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1518A -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1518A
KR20200081518A KR1020180161569A KR20180161569A KR20200081518A KR 20200081518 A KR20200081518 A KR 20200081518A KR 1020180161569 A KR1020180161569 A KR 1020180161569A KR 20180161569 A KR20180161569 A KR 20180161569A KR 20200081518 A KR20200081518 A KR 20200081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ehicle
cap
user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3192B1 (ko
Inventor
전종찬
정대기
서덕환
최권형
이진형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1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3192B1/ko
Priority to US16/655,830 priority patent/US11952822B2/en
Priority to DE102019130468.7A priority patent/DE102019130468A1/de
Priority to CN201911114065.8A priority patent/CN111319458A/zh
Publication of KR20200081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1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7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rmination, e.g. using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2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passenger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4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fuel inlet covers essentially flush with the vehicl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G06K9/0022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1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 G06V40/166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using acquisition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2Classification, e.g. ident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15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15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 B60K2015/053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with hinged connection to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15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 B60K2015/0538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with open or close mechanism automat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61Locking means for the inlet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10Vehicle control parameters
    • B60L2240/12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0Driver interactions by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20Driver interactions by driver ident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05F2015/76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using acoustical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05F2015/7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using optical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05F2015/76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using camera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05Y2400/334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by using pulse generators
    • E05Y2400/336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by using pulse generators of the angula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2Sensors
    • E05Y2400/856Actuation thereof
    • E05Y2400/858Actuation thereof by body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34Fuel l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은 영상 획득부; 차체에 마련되고 에너지원을 보충하기 위한 보충구를 개폐하는 캡; 차체에서 캡을 분리 또는 연결시키는 구동부; 영상 획득부에서 획득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에너지원 보충 의지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에너지원 보충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차체에서 캡이 자동으로 분리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Vehicle}
본 발명은 주유 캡 또는 충전 캡 등의 캡을 자동으로 개방하기 위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차륜을 구동시켜 도로를 주행하는 기계로, 차량에는 탑승자 보호, 운행 보조 및 승차감의 향상을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탑재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은 휘발유, 경유와 같은 석유연료를 연소시켜 기계적인 동력을 발생시키고 이 기계적인 동력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내연기관 차량(일반 엔진 차량)과, 연비 및 유해 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주행하는 친환경 차량을 포함한다.
여기서 친환경 차량은 충전 가능한 전원부인 배터리와 모터를 포함하고 배터리에 축적된 전기로 모터를 회전시키고 모터의 회전을 이용하여 차륜을 구동시키는 전기 차량과, 엔진, 배터리 및 모터를 포함하고 엔진의 기계적인 동력과 모터의 전기적인 동력을 제어하여 주행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수소 연료 전지 차량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친환경 차량은, 차량의 충전구에 주차장 또는 충전소에 배치된 충전기의 유선 플러그가 연결되면 외부의 전력을 공급받고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한다.
이러한 친환경 차량은 충전구를 개폐하기 위한 충전캡을 가지며, 이 충전 캡은 차량 내부에 마련된 스위치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에 따라 잠금 해제되거나 개방되었다.
아울러 내연기관 차량의 경우에도, 주유구를 개폐하기 위한 주유 캡을 가지며, 이 주유 캡 역시 차량 내부에 마련된 스위치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에 따라 잠금 해제되거나 개방되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충전이나 주유를 하기 위해 차량에서 하차하였을 때 차량 내부에 마련된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고 하차하게 되면, 다시 운전석으로 이동하여 운전석의 도어를 열고 스위치를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일 측면은 운전자의 충전 또는 주유 의지가 인식되면 캡을 자동을 개방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은 충전 또는 주유가 완료되었을 때 캡이 개방된 상태이면 사용자에게 캡 개방 알림 정보를 출력하거나 자동 폐쇄를 제어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영상 획득부; 차체에 마련되고 에너지원을 보충하기 위한 보충구를 개폐하는 캡; 차체에서 캡을 분리 또는 연결시키는 구동부; 영상 획득부에서 획득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에너지원 보충 의지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에너지원 보충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차체에서 캡이 자동으로 분리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영상 획득부는, 차체 중 캡과 인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부는, 영상 획득부에서 획득된 영상 내의 오브젝트를 인식하고 인식된 오브젝트 중 충전 건 또는 주유 건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며, 인식된 오브젝트 중 충전 건 또는 주유 건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에너지원 보충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부는, 인식된 오브젝트 중 얼굴을 인식하고 인식된 얼굴이 사용자의 얼굴인지 판단하며 인식된 얼굴이 사용자의 얼굴이면 캡의 잠금을 해제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부는, 에너지원의 보충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캡이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캡의 주변에 마련되고 장애물을 검출하는 장애물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장애물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장애물과의 거리를 획득하고 획득된 장애물과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이면 영상 획득부의 동작을 활성화시킨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부는, 획득된 장애물과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로 유지되는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이면 영상 획득부의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차체에 마련되되 서로 다른 위치에 마련되어 장애물을 검출하는 복수 개의 장애물 검출부; 에너지원 보충 경로에 대응하는 장애물 검출부의 식별 정보를 순서대로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의 하차 여부를 검출하는 하차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하차 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하차하였는지 판단하고, 사용자가 하차하였다고 판단되면 복수 개의 장애물 검출부들 중 검출 신호를 출력한 장애물 검출부의 식별 정보 및 장애물의 검출 순서를 확인하고 확인된 장애물 검출부의 식별 정보 및 검출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이동 경로와 저장부의 에너지 보충 경로가 동일하면 영상 획득부의 동작을 활성화시킨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부는, 복수 개의 장애물 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장애물과의 거리를 각각 획득하고 각각 획득된 거리들 중 장애물과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인 검출 신호를 출력한 장애물 검출부의 식별 정보를 확인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차체의 서로 다른 위치에 마련되고 장애물을 검출하는 복수 개의 장애물 검출부; 차체에 마련되고 에너지원을 보충하기 위한 보충구를 개폐하는 캡; 차체에서 캡을 분리 또는 연결시키는 구동부; 복수 개의 장애물 검출부 중 검출 신호를 출력한 적어도 하나의 장애물 검출부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에너지원 보충 의지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에너지원 보충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캡이 자동으로 분리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에너지원 보충 경로에 대응하는 장애물 검출부의 식별 정보를 순서대로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의 하차 여부를 검출하는 하차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하차 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하차하였는지 판단하고, 사용자가 하차하였다고 판단되면 복수 개의 장애물 검출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장애물 검출부의 식별 정보 및 장애물의 검출 순서를 확인하고 확인된 장애물 검출부의 식별 정보 및 검출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이동 경로와 저장부의 에너지 보충 경로가 동일하면 사용자의 에너지원 보충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장애물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장애물과의 거리를 획득하고 획득된 장애물과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이면 사용자의 에너지원 보충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부는, 획득된 장애물과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로 유지되는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이면 사용자의 에너지원 보충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원격 제어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원격 통신 중인 원격 제어기가 차체의 외부에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차체의 외부에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에너지원 보충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부는, 에너지원의 보충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캡이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에너지원의 보충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캡이 개방 상태인지 판단하고 캡이 개방 상태라고 판단되면 캡 개방 알림 정보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출력부를 제어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주행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부; 캡의 개방 명령을 입력받는 캡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검출된 주행속도에 기초하여 정차 상태인지 판단하고 정차 상태라고 판단되면 캡의 개방 명령이 수신되었는지 판단하고 캡의 개방 명령이 미수신되었으면 사용자의 에너지원 보충 의지를 판단하기 위해 복수 개의 장애물 검출부의 검출 신호를 확인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수신부; 지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현재 위치 정보 및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가 주유소나 충전소인지 판단하고, 현재 위치가 주유소나 충전소라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에너지원 보충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하기 위해 복수 개의 장애물 검출부의 검출 신호를 확인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충전소나 주유소에 마련된 통신 모듈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차체에 마련되고 에너지원을 보충하기 위한 보충구를 개폐하는 캡; 차체에서 캡을 분리 또는 연결시키는 구동부; 통신부를 통신모듈과 통신이 수행되면 캡이 차체에서 분리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에너지 공급원의 보충 시간, 보충 금액 및 보충량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보충 시간, 보충 금액 및 보충량 중 적어도 하나를 통신 모듈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부는, 에너지원의 보충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캡이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한다.
