단말(200)로부터 전송된 제품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의 정품인증 정보가 제품데이터베이스(310)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그 확인결과를 상기 소비자단말(2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소비자단말(200)로부터 전송된 상기 정품인증 정보의 등록요청에 따라 상기 정품인증 정보를 상기 제품데이터베이스(310)에 등록한다.
상기 소비자단말(200)과 상기 등록서버(300)는 통신망(400)에 의하여 연결된다. 즉, 상기 통신망(400)은, 상기 소비자단말(200)과 상기 등록서버(300) 사이에 정보가 송수신 될수 있도록, 상기 소비자단말(200) 및 등록서버(300)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는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업로드하는 어플리케이션 업로드장치(510)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업로드장치(510)로부터 업로드된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내부저장소에 저장되는 어플리케이션 등록서버(520)가 더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소비자단말(200)은 어플리케이션이 업로드된 어플리케이션 마켓(스토어)에 통신 접속하여,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해야한다.
상기 업로드장치(51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마켓(스토어)에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업로드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등록서버(520)에는, 상기 업로드장치(510)에 의해 업로드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등록서버(520)는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상기 소비자단말(200)의 다운로드요청에 따라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소비자단말(200)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소비자단말(200)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마켓(스토어)에 접속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등록서버(520)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를 요청한다.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등록서버(520)에서 전송되는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상기 메모리부(210)에 저장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정품 인증 시스템을 이용한 정품 인증 방법을 도 8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정품 인증 시스템을 이용한 정품 인증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품 인증 시스템을 이용한 정품 인증 방법은 다음의 단계로 구성된다.
먼저, 인증라벨(100)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입력하는 제1 단계가 수행된다.(S110)
상기 제1 단계(S110)에서는 인증할 제품에 부착된 인증라벨(100)을 소비자단말(200)의 카메라부(230)에서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한다. 상기 촬영된 인증라벨(100)의 이미지는 상기 소비자단말(200)의 메모리부(210)에 저장된다.
상기 소비자단말(200)에 상기 인증라벨(100)의 이미지가 입력되면, 상기 소비자단말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제1 단계(S110)에서 입력된 인증라벨(100)의 이미지의 인식범위 및 인식방향을 확인하고, 제조자 고유정보(110) 및 제품 고유정보(120)를 인식하여 체크 디지트값으로 변환하는 제2 단계가 수행된다.(S120)
상기 제2 단계(S120)에서 상기 소비자단말(200)은, 상기 인증라벨(100)의 이미지에서 인식포인트(150)를 추출하여 상기 이미지의 방향이 정방향이 되도록 상기 이미지를 회전시키고, 상기 이미지의 인식 범위에 맞도록 상기 이미지의 크기를 변환시킨다.
즉, 각 인식포인트(150)가 제자리에 위치하도록 회전시켜 상기 이미지를 정방향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이미지가 정해진 인식 범위에 맞도록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시킨다.
그리고, 상기 인증라벨(100)의 제조자 고유정보 필드에 삽입된 제조자 고유정보(110)와, 상기 인증라벨(100)의 제품 고유정보 필드에 삽입된 제품 고유정보(120)를 인식하고, 미리 정해진 연산을 통해 체크 디지트값(X1, Y1)이 구해진다.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 및 제품 고유정보(120)로부터 체크 디지트값(X1, Y1)이 구해지면, 패턴코드(140)로부터 제조자 고유정보(110) 및 제품 고유정보(120)의 암호화정보를 판독한 후 복호화하여 체크 디지트값으로 변환하는 제3 단계가 수행된다.(S130)
상기 패턴코드(140)에는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110) 및 제품 고유정보(120)가 각각 미리 정해진 연산을 통해 체크 디지트값으로 변환된 후 암호화된 암호화 정보가 부호화되어 삽입되어 있다.
상기 제3 단계(S130)에서는 상기 패턴코드로부터 상기 암호화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암호화정보를 복호화하여 상기 패턴코드에 암호화 입력되어있던 제조자 고유정보(110) 및 제품 고유정보(120)의 체크 디지트값(X2, Y2)이 구해진다.
