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5212A - 수치지도의 효율적인 편집을 위한 lisp 방식의 편집 방법과 편집장치 - Google Patents

수치지도의 효율적인 편집을 위한 lisp 방식의 편집 방법과 편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5212A
KR20200055212A KR1020180138336A KR20180138336A KR20200055212A KR 20200055212 A KR20200055212 A KR 20200055212A KR 1020180138336 A KR1020180138336 A KR 1020180138336A KR 20180138336 A KR20180138336 A KR 20180138336A KR 20200055212 A KR20200055212 A KR 20200055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editing
edit
origin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8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9878B1 (ko
Inventor
배상태
이성용
이진선
김창훈
강신민
Original Assignee
(주)신한항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한항업 filed Critical (주)신한항업
Priority to KR1020180138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878B1/ko
Publication of KR20200055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5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ISP(list processing) 기능을 적용한 CAD 프로그램을 활용해서 수치지도 그래픽을 효율적이면서도 정밀하게 편집하는 수치지도의 효율적인 편집을 위한 LISP 방식의 편집 방법과 편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LISP(list processing) 기능의 프로세서가 수치지도 그래픽의 수치지도 레이어와 편집 그래픽의 편집 레이어를 설정 식별코드에 따라 병합해 출력시키는 그래픽 출력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편집 레이어의 편집라인의 말단점을 스캔하고, 상기 말단점을 중심으로 기준 반경 이내에 편집 레이어와 동일 식별코드인 수치지도 레이어의 원본라인 여부를 확인하는 객체 라인 스캔 단계; 상기 기준 반경 이내에 원본라인이 확인되면, 상기 프로세서가 기준 반경 이내에 원본라인의 일부분을 그래픽적으로 절단해서 구획 처리하고 해당 구획 구간을 분할하는 객체 라인 수정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구획 구간을 삭제 처리하는 객체 라인 편집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수치지도의 효율적인 편집을 위한 LISP 방식의 편집 방법과 편집장치{SYSTEM AND METHOD BASED ON LISP FOR EDITING MAP}
본 발명은 LISP(list processing) 기능을 적용한 CAD 프로그램을 활용해서 수치지도 그래픽을 효율적이면서도 정밀하게 편집하는 수치지도의 효율적인 편집을 위한 LISP 방식의 편집 방법과 편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치지도 그래픽의 도화와 편집 작업은 CAD 프로그램을 활용해 이루어진다.
특히 도 1(수치지도 그래픽과 편집 그래픽이 시각적으로 합성된 모습을 보인 이미지)에서 보인 수치지도 그래픽을 편집하려면 작업자가 수치지도 그래픽을 배경으로 해서 편집 그래픽을 시각적으로 합성하고 CAD 프로그램의 기본 기능을 설정 메뉴얼에 따라 일일이 활용해 가며 작업을 진행했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길고 반복된 동일 작업에 의해 작업자는 상대적으로 많은 피로를 느낄 수밖에 없었다.
