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3131A - 박피 방법 및 박피 장치 - Google Patents

박피 방법 및 박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3131A
KR20200073131A KR1020190160641A KR20190160641A KR20200073131A KR 20200073131 A KR20200073131 A KR 20200073131A KR 1020190160641 A KR1020190160641 A KR 1020190160641A KR 20190160641 A KR20190160641 A KR 20190160641A KR 20200073131 A KR20200073131 A KR 20200073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ressure chamber
steam
heating
pe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0360B1 (ko
Inventor
우에노 마야
오가타 야스히사
노구치 아키노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소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소딕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소딕
Publication of KR20200073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30Puffing or expanding
    • A23P30/32Puffing or expanding by pressure release, e.g. explosion puffing; by vacuum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005Peeling with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15/02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for stemming, piercing, or stripping fruit; Removing sprouts of potato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02Peel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8Multiple-step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더 짧은 가열시간으로 더욱 강력하게 박피를 행할 수 있는 박피 방법 및 박피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피 방법은 제 1 감압 공정, 가압 가열 공정, 제 2 감악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감압 공정은 밀폐된 압력실에 껍질을 갖는 피박피물을 넣고, 상기 압력실 내부를 소정의 제 1 부압 상태로 감압한다. 상기 가압 가열 공정은, 상기 제 1 감압 공정 후에 상기 압력실 내부를 소정의 가압 가열 상태로 가압 가열한다. 상기 제 2 감압 공정은 상기 가압 가열 공정 후에 상기 압력실 내부를 소정의 제 2 부압 상태로 감압한다.

Description

박피 방법 및 박피 장치{Peeling method and peeling device}
본 발명은 박피 방법 및 박피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과 같이, 채소류나 과실류 등의 껍질을 갖는 피박피물의 내용물과 껍질을 분리시키는 박피 방법으로서, 압력실에 피박피물을 수용하고, 압력실 내부를 가압 가열한 후에 급속하게 감압하여 박피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거의 내용물을 상실하지 않고서 껍질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수율로 박피를 행할 수 있다.
한편, 장시간 고온에 노출되면, 피박피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내용물이 변질되게 된다. 예를 들어, 내용물에 전분이 포함되는 경우, 장시간의 가열처리에 의해 전분의 대부분이 호화되어 α-전분이 된다. 이와 같은 변화는 생전분으로서의 내용물이 상품이 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상품가치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종자 등과 같이 딱딱한 껍질을 갖는 피박피물에 대해서는, 박피 시에 더 강한 힘이 요구되기 때문에 종래의 가압 가열 및 급속 감압에 의한 박피 방법으로는 충분히 껍질이 제거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일본 특개소 S48-099376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이며, 더 짧은 가열시간으로 더욱 강력하게 박피를 행할 수 있는 박피 방법 및 박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밀폐된 압력실에 껍질을 갖는 피박피물을 넣고, 상기 압력실 내부를 소정의 제 1 부압 상태로 감압하는 제 1 감압 공정과, 상기 제 1 감압 공정 후에 상기 압력실 내부를 소정의 가압 가열 상태로 가압 가열하는 가압 가열 공정과, 상기 가압 가열 공정 후에 상기 압력실 내부를 소정의 제 2 부압 상태로 감압하는 제 2 감압 공정을 포함하는 박피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껍질을 갖는 피박피물이 인입되는 밀폐된 압력실, 압력실 내부를 감압하는 감압 장치, 압력실 내부를 가압 가열하는 증기 공급 장치, 감압 장치 및 증기 공급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압력실 내부를 소정의 제 1 부압 상태로 감압하고, 감압된 압력실에 증기를 공급하여 압력실 내부를 소정의 가압 가열 상태로 가압 가열하고, 가압 가열 후의 압력실 내부를 소정의 제 2 부압 상태로 감압하는 박피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박피 방법 및 박피 장치에 의하면, 단시간의 가열처리로도 충분한 박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박피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요도이다.
도 2는 박피 장치의 흡배기 시스템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박피 장치를 이용한 박피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박피 처리 전의 피박피물의 개요도이다.
