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8402A - 롤 블라인드 태양광 발전시스템 - Google Patents

롤 블라인드 태양광 발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8402A
KR20170008402A KR1020150099517A KR20150099517A KR20170008402A KR 20170008402 A KR20170008402 A KR 20170008402A KR 1020150099517 A KR1020150099517 A KR 1020150099517A KR 20150099517 A KR20150099517 A KR 20150099517A KR 20170008402 A KR20170008402 A KR 20170008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battery
film solar
thin film
shield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9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동진
Original Assignee
구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동진 filed Critical 구동진
Priority to KR1020150099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8402A/ko
Publication of KR20170008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84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H02S50/10Testing of PV devices, e.g. of PV modules or single PV c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76Solar c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2009/6809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 형태로 플렉서블하게 접힘 가능한 박막 태양전지가 구비되어 있는 롤 블라인드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롤 블라인드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차광막(110)의 권취 및 권출을 통하여 태양빛을 차단하는 롤 형태의 블라인드(100)에 있어서, 상기 차광막(110)상에 배치되어 차광막(110)과 같이 권취되도록 플렉서블하게 이루어진 박막 태양전지(120)와; 상기 박막 태양전지(120)와 연결되어 상기 박막 태양전지(120)로부터 얻어진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130)와; 상기 박막 태양전지(120)와 상기 축전지(130)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축전지(130)가 과충전되지 않도록 전류값을 제어하는 과충전 방지회로(14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롤 블라인드 태양광 발전시스템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FOR ROLL BLIND}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롤 형태로 플렉서블하게 접힘 가능한 박막 태양전지가 구비되어 있는 롤 블라인드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전지는 태양으로부터 전달되는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는 청정에너지원으로서 근래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다.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청정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태양전지 설치공간(면적)이 필요한데, 초기에는 대규모 발전소 개념으로 넓은 대지위에 설치를 많이 하였으나, 근래에는 기술의 발전에 따른 소형화와 효율적 설치를 위하여 건물에 설치하는 것이 적극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이 마저도 단독주택과 같이 옥상이나 지붕이 있는 경우에는 태양전지의 설치가 용이하지만,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이나 빌딩 등에는 설치가 어려워 많이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이나 빌딩 등의 창호에 조사되는 태양광을 차광하는 블라인드에 태양전지를 적용하여 태양광 발전을 할 수 있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일 예로 국내등록특허공보 제 10-1267136호에 개시된 '태양전지가 구비된 버티컬 블라인드'를 들 수 있으며, 상기한 블라인드를 태양빛이 많이 조사되는 창문에 설치하여 효율적인 전기 생산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발명의 태양전지는 박막형이 아닌 태양전지 셀을 이용하므로 기존 블라인드의 경량성을 유지시키기 어려우며, 롤 블라인드와 같이 플렉서블하게 접힘이 가능한 블라인드에는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플렉서블하게 접힘이 가능한 박막형의 태양전지를 블라인드의 차광막에 결합하여 경량성이 유지되며 롤 형태로 권취와 권출이 가능한 롤 블라인드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축전지에 저장되는 에너지의 양에 따라 블라인드를 제어하여 효율적인 전기에너지의 생산 및 저장, 활용이 가능한 롤 블라인드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하는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롤 블라인드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차광막(110)의 권취 및 권출을 통하여 태양빛을 차단하는 롤 형태의 블라인드(100)에 있어서, 상기 차광막(110)상에 배치되어 차광막(110)과 같이 권취되도록 플렉서블하게 이루어진 박막 태양전지(120)와; 상기 박막 태양전지(120)와 연결되어 상기 박막 태양전지(120)로부터 얻어진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130)와; 상기 박막 태양전지(120)와 상기 축전지(130)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축전지(130)가 과충전되지 않도록 전류값을 제어하는 과충전 