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4247B1 -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4247B1
KR102644247B1 KR1020230074953A KR20230074953A KR102644247B1 KR 102644247 B1 KR102644247 B1 KR 102644247B1 KR 1020230074953 A KR1020230074953 A KR 1020230074953A KR 20230074953 A KR20230074953 A KR 20230074953A KR 102644247 B1 KR102644247 B1 KR 102644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formation
description content
consumer
artificial intellig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4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릿크래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릿크래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릿크래프트
Priority to KR1020230074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2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rchitectu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장치는, 배포된 스마트 잡지에 인쇄된 복수의 상품별 상품정보를 입력값으로 하고 상기 복수의 상품별 상품정보 각각과 매칭되는 상품설명용 콘텐츠를 출력값으로 하도록 인공지능 모델을 학습시키는 학습부; 상기 스마트 잡지에 인쇄된 복수의 상품별 상품정보 중 어느 한 상품인 제1 상품과 관련하여, 상기 제1 상품의 상품정보의 적어도 일부 정보를 촬영한 촬영 이미지가 소비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경우, 상기 획득된 촬영 이미지를 기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촬영 이미지와 매칭되는 상품설명용 콘텐츠를 상기 제1 상품의 상품설명용 콘텐츠로서 획득하는 이미지 처리부; 및 상기 제1 상품의 상품설명용 콘텐츠를 소비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mart magazines capable of providing content for product description through QR code recogni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본 발명은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잡지(잡지책)는, 일정한 이름을 가지고 호(號)를 거듭하며 정기적(定期的)으로 간행(刊行)되는 출판물(出版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책의 성격에 따라 다양한 내용의 글이 실리며, 간행 주기에 따라 주간, 순간, 월간, 계간으로 나뉜다.
이러한 잡지는 상품의 판매나 홍보를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일예로 의류, 가전, 가구, 액세서리, 화장품 등 각종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들은 자신이 판매하는 상품의 정보를 잡지에 실어 제공함으로써 판매 상품을 홍보하기도 한다.
그런데, 종래의 잡지는 일반적으로 홍보 대상이 되는 상품의 정보와 관련해서 단순히 해당 상품의 사진과 해당 상품을 설명하는 텍스트 정보를 잡지의 종이에 인쇄한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 전부일 뿐이다. 이 때문에, 일예로 잡지를 보는 소비자가 특정 상품에 관심이 있어 구매하고자 할 경우에는 소비자가 일일이 상품명을 직접 검색해 봄으로써 구매가 가능하였는바, 시간이 오래걸리고 번거로움 등의 불편한 측면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잡지에 실린 상품 사진은 단순히 2D 형태의 이미지로서 상품 사진의 촬영시의 주변 조명, 촬영 각도 등에 따라 실물 상품과는 전혀 다르게 보이는 경우가 있기도 하고, 해당 상품 사진만을 통해서는 소비자로 하여금 실제 실물 상품의 크기나 느낌 등을 가늠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소비자가 잡지에 실린 상품 사진만 보고서 구매를 했을 경우 예상했던 상품과 다름으로 인해 해당 상품에 만족하지 못하여 환불하거나 교환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44545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비자가 잡지를 볼 때, 잡지 내에 실린 상품들에 대하여 실제 실물 상품을 보는것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해 해당 상품에 대한 실감나는 체험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이를 토대로 잡지에 실린 상품을 손쉽고 빠르게 구매 가능토록 하여 결과적으로 잡지 내 실린 상품에 대한 구매의 실패 확률을 줄여 만족스럽고 합리적인 소비가 가능하도록 하는,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 장치는, 배포된 스마트 잡지에 인쇄된 복수의 상품별 상품정보를 입력값으로 하고 상기 복수의 상품별 상품정보 각각과 매칭되는 상품설명용 콘텐츠를 출력값으로 하도록 인공지능 모델을 학습시키는 학습부; 상기 스마트 잡지에 인쇄된 복수의 상품별 상품정보 중 어느 한 상품인 제1 상품과 관련하여, 상기 제1 상품의 상품정보의 적어도 일부 정보를 촬영한 촬영 이미지가 소비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경우, 상기 획득된 촬영 이미지를 기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촬영 이미지와 매칭되는 상품설명용 콘텐츠를 상기 제1 상품의 상품설명용 콘텐츠로서 획득하는 이미지 처리부; 및 상기 제1 상품의 상품설명용 콘텐츠를 소비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일부 정보는, 상기 제1 상품의 상품설명용 콘텐츠를 포함하도록 생성된 제1 상품에 대응하는 QR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 장치는, 복수의 상품별 상품정보가 인쇄된 스마트 잡지를 제작하여 배포하는 배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상품의 상품설명용 콘텐츠는, 상기 제1 상품을 설명하는 상품설명 정보가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혼합현실(mixed reality, MR) 및 확장현실(extended reality, XR)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구현되도록 생성된 콘텐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상품의 상품정보는, 상기 제1 상품의 상품명, 상품 촬영 이미지, 상품설명 텍스트 데이터, 및 표식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 장치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제1 상품의 상품설명용 콘텐츠를 제공받은 소비자 단말에서 공유 요청이 이루어진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상품의 상품설명용 콘텐츠와 소비자의 소비자 이미지를 합성시킴으로써 생성된 소비자 체험 합성 영상을 SNS 관계망에 업로드하여 공유되도록 하는 공유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 장치는, 상기 제1 상품의 상품설명용 콘텐츠를 소비자 단말로 제공한 이후, 소비자 단말에서 구매 버튼에 대한 클릭 후 제1 상품의 판매가격에 해당하는 금액에 대한 결제가 완료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상품이 소비자에게 배송되도록 하는 판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가 잡지(스마트 잡지)를 볼 때, 잡지 내에 실린 상품들에 대하여 실제 실물 상품을 보는것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해 해당 상품에 대한 실감나는 체험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이를 토대로 잡지에 실린 상품을 손쉽고 빠르게 구매 가능토록 하여 결과적으로 잡지 내 실린 상품에 대한 구매의 실패 확률을 줄여 만족스럽고 합리적인 소비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잡지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 장치에 의해 배포되는 스마트 잡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 장치의 상품 DB에 저장된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 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제공되는 비교후보 저장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으며,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 장치(10)를 포함하는 스마트 잡지 제공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 장치(10)를 본 장치(10)라 하기로 한다. 또한, 스마트 잡지 제공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 시스템(100)으로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시스템(100)이라 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100)은 본 장치(10), 소비자 단말(3) 및 관리자 단말(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100)은 본 장치(10)에 의해 배포(제공)되는 스마트 잡지(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장치(10)는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이하 설명의 편의상 본 서비스라 지칭될 수 있다. 즉, 본 장치(10)는 본 서비스(즉,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장치(10)는 본 서비스(혹은 본 서비스의 제공)와 관련된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어플, 앱)을 제공하는 장치 또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은 이하 설명의 편의상 본 프로그램 또는 본 앱이라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는 스마트 잡지(20)를 제작하여 배포(제공)할 수 있다.
소비자 단말(3)은, 본 장치(10)에 의해 배포되는 스마트 잡지(20)를 보는 소비자(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소비자는, 자신이 소지한 소비자 단말(3)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스마트 잡지(20) 내 복수의 상품의 상품정보 중 적어도 일부 정보를 촬영할 수 있으며, 촬영에 응답하여 촬영된 적어도 일부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의 상품설명용 콘텐츠를 본 장치(10)로부터 제공받아 확인 가능할 수 있으며, 또한 상품설명용 콘텐츠를 제공받은 이후 일예로 제공받은 상품설명용 콘텐츠에 대응하는 상품을 본 장치(10)로부터 구매 가능한 소비자(사용자)일 수 있다. 즉, 소비자는 소비자 단말(3)을 이용한 상기 적어도 일부 정보의 촬영을 통해, 스마트 잡지(20)에 포함된 복수의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소비자 단말(3)을 이용하여 본 장치(10)로부터 구매 가능한 소비자일 수 있다. 소비자는 남녀노소 누구나 일 수 있다.