도 5는 박피 처리 후의 피박피물의 개요도이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의 각종 특징 사항은 상호 조합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피박피물이란 박피 대상이 되는 식물성 식품 또는 식물 유래의 식품을 지칭한다. 구체적으로, 피박피물에는 감자, 고구마 등의 야채류, 복숭아, 사과 등의 과실류, 메밀, 참깨, 밤, 유채, 해바라기 등의 종자가 포함된다. 껍질이란 박피의 대상이 되는 부위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껍질에는 야채류에 있어서는 껍질, 과실류에 있어서는 꽃턱의 껍질이나 외과피, 종자에 있어서는 외각이나 속껍질이 포함될 수 있다. 내용물이란 껍질에 의해 덮여진 내부를 말하며, 피박피물로부터 껍질을 제거한 잔존부와 대략 일치된다. 또한, 부압 상태란 기압이 1 기압 미만인 상태를 말한다. 가압 상태란 기압이 1 기압을 초과한 상태를 말한다.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피 장치(1)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피 장치(1)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요도이다. 또한, 도 2는 박피 장치(1)의 흡배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박피 장치(1)는 피박피물(O)에 대해서 감압이나 가압 가열 등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피박피물(O)이 갖는 껍질(O1)을 박피할 수 있는 장치이다. 박피 장치(1)는 피박피물(O)을 수용하는 압력실(2) 및 제어 장치(C)를 가지며, 이러한 압력실(2)은 증기 공급구(21), 증기 배기구(22), 감압구(23) 및 드레인구(24)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실(2)은 박피하는 피박피물(O)을 1개 또는 복수개 단위로 재치 가능한 리테이너(7)를 갖는다. 대량의 피박피물(O)을 박피하는 경우, 리테이너(7)는 배치 연속식으로 차례로 투입 및 교환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6개의 피박피물(O)이 리테이너(7)에 재치되어 압력실(2)에 수용되어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압력실(2)에 마련된 감압구(23)는 감압 장치(5)와 배관을 통해서 접속된다. 감압 장치(5)는 밀폐된 압력실(2) 내부를 감압하여 압력실(2) 내부의 압력을 소정의 부압 상태로 감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감압구(23)와 감압 장치(5) 사이의 배관에는 감압 밸브(51)가 배치된다. 또한, 감압구(23)와 감압 장치(5)를 접속하는 배관은 감압구(23)와 감압 밸브(51) 사이에서 분기되고, 부압 파괴 밸브(52)를 통해서 박피 장치(1)의 외부(이하, 단순히 "장치 외부"라고 한다)와 연통된다. 또한 감압 밸브(51)와 감압 장치(5) 사이에 밀폐된 공간을 갖는 감압 챔버가 설치될 수 있다. 압력실(2) 내부를 감압하기 전에 감압 밸브(51)가 닫힌 상태에서 감압 챔버가 부압 상태로 감압해둔다. 이 상태에서, 감압 밸브(51)를 개방함으로써 압력실(2) 내부를 신속하게 감압할 수 있다.
압력실(2)에 배치된 증기 공급구(21)는 증기 공급 장치(6)와 배관을 통해서 접속된다. 증기 공급 장치(6)는 밀폐된 압력실(2) 내부로 고온 가압의 증기를 공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압력실(2) 내부에 가능한 한 균일하게 증기가 퍼지도록 1개 또는 복수의 증기 공급구(21)가 적당한 위치에 적절히 배치된다. 증기 공급구(21)와 증기 공급 장치(6) 사이의 배관에는 증기 인입 밸브(62)가 배치될 수 있다. 증기 인입 밸브(62)와 증기 공급 장치(6)는 바람직하게는 증기 헤더(61)를 통해서 접속된다. 증기 헤더(61)는 증기 공급구(21)가 복수개 마련되는 경우, 각 증기 공급구(21)와 접속되는 복수의 배관을 집합시킬 수 있다. 또한, 압력실(2) 내부로 증기를 공급하기 전에 증기 인입 밸브(62)가 닫힌 상태에서 증기 헤더(61)에 증기를 저장해둘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증기 인입 밸브(62)를 개방함으로써 증기가 신속하게 압력실(2) 내부에 공급될 수 있다.