방지회로(14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롤 블라인드(100)에는, 상기 제어부(140)의 신호에 따라 롤 블라인드의 차광막(110)를 자동으로 감거나 풀 수 있는 구동모터(1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축전지(130)에 저장되어 있는 전기에너지의 양을 측정하는 축전지 잔량 측정회로(144)가 배치되며, 상기 축전지의 잔량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150)를 작동시켜 롤 블라인드의 차광막(110)을 권출하거나 귄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무선통신기기(148)와 무선송수신이 가능한 무선통신회선(146)이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의 무선통신기기(148)는 상기 무선통신회선(146)으로부터 상기 축전지(130)에 저장된 전기에너지의 양을 수신받아 정보를 출력해주며, 사용자는 상기 무선통신기기(148)의 조작을 통하여 상기 구동모터(150)를 컨트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광막(110)은 투명원단(110a)과 불투명원단(110b)이 일정간격으로 반복되어 있는 콤비 롤블라인드 방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불투명원단(110b) 자리에 상기 박막 태양전지(1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전지(130)에는 직류(DC)를 교류(AC)로 변환시켜줄 수 있는 인버터(132)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롤 블라인드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롤 블라인드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블라인드 상의 차광막과 같이 권취되도록 플렉서블하게 접힘이 가능한 박막형의 태양전지가 구비됨으로써, 경량화가 가능하며 다양한 형태의 블라인드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전지로부터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지의 저장량에 따라 블라인드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제어부를 통하여 축전지에 저장되는 전기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블라인드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블라인드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3는 도 2에 도시된 무선통신기기의 화면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블라인드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구성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블라인드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개략도와 블럭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블라인드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차광막(110)을 권취하거나 권출하여 태양빛을 차단하는 롤 형태의 블라인드(100)에 있어서, 차광막(110)상에 배치되어 차광막(110)과 같이 권취되는 플렉서블한 박막 태양전지(120)와, 이 태양전지(120)와 연결되어 태양전지(120)로부터 얻어진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130)와, 차광막(110)의 권취와 권출을 수행하는 구동모터(150)와, 상기 축전지(130)와 구동모터(150)를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롤 블라인드(100)는 태양빛의 차광이 가능한 차광막(110)과, 차광막(110)을 감거나 풀 수 있도록 차광막(110)과 연동되는 회전롤러(112)와, 이 회전롤러(112)를 작동시키는 수동조작부(114)와, 회전롤러(112)를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모터(150)를 포함한다.
차광막(110)은 회전롤러(112)에 고정되어 감기거나 풀어지며 태양으로부터 조사되는 태양빛을 채광 또는 차광하는 역할을 한다. 차광막(110)은 효율적인 채광 및 차광을 위하여 다양한 형태와 패턴으로 구비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콤비 롤 블라인드 방식의 차광막(110)이 사용된다. 콤비 롤 블라인드는 투명원단(110a)과 불투명원단(110b)이 일정간격으로 반복되는 패턴의 블라인드이다.
콤비 롤 블라인드는 종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술이며 콤비 롤 블라인드를 간단히 설명하면, 콤비 롤 블라인드는 차광막(110)의 투명원단(110a)끼리 겹치게 위치하면 겹쳐 있는 투명원단(110a)의 면적 만큼 태양광이 내부로 조사된다. 반대로 투명원단(110a)과 불투명원단(110b)이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면 차광막(110)전체가 불투명원단(110b)으로 구비됨에 따라 태양빛이 차단된다. 이처럼, 콤비 롤 블라인드는 다른 롤 블라인드와 달리 차광막(110)을 완전히 말아 올리지 않더라도 부분적인 채광이 가능하여 근래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롤 블라인드 형식 중의 하나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블라인드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롤 블라인드(100)는 상기한 바와 같은 콤비 롤 블라인드 방식으로 제작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콤비 롤 블라인드 방식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불투명원단(110b)이 배치되는 부분에 플렉서블하게 접힘이 가능한 박막 태양전지(120)가 구비되며, 투명원단(110a)은 그대로 구성된다. 투명원단(110a)과 박막 태양전지(120)가 일정간격으로 반복되게 배치됨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태양빛의 채광 및 차광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태양빛의 조사가 수월하여 태양빛을 통하여 전기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생산해낼 수 있다.
