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1585A - 태양광 발전이 가능한 루프랙 조립체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이 가능한 루프랙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1585A
KR20170141585A KR1020170047166A KR20170047166A KR20170141585A KR 20170141585 A KR20170141585 A KR 20170141585A KR 1020170047166 A KR1020170047166 A KR 1020170047166A KR 20170047166 A KR20170047166 A KR 20170047166A KR 20170141585 A KR20170141585 A KR 20170141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oof
vehicle
shad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0025B1 (ko
Inventor
김상욱
Original Assignee
(주)천일염업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천일염업사 filed Critical (주)천일염업사
Priority to US16/301,950 priority Critical patent/US10819272B2/en
Priority to PCT/KR2017/005592 priority patent/WO2017209470A1/ko
Publication of KR20170141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025B1/ko
Priority to US17/023,593 priority patent/US1127921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5Carriers being adjustable or transformable, e.g. expansible,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6/00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20Collapsible or foldable PV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6/00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60K2016/003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solar power driv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0Energy harvesting concepts as power supply for auxiliaries' energy consumption, e.g. photovoltaic sun-ro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23/00Electricity: power supply or regulation systems
    • Y10S323/906Solar cel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루프랙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루프랙 조립체에 있어서, 차량의 지붕에 결합되는 한 쌍의 루프랙과; 상기 한 쌍의 루프랙을 따라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붕을 개폐시키며, 태양광을 차단하는 태양광 발전 차광모듈과; 상기 태양광 발전 차광모듈이 상기 한 쌍의 루프랙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며 상기 차량의 지붕위에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구동력을 인가하는 차광판 이송부와; 상기 태양광 발전 차광모듈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상기 차광판 이송부와 차량에서 사용가능한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상기 컨버터에서 변환된 전원이 저장되는 축전지; 및 상기 컨버터와 축전지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이 가능한 루프랙 조립체{ROOF RACK ASSEMBLY HAVING SOLAR GENERATING MODULE}
본 발명은 루프랙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태양광 발전이 가능한 복수개의 태양광 발전 차광판이 자동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며 지붕을 통해 차량 내부로 직사광선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루프랙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이용한 화물의 이송은 차량의 트렁크를 이용하게 된다. 최근에는 트렁크 공간을 이용하기 어려운 큰 부피의 화물이나 길이가 긴 화물의 경우에는 루프랙을 이용한다. 루프랙은 차량의 지붕상면에 고정되어 스키장비, 캠핑장비가 적재된 루프백 등을 적재한다.
루프랙의 일례가 등록특허 제10-1284765호 "차량용 일체형 루프랙 및 그 제조방법"에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 루프랙은 단순히 짐을 적재하기 위한 용도이므로, 짐을 사용하는 빈도가 낮은 사용자의 경우 루프랙의 유용성이 없는 한계가 있다.
한편, 최근에 주 5일 근무가 대중화되면서 주말에 가족과 함께 여가를 보내는 가족이 증가했다. 이에 차량을 이용해 여행지, 캠핑지 등을 찾는 인구가 많아지고 있다. 차량 내부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차량에서 보다 편안히 휴식을 하기 위한 다양한 편의장비가 증가하고 있다.
이 중, 앞좌석과 뒷자석으로 햇빛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광장비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커튼이나 블라인드, 접착식 차광판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차광장비들은 단순히 차량의 측면 유리창을 통해 햇빛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뿐이고, 실제 차량의 지붕을 통해 내부로 태양광이 전달되는 것은 차단하지 못하여 차량 실내 온도를 낮추는 데는 한계가 있다.
금속재의 차량의 지붕을 통해 태양광이 전달되면, 차량 실내로 많은 양의 열이 유입되어 에어컨을 가동하더라도 실내 온도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근본적으로 차량 지붕을 통해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열을 차단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된다.