소비자는 일예로 소비자 단말(3)을 통해 본 장치(10)에 접속(구체적으로, 본 프로그램 또는 본 앱에 접속)한 후, 회원가입을 하거나 하지 않고 본 서비스를 이용 가능할 수 있다. 즉, 소비자는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본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일 수 있다.
관리자 단말(4)은 본 장치(10)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소지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관리자는 스마트 잡지(20)의 제작 및 배포를 관리할 수 있다. 관리자는 제작되는 스마트 잡지(20)에 실리는(기재되는, 포함된) 복수의 상품에 관한 상품등록정보를 관리자 단말(4)을 통해 본 장치(10)의 상품 DB(16)에 업로드함으로써 상품 DB(16)에 등록(저장)시켜 둘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4)을 이용해 본 장치(10)에 접속함으로써, 본 장치(10)를 통해 스마트 잡지(20)에 포함된 복수의 상품을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사용자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관리자는 판매자 등의 용어로 달리 지칭될 수도 있다. 일예로, 관리자는 소비자 단말(3)에서 스마트 잡지(20)에 포함된 복수의 상품 중 적어도 한 상품에 대하여 구매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구매 요청에 응답하여 본 장치(10) 내 판매부(17)를 통하여 상기 구매 요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한 상품(실물 상품, 실물 판매 상품)이 소비자에게 배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품 DB(16)에는 스마트 잡지(20)에 실리는 복수의 상품별 상품등록정보가 저장(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품등록정보는 상품정보 및 상품설명용 콘텐츠가 연계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일예로 복수의 상품별 상품등록정보 중 어느 한 상품(일예로 제1 상품)의 상품등록정보는, 제1 상품의 상품정보와 제1 상품의 상품설명용 콘텐츠가 서로 연계되어 저장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품정보 및 상품설명용 콘텐츠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관리자는 일예로 관리자 단말(4)을 통해 본 장치(10)에 접속(구체적으로, 본 프로그램 또는 본 앱에 접속)한 후, 회원가입을 하거나 하지 않고 본 서비스를 이용 가능할 수 있다. 즉, 관리자는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본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일 수 있다.
소비자 단말(3) 및 관리자 단말(4)은 모두 본 장치(10)를 이용하는 사용자(즉, 소비자와 관리자)가 소지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소비자 단말(3) 및 관리자 단말(4) 각각은,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 등의 용어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소비자 단말(3) 및 관리자 단말(4) 각각은, 일예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 노트북, 웨어러블 디바이스, 데스크탑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장치(10)는, 소비자 단말(3) 및 관리자 단말(4) 각각과 네트워크(2)를 통해 연동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2)는 일예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다양한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일예에서는 본 시스템(100)이 1개의 소비자 단말(3)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시스템(100)은 복수개의 소비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소비자 단말(3)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복수개의 소비자 단말 각각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그 반대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장치(10)에서 고려되는 복수의 상품(일예로 스마트 잡지(20)에 포함된 복수의 상품, 또는 상품 DB(16)에 저장되는 복수의 상품) 중 어느 한 상품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그 반대로도 적용될 수 있다.
본 장치(10)는 일예로 소비자 단말(3) 및 관리자 단말(4) 각각에 설치되는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어플, 앱)의 형태로 구현 가능한 장치일 수 있으며, 이를 달리 표현하면, 본 장치(10)를 통해 제공되는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 방법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되어 소비자 단말(3)을 통해 소비자에게 제공되거나 및/또는 관리자 단말(4)을 통해 관리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일예로 본 장치(10)는 소비자 단말(3) 및 관리자 단말(4) 각각과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서버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처럼 서버의 형태로 마련된 본 장치(10)는,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본 프로그램 또는 본 앱에 접속한 소비자 단말(3) 또는 관리자 단말(4)의 작동(일예로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한 설명에서는 본 장치(10)가 일예로 서버의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이러한 경우 본 장치(10)는 본 서버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본 장치(1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 장치(10)에 의해 배포되는 스마트 잡지(2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 장치(10)의 상품 DB(16)에 저장된 정보(특히, 복수의 상품별 상품등록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장치(10)는 배포부(11), 학습부(12), 이미지 처리부(13), 제어부(14), 공유 관리부(15), 상품 DB(16) 및 판매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배포부(11)는, 복수의 상품별 상품정보가 인쇄된 인쇄물인 스마트 잡지(20)를 제작하여 배포할 수 있다. 배포부(11)는 스마트 잡지(20)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제작하여 배포할 수 있다.
스마트 잡지(20)는 본 발명에서 제안된 잡지로서, 신규한 구조의 잡지를 의미할 수 있다. 스마트 잡지(20)에 인쇄된 복수의 상품별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상품의 종류 및 개수는 본 장치(10)를 관리하는 관리자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 및 번경될 수 있다. 일예로, 복수의 상품은, 의류, 가전, 가구, 액세서리, 화장품 등과 같은 종류의 상품들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시회 관람권, 여생 상품권, 웨딩박람회 신청권 등 다양한 주제로 제공되는 서비스 상품이 포함될 수 있다. 스마트 잡지(20)는 스마트 잡지책 등의 용어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일예로, 배포부(11)는, 스마트 잡지(20)를 제작하여 배포하기 이전에, 관리자 단말(4)로부터 스마트 잡지(20)에 인쇄되기를 희망하는 복수의 상품에 관한 정보인 복수의 상품별 상품등록정보(21E, 22E, …)를 업로드받아 상품 DB(16)에 등록(저장)시켜 둘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가 업로드하는 복수의 상품별 상품등록정보(21E, 22E, …)에 대응하는 복수의 상품은, 스마트 잡지(20)의 배포를 통해 관리자가 판매 또는 홍보하고자 하는 상품(즉, 판매 또는 홍보를 희망하는 상품)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품 DB(16)에 등록된 복수의 상품별 상품등록정보(21E, 22E, …)는, 제1 상품의 상품등록정보(즉, 제1 상품등록정보, 21E), 제2 상품의 상품등록정보(즉, 제2 상품등록정보, 22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1 상품등록정보(21E)는, 제1 상품의 상품정보(즉, 제1 상품정보, 21') 및 제1 상품의 상품설명용 콘텐츠(즉, 제1 상품설명용 콘텐츠, 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상품등록정보(21E)는 제1 상품의 상품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번호는 상품 DB(16)에 등록된 상품등록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상품에 대하여 부여되는 인덱스 정보(또는 넘버링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특정 상품의 상품등록정보는, 특정 상품의 상품번호, 특정 상품의 상품정보 및 특정 상품의 상품설명용 콘텐츠가 서로 연계되어 저장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상품의 상품정보(제1 상품정보, 21')는, 제1 상품의 상품명(즉, 제1 상품명, 21a), 상품 촬영 이미지(즉, 제1 상품 촬영 이미지, 21b), 상품설명 텍스트 데이터(즉, 제1 상품설명 텍스트 데이터, 21c), 및 표식 데이터(즉, 제1 표식 데이터, 21d)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상품 촬영 이미지(21b)는, 제1 상품을 촬영한 이미지(사진)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상품설명 텍스트 데이터(21c)는, 제1 상품을 설명(또는 소개)하는 상품설명 정보에 해당하는 텍스트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상품이 식탁 의자인 경우, 제1 상품설명 텍스트 데이터(21c)는 '친환경 소재로 제작되어 혁신적인 디자인을 선보이는 독일 브랜드의 식탁 의자입니다. 심플하고 모던한 이미지 연출이 가능하고 오염으로부터 강인합니다. 해당 식탁 의자의 가로x세로x높이의 사이즈는 a x b x c(cm)와 같습니다' 등과 같을 수 있다. 제1 표식 데이터(21d)는, 제1 상품에 대하여 부여되는 제1 상품의 고유식별정보(고유식별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일예로 QR 코드 또는 바코드 형태로 제공되는 표식(마크)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표식 데이터(21d)에는 제1 상품에 대하여 기 생성된 제1 상품의 상품설명용 콘텐츠(즉, 제1 상품설명용 콘텐츠, 21'')의 정보가 저장(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상품설명용 콘텐츠(21'')는 관리자에 의해 생성(제작)된 것일 수 있다.
