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9202B1 - 이커머스 기반의 콘텐츠 제작자 선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 Google Patents

이커머스 기반의 콘텐츠 제작자 선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9202B1
KR102609202B1 KR1020230010447A KR20230010447A KR102609202B1 KR 102609202 B1 KR102609202 B1 KR 102609202B1 KR 1020230010447 A KR1020230010447 A KR 1020230010447A KR 20230010447 A KR20230010447 A KR 20230010447A KR 102609202 B1 KR102609202 B1 KR 102609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product
suitability
creator
promo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0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현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니아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니아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니아랩
Priority to KR1020230010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2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2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3Comparative campaig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6Advertisement cre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이커머스 기반의 콘텐츠 제작자 선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커머스 기반의 콘텐츠 제작자 선정 방법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홍보의 대상이 되는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 및 요청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홍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품 홍보 요청에 대응하여 상품에 대한 홍보 콘텐츠를 제작할 콘텐츠 제작자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커머스 기반의 콘텐츠 제작자 선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METHOD FOR SELECTING CONTENTS CREATOR BASED ON E-COMMERCE AND COMPUTING DEVICE FOR EXECUT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커머스 기반의 콘텐츠 제작자 선정 기술과 관련된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온라인상에 마켓을 구축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상거래, 즉 이커머스(e-commerce)가 발전하게 되었다. 초기 온라인 상거래의 형태는 판매자가 온라인 쇼핑몰(이하, 쇼핑몰)을 직접 개설하여 상품을 등록하고 쇼핑몰에 접속한 방문자가 상품을 구매하는 형태였으나, 판매자와 구매자를 연결해주는 중계 쇼핑몰이 등장하여 편리한 판매 및 구매 서비스 제공으로 대형 쇼핑몰(예: 옥션, 11번가, 지마켓 등)의 형태로 성장하여 이커머스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였다. 이후 사회적 관계망(social network)를 이용한 소셜커머스(social commerce)(예: 티몬, 위메프), 및 오프라인의 혁신적인 유통·물류 서비스까지 제공(예: 쿠팡)하는 다양한 형태의 이커머스가 등장하면서 이러한 폭발적인 성장세를 이어 나가고 있다. 이러한 대형화된 이커머스 플랫폼(에: 대형 중계 플랫폼, 소셜커머스 등)은 이용자, 특히 판매자에게 큰 수익을 가져다 주고 있다.
최근에는 SNS(Social Network Service)(예: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및 1인미디어 서비스(예: 유튜브, 틱톡)에서의 영향력이 큰 개인(예: 인플루언서(influencer), 셀럽(celeb) 등)의 팬들과의 소통 채널을 이용하거나, 개인적 관심사가 유사한 사람들이 모인 커뮤니티(community)의 끈끈한 인적 네트워크(strong personal network)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이커머스 시장이 활발하게 형성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322668호(2021.11.05)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새로운 기법의 이커머스 기반의 콘텐츠 제작자 선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커머스 기반의 콘텐츠 제작자 선정 방법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홍보의 대상이 되는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 및 요청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홍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 홍보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홍보 콘텐츠를 제작할 콘텐츠 제작자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콘텐츠 제작자를 선정하는 단계는, 이커머스 환경의 플랫폼 상에 콘텐츠를 등록한 제1 콘텐츠 제작자들 중 상기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홍보 후보 그룹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홍보 후보 그룹으로 추출된 제1 콘텐츠 제작자들을 대상으로 상기 상품에 대한 제1 홍보 적합도를 각각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제1 콘텐츠 제작자들 중에서 상기 산출된 제1 홍보 적합도에 따라 상품 홍보의 모델이 되는 제1 콘텐츠 제작자를 최종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홍보 후보 그룹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 홍보 요청에 포함된 상품과 기 등록된 콘텐츠들에 포함된 상품 간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한 유사도가 기 설정된 임계 값 이상인 경우, 해당 콘텐츠를 등록한 제1 콘텐츠 제작자를 상기 제1 홍보 후보 그룹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홍보 적합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과 관련된 콘텐츠의 업로드 횟수 또는 빈도, 상기 상품과 관련된 콘텐츠의 소셜 피드백 정도, 상기 추출된 제1 콘텐츠 제작자의 영향력 정도, 및 상기 추출된 제1 콘텐츠 제작자의 상기 상품과 관련된 예상 매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적합도 판단 요소에 기반하여 상기 추출된 제1 콘텐츠 제작자들을 대상으로 상기 제1 홍보 적합도를 각각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홍보 적합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제1 콘텐츠 제작자들 각각에 대해 상기 상품과 관련된 콘텐츠의 업로드 횟수 및 빈도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제1-1 적합도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제1 콘텐츠 제작자들 각각에 대해 상기 상품과 관련된 콘텐츠의 소셜 피드백 정도에 따라 제1-2 적합도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제1 콘텐츠 제작자들 각각의 영향력에 따라 제1-3 적합도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제1 콘텐츠 제작자들의 상기 상품과 관련된 예상 매출에 따라 제1-4 적합도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제1 콘텐츠 제작자들 각각에 대해 상기 제1-1 적합도 점수, 상기 제1-2 적합도 점수, 상기 제1-3 적합도 점수, 및 상기 제1-4 적합도 점수를 합산하여 상기 제1 홍보 적합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콘텐츠 제작자를 최종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제1 콘텐츠 제작자들 중 상기 제1 홍보 적합도가 가장 높은 제1 콘텐츠 제작자를 상기 상품 홍보의 모델이 되는 제1 콘텐츠 제작자로 최종 선정할 수 있다.
