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8189B1 - 불법복제품 판독시스템 - Google Patents

불법복제품 판독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8189B1
KR102568189B1 KR1020220186057A KR20220186057A KR102568189B1 KR 102568189 B1 KR102568189 B1 KR 102568189B1 KR 1020220186057 A KR1020220186057 A KR 1020220186057A KR 20220186057 A KR20220186057 A KR 20220186057A KR 102568189 B1 KR102568189 B1 KR 102568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tational
rotation
groove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6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영
김성중
배승호
조영수
이희정
Original Assignee
(주) 케이씨넷
(주) 퍼블릭에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케이씨넷, (주) 퍼블릭에이아이 filed Critical (주) 케이씨넷
Priority to KR1020220186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1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1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46Constructional details
    • G06K19/06056Constructional details the marking comprising a further embedded marking, e.g. a 1D bar code with the black bars containing a smaller sized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95Pattern authentication; Markers therefor; Forgery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8Means for changing the camera field of view without moving the camera body, e.g. nutating or panning of optics or imag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턴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통해 물품의 위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구현한 불법복제품 판독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물품에 부착되어 있는 보안 태그에 포함된 혼합 이미지를 포함하는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촬영 단말기; 상기 촬영 단말기에서 촬영한 보안 태그의 영상 이미지를 수산받아 위조 여부의 감정을 요청하는 고객 단말기; 및 상기 고객 단말기를 통해 수신되는 보안 태그의 영상 이미지를 이용하여 보안 태그가 부착되어 있는 물품의 정품 여부를 판독한 뒤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제공하는 정품 판독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불법복제품 판독시스템{counterfeit detection system}
본 발명은 불법복제품 판독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패턴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통해 물품의 위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구현한 불법복제품 판독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위조품을 정품으로 오인 구매함에 따라 소비자들의 피해가 늘고 있으며, 해당 위조품에 대응하는 정품을 제조하는 제조사에 대한 이미지가 실추하고 있는 상태이다.
현재 상품의 진위를 판별할 수 있는 기술로는 홀로그램(hologram) 방식, QR 코드/바코드 방식, NFC/RFID 방식 등이 있다.
이중 육안 진위판별 방식에 해당하는 홀로그램 방식은 소비자가 상품을 구매했을 때, 육안으로 진위를 인지하는 방식으로, 오로지 소비자의 육안 식별에 의한 진위를 파악해야 함에 따라, 진위 판별의 오류를 범할 수 있는 확률이 높고, 오프라인으로 인증하는 방식이라 상품의 통계분석 정보를 수집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기기활용 진위판별 방식에 해당하는 QR 코드/바코드 방식, NFC/RFID 방식은 진위를 판별하기 위한 전용감별기 등을 추가로 구비해야 하며, 통계분석 정보를 수집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76732호 (2014.12.26. 공고)
본 발명의 일측면은 특정 패턴 이미지가 미리 설정된 개수의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기본 이미지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각각 삽입하여 형성된 혼합 이미지를 구성하고,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보안 태그에 포함된 혼합 이미지에서 미리 설정된 위치 및 사이즈 정보를 근거로 분할된 복수의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복수의 영역을 결합하여 특정 패턴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특정 패턴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통해 물품의 위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구현한 불법복제품 판독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과제번호 A0805-22-1003, 과제명 AI융합 불법복제품 판독시스템 구축사업, 전담기관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인 과제를 통한 기술이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법복제품 판독시스템은, 물품에 부착되어 있는 보안 태그에 포함된 혼합 이미지를 포함하는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촬영 단말기; 상기 촬영 단말기에서 촬영한 보안 태그의 영상 이미지를 수산받아 위조 여부의 감정을 요청하는 고객 단말기; 및 상기 고객 단말기를 통해 수신되는 보안 태그의 영상 이미지를 이용하여 보안 태그가 부착되어 있는 물품의 정품 여부를 판독한 뒤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제공하는 정품 판독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품 판독 서버는, 상기 획득된 영상 이미지에서 상기 혼합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영역 내의 혼합 이미지에서 미리 설정된 순서, 크기 및 위치를 근거로 상기 혼합 이미지에 포함된 특정 패턴 이미지의 분할된 복수의 영역을 각각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상기 분할된 복수의 영역을 상기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조합하여 상기 특정 패턴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특정 패턴 이미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객체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상기 특정 패턴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패턴이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특정 패턴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패턴이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있을 때, 상기 보안 태그가 부착된 제품이 정품인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보안 태그가 부착된 제품이 정품임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보안 태그에 포함된 상세 정보를 표시부 및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촬영 단말기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물품이 안착되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촬영 중인 물품을 회전시켜 주는 회전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회동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형 스탠드; 및 상기 회동형 스탠드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안착되어 있는 물품에 부착되어 있는 보안 태그에 포함된 혼합 이미지를 포함하는 영상 이미지를 획득한 뒤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촬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동형 스탠드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형성되며, 서로 대향하는 일측면 및 타측면이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서로 가까워지도록 각각 경사면을 형성하는 측면 설치홈; 상기 측면 설치홈의 중단에 설치되는 회동 모터; 상기 회동 모터의 구동축에 축결합되어 상기 측면 설치홈에 직립되어 설치되며, 상기 회동 모터에 의해 상기 측면 설치홈의 범위 내에서 회동 구동되는 회동 프레임; 상기 측면 설치홈의 일측 경사면에 설치되어 회동함에 따라 밀착되는 상기 회동 프레임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완충 지지부; 상기 측면 설치홈의 타측 경사면에 설치되어 회동함에 따라 밀착되는 상기 회동 프레임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완충 지지부; 및 상기 회동 프레임의 상부를 덮고 상하 방향으로 승강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동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촬영 모듈이 설치되는 상부가 물품이 안착되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중단과 대향할 수 있도록 