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1418A - 타이어를 다루기 위한 장치와 방법 및 고천장 창고 - Google Patents
타이어를 다루기 위한 장치와 방법 및 고천장 창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91418A KR20200091418A KR1020207016437A KR20207016437A KR20200091418A KR 20200091418 A KR20200091418 A KR 20200091418A KR 1020207016437 A KR1020207016437 A KR 1020207016437A KR 20207016437 A KR20207016437 A KR 20207016437A KR 20200091418 A KR20200091418 A KR 2020009141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ires
- tire
- horizontal
- vertical picking
- storag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0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32 intermediate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5 construc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65G1/1373—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for fulfilling orders in warehouses
- B65G1/1375—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for fulfilling orders in warehouses the orders being assembled on a commissioning stacker-crane or truc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16—Handling tyres or parts thereof, e.g. supplying, storing, convey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65G1/0435—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with pulling or pushing means on either stacking crane or stacking area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2—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3—T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천장 창고의 보관 선반에서 하나 이상의 타이어를 동시에 다루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타이어는 창고에 들어가 보관되며 또한 그 창고로부터 타이어가 인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선반 트랙 및 이 선반 트랙을 따라 움직이도록 배치되어 있는 화물 다루기 장치를 포함하고, 화물 다루기 장치는,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갖는 수평 세로 픽킹 바아(타이어가 직립 위치에서 서로 앞뒤에 서 있을 때 세로 픽킹 바아는 타이어의 축선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타이어를 동시에 다루도록 배치되어 있고, 그래서 세로 픽킹 바아는 타이어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음); 및 세로 픽킹 바아에 배치되는 후방 지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타이어를 다루기 위한 방법 및 고천장 창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첨부된 독립 청구항의 전제부에 따른, 타이어를 다루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포함하는 고천장 창고에 관한 것이다.
창고에서 타이어를 다루고 보관하기 위한 다양한 시스템이 종래 기술에 알려져 있다. 전형적인 창고에서, 타이어는 서로 상하로 적층되어 파일(pile)에 보관된다. 이 경우, 타이어의 측벽은 타이어가 적층되는 기부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타이어의 파일은 예컨대 팔렛트 또는 바닥 보관부에 있는 타이어 보관 랙에 보관된다. 종래의 창고에서, 팔렛트는 지게차로 수동으로 다루어진다. 대안적으로, 타이어는 타이어를 보관하기 위한 스톡킹(stocking) 영역 위쪽에 배치되는 자동화된 다루기 시스템으로 다루어진다. 이러한 종류의 자동화된 창고가 US 6,315,513에 나타나 있다.
타이어를 서로 상하로 적층하여 파일에 보관하는 것의 단점은, 타이어가 보관 중에 무너질 수 있다는 것이다. 무너짐의 결과로, 타이어의 치수가 타이어의 폭방향으로 교대된다. 이는 자동화된 다루기 시스템의 작동을 방해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타이어가 서로 상하로 적층되어 파일에 있는 경우에, 타이어의 공칭 크기에 근거하는 타이어의 픽킹은 감지 없이 파일의 정상부로부터 약 1 m 까지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실제로, 자동화된 다루기 시스템에서 특별한 식별 또는 감지가 필요하다. 자동화된 다루기 시스템의 감지는 비용을 증가시키고 또한 타이어의 자동화된 다루기의 신뢰성에 문제를 준다. 타이어를 파일에 보관하는 것의 다른 단점은, 파일의 높이가 커짐에 따라 파일이 불안정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서로 상하로 적층되어 있는 상이한 종류와 크기의 타이어를 보관하고 다루는 것은 어렵다. 이 때문에, 창고에는 여러 개의 더 작은 파일이 있어야 하고, 이 경우, 더 많은 바닥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타이어 제조에 관계되는 타이어를 위한 전형적인 다루기 및 보관 방안에서, 제조로부터 들어어는 타이어를 받기 위한 중간 보관부 또는 버퍼 보관부가 필요하다. 또한, 타이어를 픽킹하여 보관부 밖으로 보내기 위한 별도의 픽킹 영역이 필요하고, 주문에 띠라 필요시에 타이어를 포함하는 팔렛트 또는 랙이 그 픽킹 영역에 보내진다. 이들 중간 단계 및 팔렛트 또는 랙의 전달은 창고에서 타이어의 전체적인 다루기 과정을 느리게 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 있는 전술한 문제를 줄이거나 심지어 없애는 것이다.
사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천장 창고에서 타이어를 간단하고 더 효율적인 방식으로 다루기 위한 신규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천장 창고에서 타이어를 다루기 위한 장치 및 방법으로서, 창고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즉 이전 보다 평방 미터 당 더 많은 양의 타이어를 보관할 수 있게 해주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타이어의 다루기가 신뢰적이고 효과적인 고천장 창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어의 효율적인 보관 및 간단한 모으기 및 고객 주문의 처리가 통합되는 고천장 창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위에서 언급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첨부된 독립 청구항의 특징부에 나타나 있는 바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몇몇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종속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실시 형태 및 이점은, 적용 가능하다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방법 및 고천장 창고에 관계되는데, 하지만, 이는 항상 구체적으로 언급되어 있지는 않다.
고천장 창고의 보관 선반에서 하나 이상의 타이어를 동시에 다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형적인 장치가 개시되며, 타이어는 상기 창고에 들어가 보관되며 또한 그 창고로부터 타이어가 인출되고, 본 장치는 선반 트랙 및 이 선반 트랙을 따라 움직이도록 배치되어 있는 화물 다루기 장치를 포함하고, 화물 다루기 장치는,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갖는 수평 세로 픽킹 바아(타이어가 직립 위치에서 서로 앞뒤에 서 있을 때 상기 세로 픽킹 바아는 타이어의 축선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타이어를 동시에 다루도록 배치되어 있고, 그래서 상기 세로 픽킹 바아는 타이어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음); 및 세로 픽킹 바아에 배치되는 후방 지지부를 포함한다.