더욱이 이러한 장시간에 걸친 반복 작업과 피로로 인해서 작업 실수가 상대적으로 증가할 수밖에 없었고, 이는 곧 수치지도 그래픽의 편집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선행기술문헌 1. 특허공개번호 제10-2007-0070101호(2007.07.03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수치지도 그래픽에 대한 반복된 편집 과정은 작업자가 일일이 조작하지 않아도 일괄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해서 수치지도 그래픽을 효율적이면서도 정밀하게 편집하는 수치지도의 효율적인 편집을 위한 LISP 방식의 편집 방법과 편집장치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LISP(list processing) 기능의 프로세서가 수치지도 그래픽의 수치지도 레이어와 편집 그래픽의 편집 레이어를 설정 식별코드에 따라 병합해 출력시키는 그래픽 출력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편집 레이어의 편집라인의 말단점을 스캔하고, 상기 말단점을 중심으로 기준 반경 이내에 편집 레이어와 동일 식별코드인 수치지도 레이어의 원본라인 여부를 확인하는 객체 라인 스캔 단계;
상기 기준 반경 이내에 원본라인이 확인되면, 상기 프로세서가 기준 반경 이내에 원본라인의 일부분을 그래픽적으로 절단해서 구획 처리하고 해당 구획 구간을 분할하는 객체 라인 수정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구획 구간을 삭제 처리하는 객체 라인 편집 단계;
를 포함하는 수치지도의 효율적인 편집을 위한 LISP 방식의 편집 방법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수치지도 그래픽에 대한 반복된 편집 과정은 작업자가 일일이 조작하지 않아도 일괄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해서 수치지도 그래픽을 효율적이면서도 정밀하게 편집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수치지도 그래픽과 편집 그래픽이 시각적으로 합성된 모습을 보인 이미지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LISP 방식의 편집장치의 구성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LISP 방식의 편집 방법의 플로차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LISP 방식의 편집장치가 그래픽 이미지를 스캔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인 그래픽 이미지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LISP 방식의 편집장치가 원본라인을 편집하기 위해 구획 구간을 분리하는 모습을 보인 그래픽 이미지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LISP 방식의 편집장치가 원본라인을 편집한 모습을 보인 그래픽 이미지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LISP 방식의 편집장치가 편집된 라인을 최종 마감하는 모습을 보인 그래픽 이미지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LISP 방식의 편집장치의 구성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의 LISP 방식의 편집방법은, LISP(list processing) 기능의 프로세서(100)가 수치지도 그래픽의 수치지도 레이어와 편집 그래픽의 편집 레이어를 설정 식별코드에 따라 병합해 출력시키는 그래픽 출력 단계(S10; 도 3 참조); 프로세서(100)가 편집 레이어의 편집라인(M1, M2; 도 1 참조)의 말단점(P)을 스캔하고, 말단점(P)을 중심으로 기준 반경 이내에 편집 레이어와 동일 식별코드인 수치지도 레이어의 원본라인(L1, L2) 여부를 확인하는 객체 라인 스캔 단계(S20); 상기 기준 반경 이내에 원본라인(L1, L2)이 확인되면, 프로세서(100)가 편집라인(M1, M2)과 교차하는 원본라인(L1, L2)의 일지점을 그래픽적으로 구획 처리하고 해당 구획 구간(C'; 도 5 참조)을 분할하는 객체 라인 수정 단계(S30); 프로세서(100)가 구획 구간(C')을 삭제 처리하는 객체 라인 편집 단계(S40);를 포함한다.
전술한 편집방법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의 LISP 방식의 편집장치는, 수치지도 그래픽 데이터와 편집 그래픽 데이터를 저장하는 레이어DB(110)와, 레이어DB(110)에서 해당하는 식별코드의 수치지도 그래픽 데이터 및 편집 그래픽 데이터를 검색하고 병합해 실행시키는 로딩모듈(120)과, 로딩모듈(120)이 병합해 실행시킨 편집 그래픽의 편집 레이어의 편집라인(M1, M2; 도 1 참조)의 말단점(P)을 스캔하고 말단점(P)을 중심으로 기준 반경 이내에 편집 레이어와 동일 식별코드인 수치지도 레이어의 원본라인(L1, L2) 여부를 확인하는 스캐닝모듈(130)과, 로딩모듈(120)이 실행시킨 수치지도 그래픽 데이터 및 편집 그래픽 데이터 각각의 수치지도 그래픽과 편집 그래픽을 출력시키고 수치지도 그래픽 및 편집 그래픽에 대한 스캐닝모듈(130)의 스캐닝 모습을 모니터(200)를 통해 출력시키는 출력모듈(140)과, 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 수치지도 그래픽을 편집 그래픽을 이용해 편집해서 레이어DB(110)의 해당 수치지도 그래픽을 갱신 저장하는 그래픽 처리모듈(150)을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을 이루는 본 실시의 LISP 방식의 편집장치는, DB(110) 및 모듈(120, 130, 140, 150)이 하드웨어 프로세서(미도시함)와 함께 OS(Operating System; 160)를 기반으로 연동해 동작하면서 컴퓨터 프로세서(100)를 구축한다.