수평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승강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완충 지지부는, 상기 측면 설치홈의 일측 경사면에 형성되는 패드 안착홈; 상부가 상기 패드 안착홈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패드 안착홈에 설치되는 지지 패드; 상기 패드 안착홈의 상단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 완충부 설치홈; 상기 패드 안착홈의 하단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2 완충부 설치홈; 상부가 상기 제1 완충부 설치홈으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지지 패드의 상단 내향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완충부 설치홈에 설치되는 제1 프레임 지지부; 및 상부가 상기 제2 완충부 설치홈으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지지 패드의 하단 내향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완충부 설치홈에 설치되는 제2 프레임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프레임 지지부는, 원형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패드의 상단 내향면을 지지하는 상단 지지부; 상기 상단 지지부와 이격 설치되어 상기 제1 완충부 설치홈의 내측면에 안착되는 하단 지지부; 상기 상단 지지부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 지지부; 및 상부가 상기 회전 지지부에 나사 결합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하단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지지부를 지지하는 중단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지지부는,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단 지지부의 하측에 밀착 배치되어 상기 상단 지지부를 지지하는 회전형 지지 원통;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이 상기 상단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단 지지부의 하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회전 체결홈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회전 체결 돌기;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나사산;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단 지지부의 상부 일측에 안착되어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회전을 저지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1 회전형 완충부; 및 상기 제1 회전형 완충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단 지지부의 상부 타측에 안착되어 상기 제1 회전형 완충부와 함께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회전을 저지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2 회전형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단 지지부는,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중단 지지 기둥; 상기 제1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상단 지지부로부터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으로 진동 또는 충격이 전달됨에 따라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이 회전하면서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부 외측을 따라 형성되는 제2 나사산; 상기 제1 회전형 완충부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완충부 배치홈; 상기 제2 회전형 완충부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완충부 배치홈; 및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하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하부 외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돌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단 지지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안착 블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형성하면서 상기 안착 블록의 상부에 형성되는 기둥 안착홈;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이 삽입되고 남아 있는 상기 기둥 안착홈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기둥 안착홈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을 지지하는 지지 유체; 상기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가 안착되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기둥 안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는 수직 이동 가이드홈; 및 상기 안착 블록의 하부 내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기둥 안착홈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지지 유체를 공급받거나 공급받았던 상기 지지 유체를 상기 기둥 안착홈의 하부 공간으로 배출시켜 주면서 상기 중단 지지 기둥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보조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완충부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 블록의 하부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 지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상기 기둥 안착홈을 따라 수직 하강되는 상기 중단 지지 기둥에 의해 압축되는 상기 지지 유체를 전달받아 상측으로부터 수용하는 이너 하우징;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상기 지지 유체가 수용되는 상부 공간과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공간으로 구획시키면서 상기 이너 하우징의 중단에 설치되는 지지 파티션; 및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파티션의 하측을 지지하는 파티션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회전형 완충부는, 상기 제1 완충부 배치홈의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완충부 배치홈에 배치되는 곡선형 하부 블록; 상기 제1 완충부 배치홈의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곡선형 하부 블록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상기 기둥 안착홈을 따라 하강되는 상기 안착 블록에 의해 압축되는 상기 지지 유체를 전달받는 곡선형 실린더; 상기 제1 완충부 배치홈의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곡선형 실린더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완충부 배치홈의 전단을 지지하며, 상기 곡선형 실린더로 상기 지지 유체가 전달됨에 따라 상기 곡선형 실린더로부터 노출되면서 상기 제1 완충부 배치홈의 전단을 밀어 상기 중단 지지 기둥으로부터 상승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을 회전시켜 주는 곡선형 피스톤; 및 상기 곡선형 하부 블록의 후단과 상기 제1 완충부 배치홈의 후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곡선형 하부 블록의 후단을 지지하는 진동 완충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단 지지부는, 상기 지지 원통의 회전 시 마찰력을 감소시켜 줄 수 있도록 하측을 따라 다수 개의 회전 유도 구체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특정 패턴 이미지가 미리 설정된 개수의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기본 이미지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각각 삽입하여 형성된 혼합 이미지를 구성하고,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보안 태그에 포함된 혼합 이미지에서 미리 설정된 위치 및 사이즈 정보를 근거로 분할된 복수의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복수의 영역을 결합하여 특정 패턴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특정 패턴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통해 물품의 위조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진위 여부에 대한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법복제품 판독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1의 촬영 단말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제1 완충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제1 프레임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의 회전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은 도 7의 중단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7의 하단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법복제품 판독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법복제품 판독시스템(10)은, 촬영 단말기(100), 고객 단말기(200) 및 정품 판독 서버(300)를 포함한다.
