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4006B1 - Nft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Nft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4006B1
KR102544006B1 KR1020220164683A KR20220164683A KR102544006B1 KR 102544006 B1 KR102544006 B1 KR 102544006B1 KR 1020220164683 A KR1020220164683 A KR 1020220164683A KR 20220164683 A KR20220164683 A KR 20220164683A KR 102544006 B1 KR102544006 B1 KR 102544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nft
asset
information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4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섭
김현석
김관래
박기석
최은정
강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터프라이즈블록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터프라이즈블록체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터프라이즈블록체인
Priority to KR1020220164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0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8File system types
    • G06F16/182Distributed fil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서버 장치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서버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시간 NFT 데이터의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생성 요청에 대응하는 자산 NFT 데이터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자산 NFT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자산 NFT 데이터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자산 NFT 데이터가 제1 타입(type)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자산 NFT 데이터가 상기 제1 타입이 아니라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생성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제1 응답을 송신하는 동작, 상기 자산 NFT 데이터가 상기 제1 타입이라고 결정하는 경우, NFT 데이터의 인증(authentication)을 위한 서버에 상기 자산 NFT 데이터의 인증 요청을 송신하는 동작, 상기 인증을 위한 서버로부터 상기 자산 NFT 데이터에 대한 인증 확인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인증을 위한 서버로부터 상기 자산 NFT 데이터에 대한 인증 확인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시간 NFT 데이터 생성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상기 제1 응답을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NFT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NON-FUNGIBLE TOKEN DATA AND METHOD THEREOF}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NFT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긱 노동(gig work)는 기업들이 필요에 따라 단기 계약직이나 임시직으로 인력을 충원하고 그 대가를 지불하는 노동의 형태를 의미한다. 긱 노동은 온라인 플랫폼에 기반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배달(delivery), 대리운전, 퀵 서비스뿐 아니라, 음식점 보조 및 서빙, 간병 및 호스피스, 청소, 경비 용역 등 다양한 업무 분야로 확장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노동자들에게 공정하게 업무를 배분하고, 수행한 업무에 대하여 객관적인 평가 및 합리적인 보상을 제공하기 위하여 블록체인 기술이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하여 운용되는 암호 화폐를 통하여 수수료를 최소화하며 적절한 보수 지급이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어, 업무 평가와 관련된 데이터를 블록체인을 통해 기록하여, 조작할 수 없는 데이터를 생성하여 노동자들에 대한 신뢰도 있는 평가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해킹의 우려를 최소화하며 노동자들의 신원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소울 바운드 토큰(soul bound token, SBT)이란 양도 불가능한 NFT(non-fungible token)를 의미할 수 있다. 일반적인 토큰이나 NFT와는 다르게 SBT가 개인의 지갑에 전송되는 경우, SBT는 해당 지갑에 귀속되어 판매하거나 양도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이러한 SBT는 개인의 자격 증명 등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블록 체인 기술에 해당한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SBT와 같이 양도 불가능한 NFT에 기반하여 판매할 수 있는 NFT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개인의 자격 증명에 대한 신뢰도 있는 데이터의 생성을 위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서버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시간 NFT 데이터의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생성 요청에 대응하는 자산 NFT 데이터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자산 NFT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자산 NFT 데이터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자산 NFT 데이터가 제1 타입(type)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자산 NFT 데이터가 상기 제1 타입이 아니라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생성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제1 응답을 송신하는 동작, 상기 자산 NFT 데이터가 상기 제1 타입이라고 결정하는 경우, NFT 데이터의 인증(authentication)을 위한 서버에 상기 자산 NFT 데이터의 인증 요청을 송신하는 동작, 상기 인증을 위한 서버로부터 상기 자산 NFT 데이터에 대한 인증 확인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인증을 위한 서버로부터 상기 자산 NFT 데이터에 대한 인증 확인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시간 NFT 데이터 생성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상기 제1 응답을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서버 장치는, 통신부, 메모리,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메모리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시간 NFT 데이터의 생성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생성 요청에 대응하는 자산 NFT 데이터를 식별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자산 NFT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자산 NFT 데이터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자산 NFT 데이터가 제1 타입(type)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자산 NFT 데이터가 상기 제1 타입이 아니라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생성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제1 응답을 송신하고, 상기 자산 NFT 데이터가 상기 제1 타입이라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NFT 데이터의 인증(authentication)을 위한 서버에 상기 자산 NFT 데이터의 인증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인증을 위한 서버로부터 상기 자산 NFT 데이터에 대한 인증 확인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및 상기 인증을 위한 서버로부터 상기 자산 NFT 데이터에 대한 인증 확인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시간 NFT 데이터 생성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상기 제1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SBT(soul bound token)와 같이 양도 불가능한 NFT(non-fungible token)에 기반하여 자산 NFT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은 개인의 자격 증명과 관련하여 인증 과정을 거쳐 자산 NFT 데이터를 생성하여, 신뢰도 있는 데이터 생성을 가능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을 실시함에 따른 의도하지 아니한 효과들 