제1 상품의 상품설명용 콘텐츠인 제1 상품설명용 콘텐츠(21'')는, 제1 상품을 설명(또는 소개)하는 상품설명 정보가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혼합현실(mixed reality, MR) 및 확장현실(extended reality, XR)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구현되도록 생성된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일예로 제1 상품설명용 콘텐츠(21'')는, i) VR, AR, MR 및 XR 중 적어도 하나의 가상세계 환경 상에 구현된 제1 상품의 3D 모델 데이터와, ii) 상기 제1 상품설명 텍스트 데이터(21c)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세계 환경 상에 구현시킨 가상의 제1 상품설명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상품의 3D 모델 데이터는, 제1 상품의 실물(실제) 크기와 상응하는 크기를 갖도록 생성된 제1 상품의 3차원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상품설명용 콘텐츠(21'') 내 가상의 제1 상품설명 텍스트 데이터는, 소비자 단말(3)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때, 자막 표시 형태로 제공되거나 또는 제1 상품설명 텍스트 데이터(21c)에 해당하는 음성이 소비자 단말(3)의 스피커부를 통해 출력되는 형태로 제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상품설명용 콘텐츠(21'')는 일예로 영상(동영상) 등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품 DB(16)에 저장된 제1 상품의 제1 상품등록정보(21E)는, 제1 상품의 상품번호인 1, 제1 상품명(21a), 제1 상품 촬영 이미지(21b), 제1 상품설명 텍스트 데이터(21c), 제1 표식 데이터(21d), 및 제1 상품설명용 콘텐츠(21'')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품 DB(16)에 저장된 제2 상품의 제2 상품등록정보(22E)는, 제2 상품의 상품번호인 2, 제2 상품명(22a), 제2 상품 촬영 이미지(22b), 제2 상품설명 텍스트 데이터(22c), 제2 표식 데이터(22d), 및 제2 상품설명용 콘텐츠(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상품명(22a), 제2 상품 촬영 이미지(22b), 제2 상품설명 텍스트 데이터(22c), 및 제2 표식 데이터(22d)를 포함한 정보는 제2 상품의 상품정보(즉, 제2 상품정보, 22')라 지칭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상품 DB(16)에 등록된 복수의 상품별 상품등록정보(21E, 22E, …) 중 제1 상품등록정보(21E)를 기준으로(즉, 제1 상품을 기준으로) 상세히 설명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제1 상품등록정보(21E) 또는 제1 상품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복수의 상품별 상품등록정보 각각 또는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그 반대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배포부(11)는, 상품 DB(16)에 복수의 상품별 상품등록정보(21E, 22E, …)가 등록되고 나면, 이후 복수의 상품별 상품등록정보(21E, 22E, …)에서 복수의 상품별 상품정보(21', 22', …)를 추출하고, 추출된 복수의 상품별 상품정보(21', 22', …)를 스마트 잡지(20)의 종이에 인쇄시키는 인쇄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복수의 상품별 상품정보(21', 22', …)가 인쇄된 스마트 잡지(20)를 제작하여 배포할 수 있다. 이때, 배포부(11)는, 제작된 스마트 잡지(20)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에 배포할 수 있고, 제작된 스마트 잡지(20)를 유로 또는 무료로 배포할 수 있다.
학습부(12)는, 배포부(11)에서 배포된 스마트 잡지(20)에 인쇄된 복수의 상품별 상품정보(21', 22', …)를 입력값으로 하고 상기 복수의 상품별 상품정보(21', 22', …) 각각과 매칭되는 상품설명용 콘텐츠(21'', 22'', …)를 출력값으로 하도록 인공지능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모델은, 딥러닝 모델, 기계학습(머신러닝) 모델, 신경망 모델(인공 신경망 모델), 뉴로 퍼지 모델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모델은 예시적으로 컨볼루션 신경망(Convolution Neural Network, CNN, 합성곱 신경망), 순환신경망(RNN, Recurrent Neural Network), 딥 신경망(Deep Neural Network) 등 종래에 이미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신경망 모델이 적용될 수 있다.
학습부(12)에 의해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은, 이하 설명에서 기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이라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기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은, 일예로 소비자 단말(3)로부터 복수의 상품별 상품정보 중 적어도 일부 정보를 촬영한 촬영 이미지(일예로 제1 상품정보의 적어도 일부 정보를 촬영한 촬영 이미지)가 획득됨에 따라 이러한 획득된 촬영 이미지가 입력값으로 적용되었을 때, 그에 응답하여 촬영 이미지에 대응하는 상품의 상품설명용 콘텐츠(즉, 일예로 제1 상품 설명용 콘텐츠)를 출력하도록(출력값으로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미지 처리부(13)는, 배포된 스마트 잡지(20)에 인쇄된 복수의 상품별 상품정보(21', 22', …) 중 어느 한 상품인 제1 상품과 관련하여, 상기 제1 상품의 상품정보(21', 제1 상품정보)의 적어도 일부 정보를 촬영한 촬영 이미지가 소비자 단말(3)로부터 획득된 경우, 상기 획득된 촬영 이미지를 학습부(12)에 의해 기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촬영 이미지와 매칭되는 상품설명용 콘텐츠를 상기 제1 상품의 상품설명용 콘텐츠(21'')로서 획득할 수 있다.
즉, 이미지 처리부(13)는, 소비자 단말(3)로부터 촬영 이미지가 획득된 경우, 획득된 촬영 이미지를 기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의 입력으로 적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기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로부터 출력되는 상품설명용 콘텐츠(이는 촬영 이미지에 대응하는 상품의 상품설명용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음)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처리부(13)가 기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로부터 획득하는 상품설명용 콘텐츠는, 일예로 촬영 이미지가 제1 상품의 상품정보(21')의 적어도 일부 정보를 촬영한 이미지임에 따라, 제1 상품의 상품설명용 콘텐츠(21'')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소비자 단말(3)로부터 획득된 촬영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일부 정보(즉, 제1 상품의 상품정보의 적어도 일부 정보)는, 일예로 제1 상품의 상품설명용 콘텐츠(21'')를 포함하도록 생성된 제1 상품에 대응하는 QR 코드(즉, 제1 QR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소비자 단말(3)로부터 획득된 촬영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일부 정보는, 일예로 QR 코드 또는 바코드의 형태로 구현되어 스마트 잡지(20) 상에 인쇄된 제1 상품의 표식 데이터인 제1 표식 데이터(21d)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소비자는 일예로 스마트 잡지(20)를 보는 중에, 스마트 잡지(20) 내 복수의 상품 중 제1 상품에 대한 실감 체험을 희망하는 경우, 스마트 잡지(20)에 인쇄되어 있는 제1 표식 데이터(21d)를 소비자 단말(3)의 카메라를 이용해 촬영(인식, 스캔)할 수 있다. 이처럼, 소비자가 제1 표식 데이터(21d)를 촬영하고 나면, 이미지 처리부(13)는 촬영 이미지(일예로 제1 표식 데이터(21d)를 촬영함으로써 생성된 제1 표식 데이터(21d)의 촬영 이미지)를 기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에 적용함으로써 제1 상품 설명용 콘텐츠(21'')를 획득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에서는, 일예로 촬영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일부 정보가 제1 표식 데이터(21d)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촬영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일부 정보는, 제1 상품 촬영 이미지(21b)의 적어도 일부를 촬영한 이미지나, 제1 상품설명 텍스트 데이터(21c) 중 적어도 일부의 텍스트 데이터를 촬영한 이미지 등일 수도 있다.