상기 이커머스 기반의 콘텐츠 제작자 선정 방법은, 상기 상품 홍보의 모델로 최종 선정된 제1 콘텐츠 제작자와 함께 상기 상품에 대한 홍보 콘텐츠를 제작할 제2 콘텐츠 제작자를 분야 별로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콘텐츠 제작자를 분야 별로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최종 선정된 제1 콘텐츠 제작자와 협업한 적이 있는 제2 콘텐츠 제작자들을 분야 별로 제2 홍보 후보 그룹으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2 홍보 후보 그룹으로 추출된 제2 콘텐츠 제작자들을 대상으로 상기 홍보 콘텐츠의 제작과 관련된 제2 홍보 적합도를 각각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제2 콘텐츠 제작자들 중에서 상기 산출된 제2 홍보 적합도에 따라 분야 별로 제2 콘텐츠 제작자를 최종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홍보 적합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최종 선정된 제1 콘텐츠 제작자와 협업 횟수, 상기 최종 선정된 제1 콘텐츠 제작자의 협업 만족도, 및 상기 상품과 관련된 콘텐츠 제작 횟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적합도 판단 요소에 기반하여 상기 추출된 제2 콘텐츠 제작자들을 대상으로 상기 제2 홍보 적합도를 각각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2 홍보 적합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제2 콘텐츠 제작자들을 각각에 대해 상기 최종 선정된 제1 콘텐츠 제작자와 협업 횟수에 따라 제2-1 적합도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제2 콘텐츠 제작자들을 각각에 대해 상기 최종 선정된 제1 콘텐츠 제작자의 협업 만족도에 따라 제2-2 적합도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제2 콘텐츠 제작자들을 각각에 대해 상기 상품과 관련된 콘텐츠 제작 횟수에 따라 제2-3 적합도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제2 콘텐츠 제작자들 각각에 대해 상기 제2-1 적합도 점수, 상기 제2-2 적합도 점수, 및 상기 제2-3 적합도 점수를 합산하여 상기 제2 홍보 적합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콘텐츠 제작자를 최종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제2 콘텐츠 제작자들 중 상기 제2 홍보 적합도가 가장 높은 제2 콘텐츠 제작자를 상기 홍보 콘텐츠를 제작할 제2 콘텐츠 제작자로 최종 선정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제작자 선정 방법은, 상기 최종 선정된 제1 콘텐츠 제작자 및 상기 최종 선정된 분야 별 제2 콘텐츠 제작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상품 홍보 요청에 대응하여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제작자를 선정하는 단계는, 이커머스 환경의 플랫폼 상에 등록된 콘텐츠들 중 상기 상품과 연관된 상품을 포함하는 콘텐츠들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콘텐츠에 포함된 상품의 매출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제작자를 선정하는 단계는, 이커머스 환경의 플랫폼 상에 등록된 콘텐츠들 중 상기 상품과 연관된 상품을 포함하는 콘텐츠들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콘텐츠를 제작한 콘텐츠 제작자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제작자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 제작자와 연락을 취할 수 있는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홍보의 대상이 되는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 및 요청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홍보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명령; 및 상기 상품 홍보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홍보 콘텐츠를 제작할 콘텐츠 제작자를 선정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상품 홍보 요청에 대응하여 해당 상품과 관련된 제1 콘텐츠 제작자 및 제2 콘텐츠 제작자를 일괄하여 추천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홍보 콘텐츠 제작 시 신속하게 제작이 가능하고 높은 완성도를 보일 수 있으며 높은 홍보 효과를 올릴 수 있게 된다.
도 1은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커머스 환경(e-commerce environment)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커머스 환경에서 콘텐츠 제작자가 플랫폼에 콘텐츠를 등록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플랫폼 서버가 상품 홍보 요청에 따라 콘텐츠 제작자를 추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에 업로드 된 콘텐츠에 콘텐츠 제작자 정보가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에 포함된 상품들의 매출 관련 정보가 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2 이상의 데이터 또는 정보가 "관련"된다는 것은 하나의 데이터(또는 정보)를 획득하면, 그에 기초하여 다른 데이터(또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커머스 환경(e-commerce environment)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커머스 환경(50)은 플랫폼 서버(100), 공급자 단말(210), 판매자 단말(220), 콘텐츠 제작자 단말(230), 및 구매자 단말(240)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통신망을 통해 공급자 단말(210), 판매자 단말(220), 콘텐츠 제작자 단말(230), 및 구매자 단말(240)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10, 220, 230, 240)을 통해 이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는 상품 공급, 판매, 홍보, 및 구매와 같이 온라인상에서 상품을 판매하는데 전반적으로 필요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공급자 단말(210)을 통해 플랫폼에서 판매될 상품의 공급자를 등록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급자는, 예를 들어, 플랫폼에서 판매될 상품을 공급하고, 판매자에 의해 판매된 상품을 배송하는 자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공급자는 상품 유통만을 담당하고, 나머지를 다른 이용자에게 맡기는 자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공급자 단말(210)을 통해 공급자에 의해 공급되는 상품을 등록시킬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공급자 단말(210)을 통해 상품 등록을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등록된 상품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등록된 상품의 리스트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100)는 공급자로부터 새로운 상품을 등록시키기 위한 신청 정보를 수신하고, 등록이 승인되면 상품을 리스트에 추가시킬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버(100)는 공급자로부터 등록된 상품을 삭제하기 위한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요청된 상품을 리스트에서 삭제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공급자 단말(210)을 통해 상품 판매를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등록된 상품의 매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매출 정보는, 예를 들어, 판매량, 주문액, 입금액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상품의 재고를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재고 관리 서비스는, 예를 들어, 상품 등록과 함께 관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판매된 상품의 정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정산 정보는, 예를 들어, 매출, 정산 및 입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공급자로부터 정산 요청을 수신하면, 정산금을 지급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판매자 단말(220)을 통해 상품 판매에 필요한 서비스를 판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판매자 단말(220)을 통해 판매자를 등록시킬 수 있다. 