상기 패턴코드(140)를 복호화한 다음에는, 상기 제2 단계(S120)에서 변환된 체크 디지트값(X1, Y1)과, 상기 제3 단계(S130)에서 복호화된 체크 디지트값(X2, Y2)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4 단계가 수행된다.(S140)
상기 제4 단계(S140)에서 상기 체크 디지트값 중 어느 하나라도 일치하지 않는(X1≠X2 or Y1≠Y2) 경우, 상기 제품이 복제품임을 상기 소비자단말(200)로 알리는 제5 단계가 수행된다.(S142)
한편, 상기 제4 단계(S140)에서 상기 체크 디지트값이 모두 일치하는(X1=X2 and Y1=Y2) 경우, 상기 소비자단말(200)에서 상기 제품이 정품임을 1차적으로 인증하고 정품인증을 알리는 제6 단계가 수행된다.(S150)
제품의 정품 인증 과정은, 등록서버(300)에 접속하여 제품데이터베이스(310)를 불러오는 과정 없이, 상기 소비자단말(200) 상에서 모두 이루어진다.
상기 소비자단말(200)에서 1차적으로 정품 인증된 다음에는, 상기 정품 인증 정보를 등록서버(300)에 등록하기 위한 다음 과정이 진행된다.
상기 제6 단계(S150)에서 1차적으로 정품 인증이 되면, 상기 소비자 단말(200)에서 유무선 통신망(400)을 통해 등록서버(300)로 정품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제7 단계가 수행된다.(S210)
상기 소비자단말(200)에서 정품인증 정보를 상기 등록서버(300)로 전송하면, 상기 등록서버(300)에서 상기 정품인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품의 정품 인증 정보가 제품데이터베이스(310)에 기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제8 단계가 수행된다.(S220)
상기 제8 단계(S220)에서 상기 제품데이터베이스(310)에 기 등록되어 있으면 기 등록 제품임을 상기 소비자단말(200)로 알리는 제9 단계가 수행된다.(S222)
상기 제품의 정품 인증 정보가 기 등록되었다는 것은, 소비자가 해당 제품의 정품 인증 정보를 이전에 등록하였으며, 그 후에 등록 사실을 재확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 소비자가 제품 구매후 처음으로 정품 인증 및 등록을 시도하는 것인 경우 해당 제품은 복제품이라고 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8 단계(S220)에서 상기 제품데이터베이스(310)에 기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등록서버(300)에서 상기 제품이 정품임을 2차적으로 인증하여 상기 소비자단말(200)로 알리는 제10 단계가 수행된다.(S230)
상기 소비자단말(200)에서 상기 제품이 2차적으로 정품 인증되면, 상기 제품의 정품 인증 정보의 등록요청을 상기 등록서버(300)로 전송하는 제11 단계가 수행된다.(S240)
상기 등록서버(300)에서 상기 소비자단말(200)로부터 전송된 정품 인증 정보의 등록요청이 확인되면, 상기 등록서버(300)에서 상기 제품의 정품 인증 정보를 상기 제품데이터베이스(310)에 등록하는 제12 단계가 수행된다.(S250)
한편, 상기 제11 단계(S240)에서 상기 제품의 정품 인증 정보를 등록을 요청하지 않은 경우, 즉 상기 등록서버(300)에서 상기 소비자단말(200)로부터 전송된 정품 인증 정보의 등록요청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 단계(S110)로 진행하여 다른 제품에 대한 인증라벨(100)의 이미지 입력단계가 수행된다.
제품의 정품 인증 정보 등록은, 다른 복제품의 유통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품의 정품 인증 정보를 소비자단말(200)을 통해 소비자가 직접 등록하게 함으로써, 상기 인증라벨(100)을 그대로 복제했을지라도 상기 등록서버(300)에 이미 상기 정품 인증 정보가 등록되어 있어 복제품임이 확인되므로 불법 복제품의 유통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품 인증 라벨을 복제한 경우의 식별 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정품 인증 라벨 복제시의 식별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정품 인증 라벨을 식별하기 위한 정품 1차 조회(촬영)의 경우에는 정상적인정품 유통으로 판단하여 상품 속성 정보를 표출하고, 사용 업체와의 계약에 따른 규격을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정품라벨을 2차 이후 조회(촬영)의 경우에는 전체 조회 내용을 서버에서 등록 관리하여 조회자의 시각, 위치, 전화번호를 파악하여 정품 수회 촬영과 위품(정품 인증 라벨을 복제 인쇄 및 부착한 경우)을 구분하여 판단한다.
