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8840B1 -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8840B1
KR102248840B1 KR1020190173446A KR20190173446A KR102248840B1 KR 102248840 B1 KR102248840 B1 KR 102248840B1 KR 1020190173446 A KR1020190173446 A KR 1020190173446A KR 20190173446 A KR20190173446 A KR 20190173446A KR 102248840 B1 KR102248840 B1 KR 102248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information
history management
terminal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3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천호
정연홍
김은선
이웅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맘의산골이유식 농업회사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맘의산골이유식 농업회사법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맘의산골이유식 농업회사법인
Priority to KR1020190173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8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5Quality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Abstract

생산자, 가공자, 유통자, 소비자에게 개인 키를 발급해주며, 식품의 이력 정보와 공공데이터를 저장하는 식품 이력 관리 서버와,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식품의 생산 정보를 등록하며, 상기 생산 정보가 저장된 제 1 QR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저장하는 생산자 단말기와, 상기 제 1 QR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접속한 후, 상기 생산 정보를 확인하고, 식품의 가공 정보를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입력하여 상기 생산 정보와 상기 가공 정보가 저장된 제 2 QR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저장하는 가공자 단말기와, 상기 제 2 QR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접속한 후, 상기 생산 정보와 상기 가공 정보를 확인하고, 식품의 유통 정보를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입력하여 상기 생산 정보, 상기 가공 정보 및 상기 유통 정보로 이뤄진 식품 이력 정보가 저장된 제 3 QR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저장하는 유통자 단말기와, 상기 제 3 QR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접속한 후, 상기 식품 이력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를 관리하며, 공공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저장하여 상기 식품 이력 정보와 상기 공공데이터가 저장된 제 4 QR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저장하는 관리자 단말기와, 상기 제 4 QR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접속한 후, 상기 식품 이력 정보 및 상기 공공데이터를 제공받는 소비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는, 상기 식품 이력 정보와 상기 공공데이터, 상기 제 1 QR 코드, 상기 제 2 QR 코드, 상기 제 3 QR 코드, 상기 제 4 QR 코드와 식품의 위해성 판단 결과를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의 블록체인 상에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식품 이력 정보와 상기 공공데이터를 상기 생산자 단말기, 상기 가공자 단말기, 상기 유통자 단말기,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 추출해주며, 상기 저장부에 상기 위해성 판단 결과가 저장되면 상기 생산자 단말기, 상기 가공자 단말기, 상기 유통자 단말기로 회수알람을 추출하며, 상기 개인 키를 발급해주는 추출부와, 상기 개인 키를 발급받은 상기 생산자 단말기, 상기 가공자 단말기, 상기 유통자 단말기, 상기 소비자 단말기만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Block-Chain based System For Management History of Food}
본 발명은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록체인 기반으로 식품 이력을 투명하게 공개하여 신뢰성을 갖출 수 있으며, QR 코드를 생성해 식품 이력에 대한 정보접근성을 향상시켜 식품안전사고를 빠르게 예방해주는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해양 수산물 관련 질병 콜레라, 패혈증 등에 대한 불안감 고조 및 국민의 먹거리 인식 변화에 따른 어시장 방문 고객 감소 추세이며, 식자재 구매시 공산품이 아닌 직접 재배된 채소 같은 경우 유통기한이 미표시되어 있어 품질에 대한 의구심 증가하고 있다. 또한 가공 도시락 판매시 첨가물의 세부정보를 알 수 없어 소비자 구매욕구 불충족 되고 있어 상인번영회, 마을기업, 자활기업 등 식료품 관련 사회적경제기업 대다수가 안전먹거리 인식 변화에 따라 새로운 안전플랫폼 구축 필요성 제기가 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들은 블록체인 기반이 아닌 식품관리시스템은 식품관리담당자에게 정보가 제공되거나, 정보의 수정, 삭제가 가능해 신뢰성이 떨어지며, 블록체인 기반의 식품관리시스템 또한 전 단계 정보에 기초한 현 단계 이력 정보 파악으로 정보훼손의 위험이 있으며, 미리 설정한 시간간격으로 환경센싱을 인식하는 기술이 대다수이다.
