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8924A -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88924A KR20200088924A KR1020190005003A KR20190005003A KR20200088924A KR 20200088924 A KR20200088924 A KR 20200088924A KR 1020190005003 A KR1020190005003 A KR 1020190005003A KR 20190005003 A KR20190005003 A KR 20190005003A KR 20200088924 A KR20200088924 A KR 202000889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ce
- gaba
- sweet persimmon
- oat
- mixing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6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6
- 235000011511 Diospyro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44000236655 Diospyros kaki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title 1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5
- 244000075850 Avena orientali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10025 steam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07319 Avena oriental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5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06010036790 Productive cough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10000003802 sputum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7
- 208000024794 sputum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0000006394 Sorghum bicolor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11684 Sorghum saccharatum Nutrition 0.000 claims 1
- 229960003692 gamma aminobutyric acid Drug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BTCSSZJGUNDROE-UHFFFAOYSA-N gamma-aminobutyric acid Chemical compound NCCCC(O)=O BTCSSZJGUNDROE-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2791 soak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5070 ripening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41000723267 Diospyro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HVYWMOMLDIMFJA-DPAQBDIFSA-N cholester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7558 Avena sp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8 kn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0774 Constip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979 Hordeum vulgar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340 Hordeum vulgar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07 Trit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09140 Trit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577 adipose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29 brown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69 dried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828 fasti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497 healthy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56 lipid metabol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571 nu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92 potato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00 saltines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985 whole gra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래떡 제조 시 귀리쌀과 가바쌀을 이용하고, 단감즙을 혼합하여 가래떡을 제조하는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은, 귀리쌀과 가바쌀을 불리는 제 1단계; 상기 불린 귀리쌀과 가바쌀을 냉장 보관하여 숙성하는 제 2단계; 상기 숙성한 귀리쌀과 가바쌀을 혼합한 후 1차 분쇄하여 분쇄물을 제조하는 제 3단계; 상기 1차 분쇄한 분쇄물과 소금을 혼합한 후 2차 분쇄하는 제 4단계; 상기 2차 분쇄한 분쇄물과 단감즙을 혼합한 후 3차 분쇄하는 제 5단계; 상기 3차 분쇄한 분쇄물을 찌는 제 6단계; 상기 쪄낸 분쇄물을 가래떡 형상으로 성형하는 제 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은, 귀리쌀과 가바쌀을 불리는 제 1단계; 상기 불린 귀리쌀과 가바쌀을 냉장 보관하여 숙성하는 제 2단계; 상기 숙성한 귀리쌀과 가바쌀을 혼합한 후 1차 분쇄하여 분쇄물을 제조하는 제 3단계; 상기 1차 분쇄한 분쇄물과 소금을 혼합한 후 2차 분쇄하는 제 4단계; 상기 2차 분쇄한 분쇄물과 단감즙을 혼합한 후 3차 분쇄하는 제 5단계; 상기 3차 분쇄한 분쇄물을 찌는 제 6단계; 상기 쪄낸 분쇄물을 가래떡 형상으로 성형하는 제 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래떡 제조 시 귀리쌀과 가바쌀을 이용하고, 단감즙을 혼합하여 가래떡을 제조하는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떡은 곡물가루를 반죽하여 찌거나 삶아 익힌 음식으로, 각종 의례 음식이나 절식 등에서 빼 놓을 수 없는 음식이다. 이러한 떡은 대개 곡식을 가루로 빻아서 축축하게 습기가 있는 것을 그대로 시루에 안쳐서 찌거나, 물을 섞어, 반죽을 한 후 빚어서 찌거나 삶으며, 번철에 기름을 두르고 지져서 익혀 만들기도 하고, 인절미나 흰떡은 떡을 찐 후 안반에 놓고 떡메로 쳐서 만든다. 떡을 제조하는 주재료로는 점성이 강한 찹쌀이나 멥쌀을 사용하며, 밀, 보리, 감자 전분 등을 이용하기도 한다. 그리고 지방이나 계절에 따라서 특색이 있는 견과류, 건과류, 나물, 꽃잎 등을 혼합 또는 첨가하여 제조하기도 한다.