한편, 최근에는 차량에 다양한 종류의 전자기기들이 장착되어 사용된다. 네비게이션, 블랙박스, 차량용 선풍기 등이 경우에 따라 복수개가 장착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전자기기들은 차량의 배터리의 소모량을 증가시켜 차량의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이렇게 차량의 배터리가 방전되면 수리업체를 불러서 배터리를 충전해야하므로 차량이 이동하지 못해 번거로운 상황에 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4765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지붕의 루프랙을 통해 이동되며 차량 지붕에 펼쳐져 차량 지붕을 통해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열을 차단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 차광판을 갖는 루프랙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순히 짐을 적재하는 용도로만 사용되던 루프랙이 태양광 발전 차광판을 지지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는 루프랙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태양광 발전 차광판이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는 루프랙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태양광 발전 차광판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차량 내부의 배터리와 호환하여 차량용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는 루프랙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루프랙 조립체에 있어서, 차량의 지붕에 결합되는 한 쌍의 루프랙과; 상기 한 쌍의 루프랙을 따라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붕을 개폐시키며, 태양광을 차단하는 태양광 발전 차광모듈과; 상기 태양광 발전 차광모듈이 상기 한 쌍의 루프랙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며 상기 차량의 지붕위에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구동력을 인가하는 차광판 이송부와; 상기 태양광 발전 차광모듈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상기 차광판 이송부와 차량에서 사용가능한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상기 컨버터에서 변환된 전원이 저장되는 축전지; 및 상기 컨버터와 축전지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태양광 발전 차광모듈은, 상기 한 쌍의 루프랙 사이에서 이동되는 태양광 발전 차광판과; 상기 루프랙에 고정되며, 상기 태양광 발전 차광판의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고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광판 이송부는 상기 태양광 발전 차광판이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이송모터; 상기 루프랙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태양광 발전 차광판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송롤러; 상기 고정판의 전방부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모터와 연결되어 양방향 회전이 이루어지는 개폐 샤프트; 및 일단이 상기 태양광 발전 차광판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개폐 샤프트에 고정되어 상기 개폐 샤프트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태양광 발전 차광판을 이송시키는 복수의 와이어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폐 샤프트는 상기 복수의 와이어 부재 중 제1와이어가 권취 및 풀림이 이루어지는 제1권취부와, 상기 제1권취부의 내측으로 상기 복수의 와이어 부재 중 제2와이어가 권취 및 풀림이 이루어지는 제2권취부가 구성되고, 상기 제1와이어가 상기 제1권취부에 권취가 이루어질 때, 상기 제2와이어가 상기 제2권취부로부터 풀림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루프랙에는 상부면으로 상기 이송롤러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돌기가 상향 돌출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태양광 발전 차광판은, 상기 한 쌍의 루프랙의 후단에 고정결합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선단에 결합된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의 앞에 구비되어 상기 차광판 이송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루프랙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이동판을 견인하는 견인판을 포함하며, 상기 견인판과 상기 이동판의 바닥면에는 이송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이동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면에는 상기 이송돌기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삽입되는 돌기삽입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루프랙의 상면에는 랙기어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차광판 이송부는, 상기 랙기어에 맞물리도록 배치된 이송기어와; 상기 루프랙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이송기어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상단은 상기 견인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기어하우징과; 상기 견인판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이송기어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루프랙이 짐을 적재하는 용도 외에 태양광 발전 차광판을 이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복수개의 태양광 발전 차광판은 서로 중첩되게 루프랙의 후단에 모여있는 상태에서 차량의 지붕위로 자동으로 펼쳐져 태양의 직사광선이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에 의해 차량 내부의 실내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일부 낮춰 차량의 연료와 전기 소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개의 태양광 발전 차광판은 차량의 지붕위에 펼쳐진 상태에서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한다. 생성된 전기에너지는 축전지에 저장되어 태양광 발전 차광판의 이송에 사용되거나, 차량의 내부 기기들의 구동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 야외활동시 비상전원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루프랙 조립체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루프랙 조립체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루프랙 조립체가 펼쳐지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루프랙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루프랙 조립체가 차량의 지붕에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0은 도 9의 A-A 및 B-B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루프랙 조립체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루프랙 조립체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루프랙 조립체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루프랙 조립체가 펼쳐지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루프랙 조립체(100)는 차량(A)의 지붕(B)에 장착되는 한 쌍의 루프랙(110)과, 루프랙(110)을 따라 이동되며 펼쳐져 차량 지붕으로 직사광선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태양광 발전 차광모듈(120)과, 태양광 발전 차광모듈(120)의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이 루프랙(110)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차광판 이송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루프랙 조립체(100)가 설치된 차량(A)은 승용차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일례일 뿐이며 SUV의 상부에도 설치될 수 있다.
루프랙(110)은 차량(A)의 지붕(B)에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지붕(B)의 양측에 각각 구성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루프랙(110)은 차광판 이송부(130)의 이송롤러(233)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랙 본체(111)가 구성되며, 상기 랙 본체(111)는 상기 지붕(B)의 양측면에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랙 본체(111)에는 차광판 이송부(130)의 상기 이송롤러(233)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돌기(211)가 상향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돌기(211)는 랙 본체(111)와 차광판 이송부(130) 간의 결합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같이, 랙 본체(111)와 차광판 이송부(130)가 기어 결합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211)가 랙기어(111b)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태양광 차광모듈(120)은 태양광 발전 차광모듈(120)은 한 쌍의 루프랙(110)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차량의 지붕(B)으로 태양광이 직접 비추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구성요소로서, 루프랙(110) 사이에서 이동되는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과, 차량의 운전석을 기준으로 최후단에 배치되어 루프랙(110)의 랙 본체(111)에 고정되는 고정판(125)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고정판(125)은 양측 단부가 랙 본체(111)에 고정 결합되며, 전방측으로 차광판 이송부(130)의 개폐 샤프트(235)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 결합홀(212)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에는 상기 개폐 샤프트(235)와 연결되어 개폐 샤프트(235)의 회전 방향에 따라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을 차량(A)의 지붕(B)으로부터 개방되게 이송시키거나, 또는 상기 지붕(B)을 폐쇄하도록 이송시키는 복수의 와이어 부재(240)가 구성된다.
