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2632A -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2632A
KR20230022632A KR1020210104635A KR20210104635A KR20230022632A KR 20230022632 A KR20230022632 A KR 20230022632A KR 1020210104635 A KR1020210104635 A KR 1020210104635A KR 20210104635 A KR20210104635 A KR 20210104635A KR 20230022632 A KR20230022632 A KR 20230022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history
data
history informatio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4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8935B1 (ko
Inventor
김창관
설동철
Original Assignee
(주)에스유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유지 filed Critical (주)에스유지
Priority to KR1020210104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935B1/ko
Publication of KR20230022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2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2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2228Indexing structures
    • G06F16/2272Management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8Databases characterised by their database models, e.g. relational or object models
    • G06F16/284Relational databases
    • G06F16/285Clustering or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수산물에 대한 원산지 조작 및 위변조가 미연에 방지되어 정보신뢰성 및 보안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수산물을 생산한 생산자정보가 입력되며, 수산물에 대한 생산이력정보가 입력되는 생산이력입력모듈; 수산물을 유통한 유통자정보가 입력되며, 수산물에 대한 유통이력정보가 입력되는 유통이력입력모듈; 수산물을 판매한 판매자정보가 입력되며, 수산물에 대한 판매이력정보가 입력되는 판매이력입력모듈; 상기 생산이력입력모듈, 상기 유통이력입력모듈 및 상기 판매이력입력모듈에 인터넷망을 통하여 개별적으로 통신 연결되고, 블록체인화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며 블록체인을 위한 정보연계용 키 아이디를 관리하는 웹서버; 상기 웹서버와 인터넷망을 통하여 개별 통신 연결되되 상기 생산자정보, 상기 생산이력정보, 상기 유통자정보, 상기 유통이력정보, 상기 판매자정보 및 상기 판매이력정보에 대하여 블록체인화된 데이터베이스가 각각 분산 저장되는 복수개의 분산저장부; 상기 웹서버에 통신 연결되며, 상기 생산자정보, 상기 생산이력정보, 상기 유통자정보, 상기 유통이력정보, 상기 판매자정보 및 상기 판매이력정보에 대한 각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는 수산물이력저장부; 및 상기 웹서버에 인터넷망을 통하여 통신 연결되며, 상기 생산자정보, 상기 생산이력정보, 상기 유통자정보, 상기 유통이력정보, 상기 판매자정보 및 상기 판매이력정보에 대한 블록체인화된 데이터베이스가 표시되는 구매자단말기 및 판매자단말기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system for seafood history management and statistical analysis using blockchain}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산물에 대한 원산지 조작 및 위변조가 미연에 방지되어 정보신뢰성 및 보안성이 개선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2009년 최초의 블록체인에 기반을 둔 애플리케이션인 비트코인이 개발된 이후 블록체인은 비트코인과 같은 전자화폐 시스템뿐 아니라 클라우드 저장소 서비스, 블록체인 컴퓨팅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었다.
여기서, 비트코인은 정부나 은행과 같은 중앙화된 조직이 아닌 분산 네트워크 상에서 발행, 저장 및 유통되는 전자 화폐이다. 비트코인은 2009년 처음 발행되어 현재 시점까지 중앙화된 기관 없이 화폐의 가치를 유지하고 있으며, 사용자 수와 거래 규모 측면에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비트코인의 화폐 가치를 유지하는 배경에는 블록체인 기술이 있다. 이때, 블록체인은 중앙화된 서버 없이 탈중앙화된 네트워크 환경에서 보안성과 무결성을 유지하는 기술이며, 이러한 강점에 기반하여 다양한 컴퓨팅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게 되었고, 전자 화폐 이외의 다른 시스템에도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예를 들어, 블록체인을 이용한 클라우드 스토리지 시스템으로 스토리지 제공자에게 자체 코인을 발급하여 다른 컴퓨터의 디스크 공간을 이용하고 분할 검증을 통하여 신뢰도를 유지하는 서비스가 있다.
다른 예로, 이더리움은 전자화폐에 대한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등록하여 실행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비트코인은 단순히 전자 화폐의 송금을 제공하는데 반해 이더리움은 계약에 의한 거래를 제공해준다.
하지만, 블록체인은 컴퓨팅 자원 낭비가 심한 비효율적인 운영 구조를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 비트코인의 경우 거래 트랜잭션의 무결성을 검증하기 위해 최대한 시간이 소요되며, 각 참여 노드는 30Gbyte 크기의 장부를 저장해야 한다. 또한, 거래를 승인하기 위하여서 모든 노드가 장부를 통해 트랜잭션을 검증하고, 검증 결과를 기반으로 거래를 승인해야 한다. 즉, 블록체인에 참여한 모든 노드는 동일한 장부를 모두 저장하고 있어야 하고, 동일한 검증 작업을 모두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사유로 인해 블록체인은 전체 네트워크 관점에서 자원 효율성이 매우 떨어진다.
언급한 바와 같이, 블록체인이란 비트코인에서 탈 중앙화된 화폐관리를 위해 사용된 핵심기술이다. 블록체인은 중앙 관리 기관이 없이 임의의 사용자가 데이터를 위변조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여 거래의 무결성을 유지한다.
그리고, 블록체인은 무결성 유지를 위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한 모든참여 노드는 거래내역(장부)를 저장하고, 새롭게 생성되는 거래 트랜잭션을 저장된 장부를 통해 검사한다.
