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452B1 - 선용품용 오픈마켓 블록체인 통계분석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용품용 오픈마켓 블록체인 통계분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452B1
KR102230452B1 KR1020200088559A KR20200088559A KR102230452B1 KR 102230452 B1 KR102230452 B1 KR 102230452B1 KR 1020200088559 A KR1020200088559 A KR 1020200088559A KR 20200088559 A KR20200088559 A KR 20200088559A KR 102230452 B1 KR102230452 B1 KR 102230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action
data
ship
information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8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관
설동철
Original Assignee
(주)에스유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유지 filed Critical (주)에스유지
Priority to KR1020200088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4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06Q50/2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2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전자계약의 위변조가 미연에 방지되어 정보신뢰성 및 보안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선용품의 거래를 위해 구비되되 선용품 견적의뢰에 대한 트렌드 분석, 선용품의 시간별 수요 분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요청하는 구매자단말기 및 판매자단말기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그룹; 선용품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는 물품정보저장소; 구매자 및 판매자의 인적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는 인적정보저장소; 각 판매자가 보유중인 선용품의 재고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는 재고정보저장소; 구매자 및 판매가 간의 거래 발생시 거래물품, 거래시간 및 거래가격을 포함하는 거래기록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는 거래기록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단말그룹과 인터넷망을 통해 개별적으로 통신 연결되며, 상기 물품정보저장소, 상기 인적정보저장소, 상기 재고정보저장소 및 상기 거래기록저장부로 데이터베이스가 통신되도록 통신 연결되고, 상기 거래기록저장부에 저장되는 거래기록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블록체인화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며 블록체인을 위한 정보연계용 키 아이디를 관리하는 웹서버를 포함하는 선용품용 오픈마켓 블록체인 통계분석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선용품용 오픈마켓 블록체인 통계분석 시스템{open market blockchain statistical analysis system for ship supplies}
본 발명은 선용품용 오픈마켓 블록체인 통계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계약의 위변조가 미연에 방지되어 정보신뢰성 및 보안성이 개선되는 선용품용 오픈마켓 블록체인 통계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2009년 최초의 블록체인에 기반을 둔 애플리케이션인 비트코인이 개발된 이후 블록체인은 비트코인과 같은 전자화폐 시스템뿐 아니라 클라우드 저장소 서비스, 블록체인 컴퓨팅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었다.
여기서, 비트코인은 정부나 은행과 같은 중앙화된 조직이 아닌 분산 네트워크 상에서 발행, 저장 및 유통되는 전자 화폐이다. 비트코인은 2009년 처음 발행되어 현재 시점까지 중앙화된 기관 없이 화폐의 가치를 유지하고 있으며, 사용자 수와 거래 규모 측면에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비트코인의 화폐 가치를 유지하는 배경에는 블록체인 기술이 있다. 이때, 블록체인은 중앙화된 서버 없이 탈중앙화된 네트워크 환경에서 보안성과 무결성을 유지하는 기술이며, 이러한 강점에 기반하여 다양한 컴퓨팅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게 되었고, 전자 화폐 이외의 다른 시스템에도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예를 들어, 블록체인을 이용한 클라우드 스토리지 시스템으로 스토리지 제공자에게 자체 코인을 발급하여 다른 컴퓨터의 디스크 공간을 이용하고 분할 검증을 통하여 신뢰도를 유지하는 서비스가 있다.
다른 예로, 이더리움은 전자화폐에 대한 스마트 계약(smartcontract)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하여 실행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비트코인은 단순히 전자 화폐의 송금을 제공하는데 반해 이더리움은 계약에 의한 거래를 제공해준다.
하지만, 블록체인은 컴퓨팅 자원 낭비가 심한 비효율적인 운영 구조를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 비트코인의 경우 거래 트랜잭션의 무결성을 검증하기 위해 최대한 시간이 소요되며, 각 참여 노드는 30Gbyte 크기의 장부를 저장해야 한다. 또한, 거래를 승인하기 위하여서 모든 노드가 장부를 통해 트랜잭션을 검증하고, 검증 결과를 기반으로 거래를 승인해야 한다. 즉, 블록체인에 참여한 모든 노드는 동일한 장부를 모두 저장하고 있어야 하고, 동일한 검증 작업을 모두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사유로 인해 블록체인은 전체 네트워크 관점에서 자원 효율성이 매우 떨어진다.
언급한 바와 같이, 블록체인이란 비트코인에서 탈 중앙화된 화폐관리를 위해 사용된 핵심기술이다. 블록체인은 중앙 관리 기관이 없이 임의의 사용자가 데이터를 위변조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여 거래의 무결성을 유지한다.
그리고, 블록체인은 무결성 유지를 위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한 모든참여 노드는 거래내역(장부)를 저장하고, 새롭게 생성되는 거래 트랜잭션을 저장된 장부를 통해 검사한다.
예를 들어, 한 참여 노드가 거래를 조작하여 이중 결재를 감행하여도, 다른 모든 노드가 이중 결재 여부를 검증하여 합의를 부결함으로써, 거래의 승인이 거부된다. 따라서, 전체 노드 중 51% 이상이 거짓으로 합의하여 주지않는 이상, 데이터의 조작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현재 세계 선용품 시장은 연간 100조원 규모인데 반해 국내 시장의 선용품 시장 규모는 9000억 원 규모로 세계 규모에 대비하여 매우 낮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선용품을 쉽고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는 국내형 오픈마켓 시스템의 도입을 위해 연구 및 개발이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선용품 오픈 마켓을 개발함에 있어 8만여개에 이르는 선용품 종류에 대한 코드 표준화 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며, 선용품 오픈마켓에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선용품에 대한 통계분석 시스템은 개발이 미비한 실정이다.
