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4826B1 - Gps좌표 기반 영상의 부분오류 수정용 이미지영상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Gps좌표 기반 영상의 부분오류 수정용 이미지영상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4826B1
KR101494826B1 KR20140152090A KR20140152090A KR101494826B1 KR 101494826 B1 KR101494826 B1 KR 101494826B1 KR 20140152090 A KR20140152090 A KR 20140152090A KR 20140152090 A KR20140152090 A KR 20140152090A KR 101494826 B1 KR101494826 B1 KR 101494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olygon
module
polyline
mpolyg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52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경
Original Assignee
김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경 filed Critical 김은경
Priority to KR20140152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48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영상에서 폴리곤 객체 타입으로 표현되는 지상물이미지를 해당 지점에 위치한 실제 지형이미지와 정밀비교해서 불일치한 지점을 확인하고 해당 지점의 GPS좌표를 조정하거나 상기 GPS좌표 위치로 지상물이미지를 조정하는 GPS좌표 기반 영상의 부분오류 수정용 이미지영상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미지영상 내 객체 타입의 지상물이미지를 대상이 되는 지형이미지와 비교해서 지상물이미지의 오차 여부를 손쉽게 확인하고, 상기 지상물이미지의 배치위치 또한 지형이미지에 맞춰 손쉽게 수정할 수 있으므로, 제작된 이미지영상의 오차를 손쉽게 파악해서 수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신뢰도 있는 이미지영상 제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GPS좌표 기반 영상의 부분오류 수정용 이미지영상 처리시스템{Error Checking System for Digital Map}
본 발명은 폴리곤 객체 타입으로 표현된 수치지도의 이미지영상에서 실제 지형이미지와 지상물이미지를 서로 비교해서 오류의 발생 여부를 파악하고, GPS좌표를 기준으로 지상물이미지를 지형이미지의 대상에 맞춰서 상기 오류를 수정하는 GPS좌표 기반 영상의 부분오류 수정용 이미지영상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수치지도의 바탕이 되는 이미지영상에는 다양한 지상물이미지가 표현되고, 상기 지상물이미지는 기하학적인 요소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점, 선, 면의 도면요소가 활용된다. 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이미지영상에서 면으로 표현하는 도로경계면, 건물, 실폭하천, 수부지형경계면 등의 다양한 지형지물은 면형으로 표현되고, 상기 면형에는 색상과 패턴이 표시된다. 한편, 대부분 하나의 면형객체로 하나의 지형지물을 표현하나 두 개 이상의 면형객체가 이루어져 하나의 지형지물을 표현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현재 이미지영상을 편집하거나 관리하는 대부분의 시스템에서는 폴리곤(Polygon) 객체로 면형을 표현하는데, 면형의 내부에 또 다른 면형이 존재할 경우 내부의 면형객체를 홀(Hole)이라고 한다. 또한 다수의 폴리곤이 이루어져 하나의 객체를 형성하는 것을 다중폴리곤(MultiPolygon)이라 한다. 이때, 폴리곤의 색상표현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 홀(Hole)은 색상을 표시하지 않는다. 즉, 구멍난 면형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술한 방식을 이용하여 이미지영상(DWG 파일) 제작을 위한 입력 및 편집 작업 수행하는 경우 양끝점이 연결된 닫힌 폴리라인(Closed-Polyline)으로만 폴리곤과 다중폴리곤을 표현할 수 있다.
이때, 폴리곤 객체 및 다중폴리곤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한 개의 홀을 가진 폴리곤을 표현하는 경우에 닫힌 폴리라인 내부 영역에 또 다른 닫힌 폴리라인을 표시하고, 두 개의 면형을 가진 다중폴리곤은 개별적인 닫힌 폴리라인으로 분리하여 표현이 가능하다.
하지만, 단일 지형지물을 여러 개의 객체로 표현할 수 있음으로 이미지영상 입력 및 편집 작업을 하거나, 이미지도면에서 어떤 지형지물을 검색하고자 할 경우에 연관되어 있는 다른 객체를 같이 고려해야함으로써, 작업자의 많은 주의를 요하며 작업의 능률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홀 폴리곤인 경우 색상을 표시할 때 전체가 채워져 있는 게 아니라 내부의 홀은 표시되지 않고 구멍이 생기도록 표현해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홀 표시방식은 두 개의 닫힌 폴리라인 즉, 외부 폴리라인과 내부 폴리라인이 겹쳐지게 되어 내부의 폴리라인(홀)이 가려지거나, 두 개의 폴리라인이 각각 선택됨으로써, 구멍난 한 개의 객체로 표현할 수가 없다.
그리고 폴리곤이나 다중폴리곤을 지원하는 다른 시스템의 데이터 포맷을 불러들이거나, 내보내기 할 때 객체 타입을 그대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부가적인 작업이 필요하다. 즉 불러들일 때는 분리된 객체의 정보를 따로 관리하여야 하고 내보내기 수행 시에 저장된 파일의 시스템에서 분리된 객체를 다시 하나의 객체로 편집해 주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미지영상은 오토캐드(Autocad) 시스템을 이용하여 확인 가능한데, 상위 버전의 캐드 시스템을 사용하면 폴리곤 및 다중폴리곤 객체가 존재하지만, 오토캐드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상위 버전에서 작성된 파일은 하위 버전에서 확인 불가능하여 호환성에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타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객체 타입을 새로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타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생성된 객체를 파일로 저장한 경우 그에 따른 응용프로그램을 갖지 않으면 편집 및 수정이 불가능한 문제점도 있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폴리곤 별로 GPS좌표 등의 고유한 속성정보를 입력해서 이를 기준으로 폴리곤들의 식별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수치지도 객체의 속성정보를 이용한 다중폴리곤 생성시스템 및 그 방법(등록번호 10-0759269)"이 발명되었다.