촬영 단말기(100)는, 고객 단말기(200)에 의해 원격 제어가 이루어지며, 물품에 부착되어 있는 보안 태그에 포함된 혼합 이미지를 포함하는 영상 이미지를 획득한 뒤 네트워크(N)를 통해 고객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촬영 단말기(100)는, 보안 태그에 포함된 혼합 이미지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상기 혼합 이미지는 문자, 기호, 숫자, 도형, 심벌 등의 하나 이상의 객체로 구성되는 특정 패턴 이미지를 미리 설정된 개수의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복수의 영역을 미리 설정된 순서 및 크기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본 이미지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각각 삽입(또는 대체)하여 생성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패턴 이미지를 상기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경우, 상기 특정 패턴 이미지는 해당 특정 패턴 이미지를 미리 설정된 기본 단위의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단위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일 예로 하나 이상의 상기 기본 단위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벌은 특정 회사와 관련한 사진, CI, BI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혼합 이미지는 상기 기본 이미지를 상기 기본 단위를 기준으로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기본 이미지로부터 각각 분할된 다수의 영역 중 미리 설정된 위치에 상기 특정 패턴 이미지로부터 각각 분할된 복수의 영역이 삽입(또는 대체)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객체는 하나 이상의 색상으로 해당 문자, 기호, 숫자, 도형 및 심벌을 나타내며, 해당 객체를 나타내는 색상은 미리 설정된 방식에 의해 별색과 CMYK 색상을 조합한 색상으로 구성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안 태그는 제품을 포장하는 포장지의 일측에 인쇄되거나 또는 해당 제품의 일측에 직접 인쇄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안 태그는 상기 객체뿐만 아니라, 코드화된 상세 정보, 랜딩 URL, 이벤트 응모를 위한 마커 등을 추가로 포함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안 태그는 테두리를 형성하는 테두리 영역과 상기 테두리 영역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정보들(예를 들어 상기 객체, 상기 코드화된 상세 정보, 상기 랜딩 URL, 상기 이벤트 응모를 위한 마커 등 포함)이 표시되는 패턴 영역으로 구성(또는 형성)한다.
고객 단말기(200)는, 촬영 단말기(100)에서 촬영한 보안 태그의 영상 이미지를 수산받아 위조 여부의 감정을 정품 판독 서버(300)로 요청한다.
일 실시예에서, 고객 단말기(200)는,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폴더블 단말기(Foldab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객 단말기(200)는, 정품 판독 서버(300)로 정품 판독을 요청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은, 정품 판독 서버(300)에 설치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화면을 예시한 것으로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촬영 단말기(100)를 원격 제어하거나 촬영 단말기(100)로부터 영상 이미지를 수산받거나, 촬영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받은 영상 이미지를 정품 판독 서버(300)로 전송하는 동시에 정품 판독을 요청할 수 있다.
정품 판독 서버(300)는, 고객 단말기(200)를 통해 수신되는 보안 태그의 영상 이미지를 이용하여 보안 태그가 부착되어 있는 물품의 정품 여부를 판독한 뒤 고객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품 판독 서버(300)는, 획득된 영상 이미지에서 혼합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을 확인하고, 확인된 영역 내의 혼합 이미지에서 미리 설정된 순서, 크기 및 위치를 근거로 혼합 이미지에 포함된 특정 패턴 이미지의 분할된 복수의 영역을 각각 추출하고, 추출된 분할된 복수의 영역을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조합하여 특정 패턴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특정 패턴 이미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객체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통해, 특정 패턴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패턴이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특정 패턴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패턴이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있을 때, 보안 태그가 부착된 제품이 정품인 것으로 확인하고, 보안 태그가 부착된 제품이 정품임을 나타내는 정보 및 보안 태그에 포함된 상세 정보를 표시부 및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객체는, 문자, 기호, 숫자, 도형 및 심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문자, 기호, 숫자, 도형 및 심벌에 포함된 색상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방식에 의해 별색과 CMYK 색상을 조 합한 색상으로 구성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별색은, 단일 색상의 잉크로 인쇄한 색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CMYK 색상의 조합은, 상기 별색과 동일한 색상을 내기 위해 cyan 잉크, magenta 잉크, yellow 잉크 및 black 잉크를 각각 도팅(dotting) 형식으로 중복 인쇄한 색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품 판독 서버(300)는, 상기 보안 태그가 부착된 제품에 대한 위조 여부 판단 시, 상기 특정 패턴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색상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객체의 색상이 상기 객체와 관련하여 미리 설정된 색상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함께 판단하며, 별색과 CMYK 색상에 대해 미리 설정된 위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인식된 객체를 나타내는 색상에서 별색과 CMYK 색상을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특정 객체를 나타내는 색상에서의 별색과 CMYK 색상의 조합이 상기 객체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별색과 CMYK 색상의 조합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분리된 특정 객체를 나타내는 색상에서의 별색과 CMYK 색상의 조합이 상기 객체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별색과 CMYK 색상의 조합과 일치할 때, 상기 보안 태그가 부착된 제품이 정품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법복제품 판독시스템(10)은, 특정 패턴 이미지가 미리 설정된 개수의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기본 이미지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각각 삽입하여 형성된 혼합 이미지를 구성하고,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보안 태그에 포함된 혼합 이미지에서 미리 설정된 위치 및 사이즈 정보를 근거로 분할된 복수의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복수의 영역을 결합하여 특정 패턴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특정 패턴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통해 물품의 위조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진위 여부에 대한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촬영 단말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촬영 단말기(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회전 플레이트(120), 회동형 스탠드(130) 및 촬영 모듈(140)을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회전 플레이트(120) 및 회동형 스탠드(130)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회전 플레이트(12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측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물품이 안착되면 스텝 모터 등의 구동 장치(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촬영 중인 물품을 회전시켜 준다.
