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558B1 - 차량용 태양전지모듈 - Google Patents

차량용 태양전지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558B1
KR101977558B1 KR1020180064718A KR20180064718A KR101977558B1 KR 101977558 B1 KR101977558 B1 KR 101977558B1 KR 1020180064718 A KR1020180064718 A KR 1020180064718A KR 20180064718 A KR20180064718 A KR 20180064718A KR 101977558 B1 KR101977558 B1 KR 101977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rail
cell module
vehicle
so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정미
Original Assignee
안정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정미 filed Critical 안정미
Priority to KR1020180064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5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40Mobile PV generato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6/00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20Collapsible or foldable PV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6/00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60K2016/003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solar power driv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0Energy harvesting concepts as power supply for auxiliaries' energy consumption, e.g. photovoltaic sun-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많은 양의 에너지를 단시간에 저장하여 발전효율을 제고시킬 수 있는 차량용 태양전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의 루프에 설치되는 태양전지모듈에 있어서, 상기 차량(10)의 루프(20) 양측에 고정되는 제1 태양전지모듈(100), 상기 제1 태양전지모듈(100)의 상부에 적층되어 상기 차량(10)의 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제2 태양전지모듈(200), 상기 제1 태양전지모듈(100)의 상부에 적층된 복수의 제2 태양전지모듈(200)의 슬라이딩을 단속하는 파스너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태양전지모듈(100)의 상부에 적층된 복수의 제2 태양전지모듈(200)이 차량(10)의 외측으로 슬라이딩되어 확장되므로 많은 양의 에너지를 단시간에 저장하여 발전 효율을 제고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태양전지모듈{SOLAR MODUL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태양전지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많은 양의 에너지를 단시간에 저장하여 발전효율을 제고시킬 수 있는 차량용 태양전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태양전지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근래에 들어 신재생에너지로 널리 사용 및 개발되고 있다.
그리고 태양전지는 재료에 따라 실리콘 반도체를 사용하는 태양전지와 화합물 반도체를 사용하는 태양전지로 대별된다. 그리고 태양전지는 실리콘 결정의 종류에 따라 단결정 태양전지 및 다결정 태양전지로 분류된다.
근래에는 차량에 태양전지모듈을 적용하여 에너지로 이용하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내용의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0050774호(공개일자 2016년05월11일) ‘차량의 태양전지 루프패널’ 및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0893호(공개일자 2012년02월07일) ‘차량용 태양전지 모듈’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은 태양전지판(Solar Panel)이 차량의 루프(Roof)에 장착되어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데, 루프의 공간이 한정되어 있어서 많은 양의 에너지를 단시간에 저장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캠핑용 차량의 경우 많은 양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차량의 루프에 장착된 태양전지판만으로는 에너지의 저장효율이 떨어져서 충분히 사용하기 어려운 불편함이 있었다.
(선행기술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0050774호(공개일자 2016년05월11일) (선행기술 000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0893호(공개일자 2012년02월07일)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많은 양의 에너지를 단시간에 저장하여 발전효율을 제고시킬 수 있는 차량용 태양전지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루프에 설치되는 태양전지모듈에 있어서, 상기 차량(10)의 루프(20) 양측에 고정되는 제1 태양전지모듈(100), 상기 제1 태양전지모듈(100)의 상부에 적층되어 상기 차량(10)의 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제2 태양전지모듈(200), 상기 제1 태양전지모듈(100)의 상부에 적층된 복수의 제2 태양전지모듈(200)의 슬라이딩을 단속하는 파스너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태양전지모듈(100)은 복수의 제1 솔라셀(110), 상기 복수의 제1 솔라셀(110)을 고정하는 제1 프레임(120), 상기 제1 프레임(120)의 전후 양측면에 구비되는 제1 레일브래킷(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레일브래킷(130)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1 프레임(120)의 상면으로 돌출되게 연장되는 제1 연장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제1 태양전지모듈(100)과 제2 태양전지모듈(20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슬라이딩레일(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슬라이딩레일(300)은 상기 제1 레일브래킷(130)의 제1 연장부(131)의 내면에 지지되는 제1 고정레일(310), 상기 제2 태양전지모듈(200)의 일측에 지지되는 제1 가동레일(320), 상기 제1 고정레일(310)과 제1 가동레일(320)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볼(3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태양전지모듈(200)은 복수의 제2 솔라셀(210), 상기 복수의 제2 솔라셀(210)을 고정하는 제2 프레임(220), 상기 제2 프레임(220)의 전후 양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태양전지모듈(100)에 제1 슬라이딩레일(300)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레일브래킷(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레일브래킷(230)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2 프레임(220)의 상면으로 돌출되게 연장되는 제2 연장부(231)가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상기 제2 프레임(220)의 저면으로 돌출되게 연장되어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제2 레일채널(232)이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제2 태양전지모듈(20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슬라이딩레일(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슬라이딩레일(400)은 상기 제2 연장부(231) 내면에 지지되는 제2 고정레일(410), 상부에 적층되는 다른 제2 태양전지모듈(200b)의 제2 레일채널(232)에 지지되는 제2 가동레일(420), 상기 제2 고정레일(410)과 제2 가동레일(420) 사이에 개재되는 제2 볼(4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파스너는 토글클램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태양전지모듈(100)의 상부에 적층된 복수의 제2 태양전지모듈(200)이 차량(10)의 외측으로 슬라이딩되어 확장되므로 많은 양의 에너지를 단시간에 저장하여 발전 효율을 제고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작동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태양전지모듈는, 차량(10)의 루프(20) 양측에 고정되는 제1 태양전지모듈(100), 제1 태양전지모듈(100)의 상부에 적층되어 차량(10)의 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제2 태양전지모듈(200), 제1 태양전지모듈(100)의 상부에 적층된 복수의 제2 태양전지모듈(200)의 슬라이딩을 단속하는 파스너를 포함한다.
