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3646A -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3646A
KR20200073646A KR1020180162042A KR20180162042A KR20200073646A KR 20200073646 A KR20200073646 A KR 20200073646A KR 1020180162042 A KR1020180162042 A KR 1020180162042A KR 20180162042 A KR20180162042 A KR 20180162042A KR 20200073646 A KR20200073646 A KR 20200073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creen
cargo
unit
t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2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2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3646A/ko
Priority to US16/700,206 priority patent/US11167696B2/en
Publication of KR20200073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6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 B60R5/047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collapsible by rolling-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1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 B60R13/011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for internal load compartments, e.g. car tru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 B60R5/048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of accordion-type, i.e. collapsible by sliding and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트림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여 보관에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지 않고, 전개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도록 한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는, 차량의 트림(10)의 내부에 권취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실내로 인출되면 상기 차량의 화물 적재 공간을 덮는 스크린 유닛(20)과, 상기 스크린 유닛(20)을 상기 트림(10)으로부터 상기 스크린 유닛(20)의 선단을 상기 트림(10)으로부터 인출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트림(10)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스크린 유닛(20)을 지지하는 견인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CARGO SCREEN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탑승자가 탑승하는 공간과 화물을 적재하는 공간이 분리되지 않은 차량에서 화물을 적재하는 공간을 덮는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트림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여 보관에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지 않고, 전개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도록 한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SUV(Sport Utility Vehicle) 등과 같은 차량은 세단형 자동차와 달리, 답승자가 탑승하는 공간과 화물을 적재하는 공간이 분리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차량에서는 화물이 적재되는 공간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가 적용하고 있다. 상기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는 하우징의 내부에 스크린을 권취한 후, 필요시 상기 스크린을 인출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는 상기 하우징이 차량의 내부에 노출되므로, 미사용시 상기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가 화물 적재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만약 상기 화물 적재 공간에 많은 양의 화물을 적재하는 경우, 상기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를 보관할 공간을 확보하지 못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는 미사용시 사용자가 상기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의 위치를 이동시켜 보관하는데, 상기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가 중량으로 이동이 불편하고, 연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상기 스크린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을 인출시키는 스크린 바와 상기 스크린을 권취된 상태로 수납하는 상기 하우징이 중량이어서, 상기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가 중량이 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상기 스크린은 권취된 상태에서 접히거나 구겨질수 있는데, 상기 스크린의 전개시 구김이나 접힘 자국이 그대로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013-0101195 A(차량용 전동식 카고스크린 이송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스크린을 수용하는 하우징이 필요하지 않도록 차량의 트림내부에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공간이 필요치 않은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크린의 전개시 상기 스크린이 원래로 복원되도록 하여, 스크린에 구김이나 접힘자국이 없어지도록 한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는, 차량의 트림의 내부에 권취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실내로 인출되면 상기 차량의 화물 적재 공간을 덮는 스크린 유닛과, 상기 스크린 유닛을 상기 트림으로부터 상기 스크린 유닛의 선단을 상기 트림으로부터 인출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트림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스크린 유닛을 지지하는 견인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린 유닛은, 직물로 이루어 지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의 둘레에 형성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서는 상기 스크린의 인출방향을 따라 양단이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게 형성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스크린의 인출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는 메인스위치와, 상기 메인스위치가 조작되면 상기 스크린 유닛이 권취된 메인샤프트를 회전시켜 상기 스크린 유닛의 선단이 인출되도록 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샤프트의 단부는 단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작동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액츄에이터가 작동하며, 작동돌기를 밀어 상기 스크린 유닛의 선단이 상기 트림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상기 메인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림에는 상기 스크린 유닛이 출납되는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은 형상기억합금을 재질로 하고, 상기 슬릿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스크린 유닛의 인출이 완료되면, 상기 프레임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커넥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스위치가 작동되면, 상기 커넥터로 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릿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기 커넥터가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슬릿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된 커넥터가 서로 연결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지지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린 유닛이 최대로 인출되면, 상기 슬릿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된 커넥터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프레임에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린 유닛이 상기 메인샤프트에 권취되면, 상기 스크린 유닛의 선단이 상기 슬릿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된 커넥터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슬릿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된 커넥터를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린은 주름방지처리가 된 직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견인부는, 상기 메인샤프트과 마주보는 트림의 내부에 설치되는 서브샤프트와, 상기 서브샤프트에 권취되고, 상기 스크린 유닛의 선단을 고정하는 견인스트립과, 상기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는 서브스위치와, 상기 서브스위치가 조작되면 상기 견인스트립의 선단이 상기 차량의 트림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서브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견인스트립은 상기 스크린 유닛이 최대로 인출되면 상기 스크린 유닛의 단부와 결속수단으로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견인부는 상기 차량의 실내에서 상기 스크린 유닛이 설치되는 트림과 마주보는 트림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림에는 상기 견인스트립이 출납되는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에 따르면, 차량의 트림 내부의 공간에 스크린이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카고 스크린의 보관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차량의 공간활용성이 향상된다.