본 발명은 운전자가 충전/주유가 필요한 상황에서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고 차량에서 하차하였을 때, 충전구/주유구의 캡의 잠금이 자동으로 해제되고 개방되도록 함으로서 운전자가 충전구/주유구를 개방하기 위해 운전석으로 이동하여 운전석의 도어를 개방하고 스위치를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주유나 충전 완료 후 캡을 폐쇄시키지 않고 차량에 탑승하였을 때 캡의 개방 알림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캡의 개방을 인식하려 캡을 닫을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유나 충전 완료 후 캡을 폐쇄시키지 않고 차량에 탑승하였을 때 캡을 자동으로 폐쇄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충전구나 주유구 내부로 불순물이나 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충전소나 주유소에 진입하였을 때 자율 충전 또는 자율 주유를 구현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품질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리성 및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충전부의 예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저장된 충전 경로의 예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8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영상 획득부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 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 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장치'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 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장치'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장치'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 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충전부의 예시도이며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구성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은, 배터리와 모터를 이용하여 주행하는 친환경 차량으로, 전기 차량 또는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 차량(PHEV: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1)은 차체(Body)와, 차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주행에 필요한 기계 장치가 설치되는 차대(Chassis)를 포함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차체는 프론트 패널(111), 본네트(112), 루프 패널(113), 리어 패널(114), 전후좌우의 도어(115), 전후좌우의 도어(115)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윈도우 글래스를 포함한다.
그리고 차량의 차체는 전후좌우 도어의 윈도우 글래스 사이의 경계에 마련된 필러와, 운전자에게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와, 전방시야를 주시하면서 주변의 정보를 쉽게 볼 수 있도록 하고 다른 차량과 보행자에 대한 신호, 커뮤니케이션의 기능을 수행하는 외장 램프를 포함한다.
차량(1)은 주변의 장애물을 검출하고 검출된 장애물과의 거리를 검출하는 장애물 검출부(116)를 포함한다.
장애물 검출부(116)는 차량의 프론트 패널(111) 및 리어 패널(114) 중 적어도 하나의 패널에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장애물 검출부(116)는 도어(115) 하측의 사이드실 패널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장애물 검출부(116)는 자 차량의 위치를 기준으로 전후좌우 방향의 장애물의 존재 여부 및 장애물의 위치를 검출한다. 여기서 위치는 거리와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장애물 검출부(116)는 자 차량의 외부에 위치하는 장애물, 예를 들면 자 차량의 전방에서 주행하는 전방 차량과, 도로 주변에 설치된 구조물 등과 같은 정지물체와, 반대 차선에서 다가오는 타 차량 및 보행자 등을 검출한다.
즉 장애물 검출부(116)는 자 차량의 전방, 후방, 좌우의 측방에 위치한 장애물의 검출 정보를 출력한다.
이러한 장애물 검출부는 레이더(radar) 센서 또는 라이다(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더(Radar) 센서는 발신 및 수신을 같은 장소에서 행할 때, 전파의 방사에 의하여 생긴 반사파를 이용하여 물체의 위치 및 거리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라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센서는 레이저 레이다(Laser Radar) 원리를 이용한 비접촉식 거리 검출 센서이다.
이러한, 라이다 센서는 레이더(RaDAR: Radio Detecting And Ranging) 센서에 비해 횡방향에 대한 검출 정확도가 높기 때문에 전방에 통로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여기서 레이저는 단일레이저 펄스일 수 있다.
장애물 검출부(116)는 초음파 센서 또는 레이더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일정시간 발생시킨 뒤 물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를 검출한다.
초음파 센서는 근거리 범위 내에서 보행자 등의 장애물의 유무를 판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차량의 차대는 차체를 지지하는 틀로, 차대에는 전후좌우에 각 배치된 차륜과, 전후좌우의 차륜에 구동력을 인가하기 위한 동력 장치, 조향 장치, 전후좌우의 차륜에 제동력을 인가하기 위한 제동 장치 및 현가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동력 장치는 동력 발생 장치와 동력 전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차량의 경우, 동력 발생 장치는 배터리 및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동력 발생 장치는 배터리, 모터, 엔진, 연료장치, 냉각 및 급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는 고압의 전류를 생성하여 차량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메인 배터리일 수 있다.
모터는 배터리의 전기 에너지를 차량에 마련된 각종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역학적 에너지로 전환한다.
하이브리드 차량인 경우, 차량은 시동 버튼이 온 되면 모터를 동작시키고 모터의 동작을 통해 엔진을 구동시킨다.
아울러 하이브리드 차량은 외부의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하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일 수 있다.
동력 전달 장치는 클러치, 변속기, 종감속 장치, 차동 장치, 차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은 동력 발생을 위해 배터리의 충전이 필수적이다.
차량은 차량의 에너지원인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117)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부(117)는 회전 이동이 가능한 충전캡(117a)과, 수용 공간을 갖고 충전 캡(117a)에 의해 개폐되는 수용부(117b)와, 수용부(117b)에 배치되고 외부의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가 삽입 연결되는 충전구(117c)와, 충전캡(117a)이 차량의 차체에 잠기도록 하거나 잠김이 해제되도록 하고 또한 충전캡(117a)이 차체에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연결 부재(117d)를 포함한다.
이러한 충전부(117)는 프론트 패널, 리어 패널, 좌측의 펜더 패널(Fender panel) 및 우측의 펜더 패널(Fender panel) 중 적어도 하나의 패널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충전구는 에너지원을 보충하기 위한 커넥터가 삽입되는 보충구일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구성도이다.
차량은 장애물 검출부(116), 개폐 검출부(118), 하차 검출부(119), 입력부(120), 제어부(130), 저장부(131), 출력부(140), 구동부(150) 및 통신부(160)를 포함한다.
장애물 검출부(116)는 차량 주변의 장애물의 존재를 검출한다.
장애물 검출부(116)는 차량 주변의 장애물과의 거리를 검출하고 검출된 검출 신호를 제어부(130)에 전송할 수 있다.
장애물 검출부(116)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장애물 검출부(116)는 차량의 각종 패널에 마련될 수 있고 장애물을 검출하였을 때만 장애물과의 거리에 대응하는 검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개폐 검출부(118)는 충전부의 연결 부재(117d)와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충전캡(117a)의 개방 상태 및 폐쇄 상태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개폐 검출부(118)는 충전캡(117a)의 개폐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리드 스위치, 마이크로 스위치, 마그네틱 센서, 홀 센서 또는 광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차 검출부(119)는 운전자의 하차 상태를 검출하고 하차 상태에 대응하는 검출 신호를 제어부(130)에 출력한다.
하차 검출부(119)는 운전석 시트에 마련된 무게 검출부, 압력 검출부 또는 정전용량 검출부일 수도 있고, 안전 벨트에 마련되어 안전 벨트의 체결 상태를 검출하는 체결 검출부일 수도 있으며 운전석 도어의 개폐를 검출하는 도어 개폐 검출부일 수도 있다.
이러한 하차 검출부(119)는 조수석 시트 및 후석 시트 중 적어도 하나에 더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부(120)는 각종 기능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다.