상기 판매자는, 예를 들어, 공급자에 의해 플랫폼에 등록된 상품을 판매하는 자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판매자 단말(220)을 통해 판매자의 판매 가능한 상품을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판매자 단말(220)을 통해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종합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80)는 플랫폼 내에 온라인 쇼핑몰을 생성하기 위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180)는 하드코딩(hard coding) 없이 GUI를 통해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온라인 쇼핑몰을 생성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버(180)는 미리 제작된 디자인 템플릿(design template)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판매자의 판매 상품을 온라인 쇼핑몰에 등록시킬 수 있다. 상기 판매 상품은, 예를 들어, 판매자에게 판매 승인된 상품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판매자에 의해 요청된 온라인 쇼핑몰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100)는 판매자 각각에 의해 생성된 온라인 쇼핑몰을 생성할 수 있다. 판매자 각각은 자신의 취향에 따른 별개의 온라인 쇼핑몰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매자는 플랫폼 서비스상에 자신의 취향에 맞는 온라인 쇼핑몰에 선택적으로 가입하여 회원이 되어 등록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판매자 단말(220)을 통해 온라인 쇼핑몰의 관리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100)는 온라인 쇼핑몰의 이름, URL, 로고, 배너 등을 설정하기 위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판매 가능한 상품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판매 가능한 상품의 리스트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100)는 판매자로부터 새로운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승인 신청을 수신하고, 판매가 승인되면 새로운 상품을 리스트에 추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판매자로부터 판매된 상품의 수익률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된 상품의 매출 정보를 판매자 단말(22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매출 정보는, 예를 들어, 판매량, 주문액, 입금액 등, 공급자에게 제공되는 정보와 유사한 정보뿐만 아니라 구매자의 회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판매자 단말(220)에게 주문, 배송 및 환불을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콘텐츠 제작자 단말(230)을 통해 콘텐츠 공급에 필요한 서비스를 공급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콘텐츠 제작자를 등록시킬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제작자는, 예를 들어, 상품에 판매에 도움되는 콘텐츠를 제작하고, 제작된 콘텐츠를 공급자 및 판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제작자는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해 직접적 및 간접적으로 필요한 전문가일 수 있다. 상기 전문 인력은, 예를 들어, 모델, 헤어메이크업 전문가, 스타일리스트, 촬영작가, 편집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델은 온라인 소셜 미디어(online social media)상의 인플루언서(influencer), 셀럽(celeb) 등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콘텐츠 제작자에 의해 제작된 콘텐츠를 플랫폼 이용자와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100)는 플랫폼 이용자를 소셜 네트워크로 한 콘텐츠 공유 서비스, 다시 말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텐츠 제작자는 제작된 콘텐츠를 자신을 식별할 수 있는 가상의 공간에 업로드하고, 이를 플랫폼 이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의 콘텐츠 공유 서비스를 통해 공유되는 콘텐츠는 플랫폼에서 판매되는 상품의 홍보를 위한 콘텐츠일 수 있다. 상기 콘텐츠는, 예를 들어, 홍보하고 있는 상품이 판매되고 있는 플랫폼 내의 온라인 쇼핑몰에 대한 정보(예: URL)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매자는 상기 정보를 통해 지정된 쇼핑몰로 이동하여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콘텐츠와 함께 콘텐츠 제작에 참여한 참여자(예: 모델, 헤어메이크업 전문가, 스타일리스트, 사진작가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급자 및 구매자는 모델뿐만 아니라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모든 관계자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구매자 단말(240)을 통해 상품 구매에 필요한 서비스를 공급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판매자의 온라인 쇼핑몰에 구매자를 회원으로 등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100)는 판매자 각각의 온라인 쇼핑몰에 회원으로 등록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의 주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주문 정보는, 예를 들어, 상품 및 배송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에게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결제가 완료되면 주문 정보를 공급자 및 판매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급자는 주문된 상품을 구매자에게 배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구매자 단말(240)을 통해 주문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매한 상품의 주문 및 배송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주문의 수정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수정 정보에 기초하여 주문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이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컴퓨팅 모듈(computing module)뿐만 아니라, 데이터 저장을 위한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플랫폼 서버(100)는 이커머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필요한 서버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분석하여 서비스 이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유용한 정보는, 예를 들어, 상품 공급, 상품 판매, 콘텐츠 제작, 및 상품 구매에 유용한 기본 데이터, 및 가공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10, 220, 230, 240)은 데스크톱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톱 PC(notebook PC),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범용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자 단말(210), 판매자 단말(220), 및 사용자 단말(230)은 데스크톱 PC, 랩톱 PC 등의 휴대성이 비교적 낮은 전자 기기일 수 있고, 구매자 단말(240)은 휴대성이 낮은 데스크톱 PC(240a)뿐만 아니라 스마트폰(240b)일 수 있다.