압력실(2)에 마련된 증기 배기구(22)와 접속되는 배관은 증기 배기 밸브(64)를 통해서 장치 외부와 연통된다. 압력실(2) 내에 공급된 증기는 증기 배기구(22)를 통해서 장치 외부로 배기된다. 압력실(2) 내부로부터 증기를 효율적으로 배기하도록 1개 또는 복수의 증기 배기구(22)가 적당한 위치에 적절히 배치된다. 증기 배기구(22)가 복수개 마련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증기 배기구(22)와 장치 외부 사이에는 배기 헤더(63)가 마련되고, 배기 헤더(63)는 각 증기 공급구(21)와 접속되는 복수의 배관을 집합시킬 수 있다.
압력실(2)에 마련된 드레인구(24)와 접속되는 배관은 드레인 밸브(65)를 통해서 장치 외부와 연통된다. 압력실(2) 내부에 공급된 증기가 응결되어 생성된 드레인은 드레인 밸브(65)를 통해서 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드레인구(24)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가 배치되어 있으나, 1개 또는 복수의 드레인구(24)가 적당한 위치에 적절히 배치될 수도 있다.
압력실(2)은 밀페된 공간이며, 압력실(2) 내부로 증기를 대략 균일하게 채움으로써, 압력실(2) 내부를 가압 가열 가능하게 구성된다. 환언하면, 압력실(2)은 소정의 가압 가열 상태로 할 수 있는 구조이면 되고, 재질도 가압 가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압력실(2)은 가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단열성이 높은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압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압력실(2)과 각 배관은 용접등으로 기밀성을 유지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력실(2)의 양단에는 각각 개폐 도어(85, 95)가 마련된다. 개폐 도어(85)는 내부 도어(82i), 외부 도어(82o), 외부 도어(82o)의 회동에 연동되는 기어(83o), 기어(83o)에 계합되어 내부 도어(82i)의 회동에 연동되는 기어(83i)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개폐 도어(95)는 내부 도어(92i), 외부 도어(92o), 외부 도어(92o)의 회동에 연동되는 기어(93o), 기어(93o)에 계합되어 내부 도어(92i)의 회동에 연동되는 기어(93i)를 갖는다. 압력실(2)의 감압 시에는 외부 도어(82o, 92o)가 기압차에 의해 압력실(2)의 외벽면에 대하여 눌려지고, 이에 의해 기어(83o, 83i, 93o, 93i)가 회전하여, 내부 도어(82i, 92i)도 연동되어 압력실(2)의 내벽면에 대하여 눌려진다. 압력실(2)의 가압 시에는 내부 도어(82i, 92i)가 기압차에 의해 압력실(2)의 내벽면에 대하여 눌려지고, 이에 의해 기어(83o, 83i, 93o, 93i)가 회전하여, 외부 도어(82o, 92o)도 연동되어 압력실(2)의 외벽면에 대하여 눌려진다. 이와 같은 개폐 도어(85, 95)는, 간단한 구성으로 압력실을 고도로 밀폐할 수 있다. 리테이너(7)의 출입 시에는, 개폐 도어(85, 95)가 개방되고, 개폐 도어(85)측의 개구부(81)가 리테이너(7)의 출구가 되며, 개폐 도어(95)측의 개구부(91)가 리테이너(7)의 입구가 된다.
감압 장치(5)는 압력실(2)의 내부를 흡인하고, 감압구(23)로부터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압력실(2) 내부의 압력을 소정의 부압 상태로까지 감압 가능하게 구성된다. 감압 장치(5)는 예를 들면 진공 펌프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부압 상태를 만들 수 있으면 다른 장치도 적용될 수 있다.