레이어DB(110)에 저장된 수치지도 그래픽 데이터 및 편집 그래픽 데이터는 각각 객체별로 식별코드가 설정된 하나 이상의 객체 레이어로 구성되고, 상기 객체 레이어는 객체의 종류와 형태 등에 따라 객체 라인 또는 객체 아이콘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로딩모듈(120)은 레이더DB(110)에서 수치지도 그래픽 데이터와 편집 그래픽 데이터를 각각 검색해 로딩해서, 상기 수치지도 그래픽 데이터 및 편집 그래픽 데이터에 각각 구성된 객체 레이어 및 편집 레이어를 이미지로 출력시킨다. 물론 상기 객체 레이어 및 편집 레이어를 출력하면, 상기 객체 레이어에 구성된 원본라인(L1, L2)이 이미지로 출력되고, 상기 편집 레이어에 구성된 편집라인(M1, M2)이 이미지로 출력된다.
한편, 로딩모듈(120)은 수치지도 레이어와 편집 레이어를 서로 병합해 출력하므로, 원본라인(L1, L2)과 편집라인(M1, M2)은 도 1과 같이 식별코드에 맞춰 서로 병합해 출력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LISP 방식의 편집 방법의 플로차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LISP 방식의 편집장치가 그래픽 이미지를 스캔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인 그래픽 이미지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LISP 방식의 편집장치가 원본라인을 편집하기 위해 구획 구간을 분리하는 모습을 보인 그래픽 이미지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LISP 방식의 편집장치가 원본라인을 편집한 모습을 보인 그래픽 이미지이다.
S10; 그래픽 출력 단계
LISP(list processing) 기능의 프로세서(100)의 로딩모듈(120)은, 수치지도 그래픽의 수치지도 레이어와 편집 그래픽의 편집 레이어를 설정 식별코드에 따라 병합해 출력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00)의 로딩모듈(120)은 작업자가 입력한 명령값에 따라 레이어DB(110)에 저장된 해당하는 수치지도 그래픽 데이터와 편집 그래픽 데이터를 각각 검색해 로딩한다. 상기 로딩 과정에서 수치지도 그래픽 데이터에 구성된 수치지도 레이어가 추출되어 이미지로 추출되고, 편집 그래픽 데이터에 구성된 편집 레이어가 추출되어 이미지로 추출된다. 따라서 상기 수치지도 레이어에 구성된 원본라인(L1, L2)은 작업자가 가시할 수 있도록 도 1과 같이 출력되고, 상기 편집 레이어에 구성된 편집라인(M1, M2)도 출력된다.
아울러, 로딩모듈(120)은 상기 수치지도 레이어와 편집 레이어를 각각 식별코드에 맞춰서 병합해 출력시키므로, 상기 수치지도 레이어와 편집 레이어에 구성된 원본라인(L1, L2)과 편집라인(M1, M2)은 동일한 식별코드인 경우에 도 1과 같이 지정된 위치에 함께 출력된다.
참고로, 상기 수치지도 레이어와 편집 레이어 등의 레이어는 Adobe Photoshop® 등과 같은 공지의 그래픽 편집 소프트웨어와 같이, 하나의 라인 또는 아이콘 등을 다른 라인 또는 아이콘 등과 구분해 처리하기 위한 단위이므로, 로딩모듈(120)이 식별코드에 따라 수치지도 레이어와 편집 레이어를 맞춰 서로 병합하면, 상기 수치지도 레이어와 편집 레이어에 각각 구성된 원본라인(L1, L2)과 편집라인(M1, M2)은 도 1과 같이 동일한 위치에 서로 근접하며 함께 출력된다.
S20; 객체 라인 스캔 단계
프로세서(100)의 스캐닝모듈(130)은, 도 1과 같이 편집 레이어의 편집라인(M1, M2)의 말단점(P, P')을 스캔하고, 말단점(P, P')을 중심으로 기준 반경 이내에 편집 레이어와 동일 식별코드인 수치지도 레이어의 원본라인(L1, L2) 여부를 확인한다.