또한, 중량의 하우징, 스크린 바 등이 불필요하여, 중량이 감소하므로, 카고 스크린의 적용으로 인한 연비 저하를 해소할 수 있다.
아울러, 전개시 형상기억소재에 의해 스크린의 구김, 접힘 자국 등이 없어지므로, 미관이 향상되고, 사용시 가림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에서 스크린 유닛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가 차량의 트림에 설치된 상태를 트림의 외부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가 차량의 트림에 설치된 상태를 트림의 내부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에서 연결부가 차량의 트림에 설치된 상태를 트림의 외부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에서 연결부가 차량의 트림에 설치된 상태를 트림의 내부에 도시한 사시도.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에서 연결부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에서 스크린 유닛의 전개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에서 스크린 유닛의 전개중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에서 스크린 유닛의 전개후, 접힌 부분을 펼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에서 스크린 유닛의 전개전 상태를 트림의 내부에서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에서 스크린 유닛의 전개전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요부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에서 스크린 유닛의 전개 초기 상태를 트림의 내부에서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에서 스크린 유닛의 전개 초기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14은 도 13의 요부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는, 차량의 트림(10)의 내부에 권취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실내로 인출되면 상기 차량의 화물 적재 공간을 덮는 스크린 유닛(20)과, 상기 스크린 유닛(20)을 상기 트림(10)으로부터 상기 스크린 유닛(20)의 선단을 상기 트림(10)으로부터 인출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트림(10)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스크린 유닛(20)을 지지하는 견인부를 포함한다.
스크린 유닛(20)은 상기 차량의 트림(10)의 내부에 권취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스크린 유닛(20)은 상기 차량의 화물 적재 공간에 화물이 적재된 후, 이를 가리는 경우, 상기 트림으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화물 적재 공단의 상부에 전개되도록 한다.
상기 스크린 유닛(20)은 미사용시(화물 적재 공간을 덮지 않는 경우), 상기 트림(1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스크린 유닛(20)이 차량의 실내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불필요하고, 상기 스크린 유닛(20)을 지지하는 스크린 바와 같은 구성이 불필요해진다.
상기 스크린 유닛(20)은 직물로 이루어지는 스크린(21)과, 상기 스크린(21)을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 유닛(20)의 기본적인 형태를 유지하는 프레임(22)과, 상기 프레임(22)의 내부에서 상기 스크린(21)의 인출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와이어(23)를 포함한다.
스크린(21)은 직물로 이루어져, 상기 차량의 트림(10)에 권취되도록 한다. 상기 스크린(21)은 직물이므로, 용이하게 권취할 수 있고, 단부을 잡아 당김으로써, 용이하게 전개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21)은 상기 스크린 유닛(20)에 전개되었을 때, 구겨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주름방지 처리가 된 직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22)은 상기 화물 적재 공간 상기 스크린 유닛(20)이 전개되었 때, 상기 스크린 유닛(20)의 둘레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한다. 즉, 상기 프레임(22)은 상기 스크린 유닛(20)이 전개되면, 상기 화물 적재 공간의 내측에 접하게 된다.