그래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8127호에는 쌀을 주재료로 하여 떡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건조시킨 무화과와 곶감 등을 혼합하였다. 이를 통해, 떡에 대한 기호도를 향상시키려는 시도를 하였다.
그러나, 전통적인 떡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곡물가루만 이용하는 점에서 영양소의 불균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새로운 형태의 음식과 맛을 추구하면서도 건강에 유익하고 몸에 좋은 먹거리를 선호하는 현대인의 기호에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은 가래떡 제조 시 단감, 귀리쌀, 가바쌀을 이용하여 제조한 맛과 기능성 우수한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은, 귀리쌀과 가바쌀을 불리는 제 1단계; 상기 불린 귀리쌀과 가바쌀을 냉장 보관하여 숙성하는 제 2단계; 상기 숙성한 귀리쌀과 가바쌀을 혼합한 후 1차 분쇄하여 분쇄물을 제조하는 제 3단계; 상기 1차 분쇄한 분쇄물과 소금을 혼합한 후 2차 분쇄하는 제 4단계; 상기 2차 분쇄한 분쇄물과 단감즙을 혼합한 후 3차 분쇄하는 제 5단계; 상기 3차 분쇄한 분쇄물을 찌는 제 6단계; 상기 쪄낸 분쇄물을 가래떡 형상으로 성형하는 제 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은 가바쌀, 귀리쌀, 단감을 이용하여 영양학적으로 우수하며, 소비자의 기호도가 높은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하기에서는 상기 제시된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을 도면과 실시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은 귀리쌀과 가바쌀을 불리는 제 1단계(S10), 상기 불린 귀리쌀과 가바쌀을 냉장 보관하여 숙성하는 제 2단계(S20), 상기 숙성한 귀리쌀과 가바쌀을 혼합한 후 1차 분쇄하여 분쇄물을 제조하는 제 3단계(S30), 상기 1차 분쇄한 분쇄물과 소금을 혼합한 후 2차 분쇄하는 제 4단계(S40), 상기 2차 분쇄한 분쇄물과 단감즙을 혼합한 후 3차 분쇄하는 제 5단계(S50), 상기 3차 분쇄한 분쇄물을 찌는 제 6단계(S60), 상기 쪄낸 분쇄물을 가래떡 형상으로 성형하는 제 7단계(S70)을 포함한다.
먼저, 제 1단계(S10)에서는 귀리쌀과 가바쌀을 불린다. 구체적으로, 귀리쌀과 가바쌀을 준비하여 물에 불린다.
상기 귀리쌀과 가바쌀을 불리는 공정은 24 내지 30시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림 공정이 24시간 미만일 경우 하기에서 진행될 분쇄 과정 및 떡 제조과정에 어려움일 발생할 수 있으며, 30시간을 초과할 경우 이미 불림이 완료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다.
귀리쌀은 단백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소화가 잘되고 섬유소가 많아 변비에 좋고, 베타칼루칸이 많아 혈당과 혈중 콜레스테롤 조절에도 좋다. 지질대사 개선에 효과가 있어 체지방 축적을 막아준다.
가바(GABA)쌀은 뇌의 대사를 촉진시켜 집중력 강화와 기억력 증진에 도움을 주고 콜레스테롤 제거, 당뇨 개선 및 예방, 고혈압 개선 등 성인병 예방에도 효과가 높아 육식위주인 현대인들의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다.
다음으로, 제 2단계(S20)에서는 상기 불린 귀리쌀과 가바쌀을 냉장 보관하여 숙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불린 귀리쌀과 가바쌀을 건져낸 후 냉장 보관하여 숙성한다.
다음으로, 제 3단계(S30)에서는 상기 숙성한 귀리쌀과 가바쌀을 혼합한 후 1차 분쇄하여 분쇄물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숙성한 귀리쌀과 가바쌀을 계량하여 혼합한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1차 분쇄를 진행하여 분쇄물을 제조한다.