증기 공급 장치(6)는 증기 공급구(21)로부터 증기를 공급함으로써 압력실(2) 내부를 고온이면서 고압으로 할 수 있다. 증기 공급 장치(6)는, 예를 들면, 공급된 액체를 가열하여, 소정 압력 및 소정 온도의 증기를 생성하는 보일러이지만. 소정 압력 및 소정 온도의 증기를 생성할 수 있는 다른 장치일 수도 있다. 증기는 수증기가 바람직하고, 나아가 포화 증기가 바람직하다.
제어 장치(C)는 감압 장치(5)를 제어하는 기능 및 증기 공급 장치(6)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제어 장치(C)는 감압 밸브(51), 부압 파괴 밸브(52), 증기 인입 밸브(62), 증기 배기 밸브(64) 및 드레인 밸브(65)의 개폐 제어를 행한다. 제어 장치(C)에 대해서 감압 처리 및 가압 가열 처리를 수행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감압 장치(5) 또는 증기 공급 장치(6)에 의한 처리의 압력 값이 임의의 값으로 제어 가능한 것일 때 제어 장치(C)에 대해서 감압 처리 시 또는 가압 가열 처리 시의 소정의 압력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증기 공급 장치(6)에 의해 공급되는 증기의 온도는 예를 들어 압력 값을 변경함으로써 변경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들 설정 값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C)는 박피 장치(1)에서의 감압 장치(5)나 증기 공급 장치(6)를 제어하여 감압 또는 가압 가열을 실시한다. 제어 장치(C)는 각 기능이 발휘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면 된다.
또한, 제어 장치(C)는 예를 들면 광의의 회로에 의해 실시되는 하드웨어 리소스 및 이들 하드웨어 리소스에 의해 구체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의 정보 처리를 조합한 것도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 리소스는, 회로(Circuit), 회로류(Circuitry), 프로세서(Processor), 및 메모리(Memory) 등을 적어도 적당하게 조합시킴으로써 실현되는 회로이다. 즉, 주문형 집적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예를 들어, 단순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Simple Programmable Logic Device : SPLD)), 복합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 CPLD), 및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 FPGA)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제어 장치(C)는 피박피물(O)을 압력실(2)에 수용한 후, 압력실(2) 내부를 부압 상태로 감압하고, 감압된 압력실(2)에 증기를 공급하여 압력실(2) 내부를 가압 가열하고, 가압 가열 후의 압력실(2) 내부를 부압 상태로 감압한다. 감압은 2번 행해지므로, 첫번째 감압(제 1 감압 공정)과 두번째 감압(제 2 감압 공정)이 다른 처리조건에 의해 행해지는 경우, 전술한 소정의 압력 값, 은 다른 값으로 설정된다.
다음은, 위의 박피 장치(1)를 이용한 박피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도 3에 도시되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 따라서 피박피물(O)의 껍질(O1)이 박피되는 공정을 설명한다.
단계(S1)가 수행된다. 껍질(O1)과 내용물(O2)을 구비하고, 박피를 요하는 피박피물(O)(도 4 참조)이 압력실(2)에 수용된다. 피박피물(O)의 수용 후 개폐 도어(85, 95)가 폐쇄되고, 압력실(2)이 밀폐된다.
단계(S2), 즉 제 1 감압 공정이 수행된다. 압력실(2) 내부는 소정의 제 1 부압 상태로 감압된다. 구체적으로는, 부압 파괴 밸브(52), 증기 인입 밸브(62), 증기 배기 밸브(64) 및 드레인 밸브(65)를 닫은 상태에서 감압 밸브(51)가 열린다. 그리고, 감압 장치(5)가 작동되고 감압구(23)로부터 공기를 장치 외부로 배출하여 압력실(2) 내부를 제 1 부압 상태로 한다. 제 1 부압 상태로서는 1기압(약 0.10 MPa) 미만의 임의의 압력 범위이면 되나, 예를 들면 0.07 MPa 이하의 압력 범위이면 후술하는 가압 가열 공정에서 더욱 신속하게 증기를 압력실(2) 내부로 퍼지게 할 수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압력실(2) 내부를 약 0.05 MPa의 압력하에 두었다.