상기 상술한 이커머스 환경(50)은 상품을 공급하는 공급자, 온라인 쇼핑몰을 생성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 및 상품의 홍보를 위해 콘텐츠를 제작하는 제작자가 하나의 플랫폼 상에 공존하며 구매자에게 상품을 판매하고 상품 판매에 대한 수익을 공유하는 이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커머스 환경에서 콘텐츠 제작자가 플랫폼에 콘텐츠를 등록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콘텐츠 제작자는 소정의 상품(예를 들어, 골프 용품, 음식, 인형, 가방, 캠핑 도구 등)이 포함된 사진이나 동영상 등을 플랫폼에 등록할 수 있다. 콘텐츠 제작자는 플랫폼 상에서 제공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품이 포함된 콘텐츠를 업로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제작자는 자신의 일상 생활 가운데 자신이 구매하거나 사용하고 있는 상품들을 촬영하여 플랫폼에 업로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고 협찬을 받는 상품이 포함된 콘텐츠를 업로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플랫폼 서버(100)는 공급자 또는 판매자를 콘텐츠 제작자와 연결해주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상품의 홍보를 위한 콘텐츠의 제작을 의뢰하고 싶은 공급자 또는 판매자를 콘텐츠 제작자에게 연결시켜 줄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제작자는 상품을 홍보하기 위한 콘텐츠의 모델(즉, 인플루언서 또는 셀럽 등)과 콘텐츠를 제작하는데 관여하는 전문가(예를 들어, 메이크업 전문가, 스타일리스트, 촬영 작가, 편집자 등)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에서, 모델을 제1 콘텐츠 제작자라 하고, 전문가를 제2 콘텐츠 제작자라 지칭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공급자 또는 판매자로부터 상품 홍보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상품을 홍보하기 위한 모델(제1 콘텐츠 제작자)과 전문가(제2 콘텐츠 제작자)를 각각 추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상품을 협찬하고 싶은 공급자 또는 판매자를 콘텐츠 제작자에게 연결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100)는 공급자 또는 판매자가 제공하고자 하는 협찬 상품을 콘텐츠 제작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높은 홍보 효과가 기대되는 콘텐츠 제작자를 공급자 및 판매자에게 연결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100)는 기존에 제작된 콘텐츠, 제작된 콘텐츠의 상품의 매출 등에 기초하여 높은 홍보 효과가 기대되는 콘텐츠 제작자를 연결해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플랫폼 서버(100)가 상품 홍보 요청에 따라 콘텐츠 제작자를 추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시된 흐름도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플랫폼 서버(100)는 상품 홍보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 101). 여기서, 상품 홍보 요청은 공급자 단말(210) 및 판매자 단말(220)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품 홍보 요청에는 상품 홍보를 요청하는 요청자의 식별 정보(요청자 식별 정보) 및 홍보의 대상이 되는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플랫폼 서버(100)는 상품 홍보 요청에 포함된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상품과 관련된 제1 콘텐츠 제작자(즉, 인플루언서 또는 셀럽과 같은 모델)들을 제1 홍보 후보 그룹으로 추출할 수 있다(S 103).
구체적으로, 플랫폼 서버(100)는 플랫폼 상에 콘텐츠를 등록한 제1 콘텐츠 제작자들 중 상품 홍보 요청에 포함된 상품과 관련성이 있는 상품이 포함된 콘텐츠를 등록한 제1 콘텐츠 제작자들을 제1 홍보 후보 그룹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상품 홍보 요청에 포함된 상품과 기 등록된 콘텐츠에 포함된 상품 간의 유사도를 산출하고, 산출한 유사도가 기 설정된 임계 값 이상인 경우 해당 콘텐츠를 등록한 제1 콘텐츠 제작자를 제1 홍보 후보 그룹으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홍보 요청에 포함된 상품이 골프 의류인 경우, 플랫폼에 등록된 콘텐츠들 중 골프 의류, 골프 채, 골프 화, 골프 공 등과 같이 골프와 관련된 상품이 포함된 콘텐츠를 업로드 한 제1 콘텐츠 제작자를 홍보 후보 그룹으로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플랫폼 서버(100)는 제1 홍보 후보 그룹으로 추출된 제1 콘텐츠 제작자들을 대상으로 해당 상품에 대한 제1 홍보 적합도를 각각 산출할 수 있다(S 105). 