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6495A -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6495A
KR20210066495A KR1020190155799A KR20190155799A KR20210066495A KR 20210066495 A KR20210066495 A KR 20210066495A KR 1020190155799 A KR1020190155799 A KR 1020190155799A KR 20190155799 A KR20190155799 A KR 20190155799A KR 20210066495 A KR20210066495 A KR 20210066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ntal
customer
module
information
s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제성
Original Assignee
유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제성 filed Critical 유제성
Priority to KR1020190155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6495A/ko
Publication of KR20210066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4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웹 또는 모바일 앱을 통해 화장품, 사무기기, 생활가전, 생활용품, 가구 및 유아용품을 포함하는 물건의 렌탈을 신청하는 판매자단말기; 웹 또는 모바일 앱을 통해 판매자가 신청한 렌탈 신청 내역을 확인하는 고객단말기; 및 고객정보 DB(Data Base), 관리자정보 DB, 제품정보 DB 및 시스템 DB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상기 판매자단말기와 상기 고객단말기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RENTAL SERVICE}
본 발명은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판매자가 웹 또는 모바일 앱을 통해 고객의 정보 및 해당 고객에게 제공된 제품에 대한 정보를 서로 매칭하여 기록함으로써 고객마다 제품의 교체주기를 관리하는 등의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전자기술과, 네트워크 및 이동통신기술의 발달로 이용자들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게임, 동영상 시청, 채팅, 쇼핑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다양한 제품의 공급자들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양한 제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용자의 선택의 폭도 넓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다양한 설치용 제품(냉장고, 세탁기, 복사기, 정수기, 안마의자 등과 같은 제품)은 높은 가격대와 유지수선비용의 부담으로 구매를 꺼려하는 고객층이 많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생활 가전 제품 등을 비롯하여 각종 물품에 대해 직접 구매하여 사용하는 것에서 벗어나 해당 제품들을 렌탈하여 사용하는 렌탈 서비스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한 인터넷이나 모바일을 이용한 온라인 렌탈 중개 서비스도 증가하고 있다.
렌탈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렌탈하고자 하는 물품을 선택하고 선택한 물품에 대한 렌탈 계약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들이 제공되고 있으며, 이에 관련된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77491호에 기재된 “렌탈, 임대, 대여 안전거래 중계운영 방법과 이를 적용한 양방향(비투씨, 씨투비) 연동 주문예약구현 시스템” 등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들을 포함한 종래의 기술들은 주로 네트워크를 통하여 렌탈 물품의 임대 등의 거래를 안정적으로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나, 렌탈 서비스가 제공되는 물품에 소모성이 있는 물품이 포함되는 경우, 교체 및 리필 등 사후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금융 리스를 통해 가전 제품의 렌탈이 가능하지만, 그 절차가 복잡하고 이자율이 높기 때문에 가전 제품 리스의 이용률이 매우 낮으며, 이로 인해 가전 제품 리스 상품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상술한 배경하에서, 본 발명자는 웹 또는 모바일을 통해 화장품, 사무기기, 생활가전, 생활용품, 가구, 유아용품 등 다양한 물품을 렌탈할 수 있고, 렌탈한 물품의 설치위치 및 교체주기를 설정할 수 있는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객이 렌탈한 물품의 교체 또는 리필 주기를 설정할 수 있는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객이 렌탈한 물품의 설치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웹 또는 모바일 앱을 통해 화장품, 사무기기, 생활가전, 생활용품, 가구 및 유아용품을 포함하는 물건의 렌탈을 신청하는 판매자단말기; 웹 또는 모바일 앱을 통해 판매자가 신청한 렌탈 신청 내역을 확인하는 고객단말기; 및 고객정보 DB(Data Base), 판매자정보 DB 및 제품정보 DB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상기 판매자단말기와 상기 고객단말기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판매자단말기는, 고객의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서버에 등록하는 고객등록모듈, 상기 물건의 렌탈을 신청하는 렌탈신청모듈, 판매자로부터 스케쥴 내역을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스케쥴 내역에 해당하는 날짜로부터 24시간 전이 되는 시점에 상기 스케쥴 내역에 대한 알림메시지를 생성하는 일정관리모듈 및 상기 물건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을 상기 서버에 등록하는 설치인증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객단말기는, 상기 렌탈을 신청한 물건의 설치위치, 교체주기를 설정하는 렌탈관리모듈, 렌탈을 신청한 물건을 구성하는 부품 중 리필이 필요한 부품의 배송을 신청하는 배송신청모듈 및 상기 판매자가 설치한 상기 물건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을 확인하는 설치확인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서버는 고객정보 DB를 바탕으로 고객의 나이, 성별 및 관심 분야를 분석하여 고객에게 적합한 제품을 분석하여 판매자단말기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렌탈신청모듈은, 렌탈을 신청할 물건 및 렌탈 기간을 설정할 수 있고, 렌탈 기간은 단기 또는 장기로 설정한다.