입력부(120)는 차량 내부의 헤드 유닛 및 센터페시아에 마련될 수 있고, 스티어링 휠이나, 도어의 내부, 콘솔박스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부(120)는 에너지 원의 보충량, 보충 금액 및 보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부(120)는 충전캡(117a)을 개방하기 위한 캡의 개방 명령을 입력받는 갭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캡 입력부는 스위치 타입, 버튼 타입, 터치 타입 또는 키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충전 캡(117a)을 자동으로 폐쇄하기 위한 액추에이터가 구동부에 마련된 경우, 캡 입력부는 충전 캡(117a)을 폐쇄하기 위한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충전 의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충전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충전 캡(117a)을 자동으로 개방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충전 의지를 판단할 때, 장애물 검출부(116)에서 출력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자의 위치가 충전 캡(117a)과 인접한지 판단하고, 사용자의 위치가 충전 캡과 인접하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충전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충전 캡(117a)을 자동으로 개방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위치가 충전 캡과 인접한지 판단할 때, 사용자가 충전캡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위치가 충전 캡과 인접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충전 의지를 판단할 때, 사용자의 위치가 충전캡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서 유지되는 시간을 확인하고 확인된 시간이 일정 시간 이내이면 사용자에게 충전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충전 캡(117a)을 자동으로 개방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때, 연결 부재(117d)와 충전 캡(117a)의 잠금 상태를 잠금 해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충전 캡(117a)을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 상태로 변경할 때, 충전 캡(117a)이 연결 부재(117d)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30)는 충전 캡(117a)을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 상태로 변경할 때, 잠금만을 해제하고, 충전 캡(117a)이 연결 부재(117d)에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사용자는 충전 캡(117a)에 외력을 인가함으로써 충전 캡(117a)을 개방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충전이 완료되었을 때 충전 캡(117a)에 외력을 인가함으로써 충전 캡(117a)을 폐쇄시킬 수 있다. 즉, 충전 캡(117a)은 푸쉬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차량에 충전 캡을 잠그기 위한 별도의 잠금 장치가 없고 충전 캡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 장치만이 마련되어 있을 경우, 제어부(130)는 충전 캡(117a)을 자동으로 개방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때, 충전 캡(117a)이 연결 부재(117d)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차량에 캡 입력부가 마련된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충전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캡 입력부로부터 캡 개방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하고, 캡 입력부로부터 캡 개방 신호가 미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충전 캡(117a)을 자동으로 개방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하고 캡 입력부로부터 캡 개방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충전 캡(117a)의 자동 개방을 제어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은 주행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속도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속도 검출부는 차량의 복수 개의 휠에 각각 마련된 복수 개의 휠 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차량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속도 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이 정지 상태인지 판단하고 차량이 정지 상태라고 판단되면 하차 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하차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하차하였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충전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제어부(130)는 시동이 오프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충전 의지를 판단하기 위해,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장애물 검출부 및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하차하였다고 판단되면 캡 입력부로부터 개방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하고 캡 입력부로부터 캡 개방 신호가 미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장애물 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충전 의지를 판단하고, 캡 입력부로부터 캡 개방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충전 의지 판단 동작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에 하나의 장애물 검출부가 마련된 경우, 제어부(130)는 하나의 장애물 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장애물의 위치를 획득하고 장애물의 위치와 충전 캡의 위치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충전 의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 어부(130)는 사용자가 충전캡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충전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차량에 복수 개의 장애물 검출부가 마련된 경우, 제어부(130)는 복수 개의 장애물 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복수 개의 장애물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검출 신호의 수신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 변화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복수 개의 장애물 검출부에서 출력한 장애물의 검출 신호가 수신되면 검출 신호가 수신된 수신 시간에 기초하여 검출 신호가 수신된 수신 순서를 획득하며 획득된 수신 순서에 기초하여 장애물의 검출 신호를 출력한 장애물 검출부들의 장착 위치를 획득하고, 검출 신호의 수신 순서에 대응하는 장애물 검출부의 장착 위치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변화를 획득하며, 획득된 사용자의 위치 변화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와 저장부(131)에 저장된 충전 경로를 비교하고, 획득된 사용자의 이동 경로와 충전 경로가 동일하면 사용자에게 충전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복수 개의 장애물 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장애물 검출부와 사용자와의 거리를 각각 획득하고, 획득된 거리들 중 사용자와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인 검출 신호를 출력한 장애물 검출부의 장착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30)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고 충전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충전 캡이 개방되었는지 판단하고 충전 캡이 개방되었다고 판단되면 충전 캡 개방 알림 정보를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하도록 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30)는 배터리의 전류, 전압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량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충전구에서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가 분리되었거나,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완충 상태라고 판단되었을 때 충전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배터리의 충전 시간이 사용자가 요구한 시간이라고 판단되거나, 충전 금액이 사용자가 요구한 금액이라고 판단되면 충전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30)는 하차 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승차 상태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승차하였다고 판단되면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고 충전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충전 캡이 개방되었는지 판단하고 충전 캡이 개방되었다고 판단되면 충전 캡 개방 알림 정보를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하도록 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131)는 복수 개의 장애물 검출부의 식별 정보 및 장착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131)는 에너지 원인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사용자의 충전 경로에 대응하는 장애물 검출부의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충전 경로는, 에너지원 보충 경로로서, 운전석에서 충전캡까지 운전자가 이동하는 경로이다. 이러한 충전 경로 따라 운전자가 이동할 때 이 충전 경로에 대응하여 장착된 복수 개의 장애물 검출부로부터 검출 신호가 순차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의 (a)는, 충전부(117)의 충전캡이 프론트 패널(111)과 인접하게 마련된 경우의 충전 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운전석에서 하차한 후 운전석 도어의 위치에서 차량의 전방을 향해 이동 후 프론트 패널의 중앙에 마련된 충전부까지 이동을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가 처음 인접하게 되는 프론트 패널(111)의 좌측에 마련된 장애물 검출부(116a)에서 장애물의 검출 신호를 첫 번째로 출력하고, 사용자가 다음으로 인접하게 되는 프론트 패널의 좌측과 중앙 사이에 마련된 장애물 검출부(116b)에서 장애물의 검출 신호를 두 번째로 출력하고,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인접하게 되는 프론트 패널의 중앙에 마련된 장애물 검출부(116c)에서 장애물의 검출 신호를 세 번째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은 검출 신호가 출력되는 제1장애물 검출부(116a), 제2장애물 검출부(116b) 및 제3장애물 검출부(116c) 순서를 충전 경로에 대응하는 정보로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충전부(117)의 충전캡이 리어 패널(114)과 인접하게 마련된 경우의 충전 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운전석에서 하차한 후 운전석 도어의 위치에서 차량의 후방을 향해 이동 후 리어 패널의 중앙에 마련된 충전부까지 이동을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가 처음 인접하게 되는 리어 패널(114)의 좌측에 마련된 장애물 검출부(116f)에서 장애물의 검출 신호를 첫 번째로 출력하고, 사용자가 다음으로 인접하게 되는 리어 패널의 좌측과 중앙 사이에 마련된 장애물 검출부(116g)에서 장애물의 검출 신호를 두 번째로 출력하고,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인접하게 되는 리어 패널의 중앙에 마련된 장애물 검출부(116h)에서 장애물의 검출 신호를 세 번째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은 검출 신호가 출력되는 장애물 검출부(116f), 장애물 검출부(116g) 및 장애물 검출부(116h) 순서를 충전 경로에 대응하는 정보로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충전부(117)의 충전캡이 좌측 펜더 패널과 인접하게 마련된 경우의 충전 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운전석에서 하차한 후 운전석 도어의 위치에서 차량의 후방을 향해 이동 후 펜더 패널에 마련된 충전부까지 이동을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가 처음 인접하게 되는 리어 패널의 좌측에 마련된 장애물 검출부(116f)에서 장애물의 검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은 검출 신호가 출력되는 장애물 검출부(116f)를 충전 경로에 대응하는 정보로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도 4의 (d)는, 충전부(117)의 충전캡이 우측 펜더 패널과 인접하게 마련된 경우의 충전 경로를 도시한 것으로, 충전 경로는 두 개일 수 있다.
제 1 충전 경로(A)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운전석에서 하차한 후 운전석 도어의 위치에서 차량의 후방을 향해 이동 후 우측 펜더 패널에 마련된 충전부까지 이동을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가 처음 인접하게 되는 리어 패널(114)의 좌측에 마련된 장애물 검출부(116f)에서 장애물의 검출 신호를 첫 번째로 출력하고, 사용자가 다음으로 인접하게 되는 리어 패널의 좌측과 중앙 사이에 마련된 장애물 검출부(116g)에서 장애물의 검출 신호를 두 번째로 출력하고, 사용자가 다음으로 인접하게 되는 리어 패널의 중앙에 마련된 장애물 검출부(116h)에서 장애물의 검출 신호를 세 번째로 출력하며 사용자가 다음으로 인접하게 되는 리어 패널의 중앙과 우측 사이에 마련된 장애물 검출부(116i)에서 장애물의 검출 신호를 네 번째로 출력하며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인접하게 되는 리어 패널의 우측에 마련된 장애물 검출부(116j)에서 장애물의 검출 신호를 다섯 번째로 출력한다.
따라서 차량은 검출 신호가 출력되는 장애물 검출부(116f), 장애물 검출부(116g), 장애물 검출부(116h), 장애물 검출부(116i) 및 장애물 검출부(116j) 순서를 제1 충전 경로에 대응하는 정보로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제 2 충전 경로(A)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운전석에서 하차한 후 운전석 도어의 위치에서 차량의 전방을 향해 이동 후 우측 펜더 패널에 마련된 충전부까지 이동을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가 처음 인접하게 되는 프론트 패널(111)의 좌측에 마련된 장애물 검출부(116a)에서 장애물의 검출 신호를 첫 번째로 출력하고, 사용자가 다음으로 인접하게 되는 프론트 패널의 좌측과 중앙 사이에 마련된 장애물 검출부(116b)에서 장애물의 검출 신호를 두 번째로 출력하고, 사용자가 다음으로 인접하게 되는 프론트 패널의 중앙에 마련된 장애물 검출부(116c)에서 장애물의 검출 신호를 세 번째로 출력하며 사용자가 다음으로 인접하게 되는 프론트 패널의 중앙에 마련된 장애물 검출부(116d)에서 장애물의 검출 신호를 네 번째로 출력하고 사용자가 다음으로 인접하게 되는 프론트 패널의 중앙에 마련된 장애물 검출부(116e)에서 장애물의 검출 신호를 다섯 번째로 출력하며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인접하게 되는 리어 패널의 우측에 마련된 장애물 검출부(116j)에서 장애물의 검출 신호를 여섯 번째로 출력한다.