회동형 스탠드(13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일측에 회동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회동형 스탠드(130)는, 측면 설치홈(131), 회동 모터(132), 회동 프레임(133), 제1 완충 지지부(134), 제2 완충 지지부(135) 및 승강 프레임(136)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 설치홈(131)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일측에 형성되며, 서로 대향하는 일측면(131a) 및 타측면(131b)이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서로 가까워지도록 각각 경사면을 형성한다.
회동 모터(132)는, 측면 설치홈(131)의 중단에 설치되어 회동 프레임(133)를 회동 구동시켜 준다.
회동 프레임(133)은, 회동 모터(132)의 구동축에 축결합되어 측면 설치홈(131)에 직립되어 설치되며, 회동 모터(132)에 의해 측면 설치홈(131)의 범위 내에서 회동 구동된다.
제1 완충 지지부(134)는, 측면 설치홈(131)의 일측 경사면(131a)에 설치되어 회동함에 따라 밀착되는 회동 프레임(133)의 일측을 지지한다.
제2 완충 지지부(135)는, 측면 설치홈(131)의 타측 경사면에 설치되어 회동함에 따라 밀착되는 회동 프레임(133)의 타측을 지지한다.
승강 프레임(136)은, 회동 프레임(133)의 상부를 덮고 상하 방향으로 승강 이동이 가능하도록 회동 프레임(133)에 연결 설치되며, 촬영 모듈(140)이 설치되는 상부(136a)가 물품이 안착되는 회전 플레이트(120)의 중단과 대향할 수 있도록 수평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촬영 모듈(140)은, 회동형 스탠드(130)의 상부에 설치되어 회전 플레이트(120)에 안착되어 있는 물품에 부착되어 있는 보안 태그에 포함된 혼합 이미지를 포함하는 영상 이미지를 획득한 뒤 고객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촬영 단말기(100)는, 다양한 화각에서 물품에 부착되어 있는 보안 태그에 포함된 혼합 이미지를 포함하는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여 정품 판독 서버(300)에 제공함으로써, 정품 판독 시 보다 다양한 위치에서의 정품 판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정품 여부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제1 완충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완충 지지부(134)는, 패드 안착홈(1341), 지지 패드(1342), 제1 완충부 설치홈(1343), 제2 완충부 설치홈(1344), 제1 프레임 지지부(1345) 및 제2 프레임 지지부(1346)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완충 지지부(135)는, 후술할 제1 완충 지지부(134)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완충 지지부(134)의 패드 안착홈(1341), 지지 패드(1342), 제1 완충부 설치홈(1343), 제2 완충부 설치홈(1344), 제1 프레임 지지부(1345) 및 제2 프레임 지지부(1346)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패드 안착홈(1341)은, 제1 프레임 지지부(1345) 및 제2 프레임 지지부(1346)에 의해 지지되어 지지 패드(1342)가 안착될 수 있도록 측면 설치홈(131)의 일측 경사면(131a)에 형성된다.
지지 패드(1342)는, 고무 등과 같이 완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연질의 재질로 제작되며, 상부가 패드 안착홈(1341)으로부터 노출되도록 패드 안착홈(1341)에 설치되어 회동 프레임(133)가 밀착될 때까지 이동되면(133a의 경우) 지지하여 회동 프레임(133)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제1 완충부 설치홈(1343)은, 패드 안착홈(1341)의 상단 내측면에 형성된다.
제2 완충부 설치홈(1344)은, 패드 안착홈(1341)의 하단 내측면에 형성된다.
제1 프레임 지지부(1345)는, 상부가 제1 완충부 설치홈(1343)으로부터 노출되어 지지 패드(1342)의 상단 내향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1 완충부 설치홈(1343)에 설치된다.