제어부(14)는, 이미지 처리부(13)가 기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로부터 제1 상품의 상품설명용 콘텐츠(21'')를 획득하고 나면, 이후 소비자 단말(3)로부터 획득된 촬영 이미지에 응답하여, 기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로부터 획득된 제1 상품의 상품설명용 콘텐츠(21'')를 소비자 단말(3)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는 제1 상품의 상품설명용 콘텐츠(21'')를 소비자 단말(3) 뿐만 아니라, 일예로 소비자가 소지한 가상세계 환경 구현 장치(미도시)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4)는 소비자가 소비자 단말(3) 또는 가상세계 환경 구현 장치(미도시)를 통해 제1 상품의 상품설명용 콘텐츠(21'')를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세계 환경 구현 장치(미도시)는 일예로 전술한 VR, AR, MR 및 XR 중 적어도 하나의 가상세계 환경(기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기(장치,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가상세계 환경 구현 장치(미도시)는 일예로 VR/AR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인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구글 글라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상세계 환경 구현 장치(미도시)로는, 소비자가 복수의 상품을 현실감 있고 실감나게 체험할 수 있도록 지원(즉, 상품 설명용 콘텐츠들에 대한 실감나는 체험을 지원)하는 각종 기기(장치, 단말)로서, 종래에 이미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되는 VR/AR/MR/XR 등의 구현이 가능한 각종 기기(장치, 단말)가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에서는, 일예로 소비자 단말과 가상세계 환경 구현 장치(미도시)가 별도로 마련되는 구성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예로 소비자 단말 자체가 가상세계 환경 구현 장치일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소비자 단말(3)은 일예로 제어부(14)로부터 제1 상품설명용 콘텐츠(21'')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4)는 제1 상품설명용 콘텐츠(21'')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가 스마트 잡지(20) 내에 실린 제1 상품을 실제로 보지 않았으나, 마치 실제로 본 것과 같은 느낌(즉, 제1 상품의 실제 실물 상품을 실제로 보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해당 제1 상품에 대한 실감나는 체험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상품설명용 콘텐츠(21'')는, 소비자가 제1 상품을 가상으로 체험해 볼 수 있도록 생성된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는 본 장치(10) 내 각 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는 본 장치(10)와 네트워크(2)를 통해 연동된 소비자 단말(3) 및 관리자 단말(4) 각각의 작동(일예로 화면 표시 작동 등)을 제어할 수 있다.
공유 관리부(15)는, 제어부(14)로부터 제1 상품의 상품설명용 콘텐츠(21'')를 제공받은 소비자 단말(3)에서 공유 요청이 이루어진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공유 요청에 응답하여, 제1 상품의 상품설명용 콘텐츠(21'')와 소비자의 소비자 이미지를 합성시킴으로써 생성된 소비자 체험 합성 영상을 SNS 관계망에 업로드하여 타 사용자들에게 공유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SNS 관계망은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관계망(네트워크) 또는 타 SNS 관계망(네트워크)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특정한 관심이나 활동을 공유하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망(사람들 사이에 형성되는 관계망)을 의미할 수 있다. SNS 관계망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Social Media)의 제공이 가능한 관계망(네트워크)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SNS 관계망 중 특히 타 SNS 관계망은, 인스타, 트위터, 페이스북, 카톡, 밴드, 인터넷 카페 등 다양한 SNS 관계망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소비자 체험 합성 영상 내 소비자 이미지는, 일예로 소비자 단말(3)의 카메라로 소비자를 촬영함으로써 생성된 소비자 촬영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예로 소비자 체험 합성 영상 내 소비자 이미지는, 소비자 단말(3)로부터 소비자 신체 특성 정보가 기 획득된 경우, 기 획득된 소비자 신체 특성 정보를 기반으로 기 생성된 소비자의 3차원 아바타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소비자 신체 특성 정보는, 예시적으로 소비자의 키, 몸무게, 발사이즈, 피부색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 DB(16)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4)로부터 업로드된 복수의 상품별 상품등록정보(21E, 22E, …)를 저장할 수 있다. 상품 DB(16)는 데이터베이스부, 상품 데이터베이스부, 메모리부 등의 용어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일예로 제어부(14)는 제1 상품의 상품설명용 콘텐츠(21'')를 소비자 단말(3)로 제공(소비자 단말(3)의 화면에 제공)할 때, 일예로 소비자가 제1 상품 설명용 콘텐츠(21'')에 대응하는 제1 상품에 대한 구매가 가능하도록, 구매 버튼을 포함한 제1 상품의 상품설명용 콘텐츠(21'')를 소비자 단말(3)로 제공할 수 있다.
소비자 단말(3)은, 제1 상품의 상품설명용 콘텐츠(21'')에 포함된 구매 버튼을 클릭한 후 기 설정된 제1 상품의 판매가격에 해당하는 금액을 결제함으로써, 제1 상품의 구매가 가능할 수 있다.
판매부(17)는, 제어부(14)에서 구매 버튼을 포함한 제1 상품의 상품설명용 콘텐츠(21'')를 소비자 단말(3)로 제공한 이후, 소비자 단말(3)에서 상기 구매 버튼에 대한 클릭 후 상기 제1 상품의 판매가격에 해당하는 금액에 대한 결제가 완료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이후 제1 상품(특히, 제1 상품의 실물 상품)이 소비자에게 배송되도록 함으로써 제1 상품에 대한 판매를 수행할 수 있다. 판매부(17)는 스마트 잡지(20)에 포함된 복수의 상품에 대한 판매를 관리할 수 있다.
이때, 판매부(17)는, 일예로 상기 구매 버튼에 대한 소비자의 클릭이 이루어진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소비자 단말(3)에서 구매 요청 신호가 이루어진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구매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소비자 단말(3)에서 미리 정의된 결제진행절차가 진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결제진행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제1 상품의 판매가격에 해당하는 금액에 대한 결제가 완료된 것으로 감지하여, 이후 제1 상품이 소비자에게 배송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상품의 판매가격에 해당하는 금액은 이하 설명의 편의상 제1 상품의 판매가라 지칭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미리 정의된 결제진행절차는, i) 소비자 단말(3)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소비자 소유의 결제용카드가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제1 과정, ii) 제1 과정에서 복수개의 결제용카드가 소비자 단말(3)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복수개의 결제용카드 각각의 카드혜택정보를 상기 복수개의 결제용카드 각각에 대응하는 카드사의 홈페이지로부터 획득하는 제2 과정, iii) 상기 제2 과정에서 획득된 복수개의 결제용카드 각각의 카드혜택정보와 상기 제1 상품이 판매되는 판매 사이트의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개의 결제용카드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제1 상품의 판매가의 결제 수행시 예상되는 예상할인금액을 도출하는 제3 과정, 및 iv) 제3 과정에서 도출된 복수개의 결제용카드별 예상할인금액 중 적어도 하나의 예상할인금액이 다른 경우, 복수개의 결제용카드 중 예상할인금액이 가장 높은 값을 갖는 어느 한 결제용카드를 결제대상카드로 선정(1차 선정)하고, 상기 선정(1차로 선정)된 결제대상카드로 상기 제1 상품의 판매가에 대한 실제 결제를 진행하는 제4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3 과정에서, 판매 사이트의 속성 정보는 일예로 판매 사이트와 제휴된 카드사가 존재하는 경우, 제휴된 카드사의 정보와 제휴된 카드사별 할인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과정에서 고려되는 예상할인금액은 결제용카드로 결제시에 할인이 되는 금액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일예로 제1 결제용카드로 결제를 할 경우 1000원이 할인이 된다면, 1000원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정의된 결제진행절차는, v) 일예로 제4 과정의 수행시, 복수개의 결제용카드별 예상할인금액 중 적어도 하나의 예상할인금액이 다르되, 복수개의 결제용카드 중 예상할인금액이 가장 높은 값을 갖는 결제용카드가 적어도 2개 이상임으로 인하여, 복수개의 결제용카드 중 예상할인금액이 가장 높은 값을 갖는 어느 한 결제용카드를 결제대상카드로 선정(즉, 1차로 선정)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이후 상기 미리 정의된 결제진행절차가 진행되는 현 진행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예상할인금액이 가장 높은 값을 갖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결제용카드 각각에 대응하는 카드사의 홈페이지로부터,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결제용카드 각각에 대한 상기 현 시점에서의 미달되어 있는 미달된 카드실적금액 정보를 획득하고, 이후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결제용카드 각각의 미달된 카드실적금액 정보 중 미달된 카드실적금액 정보가 가장 낮은 값을 갖는 어느 한 결제용카드를 결제대상카드로 선정(2차 선정)하고, 상기 선정(2차로 선정)된 결제대상카드로 상기 제1 상품의 판매가에 대한 실제 결제를 진행하는 제5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정의된 결제진행절차는, 제5 과정과 유사하게, vi) 일예로 제4 과정의 수행시, 복수개의 결제용카드별 예상할인금액이 모두 동일함으로 인하여, 복수개의 결제용카드 중 예상할인금액이 가장 높은 값을 갖는 어느 한 결제용카드를 결제대상카드로 선정(즉, 1차로 선정)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이후 상기 미리 정의된 결제진행절차가 진행되는 현 진행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복수개의 결제용카드 각각에 대응하는 카드사의 홈페이지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결제용카드 각각에 대한 상기 현 시점에서의 미달되어 있는 미달된 카드실적금액 정보를 획득하고, 이후 상기 복수개의 결제용카드 각각의 미달된 카드실적금액 정보 중 미달된 카드실적금액 정보가 가장 낮은 값을 갖는 어느 한 결제용카드를 결제대상카드로 선정(2차 선정)하고, 상기 선정(2차로 선정)된 결제대상카드로 상기 제1 상품의 판매가에 대한 실제 결제를 진행하는 제6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미리 정의된 결제진행절차는 일예로 소비자 단말(3)에서 미리 정의된 결제진행절차 자동 수행 동의란에 소비자가 동의체크를 입력한 경우에 한해서만 자동으로 진행되는 절차일 수 있다.