이때,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에는 상기 복수의 와이어 부재(240)의 일단부가 삽입 및 관통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고정공(214)이 전방 및 후방부 중앙측에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태양광 차광모듈(120)은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가 저장되는 축전지(127)와,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차량 내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와, 컨버터(미도시)와 축전지(127)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회로가 실장된 제어부(129)가 더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차광판 이송부(130)는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이 고정판(125)으로부터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이송모터(131)와, 랙 본체(111)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송롤러(233)와, 고정판(125)의 전방부에 결합되며 이송모터(131)와 연결되어 양방향 회전이 이루어지는 개폐 샤프트(235) 및 일단이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에 고정되고, 타단이 개폐 샤프트(235)에 고정되어 상기 개폐 샤프트(235)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을 이송시켜 차량(A)의 지붕(B)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복수의 와이어 부재(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개폐 샤프트(235)는 차광판 이송부(130)에 구성된 이송모터(131)와 연결되어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의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회전 작동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복수의 와이어 부재(240) 중 제1와이어(242)의 타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제1와이어(242)의 권취 및 풀림이 이루어지는 제1권취부(235a)와, 제2와이어(244)가 권취되거나 풀림이 이루어지는 제2권취부(235b)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권취부(235a, 235b)에는 상기 제1 및 제2와이어(242, 244)의 끝단부가 삽입 및 고정되는 소정의 고정홈이 더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1권취부(235a)는 개폐 샤프트(235)의 외측부에 형성되며, 제2권취부(235b)는 개폐 샤프트(235b)의 중앙측에 형성되어 복수의 와이어 부재(240)의 권취 및 풀림이 이루어질 때 서로 꼬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와이어 부재(240)는 양단이 개폐 샤프트(235)의 제1권취부(235a)와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의 후방측 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는 제1와이어(242)와, 상기 제2권취부(235b) 및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의 전방측 프레임에 양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제2와이어(24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복수의 와이어 부재(240)는 상기 개폐 샤프트(235)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와이어(242)와 제2와이어(244)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권취되거나 풀림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1와이어(242)가 풀림 작동이 이루어질 때에는 상기 제2와이어(244)가 제2권취부(235b)에 권취가 이루어지며, 이와 반대로 제2와이어(244)가 풀림 작동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제1와이어(242)가 제1권취부(235a)에 권취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랙조립체(100)는 한 쌍의 랙 본체(111)를 차량(A)의 지붕(B)에 설치하고, 이 랙 본체(111)에 태양광 발전 차광모듈(120)을 결합하여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이 랙 본체(111)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3은 태양광 발전 차광모듈(120)이 차량(A)의 지붕(B)을 개방한 상태일 때를 나타낸 도면으로, 고정판(125)의 하부에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이 위치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1와이어(242)는 개폐 샤프트(235)로부터 풀림 작동이 이루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제2와이어(244)는 상기 개폐 샤프트(235)에 권취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개방된 지붕(B)을 폐쇄하기 위해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모터(131)를 구동시켜 개폐 샤프트(235)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1와이어(242)가 제1권취부(235a)의 외주면에 권취가 이루어지게 되면서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의 후방측 프레임을 잡아 당기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2와이어(244)가 제2권취부(235b)로부터 풀리면서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의 전방측 프레임이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차량(A)의 지붕(B)을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루프랙 조립체(1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루프랙 조립체(100)는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기어(111b)가 형성된 랙 본체(111)를 포함하는 루프랙(110)과, 상기 랙 본체(111)의 상부에 결합되어 서로 겹쳐지거나, 또는 펼쳐지는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는 태양광 발전 차광모듈(120) 및 상기 태양광 발전 차광모듈(120)이 루프랙(110)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차광판이송부(130)를 포함한다.
한 쌍의 루프랙(110)은 차량(A)의 지붕(B)에 고정결합된다. 한 쌍의 루프랙(110)은 차량(A)의 지붕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랙 본체(111)와, 랙 본체(111)를 차량(A)의 지붕(B)에 결합시키는 고정 브라켓(113)을 포함한다. 랙 본체(111)는 무거운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금속소재로 형성된다.
랙 본체(111)는 지붕 전체를 감쌀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랙 본체(111)의 측면에는 차광판 이송부(130)의 기어하우징(135)이 이동되는 삽입홈(111a)이 형성된다. 삽입홈(111a)은 랙 본체(111)의 양측면에 일정 깊이 함몰되게 형성되어 기어하우징(135)의 하부가 삽입된다. 삽입홈(111a)에 기어하우징(135)이 삽입되어 이동되므로 기어하우징(135)이 루프랙(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랙 본체(111)의 상면에는 랙기어(111b)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랙기어(111b)는 차광판 이송부(130)의 이송기어(133)가 맞물려 회전되도록 한다. 이송기어(133)가 랙기어(111b)에 맞물려 회전하는 것에 의해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이 루프랙(110)을 따라 펼쳐지거나 접혀지게 된다.
