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2632B1 -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추천하는 이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추천하는 이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632B1
KR102632632B1 KR1020230010646A KR20230010646A KR102632632B1 KR 102632632 B1 KR102632632 B1 KR 102632632B1 KR 1020230010646 A KR1020230010646 A KR 1020230010646A KR 20230010646 A KR20230010646 A KR 20230010646A KR 102632632 B1 KR102632632 B1 KR 102632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ler
sellers
design
online shop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0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현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니아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니아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니아랩
Priority to KR1020230010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6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6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6Advertisement cre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통신 장치;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최상위 판매자(top seller),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상위 판매자 각각에 종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위 판매자(sub seller)를 포함하는 복수의 판매자를 판매자 그룹에 대응되는 계층구조(hierarchy)로 판매자 DB(database)에 등록하고, 상기 판매자 그룹 별로 상기 최상위 판매자의 판매 상품을 판매 상품 DB에 등록하고, 상기 복수의 판매자 각각의 온라인 숍을 생성하고, 상기 온라인 숍은 상기 복수의 판매자가 속한 판매자 그룹의 최상위 판매자의 등록된 판매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계층구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판매자 중에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의 온라인 숍의 디자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을 판매자에게 추천하는, 이커머스 플랫폼 서버가 개시된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추천하는 이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E-COMMERCE PLATFORM SERVICE RECOMMENDING ONLINE SHOP DESIGN}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이커머스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플랫폼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온라인상에 마켓을 구축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상거래, 즉 이커머스(e-commerce)가 발전하게 되었다. 초기 온라인 상거래의 형태는 판매자가 온라인 쇼핑몰을 직접 개설하여 상품을 등록하고 온라인 쇼핑몰에 접속한 방문자가 상품을 구매하는 형태였으나, 판매자와 구매자를 연결해주는 중계 쇼핑몰이 등장하여 편리한 판매 및 구매 서비스 제공으로 대형 쇼핑몰(예: 옥션, 11번가, 지마켓 등)의 형태로 성장하여 이커머스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였다. 이후 사회적 관계망(social network)를 이용한 소셜커머스(social commerce)(예: 티몬, 위메프), 및 오프라인의 혁신적인 유통·물류 서비스까지 결합(예: 쿠팡)된 다양한 형태의 이커머스가 등장하면서 폭발적인 성장세를 이어 나가고 있다. 이러한 대형화된 이커머스 플랫폼(에: 대형 중계 플랫폼, 소셜커머스 등)은 이용자, 특히 판매자에게 큰 수익을 가져다주고 있다.
최근에는 SNS(Social Network Service)(예: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및 1인미디어 서비스(예: 유튜브, 틱톡)에서 영향력이 큰 개인(예: 인플루언서(influencer), 셀럽(celeb) 등)의 채널을 이용하거나, 개인적 관심사가 유사한 사람들이 모인 커뮤니티(community)의 끈끈한 인적 네트워크(strong personal network)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이커머스 시장이 활발하게 형성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65685호 등록특허공보 제10-0790945호
그러나 앞선 대형 이커머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상품을 판매하더라도, 상품 판매를 위한 마케팅(예: 상품 설명 페이지 제작, 광고 등) 및 상품유통을 위한 초기비용을 판매자가 감당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대형 플랫폼의 주 수입원은 이용자로부터 받는 수수료이기 때문에, 플랫폼의 규모에 따라 이용자, 특히 판매자에게 높은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내에 입점한 여러 판매자와의 최저가 경쟁으로 판매자의 마진율이 낮아질 수 있으며, 이는 곧 상품의 품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어 구매자, 더 나아가서는 플랫폼 서비스에 피해를 줄 수 있다. 설사 이러한 과정에서 플랫폼 운영자 및 소수의 판매자가 많은 수익을 낸다고 해도, 이러한 편중된 수익구조는 플랫폼 생태계 발전을 정체시키거나 퇴화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해, 이러한 상품 판매의 중계를 중심으로 하는 대형 이커머스 플랫폼은 SNS, 커뮤니티 등으로 새롭게 형성된 이커머스 시장의 핵심 구성원(예: 인플루언서, 커뮤니티 등)을 새로운 이용자로 참여시키기 어려운 한계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커머스 플랫폼에 다수의 판매자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판매자의 온라인 숍을 스스로 설정할 수 있도록 솔루션(solution)을 제공한다고 하더라도 판매를 시작하는 입장에서 처음부터 판매 상품에 적합한 디자인을 제작하기 어렵고, 비용을 지불하고 이미 만들어진 디자인이나 맞춤 디자인을 온라인 숍에 적용한다고 하더라도, 현재 빠르게 변화하는 상품의 판매 트랜드를 실시간으로 반영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리고 이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른 판매자의 디자인을 차용하여 추천 디자인을 제공할 수도 있지만, 디자인을 차용 당하는 입장에서 잠재적인 경쟁자가 될 수 있는 다른 판매자에게 자신의 디자인을 제공하는 것이 향후 판매에 부정적일 수 있기 때문에, 높은 매출액을 기록하는 판매자의 현재의 트렌드가 적극적으로 반영된 디자인은 차용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복수의 판매자가 함께 상품을 조직적으로 판매하게 하고, 이를 통한 복수의 판매자의 조직적 특징을 통해 복수의 판매자가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서로 공유할 수 있게 하는 이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플랫폼 서버는, 통신 장치;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최상위 판매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상위 판매자 각각에 종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위 판매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판매자를 판매자 그룹에 대응되는 계층구조로 판매자 DB에 등록하고, 상기 판매자 그룹 별로 상기 최상위 판매자의 판매 상품을 판매 상품 DB에 등록하고, 상기 복수의 판매자 각각의 온라인 숍을 생성하고, 상기 온라인 숍은 상기 복수의 판매자가 속한 판매자 그룹의 최상위 판매자의 등록된 판매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계층구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판매자 중에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의 온라인 숍의 디자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을 판매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계층 구조는, 상기 최상위 판매자를 중심으로, 종속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하위 판매자로 이루어진 계층구조로 판매자 DB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판매자 중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디자인을 추천받는 판매자가 포함된 판매자 그룹의 복수의 판매자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디자인을 추천받는 판매자의 판매자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하는 경우, 온라인 숍의 구성에 포함된 콘텐츠의 유사성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의 유사성은 판매 상품의 종류, 판매 상품의 이미지 및 판매 상품의 텍스트 설명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디자인을 추천받는 판매자의 판매자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하는 경우, 온라인 숍의 매출과 관련된 정보를 기준으로 지정된 순위 이상인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라인 숍의 매출과 관련된 정보는 매출액 정보, 회원 가입 비율 정보, 온라인 숍의 방문자의 머무는 시간 정보, 상기 방문자의 재방문 확률 정보, 및 상기 방문자의 구매 비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디자인을 추천받는 판매자의 판매자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판매자 그룹에 포함된 하위 판매자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판매자를 계층구조로 등록하는 경우, 상기 최상위 판매자를 마스터 판매자(master seller)로 판매자 DB에 등록하고, 상기 최상위 판매자에 종속되는 하위 판매자를 매니저 판매자(manager seller), 및 상기 매니저 판매자에 종속되는 일반 판매자(general seller)로 판매자 DB에 등록하고, 상기 매니저 판매자는 상기 일반 판매자를 관리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되고, 상기 하위 판매자 중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일반 판매자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판매자 중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디자인을 추천받는 판매자가 종속된 최상위 판매자와 동일한 카테고리의 상품을 등록한 다른 최상위 판매자의 판매자 그룹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을 결정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의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상기 추천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을 결정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의 온라인 숍의 디자인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조합한 새로운 디자인을 상기 추천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을 판매자에게 제공하는 경우, 상기 온라인 숍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온라인 숍의 생성을 요청한 판매자에게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을 판매자에게 추천하는 경우, 상기 생성된 온라인 숍을 통해 상품을 판매한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컨설팅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판매자에게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을 추천하고, 상기 복수의 판매자 중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디자인을 추천받는 판매자가 포함된 판매자 그룹, 및 상기 판매자 그룹의 판매 상품과 동일한 카테고리의 상품을 판매하는 다른 판매자 그룹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디자인을 추천받는 판매자보다 매출액이 높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최상위 판매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상위 판매자 각각에 종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위 판매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판매자를 판매자 그룹에 대응되는 계층구조로 판매자 DB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판매자 그룹 별로 상기 최상위 판매자의 판매 상품을 판매 상품 DB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판매자 각각의 온라인 숍을 생성하고, 상기 온라인 숍은 상기 복수의 판매자가 속한 판매자 그룹의 최상위 판매자의 등록된 판매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계층구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판매자 중에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판매자의 온라인 숍의 디자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을 판매자에게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최상위 판매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상위 판매자 각각에 종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위 판매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판매자를 판매자 그룹에 대응되는 계층구조로 판매자 DB에 등록하는 명령어; 상기 판매자 그룹 별로 상기 최상위 판매자의 판매 상품을 상품 DB에 등록하는 명령어; 상기 복수의 판매자 각각의 온라인 숍을 생성하고, 상기 온라인 숍은 상기 복수의 판매자가 속한 판매자 그룹의 최상위 판매자의 등록된 판매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명령어; 상기 계층구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판매자 중에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하는 명령어; 상기 선택된 판매자의 온라인 숍의 디자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을 결정하는 명령어; 및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을 판매자에게 추천하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이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는 상품을 유통 및 판매하기 위한 공급자, 판매자, 및 콘텐츠 제작자가 하나의 플랫폼 서비스에 모임임으로써, 자신의 분야 외의 전문가를 쉽게 찾아 서로 협력하여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그리고 이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는 상품을 판매하는데 협력한 이용자들이 스스로 상품을 판매했을 때 감당해야 하는 리스크를 감소시킬 수 있고, 각자의 전문성 있는 분야에 집중하여 최선을 다할 수 있게 하고, 상품 판매에 기여한 비율에 따라 판매 수익을 분배함으로써 상품 판매를 더욱 촉진하여 각자의 수익은 증가하고, 각자의 분야에서 발전하는 선순환구조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이커머스 