본 발명은 고객이 렌탈한 물품의 교체 또는 리필 주기를 설정할 수 있는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객이 렌탈한 물품의 설치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간의 연결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판매자단말기, 고객단말기 및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렌탈관리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탈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 기반 협업필터링 및 추론기반기법을 결합한 키워드 추천시스템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여현변환 계수를 이용한 이미지 탐색 알고리즘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지금부터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간의 연결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탈 서비스 시스템(1000, 이하, “본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라 한다)은 판매자단말기(1100), 렌탈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객단말기(1200), 판매자단말기(1100) 및 고객단말기(1200)와 무선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버(1300)를 포함한다.
판매자단말기(1100) 및/또는 고객단말기(1200)는 PC, 스마트기기 등 중 하나일 수 있다.
스마트기기는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GSM(Global System for Moblie)폰 및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며, 판매자 또는 고객은 스마트기기에 렌탈 서비스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서 본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을 이용할 수 있고 또는, 스마트기기에 내장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본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을 이용할 수 있다.
판매자단말기(1100), 고객단말기(1200) 및 서버(1300)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정보를 주고받으며, 무선 통신인 경우 인터넷, 와이브로, 와이파이(WIFI) 등의 통신 방식을 비롯하여 블루투스(Blut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UWB, RFID 등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어떤 특정 통신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판매자단말기, 고객단말기 및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판매자단말기(1100)는 웹 또는 모바일 앱을 통해 화장품, 사무기기, 생활가전, 생활용품, 가구 및 유아용품을 포함하는 물건의 렌탈을 신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판매자단말기(1100)는 고객등록모듈(1110), 렌탈신청모듈(1120), 일정관리모듈(1130) 및/또는 설치인증모듈(1140)을 포함한다.
고객등록모듈(1110)은 본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을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의 성명, 주소 등 개인정보를 입력받아 서버(1300)에 등록한다. 고객등록모듈(1110)을 통해 입력된 정보는 서버(1300)의 고객정보 DB(1310)에 저장된다.
렌탈신청모듈(1120)은 고객이 렌탈(대여)하고자 하는 물건에 대해서 렌탈을 신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렌탈신청모듈(1120)은 렌탈 품목 및/또는 렌탈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렌탈 기간은 단기(1주 또는 1개월 단위), 장기(1년 이상) 등으로 세부 항목이 분류되어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렌탈신청모듈(1120)은 렌탈 품목별로 교체주기를 설정할 수 있고, 교체 주기는 단기(1주 또는 1개월 단위), 장기(1년 이상) 등으로 분류되어 설정될 수 있다.
일정관리모듈(1130)은 판매자로부터 스케쥴 내역을 입력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스케쥴 내역에 해당하는 날짜로부터 24시간 전이 되는 시점에 해당 스케쥴 내역에 대한 알림메시지를 생성한다. 이때 생성된 알림메시지와 스케쥴 내역은 판매자단말기(1100)의 디스플레이(미도시)에 표출된다. 스케쥴 내역은 판매자가 방문해야하는 고객의 주소, 고객이 신청한 렌탈 물품, 렌탈 물품의 설치 위치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설치인증모듈(1140)은 판매자단말기(1100)에 구비된 카메라로부터 렌탈물품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을 전달받고 해당 사진을 서버(1300)에 업로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판매자는 고객이 요청한 위치에 렌탈물품을 설치하고 판매자단말기(1100)를 이용해 렌탈물품이 설치된 위치를 촬영한다. 그리고, 촬영된 사진은 설치인증모듈(1140)을 통해 서버(1300)로 전송된다. 이후, 고객은 설치확인모듈(1230)을 통해 서버(1300)에 업로드된 사진을 확인할 수 있다.