회전롤러(112)는 차광막(110)을 감거나 풀어주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인 롤 블라인드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롤러(112)의 일단부에 수동조절부(114)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수동조절부(114)를 통하여 회전롤러(112)를 회전시켜 차광막(110)을 회전롤러(112)에 권취시키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블라인드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회전롤러(112)의 타단부에 구동모터(150)를 더 구비하여 자동으로 회전롤러(112)를 회전시킴으로써 차광막(110)을 감거나 풀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박막 태양전지(120)는 플렉서블하게 접힘이 가능한 박막형의 태양전지(120)가 사용된다. 박막 태양전지(120)는 롤 블라인드(100)의 차광막(110)에 배치되어 차광막(110)으로 조사되는 태양빛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콤비 롤 블라인드에 적용하기 위하여, 박막 태양전지(120)를 차광막(110)상의 불투명원단(110b)자리에 배치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박막 태양전지(120)는 차광막(110)의 종류나 모양에 따라 세로 또는 가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박막 태양전지(120)는 차광막(110)의 일부분 또는 전체에 구비될 수 있다.
박막 태양전지(120)는 소재에 따라 비정질/결정질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 GIGS 박막 태양전지, CdTe 박막 태양전지, 염료감응 태양전지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 중 GIGS 박막 태양전지는 생상단가가 낮고 효율이 높으며 기타 다른 태양전지에 비하여 우수한 광전 변환 효율을 보이며, 광 조사 등에 의한 열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박막 태양전지(120)는 GIGS 박막 태양전지가 사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위에 언급한 다양한 박막 태양전지 중 플렉서블하게 접힘이 가능한 태양전지라면 무엇이든 사용가능 하다.
아울러, 박막 태양전지(120)에 대한 기술은 이미 널리 공지 되어 있는 기술로써, 본 발명에서는 공지되어 있는 박막 태양전지(120)를 구성 요소로 구비하므로 박막 태양전지(120)의 제조 방법이나 구성기술 등에 관한 내용들은 생략하기로 한다.
축전지(130)는 박막 태양전지(120)로부터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저장장치이다. 박막 태양전지(120)로부터 생산된 전기는 전류가 약하여 직접 전자기기와 같은 제품을 연결하여 작동시키기에는 무리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태양전지(120)로부터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지(130)를 사용한다. 이러한 축전지(130)는 태양광이 조사되는 낮 동안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여, 전기/전자기기들을 작동시킬 수 있을 정도의 전류를 형성시킨다. 이렇게 축전지(130)에 저장된 전지에너지는 가정에서 보조발전용으로 상시에 사용할 수도 있으며, 태양광이 조사되지 않은 밤이나 비나 눈이 오는 날에 비상발전용으로 사용할 수 도 있다.
축전지(130)에는 별도의 콘센트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콘센트에 전기/전자기기 등을 연결하여 전기가 필요한 제품을 작동시킬 수 있게 되며, 이를 위하여 축전지(130)와 연동되는 인버터(13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인버터(132)는 박막 태양전지(120)에서 생산된 전기를 직류(DC)전기에서 교류(AC)전기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축전지(130)와 인버터(132)는 기존의 집이나 건물 등의 콘센트와 연결되어 전력을 전달할 수도 있으며, 별도의 콘센트를 구비하여 전력을 전달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축전지(130)와 후술하는 구동모터(150)를 컨트롤 한다. 제어부(140)에는 여러가지의 회선 및 회로가 구비되며,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박막 태양전지(120)로부터 축전지(130)에 저장되는 전기에너지의 과도한 충전을 차단하는 과충전 방지회로(142)와, 축전지(130)에 저장된 전기에너지의 양을 측정하는 축전지 잔량 측정회로(144)와, 사용자의 무선통신기기(148)와 무선송수신 하는 무선통신회선(146)를 포함한다. 제어부(140)는 롤 블라인드(100)의 내부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축전지(130)와 같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처럼 제어부(140)의 위치 및 구성요소들 간의 배치는 크게 제한을 두지 않으며, 후기하는 제어부(140)의 역할 및 기능을 수행하는데 크게 지장이 없는 범위 안에서 자유롭게 구비될 수 있다.
과충전 방지회로(142)는 박막 태양전지(120)로부터 생산된 전기가 축전지(130)로 저장될 시, 축전지(130)가 수용할 수 있는 저장량보다 많은 전기에너지가 유입되어 혹시 모를 축전지(130) 및 기타 다른 부품들의 파손 및 고장이 일어나지 않도록 박막 태양전지(120)로부터 축전지(130)에 전달되는 전기에너지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축전지 잔량 측정회로(144)는 축전지(130)에 저장되어 있는 전기에너지의 잔량을 측정한다. 축전지 잔량 측정회로(144)로부터 측정된 축전지(130)의 전기에너지 양에 따라 구동모터(150)를 구동시켜 차광막(110)의 권취 및 권출을 수행한다. 또한, 축전지 잔량 측정회로(144)로부터 측정된 축전지(130)의 잔량값을 상기한 과충전 방지회로(142)로 전달하여 일정 이상의 잔량에너지값 이상일 경우 과충전 방지회로(142)를 작동시킨다.