더욱이, 다양한 선용품의 거래시 판매자 및 구매자가 안전하게 계약을 체결할 수 있는 보안성 확보를 위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나 개발이 미비한 실정이며 이로인해 오픈마켓에서의 거래시 정보신뢰성 및 보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39654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자계약의 위변조가 미연에 방지되어 정보신뢰성 및 보안성이 개선되는 선용품용 오픈마켓 블록체인 통계분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용품의 거래를 위해 구비되되 선용품 견적의뢰에 대한 트렌드 분석, 선용품의 시간별 수요 분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요청하는 구매자단말기 및 판매자단말기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그룹; 선용품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는 물품정보저장소; 구매자 및 판매자의 인적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는 인적정보저장소; 각 판매자가 보유중인 선용품의 재고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는 재고정보저장소; 구매자 및 판매가 간의 거래 발생시 거래물품, 거래시간 및 거래가격을 포함하는 거래기록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는 거래기록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단말그룹과 인터넷망을 통해 개별적으로 통신 연결되며, 상기 물품정보저장소, 상기 인적정보저장소, 상기 재고정보저장소 및 상기 거래기록저장부로 데이터베이스가 통신되도록 통신 연결되고, 상기 거래기록저장부에 저장되는 거래기록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블록체인화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며 블록체인을 위한 정보연계용 키 아이디를 관리하는 웹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거래기록저장부는 상기 사용자단말그룹이 상기 웹서버에 통신 연결시 생성되는 로그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상기 웹서버는 상기 거래기록저장부에 저장된 각 데이터에 대한 통계그래프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그룹에 전송하는 통계분석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계분석처리부는 상기 거래기록저장부에 저장된 구매자별 선용품 거래기록에 대한 구매패턴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존에 구입한 선용품과 유사한 분류코드로 분류된 선용품에 대한 구매물품추천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구매자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구매물품추천 데이터를 상기 인적정보저장소에 저장된 판매자의 평판정보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정렬하고, 상기 거래기록저장부에는 거래완료된 선용품의 거래가격에 대한 데이터 및 구매자별 선용품 거래기록에 대한 구매패턴 데이터가 저장되며, 거래완료된 선용품의 거래가격에 대한 데이터 및 구매자별 선용품 거래기록에 대한 구매패턴 데이터는 상기 웹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통계분석처리부로 통신되고, 상기 인적정보저장소에는 판매자의 평판정보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며, 판매자의 평판정보에 대한 데이터는 상기 웹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통계분석처리부로 통신되며, 상기 통계분석처리부는 상기 거래기록저장부에 저장된 거래완료된 선용품의 거래가격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적정가격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판매자단말기로 전송하되, 상기 거래기록저장부에는 거래완료된 선용품의 거래가격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고, 거래완료된 선용품의 거래가격에 대한 데이터는 상기 웹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통계분석처리부로 통신되며, 상기 통계분석처리부에서 생성되는 적정가격 데이터는 상기 거래기록저장부에 저장되되 상기 웹서버를 통해 상기 판매자단말기로 전송되고, 상기 웹서버는 상기 구매자단말기 및 상기 판매자단말기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등록여부를 인증하는 등록용 인증서를 생성하며, 상기 웹서버는 상기 등록용 인증서와는 독립적으로 거래용 인증서를 생성하되, 상기 거래용 인증서는 기등록된 상기 구매자단말기 및 상기 판매자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거래의 요청시마다 상기 웹서버로부터 개별 생성되되, 상기 웹서버는 상기 구매자단말기 및 상기 판매자단말기 중 어느 하나를 대신하여 거래를 생성하여 체인코드 실행을 호출하여 거래 보증을 요청하고 거래보증 응답을 수집하며, 거래 제안을 생성하는 클라이언트 노드와, 상기 클라이언트 노드에서 생성된 상기 거래 제안을 전달받는 순서화 서비스 노드와, 블록체인을 유지하도록 거래 정보를 저장하는 레저와 거래 실행 결과에 따른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상태저장소를 포함하되 상기 클라이언트 노드로부터 생성된 거래를 제출받아 거래를 확정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노드로부터 제안되는 거래들을 순서화시켜 전달받되 상기 순서화 서비스 노드로부터 블록 형태로 거래와 상태 갱신 정보를 수신하는 피어 노드를 포함하고, 판매자가 탑승중인 선박에 대한 운항예정정보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되 상기 웹서버에 상기 운항예정정보 데이터베이스가 통신되도록 통신 연결되는 입항정보저장소와, 구매자 및 판매자 간의 거래발생시 상기 운항예정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선박이 입항하는 입항지에 거래물품이 도착 및 인도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예정정보 데이터를 산출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그룹으로 상기 배송예정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운항배송관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입항정보저장소에는 판매자가 탑승중인 선박의 출항지, 출항시간, 입항지, 입항시간, 현재위치가 저장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운항예정정보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용품용 오픈마켓 블록체인 통계분석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선용품용 오픈마켓에서 사용자단말그룹을 통한 거래 발생시 거래기록저장부에 저장되는 거래기록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블록체인화되며 웹서버가 블록체인을 위한 정보연계용 키 아이디를 관리하여 구매자 및 판매자가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므로 정보신뢰성 및 보안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웹서버가 각 단말기에 대하여 등록용 인증서를 생성하되 그와 독립적으로 각 단말기로부터 거래 요청시 거래용 인증서를 개별 생성하여 등록용 인증서와 거래용 인증서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추론가능성을 최소화함으로써 선용품 거래시 보안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셋째, 통계분석처리부가 구매자별 선용품 거래기록에 대한 구매패턴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존 구입한 선용품과 유사한 구매물품추천 데이터를 빅데이터 머신러닝을 기반으로 생성하되 구매물품추천 데이터가 판매자의 평판정보에 대응하여 순차 정렬되므로 구매자가 구매물품추천 데이터를 용이하게 조회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넷째, 거래발생시 구매자 또는 판매자가 탑승중인 선박에 대하여 입항정보저장소에 저장된 운항예정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운항배송관리부가 선박이 입항하는 입항지에 거래물품이 도착 및 인도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예정정보 데이터를 산출 및 전송하므로 구매자 또는 판매자가 선용품의 인도전에 배송예정정보를 통해 일정을 미리 파악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다섯째, 클라이언트 노드로부터 생성된 거래를 제출받아 거래를 확정하고 클라이언트 노드로부터 제안되는 거래들을 순서화시켜 피어 노드로부터 전달받되 순서화 서비스 노드로부터 블록 형태로 거래와 상태 갱신 정보를 수신하는 피어 노드를 통해 거래 메시지들이 동일한 순서를 가지고 안전하게 전달되는 것을 보장하므로 안정적으로 운영되는 거래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여섯째, 거래기록저장부에 저장된 각 데이터에 대한 통계그래프를 생성하여 사용자단말그룹에 전송하는 통계분석처리부가 구비되어 빅데이터 머신러닝을 이용한 다차원의 통계분석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자단말그룹으로 전송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용품용 오픈마켓 블록체인 통계분석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용품용 오픈마켓 블록체인 통계분석 시스템에서 블록체인 아키텍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용품용 오픈마켓 블록체인 통계분석 시스템에서 블록체인 보안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용품용 오픈마켓 블록체인 통계분석 시스템에서 블록체인 거래기록 기반 공급자 및 구매자 평가 서비스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용품용 