고정 브라켓(113)은 랙 본체(111)를 차량(A)의 상부에 고정시킨다. 고정 브라켓(113)은 랙 본체(111)의 하부로 연장형성된다. 고정 브라켓(113)의 단부에는 차량(A)의 측면을 향해 절곡형성된 절곡삽입단(113a)이 형성된다. 고정 브라켓(113)은 랙 본체(111)와 함께 차량(A) 지붕의 양측에 적재된다. 이 때, 절곡삽입단(113a)이 도어개폐구(C) 내부로 삽입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부재(113c)가 고정 브라켓(113)에 삽입되어 랙 본체(111)를 차량(A)의 지붕에 고정한다.
여기서, 고정 브라켓(113)은 랙 본체(111)에 탄성적으로 신장되거나 회동가능하게 구비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고정 브라켓(113)의 상단과 랙 본체(111) 사이에는 탄성부재(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고정 브라켓(113)을 탄성적으로 벌려지거나 신장되어 차량(A)의 도어개폐구(C)에 삽입된다. 고정 브라켓(113)은 탄성적으로 도어개폐구(C)에 끼워져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113)이 도어개폐구(C)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한 쌍의 랙 본체(111)가 차량(A)의 지붕에 고정된다.
이때, 랙 본체(111)의 하면에는 차량(A)의 지붕과의 접촉으로 차량(A)의 지붕(B)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보호부재(111c)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113)의 형태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 외에도 결합벨트, 흡착판, 자석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랙 본체(111)의 후단에는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 중 고정판(125)이 결합되는 차광판결합홈(115)이 일정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태양광 발전 차광모듈(120)은 한 쌍의 루프랙(110)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차량의 지붕(B)으로 태양광이 직접 비추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한다.
태양광 발전 차광모듈(120)은 루프랙(110) 사이에서 이동되는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과,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가 저장되는 축전지(127)와,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차량 내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와, 컨버터(미도시)와 축전지(127)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회로가 실장된 제어부(129)을 포함한다.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은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한다.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은 서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중첩적으로 배치된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은 차량의 운전석을 기준으로 최후단에 배치되어 랙 본체(111)의 차광판결합홈(115)에 고정되는 고정판(125)과, 최선단에 배치되는 견인판(122)과, 견인판(122)과 고정판(125)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이동판(123,124)을 포함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차량의 크기에 따라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과 고정판(125) 만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판(123, 124) 중 어느 하나만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이동판(123,124)과 고정판(125)의 상면에는 돌기삽입홈(123b,124b,125b)이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일정 깊이 함몰되게 형성되고, 견인판(122)과 제1 및 제2이동판(123,124)의 하면에는 이송돌기(122a,123a,124a)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고정판(125)의 돌기삽입홈(125b)에는 제2이동판(124)의 이송돌기(124a)가 삽입되고, 제2이동판(124)의 돌기삽입홈(124b)에는 제1이동판(123)의 이송돌기(123a)가 삽입되고, 제1이동판(123)의 돌기삽입홈(123b)에는 견인판(122)의 이송돌기(122a)가 삽입된다.
이 때, 각 이송돌기(122a,123a,124a)에는 돌기삽입홈(123b,124b,125b)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돌기삽입홈(123b,124b,125b)의 외측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지지돌기(141)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삽입홈(123b,124b,125b)에는 상기 지지돌기(141)가 삽입되는 지지돌기 삽입홈(142)이 형성된다.
견인판(122)의 하부에는 차광판 이송부(130)가 결합된다. 차광판 이송부(130)가 전원공급에 의해 구동되면, 견인판(122)이 루프랙(110)의 선단으로 이동되고, 견인판(122)의 이송돌기(122a)가 삽입된 제1이동판(123)과, 제1이동판(123)의 이송돌기(123a)가 삽입된 제2이동판(124)이 순차적으로 견인되어 이동된다.
이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중첩적으로 모여져 있던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A)의 지붕 위로 펼쳐지게 된다.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들의 폭(W)은 설치되는 차량의 폭에 대응되게 구비되고, 길이(L)는 설치되는 차량의 길이에 대응되게 분할되어 구비된다. 즉, 설치되는 차량의 지붕 길이를 차광판(121)의 개수로 나누어 차광판(121)의 길이가 설정된다.
여기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은 총 4개로 형성되었으나, 이는 일례일 뿐이며 4개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의 개수가 많을수록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의 길이가 짧아져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이 접혀져 있을 때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높이가 낮아질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질 때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은 여름과 같이 태양광이 강할 때, 또는 봄, 가을의 낮 시간대에 직사광선이 강할 때 지붕(B)에 펼쳐져 직사광선이 차량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겨울과 같이 외부 온도가 떨어져 차량내부가 난방을 할 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랙(110) 후방으로 모아져서 보관된다.
컨버터(미도시)는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에서 생성되는 전기에너지를 변환한다.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에서 생성되는 전기에너지는 통상 DC 전압이다. 이에 컨버터(미도시)는 DC 전압을 이송모터(131) 또는 차량배터리(160)에서 사용되는 AC전압, 일례로 5V 또는 12V 전압으로 변환한다.