무선통신회선(146)는 사용자의 무선통신기기(148)와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무선통신회선(146)은 축전지 잔량 측정회로(144)로부터 전달받은 축전지(130)의 잔량값을 무선통신기기(148)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무선통신회선(146)으로부터 축전지(130)의 잔량값을 수신받은 무선통신기기(148)는 무선통신기기(148)의 디스플레이장치 등을 통하여 축전지(130)의 잔량값을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의 무선통신기기(148)는 별도로 제작되는 무선통신제품일 수도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앱(APP)을 통하여 연동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무선통신회선(146)은 사용자의 무선통신기기(148)와 블루투스방식이나 NFC, 이더넷등으로 송수신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회선(146)과 사용자의 무선통신기기(148)의 통신 방법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무선통신회선(146)은 무선통신기기(148)로부터 송신되는 제어값을 송신 받아 구동모터(150)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기기의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의 무선통신기기(148)의 화면에는 축전지(130)에 저장되어 있는 전기에너지의 양을 나타내는 축전지 잔량 표시부(148a)와, 롤 블라인드(100)의 권취 및 권출 상태를 알려주는 블라인드 상태 표시부(148b)가 구비된다. 또한, 롤 블라인드(100)의 차광막(110)을 감거나 푸는 것을 제어할 수 있는 블라인드 컨트롤 버튼(148c)이 마련되며, 블라인드 컨트롤 버튼(148c)은 차광막(110)을 감아 올릴수 있는 'UP'버튼과 박막 태양전지(120)가 태양빛을 흡수할 수 있도록 차광막(110)을 권출하는 'DOWN'버튼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축전지(130)의 잔량에 따라 별도의 제어 없이 구동모터(150)를 작동시키는 '자동모드'와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구동모터(150)를 작동시킬 수 있는 '수동모드'가 마련되는 블라인드 제어 모드(148d)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다양한 요소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구동모터(150)는 축전지 잔량 표시회로(144)나 무선통신회선(146)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작동되며, 태양빛을 차단하거나 조사할 수 있도록 롤 블라인드(100)를 구동시키게 된다.
구동모터(150)는 박막 태양전지(120)로부터 생산된 전기나 축전지(130)로부터 절단받은 전기에너지로 구동되는 전기모터이다. 구동모터(150)는 롤 블라인드(100)의 회전롤러(112)와 연결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구동모터(150)와 회전롤러(112)는 서로 이물림되는 기어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체인이나 벨트, 와이어등으로 연결되어 구동모터(150)의 회전력을 회전롤러(112)에 전달할 수도 있다. 구동모터(150)는 차광막(110)의 권취 및 권출이 가능하도록 정역회전하는 정역회전모터로 마련된다.
지금부터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롤블라인드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작용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블라인드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차광막(110)의 권취와 권출을 통하여 일반 롤 블라인드와 같이 사용한다. 이때, 차광막(110)이 권출되어 박막 태양전지(120)가 태양빛을 조사 받게 되면, 박막 태양전지(120)는 태양빛을 전기 에너지로 전환시켜 축전지(130)로 보내게 된다. 계속적인 박막 태양전지(120)의 작용으로 축전지(130)에 전기에너지가 꽉 차게 되면, 박막 태양전지(120)와 축전지(130)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과충전 방지회로(142)가 축전지(130)에 보내지는 전기에너지를 차단한다. 이와 같은 과충전 방지회로(142)의 작용을 통하여 박막 태양전지(120)로부터 생산된 전기가 축전지(130)의 에너지 저장용량보다 과도하게 충전되어 축전지(130) 및 기타 부품들이 훼손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축전지 잔량 측정회로(144)는 축전지(130)에 저장된 전기에너지의 양을 측정하여 구동모터(150)를 구동시킨다. 박막 태양전지(120)에 계속적인 채광으로 축전지(130)에 전기가 가득찼을 시에 구동모터(150)가 작동되어 차광막(110)을 감아 박막 태양전지(120)의 채광을 중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작동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이 축전지(130)에 전기에너지가 가득차면 별다른 제어가 없더라도 자동으로 구동모터(150)를 작동시켜 차광막(110)을 권취하도록 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제어가 있을때 까지 차광막(110)이 권출되어 있는 상태로 놔둘 수도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롤 블라인드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이 과충전 방지회로(142)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박막 태양전지(120)에 계속적인 채광에도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다.