레이어DB(110)에서 검색된 수치지도 그래픽 데이터는 기존의 수치지도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주기적인 정보 수집을 통해 새로운 편집 그래픽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고, 상기 새로운 편집 그래픽 데이터를 근거로 기존의 수치지도 그래픽 데이터를 수정 및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LISP 방식의 편집 방법과 편집장치는 새로운 편집 그래픽 데이터를 근거로 기존의 수치지도 그래픽 데이터를 수정 및 갱신한다. 이를 위한 프로세싱은, 로딩모듈(120)이 작업자의 명령값에 따라 레이어DB(110)에서 해당하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레이어를 병합 출력시키면, 후속 절차는 LISP 방식에 의해 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 프로세서(100)가 일괄적으로 자동 실행한다.
객체 라인 스캔 단계(S20)는 LISP 방식에 의해 실행되는 한 단계이다.
한편, 스캐닝모듈(130)은 수치지도 레이어와 편집 레이어가 병합 출력된 그래픽 이미지에서 편집라인(M1, M2)의 말단점(P, P')을 스캔한다. 본 실시에서 상기 편집 레이어의 구성 객체는 편집라인(M1, M2)이므로, 상기 그래픽 이미지에는 원본라인(L1, L2)이 포함되고, 편집라인(M1, M2)은 단부가 끊겨서 일단 또는 양단의 말단점(P, P')이 모두 노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스캐닝모듈(130)은 스캐닝 과정에서 동일한 편집라인(M1, M2)의 말단점(P, P')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확인할 수 있다.
계속해서, 로딩모듈(120)에 의한 수치지도 레이어 및 편집 레이어의 병합 출력 과정을 통해, 동일한 식별코드의 원본라인(L1, L2)과 편집라인(M1, M2)이 서로 근접하게 출력되고, 편집라인(M1, M2)의 말단점(P, P')을 중심으로 도 1 및 도 4와 같이 기준 반경 이내(붉은 써클 이내)에는 해당하는 원본라인(L1, L2)이 인접하게 배치된다. 결국 스캐닝모듈(130)은 편집라인(M1, M2)의 말단점(P, P')을 우선 스캔하고, 말단점(P, P')이 확인되면 해당 말단점(P, P')을 중심으로 기준 반경 이내에 원본라인(L1, L2)의 존재 여부를 스캔한다.
한편, 상기 기준 반경 이내에 동일 식별코드인 원본라인이 미확인되거나, 상기 기준 반경 이내에 원본라인이 다수 개가 확인되면, 프로세서(100)의 스캐닝모듈(130)이 편집라인의 말단점(P, P')에 써클을 표시한다.
상기 써클은 도 1 및 도 4에 붉은 원형과 같이 생성되고, 작업자는 상기 써클에 주목해서 해당 편집라인의 후속 처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붉은 써클이 표시된 편집라인의 말단점에서 기준 반경 이내에 원본라인이 확인되지 않으면, 작업자는 편집라인의 식별코드를 원본라인의 식별코드와 비교해서 수정하거나 편집라인의 도화 상태에 대해 체크한다. 한편, 상기 붉은 써클이 표시된 편집라인의 말단점에서 기준 반경 이내에 다수의 원본라인이 확인되면, 작업자는 편집라인에 대응하는 원본라인을 직접 선정한다.
참고로, 스캐닝모듈(130)은 말단점(P, P')을 기준으로 기준 반경 이내에 해당 편집라인(M)과 동일한 식별코드의 원본라인(L)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므로, 상기 기준 반경 이내에 다수 개의 원본라인(L)이 확인되어도, 편집라인(M)과 동일한 식별코드의 원본라인(L)이 확인되면 써클 표시를 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작업자의 확인을 위해서 원본라인(L)이 다수 개가 확인된다면, 편집라인(M)과 동일한 원본라인(L)이 확인되어도 써클을 표시할 수 있다.
S30; 객체 라인 수정 단계
상기 기준 반경 이내에 원본라인(L1, L2)이 확인되면, 프로세서(100)의 그래픽 처리모듈(150)이 편집라인(M1, M2)과 교차하는 원본라인(L1, L2)의 일부분을 그래픽적으로 구획 처리하고 도 5의 (b)도면과 같이 해당 구획 구간(C')을 원본라인(L)과 분할한다.