이때, 플랫폼 서버(100)는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적합도 판단 요소들에 기반하여 제1 홍보 후보 그룹으로 추출된 제1 콘텐츠 제작자(이하, 후보 제1 콘텐츠 제작자라 지칭할 수 있음)들에 대한 제1 홍보 적합도를 각각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적합도 판단 요소에는 1) 해당 상품과 관련된 콘텐츠의 업로드 횟수 또는 빈도, 2) 해당 상품과 관련된 콘텐츠의 소셜 피드백 정도, 3) 후보 제1 콘텐츠 제작자의 영향력 정도, 및 4) 후보 제1 콘텐츠 제작자의 해당 상품과 관련된 예상 매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후보 제1 콘텐츠 제작자들 각각에 대해 해당 상품과 관련된 콘텐츠의 업로드 횟수 또는 빈도에 따라 제1-1 적합도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홍보 요청에 포함된 상품이 골프 의류인 경우, 후보 제1 콘텐츠 제작자들이 골프와 관련된 상품이 포함된 콘텐츠를 얼마나 자주 또는 총 몇 회 업로드 하였는지에 따라 제1-1 적합도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후보 제1 콘텐츠 제작자들 각각에 대해 해당 상품과 관련된 콘텐츠의 소셜 피드백 정도에 따라 제1-2 적합도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즉, 해당 상품과 관련된 콘텐츠에 대해 플랫폼을 이용하는 다른 사용자들로부 얼마나 좋은 피드백(예를 들어, 좋아요, 하트 등)을 받았는지에 따라 제1-2 적합도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후보 제1 콘텐츠 제작자의 영향력 정도에 따라 제1-3 적합도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이때, 후보 제1 콘텐츠 제작자의 영향력은 후보 제1 콘텐츠 제작자의 팔로워 수, 업로드한 콘텐츠의 총 개수, 및 업로드한 콘텐츠에 대한 소셜 피드백 총 개수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후보 제1 콘텐츠 제작자의 해당 상품과 관련된 예상 매출에 따라 제1-4 적합도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후보 제1 콘텐츠 제작자의 해당 상품과 관련된 예상 매출은 후보 제1 콘텐츠 제작자가 기 등록한 콘텐츠들에 포함된 상품들의 평균 매출에 기반하여 산출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후보 제1 콘텐츠 제작자들의 제1-1 적합도 점수, 제1-2 적합도 점수, 제1-3 적합도 점수, 및 제1-4 적합도 점수를 합산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제1 홍보 적합도를 각각 산출할 수 있다. 이때, 플랫폼 서버(100)는 제1-1 적합도 점수, 제1-2 적합도 점수, 제1-3 적합도 점수, 및 제1-4 적합도 점수에 각각 가중치를 부여한 후 이를 합산하여 후보 제1 콘텐츠 제작자들의 해당 상품에 대한 제1 홍보 적합도를 각각 산출할 수 있다. 각 가중치의 합은 1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플랫폼 서버(100)는 후보 제1 콘텐츠 제작자들 중 해당 상품에 대한 제1 홍보 적합도가 가장 높은 제1 콘텐츠 제작자를 해당 상품을 홍보할 제1 콘텐츠 제작자로 최종 선정할 수 있다(S 107). 즉, 최종 선정된 제1 콘텐츠 제작자는 해당 상품을 홍보하는 모델로 선정된 것이다.
다음으로, 플랫폼 서버(100)는 최종 선정된 제1 콘텐츠 제작자와 협업한 적이 있는 제2 콘텐츠 제작자들을 분야 별로 제2 홍보 후보 그룹으로 추출할 수 있다(S 109).
즉, 플랫폼 서버(100)는 최종 선정된 제1 콘텐츠 제작자와 협업하여 콘텐츠를 제작한 전문가들 중에서 해당 상품을 홍보하기 위한 콘텐츠(홍보 콘텐츠)를 제작할 제2 콘텐츠 제작자들을 선정할 수 있다. 이때, 플랫폼 서버(100)는 최종 선정된 제1 콘텐츠 제작자와 협업한 적이 있는 제2 콘텐츠 제작자들을 분야 별(예를 들어, 메이크업, 스타일리스트, 촬영 작가, 편집자 등)로 제2 홍보 후보 그룹으로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플랫폼 서버(100)는 제2 홍보 후보 그룹으로 추출된 분야 별 제2 콘텐츠 제작자들을 대상으로 콘텐츠 제작과 관련된 제2 홍보 적합도를 각각 산출할 수 있다(S 111).
이때, 플랫폼 서버(100)는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적합도 판단 요소들에 기반하여 제2 홍보 후보 그룹으로 추출된 분야별 제2 콘텐츠 제작자(이하, 후보 제2 콘텐츠 제작자라 지칭할 수 있음)들에 대한 제2 홍보 적합도를 각각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적합도 판단 요소에는 1) 최종 선정된 제1 콘텐츠 제작자와 협업 횟수, 2) 최종 선정된 제1 콘텐츠 제작자의 협업 만족도, 및 3) 해당 상품과 관련된 콘텐츠 제작 횟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후보 제2 콘텐츠 제작자들 각각에 대해 최종 선정된 제1 콘텐츠 제작자와 협업 횟수에 따라 제2-1 적합도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후보 제2 콘텐츠 제작자들 각각에 대해 최종 선정된 제1 콘텐츠 제작자의 협업 만족도에 따라 제2-2 적합도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후보 제2 콘텐츠 제작자들 각각에 대해 해당 상품과 관련된 콘텐츠 제작 횟수에 따라 제2-3 적합도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후보 제2 콘텐츠 제작자들의 제2-1 적합도 점수, 제2-2 적합도 점수, 및 제2-3 적합도 점수를 합산하여 제2 홍보 적합도를 각각 산출할 수 있다. 이때, 플랫폼 서버(100)는 2-1 적합도 점수, 제2-2 적합도 점수, 및 제2-3 적합도 점수에 각각 가중치를 부여한 후 이를 합산하여 후보 제2 콘텐츠 제작자들에 대한 제2 홍보 적합도를 각각 산출할 수 있다. 각 가중치의 합은 1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플랫폼 서버(100)는 분야 별 후보 제2 콘텐츠 제작자들 중 제2 홍보 적합도가 가장 높은 제2 콘텐츠 제작자를 홍보 콘텐츠를 제작할 제2 콘텐츠 제작자로 최종 선정할 수 있다(S 113).