이와 반대로, 축전지(130)에 일정 이하로 전력이 남아 있을 경우에 축전지 잔량 측정회로(144)가 이를 감지하고, 과충전 방지회로(142)의 작용을 멈추어 박막 태양전지(120)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전달받아 축전지(130)에 저장한다. 이때, 차광막(110)이 권취 되어 있는 상태 였다면, 구동모터(150)를 자동으로 작동시켜 박막 태양전지(120)가 태양빛을 흡수 할 수 있도록 권출 시킨다.
또한, 사용자는 롤 블라인드(100)의 차광막(110)을 자동뿐만이 아니라 수동으로도 제어할 수 있다. 축전지 잔량 측정회로(144)로부터 측정된 축전지(130)의 잔량은 무선통신회선(146)을 통하여 사용자의 무선통신기기(148)에 송신되며, 사용자는 송신된 축전지(130)의 상태를 체크한다. 사용자의 무선통신기기(130)에는 구동모터(150)를 작동시키는 제어 버튼이 구비되며, 이 제어버튼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무선통신회선(146)이 수신받아 구동모터(150)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축전지 잔량 측정회로(144)에 의해 측정된 값을 통해 바로 구동모터(150)를 작동시키거나 무선통신기기(148)를 통해 수동으로 구동모터(150)를 작동시키는 것은 사용자의 선택적인 설정에 의해 결정되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롤 블라인드 110 : 차광막
120 : 박막 태양전지 130 : 축전지
132 : 인버터 140 : 제어부
142 : 과충전 방지회로 144 : 축전지 잔량 측정회로
146 : 무선통신회선 148 : 무선통신기기
150 : 구동모터

Claims (6)

  1. 차광막(110)의 권취 및 권출을 통하여 태양빛을 차단하는 롤 형태의 블라인드(100)에 있어서,
    상기 차광막(110)상에 배치되어 차광막(110)과 같이 권취되도록 플렉서블하게 이루어진 박막 태양전지(120)와;
    상기 박막 태양전지(120)와 연결되어 상기 박막 태양전지(120)로부터 얻어진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130)와;
    상기 박막 태양전지(120)와 상기 축전지(130)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축전지(130)가 과충전되지 않도록 전류값을 제어하는 과충전 방지회로(14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블라인드 태양광 발전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 블라인드(100)에는, 상기 제어부(140)의 신호에 따라 롤 블라인드의 차광막을 자동으로 감거나 풀 수 있는 구동모터(1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블라인드 태양광 발전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축전지(130)에 저장되어 있는 전기에너지의 양을 측정하는 축전지 잔량 측정회로(144)가 배치되며, 상기 축전지의 잔량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150)를 작동시켜 롤 블라인드의 차광막(110)을 권출하거나 귄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블라인드 태양광 발전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무선통신기기(148)와 무선송수신이 가능한 무선통신회선(146)이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의 무선통신기기(148)는 상기 무선통신회선(146)으로부터 상기 축전지(130)에 저장된 전기에너지의 양을 수신받아 정보를 출력해주며,
    사용자는 상기 무선통신기기(148)의 조작을 통하여 상기 구동모터(150)를 컨트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블라인드 태양광 발전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막(110)은 투명원단(110a)과 불투명원단(110b)이 일정간격으로 반복되어 있는 콤비 롤블라인드 방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불투명원단(110b) 자리에 상기 박막 태양전지(1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블라인드 태양광 발전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지(130)에는 직류(DC)를 교류(AC)로 변환시켜줄 수 있는 인버터(132)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블라인드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20150099517A 2015-07-14 2015-07-14 롤 블라인드 태양광 발전시스템 KR201700084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517A KR20170008402A (ko) 2015-07-14 2015-07-14 롤 블라인드 태양광 발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517A KR20170008402A (ko) 2015-07-14 2015-07-14 롤 블라인드 태양광 발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402A true KR20170008402A (ko) 2017-01-24