플랫폼 서비스의 이러한 선순환 구조는 기존의 오픈 마켓에서 최저가 경쟁에 따른 공급자 및 판매자의 피해를 막고, 구매자에게 높은 품질의 상품을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하는 건전한 시장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버(100)의 이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는 구성원의 매출의 증가가 판매자 그룹 전체의 수익 증가로 이루어질 수 있는 계층구조로 복수의 판매자를 등록하여 복수의 판매자가 서로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상기 조성된 환경에서 판매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디자인을 결정함으로써, 미리 만들진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정해진 카테고리에 따라 일률적으로 추천해주는 것에 비해 판매 상품에 적합하면서 매출에 직접적으로 양향을 미칠 수 있는 현재의 판매 트랜드가 적극적으로 반영된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판매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이커머스 환경(e-commerce environment)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커머스 플랫폼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판매자의 계층구조(hierarchy)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판매자의 계층구조에 포함된 복수의 판매자 그룹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새롭게 온라인 숍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추천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컨설팅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추천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추천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이커머스 환경(e-commerce environment)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커머스 환경(10)은 플랫폼 서버(100), 공급자 단말(210), 판매자 단말(220), 콘텐츠 제작자 단말(230) 및 구매자 단말(240)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통신망을 통해 공급자 단말(210), 판매자 단말(220), 콘텐츠 제작자 단말(230) 및 구매자 단말(240)과 연결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10, 220, 230, 240)을 통해 이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는 상품 공급, 판매, 홍보 및 구매와 같은 온라인상에서 상품을 판매하는데 전반적으로 필요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공급자 단말(210)을 통해 플랫폼 상품을 공급하는데 필요한 서비스를 공급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공급자 단말(210)을 통해 판매될 상품의 공급자를 플랫폼 서비스에 등록할 수 있다. 상기 공급자는, 예를 들어, 플랫폼 서비스에서 판매될 상품을 공급하고, 판매자에 의해 판매된 상품을 배송하는 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급자는 상품 유통 및 배송만을 담당하고, 나머지를 다른 이용자에게 맡기는 자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플랫폼 서비스에 등록된다는 것은 지정된 역할을 수행하는 참여자로서 플랫폼 서비스에 등록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급자는 지정된 기준에 따라 등록이 승인될(approved for registration) 수 있다. 상기 지정된 기준은, 예를 들어, 사업 기간, 자본 규모, 매출 규모, 브랜드 가치 등, 공급자의 신뢰성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급자는 엄격한 기준(또는, 높은 기준)에 따라 승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뢰성이 높은 공급자에 의해 플랫폼상에 상품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공급자 단말(210)을 통해 공급자의 공급 상품(supply products)을 플랫폼 서비스에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품은 지정된 기준에 따라 등록이 승인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기준은, 예를 들어, 상품의 품질, 소비자의 기호성, 브랜드 관여도, 시장 점유율, 유통 마진 구조, 독점 유통 가능 여부 등, 상품의 판매량을 예측할 수 있는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품은 엄격한 기준에 따라 승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판매량이 높은 상품이 등록되어 상품 판매 촉진에 기여할 수 있는 이용자(예: 판매자, 콘텐츠 제작자)가 플랫폼 서비스에 더 많이 참여하여 높은 시너지를 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공급자 단말(210)을 통해 상품을 공급하기 위해 필요한 종합 솔루션(total solution)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100)는 공급 상품의 등록, 판매 및 커뮤니티를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를 포함하는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상품 판매를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는, 예를 들어, 등록된 공급 상품의 판매 정보 제공, 공급 상품의 재고 관리, 주문, 배송, 및 환불을 관리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판매자의 온라인 숍을 통해 판매된 상품의 정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통해 상품을 공급하기 위해 필요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판매자 단말(220)을 통해 상품 판매에 필요한 서비스를 판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판매자 단말(220)을 통해 판매자를 플랫폼 서비스에 등록할 수 있다. 상기 판매자는, 예를 들어, 공급자에 의해 플랫폼 서비스에 등록된 공급 상품을 판매하는 자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판매자는 계층구조(hierarchy)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계층구조는, 예를 들어, 상위 판매자(upper seller), 및 상위 판매자에 종속되는 하위 판매자(sub sell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위 판매자에 종속되는 하위 판매자는 판매 가능한 상품 및 판매 조건이 상위 판매자에 종속되고, 판매 금액 중 일부를 상위 판매자에게 수수료로 지불해야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판매자는 지정된 기준에 따라 등록이 승인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기준은, 예를 들어, 판매자의 계층(stratum)에 따라 상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최상위 판매자(top seller)는 매출 규모, 자본 규모, 인적 네트워크 규모 등, 공급자에 준하는 신뢰성을 기반으로 한 엄격한 기준으로 등록이 승인될 수 있다. 하위 판매자(예: 제2계층 판매자, 제3계층 판매자)는 상위 판매자의 승인으로 플랫폼 서비스에 등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뢰성 높은 최상위 판매자의 지휘하에 플랫폼 서비스에 등록된 공급 상품이 전문적이고 여러 온라인 숍(또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판매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판매자 단말(220)을 통해 판매자의 판매 상품(sale products)을 플랫폼 서비스에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100)는 최상위 판매자의 판매 상품을 등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플랫폼 서버(100)는 최상위 판매자만이 새로운 상품의 판매 승인을 신청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최상위 판매자의 하위 판매자는, 예를 들어, 직접 새로운 상품의 판매 승인을 신청할 수 없고, 최상위 판매자의 판매 승인된 상품 내에서 상품을 선택해 판매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판매 상품은 지정된 기준에 따라 승인될 수 있다. 상기 판매 상품은, 예를 들어, 판매자의 활동 영역, 자본 규모, 기존 판매 상품, 매출 규모 등, 상품을 전문성 있게 판매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판매 상품의 승인 기준은 높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랫폼 서비스에 등록된 공급 상품이 전문성 있는 판매자에 의해 적절한 마케팅 방법으로 상품에 관심이 높은 구매자에게 상품 정보가 전달되어 높은 매출을 기록함으로써 공급자뿐만 아니라 상품 판매에 기여한 이용자(예: 판매자, 콘텐츠 제작자)에게도 높은 수익을 가져다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플랫폼 내에 온라인 숍을 생성하기 위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100)는 하드코딩(hard coding) 없이 GUI를 통해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온라인 숍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버(100)는 미리 제작된 디자인 템플릿(design template)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판매자의 판매 상품을 온라인 숍에 등록할 수 있다. 상기 판매 상품은, 예를 들어, 판매자에게 판매 승인된 상품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판매자에 의해 요청된 온라인 숍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100)는 판매자 각각에 의해 생성된 온라인 숍을 생성할 수 있다. 판매자 각각은 자신의 취향에 따른 별개의 온라인 숍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매자는 플랫폼 서비스상에 자신의 취향에 맞는 온라인 숍에 선택적으로 가입하여 회원으로서 온라인 숍에 등록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판매자 단말(220)을 통해 온라인 숍의 생성을 요청한 판매자에게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추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판매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한 판매자에게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100)는 판매자의 판매자 그룹, 판매 상품, 온라인 숍에 업로드될 콘텐츠 등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한 판매자에게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추천할 수 있다. 상기 판매자 그룹은, 예를 들어, 하나의 최상위 판매자를 중심으로 종속된 적어도 하나의 하위 판매로 이루어진 그룹일 수 있다. 상기 판매자 그룹에 대해서는 도 4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겠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상기 추천 디자인을 결정하기 위해, 판매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판매자 중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100)는 판매자의 계층구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의 디자인에 기초하여 판매자에게 추천 디자인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100)는 상기 선택된 판매자의 온라인 숍의 디자인, 또는 상기 선택된 판매자의 디자인의 일부를 이용하여 생성된 디자인을 추천 디자인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상기 결정된 디자인을 온라인 숍의 생성을 요청한 판매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추천한 디자인을 적용하여 온라인 숍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1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추천한 디자인이 적용된 온라인 숍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등록된 판매자는 판매할 상품에 적합한 디자인이 적용된 온라인 숍을 통해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생성된 온라인 숍에 등록된 상품의 판매 서비스를 플랫폼에 방문한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100)는 플랫폼에 직접 방문한 이용자가 플랫폼 내의 루트(예: 검색, 온라인 숍 방문)를 통해서 상품을 검색하고, 검색된 상품을 구매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숍에 등록된 상품의 정보는, 예를 들어, 포털서비스(예: 네이버, 야후)를 통해 검색이 불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랫폼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충성도를 증가시키고, 과도한 최저가 경쟁으로 인한 공급자 및 판매자의 출혈을 막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온라인 숍을 통해 상품을 판매한 판매자에게 컨설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100)는 온라인 숍의 판매 이력에 기초하여 온라인 숍의 매출을 증가시키기 위한 컨설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컨설팅 정보를 통해 판매 상품(또는, 판매 상품의 카테고리)을 추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컨설팅 정보를 통해 판매자에게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100)는 온라인 숍의 매출액에 기초하여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추천할 수 있다. 상기 추천 디자인은, 예를 들어, 매출액이 높은 판매자의 온라인 숍의 디자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매출액이 높은 판매자는 새롭게 등록된 판매자의 온라인 숍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디자인을 추천하는 경우와 유사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판매자의 요청에 따라 추천한 디자인을 기존의 온라인 숍에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판매자는 컨설팅 정보를 통해 추천 디자인이 적용되어 개선된 온라인 숍을 통해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판매자 단말(220)을 통해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필요한 종합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100)는 온라인 숍 관리, 인적 자원, 판매 상품의 등록, 판매 상품의 판매 및 온라인 숍의 커뮤니티를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를 포함하는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인적 자원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는, 예를 들어, 하위 판매자 및 회원을 관리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품 판매를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는 판매되는 상품의 판매 정보 제공, 주문, 배송 및 환불을 관리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온라인 숍을 통해 판매된 상품의 정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계층구조의 상위 판매자에게 종속된 하위 판매자의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는, 예를 들어, 인적 자원, 상품 판매 및 커뮤니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GUI를 통해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필요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콘텐츠 제작자 단말(230)을 통해 콘텐츠 공급에 필요한 서비스를 공급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콘텐츠 제작자를 플랫폼 서비스에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제작자는, 예를 들어, 상품에 판매에 도움되는 콘텐츠를 제작하고, 제작된 콘텐츠를 공급자 및 판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제작자는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해 직접적 및 간접적으로 필요한 전문가일 수 있다. 