판매부(17)는 상술한 미리 정의된 결제진행절차로 제1 상품의 판매가에 대한 결제가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소비자가 보유한 복수개의 결제용카드 중 1차적으로 예상할인금액이 가장 높은 카드로 우선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예상할인금액이 가장 높은 카드의 식별(선정)이 불가능한 경우, 2차적으로 미달된 카드실적금액 정보가 가장 낮은 카드로 우선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바, 결과적으로 소비자가 다수개의 카드를 보유하고 있는 상태일 때 보다 혜택을 많이 누릴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카드 결제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합리적인 소비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 장치(10)는 표식 데이터(일예로 QR 코드 등)의 인식을 기반으로 상품정보를 AR 영상, VR 영상 등의 콘텐츠(즉, 상품설명용 콘텐츠)로 제공 가능한 스마트 잡지(20)를 제공하는 장치, 내지 이러한 스마트 잡지(20)의 제공을 통하여 스마트 잡지(20) 내 상품의 상품정보를 상품설명용 콘텐츠로 제공 가능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장치(10)는 소비자가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스마트 잡지(20)를 볼 때, 스마트 잡지(20) 내 특정 상품의 상품정보를 제공하는 QR 코드나 바코드 등과 같은 표식 데이터를 스마트폰 등의 소비자 단말(3)을 이용해 촬영하면, 소비자가 촬영한 QR 코드에 대응하는 상품의 상품 설명용 콘텐츠를 소비자 단말(3)로 제공함으로써, 소비자가 상품 설명용 콘텐츠로 하여금 온라인 상에서 해당 상품에 대한 정보(일예로 해당 상품의 상품설명 정보)를 AR, VR 등으로 실감나게 보고 들을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상품 설명용 콘텐츠로 하여금 해당 상품을 가상으로 체험해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스마트 잡지(20) 내 특정 상품의 구매시 합리적인 소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도움 줄 수 있다.
또한, 일예로 본 장치(10)는, 소비자가 체험 장면을 동영상으로 변환하여 사회관계망에 공유할 수 있도록 함(달리 표현해, 공유 관리부(15)로 하여금 소비자가 소비자 체험 합성 영상을 SNS 관계망에 업로드하여 타 사용자들에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홍보 효과를 얻게 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0)는 상기 공유를 통해, 복수의 상품을 판매하는 관리자에게 있어서, 소비자에 의한 소비자 체험 합성 영상의 공유를 통해 관리자가 판매하는 상품에 대한 홍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는, 본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합리적인 소비를 도와 반품과 물류비를 줄이고, 판매자(관리자)의 저렴한 홍보비용이 보다 나은 상품(제품)의 질로 이어지는 결과를 얻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는 상품 설명용 콘텐츠의 제공을 통해, 현재 정체되어 있는 상품(제품) 광고 시장에서 소비자들이 쉽게 상품을 시각화하여 느껴볼 수 있도록 하는 VR 등의 체험 기반 광고가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는 상품 설명용 콘텐츠의 제공을 통해, 웹과 모바일 환경을 가리지 않고, 소비자가 기존의 사진으로만 보던 상품의 상품정보(특히, 상품설명 정보)를 VR, AR, MR, XR 등을 이용해 체험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온라인 판매가 불리했던 분야의 상품판매를 활성화시켜 이 효과로 교환이나 반품, 환불 등이 효과적으로 줄어들게 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0)는 상품 설명용 콘텐츠의 제공을 통해, 종래에 온라인 상품 판매가 가진 문제점(일예로, 실물 상품의 확인이 불가능함에 따라, 소비자가 온라인 판매 상품을 구매했을 때 예상했던 상품과 다름으로 인해 해당 상품에 만족하지 못하여 환불, 교환 및 반품 등을 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는 바로 결제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일예로 간편결제를 통해) 쉬운 결제를 유도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이를 통해 소비자가 스마트 잡지(20) 내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 내지 구매를 위한 결제를 쉽고 빠르게 수행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는 소비자가 제품을 체험하는 영상(일예로 상술한 소비자 체험 합성 영상)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마트 잡지(20) 내 상품에 대한 홍보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환경(즉, 소비자를 통하여 상품에 대한 홍보가 홍보하기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바,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관리자)에게 있어서 적은 광고비용으로 최대의 광고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도움줄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는 일예로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예로, 제어부(14)는, 제1 상품의 상품설명용 콘텐츠(21'')를 소비자 단말(3)로 제공(소비자 단말(3)의 화면에 제공)할 때, 일예로 소비자가 제1 상품의 상품설명용 콘텐츠(21'')를 확인한 이후 상품 DB(16)에 등록된 복수의 상품의 상품정보의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품 더보기 버튼을 포함한 제1 상품의 상품설명용 콘텐츠(21'')를 소비자 단말(3)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는 소비자 단말(3)에서 상품 더보기 버튼에 대한 클릭이 이루어진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상품 더보기 버튼에 대한 클릭에 응답하여 상품 DB(16)에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의 상품정보의 리스트를 생성하여 소비자 단말(3)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리스트 내에 포함된 복수의 상품의 상품정보는, 앞서 말한 복수의 상품별 상품정보(21', 22', …)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소비자는 리스트 내에 포함된 복수의 상품의 상품정보(21', 22', …)를 서로 비교하고 확인해보면서, 가장 마음에 드는 상품을 선택해 결제함으로써 구매 가능할 수 있고, 그 과정에서 복수의 상품 중 여러 관심후보 상품들 사이에서 어떤 상품을 최종적으로 선택해 결제할지를 고민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는 소비자가 여러 상품들을 서로 비교해 볼 때에 비교 편의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비교후보 저장유닛(50)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 장치(10)의 제어부(14)에 의해 제공되는 비교후보 저장유닛(5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4)는,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의 상품정보의 리스트를 생성하여 소비자 단말(3)의 화면에 표시할 때, 소비자 단말(3)의 화면의 일영역에 비교후보 저장유닛(50)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즉, 리스트에는 복수의 상품의 상품정보인 복수의 상품별 상품정보(21', 22', 23', …)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4)는 리스트와 비교후보 저장유닛(50)을 소비자 단말(3)의 한 화면 상에 제공함으로써, 소비자가 복수의 상품별 상품정보(21’, 22’, 23’, …) 중 일예로 가장 마음에 드는 1개의 상품정보로서 제1 상품정보(21’)를 최종 선택함에 있어서, 그 과정에서 리스트 내 복수의 상품별 상품정보(21’, 22’, 23’, …) 중 일부 상품정보(일예로 제1 상품정보와, 제3 상품정보)가 마음에 드는 경우, 마음에 드는 일부 상품정보를 관심후보 상품정보로서 비교후보 저장유닛(50)에 임시로 저장해 두고, 비교후보 저장유닛(50)에 임시로 저장해둔 일부 상품정보(즉, 일부 관심후보 상품정보)와 리스트 내 복수의 상품별 상품정보(21’, 22’, 23’, …)들을 소비자 단말(3)의 한 화면 상에서 함께(동시에) 보고 비교해 보면서, 최종 마음에 드는 상품정보(일예로 제1 상품정보(21’))를 최종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비자는 리스트 내 복수의 