제어부(129)는 컨버터(미도시)가 실장되며,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가 컨버터(미도시)로 유입되고, 컨버터(미도시)에서 변환된 AC 전원이 축전지(127)로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회로가 실장된다. 또한, 입력부(미도시)의 입력신호에 따라 축전지(127)의 전원이 이송모터(131)로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축전지(127)와 제어부(129)는 제1 및 제2이동판(123,124)에 의해 차폐되는 차량(A)의 지붕(B)에 고정되어 차량 주행중 발생되는 진동에도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29)는 차량(A)의 ECU(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인가받는다. ECU(미도시)는 차량배터리(미도시)의 전원이 모두 사용되어 방전되는 경우 축전지(127)의 전원을 공급받아 차량(A)의 주행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장마철과 같이 일조시간이 짧아 축전지(127)에 저장된 전원이 부족한 경우, 차량배터리(미도시)의 전원을 이용해 차광판 이송부(130)의 이송모터(131)를 구동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축전지(127)에 저장된 전원을 이용해 차량(A) 내부에 추가로 설치되는 전기기기들, 일례로 환풍기와 가습기, 블랙박스, 네비게이션 등을 구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A)의 차량배터리(미도시)의 소모를 줄이면서 다양한 전기기기들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차광판 이송부(130)는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차량(A)의 지붕(B)에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이 펼쳐지거나 모아져서 보관되도록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을 이동시킨다. 차광판 이송부(130)는 견인판(122)의 선단 양쪽 하부에 배치된 이송모터(131)와, 이송모터(131)의 구동축(131a)에 연결되며 랙기어(111b)와 맞물려 회전하는 이송기어(133)와, 이송기어(133)의 외부를 감싸며 견인판(122)과 랙 본체(111)에 결합되는 기어하우징(135)과, 이송모터(131)를 견인판(122)에 고정시키는 모터고정프레임(137)을 포함한다.
차광판 이송부(130)는 차광판(121) 선단의 양쪽에 한 쌍이 구비된다.
이송모터(131)는 모터고정프레임(137)에 의해 견인판(122)의 하부에 고정된다. 이송모터(131)의 구동축(131a)은 이송기어(133)의 회전축에 연결된다. 회전축은 기어하우징(13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송모터(131)가 정회전하면, 이송기어(133)가 랙기어(111b)를 따라 전진하게 된다.
이때, 기어하우징(135)의 상단은 견인판(122)의 상부에 고정되고, 하단에 절곡형성된 랙삽입단(135a)은 랙 본체(111)의 삽입홈(111a)에 삽입된다. 이송기어(133)가 랙기어(111b)와 맞물려 회전하면, 기어하우징(135)은 랙 본체(111)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이송기어(133)가 외부로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랙 본체(111)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랙 조립체(100)의 동작과정을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운전자는 본인 차량의 상부에 본 발명의 루프랙 조립체(100)를 설치한다. 설치를 위해 본인의 차종에 맞는 루프랙 조립체(100)를 선택하여 구매한다. 한 쌍의 루프랙 본체(111)를 차량(A)의 지붕(B) 위에 나란하게 배치하고, 고정 브라켓(113)을 집게처럼 벌려 차량(A)의 양쪽 도어개폐구(C)에 결합한다. 고정 브라켓(113)의 절곡삽입단(113a)을 도어개폐구(C) 내부로 삽입하여 루프랙 본체(111)를 차량(A)의 지붕(B)에 고정한다.
루프랙 본체(111)에는 태양광 발전 차광모듈(120)이 결합된다.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이 한 쌍의 루프랙 본체(11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루프랙 본체(111)의 후단 측 지붕에는 태양광 발전으로 생성된 전기에너지가 저장되는 축전지(127)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29)가 결합된다.
도면에는 축전지(127)와 제어부(129)이 외부로 노출되게 도시되었으나, 제어박스(미도시) 내부에 수용되고, 제어박스(미도시)가 차량의 지붕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9)와 축전지(127) 및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과 이송모터(131) 및 차량용 배터리(미도시)는 전원공급라인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때, 이송모터(131)의 회전시 전원공급라인이 간섭되거나 꼬이지 않도록 전원공급라인을 배치한다.
제어부(129)는 차량의 ECU(미도시)와 통신하며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고, 축전지(127)와 차량배터리(미도시)는 전원을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즉, 축전지(127)에 전원이 부족한 경우 차량배터리(미도시) 전원을 사용할 수 있고, 차량배터리(미도시)의 전원이 부족한 경우 축전지(미도시)의 전원을 차량(A)에서 사용할 수 있다.
입력부(미도시)는 리모콘으로 구비되거나, 루프랙(11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운전자는 차량(A)을 운전하면서 햇빛이 강하지 않은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이 루프랙(110)의 후단에 모여 있게 배치하고 주행한다.
이렇게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이 후단에 모여 있는 상태에서 운전자는 루프랙(110)의 상단에 짐을 적재할 수 있다. 일례로, 겨울에 루프랙(110)의 상면에 스키장비를 적재하거나, 레저장비를 적재할 수 있다.
그러나, 낮시간이 되어 일조량이 많아지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을 지붕(B)의 상부에 펼친다.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의 사용을 입력하면, 제어부(129)은 축전지(127)의 전원을 한 쌍의 이송모터(131)로 공급한다.