상기 귀리쌀과 가바쌀의 혼합은 귀리쌀 500중량부에 대하여 가바쌀 50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귀리쌀 500중량부에 대하여 가바쌀이 500중량부 미만일 경우 가바쌀의 맛과 기능성이 충분히 포함되지 않을 수 있으며, 가바쌀이 50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가바쌀의 맛과 향이 과도하게 느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제 4단계(S40)에서는 상기 1차 분쇄한 분쇄물과 소금을 혼합한 후 2차 분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1차 분쇄한 분쇄물과 소금을 계량하여 혼합한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2차 분쇄를 진행한다.
상기 귀리쌀과 가바쌀은 경도가 높아 분쇄를 복수 번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2차 분쇄 전 소금과 1차 분쇄한 분쇄물의 입자 크기가 유사할 때 혼합하여 균일한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혼합 시 분쇄물과 소금의 혼합비율은 상기 분쇄물 1000중량부에 대하여 소금 13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쇄물 1000중량부에 대하여 소금이 13중량부 미만일 경우 소금 간이 충분하지 못하며, 13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과도한 짠 맛이 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5단계(S50)에서는 상기 2차 분쇄한 분쇄물과 단감즙을 혼합한 후 3차 분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2차 분쇄한 분쇄물과 단감즙을 계량하여 혼합한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3차 분쇄를 진행한다.
상기 단감즙은, 단감의 꼭지를 제거하고 세척한 후 추출기, 증탕기, 약탕기 등을 이용하여 즙 형상으로 제조한 것이다.
상기 단감즙의 혼합은, 분쇄물의 입자를 최소화하여 액상과 혼합하여야 균일한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2차 분쇄한 분쇄물과 단감즙을 혼합하여 3차 분쇄를 진행한다.
상기 혼합 시 2차 분쇄한 분쇄물과 단감즙의 혼합비율은 상기 2차 분쇄한 분쇄물 1013중량부에 대하여 단감즙 18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쇄물 1013중량부에 대하여 단감즙이 180중량부 미만일 경우 단감의 맛과 영양을 충분히 전달하지 못하며, 18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과도한 단감의 맛과 향으로 오히려 기호도가 낮아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제 6단계(S60)에서는 상기 3차 분쇄한 분쇄물을 찐다. 구체적으로, 상기 3차 분쇄한 분쇄물을 시루에 골고루 깐 다음 스팀기를 이용하여 찐다.
상기 찌는 공정은 탐침온도계를 이용하여 스팀기의 온도가 97℃를 초과할 때까지 5분 찌고, 97 내지 100℃ 온도를 유지하면서 10분간 더 찐 다음, 스팀기의 전원을 끄고 온도가 80℃까지 내려갈 때까지 기다리며 완전히 익힌다.
상기 현미쌀과 가바쌀은 경도가 높으므로 상기 찌는 공정에 있어 시간과 온도 조건의 유지가 필요로 된다.
다음으로, 제 7단계(S70)에서는 상기 쪄낸 분쇄물을 가래떡 형상으로 성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쪄낸 분쇄물을 기계를 이용하여 가래떡 형상으로 뽑아내는 성형을 실시한 다음 물에 담궈 충분히 식힌 후 포장한다.
또한, 상기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에서는 상기 귀리쌀과 상기 가바쌀을 발아귀리와 발아가바로 대체할 수 있다.
상기 귀리쌀과 가바쌀을 적용한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은, 발아귀리와 발아가바를 제조한 후 불리는 제 A-1단계(A10), 상기 불린 발아귀리와 발아가바를 냉장 보관하여 숙성하는 제 A-2단계(A20), 상기 숙성한 발아귀리와 발아가바를 혼합한 후 1차 분쇄하여 분쇄물을 제조하는 제 A-3단계(A30), 상기 1차 분쇄한 분쇄물과 소금을 혼합한 후 2차 분쇄하는 제 A-4단계(A40), 상기 2차 분쇄한 분쇄물과 단감즙을 혼합한 후 3차 분쇄하는 제 A-5단계(A50), 상기 3차 분쇄한 분쇄물을 찌는 제 A-6단계(A60), 상기 쪄낸 분쇄물을 가래떡 형상으로 성형하는 제 A-7단계(A70)을 포함한다.