제1 태양전지모듈(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의 루프(20)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구성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태양전지모듈(100)은 복수의 제1 솔라셀(110), 복수의 제1 솔라셀(110)을 고정하는 제1 프레임(120), 제1 프레임(120)의 전후 양측면에 구비되는 제1 레일브래킷(130)을 포함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1 태양전지모듈(100)은 차량(10)의 루프(20) 좌우 양측 뿐만 아니라 그 사이에도 설치될 수 있다.
제1 솔라셀(110)은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사용하고, 빛을 비추면 내부에서 전하가 이동하여 P극과 N극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하며, 이때 제1 솔라셀(110)에 부하를 연결하면 전류가 흐르는 이른바 광전효과를 이용한다. 이러한 제1 솔라셀(110)은 1V 이하의 전압을 얻게되어 실용적인 수준에 미치지 못하므로, 복수의 제1 솔라셀(110)이 가로와 세로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루는 행렬로 배열되어 직렬 및 병렬로 연결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솔라셀(110)의 상면에는 제1 탑레이어(111)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제1 탑레이어(111)는 강화유리(도시생략) 및 제1 상면압축필름(도시생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화유리는 철분 함량이 낮고 투과율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상면압축필름은 투명하고 접착성이 우수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Ethylene Vinyl Acetate)로 이루어져 제1 솔라셀(110)의 상면을 밀봉하게 된다.
그리고 제1 솔라셀(110)의 저면에는 제1 버텀레이어(112)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제1 버텀레이어(112)는 제1 저면압축필름(도시생략) 및 백시트(도시생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저면압축필름은 투명하고 접착성이 우수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로 이루어져 제1 솔라셀(110)의 저면을 밀봉하고, 상기 백시트는 상기 제1 저면압축필름의 외면에 부착되어 수분이나 자외선 같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제1 솔라셀(110)을 보호하게 된다.
제1 프레임(120)은 상기와 같이 적층된 제1 탑레이어(111)와 제1 버텀레이어(112) 및 제1 솔라셀(110)의 외측 둘레를 감싸서 고정시키는 틀로서, 내열성이 우수한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1 레일브래킷(130)은 제1 프레임(120)의 전후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후술하는 제1 슬라이딩레일(300)의 일측을 지지하게 된다. 제1 레일브래킷(130)은 납작한 금속 판재로 이루어지는데, 그 너비는 제1 프레임(120)의 측면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높이는 제1 프레임(120) 보다 길게 형성되어 제1 프레임(120)의 전후 측면을 마감하게 된다. 그리고 제1 레일브래킷(130)의 상단부에는 제1 프레임(120)의 상면으로 돌출되게 연장되는 제1 연장부(131)가 형성되며, 이 제1 연장부(131)의 내면에는 제1 슬라이딩레일(300)의 제1 고정레일(310)이 지지된다.
제2 태양전지모듈(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태양전지모듈의 상부에 다단으로 적층되어 차량(10)의 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태양전지모듈(200)은 제1 태양전지모듈(100)의 상부에 층층이 적층되는 두 개 또는 세 개 이상의 복수로 이루어지는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세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태양전지모듈(100)의 상부에 적층된 제2 태양전지모듈(200)은 하부의 제2 태양전지모듈(200a)로 정의하고, 하부의 제2 태양전지모듈(200a)의 상부에 적층된 제2 태양전지모듈(200)은 상부의 제2 태양전지모듈(200b)로 정의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태양전지모듈(200)은 복수의 제2 솔라셀(210), 복수의 제2 솔라셀(210)을 고정하는 제2 프레임(220), 제2 프레임(220)의 전후 양측면에 구비되어 제1 태양전지모듈(100)의 제1 레일브래킷(130)에 제1 슬라이딩레일(300)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레일브래킷(230)을 포함한다.