고천장 창고의 보관 선반에서 하나 이상의 타이어를 동시에 다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형적인 방법이 개시되며, 타이어는 상기 창고에 들어가 보관되며 또한 그 창고로부터 타이어가 인출되고, 본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타이어를 동시에 다루는 것을 포함하고, 그래서, 세로 픽킹 바아의 제 2 단부가 타이어 비드(bead) 사이에 도달하도록 세로 픽킹 바아의 길이 방향으로 있는 마지막 타이어가 다루어지고, 후방 지지부가 타이어를 지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형적인 고천장 창고는, 보관 선반에서 조직화되어 있는 복수의 보관 위치, 상기 보관 위치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고, 그래서 직립 위치에서 서로 앞뒤에 보관 위치의 랙 구조물 상에 직접 배치되는 복수 세트의 타이어, 적어도 2개의, 바람직하게는 4개의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배치되는 적층 크레인, 및 타이어의 축선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타이어를 동시에 다루기 위해 상기 적층 크레인에 배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포함한다.
놀랍게도, 타이어가 고천장 창고의 보관 선반에서 직립 위치에서 서로 앞뒤에 서 있을 때 타이어는 타이어의 축선 방향으로 보관될 수 있고 또한 쉽게 다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이어의 축선 방향은 타이어의 중심 축선의 방향을 의미하고, 타이어의 중심 축선은 수평으로 향한다. 직립 위치는 타이어의 중심 축선이 수평 방향으로 있는 위치를 말한다. 다루기는, 타이어가 직립 위치에서 서로 앞뒤에 서 있을 때 타이어의 축선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선반 트랙을 따라 움직이도록 배치되는 화물 다루기 장치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수행될 수 있다. 화물 다루기 장치는,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갖는 수평 세로 픽킹 바아. 및 세로 픽킹 바아에 배치되는 후방 지지부를 포함한다. 타이어가 직립 위치에서 서로 앞뒤에 서 있을 때 수평 세로 픽킹 바아는 타이어의 축선 방향으로 하나, 2개 또는 그 이상의 타이어를 동시에 다루도록 배치되어 있고, 그래서 수평 세로 픽킹 바아는 타이어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타이어의 중심은, 세로 픽킹 바아가 타이어의 중심을 수평으로 통과해 움직여 타이어를 그의 축선 방향으로 픽킹하도록, 수평으로 개방되어 있다. 타이어의 중심의 내면, 즉 타이어 비드(bead)는 타이어의 체결 또는 누름 없이 세로 픽킹 바아와 자유롭게 접촉하는데, 즉 픽업될 타이어는 세로 픽킹 바아에 자유롭게 매달리게 된다. 그 경우, 타이어가 다루어질 때 그 타이어 쪽으로 향하는 응력은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로, 상이한 종류와 크기의 타이어가 동시에 다루어질 수 있다. 후방 지지부는 타이어의 다루기 및 리프팅 동안에 타이어를 세로 픽킹 바아에서 지지하기에 적합하기 때문에, 화물 다루기 장치의 구성은 후방 지지부를 갖는 간단한 수평 세로 픽킹 바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이어를 위한 고천장 창고에서, 보관부는 선반에서 조직화되며, 그 선반에서 보관 위치는 서로의 옆에 또한 서로 상하로 있다. 보관 위치는, 적어도 2개의 타이어 및 바람직하게는 하나 보다 많은 타이어가 각 보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타이어는 직립 위치에서 서 있도록 서로 앞뒤에 축선 방향으로 보관 위치 안으로 배치되고, 단지 하나의 타이어의 측벽이 각 보관 위치에서 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타이어의 측벽은 서로 접촉하고 타이어 사이에 틈이 없다. 보관 위치는 예컨대 높이, 폭 및 깊이를 갖는 선반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타이어는 보관 선반의 깊이 방향으로 직립 위치에서 서로의 앞뒤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보관 선반은 선반의 깊이 방향으로 아래로 경사지도록 기울어져 있다. 기울기는 예컨대 2°일 수 있다. 이로써, 타이어가 선반에 넘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는, 보관 선반은 타이어가 직접 배치되는 랙 구조물을 포함한다. 따라서, 타이어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팔렛트 또는 랙이 필요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보관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일측을 통해서만 접근 가능하며, 그 일측은 보관 위치의 출력부로서 지정된다. 따라서 보관 위치의 출력부는, 화물 다루기 장치의 수평 세로 픽킹 바아가 하나 이상의 타이어를 픽업하거나 위치시키기 위해 보관 위치에 들어갈 수 있는 위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화물 다루기 장치를 포함한다. 이 화물 다루기 장치는 적어도 2개의 상호 반대 방향으로 선박 트랙을 따라 앞뒤에 움직이도록 배치된다. 선박 트랙은 보관 위치의 깊이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바람직하게 기다랗다. 바람직하게는, 화물 다루기 장치는 보관 위치의 깊이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장치는 화물 다루기 장치를 움직이기 위한 수단, 예컨대, 그에 연결되어 있는 모터를 포함한다.
화물 다루기 장치는,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갖는 수평 세로 픽킹 바아를 포함한다. 세로 픽킹 바아는, 세로 픽킹 바아의 길이 방향(제 1 단부와 제 2 단부 사이의 방향)이 화물 다루기 장치의 본체에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제 1 단부에서 화물 다루기 장치의 본체에 배치된다. 수평 세로 픽킹 바아는 바람직하게는 전체 길이에서 곧게 되어 있다. 수평 세로 픽킹 바아는 예컨대 일정한 길이를 갖는 축방향 베이요넷(bayonet)일 수 있다. 세로 픽킹 바아는 또한 적어도 2개의 상호 반대 방향, 즉 상하로 움직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세로 픽킹 바아로, 타이어는 보관 위치로부터 쉽게 픽킹되고 그에 위치될 수 있다. 타이어가 직립 위치에서 서로 앞뒤에 서 있을 때 타이어는 보관 위치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쉽게 픽킹될 수 있다.