상기 전문 인력은, 예를 들어, 모델, 헤어메이크업 전문가, 스타일리스트, 사진작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델은 온라인 소셜 미디어(online social media)상의 인플루언서(influencer), 셀럽(celeb) 등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콘텐츠 제작자에 의해 제작된 콘텐츠를 플랫폼 이용자와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100)는 플랫폼 이용자를 소셜 네트워크로 한 콘텐츠 공유 서비스, 다시 말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플랫폼 서비스에 콘텐츠 제작자의 콘텐츠를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상기 등록된 콘텐츠를 콘텐츠 공유 서비스를 통해 플랫폼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공유 서비스를 통해 공유되는 콘텐츠는 플랫폼 서비스에서 판매되는 상품의 홍보를 위한 콘텐츠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콘텐츠는 홍보하고 있는 상품이 판매되고 있는 플랫폼 내의 온라인 숍에 대한 정보(예: URL)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매자는 상기 정보를 통해 지정된 쇼핑몰로 이동하여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콘텐츠와 함께 콘텐츠 제작에 참여한 참여자(예: 모델, 헤어메이크업 전문가, 스타일리스트, 사진작가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급자 및 구매자는 모델뿐만 아니라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모든 관계자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공급자 및 판매자를 콘텐츠 제작자에게 연결해 주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상품의 홍보를 위한 콘텐츠의 제작을 의뢰하고 싶은 공급자 및 판매자를 콘텐츠 제작자에게 연결시켜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100)는 상품의 이미지에 매칭되는 모델뿐만 아니라, 헤어메이크업 전문가, 스타일리스트 등,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참여자를 한 번에 연결해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상품을 협찬하고 싶은 공급자 및 판매자를 콘텐츠 제작자에게 연결해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높은 홍보 효과가 기대되는 콘텐츠 제작자를 공급자 및 판매자에게 연결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100)는 기존에 제작된 콘텐츠, 제작되었던 콘텐츠의 상품의 매출 등에 기초하여 높은 홍보 효과가 기대되는 콘텐츠 제작자를 연결해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콘텐츠 제작자 단말(230)을 통해 콘텐츠를 공급하기 위해 필요한 종합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100)는 공급자 및 판매자와의 계약, 수익 및 정산을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를 포함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콘텐츠 제작에 따른 수익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GUI를 통해 콘텐츠를 공급하기 위해 필요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구매자 단말(240)을 통해 상품 구매에 필요한 서비스를 구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판매자의 온라인 숍에 구매자를 회원으로서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100)는 판매자 각각의 온라인 숍에 구매자를 회원으로서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온라인 숍을 통해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의 주문 및 배송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에게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결제가 완료되면 주문 정보를 공급자 및 판매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급자는 주문된 상품을 구매자에게 배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구매자 단말(240)을 통해 주문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온라인 숍에서 구매한 상품의 주문 및 배송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주문의 수정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수정 정보에 기초하여 주문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의 관리자(manager)는 플랫폼 서비스의 등록을 승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의 관리자는 플랫폼 이용자의 등록을 승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는 공급자 및 판매자의 등록을 승인할 수 있다. 상기 등록 승인을 위한 판매자는, 예를 들어, 최상위 판매자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의 관리자는 상품의 등록을 승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는 공급자의 공급 상품, 및 판매자의 판매 상품을 승인할 수 있다. 상기 판매 상품은, 예를 들어, 최상위 판매자의 판매 상품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의 관리자는 별도의 단말을 통해 플랫폼 서버(100)에 접속하여 서비스의 등록을 승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의 관리자는 공급자 및 판매자의 전반적인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는, 예를 들어, 판매 정보(예: 매출액 정보, 정산 정보, 배송정보 등), 정산 정보, 및 주문 및 배송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의 관리자는 커뮤니티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커뮤니티 정보는, 예를 들어, 온라인 숍, 및 온라인 숍에서 판매되는 상품에 대한 공지사항 FAQ, Q&A, 리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의 관리자는 콜렉터(collector)로부터 소개받은 공급자, 판매자 및 콘텐츠 제작자를 상술한 절차에 따라 등록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콜렉터는 관리자와 별개의 존재로서 플랫폼 서비스에 더 많은 이용자를 참여시키기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이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컴퓨팅 모듈(computing module)뿐만 아니라, 데이터 저장을 위한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플랫폼 서버(100)는 이커머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필요한 서버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분석하여 서비스 이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유용한 정보는, 예를 들어, 상품 공급, 상품 판매, 콘텐츠 제작 및 상품 구매에 유용한 기본 데이터, 및 가공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자 단말(210)은 플랫폼 서버(100)로부터 공급자에게 제공되는 이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공급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급자 단말(210)은 플랫폼 서버(100)로부터 상품 공급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자 단말(210)은 공급 상품의 등록, 공급 상품의 판매 및 공급 상품의 커뮤니티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급자 단말(210)은 플랫폼 서버(100)에 상품 공급을 관리하기 위해 공급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자 단말(210)은 새로운 공급 상품을 등록하기 위한 신청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공급자 단말(210)은 공급 상품의 주문, 배송 및 커뮤니티를 관리하기 위해 공급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급자 단말(210)은 GUI를 통해 상품 공급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공급자에게 제공하고, 공급자로부터 상품 공급을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220)은 플랫폼 서버(100)로부터 판매자에게 제공되는 이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판매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판매자 단말(220)은 플랫폼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쇼핑몰을 생성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온라인 숍을 생성하기 위한 서비스는, 예를 들어, GUI를 통한 드래그 앤 드롭, 및 템플릿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쇼핑몰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판매자 단말(220)은 플랫폼 서버(100)로 온라인 숍을 생성하기 위해 판매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판매자의 온라인 숍이 플랫폼상에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판매자 단말(220)은 플랫폼 서버(100)로부터 상품 판매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자 단말(220)은 판매 상품의 등록, 판매 상품의 판매, 인적 자원 관리 및 온라인 숍의 커뮤니티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인적 자원 관리는, 예를 들어, 하위 판매자 및 회원을 관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판매자 단말(220)은 플랫폼 서버(100)로 상품 판매를 관리하기 위해 판매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자 단말(220)은 새로운 판매 상품을 등록하기 위한 신청을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새로운 판매 상품에 대한 신청은, 예를 들어, 최상위 판매자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또한, 판매자 단말(220)은 공급 상품의 주문, 배송 및 커뮤니티를 관리하기 위해 판매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판매자 단말(220)은 GUI를 통해 상품 공급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판매자에게 제공하고, 판매자로부터 상품 판매를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콘텐츠 제작자 단말(230)은 플랫폼 서버(100)로부터 콘텐츠 제작자에게 제공되는 이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판매자 단말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제작자 단말(230)은 플랫폼 서버(100)로부터 콘텐츠를 플랫폼 이용자와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는, 예를 들어, 플랫폼 이용자를 소셜 네트워크로 하는 SNS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제작자 단말(230)은 플랫폼 서버(100)로 제작된 콘텐츠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텐츠 제작자의 콘텐츠가 플랫폼상에서 공유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제작자 단말(230)은 플랫폼 서버(100)로부터 콘텐츠 제작 의뢰 및 협찬 제공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제작자 단말(230)은 플랫폼 서버(100)로 제작 의뢰 및 협찬 제공을 수락하는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급자 또는 판매자와의 콘텐츠 제작 또는 협찬 계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제작자 단말(230)은 플랫폼 서버(100)로부터 콘텐츠 제작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제작자 단말(230)은 플랫폼 서버(100)로부터 계약 정보, 수익 정보 및 정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작자 단말(220)은 GUI를 통해 상기 수신된 정보를 판매자에게 제공하고, 콘텐츠 제작자로부터 콘텐츠 제작 및 협찬 계약을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240)은 플랫폼 서버(100)로부터 구매자에게 제공되는 이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구매자 단말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구매자 단말(240)은 온라인 숍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구매자 단말(240)은 소비자의 주문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품 구매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10, 220, 230, 240)은 데스크톱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톱 PC(notebook PC),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범용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자 단말(210), 판매자 단말(220) 및 사용자 단말(230)은 데스크톱 PC, 랩톱 PC 등의 휴대성이 비교적 낮은 전자 기기일 수 있고, 구매자 단말(240)은 휴대성이 낮은 데스크톱 PC(240a)뿐만 아니라 스마트폰(240b)일 수 있다.
상기 상술한 이커머스 환경(10)은 상품을 공급하는 공급자, 온라인 숍을 생성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 및 상품의 홍보를 위해 콘텐츠를 제작하는 제작자가 하나의 플랫폼 상에 공존하며 구매자에게 상품을 판매하고 상품 판매에 대한 수익을 공유하는 이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커머스 플랫폼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플랫폼 서버(100)는 통신 장치(110), 메모리(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플랫폼 서버(100)가 구현될 수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플랫폼 서버(100)가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장치(11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1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사용자 단말(예: 도 1의 사용자 단말(210, 220, 230, 240))일 수 있다.
통신 장치(11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일 수 있다.