그런데, 종래 발명은 설정된 규칙에 따라 폴리곤 별로 작업자가 직접 해당하는 속성정보를 입력해야 하므로, 작업에 번거로움과 곤란함이 있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종래 발명은 폴리곤 단위로 영역 또는 사물 등이 구분된 이미지영상에서, 작업자가 다수의 폴리곤이 하나의 객체를 이루는 다중폴리곤과, 하나의 폴리곤이 하나의 객체를 이루는 폴리곤으로 직접 구분하고, 이렇게 구분된 각각의 폴리곤에 해당 지점의 GPS좌표를 속성정보로 입력하거나, GPS좌표가 링크된 자체 고유코드를 속성정보로 입력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속성정보 입력방식은 수많은 폴리곤에 대한 속성정보 입력을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수행해야 하므로 업무적 부담이 컸고, 더욱이 폴리곤별로 일일이 속성정보를 확인해서 입력해야 하므로 시간적 부담 또한 컸으며, 작업자의 착오 또는 실수 등에 의해서 잘못된 속성정보가 임의의 폴리곤에 입력될 수도 있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이러한 수작업 방식은 항공촬영된 지점의 실제 지형이미지(항공촬영이미지)와 이미지영상 내 해당 지상물이미지 간의 위치적 불일치를 일으켜서 정밀한 수치지도 제작을 곤란하게 하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수작업으로 진행하는 종래 발명은 폴리곤의 객체구조가 단순한 형식의 이미지영상에서 제한적으로 활용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0759269호(2007.09.17 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이미지영상에 표현된 지상물이미지와, 상기 지상물이미지에 해당하는 실제 지형의 대상 지형이미지를 GPS좌표를 기준으로 서로 비교해서 상기 지형이미지와 차이가 있는 지상물이미지를 확인하고, 해당 지상물이미지의 위치와 속성정보를 수정해서 이미지영상의 오류를 해소할 수 있는 GPS좌표 기반 영상의 부분오류 수정용 이미지영상 처리시스템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미지영상 제작 소프트웨어(A)를 이용하여 제작된 이미지영상을 수신받는 데이터입력모듈부(10); 폴리라인의 기하학적인 관계를 분석하여 MPolygon 객체를 생성하는 생성모듈부(20); 폴리라인의 속성정보를 설정하는 속성정보설정모듈부(30); 폴리라인에 상기 속성정보를 링크하는 속성정보부착모듈부(40); 수치지도에 존재하는 MPolygon 객체 검색하는 검색추출모듈부(50); MPolygon 객체에 폴리곤을 추가, 제거 또는 MPolygon 객체의 속성정보를 제거하는 변경모듈부(60); 이미지영상 정보, MPolygon 객체, 폴리곤 객체, 폴리라인 객체 및 객체별 속성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 상기 검색추출모듈부(50)가 추출한 MPolygon 객체를 출력장치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모듈부(80); 상기 구성요소(10, 20, 30, 40, 50, 60, 70, 80)를 제어하여 MPolygon 객체를 구성하는 폴리곤과, 상기 폴리곤 별 속성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모듈부(90);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는 이미지영상의 대상이 되는 지형이미지를 저장하고, 상기 속성정보는 해당 GPS좌표를 포함하며;
MPolygon 객체와 폴리곤 객체와 폴리라인 객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객체 타입으로 된 지상물이미지에 대응하는 지형이미지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에서 검색하고, 상기 지상물이미지의 속성정보에 포함된 GPS좌표에 따라 상기 지형이미지의 GPS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지상물이미지를 지형이미지에 맞춰 조합하는 객체비교모듈부(100)와;
상기 지상물이미지와 지형이미지의 각 중심을 확인해서 상기 중심을 기준점(SP1, SP2)으로 각각 설정하고, 서로 동일한 대상을 지시하는 지상물이미지와 지형이미지의 각 기준점(SP1, SP2)을 링크해서 객체비교모듈부(100)와 객체수정모듈부(110)에 전달하는 기준점 설정모듈(101)과;
상기 지형이미지와 지상물이미지의 오차 여부를 확인하고, 오차가 있는 지상물이미지를 해당하는 지형이미지에 맞춰서 위치를 수정하되, 지상물이미지에 대한 선택이 확인되면 상기 지상물이미지의 기준점(SP2)의 위치가 서로 링크된 지형이미지의 기준점(SP1)의 위치와 맞춰지도록 상기 지상물이미지의 위치를 수정하며, 위치가 수정된 지상물이미지를 갱신하는 객체수정모듈부(1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부(90)는 상기 객체비교모듈(100)과 객체수정모듈부(110)를 제어하고;
상기 생성모듈부(20)는 폐합된 폴리라인을 폴리곤으로 인식하고, 하나 이상의 폴리라인을 공유하는 둘 이상의 폴리곤은 다중폴리곤으로 인식해서 MPolygon 객체로 하는 객체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속성정보설정모듈부(30)는,
디스플레이모듈부(80)를 통해 출력되는 수치지도를 종방향 스캐닝(111)과 횡방향 스캐닝(112) 중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스캔하는 스캔모듈(31)과;
상기 스캐닝을 통해 처음으로 감지된 제1폴리라인의 소속 MPolygon 객체를 상기 객체데이터에서 확인하고, 다음으로 순차 감지되는 폴리라인의 소속 MPolygon 객체를 상기 객체데이터에서 확인하는 폴리곤위치확인모듈(32)과;
상기 객체데이터에서 확인된 MPolygon 객체를 구분하기 위한 고유값인 MID를 설정하고, 상기 제1폴리라인이 이루는 제1폴리곤의 일련번호인 PID를 설정하며, 상기 제1폴리곤이 다른 제2폴리곤 내에 위치한 독립된 폴리곤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값인 HOLE를 설정해서, 상기 제1폴리곤의 속성정보인 (MID, PID, HOLE)을 자동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폴리곤에 링크하는 한편, 다음으로 감지된 제2폴리라인이 상기 제1폴리라인과 공유하는 폴리라인의 존재 여부를 확인해서, 상기 제2폴리라인이 상기 MPolygon 객체의 폴리라인인지, 상기 MPolygon 객체와 독립된 다른 MPolygon 객체의 폴리라인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MPolygon 객체의 폴리라인이면 상기 제2폴리라인의 MID를 제1폴리라인의 MID와 동일하게 설정하고, PID는 상기 제1폴리라인의 다음 번호로 카운트해서 설정하며, 상기 다른 MPolygon 객체의 폴리라인이면 상기 제2폴리라인의 MID는 제1폴리라인의 다음 번호를 카운트해서 설정하고, PID는 초기화해서 시작번호로 설정하는 속성정보설정모듈(33);