특허등록번호 제 10-1871468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을 발명하여, 식품 이력을 투명하게 공개하여 신뢰성을 갖추며, QR 코드를 생성해 식품 이력에 대한 정보접근성을 향상시켜 식품안전사고를 빠르게 예방할 수 있는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인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은, 생산자, 가공자, 유통자, 소비자에게 개인 키를 발급해주며, 식품의 이력정보와 공공데이터를 저장하는 식품 이력 관리 서버와,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식품의 생산 정보를 등록하며, 상기 생산 정보가 저장된 제 1 QR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저장하는 생산자 단말기와, 상기 제 1 QR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접속한 후, 상기 생산 정보를 확인하고, 식품의 가공 정보를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입력하여 상기 생산 정보와 상기 가공 정보가 저장된 제 2 QR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저장하는 가공자 단말기와, 상기 제 2 QR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접속한 후, 상기 생산 정보와 상기 가공 정보를 확인하고, 식품의 유통 정보를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입력하여 상기 생산 정보, 상기 가공 정보 및 상기 유통 정보로 이뤄진 식품 이력 정보가 저장된 제 3 QR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저장하는 유통자 단말기와, 상기 제 3 QR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접속한 후, 상기 식품 이력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를 관리하며, 공공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저장하여 상기 식품 이력 정보와 상기 공공데이터가 저장된 제 4 QR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저장하는 관리자 단말기와, 상기 제 4 QR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접속한 후, 상기 식품 이력 정보 및 상기 공공데이터를 제공받는 소비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는, 상기 식품 이력 정보와 상기 공공데이터, 상기 제 1 QR 코드, 상기 제 2 QR 코드, 상기 제 3 QR 코드, 상기 제 4 QR 코드와 식품의 위해성 판단 결과를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의 블록체인 상에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식품 이력 정보와 상기 공공데이터를 상기 생산자 단말기, 상기 가공자 단말기, 상기 유통자 단말기,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 추출해주며, 상기 저장부에 상기 위해성 판단 결과가 저장되면 상기 생산자 단말기, 상기 가공자 단말기, 상기 유통자 단말기로 회수알람을 추출하며, 상기 개인 키를 발급해주는 추출부와, 상기 개인 키를 발급받은 상기 생산자 단말기, 상기 가공자 단말기, 상기 유통자 단말기, 상기 소비자 단말기만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록체인은, 허가형 블록체인을 사용하여 상기 개인 키를 발급받은 생산자, 가공자, 유통자, 소비자만이 상기 식품 이력 정보를 저장하고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산 정보는, 생산자가 생산자의 정보, 생산 일자, 생산 갯수, 생산 상태, 품종 정보, 원산지 정보, 수확일자를 입력하며, 상기 가공 정보는, 가공자가 가공자의 정보, 품목 정보, 가공 조건, 가공 일자를 입력하며, 상기 유통 정보는, 유통자가 유통자의 정보와 품목 정보, 유통 조건, 입고 일자, 유통 일자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공데이터는, 공공기관의 부처별로 나눠져 저장되어 있는 식품 안전 정보들을 수집하여 식품안전 데이터를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서 상기 개인 키 발급을 허가받은 생산자, 가공자, 유통자, 소비자에게 개인 키를 발급해주는 제 1 단계와,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공공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저장하는 제 2 단계와, 생산자가 생산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발급된 개인 키를 입력하여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접속한 뒤, 생산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하여 제 1 QR 코드를 생성하는 제 3 단계와, 가공자가 가공자 단말기로 상기 제 1 QR 코드를 인식시킨 후, 상기 발급된 개인 키를 입력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접속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접속한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저장된 상기 생산 정보를 상기 가공자가 상기 가공자 단말기를 통해 열람한 뒤, 상기 공공데이터를 참고하여 위해성 여부를 판단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생산 정보에 식품의 위해성이 있을 경우, 상기 가공자가 상기 가공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식품의 위해성 판단 결과를 입력하면,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서 상기 생산자 단말기, 상기 가공자 단말기로 회수알람을 전달하는 제 6 단계와, 상기 생산 정보에 식품의 위해성이 없을 경우, 상기 가공자는 상기 가공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가공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하여 제 2 QR 코드를 생성하는 제 7 단계와, 유통자가 유통자 단말기로 상기 제 2 QR 코드를 인식시킨 후, 상기 발급된 개인 키를 입력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접속하는 제 8 단계와, 상기 접속한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저장된 상기 생산 정보, 상기 가공 정보를 상기 유통자가 상기 유통자 단말기를 통해 열람한 뒤, 상기 공공데이터를 참고하여 위해성 여부를 판단하는 제 9 단계와, 상기 생산 정보, 상기 가공 정보에 위해성이 있을 경우, 상기 유통자가 상기 유통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식품의 위해성 판단 결과를 입력하면,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서 상기 생산자 단말기, 상기 가공자 단말기, 상기 유통자 단말기에 회수알람을 전달하는 제 10 단계와, 상기 생산 정보, 상기 가공 정보에서 식품의 위해성이 없을 경우, 상기 유통자는 상기 유통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유통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하여 제 3 QR 코드를 생성하는 제 11 단계와,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로 상기 제 3 QR 코드를 인식시켜, 상기 이력 관리 서버에 저장된 상기 생산 정보,상기 가공 정보, 상기 유통 정보로 이뤄진 식품 이력 정보를 열람한 뒤, 상기 공공데이터를 참고하여 식품의 위해성 여부를 판단하는 제 12 단계와, 상기 식품 이력 정보에 식품의 위해성이 있을 경우, 상기 관리자가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식품의 위해성 판단 결과를 입력하면,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서 상기 생산자 단말기, 상기 가공자 단말기, 상기 유통자 단말기에 회수알람을 전달하는 제 13 단계와, 상기 식품 이력 정보에 식품의 위해성이 없을 경우, 상기 관리자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식품 이력 정보와 상기 공공데이터의 정보를 저장하여 제 4 QR 코드를 생성하는 제 14 단계와, 소비자가 소비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제 4 QR 코드를 인식시키고, 상기 발급된 개인 키를 입력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접속한 뒤, 상기 식품 이력 정보와 상기 공공데이터를 열람하는 제 15 단계를 포함하여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을 이용하는 