메모리(1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SD,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상품 공급, 상품 판매, 콘텐츠 제공, 및 구매하는 이용자가 참여하는 이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플랫폼 서버(100)에서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상품, 공급자, 판매자, 콘텐츠 제작자 및 구매자의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D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DB는 별도의 저장 장치로써, 플랫폼 서버(100)의 외부에 구현되어 직접, 또는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플랫폼 서버(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각 기능에 대응되는 특화된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거나, 하나로 통합된 형태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메모리(120)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메모리(12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이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의 명령어 실행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은 플랫폼 서버(예: 도 1의 플랫폼 서버(100))의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공급자 단말(예: 도 1의 공급자 단말(210))을 통해 플랫폼 서비스에서 판매될 상품의 공급자를 공급자 DB에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DB에 등록된다는 것은 등록되는 대상의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DB에 대상 정보가 저장된다는 것은 상기 대상이 플랫폼 서비스에 등록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공급자 단말로부터 공급자로서 등록하기 위한 신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신청 정보는, 예를 들어, 공급자를 식별할 수 있고, 공급자의 등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공급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플랫폼 서비스의 관리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공급자의 등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공급자의 등록 여부는, 예를 들어, 공급자의 신뢰성을 판단할 수 있는 지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상기 지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공급자의 등록 여부 결정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기준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공급자의 등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상기 등록 여부 결정에 따라 공급자를 공급자 DB에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공급자 단말을 통해 공급 상품을 공급 상품 DB에 등록할 수 있다. 상기 공급 상품은, 예를 들어, 플랫폼 서비스에서 판매될 공급자의 상품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공급자 단말로부터 공급 상품을 등록하기 위한 신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신청 정보는, 예를 들어, 공급 상품을 식별할 수 있고, 공급 상품의 등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공급 상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플랫폼 서비스의 관리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공급 상품의 등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공급 상품의 등록 여부는, 예를 들어, 상품의 판매량을 예측할 수 있는 지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상기 지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공급 상품의 등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기준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공급 상품의 등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상기 등록 여부 결정에 따라 공급 상품을 공급 상품 DB에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판매자 단말(예: 판매자 단말(220))을 통해 판매자를 판매자 DB에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판매자를 판매자 DB에 등록하는 경우, 상위 판매자 및 상기 상위 판매자에 종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위 판매자로 이루어지는 계층구조로 판매자 DB에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판매자를 계층구조로 판매자 DB에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적어도 하나의 최상위 판매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상위 판매자 각각에 종속되는 하위 판매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판매자를 판매자 그룹에 대응되는 계층구조로 판매자 DB에 등록할 수 있다. 상기 계층구조는, 예를 들어, 최상위 판매자를 중심으로, 종속된 적어도 하나의 하위 판매자가 계층을 이루는 판매자 그룹을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계층구조의 최상위 판매자를 마스터 판매자(master seller)로 판매자 DB에 등록하고, 상기 최상위 판매자에 종속되는 하위 판매자를 매니저 판매자(manager seller) 및 상기 매니저 판매자에 종속되는 일반 판매자(general seller)로 판매자 DB에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매니저 판매자에게 일반 판매자를 관리할 수 있도록 지정된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계층구조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에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겠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판매자 단말로부터 판매자로서 등록하기 위한 신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신청 정보는, 예를 들어, 판매자를 식별할 수 있고, 판매자의 등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판매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플랫폼 서비스의 관리자에 응답에 기초하여 최상위 판매자의 등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상기 수신된 상품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관리자의 승인 여부에 따라 최상위 판매자의 등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최상위 판매자의 등록 여부는, 예를 들어, 판매자의 신뢰성을 판단할 수 있는 지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기준은 판매자의 신뢰성을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미리 결정된 기준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상위 판매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종속된 하위 판매자의 등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하위 판매자가 종속된 상위 판매자의 단말로 상기 하위 판매자의 정보를 송신하고, 상위 판매자의 단말로부터 등록 여부를 결정하는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응답에 따라 하위 판매자의 등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하위 판매자의 등록 여부는, 예를 들어, 상기 최상위 판매자와 상이하게 최상위 판매자의 주관적인 기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지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판매자의 등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기준에 따라 자동적으로 판매자의 등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상기 등록 여부 결정에 따라 판매자를 판매자 DB에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판매자 단말을 통해 판매 상품을 판매 상품 DB에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최상위 판매자의 판매 상품을 판매 상품 DB에 등록할 수 있다. 상기 판매 상품은, 예를 들어, 공급 상품 DB에 등록된 공급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다시 말해, 공급자가 등록한 공급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판매 상품으로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상기 판매자 그룹 별로 최상위 판매자의 판매 상품을 판매 상품 DB에 등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상위 판매자 각각에 종속된 하위 판매자는 종속된 최상위 판매자의 등록된 판매 상품 내에서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최상위 판매자 단말로부터 판매 상품을 등록하기 위한 신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신청 정보는, 예를 들어, 상품을 식별할 수 있는 판매 상품 정보, 및 판매 상품의 등록 여부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판매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플랫폼 서비스의 관리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판매 상품의 등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판매 상품의 등록 여부는, 예를 들어, 상품을 전문성 있게 판매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최상위 판매자에 종속된 하위 판매자들은 최상위 판매자의 등록된 판매 상품 내에서 상품을 판매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하위 판매자들의 판매 상품은 상기 종속된 최상위 판매자의 등록된 판매 상품에 종속된다. 또한, 상기 하위 판매자들은 별도의 판매 상품 등록을 요청할 수 없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지정된 기준에 따라 판매 상품의 등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기준에 따라 자동적으로 판매 상품의 등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상기 등록 여부 결정에 따라 판매 상품을 판매 상품 DB에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판매자 단말을 통해 플랫폼 내에서 온라인 숍을 생성하기 위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판매자 단말로부터 온라인 숍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예를 들어, GUI를 통해 온라인 숍의 구성을 지정된 위치에 드래그 앤 드롭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은 미리 제작된 디자인 템플릿을 바탕으로 입력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판매 상품 DB에 등록된 상품 중 적어도 하나가 등록된 온라인 숍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등록된 복수의 판매자 각각의 온라인 숍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최상위 판매자에 종속되는 하위 판매자의 온라인 숍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온라인 숍은, 예를 들어, 판매 상품 DB에 등록된 상기 최상위 판매자의 등록된 판매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온라인 숍은 생성을 판매자가 속한 판매자 그룹의 최상위 판매자의 등록된 판매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위 판매자뿐만 아니라, 상기 최상위 판매자의 온라인 숍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판매자 단말을 통해 판매자에게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판매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판매자에게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추천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숍의 디자인은, 예를 들어, 온라인 숍의 구성(예: 메뉴, 상품 등)의 레이아웃(layout), 및 상기 구성에 포함된 콘텐츠(예: 상품의 설명, 이미지 등)의 스타일(style)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상기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추천하기 위해, 판매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등록된 복수의 판매자 중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판매자의 계층구조에 기초하여 복수의 판매자 중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디자인을 추천받는 판매자가 포함된 판매자 그룹의 복수의 판매자 중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상기 판매자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판매자 중, 온라인 숍의 구성에 포함된 콘텐츠의 유사성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온라인 숍의 각 구성에 업로드하기 위해 판매자에 의해 입력된 콘텐츠가 유사한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의 유사성은, 예를 들어, 판매 상품의 종류, 판매 상품의 이미지 및 판매 상품의 설명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위 판매자는 동일한 판매자 그룹에 포함된 경우라도 최상위 판매자의 등록된 상품 내에서 서로 다른 상품을 판매할 수 있기 때문에, 판매 상품의 이미지 및 설명뿐만 아니라 판매 상품의 종류도 동일한 판매자 집단내에서 콘텐츠의 유사성을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동일한 상품의 갯수, 이미지의 갯수, 이미지의 크기, 판매 상품의 텍스트 설명 등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 차등적으로 점수를 부여하여 산출된 점수로 유사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지정된 점수 이상이거나, 지정된 순위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상기 판매자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판매자 중, 온라인 숍의 매출과 관련된 정보를 기준으로 지정된 순위 이상의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온라인 숍의 매출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련된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숍의 매출과 관련된 정보는, 예를 들어, 매출액 정보, 회원 가입 비율 정보, 온라인 숍의 방문자의 머무는 시간 정보, 상기 방문자의 재방문 확률 정보, 및 상기 방문자의 구매 비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매출액, 회원수, 방문 시간, 재방문 확률, 방문이 구매로 이어지는 확률 등에 차등적으로 점수를 부여하여 산출된 점수로 지정된 순위 이상의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상기 판매자 그룹에 포함된 하위 판매자 중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판매자 그룹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것이 주요 업무인 하위 판매자(예: 최하위 판매자(bottom seller)) 중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마스터 판매자의 등록된 상품을, 종속된 매니저 판매자의 관리하에 판매하는 일반 판매자 중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일반 판매자는, 예를 들어, 계층구조에서 상품의 판매자 주요 역할인 판매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반 판매자의 온라인 숍의 디자인은 매출 증가를 위해 참조할 만한 디자인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디자인을 추천받은 판매자가 종속된 최상위 판매자의 판매 상품과 동일한 카테고리의 상품을 등록한 다른 최상위 판매자의 판매자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판매자 중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130)는 최상위 판매자의 등록된 상품이 동일한 카테고리의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다른 