따라서 차량은 검출 신호가 출력되는 장애물 검출부(116a), 장애물 검출부(116b), 장애물 검출부(116c), 장애물 검출부(116d), 장애물 검출부(116e) 및 장애물 검출부(116j) 순서를 제2충전 경로에 대응하는 정보로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운전자만이 아닌 조수석에 탑승한 사람이나, 후석에 탑승한 사람에 의해 충전될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저장부(131)는 조수석부터 충전캡까지의 충전 경로와, 후석부터 충전캡까지의 충전 경로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1)는 사용자의 충전 의지를 판단하기 위한 일정 거리와 일정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충전이 완료되었을 때 충전 캡의 개방을 알리기 위한 개방 정보를 출력한다. 이로써 충전이 완료되었을 때 사용자가 충전 캡을 폐쇄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출력부(140)는 표시부(141) 및 사운드 출력부(14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41)는 충전이 완료되었을 때 충전 캡이 개방된 상태이면 충전 캡의 개방을 알리기 위한 개방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즉 표시부(141)는 충전 캡이 열려 있으니 충전 캡을 닫으라는 안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41)는 클러스터에 마련될 수도 있고, 차량 내부의 대시보드, 헤드 유닛 및 센터페시아에 마련될 수도 있다.
표시부(141)는 충전부의 수용부(117b)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운드 출력부(142)는 충전이 완료되었을 때 충전 캡이 개방된 상태이면 충전 캡의 개방을 알리기 위한 개방 정보를 사운드로 출력한다.
즉 사운드 출력부(142)는 충전 캡이 열려 있으니 충전 캡을 닫으라는 안내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도 있고, 멜로디나 경고음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사운드 출력부(142)는 경고음, 안내음 등과 같은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50)는 제어부(130)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충전부의 연결 부재(117d)를 차체로부터 분리시킨다.
구동부(150)는 충전부의 연결 부재(117d)를 잠금 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구동부(150)는 충전부의 연결 부재(117d)를 연결 상태에서 분리 상태로 변경할 수도 있다.
구동부(150)는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의해 잠금 해제 상태로 변경되었을 때, 충전 캡(117a)에 외력이 인가되면 충전부의 연결 부재(117d)가 연결 상태에서 분리 상태로 변경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동부(150)는 충전부의 연결 부재(117d)를 차체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50)는 제어부(130)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충전부의 연결 부재(117d)를 차체에 연결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차량은 충전부의 연결 부재(117d)를 차체에 연결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은 원격 제어기(2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60)는 원격 제어기(200)와 통신 시, 저주파(LF: Low Frequency)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고주파(RF: Radio Frequency)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상호 간의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차량(1)과 통신하는 원격 제어기(200)는 포브(Fob) 타입의 원격 제어기와, 카드(Card) 타입의 원격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포브(Fob) 타입의 원격 제어기와 카드(Card) 타입의 원격 제어기는 차량(1)과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포브(Fob) 타입의 원격 제어기와, 카드(Card) 타입의 원격 제어기는 차량(1)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전에 차량으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차량(1)과 자동으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증 신호를 전송한다.
제어부(130)는 장애물의 위치가 충전캡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이고 원격 제어기(200)와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충전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장애물의 위치가 충전캡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이고 인증 신호를 전송한 원격 제어기(200)가 차량의 외부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충전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저장부(131)는 원격 제어기의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원격 제어기의 식별 정보는 인증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60)는 위치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수신부는 차량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이러한 위치 수신부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는 복수의 GPS 위성의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모듈 및 신호처리부를 포함한다.
안테나 모듈은 차량의 외장에 마련된 안테나에 마련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는 복수의 GPS위성의 위치 신호에 대응하는 거리 및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를 획득하는 소프트웨어와, 획득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현재 위치 정보 및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이 충전소에 위치하는지 판단하고 차량이 충전소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충전 의지가 있다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30)는 내비게이션 모드의 수행 중 현재 위치 정보 및 내비게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이 충전소에 위치하는지 판단하고 차량이 충전소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충전 의지가 있다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일 실시 차량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차량은 하차 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하차 여부를 판단(301)하고, 사용자가 하차하였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충전 의지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기 위해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확인(302)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하차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운전석의 도어가 개방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차량은 속도 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이 정지 상태인지 판단하고 차량이 정지 상태라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충전 의지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도 있고,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면 사용자의 충전 의지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도 있다.
차량은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면 사용자의 충전 의지를 판단하기 위해,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하차 검출부, 장애물 검출부, 구동부 및 통신부에 전력을 공급하여 하차 검출부, 장애물 검출부, 구동부 및 통신부들이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장애물 검출부로부터 장애물이 검출되었다고 판단되면 장애물을 검출한 장애물 검출부 별로 장애물이 검출된 검출 시간을 확인하고, 검출 시간이 빠른 순서대로 장애물을 검출한 장애물 검출부의 장착 위치를 확인하며, 검출 시간의 순서에 대응하는 장애물 검출부의 장착 위치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변화를 획득하며, 획득된 사용자의 위치 변화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한다.
차량은 확인된 사용자의 이동 경로와 저장부(131)에 저장된 충전 경로를 비교(303)하고, 비교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충전 의지가 존재하는지 판단(304)한다.
즉 차량은 획득된 사용자의 이동 경로와 충전 경로가 동일하면 사용자에게 충전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획득된 사용자의 이동 경로와 충전 경로가 상이하면 사용자에게 충전 의지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차량은 현재 위치 정보와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가 충전소인지 판단하고 현재 위치가 충전소라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하차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하차하였다고 판단되면 충전 의지가 있다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은 사용자에게 충전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캡 입력부인 스위치로부터 캡 개방을 위한 온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305)하고 스위치로부터 온 신호가 미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충전 캡(117a)을 개방(306)한다.
차량은 스위치로부터 온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충전 캡(117a)이 사용자에 의해 개방되었다고 판단하여 캡 개방을 수행하지 않는다.
차량은 사용자가 하차한 상태에서 캡 입력부인 스위치로부터 캡 개방을 위한 온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305)하고 스위치로부터 온 신호가 미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충전 의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차량은 사용자가 하차한 상태에서 스위치로부터 온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충전 의지를 판단하는 동작을 생략할 수 있다. 즉 차량은 장애물 검출부의 검출 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는 동작을 생략할 수 있다.
아울러 차량에 캡 입력부인 스위치가 마련되지 않은 경우, 차량은 사용자에게 충전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자동으로 충전 캡(117a)을 개방한다.
차량은 충전 캡을 개방할 때, 충전 캡의 잠금 상태를 잠금 해제 상태로 변경하고 잠금이 해제된 충전 캡이 차체에서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충전 갭을 개방할 수 있다.
아울러 충전 캡이 푸쉬 타입일 경우, 차량은 사용자의 충전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충전 캡의 잠금 상태를 잠금 해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충전 캡에 외력이 인가되면 충전 캡이 차체에서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충전 갭을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차량은 사용자에게 충전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장애물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가 차량의 소유주인지 판단하기 위해, 원격 제어기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차량은 원격 제어기와 통신을 수행할 때 원격 제어기가 차량의 외부에 위치하는지 판단하고, 원격 제어기가 차량의 외부에 위치하고, 원격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인증 신호가 미리 저장된 인증 신호라고 판단되면 충전 캡을 개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은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확인(307)함으로써 충전이 완료되었는지 판단(308)한다.
여기서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는 것은, 배터리의 전류, 전압 및 온도를 확인하고 확인된 배터리의 전류, 전압 및 온도에 대응하는 배터리의 충전량을 확인하는 것을 포함한다.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는 것은, 배터리의 충전 시간을 확인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배터리의 충전에 소비된 충전 금액을 확인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은, 청전부의 충전구에서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가 분리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은, 획득된 배터리의 충전 량이 완충 량인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배터리의 충전 시간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충전 시간인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배터리 충전에 소비된 금액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충전 금액인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은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개폐 검출부(118)에 의해 검출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충전 캡이 개방된 상태인지 판단(309)하고 충전 캡이 개방된 상태라고 판단되면 충전 캡 개방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출력(310)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충전 캡 개방을 인식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충전캡을 닫도록 할 수 있다.
충전 캡 개방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것은, 표시부를 통해 충전 캡 개방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하거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충전 캡 개방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안내음성, 경고음 또는 멜로디로 출력하는 것을 포함한다.
아울러 충전 캡을 자동을 닫기 위한 액추에이터가 마련된 경우, 차량은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자동으로 충전 캡을 닫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차량은 충전 캡을 잠금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는 사용자의 충전 의지를 판단하여 충전 캡을 자동으로 개방시킴으로써 충전 캡 개방을 위한 스위치를 온 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하차하였을 때, 사용자가 다시 도어를 열고 스위치를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충전소에서 충전 가능한 차량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연료를 이용하여 주행하는 내연 기관의 차량에서도 구현 가능하다. 이러한 내연 기관의 차량은 연료 탱크를 포함하고, 주유구와 주유 캡을 가지는 주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유구는 에너지원인 연료를 보충하기 위한 보충구로, 주유건이 삽입되는 보충구일 수 있다.