식품이력관리방법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을 발명하여, 식품 이력을 투명하게 공개하여 신뢰성을 갖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QR 코드를 생성해 식품 이력에 대한 정보접근성을 향상시켜 식품안전사고를 빠르게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의 식품 이력 관리 서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의 생산 정보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의 가공 정보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의 유통 정보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에는, 생산자, 가공자, 유통자, 소비자에게 개인 키를 발급해주며, 식품의 이력 정보와 공공데이터를 저장하는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와,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식품의 생산 정보를 등록하며, 상기 생산 정보가 저장된 제 1 QR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저장하는 생산자 단말기(200)와, 상기 제 1 QR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생산 정보를 확인하고, 식품의 가공 정보를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입력하여 상기 생산 정보와 상기 가공 정보가 저장된 제 2 QR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저장하는 가공자 단말기(300)와, 상기 제 2 QR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생산 정보와 상기 가공 정보를 확인하고, 식품의 유통 정보를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입력하여 상기 생산 정보, 상기 가공 정보 및 상기 유통 정보로 이뤄진 식품 이력 정보가 저장된 제 3 QR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저장하는 유통자 단말기(400)와, 상기 제 3 QR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식품 이력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를 관리하며, 공공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저장하여 상기 식품 이력 정보와 상기 공공데이터가 저장된 제 4 QR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저장하는 관리자 단말기(500)와, 상기 제 4 QR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식품 이력 정보 및 상기 공공데이터를 제공받는 소비자 단말기(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는, 상기 식품 이력 정보와 상기 공공데이터, 상기 제 1 QR 코드, 상기 제 2 QR 코드, 상기 제 3 QR 코드, 상기 제 4 QR 코드와 상기 위해성 판단 결과를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의 블록체인 상에 저장하는 저장부(110)와, 상기 저장부(110)에 저장된 식품 이력 정보와 공공데이터를 상기 생산자 단말기(200), 상기 가공자 단말기(300), 상기 유통자 단말기(400), 상기 소비자 단말기(600)로 추출해주며, 상기 저장부(110)에 상기 위해성 판단 결과가 저장되면 상기 생산자 단말기(200), 상기 가공자 단말기(300), 상기 유통자 단말기(400)로 상기 회수알람을 추출하며, 상기 개인 키를 발급해주 추출부(120)와, 상기 개인 키를 발급받은 상기 생산자 단말기(200), 상기 가공자 단말기(300), 상기 유통자 단말기(400), 상기 소비자 단말기(600)만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는,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인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에 따른 생산정보, 가공정보, 유통정보, 공공데이터, QR코드에 대한 파일을 저장한다.
상기 저장부(110)는, 상기 생산자 단말기(200)를 통해 입력된 생산 정보, 상기 가공자 단말기(300)를 통해 입력된 가공 정보, 상기 유통자 단말기(400)를 통해 입력된 유통 정보가 수신되는 즉시 블록체인 상에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하기에 의해 설명된 관리자 단말기(500)에 의해 입력된 상기 공공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식품 이력 정보와 상기 공공데이터가 저장된 상기 제 1 QR 코드, 상기 제 2 QR 코드, 상기 제 3 QR 코드, 상기 제 4 QR 코드 및 상기 식품의 위해성 판단 결과를 상기 식품 이력 서버(100)의 블록체인 상에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추출부(120)는, 상기 저장부(110)에 저장된 식품 이력 정보와 공공데이터를 상기 생산자 단말기(200), 상기 가공자 단말기(300), 상기 유통자 단말기(400), 상기 소비자 단말기(600)로 추출해주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저장부(110)에 상기 위해성 판단 결과가 저장되면, 상기 생산자 단말기(200), 상기 가공자 단말기(300), 상기 유통자 단말기(400)로 상기 회수알람을 추출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개인 키를 발급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수 알람이 상기 생산자 단말기(200), 상기 가공자 단말기(300), 상기 유통자 단말기(400)로 추출됨으로써, 위해성이 있는 식품이 소비자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개인 키는 RSA(Rivest Shamir Adleman) 알고리즘 또는 ECC(Elliptic Curve Cryptography)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생성된 고유한 문자열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개인 키를 발급받은 상기 생산자 단말기(200), 상기 가공자 단말기(300), 상기 유통자 단말기(400), 상기 소비자 단말기(600)만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블록체인은 허가형 블록체인을 사용하여 상기 개인 키를 발급받은 생산자, 가공자, 유통자, 소비자만이 상기 이력 정보를 저장하고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무분별한 정보 입력과 열람을 벗어나 신뢰할 만한 정보만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덧붙여, 상기 식품 이력 서버(100)는 수정부와 삭제부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정부와 삭제부가 없으므로, 한번 입력한 정보는 온전히 상기 식품 이력 서버(100)에 남기 때문에 식품 이력에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생산자 단말기(200)는, 상기 생산자가 입력하는 상기 생산 정보를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입력하여 등록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생산 정보가 저장된 제 1 QR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생산자 단말기(200)는 스마트폰,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뿐 아니라 PC(Personal Computer)와 같은 유선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생산 정보는, 생산자가 생산자의 정보, 생산 일자, 생산 갯수, 생산 상태, 품종 정보, 원산지 정보, 수확일자를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가공자 단말기(300)는, 상기 가공자가 상기 가공자 단말기(300)에 상기 제 1 QR 코드를 인식하면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접속한 후, 상기 생산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끔 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가공자가 입력하는 식품의 가공 정보를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입력하여 상기 생산 정보와 상기 가공 정보가 저장된 제 2 QR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가공자가 상기 가공자단말기로 상기 생산 정보의 위해성 여부를 판단하고, 위해성 여부 정보를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입력한다.