역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서버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b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CV(curriculum vitae) 생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CV 생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CV 생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설명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였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a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서버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트랜잭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a을 참조하면, 트랜잭션 시스템(100)은 전자 장치(110), 서버(130)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10)는 통신회로(112), 보안 메모리(114), 프로세서(116) 및 디스플레이(118)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회로(112)는 전자 장치(110)와 외부 전자 장치(예: 서버(130))간의 통신 채널을 수립하고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회로(112)는 트랜잭션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110)의 데이터를 서버(13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10)는 비대칭키 암호 방식(예: 공개키 암호 방식 public-key cryptography)으로 키 쌍(key pair)을 생성할 수 있다. 키 쌍은 개인 키(private key) 및 공개 키(public key)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안 메모리(114)는 생성된 개인 키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안 메모리(114)는 보안 환경(security environment)을 제공하는 하드웨어 형태의 메모리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 메모리 (114)는 전자 장치(110) 내에 내장된 형태이거나, 전자 장치(110)에 별도로 삽입 가능한 장치(예: 마이크로 SD 카드)의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 메모리(114)는 일반 메모리와 하드웨어적으로 분리되는 메모리를 의미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보안 메모리(114)는 보안 환경을 제공하도록 암호화된 소프트웨어 형태의 메모리를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보안 메모리(114)는 일부 구성(예: TEE)을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소프트웨어의 형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보안 메모리(114)는 일반 메모리와 동일한 메모리 상에서 구현되지만 소프트웨어적(예: 메모리 주소)으로 분리되는 보안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18)는 전자 장치(110)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8)는 전자 장치(110)의 트랜잭션 생성 정보, 잔액 정보, 트랜잭션 전송 지연 정보 및 트랜잭션 전송 완료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외부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130)는 통신부(132), 메모리(134) 및 프로세서(13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32)는 서버(130)와 외부 장치(예: 전자 장치(110), 블록체인 네트워크(150))간의 통신 채널을 수립하여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32)는 전자 장치(1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5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송된 데이터는 블록체인 노드(152)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36)는 통신부(132)를 통해 전자 장치(1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36)는 전자 장치(1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구분 플래그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36)는 데이터에 포함된 구분 플래그에 기반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50)에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데이터에 특정 구분 플래그가 포함된 경우(또는, 포함된 구분 플래그의 값이 제1 구분 값인 경우)에, 프로세서(136)는 수신된 데이터를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수신된 데이터에 특정 구분 플래그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또는, 포함된 구분 플래그의 값이 상기 제1 구분 값과 구별되는 제2 구분 값인 경우)에, 프로세서(136)는 수신된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5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분 플래그는 데이터 패킷에 포함되는 구분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일부 비트에 대하여 제1 구분 값 “1”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프로세서(136)는 수신된 데이터를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일부 비트에 대하여 제2 구분 값 “0”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프로세서(136)는 수신된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5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a은 전자 장치(110)에서 생성한 데이터가 서버(130)를 거쳐 블록체인 네트워크(150)로 전송되는 트랜잭션 시스템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10)에서 생성된 데이터의 일부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50)로 직접 전송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10)는 특정 구분 플래그를 포함하지 않는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50)에 직접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10)는 특정 구분 플래그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서버(130)에 전송할 수 있다. 특정 구분 플래그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한 서버(13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50)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서버(13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50)에서 이상 트랜잭션이 검출되면, 특정 구분 플래그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50)에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10)는 특정 구분 플래그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메모리(예: 보안 메모리(114))에 저장할 수 있다. 서버(13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50)에서 이상 트랜잭션이 검출되면, 전자 장치(110)에 특정 구분 플래그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50)로 전송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30)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장치들의 수행 업무(예: TC(task contract))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고 제공하기 위한 서버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는 이력서 생성 및 관리 서비스를 사용하는 고용주 및 피고용주(이하, “서비스 사용자”로 지칭)가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사용하는 전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는 서비스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예: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랩탑(lap top), PC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30)는 프로세서(136), 메모리(134) 및 통신 회로(1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구성은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설명에 관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시된 구성 외에 서버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성이 추가될 수 있으며, 도시된 구성들이 생략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134)는 서버(130)가 사용하는 저장 매체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121) 또는 설정 정보 등과 같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프로그램 