예를 들어, 한 참여 노드가 거래를 조작하여 이중 결재를 감행하여도, 다른 모든 노드가 이중 결재 여부를 검증하여 합의를 부결함으로써, 거래의 승인이 거부된다. 따라서, 전체 노드 중 51% 이상이 거짓으로 합의하여 주지않는 이상, 데이터의 조작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수산물의 원산지 조작 및 위변조를 방지하도록 수산물 이력관리 방법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수산물의 생산, 가공, 유통 및 판매 단계에서 수산물의 원산지 조작 및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보안성 확보를 위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나 개발이 미비한 실정이며 이로 인해 수산물의 원산지에 대한 정보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704950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산물에 대한 원산지 조작 및 위변조가 미연에 방지되어 정보신뢰성 및 보안성이 개선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산물을 생산한 생산자정보가 입력되며, 수산물에 대한 생산이력정보가 입력되는 생산이력입력모듈; 수산물을 유통한 유통자정보가 입력되며, 수산물에 대한 유통이력정보가 입력되는 유통이력입력모듈; 수산물을 판매한 판매자정보가 입력되며, 수산물에 대한 판매이력정보가 입력되는 판매이력입력모듈; 상기 생산이력입력모듈, 상기 유통이력입력모듈 및 상기 판매이력입력모듈에 인터넷망을 통하여 개별적으로 통신 연결되고, 블록체인화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며 블록체인을 위한 정보연계용 키 아이디를 관리하는 웹서버; 상기 웹서버와 인터넷망을 통하여 개별 통신 연결되되 상기 생산자정보, 상기 생산이력정보, 상기 유통자정보, 상기 유통이력정보, 상기 판매자정보 및 상기 판매이력정보에 대하여 블록체인화된 데이터베이스가 각각 분산 저장되는 복수개의 분산저장부; 상기 웹서버에 통신 연결되며, 상기 생산자정보, 상기 생산이력정보, 상기 유통자정보, 상기 유통이력정보, 상기 판매자정보 및 상기 판매이력정보에 대한 각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는 수산물이력저장부; 및 상기 웹서버에 인터넷망을 통하여 통신 연결되며, 상기 생산자정보, 상기 생산이력정보, 상기 유통자정보, 상기 유통이력정보, 상기 판매자정보 및 상기 판매이력정보에 대한 블록체인화된 데이터베이스가 표시되는 구매자단말기 및 판매자단말기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생산지, 집하지, 가공지 및 판매지의 각 이력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수산물에 대한 이력정보 데이터베이스가 블록체인화되고 웹서버가 블록체인을 위한 정보연계용 키 아이디를 관리하여 위변조가 방지된 신뢰도 높은 이력정보를 조회가능한 플랫폼을 제공하므로 정보신뢰성 및 보안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통계생성부가 수산물이력저장부로부터 생산자정보, 생산이력정보, 유통자정보, 유통이력정보, 판매자정보 및 판매이력정보를 추출 및 상호간 연결하여 각 수산물에 대한 유통경로가 블록체인화 및 맵핑된 경로맵핑데이터와 인적통계데이터를 생성하므로 사용자가 블록체인화되어 위변조가 방지된 데이터를 용이하게 조회할 수 있어 신뢰도 및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셋째, 거래추천부가 구매자단말기의 반경범위 내의 영역으로 설정된 소재지정보데이터와 수산물이 판매되는 위치의 반경범위 내의 영역에 대한 판매지정보데이터가 상호 매칭 중첩되면 판매자에 대한 거래추천데이터를 생성하여 구매자단말기로 전송하므로 이력 위변조가 방지된 신뢰도 높은 수산물을 제공받을 수 있다.
넷째, 수산물 어종별 대분류, 중분류 및 소분류에 대한 각 분류코드에 대한 데이터가 기설정된 제1용량의 바이트공간으로 각각 할당되되, 할당제어부가 각 분류코드에 대한 데이터 중 어느 하나가 제1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제1용량 이상의 제2용량으로 바이트공간을 재할당하므로 데이터가 축척 및 증가되는 경우에도 상품 식별에 대한 용이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다섯째, 각 이력정보에 대하여 블록체인화된 데이터베이스가 웹서버와 더불어 웹서버에 개별 통신 연결되는 저장장치로서 구비된 분산저장부에 분산 저장되어 하나의 참여 노드가 이력정보를 변경하여도, 다른 모든 노드가 조작여부를 검증하여 합의를 부결함으로써 변경승인이 거부되므로 보안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에서 블록체인 보안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에서 생산자정보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에서 생산이력정보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에서 블록체인 보안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에서 생산자정보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에서 생산이력정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100)은 생산이력입력모듈(10), 집하이력입력모듈, 가공이력입력모듈, 판매이력입력모듈(30), 웹서버(40), 분산저장부(41), 수산물이력저장부(50) 및 사용자단말기(6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100)은 수산물의 원산지 조작 및 위변조를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유통, 가공 업체, 소비자 등에 투명한 이력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수산물를 소비할 수 있도록 수산물의 입어, 양어, 가공, 유통. 판매 단계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한편, 상기 생산이력입력모듈(10)은 수산물을 생산한 생산자정보가 입력되며, 상기 생산자정보에 등록된 생산자가 생산한 수산물에 대한 생산이력정보가 입력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생산지가 수산물 양식장인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생산이력입력모듈(10)은 상기 생산자정보 및 생산이력정보가 입력되도록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비콘(beacon)으로서 구비되는 제1식별표시부(10a)와, 상기 생산이력정보가 입력되도록 알에프아이디 태그로서 구비되되 수산물에 부착되는 식별입력부(10b)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식별표시부(10a)는 양식장에 구비된 식별번호 표시판에 비콘으로서 부착 및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식별표시부(10a)에 상기 생산자정보가 입력될 수 있으며, 상기 생산자정보는 양식장식별번호, 양식장경영자 및 양식장주소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식별입력부(10b)는 기설정된 크기 이상, 바람직하게는 30cm 이상의 고등어 등에 해당하는 어종의 수산물의 일측에 초고주파 알에프아이디(RFID) 태그를 부착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식별입력부(10b)에 상기 생산이력정보가 입력될 수 있으며, 상기 생산이력정보는 개별수산물의 이력번호, 개체식별번호, 원산지, 출생일자, 등록일자, 유통기한, 검역정보 등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생산자정보 및 상기 생산이력정보에 대하여 블록체인화된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웹서버(40)와 인터넷망(1)을 통하여 통신 연결되어 저장장치로서 구비된 생산지분산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통이력입력모듈(20)은 수산물을 유통한 유통자정보가 입력되며, 수산물에 대한 유통이력정보가 입력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유통이력입력모듈(20)은 집하이력입력모듈 및 