상기 가공자 단말기(300)는 스마트폰,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뿐 아니라 PC(Personal Computer)와 같은 유선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공 정보는, 가공자가 가공자의 정보, 품목 정보, 가공 조건, 가공 일자를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유통자 단말기(400)는, 상기 유통자가 상기 유통자 단말기(400)에 상기 제 2 QR 코드를 인식하면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접속한 후, 상기 생산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끔 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유통자가 입력하는 식품의 유통 정보를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입력하여 상기 생산 정보, 상기 가공 정보 및 상기 유통 정보로 이뤄진 식품 이력 정보가 저장된 제 3 QR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유통자가 상기 유통자단말기로 상기 생산 정보, 상기 가공 정보의 위해성 여부를 판단하고, 위해성 여부 정보를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입력한다.
상기 유통자 단말기(400)는 스마트폰,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뿐 아니라 PC(Personal Computer)와 같은 유선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통 정보는, 유통자가 유통자의 정보와 품목 정보, 유통 조건, 입고 일자, 유통 일자를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500)는, 상기 관리자가 상기 관리자 단말기(500)에 상기 제 3 QR 코드를 인식하면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접속한 후, 상기 생산 정보, 상기 가공 정보, 상기 유통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끔 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관리자 단말기(500)를 통해 상기 관리자가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관리자가 공공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500)에 입력하면,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저장하여 상기 식품 이력 정보와 상기 공공데이터가 저장된 제 4 QR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관리자가 상기 관리자단말기로 상기 생산 정보, 상기 가공 정보, 상기 유통 정보의 위해성 여부를 판단하고, 위해성 여부 정보를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입력한다.
상기 관리자 단말기(500)는 스마트폰,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뿐 아니라 PC(Personal Computer)와 같은 유선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공공데이터는, 공공기관의 부처별로 나눠져 저장되어 있는 식품 안전 정보들을 수집하여 식품안전 데이터를 구축하여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소비자 단말기(600)는, 상기 제 4 QR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접속한 후, 상기 식품 이력 정보 및 상기 공공데이터를 제공받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소비자 단말기(600)는 스마트폰,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뿐 아니라 PC(Personal Computer)와 같은 유선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은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서 상기 개인 키 발급을 허가받은 생산자, 가공자, 유통자, 소비자에게 개인 키를 발급해주는 제 1 단계와,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500)를 통해 공공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저장하는 제 2 단계와, 생산자가 생산자 단말기(200)를 통해 상기 발급된 개인 키를 입력하여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접속한 뒤, 생산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하여 제 1 QR 코드를 생성하는 제 3 단계와, 가공자가 가공자 단말기(300)로 상기 제 1 QR 코드를 인식시킨 후, 상기 발급된 개인 키를 입력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접속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접속한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저장된 상기 생산 정보를 상기 가공자가 상기 가공자 단말기(300)를 통해 열람한 뒤, 상기 공공데이터를 참고하여 위해성 여부를 판단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생산 정보에 식품의 위해성이 있을 경우, 상기 가공자가 상기 가공자 단말기(300)를 통해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식품의 위해성 판단 결과를 입력하면,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서 상기 생산자 단말기(200), 상기 가공자 단말기(300)로 회수알람을 전달하는 제 6 단계와, 상기 생산 정보에 식품의 위해성이 없을 경우, 상기 가공자는 상기 가공자 단말기(300)를 통해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가공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하여 제 2 QR 코드를 생성하는 제 7 단계와, 유통자가 유통자 단말기(400)로 상기 제 2 QR 코드를 인식시킨 후, 상기 발급된 개인 키를 입력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접속하는 제 8 단계와, 상기 접속한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저장된 상기 생산 정보, 상기 가공 정보를 상기 유통자가 상기 유통자 단말기(400)를 통해 열람한 뒤, 상기 공공데이터를 참고하여 위해성 여부를 판단하는 제 9 단계와, 상기 생산 정보, 상기 가공 정보에 위해성이 있을 경우, 상기 유통자가 상기 유통자 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식품의 위해성 판단 결과를 입력하면,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서 상기 생산자 단말기(200), 상기 가공자 단말기(300), 상기 유통자 단말기(400)에 회수알람을 전달하는 제 10 단계와, 상기 생산 