로 구성된 GPS좌표 기반 영상의 부분오류 수정용 이미지영상 처리시스템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이미지영상에 표현된 지상물이미지와, 상기 지상물이미지에 해당하는 실제 지형의 대상 지형이미지를 GPS좌표를 기준으로 서로 비교해서 상기 지형이미지와 차이가 있는 지상물이미지를 확인하고, 해당 지상물이미지의 위치와 속성정보를 수정해서 이미지영상의 오류를 손쉽게 해소하므로, 이미지영상에 대한 고효율의 수정처리가 기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성모듈부가 MPolygon 객체를 생성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속성정보부착모듈부가 해당 폴리곤의 폴리라인에 속성정보를 링크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분추가모듈이 폴리곤을 일부 추가 등록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2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분제거모듈이 폴리곤을 일부 삭제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2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제모듈이 해당 폴리곤의 폴리라인에 링크된 속성정보값을 제거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2f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부가 폴리곤을 검색, 생성 및 편집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영상 객체의 속성정보를 이용한 다중폴리곤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전체 흐름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곤 또는 다중폴리곤에 속성정보를 부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상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속성정보모듈부의 구성모습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부가 이미지영상을 스캔하고, 속성정보설정모듈부가 속성정보를 설정하며, 속성정보부착모듈부가 해당 폴리곤에 속성정보를 링크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객체비교모듈부가 MPolygon 객체, 폴리곤 객체, 폴리라인 객체 타입의 지상물이미지와 지형이미지를 비교하는 모습을 보인 이미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객체수정모듈부가 지형이미지를 기준으로 지상물이미지의 위치 수정을 준비하는 모습을 보인 이미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객체수정모듈부가 지상물이미지를 지형이미지에 맞춰 수정하는 모습을 보인 이미지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객체비교모듈부가 설정한 기준점이 해당하는 지형이미지와 지상물이미지에 각각 표시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선등록특허 제0759269호를 그대로 이용한다. 때문에,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0759269호에 기재된 사항들이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0759269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수치지도에서 하나의 폴리곤이 하나의 객체를 이루는 폴리곤 또는 다수의 폴리곤이 하나의 객체를 이루는 다중폴리곤을 자동 식별하는 생성모듈부(20)와, 해당 폴리곤에 대응한 속성정보를 자동으로 입력하는 속성정보설정모듈부(30)와, 폴리곤에 상기 속성정보를 부착하는 속성정보부착모듈부(40)가, 본 발명의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0759269호의 내용을 일부 인용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첨부 도면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폴리곤에 속하는 폴리라인에 일정한 속성정보를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바, 작업자로부터 이미지영상 제작 소프트웨어(A)를 이용하여 제작된 이미지영상을 수신받는 데이터입력모듈부(10)와, 폴리곤 객체를 수치지도에서 작업자가 선택해서 해당 폴리곤에 구성된 폴리라인의 기하학적인 관계를 분석하여 MPolygon 객체를 생성하는 생성모듈부(20)와, 폴리라인에 링크된 속성정보의 값을 설정하는 속성정보설정모듈부(30)와, 폴리라인에 상기 설정된 속성정보를 링크하는 속성정보부착모듈부(40)와, 수치지도에 존재하는 MPolygon을 검색하는 검색추출모듈부(50)와, 이미지영상에 있어서 폴리라인에 링크된 속성정보를 제거 또는 링크상태를 유지시키는 변경모듈부(60)와, MPolygon 객체를 리스트로 등록하여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와, 상기 검색추출모듈부(50)를 통해서 추출된 MPolygon을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 또는 별도로 구비된 출력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모듈부(80)와, MPolygon 객체, 폴리곤 객체, 폴리라인 객체 등의 객체 타입의 이미지영상 제작이 완료된 이미지영상과 대상 지형이미지를 서로 비교하는 객체비교모듈부(100)와, 비교결과 위치에 차이가 있는 객체를 지형이미지에 맞춰 수정하는 객체수정모듈부(110)와, 수치지도상에서 폴리곤을 검색, 생성 및 편집할 수 있도록 상기 운용 프로그램의 절차에 따라 상기 구성요소(10, 20, 30, 40, 50, 60, 70, 80, 100, 110)를 제어하는 제어모듈부(90)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이미지영상의 처리과정은 이미지영상 제작 소프트웨어(A)에 의해 수행되며 이하에서는 그 언급을 생략하겠으나,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일련의 제작 방법은 이미지영상 제작 소프트웨어(A)의 일부 기능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DWG 파일로 저장되는 이미지영상을 입력받아 오토캐드(Autocad)를 이용함으로써 확인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영상 제작 소프트웨어(A)를 오토캐드로 설정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생성모듈부(20)는 객체선택모듈(21)을 이용하여 수치지도상에서 폴리라인을 선택하면, 확인분석모듈(22)이 폴리라인의 폐합(廢合)여부, 폴리곤 간의 공유 폴리라인의 존재여부, 폴리라인의 교차여부 또는 폴리라인 내부에 독립된 폴리라인의 존재여부 등을 고려하여 기하학적인 관계를 분석한 후, 객체생성모듈(23)을 통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폴리곤 또는 다중폴리곤(MultiPolygon)을 MPolygon 객체로 생성한다. 여기서, 두 개 이상의 폴리곤이 하나의 폴리라인을 공유하고 있음이 확인되면, 상기 두 개 이상의 폴리곤은 다중폴리곤을 이루는 것으로 간주하고, 하나의 MPolygon 객체로 관리한다.
