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4041A -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 - Google Patents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4041A
KR20160094041A KR1020150015099A KR20150015099A KR20160094041A KR 20160094041 A KR20160094041 A KR 20160094041A KR 1020150015099 A KR1020150015099 A KR 1020150015099A KR 20150015099 A KR20150015099 A KR 20150015099A KR 20160094041 A KR20160094041 A KR 20160094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cell module
motor
controlling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5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훈
전영길
유명한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15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4041A/ko
Publication of KR20160094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0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007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moveable head-liners, screens, curtains or blinds for ceilings
    • B60J7/0015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moveable head-liners, screens, curtains or blinds for ceilings roller bli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1/00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 B60J11/02Covers wound o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6/00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6/00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60K2016/003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solar power driv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0Energy harvesting concepts as power supply for auxiliaries' energy consumption, e.g. photovoltaic sun-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어닝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태양전지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차양막으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태양광발전을 통한 전기에너지 생산이 가능한 차량용 어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에 의하면 햇빛을 차단하는 차양막 역할을 수행함과 함께, 태양광발전을 통한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어 전기자동차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Car awning with solar cell module}
본 발명은 차량용 어닝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태양전지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차양막으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태양광발전을 통한 전기에너지 생산이 가능한 차량용 어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어닝은 차량의 윙바나 루프 등에 설치하여 햇빛을 차단하거나 빗물을 막아내는 용도로 사용되는 레저용 장치이다.
한편, 미래형 자동차중 하나인 전기자동차는 일반가정에서 전원 플러그를 자동차에 연결하여 2차전지에 충전하고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자동차를 구동하는 자동차이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는 기본적으로 전원 플러그를 자동차에 연결하여 2차전지에 충전하고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자동차를 구동하며 충전된 전기에너지가 부족하면 일반 화석연료를 비상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를 지칭한다.
이러한 전기자동차의 충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일반 상용교류전원뿐 아니라 배터리(battery) 또는 태양전지 셀로부터의 직류전원도 이용하여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에 충전을 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전력변환장치를 제공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공개특허번호 제10-2006-0107609호(2006.10.16. 공개) 공개특허번호 제10-2012-0086923호(2012.08.06. 공개)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햇빛을 차단하는 차양막 역할을 수행함과 함께 태양광발전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는 차량용 어닝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광발전을 통해 축전된 전기에너지를 차량의 전원이나 조명용 면광원의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의 일정 부분에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구비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에 구비되는 봉 형태의 권취롤러부; 상기 권취롤러부의 일 단부와 연결되며, 플렉시블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되는 차양막부; 상기 몸체부 내 상기 권취롤러부의 하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차양막부의 타 단부에 연결되며, 중간의 힌지부에 의해 관절운동을 하는 암부; 상기 암부 내부에 구비되는데 상기 암부의 일단을 거쳐 힌지부 및 타단까지 연장되어 구비되며, 한쪽 끝단이 상기 암부의 타단에 고정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다른 한쪽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는 모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와이어의 길이가 줄어들게 되면 상기 암부가 펴지게 됨에 따라 상기 차양막부가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은 몸체부에 구비된 고정부를 차량이외에도 건물 등의 벽체에 고정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권취롤러부 내부에 구비되는데, 한쪽 끝단은 상기 권취롤러부 내부벽에 고정되며, 다른 한쪽 끝단은 상기 몸체부의 일정 부분에 고정는 스프링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부는 플렉시블 태양전지모듈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전력을 조절하고,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부는 차양막; 상기 차양막 상부면에 구비되는 플렉시블 태양전지 모듈; 및 상기 차양막 하부면에 구비되는 플렉시블 면광원;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전력을 조절하고,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플렉시블 면광원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차량의 일정 부분에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구비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에 구비되는 봉 형태의 전동권취롤러부; 상기 전동권취롤러부의 일 단부와 연결되며, 플렉시블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되는 차양막부; 상기 몸체부 내 상기 전동권취롤러부의 하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차양막부의 타 단부에 연결되며, 중간의 힌지부에 의해 관절운동을 하는 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동권취롤러부에 연결되는 모터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부는 플렉시블 태양전지모듈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전력을 조절하고, 상기 