정보, 상기 가공 정보에서 식품의 위해성이 없을 경우, 상기 유통자는 상기 유통자 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유통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하여 제 3 QR 코드를 생성하는 제 11 단계와,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500)로 상기 제 3 QR 코드를 인식시켜, 상기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저장된 상기 생산 정보,상기 가공 정보, 상기 유통 정보로 이뤄진 식품 이력 정보를 열람한 뒤, 상기 공공데이터를 참고하여 식품의 위해성 여부를 판단하는 제 12 단계와, 상기 식품 이력 정보에 식품의 위해성이 있을 경우, 상기 관리자가 상기 관리자 단말기(500)를 통해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식품의 위해성 판단 결과를 입력하면,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서 상기 생산자 단말기(200), 상기 가공자 단말기(300), 상기 유통자 단말기(400)에 회수알람을 전달하는 제 13 단계와, 상기 식품 이력 정보에 식품의 위해성이 없을 경우, 상기 관리자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500)를 통해 상기 식품 이력 정보와 상기 공공데이터의 정보를 저장하여 제 4 QR 코드를 생성하는 제 14 단계와, 소비자가 소비자 단말기(600)를 통해 상기 제 4 QR 코드를 인식시키고, 상기 발급된 개인 키를 입력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접속한 뒤, 상기 식품 이력 정보와 상기 공공데이터를 열람하는 제 15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할 수 있다.
1.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서 상기 개인 키 발급을 허가받은 생산자, 가공자, 유통자, 소비자에게 개인 키를 발급해주는 제 1 단계가 진행된다.
먼저, 개인 키 발급이 허가된 생산자, 가공자, 유통자, 소비자에게만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는 개인 키를 발급해준다. 상기 생산자, 상기 가공자, 상기 유통자, 상기 소비자는 상기 생산자 단말기(200), 상기 가공자 단말기(300), 상기 유통자 단말기(400), 상기 소비자 단말기(600)에 상기 개인 키를 입력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인 키는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의 추출부(120)에서 추출된다.
2.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500)를 통해 공공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저장하는 제 2 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공공데이터는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의 저장부(110)에 저장된다.
3. 생산자가 생산자 단말기(200)를 통해 상기 발급된 개인 키를 입력하여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접속한 뒤, 생산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하여 제 1 QR 코드를 생성하는 제 3 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생산 정보는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의 저장부(110)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생성된 제 1 QR 코드는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의 저장부(110)에 저장된다.
4. 가공자가 가공자 단말기(300)로 상기 제 1 QR 코드를 인식시킨 후, 상기 발급된 개인 키를 입력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접속하는 제 4 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발급된 개인 키는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의 추출부(120)에서 추출된다.
5. 상기 접속한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저장된 상기 생산 정보를 상기 가공자가 상기 가공자 단말기(300)를 통해 열람한 뒤, 상기 공공데이터를 참고하여 위해성 여부를 판단하는 제 5 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생산 정보는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의 추출부(120)에서 추출된다.
상기 가공자는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의 저장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공공데이터의 식품 안전 데이터를 참고하여 상기 위해성 여부 판단을 진행한다.
6. 상기 생산 정보에 식품의 위해성이 있을 경우, 상기 가공자가 상기 가공자 단말기(300)를 통해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식품의 위해성 판단 결과를 입력하면,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서 상기 생산자 단말기(200), 상기 가공자 단말기(300)로 회수알람을 전달하는 제 6 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회수알람을 받은 상기 생산자와 상기 가공자가 식품을 폐기하거나 생산 중지하여 상기 식품이 소비자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이런 과정에 의해 식품이력에 대한 정보접근성이 향상되어 식품안전사고를 빠르게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입력한 식품의 위해성 판단 결과는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시스템의 저장부(110)에 저장된다.
상기 저장부(110)에 상기 위해성 판단 결과가 입력되면,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의 상기 추출부(120)에서 상기 회수알람이 상기 생산자 단말기(200)로 추출된다.
7. 상기 생산 정보에 식품의 위해성이 없을 경우, 상기 가공자는 상기 가공자 단말기(300)를 통해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가공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하여 제 2 QR 코드를 생성하는 제 7 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가공 정보는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의 저장부(110)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생성된 제 2 QR 코드는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의 저장부(110)에 저장된다.