이송모터(131)가 회전하면서 이송기어(133)가 회전하고, 랙기어(111b)를 따라 이동한다. 이송기어(133)와 기어하우징(135)이 랙기어(111b)를 따라 루프랙(110)의 전방으로 이동되면, 기어하우징(135)에 결합된 견인판(122)도 전방으로 이동된다. 견인판(122)이 점차 이동되면, 견인판(122)의 이송돌기(122a)가 삽입된 제1이동판(123)도 함께 전방으로 이동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이동판(124)도 지붕(B)의 전방으로 이동되며 지붕(B)을 덮개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이 지붕(B) 전체를 덮으면, 위치센서(미도시) 또는 리미트센서(미도시)의 신호에 의해 이송모터(133)의 구동이 멈춘다.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이 지붕(B) 전체를 덮어 태양광이 직접 지붕(B)과 접촉하는 것을 차단한다. 이에 의해 태양광의 열이 차량 내부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어 차량 내부의 냉방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한편,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의 표면으로 태양광이 흡수되면서 전기에너지가 생성된다. 전기에너지는 컨버터(미도시)에서 차량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전압의 AC 전원으로 변환된 후 축전지(127)에 저장된다.
축전지(127)에 저장된 전원을 이송모터(131)의 구동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차량배터리(미도시)의 전원이 부족한 경우 차량의 시동을 켜거나, 차량 내부 기기들의 구동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캠핑과 같이 야외활동을 할 경우 축전지(미도시)의 전원을 이용해 조명을 켜거나, 오지의 비상전원으로 사용하거나, 캠핑카의 전력을 공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저녁 시간과 같이 일조량이 부족한 시간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을 루프랙(110)의 후단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입력신호를 인가하면, 이송모터(131)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견인판(122)이 루프랙(110)의 후단으로 이동된다.
견인판(122)이 후단으로 이동되면, 견인판(122)의 이송돌기(122a)가 제1이동판(123)의 돌기삽입홈(123b)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견인판(122)의 이송돌기(122a)가 제1이동판(123)의 돌기삽입홈(123b)의 끝까지 이동된 후에도 이송기어(133)가 계속해서 후방으로 이동되면, 견인판(122)과 제1이동판(123)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 상방향으로 이동되고, 제1이동판(123)이 제2이동판(124)의 상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견인판(122), 제1이동판(123), 제2이동판(124)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태로 고정판(125)에 모여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차광판 이송부(130)는 와이어 권취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제1실시예에 의해 상기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을 개폐하는 경우에는 고정판(125)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며, 기어 결합 구조로 이루어지는 제2실시예에 의해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을 개폐하는 경우, 견인판(122)의 하부에 장착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판(122), 제1 및 제2이동판(123, 124)과 고정판(125)으로 이루어진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차광판 이송부(130)는 유압 실린더(131)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압 실린더(131)는 상기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을 이루는 각각의 판들(122, 123, 124, 125)에 연결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유압 실린더(131)의 작동에 따라 인입 및 인출 작동이 이루어지는 구동축(131a)은 견인판(122), 제1 및 제2이동판(123, 124)에만 결합되어 상기 유압 실린더(131)의 인입 및 인출 작동에 따라 태양광 발전 차광판(121)의 견인판(122)과 제1 및 제2이동판(123, 124)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한 개폐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유압 실린더(131)에 구성된 실린더 몸체부의 끝단부가 고정판(125)에 결합되고, 이 유압 실린더(131)의 전방측 선단부에 구성된 구동축(131a)이 제2이동판(124)에 결합되되 고정 브라켓(113)에 의해 고정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유압 실린더(131)의 작동에 따라 구동축(131a)이 구동하면서 제2이동판(124)의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제2이동판(124) 및 제1이동판(123)에도 각각 유압 실린더(131)의 실린더 몸체부가 결합되고, 그 선단부에 구성된 구동축(131a)이 제1이동판(123) 및 견인판(122)에 각각 고정 브라켓(113)에 의해 고정 결합됨으로써, 각각의 판들(122, 123, 124, 125)이 유압 실린더(131)의 작동 여부에 따라 개별적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루프랙 조립체 110 : 루프랙
111 : 랙 본체 111a : 삽입홈
111b : 랙기어 113 : 고정 브라켓
113a : 절곡삽입단 115 : 차광판결합홈
120 : 태양광 발전 차광모듈 121: 태양광 발전 차광판
122 : 견인판 122a : 제1이송돌기
123: 제1이동판 124: 제2이동판
123a, 124a :이송돌기 125 : 고정판
123b, 124b, 125b: 돌기삽입홈 127 : 축전지
129 : 제어부 130 : 차광판이송부
131 : 이송모터 133 : 이송기어
133a : 회전축 135 : 기어하우징
135a : 랙삽입단 137 : 모터고정프레임
233: 이송롤러 235: 개폐 샤프트
235a: 제1권취부 235b: 제2권취부
240: 와이어 부재 242: 제1와이어
244: 제2와이어

Claims (8)

  1. 루프랙 조립체에 있어서,
    차량의 지붕에 결합되는 한 쌍의 루프랙과;
    상기 한 쌍의 루프랙을 따라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붕을 개폐시키며, 태양광을 차단하는 태양광 발전 차광모듈과;
    상기 태양광 발전 차광모듈이 상기 한 쌍의 루프랙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며 상기 차량의 지붕위에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구동력을 인가하는 차광판 이송부와;