정품 인증 라벨을 여러 번 촬영한 경우 즉, 정품을 휴대하고 여러 곳을 순회하면서 촬영(조회) 경우 및 정품 유통과정(농.축.수산물의 경우 출하장, 경매장, 도매상, 판매상)에서 수회 조회의 경우에는 표 2에서와 같이, 조회 경로, 시차 타당성, 조회자 특성, 조회 총 횟수 등에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정품인증라벨 복제품을 여러 곳에서 조회한 경우에는 조회 경로가 설득력을 갖는 시각과 장소로 나타나지 않고, 동시 다발적, 또는 이해할 수 없는 장소로 옮겨가고, 이동 불가능한 거리의 시차를 두고 조회 시각과 장소가 랜덤하게 나타난다.
Figure 112013055518349-pat00001
도 9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품 인증 라벨을 복제한 경우의 식별은, 조회 회차, 조회 장소, 조회 시간 항목을 체크하는 시계열적인 분석과, 조회 빈도 분석, 지점 분포수 분석 항목을 체크하는 패턴 분석과, 소요 시간 타당성, 이동지점 타당성, 이동 회수 타당성 항목을 분석하는 경로 분석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이 구현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명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인증 라벨 200. 소비자 단말
300. 등록 서버 400. 통신망
510. 어플리케이션 업로드 장치 520. 어플리케이션 등록 서버

Claims (22)

  1. 제조자 고유정보가 삽입되는 제조자 고유정보 필드;
    제품 고유정보가 삽입되는 제품 고유정보 필드;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와 제품 고유정보가 각각 미리 정해진 연산을 통해 체크 디지트값으로 변환된 후 암호화되어 미리 설정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복호화가 가능한 암호화정보를 포함하는 패턴코드가 삽입되는 패턴코드 필드;
    라벨의 인식범위 및 인식방향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식포인트가 삽입되는 인식포인트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코드 필드에 삽입되는 패턴 코드에 포함되는 암호화정보는,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를 이용한 다중의 체크 디지트값을 암호화한 정보와 상기 제품 고유정보를 이용한 다중의 체크 디지트값을 암호화한 정보가 결합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품인증라벨.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코드 필드에 삽입되는 패턴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체크 디지트값은,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에 인증 라벨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서버로부터 설정된 숫자열을 이용한 연산으로 다중의 체크 디지트값으로 변환한 값들과,
    상기 제품 고유정보에 인증 라벨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서버로부터 설정된 숫자열을 이용한 연산으로 다중의 체크 디지트값으로 변환한 값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품인증라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코드 필드에 삽입되는 패턴 코드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인증 라벨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서버로부터 설정되는 숫자열, 숫자열의 크기, 숫자열의 변화 방식, 연산 규칙의 변화, 연산 횟수는 제조사별 또는 제품별 또는 주기별 또는 등록서버 관리사의 선택에 의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품인증라벨.
  5. 제품에 부착되는 고유의 인증라벨을 판독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과, 등록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송수신되는 각종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구동부;
    인증라벨을 촬영하여 상기 인증라벨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정을 조작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제품의 정품 인증 및 정품 인증 정보 등록 과정을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등록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라벨은 제조자 고유정보에 인증 라벨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서버로부터 설정된 숫자열을 이용한 연산으로 다중의 체크 디지트값으로 변환한 값들과, 제품 고유정보에 인증 라벨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서버로부터 설정된 숫자열을 이용한 연산으로 다중의 체크 디지트값으로 변환한 값들을 암호화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품인증단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품인증단말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획득된 인증라벨의 이미지에서 제조자 고유정보 및 제품 고유정보를 인식하여 체크 디지트값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체크 디지트값과 상기 인증라벨에 포함된 암호화 정보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제조자 고유정보 및 제품 고유정보를 복호화하여 변환된 체크 디지트값이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1차적으로 정품 인증한 후,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 및 제품 고유정보를 포함한 제품정보를 등록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제품에 대한 정품인증 정보가 기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2차적으로 정품 인증하고, 기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품에 대한 정품인증 정보의 등록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품인증단말.