타이어를 보관 위치로부터 픽킹할 때, 화물 다루기 장치는 먼저 보관 위치의 깊이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선반 트랙을 따라 앞으로 움직인다. 동시에, 세로 픽킹 바아는 직립 위치에서 서로 앞뒤에 서 있는 타이어의 중심을 수평 방향으로 통과해 움직일 수 있다. 세로 픽킹 바아를 픽킹될 타이어의 줌심을 통해 위치시킨 후에, 세로 픽킹 바아는 위로 움직인다. 타이어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앞뒤에 세로 픽킹 바아 상에서 내면에서 자유롭게 매달려 있고, 그래서 타이어의 측벽은 서로 접촉한다. 그런 다음에 화물 다루기 장치는 선반 트랙을 따라 뒤로 움직이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수평 세로 픽킹 바아의 길이는 1 - 4 m 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세로 픽킹 바아의 치수는, 이 바아가 깊이 방향으로 보관 위치의 단부에 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세로 픽킹 바아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수평 세로 픽킹 바아의 길이는 조절 가능하다. 세로 픽킹 바아는 예컨대 신축자재하다. 세로 픽킹 바아의 조절 가능한 길이는 타이어의 픽킹 및 다루기를 용이하게 해주고 빠르게 해준다. 세로 픽킹 바아의 길이는 다루어지는 타이어의 갯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세로 픽킹 바아의 길이를 조절하여, 타이어는 후방 지지부 쪽으로 움직일 수 있다. 세로 픽킹 바아의 직경은 다루어질 타이어의 내경 보다 작다.
화물 다루기 장치는 또한 수평 세로 픽킹 바아에 배치되는 후방 지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후방 지지부는 판형 구조물을 가지며, 또한 상기 수평 세로 픽킹 바아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타이어가 픽킹되고 다루어질 때, 후방 지지부는 제일 먼저 픽킹된 타이어의 측벽에 접해 배치된다. 후방 지지부는 타이어의 다루기 및 들어 올리기 동안에 타이어를 세로 픽킹 바아에서 직립 위치에 유지시키고 또한 타이어의 떨어짐을 방지한다. 후방 지지부는 간단한 수평 세로 픽킹 바아로 타이어를 다루기 위한 안정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후방 지지부의 크기는 예컨대 연장 판으로 조절 가능하고, 이 경우, 후방 지지부는 다루어질 타이어의 크기로 설치될 수 있다. 후방 지지부는 픽킹 동안에 타이어의 접촉을 검출하는 검출 판을 포함한다. 검출 판은 화물 다루기 장치가 정확한 갯수의 타이어를 픽킹할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후방 지지부는 수평 세로 픽킹 바아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된다. 세로 픽킹 바아의 세로 방향, 즉 길이 방향은 세로 픽킹의 제 1 및 2 단부 사이의 방향을 말한다. 따라서, 후방 지지부의 위치는 다루어질 타이어의 갯수 및/또는 공칭 크기에 근거하여 변경될 수 있다. 후방 지지부는 다루어질 타이어의 갯수 및/또는 공칭 크기에 근거하여 자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가동 후방 지지부에 의해, 화물 다루기 장치가 조절될 수 있고 또한 타이어의 갯수 및/또는 크기에 불구하고 타이어의 양호한 지지가 보장된다. 후방 지지부는 예컨대 보통 지지 표면을 갖는 판형 구조물일 수 있다. 타이어에 접하는 지지 표면은 바람직하게 타이어의 내경 보다 크다. 후방 지지부의 움직임은 예컨대 모터로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장치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수평 세로 픽킹 바아 및 세로 픽킹 바아의 세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되는 후방 지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후방 지지부의 크기는 높이 방향, 즉 수평 세로 픽킹 바아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조절 가능하다. 후방 지지부의 크기는 타이어의 크기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후방 지지부의 크기는 예컨대 후방 지지부의 하측 부분에 배치될 수 있는 연장 판으로 조절될 수 있다. 연장 판은 움직일 수 있고, 이 경우 연장 판은 지지에 대한 필요성에 따라 제자리에서 또한 멀어지게 회전될 수 있다(후방 지지부의 연장부가 되도록). 후방 지지부의 크기가 높이 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어, 화물 다루기 장치는 어떤 종류 및 크기의 타이어라도 다룰 수 있다.
수평 세로 픽킹 바아는 또한 세로 픽킹 바아의 제 2 단부에 배치되는 지지 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지지 판은 세로 픽킹 바아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판형 구조물일 수 있다. 타이어를 픽킹하고 다룰 때, 지지 판은 타이어 비드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타이어의 폭 방향으로 타이어의 중간에 배치된다. 지지 판은 화물 다루기 장치가 서로 앞뒤에 보관되어 있는 타이어를 분리시키는 것을 도와줄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화물 다루기 장치의 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요구되는 작동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 작동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컴퓨터 및 관련 프로그램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많은 타이어를 동시에 간단하고 신뢰적으로 다룰 수 있게 해준다. 수평 세로 픽킹 바아를 타이어의 중심에 배치하고 또한 타이어를 후방 지지부로 지지함으로써, 타이어가 직립 위치에서 서로 앞뒤에 서 있을 때 화물 다루기 장치는 타이어를 타이어의 축선 방향으로 다룬다. 화물 다루기 장치는 1 내지 20개의 타이어를 동시에 다룰 수 있다. 전형적으로, 화물 다루기 장치는 2개 이상의 타이어를 동시에 다룬다. 바람직하게는, 동시에 다루어지는 타이어의 갯수는 최대 20개이다. 타이어는 상이한 보관 위치에서 픽업되고 또한 그에 떨어질 수 있다. 본 장치로 다루어지는 타이어는 어떤 종류의 타이어라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이한 종류의 타이어, 즉 상이한 공칭 크기 또는 상이한 내경을 갖는 타이어가 동시에 다루어질 수 있게 해준다. 이 때문에, 타이어를 별도로 분류할 필요가 없다.