단계(S2)를 거침으로써 압력실(2)이 제 1 부압 상태가 된다. 그 결과, 다음 단계(S3)에서 증기를 공급했을 때에 신속하게 증기를 압력실(2) 내부로 퍼지게 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고 균일한 가압 가열이 가능해진다.
단계(S3), 즉, 가압 가열 공정이 수행된다. 단계(S2) 이후에, 압력실(2)의 내부로 고온이면서 고압의 증기를 공급하고, 압력실(2) 내부를 소정의 가압 가열 상태로 한다. 즉, 압력실(2) 내부에서의 가압 가열이 수행된다. 구체적으로는, 감압 밸브(51), 부압 파괴 밸브(52), 증기배기 밸브(64) 및 드레인 밸브(65)가 닫힌 상태에서 증기 인입 밸브(62)가 열린다. 그리고, 증기 공급 장치(6)가 작동되어, 증기 공급구(21)로부터 증기가 압력실(2) 내부로 공급되어 압력실(2)이 가압 가열 상태가 된다. 해당 증기의 온도 범위는 100℃를 초과하는 임의의 온도 범위이면 되나, 예를 들어 200 ℃ 이하이면 피박피물(O)의 열에 의한 변질을 억제할 수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 가압 상태의 압력 범위로서는 1 기압(약 0.10 MPa) 초과 1.60 MPa 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압력실(2) 내부를 약 0.45 MPa의 압력하에 두었다. 이때의 압력실(2) 내부의 온도는 약 146 ℃이다.
단계(S3)를 거침으로써 증기 온도 미만의 피박피물(O)에 증기가 접촉되면, 피박피물(O)의 껍질(O1)의 외표면에 증기가 응축되고, 응축 잠열에 의한 큰 열 에너지를 해당 외표면에 부여함과 동시에, 고온의 액체가 피박피물(O)의 껍질(O1)의 내부로 침투된다. 나아가 이때의 응축 잠열에 의해, 피박피물(O)의 외표면 부근에 포함되는 수분도 고온 상태가 된다.
단계(S4), 즉 제 2 감압 공정이 수행된다. 단계(S3)에서 고온 고압이 된 압력실(2) 내부를 소정의 제 2 부압 상태로 감압한다. 구체적으로는, 감압 밸브(51), 부압 파괴 밸브(52) 및 증기 인입 밸브(62)를 닫은 상태에서 증기 배기 밸브(64) 및 드레인 밸브(65)가 열린다. 그리고, 압력실(2)의 증기가 증기 배기구(22)로부터 장치 외부로 배기됨과 동시에, 증기가 응결되어 생성된 응축수가 드레인구(24)로부터 장치 외부로 배출한다. 그리고, 부압 파괴 밸브(52), 증기 인입 밸브(62), 증기 배기 밸브(64) 및 드레인 밸브(65)를 닫은 상태에서 감압 밸브(51)가 열린다. 그리고, 감압 장치(5)가 작동되고 감압구(23)로부터 공기가 장치 외부로 배출되어 압력실(2) 내부가 제 2 부압 상태로 된다. 압력실(2)이 감압됨으로써 액체의 비점이 낮아지면, 껍질(O1)과 내용물(O2) 사이의 수분이 비등하고, 상당히 큰 부피의 증기가 되고,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껍질(O1)과 내용물(O2) 사이에 틈(O3)이 형성되어, 피박피물(O)에서의 껍질(O1)이 내용물(O2)로부터 분리된다. 특히, 압력실(2)을 제 2 부압 상태로 함으로써 비점을 더욱 낮은 온도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가압 가열 후에 압력실(2)을 단순히 1기압으로 되돌리기만 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더욱 강력하게 박피를 행할 수 있다. 제 2 부압 상태로서는 1 기압(약 0.10 MPa) 미만의 임의의 압력 범위이면 되나, 제 2 감압 공정은 가압 가열 공정 후에 신속하게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부압 상태의 압력을 더욱 낮게 설정함으로써 더욱 빠르게 감압이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감압 공정 시에 수분이 증기가 되어 이동하는 속도, 즉 단열 팽창 속도는 390 m/sec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5)가 수행된다. 부압 파괴 발브(52)가 열리고, 단계(S4)에서 감압된 압력실(2) 내부가 상압으로 되돌려진다. 