종래에는 도 5의 (a)도면과 같이 작업자가 직접 말단점(P, P')의 위치를 확인해서 말단점(P, P')의 범위 내에 속하는 원본라인(L)의 일부분(C)을 시각적으로 확인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해당하는 일부분(C)을 일일이 그래픽적으로 삭제해야 했다.
그러나, 본 실시의 LISP 방식의 편집 방법은, 그래픽 처리모듈(150)이 말단점(P, P')의 위치를 확인해서 말단점(P, P')의 범위 내에 속하는 원본라인(L)의 일부분을 분할하여 구획 구간(C')으로 생성한다. 또한 그래픽 처리모듈(150)은 구획 구간(C')을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원본라인(L) 및 편집라인(M)과는 색상을 다르게 하는 등의 식별표시를 할 수 있다. 본 실시에서 구획 구간(C')의 색상을 달리하는 식별표시를 했으나, 이외에도 별도의 말표시를 하거나 식별 아이콘을 링크해 출력시킬 수 있다.
결국, 작업자는 구획 구간(C')이 삭제되기 이전에 원본라인(L)에서 삭제될 구획 구간(C')의 옳고 그름을 시각적으로 체크할 수 있다.
참고로, 객체 라인 스캔 단계(S20)에서, 상기 기준 반경 이내에 동일 식별코드인 1개의 원본라인이 확인되면, 프로세서(100)의 스캐닝모듈(130)이 원본라인(L)과 편집라인(M) 간에 교차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원본라인(L)과 편집라인(M)이 서로 미교차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프로세서(100)의 스캐닝모듈(130)이 기준 반경 내에서 편집라인(M)의 말단이 원본라인(L)과 교차하도록 연장한다. 여기서 '교차'란, 두 라인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은 물론, 두 라인 중 하나의 라인이 다른 하나의 라인과 접하는 것을 포괄한다.
따라서 연장된 편집라인(M)의 말단점(P, P')은 원본라인(L)과 교차하는 지점으로 조정되고, 구획 구간(C')은 새롭게 조정된 말단점(P, P')을 기준으로 원본라인(L)으로부터 분할된다.
S40; 객체 라인 편집 단계
프로세서(100)의 그래픽 처리모듈(150)은 구획 구간(C')을 삭제 처리한다.
전술한 대로 구획 구간(C')이 확인되면 도 6과 같이 그래픽 처리모듈(150)은 구획 구간(C')을 자동으로 삭제하거나, 작업자의 체크 이후의 제어에 따라 삭제할 수 있다.
결국, 원본라인(L1, L2)은 편집라인(M1, M2)과 연결되고, 이렇게 연결된 원본라인(L1, L2)과 편집라인(M1, M2)을 그래픽 처리모듈(150)은 새로운 원본라인으로 생성해서 해당하는 수치지도 레이어를 갱신한다. 물론, 상기 수치지도 레이어의 갱신을 통해 해당하는 수치지도 그래픽 데이터 또한 갱신되고, 레이어DB(110)에 저장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LISP 방식의 편집장치가 편집된 라인을 최종 마감하는 모습을 보인 그래픽 이미지이다.
S50; 객체 라인 연결 단계
객체 라인 편집 단계(S40)에서 구획 구간(C')이 삭제된 원본라인(L)의 말단점(P")과 편집라인(M)의 말단점(P)이 연결되도록, 프로세서(100)의 그래픽 처리모듈(150)은 도 7의 (b)도면과 같이 원본라인(L)과 편집라인(M)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그래픽적으로 연장 처리한다.
전술한 대로 스캐닝모듈(130)은 편집라인(M)의 말단점(P)을 중심으로 기준 반경 이내에 위치한 동일 식별코드의 원본라인(L)을 확인하므로, 편집라인(M)과 원본라인(L) 간에 직접적인 교차 여부와는 상관 없이 그래픽 처리모듈(150)은 상기 기준 반경 이내에 위치한 지점을 도 7의 (a)도면과 같이 원본라인(L)의 구획 구간(C')의 시점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구획 구간(C')이 삭제된 원본라인(L)의 말단점(P")은 편집라인(M)의 말단점(P)과 서로 교차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그래픽 처리모듈(150)은 도 7의 (b)도면과 같이 원본라인(L)과 편집라인(M)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그래픽적으로 연장해서, 원본라인(L)의 말단점(P")과 편집라인(M)의 말단점(P)이 서로 연결되게 한다.