본 장치는 선반 트랙을 따라 움직이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물 다루기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장치는 선반 트랙을 따라 움직이도록 배치되는 2개 이상의 화물 다루기 장치를 포함한다. 이 경우, 화물 다루기 장치는 자체의 선박 트랙을 따라 움직인다. 선박 트랙은, 선반 트랙을 따라 움직이는 화물 다루기 장치의 거리가 본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서로의 옆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장치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2개의 선반 트랙 및 화물 다루기 장치를 포함한다. 2개의 화물 다루기 장치를 갖는 것의 이점은, 더 많은 타이어가 동시에 다루어질 수 있고 또한 타이어의 분류가 보관 선반에서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장치는 화물 다루기 장치에 의해 다루어지는 타이어가 임시로 놓일 수 있는 지지 랙을 포함한다. 이 지지 랙은 바람직하게는 선반 트랙의 양측에 위치된다. 지지 랙의 길이는 선반 트랙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지지 랙은 바람직하게는 보관부의 선박 랙과 동일한 폭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수평 세로 픽킹 바아는 이 수평 세로 픽킹 바아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하로 움직이도록 배치된다. 세로 픽킹 바아는 화물 다루기 장치의 본체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 가동 세로 픽킹 바아의 이점은 상이한 크기의 타이어를 다룰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화물 다루기 장치는 회전 기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2개의 화물 다루기 장치가 회전 기부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회전 기부로, 화물 다루기 장치는 고천장 창고의 2개의 상호 반대 보관 선반에서 작동될 수 있다. 이로써, 타이어가 더 빨리 다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천장 창고의 보관 선반에서 하나, 2개 또는 그 이상의 타이어를 동시에 다루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타이어는 상기 창고에 들어가 보관되며 또한 그 창고로부터 타이어가 인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형적인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여 하나, 2개 또는 그 이상의 타이어를 동시에 다루는 것을 포함하고, 그래서, 세로 픽킹 바아가 타이어 비드 사이에 도달하도록 세로 픽킹 바아의 세로 방향으로 있는 마지막 타이어가 다루어지고, 후방 지지부가 타이어를 지지한다.
일반적으로, 고천장 창고는 많은 수의 상이한 종류의 타이어를 포함한다. 타이어는 축선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수평 보관 선반에 배치되며, 그래서 타이어는 직립 위치에서 서 있고 그 타이어의 중심은 보관 위치의 출력부 쪽을 향한다. 바람직하게는, 타이어의 측벽은 서로 접촉하고 타이어 사이에 틈이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타이어가 그의 중심으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다루어지게 움직이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타이어는 그의 공칭 크기로 픽킹될 수 있다. 화물 다루기 장치의 운동은, 세로 픽킹 바아가 적절한 보관 위치로부터 타이어를 제거하거나 타이어를 그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타이어의 축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본 발명의 방법은 특히, 픽업될 마지막 타이어의 타이어 비드 사이에 수평 세로 픽킹 바아의 제 2 단부가 도달하도록 타이어가 보관 위치로부터 픽업된다는 것에 기반한다. 여기서 타이어 비드는 휠에 안착되는 타이어의 가장자리를 의미한다. 예컨대, 3개의 타이어가 보관 위치로부터 픽킹되고자 한다면, 화물 다루기 장치는 타이어의 공칭 크기의 약 2.5배 만큼 선반 트랙을 따라 움직이게 된다. 그 경우, 세로 픽킹 바아는 제 3 타이어의 타이어 비드 사이에 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다루기는, 감지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닐 때 타이어의 공칭 크기로 제어된다. 후방 지지부는 제 1 타이어를 그 타이어의 측벽에서 지지하고 또한 타이어의 떨어짐을 방지한다. 본 방법에 의해 타이어는 복잡한 제어 시스템 없이 보관 위치에서 서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방법에 의해, 타이어는 타이어의 측벽이 서로 접촉하고 또한 타이어 사이에 틈이 없도록 서로 앞뒤에 보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수평 세로 픽킹 바아는 타이어의 폭 방향으로 타이어의 실질적으로 중간에 도달한다. 이로써, 타이어의 공차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수평 세로 픽킹 바아는 타이어의 중심의 내면에 접해 지지된다. 타이어의 중심의 내면은, 타이어의 체결 또는 누름이 없이, 타이어의 중심 구멍으로부터 세로 픽킹 바아와 자유롭게 접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후방 지지부는 타이어를 픽업하기 전에 정확한 위치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후방 지지부의 위치는 다루어질 타이어의 갯수 및/또는 공칭 크기에 근거하여 변경된다. 예컨대, 3개의 타이어가 보관 선반으로부터 픽킹되고자 한다면, 후방 지지부는 세로 픽킹 바아의 제 2 단부로부터 측정될 때 타이어의 공칭 크기의 실질적으로 2.5배에 대응하는 위치로 움직이게 된다. 후방 지지부를 위치시킨 후에, 화물 다루기 장치는 보관 위치의 깊이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선반 트랙을 따라 앞으로 움직인다. 세로 픽킹 바아는 보관 선반에서 직립 위치에서 서로 앞뒤에 서 있는 타이어의 중심을 수평으로 통과하게 된다. 세로 픽킹 바아의 세로 방향으로 있는 제 1 타이어가 후방 지지부에 접촉하면, 화물 다루기 장치가 멈춘다. 이제 세로 픽킹 바아가 타이어의 폭 방향으로 픽킹될 마지막 타이어의 실질적으로 중간에 도달하게 된다. 그 후에, 세로 픽킹 바아는 위로 움직이고 화물 다루기 장치는 선반 트랙을 따라 뒤로 움직인다. 타이어는 세로 픽킹 바아 상에서 자유롭게 매달리고 후방 지지부는 타이어를 측벽에서 지지하고 타이어의 떨어짐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타이어는 특정한 리프팅 커브로 다루어지고, 그래서 동시에 수평 세로 픽킹 바아가 위로 움직일 때, 화물 다루기 장치는 선반 트랙을 따라 뒤쪽으로 움직인다. 이로써, 타이어의 픽킹이 빨라 진다. 동일한 방식으로, 화물 다루기 장치가 타이어를 위치시키고 있을 때, 화물 다루기 장치가 선반 트랙을 따라 앞으로 움직일 때 동시에 세로 픽킹 바아는 아래로 움직일 수 있다. 이로써, 타이어를 위치시키는 것이 빨라 진다. 동시적인 운동에 의해 타이어가 효과적으로 다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동시에 다루어지는 상기 타이어의 갯수는 1 내지 20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동일한 로드(load) 중에 상이한 보관 위치로부터 타이어가 수평 세로 픽킹 바아에 픽킹된다. 타이어는 여러 상이한 보관 위치로부터 픽업될 수 있고 또한 그 위치에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이한 크기를 갖는 타이어는 동일한 로드 중에 다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고천장 창고에서 타이어 다루기의 효율이 증가된다. 화물 다루기 유닛은 선박 트랙에서의 위치를 변경하는 중에 터이어를 장치의 지지 랙 상에 임시로 내려 놓을 수 있다. 그래서, 타이어의 위치가 수평 픽킹 바아 상에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형적인 장치 및 방법은, 식별/감지 없이 타이어의 공칭 크기만 사용하여 타이어의 픽킹을 가능하게 한다. 타이어가 직립 위치에서 창고에 들어감으로써, 타이어의 폭이 알려져 있고 타이어의 직립 위치가 그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화물 다루기 장치는 센서 없이 작동할 수 있다. 감지가 필요 없으면 타이어 다루기의 신뢰성이 증가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의 이점은, 더 많은 타이어가 동시에 다루어질 수 있고 또한 동시에 다루어지는 타이어의 크기는 변량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로써, 상이한 종류와 크기의 타이어가 동일한 장치와 방법으로 동시에 다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타이어를 보관 전에 분류할 필요가 없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타이어를 위한 고천장 창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형적인 고천장 창고는, 보관 선반에서 조직화되어 있는 복수의 보관 위치, 보관 위치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고, 그래서 직립 위치에서 서로 앞뒤에 보관 위치의 랙 구조물 상에 직접 배치되는 복수 세트의 타이어, 적어도 2개의, 바람직하게는 4개의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배치되는 적층 크레인, 및 타이어의 축선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타이어를 동시에 다루기 위해 상기 적층 크레인에 배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적층 크레인에 배치되어, 화물 다루기 장치의 운동 방향이 보관 위치의 깊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또한 수평 세로 픽킹 바아가 수평으로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적층 크레인에 배치되는 장치는 자체의 선반 트랙을 따라 움직이도록 배치되는 2개 이상의 화물 다루기 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장치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2개의 화물 다루기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적층 크레인은 회전 기부를 포함하고, 장치의 선반 트랙이 그 회전 기부에 배치된다.