고객단말기(1200)는 웹 또는 모바일 앱을 통해 판매자단말기(1100)로부터 신청된 렌탈 신청 내역을 전송받는다. 고객은 고객단말기(1200)를 통해 렌탈 신청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객단말기(1200)는 렌탈관리모듈(1210), 배송신청모듈(1220) 및/또는 설치확인모듈(1230)을 포함한다.
렌탈관리모듈(1210)은 서버(1300)의 렌탈정보 DB(1320)에 저장된 렌탈 신청 내역을 변경 또는 취소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렌탈관리모듈(1210)은 서버(1300)의 렌탈정보 DB(1320)에 저장된 렌탈 물품, 렌탈 기간, 교체 주기 등을 포함한 렌탈 신청 내역을 변경 또는 취소할 수 있다. 그리고 렌탈관리모듈(1210)은 렌탈 물품의 설치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렌탈관리모듈(1210)은 렌탈물품의 설치위치를 텍스트 또는 사진으로 서버(1300)에 업로드하여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서버(1300)는 렌탈관리모듈(1210)로부터 업로드된 사진 및 텍스트를 제품정보 DB(1330)에 저장된 제품의 크기 정보를 바탕으로 분석하고 고객이 설정한 위치에 설치가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고객이 설정한 위치에 설치가 가능한 경우, 서버(1300)는 판매자에게 업로드된 사진 또는 텍스트를 전송하고 설치가 불가능한 경우, 고객에게 사진 재업로드 요청 또는 설치 위치 변경 요청을 한다.
렌탈관리모듈(1210)은 고객으로부터 검색 키워드를 입력받고, 입력된 검색 키워드에 해당하는 제품에 대한 정보가 제품정보 DB(1330)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검색 키워드는 제품에 대한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즉, 고객은 렌탈관리모듈(1210)을 통해 서버(1300)의 제품정보 DB(1330)에 저장된 제품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배송신청모듈(1220)은 렌탈을 신청한 물건을 구성하는 부품 중 리필이 필요한 부품의 배송을 신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송신청모듈(1220)은 정수기의 필터, 방향제 등 리필이 필요한 부품에 대해서 배송신청을 할 수 있다. 또한, 배송신청모듈(1220)은 서버(1300)의 제품정보 DB(1330)를 기초로 고객이 렌트한 제품에 사용되는 부품의 정보를 검출할 수 있고, 검출된 정보를 기초로 리필이 필요한 부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고객은 배송신청모듈(1220)을 통해 서버(1300)의 제품정보 DB(1330)에 저장된 부품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설치확인모듈(1230)은 판매자가 설치인증모듈(1140)을 통해 서버(1300)에 업로드한 설치 인증 사진을 전달받아 저장하고 설치인증 요청메시지를 생성한다. 설치인증 요청메시지는 설치 인증 사진을 포함하고, 설치인증 요청메시지는 고객단말기(1200)의 디스플레이(미도시)에 표출된다. 한편, 고객은 설치확인모듈(1230)을 통해 설치확인메시지를 판매자단말기(1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설치 인증 사진은 판매자가 고객이 설정한 설치 위치에 렌탈 물품이 올바르게 설치된 모습을 촬영한 사진을 의미한다.
서버(1300)는 고객단말기(1200)와 판매자단말기(1100)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고객정보 DB(1310), 렌탈정보 DB(1320), 제품정보 DB(1330)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고객정보 DB(Data Base)(1310)는 고객의 성명, 주소 등을 포함한 고객의 개인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공간이고, 렌탈정보 DB(1320)는 렌탈 신청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공간이고, 제품정보 DB(1330)는 렌탈할 수 있는 제품의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공간이다.
서버(1300)는 고객정보 DB(1310)를 바탕으로 고객의 나이, 성별, 관심 분야 등을 분석하여 고객에게 적합한 제품을 분석하여 판매자단말기(1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렌탈관리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의 렌탈관리모듈(1210)은 내역확인모듈(1211), 렌탈변경모듈(1212), 위치변경모듈(1213) 및/또는 확정모듈(1214)을 포함한다.
내역확인모듈(1211)은 판매자가 신청한 렌탈 물품의 정보, 렌탈 기간, 교체주기 등을 포함한 렌탈내역정보를 확인한다.