8. 유통자가 유통자 단말기(400)로 상기 제 2 QR 코드를 인식시킨 후, 상기 발급된 개인 키를 입력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접속하는 제 8 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발급된 개인 키는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의 추출부(120)에서 추출된다.
9. 상기 접속한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저장된 상기 생산 정보, 상기 가공 정보를 상기 유통자가 상기 유통자 단말기(400)를 통해 열람한 뒤, 상기 공공데이터를 참고하여 위해성 여부를 판단하는 제 9 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생산 정보, 상기 가공 정보는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의 추출부(120)에서 추출된다.
상기 유통자는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의 저장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공공데이터의 식품 안전 데이터를 참고하여 상기 위해성 여부 판단을 진행한다.
10. 상기 생산 정보, 상기 가공 정보에 위해성이 있을 경우, 상기 유통자가 상기 유통자 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식품의 위해성 판단 결과를 입력하면,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서 상기 생산자 단말기(200), 상기 가공자 단말기(300), 상기 유통자 단말기(400)에 회수알람을 전달하는 제 10 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회수알람을 받은 상기 생산자와 상기 가공자, 상기 유통자가 식품을 폐기하거나 생산 중지하여 상기 식품이 소비자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이런 과정에 의해 식품이력에 대한 정보접근성이 향상되어 식품안전사고를 빠르게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입력한 식품의 위해성 판단 결과는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시스템의 저장부(110)에 저장된다.
상기 저장부(110)에 상기 위해성 판단 결과가 입력되면,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의 상기 추출부(120)에서 상기 회수알람이 상기 생산자 단말기(200), 상기 가공자 단말기(300)로 추출된다.
11. 상기 생산 정보, 상기 가공 정보에서 식품의 위해성이 없을 경우, 상기 유통자는 상기 유통자 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유통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하여 제 3 QR 코드를 생성하는 제 11 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생산 정보, 상기 가공 정보는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의 저장부(110)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생성된 제 3 QR 코드는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의 저장부(110)에 저장된다.
12.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500)로 상기 제 3 QR 코드를 인식시켜, 상기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저장된 상기 생산 정보,상기 가공 정보, 상기 유통 정보로 이뤄진 식품 이력 정보를 열람한 뒤, 상기 공공데이터를 참고하여 식품의 위해성 여부를 판단하는 제 12 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관리자는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의 저장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공공데이터의 식품 안전 데이터를 참고하여 상기 위해성 여부 판단을 진행한다.
13. 상기 식품 이력 정보에 식품의 위해성이 있을 경우, 상기 관리자가 상기 관리자 단말기(500)를 통해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식품의 위해성 판단 결과를 입력하면,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서 상기 생산자 단말기(200), 상기 가공자 단말기(300), 상기 유통자 단말기(400)에 회수알람을 전달하는 제 13 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회수알람을 받은 상기 생산자와 상기 가공자, 상기 유통자가 식품을 폐기하거나 생산 중지하여 상기 식품이 소비자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이런 과정에 의해 식품이력에 대한 정보접근성이 향상되어 식품안전사고를 빠르게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입력한 식품의 위해성 판단 결과는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시스템의 저장부(110)에 저장된다.
상기 저장부(110)에 상기 위해성 판단 결과가 입력되면,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의 상기 추출부(120)에서 상기 회수알람이 상기 생산자 단말기(200), 상기 가공자 단말기(300), 상기 유통자 단말기(400)로 추출된다.
14. 상기 식품 이력 정보에 식품의 위해성이 없을 경우, 상기 관리자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500)를 통해 상기 식품 이력 정보와 상기 공공데이터의 정보를 저장하여 제 4 QR 코드를 생성하는 제 14 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생성된 제 4 QR 코드는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의 저장부(110)에 저장된다.