오픈마켓 블록체인 통계분석 시스템에서 거래추천 서비스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용품용 오픈마켓 블록체인 통계분석 시스템을 나타낸 사용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용품용 오픈마켓 블록체인 통계분석 시스템에서 통계분석 출력화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용품용 오픈마켓 블록체인 통계분석 시스템을 나타낸 사용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용품용 오픈마켓 블록체인 통계분석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용품용 오픈마켓 블록체인 통계분석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용품용 오픈마켓 블록체인 통계분석 시스템에서 블록체인 아키텍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용품용 오픈마켓 블록체인 통계분석 시스템에서 블록체인 보안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용품용 오픈마켓 블록체인 통계분석 시스템에서 블록체인 거래기록 기반 공급자 및 구매자 평가 서비스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용품용 오픈마켓 블록체인 통계분석 시스템에서 거래추천 서비스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용품용 오픈마켓 블록체인 통계분석 시스템을 나타낸 사용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용품용 오픈마켓 블록체인 통계분석 시스템에서 통계분석 출력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용품용 오픈마켓 블록체인 통계분석 시스템을 나타낸 사용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용품용 오픈마켓 블록체인 통계분석 시스템(100)은 사용자단말그룹(10), 물품정보저장소(21), 인적정보저장소(22), 재고정보저장소(23), 거래기록저장부(24) 및 웹서버(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단말그룹(10)은 선용품의 거래를 위해 구비되되 선용품 견적의뢰에 대한 트렌드 분석, 견적 송장기반 선용품 가격 최적 분석, 선용품의 시간별 수요 분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요청하는 구매자단말기(11)와, 판매자단말기와(12), 제조자단말기(13)와, 시스템관리자단말기(14)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물품정보저장소(21)는 선용품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도록 저장장치로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인적정보저장소(22)는 구매자 및 판매자의 인적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도록 저장장치로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재고정보저장소(23)는 각 판매자가 보유중인 선용품의 재고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도록 저장장치로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래기록저장부(24)는 구매자 및 판매가 간의 거래 발생시 거래물품, 거래시간 및 거래가격을 포함하는 거래기록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도록 저장장치로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품정보저장소(21), 상기 인적정보저장소(22), 상기 재고정보저장소(23), 상기 거래기록저장부(24)는 각각의 저장장치로서 상호 독립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웹서버(30)에 통신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웹서버(30)는 상기 사용자단말그룹(10)과 인터넷망(1)을 통해 개별적으로 통신 연결되며, 상기 물품정보저장소(21), 상기 인적정보저장소(22), 상기 재고정보저장소(23) 및 상기 거래기록저장부(24)로 데이터베이스가 통신되도록 통신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웹서버(30)는 상기 거래기록저장부(24)에 저장되는 거래기록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블록체인화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며 블록체인을 위한 정보연계용 키 아이디를 관리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구매자단말기(11), 상기 판매자단말기(12), 상기 제조자단말기(13) 및 상기 시스템관리자단말기(14)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단말그룹(10)이 인터넷망(1)을 통해 선용품용 오픈마켓 블록체인 통계분석 시스템(100)의 웹서버(30)과 각각 통신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웹서버(30)는 상기 물품정보저장소(21), 상기 인적정보저장소(22), 상기 재고정보저장소(23),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화되는 상기 거래기록저장부(24)에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선용품용 오픈마켓 블록체인 통계분석 시스템(100)의 웹서버(30)는 상기 물품정보저장소(21), 상기 인적정보저장소(22), 상기 재고정보저장소(23)와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의 연동을 수행할 수 있다. 상세히,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블록체인과 상기 물품정보저장소(21), 상기 인적정보저장소(22), 상기 재고정보저장소(23)에 저장되는 일반거래가 상기 웹서버(30)를 통해 상호간 연계가 가능하도록 하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해당하는 거래기록저장부(24)에 기록된 블록체인을 통한 정보들을 상기 물품정보저장소(21), 상기 인적정보저장소(22), 상기 재고정보저장소(23)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상호간 정보가 연결되도록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웹서버(30)는 블록체인용 거래 개별 서버가 상기 거래기록저장부(24)를 관리하고 연계를 위한 정보연계용 키 아이디를 관리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선용품용 오픈마켓 블록체인 통계분석 시스템(100)은 블록체인 기술과 거래추천시스템 기술이 제공되면서 지능형 판단 알고리즘과, 블록체인 보안활용 분산서버 관리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웹서버(30)는 보안 및 데이터 관리방안 적용에 있어서도 스팸 예방을 위하여 홈페이지를 통한 이메일 주소 추출 차단 기능을 수행하며, 데이터베이스 암호화 및 해킹차단, 개인정보 보호기술을 적용하여 구축하며, 새로운 시스템을 접목하여 개인정보 암호화 및 수시 파기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웹서버(30)는 고객정보의 안정적 관리 및 유출방지를 수행하며, SSL 보안모듈 적용으로 고객의 정보보호와 암호화를 수행하며, 회원의 아이디, 패스워드, 카드번호 등 개인정보를 관리강화를 통한 고객정보 누출을 방지하며, 오픈마켓 교란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웹서버(30)는 개인정보의 보호 및 보안강화를 위해 개인정보 유출방지를 위한 암호화 기능과 실명인증 및 회원정보 관리기능 연계 및 회원 로그인시 보안접속을 수행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6을 참조하면, 구매자 및 판매자 간의 거래 발생시 결제, 배송 및 수령, 교환, 환불 및 거래취소에 대한 데이터가 블록체인화되어 상기 거래기록저장부(24)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버부(30)를 블록생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블록생성부는 상기 거래기록저장부(24)에 저장된 각 데이터를 암호화 및 블록체인화하여 복수개의 블록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웹서버(30)에는 암호화를 위해 설정되는 키값 및 순번값이 저장되고, 각 데이터 및 상기 블록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블록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록은 암호화를 위해 설정되는 키값 및 순번값이 부여된 각 데이터에 대하여 생성된 데이터를 포함하여 복수개로 생성되며, SHA-256 등의 해쉬함수를 통해 암호데이터화 및 블록체인화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SHA(Secure Hash Algorithm)은 미국 표준 기술 연구소(NIST)에 의해 공표된 표준 해시 알고리즘으로 소프트웨어 시장 전반에서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SHA는 현재 SHA-1과 SHA-2 계열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SHA-2는 세부적으로 SHA-224, SHA-256, SHA-384, SHA-512로 나뉘는데 SHA-256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SHA-256은 256비트로 구성되어 64자리 문자열을 반환한다. 예를 들어, "계약"이라는 문자열이 SHA-256을 통해 "875C2FD188350……1877005365BA2"와 같은 64자리의 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은 헤더와 바디를 포함하되, 상기 헤더에는 위변조 방지를 위한 인접한 블록의 해쉬값과 블록버전, 머클루트(Merkle Root), 논스(Nonce)값 등이 저장되며, 상기 바디에는 해쉬함수를 통해 암호화된 거래기록에 대한 데이터가 해쉬트리 구조로 저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해쉬함수는 임의의 길이를 가진 어떤 임의의 데이터를 일정한 길이의 어떤 데이터로 바꿔주는 함수를 의미하며, 상기 블록은 거래기록에 대한 데이터가 집합되어 트리구조를 이룬 공간을 의미한다.