먼저, 제 A-1단계(A10)에서는 발아귀리와 발아가바를 제조한 후 불린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아귀리와 발아가바를 제조한 다음 물에 불린다.
상기 발아귀리와 발아가바의 제조는 귀리 또는 가바를 물에 2 내지 5시간 침지한 다음 건져 실온에서 건조하여 눈에서 싹이 나오는 것을 확인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A-2단계(A20)에서는 상기 불린 발아귀리와 발아가바를 냉장 보관하여 숙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불린 발아귀리와 발아가바를 건져낸 후 냉장 보관하여 숙성한다.
다음으로, 제 A-3단계(S30)에서는 상기 숙성한 발아귀리와 발아가바를 혼합한 후 1차 분쇄하여 분쇄물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숙성한 발아귀리와 발아가바를 계량하여 혼합한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1차 분쇄를 진행하여 분쇄물을 제조한다.
상기 발아귀리와 발아가바의 혼합은 발아귀리 500중량부에 대하여 발아가바 50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후 단계의 제 A-4단계(A40) 내지 제 A-7단계(A70)의 경우, 상기 귀리쌀과 가바쌀을 이용한 제 4단계(S40) 내지 제 7단계(S70)와 동일하게 진행되므로 생략한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한 가래떡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고, 이에 대한 실험결과를 실시예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험은 가래떡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검사원으로서의 적합성이 인정된 식품공학과 대학원생을 선발하여 본 실험의 목적에 적합한 훈련을 시킨 후에 관능평가를 하였다. 관능검사 항목은 향(flavor), 맛(taste) 및 전반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로 굉장히 좋으면 9점, 매우 나쁘면 1점으로 평가하는 9점 척도법(Liker scale)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1은 일반적인 가래떡이다.
[비교예 2]
비교예 2는 귀리쌀과 가바쌀을 분쇄한 후 소금과 혼합(귀리쌀 500g, 가바쌀 500g, 소금 13g)하여 제조한 가래떡이다.
[실시예 1]
실시예 1은 본 발명의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을 바탕으로, 일반 쌀을 분쇄한 후 소금, 단감과 혼합(일반 쌀 1000g, 소금 13g, 단감즙 180g)하여 제조한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이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본 발명의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을 바탕으로, 귀리쌀을 분쇄한 후 소금, 단감과 혼합(귀리쌀 1000g, 소금 13g, 단감즙 180g)하여 제조한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이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본 발명의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을 바탕으로, 가바쌀을 분쇄한 후 소금, 단감과 혼합(가바쌀 1000g, 소금 13g, 단감즙 180g)하여 제조한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이다.
[실시예 4]
실시예 4는 본 발명의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을 바탕으로, 귀리쌀과 가바쌀을 분쇄한 후 소금, 단감과 혼합(귀리쌀 500g, 가바쌀 500g, 소금 13g, 단감즙 180g)하여 제조한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이다.
[실시예 5]
실시예 5는 본 발명의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을 바탕으로, 발아귀리와 발아가바를 분쇄한 후 소금, 단감과 혼합(발아귀리 500g, 발아가바 500g, 소금 13g, 단감즙 180g)하여 제조한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이다.
[실시예 6]
실시예 6은 본 발명의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을 바탕으로, 귀리쌀과 가바쌀을 분쇄한 후 소금, 단감과 혼합(귀리쌀 500g, 가바쌀 500g, 소금 13g, 단감즙 220g)하여 제조한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이다.