제2 솔라셀(210)은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사용하고, 빛을 비추면 내부에서 전하가 이동하여 P극과 N극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하며, 이때 제2 솔라셀(210)에 부하를 연결하면 전류가 흐르는 이른바 광전효과를 이용한다. 이러한 제2 솔라셀(210)은 1V 이하의 전압을 얻게되어 실용적인 수준에 미치지 못하므로, 복수의 제2 솔라셀(210)이 가로와 세로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루는 행렬로 배열되어 직렬 및 병렬로 연결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솔라셀(210)의 상면에는 제2 탑레이어(211)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제2 탑레이어(211)는 강화유리(도시생략) 및 제2 상면압축필름(도시생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화유리는 철분 함량이 낮고 투과율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상면압축필름은 투명하고 접착성이 우수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로 이루어져 제2 솔라셀(210)의 상면을 밀봉하게 된다.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제2 솔라셀(210)의 저면에는 제2 버텀레이어(212)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제2 버텀레이어(212)는 제2 저면압축필름(도시생략) 및 백시트(도시생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저면압축필름은 투명하고 접착성이 우수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로 이루어져 솔라셀의 저면을 밀봉하고, 상기 백시트는 상기 제2 저면압축필름의 외면에 부착되어 수분이나 자외선 같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제2 솔라셀(210)을 보호한다.
제2 프레임(220)은 상기와 같이 적층된 제2 탑레이어(211)와 제2 버텀레이어(212) 및 제2 솔라셀(210)의 외측 둘레를 감싸서 고정시키는 틀로서, 내열성이 우수한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2 레일브래킷(230)은 제2 프레임(220)의 전후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후술하는 제2 슬라이딩레일(400)의 타측을 지지하게 된다. 제2 레일브래킷(230)은 납작한 금속 판재로 이루어지는데, 그 너비는 제2 프레임(220)의 측면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높이는 제2 프레임(220) 보다 길게 형성되어 제2 프레임(220)의 전후 측면을 마감하게 된다. 그리고 제2 레일브래킷(230)의 상단부에는 제2 프레임(220)의 상면으로 돌출되게 연장되는 제2 연장부(231)가 형성되며, 이 제2 연장부(231)의 내면에는 제2 슬라이딩레일(400)의 제2 고정레일(410)이 지지된다. 또한, 제2 레일브래킷(230)의 하단부에는 제2 프레임(220)의 저면으로 돌출되게 연장되며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대략 ‘ㄷ’자 형상의 제2 레일채널(232)이 일체로 구비되어 제1 슬라이딩레일(300)의 제1 가동레일(320)이 지지된다.
제1 슬라이딩레일(300)은 제1 태양전지모듈(100)과 제2 태양전지모듈(20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레일로서, 이러한 제1 슬라이딩레일(300)은 도 3의 일측에 일점 쇄선의 원 내부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일브래킷(130)의 제1 연장부(131)의 내면에 지지되는 제1 고정레일(310), 제2 레일브래킷(230)의 제2 레일채널(232)에 지지되는 제1 가동레일(320), 제1 고정레일(310)과 제1 가동레일(320)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볼(33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하부의 제2 태양전지모듈(200a)을 차량(10)의 외측 방향으로 밀면 제1 가동레일(320)이 제1 고정레일(310)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하부의 제2 태양전지모듈(200a)이 차량(10)의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2 슬라이딩레일(4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으로 적층된 복수의 제2 태양전지모듈(20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레일로서, 이러한 제2 슬라이딩레일(400)은 도 3의 타측에 일점 쇄선의 원 내부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레일브래킷(230)의 제2 연장부(231) 내면에 지지되는 제2 고정레일(410), 상부의 제2 태양전지모듈(200b)의 제2 레일브래킷(230)의 제2 레일채널(232)에 지지되는 제2 가동레일(420), 제2 고정레일(410)과 제2 가동레일(420) 사이에 개재되는 제2 볼(43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부의 제2 태양전지모듈(200b)을 차량(10)의 외측 방향으로 밀면 제2 가동레일(420)이 제2 고정레일(410)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부의 제2 태양전지모듈(200b)이 차량(10)의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파스너(fastener)는 하부의 제2 태양전지모듈(200a)과 상부의 제2 태양전지모듈(200b)의 슬라이딩을 단속하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파스너는 토글클램프(toggle clamp, 500)로 구현될 수 있다.
