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6699A - 타이어 자동 출하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자동 출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096699A KR20030096699A KR1020020033700A KR20020033700A KR20030096699A KR 20030096699 A KR20030096699 A KR 20030096699A KR 1020020033700 A KR1020020033700 A KR 1020020033700A KR 20020033700 A KR20020033700 A KR 20020033700A KR 20030096699 A KR20030096699 A KR 2003009669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ire
- support
- bundle
- tires
- arm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3—Ti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를 대량으로 취급하는 타이어 공장이나 자동차 정비공장 등에서 타이어의 출하작업을 단시간 내에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타이어 자동 출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타이어 출하장치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된 지지부(10), 상기 지지부(10)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뭉치(30), 및 상기 회전뭉치(30) 전방단에 상기 회전뭉치(30)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뭉치(30)의 반경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설치된 걸이암(50)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타이어 자동 출하장치에 의하면, 보관용 파레트에 적재되어 있는 타이어를 한번에 여러 개씩 반자동으로 실어 내 단시간 내에 대량으로 출하할 수 있으므로 출하작업의 효율성을 높임과 동시에 작업 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타이어 출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이어 보관용 파레트에 적재되어 있는 타이어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반출하여 출하할 수 있도록 반출작업을 반자동화시킨 타이어 자동 출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 공장과 같이 타이어를 대량으로 취급하는 공장이나 설비 등에서는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바와 같은 타이어 보관용 파레트를 사용하고 있다.
이 파레트(101)는 도시된 것처럼 책꽂이 모양으로 되어 있는 케이스로서 다단으로 되어 있어 좁은 장소에도 고밀도로 다수의 타이어(103)를 보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앞쪽으로 개방되어 있어 고밀도로 타이어(103)를 보관함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타이어(103)를 원하는 위치에 손쉽게 보관할 수 있는 한편, 필요에 따라 특정 위치에 있는 타이어(103)를 쉽게 빼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타이어 보관용 파레트(101)에 의해 타이어(103)를 보관하게 되면, 타이어(103) 출하 및 상차 시 작업자가 일일이 타이어(103)를 파레트(101)에서 빼내어 출하장으로 옮겨 쌓아 놓아야 하므로 작업에 많은 작업인원이 소요되고,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등 작업 효율이 떨어질 뿐 아니라, 특히 작업자가 무거운 타이어를 여러 차례 들어 옮겨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힘들고, 안전사고 발생가능성이 높아지는 등 작업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타이어 보관용 파레트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타이어 보관용 파레트에서 여러 개의 타이어를 간단한 동작에 의해 한꺼번에 빼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타이어를 출하할 때 타이어 반출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작업 인원을 줄이는 등 타이어 반출작업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타이어 보관 파레트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파레트에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자동 출하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타이어 자동 출하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타이어 자동 출하장치2 : 파레트
3 : 타이어10 : 지지부
11 : 기대13 : 지지 프레임
15 : 이송로드17 : 구동모터
19 : 안내판21 : 상판
25 : 나사구멍30 : 회전뭉치
31 : 회동 디스크50 : 걸이암
51,71 : 유압실린더53,73 : 절첩부
55 : 걸림돌기70 : 지지암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된 지지부, 이 지지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뭉치, 이 회전뭉치 전방단에 회전뭉치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회전뭉치의 반경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설치된 걸이암, 회전뭉치의 전방단에 축선방향으로 설치되어 걸이암을 회전뭉치에 연결하는 지지암으로 구성되어 있는 타이어 자동 출하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자동 출하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타이어 자동 출하장치는 일종의 운반장치로서 한꺼번에 많은 수의 타이어(3)를 옮길 수 있도록, 도 2 내지 도 4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지지부(10), 회전뭉치(30), 걸이암(50) 그리고 지지암(70)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지부(10)는 도시된 것처럼, 출하장치(1) 전체의 기초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지면에 놓이는 직사각형 모양의 기대(11)와 이 기대(11)에서 직각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어 있는 지지 프레임(13)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지지 프레임(13)은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대(11) 좌우측에 마주보는 상태로 설치되어 회전뭉치(30)를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회전뭉치(3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역할을 겸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회전뭉치(30)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양한 장치가 채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것처럼 기대(11)의 좌우로 세워져 있는 지지 프레임(13)의 중간에 설치된 이송로드(15)를 채용하고 있다. 