전동권취롤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부는 차양막; 상기 차양막 상부면에 구비되는 플렉시블 태양전지 모듈; 및 상기 차양막 하부면에 구비되는 플렉시블 면광원;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전력을 조절하고, 상기 전동권취롤러부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플렉시블 면광원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먼저, 본 발명의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에 의하면 햇빛을 차단하는 차양막 역할을 수행함과 함께, 태양광발전을 통한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어 전기자동차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에 의하면 태양광발전을 통해 축전한 전기에너지를 차량의 전원이나 조명용 면광원의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의 사용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의 작동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의 작동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의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식화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의 작동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의 사용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100)이 차량의 윙바(10)에 고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어닝(100)은 크게 몸체부(110)와 고정부(120)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몸체부(110) 하부면는 고정부(120)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윙바(1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20)는 고정되는 부위에 따라 다양한 형태(예를 들어, 클램프 형태 등)로 설계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차량 이외에도 건물의 벽체 등에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어닝(100)은 상기 몸체부(110) 내에 구비된 어닝의 구성요소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미도시)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100)은 레저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햇빛을 차단할 수 있는 차양막 역할을 수행함과 함께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되어 있어 태양광발전을 통한 전기에너지의 축적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의 작동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의 작동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100)은 몸체부(110), 고정부(미도시), 권취롤러부(130), 태양전지모듈(141)이 구비된 차양막부(140), 암연결부(150), 암부(160), 와이어(170), 모터부(180) 및 스프링부(190)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부(110) 내에는 봉 형태의 상기 권취롤러부(13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권취롤러부(130)의 하부 양측에는 상기 암부(160)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암부(160)는 그 일단이 상기 몸체부(110)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데, 상기 몸체부(110)에 바로 연결될 수 있으며, 도면과 같이 회동가능한 상기 암연결부(150)를 구비하여 상기 암부(160)의 일단을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암부(160)의 타단은 상기 차양막부(140)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중간의 힌지부에 의해 관절운동을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암부(160)의 내부에는 와이어(17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170)는 상기 암부(160)의 일단을 거쳐 힌지부와 타단까지 연장되어 구비되는데, 한쪽 끝단은 상기 암부(160)의 타단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 끝단은 상기 모터부(180)에 연결된다.
상기 모터부(180)는 상기 와이어(170)의 일단에 연결되어 그 길이를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권취롤러부(130)에는 상기 차양막부(140)의 일 단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권취롤러부(130)의 롤링에 따라 상기 차양막부(140)가 감기거나 펼쳐지게 된다. 또한, 상기 권취롤러부(130)의 한쪽 단부에는 축전지에 연결되는 슬립링(미도시)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태양전지모듈(141)에 구비되는 전극에 연결되는 전선들이 롤링에 의해 꼬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차양막부(140)의 타단부는 상기 암부(160)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데, 도면과 같이 끝단에 지지대(142)를 구비하여 상기 암부(160)의 타단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차양막부(140)는 차량용 어닝의 본질적인 역할인 햇빛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태양전지모듈(141)을 구비하여 태양광발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상기 차양막부(140)는 플렉시블 태양전지모듈(141) 그 자체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 태양전지모듈(141)은 태양광으로부터 전기를 생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얇고 가벼우며, 유연성을 가지는 박막형 태양전지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봉 형태의 상기 권취롤러부(130)에 말아 감기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렉시블 태양전지모듈(141)은 복수 개의 패널 형태인 박막태양전지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양막부(140)는 햇빛을 차단할 수 있는 소재의 차양막을 기본 구성으로 하고, 그 상부에 플렉시블 태양전지모듈(141)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차양막 하부에는 조명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플렉시블 면광원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렉시블 태양전지모듈(141)을 통해 축전된 전기에너지는 상기 플렉시블 면광원의 구동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권취롤러부(130)의 내부에는 스프링부(190)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스프링부(190)의 한쪽 끝단은 상기 권취롤러부(130)의 내부벽에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고, 다른 한쪽 끝단은 상기 몸체부(110)의 일정한 부분에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100)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하였고, 그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차량용 어닝(100)은 작동전에는 도 2와 같이 상기 몸체부(110) 내에 모든 구성요소들이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 있다. 상기 모터부(180)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모터부(180)가 작동하게 되어 상기 와이어(170)의 길이가 줄어들게 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의 힘에 의해 접힌 상태에 있던 상기 암부(160)는 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차양막부(140)가 펼쳐지는 방향으로 상기 권취롤러부(130)가 롤링하게 됨으로써 상기 차양막부(140)는 완전히 펼쳐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태양전지모듈(141)을 이용하여 태양광발전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권취롤러부(130)가 롤링되는 과정에서 상기 권취롤러부(130)의 내부벽과 상기 몸체부(110)에 고정된 상기 스프링부(190)는 탄성복원력이 커진 상태로 있게 된다.