제2 프레임 지지부(1346)는, 상부가 제2 완충부 설치홈(1344)으로부터 노출되어 지지 패드(1342)의 하단 내향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2 완충부 설치홈(1344)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완충 지지부(134)는, 측면 설치홈(131)의 일측 경사면(131a)에 설치되어 회동 프레임(133)과 측면 설치홈(131)의 일측 경사면(131a) 간의 충돌을 방지함은 물론, 측면 설치홈(131)의 일측 경사면(131a)까지 회동된 회동 프레임(133)을 지지함으로써 회동 프레임(133)에서 발생될 수 있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줌은 물론, 촬영 모듈(140)에 의한 선명한 화질의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제1 프레임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프레임 지지부(500)는, 상단 지지부(510), 하단 지지부(520), 회전 지지부(530) 및 중단 지지부(5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프레임 지지부(1346)는, 후술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프레임 지지부(500)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프레임 지지부(500)의 상단 지지부(510), 하단 지지부(520), 회전 지지부(530) 및 중단 지지부(540)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단 지지부(510)는, 원형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 지지부(53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회전 지지부(530)에 의해 지지되어 지지 패드(1342)의 상단 내향면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단 지지부(5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회전 시 마찰력을 감소시켜 줄 수 있도록 하측을 따라 다수 개의 회전 유도 구체(512)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될 수 있다.
하단 지지부(520)는, 상측에 설치되는 중단 지지부(540)에 의해 상단 지지부(510)와 이격 설치되며, 제1 완충부 설치홈(1343)의 내측면에 안착되어 지지한다.
회전 지지부(530)는, 중단 지지부(54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단 지지부(510)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단 지지부(510)를 지지한다.
중단 지지부(540)는, 상부가 회전 지지부(530)에 나사 결합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하단 지지부(520)의 상부에 설치되어 회전 지지부(530)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프레임 지지부(500)는, 고정 설치되는 상단 지지부(510)와 하단 지지부(520)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 지지부(530)와 상하 방향으로 노출과 삽입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중단 지지부(540)의 회전 또는 수직 이동 과정에서 상단 지지부(510)와 하단 지지부(520)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의 회전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회전 지지부(530)는, 회전형 지지 원통(531), 회전 체결 돌기(532), 제1 나사산(533), 제1 회전형 완충부(534) 및 제2 회전형 완충부(535)를 포함한다.
회전형 지지 원통(531)은, 내주면을 따라 제1 나사산(533)을 형성하면서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 지지부(510)의 하측에 밀착 배치되어 상단 지지부(510)를 지지하며, 상측을 따라 회전 체결 돌기(532)가 형성된다.
회전 체결 돌기(532)는, 회전형 지지 원통(531)이 상단 지지부(510)에 회전 가능하도록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단 지지부(510)의 하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회전 체결홈(511)에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
제1 나사산(533)은, 회전형 지지 원통(531)으로 수직 방향으로 전달되는 힘에 의해 회전형 지지 원통(531)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제2 나사산(542)에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
제1 회전형 완충부(534)는,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일측에 설치되어 중단 지지부(54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완충부 배치홈(543)에 안착되어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회전을 저지하는 동시에 회전형 지지 원통(531)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즉, 상단 지지부(510)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회전형 지지 원통(531)이 하방 압력을 받음에 따라 제1 나사산(533)과 제2 나사산(542) 간의 결합에 의해 회전형 지지 원통(531)이 회전하면서 중단 지지부(540)의 상부가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것이다.
이때, 제1 회전형 완충부(534)와 제2 회전형 완충부(535)는, 회전형 지지 원통(531)이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는 동시에 회전형 지지 원통(531)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줄 수 있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회전형 완충부(534)는, 곡선형 하부 블록(5341), 곡선형 실린더(5342), 곡선형 피스톤(5343) 및 진동 완충 스프링(5344)을 포함할 수 있다.
곡선형 하부 블록(5341)은, 제1 완충부 배치홈(543)의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제2 회전형 완충부(535)와 대향하면서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1 완충부 배치홈(543)에 배치되며, 전단 하측에 곡선형 실린더(5342)가 설치된다.
곡선형 실린더(5342)는, 제1 완충부 배치홈(543)의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곡선형 하부 블록(5341)의 전단에 설치되며, 회전형 지지 원통(531)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기둥 안착홈(522)을 따라 하강되는 안착 블록(521)에 의해 압축되는 지지 유체(523)를 전달받아 내측에 설치되는 곡선형 피스톤(5343)을 내측으로부터 노출시켜 준다.
곡선형 피스톤(5343)은, 제1 완충부 배치홈(543)의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곡선형 실린더(5342)에 연결 설치되어 제1 완충부 배치홈(543)의 전단을 지지하며, 곡선형 실린더(5342)로 지지 유체(523)가 전달됨에 따라 곡선형 실린더(5342)로부터 노출되면서 제1 완충부 배치홈(543)의 전단을 밀어 중단 지지 기둥(541)으로부터 상승되는 방향으로 회전형 지지 원통(531)을 회전시켜 준다.
진동 완충 스프링(5344)은, 곡선형 하부 블록(5341)의 후단과 제1 완충부 배치홈(543)의 후단 사이에 설치되어 곡선형 하부 블록(5341)의 후단을 지지한다.