및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134)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 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회로(132)는 서버(130)와 외부 전자 장치(예: 클라이언트 장치(미도시), IAM 서버(미도시), 과금 서버(미도시), 클라우드 서버(미도시), IPFS(미도시))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회로(132)는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TC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통신 회로(132)는 클라우드 서버(미도시) 및 IPFS(미도시)(예: 블록체인 네트워크(150))에게 TC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회로(132)는 무선 통신부(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부 중 해당하는 통신부는 네트워크(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예: 클라이언트 장치, IAM 서버(130), 과금 서버(170), 클라우드 서버(140), IPFS(150))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회로(132)는 4G 네트워크 이후의 5G 네트워크 및 차세대 통신 기술, 예를 들어, NR 접속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할 수 있다. NR 접속 기술은 고용량 데이터의 고속 전송(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단말 전력 최소화와 다수 단말의 접속(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또는 고신뢰도와 저지연(URLLC(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회로(132)는 예를 들어, 높은 데이터 전송률 달성을 위해,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회로(132)는 고주파 대역에서의 성능 확보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 예를 들어,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전차원 다중입출력(FD-MIMO: full dimensional 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또는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기술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회로(132)는 서버(130), 외부 전자 장치(예: 클라이언트 장치(미도시), IAM 서버(미도시), 과금 서버(미도시), 클라우드 서버(미도시), IPFS(미도시)) 또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규정되는 다양한 요구사항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36)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36)에 연결된 서버(13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36)는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다른 구성요소(예: 통신 회로(132))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고,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36)는 메인 프로세서(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예: 그래픽 처리 장치, 신경망 처리 장치(NPU: neural processing unit),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36)는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장치의 사용자가 수행한 태스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TC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36)는 이하 도면을 통해 설명되는 서버(13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CV(Curriculum vitae) 생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CV 생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CV 생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되는 서버 장치는 도 1의 서버(130)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는 클라이언트 장치(태스크를 수행하는 노동자가 사용하는 제1 장치, 태스크를 노동자에게 제공하는 고용주가 사용하는 제2 장치) 및 블록체인 기반 클라우드 서버(미도시) 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미도시) 상의 적어도 하나의 노드(미도시)와 피고용주가 수행한 업무에 관한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고용주는 피고용주에게 업무를 지시하고, 이에 따른 보상을 제공하는 자를 의미할 수 있으며, “회사(company)”, “고용인” 또는 이에 상응하는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피고용주는 고용주로부터 지시받은 업무를 수행하고, 이에 따른 보상을 제공받는 자를 의미할 수 있으며, “노동자”, “피고용인”, “긱(gig)”또는 이에 상응하는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CV 관리 서비스를 사용하는 상기 고용주 및 상기 피고용주를 “서비스 사용자”로 지칭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제1 장치는 피고용주가 이력서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사용하는 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제2 장치는 고용주가 이력서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사용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서버 장치는 TC 데이터(예: 210, 310, 410)에 기반하여 TC(220, 320, 420)를 생성하고, 생성된 TC에 기반하여 CV(예: 230, 330, 430)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 장치는 제1 장치 및 제2 장치로부터 피고용주가 고용주에게 제공하는 업무에 관한 정보(task contract, TC)(예: 제1 장치의 사용자(노동자)가 수행한 업무에 관한 정보 및 제2 장치의 사용자(고용주)가 제공한 업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서버 장치와 제1 장치 및 제2 장치는 특정 인터페이스(예: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등)를 통해 TC를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 장치는 복수의 블록체인(blockchain) 레이어들 을 통하여 CV(curriculum vitae)를 생성할 수 있다. CV는 노동자가 수행한 적어도 하나의 업무에 관한 정보, 피고용주가 제공한 적어도 하나의 업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 장치는 제1 장치 및 제2 장치로부터 수신한 TC에 기반하여 TC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TC 데이터는 수행 업무 별로 생성될 수 있다. TC 데이터는 각각 고유의 식별 정보(TC ID)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TC 데이터는 태스크(task) NFT 데이터(NFT(non-fungible token) task), 자산(asset) NFT 데이터(NFT-asset), 시간(time) NFT 데이터(NFT-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C 데이터는 하기 표 1과 같은 형태로 분류될 수 있다.
카테고리 서브 카테고리 예시
TC 데이터 NFT Task
(태스크 NFT 데이터)
Task 사용자가 수행한 Task 정보
고용주가 생성한 Task 정보
NFT Assets
(자산 NFT 데이터)
판매용 디지털 컨텐츠
실물 굿즈(goods)
멤버쉽
비판매용 자격증
레시피
포뮬라(formula)(예: 화장품을 만드는 방법)
NFT Time
(시간 NFT 데이터)
사용권 레시피/포뮬라 등의 사용권
수강권 요리 강좌 수강권
일 실시예에서, 태스크 NFT 데이터는 피고용주가 수행한 업무(task)에 관한 정보 및 고용주가 생성한 업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C 데이터는 피고용주가 수행한 업무의 종류, 날짜, 시간, 장소, 업무 내용, 피고용주에 대한 평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태스크 NFT 데이터를 결합하여 태스크 NFT 데이터 CV를 생성하는 예를 도시하고, 도 3은 자산 NFT 데이터를 결합하여 자산 NFT 데이터 CV를 생성하는 예를 도시하며, 도 4는 시간 NFT 데이터를 결합하여 시간 NFT 데이터 CV를 생성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는 복수의 TC들(예: TC(210-1), TC(210-2), TC(210-3), …TC(210-l))에 기반하여 결합 태스크 NFT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복수의 TC들은 태스크 NFT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태스크 NFT 데이터는 식별 번호(ID), 피고용주 키 값, 업무의 카테고리(category), 서브 카테고리(sub category), 업무 수행 일자, 업무 수행 시간, 업무 수행 위치, 수행한 업무에 대한 고용주의 평가, 수행한 업무에 대하여 지급된 금액(income), 첨부 파일(attach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태스크 NFT 데이터는 테이블의 형태로 생성되어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C 데이터는 하기 표 2과 같은 형태로 생성되어 관리될 수 있다.