이러한 블록은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하나씩 생성되어 상기 인터넷망(1)을 통해 네트워크 전역으로 확산되며, 이렇게 생성된 n번째 블록은 해쉬트리 구조를 통해 n-1번째 블록의 무결점성을 증명하도록 각 블록이 상호간 체인화되어 연결된다. 예컨대, n번째 블록의 헤더에 n-1번째 블록의 해쉬값과 동일한 해쉬값이 존재함에 따라 n-1번째 블록이 변조되지 않았음을 증명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웹서버(30)는 클라이언트 노드(51,client node)와, 순서화 서비스 노드(52,ordering service node)와, 피어 노드(53,peer node)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클라이언트 노드(51), 상기 순서화 서비스 노드(52)와, 상기 피어 노드(53)는 아키텍처 구성으로서 구비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클라이언트 노드(51)는 상기 구매자단말기(11), 상기 판매자단말기(12), 상기 제조자단말기(13) 및 상기 시스템관리자단말기(14) 중 어느 하나를 대신하여 거래를 생성하여 체인코드 실행을 호출하여 거래 보증을 요청하고 거래보증 응답을 수집하며, 거래 제안을 생성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순서화 서비스 노드(52)는 상기 클라이언트 노드(51)에서 생성된 상기 거래 제안을 전달받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피어 노드(53)는 블록체인을 유지하도록 거래 정보를 저장하는 레저와 거래 실행 결과에 따른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상태저장소를 포함하되, 상기 클라이언트 노드(51)로부터 생성된 거래를 제출받아 거래를 확정하되, 합의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노드(51)로부터 제안되는 거래들을 순서화시켜 상기 피어 노드(53)로부터 전달받으며, 상기 순서화 서비스 노드(52)로부터 블록 형태로 거래와 상태 갱신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클라이언트 노드(51)는 사용자에 해당하는 상기 사용자단말그룹(10)을 구성하는 상기 구매자단말기(11), 상기 판매자단말기(12), 상기 제조자단말기(13) 및 상기 시스템관리자단말기(14) 중 하나를 대신하여 거래(transaction)를 생성하여 체인코드 실행을 호출할 수 있다. 즉, 상기 클라이언트 노드(51)는 거래를 생성하여 상기 피어 노드(53)의 보증 피어 노드(endorsing peer node)에게 제출(submit)함으로써 거래 보증을 요청하고 거래보증 응답을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거래 보증 응답을 수집한 상기 클라이언트 노드(51)는 거래 제안(transaction-proposal)을 생성하여 상기 순서화 서비스 노드(52)에게 전달한다. 이어서, 상기 피어 노드(53)는 거래를 확정(commit)할 뿐만아니라, 거래 정보를 저장하는 레저(ledger)와 거래 실행 결과에 따른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상태 저장소(state store)로 구성됨으로서, 블록체인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어 노드(53)는 상기 순서화 서비스 노드(52)로부터 블록 형태로 거래와 상태 갱신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피어 노드(53)를 구성하는 일부 피어 노드는 추가적으로 보증 노드(endorsing peer) 역할을 수행하며, 이러한 보증 노드는 클라이언트의 보증 요청에 따라 해당 체인코드를 실행하고 결과를 보증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보증 노드(20a)와 보증 방법은 해당 체인코드와 연계된 보증 정책에 의해 결정되며, 보증 정책은 체인코드와 함께 작성되어 체인코드가 블록체인에 배치될 때 함께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순서화 서비스 노드(52)는 합의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노드(51)로부터 제안되는 거래들을 순서화시켜 상기 피어 노드(53)에게 안전하게 전달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클라이언트 노드(51)는 채널을 통해 거래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순서화 서비스 노드(52)에게 전달하고, 상기 순서화 서비스 노드(52)가 거래 메시지들을 순서화시켜 채널에 연결된 모든 상기 피어 노드(53)에게 전달한다.
이에 따라, 각 상기 피어 노드(53)에게 전달되는 거래 메시지들이 동일한 순서를 가지고 안전하게 전달되는 것을 보장하는 원자적 브로드캐스트(atomic broadcas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웹서버(30)는 멤버쉽 서비스 제공자(54,MSP-Membership Service Provider)를 더 포함합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멤버쉽 서비스 제공자(54)의 노드는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노드의 신원 확인 후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권한을 표시하는 자격증명(credentials)을 발급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멤버쉽 서비스 제공자(54)는 PKI(Public Ket Infrastructure) 기반의 인증 기관(Certification Authority)을 통해 서비스에 맞는 공개키 인증서(public key certificate)와 대응되는 개인키(private key)를 자격증명으로 발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웹서버(30)는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인덱스(Index) 데이터베이스와 상태(state) 데이터베이스 구성을 통해 신속한 데이터 조회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웹서버(30)는 거래 발생시 선용품 거래 자체 데이터베이스에 블록의 번호나 해시 값을 관리하여, 연관된 데이터 조회 시 블록체인 인덱스를 이용하여 블록을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웹서버(30)는 인덱스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별도로 관리되는 블록의 번호나 해시 값을 이용하면 해당 되는 블록만을 검색하여 신속한 거래내역 조회 가능하며, 상태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여 원장의 현재 상태 데이터를 관리하고 트랜젝션 로그에 포함된 모든 키의 최신 값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웹서버(30)는 키를 범위별로 관리할 수 있으며, 복합키를 사용하여 특정 엔티티가 소유한 모든 자산을 조회 가능하며, 키에 대한 정보를 항상 최신상태로 업데이트 함으로써, 원장에 대한 직접적인 조회 없이 기본적인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웹서버(30)는 상기 구매자단말기(11), 상기 판매자단말기(12), 상기 제조자단말기(13) 및 상기 시스템관리자단말기(14)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등록여부를 인증하는 등록용 인증서를 생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웹서버(30)는 상기 등록용 인증서와는 독립적으로 거래용 인증서를 생성하되, 상기 거래용 인증서는 상기 거래용 인증서는 거래내역만으로 해커에 의한 발행자, 즉 각 단말기에 대한 등록용 인증서 파악을 차단하도록 기등록된 상기 구매자단말기(11), 상기 판매자단말기(12), 상기 제조자단말기(13) 및 상기 시스템관리자단말기(14) 중 어느 하나로부터 거래의 요청시마다 상기 웹서버(30)로부터 개별 생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웹서버(30) 상에 등록된 참여자마다 ECA는 한 개가 있지만, TCA는 여러 개가 존재 할 수 있으며, ECA와 TCA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추론가능성을 최소화 함으로써, 신원이 확인된 참가자를 대상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는 등록된 참가자를 확인하는데 필요한 공개키와 개인키를 생성하여 보안 통신 프로토콜인 TLS 프로토콜이 사용할 수 있는 인증서를 발급할 수 있다.