렌탈변경모듈(1212)은 판매자가 신청한 렌탈 물품의 품목, 렌탈 기간, 교체 주기 등을 변경할 수 있고, 렌탈신청을 취소할 수 있다.
위치변경모듈(1213)은 판매자가 신청한 렌탈 물품의 설치 위치를 설정할 수 있고, 설치 위치 설정은 텍스트로 기재하거나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의 사진을 업로드하여 설정할 수 있다.
확정모듈(1214)은 렌탈신청내역을 최종적으로 승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매자가 확정모듈(1214)을 통해 렌탈신청을 최종적으로 승인하는 경우, 확정모듈(1214)은 확정알림메시지를 판매자단말기(1100)로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탈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탈 서비스 제공 방법은 고객정보등록 단계(S401), 렌탈신청 단계(S402), 렌탈내역 확인단계(S403), 렌탈물품 설치위치 설정단계(S404), 렌탈물품 설치단계(S405), 설치 인증단계(S406) 및/또는 설치 확인단계(S407)를 포함한다.
고객정보등록 단계(S401)는 고객등록모듈(1110)이 고객정보를 입력받아 서버(1300)에 전송하는 단계로서, 서버(1300)는 고객등록모듈(1110)로부터 수신한 고객정보를 기초하여 고객 등록 승인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고객등록모듈(1110)이 전송한 고객정보에서 성명, 주소 등 중요한 입력사항이 기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 서버(1300)는 고객 등록을 거절한다. 그리고 서버(1300)는 판매자단말기(1100)로 거절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고 해당 고객의 정보를 파기한다. 반대로, 고객 등록이 승인되는 경우, 고객정보는 서버(1300)의 고객정보 DB(1310)에 저장한다. 렌탈신청 단계(S402)는 렌탈신청모듈(1120)이 고객이 렌탈할 물품을 신청하는 단계로서, 렌탈신청모듈(1120)은 고객이 렌탈할 물품의 종류, 렌탈하는 기간, 교체 주기 등을 설정하여 렌탈을 신청한다. 렌탈내역 확인단계(S403)는 내역확인모듈(1211)이 렌탈신청모듈(1120)이 신청한 렌탈 신청 내역을 전달받아 저장하는 단계로서, 저장된 렌탈 신청 내역은 고객단말기(1200)의 디스플레이(미도시)에 표출할 수 있다. 여기서, 렌탈 신청 내역은 고객의 성명, 주소, 렌탈 물품의 정보, 렌탈 기간, 물품 설치 위치, 고객의 요청 사항 등을 포함한다. 렌탈물품 설치위치 설정단계(S404)는 위치변경모듈(1213)이 렌탈 물품의 설치위치를 설정하는 단계로서, 위치변경모듈(1213)은 렌탈 물품의 설치위치를 텍스트로 기재하거나 설치를 원하는 위치의 사진을 서버(1300)에 업로드하여 설정할 수 있다. 설치 인증단계(S406)는 설치인증모듈(1140)이 렌탈 물품의 설치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로서, 설치인증모듈(1140)은 서버(1300)에 렌탈물품 설치 인증사진을 업로드한다. 한편, 서버(1300)는 설치 인증 사진이 업로드 되면 인증 사진 업로드 안내 메세지를 고객 단말기로 전송한다. 설치 확인단계(S407)는 설치확인모듈(1230)이 렌탈한 물품의 설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로서, 설치확인모듈(1230)은 설치인증모듈(1140)이 업로드한 설치 인증 사진을 전달받고, 설치 인증 확인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설치인증모듈(1140)은 설치 인증 확인 여부를 선택하고, 설치 인증 확인 알림메시지를 판매자단말기(1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설치인증모듈(1140)은 렌탈 물품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고 싶은 경우, 설치 위치 변경 알림 메시지를 판매자단말기(1100)로 전송할 수 있다. 설치 위치 변경 알림 메시지는 인증 사진 업로드 안내 메시지를 전달받은 시간으로부터 24시간 이내에 전송해야 한다.
도 4 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탈 서비스 제공 방법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4 에서 도시하는 단계에서 일부 단계가 생략될 수도 있고, 도 4 에서 도시하는 단계 이외의 단계 또는 동작이 추가될 수도 있다.