상품별 상품정보(21’, 22’, 23’, …)를 확인해 보면서, 일예로 제1 상품정보(21’)를 관심후보 상품정보로 임시 저장해 두고 싶은 경우, 제1 상품정보(21’)를 미리 설정된 시간(일예로 2초) 동안 누를 수 있고, 이에 응답하여 제어부(14)는 소비자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누른 제1 상품정보(21’)를 비교후보 저장유닛(50) 내 비어있는 복수개의 후보 저장영역(51, 52, …) 중 제1 후보 저장영역(51)에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소비자는 리스트를 확인해 보면서 리스트 내 복수의 상품별 상품정보(21’, 22’, 23’, …) 중 제3 상품정보(23’)를 관심후보 상품정보로 추가로 임시 저장해 두고 싶은 경우, 제3 상품정보(23’)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누를 수 있으며, 이에 응답하여 제어부(14)는 비교후보 저장유닛(50) 내 제2 후보 저장영역(52)에 제3 상품정보(23’)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비교후보 저장유닛(50)은 기본적으로 도 4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은 기본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소비자가 자신이 관심후보 상품정보로 임시 저장해 둔 복수의 상품정보(즉, 복수의 관심후보 상품정보)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 소비자는 기본 상태의 비교후보 저장유닛(50) 내 확장란(50a)을 클릭할 수 있다. 이때, 확장란(50a)에 대한 소비자의 클릭 입력에 응답하여, 제어부(14)는 기본 상태의 비교후보 저장유닛(50)이 도 4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확장 상태의 비교후보 저장유닛(50’)으로 표시되도록 소비자 단말(3)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확장 상태의 비교후보 저장유닛(50’)을 통해, 소비자는 자신이 임시 저장해둔 복수의 관심후보 상품정보(일예로 제1 상품정보와 제3 상품정보)를 확인 가능할 수 있다. 즉, 확장 상태의 비교후보 저장유닛(50’) 내에는 제1 후보 저장영역(51)에 제1 상품정보(21’)에 대한 정보가, 제2 후보 저장영역(52)에 제3 상품정보(23’)에 대한 정보가 표시(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는, 확장 상태의 비교후보 저장유닛(50’) 내 각 후보 저장영역을 통해서, 일예로 임시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관심후보 상품정보 각각의 대표 이미지(일예로 제1 후보 저장영역(51)에는 제1 상품정보(21’)의 대표 이미지가, 제2 후보 저장영역(52)에는 제3 상품정보(23’)의 대표 이미지)가 표시(노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4)는, 확장 상태의 비교후보 저장유닛(50’) 내 각 후보 저장영역에 표시(노출)되는 상품정보(특히나, 관심후보 상품정보)의 대표 이미지가, i) 상품정보(즉, 관심후보 상품정보)를 본 장치(10)에 등록한 사용자(즉, 상품정보를 본 장치(10)에 업로드한 판매자로서 일예로 관리자 단말(4)의 관리자)가 미리 설정해 둔 섬네일 이미지(대표 이미지)로 자동 설정되도록 하는 제1 경우로 설정되거나, ii) 상품정보 내에 복수의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일 때, 상품정보 내 복수의 이미지 중 소비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한 이미지로 설정되도록 하는 제2 경우로 설정되거나, 또는 iii) 상품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전체 내용들 중에서 소비자가 대표 이미지로의 설정을 원하는 일부 내용이 포함되도록 소비자에 의해 직접 지정된 드래그 영역(사각형 또는 동그라미의 드래그 영역)에 해당하는 이미지로 설정되도록 하는 제3 경우로 설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비교후보 저장유닛(50)(혹은 확장 상태의 비교후보 저장유닛(50’)) 내 각 후보 저장영역에 표시되는 대표 이미지는 상술한 제3 경우로 설정되도록 함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고, 소비자에 의해 설정된 대표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일 때(즉, 제3 경우 또는 제2 경우로 대표 이미지가 설정되지 않을 때)에 상술한 제1 경우로 설정됨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통상 커뮤니티, 상품 판매 등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사이트 상에서는 특정 정보에 대해 관심이 있어 관심있는 해당 정보를 관심정보로서 장바구니나 찜 등으로 저장해 두는 경우, 이들 관심정보들을 장바구니 페이지나 찜 설정 페이지로 따로 이동해야지만 확인이 가능하였는바, 현재 보고있는 상품들의 정보와 찜한 상품(혹은 장바구니에 담아둔 상품)의 정보를 한 화면에서 동시에 확인이 불가능한 구조였다. 또한 통상 이러한 장바구니 페이지나 찜 설정 페이지에 표시되는 관심정보의 대표 이미지는 해당 관심정보를 업로드한 업로더(즉, 판매자)가 기 설정해둔 대표 이미지가 보이기 마련인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사용자(소비자)가 저장해둔 관심정보가 복수개일 때, 해당 대표 이미지(즉, 판매자가 설정해둔 대표 이미지)만으로는 사용자가 해당 정보에 대하여 어떤 점이 좋아서 관심정보로 지정해 두었는지를 직관적으로 확인하기 어렵고, 이에 따라 어떤 점이 마음에 들어 관심정보로 지정했는지의 이유를 찾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찜해둔 관심정보들을 일일이 다시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본 장치(10)는 소비자가 복수의 상품별 상품정보(21’, 22’, 23’, …) 중 일부 상품정보를 관심후보 상품정보로서 비교후보 저장유닛(50) 내 후보 저장영역에 임시로 저장해 둘 수 있도록 할 때, 이때 각 후보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상품정보(즉, 관심후보 상품정보)의 대표 이미지로서 해당 상품정보(즉, 관심후보 상품정보)에 기 설정되어 있는 대표 이미지(즉, 판매자가 상품정보의 업로드시 판매자가 설정해둔 대표 이미지)가 아닌, 소비자가 원하는 일부 내용이 포함되도록 드래그 영역의 지정을 통해 설정된 이미지(즉, 관심후보 상품정보의 전체 내용들 중 소비자에 의해 직접 드래그 입력으로 지정된 드래그 영역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적용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정보의 전체 내용은, 상품명, 상품 촬영 이미지, 상품설명 텍스트 데이터, 및 표식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체 데이터의 내용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장치(10)는 비교후보 저장유닛(50)의 제공을 통해, 리스트가 표시된 소비자 단말(3)의 화면 상에서 소비자가 관심 있어 하는 복수의 관심후보 상품정보의 이미지들(대표 이미지들)만을 모아 함께 직관적으로 서로 확인하고 비교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별도의 페이지 이동 없이 상품정보의 리스트가 표시된 현재의 화면 상에서 자신이 관심 정보로 임시 저장해둔 정보들인 관심후보 상품정보를 한눈에 한 화면상에서 함께 확인 가능하도록 하여 비교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상품 DB(16)에 등록된 복수의 상품별 상품정보(21’, 22’, 23’, …)가 관리자 단말(4)의 관리자에 의해 업로드되고 스마트 잡지(20)에 안쇄되는 정보인 것으로만 예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상품 DB(16)에 등록된 복수의 상품별 상품정보(21’, 22’, 23’, …)는, 본 장치(10)를 관리하는 관리자(즉, 관리자 단말(4)의 관리자인 판매자) 뿐만 아니라, 관리자와 본 장치(10)를 이용하는 복수의 타 판매자에 의해 등록된 복수의 상품별 상품정보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일예로 상품 DB(16)에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별 상품정보(21’, 22’, 23’, …)에는, 동일한 상품명을 가지되 서로 다른 복수의 판매자(서로 다른 둘 이상의 판매자)에 의해 업로드된 중복 상품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품 DB(16)에는 복수의 판매자 중 제1 판매자(일예로 관리자)에 의해 업로드된 제1 상품정보, 제2 판매자에 의해 업로드된 제2 상품정보, 제3 판매자에 의해 업로드된 제3 상품정보, 제4 판매자에 의해 업로드된 제4 상품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때 일예로 제1 상품정보 내지 제3 상품정보는 서로 판매자는 다르나, 동일한 상품명을 가진 동종의 상품정보(중복 상품정보)일 수 있고, 제1 상품정보 내지 제3 상품정보는 각각 가격이 서로 상이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동일할 수도 있다.