토글클램프(500)는 레버(510) 및 스핀들(520)로 구성되어, 레버(510)는 제1 태양전지모듈(100)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스핀들(520)은 하부의 제2 태양전지모듈(200a)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하게 된다.
또한, 토글클램프(500)의 레버(510)는 하부의 제2 태양전지모듈(200a)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스핀들(520)은 상부의 제2 태양전지모듈(200b)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 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태양전지모듈(100)의 외측면에 설치된 토글클램프(500)의 레버(510)를 당겨서 하부의 제2 태양전지모듈(200a)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스핀들(520)을 해제한다.
이어서, 하부의 제2 태양전지모듈(200a)을 도 4의 (b)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밀면, 제1 고정레일(310)을 따라 제1 가동레일(320)이 슬라이딩되어 하부의 제2 태양전지모듈(200)과 상부의 제2 태양전지모듈(200b)은 차량(1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다음, 하부의 제2 태양전지모듈(200a) 외측면에 설치된 토글클램프(500)의 레버(510)를 당겨서 상부의 제2 태양전지모듈(200b)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스핀들(520)을 해제한다.
계속해서, 상부의 제2 태양전지모듈(200a)을 도 4의 (c)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밀면, 제2 고정레일(410)을 따라 제2 가동레일(420)이 슬라이딩되어 상부의 제2 태양전지모듈(200b)은 차량(1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태양전지모듈(100)의 상부에 적층된 복수의 제2 태양전지모듈(200)이 차량(10)의 외측으로 슬라이딩되어 확장되므로 많은 양의 에너지를 단시간에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차량 20 : 루프
100 : 제1 태양전지모듈 110 : 제1 솔라셀
120 : 제1 프레임 130 : 제1 레일브래킷
200 : 제2 태양전지모듈 210 : 제2 솔라셀
220 : 제2 프레임 230 : 제2 레일브래킷
300 : 제1 슬라이딩레일 400 : 제2 슬라이딩레일

Claims (6)

  1. 차량의 루프에 설치되는 태양전지모듈에 있어서,
    상기 차량(10)의 루프(20) 양측에 고정되는 제1 태양전지모듈(100);
    상기 제1 태양전지모듈(100)의 상부에 적층되어 상기 차량(10)의 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제2 태양전지모듈(200);
    상기 제1 태양전지모듈(100)과 제2 태양전지모듈(20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슬라이딩레일(300);
    상기 제1 태양전지모듈(100)의 상부에 적층된 복수의 제2 태양전지모듈(200)의 슬라이딩을 단속하는 파스너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태양전지모듈(100)은
    복수의 제1 솔라셀(110);
    상기 복수의 제1 솔라셀(110)을 고정하는 제1 프레임(120);
    상기 제1 프레임(120)의 전후 양측면에 구비되며, 상단부에는 상기 제1 프레임(120)의 상면으로 돌출되게 연장되는 제1 연장부(131)가 형성된 제1 레일브래킷(1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라이딩레일(300)은
    상기 제1 레일브래킷(130)의 제1 연장부(131)의 내면에 지지되는 제1 고정레일(310);
    상기 제2 태양전지모듈(200)의 일측에 지지되는 제1 가동레일(320);
    상기 제1 고정레일(310)과 제1 가동레일(320)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볼(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태양전지모듈.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태양전지모듈(200)은
    복수의 제2 솔라셀(210);
    상기 복수의 제2 솔라셀(210)을 고정하는 제2 프레임(220);
    상기 제2 프레임(220)의 전후 양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태양전지모듈(100)에 제1 슬라이딩레일(300)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레일브래킷(230)을 포함하되,
    상기 제2 레일브래킷(230)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2 프레임(220)의 상면으로 돌출되게 연장되는 제2 연장부(231)가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상기 제2 프레임(220)의 저면으로 돌출되게 연장되어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제2 레일채널(232)이 일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태양전지모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태양전지모듈(20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슬라이딩레일(4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슬라이딩레일(400)은
    상기 제2 연장부(231) 내면에 지지되는 제2 고정레일(410);
    상부에 적층되는 다른 제2 태양전지모듈(200b)의 제2 레일채널(232)에 지지되는 제2 가동레일(420);
    상기 제2 고정레일(410)과 제2 가동레일(420) 사이에 개재되는 제2 볼(4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태양전지모듈.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는 토글클램프(500)로 이루어지며,
    상기 토글클램프(500)는 제1 태양전기모듈(100)의 외측면과 제2 태양전지모듈(200)의 외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레버(510)와;
    제2 태양전기모듈(200)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스핀들(5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태양전지모듈.