내연 기관의 차량은 사용자의 주유 의지를 판단하기 위한 주유 경로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주유 경로는 에너지원 보충 경로일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충전 의지 또는 주유 의지는 사용자의 에너지원 보충 의지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은, 사용자 이외에도 주유원에 의해 주유를 수행할 때 사용자의 주유 의지에 따라 주유 캡을 자동으로 개방할 수 있다.
이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차량은 내비게이션 모드가 수행 중이면 내비게이션 정보 중의 지도 정보와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와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이 주유소에 진입하는지 판단(311)하고, 차량이 주유소에 진입한다고 판단되면 주행 정지 상태인지 판단(312)한다.
여기서 차량이 주행 정지 상태인지 판단하는 것은, 차량의 주행 속도를 확인하고 확인된 주행 속도가 영인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이 주행 정지 상태인지 판단하는 것은,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었다고 판단되면 주행이 정지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이 주행 정지 상태인지 판단하는 것은, 운전자가 하차하였다고 판단되면 주행이 정지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차량은 내비게이션 모드가 수행 중이지 않을 때에서,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가 주유소 인지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차량에는 지도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주유소의 위치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차량은 주행 정지 상태라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주유 의지가 존재하는지 판단(313)한다. 이 때 차량은 주유 캡과 인접하게 마련된 장애물 검출부를 통해 장애물이 검출되었는지 판단하고, 장애물이 검출되었다고 판단되면 검출된 장애물과의 거리를 확인하며 확인된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이면 사용자의 주유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이러한 차량에는 주유 캡과 인접하게 마련된 장애물 검출부의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주유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주유 캡의 주변에 사용자 또는 주유원이 주유를 위해 대기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은 사용자에게 주유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캡 입력부인 스위치로부터 캡 개방을 위한 온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314)하고 스위치로부터 온 신호가 미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주유 캡을 개방(315)한다.
차량은 스위치로부터 온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주유 캡이 사용자에 의해 개방되었다고 판단하여 캡 자동 개방을 수행하지 않는다.
차량은 사용자가 하차한 상태에서 캡 입력부인 스위치로부터 캡 개방을 위한 온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하고 스위치로부터 온 신호가 미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주유 의지를 판단하기 위해 주유 캡의 주변의 장애물 검출부에 의해 장애물이 검출되었는지 판단하고 장애물이 검출되었다고 판단되면 장애물과의 거리를 확인하며 확인된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이면 사용자에게 주유 의지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차량은 주유 캡을 개방할 때, 주유 캡의 잠금 상태를 잠금 해제 상태로 변경하고 잠금이 해제된 주유 캡이 차체에서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주유 갭을 개방할 수 있다.
아울러 주유 캡이 푸쉬 타입일 경우, 차량은 사용자의 주유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주유 캡의 잠금 상태를 잠금 해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주유 캡에 외력이 인가되면 주유 캡이 차체에서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주유 갭을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차량은 연료 탱크의 연료 량을 확인하고 확인된 연료 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주유 완료를 판단(316)한다. 즉 차량은 연료량이 변화하지 않으면 주유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한다.
차량은 주유구에 마련된 센서를 통해 주유 건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주유 건이 주유구 내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주유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은 주류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개폐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주유 캡이 개방된 상태인지 판단(317)하고 주유 캡이 개방된 상태라고 판단되면 주유 캡 개방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출력(318)함으로써 사용자 또는 주유원이 주유 캡 개방을 인식하도록 하여 주유 캡을 닫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주유 캡 개방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것은, 표시부를 통해 주유 캡 개방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하거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주유 캡 개방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안내음성, 경고음 또는 멜로디로 출력하는 것을 포함한다.
아울러 주유 캡을 자동을 닫기 위한 액추에이터가 마련된 경우, 차량은 주유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자동으로 주유 캡을 닫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차량은 주유 캡을 잠금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는 사용자의 주유 의지를 판단하여 주유 캡을 자동으로 개방시킴으로써 주유 캡 개방을 위한 스위치를 온 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하차하였을 때, 사용자가 다시 도어를 열고 스위치를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구성도이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은 개폐 검출부(118), 하차 검출부(119), 입력부(120), 제어부(132), 저장부(133), 출력부(140), 구동부(150), 통신부(160) 및 영상 획득부(170)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개폐 검출부(118), 하차 검출부(119), 입력부(120), 출력부(140), 구동부(150), 통신부(160)는, 일 실시 예의 차량의 개폐 검출부(118), 하차 검출부(119), 입력부(120), 출력부(140), 구동부(150), 통신부(160)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영상 획득부(170)는 충전부(117) 주변의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을 제어부(132)에 전송한다.
이러한 영상 획득부(170)는 카메라로, CCD 또는 CMOS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KINECT(RGB-D 센서), TOF(Structured Light Sensor), 스테레오 카메라(Stereo Camera) 등과 같은 3차원 공간 인식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충전부가 프론트 패널에 마련된 경우, 영상 획득부(170)는 차량이 주행하는 전방의 도로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로, 블랙박스용 카메라, 자율 주행용 카메라 일 수 있다.
이러한 영상 획득부(170)는 차량 내부의 프론트 윈도 글래스에 마련되어 차량의 외부를 촬영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차량 내부의 룸미러에 마련되어 차량의 외부를 촬영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으며, 외부에 노출되도록 루프 패널에 마련될 수도 있다.
충전부가 리어 패널에 마련된 경우, 영상 획득부(170)는 차량의 후방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로, 후방용 카메라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영상 획득부(170)는 테일 게이트, 리어 윈도우 글래스 또는 루프 패널에 마련될 수도 있다.
충전부가 좌측 펜더 패널에 마련된 경우, 영상 획득부(170)는 차량 좌측의 영상을 획득하는 좌측 카메라일 수 있다.
충전부가 우측 펜더 패널에 마련된 경우, 영상 획득부(170)는 차량 우측의 영상을 획득하는 우측 카메라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획득부(170)는 충전 캡(117a)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32)는 사용자의 충전 의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충전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충전 캡(117a)을 자동으로 개방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한다.
제어부(132)는 사용자의 충전 의지를 판단할 때, 영상 획득부(170)에서 획득된 영상 내의 오브젝트 중에 충전 건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충전 건의 영상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충전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충전 캡(117a)을 자동으로 개방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한다.
제어부(132)는 영상 획득부(170)에서 획득된 영상 내의 오브젝트 중에 얼굴을 인식하고 인식된 얼굴이 사용자의 얼굴인지 판단하며 인식된 얼굴이 사용자의 얼굴이라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충전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32)는 영상 획득부(170)에서 획득된 영상 내의 오브젝트 중에 얼굴과 충전 건을 인식하고 인식된 얼굴이 사용자의 얼굴인지 판단하며 인식된 얼굴이 사용자의 얼굴이고 충전 건이 인식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충전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어부(132)는 사용자의 충전 의지를 판단하기 위해, 영상 획득부(170)에서 획득된 영상이 사용자가 충전 건을 그립하고 있는 영상인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32)는 충전 캡(117a)을 자동으로 개방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때, 연결 부재(117d)와 충전 캡(117a)의 잠금 상태를 잠금 해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32)는 충전 캡(117a)을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 상태로 변경할 때, 충전 캡(117a)이 연결 부재(117d)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32)는 충전 캡(117a)을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 상태로 변경할 때, 잠금만을 해제하고, 충전 캡(117a)이 연결 부재(117d)에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사용자는 충전 캡(117a)에 외력을 인가함으로써 충전 캡(117a)을 개방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충전이 완료되었을 때 충전 캡(117a)에 외력을 인가함으로써 충전 캡(117a)을 폐쇄시킬 수 있다. 즉, 충전 캡(117a)은 푸쉬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차량에 충전 캡을 잠그기 위한 별도의 잠금 장치가 없고 충전 캡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 장치만이 마련되어 있을 경우, 제어부(132)는 충전 캡(117a)을 자동으로 개방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때, 충전 캡(117a)이 연결 부재(117d)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차량에 캡 입력부가 마련된 경우, 제어부(132)는 사용자의 충전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캡 입력부로부터 캡 개방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하고, 캡 입력부로부터 캡 개방 신호가 미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충전 캡(117a)을 자동으로 개방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하고 캡 입력부로부터 캡 개방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충전 캡(117a)의 자동 개방을 제어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32)는 시동이 오프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충전 의지를 판단하기 위해,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영상 획득부 및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32)는 사용자가 하차하였다고 판단되면 캡 입력부로부터 개방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하고 캡 입력부로부터 캡 개방 신호가 미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영상획득부에서 획득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충전 의지를 판단하고, 캡 입력부로부터 캡 개방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충전 의지 판단 동작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32)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고 충전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충전 캡이 개방되었는지 판단하고 충전 캡이 개방되었다고 판단되면 충전 캡 개방 알림 정보를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하도록 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2)는 영상획득부에서 획득된 복수 개의 영상에 기초하여 충전구에서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를 분리하는 사용자의 충전 완료 의지를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32)는 충전구에서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가 분리되었거나,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완충 상태라고 판단되었을 때 충전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2)는 배터리의 충전 시간이 사용자가 요구한 시간이라고 판단되거나, 충전 금액이 사용자가 요구한 금액이라고 판단되면 충전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32)는 하차 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승차 상태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어부(132)는 사용자가 승차하였다고 판단되면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고 충전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충전 캡이 개방되었는지 판단하고 충전 캡이 개방되었다고 판단되면 충전 캡 개방 알림 정보를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하도록 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2)는 주행이 정지되었다고 판단되면 영상 획득부를 활성화시켜 충전 캡 주변의 영상을 획득하도록 하고 영상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충전 의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저장부(133)는 사용자의 얼굴의 영상 정보 및 충전 건의 영상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3)는 사용자의 얼굴 영상에서 추출된 특징점의 정보 및 충전 건의 영상에 추출된 특징점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차량은 원격 제어기(2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2)는 차량의 외부의 원격 제어기(200)와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충전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60)는 위치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2)는 현재 위치 정보 및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이 충전소에 위치하는지 판단하고 차량이 충전소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면 충전 캡 주변에 장착된 영상 획득부의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는 충전을 수행하는 차량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연료를 에너지원으로 보충하는 차량에서도 구현 가능하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 차량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차량은 주행이 정지되었는지 판단(321)하고 주행이 정지되었다고 판단되면 영상 획득부를 활성화시켜 충전 캡 주변의 영상을 획득(322)한다.