와이어(23)는 상기 스크린(21)을 지지하도록 상기 프레임(22)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23)는 양단이 상기 프레임(22)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스크린(21)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23)는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와이어(23)가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22)과 상기 와이어(23)는 상기 스크린 유닛(20)이 전개시, 상기 스크린 유닛(20)이 권취된 상태로부터 복원되도록 형상기억합금을 재질로 한다. 상기 스크린 유닛(20)은 상기 트림(10)의 내부에 권취되어 있기 때문에, 전개시 주름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2)과 상기 와이어(23)가 전류 또는 열이 가하면 원래 상태로 복원되는 형상기억합금을 재질로 함으로써, 전개시 주름이 없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21)도 주름방지처리가 되어 있으므로, 상기 프레임(22)과 상기 와이어(23)에 전류가 가해지면, 주름이 없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트림(10)의 내부에는 상기 스크린 유닛(20)을 권취하는 메인샤프트(30)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샤프트(30)는 상기 스크린 유닛(20)을 권취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스크린 유닛(20)은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상기 메인샤프트(30)에 권취되고, 사용자가 상기 스크린 유닛(20)의 단부를 잡아 당기면, 상기 메인샤프트(30)로부터 풀려서 전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통상적인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동부는 차량의 실내 일측에 설치되는 메인스위치(41)와, 상기 메인스위치(41)의 조작시 상기 메인샤프트(30)를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시켜, 상기 스크린 유닛(20)의 단부가 상기 차량의 실내로 인출되도록 하는 액츄에이터(51)를 포함한다.
메인스위치(41)는 상기 차량의 실내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다.
액츄에이터(51)는 상기 메인스위치(41)가 조작되면, 작동하여, 상기 스크린 유닛(20)의 선단이 상기 차량의 실내로 인출되도록 한다. 상기 액츄에이터(51)는 전원이 인가되면 신장되는 솔레노이드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메인샤프트(30)의 단부에 단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작동돌기(31)를 형성하고, 상기 액츄에이터(51)가 작동하면 상기 작동돌기(31)를 편심된 상태로 밀도록 한다. 상기 작동돌기(31)가 상기 액츄에이터(51)에 의해 밀리면 상기 메인샤프트(30)가 회전하여 상기 스크린 유닛(20)의 선단이 상기 트림(10)의 내부로부터 상기 차량의 실내로 일부 인출된다.
이때, 상기 액츄에이터(51)의 작동에 의해 상기 차량의 실내로 인출되는 상기 스크린 유닛(20)의 길이는 사용자가 상기 스크린 유닛(20)을 잡아 당길 수 있는 길이면 충분하다.
한편, 상기 액츄에이터(51)는 상기 메인샤프트(30)를 회전시킬수 있는 다른 구조, 예컨대 링크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에서 상기 메인샤프트(30)가 설치되는 곳의 반대편에는 상기 스크린 유닛(20)이 최대로 인출되어 전개되었을 때, 상기 스크린 유닛(20)이 전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견인부가 형성된다.
상기 견인부는, 상기 메인샤프트(30)가 설치되는 곳과 마주보는 차량의 트림 내부에 설치되는 서브샤프트(33)와, 상기 서브샤프트(33)에 권취되고, 상기 스크린 유닛(20)의 선단을 고정하는 견인스트립(34)과, 상기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는 서브스위치(42)와, 상기 서브스위치(42)가 조작되면 상기 서브스위치(42)가 조작되면 상기 견인스트립(34)의 선단이 상기 차량의 트림(10)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서브샤프트(33)를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서브샤프트(33)는 상기 메인샤프트(30)와 마주보는 차량의 트림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서브샤프트(33)는 그 단부에 상기 메인샤프트(30)와 같이 작동돌기(3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서브샤프트(33)는 상기 메인샤프트(30)가 상기 스크린 유닛(20)을 권취하도록 탄성지지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견인스트립(34)을 권취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된 상태로 설치된다.