한편, 확인분석모듈(22)은 폴리라인이 폐합되어 있지 않거나 서로 교차가 발생한다면 해당 폴리라인은 폴리곤을 형성할 수가 없으므로 이를 무시하고, 상기 폴리라인 내부에 독립된 폴리라인이 존재하면 해당 HOLE로 판단한다. 참고로, 다중폴리곤은 다수 개의 폴리곤이 하나의 객체를 이루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MPolygon 객체 내의 폴리곤 개수가 1개이면 폴리곤(Polygon) 객체가 되고, 1개 이상이면 다중폴리곤(MultiPolygon) 객체가 된다. 결국, MPolygon 객체는 하나의 폴리곤 또는 다중폴리곤을 하나의 객체로 처리한 것으로서, 폴리곤에 대한 보다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생성모듈부(20)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생성모듈부(20)의 객체선택모듈(21)은 수치지도에 도시된 폴리라인을 확인하고, 확인분석모듈(22)은 해당 폴리라인이 폐합되었는지, 두 개 이상의 폴리곤이 하나의 폴리라인을 공유하고 있는지, 다른 폴리라인과 교차하고 있는지, 폴리라인 내부에 다른 폴리라인이 있는지 등을 확인해서, 도 4(본 발명에 따른 속성정보모듈부의 구성모습을 도시한 블록도) 및 도 5(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부가 이미지영상을 스캔하고, 속성정보설정모듈부가 속성정보를 설정하며, 속성정보부착모듈부가 해당 폴리곤에 속성정보를 링크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에서 보인 MPolygon 객체를 생성하고, MPolygon 객체의 객체데이터로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에 저장한다.
속성정보설정모듈부(30)의 스캔모듈(31)은 생성모듈부(20)가 인식한 수치지도를 스캔하고, 폴리곤위치확인모듈(32)은 MPolygon 객체(101, 102, 103, 104, 105)의 위치를 확인한다. 또한, 속성정보설정모듈부(30)의 속성정보설정모듈(33)은 MID, PID 및 HOLE를 포함하는 속성정보 테이블을 구성하여 각 폴리라인에 링크되는 속성정보를 설정한다. 여기서, MID는 수치지도에서 MPolygon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값을 나타내고, PID는 다중폴리곤 내에 속하는 폴리곤들의 일련번호를 나타내며, HOLE는 폴리곤내 에 속하는 개별 폴리라인에 대해 홀(Hole)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홀의 값이 1이면 Hole 객체임을 의미하고, 값이 0이면 Boundary(지도나 도면에 명기된 엄밀한 의미로서의 경계선) 객체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속성정보설정모듈부(30)가 수치지도에서 속성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속성정보설정모듈부(30)의 스캔모듈(31)은 수치지도에서 종방향 스캐닝(111)과 횡방향 스캐닝(112) 중 하나 이상을 진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종방향 스캐닝(111)에 의한 속성정보 자동 설정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4에서 보인 바와 같이, 속성정보설정모듈부(30)의 스캔모듈(31)은 디스플레이모듈부(70)에 출력되는 수치지도를 종방향 스캐닝(111)을 해서, 우선적으로 감지되는 폴리라인을 순서대로 확인한다. 계속해서, 폴리곤위치확인모듈(32)은 우선적으로 감지된 폴리라인의 MPolygon 객체 및 구성 폴리곤의 위치를 확인하며, 속성정보설정모듈(33)은 확인된 위치정보를 기초로 폴리곤의 속성정보를 순서대로 설정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속성정보설정모듈부(30)의 스캔모듈(31)은 종방향 스캐닝(111)을 진행하면서 폴리라인을 순차로 감지하고, 폴리곤위치확인모듈(32)은 해당 폴리라인이 소속된 MPolygon 객체를 상기 객체데이터에서 확인해 인지하며, 속성정보설정모듈(33)은 상기 폴리라인이 소속된 MPolygon 객체의 MID를 '1'로 설정한다. 계속해서, 상기 폴리라인은 상기 MPolygon 객체에서 최초로 감지되었으므로 상기 폴리라인의 대상 폴리곤 식별코드인 PID를 '1'로 설정하며, 상기 폴리곤이 홀인지 여부를 확인해서 홀인 경우 HOLE을 '1'로 설정하고 HOLE이 아닌 경우에는 '0'으로 설정한다. 결국, 속성정보설정모듈(33)은 상기 폴리곤의 속성정보를 (1,1,0)으로 자동 설정한다.
계속해서, 스캔모듈(31)이 다음으로 새롭게 감지한 폴리라인을 폴리곤위치확인모듈(32)은 다음 폴리곤으로 간주하고, 속성정보설정모듈(33)은 전술한 절차에 따라 상기 폴리곤의 속성정보를 (1,2,0)으로 자동 설정하며, 그 다음의 폴리곤은 (1,3,0)으로 자동 설정한다. 이러한 과정으로 모든 폴리라인이 감지될 때까지 속성정보를 연속해서 자동 설정하며, 첫 번째 MPolygon 객체(101)는 6개의 폴리라인이 감지되어서 해당 폴리곤에 속성정보가 자동설정된다.
다음으로, 첫 번째 MPolygon 객체(101)의 폴리곤 별 속성정보가 모두 설정되면, 두 번째 MPolygon 객체(102)를 확인해서, MID를 '2'로 설정한다. 참고로 두 번째 MPolygon 객체(102)는 1개의 폴리곤으로 구성되므로, 두 번째 MPolygon 객체(102)의 속성정보는 (2,1,0)으로 자동 설정된다.
다음으로, 세 번째(103), 네 번째(104), 다섯 번째 MPolygon 객체(105)는 유사한 높이 선상에 위치한다. 그러나, 다수의 MPolygon 객체(103, 104, 105)가 유사한 높이 선상에 중첩되어도, 속성정보설정모듈부(30)는 서로 연결된 폴리라인을 하나의 MPolygon 객체로 간주해서 우선 감지한 후 동일한 MID에 소속시키고, 아울러서 서로 연결된 폴리라인이 이루는 폴리곤을 하나의 MPolygon 객체로 간주해서 PID를 설정한다. 따라서 세 번째 MPolygon 객체(103)에 구성된 폴리라인 보다 네 번째 MPolygon 객체(104)에 구성된 폴리라인이 종방향 스캐닝(111) 과정에서 우선 감지되어도, 서로 연결된 세 번째 MPolygon 객체(103)의 구성 폴리라인을 하나의 MPolygon 객체로 조합해 속성정보를 설정하고, 네 번째 MPolygon 객체(104)의 구성 폴리라인은 이와 병행해서 독립적으로 새로운 속성정보를 설정한다. 결국, 세 번째 MPolygon 객체(103)의 속성정보는 네 번째 MPolygon 객체(104) 위치와는 상관없이 (3,n,n)으로 자동 설정되고, 네 번째 MPolygon 객체(104)는 (4,n,n)으로 속성정보가 자동 설정된다.