다음으로, 플랫폼 서버(100)는 상품 홍보 요청에 대응하여 최종 선정된 제1 콘텐츠 제작자 및 최종 선정된 분야 별 제2 콘텐츠 제작자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S 115).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상품 홍보 요청에 대응하여 해당 상품과 관련된 제1 콘텐츠 제작자 및 제2 콘텐츠 제작자를 일괄하여 추천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홍보 콘텐츠 제작 시 신속하게 제작이 가능하고 높은 완성도를 보일 수 있으며 높은 홍보 효과를 올릴 수 있게 된다.
또한, 플랫폼 서버(100)는 최종 선정된 제1 콘텐츠 제작자 및 제2 콘텐츠 제작자들과 콘텐츠 제작 시 이와 관련된 계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계약 정보는, 예를 들어, 수락되어 진행 및 완료된 계약 정보뿐만 아니라, 콘텐츠의 제작 의뢰 및 상품의 협찬 제안에 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콘텐츠 제작자가 상기 제작 의뢰 및 협찬 제안을 수락하면 계약을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시킬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플랫폼 서버(100)가 상품 홍보 요청에 따라 콘텐츠 제작자들을 추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급자 또는 판매자가 직접 플랫폼 상에서 콘텐츠 제작자들을 선택하여 연결을 취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에 업로드 된 콘텐츠에 콘텐츠 제작자 정보가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콘텐츠에는 해당 콘텐츠의 제작에 참여한 콘텐츠 제작자(Model, Hair & Makeup, Style editor, Photo)들의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콘텐츠 제작자 정보가 표시된 영역에는 각 콘텐츠 제작자와 연락을 취할 수 있는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버튼은 해당 콘텐츠 제작자의 이메일 주소가 링크 된 것일 수도 있고, 해당 콘텐츠 제작자의 모바일 폰과 링크 된 것일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품에 대한 홍보 콘텐츠 제작을 의뢰하고자 하는 공급자 및 판매자는 플랫폼 상에서 자신의 상품과 관련된 콘텐츠를 검색한 후, 검색된 콘텐츠를 제작한 콘텐츠 제작자들과 연락을 시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플랫폼 서버(100)는 플랫폼에 등록된 콘텐츠에 포함된 각 상품들의 매출 정보 및 매출 예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에 포함된 상품들의 매출 관련 정보가 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에 포함된 상품의 매출 관련 정보는 판매자 또는 공급자에게만 표시되도록 접근 권한이 제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랫폼 서버(100)는 공급자 단말(210) 또는 판매자 단말(220)로부터 상품 홍보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품 홍보 요청에 포함된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상품과 관련된 콘텐츠들을 추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플랫폼 서버(100)는 상품 홍보 요청에 포함된 상품과 기 등록된 콘텐츠에 포함된 상품 간의 유사도에 기반하여 해당 상품과 관련된 콘텐츠들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판매자 또는 공급자가 플랫폼에 등록된 콘텐츠에서 소정 상품을 클릭하는 경우, 플랫폼 서버(100)는 해당 상품의 매출 관련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상품의 매출 관련 정보는 총 매출액, 단위 기간 별 매출액, 수익률, 향후 일정 기간 동안 매출 예상액, 및 예상 수익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판매자 또는 공급자는 상품의 매출 관련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콘텐츠를 제작한 콘텐츠 제작자를 자신의 상품 홍보를 위한 콘텐츠 제작자로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제작자와 연락을 취하는 방식은 도 4에 도시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10)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컴퓨팅 환경(10)은 컴퓨팅 장치(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2)는 플랫폼 서버(100)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2)는 공급자 단말(210)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2)는 판매자 단말(220)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2)는 콘텐츠 제작자 단말(230)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2)는 구매자 단말(240)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 및 통신 버스(1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는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프로그램(20)은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장치(1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18)는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컴퓨팅 장치(1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4)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는 통신 버스(18)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2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컴퓨팅 장치(12)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컴퓨팅 장치(1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12)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장치(12)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컴퓨팅 환경
12 : 컴퓨팅 장치
14 : 프로세서
16 :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18 : 통신 버스
20 : 프로그램
22 : 입출력 인터페이스
24 : 입출력 장치
26 :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
50 : 이커머스 환경
100 : 플랫폼 서버
210 : 공급자 단말
220 : 판매자 단말
230 : 콘텐츠 제작자 단말
240 : 구매자 단말

Claims (16)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홍보의 대상이 되는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 및 요청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홍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 홍보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홍보 콘텐츠를 제작할 콘텐츠 제작자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제작자를 선정하는 단계는,
    이커머스 환경의 플랫폼 상에 등록된 콘텐츠들 중 상기 상품과 연관된 상품을 포함하는 콘텐츠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콘텐츠에 포함된 상품의 매출 정보 및 매출 예상 정보를 포함하는 매출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콘텐츠를 제작한 콘텐츠 제작자의 정보(해당 상품의 모델이 되는 제1 콘텐츠 제작자 및 상기 콘텐츠를 제작한 분야 별 전문가인 제2 콘텐츠 제작자의 정보를 포함)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콘텐츠 제작자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 제작자와 연락을 취할 수 있는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튼은, 상기 콘텐츠 제작자의 이메일 주소가 링크된 것이거나 상기 콘텐츠 제작자의 모바일 폰과 링크된 것이며,