Category Data
Task ID 001
Employer ABC Food
State Matched
User Address DFKDUYF08A90FD
Category Restaurant
Sub Category Serving
Date 2022-06-03
Time 3 hours
Location Gangnam-gu, Seoul
Feedback Excellent
Income 60,000
상기 표 2에 포함되는 내용은 일 예시일 뿐이며, TC 데이터는 상기 표 2에 포함되는 내용 뿐 아니라 피고용주가 수행한 업무에 관한 다른 내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표 2에 포함되는 내용 중 일부가 생략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태스크 NFT 데이터는 노동자가 수행한 업무의 식별 정보(예: Task ID)를 포함할 수 있다. 노동자가 수행한 업무의 식별 정보는 노동자에 대하여 업무 별로 생성되는 식별자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태스크 NFT 데이터는 노동자가 수행하는 업무를 제공 받는 객체에 관한 정보(예: Employe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동자가 수행하는 업무를 제공 받는 객체는 고용주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동자가 수행하는 업무를 제공 받는 객체는 노동자, 고용주가 아닌 제3 자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태스크 NFT 데이터는 태스크 NFT 데이터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스크 NFT 데이터의 상태는 고용주가 태스크를 생성하였으나, 아직 태스크를 수행할 노동자가 매칭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제1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스크 NFT 데이터의 상태는 고용주가 생성한 태스크를 수행할 노동자가 결정되었으나, 아직 태스크를 수행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제2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스크 NFT 데이터의 상태는 노동자가 태스크를 수행하기 시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제3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스크 NFT 데이터의 상태는 노동자가 태스크의 수행을 완료한 상태를 나타내는 제4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스크 NFT 데이터의 상태는 노동자가 태스크의 수행을 완료하고, 고용주가 이에 대한 보상의 지급을 완료한 상태를 나타내는 제5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상태의 태스크 NFT 데이터는 TR(task receipt) 데이터로도 지칭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는 복수의 태스크 NFT 데이터들(예: TC(210-1), TC(210-2), TC(210-3), …TC(TR-l))를 결합하여, 결합 태스크 NFT 데이터(220)(TC aggregation)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태스크 NFT 데이터는 사용자가 수행한 업무의 카테고리는 “레스토랑(restaurant)”“청소(cleaning)”이고, 서브 카테고리는 “서빙(serving)”“배달(delivery)”“집 청소(home clean)”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결합 태스크 NFT 데이터는 사용자가 “강남구(Gangnam-Gu)”“양천구(Yangcheon-Gu)”에서 업무를 수행하였음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결합 데이터는 업무 수행 시간(예: 배달(delivery)은 140 시간(hours), 서빙(serving)은 200 시간(hours))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결합 태스크 NFT 데이터는 사용자가 수행한 업무에 대한 피드백(feedback) 정보(예: 배달(delivery)는 “매우 훌륭(excellent)”서빙(serving)은 “훌륭”)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TC들(210) 각각은 카테고리, 서브 카테고리, 업무 수행 장소, 업무 수행 시간, 피드백 정보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CV(230)는 사용자의 인적 사항에 관한 정보(232), 수행한 업무의 인증(certification)과 관련한 정보(234), 사용자의 학력과 관련한 정보(236), 수행한 업무 경험에 관한 정보(238)를 포함할 수 있다. 수행한 업무 경험에 관한 정보(238)은 결합 태스크 NFT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는 복수의 TC들 중 적어도 하나의 TC(310)(예: TC(310-1), TC(310-2), TC(310-3), TC(310-m))에 기반하여 결합 자산 NFT 데이터(NFT Tasks aggregation)를 생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TC(310)는 복수의 TC들(태스크 NFT 데이터) 중 자산 NFT 데이터에 해당하는 TC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산 NFT 데이터(NFT asset)는 노동자 또는 고용주가 가진 자산에 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산 NFT 데이터는 판매가 가능한 판매용 자산 및 판매가 불가능한 비판매용 자산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산 NFT 데이터 중, 판매용 자산은 디지털 컨텐츠(예: 이미지, 동영상 등), 굿즈(goods), 멤버쉽(membershi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자산 NFT 데이터 중, 비판매용 자산은 자격증, 레시피, 화장품을 만드는 공식(formul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산 NFT 데이터는 테이블의 형태로 생성되어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산 NFT 데이터는 하기 표 3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Category Data(example)
Task ID 002
State Authorized
User Address DSLFJI988DSVJSDKF
Category Digital Contents
Sub Category Movie Clip
CID QmbWqx……qsKc92xm
일 실시예에서, 자산 NFT 데이터는 태스크의 식별 정보(예: Task ID)를 포함할 수 있다.일 실시예에서, 자산 NFT 데이터는 자산 NFT 데이터의 상태(예: state)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용 자산 NFT 데이터의 상태는 자산 NFT 데이터가 생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생성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판매용 자산 NFT 데이터의 상태는 자산 NFT 데이터가 유효한 자산으로 인정되는지에 관한 인증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인증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판매용 자산 NFT 데이터의 상태는 자산 NFT 데이터에 대한 인증은 완료되지 않았으나, 아직 판매되지 않아 매칭을 대기 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매칭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판매용 자산 NFT 데이터의 상태는 자산 NFT 데이터에 대하여 판매가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판매 완료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판매용 자산 NFT 데이터의 상태는 자산 NFT 데이터가 생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생성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비판매용 자산 NFT 데이터의 상태는 자산 NFT 데이터가 유효한 자산 NFT 데이터로 인정되는지에 관한 인증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인증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비판매용 자산 NFT 데이터의 상태는 자산 NFT 데이터에 대한 인증 및 등록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등록 완료”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산 NFT 데이터는 노동자 또는 고용주의 식별 정보(예: user address)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산 NFT 데이터는 자산의 종류에 관한 정보(예: Category: Digital contents, Sub-Category: Movie Clip)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산 NFT 데이터는 자산이 저장된 위치에 관한 정보(예: CID(content I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는 복수의 태스크 NFT 데이터들(예: TC(310-1), TC(310-2), TC(310-3), …TC(TR-m))를 결합하여, 결합 자산 NFT 데이터(320)(NFT Assets aggregation)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태스크 NFT 데이터는 사용자가 수행한 업무의 카테고리는 “디지털 컨텐츠(Digital Contents)”이고, 서브 카테고리는 “이미지(image)”“영화 클립(movie clip)”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결합 자산 NFT 데이터는 자산 NFT 데이터의 수(# of assets), 자산 NFT 데이터 판매량(# of sold assets), 총 자산(total assets), 시장 평가 금액에 관한 정보(market estimated price), 총 수입(total income), 월 평균 수입(income avg per month)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TC들(410)(예: TC(410-1), TC(410-2), TC(410-3), …TC(410-l))에 기반하여 시간 NFT 데이터(420)를 생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TC들(410)은 적어도 하나의 TC들(310) 중에서 비판매용 자산에 해당하는 TC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간 NFT 데이터는 판매가 불가능한 비판매용 자산 NFT 데이터가 수강권, 사용권 등의 형태로 판매가 가능한 형태로 변환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간 NFT 데이터는 테이블의 형태로 생성되어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NFT 데이터는 하기 표 4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Category Data (example)