여기서 주행이 정지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은, 차량의 주행 속도가 영인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주행이 정지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은,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주행이 정지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은, 운전자가 하차하였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차량은 시동이 오프되면 사용자의 충전 의지를 판단하기 위해,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영상 획득부, 구동부 및 통신부에 전력을 공급하여 영상 획득부, 구동부 및 통신부들이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차량은 획득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충전 의지를 판단(232)한다.
즉 차량은 획득된 영상 내의 물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물체 중에 충전 건이 존재하는지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충전 의지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차량은 획득된 영상 내의 물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물체 중에 얼굴을 인식하고 인식된 얼굴이 사용자의 얼굴인지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고 인식된 얼굴이 사용자의 얼굴이라고 판단되면 인식된 물체 중에 충전 건이 존재하는지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충전 의지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은 현재 위치 정보와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가 충전소인지 판단하고 현재 위치가 충전소라고 판단되면 영상 획득부의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차량은 영상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영상 내에 물체 중에 충전 건이 존재하는지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충전 의지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은 사용자에게 충전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캡 입력부인 스위치로부터 캡 개방을 위한 온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324)하고 스위치로부터 온 신호가 미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충전 캡(117a)을 개방(325)한다.
차량은 스위치로부터 온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충전 캡(117a)이 사용자에 의해 개방되었다고 판단하여 캡 개방을 수행하지 않는다.
차량은 사용자가 하차한 상태에서 캡 입력부인 스위치로부터 캡 개방을 위한 온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하고 스위치로부터 온 신호가 미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충전 의지를 판단하기 위해 충전 캡 주변의 영상을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은 사용자가 하차한 상태에서 스위치로부터 온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충전 의지를 판단하는 동작을 생략할 수 있다. 즉 차량은 충전 캡 주변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획득부의 동작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아울러 차량에 캡 입력부인 스위치가 마련되지 않은 경우, 차량은 사용자에게 충전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스위치의 온 조작 여부의 판단 없이, 자동으로 충전 캡(117a)을 개방할 수 있다.
차량은 충전 캡을 개방할 때, 충전 캡의 잠금 상태를 잠금 해제 상태로 변경하고 잠금이 해제된 충전 캡이 차체에서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충전 갭을 개방할 수 있다.
아울러 충전 캡이 푸쉬 타입일 경우, 차량은 사용자의 충전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충전 캡의 잠금 상태를 잠금 해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충전 캡에 외력이 인가되면 충전 캡이 차체에서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충전 갭을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차량은 사용자에게 충전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얼굴 인식 없이 원격 제어기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즉 차량은 원격 제어기와 통신을 수행할 때 원격 제어기가 차량의 외부에 위치하는지 판단하고, 원격 제어기가 차량의 외부에 위치하고, 원격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인증 신호가 미리 저장된 인증 신호라고 판단되면 충전 캡을 개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은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확인(326)함으로써 충전이 완료되었는지 판단(327)한다.
차량은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개폐 검출부(118)에 의해 검출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충전 캡이 개방된 상태인지 판단(328)하고 충전 캡이 개방된 상태라고 판단되면 충전 캡 개방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출력(329)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충전 캡 개방을 인식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충전캡을 닫도록 할 수 있다.
충전 캡 개방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것은, 표시부를 통해 충전 캡 개방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하거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충전 캡 개방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안내음성, 경고음 또는 멜로디로 출력하는 것을 포함한다.
아울러 충전 캡을 자동을 닫기 위한 액추에이터가 마련된 경우, 차량은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자동으로 충전 캡을 닫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차량은 충전 캡을 잠금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는 사용자의 충전 의지를 판단하여 충전 캡을 자동으로 개방시킴으로써 충전 캡 개방을 위한 스위치를 온 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하차하였을 때, 사용자가 다시 도어를 열고 스위치를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충전소에서 충전 가능한 차량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연료를 이용하여 주행하는 내연 기관의 차량에서도 구현 가능하다. 이러한 내연 기관의 차량은 연료 탱크를 포함하고, 주유구와 주유 캡을 가지는 주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는 사용자 또는 주유원에 의해 에너지원을 보충하는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자율 주행에 따라 자동 충전 및 자동 주유가 가능한 경우, 차량은 영상 인식을 통해 자동으로 움직이는 충전건 또는 주유건이 인식되면 캡을 자동으로 개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구성도이다.
차량은 장애물 검출부(116), 개폐 검출부(118), 하차 검출부(119), 입력부(120), 제어부(134), 출력부(140), 구동부(150), 통신부(160) 및 영상 획득부(170)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장애물 검출부(116), 개폐 검출부(118), 하차 검출부(119), 입력부(120), 제어부(132), 저장부(133), 출력부(140), 구동부(150), 통신부(160)는, 일 실시 예의 차량의 장애물 검출부(116), 개폐 검출부(118), 하차 검출부(119), 입력부(120), 출력부(140), 구동부(150), 통신부(160)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영상 획득부(170)는 도 7에 도시된 영상 획득부(170)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저장부(135)는 일 실시 예의 저장부(131) 및 또 다른 실시 예의 저장부(133)과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134)는 사용자의 충전 의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충전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충전 캡(117a)을 자동으로 개방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한다.
제어부(134)는 사용자의 충전 의지를 판단할 때, 장애물 검출부(116)에서 출력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자의 위치가 충전 캡(117a)과 인접한지 판단하고, 사용자의 위치가 충전 캡과 인접하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충전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충전 캡(117a)을 자동으로 개방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한다.
제어부(134)는 사용자의 위치가 충전 캡과 인접한지 판단할 때, 사용자가 충전캡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위치가 충전 캡과 인접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4)는 사용자의 충전 의지를 판단할 때, 사용자의 위치가 충전캡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서 유지되는 시간을 확인하고 확인된 시간이 일정 시간 이내이면 사용자에게 충전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차량에 복수 개의 장애물 검출부가 마련된 경우, 제어부(134)는 복수 개의 장애물 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4)는 복수 개의 장애물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검출 신호의 수신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 변화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4)는 복수 개의 장애물 검출부에서 출력한 장애물의 검출 신호가 수신되면 검출 신호가 수신된 수신 시간에 기초하여 검출 신호가 수신된 수신 순서를 획득하며 획득된 수신 순서에 기초하여 장애물의 검출 신호를 출력한 장애물 검출부들의 장착 위치를 획득하고, 검출 신호의 수신 순서에 대응하는 장애물 검출부의 장착 위치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변화를 획득하며, 획득된 사용자의 위치 변화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와 저장부(131)에 저장된 충전 경로를 비교하고, 획득된 사용자의 이동 경로와 충전 경로가 동일하면 영상 획득부(170)에서 획득된 영상 내의 오브젝트 중에 충전 건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충전 건의 영상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충전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충전 캡(117a)을 자동으로 개방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한다.