제2 회전형 완충부(535)는, 제1 회전형 완충부(534)와 대향하면서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타측에 설치되어 중단 지지부(540)의 상부 타측에 안착되어 제1 회전형 완충부(534)와 함께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회전을 저지하는 동시에 회전형 지지 원통(531)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여기서, 제2 회전형 완충부(535)는, 상술한 제1 회전형 완충부(534)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회전형 완충부(534)의 곡선형 하부 블록(5341), 곡선형 실린더(5342), 곡선형 피스톤(5343) 및 진동 완충 스프링(5344)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회전 지지부(530)는, 상단 지지부(510)와 중단 지지부(540) 사이에서 각각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회전 운동으로 변형시켜 주는 동시에 회전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단 지지부(510)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11은 도 7의 중단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중단 지지부(540)는, 중단 지지 기둥(541), 제2 나사산(542), 제1 완충부 배치홈(543), 제2 완충부 배치홈(544) 및 다수 개의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545)를 포함한다.
중단 지지 기둥(541)은,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기둥 안착홈(522)에 안착되어 지지 유체(523)에 의해 지지되며, 제2 나사산(542), 제1 완충부 배치홈(543), 제2 완충부 배치홈(544) 및 다수 개의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545)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제2 나사산(54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나사산(533)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동시에 상단 지지부(510)로부터 회전형 지지 원통(531)으로 진동 또는 충격이 전달됨에 따라 회전형 지지 원통(531)이 회전하면서 하강할 수 있도록 중단 지지 기둥(541)의 상부 외측을 따라 형성된다.
제1 완충부 배치홈(543)은, 제1 회전형 완충부(534)가 배치될 수 있도록 중단 지지 기둥(541)의 상부 일측에서 곡선형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제2 완충부 배치홈(544)은, 제2 회전형 완충부(535)가 배치될 수 있도록 중단 지지 기둥(541)의 상부 타측에서 곡선형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다수 개의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545)는, 중단 지지 기둥(541)의 상하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중단 지지 기둥(541)의 하부 외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돌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중단 지지부(540)는, 회전 지지부(530)와 하단 지지부(520)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 지지부(530)를 지지하는 동시에, 회전 지지부(53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기둥 안착홈(522)에서 지지 유체(523)를 가압하면서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도 7의 하단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하단 지지부(520)는, 안착 블록(521), 기둥 안착홈(522), 지지 유체(523), 수직 이동 가이드홈(524) 및 보조 완충부(525)를 포함한다.
안착 블록(521)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기둥 안착홈(522), 지지 유체(523), 수직 이동 가이드홈(524) 및 보조 완충부(525)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기둥 안착홈(522)은, 중단 지지 기둥(541)이 안착될 수 있도록 중단 지지 기둥(541)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형성하면서 안착 블록(521)의 상부에 형성되고, 중단 지지 기둥(541)이 삽입되고 남아 있는 하측 공간에 지지 유체(523)가 수용된다.
이때, 지지 유체(523)는, 중단 지지 기둥(541)에 의해 밀폐되는 기둥 안착홈(522)의 하단에 수용되는 것이며, 중단 지지 기둥(541)의 기둥 안착홈(522)에서의 상하 이동에 상관 없이 기둥 안착홈(522)으로부터 유출되지 아니하여야 할 것이다.
지지 유체(523)는, 물 또는 오일 등과 같이 그 형상의 변형이 가능하고 유동성을 가지고 있는 물체이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하며, 중단 지지 기둥(541)이 삽입되고 남아 있는 기둥 안착홈(522)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어 기둥 안착홈(522)에 삽입되어 있는 중단 지지 기둥(541)을 지지한다.
수직 이동 가이드홈(524)은,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545)가 안착되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중단 지지 기둥(541)의 상하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기둥 안착홈(522)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된다.
보조 완충부(525)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 블록(521)의 하부 내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기둥 안착홈(522)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지지 유체(523)를 공급받거나 공급받았던 지지 유체(523)를 기둥 안착홈(522)의 하부 공간으로 배출시켜 주면서 중단 지지 기둥(541)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보조 완충부(525)는, 이너 하우징(5251), 지지 파티션(5252) 및 파티션 지지 스프링(525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하우징(5251)은,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안착 블록(521)의 하부 내측에 설치되며, 회전 지지부(53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기둥 안착홈(522)을 따라 수직 하강되는 중단 지지 기둥(541)에 의해 압축되는 지지 유체(523)를 기둥 안착홈(522)으로부터 전달받아 상측으로부터 수용한다.
여기서, 기둥 안착홈(522)과 이너 하우징(5251) 사이에는, 지지 유체(523)의 이동을 중계하기 위한 유체 이동로(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 파티션(5252)은, 이너 하우징(5251)의 내부 공간을 지지 유체(523)가 수용되는 상부 공간과 파티션 지지 스프링(5253)이 설치되는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공간으로 구획시키면서 이너 하우징(5251)의 중단에 설치된다.