KR1020180064718A 2018-06-05 2018-06-05 차량용 태양전지모듈 KR101977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718A KR101977558B1 (ko) 2018-06-05 2018-06-05 차량용 태양전지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718A KR101977558B1 (ko) 2018-06-05 2018-06-05 차량용 태양전지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7558B1 true KR101977558B1 (ko) 2019-05-10

Family

ID=66580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718A KR101977558B1 (ko) 2018-06-05 2018-06-05 차량용 태양전지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75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305A (ko) * 2020-06-29 2022-01-05 김상욱 차량에 구비되는 태양광 발전장치
WO2023193040A1 (en) * 2022-04-04 2023-10-12 UPSHALL, Lynelle A recreational vehicle solar panel system
WO2024044841A1 (en) * 2022-08-27 2024-03-07 Deeks David A Expandable solar panel array system and kits for sam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935B1 (ko) * 2005-10-17 2007-03-20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페이스트 도포장치의 시린지 고정장치
JP2009254200A (ja) * 2008-04-10 2009-10-29 Ichigo Holdings Co Ltd ソーラーカー
JP2011244610A (ja) * 2010-05-19 2011-12-01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太陽電池搭載車両
KR20120000893U (ko) 2010-07-28 2012-02-07 주식회사 티지솔라 차량용 태양전지 모듈
KR101260218B1 (ko) * 2013-02-19 2013-05-06 주진성 전기발생효율이 우수한 태양발전장치
KR20160050774A (ko) 2014-10-31 2016-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태양전지 루프패널
KR20170141585A (ko) * 2016-06-14 2017-12-26 (주)천일염업사 태양광 발전이 가능한 루프랙 조립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935B1 (ko) * 2005-10-17 2007-03-20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페이스트 도포장치의 시린지 고정장치
JP2009254200A (ja) * 2008-04-10 2009-10-29 Ichigo Holdings Co Ltd ソーラーカー
JP2011244610A (ja) * 2010-05-19 2011-12-01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太陽電池搭載車両
KR20120000893U (ko) 2010-07-28 2012-02-07 주식회사 티지솔라 차량용 태양전지 모듈
KR101260218B1 (ko) * 2013-02-19 2013-05-06 주진성 전기발생효율이 우수한 태양발전장치
KR20160050774A (ko) 2014-10-31 2016-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태양전지 루프패널
KR20170141585A (ko) * 2016-06-14 2017-12-26 (주)천일염업사 태양광 발전이 가능한 루프랙 조립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305A (ko) * 2020-06-29 2022-01-05 김상욱 차량에 구비되는 태양광 발전장치
KR102425015B1 (ko) 2020-06-29 2022-07-25 김상욱 차량에 구비되는 태양광 발전장치
WO2023193040A1 (en) * 2022-04-04 2023-10-12 UPSHALL, Lynelle A recreational vehicle solar panel system
WO2024044841A1 (en) * 2022-08-27 2024-03-07 Deeks David A Expandable solar panel array system and kits for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7558B1 (ko) 차량용 태양전지모듈
EP3550617B1 (en) Heterojunction solar cell
Klampaftis et al.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solar cells via luminescent down-shifting of the incident spectrum: A review
EP1947704B1 (en) Process for producing a cis-type thin-film solar battery module
JP5938584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WO2014105429A1 (en) Photovoltaic module frame with improved bondability
KR20130120257A (ko) 태양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
KR20160042975A (ko) 고 전기 감수율 층을 갖는 태양 전지 모듈
KR20140141763A (ko) 태양광 발전용 건축 패널을 이용한 벽체 구조
US20150000729A1 (en) Solar cell with passivation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60043249A1 (en) Solar cell modul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111146233B (zh) 显示装置
CN114389532A (zh) 一种多晶硅太阳能电池板面板固定机构
JP2011155217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CN209859959U (zh) 抗pid晶体硅太阳能电池组件
CN209496887U (zh) 轻量化光伏组件
CN202736938U (zh) 太阳能电池组件铝边框
CN218633752U (zh) 一种整体式水上光伏支架
CN104467657A (zh) 一种组合式光伏组件接线盒
WO2013136513A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CN216216641U (zh) 一种快装式稳定型光伏组件
CN220173181U (zh) 折叠式光伏组件
CN216625677U (zh) 光伏系统和具有其的车辆
CN102569476A (zh) 三结太阳能电池及其制备方法
CN218734194U (zh) 一种聚光光伏设备用高效散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