15. , 소비자가 소비자 단말기(600)를 통해 상기 제 4 QR 코드를 인식시키고, 상기 발급된 개인 키를 입력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접속한 뒤, 상기 식품 이력 정보와 상기 공공데이터를 열람하는 제 15 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식품 이력 정보와 상기 공공데이터는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100)의 추출부(120)에서 추출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관리서버및/또는 시스템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씌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관리서버 및/또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앱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한 제조 물품(articl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제조 물품"은 임의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캐리어, 또는 매체(media)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자기 저장장치(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등), 광학 디스크(예를 들면, CD, DVD, 등), 스마트 카드, 및 플래쉬 메모리 장치(예를 들면, E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제시되는 다양한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 및/또는 다른 기계-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용어 "기계-판독가능한 매체"는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보유, 및/또는 전달할 수 있는 무선 채널 및 다양한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식품 이력 관리 서버 110 : 저장부
120 : 추출부 130 : 제어부
200 : 생산자 단말기 300 : 가공자 단말기
400 : 유통자 단말기 500 : 관리자 단말기
600 : 소비자 단말기

Claims (5)

  1. 생산자, 가공자, 유통자, 소비자에게 개인 키를 발급해주며, 식품의 이력 정보와 공공데이터를 저장하는 식품 이력 관리 서버;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식품의 생산 정보를 등록하며, 상기 생산 정보가 저장된 제 1 QR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저장하는 생산자 단말기;
    상기 제 1 QR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접속한 후, 상기 생산 정보를 확인하고, 식품의 가공 정보를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입력하여 상기 생산 정보와 상기 가공 정보가 저장된 제 2 QR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저장하는 가공자 단말기;
    상기 제 2 QR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접속한 후, 상기 생산 정보와 상기 가공 정보를 확인하고, 식품의 유통 정보를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입력하여 상기 생산 정보, 상기 가공 정보 및 상기 유통 정보로 이뤄진 식품 이력 정보가 저장된 제 3 QR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저장하는 유통자 단말기;
    상기 제 3 QR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접속한 후, 상기 식품 이력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를 관리하며, 공공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저장하여 상기 식품 이력 정보와 상기 공공데이터가 저장된 제 4 QR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저장하는 관리자 단말기;
    상기 제 4 QR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접속한 후, 상기 식품 이력 정보 및 상기 공공데이터를 제공받는 소비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는,
    상기 식품 이력 정보와 상기 공공데이터, 상기 제 1 QR 코드, 상기 제 2 QR 코드, 상기 제 3 QR 코드, 상기 제 4 QR 코드와 식품의 위해성 판단 결과를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의 블록체인 상에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식품 이력 정보와 상기 공공데이터를 상기 생산자 단말기, 상기 가공자 단말기, 상기 유통자 단말기,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 추출해주며, 상기 저장부에 상기 위해성 판단 결과가 저장되면 상기 생산자 단말기, 상기 가공자 단말기, 상기 유통자 단말기로 회수알람을 추출하며, 상기 개인 키를 발급해주는 추출부;
    상기 개인 키를 발급받은 상기 생산자 단말기, 상기 가공자 단말기, 상기 유통자 단말기, 상기 소비자 단말기만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은,
    허가형 블록체인을 사용하여 상기 개인 키를 발급받은 생산자, 가공자, 유통자, 소비자만이 상기 식품 이력 정보를 저장하고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 정보는,
    생산자가 생산자의 정보, 생산 일자, 생산 갯수, 생산 상태, 품종 정보, 원산지 정보, 수확일자를 입력하며,
    상기 가공 정보는,
    가공자가 가공자의 정보, 품목 정보, 가공 조건, 가공 일자를 입력하며,
    상기 유통 정보는,
    유통자가 유통자의 정보와 품목 정보, 유통 조건, 입고 일자, 유통 일자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공데이터는,
    공공기관의 부처별로 나눠져 저장되어 있는 식품 안전 정보들을 수집하여 식품안전 데이터를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
  5. 제 1항에 의해 구성된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식품이력관리방법에 있어서,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서 상기 개인 키 발급을 허가받은 생산자, 가공자, 유통자, 소비자에게 개인 키를 발급해주는 제 1 단계;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공공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저장하는 제 2 단계;
    생산자가 생산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발급된 개인 키를 입력하여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접속한 뒤, 생산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하여 제 1 QR 코드를 생성하는 제 3 단계;
    가공자가 가공자 단말기로 상기 제 1 QR 코드를 인식시킨 후, 상기 발급된 개인 키를 입력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접속하는 제 4 단계;
    상기 접속한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저장된 상기 생산 정보를 상기 가공자가 상기 가공자 단말기를 통해 열람한 뒤, 상기 공공데이터를 참고하여 위해성 여부를 판단하는 제 5 단계;
    상기 생산 정보에 식품의 위해성이 있을 경우, 상기 가공자가 상기 가공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식품의 위해성 판단 결과를 입력하면,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서 상기 생산자 단말기, 상기 가공자 단말기로 회수알람을 전달하는 제 6 단계;
    상기 생산 정보에 식품의 위해성이 없을 경우, 상기 가공자는 상기 가공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가공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하여 제 2 QR 코드를 생성하는 제 7 단계;
    유통자가 유통자 단말기로 상기 제 2 QR 코드를 인식시킨 후, 상기 발급된 개인 키를 입력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접속하는 제 8 단계;
    상기 접속한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저장된 상기 생산 정보, 상기 가공 정보를 상기 유통자가 상기 유통자 단말기를 통해 열람한 뒤, 상기 공공데이터를 참고하여 위해성 여부를 판단하는 제 9 단계;
    상기 생산 정보, 상기 가공 정보에 위해성이 있을 경우, 상기 유통자가 상기 유통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식품의 위해성 판단 결과를 입력하면,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서 상기 생산자 단말기, 상기 가공자 단말기, 상기 유통자 단말기에 회수알람을 전달하는 제 10 단계;
    상기 생산 정보, 상기 가공 정보에서 식품의 위해성이 없을 경우, 상기 유통자는 상기 유통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유통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하여 제 3 QR 코드를 생성하는 제 11 단계;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로 상기 제 3 QR 코드를 인식시켜, 상기 이력 관리 서버에 저장된 상기 생산 정보,상기 가공 정보, 상기 유통 정보로 이뤄진 식품 이력 정보를 열람한 뒤, 상기 공공데이터를 참고하여 식품의 위해성 여부를 판단하는 제 12 단계:
    상기 식품 이력 정보에 식품의 위해성이 있을 경우, 상기 관리자가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식품의 위해성 판단 결과를 입력하면,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서 상기 생산자 단말기, 상기 가공자 단말기, 상기 유통자 단말기에 회수알람을 전달하는 제 13 단계;
    상기 식품 이력 정보에 식품의 위해성이 없을 경우, 상기 관리자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식품 이력 정보와 상기 공공데이터의 정보를 저장하여 제 4 QR 코드를 생성하는 제 14 단계;
    소비자가 소비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제 4 QR 코드를 인식시키고, 상기 발급된 개인 키를 입력하여 상기 식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접속한 뒤, 상기 식품 이력 정보와 상기 공공데이터를 열람하는 제 15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식품이력관리방법.