이때, 비교후보 저장유닛(50)은 일영역에 마련된 중복 제외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는, 일예로 소비자가 리스트 내 복수의 상품별 상품정보(21’, 22’, 23’, …) 중 제1 상품정보(21’)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누름으로써 제1 관심후보 상품정보로서 제1 후보 저장영역(51)에 임시로 저장되도록 한 이후, 소비자가 상기 비교후보 저장유닛(50) 내 중복 제외 버튼을 클릭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중복 제어 버튼에 대한 소비자의 클릭 입력에 응답하여, 리스트를 업데이트 함으로써 업데이트된 리스트가 소비자 단말(3)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업데이트된 리스트는, 리스트(업데이트 전 리스트) 내 복수의 상품별 상품정보(21’, 22’, 23’, …) 중에서, 비교후보 저장유닛(50) 내 복수개의 후보 저장영역(51, 52, …) 각각에 임시로 저장된 관심후보 상품정보들과 동일한 상품명을 가진 동종의 상품정보들을 제외시킴으로써 생성되는 리스트를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어부(14)에 의해 제공되는 리스트 내에 복수의 상품별 상품정보(21’, 22’, 23’, …)로서 40개의 상품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40개의 상품정보 중 5개의 상품정보(일예로 제1 상품정보, 제6 상품정보, 제7 상품정보, 제23 상품정보, 및 제39 상품정보)가 서로 판매자는 다르나 동일한 상품명을 가진 동종의 상품정보(동종의 중복 상품정보)라고 하자. 이때, 소비자가 리스트 내 40개의 상품정보 중 제1 상품정보를 관심후보 상품정보로서 제1 후보 저장영역(51)에 임시로 저장시켜 두고, 이후 비교후보 저장유닛(50) 내 중복 제외 버튼을 클릭한 경우, 이후 제어부(14)는 리스트 내 40개의 상품정보 중에서 상기 5개의 상품정보(즉, 제1 후보 저장영역(51)에 저장된 관심후보 상품정보와 동일한 상품명을 가진 동종의 상품정보들인 상기 5개의 상품정보)를 제외시킴으로써, 상기 5개의 상품정보가 제외된 리스트(즉, 총 35개의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업데이트된 리스트로서 생성하여 소비자 단말(3)의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이후, 35개의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업데이트된 리스트 내에서, 소비자가 어느 한 상품정보로서 제2 상품정보를 관심후보 상품정보로서 비교후보 저장유닛(50) 내 제2 후보 저장영역(52)에 임시로 저장시켜 두고, 이후 비교후보 저장유닛(50) 내 중복 제외 버튼을 재차 클릭했다고 하자. 그리고, 35개의 상품정보 내에는 제2 상품정보를 포함한 총 3개의 상품정보가 서로 판매자가 다르되 동일한 상품명을 가진 동종의 상품정보들이라고 하자. 이러한 경우, 제어부(14)는, 소비자가 제2 상품정보를 제2 후보 저장영역(52)에 임시로 저장시켜 둔 후 중복 제외 버튼을 재차 클릭한 것으로 감지되었을 때, 이후 35개의 상품정보 중 총 3개의 상품정보를 제외시킨 32개의 상품정보를 포함한 리스트를 재차 업데이트된 리스트로서 생성하여 소비자 단말(3)의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어부(14)는, 중복 제외 버튼을 제공함으로써, 리스트 내에 포함된 복수의 상품정보 중에서 소비자가 복수개의 후보 저장영역(51, 52, …)에 관심후보 상품정보를 임시로 저장시켜 둘 때마다, 임시로 저장된 관심후보 상품정보와 중복되는 동종의 상품정보를 제외시킨 리스트(즉, 업데이트된 리스트)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해 제공할 수 있는바, 소비자가 다수의 상품정보를 볼 때에 자신이 이미 관심후보로 지정해둔(즉, 관심후보 상품정보로서 후보 저장영역에 임시로 저장시켜둔) 상품정보들을 제외한 나머지 상품정보들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어, 중복되는 상품정보를 확인함으로 인한 시간 낭비 등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품정보들 간에 효율적인 정보의 비교 및 효율적인 구매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비교후보 저장유닛(50)은 일영역에 마련된 최저가 표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는, 일예로 소비자가 복수개의 후보 저장영역(51, 52, …)에 관심후보 상품정보로서 일예로 3개의 관심후보 상품정보를 임시로 저장시켜둔 상태에서 비교후보 저장유닛(50) 내 최저가 표시 버튼을 클릭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이후 상품 DB(16)와 타 온라인 쇼핑몰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 3개의 관심후보 상품정보 각각에 대하여 각 관심후보 상품정보와 동일한 상품명을 가진 동종의 상품정보에 대한 최저가 일괄 검색을 수행하고, 이후 최저가 일괄 검색의 결과를 기반으로, 3개의 관심후보 상품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3개의 후보 저장영역의 하단 영역에 상기 3개의 관심후보 상품정보 각각의 최저가 금액 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후보 저장영역 내지 제3 후보 저장영역 각각에 임시로 저장된 3개의 관심후보 상품정보가, 모두 원피스(드레스)이되, 각기 다른 브랜드의 원피스(즉, 각기 다른 상품명을 가진 3개의 원피스)로서 제1 브랜드의 원피스, 제2 브랜드의 원피스 및 제3 브랜드의 원피스가 포함되어 있다고 하자. 이때, 소비자가 최저가 표시 버튼을 클릭한 경우, 제어부(14)는 상품 DB(16)와 타 온라인 쇼핑몰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 3개의 관심후보 상품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동종의 상품정보에 대한 최저가 일괄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일예로 최저가 일괄 검색을 수행하였더니, 상품 DB(16)와 타 온라인 쇼핑몰에서 i) 제1 브랜드의 원피스와 관련하여서는 3만원, 3만 2천원, 3만5천원을 포함하여 3개의 각기 다른 가격으로 판매중인 것으로 검색되고, ii) 제2 브랜드의 원피스와 관련하여서는 4만 1천원, 4만 8천원, 5만 2천원, 5만 5천원을 포함하여 4개의 각기 다른 가격으로 판매중인 것으로 검색되며, iii) 제3 브랜드의 원피스와 관련하여서는 2만3천원, 2만 5천원을 포함하여 2개의 각기 다른 가격으로 판매중인 것으로 검색되었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제어부(14)는, 최저가 일괄 검색의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비교후보 저장유닛(50) 내 제1 후보 저장영역 내지 제3 후보 저장영역의 하단 영역에 상기 3개의 관심후보 상품정보 각각의 최저가 금액 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는, 최저가 일괄 검색이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최저가 금액 정보로서, 일예로 제1 후보 저장영역의 하단 영역에 제1 브랜드의 원피스의 최저가 금액으로서 3만원이 표시되도록 하고, 제2 후보 저장영역의 하단 영역에 제2 브랜드의 원피스의 최저가 금액으로서 4만 1천원이 표시되도록 하며, 제3 후보 저장영역의 하단 영역에 제3 브랜드의 원피스의 최저가 금액으로서 2만 3천원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본 장치(10)는 최저가 표시 버튼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가 관심후보로 지정해둔 복수의 상품정보(즉, 후보 저장영역에 임시로 저장시켜 둔 복수의 관심후보 상품정보)를 대상으로 하여, 관심후보 상품정보들 각각에 대한 최저가 금액이 일괄적으로 검색되어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바, 무엇을 최종적으로 구매할지를 결정함에 있어서 관심있어 하는 관심후보 상품정보들 중에서도 그들의 최저가 금액을 함께 고려하여 최종 구매의 결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합리적인 소비/구매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 방법은 앞서 설명된 본 장치(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본 장치(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S11에서 학습부는, 배포된 스마트 잡지에 인쇄된 복수의 상품별 상품정보를 입력값으로 하고 상기 복수의 상품별 상품정보 각각과 매칭되는 상품설명용 콘텐츠를 출력값으로 하도록 인공지능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12에서 이미지 처리부는, 스마트 잡지에 인쇄된 복수의 상품별 상품정보 중 어느 한 상품인 제1 상품과 관련하여, 상기 제1 상품의 상품정보의 적어도 일부 정보를 촬영한 촬영 이미지가 소비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경우, 상기 획득된 촬영 이미지를 기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촬영 이미지와 매칭되는 상품설명용 콘텐츠를 상기 제1 상품의 상품설명용 콘텐츠로서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촬영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일부 정보는, 상기 제1 상품의 상품설명용 콘텐츠를 포함하도록 생성된 제1 상품에 대응하는 QR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13에서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품의 상품설명용 콘텐츠를 소비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 내지 S13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배포된 스마트 잡지에 인쇄된 복수의 상품별 상품정보를 입력값으로 하고 상기 복수의 상품별 상품정보 각각과 매칭되는 상품설명용 콘텐츠를 출력값으로 하도록 인공지능 모델을 학습시키는 학습부;