제어부(134)는 복수 개의 장애물 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장애물 검출부와 사용자와의 거리를 각각 획득하고, 획득된 거리들 중 사용자와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인 검출 신호를 출력한 장애물 검출부의 장착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34)는 영상 획득부(170)에서 획득된 영상 내의 오브젝트 중에 얼굴을 인식하고 인식된 얼굴이 사용자의 얼굴인지 판단하며 인식된 얼굴이 사용자의 얼굴이라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충전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34)는 충전 캡과 인접하게 마련된 장애물 검출부를 통해 장애물이 검출되었을 때 검출된 장애물과의 거리를 확인하고 확인된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이면 영상 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영상에서 충전 건을 인식함으로써 사용자의 충전 의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충전 캡(117a)을 자동으로 개방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하는 제어부(134)의 구성은, 일 실시 예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 다른 실시 예는 에너지원을 전기로 하여 충전을 수행하는 차량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연료를 에너지원으로 보충하는 차량에서도 구현 가능하다.
도 10에 대응하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대한 차량의 제어 방법은, 도 5 및 도 9의 차량의 제어 방법의 조합으로 구현 가능한 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 차량의 제어 구성도이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은 입력부(120), 제어부(136), 저장부(137), 출력부(140), 구동부(150), 통신부(161)를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은 개폐 검출부(118), 하차 검출부(119)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개폐 검출부(118), 하차 검출부(119), 입력부(120), 출력부(140), 구동부(150)는, 일 실시 예의 차량의 개폐 검출부(118), 하차 검출부(119), 입력부(120), 출력부(140), 구동부(150)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통신부(161)는 충전소에 마련된 충전 건 또는 주유소에 마련된 주유 건과의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충전 건에는 고주파(RF) 통신 모듈(300)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또한 주유 건에도 고주파(RF) 통신 모듈(300)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전소의 충전 건 또는 주유소의 주유 건은 차량과 통신을 수행하다.
통신부(161)는 고주파(RF)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통신부(161)는 고주파 통신을 통해 차량의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충전건 또는 주유건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61)는 충전소 또는 주유소에 마련된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부(161)는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충전 명령 또는 주유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즉 통신부(161)는 고주파 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충전 금액 또는 충전 시간을 전송할 수 있고 고주파 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주유 금액 또는 주유량을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61)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직비(Zigbee) 통신 모듈 등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6)는 사용자의 충전 의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충전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충전 캡(117a)을 자동으로 개방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한다.
제어부(136)는 사용자의 충전 의지를 판단할 때, 통신부(161)를 통해 충전 건 또는 주유 건의 고주파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에게 충전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충전 캡(117a)을 자동으로 개방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한다.
제어부(136)는 통신부(161)를 통해 에너지원 보충 명령 및 에너지원 보충 정보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충전 캡(117a)을 자동으로 개방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하는 제어부(136)의 구성은, 일 실시 예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차량에 캡 입력부가 마련된 경우, 제어부(136)는 사용자의 충전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캡 입력부로부터 캡 개방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하고, 캡 입력부로부터 캡 개방 신호가 미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충전 캡(117a)을 자동으로 개방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하고 캡 입력부로부터 캡 개방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통신부와 충전 건의 통신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36)는 시동이 오프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충전 의지를 판단하기 위해,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통신부 및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36)는 사용자가 하차하였다고 판단되면 캡 입력부로부터 개방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하고 캡 입력부로부터 캡 개방 신호가 미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통신부의 통신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충전 의지를 판단하고, 캡 입력부로부터 캡 개방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충전 의지 판단 동작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36)는 주행이 정지되었다고 판단되면 통신부를 활성화시켜 충전 건과 통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저장부(137)는 차량의 식별 정보 및 충전건의 식별 정보, 주유건의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차량은 주행이 정지되었는지 판단하고 주행이 정지되었다고 판단되면 통신부의 동작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충전 건의 고주파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331)한다.
여기서 주행이 정지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은, 차량의 주행 속도가 영인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주행이 정지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은,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주행이 정지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은, 운전자가 하차하였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차량은 시동이 오프되면 사용자의 충전 의지를 판단하기 위해,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구동부 및 통신부에 전력을 공급하여 구동부 및 통신부들이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차량은 현재 위치 정보와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가 충전소인지 판단하고 현재 위치가 충전소라고 판단되면 통신부의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차량은 통신부를 통해 충전 건의 고주파 신호가 수신되면 충전 캡을 개방(332)한다.
차량은 스위치로부터 온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충전 캡(117a)이 사용자에 의해 개방되었다고 판단하여 캡 개방을 수행하지 않는다.
차량은 사용자가 하차한 상태에서 캡 입력부인 스위치로부터 캡 개방을 위한 온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하고 스위치로부터 온 신호가 미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충전 의지를 판단하기 위해 충전건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은 사용자가 하차한 상태에서 스위치로부터 온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충전 의지를 판단하는 동작을 생략할 수 있다. 즉 차량은 통신부의 통신 동작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차량은 충전 캡을 개방할 때, 충전 캡의 잠금 상태를 잠금 해제 상태로 변경하고 잠금이 해제된 충전 캡이 차체에서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충전 갭을 개방할 수 있다.
아울러 충전 캡이 푸쉬 타입일 경우, 차량은 사용자의 충전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충전 캡의 잠금 상태를 잠금 해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충전 캡에 외력이 인가되면 충전 캡이 차체에서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충전 갭을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차량은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확인(333)함으로써 충전이 완료되었는지 판단(334)하고 충전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자동으로 충전 캡을 폐쇄(335)시킨다.
아울러 차량에 충전 캡 자동 폐쇄를 위한 액추에이터가 미장착되어 있는 경우, 차량은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개폐 검출부(118)에 의해 검출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충전 캡이 개방된 상태인지 판단하고 충전 캡이 개방된 상태라고 판단되면 충전 캡 개방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충전 캡 개방을 인식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충전캡을 닫도록 할 수 있다.
충전 캡 개방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것은, 표시부를 통해 충전 캡 개방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하거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충전 캡 개방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안내음성, 경고음 또는 멜로디로 출력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는 사용자의 충전 의지를 판단하여 충전 캡을 자동으로 개방시킴으로써 충전 캡 개방을 위한 스위치를 온 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하차하였을 때, 사용자가 다시 도어를 열고 스위치를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충전소에서 충전 가능한 차량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연료를 이용하여 주행하는 내연 기관의 차량에서도 구현 가능하다. 이러한 내연 기관의 차량은 연료 탱크를 포함하고, 주유구와 주유 캡을 가지는 주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는 사용자 또는 주유원에 의해 에너지원을 보충하는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자율 주행에 따라 자동 충전 및 자동 주유가 가능한 경우, 차량은 영상 인식을 통해 자동으로 움직이는 충전건 또는 주유건이 인식되고 충전건 또는 주유 건과 고주파 통신이 가능하면 캡을 자동으로 개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차량 116: 장애물 검출부
117: 충전부 118: 개폐 검출부
119: 하차 검출부 120: 입력부
130, 132, 134, 136: 제어부 150: 구동부
160, 161: 통신부 170: 영상 획득부

Claims (21)

  1. 영상 획득부;
    차체에 마련되고 에너지원을 보충하기 위한 보충구를 개폐하는 캡;
    상기 차체에서 상기 캡을 분리 또는 연결시키는 구동부;
    상기 영상 획득부에서 획득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에너지원 보충 의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에너지원 보충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차체에서 상기 캡이 자동으로 분리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부는,
    상기 차체 중 상기 캡과 인접한 위치에 마련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획득부에서 획득된 영상 내의 오브젝트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오브젝트 중 충전 건 또는 주유 건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며, 상기 인식된 오브젝트 중 충전 건 또는 주유 건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의 에너지원 보충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오브젝트 중 얼굴을 인식하고 인식된 얼굴이 상기 사용자의 얼굴인지 판단하며 상기 인식된 얼굴이 사용자의 얼굴이면 상기 캡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에너지원의 보충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캡이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주변에 마련되고 장애물을 검출하는 장애물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장애물과의 거리를 획득하고 획득된 장애물과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이면 상기 영상 획득부의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장애물과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로 유지되는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이면 상기 영상 획득부의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에 마련되되 서로 다른 위치에 마련되어 장애물을 검출하는 복수 개의 장애물 검출부;
    에너지원 보충 경로에 대응하는 장애물 검출부의 식별 정보를 순서대로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의 하차 여부를 검출하는 하차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차 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하차하였는지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하차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복수 개의 장애물 검출부들 중 검출 신호를 출력한 장애물 검출부의 식별 정보 및 장애물의 검출 순서를 확인하고 확인된 장애물 검출부의 식별 정보 및 검출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이동 경로와 상기 저장부의 에너지 보충 경로가 동일하면 상기 영상 획득부의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장애물 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장애물과의 거리를 각각 획득하고 각각 획득된 거리들 중 장애물과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인 검출 신호를 출력한 장애물 검출부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0. 차체의 서로 다른 위치에 마련되고 장애물을 검출하는 복수 개의 장애물 검출부;