한편, 네 번째 MPolygon 객체(104)는 홀 형식의 폴리곤을 갖추며, 따라서 자동 설정되는 속성정보는 (4,1,0)과 (4,1,1)이다. 물론 다섯 번째 MPolygon 객체(105)는 네 번째 MPolygon 객체(104)에서 (4,1,0)과 (4,1,1)을 속성정보로 하는 폴리곤들 사이에 위치하나, 전술한 바와 같이 네 번째 MPolygon 객체(104)와는 상관없이 (5,1,0)으로 속성정보가 자동 설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속성정보설정모듈부(30)는 수치지도를 스캐닝해서 MPolygon 객체의 위치 순서를 확인하고, 이렇게 확인된 위치 순서와 생성모듈부(20)가 확인한 MPolygon 객체정보를 조합해서 폴리곤 별 속성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한 후,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에 저장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종방향 스캐닝(111) 중 동일한 위치 선상에 있는 두 개 이상의 MPolygon 객체들이 감지되면, 상기 MPolygon 객체들을 횡방향 스캐닝(112)해서 해당하는 감지순서로 속성정보를 자동 설정한다.
속성정보부착모듈부(4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라인에 상기 설정된 속성정보를 링크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술한 속성정보(MID, PID, HOLE)를 구성하여 각각의 폴리곤을 이루는 폴리라인에 속성정보를 링크한다. 이는, 사용자가 수치지도에서 선택한 폴리라인이 다중폴리곤(MultiPolygon)을 형성하면 그에 따른 속성정보를 구성하고 각각의 폴리라인에 속성정보를 링크한다.
한편, 수치지도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폴리라인이 폴리곤(Polygon)을 형성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속성정보(MID, PID, HOLE)를 구성하여 각각의 폴리라인에 속성정보를 링크한다. 이때, 폴리라인은 홀(Hole)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검색추출모듈부(50)는 이미지영상에서 폴리라인을 검색하고, 그에 따른 다중폴리곤을 생성하고, 다중폴리곤 내의 폴리라인을 추출한 후, HOLE이 0인 경우에 처리객체를 Boundary 객체로 등록시키고, HOLE이 1인 경우에 처리객체를 Hole 객체로 등록시킴으로써, MPolygon 객체의 속성정보들을 저장 및 관리한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에 저장되는 MPolygon 객체를 편집 또는 다른 포맷형식으로 변경 저장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변경모듈부(60)는 MPolygon에 폴리곤을 추가, 제거, 또는 MPolygon의 모든 속성정보를 제거함으로써 일반 폴리라인(Closed Polyline)으로 전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경모듈부(60)는 기등록된 MPolygon에 속하는 폴리라인들과 사용자가 추가하기 위해 선택한 폴리라인들을 함께 확인분석모듈(22)을 이용한 기하학적인 관계를 고려하고 설정모듈부(30)에 의하여 속성정보를 재구성하여 폴리라인에 부착함으로써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olygon에 폴리곤을 추가하는 부분추가모듈(51)과,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등록된 MPolygon에서 작업자가 선택한 폴리곤을 일부 삭제하는 부분제거모듈(52)과,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등록된 MPolygon에 속하는 모든 폴리라인에 부착된 속성정보를 제거하는 해제모듈(53)을 포함한다. 이때, 해제모듈(53)은 기등록된 MPolygon 객체를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에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객체비교모듈부(100)는 전술한 과정에 따라 완성된 MPolygon 객체, 폴리곤 객체, 폴리라인 객체 등의 객체 타입의 지상물이미지와, 상기 폴리곤 객체의 대상이 된 지형이미지를 서로 비교한다. 이를 위해서 객체비교모듈부(100)는 폴리곤 기술에 의해 완성된 이미지영상의 대상 지형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에서 검색하고, GPS좌표를 기준으로 지형이미지와 이미지영상의 지상물이미지를 도 6(본 발명에 따른 객체비교모듈부가 MPolygon 객체, 폴리곤 객체, 폴리라인 객체 등의 객체 타입의 지상물이미지와 지형이미지를 비교하는 모습을 보인 이미지)에서 보인 바와 같이, 서로 비교한다.
비교결과, 제2지형이미지를 기준으로 제2지상물이미지의 위치가 제 위치를 벗어났음이 확인된다.
한편, 객체비교모듈부(100)에 구성된 기준점 설정모듈(101)은 지상물이미지와 지형이미지 각각의 중심을 연산해서 해당 중심 위치를 기준점(SP1, SP2)으로 설정한다. 기준점(SP1, SP2)이 설정되면 기준점(SP1, SP2)의 위치정보는 해당하는 지상물이미지와 지형이미지에 각각 소속되고, 도 9(본 발명에 따른 객체비교모듈부가 설정한 기준점이 해당하는 지형이미지와 지상물이미지에 각각 표시된 모습을 보인 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서로 짝을 이루는 지상물이미지의 기준점(SP2)과 지형이미지의 기준점(SP1)은 서로 링크되어서 객체비교모듈부(100) 및 객체수정모듈부(110)에 의해 관리된다.
객체수정모듈부(110)는 이를 확인하고 도 7(본 발명에 따른 객체수정모듈부가 지형이미지를 기준으로 지상물이미지의 위치 수정을 준비하는 모습을 보인 이미지) 및 도 8(본 발명에 따른 객체수정모듈부가 지상물이미지를 지형이미지에 맞춰 수정하는 모습을 보인 이미지)에서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상물이미지를 제2지형이미지에 맞춰 이동시켜서 대상이 되는 MPolygon 객체, 폴리곤 객체, 폴리라인 객체 등의 객체 타입의 지상물이미지를 갱신한다.