  7. 다중 체크 디지트 값을 포함하는 인증라벨을 출력하는 장치에 있어서,
    인증라벨의 생성에 사용되는 제조자 고유정보를 관리하는 제조자 고유정보 관리부;
    인증라벨의 생성에 사용되는 제품 고유정보를 관리하는 제품 고유정보 관리부;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 및 제품 고유정보를 각각 미리 정해진 연산을 통해 체크 디지트 값으로 변환하는 체크 디지트 연산부;
    상기 체크 디지트 연산부에서 변환된 체크 디지트 값을 다시 암호화정보로 변환하는 체크 디지트 암호화부;
    상기 체크 디지트값이 변환되어 생성된 암호화정보를 격자무늬 패턴코드로 부호화하는 패턴 코드 생성부;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 및 제품 고유정보를 이용하여 체크 디지트값을 생성하고, 암호화 및 부호화를 제어하는 제어부;
    암호화 및 부호화되어 생성된 인증 라벨을 출력하는 인증 라벨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품인증라벨 출력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품인증라벨 출력 장치는,
    인증 라벨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인증 라벨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서버와 송수신하기 위한 인증 라벨 정보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품인증라벨 출력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 관리부는 제조자 고유정보를 인증 라벨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서버로부터 받고,
    상기 제품 고유정보 관리부는 제품 고유정보를 인증 라벨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서버로부터 받거나, 자체에서 생성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품인증라벨 출력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디지트 연산부는,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와 인증 라벨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서버로부터 설정된 숫자열을 이용한 연산으로 다중의 체크 디지트값으로 변환한 값들 및,
    상기 제품 고유정보와 인증 라벨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서버로부터 설정된 숫자열을 이용한 연산으로 다중의 체크 디지트값으로 변환한 값들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품인증라벨 출력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디지트 암호화부에서 출력되는 암호화 정보는,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를 이용한 다중의 체크 디지트값을 암호화한 정보와 상기 제품 고유정보를 이용한 다중의 체크 디지트값을 암호화한 정보가 결합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품인증라벨 출력 장치.
  12. 제조자 고유정보를 이용한 다중의 체크 디지트값을 암호화한 정보와 제품 고유정보를 이용한 다중의 체크 디지트값을 암호화한 정보가 결합 된 암호화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라벨;
    상기 인증라벨을 인증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인증라벨의 제조자 고유정보 및 제품 고유정보를 인식하여 체크 디지트 값으로 변환하고,상기 변환된 체크 디지트값과 상기 암호화정보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제조자 고유정보 및 제품 고유정보를 복호화하여 변환된 체크 디지트값을 비교하여 1차적으로 정품 인증한 후,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 및 제품 고유정보를 포함한 제품정보를 등록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제품에 대한 정품 인증 정보가 기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2차적으로 정품 인증하는 소비자단말;
    상기 소비자단말로부터 전송된 제품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의 정품 인증 정보가 제품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그 확인결과를 상기 소비자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정품인증 정보의 등록요청에 따라 상기 정품인증 정보를 상기 제품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등록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품 인증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라벨은,
    제조자 고유정보와,
    제품 고유정보와,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와 인증 라벨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서버로부터 설정된 숫자열을 이용한 연산으로 다중의 체크 디지트값으로 변환한 값들 및, 상기 제품 고유정보와 인증 라벨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서버로부터 설정된 숫자열을 이용한 연산으로 다중의 체크 디지트값으로 변환한 값들이 암호화된 정보들을 포함하는 패턴코드와,
    라벨의 인식범위 및 인식방향을 표시하는 인식포인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제품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품 인증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 단말은,
    제품에 부착되는 고유의 인증라벨을 판독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과, 등록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송수신되는 각종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구동부와,
    인증라벨을 촬영하여 상기 인증라벨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정을 조작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제품의 정품 인증 및 정품 인증 정보 등록 과정을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등록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제어하고 제품의 정품 인증 및 정품 인증 정보 등록 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품 인증 시스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정품 인증 시스템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업로드하는 어플리케이션 업로드장치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업로드장치로부터 업로드된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내부저장소에 저장되는 어플리케이션 등록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비자단말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등록서버로부터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품 인증 시스템.