결국, 새롭게 갱신된 해당 라인은 일체를 이루는 완성된 원본라인을 이루게 되고, 따라서 신뢰도 있는 수치지도 그래픽 데이터를 완성할 수 있다.
참고로, 원본라인(L)과 편집라인(M)이 서로 교차하지 않는 상태에서 구획 구간(C') 생성을 위한 기준점인 원본라인(L)의 말단점(P") 지정은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나, 본 실시에서 원본라인(L)의 말단점(P") 지정 방식은, 해당 기준 반경 이내 원본라인(L)에서 편집라인(M)의 말단점(P)과 가장 근접한 지점을 원본라인(L)의 말단점(P")인 것으로 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 구획 구간
L, L1, L2; 원본라인 M, M1, M2; 편집라인
P, P'; 편집라인의 말단점 P"; 원본라인의 말단점

Claims (3)

  1. LISP(list processing) 기능의 프로세서가 수치지도 그래픽의 수치지도 레이어와 편집 그래픽의 편집 레이어를 설정 식별코드에 따라 병합해 출력시키는 그래픽 출력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편집 레이어의 편집라인의 말단점을 스캔하고, 상기 말단점을 중심으로 기준 반경 이내에 편집 레이어와 동일 식별코드인 수치지도 레이어의 원본라인 여부를 확인하는 객체 라인 스캔 단계;
    상기 기준 반경 이내에 원본라인이 확인되면, 상기 프로세서가 기준 반경 이내에 원본라인의 일부분을 그래픽적으로 절단해서 구획 처리하고 해당 구획 구간을 분할하는 객체 라인 수정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구획 구간을 삭제 처리하는 객체 라인 편집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지도의 효율적인 편집을 위한 LISP 방식의 편집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라인 스캔 단계에서, 상기 기준 반경 이내에 동일 식별코드인 원본라인이 미확인되거나, 상기 기준 반경 이내에 원본라인이 다수 개가 확인되면, 상기 프로세서가 편집라인의 말단점에 써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객체 라인 편집 단계에서 구획 구간이 삭제된 원본라인의 말단점과 편집라인의 말단점이 연결되도록, 상기 프로세스가 원본라인과 편집라인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그래픽적으로 연장 처리하는 객체 라인 연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지도의 효율적인 편집을 위한 LISP 방식의 편집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라인 스캔 단계에서 기준 반경 이내에 동일 식별코드인 1개의 원본라인이 확인되면, 상기 객체 라인 수정 단계에서, 상기 프로세서가 원본라인과 편집라인 간에 교차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미교차로 확인되면 상기 프로세서가 기준 반경 내에서 편집라인이 원본라인과 교차하도록 연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객체 라인 편집 단계에서, 상기 프로세서가 구획 구간이 그래픽적으로 식별되도록 편집하거나, 상기 구획 구간에 식별표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지도의 효율적인 편집을 위한 LISP 방식의 편집 방법.