Task ID 003
State Completed
User Address VCJBKJSO0890DFJL12
Category Voucher
Sub Category Recipe
Expired date (or duration) 2022-10-08
상기 표 4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서, 시간 NFT 데이터는 시간 NFT 데이터의 식별 정보(예: Task ID)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간 NFT 데이터는 시간 NFT 데이터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NFT 데이터의 상태는 시간 NFT 데이터가 생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생성 상태(created)”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NFT 데이터의 상태는 시간 NFT 데이터가 유효한지 여부에 관한 인증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인증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NFT 데이터의 상태는 시간 NFT 데이터의 상태는 시간 NFT 데이터의 구매자가 매칭되기를 대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매칭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NFT 데이터의 상태는 시간 NFT 데이터에 대한 구매자가 매칭된 상태를 나타내는 “판매 완료(rented)”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NFT 데이터의 상태는 판매 완료 이후에, 시간 NFT 데이터의 사용이 완료된 상태(예: 사용권 사용 완료)를 나타내는 “사용 완료 상태(expired)”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NFT 데이터의 상태는 판매 완료 이후, 시간 NFT 데이터의 유효 기간이 만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시간 만료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 완료” 또는 “시간 만료”된 상태의 시간 NFT 데이터는 다시 Owner(예: 노동자 또는 고용주)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 상태에서 발행된 시간 NFT 데이터에 문제가 있거나 오류가 있는 경우,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간 NFT 데이터는 노동자 또는 고용주의 식별 정보(예: user address)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산 NFT 데이터는 자산의 종류에 관한 정보(예: Category: Voucher, Sub-Category: Recipe)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간 NFT 데이터는 시간 NFT 데이터의 유효 기간에 대한 정보(예: Expiration date)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는 복수의 시간 NFT 데이터들(예: TC(410-1), TC(410-2), TC(410-3), …TC(410-n))를 결합하여, 결합 시간 NFT 데이터(420)(NFT Time Aggregation)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시간 NFT 데이터의 카테고리는 “Voucher”이고, 서브 카테고리는 “Recipe”“Class” 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결합 시간 NFT 데이터는 자산 NFT 데이터의 수(# of assets), 총 수입(total income), 월 평균 수입(income avg per month), 피드백 정보(예: Class feedback: Excellent”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는 Aggregator를 통하여 결합한 결합 TC 데이터(예: 결합 태스크 NFT 데이터, 결합 자산 NFT 데이터, 결합 시간 NFT 데이터)에 기반하여 CV(230, 330, 430)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 장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하여 CV를 제1 장치 및 제2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 장치는 노동자의 프로필에 관한 정보(예: 인적 사항에 관한 정보, 자격증에 관한 정보, 학력 정보 등)를 제1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 장치는 고용주의 프로필에 관한 정보(예: 인적 사항에 관한 정보, 운영 업무에 관한 정보, 고용주가 운영하는 회사에 관한 정보 등)를 제2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서버 장치는 제1 장치 및 제2 장치로부터 수신한 노동자 및 고용주의 프로필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클라우드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는 노동자 및 고용주의 프로필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도 5의 서버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의 서버 장치에 상응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510에서, 서버 장치는 전자 장치로부터 시간 NFT 데이터의 생성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간 NFT 데이터의 생성 요청은 전자 장치의 사용자가 가진 자산 NFT 데이터 중에서 비판매용 자산 NFT 데이터에 기반하여 시간 NFT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요청을 의미할 수 있다. 시간 NFT 데이터의 생성 요청은 적어도 하나의 자산 NFT 데이터에 대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요청하는 시간 NFT 데이터는 사용자가 가진 특정한 자산 NFT 데이터(예: 제조 공식(formula))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간 NFT 데이터의 생성 요청은 시간 NFT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 되는 자산 NFT 데이터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예: 자산 NFT 데이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자산 NFT 데이터에 기반하여 시간 NFT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나의 자산 NFT 데이터에 기반하여 하나의 시간 NFT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고, 복수의 자산 NFT 데이터를 조합하여 하나의 NFT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520에서, 서버 장치는 시간 NFT 데이터의 생성 요청에 대응하는 자산 NFT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 장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되는 전자 장치에 대한 TC 데이터 중 시간 NFT 데이터 생성 요청에 상응하는 자산 NFT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NFT 데이터 생성 요청에 포함되는 자산 NFT 데이터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가 특정한 레시피(recipe)에 관한 것일 경우, 서버 장치는 당해 레시피에 관한 자산 NFT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 장치가 식별하는 자산 NFT 데이터는 표 3에 도시되는 테이블에 포함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530에서, 서버 장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자산 NFT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 장치는 동작 520에서 식별된 자산 NFT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540에서, 서버 장치는 자산 NFT 데이터가 제1 타입(type)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산 NFT 데이터는 제1 타입 또는 제2 타입 중 어느 하나의 타입일 수 있다. 제1 타입은 시간 NFT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타입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매가 불가능한 자산 NFT 데이터(예: 자격증)를 의미할 수 있고, 제2 타입은 시간 NFT 데이터를 생성할 수 없는 타입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매가 가능한 자산 NFT 데이터(예: 영상, 이미지 등)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 장치는 자산 NFT 데이터에 관한 정보(예: 표 3)에 기반하여 자산 NFT 데이터가 제1 타입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 장치는 자산 NFT 데이터에 포함되는 카테고리 또는 서브 카테고리 정보에 기반하여 자산 NFT 데이터가 판매가 불가능한 자산 NFT 데이터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테고리가 “디지털 컨텐츠(digital contents)”이고 서브 카테고리가 “영화 클립(movie clip)”인 경우, 서버 장치는 자산 NFT 데이터가 제2 타입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테고리가 “바우처(voucher)”이고 서브 카테고리가 “레시피(recipe)”인 경우, 서버 장치는 자산 NFT 데이터가 제1 타입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 장치는 자산 NFT 데이터가 SBT(soul bound token)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장치는 자산 NFT 데이터가 타인에게 양도할 수 없는 비판매용 자산 NFT 데이터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장치는 자산 NFT 데이터의 카테고리 또는 서브 카테고리가 자격증, 졸업증, 