반대로, 상기 모터부(180)에 전원 공급을 해제하여 그 작동을 중지하게 되면 상기 스프링부(19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권취롤러부(130)가 반대방향(차양막부가 감기는 방향)으로 롤링하게 되고, 상기 암부(160)는 원상태로 접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함께 상기 차양막부(140)는 상기 권취롤러부(130)에 감겨지게 되어 원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의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의 태양광발전 시스템은 차양막부에 구비된 플렉시블 태양전지모듈, 플렉시블 면광원모듈, 모터부, 축전지, 인버터, 제어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의 태양광발전 시스템에서 상기 축전지는 상기 플렉시블 태양전지모듈에서 생산된 전기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상기 축전지는 태양광이 조사되는 낮 동안 생산된 전기를 태양광이 조사되지 않는 밤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전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저장된 전기에너지는 상기 플렉시블 면광원의 구동에너지로 이용하거나 또는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데 사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모듈과 상기 축전지 사이에 역전류방지소자를 구비하여 상기 태양전지모듈로 역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인버터는 상기 태양전지모듈에서 생산된 전기를 직류(DC) 전기에서 교류(AC) 전기로 바꿀 수 있으며, 변환된 교류 전기는 주변기기에의 전원공급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전력을 조절하고,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플렉시블 면광원의 출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의 사용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200)은 몸체부(110), 고정부(미도시), 전동권취롤러부(230),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양막부(140), 암연결부(150), 암부(160) 및 모터부(28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부(110) 내에는 봉 형태의 상기 전동권취롤러부(23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전동권취롤러부(230)의 하부 양측에는 상기 암부(160)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전동권취롤러부(230)에는 상기 모터부(280)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부(280)의 작동에 의해 롤링하게 된다.
상기 암부(160)는 그 일단이 상기 몸체부(110)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데, 상기 몸체부(110)에 바로 연결될 수 있으며, 도면과 같이 회동가능한 상기 암연결부(150)를 구비하여 상기 암부(160)의 일단을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암연결부(150)는 별도의 구동모터부(미도시)에 연결되어 그 회동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암부(160)의 타단은 상기 차양막부(140)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중간의 힌지부에 의해 관절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전동권취롤러부(230)에는 상기 차양막부(140)의 일 단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동권취롤러부(230)의 롤링에 따라 상기 차양막부(140)가 감기거나 펼쳐지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200)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하였고, 그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차량용 어닝(200)은 작동전에는 도 2와 같이 상기 몸체부(110) 내에 모든 구성요소들이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 있다. 상기 모터부(280)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모터부(280)가 작동하게 되어 상기 전동권취롤러(230)가 롤링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암부(160)도 회동하게 되며, 이와 함께 상기 차양막부(140)도 펼쳐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태양전지모듈(141)을 이용하여 태양광발전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모터부(280)는 상기 전동권취롤러(230)의 롤링 정도를 제어하여 상기 차양막부(140)가 펼쳐지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모터부(280)를 반대방향으로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전동권취롤러부(230)는 반대방향(차양막부가 감기는 방향)으로 롤링하게 되고, 상기 암부(160)와 상기 차양막부(140)는 원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상술한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100)의 구성 및 태양광발전 시스템과 동일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차량용 어닝 110: 몸체부
120: 고정부 130: 권취롤러부
140: 차양막부 141: 태양전지모듈
142: 지지대 150: 암연결부
160: 암부 170: 와이어
180: 모터부 190: 스프링부

Claims (12)

  1. 차량의 일정 부분에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구비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에 구비되는 봉 형태의 권취롤러부;
    상기 권취롤러부의 일 단부와 연결되며, 플렉시블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되는 차양막부;
    상기 몸체부 내 상기 권취롤러부의 하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차양막부의 타 단부에 연결되며, 중간의 힌지부에 의해 관절운동을 하는 암부;
    상기 암부 내부에 구비되는데 상기 암부의 일단을 거쳐 힌지부 및 타단까지 연장되어 구비되며, 한쪽 끝단이 상기 암부의 타단에 고정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다른 한쪽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는 모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와이어의 길이가 줄어들게 되면 상기 암부가 펴지게 됨에 따라 상기 차양막부가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롤러부 내부에 구비되는데, 한쪽 끝단은 상기 권취롤러부 내부벽에 고정되며, 다른 한쪽 끝단은 상기 몸체부의 일정 부분에 고정는 스프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부는 플렉시블 태양전지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전력을 조절하고,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부는
    차양막;
    상기 차양막 상부면에 구비되는 플렉시블 태양전지 모듈; 및