가공이력입력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집하이력입력모듈은 수산물의 입출고가 인식되고 인식된 수산물에 대한 출입이력정보가 입력되며, 수산물에 대한 경매이력정보가 입력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집하지가 어시장인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집하이력입력모듈은 상기 출입이력정보 및 상기 경매이력정보가 입력되도록 비콘으로서 구비되는 제2식별표시부와, 상기 식별입력부(10b)가 기설정된 반경 이내에 배치시 상기 식별입력부(10b)를 인식하여 상기 출입이력정보를 생성하도록 알에프아이디 리더기 및 알에프아이디 입력수단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제1식별보정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제2식별표시부는 어시장 1개소에 대하여 비콘이 부착된 표시판을 기설정된 위치에 설치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식별보정부는 어시장 1개소에 대하여 고정형 알에프아이디 리더기를 설치하여 상기 식별입력부(10b)가 기설정된 반경 이내로 접근시 인식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알에프아이디 입력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식별입력부(10b)에 상기 출입이력정보 및 상기 경매이력정보가 입력 및 저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산물출입이력정보는 수산물에 대한 개체식별번호 및 선별일자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매이력정보는 수산물에 대한 경매식별번호 및 경매일자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별입력부(10b)에 개별수산물의 이력번호, 개체식별번호, 원산지, 출생일자, 등록일자, 유통기한, 검역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생산이력정보가 저장됨과 더불어, 상기 제1식별보정부를 통해 상기 출입이력정보 및 상기 경매이력정보가 더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입이력정보 및 상기 경매이력정보에 대하여 블록체인화된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웹서버(40)와 인터넷망(1)을 통하여 통신 연결되어 저장장치로서 구비된 집하지분산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공이력입력모듈은 수산물에 대한 가공이력정보가 입력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가공지는 수산물을 매입하여 가공 및 포장 공정을 수행하는 장소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가공이력입력모듈은 상기 가공이력정보가 입력되도록 비콘으로서 구비되는 제3식별표시부와, 상기 식별입력부(10b)가 기설정된 반경 이내에 배치시 상기 식별입력부(10b)를 인식하여 상기 출입이력정보를 생성하도록 알에프아이디 리더기 및 알에프아이디 입력수단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제2식별보정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제3식별표시부는 가공지 1개소에 대하여 비콘이 부착된 표시판을 기설정된 위치에 설치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식별보정부는 가공지 1개소에 대하여 고정형 알에프아이디 리더기를 설치하여 상기 식별입력부(10b)가 기설정된 반경 이내로 접근시 인식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알에프아이디 입력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식별입력부(10b)에 상기 가공이력정보가 입력 및 저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공이력정보는 수산물의 개체식별번호, 가공일자, 가공정보, 선별입고일자 및 판매이관일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별입력부(10b)에 상기 생산이력정보, 상기 출입이력정보 및 상기 경매이력정보가 저장됨과 더불어, 상기 제2식별보정부를 통해 상기 가공이력정보가 더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공이력정보에 대하여 블록체인화된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웹서버(40)와 인터넷망(1)을 통하여 통신 연결되어 저장장치로서 구비된 가공지분산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판매이력입력모듈(30)은 수산물을 판매한 판매자정보가 입력되며, 수산물에 대한 판매이력정보가 입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경우에 따라 상기 판매이력입력모듈(30)은 상기 판매이력정보가 입력되도록 비콘으로서 구비되는 제4식별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4식별표시부는 판매지 물류보관창고 1개소에 대하여 비콘이 부착된 표시판을 기설정된 위치에 설치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판매이력정보는 수산물의 개체식별번호, 판매일자, 검수정보 및 검수일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별입력부(10b)에 판매이력입력모듈(30)을 통해 상기 판매이력정보가 더 저장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판매이력정보에 대하여 블록체인화된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웹서버(40)와 인터넷망을 통하여 통신 연결되어 저장장치로서 구비된 판매지분산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웹서버(40)는 상기 생산이력입력모듈(10), 상기 집하이력입력모듈 및 상기 가공이력입력모듈을 포함하는 상기 유통이력입력모듈(20) 및 상기 판매이력입력모듈(30)에 인터넷망(1)을 통하여 개별적으로 통신 연결되고, 상기 생산자정보, 상기 생산이력정보, 상기 유통자정보, 상기 유통이력정보, 상기 출입이력정보, 상기 경매이력정보, 상기 가공이력정보, 상기 판매자정보 및 상기 판매이력정보에 대한 각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되, 각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블록체인화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며 블록체인을 위한 정보연계용 키 아이디를 관리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생산이력입력모듈(10), 상기 유통이력입력모듈(20) 및 상기 판매이력입력모듈(30)은 상기 웹서버(40)와 인터넷망(1)을 통하여 개별 통신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웹서버(40)와 인터넷망(1)을 통하여 개별 통신 연결되되 상기 생산자정보, 상기 생산이력정보, 상기 유통자정보, 상기 유통이력정보, 상기 판매자정보 및 상기 판매이력정보에 대하여 블록체인화된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웹서버(40)와 더불어 각각 분산 저장되는 복수개의 분산저장부(41)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분산저장부는 상기 생산지분산저장부, 상기 집하지분산저장부, 상기 가공지분산저장부 및 상기 판매지분산저장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생산지분산저장부는 상기 웹서버(40)와 인터넷망(1)을 통하여 통신 연결되되 상기 생산자정보 및 상기 생산이력정보에 대하여 블록체인화된 데이터베이스가 분산 저장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집하지분산저장부는 상기 웹서버(40)와 인터넷망(1)을 통하여 통신 연결되되 상기 출입이력정보 및 상기 경매이력정보에 대하여 블록체인화된 데이터베이스가 분산 저장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공지분산저장부는 상기 웹서버(40)와 인터넷망(1)을 통하여 통신 연결되되 상기 가공이력정보에 대하여 블록체인화된 데이터베이스가 분산 