본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판매자단말기(1100)와 서버(1300) 및/또는 고객단말기(1200) 사이에는 렌탈 서비스 신청 및 제공과 관련된 각종 정보신호가 송수신되고, 이러한 과정은 수차례 반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 기반 협업필터링 및 추론기반기법을 결합한 키워드 추천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 협업 필터링은 고객의 상품 선호 데이터에 기반하여 유사 고객이 선호한 상품을 해당 고객에게 추천하는 방식이다. 협업필터링은 크게 아이템 기반, 사용자 기반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아이템 기반 협업필터링은 사용자들 간의 유사성이 고려되지 않기 때문에 선호도가 상이한 사용자들 간의 추천은 성능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사용자 기반 협업 필터링은 사용자 간의 유사 간의 유사성을 분석하여 유사한 사용자의 구매정보를 바탕으로 상품을 추천하지만, 상품에 대한 사용자의 평가가 부족한 경우, 초기 정보 부족 문제를 일컫는 콜드 스타트(Cold Start)가 발생하고 전체 상품의 개수가 고객이 구매할 수 있는 상품 수보다 훨 씬 많기 때문에 고객-상품 매트릭스가 매우 희소하게 되는 희소성 문제(Sparsity Problem)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에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서버(1300)의 상품추천모듈(미도시)에 사용자 기반 협업필터링 및 추론기반기법을 결합한 키워드 추천시스템(이하, 추론기반기법 협업필터링) 기술을 적용한다.
서버(1300)는 고객에게 맞는 맞춤형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상품추천모듈(미도시)을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품추천모듈(미도시)은 추론기반기법 협업필터링 기술이 적용되어, 사용자 기반 협업필터링 방식을 기초로 고객의 구매데이터를 통해 고객간의 유사성을 도출하고, 고객이 검색한 키워드 정보를 기반으로 고객 간의 유사성을 도출하여 고객에게 맞춤형 상품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품추천모듈(미도시)는 고객이 렌탈관리모듈(1210) 및/또는 배송신청모듈(1220)을 통해 검색한 제품 검색 키워드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론기반기법 협업필터링 기술은 고객구매 데이터 추출단계(S501), 고객-제품 매트릭스 생성단계(S502), 구매 제품 유사도 계산단계(S503), 고객 키워드 검색데이터 추출단계(S504), 고객-키워드 매트릭스 생성단계(S505), 검색 키워드 유사도 계산단계(S506) 및/또는 검색키워드 추천단계(S507)를 포함한다.
고객구매 데이터 추출단계(S501)는 상품추천모듈(미도시)이 고객 구매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로서, 고객이 구매한 제품 또는 고객이 렌탈한 렌탈제품의 내역을 추출한다. 여기서, 고객 구매 데이터는 고객정보 DB(1310)와 렌탈정보 DB(1320) 및/또는 제품정보 DB(1330)를 포함한다.
고객-제품 매트릭스 생성단계(S502)는 상품추천모듈(미도시)이 고객-제품 매트릭스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품추천모듈(미도시)는 고객구매 데이터 추출단계(S501)에서 추출된 고객정보 DB(1310), 렌탈정보 DB(1320) 및/또는 제품정보 DB(1330)에 저장된 구매 또는 렌탈 제품의 정보를 토대로 특정 고객이 특정 품목을 구매 또는 렌탈하였는지에 대한 여부를 파악하여 고객-제품 매트릭스를 생성한다.
구매 제품 유사도 계산단계(S503)는 상품추천모듈(미도시)이 고객-제품 매트릭스를 토대로 고객 간의 구매 제품 유사도를 계산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품추천모듈(미도시)은 고객의 연령대, 성별 등으로 고객간의 유사성을 도출하고, 해당 연령대, 성별에 속한 고객이 구매 또는 렌탈한 제품을 추출한다.
고객 키워드 검색데이터 추출단계(S504)는 상품추천모듈(미도시)이 고객-제품 매트릭스를 토대로 특정 고객이 제품을 구매한 시점에서 검색 시 사용했던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이다.
고객-키워드 매트릭스 생성단계(S505)는 상품추천모듈(미도시)이 고객 키워드 검색데이터 추출단계(S504)에서 추출된 검색 키워드를 추론기반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 내부의 단어 간 연관성을 파악하고 각 단어를 고정 길이의 벡터로 변환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추론기반기법은 키워드 문장에 속한 단어들 중 주변 단어(맥락)로부터 타겟(Target) 단어에 무슨 단어가 들어갈지, 혹은 반대로 타겟(Target) 단어로부터 주변 단어(맥락)에 무슨 단어가 들어갈지를 추측하는 기법이다.