구분 | 향 | 맛 | 전체적인 기호도 |
비교예 1 | 5.0 | 5.5 | 5.3 |
비교예 2 | 5.0 | 5.8 | 5.4 |
실시예 1 | 6.1 | 6.3 | 6.2 |
실시예 2 | 6.5 | 6.6 | 6.5 |
실시예 3 | 6.6 | 6.7 | 6.6 |
실시예 4 | 7.0 | 7.3 | 7.2 |
실시예 5 | 7.1 | 7.2 | 7.1 |
실시예 6 | 7.0 | 6.8 | 6.9 |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에 비하여 본 발명의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6이 전반적으로 우수한 관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5의 경우 색, 맛, 전체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는 것을 알 수 있어, 본 발명의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에서 귀리쌀과 가바쌀을 혼합하여 원료로 하며 단감즙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10. 귀리쌀과 가바쌀을 불리는 제 1단계
S20. 상기 불린 귀리쌀과 가바쌀을 냉장 보관하여 숙성하는 제 2단계
S30. 상기 숙성한 귀리쌀과 가바쌀을 혼합한 후 1차 분쇄하여 분쇄물을 제조하는 제 3단계
S40. 상기 1차 분쇄한 분쇄물과 소금을 혼합한 후 2차 분쇄하는 제 4단계
S50. 상기 2차 분쇄한 분쇄물과 단감즙을 혼합한 후 3차 분쇄하는 제 5단계
S60. 상기 3차 분쇄한 분쇄물을 찌는 제 6단계
S70. 상기 쪄낸 분쇄물을 가래떡 형상으로 성형하는 제 7단계
A10. 귀리쌀과 가바쌀을 불리는 제 A-1단계
A20. 상기 불린 귀리쌀과 가바쌀을 냉장 보관하여 숙성하는 제 A-2단계
A30. 상기 숙성한 귀리쌀과 가바쌀을 혼합한 후 1차 분쇄하여 분쇄물을 제조하는 제 A-3단계
A40. 상기 1차 분쇄한 분쇄물과 소금을 혼합한 후 2차 분쇄하는 제 A-4단계
A50. 상기 2차 분쇄한 분쇄물과 단감즙을 혼합한 후 3차 분쇄하는 제 A-5단계
A60. 상기 3차 분쇄한 분쇄물을 찌는 제 A-6단계
A70. 상기 쪄낸 분쇄물을 가래떡 형상으로 성형하는 제 A-7단계
S20. 상기 불린 귀리쌀과 가바쌀을 냉장 보관하여 숙성하는 제 2단계
S30. 상기 숙성한 귀리쌀과 가바쌀을 혼합한 후 1차 분쇄하여 분쇄물을 제조하는 제 3단계
S40. 상기 1차 분쇄한 분쇄물과 소금을 혼합한 후 2차 분쇄하는 제 4단계
S50. 상기 2차 분쇄한 분쇄물과 단감즙을 혼합한 후 3차 분쇄하는 제 5단계
S60. 상기 3차 분쇄한 분쇄물을 찌는 제 6단계
S70. 상기 쪄낸 분쇄물을 가래떡 형상으로 성형하는 제 7단계
A10. 귀리쌀과 가바쌀을 불리는 제 A-1단계
A20. 상기 불린 귀리쌀과 가바쌀을 냉장 보관하여 숙성하는 제 A-2단계
A30. 상기 숙성한 귀리쌀과 가바쌀을 혼합한 후 1차 분쇄하여 분쇄물을 제조하는 제 A-3단계
A40. 상기 1차 분쇄한 분쇄물과 소금을 혼합한 후 2차 분쇄하는 제 A-4단계
A50. 상기 2차 분쇄한 분쇄물과 단감즙을 혼합한 후 3차 분쇄하는 제 A-5단계
A60. 상기 3차 분쇄한 분쇄물을 찌는 제 A-6단계
A70. 상기 쪄낸 분쇄물을 가래떡 형상으로 성형하는 제 A-7단계
Claims (5)
- 귀리쌀과 가바쌀을 불리는 제 1단계;
상기 불린 귀리쌀과 가바쌀을 냉장 보관하여 숙성하는 제 2단계;
상기 숙성한 귀리쌀과 가바쌀을 혼합한 후 1차 분쇄하여 분쇄물을 제조하는 제 3단계;
상기 1차 분쇄한 분쇄물과 소금을 혼합한 후 2차 분쇄하는 제 4단계;
상기 2차 분쇄한 분쇄물과 단감즙을 혼합한 후 3차 분쇄하는 제 5단계;
상기 3차 분쇄한 분쇄물을 찌는 제 6단계;
상기 쪄낸 분쇄물을 가래떡 형상으로 성형하는 제 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의 귀리쌀과 가바쌀의 혼합은,
귀리쌀 500중량부에 대하여 가바쌀 50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5단계의 2차 분쇄한 분쇄물과 단감즙의 혼합은,
상기 2차 분쇄한 분쇄물 1013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단감즙 18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귀리쌀과 가바쌀은 발아귀리와 발아가바로 대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감즙은, 단감의 꼭지를 제거하고 세척한 후 즙 형상으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5003A KR20200088924A (ko) | 2019-01-15 | 2019-01-15 |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5003A KR20200088924A (ko) | 2019-01-15 | 2019-01-15 |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88924A true KR20200088924A (ko) | 2020-07-24 |