판매자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판매자 중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상기 언급한 계층구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하는 방법들 중 복수개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판매자 그룹의 하위 판매자 중, 온라인 숍의 구성에 포함된 콘텐츠의 유사성, 또는 매출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동일한 카테고리의 상품을 등록한 다른 최상위 판매자의 판매자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판매자 중, 온라인 숍의 구성에 포함된 콘텐츠의 유사성, 또는 매출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상기 다른 판매자 그룹의 하위 판매자 중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이 밖에도 상기 언급한 방법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의 온라인 숍의 디자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의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상기 추천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130)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의 온라인 숍 각각에 적용된 디자인을 추천 디자인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의 온라인 숍의 디자인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조합한 새로운 디자인을 상기 추천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의 온라인 숍의 구성의 레이아웃, 및 상기 구성에 포함되는 콘텐츠의 스타일을 선택적으로 조합한 새로운 디자인을 추천 디자인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온라인 숍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온라인 숍의 생성을 요청한 판매자에게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새롭게 등록된 판매자의 온라인 숍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결정된 디자인을 추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생성된 온라인 숍을 통해 상품을 판매한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컨설팅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판매자에게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생성된 온라인 숍을 통해 이미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판매자에게 제공되는 컨설팅 정보를 통해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상기 컨설팅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디자인을 추천하는 경우, 상기 디자인을 추천받는 판매자가 포함된 판매자 그룹, 및 상기 판매자 그룹의 판매 상품과 동일한 카테고리의 상품을 판매하는 다른 판매자 그룹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디자인을 추천받는 판매자보다 매출액이 높은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의 디자인에 기초하여 추천 디자인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상기 추천된 디자인을 온라인 숍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는 판매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추천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중 하나를 온라인 숍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판매자의 요청은, 예를 들어, 상기 추천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요청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판매자는 추천된 디자인이 적용된 온라인 숍을 통해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판매자 단말을 통해 판매된 상품의 수익을 분배하기 위한 수익률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최상위 판매자의 단말로부터 판매자의 게층구조에 따른 수익률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상기 최상위 판매자의 수익률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면, 종속된 하위 판매자의 수익률을 추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상기 수신된 수익률을 설정하는 정보에 따라 계층구조의 판매자들의 수익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상기 추천된 수익률에 동의하는 최상위 판매자의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추천된 수익률에 따라 계층구조의 판매자들의 수익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콘텐츠 제작자 단말(예: 도 1의 콘텐츠 제작자 단말(230))을 통해 콘텐츠 제작자를 콘텐츠 제작자 DB에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콘텐츠 제작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제작자로서 등록하기 위한 신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신청 정보는, 예를 들어, 콘텐츠 제작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상기 수신된 신청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 공급자를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제작자는, 예를 들어,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해 직접적 간접적으로 필요한 전문가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콘텐츠 제작자 단말을 통해 콘텐츠를 플랫폼 이용자와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콘텐츠 제작자 단말로부터 공급 상품 DB 및 판매 상품 DB 중 적어도 하나에 등록된 상품을 홍보하기 위한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콘텐츠 DB에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상기 콘텐츠 DB에 등록된 콘텐츠를 플랫폼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구매자 단말을 통해 콘텐츠 제작자를 식별할 수 있는 공간에 업로드된 콘텐츠를 구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는, 예를 들어, 플랫폼 서비스를 통해 공급자 또는 판매자에 의해 의뢰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콘텐츠 제작자 단말을 통해 공급자 및 판매자를 콘텐츠 제작자에게 연결해주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상품의 홍보를 위한 콘텐츠 제작을 의뢰하거나, 상품을 협찬하기 위한 콘텐츠 제작자를 연결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상기 연결된 콘텐츠를 판매자의 온라인 숍에 업로드하여 플랫폼 서비스의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구매자 단말을 통해 콘텐츠가 업로드된 상품 구매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공급자 단말 및 판매자 단말을 통해 높은 홍보 효과가 기대되는 콘텐츠 제작자에 대한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추천 정보는, 예를 들어, 제작되었던 콘텐츠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구매자 단말(예: 도 1의 구매자 단말(240))을 통해 상품 구매에 필요한 서비스를 구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구매자 단말로부터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의 구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수신된 주문 정보를 공급자 단말 및 판매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상기 수신된 주문 정보를 공급자 단말로 전송하여 공급자가 구매자에게 상품을 배송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커머스 플랫폼 서버(100)는 온라인상에서 상품 판매를 위한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판매자의 계층구조(hierarchy)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판매자(310)는 상위 판매자 및 하위 판매자로 이루어진 계층구조로 등록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판매자(310)는 판매자 단말(예: 도 1의 판매자 단말(220))을 통해 플랫폼 서버(예: 도 1의 플랫폼 서버(100))에 접속하여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하의 복수의 판매자(310)의 행위(또는, 동작)은 판매자 단말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판매자(310)의 계층구조는 상위 판매자 및 상기 상위 판매자에 종속되는 하위 판매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위 판매자가 상위 판매자에 종속된다는 것은 하위 판매자의 플랫폼 서비스 내에서의 권한이 상위 판매자의 권한에 종속된다는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종속된다는 것은 하위 판매자의 권한은 상위 판매자의 권한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권한은, 예를 들어, 판매자의 등록 여부, 판매 상품, 판매 조건 등, 플랫폼 서비스에서 등록되어 상품을 판매할 때 결정 가능한 범위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판매자(310)의 계층구조는 복수의 계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계층 각각은, 예를 들어, 상위 계층에 순차적으로 종속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판매자(310)의 계층구조는 마스터 판매자(311), 매니저 판매자(313) 및 일반 판매자(315)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판매자(310)의 계층구조는 3개 이상의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자(310)의 계층구조는 복수의 계층으로 이루어진 매니저 판매자(313)를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마스터 판매자(311)는 계층구조의 최상위 판매자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마스터 판매자(311)는 종속된 상위 판매자가 없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마스터 판매자(311)는 플랫폼 서비스에 판매 상품을 등록할 수 있다. 상기 판매 상품은, 예를 들어, 공급자에 의해 플랫폼 서비스에 등록된 공급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마스터 판매자(311)는 상품의 카테고리 별로 판매 상품의 등록을 신청할 수 있다. 상기 상품의 카테고리는, 예를 들어, 의류, 생활잡화, 운동용품, 애견용품 등, 복수의 상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마스터 판매자(311)는 종속된 하위 판매자(또는, 매니저 판매자(313) 및 일반 판매자(315))를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에에 따르면, 마스터 판매자(311)는 종속된 하위 판매자(313, 315)의 등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판매자(311)는 직접 종속된 매니저 판매자(313)뿐만 아니라, 매니저 판매자(313)를 통해 간접적으로 종속된 일반 판매자(315)의 등록 여부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마스터 판매자(311)는 하위 판매자(313, 315)의 수익률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수익률은, 예를 들어, 하위 판매자(313, 315)에 의해 판매된 상품의 수익이 계층구조에 따라 분배되는 비율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마스터 판매자(311)는 하위 판매자(313, 315) 각각이 상품을 판매하였을 때의 수익률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결정된 수익률에 따라 하위 판매자(313, 315)가 판매한 상품에 대한 계층 각각의 수익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결정된 수익률에 따라 상하위 판매자는 상품 판매에 의한 수익을 공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마스터 판매자(311)는 상기 등록된 하위 판매자(313, 315)의 판매 상태, 배송 상태 및 정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마스터 판매자(311)는 직접 운영하는 온라인 숍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온라인 숍은, 예를 들어, 마스터 판매자(311)의 판매 상품이 등록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마스터 판매자(311)는 상기 생성된 온라인 숍을 통해 구매자(320)에게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마스터 판매자(311)는 상기 온라인 숍을 통해 구매자(320)에게 직접 상품을 판매하는 것보다는, 상기 판매 상품의 등록, 및 상기 종속된 하위 판매자(313, 315)의 관리에 더 집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마스터 판매자(311)의 수익은 설정된 수익률에 따라 하위 판매자(313, 315)의 판매 수익으로부터 분배될 수 있기 때문에, 직접 상품을 판매하기 보다는 판매 상품 및 하위 판매자(313, 315)의 관리에 집중할 수 있다. 다만, 마스터 판매자(311)가 관리할 하위 판매자(313, 315)가 적거나 없는 경우, 직접 상품을 판매하는 역할도 집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스터 판매자(311)는 계층구조의 최상위 판매자로서, 판매 상품의 등록 및 하위 판매자를 관리하는 주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자신뿐만 아니라 마스터 판매자(311)를 중심으로 한 판매자 그룹 전체의 수익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매니저 판매자(313)는 계층구조의 중간 판매자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매니저 판매자(313)는 자신이 종속된 상위 판매자, 및 자신에게 종속된 하위 판매자가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매니저 판매자(313)는 종속된 하위 판매자(또는, 일반 판매자(315))를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매니저 판매자(313)는 하위 판매자(315)의 등록 여부를 결정하고, 하위 판매자(315)의 판매 상태, 배송 상태 및 정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매니저 판매자(313)는 하위 판매자(315)를 관리할 수 있도록 지정된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다. 상기 지정된 권한은 하위 판매자(315)의 등록 여부를 결정하는 권한, 및 일반 판매자의 판매 상태, 배송 상태 및 정산 상태를 확인하는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매니저 판매자(313)는 직접 운영하는 온라인 숍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온라인 숍은, 예를 들어, 마스터 판매자(311)의 판매 상품이 적어도 하나 등록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매니저 판매자(313)는 마스터 판매자(311)의 등록된 판매 상품 내에서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매니저 판매자(313)는 상기 생성된 온라인 숍을 통해 구매자(320)에게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매니저 판매자(313)는 마스터 판매자(311)와 마찬가지로 상기 온라인 숍을 통해 구매자(320)에게 직접 상품을 판매하는 것보다는, 상기 종속된 일반 판매자(315)의 관리에 더 집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매니저 판매자(313)의 수익은 마스터 판매자(311)의 설정된 수익률에 따라 일반 판매자(315)의 판매 수익으로부터 분배될 수 있기 때문에, 직접 상품을 판매하기 보다는 하위 판매자(315)의 관리에 더 집중할 수 있다. 