검색 키워드 유사도 계산단계(S506)는 상품추천모듈(미도시)이 고객-키워드 매트릭스를 토대로 고객 간의 검색 키워드 유사도를 계산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품추천모듈(미도시)은 고객의 연령대, 성별 등으로 고객간의 유사성을 도출하고, 해당 연령대, 성별에 속한 고객이 제품 구매 또는 렌탈하는 시점에 검색한 키워드를 계산한다.
검색키워드 추천단계(S507)는 상품추천모듈(미도시)이 고객에게 검색 키워드를 추천하는 단계로서, 상품추천모듈(미도시)은 고객-제품 매트릭스 및 고객-키워드 매트릭스 각각의 매트릭스를 거리기반으로 계산하여 고객 간 유사도를 추출하여 검색 키워드를 추천한다.
본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의 상품추천모듈(미도시)은 추론기반기법 협업필터링 기술을 활용하여 키워드 추천결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생성할 수 있고, 고객은 추천결과를 참조하여, 렌탈 물품 및 렌탈 물품에 필요한 부품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검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여현변환 계수를 이용한 이미지 탐색 알고리즘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종래에 사용되던 영상 검색 방법은 컬러 히스토그램 기반의 영상검색, CVC기반 영상검색, 컬러 코렐로그램(Color Correlograms)기반의 영상검색, DCT(discrete cosine transform)를 이용한 영상검색 등이 있다.
그러나, 컬러 히스토그램 영상 검색 방법은 영상의 밝기의 분포만을 검색에 이용하므로 영상은 전혀 다른데 히스토그램의 밝기 분포가 비슷하면, 유사한 영상으로 판단하는 오류가 있다. 그리고 CCV기반 영상검색 방법은 영상 내의 조명 변화나 관측 위치, 크기 변화 등에 어느정도 무관하게 적용이 가능하나 계산량이 많아 수행 시간이 오래 걸리고 사전에 많은 수의 실험을 통하여 임계값을 계산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서버(1300)의 이미지분석모듈(미도시)에 여현변환 계수를 이용한 이미지 탐색 알고리즘을 적용한다.
서버(1300)는 고객단말기(1200) 또는 판매자단말기(1100)를 통해 업로드된 사진을 분석하는 이미지분석모듈(미도시)을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미지분석모듈(미도시)은 여현변환 계수를 이용한 이미지 탐색 기술을 적용하여 고객단말기(1200) 또는 판매자단말기(1100)를 통해 업로드된 사진을 분석한다.
여현변환 계수를 이용한 이미지 탐색 기술은 8x8 이산여현변환 후 얻어지는 DC, AC계수를 이용하여 필터뱅크(filter-bank)를 생성하고, 이를 영상의 내용기반 검색에 이용하는 방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여현변환 계수를 이용한 이미지 탐색 기술은 RGB 컬러모델의 채널 분리단계(S601), 각 채널에 대한 8x8 DCT변환단계(S602), DCT 필터뱅크 생성단계(S603), DC성분 양자화단계(S604), 양자화된 DC성분에 대해서 히스토그램 적용단계(S605), AC성분 Otus 이진화 단계(S606), 투영 히스토그램 적용단계(S607) 및/또는 벡터 빈 산출단계(S608)를 포함한다.
RGB 컬러모델의 채널 분리단계(S601)는 이미지분석모듈(미도시)이 고객단말기(1200) 또는 판매자단말기(1100)를 통해 업로도된 사진의 RGB 채널을 분리하는 단계이다.
각 채널에 대한 8x8 DCT변환단계(S602)는 이미지분석모듈(미도시)이 RGB 컬러모델의 채널 분리단계(S601)에서 분리된 채널을 8x8 DCT변환하는 단계이다. DCT(Discrete Cosine Transform)는 정현파 및 여현파 함수를 기저함수로 이용하는 이산 변환이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은 8x8 DCT 변환식 이며,
Figure pat00002
는 주파수 영역을 나타내며,
Figure pat00003
는 영상의 공간 영역을 나타낸다. 8x8 DCT로 변환된 각 블록에서는 총 64개의 계수가 생성된다. 총 64개의 계수중 1개는 저주파 성분을 가진 DC계수이며, 나머지 63개의 계수는 고주파 성분을 가진 AC계수이다.