상세히,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클라이언트 노드(51), 상기 피어 노드(53) 및 상기 순서화 서비스 노드(52)는 인증기관인 상기 웹서버(30)를 통해 관리될 수 있다. 즉, 상기 웹서버(30)는 ECA(Enrollment Certification Authority)를 통하여 등록된 참여자가 맞다는 것을 인증하는 인증서 발행하고, 등록된 사용자가 거래를 포스팅할 때마다 다른 거래 인증서(TCA)를 발행하여 거래내역만으로 등록용 인증서 발행자를 파악할 수 없도록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웹서버(30) 상에 등록된 참여자마다 ECA는 한 개가 있지만, TCA는 여러 개가 존재 할 수 있으며, ECA와 TCA 사이의 상관관계를 추론 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TLS_CA를 통해서 신원이 확인된 참가자를 대상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는 등록된 참가자를 확인하는데 필요한 공개키와 개인키를 생성하여 보안 통신 프로토콜인 TLS 프로토콜이 사용할 수 있는 인증서를 발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웹서버(30)는 TLS를 통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 각 피어 노드(53)를 멤버쉽 서비스에 스스로를 등록할 때 TLS Handshake 과정을 거치면서 인증서 기반으로 인증을 받게 되고, 인증서가 유효하지 않으면 상기 피어 노드(53)가 멤버쉽 서비스에 접속하지 못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어 노드(53) 간 통신에서도 TLS 인증을 통해서 통신을 하게 되고, TLS 기반의 통신을 위해서는 각 통신 구간 즉, 멤버쉽 서비스 제공자(54) 및 상기 피어 노드(53), 그리고 각 상기 피어 노드(53) 간의 구간을 위한 인증서가 필요하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단말그룹(10)을 구성하는 공급자에 해당하는 상기 판매자단말기(12), 상기 제조자단말기(13) 및 상기 시스템관리자단말기(14), 그리고 소비자에 해당하는 상기 구매자단말기(11) 간에 평판 관리 서비스를 웹서버(30)가 제공할 수 있다. 상세히, 오픈마켓 플랫폼의 가장 큰 장점중 하나는 플랫폼 참여자의 거래 및 구매 기록이 투명하게 공개된다는 점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트랜잭션 이력 데이터를 활용하여 플랫폼에 참여하는 공급자/소비자 및 시장참여자의 상호평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저품질의 제품을 판매하거나 납기를 어기는 공급자는 거래과정에서 패널티(벌칙)을 받아 거래기회가 줄어들어야 하며, 고품질의 제품을 적당한 가격에 적시에 공급하는 판매자는 소비자에게 지속적으로 노출되고 더 많은 기회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블록체인 거래기록 기반 공급자/구매자 평가 서비스를 통해 플랫폼 참여자를 공정하게 평가함으로써, 플랫폼 참여자들의 경쟁력을 높이고 활발하게 플랫폼에 참여할 수 있는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웹서버(30)는 플랫폼 참여자의 공정한 평판 평가를 위한 평가지표의 정의 및 평가체계를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웹서버(30)는 플랫폼 참여자별 평가지표 정의로, 블록체인 거래 및 트랜잭션 내역 데이터를 바탕으로, 플랫폼 참여자별 평가지표의 정의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웹서버(30)는 플랫폼 참여자별 평가지표로 소비자 입장에서는 공급자의 납기품질을 평가하기 위해 가격, 품질, 평균 납기달성률, 고객평점 등의 데이터를 활용하며, 플랫폼에 활발히 참여한 공급자(소비자)에게 가산점을 부여하여 플랫폼의 활발한 참여를 유도하는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웹서버(30)는 플랫폼 참여자 평가 체계를 위해, 다양한 평가지표를 종합하여 사용자들이 한 눈에 각 참여자들의 평판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함점수판(score board)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웹서버(30)는 선주에게 다양한 거래 추천 기능을 제공하며,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급자의 거래이력 및 선주들의 구매데이터 등을 활용하여 지능화된 추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웹서버(30)는 아이템 기반 추천을 위해 소비자 또는 유사한 소비자가 과거에 함께 구입했던 물품들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특정 물품을 주문할 때 함께 주문할만한 물품들을 추천하기 위해 협업 필터링(Collaborative Filtering) 기법을 사용하여 과학적인 추천기능인 소비자 구매이력 기반 아이템 추천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웹서버(30)는 소비자의 과거 구매 시계열 데이터를 이용하여, 물품이 필요한 시기가 왔을 때에 자동으로 구매를 추천해주는 기능인 구매 시기 추천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웹서버(30)는 공급자의 평판 데이터, 과거 소비자와의 구매이력등을 고려하여 현재 물품에 입찰한 공급자 중 최적의 공급자의 랭킹을 추천하는 기능인 공급자 평판을 통한 공급자 랭킹 추천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웹서버(30)는 소비자의 선택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소비자가 구매자를 선택함에 있어 중요하게 여기는 선호도 가중치를 자동으로 학습하는 알고리즘인 소비자 선호도 자동학습을 통한 우선순위 자동보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웹서버(30)는 공급자 또한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기술을 통해 입찰을 제안한 소비자의 목록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오픈마켓 플랫폼의 또다른 큰 사용자로 예상되는 선용품 공급자가 본인의 이익을 최대화 하면서 안전하게 입찰에 참여할 수 있는 비딩 매니지먼트(bidding management) 기능인 공급자 거래추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웹서버(30)는 공급자 거래추천 기능에 있어서, 공급자 입장에서도 다양한 소비자 중 본인에게 가장 유리한 입찰을 제안한 소비자를 선정하며, 개별 소비자의 입찰 가격, 소비자의 과거 구매이력, 선적 장소 등을 파악하여 예상 납기지연율 및 마진률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입찰의 우선순위를 정하여 추천해 주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웹서버(30)는 수요량 예측으로 과거 구매 시계열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월/주 별로 예상 판매 수량 및 수요량 등에 대한 통계분석 및 데이터 시각화 기능 제공하며, 적정 가격 분석으로 소비자의 구매패턴 및 경쟁자들의 입찰가격을 바탕으로 특정 물품에 대한 적정가격을 제안하는 비딩 분석(bidding analytics)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래기록저장부(24)는 상기 사용자단말그룹(10)이 상기 웹서버(30)에 통신 연결시 생성되는 로그를 수집하여 페이지뷰, 페이지당 체류시간, 자주찾는 페이지를 포함하는 페이지 방문에 대한 데이터와, 상기 웹서버(30)로의 유입경로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웹서버(30)는 상기 거래기록저장부(24)에 저장된 각 데이터에 대한 통계그래프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그룹(10)에 전송하는 통계분석처리부(31)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거래기록저장부(24)에는 거래완료된 선용품의 거래가격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됨이 바람직하며, 거래완료된 선용품의 거래가격에 대한 데이터는 상기 웹서버(30)를 경유하여 상기 통계분석처리부(31)로 통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계분석처리부(31)로부터 생성되는 각 데이터 및 통계그래프는 상기 거래기록저장부(24)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웹서버(30)를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그룹(10)으로 통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계분석처리부(31)는 상기 거래기록저장부(24)에 저장된 구매자별 선용품 거래기록에 대한 구매패턴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존에 구입한 선용품과 유사한 분류코드로 분류된 선용품에 대한 구매물품추천 데이터를 머신러닝을 기반으로 생성하여 상기 구매자단말기(11)로 전송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거래기록저장부(24)에는 구매자별 선용품 거래기록에 대한 구매패턴 데이터가 저장됨이 바람직하며, 구매자별 선용품 거래기록에 대한 구매패턴 데이터는 상기 웹서버(30)를 경유하여 상기 통계분석처리부(31)로 통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통계분석처리부(31)는 상기 구매물품추천 데이터를 상기 인적정보저장소(22)에 저장된 판매자의 평판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평판정보에 대한 값이 높은순으로 순차적으로 정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적정보저장소(22)에는 판매자의 평판정보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됨이 바람직하며, 판매자의 평판정보에 대한 데이터는 상기 웹서버(30)를 경유하여 상기 통계분석처리부(31)로 통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통계분석처리부(31)가 구매자별 선용품 거래기록에 대한 구매패턴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존에 구입한 선용품과 유사한 구매물품추천 데이터를 머신러닝 기반으로 생성하되 구매물품추천 