이 이송로드(15)는 나사 가공된 회전축으로서 몸체 둘레에 회전뭉치(30)가 나사 결합된 상태로 관통 삽입되어 있으며, 몸체 하단에 위치하는 구동모터(17)에 의해 정역회전하여 회전뭉치(30)를 상하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송로드(15) 좌우측에 세워져 있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13)은 가이드 역할을 하는 일종의 이송 베드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 단면 ㄷ자 모양의 오목홈이 가공되어 있으며, 이 오목홈에는 회전뭉치(30)에서 좌우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한쌍의 상하이동 안내판(19)이 각각 끼워져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13)의 상단에는 각 프레임(13)을 안정감 있게 유지할 수 있도록 상판(21)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 상판(21) 중간부분에는 이송로드(15)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공이 관통되어 있고, 이 지지공에는 이송로드(1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나사 베어링(23)이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기대(11) 위에 세워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13)과 이송로드(15)를 통해 지지부(10)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뭉치(30)는 이송로드(15)에 의해 지지 프레임(13)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바, 회전뭉치(30)의 이송수단으로서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것처럼 나사 가공된 이송로드(15)와, 이 이송로드(15)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7)가 사용되며, 이송로드(15)의 둘레에는 로드(15)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회전뭉치(30) 나사식으로 관통 결합되어 있다.
여기에서, 회전뭉치(30)는 하나의 케이스로서 회전 구동모터가 내장되어 있으며, 뒤쪽에 이송로드(15)가 삽입되는 나사공(25)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양측 외주면에 지지 프레임(13)의 오목홈에 끼워 맞춤되는 안내판(19)이 부착되어 있다. 회전뭉치(30)에 내장된 구동모터의 회전축에는 끝면에 회동 디스크(31)가 부착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이 회동 디스크(31)의 전방면에 지지암(70)이 신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지지암(70)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회동 디스크(31) 중앙에 부착된 유압 실린더(71)와 이 유압 실린더(71)에 라디오 안테나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절첩부(73)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때 지지암(70)은 반드시 신축 가능하지 않아도 되므로 절첩부(73) 대신 일정한 길이의 지지봉이 채용될 수도 있다.
지지암(70)과 마찬가지로 라디오 안테나와 같이 지지암(70)의 끝부분에 직각 방향으로 꺾여 신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걸이암(50)도 지지암(70) 끝부분 외주면에 부착되어 신축력을 발생시키는 유압 실린더(51)와 이 유압 실린더(51)에 축선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절첩부(53)로 이루어져 있으며, 절첩부(53)의 끝면에는 둘레 부분에 끼워진 타이어(3)가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원반형의 걸림돌기(55)가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돌출봉과 같은 막대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타이어(3)를 걸이암(50)에 쉽게 끼울 수 있도록 걸림부분을 없앨 수도 있다.
이제,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자동 출하장치(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타이어 자동 출하장치(1)를 이용해 파레트(2)에 적재되어 있는 다수의 타이어를 반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레트(2)의 전방 일측으로 출하장치(1)를 이동 설치한다.
그리고 나서, 걸이암(50)의 유압실린더(51)를 작동시켜 걸이암(50)의 절첩부(53)를 최소 길이로 단축시킨다. 다음에, 장치(1)의 기대(11)를 파레트(2) 전후방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지지암(70)의 유압실린더(71)를 작동시켜 절첩부(73)를 신축시킴으로써 적재된 타이어(3)들의 림구멍 중심선과 동축상의 위치에 걸이암(50)의 축선이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이어서, 유압실린더(51)를 재차 작동시켜 걸이암(50)을 신장시키면 파레트(2)의 같은 층에 적재된 복수개의 타이어(3)가 걸이암(50)의 절첩부(51) 둘레로 한꺼번에 끼워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유압실린더(51)를 반대로 작동시켜 절첩부(51)를 단축시키면, 걸이암(50)에 끼워져 있는 복수개의 타이어(3)는 걸림돌기(55)에 걸려 당겨짐으로써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밀착되어 이동 준비 상태가 된다.