DCT 필터뱅크 생성단계(S603)는 이미지분석모듈(미도시)이 각 채널에 대한 8x8 DCT변환단계(S602)를 통하여 얻어지는 DC와 AC계수에 대해서 동일성향을 갖는 계수끼리 묶어서 DCT 필터뱅크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DC성분 양자화단계(S604)는 이미지분석모듈(미도시)이 DCT 빌터뱅크 내에서 생성된 DC성분에 대한 양자화를 수생하여 계산량을 최소화하는 단계이다.
양자화된 DC성분에 대해서 히스토그램 적용단계(S605)는 이미지분석모듈(미도시)이 양자화된 DC성분에 대한 히스토그램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 검색에 필요한 특징 값을 산출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양자화된 DC성분 히스토그램 적용단계(S605)는 이미지분석모듈(미도시)이 양자화된 DC성분에 대해서 히스토그램을 적용하여 64개의 빈을 산출하는 단계이다.
AC성분 Otus 이진화 단계(S606)는 이미지분석모듈(미도시)이 DCT 필터뱅크에서 생성된 AC성분에 대해서 Otsu 이진화를 수행하여 개괄적인 형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AC성분은 AC01, AC10, AC11 만을 이용한다. 여기서 Otsu 이진화는 두장점을 갖는 히스토그램 분포에서 계곡점(Valley)가 되는 값을 중심으로, 분산의 최대값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이진화 하는 방법이다.
투영 히스토그램 적용단계(S607)는 이미지분석모듈(미도시)이 이진화된 AC성분에 대해서 수평/수직 방향의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특징 빈을 산출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미지분석모듈(미도시)은 투영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이진화된 AC성분을 각각 수평/수직 방향으로 픽셀의 값이 255인 픽셀만을 카운트하여, 수평/수직 방향으로 32개씩의 빈을 산출한다.
벡터 빈 산출단계(S608)는 이미지분석모듈(미도시)이 추출된 AC성분의 특징 값과 추출된 DC성분의 특징 값을 토대로 특징벡터 빈을 구성하는 단계이다.
상술한 여현변환 계수를 이용한 이미지 탐색 기술은 특징벡터 빈을 검색에 이용하여 기존의 색상을 이용한 검색방법보다 계산량이 적어 검색 시간이 단축되고 기존 검색 방법보다 높은 검색 정확도를 갖는다.
본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의 이미지분석모듈(미도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고객이 배송신청모듈(1220)을 통하여 렌탈을 신청한 물건을 구성하는 부품 중 리필이 필요한 부품제품의 이미지를 업로드하는 경우, 해당 이미지의 분석하여 고객에게 해당 제품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이미지분석모듈(미도시)은 고객이 렌탈관리모듈(1210)을 통해 렌탈하고자 하는 물품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설치 위치의 이미지를 업로드하는 경우, 제품의 규격과 업로드된 이미지 내의 공간의 규격을 분석하여, 설치 가능한지 여부에 대해서 고객에게 알림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고객등록모듈, 렌탈신청모듈, 일정관리모듈, 설치인증모듈, 렌탈관리모듈, 내역확인모듈, 렌탈변경모듈, 위치변경모듈, 확정모듈, 배송신청모듈, 설치확인모듈, 고객정보 DB, 렌탈정보 DB 및/또는 제품정보 DB는 메모리에 저장된 연속된 수행과정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들일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되고 제어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로서 동작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는 하드웨어 장치일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탈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가능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언어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00: 렌탈 서비스 시스템 1100: 판매자단말기
1110: 고객등록모듈 1120: 렌탈신청모듈
1130: 일정관리모듈 1140: 설치인증모듈
1200: 고객단말기 1210: 렌탈관리모듈
1211: 내역확인모듈 1212: 렌탈변경모듈
1213: 위치변경모듈 1214: 확정모듈
1220: 배송신청모듈 1230: 설치확인모듈
1300: 서버 1310: 고객정보 DB
1320: 렌탈정보 DB 1330: 제품정보 DB

Claims (5)

  1. 웹 또는 모바일 앱을 통해 화장품, 사무기기, 생활가전, 생활용품, 가구 및 유아용품을 포함하는 물건의 렌탈을 신청하는 판매자단말기;
    웹 또는 모바일 앱을 통해 판매자가 신청한 렌탈 신청 내역을 확인하는 고객단말기; 및
    고객정보 DB(Data Base), 렌탈정보 DB 및 제품정보 DB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상기 판매자단말기와 상기 고객단말기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단말기는,
    고객의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서버에 등록하는 고객등록모듈,
    상기 물건의 렌탈을 신청하는 렌탈신청모듈,
    판매자로부터 스케쥴 내역을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스케쥴 내역에 해당하는 날짜로부터 24시간 전이 되는 시점에 상기 스케쥴 내역에 대한 알림메시지를 생성하는 일정관리모듈 및
    상기 물건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을 상기 서버에 등록하는 설치인증모듈을 포함하는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객단말기는,
    상기 렌탈을 신청한 물건의 설치위치 및 교체주기를 설정하는 렌탈관리모듈,
    렌탈을 신청한 물건을 구성하는 부품 중 리필이 필요한 부품의 배송을 신청하는 배송신청모듈 및
    상기 판매자가 설치한 상기 물건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을 확인하는 설치확인모듈을 포함하는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고객정보 DB를 바탕으로 고객의 나이, 성별 및 관심 분야를 분석하여 고객에게 적합한 제품을 분석하여 판매자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렌탈신청모듈은,