데이터가 판매자의 평판정보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정렬되므로 구매자에게 신뢰도 높은 구매물품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구매자가 판매자의 평판정보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정렬된 구매물품추천 데이터를 용이하게 조회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계분석처리부(31)는 상기 거래기록저장부(24)에 저장된 거래완료된 선용품의 거래가격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적정가격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판매자단말기(12)로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거래기록저장부(24)에는 거래완료된 선용품의 거래가격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됨이 바람직하며, 거래완료된 선용품의 거래가격에 대한 데이터는 상기 웹서버(30)를 경유하여 상기 통계분석처리부(31)로 통신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통계분석처리부(31)에서 생성되는 적정가격 데이터는 상기 거래기록저장부(24)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웹서버(30)를 통해 상기 판매자단말기(12)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통계분석처리부(31)가 상기 거래기록저장부(24)에 저장된 거래완료된 선용품의 거래가격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적정가격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판매자단말기(12)로 전송하므로 판매자가 합리적인 판매가격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계분석처리부(31)의 머신러닝 기반 데이터 생성 방식은, 데이터 입력, 전처리, 분석, 기계학습 및 인공지능을 포함하는 모델링, 모델 평가 및 시각화 기능을 통합 지원하는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분석기술이 적용되며, 지능형 모니터링시스템으로 실시간 마켓 모니터링, 알람기능 및 실시간 분석/예측기능을 제공하여 시스템상의 이상발생시 선대응체계를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생성된 예측/모니터링 모델은 추가작업 없이 시스템상에 탑재된 채로 실시간 모니터링, 원격제어 및 이상 예측진단에 활용되어 사용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통계분석처리부(31)는 상기 거래기록저장부(24)에 저장된 페이지뷰, 페이지당 체류시간, 자주찾는 페이지를 포함하는 페이지 방문에 대한 데이터를 통해 시간별 페이지뷰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포함하는 통계그래프를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그룹(10)으로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통계분석처리부(31)는 로그 분석, 이커머스(e-commerce) 분석을 통해 생성되는 그래프를 상기 사용자단말그룹(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통계분석처리부(31)는 판매자별 매출액 및 방문객수, 기간별, 판매상품별 통계그래프를 생성 및 상기 사용자단말그룹(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계분석처리부(31)는 선용품의 각 카테고리별 세부 검색조건을 설정을 통해 정확한 통계정보를 조회하는 기능과, 조회된 통계정보를 활용가능 하도록 각 데이터를 엑셀 등의 스프레드시트 데이터로 변환하여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단말그룹(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계분석처리부(31)는 상기 물품정보저장소(21), 홈페이지 회원 데이터를 물품 관심사별, 연령별로 분류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상기 인적정보저장소(22) 및 상기 재고정보저장소(23)에 저장된 각 데이터를 통계그래프로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그룹(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통계그래프가 선용품 관련 업체 및 지원기관을 포함하는 제조자단말기(13)로 전송되어 유용한 시장 통계정보를 리포트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계분석처리부(31)는 상기 사용자단말그룹(10)으로부터 선용품 견적의뢰에 대한 트렌드 분석, 견적 송장기반 선용품 가격 최적 분석, 선용품의 시간별 수요 분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요청되면, 상기 거래기록저장부(24)에 저장된 각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견적의뢰에 대한 트렌드 분석, 견적 송장기반 선용품 가격 최적 분석, 선용품의 시간별 수요 분석에 대한 각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여 상기 웹서버(30)를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그룹(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선용품용 오픈마켓 블록체인 통계분석 시스템(100)은 구매자 및 판매자 중 어느 하나가 탑승중인 선박에 대한 운항예정정보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되 상기 웹서버(30)에 상기 운항예정정보 데이터베이스가 통신되도록 통신 연결되는 입항정보저장소(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용품용 오픈마켓 블록체인 통계분석 시스템(100)은 구매자 및 판매자 간의 거래발생시 상기 운항예정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선박이 입항하는 입항지에 거래물품이 도착 및 인도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예정정보 데이터를 산출하며, 상기 구매자단말기(11) 및 상기 판매자단말기(12)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단말그룹(10)으로 상기 배송예정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운항배송관리부(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선용품이 사용되는 종합 물류적 관점의 프로세스를 살펴보면 해상에서 선박이 육지로 입고 후 신고를 거쳐 내륙운송이 수행되고 선용품 관련 최종 화물이 구매자에 해당하는 상기 구매자단말기(11)의 사용자에게 인도되는 프로세스를 거치게 되며, 오픈마켓을 통해 해당 선용품을 손쉽게 주문하고 이를 인도해가는 방식으로 업무를 추진하려면 오픈마켓에서 제반의 업무가 처리될 수 있도록 구현해야 한다.
또한, 상기 입항정보저장소(41)에는 구매자 및 판매자 중 어느 하나가 탑승중인 선박의 출항지, 출항시간, 입항지, 입항시간, 현재위치 등에 대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운항예정정보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운항배송관리부(42)는 구매자 및 판매자 간의 거래발생시 상기 운항예정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선박이 입항하는 입항지 및 상기 입항지에 거래물품이 도착 및 인도되는 입항시간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배송예정정보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배송예정정보 데이터는 상기 운항배송관리부(42)에서 생성되어 상기 구매자단말기(11) 및 상기 판매자단말기(12)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단말그룹(1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예컨대, 판매자인 선주가 어느 입항지를 향하여 운항중 오픈마켓을 통해 육상에 위치한 구매자가 선용품을 구매하여 거래가 발생하는 경우 계약이 완료된 선용품에 대하여 상기 입항정보저장소(41)에 저장된 운항예정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구매자에게 선용품이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예상시간 데이터를 포함하는 배송예정정보가 생성되어 상기 구매자단말기(11) 및 상기 판매자단말기(12)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단말그룹(10)으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선용품용 오픈마켓 블록체인 통계분석 시스템(100)은 상기 구매자단말기(11), 상기 웹서버(30) 및 상기 제조자단말기(13)를 포함하여 각 구성요소가 클라우드 플랫폼과 데이터 연계가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매자단말기(11)는 블록체인 데이터 기반의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한 상기 웹서버(30)에 대한 선용품 견적의뢰에 대한 트렌드(trend) 분석, 견적 송장기반 선용품 가격 최적 분석, 선용품별(계절별, 월별 등) 수요 분석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웹서버(30)는 시스템에 필요한 하드웨어와 서버 통신 게이트웨이, 모바일, 관리자 시스템 및 사용자 시스템 등이 연관되어 있는 시스템 인프라를 구현하기 위해, 오픈마켓 플레이스용 서버와 블록체인용 개인별 거래를 위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웹서버(30)는 오픈마켓 서비스를 위해 입점형/몰인몰 기능을 위해 셀러 SCM 및 다양한 운영정책 가능한 셀러 프로세스 구현하며, 물류재고통합관리 기능을 위해 반품, 교환, 맞교환, 환불 등 고객클레임에 유연한 프로세스를 구현하며, 매출 채널 연동 서비스를 위해 다른 국내 및 해외 오픈마켓, 종합몰 등과의 통합주문 관리상품.