견인스트립(34)은 상기 서브샤프트(33)에 권취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 유닛(20)이 최대로 인출되었을 때, 상기 스크린 유닛(20)의 단부를 고정한다. 상기 견인스트립(34)의 단부와 상기 스크린 유닛(20)의 단부에는 후크, 벨크로 테이프 등과 같은 결속수단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스크린 유닛(20)의 단부와 상기 견인스트립(34)의 단부가 셜속된다. 상기 스크린 유닛(20)과 상기 견인부가 상기 차량의 실내 양측에 각각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 유닛(20)은 상기 메인샤프트(30)에 권취되어 있고, 상기 견인스트립(34)은 상기 서브샤프트(33)에 권취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크린 유닛(20)과 상기 견인스트립(34)이 인출된 상태에서 서로 연결되면, 상기 스크린 유닛(20)은 전개된 상태를 유지하여, 차량의 화물 적재 공간에 적재된 화물을 가릴 수 있다.
서브스위치(42)는 상기 견인스트립(34)의 단부가 인출되어야 할 때,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다. 상기 서브스위치(42)가 조작되면, 액츄에이터를 작동시켜, 상기 서브샤프트(33)가 회전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메인스위치(41)가 작동되면, 상기 메인샤프트(30)와 상기 서브샤프트(33)가 동시에 작동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51)를 작동하도록 구성하면, 상기 서브스위치(42)는 생략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는 상기 메인샤프트(30)를 구동시키는 액츄에이터(51)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22)과 상기 와이어(23)가 상기 스크린 유닛(20)의 상기 트림(10)으로부터 인출되어 전개되었을 때, 상기 프레임(22)과 상기 와이어(23)가 원래 형태로 복원되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프레임(22)과 상기 와이어(23)가 원래 형태로 복원되도록 하기 위해 전류를 공급하는 커넥터(63)가 구비된다.
상기 트림(10)에는 상기 스크린 유닛(20)이 출납할 수 있도록 슬릿(12)이 형성되는 데, 상기 슬릿(1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커넥터(63)가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63)는 상기 슬릿(12)의 상부와 하부에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63)는 상기 슬릿(12)에서 상기 슬릿(1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된 커넥터(63)가 서로 연결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지지된 상태로 설치된다. 즉, 상기 커넥터(63)는 항상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탄성지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크린 유닛(20)의 인출시에는 상기 차량의 실내측으로 회전하고, 상기 스크린 유닛(20)이 최대로 인출하면, 원래 위치로 복원되도록 탄성지지된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스크린 유닛(20)의 권취시에는 상기 트림의 내부로 회전한다. 상기 스크린 유닛(20)이 최대로 인출하면, 상기 슬릿(12)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된 커넥터(63)가 서로 연결되어 통전이 가능해진다.
상기 커넥터(63)는 상기 스크린 유닛(20)이 상기 트림(10)의 내부로 수용되면, 상기 스크린 유닛(20)의 선단이 상기 슬릿(1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된 커넥터(63)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슬릿(12)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된 커넥터(63)가 서로 분리되도록 한다(도 10, 도 11 참조).
한편, 상기 스크린 유닛(20)이 최대로 인출되면, 상기 스크린 유닛(20)의 프레임(22)에 형성된 안착부(22a)로 상기 슬릿(12)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된 커넥터(63)가 복원되면서, 서로 접촉된 상태가 되고, 전류가 인가되면 통전이 가능해진다(도 13, 도 14). 상기 슬릿(1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된 커넥터(63)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63)로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프레임(22)과 상기 와이어(23)에 전류가 공급됨으로써, 상기 프레임(22)과 상기 와이어(23)는 원래 상태로 복원된다. 도 14에서 도면부호 21a는 상기 스크린(21)의 일부로서, 상기 스크린 유닛(20)이 인출되더라도, 상기 트림(1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메인샤프트(30)에 권취되는 부분이다.