고천장 창고는 적어도 2개의 보관 위치, 전형적으로, 5, 10, 15, 20, 30, 40, 50 또는 심지어 100 개 이상의 보관 위치와 같은 2개 보다 많은 보관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어는 보관 위치의 깊이 방향으로 직립 위치에서 서로 앞뒤에 서 있도록 타이어의 축선 방향으로 보관 위치에 배치되며, 그래서 타이어의 측벽은 서로 접촉하게 된다.
적층 크레인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반대 방향인(예컨대, 상하 방향) 적어도 2개의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배치된다. 적층 크레인은 또한 보관 선반 사이의 보관 복도를 따라 추가의 두 방향으로, 예컨대 앞뒤로 움직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들 추가 운동 방향은 제 1 및 2 운동 방향에 수직이다. 고천장 창고에서(이러한 창고에서 보관부는 선반에서 조직화되는데, 즉 보관 위치는 서로의 옆에 또한 서로 상하로 있음), 적층 크레인은 모든 보관 위치 앞에 배치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4개의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배치된다. 적층 크레인은 또한 필요시에는 4개 보다 많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적층 크레인은 회전 기부를 포함하고, 장치의 선반 트랙이 그 회전 기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천장 창고에서, 타이어 제조로부터 들어오는 타이어를 받기, 타이어를 보관 위치에 위치시키기 및 보관부로부터 밖으로 보내질 보관 위치로부터 주문된 타이어를 픽킹하기는 동일한 적층 크레인 및 그에 배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로 행해진다. 그래서, 보관 작업이 간단하게 될 수 있고 또한 더 효율적이고 빠르다. 주문될 타이어를 픽킹하기 위해 별도의 보관 또는 버퍼링 영역 또는 중간 보관부가 보관부의 앞 또는 뒤에 필요치 않다. 게다가, 상이한 종류와 크기의 타이어가 동일한 장치로 동시에 다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타이어를 보관 전에 분류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전형적인 고천장 창고는, 타이어의 공칭 크기를 사용해 타이어의 중심으로부터 타이어를 축선 방향으로 픽킹하고 위치시키는 화물 다루기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타이어의 더 효율적이고 신뢰적인 동시 다루기를 가능하게 해준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타이어를 다루기 위한 장치의 화물 다루기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타이어를 다루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타이어를 다루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고천장 창고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타이어를 다루기 위한 장치의 화물 다루기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타이어를 다루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타이어를 다루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고천장 창고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타이어를 다루기 위한 장치의 화물 다루기 장치를 도시한다. 화물 다루기 장치(101)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본체(102) 및 일정한 길이를 갖는 수평 세로 픽킹 바아(103)를 포함하며, 이 바아는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갖는다. 세로 픽킹 바아(103)는, 세로 픽킹 바아(103)의 길이 방향이 화물 다루기 장치(101)의 본체(102)에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제 1 단부에서 화물 다루기 장치(101)의 본체(102)에 배치된다. 수평 세로 픽킹 바아(103)는 화물 다루기 장치(101)의 본체(102)를 따라 상하로 움직이도록 배치된다. 수평 세로 픽킹 바아(103)는, 타이어가 보관 선반에서 직립 위치에서 서로 앞뒤에 보관될 때 타이어의 중심을 통과해 배치될 수 있다. 세로 픽킹 바아(103)는 타이어의 축선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타이어를 동시에 다룰 수 있다.
화물 다루기 장치(101)는 세로 픽킹 바아(103)에 배치되는 후방 지지부(104)를 또한 포함한다. 이 후방 지지부(104)는 판형 구조물을 가지며, 세로 픽킹 바아(103)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후방 지지부(104)는 타이어를 세로 픽킹 바아(103) 상에서 직립 위치로 유지시켜 주고 또한 타이어를 다루는 중에 그 타이어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후방 지지부(104)의 크기는 후방 지지부(104)의 하측 부분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는 연장 판(105)으로 높이 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다. 연장 판(105)은 움직일 수 있고, 또한 필요시에 후방 지지부(104)의 연장부를 형성하기 위해 회전될 수 있다. 후방 지지부(104)는 세로 픽킹 바아(103)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된다. 후방 지지부(104)의 위치는 다루어질 타이어의 갯수 및/또는 공칭 크기에 근거하여 변경될 수 있다.