파티션 지지 스프링(5253)은, 이너 하우징(5251)의 내부 공간의 하측에 설치되어 지지 파티션(5252)의 하측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하단 지지부(520)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중단 지지부(540)를 지지하는 동시에, 중단 지지부(540)로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중단 지지부(540)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 시 압축되는 지지 유체(523)의 배출 또는 유입 과정에서 진동 또는 충격 등의 완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불법복제품 판독시스템은, 운영체제(Operation System; OS), 즉 시스템을 기반으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거나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운영체제는 소프트웨어가 장치의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 프로그램으로서, 안드로이드 OS, iOS, 윈도우 모바일 OS, 바다 OS, 심비안 OS, 블랙베리 OS 등 모바일 컴퓨터 운영체제 및 윈도우 계열, 리눅스 계열, 유닉스 계열, MAC, AIX, HP-UX 등 컴퓨터 운영체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불법복제품 판독시스템(10)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명령어 및 데이터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기록 매체일 수 있는데, 컴퓨터 기록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는 HDD 및 SS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저장 매체, CD, 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 등과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서버에 포함되는 메모리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불법복제품 판독시스템(10)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불법복제품 판독시스템(10)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불법복제품 판독시스템
100: 촬영 단말기
200: 고객 단말기
300: 정품 판독 서버

Claims (10)

  1. 물품에 부착되어 있는 보안 태그에 포함된 혼합 이미지를 포함하는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촬영 단말기;
    상기 촬영 단말기에서 촬영한 보안 태그의 영상 이미지를 수산받아 위조 여부의 감정을 요청하는 고객 단말기; 및
    상기 고객 단말기를 통해 수신되는 보안 태그의 영상 이미지를 이용하여 보안 태그가 부착되어 있는 물품의 정품 여부를 판독한 뒤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제공하는 정품 판독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정품 판독 서버는,
    상기 획득된 영상 이미지에서 상기 혼합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영역 내의 혼합 이미지에서 미리 설정된 순서, 크기 및 위치를 근거로 상기 혼합 이미지에 포함된 특정 패턴 이미지의 분할된 복수의 영역을 각각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상기 분할된 복수의 영역을 상기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조합하여 상기 특정 패턴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특정 패턴 이미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객체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상기 특정 패턴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패턴이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특정 패턴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패턴이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있을 때, 상기 보안 태그가 부착된 제품이 정품인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보안 태그가 부착된 제품이 정품임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보안 태그에 포함된 상세 정보를 표시부 및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촬영 단말기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물품이 안착되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촬영 중인 물품을 회전시켜 주는 회전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회동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형 스탠드; 및
    상기 회동형 스탠드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안착되어 있는 물품에 부착되어 있는 보안 태그에 포함된 혼합 이미지를 포함하는 영상 이미지를 획득한 뒤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촬영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형 스탠드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형성되며, 서로 대향하는 일측면 및 타측면이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서로 가까워지도록 각각 경사면을 형성하는 측면 설치홈;
    상기 측면 설치홈의 중단에 설치되는 회동 모터;
    상기 회동 모터의 구동축에 축결합되어 상기 측면 설치홈에 직립되어 설치되며, 상기 회동 모터에 의해 상기 측면 설치홈의 범위 내에서 회동 구동되는 회동 프레임;
    상기 측면 설치홈의 일측 경사면에 설치되어 회동함에 따라 밀착되는 상기 회동 프레임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완충 지지부;
    상기 측면 설치홈의 타측 경사면에 설치되어 회동함에 따라 밀착되는 상기 회동 프레임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완충 지지부; 및
    상기 회동 프레임의 상부를 덮고 상하 방향으로 승강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동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촬영 모듈이 설치되는 상부가 물품이 안착되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중단과 대향할 수 있도록 수평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승강 프레임;을 포함하는, 불법복제품 판독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 지지부는,
    상기 측면 설치홈의 일측 경사면에 형성되는 패드 안착홈;
    상부가 상기 패드 안착홈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패드 안착홈에 설치되는 지지 패드;
    상기 패드 안착홈의 상단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 완충부 설치홈;
    상기 패드 안착홈의 하단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2 완충부 설치홈;
    상부가 상기 제1 완충부 설치홈으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지지 패드의 상단 내향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완충부 설치홈에 설치되는 제1 프레임 지지부; 및
    상부가 상기 제2 완충부 설치홈으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지지 패드의 하단 내향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완충부 설치홈에 설치되는 제2 프레임 지지부;를 포함하는, 불법복제품 판독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지지부는,
    원형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패드의 상단 내향면을 지지하는 상단 지지부;
    상기 상단 지지부와 이격 설치되어 상기 제1 완충부 설치홈의 내측면에 안착되는 하단 지지부;
    상기 상단 지지부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 지지부; 및
    상부가 상기 회전 지지부에 나사 결합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하단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지지부를 지지하는 중단 지지부;를 포함하는, 불법복제품 판독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부는,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단 지지부의 하측에 밀착 배치되어 상기 상단 지지부를 지지하는 회전형 지지 원통;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이 상기 상단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단 지지부의 하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회전 체결홈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회전 체결 돌기;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나사산;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단 지지부의 상부 일측에 안착되어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회전을 저지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1 회전형 완충부; 및