  16. 암호화된 체크 디지트 값을 포함하는 인증라벨을 인증을 위하여,
    소비자단말에서, 상기 인증라벨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제조자 고유정보 및 제품 고유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증라벨을 인증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소비자 단말에서 구동하여 상기 인식된 제조자 고유정보 및 제품 고유정보와 인증 라벨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서버로부터 설정된 숫자열을 이용한 연산을 통하여 체크 디지트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체크 디지트값과 상기 인증라벨의 암호화되어 있는 체크 디지트 값을 복호화하여 비교하여 1차적으로 정품 인증을 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소비자단말에서,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 및 제품 고유정보를 포함한 정품인증정보를 등록서버에 전송하여 2차적으로 정품 인증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등록서버에서 2차 정품 인증이 이루어지면 소비자단말은, 상기 등록서버로 상기 제품의 정품 인증 정보의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품 인증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단말에서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 및 제품 고유정보를 포함한 제품정보를 등록서버에 전송되면,
    등록서버는, 상기 정품인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품의 정품 인증 정보가 제품데이터베이스에 기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제품데이터베이스에 기 등록되어 있으면 기 등록 제품임을 상기 소비자단말로 알리는 단계와,
    상기 제품데이터베이스에 기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품이 정품임을 2차적으로 인증하여 상기 소비자단말로 알리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품 인증 방법.
  18. 삭제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라벨은,
    제조자 고유정보와,
    제품 고유정보와,
    상기 제조자 고유정보와 인증 라벨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서버로부터 설정된 숫자열을 이용한 연산으로 다중의 체크 디지트값으로 변환한 값들 및, 상기 제품 고유정보와 인증 라벨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서버로부터 설정된 숫자열을 이용한 연산으로 다중의 체크 디지트값으로 변환한 값들이 암호화된 정보들을 포함하는 패턴코드와,
    라벨의 인식범위 및 인식방향을 표시하는 인식포인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제품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품 인증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코드의 생성을 위하여,
    인증 라벨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서버로부터 설정되는 숫자열, 숫자열의 크기, 숫자열의 변화 방식, 연산 규칙의 변화, 연산 횟수는 제조사별 또는 제품별 또는 주기별 또는 등록서버 관리사의 선택에 의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품 인증 방법.
  21. 제 16 항에 있어서, 정품 인증 과정에서 정품 인증 라벨을 복제한 경우의 식별은,
    시계열적인 분석, 패턴 분석, 경로 분석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분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품 인증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열적인 분석은 조회 회차, 조회 장소, 조회 시간 항목의 체크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 분석은 조회 빈도 분석, 지점 분포수 분석 항목의 체크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경로 분석은 소요 시간, 이동지점, 이동 회수 항목을 체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품 인증 방법.
KR1020130071531A 2012-06-21 2013-06-21 정품인증라벨, 이를 이용하는 정품인증단말, 정품인증라벨 출력 장치, 정품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14767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6789 2012-06-21
KR1020120066789 2012-06-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3520A KR20130143520A (ko) 2013-12-31
KR101476732B1 true KR101476732B1 (ko) 2014-12-26

Family

ID=49986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1531A KR101476732B1 (ko) 2012-06-21 2013-06-21 정품인증라벨, 이를 이용하는 정품인증단말, 정품인증라벨 출력 장치, 정품인증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673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8672A (ko) 2015-08-10 2017-02-20 주식회사 신원피앤피 화장품에 대한 정품 확인 시스템
KR102155855B1 (ko) 2020-02-24 2020-09-15 홍주표 위조 판별 장치 및 그 방법
KR102188126B1 (ko) 2020-02-24 2020-12-07 홍주표 위조 판별 장치 및 그 방법
KR102283252B1 (ko) 2020-09-08 2021-07-29 (주)네모인사이트 식별코드 및 보안일련번호 이원화를 통한 정품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68189B1 (ko) 2022-12-27 2023-08-18 (주) 케이씨넷 불법복제품 판독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7873A (ko) 2015-07-13 2017-01-23 이나원 제품식별코드를 이용한 정품인증 및 불법 복제품 신고시스템 및 이의 방법