결국, 작업자가 객체 타입의 이미지영상 초안을 완성한 후 지상물이미지의 위치가 옳은 지 여부를 일일이 체크할 필요 없이, 객체비교모듈부(100)의 이미지 조합과 객체수정모듈부(110)의 수정을 통해 자동으로 처리하므로, 효율적이면서도 정확한 오차 확인 및 그 처리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문제가 된 지상물이미지의 수정을 위해서 작업자가 해당하는 지상물이미지 또는 지형이미지를 터치스크린 등의 방식으로 선택하면, 객체수정모듈부(110)는 선택된 지상물이미지 또는 지형이미지를 확인한 후 해당 지상물이미지를 지형이미지의 위치에 맞추게 되는데, 지상물이미지의 이동은 도 9의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지상물이미지의 기준점(SP2)이 지형이미지의 기준점(SP1)에 맞춰지는 형태가 된다. 즉, 작업자가 임의의 지상물이미지 또는 지형이미지를 선택하면, 객체수정모듈부(110)는 선택된 이미지의 기준점과 이와 링크된 기준점을 확인하고, 해당하는 지상물이미지를 기준점(SP1, SP2)이 서로 만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지상물이미지와 지형이미지가 서로 동일한 위치에 게시되도록 수정하는 것이다. 결국, 작업자는 지상물이미지를 수작업으로 수정하는 번거로움 없이, 해당 지상물이미지의 선택만으로도 오류가 있는 대상 지상물이미지를 손쉽게 수정하는 효과가 있다.
제어모듈부(90)는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입력모듈부(10), 생성모듈부(20), 속성정보설정모듈부(30), 속성정보부착모듈부(40), 검색추출모듈부(50), 변경모듈부(60),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 디스플레이모듈부(80), 객체비교모듈부(100), 객체수정모듈부(110)를 제어함으로써, 이미지영상 객체의 속성정보를 이용한 다중폴리곤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통해 이미지영상 객체의 속성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어모듈부(9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파일 포맷(SHP, NGI등)형식으로 제작된 수치지도를 작업자로부터 수신한다(S2). 본 실시예에서 수지도면을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것으로 설정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행화면(DWG 면)만을 실행시킨 상태에서도 작업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어모듈부(90)는 폴리라인에 속성정보를 부여한다(S4). 즉, 폴리라인에 속성정보를 부여하는 상기 제 S4 단계를 도 3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어모듈부(90)는 고유한 id값을 새로 생성한다(S4a). 여기서 id는 폴리곤 또는 다중폴리곤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한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다음, 제어모듈부(90)는 이미지영상을 구성하는 폴리곤 객체 또는 다중폴리곤 객체를 처리하기 위해 PID의 'count= 0'으로 초기화시킨다(S4b). 여기서 count는 이미지영상을 구성하는 폴리곤 객체 또는 다중폴리곤 객체의 개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우선, 제어모듈부(90)는 속성정보를 MPolygon 객체 내의 Boundary 폴리라인에 링크한다(S4c). 구체적으로, 제어모듈부(90)는 이미지영상에서 MPolygon 객체 내의 폴리곤을 검색한 후(S4c1), 상기 폴리곤에 따른 속성정보(MID, PID, HOLE)를 생성한다(S4c2). 이때, count는 'count+1'로 자동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곤의 카운트 순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속성정보설정모듈(30)의 스캐닝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설정된다.
제어모듈부(90)는 상기 추출된 폴리곤의 속성정보값을 'MID = id, PID = count, HOLE = 0'으로 설정한 후(S4c3), 상기 설정된 속성정보를 MPolygon내의 Boundary 폴리라인에 링크한다.
제어모듈부(90)는 이미지영상에서 MPolygon 내의 Hole 폴리라인을 검색한 후(S4d1), 상기 폴리라인에 따른 속성정보(MID, PID, HOLE)를 생성한다(S4d2).
제어모듈부(90)는 상기 추출된 Hole 폴리라인의 속성정보 값을 'MID = id, PID = count, HOLE = 1'로 설정한 후(S4d3), 상기 설정된 속성정보를 폴리곤 내의 Hole 폴리라인에 링크한다.
다음으로, 제어모듈부(90)는 수치지도에 속성정보가 링크된 MPolygon 객체를 검색한 후, 처리된 객체를 선택한다(S6). 이때, 제어모듈부(90)는 상기 처리된 객체에 링크된 속성정보(MID, PID, HOLE)를 확인한다(S8). 제어모듈부(90)는 상기 속성정보 중 'MID'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에 저장된 객체 중 MPolygon이 검색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10).
상기 제 S10 단계에 있어서, MPolygon이 검색되는 경우 제어모듈부(90)는 'PID'를 이용하여 MPolygon에서 폴리곤이 검색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12).
상기 제 S12 단계에 있어서, 폴리곤이 검색되는 경우 제어모듈부(90)는 'HOLE=1'인지 여부를 판별한다(S14). 즉, 상기 제 S14 단계의 판단결과 'HOLE=1'인 경우 제어모듈부(90)는 처리 객체를 검색된 폴리곤에 Hole 객체로 등록시킨다(S16).
다음으로 제어모듈부(90)는 MPolygon에 폴리곤을 등록시킨다(S18). 즉, 새로 생성된 신규 폴리곤인 경우에 MPolygon에 폴리곤을 등록시킨다. 이때, 제어모듈부(90)는 MPolygon의 유일키를 'MID'로 설정한다(S20). 다음으로, 제어모듈부(90)는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에 MPolygon 등록시킨다(S22). 이는, 새로 생성된 MPolygon인 경우에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에 등록시킨다. 마지막으로, 제어모듈부(90)는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에 신규 폴리곤 및 신규폴리곤을 포함하는 신규 MPolygon을 등록 및 관리한다.
반면, 상기 제 S14 단계의 판단결과 'HOLE=0'인 경우 제어모듈부(90)는 처리 객체를 검색된 폴리곤에 Boundary 객체로 등록시킨다(S24). 만일, 상기 제 S12 단계에 있어서, 폴리곤이 검색되지 않는 경우 제어모듈부(90)는 새로운 폴리곤을 생성한다(S26).