저장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판매지분산저장부는 상기 웹서버(40)와 인터넷망(1)을 통하여 통신 연결되되 상기 판매이력정보에 대하여 블록체인화된 데이터베이스가 분산 저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웹서버(40)는 상기 생산지분산저장부, 상기 집하지분산저장부, 상기 가공지분산저장부 및 상기 판매지분산저장부와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의 연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웹서버(40)는 블록체인용 개별 서버가 상기 웹서버(40) 및 상기 분산저장부를 관리하고 연계를 위한 정보연계용 키 아이디를 관리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100)은 블록체인 기술이 제공되면서 블록체인 보안활용 분산서버 관리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웹서버(40)는 보안 및 데이터 관리방안 적용에 있어서도 데이터베이스 암호화 및 해킹차단, 데이터베이스 보호기술을 적용하여 구축하며, 새로운 시스템을 접목하여 데이터베이스 암호화 및 수시 파기를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생산자정보, 상기 생산이력정보, 상기 유통자정보, 상기 유통이력정보, 상기 출입이력정보, 상기 경매이력정보, 상기 가공이력정보, 상기 판매자정보 및 상기 판매이력정보에 대하여 블록체인화된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웹서버(40) 및 상기 분산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웹서버(40)는 블록생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블록생성부는 상기 생산자정보, 상기 생산이력정보, 상기 유통자정보, 상기 유통이력정보, 상기 출입이력정보, 상기 경매이력정보, 상기 가공이력정보, 상기 판매자정보 및 상기 판매이력정보에 대한 각 데이터를 암호화 및 블록체인화하여 복수개의 블록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웹서버(40)에는 암호화를 위해 설정되는 키값 및 순번값이 저장되고, 각 데이터 및 상기 블록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블록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록은 암호화를 위해 설정되는 키값 및 순번값이 부여된 각 데이터에 대하여 생성된 데이터를 포함하여 복수개로 생성되며, SHA-256 등의 해시함수를 통해 암호데이터화 및 블록체인화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SHA(Secure Hash Algorithm)은 미국 표준 기술 연구소(NIST)에 의해 공표된 표준 해시 알고리즘으로 소프트웨어 시장 전반에서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SHA는 현재 SHA-1과 SHA-2 계열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SHA-2는 세부적으로 SHA-224, SHA-256, SHA-384, SHA-512로 나뉘는데 SHA-256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SHA-256은 256비트로 구성되어 64자리 문자열을 반환한다. 예를 들어, "계약"이라는 문자열이 SHA-256을 통해 "875C2FD188350……1877005365BA2"와 같은 64자리의 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은 헤더와 바디를 포함하되, 상기 헤더에는 위변조 방지를 위한 인접한 블록의 해시 값과 블록버전, 머클루트(Merkle Root), 논스(Nonce)값 등이 저장되며, 상기 바디에는 해시함수를 통해 암호화된 거래기록에 대한 데이터가 해시트리 구조로 저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해시함수는 임의의 길이를 가진 어떤 임의의 데이터를 일정한 길이의 어떤 데이터로 바꿔주는 함수를 의미하며, 상기 블록은 거래기록에 대한 데이터가 집합되어 트리구조를 이룬 공간을 의미한다.
이러한 블록은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하나씩 생성되어 상기 인터넷망(1)을 통해 네트워크 전역으로 확산되며, 이렇게 생성된 n번째 블록은 해시트리 구조를 통해 n-1번째 블록의 무결점성을 증명하도록 각 블록이 상호간 체인화되어 연결된다. 예컨대, n번째 블록의 헤더에 n-1번째 블록의 해시 값과 동일한 해시 값이 존재함에 따라 n-1번째 블록이 변조되지 않았음을 증명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100)은 코인의 발행이 불필요하며, 빠른 성능을 요구하므로 허가형 블록체인의 구성이 필요하며, 퍼블릭 블록체인처럼 외부에 공개되어 누구나 노드의 구성원으로 참여 가능한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블록체인 장부를 보관 및 공유를 담당하는 노드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웹서버(40)는 클라이언트 노드와, 합의 노드와, 피어 노드 및 인증 노드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클라이언트 노드, 상기 합의 노드와, 상기 피어 노드및 상기 인증 노드는 아키텍처 구성으로서 구비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클라이언트 노드는 상기 사용자단말기(60)를 대신하여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체인코드 실행을 호출하여 거래 보증을 요청하고 거래보증 응답을 수집하며, 거래 제안을 생성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합의 노드는 상기 클라이언트 노드에서 생성된 상기 거래 제안을 전달받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피어 노드는 블록체인을 유지하도록 거래 정보를 저장하는 레저와 거래 실행 결과에 따른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상태저장소를 포함하되, 상기 클라이언트 노드로부터 생성된 거래를 제출받아 거래를 확정하되, 합의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노드로부터 제안되는 거래들을 순서화시켜 상기 피어 노드로부터 전달받으며, 상기 합의 노드로부터 블록 형태로 거래와 상태 갱신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클라이언트 노드는 사용자에 해당하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을 대신하여 거래(transaction)를 생성하여 체인코드 실행을 호출할 수 있다. 즉, 상기 클라이언트 노드는 거래를 생성하여 상기 피어 노드의 보증 피어 노드(endorsing peer node)에게 제출(submit)함으로써 거래 보증을 요청하고 거래보증 응답을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거래 보증 응답을 수집한 상기 클라이언트 노드는 거래 제안(transaction-proposal)을 생성하여 상기 합의 노드에게 전달한다. 이어서, 상기 피어 노드는 거래를 확정(commit)할 뿐만아니라, 거래 정보를 저장하는 레저(ledger)와 거래 실행 결과에 따른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상태 저장소(state store)로 구성됨으로서, 블록체인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어 노드는 상기 합의 노드로부터 블록 형태로 거래와 상태 갱신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피어 노드를 구성하는 일부 피어 노드는 추가적으로 보증 노드(endorsing peer) 역할을 수행하며, 이러한 보증 노드는 클라이언트의 보증 요청에 따라 해당 체인코드를 실행하고 결과를 보증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보증 노드와 보증 방법은 해당 체인코드와 연계된 보증 정책에 의해 결정되며, 보증 정책은 체인코드와 함께 작성되어 체인코드가 블록체인에 배치될 때 함께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합의 노드는 합의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노드로부터 제안되는 거래들을 순서화시켜 상기 피어 노드에게 안전하게 전달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클라이언트 노드는 채널을 통해 거래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합의 노드에게 전달하고, 상기 합의 노드가 거래 메시지들을 순서화시켜 채널에 연결된 모든 상기 피어 노드에게 전달한다. 