세로 픽킹 바아(103)는 이 세로 픽킹 바아(103)의 제 2 단부에 배치되는 지지 판(106)을 포함한다. 이 지지 판(106)은 세로 픽킹 바아(103)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지지 판(106)은, 타이어를 보관부로부터 픽킹할 때 화물 다루기 장치(101)가 그 타이어를 분리시키는 것을 도와줄 수 있고 또한타이어가 세로 픽킹 바아(103)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타이어를 다루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다. 이 장치(201)는 기다란 선반 트랙(202) 및 도 1의 화물 취급 장치(101)를 포함한다. 화물 취급 장치(101)는 보관 위치의 깊이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선반 트랙(202)을 따라 앞뒤로 움직이도록 배치된다. 화물 다루기 장치(101)는, 제 1 단부에서 화물 다루기 장치(101)의 본체(102)에 배치되는 수평 세로 픽킹 바아(103) 및 이 세로 픽킹 바아(103)에 배치되는 가동 후방 지지부(104)를 포함한다. 세로 픽킹 바아(103)는 화물 다루기 장치(101)의 본체(102)를 따라 상하로 움직이도록 배치된다. 후방 지지부(104)는 후방 지지부(104)의 양측에 있는 연장 판(105) 및 타이어(202)와 대향하는 표면에 있는 검출 판을 포함할 수 있고, 검출 판은 픽킹 동안에 타이어(203)의 접촉을 검출하게 된다.
수평 세로 픽킹 바아(103)로, 고천장 창고의 보관 선반에서 직립 위치로 서로 앞뒤에 저장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타이어(203)가 쉽게 다루어질 수 있다. 타이어(203)는, 세로 픽킹 바아(103)가 타이어(203)의 중심에 배치되도록 축선 방향으로 다루어진다. 타이어(203)는 타이어(203)의 체결 또는 누름 없이 세로 픽킹 바아(103)에 대해 자유롭게 매달리며, 후방 지지부(104)가 타이어의 떨어짐을 막아준다.
보관 위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타이어(203)를 픽킹할 때, 후방 지지부(104)는 먼저 픽킹될 타이어(203)의 갯수 및/또는 공칭 크기에 대응하는 위치로 움직이게 된다. 그런 다음에 화물 다루기 장치(101)는, 수평 세로 픽킹 바아(103)가 타이어(203)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선반 트랙(202)을 따라 움직인다. 보관 위치에 있는 제 1 타이어(202)가 후방 지지부(104)의 검출 판과 접촉하면, 화물 다루기 장치(101)의 운동이 멈춘다. 이제 세로 픽킹 바아(103)의 제 2 단부가 타이어(203)의 폭 방향으로 픽킹될 마지막 타이어(203)의 중간에 본질적으로 도달하게 된다. 그런 다음에 세로 픽킹 바아(103)는 위로 움직이고 동시에 화물 다루기 장치(101)는 선반 트랙(202)을 따라 뒤로 움직인다. 후방 지지부(104)는 픽킹된 타이어(203)의 측벽을 지지하고 그 타이어(203)의 떨어짐을 방지한다. 후방 지지부(104)의 연장 판(105)이 필요시에 후방 지지부(104)의 연장부가 되도록 아래로 회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타이어를 다루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다. 이 장치(301)에서는 도 2의 두개의 장치(202)가 회전 기부(302)에 배치되어 있다. 장치(301)는 제 1 선반 트랙(202)을 따라 앞뒤로 움직이도록 배치되는 제 1 화물 다루기 장치(101) 및 제 2 선반 트랙(202')을 따라 앞뒤로 움직이도록 배치되는 제 2 화물 다루기 장치(101')를 포함한다. 선박 트랙(202, 202')을 따라 움직이는 화물 다루기 장치(101, 101')의 거리가 본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선박 트랙(202, 202')은 서로의 옆에서 회전 기부(302)에 배치된다. 지지 랙(303, 303')은 선박 랙(202, 202')의 양측에 배치된다. 장치(301)는, 보관 선반 사이에서 4개의 방향으로 움직이도로 배치되는 적층 크레인(304)에 배치된다. 회전 기부(302)는 화물 다루기 장치(101, 101')가 적층 크레인(304)의 양측에서, 즉 두 상호 대향 보관 선반에서 타이어를 다룰 수 있게 해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고천장 창고를 도시한다. 이 고천장 창고(401)는 보관 선반(403)에서 조직화되어 있는 복수의 보관 위치(402)를 포함하고, 보관 위치(402)는 서로의 옆에 또는 서로 상하로 있다. 복수의 타이어(404)가 보관 위치(402)에 배치된다. 타이어(404)는 직립 위치에서 서 있도록 서로 앞뒤에 축선 방향으로 보관 위치(402) 안으로 배치되고, 단지 하나의 타이어(404)의 측벽이 각 보관 위치(402)에서 볼 수 있다. 보관 선반(403)은 타이어(404)가 직접 배치되는 랙 구조물(405)을 갖는다. 보관 위치(402)는 일측을 통해서만 접근 가능하며, 그 일측은 보관 위치(402)의 출력부로서 지정된다. 따라서 보관 위치(402)의 출력부는, 화물 다루기 장치(101, 101')의 수평 세로 픽킹 바아가 하나 이상의 타이어(404)를 픽업하거나 위치시키기 위해 보관 위치(402)에 들어갈 수 있는 위치이다.
고천장 창고(401)는 보관 선반(403) 사이에서 보관 복도를 따라 앞뒤로 또한 상하로 움직이도록 배치된 적층 크레인(304)을 포함하고, 그래서 적층 크레인은 모든 보관 위치(402) 앞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의 장치(301)가 적층 크레인(304)에 배치되어 있어, 화물 다루기 장치(101, 101')의 운동 방향은 보관 위치(402)의 깊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세로 픽킹 바아가 수평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리하여, 세로 픽킹 바아가 타이어(404)의 중심 구멍으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타이어(404)를 다룰 수 있다.
고천장 창고(401)에서, 제조로부터 들어오는 타이어(404)를 받기, 타이어(404)를 보관 위치(402)에 위치시키기 및 보관부로부터 밖으로 보내질 보관 위치(402)로부터 타이어(404)를 픽킹하기는 동일한 적층 크레인(304) 및 그에 배치되는 장치(301)로 행해진다.