한편, 상기 제 S10 단계에 있어서, MPolygon이 검색되는 않는 경우 제어모듈부(90)는 새로운 MPolygon을 생성한다(S28).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데이터입력모듈부 20 : 생성모듈부
21 : 객체선택모듈 22 : 확인분석모듈
23 : 객체생성모듈 30 : 속성정보설정모듈부
40 : 속성정보부착모듈부 50 : 검색추출모듈부
60 : 변경모듈부 61 : 부분추가모듈
62 : 부분제거모듈 63 : 해제모듈
70 : 데이터베이스모듈부 80 : 디스플레이모듈부
90 : 제어모듈부 100; 객체비교모듈부
110; 객체수정모듈부

Claims (1)

  1. 이미지영상 제작 소프트웨어(A)를 이용하여 제작된 이미지영상을 수신받는 데이터입력모듈부(10); 폴리라인의 기하학적인 관계를 분석하여 MPolygon 객체를 생성하는 생성모듈부(20); 폴리라인의 속성정보를 설정하는 속성정보설정모듈부(30); 폴리라인에 상기 속성정보를 링크하는 속성정보부착모듈부(40); 수치지도에 존재하는 MPolygon 객체 검색하는 검색추출모듈부(50); MPolygon 객체에 폴리곤을 추가, 제거 또는 MPolygon 객체의 속성정보를 제거하는 변경모듈부(60); 이미지영상 정보, MPolygon 객체, 폴리곤 객체, 폴리라인 객체 및 객체별 속성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 상기 검색추출모듈부(50)가 추출한 MPolygon 객체를 출력장치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모듈부(80); 상기 구성요소(10, 20, 30, 40, 50, 60, 70, 80)를 제어하여 MPolygon 객체를 구성하는 폴리곤과, 상기 폴리곤 별 속성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모듈부(90);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는 이미지영상의 대상이 되는 지형이미지를 저장하고, 상기 폴리라인 객체의 속성정보와 Mpolygon 객체의 속성정보와 폴리곤 객체의 속성정보는 각각 해당하는 GPS좌표를 포함하며,
    MPolygon 객체와 폴리곤 객체와 폴리라인 객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객체 타입으로 된 지상물이미지에 대응하는 지형이미지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에서 검색하고, 상기 지상물이미지의 속성정보에 포함된 GPS좌표에 따라 상기 지형이미지의 GPS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지상물이미지를 지형이미지에 맞춰 조합하는 객체비교모듈부(100)와;
    상기 지상물이미지와 지형이미지의 각 중심을 확인해서 상기 중심을 기준점(SP1, SP2)으로 각각 설정하고, 서로 동일한 대상을 지시하는 지상물이미지와 지형이미지의 각 기준점(SP1, SP2)을 링크해서 객체비교모듈부(100)와 객체수정모듈부(110)에 전달하는 기준점 설정모듈(101)과;
    상기 지형이미지와 지상물이미지의 위치 오차 여부를 확인하고, 오차가 있는 지상물이미지를 해당하는 지형이미지에 맞춰서 위치를 수정하되, 지상물이미지에 대한 선택이 확인되면 상기 지상물이미지의 기준점(SP2)의 위치가 서로 링크된 지형이미지의 기준점(SP1)의 위치와 맞춰지도록 상기 지상물이미지의 위치를 수정하며, 위치가 수정된 지상물이미지를 갱신하는 객체수정모듈부(1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부(90)는 상기 객체비교모듈부(100)와 객체수정모듈부(110)를 제어하고;
    상기 생성모듈부(20)는 폐합된 폴리라인을 폴리곤으로 인식하고, 하나 이상의 폴리라인을 공유하는 둘 이상의 폴리곤은 다중폴리곤으로 인식하며, 상기 폴리곤과 다중폴리곤을 MPolygon 객체로 하는 객체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속성정보설정모듈부(30)는,
    디스플레이모듈부(80)를 통해 출력되는 수치지도를 종방향 스캐닝(111)과 횡방향 스캐닝(112) 중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스캔하는 스캔모듈(31)과;
    상기 스캐닝을 통해 처음으로 감지된 제1폴리라인의 소속 MPolygon 객체를 상기 객체데이터에서 확인하고, 다음으로 순차 감지되는 제2폴리라인의 소속 MPolygon 객체를 상기 객체데이터에서 확인하는 폴리곤위치확인모듈(32)과;
    상기 객체데이터에서 확인된 MPolygon 객체를 구분하기 위한 고유값인 MID를 설정하고, 상기 제1폴리라인이 이루는 제1폴리곤의 일련번호인 PID를 설정하며, 상기 제1폴리곤이 다른 폴리곤 내에 위치한 독립된 폴리곤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값인 HOLE를 설정해서, 상기 제1폴리곤의 속성정보인 (MID, PID, HOLE)을 자동으로 생성한 후 상기 제1폴리곤에 링크하는 한편, 다음으로 감지된 제2폴리라인이 상기 제1폴리곤에 공유되어서 상기 제1폴리곤의 MPolygon 객체에 속하는 폴리라인인지 여부를 확인해서, 상기 제2폴리라인이 상기 제1폴리곤에 공유되는 폴리라인이면 상기 제2폴리라인의 MID를 상기 제1폴리라인의 MID와 동일하게 설정하고, PID는 상기 제1폴리라인의 다음 번호로 카운트해서 설정하며, 상기 제2폴리라인이 공유되지 않는 폴리라인이면 상기 제2폴리라인의 MID는 제1폴리라인의 다음 번호를 카운트해서 설정하고, PID는 초기화해서 시작번호로 설정하는 속성정보설정모듈(33);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좌표 기반 영상의 부분오류 수정용 이미지영상 처리시스템.