KR1020180138336A 2018-11-12 2018-11-12 수치지도의 효율적인 편집을 위한 lisp 방식의 편집 방법과 편집장치 KR102189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336A KR102189878B1 (ko) 2018-11-12 2018-11-12 수치지도의 효율적인 편집을 위한 lisp 방식의 편집 방법과 편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336A KR102189878B1 (ko) 2018-11-12 2018-11-12 수치지도의 효율적인 편집을 위한 lisp 방식의 편집 방법과 편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212A true KR20200055212A (ko) 2020-05-21
KR102189878B1 KR102189878B1 (ko) 2020-12-14

Family

ID=70910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336A KR102189878B1 (ko) 2018-11-12 2018-11-12 수치지도의 효율적인 편집을 위한 lisp 방식의 편집 방법과 편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87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8516A (ja) * 1996-01-19 1997-07-31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等高線描画方法
KR20070070101A (ko) 2005-12-28 2007-07-03 주식회사 유성 수치지도의 등고선 자동입력장치와 그 입력방법
KR100831605B1 (ko) * 2005-09-05 2008-05-27 재단법인 석곡관측과학기술연구원 항공영상 활용 및 판독관리 방법 및 기록매체
US20100179755A1 (en) * 2006-09-21 2010-07-15 Atsushi Kohno Map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20120128395A (ko) * 2011-05-17 2012-11-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제외지 및 제내지 지형자료 통합 시스템
KR101469087B1 (ko) * 2014-07-25 2014-12-12 동아항업주식회사 지형이미지와의 정밀비교를 통한 수치좌표 링크형 수치지도의 오차확인시스템
KR101494826B1 (ko) * 2014-11-04 2015-02-23 김은경 Gps좌표 기반 영상의 부분오류 수정용 이미지영상 처리시스템
KR101507393B1 (ko) * 2014-11-04 2015-04-08 주식회사 우리강산시스템 수치지도의 범용 편집처리를 위한 폴리곤 단위의 수치지도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8516A (ja) * 1996-01-19 1997-07-31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等高線描画方法
KR100831605B1 (ko) * 2005-09-05 2008-05-27 재단법인 석곡관측과학기술연구원 항공영상 활용 및 판독관리 방법 및 기록매체
KR20070070101A (ko) 2005-12-28 2007-07-03 주식회사 유성 수치지도의 등고선 자동입력장치와 그 입력방법
US20100179755A1 (en) * 2006-09-21 2010-07-15 Atsushi Kohno Map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20120128395A (ko) * 2011-05-17 2012-11-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제외지 및 제내지 지형자료 통합 시스템
KR101469087B1 (ko) * 2014-07-25 2014-12-12 동아항업주식회사 지형이미지와의 정밀비교를 통한 수치좌표 링크형 수치지도의 오차확인시스템
KR101494826B1 (ko) * 2014-11-04 2015-02-23 김은경 Gps좌표 기반 영상의 부분오류 수정용 이미지영상 처리시스템
KR101507393B1 (ko) * 2014-11-04 2015-04-08 주식회사 우리강산시스템 수치지도의 범용 편집처리를 위한 폴리곤 단위의 수치지도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9878B1 (ko) 2020-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293903A (ja) Cad/cam装置
EP0535894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orming a graphic pattern
KR102189878B1 (ko) 수치지도의 효율적인 편집을 위한 lisp 방식의 편집 방법과 편집장치
JPS63172330A (ja) 文書処理装置の網かけ方式
US20020051000A1 (en) Design support system facilitating process modification
JP3658027B2 (ja) 図形編集装置および図形編集方法
JP3239292B2 (ja) 図形編集処理システムの図形特定制御方法
JPH08161519A (ja) 複合文書編集方法及び複合文書編集処理装置
JP4905226B2 (ja) 基板回路ブロック選択装置、基板回路ブロック選択方法および基板回路ブロック選択プログラム
JP2003223204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プログラミング方法およびその装置並びに記憶媒体
JP3572054B2 (ja) 図形処理装置及び方法
JP3275277B2 (ja) 図形描画作成装置及び方法
JP2002373004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プログラミング装置。
JPH07104876B2 (ja) 設計支援方法及び設計支援装置
JP3028029B2 (ja) 多角形図形のクリッピング描画方式
JPH07320089A (ja) 図形の隠線化編集システム
CN116361156A (zh) 测试用例的冒烟测试方法、计算机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H0525339B2 (ko)
JPH03182931A (ja) 構成定義支援方式
JPH07296042A (ja) Cadシステムのハッチング方法
JPH0744723A (ja) 図面作成装置
JP2002140653A (ja) シミュレーションデータ作成方法、装置及び記録媒体
JPH10105738A (ja) 図形処理装置及び図形処理方法
JPH0233615A (ja) 業務処理手順図表示選択型対話処理方式
JPH06215145A (ja) グラフ作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