이에 따라, 각 상기 피어 노드에게 전달되는 거래 메시지들이 동일한 순서를 가지고 안전하게 전달되는 것을 보장하는 원자적 브로드캐스트(atomic broadcas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증 노드는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노드의 신원 확인 후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권한을 표시하는 자격증명(credentials)을 발급하고, 블록체인을 위한 정보연계용 키 아이디를 개별 발급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인증 노드는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기반의 인증 기관(Certification Authority)을 통해 서비스에 맞는 공개키 인증서(public key certificate)와 대응되는 개인키(private key)를 자격증명으로 발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웹서버(40)는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인덱스(index) 데이터베이스와 상태(state) 데이터베이스 구성을 통해 신속한 데이터 조회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웹서버(40)는 데이터베이스에 블록의 번호나 해시 값을 관리하여, 연관된 데이터 조회시 블록체인 인덱스를 이용하여 블록을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웹서버(40)는 인덱스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별도로 관리되는 블록의 번호나 해시 값을 이용하면 해당 되는 블록만을 검색하여 신속한 거래내역 조회 가능하며, 상태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여 원장의 현재 상태 데이터를 관리하고 트랜젝션 로그에 포함된 모든 키의 최신 값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웹서버(40)는 키를 범위별로 관리할 수 있으며, 복합키를 사용하여 특정 엔티티가 소유한 모든 자산을 조회 가능하며, 키에 대한 정보를 항상 최신상태로 업데이트 함으로써, 원장에 대한 직접적인 조회 없이 기본적인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웹서버(4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60)에 대하여 등록여부를 인증하는 등록용 인증서를 생성하고, 상기 등록용 인증서와는 독립적으로 거래용 인증서를 생성하되, 상기 거래용 인증서는 거래내역만으로 해커에 의한 발행자, 즉 각 단말기에 대한 등록용 인증서 파악을 차단하도록 기등록된 상기 사용자단말기(60)로부터 거래의 요청시마다 상기 웹서버(40)로부터 개별 생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웹서버(40) 상에 등록된 참여자마다 ECA는 한 개가 있지만, TCA는 여러 개가 존재 할 수 있으며, ECA와 TCA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추론가능성을 최소화 함으로써, 신원이 확인된 참가자를 대상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는 등록된 참가자를 확인하는데 필요한 공개키와 개인키를 생성하여 보안 통신 프로토콜인 TLS 프로토콜이 사용할 수 있는 인증서를 발급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클라이언트 노드, 상기 피어 노드및 상기 합의 노드는 인증기관인 상기 웹서버(40)를 통해 관리될 수 있다. 즉, 상기 웹서버(40)는 ECA(Enrollment Certification Authority)를 통하여 등록된 참여자가 맞다는 것을 인증하는 인증서 발행하고, 등록된 사용자가 거래를 포스팅할 때마다 다른 거래 인증서(TCA)를 발행하여 거래내역만으로 등록용 인증서 발행자를 파악할 수 없도록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웹서버(40) 상에 등록된 참여자마다 ECA는 한 개가 있지만, TCA는 여러 개가 존재 할 수 있으며, ECA와 TCA 사이의 상관관계를 추론 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TLS_CA를 통해서 신원이 확인된 참가자를 대상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는 등록된 참가자를 확인하는데 필요한 공개키와 개인키를 생성하여 보안 통신 프로토콜인 TLS 프로토콜이 사용할 수 있는 인증서를 발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웹서버(40)는 TLS를 통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 각 피어 노드를 멤버쉽 서비스에 스스로를 등록할 때 TLS Handshake 과정을 거치면서 인증서 기반으로 인증을 받게 되고, 인증서가 유효하지 않으면 상기 피어 노드가 멤버쉽 서비스에 접속하지 못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어 노드간 통신에서도 TLS 인증을 통해서 통신을 하게 되고, TLS 기반의 통신을 위해서는 각 통신 구간 즉, 인증 노드 및 상기 피어 노드, 각 상기 피어 노드간의 구간을 위한 인증서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상기 웹서버(40)가 상기 사용자단말기(60)에 대하여 등록용 인증서를 생성하되 그와 독립적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60)로부터 거래 요청시 거래용 인증서를 개별 생성하여 등록용 인증서와 거래용 인증서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추론가능성을 최소화함으로써 보안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단말기(60)는 상기 웹서버(40)에 인터넷망(1)을 통하여 통신 연결되며, 상기 생산자정보, 상기 생산이력정보, 상기 유통자정보, 상기 유통이력정보, 상기 출입이력정보, 상기 경매이력정보, 상기 가공이력정보, 상기 판매자정보 및 상기 판매이력정보에 대한 블록체인화된 데이터베이스가 표시되는 구매자단말기(61), 판매자단말기(62) 및 생산자단말기(63)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단말기(60)는 상기 식별입력부(10b)가 인식되도록 알에프아이디 리더기로서 구비되는 식별인식부(60a)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식별인식부(60a)는 알에프아이디 리더기로서 구비되어 스마트폰으로서 구비된 구매자단말기(61)에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생산자 및 판매자가 상기 생산자단말기(63) 및 판매자단말기(62)를 사용하여 인터넷망(1)을 통해 상기 웹서버(40)에 접속하여 생산지, 집하지 및 가공지에서 수산물의 출입관리, 이동 및 개체관리 등의 이력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더불어, 구매자가 판매지에서 상기 구매자단말기(61)에 구비된 상기 식별인식부(60a)를 30cm 이상의 고등어 등에 해당하는 어종의 수산물의 일측에 초고주파 알에프아이디(RFID) 태그를 부착하여 설치된 상기 식별입력부(10b)에 기설정된 반경 이내로 접근시켜 수산물에 대한 상기 생산자정보, 상기 생산이력정보, 상기 출입이력정보, 상기 경매이력정보, 상기 가공이력정보, 상기 판매자정보 및 상기 판매이력정보를 용이하게 조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산물이력저장부(50)는 상기 웹서버(40)에 통신 연결되며, 상기 생산자정보, 상기 생산이력정보, 상기 유통자정보, 상기 유통이력정보, 상기 출입이력정보, 상기 경매이력정보, 상기 가공이력정보, 상기 판매자정보 및 상기 판매이력정보에 대한 각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는 