다만, 매니저 판매자(313)가 관리할 일반 판매자(315)가 적거나 없는 경우, 직접 상품을 판매하는 역할도 집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매니저 판매자(313)는 계층구조의 중간 판매자로서, 일반 판매자(315)를 관리하는 주요 역할(또는, 중간 관리자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자신뿐만 아니라 마스터 판매자(311)를 중심으로 한 판매자 그룹 전체의 수익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일반 판매자(315)는 계층구조의 최하위 판매자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일반 판매자(315)는 종속된 하위 판매자가 없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일반 판매자(315)는 마스터 판매자(311)의 판매 상품이 적어도 하나 등록된 온라인 숍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일반 판매자(315)는 마스터 판매자(311)의 등록된 판매 상품 내에서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일반 판매자(315)는 상기 생성된 온라인 숍을 통해 구매자(320)에게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일반 판매자(315)는 상위 판매자(311, 313)와 상이하게 상기 온라인 숍을 통해 구매자(320)에게 직접 상품을 판매하는 것에 더 집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일반 판매자(315)는 마스터 판매자(311)에 의해 등록된 상품 중 자신의 온라인 숍에서 판매할 상품을 적어도 하나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판매자(315)는 전문성 있게 판매할 수 있거나, 함께 판매하였을 때 판매율이 높은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함께 판매하였을 때 판매율이 높은 상품은, 예를 들어, 온라인 숍의 방문자가 함께 구매할 확률이 높은 상품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일반 판매자(315)는 상기 선택한 상품을 판매할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판매자(315)는 온라인 숍의 구성의 레이아웃, 및 상기 구성에 포함된 콘텐츠(예: 상품의 분류, 목록, 설명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반 판매자(315)는 계층구조의 최하위 판매자로서, 상품을 판매하는 주된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마스터 판매자(311)를 중심으로 한 판매자 그룹의 매출을 올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예: 도 1의 플랫폼 서버(100))는 판매자(310)에게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추천하는 경우, 마스터 판매자(311)를 중심으로 한 판매자 그룹에서 구매자(320)에게 직접적으로 상품을 판매하는 계층의 판매자의 디자인에 기초하여 결정된 디자인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구매자(320)에게 직접적으로 상품을 판매하는 일반 판매자(315)의 온라인 숍의 디자인에 기초하여 결정된 디자인을 추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일반 판매자(315)는 구매자(320)에게 직접적으로 상품을 판매하는 것이 주요 역할이므로, 일반 판매자(315)의 온라인 숍은 매출을 상승시킬 수 있는 요소가 가장 많이 반영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는 디자인을 추천받는 판매자가 포함된 판매자 그룹의 일반 판매자(315)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의 디자인에 기초하여 추천 디자인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버는 디자인을 추천받는 판매자가 종속된 최상위 판매자와 동일한 카테고리의 상품을 등록한 등록한 다른 최상위 판매자의 판매자 그룹에 포함된 일반 판매자 중 선택된 판매자의 디자인에 기초하여 추천 디자인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랫폼 서버는 계층구조의 각 계층의 특징에 기초하여 매출을 직접적으로 증가시켜줄 수 있는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판매자(310)에게 추천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판매자의 계층구조에 포함된 복수의 판매자 그룹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판매자(400)의 계층구조는 각각의 최상위 판매자를 중심으로 한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그룹(410, 4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판매자(400)의 판매자 그룹(410, 420)은 최상위 판매자, 및 상기 최상위 판매자에 종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위 판매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판매자(400)의 판매자 그룹(410, 420)은 마스터 판매자(411, 421), 마스터 판매자(411, 421)에 종속되는 복수의 매니저 판매자(413, 423), 및 복수의 매니저 판매자(413, 423) 각각에 종속되는 복수의 일반 판매자(415, 42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판매자 그룹(410)은 제1 마스터 판매자(411), 제1 마스터 판매자(411)에 종속되는 제1 복수의 매니저 판매자(413), 및 제1 복수의 매니저 판매자(413) 각각에 종속되는 제1 복수의 일반 판매자(41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마스터 판매자(411)에는 제1 매니저 판매자(413-1), 제2 매니저 판매자(413-3) 및 제3 매니저 판매자(413-5)를 포함하는 복수의 매니저 판매자가 종속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매니저 판매자(413-1)에는 제1 일반 판매자(415-1) 및 제2 일반 판매자(415-2)를 포함하는 복수의 일반 판매자가 종속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매니저 판매자(413-3)는 제3 일반 판매자(415-3) 및 제4 일반 판매자((415-4)를 포함하는 복수의 일반 판매자가 종속될 수 있다. 또한, 제3 매니저 판매자(413-5)는 제5 일반 판매자(415-5) 및 제6 일반 판매자(415-6)를 포함하는 복수의 일반 판매자가 종속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마스터 판매자(411)는 제1 판매자 그룹(410)의 최상위 판매자로서 제1 판매자 그룹(410)에서 판매되는 상품을 등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마스터 판매자(411)는 의류 카테고리의 운동복을 판매 상품으로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복수의 매니저 판매자(413) 각각은 종속된 제1 복수의 일반 판매자(415)의 판매를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복수의 일반 판매자(415)는 제1 마스터 판매자(411)에 의해 등록된 상품의 적어도 하나를 온라인 숍을 통해 구매자(예: 도 3의 구매자(320))에게 판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복수의 일반 판매자(415)는 제1 마스터 판매자(411)에 의해 등록된 운동복 중 적어도 하나를 온라인 숍을 통해 판매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마스터 판매자(411) 및 제1 복수의 매니저 판매자(413)도 각각의 온라인 숍을 통해 등록된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판매자 그룹(410)은 제1 마스터 판매자(411)에 의해 등록된 상품을 함께 판매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판매자 그룹(420)은 제2 마스터 판매자(421), 제2 마스터 판매자(421)에 종속되는 제2 복수의 매니저 판매자(423), 및 제2 복수의 매니저 판매자(423) 각각에 종속되는 제2 복수의 일반 판매자(42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마스터 판매자(421)에는 제1 판매자 그룹(410)과 유사하게 제2 복수의 매니저 판매자(423)가 종속될 수 있고, 제2 복수의 매니저 판매자(423) 각각에는 제1 판매자 그룹(410)과 유사하게 제2 복수의 일반 판매자(425)가 종속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마스터 판매자(421)는 제2 판매자 그룹(420)에서 판매되는 상품을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마스터 판매자(421)는 제1 판매자 그룹(410)과 상이한 애견용품 카테고리의 사료를 판매 상품으로 등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마스터 판매자(421)는 제1 판매자 그룹(410)과 동일한 의류 카테고리의 평상복(또는, 캐주얼복)을 판매 상품으로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복수의 매니저 판매자(423)는 제2 복수의 일반 판매자(425)를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복수의 일반 판매자(425)는 제2 마스터 판매자(421)에 의해 등록된 상품의 적어도 하나를 온라인 숍을 통해 구매자에게 판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복수의 일반 판매자(425)는 제1 판매자 그룹(410)과 상이한 애견용품 카테고리의 사료 중 적어도 하나를 온라인 숍을 통해 판매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복수의 일반 판매자(425)는 제1 판매자 그룹(410)과 유사한 의류 카테고리의 평상복 중 적어도 하나를 온라인 숍을 통해 판매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예: 도 1의 플랫폼 서버(100)는 제1 판매자 그룹(410)의 판매자에게, 제1 판매자 그룹(410)에서 선택된 판매자의 온라인 숍의 디자인에 기초하여 추천 디자인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는 동일한 상품(예: 운동복)내에서 상품을 선택하여 판매하는 제1 판매자 그룹(410)에서 선택된 판매자의 온라인 숍의 디자인에 기초하여 추천 디자인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추천 디자인이, 예를 들어, 상이한 카테고리의 애견용품이 판매 상품으로 등록된 제2 판매자 그룹(420)에서 선택된 판매자의 온라인 숍의 디자인에 기초하여 결정된 경우, 제1 판매자 그룹(410)에 포함된 판매자의 상품 판매에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는 제1 판매자 그룹(410)에 포함된 판매자에게 동일한 카테고리의 판매 상품이 등록된 제2 판매자 그룹(420)에서 선택된 판매자의 온라인 숍의 디자인에 기초하여 추천 디자인을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플랫폼 서버는 제2 판매자 그룹(420)이더라도 동일한 카테고리의 판매 상품이 등록된 경우라면, 제2 판매자 그룹(420)의 판매자의 디자인에 기초하여 추천 디자인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는 동일한 의류 카테고리의 평상복을 판매하는 제2 판매자 그룹(420)에서 선택된 판매자의 온라인 숍의 디자인에 기초하여 추천 디자인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추천 디자인은, 예를 들어, 동일한 의류 카테고리의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숍의 디자인에 기초하여 결정되었기 때문에, 제2 판매자 그룹(420)과 상이한 제1 판매자 그룹(410)에 포함된 판매자의 상품 판매에도 도움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는 제1 판매자 그룹(410) 또는 제2 판매자 그룹(420)에서 판매자를 선택하는 경우, 온라인 숍의 구성에 포함된 콘텐츠의 유사성, 및 온라인 숍의 매출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의 유사성은, 예를 들어, 판매 상품의 종류, 판매 상품의 이미지 및 판매 상품의 텍스트 설명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숍의 매출과 관련된 정보는 매출액 정보, 회원 가입 비율 정보, 온라인 숍의 방문자가 머무는 시간 정보, 상기 방문자의 재방문 확률 정보, 및 상기 방문자의 구매 비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랫폼 서버는 판매자의 계층구조의 판매자 그룹의 특징에 기초하여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추천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판매자는 자신의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숍의 디자인 공유가 잠재적 경쟁자에 대한 디자인 공유가 되어 그것이 어려워 보일 수 있지만, 상기 설명한 판매자의 계층구조의 특성상, 판매자 그룹에 포함된 판매자의 매출 증가로 판매자 그룹 전체의 매출이 증가되는 경우, 설정된 수익률에 따라 수익이 분배되어 판매자 그룹에 포함된 전체 판매자의 수익 증가할 수 있으므로 판매자 사이의 디자인 공유가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다른 상위 판매자에 종속된 하위 판매자(예: 제1 일반 판매자(415-1)와 제3 일반 판매자(415-3))라고 하더라도 최상위 판매자(예: 마스터 판매자(411))의 수익률 조정, 또는 계층 변경 등의 직간접적 보상이 가능하기 때문에 서로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판매 그룹에 포함된 판매자(예: 제1 복수의 일반 판매자(415)와 제2 복수의 일반 판매자(425))라고 하더라도 물품의 카테고리가 동일(예: 의류)할 뿐, 상품이 상이(예: 운동복과 평상복)할 수 있어 서로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카테고리의 판매자 증가는 이커머스 플랫폼에 방문하는 구매자 수의 증가로 이어져 전체적 판매량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판매자 그룹(예: 제1 판매자 그룹(410) 및 제2 판매자 그룹(420))이라고 하더라도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공유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새롭게 온라인 숍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추천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플랫폼 서버(예: 도 1의 플랫폼 서버(100))는 새롭게 등록된 판매자의 온라인 숍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추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511 단계에서, 플랫폼 서버는 복수의 판매자를 상위 판매자, 및 상기 상위 판매자에 종속되는 하위 판매자로 이루어지는 계층구로조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는 복수의 판매자를 계층구조로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최상위 판매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상위 판매자 각각에 종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위 판매자로 포함하는 복수의 판매자를 판매자 그룹에 대응되는 계층구조로 등록할 수 있다. 상기 계층 구조는, 예를 들어, 최상위 판매자를 중심으로, 종속된 적어도 하나의 하위 판매자가 계층을 이루는 판매자 그룹(예: 도 4의 판매자 그룹(410, 420))을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판매자 그룹은 마스터 판매자(예: 도 4의 마스터 판매자(411, 421)), 상기 마스터 판매자에 종속된 복수의 매니저 판매자(예: 도 4의 복수의 매니저 판매자(413, 423)), 및 상기 복수의 매니저 판매자 각각에 종속된 복수의 일반 판매자(예: 도 4의 복수의 일반 판매자(415, 42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512 단계에서, 플랫폼 서버는 계층구조의 최상위 판매자의 판매 상품을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는 판매자 그룹 별로 상기 최상위 판매자의 판매 상품을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는 지정된 카테고리의 상품을 최상위 판매자의 판매 상품으로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는 의류 카테고리의 운동복을 판매 상품으로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513 단계에서, 플랫폼 서버는 등록된 복수의 판매자 각각의 온라인 숍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온라인 숍은, 예를 들어, 복수의 판매자 각각이 포함된 판매자 그룹의 최상위 판매자가 등록된 판매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513_1 단계에서, 플랫폼 서버는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는 계층구조에 기초하여 결정된 디자인을 추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는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추천받는 판매자가 포함된 판매 그룹(예: 도 4의 제1 판매자 그룹(410))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의 디자인에 기초하여 추천 디자인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판매자 그룹의 최상위 판매자의 판매 상품은, 예를 들어, 의류 카테고리의 운동복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는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추천받는 판매자가 종속된 최상위 판매자(예: 도 4의 제1 최상위 판매자(411))의 판매 상품과 동일한 카테고리의 판매 상품을 등록한 다른 최상위 판매자(예: 도 4의 제2 최상위 판매자(421))의 판매자 그룹(예: 도 4의 제2 판매자 그룹(420))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의 디자인에 기초하여 추천 디자인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다른 판매자 그룹의 최상위 판매자의 판매 상품은, 예를 들어, 동일한 의류 카테고리의 평상복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추천된 디자인은 판매 상품에 적합한 디자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추천된 디자인은 운동복을 판매하기에 적합한 디자인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513_3 단계에서, 플랫폼 서버는 추천된 디자인이 적용된 온라인 숍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는 판매자의 요청에 따라 추천 디자인이 적용된 온라인 숍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온라인 숍은, 예를 들어, 최상위 판매자의 판매 상품 중 온라인 숍의 생성을 요청한 판매자에 의해 선택된 판매 상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514 단계에서, 플랫폼 서버는 상기 생성된 온라인 숍을 통해 구매자(예: 도 3의 구매자(320))에게 상품의 판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판매자는 상기 생성된 온라인 숍을 통해 구매자에게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플랫폼 서버는 온라인 숍을 생성하기 위한 UI를 통해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추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는 등록된 판매자에게 상품 판매를 위한 종합 솔루션(521)을 제공할 수 있다. 