    상기 태양광 발전 차광모듈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상기 차광판 이송부와 차량에서 사용가능한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상기 컨버터에서 변환된 전원이 저장되는 축전지; 및
    상기 컨버터와 축전지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랙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발전 차광모듈은,
    상기 한 쌍의 루프랙 사이에서 이동되는 태양광 발전 차광판과;
    상기 루프랙에 고정되며, 상기 태양광 발전 차광판의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고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랙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판 이송부는
    상기 태양광 발전 차광판이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이송모터;
    상기 루프랙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태양광 발전 차광판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송롤러;
    상기 고정판의 전방부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모터와 연결되어 양방향 회전이 이루어지는 개폐 샤프트; 및
    일단이 상기 태양광 발전 차광판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개폐 샤프트에 고정되어 상기 개폐 샤프트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태양광 발전 차광판을 이송시키는 복수의 와이어 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랙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샤프트는 상기 복수의 와이어 부재 중 제1와이어가 권취 및 풀림이 이루어지는 제1권취부와, 상기 제1권취부의 내측으로 상기 복수의 와이어 부재 중 제2와이어가 권취 및 풀림이 이루어지는 제2권취부가 구성되고,
    상기 제1와이어가 상기 제1권취부에 권취가 이루어질 때, 상기 제2와이어가 상기 제2권취부로부터 풀림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랙 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랙에는 상부면으로 상기 이송롤러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돌기가 상향 돌출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랙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태양광 발전 차광판은,
    상기 한 쌍의 루프랙의 후단에 고정결합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선단에 결합된 복수의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의 앞에 구비되어 상기 차광판 이송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루프랙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이동판을 견인하는 견인판을 포함하며,
    상기 견인판과 상기 이동판의 바닥면에는 이송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이동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면에는 상기 이송돌기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삽입되는 돌기삽입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랙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랙의 상면에는 랙기어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차광판 이송부는,
    상기 랙기어에 맞물리도록 배치된 이송기어와;
    상기 루프랙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이송기어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상단은 상기 견인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기어하우징과;
    상기 견인판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이송기어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랙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판 이송부는 유압 실린더로 구성되며, 실린더 몸체부가 상기 고정판, 복수의 이송판에 결합되고, 구동축이 상기 복수의 이송판 및 견인판에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랙 조립체.
KR1020170047166A 2016-06-01 2017-04-12 태양광 발전이 가능한 루프랙 조립체 KR101950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301,950 US10819272B2 (en) 2016-06-01 2017-05-29 Roof rack assembly and hood light-blocking fabric assembly that are capable of photovoltaic generation
PCT/KR2017/005592 WO2017209470A1 (ko) 2016-06-01 2017-05-29 태양광 발전이 가능한 루프랙 조립체 및 보닛 차광막조립체
US17/023,593 US11279210B2 (en) 2016-06-01 2020-09-17 Roof rack assembly and hood light-blocking fabric assembly that are capable of photovoltaic gene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032 2016-06-14
KR20160074032 2016-06-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585A true KR20170141585A (ko) 2017-12-26
KR101950025B1 KR101950025B1 (ko) 2019-02-20

Family

ID=60936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166A KR101950025B1 (ko) 2016-06-01 2017-04-12 태양광 발전이 가능한 루프랙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025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89293A (zh) * 2018-01-08 2018-05-04 陈元福 一种伸缩式遮挡装置
CN108608870A (zh) * 2018-05-09 2018-10-02 张譯丹 一种新能源汽车智能充电系统
CN108790844A (zh) * 2018-05-16 2018-11-13 金丽珠 一种扩大载物空间的太阳能式新能源汽车
CN109291789A (zh) * 2018-10-29 2019-02-01 浙江氢谷新能源汽车有限公司 可适用于多种光照模式的太阳能电动车发电板
KR101950142B1 (ko) * 2018-08-07 2019-02-19 이미선 캠핑이 가능한 차량용 태양광 발전장치
KR101977558B1 (ko) * 2018-06-05 2019-05-10 안정미 차량용 태양전지모듈
US10286853B1 (en) * 2018-05-04 2019-05-14 Frank Louis Carbone Automated self-loading cargo carrier for vehicles