저장장치로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수산물이력저장부(5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60)가 상기 웹서버(40)에 통신 연결시 생성되는 로그를 수집하여 저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100)은 상기 수산물이력저장부(50)에 통신 연결되고 상기 수산물이력저장부(50)에 저장된 각 데이터에 대한 통계그래프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60)에 전송하는 통계생성부(70)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통계생성부(70)는 상기 수산물이력저장부(50)로부터 상기 생산자정보, 상기 생산이력정보, 상기 유통자정보, 상기 유통이력정보, 상기 출입이력정보, 상기 경매이력정보, 상기 가공이력정보, 상기 판매자정보 및 상기 판매이력정보를 추출 및 상호간 연결하여 각 수산물에 대한 유통경로가 블록체인화 및 맵핑된 경로맵핑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맵핑된다 함은 수산물에 대하여 저장된 각 이력정보가 상기 수산물이력저장부(50)에 저장된 맵데이터로 추출되고 유통경로가 상기 맵데이터상에 점, 선, 면 등으로 생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통계생성부(70)는 상기 수산물이력저장부(50)로부터 상기 생산자정보, 상기 생산이력정보, 상기 유통자정보, 상기 유통이력정보, 상기 출입이력정보, 상기 경매이력정보, 상기 가공이력정보, 상기 판매자정보 및 상기 판매이력정보를 추출하여 각 생산자, 유통자 및 판매자별 블록체인화된 인적통계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계생성부(70)는 생성된 상기 경로맵핑데이터 및 상기 인적통계데이터를 상기 웹서버(40) 및 상기 인터넷망(1)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6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블록체인화되어 위변조가 방지된 데이터를 용이하게 조회할 수 있어 신뢰도 및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100)의 각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할 수 있는 웹페이지상에서 초기화면/검색 프로세스, 로그인, 개인화면, 로그인후/검색, 검색결과, 통계분석페이지를 포함하는 각 화면에서 수산물 이력추적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통계생성부(70)는 빅테이터 및 머신러닝을 활용하는 연산처리장치로서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수산물이 어떤 경로로 유통되는지, 어떤 어종인지, 어떤 업체인지 등에 대한 이력 추적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계생성부(70)는 수산물에 대한 이력추적 및 생산 원산지 등 다차원 통계분석 정보 강화 구현을 위헤서 데이터 마이닝을 통한 원산지 및 비정형 정보, 유통정보 등 다차원 통계를 분석함이 필요하였기에 블록체인 분산저장 기술 적용을 통한 세부 이력관리 구현을 통해 생산,가공,유통, 소비의 단계별 이력이 상세하게 관리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입하와 가공보관, 집하, 판매 단계별 블록체인 적용 내용들이 포함되며 각 프로세스 단계별 발생되는 데이터를 분산저장을 통해 관리하고 해당되는 데이터가 어떤 패턴을 형성할 경우 빅데이터의 분석과 마이닝 기술을 통해 다차원 통계분석 정보를 제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계생성부(70)는 다차원 통계분석 기능으로 로그분석, 이커머스 분석을 통해 통계 레포팅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수산물, 생산. 유통 및 판매업체에 대한 통계분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계생성부(70)는 기간별, 수산물별 등 각 카테고리로 구분되는 통계정보 조회기능, 각 카테고리별 세부 검색조건을 설정을 통해 정확한 통계정보 조회가능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계생성부(70)는 조회된 통계정보를 활용가능 하도록 엑셀로 자료를 변환하여 다운로드 및 인쇄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저장되는 데이터를 구조화하여 관리하고 수산물 이력관련 업체 및 지원기관에 유용한 시장 통계정보를 리포트로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통계생성부(70)는 저장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정보를 재가공하고 이용자에게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산물이력저장부(50)에는 상기 구매자단말기(61)를 중심으로 하여 기설정된 반경범위 내의 영역으로 설정된 구매자의 소재지에 대한 소재지정보데이터가 더 저장되고, 상기 판매자정보에는 수산물이 판매되는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기설정된 반경범위 내의 영역으로 설정된 영역에 대한 판매지정보데이터가 저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구매자단말기(61)를 중심으로 하여 기설정된 반경범위 내의 영역으로 설정된 구매자의 소재지에 대한 소재지정보데이터는 상기 인터넷망(1) 및 상기 웹서버(40)를 통해 상기 수산물이력저장부(50)에 실시간으로 갱신 및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소재지정보데이터에서 상기 구매자단말기(61)를 중심으로 하여 기설정된 반경범위 내의 영역, 그리고 상기 판매지정보데이터에서 수산물이 판매되는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기설정된 반경범위 내의 영역은 3km 등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수산물이 판매되는 위치는 수산물시장, 대형마트 등의 위치좌표의 중심점으로 설정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100)은 상기 수산물이력저장부(50)에 통신 연결되고 상기 소재지정보데이터 및 상기 판매지정보데이터를 상호 비교하고 상호 매칭되는 경우 매칭되는 판매자에 대한 거래추천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구매자단말기(61)로 전송하는 거래추천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래추천부(80)는 상기 소재지정보데이터 및 상기 판매지정보데이터가 상호 매칭 중첩되는 경우 거래추천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웹서버(40) 및 상기 인터넷망(1)을 통해 상기 구매자단말기(61)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래추천부(80)는 상기 소재지정보데이터 및 상기 판매지정보데이터가 상호 매칭 중첩되지 않는 경우 거래추천데이터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거래추천부(80)가 상기 구매자단말기(61)의 반경범위 내의 영역으로 설정된 소재지정보데이터와 수산물이 판매되는 위치의 반경범위 내의 영역에 대한 판매지정보데이터가 상호 매칭 중첩되면 판매자에 대한 거래추천데이터를 생성하여 구매자단말기(61)로 전송하므로 사용자가 이력 위변조가 방지된 신뢰도 높은 수산물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100)은 기설정된 분류코드로 코드화되어 상기 수산물이력저장부(50)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의 용량을 측정하며 측정된 용량을 증가 및 감소되도록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할당제어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산물이력저장부(50)에는 수산물의 어종별로 분류되는 대분류에 대한 분류코드, 중분류에 대한 분류코드 및 소분류에 대한 각 분류코드에 대한 데이터가 기설정된 제1용량의 바이트공간으로 각각 할당될 수 있다.
예컨대, 수산물의 어종별로 분류되는 대분류에 대한 분류코드, 중분류에 대한 분류코드 및 소분류에 대한 각 분류코드에 대한 각 데이터가 각각 "01" 내지 "99" 사이의 두 자리 숫자에 해당하는 제1용량의 바이트공간으로 각각 할당될 수 있다.