    상기 차양막 하부면에 구비되는 플렉시블 면광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전력을 조절하고,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플렉시블 면광원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
  7. 차량의 일정 부분에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구비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에 구비되는 봉 형태의 전동권취롤러부;
    상기 전동권취롤러부의 일 단부와 연결되며, 플렉시블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되는 차양막부;
    상기 몸체부 내 상기 전동권취롤러부의 하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차양막부의 타 단부에 연결되며, 중간의 힌지부에 의해 관절운동을 하는 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권취롤러부에 연결된 모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부는 플렉시블 태양전지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전력을 조절하고, 상기 전동권취롤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부는
    차양막;
    상기 차양막 상부면에 구비되는 플렉시블 태양전지 모듈; 및
    상기 차양막 하부면에 구비되는 플렉시블 면광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전력을 조절하고, 상기 전동권취롤러부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플렉시블 면광원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
KR1020150015099A 2015-01-30 2015-01-30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 KR201600940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099A KR20160094041A (ko) 2015-01-30 2015-01-30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099A KR20160094041A (ko) 2015-01-30 2015-01-30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041A true KR20160094041A (ko) 2016-08-09

Family

ID=56712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5099A KR20160094041A (ko) 2015-01-30 2015-01-30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404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09213A (zh) * 2018-08-31 2018-11-13 天合光能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太阳能遮阳板、遮阳帘及天窗发电系统
KR101976721B1 (ko) * 2018-12-10 2019-05-09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가리개 장치
WO2019221452A1 (ko) * 2018-05-15 2019-11-21 Kim Minseong 오닝 타입 태양전지 모듈 발전장치
WO2020189845A1 (ko) * 2019-03-19 2020-09-24 주식회사 광명전기 플렉서블 태양 전지 모듈을 이용한 어닝 장치
KR20210077879A (ko) * 2019-12-18 2021-06-28 주식회사 상명엔지니어링 탈착식 설치가 가능한 다용도 플렉시블 태양광발전 시스템
KR20220162496A (ko) * 2021-06-01 2022-12-08 김성복 태양광 자동충전구조를 포함하는 차량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7609A (ko) 2005-04-11 2006-10-16 양태웅 차량용 어닝
KR20120086923A (ko) 2011-01-27 2012-08-06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태양에너지 활용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7609A (ko) 2005-04-11 2006-10-16 양태웅 차량용 어닝
KR20120086923A (ko) 2011-01-27 2012-08-06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태양에너지 활용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1452A1 (ko) * 2018-05-15 2019-11-21 Kim Minseong 오닝 타입 태양전지 모듈 발전장치
CN108809213A (zh) * 2018-08-31 2018-11-13 天合光能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太阳能遮阳板、遮阳帘及天窗发电系统
KR101976721B1 (ko) * 2018-12-10 2019-05-09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가리개 장치
WO2020189845A1 (ko) * 2019-03-19 2020-09-24 주식회사 광명전기 플렉서블 태양 전지 모듈을 이용한 어닝 장치
KR20210077879A (ko) * 2019-12-18 2021-06-28 주식회사 상명엔지니어링 탈착식 설치가 가능한 다용도 플렉시블 태양광발전 시스템
KR20220162496A (ko) * 2021-06-01 2022-12-08 김성복 태양광 자동충전구조를 포함하는 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94041A (ko)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
KR102020277B1 (ko) 전기 자동차 충전용 케이블 제어장치 및 대기부스를 구비한 전기 자동차 충전기 용 캐노피
KR101950025B1 (ko) 태양광 발전이 가능한 루프랙 조립체
US20210006199A1 (en) Roof rack assembly and hood light-blocking fabric assembly that are capable of photovoltaic generation
CN203580587U (zh) 可迅速收启的柔性薄膜太阳能汽车罩
US20190181796A1 (en) Roof rack assembly and hood light-blocking fabric assembly that are capable of photovoltaic generation
US6617822B1 (en) System and method to maintain charge of vehicle battery using light energy
KR20170008402A (ko) 롤 블라인드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1112638B1 (ko) 태양전지를 구비한 차양장치
CN202273442U (zh) 高效太阳能充电停车库
CN207388896U (zh) 移动警务室及其光伏薄膜发电装置
JP2019009990A (ja) 牽引式エネルギー貯蔵室
US8482246B2 (en) Customized shading devices including photovoltaic properties
CA2730082A1 (en) Customized shading devices including photovoltaic properties
CN209381823U (zh) 柔性充电堆充电防水装置
JP2011181782A (ja) 携帯型太陽光発電装置
CN203410289U (zh) 光伏备用电源车衣
CN201198637Y (zh) 旋转收折式太阳能遮阳雨篷
CN201187126Y (zh) 圆弧收折式太阳能遮阳雨篷
US20210242823A1 (en) Assembly of flexible solar panel for expandable awning
CN101284514A (zh) 车用遮阳帘
JPH0684758U (ja)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充電用電源
TWI485079B (zh) 結合車外軌道滑動太陽能面板的充電蓄電裝置
JPWO2013011746A1 (ja) 巻き取り式太陽電池
CN204895073U (zh) 一种具有遮阳、挡雨功能的多功能托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