KR20140152090A 2014-11-04 2014-11-04 Gps좌표 기반 영상의 부분오류 수정용 이미지영상 처리시스템 KR101494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52090A KR101494826B1 (ko) 2014-11-04 2014-11-04 Gps좌표 기반 영상의 부분오류 수정용 이미지영상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52090A KR101494826B1 (ko) 2014-11-04 2014-11-04 Gps좌표 기반 영상의 부분오류 수정용 이미지영상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4826B1 true KR101494826B1 (ko) 2015-02-23

Family

ID=52594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52090A KR101494826B1 (ko) 2014-11-04 2014-11-04 Gps좌표 기반 영상의 부분오류 수정용 이미지영상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4826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465B1 (ko) 2015-07-24 2015-10-12 (주)한성개발공사 정위치 편집환경에 따른 수치지도 내 오류데이터의 자동 수정방법
KR101940804B1 (ko) * 2018-09-19 2019-01-22 주식회사 한국에스지티 수치지도 기반이 되는 정밀 영상도화를 위한 위치별 객체 삽입시스템
KR101954683B1 (ko) * 2018-10-10 2019-03-06 주식회사 한국에스지티 영상이미지의 중첩방식을 통한 영상 오차 확인장치
KR101946579B1 (ko) * 2018-10-19 2019-05-21 (주)동광지엔티 갱신 대상지역의 부분도화를 위한 공간영상 수정시스템
KR101946573B1 (ko) * 2018-10-24 2019-05-21 (주)동광지엔티 공간영상 기반의 도화이미지에서 왜곡을 인식하고 지정 이미지를 보정하는 영상 도화장치
KR102113000B1 (ko) * 2020-01-10 2020-05-20 한국항공촬영 주식회사 수치지도 오류를 방지하는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102113001B1 (ko) * 2020-01-10 2020-05-20 한국항공촬영 주식회사 지형지물 변화에 의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20200055212A (ko) * 2018-11-12 2020-05-21 (주)신한항업 수치지도의 효율적인 편집을 위한 lisp 방식의 편집 방법과 편집장치
KR102115963B1 (ko) * 2020-01-10 2020-05-27 한국항공촬영 주식회사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20220055696A (ko) * 2020-10-27 2022-05-04 케이에스이씨 주식회사 가스 시설물에 대한 이동분석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269B1 (ko) 2007-02-26 2007-09-17 한진정보통신(주) 수치지도 객체의 속성정보를 이용한 다중폴리곤 생성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104434A (ko) * 2008-03-31 2009-10-06 (주)성경기술공사 수치지도의 편집방법
JP2009252959A (ja) 2008-04-04 2009-10-29 Toshiba Corp パターン検査装置、パターン検査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100109032A (ko) * 2009-03-31 2010-10-08 팅크웨어(주) 도로의 면형 데이터를 이용한 맵 매칭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269B1 (ko) 2007-02-26 2007-09-17 한진정보통신(주) 수치지도 객체의 속성정보를 이용한 다중폴리곤 생성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104434A (ko) * 2008-03-31 2009-10-06 (주)성경기술공사 수치지도의 편집방법
JP2009252959A (ja) 2008-04-04 2009-10-29 Toshiba Corp パターン検査装置、パターン検査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100109032A (ko) * 2009-03-31 2010-10-08 팅크웨어(주) 도로의 면형 데이터를 이용한 맵 매칭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465B1 (ko) 2015-07-24 2015-10-12 (주)한성개발공사 정위치 편집환경에 따른 수치지도 내 오류데이터의 자동 수정방법
KR101940804B1 (ko) * 2018-09-19 2019-01-22 주식회사 한국에스지티 수치지도 기반이 되는 정밀 영상도화를 위한 위치별 객체 삽입시스템
KR101954683B1 (ko) * 2018-10-10 2019-03-06 주식회사 한국에스지티 영상이미지의 중첩방식을 통한 영상 오차 확인장치
KR101946579B1 (ko) * 2018-10-19 2019-05-21 (주)동광지엔티 갱신 대상지역의 부분도화를 위한 공간영상 수정시스템
KR101946573B1 (ko) * 2018-10-24 2019-05-21 (주)동광지엔티 공간영상 기반의 도화이미지에서 왜곡을 인식하고 지정 이미지를 보정하는 영상 도화장치
KR20200055212A (ko) * 2018-11-12 2020-05-21 (주)신한항업 수치지도의 효율적인 편집을 위한 lisp 방식의 편집 방법과 편집장치
KR102189878B1 (ko) 2018-11-12 2020-12-14 (주)신한항업 수치지도의 효율적인 편집을 위한 lisp 방식의 편집 방법과 편집장치
KR102113000B1 (ko) * 2020-01-10 2020-05-20 한국항공촬영 주식회사 수치지도 오류를 방지하는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102113001B1 (ko) * 2020-01-10 2020-05-20 한국항공촬영 주식회사 지형지물 변화에 의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102115963B1 (ko) * 2020-01-10 2020-05-27 한국항공촬영 주식회사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20220055696A (ko) * 2020-10-27 2022-05-04 케이에스이씨 주식회사 가스 시설물에 대한 이동분석 시스템
KR102462588B1 (ko) * 2020-10-27 2022-11-03 케이에스이씨 주식회사 가스 시설물에 대한 이동분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4826B1 (ko) Gps좌표 기반 영상의 부분오류 수정용 이미지영상 처리시스템
KR101496317B1 (ko) 촬영이미지의 지상물 위치변경을 통해 영상이미지를 수정하는 영상처리방법
KR101469087B1 (ko) 지형이미지와의 정밀비교를 통한 수치좌표 링크형 수치지도의 오차확인시스템
KR101507393B1 (ko) 수치지도의 범용 편집처리를 위한 폴리곤 단위의 수치지도 관리시스템
KR102067459B1 (ko) 수치지도의 기준위치 편집을 통한 생성 오류의 자동 보정시스템
CN102089761B (zh) 自动发现受欢迎的地标
KR101938401B1 (ko) 갱신대상 지역의 부분 도화를 위한 수치도화 수정시스템
US9886789B2 (en) Device, system, and process for searching image data based on a three-dimensional arrangement
KR101483955B1 (ko) 영상이미지의 3차원 위치수정을 통한 음영구간 식별용 영상처리시스템
CN107615251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及存储介质
CN102521365A (zh) 空间图像索引和关联的更新功能
JP2008046812A (ja) 表データ処理方法及び装置
US2016037908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an image recognizing program having high positional recognition accuracy
JP7240573B2 (ja) 施工支援システムおよび施工支援装置
US20220414066A1 (en) Data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1946548B1 (ko) 지형이미지와의 정밀 비교를 통한 수치좌표 링크형 수치지도의 오차확인시스템
KR101827355B1 (ko) 게임 로그 데이터를 통한 맵 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CN103970901A (zh) 一种地理信息图形数据整合方法
US8694288B2 (en) CAD pipe arrangement and pipe relationship database validation
KR102070171B1 (ko) 지리정보가 보강된 영상정보의 정밀 해석을 통한 수치지형도 위치정보 오류확인 시스템
KR101558465B1 (ko) 정위치 편집환경에 따른 수치지도 내 오류데이터의 자동 수정방법
Ziems et al. Multiple-model based verification of road data
JP6242090B2 (ja) 地図更新装置、地図更新システム及び地図の更新管理方法
KR100895773B1 (ko) Cad도면에 의한 gis공간연계db를 이용한 파일 검색방법.
KR101652321B1 (ko) 관계형 db를 이용한 발전소의 루프 와이어링 다이어그램 자동 생성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