    상기 스마트 잡지에 인쇄된 복수의 상품별 상품정보 중 어느 한 상품인 제1 상품과 관련하여, 상기 제1 상품의 상품정보의 적어도 일부 정보를 촬영한 촬영 이미지가 소비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경우, 상기 획득된 촬영 이미지를 기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촬영 이미지와 매칭되는 상품설명용 콘텐츠를 상기 제1 상품의 상품설명용 콘텐츠로서 획득하는 이미지 처리부; 및
    상기 제1 상품의 상품설명용 콘텐츠를 소비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상품별 상품정보 중 제1 상품의 상품정보는, 제1 상품의 상품명, 제1 상품을 촬영한 이미지인 제1 상품 촬영 이미지, 제1 상품을 설명하는 상품설명 정보인 제1 상품설명 텍스트 데이터, 및 제1 상품에 대하여 부여되는 고유식별정보인 QR 코드 형태의 표식 정보인 제1 표식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상품의 상품정보의 적어도 일부 정보는, 제1 상품 촬영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를 촬영한 이미지이거나 상기 제1 상품설명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의 텍스트 데이터를 촬영한 이미지이거나, 제1 표식 데이터를 촬영한 이미지인 것인,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품별 상품정보가 인쇄된 인쇄물을 스마트 잡지책으로서 제작하여 배포하는 배포부,
    를 더 포함하는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품의 상품설명용 콘텐츠는,
    상기 제1 상품을 설명하는 상품설명 정보가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혼합현실(mixed reality, MR) 및 확장현실(extended reality, XR)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구현되도록 생성된 콘텐츠인 것인,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제1 상품의 상품설명용 콘텐츠를 제공받은 소비자 단말에서 공유 요청이 이루어진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상품의 상품설명용 콘텐츠와 소비자의 소비자 이미지를 합성시킴으로써 생성된 소비자 체험 합성 영상을 SNS 관계망에 업로드하여 공유되도록 하는 공유 관리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SNS 관계망은,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관계망 또는 타 SNS 관계망인 것인,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품의 상품설명용 콘텐츠를 소비자 단말로 제공한 이후, 소비자 단말에서 구매 버튼에 대한 클릭 후 제1 상품의 판매가격에 해당하는 금액에 대한 결제가 완료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상품이 소비자에게 배송되도록 하는 판매부,
    를 더 포함하는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 장치.
KR1020230074953A 2023-06-12 2023-06-12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644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4953A KR102644247B1 (ko) 2023-06-12 2023-06-12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4953A KR102644247B1 (ko) 2023-06-12 2023-06-12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4247B1 true KR102644247B1 (ko) 2024-03-06

Family

ID=90239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4953A KR102644247B1 (ko) 2023-06-12 2023-06-12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24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093A (ko) * 2019-03-06 2020-09-1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촬영 영상을 통해 증강현실 기반 혜택을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
KR102334095B1 (ko) * 2021-04-13 2021-12-02 주식회사 고스트패스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 방법 및 결제 시스템
KR20220086967A (ko) * 2020-12-17 2022-06-24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Ar 기반 공동구매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093A (ko) * 2019-03-06 2020-09-1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촬영 영상을 통해 증강현실 기반 혜택을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
KR20220086967A (ko) * 2020-12-17 2022-06-24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Ar 기반 공동구매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2334095B1 (ko) * 2021-04-13 2021-12-02 주식회사 고스트패스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 방법 및 결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1837B2 (en) Interactive collection book for mobile devices
US10402064B1 (en) Using combined eCommerce and brick-and-mortar data to produce intelligent recommendations for web page editing
US1189355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aborative shopping, business and entertainment
US11526472B2 (en) Multi-trigger personalized virtual repository
McCormick et al. Fashion retailing–past, present and future
CN106170812A (zh) 用于商品的自动供应的装置和方法
JP2023510283A (ja) オーディオビジュアルコンテンツ内の製品を識別し、オーディオビジュアルコンテンツの視聴者/ユーザがその識別された製品をシームレスに購入することを可能にするシステム/方法
US201202394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rketing
KR20160064093A (ko) 보조 콘텐츠의 n 레벨 복제
US20150081465A1 (en) Fitness, health and wellness social e-commerce platform
CN106030643A (zh) 用于同伴辅助电子商务购物的装置和方法
US20170186066A1 (en) System and Method of Searching Style and Fashion
Harris The fundamentals of digital fashion marketing
KR20190143775A (ko) 리워드 플랫폼 운영 방법
KR101657588B1 (ko) 웹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 기반 상품 거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176705B1 (ko) 각 사용자의 인적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능동적 물품 판매 시스템 및 방법
KR102644247B1 (ko)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90228433A1 (en) User Generated Mobile Advertisements Creation, Reaction and Distribution Method
KR20180060195A (ko) 패션 아이템 콘텐츠 db구축을 통한 코디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코디 기반의 scm 상거래 플랫폼 시스템
Danish Social Media Marketing
KR20210141322A (ko) 가상 피팅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09202B1 (ko) 이커머스 기반의 콘텐츠 제작자 선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Hendriana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nline Fashion Store “Demi Outfits” Based on Android
KR101657589B1 (ko)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 기반 상품 거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610033B1 (ko) 이커머스 기반의 예상 수익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