특허권, 특정 물질(예: 향수)의 제조 방법, 레시피(recipe) 등인 경우, 자산 NFT 데이터가 비판매용 자산 NFT 데이터라고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 장치는 자산 NFT 데이터로부터 바우처가 생성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바우처는 수강권에 상응하는 제1 바우처, 사용권에 상응하는 제2 바우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사용자의 자격증, 졸업증, 레시피, 포뮬러(formula) 등을 이용하여 수강권에 상응하는 제1 바우처를 생성하려는 경우, 바우처가 생성될 수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장치는 전자 장치의 사용자의 자격증, 졸업증 이용하여 사용권에 상응하는 제2 바우처를 생성하려는 경우, 바우처가 생성될 수 없다고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장치는 전자 장치의 사용자의 레시피나 포뮬러를 이용하여 사용권에 상응하는 제2 바우처를 생성하려는 경우, 바우처가 생성될 수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 장치는 자산 NFT 데이터가 유효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 장치는 자격증이나 특허 등과 같이 유효 기간이 있는 자산 NFT 데이터의 경우, 유효 기간을 확인한 후 시간 NFT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550에서, 서버 장치는 자산 NFT 데이터가 제1 타입이라고 결정하는 경우, NFT 데이터의 인증을 위한 서버(미도시)로 자산 NFT 데이터의 인증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 장치는 자산 NFT 데이터에 관한 정보에 상기 자산 NFT 데이터가 이미 인증되었음을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NFT 데이터의 인증을 위한 서버(미도시)로 자산 NFT 데이터의 인증 요청을 송신하지 않고 동작 560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560에서, 서버 장치는 인증을 위한 서버로부터 자산 NFT 데이터에 대한 인증 확인을 수신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자산 NFT 데이터에 대한 인증 확인은 사용자의 자산 NFT 데이터가 인증 되었음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570에서, 서버 장치가 인증을 위한 서버로부터 자산 NFT 데이터에 대한 인증 확인을 수신하는 경우, 서버 장치는 전자 장치로부터 시간 NFT 데이터의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간 NFT 데이터의 설정 정보는 자산 NFT 데이터에 기반하여 생성할 시간 NFT 데이터의 가격, 유효 기간, 카테고리(예: 제1 바우처, 제2 바우처), 수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간 NFT 데이터의 가격은 생성된 시간 NFT 데이터를 이용하기 위하여 지불해야하는 비용에 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시간 NFT 데이터의 유효 기간은 생성된 시간 NFT 데이터가 유효한 기간(예: 사용 가능 기간, 만료 기간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간 NFT 데이터의 카테고리는 생성된 시간 NFT 데이터가 속하는 카테고리에 관한 정보(예: 사용권, 수강권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간 NFT 데이터의 수량에 관한 정보는 생성된 시간 NFT 데이터의 량(예: 하나의 시간 NFT 데이터만 생성할 수도 있고, 복수의 시간 NFT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간 NFT 데이터의 유효 기간에 관한 정보는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가격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조건은 아래 표 5와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가격 기간
100,000 1 week + 1 day
200,000 2 week + 3 day
300,000 3 week + 5 day
상기 표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신한 기간에 따라 가격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표 5와 관련하여, 시간 NFT 데이터의 유효 기간을 수학식으로 나타내면 하기 수학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
Period = (Price / 100,000) * 7 + (Price / 100,000) * 2 -1
상기 수학식 1에서, period는 시간 NFT 데이터의 유효 기간을 나타낼 수 있고, price는 시간 NFT 데이터의 가격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580에서, 서버 장치는 동작 540에서 자산 NFT 데이터가 제1 타입이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 시간 NFT 데이터 생성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제1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580에서, 서버 장치는 동작 560에서 인증을 위한 서버로부터 자산 NFT 데이터에 대한 인증 확인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시간 NFT 데이터 생성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제1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시간 NFT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 장치는 생성된 시간 NFT 데이터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 장치는 생성된 시간 NFT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상기 자산 NFT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산 NFT 데이터에 관하여 생성된 시간 NFT 데이터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업데이트 된 자산 NFT 데이터에 관한 정보는 시간 NFT 데이터의 상태에 관한 정보, 시간 NFT 데이터의 설정 정보, 시간 NFT 데이터의 구매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서버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시간 NFT 데이터의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생성 요청에 대응하는 자산 NFT 데이터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자산 NFT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자산 NFT 데이터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자산 NFT 데이터가 제1 타입(type)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자산 NFT 데이터가 상기 제1 타입이 아니라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생성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제1 응답을 송신하는 동작, 상기 자산 NFT 데이터가 상기 제1 타입이라고 결정하는 경우, NFT 데이터의 인증(authentication)을 위한 서버에 상기 자산 NFT 데이터의 인증 요청을 송신하는 동작, 상기 인증을 위한 서버로부터 상기 자산 NFT 데이터에 대한 인증 확인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인증을 위한 서버로부터 상기 자산 NFT 데이터에 대한 인증 확인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시간 NFT 데이터 생성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상기 제1 응답을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산 NFT 데이터에 관한 정보는 상기 자산 NFT 데이터의 카테고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자산 NFT 데이터의 카테고리는 자격증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내는 제1 카테고리, 졸업증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내는 제2 카테고리, 레시피(recipe)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내는 제3 카테고리, 제조 방법(formula)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내는 제4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자산 NFT 데이터의 카테고리가 상기 제3 카테고리 또는 상기 제4 카테고리인 경우, 상기 자산 NFT 데이터를 상기 제1 타입으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서버 장치의 메모리로부터 상기 자산 NFT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산 NFT 데이터에 관한 정보는 상기 자산 NFT 데이터의 인증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자산 NFT 데이터의 인증 여부에 관한 정보가 상기 자산 NFT 데이터가 인증되었음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자산 NFT 데이터가 상기 제1 타입이라고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설정 정보는,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가격에 관한 정보, 유효 기간에 관한 정보, 카테고리에 관한 정보 및 수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시간 NFT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생성된 시간 NFT 데이터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생성된 시간 NFT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상기 자산 NFT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유효 기간에 관한 정보는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가격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서버 장치는, 통신부, 