그리고, 개폐 도어(85)를 개방하여, 피박피물(O)을 압력실(2) 내부로부터 취출한다. 이와 같은 박리 방법이 실시된 피박피물(O)은 그 껍질(O1)이 용이하게 제거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껍질(O1)을 완전하게 제거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브러쉬 롤러등으로 끼워 넣어서 소정의 마찰력을 부여해도 되며, 공기등의 유체를 분사하여도 되며, 다양한 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 단계(S1~S5)를 적절하게 실시할 수 있는 환경이 있으면, 박피 장치(1)를 반드시 사용할 필요는 없을 수도 있다는 것에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박피 방법을 실시함에 있어, 전술한 단계(S1~S5)를 실시 가능한 다른 구성을 갖는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더 짧은 가열 시간으로 더욱 강력하게 박피를 행할 수 있는 박피 방법 및 박피 장치(1)가 제공될 수 있다. 가압 가열 공정에서의 가압 가열에 필요한 시간은 처리 시작 후 예를 들어 1 초 이상 60 초 이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10 초 정도의 가압 가열 공정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박피 방법은 밀폐된 압력실(2)에 껍질(O1)을 갖는 피박피물(O)을 넣고, 압력실(2) 내부를 제 1 부압 상태로 감압하는 제 1 감압 공정, 제 1 감압 공정 후에 압력실(2) 내부를 가압 가열하는 가압 가열 공정과, 가압 가열 공정 후에 압력실(2) 내부를 제 2 부압 상태로 감압하는 제 2 감압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 형태를 설명했으나, 이들은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해당 신규 실시 형태는 그 외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해당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동시에,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와 균등한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1 : 박피 장치 2 : 압력실
21 : 증기 공급구 22 : 증기배출구
23 : 감압구 24 : 드레인구
5 : 감압 장치 51 : 감압 밸브
52 : 부압 파괴 밸브 6 : 증기 공급 장치
61 : 증기 헤더 62 : 증기 인입 밸브
63 : 배기 헤더 64 : 증기 배기 밸브
65 : 드레인 밸브 7 : 리테이너
81 : 개구부 82i : 내부 도어
82o : 외부 도어 83i : 기어
83o : 기어 85 : 개폐 도어
91 : 개구부 92i : 내부 도어
92o : 외부 도어 93i : 기어
93o : 기어 95 : 개폐 도어
O : 피박피물 O1 : 껍질
O2 : 내용물 O3 : 틈

Claims (2)

  1. 밀폐된 압력실에 껍질을 갖는 피박피물을 넣고, 상기 압력실 내부를 소정의 제 1 부압 상태로 감압하는 제 1 감압 공정;
    상기 제 1 감압 공정 후에, 상기 압력실 내부를 소정의 가압 가열 상태로 가압 가열하는 가압 가열 공정; 및
    상기 가압 가열 공정 후에, 상기 압력실 내부를 소정의 제 2 부압 상태로 감압하는 제 2 감압 공정을 포함하는 박피 방법.
  2. 껍질을 갖는 피박피물이 넣어지는 밀폐된 압력실;
    상기 압력실 내부를 감압하는 감압 장치;
    상기 압력실 내부를 가압 가열하는 증기 공급 장치; 및
    상기 감압 장치 및 상기 증기 공급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압력실 내부를 소정의 제 1 부압 상태로 감압하고, 감압된 상기 압력실에 증기를 공급하여 상기 압력실 내부를 소정의 가압 가열 상태로 가압 가열하고, 가압 가열 후의 상기 압력실 내부를 소정의 제 2 부압 상태로 감압하는 박피 장치.