이동준비 상태가 되면 지지암(70)의 유압실린더(71)에 의해 절첩부(73)가 회전뭉치(30) 쪽으로 즉, 도 3에서 우측으로 최대한 단축되어 파레트(2)에서 타이어(3)를 빼낸 다음, 구동모터(17)을 역회전시켜 회전뭉치(30)가 현재의 걸이암(50) 연장 길이에 해당하는 높이에 근접했을 때 모터(17) 작동을 멈추고, 회전뭉치(30)에 내장된 모터를 작동시켜 걸이암(50)을 도 4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걸이암(50)에 걸려 있던 복수개의 타이어(3)를 바닥에 쌓아 놓게 된다.
이렇게 해서, 파레트(2) 한 층에 적재되어 있던 복수개의 타이어(3)를 바닥에 쌓아 반출한 뒤에는 반출 순서와 역순으로 출하장치(1)를 작동시켜 다음 층에 적재되어 있는 타이어(3)들을 차례로 바닥에 내려 반출을 마치게 된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자동 출하장치에 의하면, 파레트에 보관된 타이어를 출하하는 반출작업을 빠르고 편리하게 행할 수 있게 되므로 반출작업 시간이나 작업 인원 등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어 작업 생산성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되는 한편, 작업에 따르는 안전사고 등의 발생 위험성을 사전에 제거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된 지지부(10), 상기 지지부(10)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뭉치(30), 및 상기 회전뭉치(30) 전방단에 상기 회전뭉치(30)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뭉치(30)의 반경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설치된 걸이암(50)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자동 출하장치.
- 제1 항에 있어서,상기 걸이암(50)은 상기 회전뭉치(30)의 전방단에 축선방향으로 설치된 지지암(70)을 통해 상기 회전뭉치(30)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암(70)은 축선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자동 출하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33700A KR20030096699A (ko) | 2002-06-17 | 2002-06-17 | 타이어 자동 출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33700A KR20030096699A (ko) | 2002-06-17 | 2002-06-17 | 타이어 자동 출하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96699A true KR20030096699A (ko) | 2003-12-31 |
Family
ID=32387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33700A KR20030096699A (ko) | 2002-06-17 | 2002-06-17 | 타이어 자동 출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0096699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434077B2 (en) | 2017-11-08 | 2022-09-06 | Pesmel Oy |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handling tyres and a high bay warehouse |
-
2002
- 2002-06-17 KR KR1020020033700A patent/KR2003009669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434077B2 (en) | 2017-11-08 | 2022-09-06 | Pesmel Oy |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handling tyres and a high bay warehous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638102A (zh) | 一种汽车轮胎抓取装置 | |
CN110902378B (zh) | 一种用于物流仓储的短距离搬运装置 | |
JP2885367B2 (ja) | ロール状物反転リフト | |
KR20030096699A (ko) | 타이어 자동 출하장치 | |
CN214562090U (zh) | 边皮卸料装置及多工位开方设备 | |
US4293020A (en) | Tire changing apparatus | |
CN110127371A (zh) | 一种汽车铝合金轮毂喷涂设备用组件 | |
US20060037449A1 (en) | Paper cutt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 |
CN108584681B (zh) | 一种汽车轮胎两用的抓取装置 | |
JPH03110138A (ja) | タイヤユニフォミティマシンにおけるリムチエンジャ装置 | |
CN107323494A (zh) | 一种带轮子的可移动单元 | |
CN108675115B (zh) | 一种汽车轮胎支撑性好的两用抓取装置 | |
CN208215391U (zh) | 旋紧式机械手及上下料机器人 | |
US4327794A (en) | Tire changing apparatus | |
US7731011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urning paper rolls | |
CN216612635U (zh) | 一种防撞式转弯滚筒装置 | |
CN221539377U (zh) | 一种加工研磨棒用磨床的取料机构 | |
CN221936745U (zh) | 一种用于液压机械手的回转机构 | |
CN109484909B (zh) | 无动力卧式放线架 | |
CN218290218U (zh) | 一种物资吊运设备 | |
JP2010076567A (ja) | 治具切換装置および治具切換方法 | |
CN220220788U (zh) | 一种压力机上料台车 | |
JPH09286026A (ja) | 物品分割回動装置及び開閉式物品回転装置 | |
CN221067429U (zh) | 一种移动小车 | |
CN221025606U (zh) | 一种布料存放取用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