상기 슬릿(12)의 상부에는 상기 슬릿(12)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된 커넥터(63)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레일이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슬릿(12)의 하부에도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된 커넥터(63)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레일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스위치(41)와 상기 커넥터(63) 사이에는 전류의 공급유무를 제어하는 전류제어부(61)가 구비되고, 상기 전류제어부(61)와 상기 레일에 전류 공급을 제어하는 연결부(6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트림(10)의 내부에 스크린 유닛(20)이 권취된 상태(도 6 참조)에서는 상기 차량의 화물 적재 공간이 그대로 노출된 상태이다. 상기 스크린 유닛(20)이 화물 적재 공간을 가리지 않고 있으므로, 화물을 용이하게 상기 화물 적재 공간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다.
상기 화물 적재 공간을 가리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화물 적재 공간이 가려지도록 상기 스크린 유닛(20)이 노출되도록 한다.
먼저, 사용자가 메인스위치(41)를 작동시키면, 상기 액츄에이터(51)가 작동하면, 상기 메인샤프트(30)를 회전시킨다. 상기 액츄에이터(51)로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액츄에이터(51)가 신장되면서, 상기 작동돌기(31)를 밀어, 상기 메인샤프트(30)를 회전시킨다.
상기 메인샤프트(30)가 회전하면, 상기 메인샤프트(30)에 권취된 스크린 유닛(20)의 선단이 상기 슬릿(12)을 통하여 상기 차량의 실내로 노출된다.
한편, 상기 스크린 유닛(20)이 전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견인스트립(34)의 선단이 노출되도록 한다. 사용자가 상기 서브스위치(42)를 작동시키면, 상기 견인부에 설치된 액츄에이터가 작동하여, 상기 견인스트립(34)이 권취된 견인스트립(34)이 선단이 상기 차량의 실내로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액츄에이터가 작동하면, 상기 구동부에서와 같이, 상기 서브스위치(42)가 조작되면,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서브샤프트(33)의 작동돌기를 밀어 상기 서브샤프트(33)를 회전시킨다. 상기 서브샤프트(33)가 회전되면 상기 서브샤프트(33)에 권취된 견인스트립(34)의 선단이 상기 트림(10)의 슬릿(12)을 통하여, 상기 차량의 실내로 인출된다.
상기 스크린 유닛(20)의 선단이 상기 차량의 실내로 노출되면, 상기 사용자는 상기 스크린 유닛(20)의 선단을 잡아 당겨(도 7 참조), 마찬가지로 실내로 노출된 상기 견인스트립(34)의 선단에 결합시킨다. 상기 스크린 유닛(20)이 상기 견인스트립(34)의 선단에 결합되면, 상기 스크린 유닛(20)은 전개시켜 화물 적재 공간이 가려지도록 한다.
만약,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 유닛(20)의 일부가 접혀 있다면, 이를 펼쳐서, 상기 화물 적재 공간이 상기 스크린 유닛(20)에 의해 가려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가 상기 메인스위치(41)를 작동시키면, 상기 프레임(22)과 상기 와이어(23)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프레임(22)과 상기 와이어(23)로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프레임(22)과 상기 와이어(23)가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도록 한다.
상기 스크린 유닛(20)이 모두 전개되면, 상기 슬릿(12)에 형성된 커넥터(63)가 서로 연결되면서, 상기 프레임(22)으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63)는 상기 스크린 유닛(20)이 인출되는 동안에는 상기 슬릿(1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된 상기 커넥터(63)가 서로 분리된 상태이다. 하지만, 상기 스크린 유닛(20)의 인출이 완료되면, 상기 프레임(22)에 형성된 상기 안착부(22a)로 상기 커넥터(63)가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면서 상기 슬릿(1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된 커넥터(63)가 서로 연결된다.