CN110281777A (zh) * 2018-03-19 2019-09-27 重庆恒新德汽车科技有限公司 汽车用可展开太阳能充电装置及其使用方法
US11190044B2 (en) 2019-04-25 2021-11-30 Hyundai Motor Company Charging control method and charging control system using energy generated from solar roof
KR20220001305A (ko) * 2020-06-29 2022-01-05 김상욱 차량에 구비되는 태양광 발전장치
KR20220115889A (ko) * 2020-03-23 2022-08-19 주식회사 그린우전 태양광 패널 블라인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제로 건축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8912A (ko) 2021-09-13 2023-03-21 (주)엠비프라텍 위치이동이 가능한 차량용 태양광패널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1502A (ja) * 2003-04-02 2004-11-04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敷設構造
JP2011091166A (ja) * 2009-10-21 2011-05-06 Shimizu Corp 太陽光発電アレイ架台
KR20130078896A (ko) * 2012-01-02 2013-07-10 권지연 태양전지의 출력을 높일 수 있는 신규한 태양광 자동차
KR101284765B1 (ko) 2012-04-13 2013-07-17 (주)아이원 차량용 일체형 루프렉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01839U (ko) * 2014-11-19 2016-05-30 (주)천일염업사 태양광차광막이 내장된 전동루프렉과 루프박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1502A (ja) * 2003-04-02 2004-11-04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敷設構造
JP2011091166A (ja) * 2009-10-21 2011-05-06 Shimizu Corp 太陽光発電アレイ架台
KR20130078896A (ko) * 2012-01-02 2013-07-10 권지연 태양전지의 출력을 높일 수 있는 신규한 태양광 자동차
KR101284765B1 (ko) 2012-04-13 2013-07-17 (주)아이원 차량용 일체형 루프렉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01839U (ko) * 2014-11-19 2016-05-30 (주)천일염업사 태양광차광막이 내장된 전동루프렉과 루프박스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89293A (zh) * 2018-01-08 2018-05-04 陈元福 一种伸缩式遮挡装置
CN110281777A (zh) * 2018-03-19 2019-09-27 重庆恒新德汽车科技有限公司 汽车用可展开太阳能充电装置及其使用方法
US10286853B1 (en) * 2018-05-04 2019-05-14 Frank Louis Carbone Automated self-loading cargo carrier for vehicles
WO2019213451A1 (en) * 2018-05-04 2019-11-07 Frank Carbone Automated self-loading cargo carrier for vehicles
CN108608870A (zh) * 2018-05-09 2018-10-02 张譯丹 一种新能源汽车智能充电系统
CN108790844B (zh) * 2018-05-16 2021-09-07 合肥贝斯美电源科技有限公司 一种扩大载物空间的太阳能式新能源汽车
CN108790844A (zh) * 2018-05-16 2018-11-13 金丽珠 一种扩大载物空间的太阳能式新能源汽车
KR101977558B1 (ko) * 2018-06-05 2019-05-10 안정미 차량용 태양전지모듈
KR101950142B1 (ko) * 2018-08-07 2019-02-19 이미선 캠핑이 가능한 차량용 태양광 발전장치
CN109291789A (zh) * 2018-10-29 2019-02-01 浙江氢谷新能源汽车有限公司 可适用于多种光照模式的太阳能电动车发电板
CN109291789B (zh) * 2018-10-29 2024-03-19 浙江氢谷新能源汽车有限公司 可适用于多种光照模式的太阳能电动车发电板
US11190044B2 (en) 2019-04-25 2021-11-30 Hyundai Motor Company Charging control method and charging control system using energy generated from solar roof
KR20220115889A (ko) * 2020-03-23 2022-08-19 주식회사 그린우전 태양광 패널 블라인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제로 건축물
KR20220001305A (ko) * 2020-06-29 2022-01-05 김상욱 차량에 구비되는 태양광 발전장치
WO2022005001A1 (ko) * 2020-06-29 2022-01-06 김상욱 차량에 구비되는 태양광 발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0025B1 (ko) 2019-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0025B1 (ko) 태양광 발전이 가능한 루프랙 조립체
US11279210B2 (en) Roof rack assembly and hood light-blocking fabric assembly that are capable of photovoltaic generation
US10819272B2 (en) Roof rack assembly and hood light-blocking fabric assembly that are capable of photovoltaic generation
US7137661B2 (en) Automobile sunshade
KR101950142B1 (ko) 캠핑이 가능한 차량용 태양광 발전장치
US20090174217A1 (en) Integrated Shade Assembly for a Vehicle Window
CN103407353B (zh) 多功能汽车遮阳篷
KR102166275B1 (ko) 차량용 차양 장치
KR20160094041A (ko)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
US5751488A (en) Motorized sunscreen for motor vehicles
KR102541931B1 (ko) 쉘터 일체형 전기차 충전시스템
JP2007126128A (ja) 携帯型日除けシート及びそのシステム
WO2017026579A1 (ko) 태양광발전이 가능한 루프랙조립체 및 화물차량용 루프랙조립체
CN217396406U (zh) 一种车辆
KR101677383B1 (ko) 태양광발전이 가능한 루프랙조립체
WO2001074614A1 (fr) Ventilation d'une cabine d'automobile
CN102756630B (zh) 汽车遮阳板
US20090242151A1 (en) Whole-covered sunshade assembly
WO2015151022A1 (en) Sunlight screening system
CN115354906A (zh) 露营遮篷
KR20140012907A (ko) 자동차유리 차광용 롤블라인드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실내 환기장치
CN106240311A (zh) 汽车挡风玻璃的外置遮阳装置
CN217917584U (zh) 安装结构、全自动汽车遮阳篷和车载行李架
CN219382194U (zh) 太阳能遮阳板
JP2017509543A (ja) 雨除けシステム及びそれを有する電動自動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