    상기 차체에 마련되고 에너지원을 보충하기 위한 보충구를 개폐하는 캡;
    상기 차체에서 상기 캡을 분리 또는 연결시키는 구동부;
    상기 복수 개의 장애물 검출부 중 검출 신호를 출력한 적어도 하나의 장애물 검출부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에너지원 보충 의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에너지원 보충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캡이 자동으로 분리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11. 제 10 항에 있어서,
    에너지원 보충 경로에 대응하는 장애물 검출부의 식별 정보를 순서대로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의 하차 여부를 검출하는 하차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차 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하차하였는지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하차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복수 개의 장애물 검출부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애물 검출부의 식별 정보 및 장애물의 검출 순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장애물 검출부의 식별 정보 및 검출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이동 경로와 상기 저장부의 에너지 보충 경로가 동일하면 상기 사용자의 에너지원 보충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애물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장애물과의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장애물과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이면 상기 사용자의 에너지원 보충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장애물과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로 유지되는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이면 상기 사용자의 에너지원 보충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4. 제 10 항에 있어서,
    원격 제어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원격 통신 중인 원격 제어기가 차체의 외부에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차체의 외부에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의 에너지원 보충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에너지원의 보충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캡이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6. 제 10 항에 있어서,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에너지원의 보충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캡이 개방 상태인지 판단하고 상기 캡이 개방 상태라고 판단되면 캡 개방 알림 정보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7. 제 10항에 있어서,
    주행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부;
    상기 캡의 개방 명령을 입력받는 캡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주행속도에 기초하여 정차 상태인지 판단하고 정차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캡의 개방 명령이 수신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캡의 개방 명령이 미수신되었으면 상기 사용자의 에너지원 보충 의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복수 개의 장애물 검출부의 검출 신호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8. 제 10 항에 있어서,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수신부;
    지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 위치 정보 및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가 주유소나 충전소인지 판단하고, 상기 현재 위치가 주유소나 충전소라고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의 에너지원 보충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하기 위해 상기 복수 개의 장애물 검출부의 검출 신호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9. 충전소나 주유소에 마련된 통신 모듈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차체에 마련되고 에너지원을 보충하기 위한 보충구를 개폐하는 캡;
    상기 차체에서 상기 캡을 분리 또는 연결시키는 구동부;
    상기 통신부를 상기 통신모듈과 통신이 수행되면 상기 캡이 상기 차체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20. 제 19 항에 있어서,
    에너지 공급원의 보충 시간, 보충 금액 및 보충량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보충 시간, 보충 금액 및 보충량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통신 모듈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에너지원의 보충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캡이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KR1020180161569A 2018-12-14 2018-12-14 차량 KR102613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569A KR102613192B1 (ko) 2018-12-14 2018-12-14 차량
US16/655,830 US11952822B2 (en) 2018-12-14 2019-10-17 Vehicle including a cap that is automatically separated from a vehicle body
DE102019130468.7A DE102019130468A1 (de) 2018-12-14 2019-11-12 Fahrzeug
CN201911114065.8A CN111319458A (zh) 2018-12-14 2019-11-14 车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569A KR102613192B1 (ko) 2018-12-14 2018-12-14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518A true KR20200081518A (ko) 2020-07-08
KR102613192B1 KR102613192B1 (ko) 2023-12-15

Family

ID=70858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569A KR102613192B1 (ko) 2018-12-14 2018-12-14 차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952822B2 (ko)
KR (1) KR102613192B1 (ko)
CN (1) CN111319458A (ko)
DE (1) DE1020191304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4056A (ko) * 2019-12-11 2021-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1994176B (zh) * 2020-08-31 2022-04-01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充电口盖及充电锁的控制方法、装置、设备和介质
GB2599151A (en) * 2020-09-28 2022-03-30 Jaguar Land Rover Ltd Automated charge port or fuel tank cover
DE102020215601A1 (de) * 2020-12-10 2022-06-15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r Ladeanschlussabdeckung und Elektrofahrzeug
JP2022117703A (ja) * 2021-02-01 2022-08-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ッドシステム
CN113997810B (zh) * 2021-11-24 2024-03-15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充电口的控制方法、装置及车辆
CN114183031B (zh) * 2021-12-07 2024-03-12 广州小鹏自动驾驶科技有限公司 一种充电口盖开启方法、装置、系统及车辆
DE102022103540A1 (de) * 2022-02-15 2023-08-1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utomatisches Öffnen einer Abdeckung eines Ladeanschlusses
JP7437437B2 (ja) * 2022-03-29 2024-02-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充電制御システム
DE102022107937A1 (de) * 2022-04-04 2023-10-0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Ansteuern einer Kraftfahrzeugverschlussvor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sowie Kraftfahrzeugverschlussvorrichtung
CN114852190A (zh) * 2022-04-12 2022-08-05 深圳市道通合创新能源有限公司 一种汽车充电口盖的控制方法、装置、电动汽车及介质
CN115131914B (zh) * 2022-06-29 2023-12-05 东风汽车有限公司东风日产乘用车公司 充电口盖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24033979A1 (ja) * 2022-08-08 2024-02-1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充電システム、充電装置、ロック制御方法、及びロック制御プログラム
CN115288561A (zh) * 2022-08-23 2022-11-04 阿维塔科技(重庆)有限公司 电动充电口盖控制方法、装置、车辆及可读存储介质
FR3139047A1 (fr) * 2022-08-29 2024-03-01 Psa Automobiles Sa Procédé et dispositif de contrôle de verrouillage d’une trappe d’alimentation en carburant d’un véhicu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07204A1 (de) * 2010-02-05 2011-08-11 Daimler AG, 70327 Tankdeckel mit optischer Anzeige des zu befüllenden Teibstoffes
KR20130114247A (ko) * 2011-01-18 2013-10-16 알까뗄 루슨트 액세스 권한들 및 특권들을 연관시키기 위한 사용자/차량-id
DE102016211527A1 (de) * 2016-06-27 2017-12-2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teuer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mit automatisch öffnender Klappe
DE102018003563A1 (de) * 2018-05-02 2018-10-25 Daimler A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automatisch öffnenden Klappe für ein 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5492A (ko) 2009-09-30 2011-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플러그 인 충전포트 커버 자동 열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E102012021518A1 (de) * 2012-11-02 2014-05-0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Unterstützung eines Betankungs-/Aufladevorgangs eines Energiespeichers eines Fahrzeugs
US9527381B2 (en) * 2013-12-26 2016-12-27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Fuel filler lid device
DE102016223212B4 (de) * 2016-11-23 2018-12-13 Audi Ag Verfahren zum automatischen Öffnen einer Ladeklapp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07204A1 (de) * 2010-02-05 2011-08-11 Daimler AG, 70327 Tankdeckel mit optischer Anzeige des zu befüllenden Teibstoffes
KR20130114247A (ko) * 2011-01-18 2013-10-16 알까뗄 루슨트 액세스 권한들 및 특권들을 연관시키기 위한 사용자/차량-id
DE102016211527A1 (de) * 2016-06-27 2017-12-2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teuer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mit automatisch öffnender Klappe
DE102018003563A1 (de) * 2018-05-02 2018-10-25 Daimler A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automatisch öffnenden Klappe für ein 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52822B2 (en) 2024-04-09
CN111319458A (zh) 2020-06-23
KR102613192B1 (ko) 2023-12-15
DE102019130468A1 (de) 2020-06-18
US20200190889A1 (en)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3192B1 (ko) 차량
CN108216032B (zh) 车辆用环视监控装置、车辆运行控制装置以及车辆
CN104827989B (zh) 离开后的车辆关闭
US9428070B2 (en) Hands free vehicle charging system
US10378943B2 (en) 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US11225153B2 (en) Intelligent vehicles with advanced vehicle camera systems for underbody hazard and foreign object detection
CN101837779B (zh) 用于插电式混合动力电动车辆的自动寻找电连接的系统
KR102565928B1 (ko) 자율 주행 제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2201757B1 (ko) 자율주행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20170259678A1 (en) Electric vehicle charge port
US11077824B2 (en) Vehicle theft prevention device
CN107914713A (zh) 车辆用显示装置及包括其的车辆
CN109195827A (zh) 对于电动车辆的移动充电
CN109195830A (zh) 对于电动车辆的移动充电
US20210237716A1 (en) Intelligent vehicles, control logic, and advanced park assist systems with camera-based automated vehicle alignment
US1097460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KR20190078105A (ko) 자율주행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20230415784A1 (en) Unmanned autonomous recharging vehicle and system of recharging electric vehicle
CN115891820A (zh) 高级驾驶员辅助系统和具有其的车辆
US1172468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towing acceleration assistance during in-flight charging of electrified vehicles
US11577566B2 (en) Combinable and detachable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457512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20200346507A1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20230117967A1 (en) Vehicle, automated valet parking system, and automated valet parking method
US20230347758A1 (en) Method for locating charging station using ultra-wide band radi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