다만, 상기 슬릿(1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된 커넥터(63)가 서로 연결되는 것만으로 통전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슬릿(1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된 커넥터(63)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류제어부(61)에 의해 상기 커넥터(63)로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프레임(22)과 상기 와이어(23)로 전류가 공급된다.
상기 프레임(22)과 상기 와이어(23)로 전류가 공급되면, 형상기억합금을 재질로 한 상기 프레임(22)과 상기 와이어(23)가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면서, 완전히 펼쳐진다. 이와 같이, 상기 프레임(22)과 상기 와이어(23)가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면, 상기 스크린(21)도 원래 형상으로 팽팽해지면서, 상기 스크린(21)이 주름지지 않고 팽팽해지게 된다.
다시 상기 화물 적재 공간에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크린 유닛(20)을 상기 견인스트립(34)로부터 분리하면, 상기 스크린 유닛(20)과 상기 견인스트립(34)이 상기 트림(10)의 내부로 권취되어, 상기 차량의 내부에서는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메인샤프트(30)는 상기 스크린 유닛(20)을 감도록 탄성지지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크린 유닛(20)과 상기 견인스트립(34)이 분리되면, 상기 스크린 유닛(20)은 다시 상기 메인샤프트(30)에 감겨지면서, 모두 트림(10)의 내부에 수용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63)는 상기 메인샤프트(30)에 권취되는 스크린 유닛(20)에 의해 모두 상기 트림(10)의 내부를 향하여 회전된 상태를 갖는다. 상기 스크린 유닛(20)이 최대로 감겨지면, 상기 커넥터(63)는 직립하는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지만, 상기 스크린유닛(20)을 권취하고 있는 스프링의 스프링백에 의해 상기 스프린유닛(20)이 미소량이지만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견인스트립(34)도 다시 서브샤프트(33)의 내부로 감겨지면서, 상기 견인스트립(34)도 다시 트림(10)의 내부에 수용된다.
이와 같이, 스크린 유닛(20)과 상기 견인스트립(34)이 모두 트림(10)의 내부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차량의 실내에는 상기 스크린 유닛(20)이 노출되지 않는다.
10 : 트림
12 : 슬릿
20 : 스크린 유닛
21 : 스크린
22 : 프레임
22a : 안착부
23 : 와이어
30 : 메인샤프트
31 : 작동돌기
33 : 서브샤프트
34 : 견인스트립
41 : 메인스위치
42 : 서브스위치
51 : 액츄에이터
61 : 전류제어부
62 : 연결부
63 : 커넥터

Claims (19)

  1. 차량의 트림의 내부에 권취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실내로 인출되면 상기 차량의 화물 적재 공간을 덮는 스크린 유닛과,
    상기 스크린 유닛을 상기 트림으로부터 상기 스크린 유닛의 선단을 상기 트림으로부터 인출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트림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스크린 유닛을 지지하는 견인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유닛은,
    직물로 이루어 지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의 둘레에 형성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서는 상기 스크린의 인출방향을 따라 양단이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게 형성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스크린의 인출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는 메인스위치와,
    상기 메인스위치가 조작되면 상기 스크린 유닛이 권취된 메인샤프트를 회전시켜 상기 스크린 유닛의 선단이 인출되도록 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샤프트의 단부는 단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작동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액츄에이터가 작동하며, 작동돌기를 밀어 상기 스크린 유닛의 선단이 상기 트림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상기 메인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트림에는 상기 스크린 유닛이 출납되는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형상기억합금을 재질로 하고,
    상기 슬릿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스크린 유닛의 인출이 완료되면, 상기 프레임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커넥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스위치가 작동되면, 상기 커넥터로 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기 커넥터가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슬릿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된 커넥터가 서로 연결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지지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유닛이 최대로 인출되면, 상기 슬릿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된 커넥터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프레임에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유닛이 상기 메인샤프트에 권취되면, 상기 스크린 유닛의 선단이 상기 슬릿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된 커넥터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슬릿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된 커넥터를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주름방지처리가 된 직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상기 메인샤프트과 마주보는 트림의 내부에 설치되는 서브샤프트와,