KR101978887B1 (ko) * 2017-07-21 2019-05-15 주식회사 글로벌링커스 정품 확인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37606B1 (ko) 2018-05-31 2019-10-28 (주)한국중흠 제품식별코드를 이용한 정품인증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0096155A1 (ko) * 2018-11-09 2020-05-14 주식회사 한터글로벌 저작권 보호를 위한 정품 인증 및 차트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102108216B1 (ko) * 2018-11-12 2020-05-08 어니컴 주식회사 단말 관리 장치 및 방법
CN115495031B (zh) * 2022-09-30 2023-07-18 深圳民航凯亚有限公司 一种实现全自动无人值守行程单连续打印的方法和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0680A (ko) * 2005-08-16 2007-02-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품인증 방법 및 그 장치
KR20080106165A (ko) * 2005-12-29 2008-12-04 몽트레 브레귀에 에스. 아. 소형 제품의 암호화 마크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마크된제품
JP2011088330A (ja) * 2009-10-21 2011-05-06 Dainippon Printing Co Ltd ラベルプリントシステム
KR20120062109A (ko) * 2010-12-06 2012-06-14 김경중 알에프아이디 파단 라벨과 스티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0680A (ko) * 2005-08-16 2007-02-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품인증 방법 및 그 장치
KR20080106165A (ko) * 2005-12-29 2008-12-04 몽트레 브레귀에 에스. 아. 소형 제품의 암호화 마크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마크된제품
JP2011088330A (ja) * 2009-10-21 2011-05-06 Dainippon Printing Co Ltd ラベルプリントシステム
KR20120062109A (ko) * 2010-12-06 2012-06-14 김경중 알에프아이디 파단 라벨과 스티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8672A (ko) 2015-08-10 2017-02-20 주식회사 신원피앤피 화장품에 대한 정품 확인 시스템
KR102155855B1 (ko) 2020-02-24 2020-09-15 홍주표 위조 판별 장치 및 그 방법
KR102188126B1 (ko) 2020-02-24 2020-12-07 홍주표 위조 판별 장치 및 그 방법
KR102283252B1 (ko) 2020-09-08 2021-07-29 (주)네모인사이트 식별코드 및 보안일련번호 이원화를 통한 정품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68189B1 (ko) 2022-12-27 2023-08-18 (주) 케이씨넷 불법복제품 판독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3520A (ko) 201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6732B1 (ko) 정품인증라벨, 이를 이용하는 정품인증단말, 정품인증라벨 출력 장치, 정품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1160914B1 (ko) 정품인증라벨을 이용하는 정품인증단말, 정품인증 시스템 및 방법
US8542871B2 (en) Brand protection and product authentication using portable devices
CN105894304B (zh) 一种产品防伪方法
KR101543457B1 (ko)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위조방지를 위한 인증라벨을 이용하는 정품인증 시스템 및 방법
CN104992335A (zh) 一种全流通型二维码防伪系统及其实现方法
CN104751337A (zh) 产品防伪方法、装置和系统
CN110197244A (zh) 二维码、二维码输出系统和方法、二维码读取系统和方法
CN104899775A (zh) 一种产品的防伪方法及产品的防伪查验方法及一种防伪包装
CN102165474A (zh) 用于具有多个组件的物体的验证的设备、系统和方法
US20120280029A1 (en) Incremental information object with an embedded information region
JP5315892B2 (ja) 真正性検証システム、真正性検証装置、および真正性検証プログラム
CN107276976A (zh) 验证产品的真实性的认证方法和系统
JP2017117301A (ja) チケット発行システム
CN104680226A (zh) 用于保护物品的真实性免受仿制和假冒的方法
JP2009026034A (ja) ソフウェア・ライセンス管理システム
JPWO2005098696A1 (ja) 偽装もしくは偽造商品の判別システム
KR20150011933A (ko) 가맹점 코드를 이용한 결제시스템
WO2013136304A1 (en) Method for coding and decod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n item
KR101638787B1 (ko) 위치정보와 단말기 고유번호 기반의 모바일 티켓 보안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10226796A1 (en) Computer-generated hologram based-genuine product authentication method, computer-generated hologram based-genuine product authentication system, and digital hologram tag generator for a computer-generated hologram based-genuine product authentication system
US20130090059A1 (en) Identity verification
JP6164079B2 (ja) 情報端末及び情報端末システム
CN103502996B (zh) 防二重增量信息对象
KR102166621B1 (ko) 예술품 인증 방법 및 예술품 인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