주문 Data 연동 Open API 활용을 하며, 역직구몰 통합관리 기능을 위해 국내몰과 글로벌몰(역직구몰)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관리하며, 글로벌 비니지스 지원 서비스를 위해 멀티언어, 멀티환율 등 글로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 구현을 위해 Legacy 관리 영역, 본사(Office) 관리 영역, PC & Mobile 관리 영역으로 구분하여 서비스를 통해 주문결제 및 정산, 셀러관리, 전자계약, 재고관리, 메일링/SMS관리 등 오픈마켓이 지향하는 기능과 함께 블록체인과의 연동, 지능형 추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웹서버(30)는 허가된 노드만 참여 가능하도록 프라이빗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웹서버(30)는 업무 사용을 위해 상기 사용자단말그룹(10)을 구성하는 상기 구매자단말기(11), 상기 판매자단말기(12), 상기 제조자단말기(13) 및 상기 시스템관리자단말기(14)을 운영하는 사용자의 신원 확인이 필요하므로, 신원관리를 통해 사용자의 신원인증을 통해 처리(참가자의 정체성과 특성 확인)가 필요하며, 거래 발생자의 익명화를 적용하고 동일한 사용자가 발행한 여러 트랜잭션들은 연관성이 없도록 하여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웹서버(30)는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상의 거래내역을 암호화함으로써, 일반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도록 하며, 액세스 제어를 통해서 스마트 계약을 실행할 수 있는 사람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웹서버(30)는 PKI 인증서와 전자서명을 통해서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개별 트랜잭션은 익명의 인증서를 통해 신원을 숨긴 채 인증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용품용 오픈마켓 블록체인 통계분석 시스템(100)은 블록체인 기술을 오픈마켓에 적용함으로써 개인정보 유출 방지를 위한 암호화 기능을 보유하여, 효과적인 개인정보의 보호가 가능하며, 회원의 아이디, 패스워드, 카드번호 등 개인정보를 관리강화하여 고객정보 누출을 방지하여 오픈마켓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기술 도입에 따라 위변조가 불가능한 투명성을 제공하여 정보신뢰도가 개선되며 사용자의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선용품용 오픈마켓에서 상기 사용자단말그룹(10)을 통한 거래 발생시 상기 거래기록저장부(24)에 저장되는 거래기록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블록체인화되며 상기 웹서버(30)가 블록체인을 위한 정보연계용 키 아이디를 관리하여 구매자 및 판매자가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므로 해킹을 차단하며 정보신뢰성 및 보안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계분석처리부(31)가 구매자별 선용품 거래기록에 대한 구매패턴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존에 구입한 선용품과 유사한 구매물품추천 데이터를 빅데이터 머신러닝을 기반으로 생성하되 구매물품추천 데이터가 판매자의 평판정보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정렬되므로 구매자에게 신뢰도 높은 구매물품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통계분석처리부(31)가 상기 거래기록저장부(24)에 저장된 거래완료된 선용품의 거래가격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적정가격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판매자단말기(12)로 전송하므로 판매자가 합리적인 판매가격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웹서버(30)가 상기 거래기록저장부(24)에 저장된 각 데이터에 대한 통계그래프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그룹(10)에 전송하는 상기 통계분석처리부(31)를 포함하여 빅데이터 머신러닝을 이용한 다차원의 통계분석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그룹(10)으로 전송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웹서버(30)가 상기 구매자단말기(11), 상기 판매자단말기(12), 상기 제조자단말기(13) 및 상기 시스템관리자단말기(14)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등록용 인증서를 생성하되 그와 독립적으로 거래내역만으로 발행자를 파악할 수 없도록 기등록된 상기 구매자단말기(11), 상기 판매자단말기(12), 상기 제조자단말기(13) 및 상기 시스템관리자단말기(14)로부터 거래 요청시 거래용 인증서를 개별 생성하여 등록용 인증서와 거래용 인증서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추론가능성을 최소화함으로써 선용품 거래시 보안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라이언트 노드(51)로부터 생성된 거래를 제출받아 거래를 확정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노드(51)로부터 제안되는 거래들을 순서화시켜 전달받되 상기 순서화 서비스 노드(52)로부터 블록 형태로 거래와 상태 갱신 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피어 노드(53)를 통해 거래 메시지들이 동일한 순서를 가지고 안전하게 전달되는 것을 보장하므로 안정적으로 운영되는 거래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거래발생시 구매자 또는 판매자가 탑승중인 선박에 대하여 상기 입항정보저장소(41)에 저장된 운항예정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운항배송관리부(42)가 선박이 입항하는 입항지에 거래물품이 도착 및 인도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예정정보 데이터를 산출 및 전송하므로 구매자 또는 판매자가 선용품의 인도전에 배송예정정보를 통해 일정을 미리 파악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더불어, 선용품의 인도 및 배송시 배송예정정보에 대한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선용품용 오픈마켓 블록체인 통계분석 시스템
10: 사용자단말그룹 11: 구매자단말기
12: 판매자단말기 13: 제조자단말기
14: 시스템관리자단말기 21: 물품정보저장소
22: 인적정보저장소 23: 재고정보저장소
24: 거래기록저장부 30: 웹서버
31: 통계분석처리부 41: 입항정보저장소
42: 운항배송관리부 51: 클라이언트 노드
52: 순서화 서비스 노드 53: 피어 노드
54: 멤버쉽 서비스 제공자

Claims (5)

  1. 선용품의 거래를 위해 구비되되 선용품 견적의뢰에 대한 트렌드 분석, 선용품의 시간별 수요 분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요청하는 구매자단말기 및 판매자단말기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그룹;
    선용품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는 물품정보저장소;
    구매자 및 판매자의 인적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는 인적정보저장소;
    각 판매자가 보유중인 선용품의 재고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는 재고정보저장소;
    구매자 및 판매가 간의 거래 발생시 거래물품, 거래시간 및 거래가격을 포함하는 거래기록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는 거래기록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단말그룹과 인터넷망을 통해 개별적으로 통신 연결되며, 상기 물품정보저장소, 상기 인적정보저장소, 상기 재고정보저장소 및 상기 거래기록저장부로 데이터베이스가 통신되도록 통신 연결되고, 상기 거래기록저장부에 저장되는 거래기록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블록체인화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며 블록체인을 위한 정보연계용 키 아이디를 관리하는 웹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거래기록저장부는 상기 사용자단말그룹이 상기 웹서버에 통신 연결시 생성되는 로그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상기 웹서버는 상기 거래기록저장부에 저장된 각 데이터에 대한 통계그래프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그룹에 전송하는 통계분석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계분석처리부는 상기 거래기록저장부에 저장된 구매자별 선용품 거래기록에 대한 구매패턴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존에 구입한 선용품과 유사한 분류코드로 분류된 선용품에 대한 구매물품추천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구매자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구매물품추천 데이터를 상기 인적정보저장소에 저장된 판매자의 평판정보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정렬하고,
    상기 거래기록저장부에는 거래완료된 선용품의 거래가격에 대한 데이터 및 구매자별 선용품 거래기록에 대한 구매패턴 데이터가 저장되며, 거래완료된 선용품의 거래가격에 대한 데이터 및 구매자별 선용품 거래기록에 대한 구매패턴 데이터는 상기 웹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통계분석처리부로 통신되고,
    상기 인적정보저장소에는 판매자의 평판정보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며, 판매자의 평판정보에 대한 데이터는 상기 웹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통계분석처리부로 통신되며,
    상기 통계분석처리부는 상기 거래기록저장부에 저장된 거래완료된 선용품의 거래가격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적정가격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판매자단말기로 전송하되,