메모리,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메모리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시간 NFT 데이터의 생성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생성 요청에 대응하는 자산 NFT 데이터를 식별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자산 NFT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자산 NFT 데이터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자산 NFT 데이터가 제1 타입(type)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자산 NFT 데이터가 상기 제1 타입이 아니라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생성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제1 응답을 송신하고, 상기 자산 NFT 데이터가 상기 제1 타입이라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NFT 데이터의 인증(authentication)을 위한 서버에 상기 자산 NFT 데이터의 인증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인증을 위한 서버로부터 상기 자산 NFT 데이터에 대한 인증 확인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및 상기 인증을 위한 서버로부터 상기 자산 NFT 데이터에 대한 인증 확인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시간 NFT 데이터 생성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상기 제1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산 NFT 데이터에 관한 정보는 상기 자산 NFT 데이터의 카테고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자산 NFT 데이터의 카테고리는 자격증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내는 제1 카테고리, 졸업증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내는 제2 카테고리, 레시피(recipe)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내는 제3 카테고리, 제조 방법(formula)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내는 제4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자산 NFT 데이터의 카테고리가 상기 제3 카테고리 또는 상기 제4 카테고리인 경우, 상기 자산 NFT 데이터를 상기 제1 타입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서버 장치의 메모리로부터 상기 자산 NFT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산 NFT 데이터에 관한 정보는 상기 자산 NFT 데이터의 인증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자산 NFT 데이터의 인증 여부에 관한 정보가 상기 자산 NFT 데이터가 인증되었음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자산 NFT 데이터가 상기 제1 타입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설정 정보는,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가격에 관한 정보, 유효 기간에 관한 정보, 카테고리에 관한 정보 및 수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시간 NFT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시간 NFT 데이터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생성된 시간 NFT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상기 자산 NFT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유효 기간에 관한 정보는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가격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서버 장치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서버 장치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단수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되는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항목에 의한 임의의 가능한 모든 조합들을 포괄하는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다,' '가지다,'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본 개시 상에 기재된 특징,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이고, 이러한 용어의 사용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부" 또는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부" 또는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 또는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할 경우”는 문맥에 따라 “할 때”, 또는 “할 시” 또는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또는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유사하게, “라고 결정되는 경우” 또는 “이 검출되는 경우”는 문맥에 따라 “결정 시” 또는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또는 “검출 시” 또는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문서를 통해 설명된 서버 장치(20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명령어들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어(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로는, 예를 들어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서버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시간 NFT 데이터의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생성 요청에 대응하는 자산 NFT 데이터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자산 NFT 데이터의 인증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자산 NFT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자산 NFT 데이터의 인증 여부에 관한 정보가 상기 자산 NFT 데이터가 인증되었음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자산 NFT 데이터의 인증 여부에 관한 정보가 상기 자산 NFT 데이터가 인증되었음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자산 NFT 데이터가 제1 타입이 아니라고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생성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제1 응답을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자산 NFT 데이터의 인증 여부에 관한 정보가 상기 자산 NFT 데이터가 인증되었음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자산 NFT 데이터가 상기 제1 타입이라고 결정하는 동작,
    NFT 데이터의 인증(authentication)을 위한 서버에 상기 자산 NFT 데이터의 인증 요청을 송신하는 동작,
    상기 인증을 위한 서버로부터 상기 자산 NFT 데이터에 대한 인증 확인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인증을 위한 서버로부터 상기 자산 NFT 데이터에 대한 인증 확인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생성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상기 제1 응답을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산 NFT 데이터에 관한 정보는 상기 자산 NFT 데이터의 카테고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자산 NFT 데이터의 카테고리는 자격증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내는 제1 카테고리, 졸업증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내는 제2 카테고리, 레시피(recipe)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내는 제3 카테고리, 제조 방법(formula)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내는 제4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인,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산 NFT 데이터의 카테고리가 상기 제3 카테고리 또는 상기 제4 카테고리인 경우, 상기 자산 NFT 데이터를 상기 제1 타입으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의 메모리로부터 상기 자산 NFT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설정 정보는,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가격에 관한 정보, 유효 기간에 관한 정보, 카테고리에 관한 정보 및 수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시간 NFT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생성된 시간 NFT 데이터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시간 NFT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상기 자산 NFT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유효 기간에 관한 정보는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가격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생성되는, 방법.