Claims (16)
- 고천장 창고(401)의 보관 선반(403)에서 하나 이상의 타이어(203, 404)를 동시에 다루기 위한 장치(201, 301)로서, 타이어(203, 404)는 상기 창고에 들어가 보관되며 또한 그 창고로부터 타이어(203, 404)가 인출되고, 상기 장치(201, 301)는 선반 트랙(202, 202') 및 이 선반 트랙(202, 202')을 따라 움직이도록 배치되어 있는 화물 다루기 장치(101, 101')를 포함하고, 화물 다루기 장치(101, 101')는,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갖는 수평 세로 픽킹 바아(103) - 상기 타이어(203, 404)가 직립 위치에서 서로 앞뒤에 서 있을 때 상기 세로 픽킹 바아(103)는 타이어(203, 404)의 축선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타이어(203, 404)를 동시에 다루도록 배치되어 있고, 그래서 상기 세로 픽킹 바아(103)는 타이어(203, 404)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음 -; 및
상기 세로 픽킹 바아(103)에 배치되는 후방 지지부(104)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타이어를 동시에 다루기 위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지지부(104)는 수평 세로 픽킹 바아(103)의 세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되는, 장치(201, 301).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지지부(104)는 판형 구조물을 가지며, 또한 상기 수평 세로 픽킹 바아(103)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장치(201, 301).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지지부(104)의 크기는, 상기 수평 세로 픽킹 바아(103)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높이 방향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장치(201, 301).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픽킹 바아(103)는 수평 세로 픽킹 바아(103)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하로 움직이도록 배치되는, 장치(201, 301).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세로 픽킹 바아(103)의 길이는 조절 가능한, 장치(201, 301).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2개의 선반 트랙(202, 202') 및 화물 다루기 장치(101, 101')를 포함하는 장치(201, 301). - 고천장 창고(401)의 보관 선반(403)에서 하나 이상의 타이어(203, 404)를 동시에 다루기 위한 방법으로서, 타이어(203, 404)는 상기 창고에 들어가 보관되며 또한 그 창고로부터 타이어(203, 404)가 인출되고,
하나 이상의 타이어(203, 404)는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201, 301)를 사용하여 동시에 다루어지고, 그래서, 세로 픽킹 바아(103)의 제 2 단부가 타이어(203, 404) 비드(bead) 사이에 도달하도록 세로 픽킹 바아(103)의 세로 방향으로 있는 마지막 타이어(203, 404)가 다루어지고, 후방 지지부(104)가 타이어(203, 404)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타이어를 동시에 다루기 위한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세로 픽킹 바아(103)는 타이어(203, 404)의 폭 방향으로 타이어(203, 404)의 실질적으로 중간에 도달하는, 방법. -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세로 픽킹 바아(103)는 타이어(203, 404)의 중심의 내면에 접해 지지되는, 방법. -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지지부(104)의 위치는 다루어질 타이어(203, 404)의 갯수 및/또는 공칭 크기에 근거하여 변경되는, 방법. -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203, 404)는 특정한 리프팅 커브로 다루어지고, 그래서 동시에 수평 세로 픽킹 바아(103)가 위로 움직일 때, 화물 다루기 장치(101, 101')는 상기 선반 트랙(202, 202')을 따라 뒤쪽으로 움직이는, 방법. - 제 8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시에 다루어지는 상기 타이어(203, 404)의 갯수는 1 내지 20개인, 방법. - 제 8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일한 로드(load) 중에 상이한 보관 위치(402)로부터 타이어(203, 404)가 상기 수평 세로 픽킹 바아(103)에 픽킹되는, 방법. - 고천장 창고(401)로서,
보관 선반(403)에서 조직화되어 있는 복수의 보관 위치(402),
상기 보관 위치(402)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고, 그래서 직립 위치에서 서로 앞뒤에 보관 위치(403)의 랙 구조물(405) 상에 직접 배치되는 복수 세트의 타이어(203, 404),
적어도 2개의, 바람직하게는 4개의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배치되는 적층 크레인(304), 및
상기 타이어(203, 404)의 축선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타이어(203, 404)를 동시에 다루기 위해 상기 적층 크레인(304)에 배치되는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장치(201, 301)를 포함하는 고천장 창고(401).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크레인(304)은 회전 기부(302)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201, 301)의 선반 트랙(202, 202')이 상기 회전 기부(302)에 배치되어 있는, 고천장 창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FI20176001A FI129697B (en) | 2017-11-08 | 2017-11-08 | Arrangement and procedure for handling tires and high storage |
FI20176001 | 2017-11-08 | ||
PCT/FI2018/050819 WO2019092316A1 (en) | 2017-11-08 | 2018-11-07 | An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handling tyres and a high bay warehous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1418A true KR20200091418A (ko) | 2020-07-30 |
KR102701450B1 KR102701450B1 (ko) | 2024-08-30 |
Family
ID=64402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16437A KR102701450B1 (ko) | 2017-11-08 | 2018-11-07 | 타이어를 다루기 위한 장치와 방법 및 고천장 창고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US (1) | US11434077B2 (ko) |
EP (1) | EP3707085B1 (ko) |
JP (1) | JP7226835B2 (ko) |
KR (1) | KR102701450B1 (ko) |
CN (1) | CN111712448B (ko) |
ES (1) | ES2951953T3 (ko) |
FI (1) | FI129697B (ko) |
HR (1) | HRP20230966T1 (ko) |
PL (1) | PL3707085T3 (ko) |
WO (1) | WO201909231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498799B2 (en) | 2019-11-01 | 2022-11-15 | Columbia Insurance Company | Doffing apparatus and automatically guide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79898U (ko) * | 1990-11-22 | 1992-07-13 | ||
US5688098A (en) * | 1996-01-04 | 1997-11-18 | Theno; Mark H. | Roll transfer system |
JPH10310202A (ja) * | 1997-05-08 | 1998-11-24 | Hirata Corp | 環状部材の搬送装置 |