Family

ID=57993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517A KR20170008402A (ko) 2015-07-14 2015-07-14 롤 블라인드 태양광 발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8402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02338A (zh) * 2017-08-10 2017-10-27 温州大学 远程智能卷帘式薄膜太阳能窗帘
KR101972780B1 (ko) * 2018-10-31 2019-04-26 조용수 태양광 발전형 롤 블라인드
KR101999685B1 (ko) * 2018-10-31 2019-07-12 조용수 발전효율이 향상된 태양광 발전형 롤 블라인드
KR102291335B1 (ko) 2020-12-18 2021-08-18 정경식 인테리어 기능 및 비상 조명 기능을 갖춘 전동 태양광 발전용 블라인드
WO2022019659A1 (ko) * 2020-07-24 2022-01-27 주식회사 나노밸리 태양전지용 반사 구조물
CN113992128A (zh) * 2020-09-08 2022-01-28 江苏二十六度节能科技研究院有限公司 一种智能舒展、卷曲的簿膜太阳能电池应用装置
KR20220115889A (ko) * 2020-03-23 2022-08-19 주식회사 그린우전 태양광 패널 블라인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제로 건축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02338A (zh) * 2017-08-10 2017-10-27 温州大学 远程智能卷帘式薄膜太阳能窗帘
KR101972780B1 (ko) * 2018-10-31 2019-04-26 조용수 태양광 발전형 롤 블라인드
KR101999685B1 (ko) * 2018-10-31 2019-07-12 조용수 발전효율이 향상된 태양광 발전형 롤 블라인드
WO2020091290A1 (ko) * 2018-10-31 2020-05-07 주식회사 롤크 발전효율이 향상된 태양광 발전형 롤 블라인드
KR20220115889A (ko) * 2020-03-23 2022-08-19 주식회사 그린우전 태양광 패널 블라인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제로 건축물
WO2022019659A1 (ko) * 2020-07-24 2022-01-27 주식회사 나노밸리 태양전지용 반사 구조물
CN113992128A (zh) * 2020-09-08 2022-01-28 江苏二十六度节能科技研究院有限公司 一种智能舒展、卷曲的簿膜太阳能电池应用装置
KR102291335B1 (ko) 2020-12-18 2021-08-18 정경식 인테리어 기능 및 비상 조명 기능을 갖춘 전동 태양광 발전용 블라인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8402A (ko) 롤 블라인드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2015787B1 (ko) 일기상황에 따라 동작되는 자동 접이식 그늘막 장치
CN202249686U (zh) 薄膜电池太阳能发电外遮阳帘
US20180202224A1 (en) Battery operated roller shade
CN202047738U (zh) 太阳能发电遮阳百叶窗帘
AU2016247401B2 (en) Motorised drive device for a closure or solar protection home-automation facility, associated home-automation facilit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such a device
CN201620737U (zh) 一种自动控制伺服太阳能百叶光伏电池的中空玻璃接收装置
CN201248602Y (zh) 太阳能热水器遮阳挡雨卷帘装置
CN103620150A (zh) 电动窗帘处理装置
CN202209138U (zh) 一种柔性薄膜太阳能电动窗帘
CN208551027U (zh) 一种可智能控制的电动窗帘
CN101807867B (zh) 一种自动控制伺服太阳能百叶光伏电池的中空玻璃接收装置
CN107826515A (zh) 一种具有充当备用电源功能的无人机用收纳装置
KR20160094041A (ko)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
JP2009225827A (ja) 遮光部材制御装置
KR20100116959A (ko) 태양전지 일체형 루버
CN102704826A (zh) 电动节能卷帘窗
CN208874504U (zh) 光伏组件及光伏幕墙
CN201747240U (zh) 太阳能充电的电动窗帘
CN213072564U (zh) 光伏电站智能反光增效系统
JP2011137314A (ja) 電動ブラインド及び電動ブラインドシステム
CN204059791U (zh) 一种遮阳篷
KR101918153B1 (ko) 태양광을 이용한 발전장치
CN203873504U (zh) 太阳能电源红外模块遥控和光控窗帘
RU2560653C2 (ru) Портативная солнечная электростанц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