Family
ID=71892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05003A KR20200088924A (ko) | 2019-01-15 | 2019-01-15 |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088924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16717A (ko) * | 2020-08-03 | 2022-02-10 | 주식회사 풀무원 | 곡물가루를 이용한 연속 증자 방식의 떡 제조방법 및 이방법에 따라 제조된 떡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38127A (ko) | 2010-06-18 | 2011-12-26 | 민명희 | 무화과를 이용한 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떡 |
-
2019
- 2019-01-15 KR KR1020190005003A patent/KR20200088924A/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38127A (ko) | 2010-06-18 | 2011-12-26 | 민명희 | 무화과를 이용한 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떡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16717A (ko) * | 2020-08-03 | 2022-02-10 | 주식회사 풀무원 | 곡물가루를 이용한 연속 증자 방식의 떡 제조방법 및 이방법에 따라 제조된 떡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47787B1 (ko) | 송이버섯이 포함된 된장의 제조방법 | |
CN103583963A (zh) | 五色鲜米粉及其制备方法 | |
KR101300547B1 (ko) | 바삭바삭 도넛의 제조방법 | |
CN104957344A (zh) | 以发芽糙米为原料制备的挤压膨化上糖浆食品及其制备方法 | |
KR100869406B1 (ko) | 즉석 인절미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인절미 | |
KR20190134145A (ko) | 율피 떡 및 그 제조방법 | |
CN108125111A (zh) | 一种七色保健米粉及其制备方法 | |
KR20200088924A (ko) | 단감을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 | |
KR20160050290A (ko) | 연 고추장 제조방법 | |
KR100994690B1 (ko) | 막걸리 제조용 발효혼합물 | |
KR101757698B1 (ko) | 파프리카를 이용한 쌀국수 제조방법 및 쌀국수 | |
KR101927849B1 (ko) | 자색 고구마를 포함하는 한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한과 | |
KR101933791B1 (ko) | 아마씨를 포함하는 드레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10121154A (ko) | 고추씨 페이스트의 제조방법 및 동 방법에 의해 제조한 고추씨 페이스트를 이용한 제과류의 제조방법 | |
KR102633322B1 (ko) | 한우사골 떡국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한우사골 떡국 | |
CN110679903A (zh) | 一种黄秋葵酱的制作工艺 | |
KR101814418B1 (ko) | 수박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수박 고추장 | |
KR20200076939A (ko) | 단감 소 빵 제조방법 | |
KR102551711B1 (ko) | 사용성 및 관능성이 향상된 취반용 대두 및 그 제조방법 | |
KR102456788B1 (ko) | 통찰팥앙금 제조 방법 | |
KR102607075B1 (ko) | 대추를 이용한 쌀막걸리의 제조방법 | |
KR102033429B1 (ko) | 고구마가 함유된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고추장 | |
KR102292969B1 (ko) | 잣 고추장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1236113B1 (ko) | 고추장 분말원료의 제조방법 | |
KR102196439B1 (ko) | 등겨장 및 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