JPH11278605A (ja) * | 1998-03-26 | 1999-10-12 | Sumitomo Rubber Ind Ltd | ビード取り上げ装置 |
JP2003252405A (ja) * | 2002-03-06 | 2003-09-10 | Murata Mach Ltd | 自動倉庫 |
JP2014069908A (ja) * | 2012-09-28 | 2014-04-21 | Mitsubishi Nichiyu Forklift Co Ltd | 自動倉庫システム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SU775047A2 (ru) * | 1978-07-10 | 1980-10-30 | За витель | Вилочный захват |
JPS5940732B2 (ja) * | 1979-05-03 | 1984-10-02 | 日本精線株式会社 | 輪状物の取扱装置 |
US4306826A (en) * | 1980-08-28 | 1981-12-22 | Noyes Tire Co. | Lift for use in processing buffed tires |
US4555067A (en) * | 1984-05-24 | 1985-11-26 |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Textile doff servant |
JPS62230598A (ja) * | 1986-03-31 | 1987-10-09 |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 フオ−クリフト |
JPS63185708A (ja) * | 1987-01-23 | 1988-08-01 | Kawasaki Heavy Ind Ltd | スタツカ−クレン |
IT1222730B (it) * | 1987-09-25 | 1990-09-12 | Savio Spa | Metodo ed apparecchio per la rimozione di bobine di filato e loro deposito in un carrello a pioli |
SG42909A1 (en) * | 1993-03-01 | 1997-10-17 | Kawasaki Steel Co | Fork system for stacker cran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ame |
JP3484104B2 (ja) | 1998-12-25 | 2004-01-06 | 平田機工株式会社 | 自動倉庫及び自動倉庫の管理方法 |
JP2002145025A (ja) | 2000-11-10 | 2002-05-22 | Nikko Juki Kk | タイヤの交換方法とタイヤの交換施設 |
KR20030096699A (ko) | 2002-06-17 | 2003-12-31 |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 타이어 자동 출하장치 |
CN202346272U (zh) | 2011-12-14 | 2012-07-25 | 三角轮胎股份有限公司 | 全自动轮胎胎胚存放立体库 |
CN203938074U (zh) * | 2014-05-17 | 2014-11-12 | 山东兰剑物流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轮胎传输移载装置 |
CN104444958B (zh) * | 2014-10-15 | 2017-03-15 | 杭州娃哈哈科技有限公司 | 货物堆垛抓取器 |
CN107009361A (zh) | 2017-05-22 | 2017-08-04 | 南京龙贞自动化装备技术有限公司 | 龙门机器人 |
-
2017
- 2017-11-08 FI FI20176001A patent/FI129697B/en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11-07 KR KR1020207016437A patent/KR10270145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11-07 ES ES18807107T patent/ES2951953T3/es active Active
- 2018-11-07 WO PCT/FI2018/050819 patent/WO2019092316A1/en unknown
- 2018-11-07 JP JP2020544161A patent/JP7226835B2/ja active Active
- 2018-11-07 PL PL18807107.0T patent/PL3707085T3/pl unknown
- 2018-11-07 CN CN201880085538.3A patent/CN111712448B/zh active Active
- 2018-11-07 US US16/762,812 patent/US11434077B2/en active Active
- 2018-11-07 HR HRP20230966TT patent/HRP20230966T1/hr unknown
- 2018-11-07 EP EP18807107.0A patent/EP370708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79898U (ko) * | 1990-11-22 | 1992-07-13 | ||
US5688098A (en) * | 1996-01-04 | 1997-11-18 | Theno; Mark H. | Roll transfer system |
JPH10310202A (ja) * | 1997-05-08 | 1998-11-24 | Hirata Corp | 環状部材の搬送装置 |
JPH11278605A (ja) * | 1998-03-26 | 1999-10-12 | Sumitomo Rubber Ind Ltd | ビード取り上げ装置 |
JP2003252405A (ja) * | 2002-03-06 | 2003-09-10 | Murata Mach Ltd | 自動倉庫 |
JP2014069908A (ja) * | 2012-09-28 | 2014-04-21 | Mitsubishi Nichiyu Forklift Co Ltd | 自動倉庫システ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1434077B2 (en) | 2022-09-06 |
US20210362952A1 (en) | 2021-11-25 |
EP3707085A1 (en) | 2020-09-16 |
KR102701450B1 (ko) | 2024-08-30 |
FI20176001A1 (en) | 2019-05-09 |
JP7226835B2 (ja) | 2023-02-21 |
CN111712448A (zh) | 2020-09-25 |
PL3707085T3 (pl) | 2023-12-27 |
FI129697B (en) | 2022-06-30 |
EP3707085B1 (en) | 2023-06-07 |
HRP20230966T1 (hr) | 2023-12-08 |
ES2951953T3 (es) | 2023-10-25 |
JP2021502316A (ja) | 2021-01-28 |
EP3707085C0 (en) | 2023-06-07 |
WO2019092316A1 (en) | 2019-05-16 |
CN111712448B (zh) | 2022-03-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008184B2 (en) | Palletizer-depalletizer system for distribution facilities | |
JP2023029980A (ja) | 物品の保管、取り扱い、及び回収システム及び方法 | |
EP3214022A1 (en) | Automatic dense warehouse apparatus | |
KR20170026074A (ko) | 물품 반송 설비 | |
KR102148391B1 (ko) | 서랍식 픽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품 입고 및 출고방법 | |
CN115151495A (zh) | 输送机系统 | |
CN107922133A (zh) | 装载系统 | |
JP6074769B2 (ja) | 積付設備 | |
EP2476635B1 (en) | Storage rack with movable shelves | |
KR102701450B1 (ko) | 타이어를 다루기 위한 장치와 방법 및 고천장 창고 | |
JP5170552B2 (ja) | 物品保管設備 | |
CN112573052B (zh) | 自动化存取系统以及存、取方法 | |
JP3843728B2 (ja) | 自動倉庫設備に於ける入庫方法 | |
KR20230047233A (ko) | 물품 적재 및 자동 반출 시스템과 그 방법 | |
JP5170541B2 (ja) | 物品収納設備 | |
JP2007246208A (ja) | 荷物の位置管理方法 | |
JP4100322B2 (ja) | 自動倉庫 | |
EP3511267B1 (en) | Automated warehouse system for panels and the like and plant equipped with such an automated warehouse system | |
JP2000233807A (ja) | 立体自動倉庫 | |
JP2002145414A (ja) | 自動倉庫設備の入庫システム | |
JP2001058723A (ja) | 板材加工機における製品搬出方法及びその装置 | |
EP3653537A1 (en) | Storage system | |
JPH05338725A (ja) | 多段式台車からコンベヤへの荷送り装置 | |
JPH0569909A (ja) | 自動倉庫 | |
JPH0713839U (ja) | 角パイプの積上げ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