    상기 매출 관련 정보는, 해당 상품의 판매자 또는 공급자에게만 표시되도록 접근 권한이 제한되고,
    상기 매출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판매자 또는 공급자가 플랫폼에 등록된 콘텐츠에서 소정 상품을 클릭하는 경우, 상기 클릭된 상품의 매출 관련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이커머스 기반의 콘텐츠 제작자 선정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작자를 선정하는 단계는,
    이커머스 환경의 플랫폼 상에 콘텐츠를 등록한 제1 콘텐츠 제작자들 중 상기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홍보 후보 그룹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홍보 후보 그룹으로 추출된 제1 콘텐츠 제작자들을 대상으로 상기 상품에 대한 제1 홍보 적합도를 각각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제1 콘텐츠 제작자들 중에서 상기 산출된 제1 홍보 적합도에 따라 상품 홍보의 모델이 되는 제1 콘텐츠 제작자를 최종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커머스 기반의 콘텐츠 제작자 선정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홍보 후보 그룹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 홍보 요청에 포함된 상품과 기 등록된 콘텐츠들에 포함된 상품 간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한 유사도가 기 설정된 임계 값 이상인 경우, 해당 콘텐츠를 등록한 제1 콘텐츠 제작자를 상기 제1 홍보 후보 그룹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커머스 기반의 콘텐츠 제작자 선정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홍보 적합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과 관련된 콘텐츠의 업로드 횟수 또는 빈도, 상기 상품과 관련된 콘텐츠의 소셜 피드백 정도, 상기 추출된 제1 콘텐츠 제작자의 영향력 정도, 및 상기 추출된 제1 콘텐츠 제작자의 상기 상품과 관련된 예상 매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적합도 판단 요소에 기반하여 상기 추출된 제1 콘텐츠 제작자들을 대상으로 상기 제1 홍보 적합도를 각각 산출하는, 이커머스 기반의 콘텐츠 제작자 선정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홍보 적합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제1 콘텐츠 제작자들 각각에 대해 상기 상품과 관련된 콘텐츠의 업로드 횟수 및 빈도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제1-1 적합도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제1 콘텐츠 제작자들 각각에 대해 상기 상품과 관련된 콘텐츠의 소셜 피드백 정도에 따라 제1-2 적합도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제1 콘텐츠 제작자들 각각의 영향력에 따라 제1-3 적합도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제1 콘텐츠 제작자들의 상기 상품과 관련된 예상 매출에 따라 제1-4 적합도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제1 콘텐츠 제작자들 각각에 대해 상기 제1-1 적합도 점수, 상기 제1-2 적합도 점수, 상기 제1-3 적합도 점수, 및 상기 제1-4 적합도 점수를 합산하여 상기 제1 홍보 적합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커머스 기반의 콘텐츠 제작자 선정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콘텐츠 제작자를 최종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제1 콘텐츠 제작자들 중 상기 제1 홍보 적합도가 가장 높은 제1 콘텐츠 제작자를 상기 상품 홍보의 모델이 되는 제1 콘텐츠 제작자로 최종 선정하는, 이커머스 기반의 콘텐츠 제작자 선정 방법.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커머스 기반의 콘텐츠 제작자 선정 방법은,
    상기 상품 홍보의 모델로 최종 선정된 제1 콘텐츠 제작자와 함께 상기 상품에 대한 홍보 콘텐츠를 제작할 제2 콘텐츠 제작자를 분야 별로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커머스 기반의 콘텐츠 제작자 선정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콘텐츠 제작자를 분야 별로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최종 선정된 제1 콘텐츠 제작자와 협업한 적이 있는 제2 콘텐츠 제작자들을 분야 별로 제2 홍보 후보 그룹으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2 홍보 후보 그룹으로 추출된 제2 콘텐츠 제작자들을 대상으로 상기 홍보 콘텐츠의 제작과 관련된 제2 홍보 적합도를 각각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제2 콘텐츠 제작자들 중에서 상기 산출된 제2 홍보 적합도에 따라 분야 별로 제2 콘텐츠 제작자를 최종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커머스 기반의 콘텐츠 제작자 선정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홍보 적합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최종 선정된 제1 콘텐츠 제작자와 협업 횟수, 상기 최종 선정된 제1 콘텐츠 제작자의 협업 만족도, 및 상기 상품과 관련된 콘텐츠 제작 횟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적합도 판단 요소에 기반하여 상기 추출된 제2 콘텐츠 제작자들을 대상으로 상기 제2 홍보 적합도를 각각 산출하는, 이커머스 기반의 콘텐츠 제작자 선정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홍보 적합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제2 콘텐츠 제작자들을 각각에 대해 상기 최종 선정된 제1 콘텐츠 제작자와 협업 횟수에 따라 제2-1 적합도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제2 콘텐츠 제작자들을 각각에 대해 상기 최종 선정된 제1 콘텐츠 제작자의 협업 만족도에 따라 제2-2 적합도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제2 콘텐츠 제작자들을 각각에 대해 상기 상품과 관련된 콘텐츠 제작 횟수에 따라 제2-3 적합도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제2 콘텐츠 제작자들 각각에 대해 상기 제2-1 적합도 점수, 상기 제2-2 적합도 점수, 및 상기 제2-3 적합도 점수를 합산하여 상기 제2 홍보 적합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커머스 기반의 콘텐츠 제작자 선정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 콘텐츠 제작자를 최종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제2 콘텐츠 제작자들 중 상기 제2 홍보 적합도가 가장 높은 제2 콘텐츠 제작자를 상기 홍보 콘텐츠를 제작할 제2 콘텐츠 제작자로 최종 선정하는, 이커머스 기반의 콘텐츠 제작자 선정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작자 선정 방법은,
    상기 최종 선정된 제1 콘텐츠 제작자 및 상기 최종 선정된 분야 별 제2 콘텐츠 제작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상품 홍보 요청에 대응하여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커머스 기반의 콘텐츠 제작자 선정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홍보의 대상이 되는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 및 요청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홍보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명령; 및
    상기 상품 홍보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홍보 콘텐츠를 제작할 콘텐츠 제작자를 선정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제작자를 선정하기 위한 명령은,