    상기 서브샤프트에 권취되고, 상기 스크린 유닛의 선단을 고정하는 견인스트립과,
    상기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는 서브스위치와,
    상기 서브스위치가 조작되면 상기 견인스트립의 선단이 상기 차량의 트림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서브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스트립은 상기 스크린 유닛이 최대로 인출되면 상기 스크린 유닛의 단부와 결속수단으로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상기 차량의 실내에서 상기 스크린 유닛이 설치되는 트림과 마주보는 트림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트림에는 상기 견인스트립이 출납되는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
KR1020180162042A 2018-12-14 2018-12-14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 KR2020007364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042A KR20200073646A (ko) 2018-12-14 2018-12-14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
US16/700,206 US11167696B2 (en) 2018-12-14 2019-12-02 Cargo screen assembly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042A KR20200073646A (ko) 2018-12-14 2018-12-14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646A true KR20200073646A (ko) 2020-06-24

Family

ID=71073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042A KR20200073646A (ko) 2018-12-14 2018-12-14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167696B2 (ko)
KR (1) KR2020007364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1195A (ko) 2012-03-05 2013-09-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전동식 카고스크린 이송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44948C1 (de) * 1999-09-20 2001-05-31 Baumeister & Ostler Gmbh Co Schutzvorrichtung für einen Innenraum eines Kraftfahrzeuges
US20010033084A1 (en) * 2000-02-25 2001-10-25 Murray Constance S. School bus driver shield
DE10102792A1 (de) * 2001-01-22 2002-08-01 Webasto Vehicle Sys Int Gmbh Laderaumabdeckung für Personenkraftfahrzeuge
DE10324289A1 (de) * 2003-05-21 2004-12-23 Bayerische Motoren Werke Ag Schutzvorrichtung für einen Innenraum eines Kraftfahrzeugs
JP5597586B2 (ja) * 2011-03-30 2014-10-0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トノカバー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1195A (ko) 2012-03-05 2013-09-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전동식 카고스크린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89474A1 (en) 2020-06-18
US11167696B2 (en) 202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3626B1 (ko) 측면패널이 확장되는 캠핑카
JPH0478628A (ja) シート状物巻取装置
CN101439693B (zh) 卷帘系统
JP2008081110A (ja) ばねモータ及び減少された駆動力を有する巻上げシェード駆動部
WO2010103904A1 (ja) 給電装置
KR20170141585A (ko) 태양광 발전이 가능한 루프랙 조립체
CN212150993U (zh) 一种抗静电防护服布料防褶皱收卷装置
KR101382879B1 (ko) 차량용 전동식 카고스크린 이송장치
KR20200073646A (ko) 차량의 카고 스크린 어셈블리
JP2004099031A (ja) 自動車ウインドウのための日除け用ローラブラインド装置
KR102155856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이동 레일 구조체
KR20020010331A (ko) 자동차의 루프랙 장치
CN203472493U (zh) 多功能汽车遮阳篷
CN113479140B (zh) 车辆内部部件和包括车辆内部部件的车辆
KR20220069494A (ko) 차량용 시트의 레그레스트
US1280272A (en) Automatic automobile-top.
KR200497165Y1 (ko) 전자제어를 통한 차량용 전동 차양 장치
JP6533106B2 (ja) シェード装置
JP5428028B2 (ja) 折り畳み収納式ステージ
JP3161043U (ja) 日除け装置
JP4704989B2 (ja) 車両のブラインド装置
JP2012131291A (ja) 自動車への収納装置
CN216545672U (zh) 车用电控遮阳帘
JPH063715Y2 (ja) 自動車用トノカバー装置
RU2485267C1 (ru) Способ укрывания объекта тентом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крывания объекта тенто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