    렌탈을 신청할 물건 및 렌탈 기간을 설정할 수 있고, 렌탈 기간은 단기 또는 장기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90155799A 2019-11-28 2019-11-28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100664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799A KR20210066495A (ko) 2019-11-28 2019-11-28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799A KR20210066495A (ko) 2019-11-28 2019-11-28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495A true KR20210066495A (ko) 2021-06-07

Family

ID=76374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799A KR20210066495A (ko) 2019-11-28 2019-11-28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649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1564B1 (ko) * 2021-10-15 2022-06-22 주식회사 엠케이렌탈 렌탈 및 금융 대행 플랫폼 시스템
KR102413169B1 (ko) * 2021-11-03 2022-06-27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렌탈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KR102462760B1 (ko) * 2021-11-03 2022-11-04 쿠팡 주식회사 렌탈 아이템에 관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KR102602745B1 (ko) 2022-07-05 2023-11-16 성민오 통합 렌탈 정기점검 서비스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1564B1 (ko) * 2021-10-15 2022-06-22 주식회사 엠케이렌탈 렌탈 및 금융 대행 플랫폼 시스템
KR102413169B1 (ko) * 2021-11-03 2022-06-27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렌탈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KR102462760B1 (ko) * 2021-11-03 2022-11-04 쿠팡 주식회사 렌탈 아이템에 관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WO2023080284A1 (ko) * 2021-11-03 2023-05-11 쿠팡 주식회사 렌탈 아이템에 관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WO2023080283A1 (ko) * 2021-11-03 2023-05-11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렌탈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KR102602745B1 (ko) 2022-07-05 2023-11-16 성민오 통합 렌탈 정기점검 서비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7119B2 (en) Architecture and associated methodology for data standardization and utilization in retail industry applications
KR20210066495A (ko)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88498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agging content
US8533192B2 (en) Content capture device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tagging content
US1176918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MS e-commerce assistant
US9852477B2 (en) Method and system for social media sales
US20140129328A1 (en) Providing augmented purchase schemes
US20130282611A1 (en)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user generated video reviews
KR102320749B1 (ko) 인플루언서를 매개로 하는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134155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mmending a product based on an image of a scene
US20190311416A1 (en) Trend identification and modification recommendations based on influencer media content analysis
US20180260876A1 (en) Automated databot system
EP382290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ustomization of reviews
KR102388310B1 (ko) 디바이스 독립적인 리그랩 기반의 개인화 컨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
US20180129664A1 (en) System and method to recommend a bundle of items based on item/user tagging and co-install graph
KR101764361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 쇼핑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69643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o2o 기반의 종합 이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CN110443668A (zh) 使用信标的计算机化的物品租赁
KR20200041714A (ko) 해외공동구매 시스템 및 방법
US2021015059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ustomization of reviews
US2016011763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mmodity sales system, and commodity sales method
US10164855B2 (en) System for dynamically managing resource connectivity
KR102605195B1 (ko) 이커머스 기반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KR102610033B1 (ko) 이커머스 기반의 예상 수익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US2023007871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t placement and embedded marke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