KR1020190173446A 2019-12-23 2019-12-23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 KR102248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446A KR102248840B1 (ko) 2019-12-23 2019-12-23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446A KR102248840B1 (ko) 2019-12-23 2019-12-23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8840B1 true KR102248840B1 (ko) 2021-05-06

Family

ID=75916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446A KR102248840B1 (ko) 2019-12-23 2019-12-23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88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349B1 (ko) * 2021-11-15 2023-02-08 사단법인 한국장애인자립협회 블록체인 기반 암호 화폐를 통한 종량제 봉투 결제관리시스템
KR20230022632A (ko) * 2021-08-09 2023-02-16 (주)에스유지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5665A (ko) * 2013-09-28 2015-04-07 김경중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안전 정보 서비스 방법
KR20170121035A (ko) * 2016-11-25 2017-11-01 (주)컨피테크 축산물 이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71468B1 (ko) 2017-08-02 2018-06-26 조진한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
KR20180074323A (ko) * 2016-12-23 2018-07-03 주식회사 케이아이씨티 화장품 고객 트렌드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01061A (ko) * 2018-02-22 2019-08-30 (주)티비스톰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 플랫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5665A (ko) * 2013-09-28 2015-04-07 김경중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안전 정보 서비스 방법
KR20170121035A (ko) * 2016-11-25 2017-11-01 (주)컨피테크 축산물 이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74323A (ko) * 2016-12-23 2018-07-03 주식회사 케이아이씨티 화장품 고객 트렌드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101871468B1 (ko) 2017-08-02 2018-06-26 조진한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
KR20190101061A (ko) * 2018-02-22 2019-08-30 (주)티비스톰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 플랫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2632A (ko) * 2021-08-09 2023-02-16 (주)에스유지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
KR102558935B1 (ko) * 2021-08-09 2023-07-24 (주)에스유지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
KR102495349B1 (ko) * 2021-11-15 2023-02-08 사단법인 한국장애인자립협회 블록체인 기반 암호 화폐를 통한 종량제 봉투 결제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82205B (zh) 識別二手門號帳戶盜用的風控模型訓練、風控方法、裝置以及設備
JP6594543B2 (ja) 注文クラスタリング方法及び装置並びに悪意の情報に対抗する方法及び装置
US20190311377A1 (en) Social security fraud behaviors identification method, device,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WO2016065861A1 (zh) 时钟同步型动态口令防伪标签合法性实时验证系统及方法
CN111782943A (zh) 基于历史数据记录的信息推荐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2248840B1 (ko)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
CN108346048B (zh) 一种调整风险参数的方法、风险识别方法及装置
CN109447469A (zh) 一种文本检测方法、装置及设备
WO2020010714A1 (zh) 客户识别装置、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135942A (zh) 产品推荐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8166343A1 (zh) 一种数据融合方法及装置、存储介质以及电子装置
WO2016065860A1 (zh) 一种事件型动态口令防伪标签合法性实时验证方法及系统
CN111241367A (zh) 一种基于自定义规则对网络餐饮平台进行监管的方法及系统
KR102248832B1 (ko)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구매방법
US20200210996A1 (en) Systems, methods, and platforms for providing tracking through blockchain networks
CN113726784B (zh) 一种网络数据的安全监控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4579632A (zh) 运维系统中敏感数据安全存储和检索的方法及装置
CN109754247A (zh) 用于基于生物识别和设备数据认证用户的系统和方法
CN104346550A (zh) 一种信息处理方法以及一种电子设备
CN105095306A (zh) 基于关联对象进行操作的方法及装置
CN109583987A (zh) 一种数据的处理方法、装置及设备
CN106096368A (zh) 计算机数据存储防窃取系统
CN107241328A (zh) 电子设备开闭方法及系统
CN109657153A (zh) 一种用于确定用户的关联财经信息的方法与设备
US1053478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ame matc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