KR1020190160641A 2018-12-13 2019-12-05 박피 방법 및 박피 장치 KR1023403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33022A JP6513873B1 (ja) 2018-12-13 2018-12-13 剥皮方法および剥皮装置
JPJP-P-2018-233022 2018-1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131A true KR20200073131A (ko) 2020-06-23
KR102340360B1 KR102340360B1 (ko) 2021-12-20

Family

ID=66530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641A KR102340360B1 (ko) 2018-12-13 2019-12-05 박피 방법 및 박피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78689B2 (ko)
JP (1) JP6513873B1 (ko)
KR (1) KR102340360B1 (ko)
CN (1) CN11131715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6435A (ko) * 2020-10-28 2022-05-06 서영춘 진공압을 이용한 은행 박피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99376A (ko) 1972-04-05 1973-12-15
KR20010000064A (ko) * 1999-12-22 2001-01-05 양병수 밤 껍질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0515B1 (ko) 1978-04-17 1982-04-12 모기 사헤이지 밤의 박피 장치
CN1016759B (zh) * 1987-04-04 1992-05-27 奥本研究基金会 薄皮食物去皮法
KR20020074018A (ko) * 2001-03-19 2002-09-28 한국식품개발연구원 증기식 밤 박피기 및 밤 박피방법
JP4640747B2 (ja) * 2001-06-28 2011-03-02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タンパーエビデント特性を有する容器蓋の成形方法
IE20030015A1 (en) * 2003-01-13 2004-10-06 Oseney Ltd Pressure release arrangements for product processing system
US7615243B2 (en) * 2005-06-30 2009-11-10 Hougland Jerry M Method for peeling agricultural products having skins
CN107183738A (zh) 2017-04-28 2017-09-22 河北栗源食品有限公司 板栗脱壳工艺
CN108523148A (zh) 2018-06-02 2018-09-14 海南侯臣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果实脱壳设备及包含该脱壳设备的壳籽分离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99376A (ko) 1972-04-05 1973-12-15
KR20010000064A (ko) * 1999-12-22 2001-01-05 양병수 밤 껍질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6435A (ko) * 2020-10-28 2022-05-06 서영춘 진공압을 이용한 은행 박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317150B (zh) 2022-06-17
US11678689B2 (en) 2023-06-20
CN111317150A (zh) 2020-06-23
US20200187548A1 (en) 2020-06-18
JP6513873B1 (ja) 2019-05-15
KR102340360B1 (ko) 2021-12-20
JP2020092652A (ja)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ambrak et al. Accelerated drying of button mushrooms, Brussels sprouts and cauliflower by applying power ultrasound and its rehydration properties
CN105120684B (zh) 制备速食蒸米饭的设备和方法
KR20200073131A (ko) 박피 방법 및 박피 장치
Yousefi et al. Microwave assisted hot air drying of papaya (Carica papaya L.) pretreated in osmotic solution
Zanella-Díaz et al. Quick hydration of tepary (Phaseolus acutifolius A. Gray) and pinto beans (Phaseolus vulgaris L.) driven by pressure gradients
MX2016013349A (es) Proceso, aparato y sistema para tratar frutas o verduras.
JP4678306B2 (ja) 調理装置の運転制御方法
US10772978B2 (en) Sterilization system having an improved thermodynamic cycle and related method
JP5754839B2 (ja) 蒸煮装置
Luo et al. Effects of pretreatment on characteristics and qualities of Chinese jujube drying by segmented intermittent microwave coupled with hot air
JP5658596B2 (ja) 蒸煮装置
US11576406B2 (en) Method for the inactivation of microorganisms in foods
JP2007236843A (ja) 蒸気加熱装置
JP2007166925A (ja) 蒸気調理方法
US107652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pressure cooking
RU2238490C2 (ru) Способ сушки растительных материалов
JP4716257B2 (ja) 蒸気調理装置
US1982944A (en) Method for preparing spinach for canning
JP2007252580A (ja) 蒸気調理装置
JP6394299B2 (ja) 真空冷却装置
JP2018093838A (ja) 多孔質乾燥食品の製造方法及び多孔質乾燥食品製造装置
JP4605542B2 (ja) 蒸気調理装置
KR101231878B1 (ko) 복합 가열 건조방식을 이용한 천삼 및 흑삼 제조장치
JP3297319B2 (ja) 連続高圧殺菌装置
JP4605541B2 (ja) 蒸気調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