이때, 기존의 분류코드는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를 두고, 각각 두 자리 코드로 총 여섯 자리 코드로 할당될 수 있다. 즉, 선용품에 대한 분류코드 여섯 자리를 알면 구매자가 상기 구매자단말기(61)를 통해 해당 이력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100)의 운영중에 어종이 점차적으로 추가됨에 따라 대분류에 대한 분류코드, 중분류에 대한 분류코드 및 소분류에 대한 각 분류코드가 증가될 수 있는데, 동일한 분류명칭에 대한 복수개의 분류코드가 서로 인접한 숫자로 할당되지 않고 무작위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이때, 종래에는 분류코드의 개수가 "99"를 넘어가는 경우 다른 대분류코드에서 코드 값을 임시 할당하여 사용하였다. 즉, 다른 대분류코드에서 코드 값을 임시 할당하여 사용하게 되면 분류코드로 상품 식별이 어려워지고, 코드로서 명확한 분류 기준을 제시 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할당제어부(90)는 상기 제1용량의 바이트공간으로 할당된 각 상기 분류코드에 대한 데이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용량 이상의 제2용량으로 바이트공간을 재할당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01" 내지 "99" 사이의 두 자리 숫자에 해당하는 제1용량의 바이트공간으로 각각 할당된 어느 분류코드의 용량이 초과하는 것을 상기 할당제어부(90)가 감지하면, 상기 할당제어부(90)가 용량이 초과한 분류코드에 대하여 "001" 내지 "999" 사이의 상기 제1용량 이상의 제2용량으로 바이트공간을 재할당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산물 어종별 대분류, 중분류 및 소분류에 대한 각 분류코드에 대한 데이터가 기설정된 제1용량의 바이트공간으로 각각 할당되되, 할당제어부(90)가 각 분류코드에 대한 데이터 중 어느 하나가 제1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제1용량 이상의 제2용량으로 바이트공간을 재할당하므로 데이터가 축척 및 증가되는 경우에도 상품 식별에 대한 용이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생산이력입력모듈(10), 상기 유통이력입력모듈(20) 및 상기 판매이력입력모듈(30)을 통해 입력된 수산물에 대한 상기 생산자정보, 상기 생산이력정보, 상기 유통자정보, 상기 유통이력정보, 상기 판매자정보 및 상기 판매이력정보 데이터베이스가 블록체인화되고 상기 웹서버(40)가 블록체인을 위한 정보연계용 키 아이디를 관리하여 위변조가 방지된 신뢰도 높은 이력정보를 조회가능한 플랫폼을 제공하므로 정보신뢰성 및 보안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수산물에 알에프아이디 태그로서 부착된 상기 식별입력부(10b)에 수산물 유통과정 중 생산지, 집하지 및 가공지에서 발생하는 상기 생산이력정보, 상기 출입이력정보, 상기 경매이력정보 및 상기 가공이력정보가 추가 보정 입력되고, 구매자가 판매지에서 알에프아이디 리더기로서 구비된 상기 식별인식부(60a)를 상기 식별입력부(10b)에 기설정된 반경 이내로 접근시키면 상기 구매자단말기(61)를 통해 위변조가 방지된 수산물에 대한 각종 이력정보를 용이하게 조회 가능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생산이력정보, 상기 출입이력정보, 상기 경매이력정보 및 상기 가공이력정보에 대하여 블록체인화된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웹서버(40)와 더불어 상기 웹서버(40)에 개별 통신 연결된 저장장치로서 구비된 생산지분산저장부, 집하지분산저장부, 가공지분산저장부 및 판매지분산저장부를 포함하는 분산저장부에 분산 저장되어 하나의 참여 노드가 이력정보를 변경하여도, 다른 모든 노드가 조작여부를 검증하여 합의를 부결함으로써 변경승인이 거부되므로 보안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노드로부터 생성된 거래를 제출받아 거래를 확정하고 클라이언트 노드로부터 제안되는 거래들을 순서화시켜 피어 노드로 전달받되 합의 노드로부터 블록 형태로 거래와 상태 갱신 정보를 수신하는 피어 노드를 통해 거래 메시지들이 동일한 순서를 가지고 안전하게 전달되는 것을 보장하므로 안정적으로 운영되는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
10: 생산이력입력모듈 20: 유통이력입력모듈
30: 판매이력입력모듈 40: 웹서버
41: 분산저장부 50: 수산물이력저장부
60: 사용자단말기 61: 구매자단말기
62: 판매자단말기 63: 제조자단말기
70: 통계생성부 80: 거래추천부
90: 할당제어부

Claims (5)

  1. 수산물을 생산한 생산자정보가 입력되며, 수산물에 대한 생산이력정보가 입력되는 생산이력입력모듈;
    수산물을 유통한 유통자정보가 입력되며, 수산물에 대한 유통이력정보가 입력되는 유통이력입력모듈;
    수산물을 판매한 판매자정보가 입력되며, 수산물에 대한 판매이력정보가 입력되는 판매이력입력모듈;
    상기 생산이력입력모듈, 상기 유통이력입력모듈 및 상기 판매이력입력모듈에 인터넷망을 통하여 개별적으로 통신 연결되고, 블록체인화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며 블록체인을 위한 정보연계용 키 아이디를 관리하는 웹서버;
    상기 웹서버와 인터넷망을 통하여 개별 통신 연결되되 상기 생산자정보, 상기 생산이력정보, 상기 유통자정보, 상기 유통이력정보, 상기 판매자정보 및 상기 판매이력정보에 대하여 블록체인화된 데이터베이스가 각각 분산 저장되는 복수개의 분산저장부;
    상기 웹서버에 통신 연결되며, 상기 생산자정보, 상기 생산이력정보, 상기 유통자정보, 상기 유통이력정보, 상기 판매자정보 및 상기 판매이력정보에 대한 각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는 수산물이력저장부; 및
    상기 웹서버에 인터넷망을 통하여 통신 연결되며, 상기 생산자정보, 상기 생산이력정보, 상기 유통자정보, 상기 유통이력정보, 상기 판매자정보 및 상기 판매이력정보에 대한 블록체인화된 데이터베이스가 표시되는 구매자단말기 및 판매자단말기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물이력저장부는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웹서버에 통신 연결시 생성되는 로그를 수집하여 저장하며, 상기 수산물이력저장부에 통신 연결되고 상기 수산물이력저장부에 저장된 각 데이터에 대한 통계그래프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통계생성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통계생성부는 상기 수산물이력저장부로부터 상기 생산이력정보, 상기 유통이력정보, 상기 판매이력정보를 추출 및 상호간 연결하여 각 수산물에 대한 유통경로가 블록체인화 및 맵핑된 경로맵핑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통계생성부는 상기 수산물이력저장부로부터 상기 생산자정보, 상기 유통자정보, 상기 판매자정보를 추출하여 각 생산자, 유통자 및 판매자별 블록체인화된 인적통계데이터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이력입력모듈은
    양식장식별번호, 양식장경영자 및 양식장주소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생산자정보가 입력되도록 비콘으로서 구비되는 제1식별표시부와,
    개별수산물의 이력번호, 개체식별번호, 원산지, 출생일자, 등록일자, 유통기한, 검역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생산이력정보가 입력되도록 알에프아이디 태그로서 구비되되 수산물에 부착되는 식별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식별입력부가 인식되도록 알에프아이디 리더기로서 구비되는 식별인식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물이력저장부에는 상기 구매자단말기를 중심으로 하여 기설정된 반경범위 내의 영역으로 설정된 구매자의 소재지에 대한 소재지정보데이터가 더 저장되고, 상기 판매자정보에는 수산물이 판매되는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기설정된 반경범위 내의 영역에 대한 판매지정보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수산물이력저장부에 통신 연결되고 상기 소재지정보데이터 및 상기 판매지정보데이터를 상호 비교하는 거래추천부를 포함하되, 상기 거래추천부는 상기 소재지정보데이터 및 상기 판매지정보데이터가 상호 매칭 중첩되는 경우 판매자에 대한 거래추천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구매자단말기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분류코드로 코드화되어 상기 수산물이력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의 용량을 측정하며 측정된 용량을 증가 및 감소되도록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할당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산물이력저장부에는 수산물의 어종별로 분류되는 대분류에 대한 분류코드, 중분류에 대한 분류코드 및 소분류에 대한 각 분류코드에 대한 데이터가 기설정된 제1용량의 바이트공간으로 각각 할당되되,