    상기 거래기록저장부에는 거래완료된 선용품의 거래가격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고, 거래완료된 선용품의 거래가격에 대한 데이터는 상기 웹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통계분석처리부로 통신되며, 상기 통계분석처리부에서 생성되는 적정가격 데이터는 상기 거래기록저장부에 저장되되 상기 웹서버를 통해 상기 판매자단말기로 전송되고,
    상기 웹서버는 상기 구매자단말기 및 상기 판매자단말기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등록여부를 인증하는 등록용 인증서를 생성하며, 상기 웹서버는 상기 등록용 인증서와는 독립적으로 거래용 인증서를 생성하되, 상기 거래용 인증서는 기등록된 상기 구매자단말기 및 상기 판매자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거래의 요청시마다 상기 웹서버로부터 개별 생성되되,
    상기 웹서버는 상기 구매자단말기 및 상기 판매자단말기 중 어느 하나를 대신하여 거래를 생성하여 체인코드 실행을 호출하여 거래 보증을 요청하고 거래보증 응답을 수집하며, 거래 제안을 생성하는 클라이언트 노드와, 상기 클라이언트 노드에서 생성된 상기 거래 제안을 전달받는 순서화 서비스 노드와, 블록체인을 유지하도록 거래 정보를 저장하는 레저와 거래 실행 결과에 따른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상태저장소를 포함하되 상기 클라이언트 노드로부터 생성된 거래를 제출받아 거래를 확정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노드로부터 제안되는 거래들을 순서화시켜 전달받되 상기 순서화 서비스 노드로부터 블록 형태로 거래와 상태 갱신 정보를 수신하는 피어 노드를 포함하고,
    판매자가 탑승중인 선박에 대한 운항예정정보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되 상기 웹서버에 상기 운항예정정보 데이터베이스가 통신되도록 통신 연결되는 입항정보저장소와,
    구매자 및 판매자 간의 거래발생시 상기 운항예정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선박이 입항하는 입항지에 거래물품이 도착 및 인도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예정정보 데이터를 산출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그룹으로 상기 배송예정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운항배송관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입항정보저장소에는 판매자가 탑승중인 선박의 출항지, 출항시간, 입항지, 입항시간 및 현재위치가 저장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운항예정정보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용품용 오픈마켓 블록체인 통계분석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88559A 2020-07-17 2020-07-17 선용품용 오픈마켓 블록체인 통계분석 시스템 KR102230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559A KR102230452B1 (ko) 2020-07-17 2020-07-17 선용품용 오픈마켓 블록체인 통계분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559A KR102230452B1 (ko) 2020-07-17 2020-07-17 선용품용 오픈마켓 블록체인 통계분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452B1 true KR102230452B1 (ko) 2021-03-22

Family

ID=75222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559A KR102230452B1 (ko) 2020-07-17 2020-07-17 선용품용 오픈마켓 블록체인 통계분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45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40453A (zh) * 2021-04-21 2021-08-10 福建神笔马良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商品销售动态推进管理系统
CN113592488A (zh) * 2021-05-31 2021-11-02 贵阳学院 一种燃气自主交易区块链系统
KR102461018B1 (ko) * 2021-05-11 2022-11-01 김동주 정보 처리 방법, 서버 및 정보 제공 방법
CN113240453B (zh) * 2021-04-21 2024-05-28 福建神笔马良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商品销售动态推进管理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547B1 (ko) 2013-11-28 2014-05-20 주식회사 제이윈파트너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통계 분석시스템
KR20140122580A (ko) * 2013-04-10 2014-10-20 코레일 네트웍스주식회사 열차 승객을 위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83163A (ko) * 2019-08-29 2020-07-08 (주)에스유지 블럭체인 db 및 거래추천 알고리즘과 연동하는 오픈마켓 시스템의 웹서버 상에서의 블록체인 아키텍처 구성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2580A (ko) * 2013-04-10 2014-10-20 코레일 네트웍스주식회사 열차 승객을 위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96547B1 (ko) 2013-11-28 2014-05-20 주식회사 제이윈파트너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통계 분석시스템
KR20200083163A (ko) * 2019-08-29 2020-07-08 (주)에스유지 블럭체인 db 및 거래추천 알고리즘과 연동하는 오픈마켓 시스템의 웹서버 상에서의 블록체인 아키텍처 구성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40453A (zh) * 2021-04-21 2021-08-10 福建神笔马良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商品销售动态推进管理系统
CN113240453B (zh) * 2021-04-21 2024-05-28 福建神笔马良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商品销售动态推进管理系统
KR102461018B1 (ko) * 2021-05-11 2022-11-01 김동주 정보 처리 방법, 서버 및 정보 제공 방법
CN113592488A (zh) * 2021-05-31 2021-11-02 贵阳学院 一种燃气自主交易区块链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niiche A study of blockchain oracles
US10915891B1 (en) Autonomous devices
US10861039B2 (en) Bid platform
US202103905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uilding blockchains for verifying assets for smart contracts
US20190392511A1 (en) Bid matching for blockchain-based goods/assets systems and methods
US20200058055A1 (en) Blockchain for the common good: digital currency for citizen philanthropy and social entrepreneurship
Guo et al. A blockchain and IoT-based lightweight framework for enabling information transparency in supply chain finance
US20230169479A1 (en) System for blockchain-based share substantial trade for owner unspecified common asset and method therefor
Ha et al. DeM-CoD: novel access-control-based cash on delivery mechanism for decentralized marketplace
US20010027446A1 (en) Electronic activity and business system and method
An et al. Truthful crowdsensed data trading based on reverse auction and blockchain
Pasdar et al. Blockchain oracle design patterns
KR20200083163A (ko) 블럭체인 db 및 거래추천 알고리즘과 연동하는 오픈마켓 시스템의 웹서버 상에서의 블록체인 아키텍처 구성 방법
CN114493430B (zh) 一种基于大数据的物流配送系统及方法
KR102230452B1 (ko) 선용품용 오픈마켓 블록체인 통계분석 시스템
Jain et al. Blockchain for the common good: A digital currency for citizen philanthropy and social entrepreneurship
Chen et al. Applying blockchain technology to reshape the service models of supply chain finance for SMEs in China
JP3622789B2 (ja) 汎用的組織内個人認証システム
KR102274935B1 (ko) 웹로그 분석을 통한 거래추천을 제공하는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
KR102479166B1 (ko) 중화권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
Fernandez et al. Wibson protocol for secure data exchange and batch payments
Nemade et al. Blockchain-based crowdfunding for cyber-product insurance
US20230177507A1 (en) User activity detection for locking cryptocurrency conversions
KR102558935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
Katten Issuing Green Bonds on the Algorand Blockch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