상품 판매를 위한 종합 솔루션(521)은, 예를 들어, 온라인 숍의 설정을 포함하여, 판매 상품, 주문, 배송, 환불 등을 관리하기 위한 솔루션을 포함하고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는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설정하기 위한 솔루션(523)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는 온라인 숍의 텍스트 스타일의 설정하기 위한 솔루션(523a)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는 온라인 숍의 각 부분(예: 본문, 제목 등)에 적용될 텍스트 스타일을 설정하기 위한 솔루션(523a)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는 온라인 숍의 배경의 설정하기 위한 솔루션(523b)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는 배경에 적용될 수 있는 이미지, 또는 테마 색상을 설정하기 위한 솔루션(523b)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는 온라인 숍에 템플릿(template)을 적용하기 위한 솔루션(523c)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는 지정된 색상 테마가 일괄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템플릿을 적용하기 위한 솔루션(523c)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추천 디자인(525)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는 추천받는 판매자가 포함된 판매자 그룹이나 동일한 카테고리의 상품이 등록된 다른 판매자 그룹의 복수의 판매자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의 디자인에 기초하여 추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추천 디자인은, 예를 들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의 디자인, 또는 그 디자인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조합한 디자인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는 추천 디자인에 선택한 판매 상품이 리스팅된 온라인 숍의 미리 보기 이미지를 판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는 판매 상품인 운동복이 리스팅된 온라인 숍의 미리보기 이미지를 판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는 판매자에 의해 선택된 추천 디자인(525a)을 적용하여 온라인 숍(527)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는 선택된 판매 상품인 운동복이 리스팅된 온라인 숍(527)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랫폼 서버는 새롭게 등록된 판매자에 대한 사전적 조치로, 상품을 판매하기 전 다른 판매자의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추천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컨설팅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추천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플랫폼 서버(예: 도 1의 플랫폼 서버(100))는 기존의 판매자에게 컨설팅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추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611 단계에서, 플랫폼 서버는, 도 5a의 S511 단계와 유사하게, 적어도 하나의 최상위 판매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상위 판매자 각각에 종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위 판매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판매자를 판매자 그룹에 대응되는 계층구조로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612 단계에서, 플랫폼 서버는, 도 5a의 S512 단계와 유사하게, 계층구조의 최상위 판매자의 판매 상품을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는 최상위 판매자의 의류 카테고리의 운동복을 판매상품으로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613 단계에서, 플랫폼 서버는 등록된 복수의 판매자 각각의 온라인 숍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는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온라인 숍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예를 들어,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설정하기 위한 솔루션(예: 도 5b의 디자인 솔루션(523))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614 단계에서, 플랫폼 서버는, 도 5a의 S514 단계와 유사하게, 생성된 온라인 숍을 통해 구매자(예: 도 3의 구매자(320))에게 상품의 판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615 단계에서, 플랫폼 서버는 상기 온라인 숍을 통해 상품을 판매한 이력에 기초하여 컨설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는 판매 이력에 기초하여 판매 상품, 및 온라인 숍의 디자인에 대해 컨설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는 상기 컨설팅 정보를 통해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추천할 수 있다. 상기 추천 디자인은 온라인 숍의 판매 이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는 온라인 숍의 매출액에 기초하여 추천 디자인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는 디자인을 추천받는 판매자가 포함된 판매자 그룹(예: 도 4의 제1 판매자 그룹(410)), 및 상기 판매자 그룹의 상품(예: 의류 카테고리의 운동복)과 동일한 카테고리의 상품(예: 의류 카테고리의 평상복)을 판매하는 다른 판매자 그룹(예: 도 4의 제2 판매자 그룹(42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디자인을 추천받는 판매자보다 매출액이 높은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의 디자인에 기초하여 추천 디자인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616 단계에서, 플랫폼 서버에 의해 제공된 컨설팅 정보를 통해 판매 상품 및 온라인 숍이 개선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는 추천된 디자인을 기존의 온라인 숍에 적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는 판매자의 요청에 따라 추천 디자인을 기존의 온라인 숍에 적용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는 컨설팅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에서뿐만 아니라, 온라인 숍을 생성하는 과정에서도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추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플랫폼 서버는 새롭게 온라인 숍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한번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추천하고, 이후 판매 이력에 기초하여 다시 한번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추천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플랫폼 서버는 컨설팅 정보를 통해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추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는 기존의 온라인 숍(621)을 통해 상품을 판매한 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는 기존의 온라인 숍(621)의 매출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매출과 관련된 정보는, 예를 들어, 매출액 정보, 회원 가입 비율 정보, 온라인 숍의 방문자가 머무는 시간 정보, 상기 방문자의 재방문 확률정보, 및 상기 방문자의 구매 비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는 상기 저장한 판매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컨설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는 컨설팅 정보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추천 디자인(623)을 제공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추천 디자인(623)은, 예를 들어, 디자인을 추천받은 판매자가 포함된 판매자 그룹, 및 상기 판매자 그룹의 상품과 동일한 카테고리의 상품을 판매하는 다른 판매자 그룹 중 적어도 하나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의 디자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는 디자인을 추천받는 판매자보다 매출액이 높은 판매자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는 추천 디자인에 기존의 온라인 숍(621)의 판매 상품이 리스팅된 온라인 숍의 미리 보기 이미지를 판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는 판매 상품인 운동복이 리스팅된 온라인 숍의 미리보기 이미지를 판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추천 디자인(623a)을 기존의 온라인 숍에 적용(625)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는 기존의 운동복이 리스팅되어 있던 온라인 숍(621)에 선택된 추천 디자인(623a)을 적용(625)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랫폼 서버는 기존에 등록된 판매자에게도 사후적 조치로 상품을 판매한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추천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추천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710 단계에서, 플랫폼 서버는 복수의 판매자를 계층구조의 판매자로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최상위 판매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상위 판매자 각각에 종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위 판매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판매자를 판매자 그룹에 대응되는 계층구조로 등록할 수 있다. 상기 계층구조는, 예를 들어, 최상위 판매자를 중심으로, 종속된 적어도 하나의 하위 판매자가 계층을 이루는 판매자 그룹을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720 단계에서, 플랫폼 서버는 최상위 판매자의 상품을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는 판매자 그룹 별로 최상위 판매자의 판매 상품을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730 단계에서, 플랫폼 서버는 복수의 판매자의 온라인 숍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숍은,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판매자가 속한 판매자 그룹의 최상위 판매자의 등록된 판매자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740 단계에서, 플랫폼 서버는 계층구조에 기초하여 복수의 판매자 중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는 상기 디자인을 추천받은 판매자가 포함된 판매자 그룹의 복수의 판매자 중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는 온라인 숍의 구성에 포함된 콘텐츠의 유사성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의 유사성은, 예를 들어, 상품의 종류, 판매 상품의 이미지 및 판매 상품의 텍스트 설명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는 온라인 숍의 매출과 관련된 정보를 기준으로 지정된 순위 이상인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매출과 관련된 정보는, 예를 들어, 매출액 정보, 회원 가입 비율 정보, 온라인 숍의 방문자의 머무는 시간 정보, 상기 방문자의 재방문 확률 정보, 및 상기 방문자의 구매비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는 상기 판매자 그룹에 포함된 하위 판매자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는 상기 복수의 판매자를 최상위 판매자인 마스터 판매자, 상기 마스터 판매자에 종속된 매니저 판매자, 및 상기 매니저 판매자에 종속된 일반 판매자로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일반 판매자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750 단계에서, 플랫폼 서버는 선택된 판매자의 온라인 숍의 디자인에 기초하여 판매자에게 추천 디자인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는 선택된 판매자의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상기 추천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의 온라인 숍의 디자인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조합한 새로운 디자인을 상기 추천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760 단계에서, 플랫폼 서버는 결정된 디자인을 판매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는 상기 S730 단계에서 온라인 숍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온라인 숍의 생성을 요청한 판매자에게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을 추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는 상기 S730 단계에서 생성된 온라인 숍을 통해 상품을 판매한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컨설팅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판매자에게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을 추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는 상기 판매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컨설팅 정보를 통해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추천하는 경우, 상기 디자인을 추천받는 판매자가 포함된 판매자 그룹, 및 상기 판매자 그룹의 판매 상품과 동일한 카테고리의 상품을 판매하는 다른 판매자 그룹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판매자보다 매출액이 높은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판매자의 디자인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디자인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S710 내지 S760 단계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S710 내지 S760 단계를 프로그래밍 언어(programming language)로 구현된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상에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플랫폼 서버(100)를 통해 제공되는 이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는 상품을 유통 및 판매하기 위한 공급자, 판매자, 및 콘텐츠 제작자가 하나의 플랫폼 서비스에 모임임으로써, 자신의 분야 외의 전문가를 쉽게 찾아 서로 협력하여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그리고 이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는 상품을 판매하는데 협력한 이용자들이 스스로 상품을 판매했을 때 감당해야 하는 리스크를 감소시킬 수 있고, 각자의 전문성 있는 분야에 집중하여 최선을 다할 수 있게 하고, 상품 판매에 기여한 비율에 따라 판매 수익을 분배함으로써 상품 판매를 더욱 촉진하여 각자의 수익은 증가하고, 각자의 분야에서 발전하는 선순환구조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이커머스 플랫폼 서비스의 이러한 선순환 구조는 기존의 오픈 마켓에서 최저가 경쟁에 따른 공급자 및 판매자의 피해를 막고, 구매자에게 높은 품질의 상품을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하는 건전한 시장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버(100)의 이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는 구성원의 매출의 증가가 판매자 그룹 전체의 수익 증가로 이루어질 수 있는 계층구조로 복수의 판매자를 등록하여 복수의 판매자가 서로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상기 조성된 환경에서 판매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디자인을 결정함으로써, 미리 만들진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정해진 카테고리에 따라 일률적으로 추천해주는 것에 비해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적합하면서 매출에 직접적으로 양향을 미칠 수 있는 현재의 판매 트랜드가 적극적으로 반영된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판매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10 : 이커머스 환경