    상기 할당제어부는 상기 제1용량의 바이트공간으로 할당된 각 상기 분류코드에 대한 데이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용량 이상의 제2용량으로 바이트공간을 재할당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
KR1020210104635A 2021-08-09 2021-08-09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 KR102558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635A KR102558935B1 (ko) 2021-08-09 2021-08-09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635A KR102558935B1 (ko) 2021-08-09 2021-08-09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2632A true KR20230022632A (ko) 2023-02-16
KR102558935B1 KR102558935B1 (ko) 2023-07-24

Family

ID=85325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4635A KR102558935B1 (ko) 2021-08-09 2021-08-09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89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3953B1 (ko) * 2023-05-15 2023-09-27 주식회사 블록오디세이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수산물 방사능 스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3277B2 (ko) * 1979-11-22 1986-09-26 Hitachi Ltd
KR100704950B1 (ko) 2007-01-24 2007-04-09 주식회사 에이치엔엘 농축수산물 이력관리방법
KR101691730B1 (ko) * 2015-05-06 2016-12-3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101780746B1 (ko) * 2016-07-15 2017-10-10 염호진 모바일 앱 기반의 지역특산품 생산 이력 제공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지역특산품 생산 이력 관리 방법 및 ui 구현 방법
KR20200100373A (ko) * 2019-02-18 2020-08-26 박선민 IoT 기반의 농수축산물 실시간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
KR102248840B1 (ko) * 2019-12-23 2021-05-06 주식회사 에코맘의산골이유식 농업회사법인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
KR20210080737A (ko) * 2019-12-23 2021-07-01 남연지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정품 인증 및 rfid 및 qr 태그를 활용한 인공지능 수산물 이력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72493A (zh) * 2013-10-23 2015-04-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存储器资源优化方法和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3277B2 (ko) * 1979-11-22 1986-09-26 Hitachi Ltd
KR100704950B1 (ko) 2007-01-24 2007-04-09 주식회사 에이치엔엘 농축수산물 이력관리방법
KR101691730B1 (ko) * 2015-05-06 2016-12-3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101780746B1 (ko) * 2016-07-15 2017-10-10 염호진 모바일 앱 기반의 지역특산품 생산 이력 제공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지역특산품 생산 이력 관리 방법 및 ui 구현 방법
KR20200100373A (ko) * 2019-02-18 2020-08-26 박선민 IoT 기반의 농수축산물 실시간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
KR102248840B1 (ko) * 2019-12-23 2021-05-06 주식회사 에코맘의산골이유식 농업회사법인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
KR20210080737A (ko) * 2019-12-23 2021-07-01 남연지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정품 인증 및 rfid 및 qr 태그를 활용한 인공지능 수산물 이력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3953B1 (ko) * 2023-05-15 2023-09-27 주식회사 블록오디세이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수산물 방사능 스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8935B1 (ko) 2023-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46842A1 (en) Compact recordation protocol
US10965446B2 (en) Blockchain-based automated user matching
US20210365930A1 (en) Systems and methods of blockchain transaction recordation
CN108292401B (zh) 安全的数字数据操作
KR102414732B1 (ko)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아이덴티티 관리 방법
CN112950220B (zh) 一种基于区块链的企业数字身份管理系统及方法
CN109410076A (zh) 基于区块链技术的农产品溯源保险公共服务平台
CN108711051A (zh) 一种基于区块链的知识产权交易共享平台及方法
US20230410111A1 (en) Cryptocurrency Storage Distribution
US8249921B2 (en) Method for facilitating a transaction between buyers and sellers
US20220172198A1 (en) Real-time blockchain settlement network
US2023032787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subscribing to and processing action plans using a blockchain
CN114549194A (zh) 一种基于区块链的权利资产管理服务平台及其实现方法
KR102230452B1 (ko) 선용품용 오픈마켓 블록체인 통계분석 시스템
KR20210059165A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술작품 저작권 p2p 거래시스템
Hsu et al. Design of an e-diploma system based on consortium blockchain and facial recognition
Tripathi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f blockchain technology: underlying principles and historical background with future challenges
Biswas et al. Landchain: A blockchain based secured land registration system
CN112991045A (zh) 基于区块链的医疗健康消费融资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2558935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
Chilamkurti et al. Blockchain, Internet of Thing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N111444416A (zh) 金融业务的推广方法、系统及装置
O’Kane Detecting patterns in the Ethereum transactional data using unsupervised learning
CN110599212A (zh) 一种防伪参数生成及防伪验证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220122416A (ko) 블록체인 기반의 부동산 매물 검색 및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