    상기 제1 회전형 완충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단 지지부의 상부 타측에 안착되어 상기 제1 회전형 완충부와 함께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회전을 저지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2 회전형 완충부;를 포함하는, 불법복제품 판독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단 지지부는,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중단 지지 기둥;
    상기 제1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상단 지지부로부터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으로 진동 또는 충격이 전달됨에 따라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이 회전하면서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부 외측을 따라 형성되는 제2 나사산;
    상기 제1 회전형 완충부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완충부 배치홈;
    상기 제2 회전형 완충부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완충부 배치홈; 및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하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하부 외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돌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불법복제품 판독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지지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안착 블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형성하면서 상기 안착 블록의 상부에 형성되는 기둥 안착홈;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이 삽입되고 남아 있는 상기 기둥 안착홈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기둥 안착홈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을 지지하는 지지 유체;
    상기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가 안착되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기둥 안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는 수직 이동 가이드홈; 및
    상기 안착 블록의 하부 내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기둥 안착홈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지지 유체를 공급받거나 공급받았던 상기 지지 유체를 상기 기둥 안착홈의 하부 공간으로 배출시켜 주면서 상기 중단 지지 기둥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보조 완충부;를 포함하는, 불법복제품 판독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완충부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 블록의 하부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 지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상기 기둥 안착홈을 따라 수직 하강되는 상기 중단 지지 기둥에 의해 압축되는 상기 지지 유체를 전달받아 상측으로부터 수용하는 이너 하우징;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상기 지지 유체가 수용되는 상부 공간과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공간으로 구획시키면서 상기 이너 하우징의 중단에 설치되는 지지 파티션; 및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파티션의 하측을 지지하는 파티션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는, 불법복제품 판독시스템.
KR1020220186057A 2022-12-27 2022-12-27 불법복제품 판독시스템 KR102568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6057A KR102568189B1 (ko) 2022-12-27 2022-12-27 불법복제품 판독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6057A KR102568189B1 (ko) 2022-12-27 2022-12-27 불법복제품 판독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8189B1 true KR102568189B1 (ko) 2023-08-18

Family

ID=87801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6057A KR102568189B1 (ko) 2022-12-27 2022-12-27 불법복제품 판독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818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732B1 (ko) 2012-06-21 2014-12-26 박삼식 정품인증라벨, 이를 이용하는 정품인증단말, 정품인증라벨 출력 장치, 정품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1678970B1 (ko) * 2015-04-14 2016-11-24 유미나 물품 감정 방법
KR102188126B1 (ko) * 2020-02-24 2020-12-07 홍주표 위조 판별 장치 및 그 방법
KR102316268B1 (ko) * 2019-11-18 2021-10-21 주식회사 신세계아이앤씨 상품 인식을 위한 데이터 취득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732B1 (ko) 2012-06-21 2014-12-26 박삼식 정품인증라벨, 이를 이용하는 정품인증단말, 정품인증라벨 출력 장치, 정품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1678970B1 (ko) * 2015-04-14 2016-11-24 유미나 물품 감정 방법
KR102316268B1 (ko) * 2019-11-18 2021-10-21 주식회사 신세계아이앤씨 상품 인식을 위한 데이터 취득 시스템
KR102188126B1 (ko) * 2020-02-24 2020-12-07 홍주표 위조 판별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46158B2 (ja) 2次元コード
US10867224B2 (en) Occlusion-resilient optical codes for machine-read articles
US9306944B2 (en) Secur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matrix bar code
JP6403085B1 (ja) 複合コードパターン、生成装置、読み取り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070000B2 (en) Secondary information for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matrix bar code function
CN103324928A (zh) 透明薄片
US10896340B2 (en) Encoding data in symbols disposed on an optically active article
CN103761062B (zh) 一种在二维码区域显示对应素材的方法及移动终端
CN102750564A (zh) 动态二维码及其解码方法
EP3224762B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recognized text according to a speed reading pattern
US201702703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locking information from an image
KR102568189B1 (ko) 불법복제품 판독시스템
CN102749966A (zh) 图像处理装置、图像处理系统和图像处理方法
US10929625B2 (en) Authentication method for product packaging
KR102568032B1 (ko) 인공 지능을 이용한 진품 감정 시스템
US10915804B1 (en) Package identification using graphics on shipping labels
US11068075B1 (en) Reading support system and method by relating book object to interactive content
US20090323124A1 (en) Data Encryption Method Implemented on a Pattern Displaying Medium with At Least Two Types of Ink
EP2831809B1 (en) Security feature
JP2017518906A (ja) 電子黒板およびこれを含む電子黒板システム
Long et al. Cambridge International AS and A Level IT Coursebook with CD-ROM
US20060118634A1 (en) Object with symbology
US20080222733A1 (en) Anti-pirate memory card
KR20140033885A (ko) 정품 인증용 라벨, 그 라벨의 인증코드 생성 방법, 그 라벨의 인증 방법 및 시스템, 그 라벨을 인증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라벨의 인증을 위한 컴퓨터 가독성 기록매체
JP6167691B2 (ja) Arマーカ及びarマーカ表示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