    이커머스 환경의 플랫폼 상에 등록된 콘텐츠들 중 상기 상품과 연관된 상품을 포함하는 콘텐츠들을 추출하기 위한 명령;
    상기 추출한 콘텐츠에 포함된 상품의 매출 정보 및 매출 예상 정보를 포함하는 매출 관련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명령; 및
    상기 추출한 콘텐츠를 제작한 콘텐츠 제작자의 정보(해당 상품의 모델이 되는 제1 콘텐츠 제작자 및 상기 콘텐츠를 제작한 분야 별 전문가인 제2 콘텐츠 제작자의 정보를 포함)를 표시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콘텐츠 제작자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명령은, 상기 콘텐츠 제작자와 연락을 취할 수 있는 버튼을 표시하기 위한 명령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버튼은, 상기 콘텐츠 제작자의 이메일 주소가 링크된 것이거나 상기 콘텐츠 제작자의 모바일 폰과 링크된 것이며,
    상기 매출 관련 정보는, 해당 상품의 판매자 또는 공급자에게만 표시되도록 접근 권한이 제한되고,
    상기 매출 관련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명령은, 상기 판매자 또는 공급자가 플랫폼에 등록된 콘텐츠에서 소정 상품을 클릭하는 경우, 상기 클릭된 상품의 매출 관련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컴퓨팅 장치.
KR1020230010447A 2023-01-26 2023-01-26 이커머스 기반의 콘텐츠 제작자 선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KR102609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0447A KR102609202B1 (ko) 2023-01-26 2023-01-26 이커머스 기반의 콘텐츠 제작자 선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0447A KR102609202B1 (ko) 2023-01-26 2023-01-26 이커머스 기반의 콘텐츠 제작자 선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9202B1 true KR102609202B1 (ko) 2023-12-04

Family

ID=89165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0447A KR102609202B1 (ko) 2023-01-26 2023-01-26 이커머스 기반의 콘텐츠 제작자 선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2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4849A (ko) * 2019-11-06 2021-05-14 박제영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제품과 인플루언서를 매칭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22668B1 (ko) 2021-04-05 2021-11-05 김시현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창작활동 활성화를 위한 다중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22410B1 (ko) * 2021-10-22 2022-07-19 주식회사 스타일셀러 클라이언트와 인플루언서의 매칭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26465A (ko) * 2021-03-09 2022-09-16 문화예술협동조합 나누리 라이브 커머스를 위한 파트너 매칭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파트너 매칭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4849A (ko) * 2019-11-06 2021-05-14 박제영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제품과 인플루언서를 매칭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126465A (ko) * 2021-03-09 2022-09-16 문화예술협동조합 나누리 라이브 커머스를 위한 파트너 매칭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파트너 매칭 방법
KR102322668B1 (ko) 2021-04-05 2021-11-05 김시현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창작활동 활성화를 위한 다중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22410B1 (ko) * 2021-10-22 2022-07-19 주식회사 스타일셀러 클라이언트와 인플루언서의 매칭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6472B2 (en) Multi-trigger personalized virtual repository
US10325325B2 (en) Social marketplace digital worth score
US20130212177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Social Commerce and Marketing Site
US2013031131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group buy transactions
US20120022965A1 (en) Geolocation based biddin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20120265644A1 (en) Interactive Collection Book for Mobile Devices
US20210049554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step by step projects
Turban et al. E-commerce: mechanisms, platforms, and tools
KR20190143775A (ko) 리워드 플랫폼 운영 방법
KR100896613B1 (ko) 쇼핑몰 사이트 운영 방법
US102423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en distribution of digital media
US202001048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covering and purchasing products online
KR102270645B1 (ko) 제조 협업을 위한 비즈니스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2609202B1 (ko) 이커머스 기반의 콘텐츠 제작자 선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KR102610033B1 (ko) 이커머스 기반의 예상 수익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KR102605195B1 (ko) 이커머스 기반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KR102668801B1 (ko) 상품을 콘텐츠 창작자에게 협찬하는 이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서버의 동작 방법
KR20220120998A (ko) Ai 학습을 통한 팬덤 선호도에 따른 굿즈 노출 순위가 결정된 굿즈 추천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668802B1 (ko) 이커머스 플랫폼 상에서의 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버 및 서버의 동작 방법
KR102632632B1 (ko)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추천하는 이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KR102614886B1 (ko) 복수의 판매자를 포함하는 계층구조에 이용자를 초대하는 이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KR102644247B1 (ko)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40011071A (ko) 계층구조의 복수의 판매자가 참여하는 이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US1118895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ipulation of digital video content in a networked community of users
US20220036417A1 (en) Common marketplace platform for technology creators, buyers, and expert professio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