  11. 전자 장치,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서버 장치에 있어서,
    통신부;
    메모리;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메모리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시간 NFT 데이터의 생성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생성 요청에 대응하는 자산 NFT 데이터를 식별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자산 NFT 데이터의 인증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자산 NFT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자산 NFT 데이터의 인증 여부에 관한 정보가 상기 자산 NFT 데이터가 인증되었음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자산 NFT 데이터의 인증 여부에 관한 정보가 상기 자산 NFT 데이터가 인증되었음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자산 NFT 데이터가 제1 타입이 아니라고 결정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생성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제1 응답을 송신하고,
    상기 자산 NFT 데이터의 인증 여부에 관한 정보가 상기 자산 NFT 데이터가 인증되었음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자산 NFT 데이터가 상기 제1 타입이라고 결정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NFT 데이터의 인증(authentication)을 위한 서버에 상기 자산 NFT 데이터의 인증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인증을 위한 서버로부터 상기 자산 NFT 데이터에 대한 인증 확인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및
    상기 인증을 위한 서버로부터 상기 자산 NFT 데이터에 대한 인증 확인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생성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상기 제1 응답을 송신하는,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자산 NFT 데이터에 관한 정보는 상기 자산 NFT 데이터의 카테고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자산 NFT 데이터의 카테고리는 자격증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내는 제1 카테고리, 졸업증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내는 제2 카테고리, 레시피(recipe)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내는 제3 카테고리, 제조 방법(formula)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내는 제4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인,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자산 NFT 데이터의 카테고리가 상기 제3 카테고리 또는 상기 제4 카테고리인 경우, 상기 자산 NFT 데이터를 상기 제1 타입으로 결정하는,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서버 장치의 메모리로부터 상기 자산 NFT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설정 정보는,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가격에 관한 정보, 유효 기간에 관한 정보, 카테고리에 관한 정보 및 수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시간 NFT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시간 NFT 데이터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시간 NFT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상기 자산 NFT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장치.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유효 기간에 관한 정보는 상기 시간 NFT 데이터의 가격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생성되는, 장치.
KR1020220164683A 2022-11-30 2022-11-30 Nft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2544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4683A KR102544006B1 (ko) 2022-11-30 2022-11-30 Nft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4683A KR102544006B1 (ko) 2022-11-30 2022-11-30 Nft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4006B1 true KR102544006B1 (ko) 2023-06-15

Family

ID=86763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4683A KR102544006B1 (ko) 2022-11-30 2022-11-30 Nft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400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1499B1 (ko) * 2021-11-12 2022-04-01 주식회사 블록오디세이 프라이빗 블록체인 및 퍼블릭 블록체인을 이용한 상품 정보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102397137B1 (ko) * 2021-10-05 2022-05-12 주식회사 그라운드그룹 Nft를 활용한 제품 인증 정보 제공 장치
KR102431144B1 (ko) * 2021-11-26 2022-08-10 주식회사 와이콘즈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객체의 등기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467373B1 (ko) * 2022-08-08 2022-11-14 김미영 Nft 기반 전자책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7137B1 (ko) * 2021-10-05 2022-05-12 주식회사 그라운드그룹 Nft를 활용한 제품 인증 정보 제공 장치
KR102381499B1 (ko) * 2021-11-12 2022-04-01 주식회사 블록오디세이 프라이빗 블록체인 및 퍼블릭 블록체인을 이용한 상품 정보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102431144B1 (ko) * 2021-11-26 2022-08-10 주식회사 와이콘즈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객체의 등기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467373B1 (ko) * 2022-08-08 2022-11-14 김미영 Nft 기반 전자책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58023A1 (en) Decentralized Data Marketplace
US20160379291A1 (en) Cloud-based item storage system
US9710778B2 (en) Address exchange systems and methods
US11488090B2 (en) Address exchange systems and methods
US11501243B2 (en) Address exchange systems and methods
CN104219326A (zh) 保洁服务信息管理系统中的资源共享装置和方法
US20230145741A1 (en) Address exchange systems and methods
KR101218807B1 (ko) Nfc 태그를 이용한 인증/거래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N111652672A (zh) 智能智造综合服务平台及其服务方法
KR102518917B1 (ko) 이력서를 관리하기 위한 서버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40142344A (ko) 익명 배송을 수행하는 제 3 자 토큰 시스템
KR20180117427A (ko) 배송 url을 포함하는 모바일 쿠폰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N114219342A (zh) 一种基于非同质化通证的碳资产管理方法及装置
JP2019109831A (ja) 信用度評価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端末、及び取引方法
KR102544006B1 (ko) Nft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US20190197464A1 (en) Address Exchange Systems and Methods
KR102544008B1 (ko) 복수의 어그리게이터들(aggregators)을 관리하는 어그리게이터 매니저를 포함하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28925B1 (ko) 사용자의 nft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KR102544009B1 (ko) 무결성(integrity)을 갖는 데이터를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044939A (ko) 멤버십 공유 시스템 및 방법
WO2022056116A1 (en) Address exchange systems and methods
AU2019231140B2 (en) Address exchange systems and methods
US2016001954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gmenting transactions using digital identity and relationship maps
US11605045B2 (en) Address exchange systems and methods
JP6652547B2 (ja) ポイント管理装置、ポイント管理方法、ポイント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ポイント管理プログラム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