100 : 이커머스 플랫폼 서버
210 : 공급자 단말
220 : 판매자 단말
230 : 콘텐츠 제작자 단말
240 : 구매자 단말

Claims (16)

  1. 통신 장치;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최상위 판매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상위 판매자 각각에 종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위 판매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판매자를 판매자 그룹에 대응되는 계층구조로 판매자 DB에 등록하고, 상기 판매자 그룹은 상기 최상위 판매자를 중심으로 종속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하위 판매자가 계층을 이루고, 상기 하위 판매자는 판매 상품, 및 상품의 판매 조건이 종속된 최상위 판매자에게 종속되고, 상기 판매자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판매자는 상기 최상위 판매자에 의해 설정된 수익률에 따라 상품 판매에 대한 수익을 공유하고,
    상기 판매자 그룹 별로 상기 최상위 판매자의 판매 상품을 판매 상품 DB에 등록하고,
    상기 복수의 판매자 각각의 온라인 숍을 생성하고, 상기 온라인 숍은 상기 복수의 판매자가 속한 판매자 그룹의 최상위 판매자의 등록된 판매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지정된 판매자가 포함된 판매자 그룹, 및 상기 지정된 판매자가 종속된 최상위 판매자와 동일한 카테고리의 상품을 등록한 다른 최상위 판매자의 판매자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복수의 판매자 중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의 온라인 숍의 디자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을 상기 지정된 판매자에게 추천하는, 이커머스 플랫폼 서버.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디자인을 추천받는 판매자의 판매자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하는 경우, 온라인 숍의 구성에 포함된 콘텐츠의 유사성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하는, 이커머스 플랫폼 서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의 유사성은 판매 상품의 종류, 판매 상품의 이미지 및 판매 상품의 텍스트 설명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판단되는, 이커머스 플랫폼 서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디자인을 추천받는 판매자의 판매자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하는 경우, 온라인 숍의 매출과 관련된 정보를 기준으로 지정된 순위 이상인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하는, 이커머스 플랫폼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숍의 매출과 관련된 정보는 매출액 정보, 회원 가입 비율 정보, 온라인 숍의 방문자의 머무는 시간 정보, 상기 방문자의 재방문 확률 정보, 및 상기 방문자의 구매 비율 정보를 포함하는, 이커머스 플랫폼 서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디자인을 추천받는 판매자의 판매자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판매자 그룹에 포함된 하위 판매자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하는, 이커머스 플랫폼 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판매자를 계층구조로 등록하는 경우, 상기 최상위 판매자를 마스터 판매자(master seller)로 판매자 DB에 등록하고, 상기 최상위 판매자에 종속되는 하위 판매자를 매니저 판매자(manager seller), 및 상기 매니저 판매자에 종속되는 일반 판매자(general seller)로 판매자 DB에 등록하고, 상기 매니저 판매자는 상기 일반 판매자를 관리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되고,
    상기 하위 판매자 중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일반 판매자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하는, 이커머스 플랫폼 서버.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을 결정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의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상기 추천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으로 결정하는, 이커머스 플랫폼 서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을 결정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의 온라인 숍의 디자인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조합한 새로운 디자인을 상기 추천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으로 결정하는, 이커머스 플랫폼 서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을 판매자에게 추천하는 경우, 상기 온라인 숍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온라인 숍의 생성을 요청한 판매자에게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을 추천하는, 이커머스 플랫폼 서버.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을 판매자에게 추천하는 경우, 상기 생성된 온라인 숍을 통해 상품을 판매한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컨설팅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판매자에게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을 추천하고,
    상기 복수의 판매자 중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디자인을 추천받는 판매자가 포함된 판매자 그룹, 및 상기 판매자 그룹의 판매 상품과 동일한 카테고리의 상품을 판매하는 다른 판매자 그룹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디자인을 추천받는 판매자보다 매출액이 높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하는, 이커머스 플랫폼 서버.
  15. 이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최상위 판매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상위 판매자 각각에 종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위 판매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판매자를 판매자 그룹에 대응되는 계층구조로 판매자 DB에 등록하고, 상기 판매자 그룹은 상기 최상위 판매자를 중심으로 종속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하위 판매자가 계층을 이루고, 상기 하위 판매자는 판매 상품, 및 상품의 판매 조건이 종속된 최상위 판매자에게 종속되고, 상기 판매자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판매자는 상기 최상위 판매자에 의해 설정된 수익률에 따라 상품 판매에 대한 수익을 공유하는 단계;
    상기 판매자 그룹 별로 상기 최상위 판매자의 판매 상품을 판매 상품 DB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판매자 각각의 온라인 숍을 생성하고, 상기 온라인 숍은 상기 복수의 판매자가 속한 판매자 그룹의 최상위 판매자의 등록된 판매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계;
    지정된 판매자가 포함된 판매자 그룹, 및 상기 지정된 판매자가 종속된 최상위 판매자와 동일한 카테고리의 상품을 등록한 다른 최상위 판매자의 판매자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복수의 판매자 중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판매자의 온라인 숍의 디자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을 상기 지정된 판매자에게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
  16. 이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최상위 판매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상위 판매자 각각에 종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위 판매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판매자를 판매자 그룹에 대응되는 계층구조로 판매자 DB에 등록하고, 상기 판매자 그룹은 상기 최상위 판매자를 중심으로 종속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하위 판매자가 계층을 이루고, 상기 하위 판매자는 판매 상품, 및 상품의 판매 조건이 종속된 최상위 판매자에게 종속되고, 상기 판매자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판매자는 상기 최상위 판매자에 의해 설정된 수익률에 따라 상품 판매에 대한 수익을 공유하는 명령어;
    상기 판매자 그룹 별로 상기 최상위 판매자의 판매 상품을 상품 DB에 등록하는 명령어;
    상기 복수의 판매자 각각의 온라인 숍을 생성하고, 상기 온라인 숍은 상기 복수의 판매자가 속한 판매자 그룹의 최상위 판매자의 등록된 판매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명령어;
    지정된 판매자가 포함된 판매자 그룹, 및 상기 지정된 판매자가 종속된 최상위 판매자와 동일한 카테고리의 상품을 등록한 다른 최상위 판매자의 판매자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복수의 판매자 중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를 선택하는 명령어;
    상기 선택된 판매자의 온라인 숍의 디자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을 결정하는 명령어; 및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을 상기 지정된 판매자에게 추천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30010646A 2023-01-27 2023-01-27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추천하는 이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KR102632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0646A KR102632632B1 (ko) 2023-01-27 2023-01-27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추천하는 이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0646A KR102632632B1 (ko) 2023-01-27 2023-01-27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추천하는 이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2632B1 true KR102632632B1 (ko) 2024-02-01

Family

ID=89859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0646A KR102632632B1 (ko) 2023-01-27 2023-01-27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추천하는 이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26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883A (ko) * 1999-11-10 2000-02-07 손승현 맞춤형 쇼핑몰 구축 시스템 및 방법
KR100790945B1 (ko) 2007-03-30 2008-01-03 권영춘 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방법 및 장치
KR20200065685A (ko) 2018-11-30 2020-06-09 카페24 주식회사 온라인 전자상거래의 쇼핑몰의 디자인 자동 생성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883A (ko) * 1999-11-10 2000-02-07 손승현 맞춤형 쇼핑몰 구축 시스템 및 방법
KR100790945B1 (ko) 2007-03-30 2008-01-03 권영춘 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방법 및 장치
KR20200065685A (ko) 2018-11-30 2020-06-09 카페24 주식회사 온라인 전자상거래의 쇼핑몰의 디자인 자동 생성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ehra et al. Competitive strategies for brick-and-mortar stores to counter “showrooming”
Remane et al. The business model pattern database: a tool for systematic BMI
Gönsch et al. Dynamic pricing with strategic customers
US10325325B2 (en) Social marketplace digital worth score
US20150161709A1 (en) Pop-up recommendation lists
US20120022965A1 (en) Geolocation based biddin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11793296B2 (en) Beauty product creation platform
US10977722B2 (en) System, method and user interfaces and data structures in a cross-platform facility for providing content generation tools and consumer experience
US20140143014A1 (en) Information analysis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transactions
Joghee RETRACTED ARTICLE: Internet of Things-assisted E-marketing and distribution framework
Liu et al. Products pricing and return strategies for the dual channel retailers
US202001048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covering and purchasing products online
Lisnik et al. Aspects of strategic management and online marketing
KR102270645B1 (ko) 제조 협업을 위한 비즈니스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20110314065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sharing data among a plurality of users
KR102632632B1 (ko) 온라인 숍의 디자인을 추천하는 이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KR20200111045A (ko) 미용실 유휴좌석 공유 거래 시스템
KR102668801B1 (ko) 상품을 콘텐츠 창작자에게 협찬하는 이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서버의 동작 방법
KR102614886B1 (ko) 복수의 판매자를 포함하는 계층구조에 이용자를 초대하는 이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KR102668802B1 (ko) 이커머스 플랫폼 상에서의 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버 및 서버의 동작 방법
KR102086957B1 (ko) 가구 유통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2609202B1 (ko) 이커머스 기반의 콘텐츠 제작자 선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KR20180060195A (ko) 패션 아이템 콘텐츠 db구축을 통한 코디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코디 기반의 scm 상거래 플랫폼 시스템
Cerolini The Omnichannel strategy: a new way to compete in digital market
Kermally Marketing & Economics: An integrative approach to making effective business decisions in the global marketing wor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